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044A - 승객 관리 장치 및 승객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승객 관리 장치 및 승객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044A
KR20180126044A KR1020187030852A KR20187030852A KR20180126044A KR 20180126044 A KR20180126044 A KR 20180126044A KR 1020187030852 A KR1020187030852 A KR 1020187030852A KR 20187030852 A KR20187030852 A KR 20187030852A KR 20180126044 A KR20180126044 A KR 20180126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image
information
combination
g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516B1 (ko
Inventor
토시히로 유키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바루카베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바루카베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바루카베루
Publication of KR2018012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06V20/53Recognition of crowd images, e.g. recognition of crowd conges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06V20/593Recognising seat occupanc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06V40/173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face re-identification, e.g. recognising unknown faces across different face tra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70Multimodal biometrics, e.g. combining information from different biometric modalit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2Counting objects in i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객의 귀환 상태 및 승객 수를 적절히 관리할 수 있고, 또한 수상한 사람 등 승차 예약이 없는 자의 승차를 방지할 수 있는 승객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으며, 버스 승객을 관리하는 승객 관리 장치(1)에 있어서, 승차객용 카메라(10)와, 하차객용 카메라(20)와, 승차객용 카메라(10)로 촬상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하는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와, 하차객용 카메라(20)로 촬상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하는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와, 승차객 화상 기억부(41) 및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객 수를 검출하는 승객 수 검출부(51a)와, 검출된 승객 수를 통지하는 승객 수 통지부(51b)와, 승차객 화상 기억부(41) 및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과 하차 후에 승차해 온 승객을 조합하는 승강객 조합부(52a)와, 조합 결과를 통지하는 조합 결과 통지부(52b)를 장비한다.

Description

승객 관리 장치 및 승객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승객 관리 장치, 및 승객 관리 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다인수의 수송이 가능한 수송 수단(예를 들어, 버스 등)의 승객을 관리하기 위한 승객 관리 장치, 및 승객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인수로 관광 코스 등을 돌아다닐 경우, 버스가 자주 이용된다. 버스로의 이동이 장거리가 될 경우, 휴게소 등 화장실이 있는 장소에서 휴식을 취하는 일이 있다. 또한, 관광 명소 등에서 승객이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는 자유 시간이 취해지는 일이 있다.
휴게 시간이나 자유 시간을 취할 경우, 버스 안내원으로부터 승객에게 출발 시각이 전해지기 때문에, 승객은 그 시각까지는 버스로 되돌아올 필요가 있다. 출발 시각이 되면, 안내원에 의해 승객의 귀환 상황이 확인되고, 승객 전원의 버스로의 귀환이 확인되면, 버스는 다음 목적지로 출발하게 된다.
그렇지만, 승객 인원수가 많을 경우, 이 확인 작업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승객 목록과 조합하며 점호를 취하는 등 수고와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이 확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2를 참조).
일본 특개 2004-252909호 공보. 일본 특개 2004-139459호 공보.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승객이 소지하는 태그(IC태그)와, 버스에 탑재한 장치와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의 상호 전달을 실행하여, 승객의 승하차를 관리하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승객마다 태그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되고,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들며, 또한 승객이 태그를 차내(좌석)나 차외에서 깜빡하고 두고 왔을 경우, 승객의 승하차를 제대로 관리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승객이 도중에 부정하게 바뀌었을 경우, 부정하게 승차한 승객이 태그를 가지고 있으면, 승객이 바뀐 것을 검출할 수 없어, 도중에 수상한 사람이 승차한 것을 검출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IC태그 등을 승객에게 소지시키지 않더라도, 승객의 귀환 상태 및 승차해 있는 인원수(승객 수)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승차 예정이 아닌 사람(수상한 사람 등)의 승차나 잘못 승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객 관리 장치 및 승객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는, 다인수의 수송이 가능한 수송 수단의 승객을 관리하는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승차하는 승객을 촬상하는 하나 이상의 승차객 촬상 수단과,
하차하는 승객을 촬상하는 하나 이상의 하차객 촬상 수단과,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승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하는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과,
상기 하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하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하는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과,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 및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차해 있는 인원수를 검출하는 승객 수 검출 수단과,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 및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과 하차 후에 승차해 온 승객을 조합하는 승강객 조합 수단과,
상기 승객 수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승객 수를 통지하는 승객 수 통지 수단과,
상기 승강객 조합 수단으로 조합된 결과를 통지하는 조합 결과 통지 수단을 장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승객 관리 장치(1)에 의하면,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화상 및 그 촬상 시각과,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화상 및 그 촬상 시각에 의거하여, 승차해 있는 인원수(승객 수)를 상시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의 화상과 하차 후에 승차해 온 승객의 화상을 조합함으로써, IC태그 등의 전용 기기를 승객에게 소지시키지 않아도 승객의 귀환 상태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과는 다른 인물, 예를 들어 수상한 사람 등의 승차를 방지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2)는, 상기 승객 관리 장치(1)에 있어서, 승객의 생체 인증 정보를 취득하는 생체 인증 정보 취득 수단을 장비하고,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이, 상기 화상과 함께, 승차하는 승객의 생체 인증 정보를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하는 것이며,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이, 상기 화상과 함께, 하차하는 승객의 생체 인증 정보를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승객 관리 장치(2)에 의하면, 상기 승객 수 검출 수단에 의한 승객 수의 검출 처리나 상기 승강객 조합 수단에 의한 승강객의 조합 처리에 있어서, 상기 화상과 함께, 상기 승강하는 승객의 생체 인증 정보를 사용할 수 있어, 상기 승객 수의 검출 정밀도나 귀환 시 등에 있어서 승객의 조합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인증 정보에는, 인간의 지문, 정맥 패턴, 망막, 음성(성문) 등이 포함되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3)는, 상기 승객 관리 장치(1)에 있어서,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에 의해 2방향 이상에서 촬상된 복수의 화상에 의거하여 승차객의 입체 화상을 생성하는 승차객 입체 화상 생성 수단과,
상기 하차객 촬상 수단에 의해 2방향 이상에서 촬상된 복수의 화상에 의거하여 하차객의 입체 화상을 생성하는 하차객 입체 화상 생성 수단을 장비하고,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이, 상기 승차객 입체 화상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승차객의 입체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하는 것이며,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이, 상기 하차객 입체 화상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하차객의 입체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하는 것이며,
상기 승강객 조합 수단이, 상기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의 입체 화상과 상기 하차 후에 승차해 온 승객의 입체 화상을 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승객 관리 장치(3)에 의하면, 상기 승강객 조합 수단에 의해, 상기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의 입체 화상과 상기 하차 후에 승차한 승객의 입체 화상이 조합되기 때문에, 평면 화상끼리를 서로 조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합 정밀도를 거의 100%에 가까운 확률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4)는, 상기 승객 관리 장치(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 및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와, 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를 포함한 승객 정보를 결부하는 승객 정보 결부 수단과,
