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8458A - 커버재 체결 클립 - Google Patents

커버재 체결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8458A
KR20180128458A KR1020187030891A KR20187030891A KR20180128458A KR 20180128458 A KR20180128458 A KR 20180128458A KR 1020187030891 A KR1020187030891 A KR 1020187030891A KR 20187030891 A KR20187030891 A KR 20187030891A KR 20180128458 A KR20180128458 A KR 20180128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hook
cover
distal end
guid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637B1 (ko
Inventor
겐타 마츠무라
신스케 사이가
요시토모 이요다
다케후미 아다치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8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5Covering or enveloping cores of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9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flexible sheets to other sheets or plates or to 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커버재(46)를 쿠션재(44)에 연결하고, 커버재(46)의 단부 에지에 제공된 잠금 단부 부재(56)에 잠겨지도록 구성되는 잠금부(11) 및 쿠션재(44)에 설치된 와이어(50)에 잠겨지도록 구성되는 훅(18)을 포함하는 커버재 체결 클립(10)이 제공된다. 훅(18)은 잠금부(11)의 하방에 제공되고, 훅(18)은 잠금부(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8a) 및 연장부(18a)의 원위 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위 단부 부분(18d)을 포함한다. 잠금부(11)는 가이드편(26)을 갖는다. 가이드편(26)은 잠금부(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도중에 훅(18)의 원위 단부 부분(18d)을 향해 굴곡되고 연장되는 굴곡부(26b)를 포함한다. 미리정해진 간극을 갖고 와이어(50)가 관통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삽입 개구(28)가 굴곡부(26b)와 원위 단부 부분(18d) 사이에 위치된다. 굴곡부(26b)로부터 연장되는 가이드편(26)의 원위 단부 부분은 원위 단부 부분(18d)으로부터 이격되고 따라서 삽입 개구(28)를 확장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탄성편부(26c)이다. 잠금부(11)의, 탄성편부(26c)가 탄성 변형되어 이동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탄성편부(26c)의 원위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이탈 공간(19)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커버재 체결 클립
본 발명은, 의자, 좌석 등의 표면을 덮도록 의도된 커버재를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버재 체결 클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내에서 이용되는 의자, 차량 좌석 등에서는, 시트면이나 등받이 같은 인체에 의해 접촉되는 부분에 쿠션재 또는 유연한 패드를 설치하고, 그 표면을 커버재로 덮는 것이 자주 사용된다. 커버재를 고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구조가 채용된다. 커버재를 고정하고 외관적으로 은폐하기 위해서, 쿠션재의 홈 내에 피잠금 부재로서의 와이어를 배치하고, 커버재의 단부 에지에 커버재 체결 클립을 배열하며, 그 후 클립을 와이어에 계합시켜 커버재를 체결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각각의 클립은, 커버재에 부착된 잠금 단부 부재의 잠금 단부에 잠겨지도록 구성된 척부, 및 쿠션재의 홈 내에 제공된 와이어에 걸려서 잠겨지도록 구성되는 훅부를 갖는다. 와이어에의 훅부의 걸림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상이 훅부를 위해 제안된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체결 클립은, 쿠션 커버의 현수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척부 및 쿠션 패드의 현수 홈 내의 체결 와이어에 걸리도록 구성된 훅부를 포함한다. 훅부는 갈고리 형상 훅편 및 훅편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가이드편을 갖는다. 가이드편은, 가이드편이 자유 상태에 있을 때 훅편의 개구를 덮고, 가이드편이 체결 와이어에 가압됨에 따라 굴곡되며, 가이드편이 체결 와이어를 체결 와이어가 훅편에 걸리는 위치로 안내한 후에 자유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편은, 훅편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가이드편이 체결 와이어에 가압됨에 따라 그 연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굴곡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커버재 체결 클립에는 커버재의 단부 에지에 제공된 잠금 단부 부재에 잠겨지도록 구성되는 잠금부 및 쿠션재에 배치된 와이어에 잠겨지도록 구성되는 훅이 제공된다. 훅은 잠금부 하방에 제공되고, 훅에는 잠금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원위 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갈고리 형상 부분이 제공된다. 잠금부에는 와이어 가이드편이 제공된다. 와이어 가이드편은 잠금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중간부에 갈고리 형상 부분의 원위 단부 부분을 향해 굴곡되고 연장되는 굴곡부를 구비한다. 와이어 가이드편은, 와이어의 직경보다 좁은 와이어 삽입 개구가 가이드편과 갈고리 형상 부분의 원위 단부 부분 사이에 형성되도록 위치된다. 커버재 체결 클립이 와이어에 잠겨질 때, 와이어 삽입 개구는 와이어에 가압되고, 결과적으로 와이어 가이드편과 훅의 연장부 또는 갈고리 형상 부분은 탄성 변형되어, 와이어 삽입 개구를 넓히고 따라서 와이어가 그것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 와이어가 와이어 삽입 개구를 통과한 후에, 탄성 변형은 복원되어 와이어는 다시 그것을 통과할 수 없고, 따라서 커버재 체결 클립의 신뢰할 수 있는 잠김을 보증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14-204780호 WO2015/063944
상기 배경기술의 특허 문헌 1의 경우에, 자유 상태에 있는 가이드편은, 가이드편과 훅편이 일반적으로 서로 편평하도록 개구를 덮는다. 따라서, 와이어에 대한 부착시에, 정확한 위치결정이 요구되고, 작업 효율이 나쁘다. 특허 문헌 2의 경우에, 와이어 삽입 개구를 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면에 의해 삼각형 빗변 형상 도입 통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하는 것이 불필요하고, 따라서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그러나, 와이어에 대한 부착 시에, 와이어 가이드편은 굴곡되고, 와이어를 지지하기 위해 주어진 강성에 의해 굴곡되기 어려운 훅 또한 탄성 변형되어야 한다. 따라서, 훅의 탄성 변형은 조작에 대한 저항으로서 작용하고, 따라서 와이어를 통과시키는데 큰 힘이 요구된다. 또한, 와이어 가이드편이 탄성 변형되는 경우, 그 원위 단부는 잠금 갈고리의 하면에 맞닿고, 따라서 그 탄성 변형량이 제한된다. 따라서,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폭으로 와이어 삽입 개구를 넓히기 위해서는, 훅은 탄성 변형되어야 하고, 따라서 와이어에 대한 부착시에 강한 힘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와이어 가이드편과 훅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와이어 가이드편의 가동 범위를 증가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커버재 체결 클립의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클립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쿠션재에 제공된 홈의 크기도 증가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구성요소가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고, 이는 설계 자유도 및 쿠셔닝 특성의 향상을 방해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약한 힘으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쿠션재 등에 제공된 피잠금 부재에 커버재 체결 클립을 잠글 수 있어서, 양호한 작업 효율을 제공하지만, 부착 강도는 높은 커버재 체결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커버재의 단부 에지에 제공된 잠금 단부 부재에 잠겨지도록 구성되는 잠금부, 및 쿠션재에 배치된 피잠금 부재에 잠겨지도록 구성되는 훅을 포함하는, 커버재를 쿠션재에 연결하는 커버재 체결 클립이며, 상기 훅은 상기 잠금부의 하방에 제공되고, 상기 훅은 상기 