KR20180132514A -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514A
KR20180132514A KR1020180046565A KR20180046565A KR20180132514A KR 20180132514 A KR20180132514 A KR 20180132514A KR 1020180046565 A KR1020180046565 A KR 1020180046565A KR 20180046565 A KR20180046565 A KR 20180046565A KR 20180132514 A KR20180132514 A KR 2018013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layer
meth
carri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라 와타나베
다카유키 아라이
유키 오자와
Original Assignee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H01L51/523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75Antista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4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4Antist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5Presence of polyester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은, 각 공정에서 대전방지성이 우수함과 함께, 헤이즈값을 낮게 억제할 수 있는 캐리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보호·반송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1)로서, 기재(2)와, 기재(2)의 한쪽의 면측에 적층된 점착제층(3)과, 점착제층(3)에 있어서의 기재(2)와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된 박리 시트(4)를 구비하고 있고, 기재(2), 점착제층(3) 및 박리 시트(4)의 모두가, 대전방지성을 갖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1)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CARRIER SHEET FOR FLEXIBLE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보호·반송에 사용되는 캐리어 시트에 관한 것이다.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 등의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가공, 조립, 검사 등의 공정 중, 디바이스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반송하기 위하여, 당해 디바이스의 표면에, 기재 및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 시트가 첩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 캐리어 시트는, 디바이스의 보호·반송의 필요가 없어진 시점에서, 디바이스로부터 박리된다.
피반송물인 디바이스로서는, 종래, 경질의 것이 많았지만, 최근, 플렉서블한 디바이스가 나타나 있다. 예를 들면, 최근에는, 광학 부재로서, 경질의 액정 디바이스로부터, 플렉서블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바이스에 이행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따라서, 캐리어 시트로서도, 이와 같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대응한 것이 필요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캐리어 시트에서는, 사용 시에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또한, 사용 후에 디바이스로부터 박리되지만, 그때에 박리대전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캐리어 시트가 첩착된 디바이스는, 반송 중이나 제조 공정 중에 마찰 대전하는 경우가 있다.
정전기가 발생하면, 공기 중의 먼지나 티끌이 디바이스에 부착해서, 디바이스의 불량으로 이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캐리어 시트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된다.
여기에서, 특허문헌 1에는, 실리콘점착제 및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플렉서블 기판 반송용 실리콘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5406707호 공보
특허문헌 1에 따른 발명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관해서 대전방지성을 고려하고는 있지만, 각 공정에서 충분한 대전방지성을 얻는 것은 어렵다. 또한, 충분한 대전방지성을 얻으려고 대전방지제의 첨가량을 증가시켰을 경우, 점착제층이 백탁화해서 헤이즈값이 올라 버려서, 광학계의 검사 공정에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상에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각 공정에서 대전방지성이 우수함과 함께, 헤이즈값을 낮게 억제할 수 있는 캐리어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로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보호·반송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로서,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측에 적층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와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된 박리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재, 상기 점착제층 및 상기 박리 시트의 모두가, 대전방지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를 제공한다(발명 1).
상기 발명(발명 1)에 따른 캐리어 시트는, 기재, 점착제층 및 박리 시트의 모두가 대전방지성을 가짐에 의해, 각 공정에 있어서 대전방지성이 우수하다. 예를 들면,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했을 때나, 당해 캐리어 시트를 플렉서블 디바이스로부터 박리했을 때, 혹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가공, 적층, 검사 등의 공정 중 또는 반송 중이나, 캐리어 시트의 조출(繰出) 시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어려워, 정전기에 기인해서 공기 중의 먼지나 티끌이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재, 점착제층 및 박리 시트의 각각이 대전방지성을 가짐에 의해, 예를 들면, 점착제층 단층으로 전체의 대전방지성을 충당하는 경우보다도,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대전방지제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점착제층의 헤이즈값, 나아가서는 캐리어 시트 전체로서의 헤이즈값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발명(발명 1)에 있어서는, 상기 기재가,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의 면측에 형성된 대전 방지층을 갖고 있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쪽의 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재에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2). 또한, 상기 점착제층은,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쪽의 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기재에 적층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발명(발명 1, 2)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제층이,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3).
상기 발명(발명 1∼3)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시트가,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의 면측에 형성된 대전 방지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4).
상기 발명(발명 1∼4)에 있어서는,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를 박리해서 이루어지는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에 대해서 100V의 전압을 10초간 인가했을 때의, 상기 점착제층의 노출면의 표면 저항률이, 1×107Ω/sq 이상, 1×1011Ω/s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5).
상기 발명(발명 1∼5)에 있어서는,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 대해서 100V의 전압을 10초간 인가했을 때의, 상기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과는 반대측의 면의 표면 저항률이, 1×107Ω/sq 이상, 1×1011Ω/s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6).
상기 발명(발명 1∼6)에 있어서는,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에 대해서 100V의 전압을 10초간 인가했을 때의, 상기 박리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측의 면의 표면 저항률이, 1×107Ω/sq 이상, 1×1011Ω/s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7).
상기 발명(발명 1∼7)에 있어서는,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에 대해서 100V의 전압을 10초간 인가했을 때의, 상기 박리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과는 반대측의 면의 표면 저항률이, 1×107Ω/sq 이상, 1×1011Ω/s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8).
상기 발명(발명 1∼8)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 시트를 제외한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의 헤이즈값이,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발명 9).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시트는, 각 공정에서 대전방지성이 우수함과 함께, 헤이즈값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의 단면도.
도 2는 타흔(打痕) 시험에서 취득한 화상 및 그래프를 나타내는 도면(컬러).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이하, 단순히 「캐리어 시트」라 하는 경우가 있다)는, 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가공, 적층, 검사 등의 공정 중,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반송하는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플렉서블 디바이스란, 유연성을 갖는 광학 부재나 전자 부재 등의 디바이스를 말하며, 예를 들면, 플렉서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바이스, 플렉서블 액정 디바이스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플렉서블 OLED 디바이스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는, 기재와, 당해 기재의 한쪽의 면측에 적층된 점착제층과, 당해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와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된 박리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기재, 점착제층 및 박리 시트의 모두가 대전방지성을 갖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는, 상기와 같이 기재, 점착제층 및 박리 시트의 모두가 대전방지성을 가짐에 의해,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했을 때나, 당해 캐리어 시트를 플렉서블 디바이스로부터 박리했을 때, 혹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가공, 적층, 검사 등의 공정 중 또는 반송 중이나, 캐리어 시트의 조출 시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어려워, 정전기에 기인해서 공기 중의 먼지나 티끌이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기재, 점착제층 및 박리 시트의 각각이 대전방지성을 가짐에 의해, 예를 들면, 점착제층 단층으로 전체의 대전방지성을 충당하는 경우보다도,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대전방지제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점착제층의 헤이즈값, 나아가서는 캐리어 시트 전체로서의 헤이즈값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헤이즈값이 낮게 억제된 캐리어 시트는, 투명성이 높아, 플렉서블 OLED 디바이스 등의 발광 검사에 호적한 것으로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실시형태의 일례인 캐리어 시트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는, 기재(2)와, 점착제층(3)과, 박리 시트(4)를 구비하고 있다. 기재(2)는, 기재 필름(21)과, 기재 필름(2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3)과는 반대측의 면(도 1에서는 상측의 면)에 형성된 제1 대전 방지층(22)을 갖는다. 박리 시트(4)는, 지지체(41)를 가짐과 함께, 지지체(4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3)측의 면(도 1에서는 상측의 면)에 형성된 제2 대전 방지층(42a), 및 지지체(4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3)과는 반대측의 면(도 1에서는 하측의 면)에 형성된 제3 대전 방지층(42b)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제2 대전 방지층(42a) 및 제3 대전 방지층(42b)의 양쪽을 갖는다. 또한, 박리 시트(4)는, 점착제층(3)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박리제층(43)을 갖는다. 당해 박리제층(43)은, 제2 대전 방지층(42a)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 대전 방지층(42a)에 있어서의 지지체(41)와는 반대측의 면에 마련되고, 제2 대전 방지층(42a)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지지체(4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3)측의 면에 마련된다. 점착제층(3)은, 기재 필름(21)에 접하도록 기재(2)에 적층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3)은, 대전방지제를 함유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의 바람직한 사용 태양의 하나로서, 캐리어 시트(1)의 권회(卷回) 롤로부터 캐리어 시트(1)가 조출되고, 박리 시트(4)가 벗겨지고, 노출한 점착제층(3) 상에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설치되고, 반송되면서, 가공, 적층, 검사 등 되고, 그 후, 플렉서블 디바이스로부터 캐리어 시트(1)가 박리되는 태양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조출 공정에 있어서는, 특히, 제1 대전 방지층(22)에 의해서 대전방지성이 발휘되고, 제3 대전 방지층(42b)이 마련됨에 의해서, 당해 대전방지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된다.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가공, 적층, 검사 등의 공정 중 또는 반송 중에 있어서는, 특히, 제1 대전 방지층(22)에 의해서 마찰 대전에 의한 정전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캐리어 시트(1)로부터 박리 시트(4)를 박리했을 때는, 특히,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3)에 의해서 대전방지성이 발휘되고, 제2 대전 방지층(42a)이 마련됨에 의해서, 당해 대전방지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한, 캐리어 시트(1)를 플렉서블 디바이스로부터 박리했을 때에는, 특히,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점착제층(3)에 의해서 대전방지성이 발휘된다.