상기 승객 정보 결부 수단에 의해 결부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수송 수단의 공석 위치 및 공석 수를 검출하는 공석 정보 검출 수단과,
해당 공석 정보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공석 위치 및/또는 공석 수를 통지하는 공석 정보 통지 수단과,
상기 승객 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승객 수에 대해, 상기 공석 정보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공석 수가 맞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공석 수 판단 수단과,
해당 공석 수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를 통지하는 판단 결과 통지 수단을 장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승객 관리 장치(4)에 의하면, 상기 승객 정보 결부 수단에 의해, 상기 승차한 승객의 화상 및 상기 하차한 승객의 화상과, 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가 결부되기(연관되기) 때문에, 승객 수뿐만 아니라, 상기 공석 위치 및 공석 수를 관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승객 수에 대해 상기 공석 수가 맞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가 통지되기 때문에, 상기 승객 수에 대해 상기 공석 수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승무원은 승객 수의 확인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으며, 승객 수의 검출 누락 또는 이중으로 검출된 것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5)는, 상기 승객 관리 장치(4)에 있어서,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상기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를, 승객의 이름, 좌석 위치 및 얼굴 화상을 포함한 승객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송신하는 조합 지시 데이터 송신 수단과,
상기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조합된 상기 화상과 상기 승객 정보와의 조합 결과를 수신하는 조합 결과 수신 수단을 장비하고,
상기 승객 정보 결부 수단이, 상기 조합 결과가 일치하였을 경우에, 상기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와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상기 화상을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승객 관리 장치(5)에 의하면, 상기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가 상기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송신되고, 상기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조합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조합 결과가 일치하였을 경우에, 상기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와,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상기 화상이 결부되기 때문에, 출발 지점 등에 있어서 상기 수송 수단에 승객이 승차할 때에, 승무원 등이 승객의 이름이나 승차권 등을 승객에게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촬상된 승객의 화상으로부터 승객 정보(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를 자동적으로 결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6)는, 상기 승객 관리 장치(4)에 있어서, 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를 포함한 승객 정보를 기억하는 승객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상기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를, 개인의 이름 및 얼굴 화상을 포함한 개인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송신하는 조합 지시 데이터 송신 수단과,
상기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조합된 상기 화상과 상기 개인 정보와의 조합 결과를 수신하는 조합 결과 수신 수단을 장비하고,
상기 승객 정보 결부 수단이, 상기 조합 결과가 일치한 결과였을 경우에, 상기 조합 결과에 포함되는 개인의 이름과 상기 승객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승객의 이름을 조합하여, 해당 조합에 의해 일치한 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와,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상기 화상을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승객 관리 장치(6)에 의하면, 상기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가 상기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송신되고, 상기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상기 조합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조합 결과가 일치한 결과였을 경우에, 상기 조합 결과에 포함되는 개인의 이름과 상기 승객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승객의 이름이 조합되어, 해당 조합에 의해 일치한 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와,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상기 화상이 결부되기 때문에, 출발 지점 등에 있어서 상기 수송 수단에 승객이 승차할 때에, 승무원 등이 승객의 이름이나 승차권 등을 승객에게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촬상된 승객의 화상으로부터 승객 정보(승객의 이름)을 자동적으로 결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7)는, 상기 승객 관리 장치(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승강객 조합 수단에 의한 조합 결과에 의거하여, 예정 시각에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에 위치 정보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요구 신호 송신 수단과,
상기 위치 정보 요구 신호를 수신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통지하는 위치 정보 통지 수단을 장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승객 관리 장치(7)에 의하면, 예정 시각에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에 위치 정보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상기 위치 정보를 통지하기 때문에, 승무원 등은 상기 예정 시각에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정보를 경시적(經時的)으로 수신함으로써,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귀환 상태 등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8)는, 상기 승객 관리 장치(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예정 시각까지 상기 수송 수단에 귀환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귀환 판단 수단과,
해당 귀환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예정 시각까지 귀환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귀환할 수 없는 상기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에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호출 신호 송신 수단을 장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승객 관리 장치(8)에 의하면, 상기 예정 시각까지 귀환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귀환할 수 없는 상기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에 호출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미귀환한 승객의 위치에 따라 상기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고, 적절한 타이밍에 호출을 실행할 수 있어, 승객의 귀환이 크게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9)는, 상기 승객 관리 장치(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승객으로부터 보관한 수하물의 정보를 등록하는 수하물 정보 등록 수단과,
상기 승강객 조합 수단에 의한 조합 결과에 의거하여, 예정 시각에 귀환하지 않은 승객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수하물 정보 등록 수단에 등록된 수하물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수하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하물 판단 수단과,
해당 수하물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수하물이 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해당 승객의 수하물을 확인 또는 이동하도록 통지하는 수하물 통지 수단을 장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승객 관리 장치(9)에 의하면, 상기 예정 시각에 귀환하지 않은 승객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수하물 정보 등록 수단에 등록된 수하물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수하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수하물이 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해당 승객의 수하물을 확인 또는 이동하도록 통지하기 때문에, 상기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수하물이 수상한 물건 등이었을 경우에, 즉시 해당 수하물을 상기 수송 수단 밖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져, 다른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수상한 물건에 의한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0)는, 상기 승객 관리 장치(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합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결과였을 경우에, 해당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과 수상한 사람 화상 등록 정보와의 조합 결과를 통지하는 수상한 사람 조합 결과 통지 수단과,