잠금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원위 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위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에는 가이드편이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편은, 상기 잠금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도중에 상기 훅의 상기 원위 단부 부분을 향해서 굴곡되고 연장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편은, 미리정해진 간극을 갖고 피잠금 부재가 관통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삽입 개구가 상기 굴곡부와 상기 원위 단부 부분 사이에 형성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굴곡부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가이드편의 원위 단부 부분은 상기 원위 단부 부분으로부터 이격되고 따라서 상기 삽입 개구를 확장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탄성편부이며, 상기 탄성편부가 탄성 변형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잠금부의 일부에는, 상기 탄성편부가 내부에 위치되게 하는 이탈 공간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잠금부는 한 쌍의 잠금 갈고리 및 상기 잠금 갈고리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잠금 갈고리 중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편이 제공되고, 상기 잠금 갈고리 기초부의, 상기 잠금 갈고리가 제공된 상면과 반대측의 하면에는 상기 훅이 제공되며, 상기 이탈 공간은, 상기 잠금 갈고리 기초부의 상기 하면의, 상기 훅보다 상기 가이드편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된 홈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한 쌍의 잠금 갈고리와 상기 잠금 갈고리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잠금 갈고리 중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편이 제공되고, 상기 잠금 갈고리 기초부의, 상기 잠금 갈고리가 제공된 상면의 반대측의 하면에는 상기 훅이 제공되고, 상기 이탈 공간은, 상기 잠금 갈고리 기초부의 상기 훅보다 상기 가이드편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하면까지 연장되도록 제공된 관통 구멍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잠금부는, 한 쌍의 잠금 갈고리와 상기 잠금 갈고리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잠금 갈고리 중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편이 제공되고, 상기 잠금 갈고리 기초부의, 상기 잠금 갈고리가 제공된 상면의 반대측의 하면에는 상기 훅이 제공되고, 상기 잠금 갈고리 기초부에 상기 이탈 공간이 제공되며, 상기 이탈 공간에 인접하는 상기 잠금 갈고리 기초부의 일부에 보강부가 제공되어 있다.
보강판 및 광폭부가 훅의 연장부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버재 체결 클립에 따르면, 약한 힘으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쿠션재 등에 제공된 피잠금 부재에 커버재 체결 클립을 잠글 수 있어, 양호한 작업 효율이 제공된다. 특히, 커버재 체결 클립은 굴곡되기 용이한 가이드편만을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피잠금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피잠금 부재를 지지하는 갈고리 형상 부분은 보강되어서 증가된 강성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부착 강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내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커버재의 단부 에지에 제공되는 잠금 단부 부재에 잠겨지는 잠금부의 형상 및 갈고리 형상 부분의 형상은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커버재 체결 클립은 종래 기술의 것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쿠션재 및 잠금 단부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재 체결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재 체결 클립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제1 실시형태에 다른 커버재 체결 클립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재 체결 클립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재 체결 클립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재 체결 클립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재 체결 클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재 체결 클립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재 체결 클립을 와이어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재 체결 클립을 와이어에 부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재 체결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재 체결 클립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커버재 체결 클립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다른 커버재 체결 클립의 좌측면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커버재 체결 클립(10)의 설명에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XYZ 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방향을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X축 방향은 전후 방향이라 지칭되고, 예를 들어 후술하는 쿠션재(44)의 홈(48)의 심부에 배치되는 피잠금 부재로서의 와이어(50)의 길이 방향, 즉 쿠션재(44)를 통해 삽입되는 와이어(50)의 삽입 방향에 대응하며, 또한 커버재(46)의 단부 에지가 연장되는 방향에도 대응한다. 또한, X 축 방향은 후술하는 잠금 단부 부재(56)의 단부 에지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응한다. 잠금 단부 부재(56)가 와이어(50)에 잠겨지도록 쿠션(44)의 홈(48)에 삽입되는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 칭한다. 상하 방향은 X 축 방향에 직교하는 Z 축 방향이며 쿠션재(44)의 깊이 방향에 대응한다. 또한, 상하 방향은 쿠션재(44) 상에 펴진 후술하는 바와 같은 커버재(46)의 외측면에 수직인 방향에 대응한다. 또한, 전후 방향인 X축 방향 및 상하 방향인 Z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 Y축 방향이며 좌우 방향이라 칭한다. 좌우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측 방향이라고도 칭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재 체결 클립(10)은 합성 수지로 일체로 형성되며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를 갖는다. 잠금 갈고리(12)는 각각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아암부(12d)를 갖는다. 아암부(12d)의 기단부(잠금 갈고리(12)의 기단부라고도 칭함)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일면이라고도 칭함)의 상면(14a)의 양측으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 즉, 잠금 갈고리 기초부(14)는 아암부(12d)의 기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잠금 갈고리(12)는 도 3에서 상방으로 상면(14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그래서 좌우 방향의 그들 사이의 거리는 그들이 상방으로 감에 따라 넓어진다. 잠금부(11)는 잠금 갈고리(12) 및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에 의해 형성된다.
잠금 갈고리(12)의 원위 단부 부분(12a)은 내측으로, 즉 원위 단부 부분(12a)이 서로 대면하고 접근하는 방향으로 굴곡된다. 각각의 원위 단부 부분(12a)은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에 대향하고 잠금 단부 부재(56)에 잠겨지도록 구성된 잠금면(12b)을 갖는다. 잠금면(12b)은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상면(14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잠금 단부 부재(56)는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 및 잠금 갈고리 기초재(14)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 수용 및 잠금된다.