또, 박리 시트(4)의 제2 대전 방지층(42a) 및 제3 대전 방지층(42b)의 한쪽은, 생략되어도 된다. 단, 박리 시트(4)에 제2 대전 방지층(42a) 및 제3 대전 방지층(42b)의 양쪽이 형성되어 있음에 의해, 캐리어 시트(1)의 대전방지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에서는, 점착제층(3)이 대전방지성을 갖기 때문에, 기재 필름(21)의 점착제층(3)측에는 대전 방지층은 불필요하다. 단, 기재 필름(21)의 점착제층(3)측에 추가로 대전 방지층이 형성되어도 된다.
1. 각 부재
(1) 기재
(1-1) 기재 필름
기재 필름(21)은,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보호·반송 및 각 공정에 적합한 물성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 필름(21)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펜텐,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액정 폴리머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고, 단층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이어도 되고, 동종 또는 이종의 복수 층을 적층한 필름이어도 된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대한 핸들링성, 투명성 및 코스트의 면으로부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피반송물인 플렉서블 디바이스가 플렉서블 OLED 디바이스일 경우, 플렉서블 OLED 디바이스의 발광 검사에서는, 액정 디바이스 등의 발광 검사보다도 엄격한 레벨로 검사가 행해지기 때문에, 캐리어 시트(1)에는 높은 투명성이 요구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이즈값을 낮게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발광 검사에 호적하다. 단, 캐리어 시트(1)의 투명성을 더 높이기 위하여, 기재 필름(21)은, 필러를 함유하지 않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서, 캐리어 시트(1)는 투명도가 더 높아져, 플렉서블 OLED 디바이스의 발광 검사에 보다 적합한 것으로 된다.
또, 상기 플라스틱 필름은, 본 실시형태의 상술한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러, 내열성 향상제, 자외선 흡수제, 굴절률 조정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기재 필름(21)에 있어서는, 제1 대전 방지층(22) 및/또는 점착제층(3)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소망에 따라, 산화법이나 요철화법 등에 의한 표면 처리, 혹은 프라이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산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스마 방전 처리, 크롬산화 처리(습식),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 자외선 조사 처리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요철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샌드 블라스트법, 용사 처리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표면 처리법은, 기재 필름(21)의 종류에 따라서 적의(適宜) 선택된다.
기재 필름(21)의 두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피반송물로 했을 때의 핸들링성, 특히 플렉서블 디바이스로부터의 박리의 작업성을 고려하면, 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내타흔성(耐打痕性)을 가미하면, 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마찬가지로 핸들링성 및 코스트를 고려하면, 당해 두께는, 18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2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1-2) 대전 방지층
제1 대전 방지층(22)은, 기재 필름(21)에 원하는 대전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고, 원하는 투명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제1 대전 방지층(22)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전성 고분자와 바인더 수지를 함유하는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고분자로서는, 종래 공지의 도전성 고분자 중으로부터, 임의의 것을 적의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폴리티오펜계, 폴리아닐린계 또는 폴리피롤계의 도전성 고분자가 바람직하다. 도전성 고분자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폴리티오펜계의 도전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티오펜, 폴리(3-알킬티오펜), 폴리(3-티오펜-β-에탄설폰산), 폴리알킬렌디옥시티오펜과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SS)와의 혼합물(도프된 것을 포함한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알킬렌디옥시티오펜과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와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알킬렌디옥시티오펜으로서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EDOT), 폴리프로필렌디옥시티오펜, 폴리(에틸렌/프로필렌)디옥시티오펜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것 중에서도,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과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와의 혼합물(PSS를 도프한 PEDOT)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아닐린계의 도전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닐린, 폴리메틸아닐린, 폴리메톡시아닐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피롤계의 도전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피롤, 폴리3-메틸피롤, 폴리3-옥틸피롤 등을 들 수 있다.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도전성 고분자의 함유량은, 0.1∼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2∼2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3∼10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전성 고분자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양호한 대전 방지 성능이 얻어지고, 또한, 당해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대전 방지층의 강도가 충분한 것으로 된다.
상기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바인더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는, 열경화성 화합물이어도 되고, 자외경화성 화합물이어도 되지만, 자외경화성으로 하기 위해서는 용매를 수계로부터 유기 용제계로 치환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정 수나 코스트의 관점에서, 열경화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플라스틱 필름에의 밀착성의 높음으로부터, 열경화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고, 가교제와 반응하는 반응성기, 예를 들면 수산기 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가교제, 레벨링제, 방오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가교제로서는, 상기한 수지를 가교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수지가 반응성기로서 수산기를 갖는 것이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아민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의 함유량은, 바인더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서, 1∼5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5∼40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30질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레벨링제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실록산계 화합물, 불소계 화합물,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대전 방지층(22)에 있어서는, 점착제층(3)과의 밀착성의 관점에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이 레벨링제를 함유함에 의해, 대전 방지층(42a, 42b)의 평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재(2)의 투시성이 보다 높은 것으로 된다.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레벨링제의 함유량은, 0.1∼1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5∼3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1 대전 방지층(22)의 두께는, 대전 방지 성능을 고려하면,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두께는, 강도 및 코스트의 관점에서,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1-3) 기재의 물성
(1-3-1) 표면 저항률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기재(2)에 대해서 100V의 전압을 10초간 인가했을 때의, 기재(2)에 있어서의 점착제층(3)과는 반대측의 면의 표면 저항률은, 상한값으로서, 1×1011Ω/s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10Ω/sq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1010Ω/sq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저항률의 상한값이 상기임에 의해, 캐리어 시트(1)의 권회 롤로부터 캐리어 시트(1)가 조출될 때나,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가공, 적층, 검사 등의 공정 중 또는 반송 중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저항률의 하한값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1×107Ω/sq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7Ω/sq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108Ω/sq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표면 저항률은, JIS K6911에 준거해서 측정한 값이고, 당해 표면 저항률의 측정 방법의 상세는,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1-3-2) 헤이즈값
기재(2)의 헤이즈값은,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기재(2)의 헤이즈값이 상기임에 의해, 피반송물에 첩착되는 캐리어 시트(1)의 투명도가 높은 것으로 되고, 플렉서블 OLED 디바이스의 발광 검사에도 적합한 것으로 된다. 또, 상기 헤이즈값의 하한값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은, JIS K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으로 한다.
(2) 점착제층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3)은, 대전방지제를 함유한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층(3)은,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점착제로부터 형성된다.