상기 수상한 사람 조합 결과 통지 수단에 의해, 상기 조합할 수 없는 승객이 수상한 사람이라는 결과가 통지되었을 경우에, 외부에 통보하는 통보 수단을 장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승객 관리 장치(10)에 의하면, 상기 조합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결과였을 경우에, 해당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과 수상한 사람 화상 등록 정보와의 조합 결과를 통지함과 동시에, 외부에 통보하기 때문에, 승무원 등은 수상한 사람의 승차를 재빨리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는 대책을 신속하게 강구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통보 기관(경찰이나 경비업체 등)에 통보함으로써, 경비요원 등이 신속하게 출동하는 것이 가능해져, 상기 수상한 사람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객 관리 방법은, 다인수의 수송이 가능한 수송 수단의 승객을 관리하는 승객 관리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승차객 촬상 수단을 이용하여 승차하는 승객을 촬상하는 스텝과,
하나 이상의 하차객 촬상 수단을 이용하여 하차하는 승객을 촬상하는 스텝과,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승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하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하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 및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차해 있는 승객 수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 및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과 하차 후에 승차해 온 승객을 조합하는 스텝과,
상기 승객 수를 검출하는 스텝으로 검출된 승객 수를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승강객을 조합하는 스텝으로 조합된 결과를 통지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승객 관리 방법에 의하면,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화상 및 그 촬상 시각과,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상기 화상 및 그 촬상 시각에 의거하여, 승차해 있는 인원수(승객 수)를 상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의 화상과 하차 후에 승차해 온 승객 화상을 조합함으로써, IC태그 등의 전용 기기를 승객에게 소지시키지 않아도 승객의 귀환 상태를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과 다른 인물, 예를 들어 수상한 사람 등의 승차를 방지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는,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b는,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실시예(2)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예(2)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예(2)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예(2)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실시예(3)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실시예(3)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a는, 실시예(3)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b는, 실시예(3)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실시예(5)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실시예(5)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실시예(5)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은, 실시예(6)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실시예(6)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0은, 실시예(6)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마이컴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 및 승객 관리 방법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하에 기재하는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호적(好適)한 구체예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 한정이 부가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본 발명을 한정하는 취지의 기재가 없는 한,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더욱이,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는, 1대 이상의 버스(수송 수단)로 이동하는 여행에 참가한 승객의 관리를 실행하는 승객 관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수송 수단은 버스 등의 차량에 한정되지 않는다. 배, 비행기 등의 다인수 수송이 가능한 수송 수단의 승객 관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대의 버스로 이동할 경우, 각 버스에 승객 관리 장치(1)를 탑재하여, 이들 복수의 승객 관리 장치(1)가 서로 통신함으로써 각종 정보를 상호 전달하는 구성(서로 연계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는, 승차객용 카메라(10), 하차객용 카메라(20), 시계부(30), 기억부(40), 마이크로컴퓨터(마이컴)(50), 표시부(60), 통신부(70), 및 조작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승차객용 카메라(10)는, 승차하는 승객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이고, 하차객용 카메라(20)는, 하차하는 승객을 촬상하기 위한 카메라이다. 모두 렌즈부, CCD센서나 CMOS센서 등의 촬상 소자, 화상 처리부, 및 기억부(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동영상이나 정지화면을 촬상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처리부는, 사람의 얼굴을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사람 검출 처리 기능 등을 장비한 화상 처리 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사람 검출 처리 기능은, 예를 들어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사람의 얼굴(얼굴과 합치하는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얼굴의 화상 영역에서 눈, 코, 입 가장자리 등의 특징점을 추출하여, 이들 특징점으로 사람의 얼굴을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승차객용 카메라(10)는, 예를 들어 버스 승차구 부근의 승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촬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하차객용 카메라(20)는, 예를 들어 버스 하차구 부근의 하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촬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더욱이, 승차객용 카메라(10)와 하차객용 카메라(20)는, 각각 2대 이상의 카메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승차객용 카메라(10)와 하차객용 카메라(20)를 1대의 카메라로 겸용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차외나 차내를 촬상하는 드라이브레코더나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용으로 탑재된 1대 이상의 차량용 카메라를 승차객용 카메라(10)나 하차객용 카메라(20)로 겸용해도 좋다.
시계부(30)는, 시계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승차객용 카메라(10)나 하차객용 카메라(20)로 화상이 촬상된 시각을 기록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기억부(40)는,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와 하차객 화상 기억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에는, 승차객용 카메라(10)로 촬상된 승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과 촬상 시각이 결부하여 기억된다.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는, 하차객용 카메라(20)로 촬상된 승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과 촬상 시각이 결부하여 기억된다. 기억부(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등 1개 이상의 반도체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장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내장형 메모리뿐만 아니라, 외장식 메모리를 적용할 수 있다.
마이컴(50)은, 각종 연산 처리나 정보 처리 등을 실행하는 기능을 갖추고, 1개 이상의 프로세서(CPU), RAM, ROM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마이컴(50)은,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와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차해 있는 인원수를 검출하는 승객 수 검출부(51a)와, 승객 수 검출부(51a)로 검출된 승객 수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승객 수 통지부(51b)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더욱이,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와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과 하차 후에 승차해 온 승객을 조합(화상 인식 처리)하는 승강객 조합부(52a)와, 승강객 조합부(52a)로 조합된 결과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조합 결과 통지부(52b)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마이컴(50)에는, 이들 각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승강객 조합부(52a)에는, 인공지능(AI)을 탑재한 화상 인증(얼굴 인증) 시스템을 채용해도 좋다. 더욱이, 상기 각 통지 처리는, 표시부(60)로의 표시뿐만 아니라, 도시하지 않은 음성 출력부로부터 합성 음성을 출력하여 통지해도 좋다.
표시부(60)는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통신부(70)는, 휴대 전화망이나 인터넷 등의 각종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와 데이터 통신이나 통화 처리 등을 실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다. 조작부(80)는, 터치패널이나 조작 버튼 등의 입력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승객 관리 장치(1)는, 예를 들어 카메라 기능과 무선 통신 기능과 비교적 대형 표시부를 장비하고 있는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 단말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에 의해 승객 관리 장치(1)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승차객용 카메라(10) 및 하차객용 카메라(20)와, 기억부(40) 및 마이컴(50)을 포함한 다른 구성 부분이 각각의 장치로 구성되어, 상호 통신에 의해 정보의 상호 전달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2는,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에 있어서 마이컴(50)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처리 동작은, 예를 들어 출발 지점 등에서 승차 예정인 승객(여행객)을 버스에 승차시킬 때 실행된다.