스토퍼(16)가 각각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의 아암부(12d)의 대향 내면(12c)에 제공된다. 각각의 스토퍼(16)는, 잠금 갈고리(12)가 서로 대면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X축 방향인 두께 방향에서의 각각의 잠금 갈고리(12)의 중간 위치에 제공된 돌기이며, 각각의 잠금 갈고리(12)의 잠금면(12b)으로부터 시작해서 내면(12c)의 중간에 도달하는 길이를 갖는다. 두께 방향의 스토퍼(16)의 폭은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또한, 커버재 체결 클립(10)은, X축 방향이 그 폭 방향이 되고, 또한 그 형상이 폭 방향의 커버재 체결 클립(10)의 중심선(S)에 대해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중심선(S)에 의해 구획되는 상면(14a)의 반대측의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하면(14b)(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다른 면이라고도 칭함)의 일 측은, 다른 측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하는 보강부(15)로서 구성된다. 보강부(15)는 YZ 평면을 따라 연장되고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절반 폭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박판의 형상을 갖는다. 보강부(15)의 상단 에지부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에 연속하고, 그 하단 에지부(15a)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하면(14b) 아래에서 상면(14a)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하단 에지부(15a)와 교차하는 보강부(15)의 일측 에지부(15b)는 잠금 갈고리(12)의 외측면의 약간 외측에서 잠금 갈고리(12)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하단 에지부(15a)에 교차하는 다른 측 에지부(15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훅(18)의 연장부(18a)에 연속한다. 중심선(S)에 의해 구획되는 하면(14b)의 다른 측에는 홈부(17)가 제공된다.
홈부(17)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상하 방향의 폭을 그 하측으로부터 그것의 약 절반까지 절결함으로써 얻어지는 깊이를 갖는다. Y축 방향의 홈부(17)의 폭은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약 절반이다. 홈부(17)는, X축 방향을 따라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Y축 방향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X축 방향의 홈부(17)의 일단부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외측으로 개방되며, 타단부는 거기에 위치된 보강부(15)에 의해 폐쇄된다. 홈부(17)의 내측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가 탄성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는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그 일부인 탄성편부(26c)의 원위 단부 부분이 내부에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이탈 공간(19)으로서 구성된다. 한편, 홈부(17)보다 연장부(18a)에 가까운 하면(14b)의 부분은 그 반대측의 부분의 하방에 위치되고, 그래서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두께가 증가된다.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하면(14b)에는 훅(18)이 제공된다. 훅(18)은, 하면(14b)의,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가 서로 대면하는 Y축 방향의 일단부에 제공되며,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훅(18)은, 하면(14b)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18a), 및 연장부(18a)의 원위 단부로부터 도 3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굴곡되며 또한 하면(14b)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돌출하는 갈고리 형상 부분(18c)을 갖는다. 갈고리 형상 부분(18c)에는, 중심선(S)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에 위치되고 보강부(15)가 제공되는 측에, 원위 단부 부분(18d)이 제공되어 있다. 원위 단부 부분(18d)은 갈고리 형상 부분(18c)의 절반의 X축 방향의 폭을 갖는다. 원위 단부 부분(18d)은,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연장부(18a)에 연결되는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를 향해서 연장되도록 돌출하며, 그 원위 형상은 외측으로 팽출하는 만곡면으로서 형성된다. 연장부(18a), 갈고리 형상 부분(18c) 및 원위 단부 부분(18d)에 의해 둘러싸이는 U 형상 홈부가 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은 와이어(50)가 삽입되는 유지 공간(18f)을 형성한다.
커버재 체결 클립(10)은, X축 방향이 그 폭 방향이 되고, 또한 그 형상이 커버재 체결 클립(10)의 폭 방향의 중심선(S)에 대해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된다. X축 방향의 훅(18)의 형상은 잠금 갈고리(12)의 폭보다 약간 짧은 일정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훅(18)의 연장부(18a)와 갈고리 형상 부분(18c)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원위 단부 부분(18d)은 도 6에서 중심선(S)에 대해 그 좌측 반부에 대응하는 폭을 갖고 보강부(15)에 대면하도록 제공된다.
훅(18)의 연장부(18a)의 원위 단부에는, 갈고리 형상 부분(18c)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도 3에서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플랜지부(18b)가 제공된다. 플랜지부(18b)는, 연장부(18a)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이 되도록 도 3의 Y축 방향의 우측을 향해서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연장부(18a)와 플랜지부(18b) 사이의 코너부에는, 내부에 지그(도시하지 않음)를 수용하기 위한 지그 수용부(20)가 제공된다. 지그 수용부(20)는, 연장부(18a)의 길이 방향과 둔각으로 교차하는 홈이며, 지그 수용부(20)가 플랜지부(18b)의 단부 에지부 혹은 갈고리 형상 부분(18c)의 단부 에지부에 도달하지 않은 위치에서 종료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 중, 지그 수용부(20)가 형성되는 측의 잠금 갈고리(12)(후술하는 가이드편(26)이 형성되는 부분과 반대 측의 잠금 갈고리(12))에는, 잠금 갈고리(12)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그 가이드편(22)이 제공된다. 지그 가이드편(22)은, 잠금 갈고리(12)의 굴곡된 코너부 부근에 제공되고, Z축 방향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측방측에 도달한다. 지그 가이드편(22)의 하단부는, XZ 평면에서의 형상이, 중심선(S)에서의 그 위치가 가장 낮은 만곡선으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가이드편(22)과 훅(18)은, X축 방향에서 동일한 폭을 갖도록 제공된다. 지그 가이드편(22)과 훅(18)의 X축 방향의 중간, 즉 중심선(S) 상의 부분에는, YZ 평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보강판(24)이 제공된다. 보강판(24)은, X축 방향에서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지그 가이드편(22)과 훅(18)에 연속하는 대략 직사각형 박판의 형상을 갖는다. 지그 가이드편(22)의 외측면에 보강판(24)의 측연부(24a)가 연속한다. 측연부(24a)는 연장부(18a)에 평행한 직선으로서 형성된다. 플랜지부(18b)에 연속하는 보강판(24)의 부분은 플랜지부(18b)의 하면에 연속하도록 둥글게 되어 있다.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 중, 지그 가이드편(22)이 형성되는 측의 잠금 갈고리(12)와 반대 측의 잠금 갈고리(12)에는, 그 잠금 갈고리(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가이드편(26)이 제공된다. 가이드편(26)은, 잠금 갈고리(12)가 굴곡된 코너부 부근에 제공되고, 잠금 갈고리(12)로부터 이격됨에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경사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편(26)은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측방측 부근에 제공된 제1 굴곡부(26a)를 갖는다. 따라서, 가이드편(26)은 제1 굴곡부(26a)에서 굴곡된 후, 잠금 갈고리(12)에 대체로 평행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2 굴곡부(26b)가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약간 하방의 위치 부근에서 제공되고, 훅(18)의 연장부(18a)의 중간 부근을 향해서 연장되어, 연장부(18a)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에 도달한다.