(2-1) 점착제
점착제층(3)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피반송물(플렉서블 디바이스)에의 첩착 및 피반송물로부터의 박리에 적합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플렉서블 디바이스로부터 캐리어 시트(1)가 박리하기 쉽도록, 재박리성이 우수한 점착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종류로서는,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고, 재박리성의 관점에서는, 아크릴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단, 일반적인 대전방지제를 실리콘계 점착제에 첨가하면, 상용성의 낮음때문에, 얻어지는 점착제층(3)의 투명성이 낮아지고, 또한, 기재밀착성도 저하한다. 한편, 일반적인 대전방지제를 아크릴계 점착제에 첨가해도, 상기와 같은 상용성의 영향이 비교적 작다. 따라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하,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점착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대전방지제,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가교제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을 가교(경화)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란, 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에스테르의 양쪽을 의미한다. 다른 유사 용어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점착성 조성물은, 재박리성의 관점에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로서, 상대적으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큰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상대적으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작은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점착성 조성물은, 특히,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및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보다도 작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고,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및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C)와, 대전방지제(D)를 함유하는 점착성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점착성 조성물은,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를 구성하는 모노머에 있어서의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의 비율이,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모노머에 있어서의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의 비율보다도 크고,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질량부 수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를 구성하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의 질량부 수의 합계가, 0.1∼1.0질량부이고,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에 있어서의 질량을 기준으로 한 배합비가, 90:10∼10:90인 점착성 조성물(이하 「점착성 조성물 P」라 하는 경우가 있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성 조성물 P로부터 얻어지는 점착제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가공·반송 시에, 보다 긴 쇄장을 갖는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가, 비교적 적은 수의 가교점을 갖고, 보다 자유도가 높아, 변형하기 쉬움에 의해, 충분한 밀착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재박리할 때, 많은 가교점을 갖는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에 의해서, 상기 공중합체(A)의 움직임은 구속되고, 소정량 이상은 변형하기 어려움에 의해, 비교적 작은 점착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에 의해, 공정 중에 캐리어 시트(1)가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밀착하며, 또한, 공정 후에 캐리어 시트(1)가 플렉서블 디바이스로부터 박리하기 쉬운 것으로 된다.
점착성 조성물 P에서는,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는, 각각,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를 함유한다.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는, 가교의 촉진제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점착성 조성물 P에서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가, 모노머 구성 단위로서 공중합체(A) 및 공중합체(B)에 포함됨으로써, 주석 촉매와 같은 그 밖의 가교촉진제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다.
점착성 조성물 P에서는,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질량부 수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하여,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를 구성하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의 질량부 수의 합계가, 0.1∼1.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0.8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3∼0.6질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의 질량부 수의 합계가 1.0질량부 이하임으로써, 가교 반응이 과도하게 촉진되어, 점착성 조성물 P가 점착제의 형성 전에 겔화하는 것이 방지되어, 충분한 포트 라이프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의 질량부 수의 합계가 0.1질량부 이상임으로써, 가교 촉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당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를 0.01∼2.0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1.5질량%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3∼1.0질량%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당해 모노머의 함유량이 2.0질량% 이하임으로써, 점착성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한, 당해 모노머의 함유량이 0.01질량% 이상임으로써, 카르복시기에 의한 가교 촉진의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고, 이것에 의해, 공중합체(B)를 주체에 형성되는 가교 구조의 일부에, 공중합체(A)가 수산기를 개재해서 결합해서 이루어지는 구조가 양호하게 형성되고, 얻어지는 점착 시트의 고속 점착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는, 당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를 0.01∼0.99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0.8질량%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2∼0.6질량%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당해 모노머의 함유량이 0.99질량% 이하임으로써, 점착성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된다. 또한, 당해 모노머의 함유량이 0.01질량% 이상임으로써, 카르복시기에 의한 가교 촉진의 효과가 얻어지고, 이것에 의해, 양호한 가교 구조가 형성되고, 얻어지는 점착 시트는 재박리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된다.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아세트산비닐 등의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시산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가교 촉진의 관점에서, 특히,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로서, 아크릴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에서는,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가, 각각,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를 함유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성 조성물은,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C)를 포함하기 때문에,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한 수산기가, 공중합체(A) 및 (B)에 있어서 가교점으로서 작용한다.
점착성 조성물 P에서는,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를 구성하는 모노머에 있어서의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의 비율이,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모노머에 있어서의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의 비율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보다 저분자량의 공중합체(B)가, 보다 많은 수산기를 가짐에 의해, 재박리 시에 공중합체(B)가 공중합체(A)를 구속하기 쉬워져, 점착력이 충분히 저하한다.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당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를 0.01∼5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1질량%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1∼0.5질량%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는, 당해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를 0.1∼10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6∼8질량%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1∼5질량% 함유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3-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 3-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등의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알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특히,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은, 가교 반응에 있어서의 높은 반응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재박리성의 관점에서,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로서,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에서는,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는,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렌옥사이드쇄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이하, 「알킬렌옥사이드쇄 함유 아크릴산에스테르」라 하는 경우가 있다)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알킬렌옥사이드쇄의 알킬렌으로서는, 탄소수 2∼4의 알킬렌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탄소수 2의 에틸렌옥사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알킬렌옥사이드쇄 함유 아크릴산에스테르 1분자 중의 알킬렌옥사이드쇄의 평균 부가 몰수는, 1∼2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3∼15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6∼10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가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렌옥사이드쇄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함으로써, 이 점착제에 이온전도성의 대전방지제(D)를 첨가했을 경우에, 점착제 중의 대전방지제(D)의 이동성이 높아짐에 의해, 대전방지제(D)의 효과를 보다 얻을 수 있다. 또,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렌옥사이드쇄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함유해도 되지만, 공중합체(A)가 고분자량인 것에 기인해서, 점착성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 가공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알킬렌옥사이드쇄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는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에만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킬렌옥사이드쇄의 말단은, 가교제(C)와 반응하지 않도록 탄소수 1∼4의 알킬기로 보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방지제(D)의 첨가 효과를 보다 발휘시킴과 함께, 공중합체(A)와의 상용성의 양립을 도모하는 관점에서, 공중합체(B) 중에 있어서,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렌옥사이드쇄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1∼30질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5∼20질량% 함유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17질량% 함유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에서는,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가, 각각,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원하는 점착성을 발현하는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20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이하,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라 하는 경우가 있다)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메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프로필, (메타)아크릴산n-부틸, (메타)아크릴산n-펜틸, (메타)아크릴산n-헥실,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n-데실, (메타)아크릴산n-도데실, (메타)아크릴산미리스틸, (메타)아크릴산팔미틸, (메타)아크릴산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한 점착성을 얻는 관점에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4∼8인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와 같은 예로서는, 아크릴산부틸 및 아크릴산2-에틸헥실을 들 수 있다. 특히, 아크릴산부틸 및 아크릴산 2-에틸헥실의 양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얻어지는 점착제에 점착성을 부여하면서, 상술의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및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의 배합 비율도 확보하는 관점에서,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는, 각각,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모노머 구성 단위로서 60∼99.8질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체(A)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모노머 구성 단위로서 85∼99.6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체(B)는,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를 모노머 구성 단위로서 65∼85질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 아크릴산2-에틸헥실 및 아크릴산부틸의 양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송 시 등에 있어서의 밀착성과 재박리성과의 양립을 높은 레벨로 얻는 관점에서,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의 각각에 있어서의 아크릴산 2-에틸헥실과 아크릴산부틸과의 비율은, 질량 환산으로 95:5∼5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90:10∼60:4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공중합체(A)에서는, 당해 비율은, 질량 환산으로 74:26∼65:3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공중합체(B)에서는, 당해 비율은, 질량 환산으로 85:15∼76:24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에서는,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가, 소망에 따라, 당해 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다른 모노머를 함유해도 된다. 다른 모노머로서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 및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서도,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포함하지 않는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른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메톡시메틸, (메타)아크릴산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산에톡시메틸, (메타)아크릴산에톡시에틸 등의 알콕시알킬기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페닐, (메타)아크릴산벤질 등의 방향족환을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실리콘(메타)아크릴레이트, 불소(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비가교성의 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산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산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등의 비가교성의 3급 아미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아세트산비닐, N-비닐피롤리돈, 스티렌 등의 비닐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점착성 조성물 P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계 공중합체(B)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점착성 조성물 P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가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보다도 가교점을 많이 갖는 것에 더하여,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보다도 작다. 이것에 의해, 재박리성 및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반송 시 등에 있어서의 밀착성을 효과적으로 양립할 수 있다.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만∼5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0만∼40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5만∼30만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값이다.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0.2만∼10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5만∼5만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만∼2만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에 있어서,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에 있어서의 질량을 기준으로 한 배합비는, 90:10∼1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의 배합량의 쪽이,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배합량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배합비는, 45:55∼1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42:58∼20:8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0:60∼30:7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의 배합량의 쪽이 많음에 의해,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반송·가공 시에는 충분한 밀착성을 발휘해서 벗겨짐을 방지하면서, 일련의 공정 종료 후에는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풀남음 없이 박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높은 레벨로 얻어진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C)는, 적어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 및 그들의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또한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피마자유 등의 저분자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과의 반응물인 어덕트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형 3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C)의 함유량은,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0.1∼1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1∼8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6질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대전방지제(D)로서는, 얻어지는 점착제에 대전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면 되며, 예를 들면, 이온성 화합물, 비이온성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이온전도성을 갖는 이온성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온성 화합물은, 실온에서 액체여도 되고, 고체여도 되지만, 내구 조건에 노출되어도 안정한 대전방지성을 발현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실온에서 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이온성 화합물이란, 양이온과 음이온이 주로 정전기 인력에 의해서 이어져서 이루어지는 화합물을 말한다.