우선 스텝(S1)에서는, 소정의 기동 신호에 따라, 승차객용 카메라(10)를 기동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승객 수 카운터 K1을 0으로 설정(클리어)하고(스텝(S2)), 그 후 촬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S3)). 상기 소정의 기동 신호에는, 예를 들어 승무원(본 장치의 관리자)에 의한 조작 신호, 또는 버스 측으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조작 신호(예를 들어 문을 여는 조작 신호 등)가 포함된다. 상기 촬상 처리는, 동영상 촬영 이외에, 정지 화상을 간헐적으로 촬영하게 해도 좋고, 또는 사람을 검출하였을 경우에만 촬상 처리를 실행하게 해도 좋다.
다음 스텝(S4)에서는,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5)으로 진행하여,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으로부터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는 처리 방법에는, 예를 들어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사람의 얼굴과 합치하는 영역(구형 영역)을 검출하여, 해당 얼굴의 화상 영역에서 눈, 코, 입 가장자리 등의 특징점 위치를 추출하고, 이들 특징점 위치에 따라 사람을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방법 등이 채용된다. 그 이외의 얼굴 검출 기술도 적용할 수 있다.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에는, 검출된 사람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 정보(해당 얼굴의 특징점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함)와 촬상 시각이 결부하여 기억된다.
다음 스텝(S6)에서는, 승객 수 카운터 K1에 1을 가산하고, 다음 스텝(S7)에서는, 승객 수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표시부(60)에는, 예를 들어 "현재의 승차 인원수는 ○○명입니다."와 같이 표시가 된다. 또한, 음성 출력부(도시하지 않음)에서 음성(합성 음성)으로 승객 수를 통지하게 해도 좋다.
다음 스텝(S8)에서는, 소정 조건에 따라, 승차 예정인 전원의 승차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소정 조건에는, 예를 들어 승객 수 카운터 K1이 예정 인원수 또는 정원수가 되었을 경우, 승무원으로부터 승차 완료 조작의 입력이 있었을 경우, 또는 버스 측으로부터 수신한 승차 문을 닫는 조작 입력이 있었을 경우 등의 조건이 포함된다. 스텝(S8)에 있어서, 승차 예정인 전원의 승차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S4)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승차 예정인 전원의 승차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9)으로 진행하여, 승객 수 카운터 K1을 승객 수로 기억하고, 그 후 처리를 끝낸다.
도 3a, 도 3b는,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에 있어서 마이컴(50)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는, 예를 들어 휴계 지점이나 관광 지점 등에서 승객이 버스에서 하차할 때 실행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고, 도 3b는, 예를 들어 휴게 지점이나 관광 지점 등에서 하차한 승객이 버스에 재승차할 때 실행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3a에 나타낸 스텝(S11)에서는, 소정의 기동 신호에 따라, 하차객용 카메라(20)를 기동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하차객 카운터 K2를 0으로 설정(클리어)하고(스텝(S12)), 그 후 촬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S13)). 상기 소정의 기동 신호에는, 예를 들어 승무원에 의한 조작 신호, 또는 버스 측으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조작 신호(예를 들어 문을 여는 조작 신호 등)가 포함된다. 상기 촬상 처리는, 동영상 촬영 이외에, 정지 화상을 간헐적으로 촬영하게 해도 좋고, 또는 사람을 검출하였을 경우에만 촬상 처리를 실행하게 해도 좋다.
다음 스텝(S14)에서는,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15)으로 진행하여,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으로부터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는 처리 방법에는, 상기한 승차객용 카메라(10)에 의한 사람 검출과 동일한 방법이 채용된다.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는, 검출된 사람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 정보(해당 얼굴의 특징점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함)와 촬상 시각이 결부하여 기억된다.
다음 스텝(S16)에서는, 하차객 카운터 K2에 1을 가산함과 동시에, K1에서 K2를 감산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7)에 있어서, 하차객 수(K2의 값)와 차내에 남아 있는 승객 수(K1-K2의 값)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 스텝(S18)에서는, 차내에 남아 있는 승객 수(K1-K2)가 0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차내에 남아 있는 승객 수가 0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14)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S18)에 있어서, 차내에 남아 있는 승객 수가 0이라고 판단하면, 하차객 카운터 K2를 하차객 수로 기억하고(스텝(S19)), 그 후 처리를 끝낸다.
도 3b에 나타낸 스텝(S21)에서는, 소정의 기동 신호에 따라, 승차객용 카메라(10)를 기동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승차객 카운터 K3을 0으로 설정(클리어)하고(스텝(S22)), 그 후 촬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S23)). 소정의 기동 신호에는, 예를 들어 승무원에 의한 조작 신호, 버스 측으로부터 수신한 소정의 조작 신호(승차 문을 여는 조작 신호 등)가 포함된다.
다음 스텝(S24)에서는, 승차해 오는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25)으로 진행한다. 스텝(S25)에서는,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과,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된 하차객 화상을 조합하는 처리(화상 인식 처리)를 실행한다. 얼굴 조합 처리로는,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과,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된 하차객 화상을 각각 비교한다. 비교할 때에는, 예를 들어 각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얼굴의 특징점, 예를 들어 눈, 코, 입 등의 위치, 크기, 높이, 얼굴 윤곽 등을 비교하여, 이들 특징점의 유사한 정도에 의거하여 동일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얼굴 인증 처리 등을 적용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얼굴 인증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 스텝(S26)에서는, 해당자의 얼굴 화상이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 하차객의 얼굴 화상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27)으로 진행한다. 스텝(S27)에서는,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과 촬상 시각을 결부하여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 스텝(S28)에서는, 승차객 카운터 K3에 1을 가산함과 동시에, 미귀환한 승객 수(K2-K3)와 차내에 있는 승객 수(K1-K2+K3)를 산출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S29)으로 진행한다. 스텝(S29)에서는, 산출한 미귀환한 승객 수(K2-K3)와 차내에 있는 승객 수(K1-K2+K3)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 스텝(S30)에서는, 미귀환한 승객 수(K2-K3)가 0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미귀환한 승객 수가 0이 아니라(미귀환한 승객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24)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S30)에 있어서, 미귀환한 승객 수가 0이라(전원 귀환하였다)고 판단하면, 그 후 처리를 끝낸다.