가이드편(26)의 X축 방향의 형상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부로부터 제1 굴곡부(26a)까지 연장되는 아암부(26d)가 잠금 갈고리(12)의 절반 폭을 갖도록 중심선(S)에 대해 잠금 갈고리(12)의 우측 절반측에 제공되도록 형성된다. 제2 굴곡부(26b)로부터 연장되는 원위 단부 부분은 그 폭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그래서 그 일단부는 중심선(S)을 따라 형성되고, 다른 단부는 잠금 갈고리(12)의 단부보다 중심선(S)에 가까운 위치에서 중심선(S)에 대하여 평행하게 위치된다. 제2 굴곡부(26b)로부터 연장되는 원위 단부 부분은 직선 막대 형상 탄성편부(26c)이다. 탄성편부(26c)의 하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가이드면(34)이다.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와 훅(18)의 원위 단부 부분(18d)은, 와이어(50)의 삽입 방향, 즉 X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서 사용될 때, "이격"이라는 용어는, 그 위치가 X축 방향에서 어긋나 있는 상태를 의미하며, 또한 X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예를 들어 XZ 평면에서 일측을 투영한 경우, 일측이 다른 측과 접촉하기 쉽지만 그것과 겹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가이드편(26)과 훅(18)은 기단부 부근에서 X축 방향과 일치하도록 제공된다. 그러나,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는 도 6에서 중심선(S)에 대해 우측에 위치되고, 훅(18)의 원위 단부 부분(18d)은 좌측 절반측에 위치되어, 이들은 서로 이격되고 번갈아서 위치된다. 즉,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의 중심선과, 훅(18)의 원위 단부 부분(18d)의 중심선은, 와이어(50)의 삽입 방향, 즉 X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된다. 또한,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의 가이드면(34)은, 훅(18)의 홈 형상 유지 공간(18f)이 연장되는 방향(X축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된다.
가이드편(26)과 훅(18) 사이의 간극은 와이어(50)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삽입 개구(28)를 형성한다. 삽입 개구(28)는, X축 방향에서 보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50)의 직경과 비교해서 작은 간극(a)을 갖도록 구성되므로, 와이어(50)가 통과한 후에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와이어(50)를 유지 공간(18f)에 확실하게 유지한다. 삽입 개구(28)는, Y축 방향에서 보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재 체결 클립(10)의 X축 방향의 중심선(S) 부근에서 가장 좁아지고 따라서 간극(a)을 갖도록 구성된다.
도 6에서, 커버재 체결 클립(10)의, 중심선(S)에 대해 X축 방향의 우측에 위치되는 부분, 훅(18)의 갈고리 형상 부분(18c)이 그 하측에 위치되어, 간극(a)보다 넓은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커버재 체결 클립(10)의, 중심선(S)에 대해 X축 방향의 좌측에 위치되는 부분은, 가이드편(26)이 제공되지 않아, 간극(a)보다 넓은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중심선(S)의 양 측에 넓은 공간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에 사용하는 몰드의 대응하는 공간 부분의 두께보다 상당히 좁아지도록 간극(a)을 설정할 수 있다.
가이드편(26)의 제2 굴곡부(26b)와, 잠금 갈고리(12)의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에 연결되는 아암부(26d)에는, X축 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된 광폭부(32)가 제공된다. 광폭부(32)는, 광폭부(32)의 중심 부근이 가이드편(26)을 향하는 반원 형상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된다. 광폭부(32)의 X축 방향의 폭은,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와 동일하여, 탄성편부(26c)의 X축 방향에서의 양 측면과 동일 높이로 되고 연속하게 된다.
가이드편(26), 잠금 갈고리(12), 및 광폭부(32)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에는, 보강판(30)이 YX 평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제공된다. 보강판(30)은 X축 방향에서 광폭부(32)의 폭보다 얇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보강판(30)은, 잠금 갈고리(12)의 X축 방향의 중간에 인접하게, 즉 가이드편(26)과 광폭부(32)의 각각의 하나의 측면과 동일 높이가 되도록 제공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의 일측으로부터 보면, 가이드편(26), 보강판(30), 및 광폭부(32)는 하나의 판으로서 구성된다.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의 하면은 삽입 개구(28)를 향하는 가이드면(34)이다. 또한, 원위 단부 부분(18d)의 외측면은 삽입 개구(28)를 향하는 가이드면(36)을 형성한다. 가이드면(34, 36)은, 삽입 개구(28)를 향해서 그 사이의 거리가 서서히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삼각형 빗변 형상을 갖는 도입 통로를 형성한다. 또한,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는 훅(18)의 원위 단부 부분(18d)을 넘어 연장부(18a)를 향해 그리고 또한 유지 공간(18f)의 상방에 위치된다. 이에 의해, 와이어(50)를 내부에 삽입할 때에, 와이어(50)를 유지 공간(18f) 내에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재 체결 클립(10)은, 차량 좌석의 쿠션재(44)의 표면의 미리정해진 위치에 커버재(46)를 펴기 위해서 사용된다. 여기서, 쿠션재(44)와 커버재(46)에 대해서 설명한다. 쿠션재(44)는, 좌석 형상으로 성형된 폴리우레탄 폼 같은 합성 수지 폼재이다. 쿠션재(44)는 내부에 커버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된 홈(48)을 구비하며, 와이어(50)가 홈(48) 내부에 설치된다. 와이어(50)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와이어재이며, 쿠션재(64)의 성형 동안 인서트 성형에 의해 쿠션재(44)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커버재(46)는 쿠션재(44)의 표면을 덮기 위한 가죽, 천 또는 합성 가죽 시트 등이며, 쿠션재(44)의 홈(48)에 대응하는 부위에 봉합부(52)를 갖는다. 봉합부(52)는, 한 쌍의 커버재(46)의 단부 에지를, 그 표면이 서로 대향하고, 잠금 테이프(54)를 정렬된 단부 에지와 중첩시키며, 그 후 그들을 함께 봉합하면서, 서로 정렬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잠금 테이프(54)의, 봉합부(52)와 반대 측의 변 에지에는, 잠금 단부 부재(56)가 일체로 제공된다. 잠금 단부 부재(56)는, 대략 V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고, 잠금 테이프(5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잠금 단부 부재(56)는, 잠금 테이프(54)의 하나의 변 에지를 그 내부에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잠금 테이프(54)에 장착된다. 잠금 단부 부재(56)는, 커버재 체결 클립(10)의 한 쌍 잠금 갈고리(12) 사이에 끼워지도록 크기설정되며, 잠금 테이프(54)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된 잠금 홈(58)을 갖는다. 잠금 홈(58)의 폭 및 깊이는 커버재 체결 클립(10)의 스토퍼(16)가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정된다.