이온성 화합물로서는, 함질소오늄염, 함황오늄염, 함인오늄염,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토류 금속염이 바람직하고, 얻어지는 점착제가 내구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함질소오늄염 또는 알칼리 금속염이 특히 바람직하고, 함질소오늄염이 더 바람직하다. 함질소오늄염은, 함질소 복소환 양이온과 그 상대 음이온으로 구성되는 이온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함질소 복소환 양이온의 함질소 복소환 골격으로서는, 피리딘환, 피리미딘환, 이미다졸환, 트리아졸환, 인돌환 등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피리딘환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칼리 금속염의 양이온으로서는, 리튬이온, 칼륨이온 또는 나트륨이온이 바람직하고, 리튬이온 또는 칼륨이온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온성 화합물을 구성하는 음이온으로서는, 할로겐화인산음이온 또는 설포닐이미드계 음이온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할로겐화인산 음이온으로서는,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또한, 설포닐이미드계 음이온으로서는, 비스(플루오로알킬설포닐)이미드 또는 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등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D)의 구체예로서는, N-부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헥실-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도데실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테트라데실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헥사데실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도데실-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테트라데실-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헥사데실-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등의 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계 화합물; N-데실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1-에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1-부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1-헥실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1-부틸-3-메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1-부틸-4-메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1-헥실-3-메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1-부틸-3,4-디메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칼륨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리튬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칼륨비스(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리튬비스(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등의 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N-부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헥실-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데실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 및 칼륨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가 바람직하고, 특히, N-옥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칼륨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가 바람직하다. 이상의 대전방지제(D)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2종 이상을 조합하는 경우는, 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계 화합물과 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계 화합물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N-옥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및 칼륨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얻어지는 점착제의 대전방지성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된다. 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계 화합물과 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계 화합물과의 배합비(질량 기준)는, 90:10∼1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80:20∼20:8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75:25∼55:4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대전방지제(D)의 함유량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100질량부에 대해서, 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부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5질량부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함유량은,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에서는, 기재(2), 점착제층(3) 및 박리 시트(4)의 각각이 대전방지성을 가짐에 의해, 상기와 같이 점착성 조성물 P 중에 있어서의 대전방지제(D)의 함유량을 비교적 적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얻어지는 점착제층(3)의 헤이즈값, 나아가서는 캐리어 시트(1) 전체로서의 헤이즈값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대전방지제(D)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음으로써, 대전방지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음과 함께, 내구성, 휘어짐억제성 등의 물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점착성 조성물 P는, 가소제를 함유해도 된다. 가소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의 점착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재박리성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가소제의 구체예로서는, 아세틸시트르산트리부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의 함유량은,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1∼2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3∼15질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6∼12질량부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에는, 소망에 따라, 아크릴계 점착제에 통상 사용되어 있는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점착부여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연화제, 충전제, 굴절률 조정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 점착성 조성물 P는, 주석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유기 주석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성 조성물 P에서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에 의해서 가교가 촉진되기 때문에, 가교촉진제로서 주석 촉매와 같은 주석 화합물을 함유시킬 필요가 없다. 점착성 조성물 P가 주석 화합물을 함유하지 않음에 의해, 환경에의 부하가 저감된 점착제를 얻을 수 있다.
점착성 조성물 P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해서 제조할 수 있다.
즉, 먼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B)를,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중합 용매 중에서, 각각 별개로 통상의 라디칼 중합법에 의해 조제한다. 다음으로, 얻어진 양 공중합체의 용액을 혼합하고, 고형분 농도가 10∼40질량%로 되도록 희석 용매를 더한다. 그 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C), 대전방지제(D), 및 소망에 따라 가소제나 첨가제를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함에 의해, 용매로 희석된 점착성 조성물(도포 용액)을 얻는다.
상기 희석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염화에틸렌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2-펜탄온, 이소포론, 시클로헥산온 등의 케톤,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 에틸셀로솔브 등의 셀로솔브계 용제 등이 사용된다.
또한, 점착성 조성물 P는, 이하에 나타내는 일련 중합에 의해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혼합액(a)에 있어서, 전화율 50∼90%로 라디칼 중합해서,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를 제조한 후,
(2)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를 구성하는 모노머를 함유하는 혼합액(b)을 첨가하고, 당해 모노머와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중합 시에 잔류하는 모노머를, 상기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존재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전화율 70∼100%로 라디칼 공중합해서,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를 제조하고, 다음으로,
(3)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C), 대전방지제(D), 그리고 소망에 따라 가소제 및 각종 첨가제를 첨가한다.
혼합액(a)에 함유되는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모노머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혼합액(a)에 있어서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및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은, 각각,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상술한 함유량과 같다고 할 수 있다.
혼합액(b)에 함유되는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를 구성하는 모노머는,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혼합액(b)에 있어서의, 카르복시기를 갖는 모노머, 수산기를 갖는 모노머, 알킬렌옥사이드쇄 함유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및 (메타)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함유량은, 각각,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를 구성하는 모노머 단위로서 상술한 함유량과 같다고 할 수 있다.
혼합액(a)과 혼합액(b)과의 배합비는, 질량 환산으로 90:10∼1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혼합액(b)의 배합량의 쪽이, 혼합액(a)의 배합량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상기 배합비는, 45:55∼10:90인 것이 바람직하고, 42:58∼20:8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40:60∼30:7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C) 및 가소제의 배합량은, 각각, 점착성 조성물 P 중의 함유량으로서 상술한 양과 같아도 된다. 이 경우, 상기 공정 (2)에 있어서 생성된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의 합계 100질량부에 대해서, 상술한 양의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C) 또는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일련 중합은, 소망에 따라 중합개시제를 사용해서, 용액 중합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중합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톨루엔, 아세톤, 헥산, 메틸에틸케톤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중합개시제로서는, 아조계 화합물, 유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고,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아조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 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4,4'-아조비스(4-시아노발레르산), 2,2'-아조비스(2-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과산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과산화벤조일, t-부틸퍼벤조에이트, 쿠멘히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n-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디프로피오닐퍼옥사이드, 디아세틸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해서 조제된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 용액의 농도·점도로서는, 코팅 가능한 범위이면 되고,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황에 따라서 적의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착성 조성물 P의 농도가 10∼40질량%로 되도록 희석한다. 또, 도포 용액을 얻는데 있어서, 희석 용제 등의 첨가는 필요 조건은 아니며, 점착성 조성물 P가 코팅 가능한 점도 등이면, 희석 용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된다.
점착제층(3)을 구성하는 바람직한 점착제는, 상기 점착성 조성물 P를 가교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점착성 조성물 P의 가교는, 가열 처리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 이 가열 처리는, 점착성 조성물 P의 희석 용매 등을 휘발시킬 때의 건조 처리로 겸할 수도 있다.