한편, 스텝(S26)에 있어서, 해당자의 얼굴 화상이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되어 있는 하차객의 얼굴 화상과 일치하지 않는다(불일치)고 판단하면 스텝(S31)으로 진행한다. 스텝(S31)에서는, 불일치하였다는 것을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30)으로 진행한다.
스텝(S31)에서 실행되는 통지 처리에 의해, 승무원 등은 승차해 온 사람이 재승차한 승객이 아니라는 것을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승차해 온 사람에게 오승차 확인 등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대의 버스로 여행할 경우에는, 다른 버스에 장비된 승객 관리 장치(1)에 해당자의 얼굴 화상을 송신하여, 각 버스의 승객 관리 장치(1)로 화상 조합 처리를 실행하여, 그들의 조합 결과를 수신하여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복수의 승객 관리 장치(1)를 연계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승차해 온 사람이 버스를 잘못 탔을 경우에, 승차해야 할 버스를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에 의하면,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에 기억되는 승차객의 화상 및 그 촬상 시각과,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되는 하차객의 화상 및 그 촬상 시각에 의거하여, 버스에 승차해 있는 인원수(승객 수)를 상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의 얼굴 화상과 하차 후에 승차해 온 승객의 얼굴 화상을 조합(얼굴 인증)함으로써, IC태그 등의 전용 기기를 승객에게 소지시키지 않아도 승객의 귀환 상태를 적절히 관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과는 다른 인물, 예를 들어 수상한 사람 등이 승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2)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A)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단,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2)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A)는, 승강하는 승객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 센서(31)를 새로이 장비하고 있다. 또한, 얼굴 화상의 조합 결과(얼굴 인증 결과)가 불일치되었을 경우에,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해 외부의 수상한 사람 정보 등록 서버(4)에 접속하여, 수상한 사람 정보 등록 서버(4)에서 실행된 수상한 사람 데이터와의 조합 결과를 수신하여 통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실시예(2)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A)는, 승차객용 카메라(10), 하차객용 카메라(20), 시계부(30), 지문 센서(31), 기억부(40A), 마이크로컴퓨터(마이컴)(50A), 표시부(60), 통신부(70A), 및 조작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지문 센서(31)는, 예를 들어 반도체식 지문 센서로 구성되어, 손가락을 해당 센서 위에 올렸을 때에, 지문의 요철에 의해 다른 전극의 전하의 변화를 검출하여, 이 전하량을 전압으로 변환하고, 더욱이 지문 화상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취득한 지문 화상으로부터 특징점, 예를 들어 지문 모양의 중심점, 지문 돌출부 모양의 분기점, 끝점, 삼각주 등을 추출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지문 센서(31)는, 승강 시에 손가락을 터치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하면 좋고, 예를 들어 버스 승차 문이나 하차 문 부근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문 센서(31)를 복수 설치해도 좋다.
더욱이, 실시예(2)에서는, 생체 인증 정보 취득 수단으로 지문 센서(31)를 채용하였지만, 생체 인증 정보 취득 수단은 지문 센서(31)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람의 정맥 패턴, 망막, 또는 음성(성문) 등의 개인을 식별 가능한 생체 정보를 취득 가능한 1개 이상의 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
기억부(40A)는, 승차객 화상 기억부(41A)와, 하차객 화상 기억부(42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승차객 화상 기억부(41A)에는, 승차객용 카메라(10)로 촬상된 승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 및 지문 센서(31)로 취득한 승차하는 승객의 지문 정보(지문 화상 및 특징점)가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된다. 하차객 화상 기억부(42A)에는, 하차객용 카메라(20)로 촬상된 하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 및 지문 센서(31)로 취득한 하차하는 승객의 지문 정보(지문 화상 및 특징점)가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된다.
마이컴(50A)에는, 승차객 화상 기억부(41A)와 하차객 화상 기억부(42A)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객 수를 검출하는 승객 수 검출부(51a)와, 승객 수 통지부(51b)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승차객 화상 기억부(41A)와 하차객 화상 기억부(42A)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과 하차 후에 승차해 온 상기 승객을 조합하는 처리(화상 인식 처리)를 실행하는 승강객 조합부(52a)와, 조합 결과 통지부(52b)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수상한 사람 조합 결과 수신부(72)로 수신한 수상한 사람 정보를 표시부(60)에 표시하여 통지하는 수상한 사람 정보 통지부(53)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마이컴(50A)에는, 이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상기 각 통지 처리는, 표시부(60)로의 표시만이 아니라, 도시하지 않은 음성 출력부로부터 합성 음성을 출력하여 통지해도 좋다.
통신부(70A)에는, 승객 화상 송신부(71)와, 수상한 사람 조합 결과 수신부(72)와, 통보부(73)로서의 기능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승객 화상 송신부(71)는, 승강객 조합부(52a)에 의한 조합 결과, 불일치하였을 경우에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무선 기지국(3),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해 수상한 사람 정보 등록 서버(4)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수상한 사람 조합 결과 수신부(72)는, 수상한 사람 정보 등록 서버(4)로부터 송신된 수상한 사람 조합 결과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통보부(73)는, 조합 결과가 수상한 사람이었을 경우에, 경찰이나 공안경찰, 보안업체 등의 외부 기관에 통보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승객 관리 장치(1A)는,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 단말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복수의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에 의해 승객 관리 장치(1A)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승차객용 카메라(10), 하차객용 카메라(20) 및 지문 센서(31)와, 기억부(40A) 및 마이컴(50A)을 포함한 다른 구성 부분이 각각의 장치로 구성되어, 상호 통신에 의해 정보의 상호 전달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수상한 사람 정보 등록 서버(4)는, 수상한 사람 정보 데이터베이스(4a)를 장비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수상한 사람 정보 데이터베이스(4a)에는, 경찰이나 공안경찰 등에서 수집된 수상한 사람(범죄자 등)의 이름, 얼굴 화상, 신체적 특징, 전과 등을 포함한 수상한 사람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수상한 사람 정보 등록 서버(4)는, 승객 관리 장치(1A)로부터 화상을 수신하면, 해당 화상을 수상한 사람 정보 데이터베이스(4a)의 화상과 조합하여, 조합 결과를 승객 관리 장치(1A)에 송신한다. 조합 결과에는, 예를 들어 일치 또는 불일치 결과 정보, 게다가 수상한 사람과 일치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수상한 사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2)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A)에 있어서 마이컴(50A)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처리 동작은, 예를 들어 출발 지점 등에서 승차 예정인 승객(여행객)을 버스에 승차시킬 때 실행된다. 더욱이, 도 2에 도시한 처리 동작과 동일한 처리 동작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스텝(S1)에서는, 승차객용 카메라(10)의 기동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승객 수 카운터 K1을 0으로 설정하고(스텝(S2)), 그 후 촬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S3)). 스텝(S4)에서는,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41)으로 진행한다.