쿠션재(44) 상에 커버재(46)를 펼때, 먼저 커버재(46)에 부착된 잠금 테이프(54)의 잠금 단부 부재(56) 상의 임의의 위치에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부착한다. 복수의 커버재 체결 클립(10)은, 미리정해진 간격으로 잠금 단부 부재(5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된다. 잠금 단부 부재(56)가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 사이에 가압될 때,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는 탄성 변형되어 확대되며, 따라서 잠금 단부 부재(56)가 그 사이를 통과한다. 잠금 단부 부재(56)가 일단 그 사이를 통과하면, 잠금 갈고리(12)의 탄성 변형이 복원되고, 따라서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의 원위 단부 부분(12a)이 봉합부(52)를 향하는 잠금 단부 부재(56)의 단부를 덮는다. 그리고, 잠금 단부 부재(56)가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 사이에 끼워지고 따라서 그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잠금 단부 부재(56)의 잠금 홈(58) 중 하나에 잠금 갈고리(12)의 스토퍼(16)가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커버재 체결 클립(10)은, 잠금 단부 부재(5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없고 미리정해진 위치에 멈춘다.
후속하여,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부착한 커버재(46)의 봉합부(52)는, 대응하는 쿠션재(44)의 홈(48)에 일치하도록 배치되고, 그 후 커버재 체결 클립(10) 각각의 훅(18)이 손가락 등에 의해 와이어(50)에 가압된다. 이때, 와이어(50)가 와이어 삽입 개구(28)에 일치하도록,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서, 커버재 체결 클립(10)이 더 가압되면, 와이어(50)는 삽입 개구(28)를 향하는 가이드면(34, 36) 사이의 도입 통로에 위치된 후, 삽입 개구(28) 내로 유도된다. 와이어 삽입 개구(28)는, 가장 좁은 중심선(S) 부근의 폭이 a이며 와이어(50)의 직경보다도 작기 때문에, 삽입 개구(28)는 그대로는 와이어(50)가 그것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상방으로부터 더 가압하면, 가이드편(26)은 삽입 개구(28)가 와이어(50)의 직경보다 넓어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결과적으로, 와이어(50)는 삽입 개구(28)를 통해 와이어 유지 공간(18f) 내로 들어간다. 이때, 와이어(50)는, 통과시의 기세에 의해 연장부(18a)에 부딪치고, 와이어(50)가 삽입 개구(28)를 통과한 후에, 탄성편부(26c)의 탄성 변형이 복원되어, 클릭감을 발생시킨다. 삽입 개구(28)는, 중심선(S) 부근의 폭이 간극(a)이 되도록 복원되어, 와이어(50)가 그것을 통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커버재 체결 클립(10)이 와이어(50)에 잠겨지고, 커버재 체결 클립(10)에 부착된 커버재(46)는, 그 단부 에지가 홈(48)에 삽입된 상태에서 쿠션재(44)의 표면에 부착된다. 탄성편부(26c)가 탄성 변형되는 경우, 탄성편부(26c)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하면(14b)을 향해 이동된다. 그러나, 하면(14b)에 홈부(17)가 제공되고 탄성편부(26c)가 홈부(17)의 내측인 이탈 공간(19)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탄성편부(26c)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에 맞닿지 않고 따라서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에 의해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편부(26c)를 필요한 변형량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삽입 개구(28)를 와이어(50)가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간극을 갖도록 확장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부(26c) 만을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와이어(50)가 삽입 개구(28)를 통과하여 잠겨질 수 있다. 따라서, 훅(18)을 탄성 변형시키는 것은 불필요하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손가락끝에 유지하는 상태에서 부착하는 때에, 커버재 체결 클립(10)이 기울어져 있어서, 와이어(50)가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에서 삽입 개구(28)의 우측 또는 좌에 위치되기 쉽다. 이 경우에도,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우측 및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와이어(50)는 가이드면(34, 36)에 의해 가이드되어서 삽입 개구(28) 내로 유도되어, 와이어(50)는 와이어(50)의 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상방으로부터 가압함에 따라,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편부(26c)가 제2 굴곡부(26b)에서 탄성 변형되어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에 도달한다. 따라서, 탄성편부(26c)는 이탈 공간(19)으로 들어가서, 탄성편부(26c)는 크게 굴곡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삽입 개구(28)가 확장되어, 와이어(50)가 유지 공간(18f)으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들어가서 그 안에 잠겨질 수 있다. 이때, 손가락끝으로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가압할 때에, 커버재 체결 클립(10)은 지그 가이드편(22)의 존재에 의해 손가락끝에 의해 용이하게 가압될 수 있다.
한편, 커버재 체결 클립(10)이 와이어(50)로부터 분리될 때, 긴 막대 형상 지그(도시되지 않음)가 사용된다. 지그에는 그 원위 단부에 커버재 체결 클립(10)의 지그 수용부(20) 및 지그 가이드편(22)에 의해 잠겨지도록 구성되는 잠금부가 제공된다. 지그는, 쿠션재(44)의 홈(48)의, 커버재 체결 클립(10)의 지그 수용부(20)가 위치되는 부분 내로 삽입되고, 지그 가이드편(28)과 지그 수용부(20) 사이에 삽입 및 가압된다. 그리고, 지그의 원위 단부의 잠금부는 지그 수용부(20)에 잠겨진다.