가열 처리를 행할 경우, 가열 온도는, 5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70∼12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시간은, 30초∼3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50초∼2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처리 후, 상온(예를 들면, 23℃, 50% RH)에서 1∼2주간 정도의 양생 기간을 마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가열 처리(및 양생)에 의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C)에 의해서,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 및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가 가교해서, 삼차원 망목 구조를 형성한다. 특히,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의 쪽이 가교점을 많이 갖기 때문에, 제2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B)끼리의 가교가 우선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과 같이, 점착제층(3)이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점착제로부터 형성되면, 점착제층(3)의 기재(2)에 대한 밀착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제품으로서의 안정성·신뢰성이 높고, 또한, 플렉서블 디바이스로부터 캐리어 시트(1)를 박리했을 때에, 플렉서블 디바이스측에 점착제층(3) 또는 점착제가 잔존할 우려가 없다.
(2-2) 두께
점착제층(3)의 두께는,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7㎛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점착제층(3)의 두께가 5㎛ 이상이면, 양호한 점착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3)의 두께가 12㎛ 이상이면, 만일 캐리어 시트(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3)(점착면)과 플렉서블 디바이스와의 사이에 먼지나 티끌 등의 이물이 부착했다고 해도, 당해 이물은 점착제층(3)에 매입(埋入)된다. 그 결과, 캐리어 시트(1)와 플렉서블 디바이스와의 사이에서, 이물에 기인하는 공기의 유입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발광 검사 등을 문제 없이 행할 수 있다.
한편, 점착제층(3)의 두께는, 박리성의 관점에서, 7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2-3) 점착제층의 물성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박리 시트(4)를 박리해서 이루어지는 캐리어 시트(1)에 대해서 100V의 전압을 10초간 인가했을 때의, 점착제층(3)의 노출면(점착면)의 표면 저항률은, 상한값으로서, 1×1011Ω/s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10Ω/s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1010Ω/s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저항률의 상한값이 상기임에 의해, 특히, 캐리어 시트(1)로부터 박리 시트(4)를 박리했을 때나, 캐리어 시트(1)를 플렉서블 디바이스로부터 박리했을 때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저항률의 하한값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1×107Ω/sq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7Ω/sq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108Ω/sq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3) 박리 시트
(3-1) 지지체
지지체(41)로서는, 점착제층(3)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메틸펜텐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염화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우레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필름, 아이오노머 수지 필름,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불소 수지 필름 등이 사용된다. 또한, 이들의 가교 필름도 사용된다. 또한, 이들의 적층 필름이어도 된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핸들링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다.
지지체(41)의 두께에 대해서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통상 15∼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7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3-2) 대전 방지층
제2 대전 방지층(42a) 및 제3 대전 방지층(42b)은, 모두, 박리 시트(4)에 원하는 대전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지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대전 방지층(42a, 42b)의 재료로서는, 상술한 기재(2)의 제1 대전 방지층(22)과 마찬가지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 방지층(42a, 42b)의 두께도, 기재(2)의 제1 대전 방지층(22)과 마찬가지의 두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에 있어서, 제2 대전 방지층(42a) 및 제3 대전 방지층(42b)은, 한쪽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할 수 있다. 단, 생략하는 경우는, 제3 대전 방지층(42b)을 생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층(3)에 접촉하는 제2 대전 방지층(42a)이 존재하면, 점착제층(3)으로부터 박리 시트(4)를 박리할 때의 대전방지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3-3) 박리제층
박리제층(43)을 구성하는 박리제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으며, 점착제층(3)의 점착제의 종류에 따라서, 종래 공지의 것 중으로부터 임의의 것을 적의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박리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계, 불소 수지계, 알키드 수지계, 올레핀 수지계, 아크릴계, 장쇄 알킬기 함유 화합물계, 고무계 등의 박리제를 들 수 있다. 특히, 점착제층(3)의 점착제가 아크릴계 점착제인 경우에는, 당해 점착제층(3)의 박리성의 관점에서, 실리콘 수지계의 박리제가 바람직하다. 또, 점착제층(3)의 점착제가 실리콘계 점착제인 경우에는, 박리제층(43)은 생략되어도 된다.
박리제층(43)의 두께는, 하한값으로서, 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0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두께의 하한값이 상기임으로써, 박리제층(43)으로서의 기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다. 또한, 박리제층(43)의 두께는, 상한값으로서,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두께의 상한값이 상기임으로써, 박리제층(43)의 경화를 충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3-4) 박리 시트의 물성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박리 시트(4)에 대해서 100V의 전압을 10초간 인가했을 때의, 박리 시트(4)에 있어서의 점착제층(3)측의 면(박리제층(43)의 노출면)의 표면 저항률은, 상한값으로서, 1×1011Ω/s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10Ω/sq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1010Ω/sq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저항률의 상한값이 상기임에 의해, 캐리어 시트(1)(점착제층(3))로부터 박리 시트(4)를 박리했을 때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어, 캐리어 시트(1)를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첩착할 때에, 공기 중의 먼지나 티끌이 디바이스에 부착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저항률의 하한값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1×107Ω/sq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7Ω/sq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108Ω/sq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박리 시트(4)에 대해서 100V의 전압을 10초간 인가했을 때의, 박리 시트(4)에 있어서의 점착제층(3)과는 반대측의 면(제3 대전 방지층(42b)의 노출면)의 표면 저항률은, 상한값으로서, 1×1011Ω/sq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10Ω/sq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1010Ω/sq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저항률의 상한값이 상기임에 의해, 캐리어 시트(1)의 권회 롤로부터 캐리어 시트(1)가 조출될 때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저항률의 하한값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1×107Ω/sq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7Ω/sq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108Ω/sq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2. 캐리어 시트의 제조 방법
(1) 기재의 제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재(2)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례로서, 기재 필름(21)의 한쪽의 면에,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 및 소망에 따라 용매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한 후, 건조하고, 경화시킴에 의해, 제1 대전 방지층(22)을 형성한다.
상기 용매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으며, 다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테르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와 정제수와의 혼합 용매 등이 사용된다.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의 도포액의 도포는, 통상의 방법에 의해서 행하면 되며, 예를 들면, 그라비어 코트법, 바 코트법, 스프레이 코트법, 스핀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다이 코트법 등에 의해서 행하면 된다.
상기 도포액을 도포하면, 도막을 가열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건조의 가열 온도는 70∼140℃인 것이 바람직하고, 가열 시간은 30∼60초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2) 박리 시트의 제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4)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례로서, 지지체(41)의 한쪽의 면에,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 및 소망에 따라 용매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한 후, 건조하고, 경화시킴에 의해, 제2 대전 방지층(42a)을 형성한다. 또한, 지지체(41)의 다른 쪽의 면에,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 및 소망에 따라 용매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한 후, 건조하고, 경화시킴에 의해, 제3 대전 방지층(42b)을 형성한다. 대전 방지층(42a, 42b)의 형성 방법은, 상술한 기재(2)에 있어서의 제1 대전 방지층(22)의 형성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2 대전 방지층(42a) 상에, 박리제층(43)을 형성한다. 박리제층(43)은, 박리제 및 소망에 따라 용제 등을 함유하는 박리제 도포액을 도포한 후, 필요에 따라서 가열하고, 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박리제 도포액의 도포 방법은, 대전 방지층의 도포액의 도포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3) 캐리어 시트의 제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례로서, 기재(2)에 있어서의 제1 대전 방지층(22)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제 조성물 및 소망에 따라 희석제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가열 처리를 행해서 점착성 조성물을 가교하여, 도포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그 도포층에, 박리제층(43)이 접하도록 박리 시트(4)를 첩합한다. 양생 기간이 필요한 경우는 양생 기간을 둠에 의해, 양생 기간이 불필요한 경우는 그대로, 상기 도포층이 점착제층(3)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캐리어 시트(1)가 얻어진다. 가열 처리 및 양생의 조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액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바 코트법, 나이프 코트법, 롤 코트법, 블레이드 코트법, 다이 코트법, 그라비어 코트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제조 방법에서는,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액은 기재(2)에 대해서 도포했지만, 박리 시트(4)에 대해서 도포하고, 그 후, 도포층에 기재(2)를 첩합해도 된다.