스텝(S41)에서는, 지문 센서(31)로 지문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스텝(S41)에 있어서, 지문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42)으로 진행한다. 스텝(S42)에서는,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 및 지문 정보를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승차객 화상 기억부(41A)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6)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41)에 있어서, 지문을 검출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S43)으로 진행하여,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승차객 화상 기억부(41A)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6)으로 진행한다.
스텝(S6)에서는, 승객 수 카운터 K1에 1을 가산하고, 그 후 승객 수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스텝(S7)). 스텝(S8)에서는, 승차 예정인 전원의 승차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승차 예정인 전원의 승차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S4)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S8)에 있어서, 승차 예정인 전원의 승차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승객 수 카운터 K1을 승객 수로 기억하고(스텝(S9)), 그 후 처리를 끝낸다.
도 6, 도 7은, 실시예(2)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A)에 있어서 마이컴(50A)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예를 들어 휴게 지점이나 관광 지점 등에서 승객이 버스에서 하차할 때에 실행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며, 도 7은, 예를 들어 휴게 지점이나 관광 지점 등에서 하차한 승객이 버스에 재승차할 때에 실행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도 3a, 도 3b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한 처리 동작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낸 스텝(S11)에서는, 하차객용 카메라(20)를 기동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하차객 카운터 K2를 0으로 설정하고(스텝(S12)), 그 후 촬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S13)). 다음 스텝(S14)에서는, 촬상된 화상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51)으로 진행한다.
스텝(S51)에서는, 지문 센서(31)로 지문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스텝(S51)에 있어서, 지문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52)으로 진행한다. 스텝(S52)에서는,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 및 지문 정보를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하차객 화상 기억부(42A)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6)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51)에 있어서, 지문을 검출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S53)으로 진행하여,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하차객 화상 기억부(42A)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6)으로 진행한다.
스텝(S16)에서는, 하차객 카운터 K2에 1을 가산함과 동시에, K1에서 K2를 감산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다음 스텝(S17)에서는, 하차객 수(K2의 값)와 차내에 남아 있는 승객 수(K1-K2의 값)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18)에서는, 차내에 남아 있는 승객 수(K1-K2)가 0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차내에 남아 있는 승객 수가 0이 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S14)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S18)에 있어서, 차내에 남아 있는 승객 수가 0이 되었다고 판단하면, 하차객 카운터 K2를 하차객 수로 기억하고(스텝(S19)), 그 후 처리를 끝낸다.
도 7에 나타낸 스텝(S21)에서는, 승차객용 카메라(10)를 기동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승차객 카운터 K3을 0으로 설정하고(스텝(S22)), 그 후 촬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S23)). 다음 스텝(S24)에서는, 승차해 오는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61)으로 진행한다.
스텝(S61)에서는, 지문 센서(31)로 지문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스텝(S61)에 있어서 지문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62)으로 진행한다. 스텝(S62)에서는,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 및 지문 정보와, 하차객 화상 기억부(42A)에 기억된 정보(하차객 화상 및 지문 정보, 또는 하차객 화상)를 조합하는 처리(얼굴 인증 및 지문 인증 처리, 또는 얼굴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지문 인증 처리로는, 해당자의 지문 화상과, 하차객 화상 기억부(42A)에 기억된 하차객의 지문 정보를 각각 비교(조합)한다. 비교할 때에는, 예를 들어 각 지문 화상으로부터 지문의 특징점, 예를 들어 지문 모양의 중심점, 지문 철부 모양의 분기점, 끝점, 삼각주 등을 추출하고, 이들의 특징점 등을 비교하여, 이들의 특징점의 유사 정도에 따라 동일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지문 인증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 스텝(S63)에서는, 해당자의 얼굴 화상 및 지문이, 하차객 화상 기억부(42A)에 기억되어 있는 하차객의 얼굴 화상 및 지문과 일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치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64)으로 진행한다. 스텝(S64)에서는,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 및 지문 정보를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승차객 화상 기억부(41A)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28)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61)에 있어서, 지문을 검출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S65)으로 진행하여,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과, 하차객 화상 기억부(42A)에 기억된 하차객 화상을 조합하는 처리(얼굴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 스텝(S66)에서는, 해당자의 얼굴 화상이, 하차객 화상 기억부(42A)에 기억되어 있는 하차객의 얼굴 화상과 일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67)으로 진행한다. 스텝(S67)에서는,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승차객 화상 기억부(41A)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28)으로 진행한다. 스텝(S28)~(S30)의 처리 동작은, 도 3b에 도시한 스텝(S28)~(S30)의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스텝(S63)에 있어서, 하차객의 얼굴 화상 및 지문이 어느 것도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스텝(S68)으로 진행하여, 승차해 온 승객의 화상 및 지문 정보를 수상한 사람 정보 등록 서버(4)로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70)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S66)에 있어서, 하차객의 얼굴 화상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스텝(S69)으로 진행하여, 승차해 온 승객의 화상을 수상한 사람 정보 등록 서버(4)로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70)으로 진행한다.
스텝(S70)에서는, 수상한 사람 정보 등록 서버(4)로부터 송신된 수상한 사람 조합 결과를 수신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71)으로 진행한다. 스텝(S71)에서는, 수상한 사람 조합 결과가, 수상한 사람인지(수상한 사람과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수상한 사람이라고 판단하면 스텝(S72)으로 진행한다. 스텝(S72)에서는, 경찰·공안경찰 또는 보안업체 등의 외부 통보 기관(5)에, 수상한 사람이 승차해 온 정보를 통보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74)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71)에 있어서, 수상한 사람이 아니었다(수상한 사람과 불일치)고 판단하면 스텝(S73)으로 진행하여, 잘못 승차하였다는 것을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74)으로 진행한다. 스텝(S74)에서는, 승차객 카운터 K3은 K3의 상태에서, 미귀환한 승객 수(K2-K3)와 차내에 있는 승객 수(K1-K2+K3)를 계산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29)으로 진행한다.