후속하여, 지그가 인출되면, 커버재 체결 클립(10)에는 커버재 체결 클립(10)이 와이어(50)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멘트가 가해진다. 그리고, 와이어(50)는, 훅(18)의 원위 단부 부분(18d)과,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에 의해 가이드되어 삽입 개구(28)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더 인출하면, 와이어(50)가 탄성편부(26c)에 부딪쳐서, 탄성편부(26c)가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에 도달하는 방향으로 탄성편부(26c)가 탄성 변형되어, 삽입 개구(28)를 확대한다. 결국, 와이어(50)는 확대된 삽입 개구(28)를 통과한다. 이에 의해, 커버재 체결 클립(10)은 와이어(50)로부터 분리되어, 커버재(46) 역시 쿠션재(4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탄성편부(26c)가 탄성 변형하면, 탄성편부(26c)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홈부(17) 내로 삽입되기 쉽다. 따라서, 탄성편부(26c)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에 부딪치지 않고 필요한 변형량만큼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삽입 개구(28)를 확장시켜 와이어(50)로부터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재 체결 클립(10)에 따르면, 약한 힘으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쿠션재(44) 등에 제공된 와이어(50)에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잠글 수 있어서, 양호한 작업 효율을 제공한다. 특히,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를 간단하게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와이어(50)에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잠글 수 있다. 또한, 와이어(50)를 지지하는 훅(18)은 증가된 강성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어, 부착 강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내구성을 제공한다. 커버재(46)의 단부 에지에 제공된 잠금 단부 부재(56)에 잠겨지는 잠금부(11)의 형상 및 와이어(50)에 잠겨지는 훅(18)의 형상은 변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잠금 단부 부재(56) 및 쿠션재(64)에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부착할 수 있다.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가 탄성 변형되어 이동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하면(14b)에 홈(17)이 형성되어, 그 내부에 이탈 공간(19)이 제공된다. 따라서, 필요한 변형량만큼 탄성편부(26c)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어, 와이어(50)를 잠금부(11)에 용이하고 확실하게 잠글 수 있다.
가이드편(26)은 잠금 갈고리(12)의 절반 폭을 가지며, 제2 굴곡부(26b)는 그 폭보다 좁게 형성되므로, 탄성 변형에 의한 그 휨이 용이해진다. 가이드편(26)에는 제1 굴곡부(34a)와 제2 굴곡부(34b)가 제공되어 있어서, 가이드편(26)은 훅(18)의 연장부(18a)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가이드편(26)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어, 탄성 변형에 의한 그 휨이 용이해진다. 그러므로, 탄성편부(26c)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고 동일한 단면 형상을 갖더라도, 탄성편부(26c)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어, 와이어(50)가 그것을 통과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탄성편부(26c)가 더 길게 형성되어도,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하면(14b)에는 홈부(17)에 의한 이탈 공간(19)이 제공되어, 그 원위 단부가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에 맞닿음에 따라 탄성편부(26c)의 변형이 제한되는 것이 방지된다. 결과적으로, 삽입 개구(28)를 원활하게 확대할 수 있다.
훅(18)의 기단부는 원위 단부 부분(18d)의 두께의 2배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또한 가이드편(26)의 기단부는 탄성편부(26c)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향상된 강도를 제공한다. 또한, 훅(18)의 유지 공간(18f)은 와이어(50)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Y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연장부(18a)와 원위 단부 부분(18d)에 의해 제공되고, 이에 의해 와이어(50)를 그 양측으로부터 클림핑할 수 있어 향상된 부착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버재 체결 클립(10)에는, 보강부(15), 보강판(24, 30), 및 광폭부(32)가 제공되어 증가된 강성을 가지므로, 내구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부착 강도가 향상된다.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와이어(50)에 부착할 때 탄성편부(26c) 이외의 커버재 체결 클립(10)의 부분을 탄성 변형시키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증가된 강성을 갖는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와이어(50)에 부착할 때,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손가락으로 유지하면서, 지그 수용부(20)를 가압함으로써 쿠션재(44)의 홈(48)에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삽입하면, 커버재 체결 클립(10)은 커버재(46)에 의해 인장되는 힘에 저항해서 하방으로 가압되고, 따라서 전체 커버재 체결 클립(10)은 경사지기 쉽다. 그러나, 삽입 개구(28)는 하방으로 배향되고, 또한 삽입 개구(28)를 향하는 가이드면(34) 및 가이드면(36)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형 빗변 형상 도입 통로도 하방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경사진 상태에서도, 대체로 삽입 개구(28) 부근에서 와이어(50)에 대해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가압하는 것만으로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와이어(50)에 용이하게 잠글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50)가 삽입 개구(28)로부터 어긋나는 경우에도, 간단히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넓은 범위에 걸쳐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가압하여,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와이어(50)는 가이드면(34, 36)에 의해 안내되어 삽입 통로(28)에 일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잠금 동작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커버재 체결 클립(10)은 쿠션재(44)의 홈(48) 내에서 간단하게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50)를 볼 수 있도록 쿠션재(44)를 가압 및 변형시키는 것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조작은 약한 힘으로 효과적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누구나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지그를 사용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와이어(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부(26c)는 이탈 공간(19) 내로 이동되기 때문에, 약한 힘으로도 조작을 행할 수 있어, 그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잠금 갈고리(12)에는 스토퍼(16)가 제공되고, 또한 스토퍼(16)는 잠금 단부 부재(56)의 잠금 홈(58)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커버재 체결 클립(10)은 소정의 위치에 잠겨지고, 잠금 테이프(5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없다. 그러므로, 커버재(46)는 쿠션재(44)에 대해 배치되지 않고, 커버재(46)에서 주름이나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커버재(46)는 양호한 외관이 얻어지도록 깔끔하게 부착될 수 있다. 잠금 단부 부재(56)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잠금 홈(58)을 갖기 때문에, 그 가요성이 증가되고 조작이 용이하다.