3. 캐리어 시트의 물성 등
(1) 총 두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4) 이외의 적층체(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2) 및 점착제층(3)의 적층체)의 총 두께는, 하한값으로서, 7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2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총 두께의 하한값이 상기임에 의해, 캐리어 시트(1)를 첩착한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반송하기 쉬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시트(1)에 외력이 점하중으로 가해진 경우에도, 당해 캐리어 시트(1)는 타흔이 남기 어려운 것으로 되어, 내타흔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당해 캐리어 시트(1)가 첩착된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총 두께는, 상한값으로서,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0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총 두께의 상한값이 상기임에 의해, 캐리어 시트(1)의 핸들링성이 양호한 것으로 되고, 또한, 코스트가 과대하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 박리대전압(剝離帶電壓)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3)으로부터 박리 시트(4)를 수작업에 의해 2.0m/min의 박리 속도로 박리했을 때의, 박리 5초 후에 측정한 점착제층(3)의 노출면(점착면)으로부터 2.0㎝의 위치의 정전 전위(박리대전압)는, 200V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V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0V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박리대전압이 상기임에 의해, 점착제층(3)으로부터 박리 시트(4)를 박리했을 때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어려워, 정전기에 기인해서 공기 중의 먼지나 티끌이 디바이스에 부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박리대전압의 하한값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0V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박리대전압의 측정 방법의 상세는, 후술하는 시험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또한,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에 있어서의 점착제층(3)으로부터 박리 시트(4)를 수작업에 의해 2.0m/min의 박리 속도로 박리했을 때의, 박리 5초 후에 측정한 박리 시트(4)의 점착제층(3)측의 노출면으로부터 2.0㎝의 위치의 정전 전위(박리대전압)는, 200V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V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0V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박리대전압이 상기임에 의해, 점착제층(3)으로부터 박리 시트(4)를 박리했을 때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어려워, 정전기에 기인해서 공기 중의 먼지나 티끌이 디바이스에 부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박리대전압의 하한값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0V인 것이 바람직하다.
(3) 점착력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의 소다라임 유리에 대한 점착력은, 상한값으로서, 300m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mN/2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00mN/2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력의 상한값이 상기이면, 당해 캐리어 시트(1)의 플렉서블 디바이스로부터의 박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한편, 상기 점착력은, 하한값으로서, 50m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5mN/2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0mN/2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력의 하한값이 상기이면,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첩착한 캐리어 시트(1)가, 각 공정 중에 의도하지 않게 벗겨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대한 점착력은, 상한값으로서, 300m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mN/2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00mN/25㎜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력의 상한값이 상기이면, 당해 캐리어 시트(1)의 플렉서블 디바이스로부터의 박리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한편, 상기 점착력은, 하한값으로서, 50mN/2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5mN/25㎜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0mN/25㎜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력의 하한값이 상기이면,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첩착한 캐리어 시트(1)가, 각 공정 중에 의도하지 않게 벗겨지는 것이 억제된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점착력은, 기본적으로는 JIS Z0237:2009에 준거한 180도 벗겨내기법에 의해 측정한 점착력을 말하지만, 측정 샘플은 25㎜ 폭, 100㎜ 길이로 하고, 당해 측정 샘플을 피착체에 첩부하고, 0.5MPa, 50℃에서 20분 가압한 후, 상압,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방치하고 나서, 박리 속도 2.0m/min으로 측정하는 것으로 한다.
(4) 헤이즈값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에 있어서의 박리 시트(4) 이외의 적층체(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재(2) 및 점착제층(3)의 적층체)의 헤이즈값은, 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2%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헤이즈값이 상기 이하임에 의해, 플렉서블 OLED 디바이스의 발광 검사에도 적합한 것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에 있어서는, 기재(2), 점착제층(3) 및 박리 시트(4)의 각각이 대전방지성을 가짐에 의해, 점착제층(3)에 있어서의 대전방지제의 사용량을 저감하고, 점착제층(3)의 헤이즈값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와 같은 낮은 헤이즈값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헤이즈값의 하한값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은, JIS K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으로 한다.
4. 용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는, 주로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가공, 적층, 검사 등의 공정 중,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표면을 보호하면서 반송하는데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최초에, 점착제층(3)으로부터 박리 시트(4)를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층(3)을 개재해서, 캐리어 시트(1)(기재(2) 및 점착제층(3)의 적층체)를 피반송물인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첩착한다. 그 후,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캐리어 시트(1)가 첩착된 상태에서, 반송되면서, 가공, 적층, 검사 등의 공정에 회부된다. 이들 공정 중, 플렉서블 디바이스는, 캐리어 시트(1)가 첩착되어 있음에 의해, 표면이 흠집이 생기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한 공정이 종료되고, 캐리어 시트(1)가 불필요해진 시점에서, 캐리어 시트(1)는 플렉서블 디바이스로부터 박리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에 있어서는, 기재(2), 점착제층(3) 및 박리 시트(4)의 모두가 대전방지성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재(2)는 제1 대전 방지층(22)을 갖고 있고, 점착제층(3)은 대전방지제를 함유하고 있고, 박리 시트(4)는 제2 대전 방지층(42a) 및 제3 대전 방지층(42b)의 적어도 한쪽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캐리어 시트(1)는, 각 공정에서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발휘한다. 예를 들면, 캐리어 시트(1)의 조출 공정 중, 점착제층(3)으로부터 박리 시트(4)를 박리해서 캐리어 시트(1)를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첩착할 때, 플렉서블 디바이스의 가공, 적층, 검사 등의 공정 중, 그리고 캐리어 시트(1)를 플렉서블 디바이스로부터 박리했을 때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어려워, 정전기에 기인해서 공기 중의 먼지나 티끌이 플렉서블 디바이스에 부착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캐리어 시트(1)에 있어서는, 기재(2), 점착제층(3) 및 박리 시트(4)의 각각이 대전방지성을 가짐에 의해, 점착제층(3)에 있어서의 대전방지제의 사용량을 저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점착제층(3)의 헤이즈값, 나아가서는 캐리어 시트(1) 전체로서의 헤이즈값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캐리어 시트(1)가 첩착된 플렉서블 OLED 디바이스 등의 발광 검사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하여 기재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된 각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모든 설계 변경이나 균등물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21)에는 제1 대전 방지층(22) 이외의 층이 추가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박리 시트(4)의 박리제층(43)은 생략되어도 되고, 박리 시트(4)에는 대전 방지층(42a, 42b) 및 박리제층(43) 이외의 층이 추가로 형성되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기재의 제조(대전 방지층의 형성)
수용성의 수산기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PSS를 도프한 PEDOT를, 디메틸설폭시드 및 물로 희석해서 이루어지는 희석액(쥬쿄유시샤제, 제품명 「S-495」, 고형분 8.2질량%)에 대해서, 수용성 메틸올멜라민 및 물로 이루어지는 멜라민 화합물 용액(쥬쿄유시샤제, 제품명 「P-795」, 고형분 70.0질량%)과, 레벨링제로서 계면활성제 및 물로 이루어지는 레벨링제 수용액(쥬쿄유시샤제, 제품명 「R-438」, 고형분 10.0질량%)을 혼합하고, 거기에 추가로, 물 및 이소프로필알코올의 혼합 용매(질량비 1:1)를 더하고, 고형분 0.6질량%로 되도록 희석해서,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의 도포액을 얻었다.
기재 필름으로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미쓰비시쥬시샤제, 제품명 「PET125T-100」, 두께 : 125㎛, 필러 함유)의 한쪽의 면(점착제층측과는 반대측의 면)에, 상기 대전 방지층용 조성물의 도포액을 나이프 코터로 도포한 후, 130℃에서 60초간 가열 처리해서, 두께 50㎚의 제1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여, 제1 대전 방지층/기재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기재를 얻었다.