더욱이, 여러 대의 버스로 여행하는 경우에는, 스텝(S73)에 있어서, 다른 버스에 장비된 승객 관리 장치(1A)에 해당자의 얼굴 화상을 송신하여, 각 버스의 승객 관리 장치(1A)로 화상 조합 처리를 실행하고, 그들의 조합 결과를 수신하여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승차해 온 사람이 버스를 잘못 승차하였을 경우에는, 승차해야 할 버스를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
상기 실시예(2)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A)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승객 관리 장치(1A)에 의하면, 승객 수 검출부(51a)에 의한 승객 수의 검출 처리나 승강객 조합부(52a)에 의한 승강객의 조합 처리에 있어서, 화상 정보와 함께 승강객의 지문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승객 수의 검출 정밀도나 귀환 시 등에 있어서의 승강객의 조합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어, 정밀도가 높은 승객 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승객 관리 장치(1A)에 의하면, 상기 스텝(S62), (S65)에 있어서의 조합 결과가 불일치하였을(하차객이 아닌 사람이 승차해 온) 경우에, 수상한 사람 정보 등록 서버(4)에 해당자의 화상을 송신한다. 그리고, 수상한 사람 정보 데이터베이스(4a)에 등록된 수상한 사람 정보와 조합한 결과(얼굴 인증 결과)를 수신하여 통지하는 동시에, 수상한 사람이었을 경우에 외부 통보 기관(5)에 통보한다. 따라서 승무원 등은, 오승차나 수상한 사람의 승차를 재빨리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수상한 사람인 경우에는,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대책을 신속하게 강구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통보 기관(5)에 통보함으로써, 경찰이나 경비 담당자가 신속하게 출동하는 것이 가능해져, 수상한 사람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3)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B)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단,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3)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B)에서는, 2개의 승차객용 카메라(10), (11)를 장비하여, 버스에 승차하는 승객을 다른 방향(각도)에서 촬상하고, 2방향에서 촬상된 복수의 화상에 의거하여 승차하는 승객의 입체 화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2개의 하차객용 카메라(20), (21)를 장비하여, 버스에서 하차하는 승객을 다른 방향(각도)에서 촬상하고, 2방향에서 촬상된 복수의 화상에 의거하여 하차하는 승객의 입체 화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들 입체 화상을 이용하여,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과, 하차 후에 승차해 온 승객을 조합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실시예(3)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B)는, 승차객용 카메라(10), (11), 입체 화상 생성부(13), 하차객용 카메라(20), (21), 입체 화상 생성부(23), 시계부(30), 기억부(40B), 마이컴(50B), 표시부(60), 통신부(70), 및 조작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승차객용 카메라(10), (11)와 하차객용 카메라(20), (21) 대신에, 3D 화상을 생성하는 3D 카메라를 각각 채용해도 좋다.
입체 화상 생성부(13)는, 승차객용 카메라(10), (11)에 의해 2방향에서 촬상된 복수의 화상에 의거하여 승차객의 입체 화상(특히 얼굴의 입체(3D)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방향(모든 방향)에서 본 승차객의 얼굴 화상(입체 화상)을 재현할 수 있다.
입체 화상 생성부(23)는, 하차객용 카메라(20), (21)에 의해 2방향에서 촬상된 복수의 화상에 의거하여 하차객의 입체 화상(특히 얼굴의 입체(3D)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방향(모든 방향)에서 본 하차객의 얼굴 화상(입체 화상)를 재현할 수 있다.
기억부(40B)는, 승차객 화상 기억부(41B)와 하차객 화상 기억부(42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승차객 화상 기억부(41B)에는, 입체 화상 생성부(13)로 생성된 승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입체 화상이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된다. 하차객 화상 기억부(42B)에는, 입체 화상 생성부(23)로 생성된 하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입체 화상이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된다.
마이컴(50B)에는, 승차객 화상 기억부(41B)와 하차객 화상 기억부(42B)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객 수를 검출하는 승객 수 검출부(51a)와, 승객 수 통지부(51b)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승차객 화상 기억부(41B)와 하차객 화상 기억부(42B)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과 하차 후에 승차해 온 상기 승객을 조합(화상 인식 처리)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승강객 조합부(52a)와, 조합 결과 통지부(52b)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마이컴(50B)에는, 이들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상기 각 통지 처리는, 표시부(60)로의 표시뿐만 아니라, 도시하지 않은 음성 출력부에서 합성 음성을 출력하여 통지해도 좋다.
승객 관리 장치(1B)는, 태블릿 단말기 등의 휴대 단말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휴대 단말 장치를 사용한 시스템 또는 3D 카메라를 탑재한 1개 이상의 휴대 단말 장치로 승객 관리 장치(1B)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승차객용 카메라(10), (11), 입체 화상 생성부(13), 하차객용 카메라(20), (21), 입체 화상 생성부(23), 및 시계부(30)와, 기억부(40B) 및 마이컴(50B)을 포함한 다른 구성 부분이 각각의 장치로 구성되어, 상호 통신에 의해 정보의 상호 전달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9는, 실시예(3)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B)에 있어서 마이컴(50B)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처리 동작은, 예를 들어 출발 지점 등에서 승차 예정(예약)인 승객을 버스에 승차시킬 때에 실행된다. 더욱이, 도 2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한 처리 동작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스텝(S1)에서는, 승차객용 카메라(10), (11)를 기동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승객 수 카운터 K1을 0으로 설정하고(스텝(S2)), 그 후 촬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S3)). 스텝(S4)에서는,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81)으로 진행한다.