커버재(46)의 단부 에지에 제공된 잠금 단부 부재(56)에 잠겨지는 잠금부(11)의 형상 및 갈고리 형상 부분(18c)의 형상은 변화되지 않기 때문에, 커버재 체결 클립(10)은 종래 기술의 것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잠금 단부 부재(56) 및 쿠션재(64)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편(26)과 훅(18)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고 탄성편부(26c)의 가동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어,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콤팩트한 크기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는, 훅(18)의 원위 단부 부분(18d)을 넘어 연장되고 훅(18)의 연장부(18a) 부근에 도달한다. 또한, 탄성편부(26c)는 유지 공간(18)의 저부에 거의 평행한 각도로 돌출하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유지 공간(18f)에 삽입된 와이어(50)는 삽입 개구(28)를 향해 이동할 때 탄성편부(26c)에 맞닿고, 그래서 와이어(50)는 커버재 체결 클립(10)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분리되어 와이어(50)가 그로부터 부주의하게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탄성편부(26c)의 원위 단부 부분의 부근은 훅(18)의 연장부(18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직선 형상을 가지며, 삽입 개구(28)를 통과한 와이어(50)는 탄성편부(26c)의 원위 단부 부분에 의해 안내되어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부(18a)에 강하게 부딪친다. 따라서, 와이어(50)가 유지 공간(18f) 내로 들어갈 때, 클릭감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커버재 체결 클립(10)이 와이어(50)에 부착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와이어(50)로부터 분리할 때, 와이어(50)는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탄성편부(26c)의 원위 단부 부분에 맞닿고, 그래서 탄성편부(26c)는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으므로, 커버재 체결 클립(10)의 분리가 허용된다. 탄성편부(26c)는 더 좁고, 결과적으로 탄성 변형이 또한 용이해진다.
삽입 개구(28)에는, X축 방향의 중심선(S)의 양측에 넓은 공간이 제공되기 때문에, 중심선(S) 부근의 삽입 개구(28)의 폭을 제조에 사용되는 몰드의 두께보다 좁게 설정할 수 있고, 그래서 와이어(50)는 분리되기 어렵기 때문에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와 훅(18)의 원위 단부 부분(18d)을 번갈아 제공하여 소정의 넓은 공간을 상이한 방향에 제공함으로써, 몰드를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삽입 개구(28)를 더 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삽입 개구(28)를 몰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좁게 설정할 수 있다. 몰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몰드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고, 따라서 향상된 내구성을 갖는 몰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쿠션재(44)를 위한 재료인 우레탄은 와이어(50)에 부착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커버재 체결 클립(10)의 잠금에 의해 간섭되기 쉽다. 그러나, 삽입 개구(28) 주위에 더 넓은 공간이 제공되기 때문에,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강하게 와이어(50)에 가압하면, 우레탄이 간극 내로 변위될 수 있어, 커버재 체결 클립(10)의 확실한 잠금을 보증할 수 있다. 삽입 개구(28)는 중심선(S) 부근에서 가장 좁고 우레탄과의 접촉면이 작기 때문에, 우레탄을 와이어(50)로부터 박리하면 커버재 체결 클립(10)을 부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와이어(50)에 부착된 우레탄을 미리 제거하는 노력을 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전술한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재 체결 클립(60)은 또한, 중심선(S)에 의해 구획되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일측이 다른 측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하는 보강부(15)가 되도록 구성된다. 중심선(S)에 의해 구획된 다른 측에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14)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62)이 제공된다. Y축 방향의 관통 구멍(62)의 폭은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약 절반이다. 관통 구멍(62)은 Y축 방향에서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고, 따라서 X축 방향에서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외측면과 소통한다. 관통 구멍(62)의 내측은, 하술하는 바와 같은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가 탄성 변형되어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는 이탈 공간(19)으로서 구성된다. 한편, 관통 구멍(62)보다 연장부(18a)에 가까운 하면(14b)의 부분은 그 반대측 부분의 하방에 위치되므로,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두께가 증가된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재 체결 클립(60)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사용되며 그것과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특히, 관통 구멍(62)은 상면(14a)에 도달하도록 연장되기 때문에, 이탈 공간(19)은 크기가 증가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전술한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재 체결 클립(64)은, 훅(18)의 원위 단부 부분(18d)이 갈고리 형상 부분(18c)의 것과 동일한 X축 방향의 폭을 갖도록 구성된다. YZ 평면의 원위 단부 부분(18d)의 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원위 단부 부분(18d)은, 연장부(18a)에 연결되는 단부의 반대측 단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돌출하고, 그 원위 형상은 외측으로 팽출된 만곡면으로서 형성된다. 연장부(18a) 및 원위 단부 부분(18d)에 의해 둘러싸이는 U 형상 홈부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와이어(50)가 관통 삽입되는 유지 공간(18f)을 형성한다.
원위 단부 부분(18d)의 X축 방향의 폭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원위 단부 부분(18d)은 갈고리 형상 부분(18c) 상의 X축 방향의 어느 위치에도 제공될 수 있다. 원위 단부 부분(18d)과 가이드편(26)의 탄성편부(26c)는, X축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중첩하는 위치에 도달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겹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버재 체결 클립(64)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되며 그것과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커버재 체결 클립은 상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그 구체적인 형상, 치수 등은 적절하게 변화될 수 있다. 커버재 체결 클립의 재료, 표면 마무리, 색채 등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커버재 체결 클립은, 한 쌍의 잠금 갈고리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두께 방향의 폭이, 잠금 갈고리와 잠금 갈고리 기초부에서 비교적 넓게 설정되고, 가이드편에서 비교적 좁게 설정되며, 탄성편부에서는 가이드편에서보다 더 좁게 설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동일한 폭을 갖거나 반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편은 그 변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좁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편 및 탄성편부는 중심선(S)에 인접하에 위치되도록 제공되지만, 이들은 중심선(S)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잠금부의 형상은 잠금부가 잠금 단부 부재에 확실하게 부착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잠금 갈고리의 원위 단부 부분은 모따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원위 단부 부분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단, 모따기된 형상은 잠금 단부 부재 상에서의 잠금 갈고리의 걸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피잠금 부재가 잠금부를 그 위에 잠겨지게 하는 경우, 와이어인 것 이외에 재료 또는 형상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피잠금 부재는 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커버재 체결 클립의 훅이 그 위에 걸리게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10, 60, 64 커버재 체결 클립
11 잠금부
12 잠금 갈고리
14 잠금 갈고리 기초부
14a 상면
14b 하면
15 보강부
17 홈부
18 훅
18a 연장부
18d 원위 단부 부분
19 이탈 공간
24, 30 보강판
26 가이드편
26a 제1 굴곡부
26b 제2 굴곡부
26c 탄성편부
26d 아암부
28 삽입 개구
32 광폭부
44 쿠션재
46 커버재
48 홈
50 와이어
56 잠금 단부 부재

Claims (5)