2.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액의 조제
2-1. 공정 (1)
아크릴산2-에틸헥실 68.04질량부, 아크릴산부틸 30.46질량부,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0.23질량부 및 아크릴산 1.27질량부의 혼합액(a) 100질량부를 조제하고, 그 40질량부를 분취(分取)하고 용액 중합법에 의해 공중합시켜서,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를 조제했다. 이 중합체(A)의 분자량을 후술하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해서 측정했더니, 중량 평균 분자량(Mw) 18만이었다. 또한, 이때의 전화율(모노머를 중합해서 얻어지는 공중합체의 질량을, 원료로서 사용한 모노머의 총 질량으로 나눈 값)은, 80%였다.
2-2. 공정 (2)
아크릴산2-에틸헥실 65.25질량부, 아크릴산부틸 12.99질량부, 메톡시 말단을 갖는 에틸렌옥사이드쇄(평균 부가 몰수=9몰) 함유 아크릴산에스테르 16.23질량부, 아크릴산4-히드록시부틸 4.72질량부 및 아크릴산 0.81질량부의 혼합액(b) 100질량부를 조제하고, 그 60질량부를 분취하고, 상기 공정 (1)에 의해 얻어진 공중합체(A)를 포함하는 용액에 첨가해서, 제1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A)의 중합 시에 잔류하는 모노머와 함께 공중합시켰다. 그 후, 용액의 일부에 대하여 GPC를 사용해서 측정했더니, 상기 공중합체(A)의 중량 평균 분자량 18만의 피크 톱에 거의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함과 함께, 금회의 GPC 측정의 결과로부터 공정 (1)에 있어서의 GPC 측정의 결과를 뺌에 의해, 새로이 중량 평균 분자량 1.5만의 공중합체(B)의 생성을 확인했다. 여기에서, 공중합체(A)와 공중합체(B)와의 배합비는, 상기 공정 (1)에 있어서의 전화율이 80%였으므로, 32:68의 질량비로 된다.
2-3. 공정 (3)
상기 공정 (2)에 의해 얻어진 아크릴계 폴리머 용액의 고형분 환산 100질량부를 분취하고, 메틸에틸케톤으로 고형분 농도 20질량%로 되도록 희석했다. 그리고,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C)로서,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형 3량체(니혼폴리우레탄샤제, 상품명 「코로네이트HX」) 3.5질량부(고형분 환산값을 나타낸다. 이하 마찬가지로 한다)와, 대전방지제(D)로서, N-옥틸-4-메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2.0질량부 및 칼륨비스(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미쓰비시머티어리얼덴시가세샤제, 제품명 「K-FSI」) 1.0질량부와, 가소제로서, 아세틸시트르산트리부틸 1.0질량부를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함에 의해,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액을 얻었다.
여기에서, 상술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해서 이하의 조건에서 측정(GPC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다.
<측정 조건>
·GPC 측정 장치 : 도소샤제, HLC-8020
·GPC 칼럼(이하의 순으로 통과) : 도소샤제
TSK guard column HXL-H
TSK gel GMHXL(×2)
TSK gel G2000HXL
·측정 용매 : 테트라히드로퓨란
·측정 온도 : 40℃
3. 박리 시트의 제조
지지체로서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쥬시샤제, 제품명 「PET25T-100」, 두께 : 25㎛)의 한쪽의 면에, 상술한 제1 대전 방지층과 마찬가지로 해서 제2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고, 다른 쪽의 면에, 마찬가지로 상술한 제1 대전 방지층과 마찬가지로 해서 제3 대전 방지층을 형성했다.
한편, 실리콘계 박리제(신에쓰가가쿠고교샤제)와, 경화 촉매(신에쓰가가쿠고교샤제)를 혼합하고,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이것을 박리제층용의 도공액으로 했다. 얻어진 도공액을, 상기 제2 대전 방지층 상에 마이어 바에 의해 균일하게 도공한 후, 100℃에서 30초간 건조시켜서, 두께 0.1㎛의 박리제층을 형성했다. 이와 같이 해서, 박리제층/제2 대전 방지층/지지체/제3 대전 방지층의 구성을 갖는 박리 시트를 얻었다.
4. 캐리어 시트의 제조
상기 공정 1에서 얻어진 기재에 있어서의 제1 대전 방지층이 존재하지 않는 측의 면에, 상기 공정 2에서 얻어진 점착성 조성물의 도포액을 나이프 코터로 도포한 후, 90℃에서 1분간 가열 처리해서, 두께 25㎛의 점착제층을 형성했다. 다음으로, 상기 공정 3에서 얻어진 박리 시트를, 당해 박리 시트의 박리제층이 점착제층에 접하도록 상기 점착제층에 첩합하여, 캐리어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2∼7, 비교예 1〕
기재 필름, 점착제층 및 박리 시트를 표 1에 나타내는 것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캐리어 시트를 제조했다. 또, 실시예 3의 박리 시트로서는, 점착제층측에만 대전 방지층을 갖는 것을 사용했다. 실시예 4의 기재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도레샤제, 제품명 「PET75U48」, 두께 : 75㎛, 필러 비함유)을 사용했다. 실시예 6의 박리 시트로서는, 점착제층측에 대전 방지층이 없는 것을 사용했다. 실시예 7의 기재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미쓰비시쥬시샤제, 제품명 「T100F38」, 두께 : 38㎛, 필러 함유)을 사용했다. 비교예 1의 점착성 조성물로서는, 대전방지제를 함유하지 않는 이외는, 실시예 1의 점착성 조성물과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했다.
〔시험예 1〕 (표면 저항률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기재의 점착제층측과는 반대측(캐리어 시트 표면측)의 면, 캐리어 시트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해서 노출한 점착제층의 점착면, 그리고 박리 시트의 점착제층측의 면 및 그 반대측(캐리어 시트 이면측)의 면에 대하여, JIS K6911에 준거해서, 표면 저항률을 측정했다. 구체적으로는,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저항률 측정기(미쓰비시애널리텍샤제, 제품명 「하이레스타UP MCP-HT450형」)를 사용해서, 기재, 박리 시트를 박리한 캐리어 시트(기재+점착제층), 또는 박리 시트(100㎜×100㎜)에 대해서 100V의 전압을 10초간 인가한 후의 각 표면의 표면 저항률(Ω/sq)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3에서 사용한 박리 시트의 캐리어 시트 이면측의 표면 저항률, 실시예 6에서 사용한 박리 시트의 점착제층측의 표면 저항률, 및 비교예 1의 캐리어 시트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점착면의 표면 저항률은, 모두 측정 한계를 초과하는 값이었다.
〔시험예 2〕 (헤이즈값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기재의 헤이즈값(%)을, 헤이즈 미터(니혼덴쇼쿠고교샤제, 제품명 「NDH7000」)를 사용해서, JIS K7136:2000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캐리어 시트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하여, 얻어진 적층체의 헤이즈값(%)을, 마찬가지로 해서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3〕 (박리대전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캐리어 시트를 25㎜×100㎜로 재단하여, 이것을 샘플로 했다.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샘플로부터 박리 시트를 수작업에 의해 2.0m/min의 박리 속도로 박리하고, 박리 5초 후에, 정전기 측정기(시무코재팬샤제, 제품명 「FMX-003」)를 사용해서, 점착제층의 노출면(점착면)으로부터 2.0㎝의 위치의 정전 전위(박리대전압; V) 및 박리 시트의 점착제층측의 노출면으로부터 2.0㎝의 위치의 정전 전위(박리대전압; V)를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4〕(점착력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캐리어 시트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층을, 소다라임 유리(센트럴유리샤제)에 첩부한 후, 구리하라세사쿠죠샤제 오토 클레이브로 0.5MPa, 50℃에서, 20분 가압했다. 그 후, 23℃, 50% 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방치하고 나서, 인장 시험기(오리엔텍샤제, 텐시론)를 사용하여, 박리 속도 2.0m/min, 박리 각도 180도의 조건에서 점착력(mN/25㎜)을 측정했다. 여기에 기재한 이외의 조건은 JIS Z 0237:2009에 준거해서, 측정을 행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피착체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도레샤제, 제품명 「루미라50T60」, 두께 50㎛, 유리판에 고정)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서 점착력(mN/25㎜)을 측정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험예 5〕 (타흔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캐리어 시트를, 기재측을 위로 해서 경질의 평판 상에 재치(載置)했다. 그리고, 듀로미터(고분시게키샤제, 제품명 「아스카 고무 경도계 C2형」, 압심(押芯) 형상은 직경 2.54㎜의 반구상)를 사용해서, 상기 캐리어 시트의 기재 표면에 400g의 점하중을 10초 인가하여, 타흔을 냈다. 그 1분 후에, 광간섭 현미경(Veeco사제, 제품명 「표면 형상 측정 장치 WYKO NT110」)을 사용해서, 타흔 깊이를 측정했다. 이때, 측정 조건 VSI, 배율 2.5배, 측정 범위 2.5㎜×1.9㎜로 했다. 또, 당해 측정에서 취득한 화상 및 그래프를 참고로 해서 도 2에 나타낸다. 측정 결과에 의거해서, 이하의 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내타흔성에 대하여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 : 타흔 깊이가 0.5㎛ 미만
○ : 타흔 깊이가 0.5㎛ 이상, 1.0㎛ 미만
× : 타흔 깊이가 1.0㎛ 이상
〔시험예 6〕 (이물 매입 시험)
7㎝×7㎝의 소다라임 유리판 상에, 실리콘 수지 필러(모멘티브샤제, 제품명 「토스팔145L」, 평균 입경 : 4.5㎛)를 극미량 산포하여, 단분산시켰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캐리어 시트로부터 박리 시트를 박리하고, 노출한 점착제층을 상기 소다라임 유리판 상에 첩부했다. 다음으로, 50℃, 0.5MPa의 조건 하에서 20분간 오토 클레이브 처리한 후, 상압, 23℃, 50% RH에서 24시간 방치하여, 이것을 샘플로 했다.