  1. 커버재(46)를 쿠션재(44)에 연결하는 커버재 체결 클립(10, 60, 64)이며, 커버재(46)의 단부 에지에 제공된 잠금 단부 부재(56)에 잠겨지도록 구성되는 잠금부(11), 및 쿠션재(44)에 설치된 피잠금 부재(50)에 잠겨지도록 구성되는 훅(18)을 포함하고,
    상기 훅(18)은 상기 잠금부(11)의 하방에 제공되고, 상기 훅(18)은 상기 잠금부(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8a) 및 상기 연장부(18a)의 원위 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원위 단부 부분(18d)을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11)에는 가이드편(26)이 제공되고,
    상기 가이드편(26)은, 상기 잠금부(1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도중에 상기 훅(18)의 상기 원위 단부 부분(18d)을 향해서 굴곡되고 연장되는 굴곡부(26b)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편(26)은, 미리정해진 간극을 갖고 피잠금 부재(50)가 관통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삽입 개구(28)가 상기 굴곡부(26b)와 상기 원위 단부 부분(18d) 사이에 형성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굴곡부(26b)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가이드편(26)의 원위 단부 부분은 상기 원위 단부 부분(18d)으로부터 이격되고 따라서 상기 삽입 개구(28)를 확장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탄성편부(26c)이며, 상기 탄성편부(26c)가 탄성 변형되어 이동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잠금부(11)의 일부에는, 상기 탄성편부(26c)가 내부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이탈 공간(19)이 제공되어 있는 커버재 체결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1)는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 및 상기 잠금 갈고리(12)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14)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 중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편(26)이 제공되고, 상기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상기 잠금 갈고리(12)가 제공된 상면(14a)과 반대측의 하면(14b)에는 상기 훅(18)이 제공되며, 상기 이탈 공간(19)은, 상기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상기 하면(14b)의, 상기 훅(18)보다 상기 가이드편(26)에 가까운 위치에 제공된 홈부(17)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커버재 체결 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1)는,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와 상기 잠금 갈고리(12)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14)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 중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편(26)이 제공되고, 상기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상기 잠금 갈고리(12)가 제공된 상면(14a)의 반대측의 하면(14b)에는 상기 훅(18)이 제공되고, 상기 이탈 공간(19)은, 상기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상기 훅(18)보다 상기 가이드편(26)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상면(14a)으로부터 상기 하면(14b)까지 관통 연장되도록 제공된 관통 구멍(62)에 의해 형성되는 커버재 체결 클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1)는,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와 상기 잠금 갈고리(12)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잠금 갈고리 기초부(14)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잠금 갈고리(12) 중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편(26)이 제공되고, 상기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상기 잠금 갈고리(12)가 제공된 상면(14a)의 반대측의 하면(14b)에는 상기 훅(18)이 제공되고, 상기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에 상기 이탈 공간(19)이 제공되며, 상기 이탈 공간(19)에 인접하는 상기 잠금 갈고리 기초부(14)의 일부에 보강부(15)가 제공되어 있는 커버재 체결 클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18)의 연장부(18a)에는 보강판(24)이 제공되어 있는 커버재 체결 클립(10, 60, 64).
KR1020187030891A 2016-04-27 2016-04-27 커버재 체결 클립 KR102113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63236 WO2017187566A1 (ja) 2016-04-27 2016-04-27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458A true KR20180128458A (ko) 2018-12-03
KR102113637B1 KR102113637B1 (ko) 2020-05-21

Family

ID=6016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891A KR102113637B1 (ko) 2016-04-27 2016-04-27 커버재 체결 클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58060B2 (ko)
JP (1) JP6612974B2 (ko)
KR (1) KR102113637B1 (ko)
CN (1) CN109068865B (ko)
DE (1) DE112016006808B4 (ko)
WO (1) WO20171875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9001929T5 (de) 2018-12-26 2021-02-25 Ykk Corporation Bezugswerkstoff-befestigungsklemme und bezugswerkstoffbefestigungsstruktur
US11772533B2 (en) * 2022-02-18 2023-10-03 Ykk Corporation Seat upholstery clip
WO2023226008A1 (zh) * 2022-05-27 2023-11-30 Ykk株式会社 安装部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9114A1 (ja) * 2011-11-09 2013-05-16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コード
JP2014204780A (ja) 2013-04-11 2014-10-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止着用クリップ
WO2015063944A1 (ja) 2013-11-01 2015-05-07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88775B2 (ja) * 2009-08-24 2014-01-15 株式会社ニフコ クリップ及びシートカバー被覆構造
JP4978871B2 (ja) * 2009-11-18 2012-07-18 Smk株式会社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3163446U (ja) * 2010-08-04 2010-10-14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2012235911A (ja) * 2011-05-12 2012-12-06 Toyota Boshoku Corp 止着用クリップ
JP3186511U (ja) * 2013-07-30 2013-10-10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6133990B2 (ja) * 2013-08-27 2017-05-24 Ykk株式会社 クリップ、及びクリップとコードの組み合わせ品
DE112014006768T5 (de) * 2014-06-25 2017-04-27 Ykk Corporatio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festigung eines Bezugs an einem Sitzkörp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9114A1 (ja) * 2011-11-09 2013-05-16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コード
JP2014204780A (ja) 2013-04-11 2014-10-3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止着用クリップ
WO2015063944A1 (ja) 2013-11-01 2015-05-07 Ykk株式会社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12974B2 (ja) 2019-11-27
DE112016006808T5 (de) 2019-02-14
KR102113637B1 (ko) 2020-05-21
CN109068865B (zh) 2021-04-20
WO2017187566A1 (ja) 2017-11-02
DE112016006808B4 (de) 2024-08-22
US20190142181A1 (en) 2019-05-16
JPWO2017187566A1 (ja) 2018-11-15
CN109068865A (zh) 2018-12-21
US10758060B2 (en)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7890B2 (en) Cover fastening clip
KR101550548B1 (ko) 표피재 지착용 클립
EP2602227B1 (en) Clip for fixing cover-material
US20160174719A1 (en) Crip and Cord
JP6507233B2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KR102138612B1 (ko) 표피재 고정 도구
KR20180128458A (ko) 커버재 체결 클립
JP2007260340A (ja) クリップ部材及びクッション部材の表皮材吊込構造
US8850671B2 (en) Clip and attaching structure
CN109071208B (zh) 表皮材料固定用端部件
JP3205190U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6808836B2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JP5560311B2 (ja) 表皮材止着用クリップ
WO2023226589A1 (zh) 安装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