얻어진 샘플에 대하여, 필러가 점착제층에 매입되어 있는지의 여부(필러에 기인하는 공기의 유입이 있는지의 여부), 캐리어 시트측으로부터 목시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에 의해 이물매입성을 평가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 : 필러가 점착제층에 충분히 매입되어 있음
△ : 부분적으로 공기의 유입이 발생
× : 전체적으로 공기의 유입이 발생
[표 1]
Figure pat00001
[표 2]
Figure pat00002
표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제조한 캐리어 시트는, 적어도 점착제층의 점착면에 있어서의 박리대전 방지성이 우수함과 함께, 헤이즈값이 낮게 억제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3, 5, 6에서 제조한 캐리어 시트는, 내타흔성도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 1, 3, 4, 6에서 제조한 캐리어 시트는, 이물매입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는, 특히 플렉서블 OLED 디바이스의 가공, 적층, 검사 등의 공정에서 사용되는 캐리어 시트로서 호적하다.
1 :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2 : 기재
21 : 기재 필름
22 : 제1 대전 방지층
3 : 점착제층
4 : 박리 시트
41 : 지지체
42a : 제2 대전 방지층
42b : 제3 대전 방지층
43 : 박리제층

Claims (9)

  1. 플렉서블 디바이스를 보호·반송하기 위한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로서,
    기재와,
    상기 기재의 한쪽의 면측에 적층된 점착제층과,
    상기 점착제층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와는 반대측의 면에 적층된 박리 시트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기재, 상기 점착제층 및 상기 박리 시트의 모두가, 대전방지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가, 기재 필름과, 상기 기재 필름의 한쪽의 면측에 형성된 대전 방지층을 갖고 있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기재 필름의 다른 쪽의 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재에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대전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가,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적어도 한쪽의 면측에 형성된 대전 방지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를 박리해서 이루어지는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에 대해서 100V의 전압을 10초간 인가했을 때의, 상기 점착제층의 노출면의 표면 저항률이, 1×107Ω/sq 이상, 1×1011Ω/s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상기 기재에 대해서 100V의 전압을 10초간 인가했을 때의, 상기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과는 반대측의 면의 표면 저항률이, 1×107Ω/sq 이상, 1×1011Ω/s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7. 제1항에 있어서,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에 대해서 100V의 전압을 10초간 인가했을 때의, 상기 박리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측의 면의 표면 저항률이, 1×107Ω/sq 이상, 1×1011Ω/s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23℃, 상대 습도 50%의 환경 하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에 대해서 100V의 전압을 10초간 인가했을 때의, 상기 박리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점착제층과는 반대측의 면의 표면 저항률이, 1×107Ω/sq 이상, 1×1011Ω/sq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시트를 제외한 상기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의 헤이즈값이, 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KR1020180046565A 2017-06-02 2018-04-23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KR201801325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10476A JP7046504B2 (ja) 2017-06-02 2017-06-02 フレキシブルデバイス用キャリアシート
JPJP-P-2017-110476 2017-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514A true KR20180132514A (ko) 2018-12-12

Family

ID=6454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565A KR20180132514A (ko) 2017-06-02 2018-04-23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046504B2 (ko)
KR (1) KR20180132514A (ko)
CN (1) CN108977097B (ko)
TW (1) TWI7411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5733B2 (en) * 2017-10-23 2022-06-07 Lg Chem, Ltd. Optical film having antistatic layers,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organic light-emitting electronic device manufacturing method
WO2020121687A1 (ja) * 2018-12-11 2020-06-1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KR102526293B1 (ko) * 2019-01-25 2023-04-26 주식회사 엘지화학 표면 보호 필름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전자 장치 제조 방법
CN110157349A (zh) * 2019-06-04 2019-08-23 江苏芃湃新材料科技有限公司 无酸防水胶带及其制备方法
WO2021132092A1 (ja) * 2019-12-26 2021-07-01 Agc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透明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物品
JP7081715B1 (ja) 2021-12-03 2022-06-07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用粘着シート、ならびに積層体および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7199A (ja) * 2003-03-24 2004-10-14 Sun A Kaken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4987267B2 (ja) * 2005-08-15 2012-07-25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帯電防止性粘接着剤の製造方法および保護材の製造方法
CN103764513A (zh) * 2011-09-01 2014-04-30 3M创新有限公司 用于包装电子元件的热密封包覆膜
JP5826105B2 (ja) * 2012-05-02 2015-12-02 藤森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が貼合された光学部品
JP6243300B2 (ja) * 2014-07-03 2017-12-06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742723B2 (ja) * 2015-01-16 2020-08-19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JP2017039859A (ja) * 2015-08-20 2017-02-23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ー付表面保護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02690A (zh) 2019-01-16
JP7046504B2 (ja) 2022-04-04
TWI741103B (zh) 2021-10-01
CN108977097B (zh) 2022-09-27
CN108977097A (zh) 2018-12-11
JP2018203873A (ja)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2514A (ko) 플렉서블 디바이스용 캐리어 시트
TWI809001B (zh) 重複彎曲裝置用黏著劑、黏著片、重複彎曲積層構件及重複彎曲裝置
KR102476959B1 (ko)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KR20180030747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점착제, 점착 시트, 플렉서블 적층 부재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20140102132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KR20160063987A (ko) 표면 보호 필름,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및 광학 부재
KR20150002459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시트
CN115322693A (zh) 粘着性组合物、粘着剂及粘着片
TWI830519B (zh) 可撓性顯示器用黏著片、積層體及可撓性顯示器的製造方法
KR20170127402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KR20180111473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TW201802214A (zh) 黏著性組合物、黏著劑、黏著板片及顯示體
KR102476947B1 (ko)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TWI763405B (zh) 保護膜、可折疊式裝置、及可捲式裝置
TW202031482A (zh) 附觸控感測機能之液晶面板、液晶顯示裝置及附黏著劑層之偏光薄膜
JP6867788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KR20190074199A (ko) 반복 굴곡 디바이스용 점착제, 점착 시트, 반복 굴곡 적층 부재 및 반복 굴곡 디바이스
TW202036054A (zh) 附黏著劑層之偏光薄膜及影像顯示裝置
CN111849369A (zh) 表面保护薄膜及光学部件
TWI746441B (zh) 黏著性組成物、黏著劑、黏著片及顯示體
CN113056534B (zh) 表面保护薄膜及光学构件
CN106318284B (zh) 抗迁移剂、粘着剂及粘着片
JP2022128855A (ja) 離型フィルムロ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