스텝(S81)에서는, 승차객용 카메라(10), (11)에 의해 2방향에서 촬상된 복수의 화상에 의거하여 승차객의 입체 화상, 예를 들어 승차객 얼굴의 입체 화상을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 스텝(S82)에서는, 생성된 승차객의 얼굴을 포함한 입체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승차객 화상 기억부(41B)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6)으로 진행한다. 스텝(S6)~(S9)의 처리 동작은, 도 2에 나타낸 스텝(S6)~(S9)의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a, 도 10b는, 실시예(3)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B)에 있어서 마이컴(50B)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a는, 예를 들어 휴게 지점이나 관광 지점 등에서 승객이 버스에서 하차할 때에 실행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고, 도 10b는, 예를 들어 휴게 지점이나 관광 지점 등에서 하차한 승객이 버스에 재탑승할 때에 실행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도 3a, 도 3b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한 처리 동작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a에 나타낸 스텝(S11)에서는, 하차객용 카메라(20), (21)를 기동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하차객 카운터 K2를 0으로 설정하고(스텝(S12)), 그 후 촬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S13)). 다음 스텝(S14)에서는,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91)으로 진행한다.
스텝(S91)에서는, 하차객용 카메라(20), (21)에 의해 2방향에서 촬상된 복수의 화상에 의거하여 하차객의 입체 화상, 예를 들어 하차객 얼굴의 입체 화상을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의 스텝(S92)에서는, 생성된 하차객의 얼굴을 포함한 입체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하차객 화상 기억부(42B)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6)으로 진행한다. 스텝(S16)~(S19)의 처리 동작은, 도 3a에 나타낸 스텝(S16)~(S19)의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 도 10b에 나타낸 스텝(S21)에서는, 승차객용 카메라(10), (11)를 기동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승차객 카운터 K3을 0으로 설정하고(스텝(S22)), 그 후 촬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S23)). 스텝(S24)에서는, 승차해 오는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101)으로 진행한다.
스텝(S101)에서는, 승차객용 카메라(10), (11)에 의해 2방향에서 촬상된 복수의 화상에 의거하여 승차객의 입체 화상, 예를 들어 승차객 얼굴의 입체 화상을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 스텝(S102)에서는, 해당 승차객의 얼굴을 포함한 입체 화상과, 하차객 화상 기억부(42B)에 기억된 하차객 얼굴의 입체 화상을 조합하는 처리(얼굴 입체 화상에 의한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얼굴의 입체 화상 조합 처리로는, 예를 들어 해당 승차객 얼굴의 입체 화상과, 하차객 화상 기억부(42B)에 기억된 하차객 얼굴의 입체 화상을 각각 비교한다. 비교할 때에는, 예를 들어 각 입체 화상으로부터 얼굴의 특징, 예를 들어 눈, 코, 입 등의 위치, 크기, 높이, 얼굴 윤곽 등의 입체적인 특징점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들의 특징점을 비교하여, 이들의 특징점의 유사 정도에 따라 동일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얼굴 인증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그 이외의 방법에 의한 얼굴 인식 기술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 스텝(S103)에서는, 해당자 얼굴의 입체 화상이, 하차객 화상 기억부(42B)에 기억되어 있는 하차객 얼굴의 입체 화상과 일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104)으로 진행한다. 스텝(S104)에서는,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입체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승차객 화상 기억부(41B)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28)으로 진행한다. 스텝(S28)~(S31)의 처리 동작은, 도 3b에 나타낸 스텝(S28)~(S31)의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3)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B)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승객 관리 장치(1B)에 의하면, 승강객 얼굴의 입체 화상(3D 화상)을 생성하고, 승강객 조합부(52a)에 의해,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 얼굴의 입체 화상과 하차 후에 승차한 승객 얼굴의 입체 화상이 조합되기 때문에, 평면 화상끼리를 조합할 경우와 비교하여, 조합 정밀도(얼굴 인증 정밀도)를 거의 100%에 가까운 확률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단,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에서는, 승차권에 기재된 코드(바코드, 2차원 코드 등)를 판독하는 코드 판독부(32)를 장비하고 있다. 그리고, 코드에 기억된 승객 정보(승객의 이름, 좌석 위치, 휴대 단말 장치의 연락처 정보 등)를 승객 정보 기억부(43)에 기억하고, 승객 정보와, 승차객 화상 기억부(41)나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된 정보를 결부하여, 버스의 공석 정보를 검출하여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승강객 조합부(52a)에 의한 조합 결과, 예정 시각(출발 예정 시각)에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6)에 위치 정보 요청 신호를 송신하여, 휴대 단말 장치(6)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휴대 단말 장치(6)에는,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이 포함된다.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는, 승차객용 카메라(10), 하차객용 카메라(20), 시계부(30), 코드 판독부(32), 기억부(40C), 마이컴(50C), 표시부(60), 통신부(70C), 및 조작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코드 판독부(32)는, 승차권에 기재된 코드(바코드, 2차원 코드 등)를 광학적으로 판독하는 장치이며, 전용 판독 장치 이외에 판독 기능(판독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탑재된 휴대 단말 장치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코드 판독부(32)는, 승차하는 승객이 승차권을 접촉시키기 쉬운 장소에 설치하면 좋으며, 또는 승무원이 코드 판독부(32)를 손에 들고 승차권에 접촉시켜도 좋다.
기억부(40C)는,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와 하차객 화상 기억부(42) 이외에 코드 판독부(32)로 판독된 코드에 기록되어 있는 승객 정보(예를 들어, 승객 이름이나 좌석 위치 등)가 기억되는 승객 정보 기억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마이컴(50C)에는, 승객 수 검출부(51a), 승객 수 통지부(51b), 승강객 조합부(52a), 및 조합 결과 통지부(52b)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게다가, 승객 정보 결부부(54a), 공석 정보 검출부(54b), 공석 정보 통지부(54c), 공석 수 판단부(54d), 판단 결과 통지부(54e), 및 위치 정보 통지부(55)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마이컴(50C)에는, 이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승객 정보 결부부(54a)는, 승차객 화상 기억부(41) 및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된 정보와, 승객 정보 기억부(43)에 기억된 정보(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를 포함)를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공석 정보 검출부(54b)는, 승객 정보 결부부(54a)로 결부된 정보에 의거하여, 버스의 공석 위치 및 공석 수를 검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공석 정보 통지부(54c)는, 공석 정보 검출부(54b)로 검출된 공석 위치 및/또는 공석 수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공석 수 판단부(54d)는, 승객 수 검출부(51a)로 검출된 승객 수에 대해, 공석 정보 검출부(54b)로 검출된 공석 수가 맞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판단 결과 통지부(54e)는, 공석 수 판단부(54d)에 의한 판단 결과를 표시부(60)에 표시하여 경보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위치 정보 통지부(55)는, 승객이 소지한 휴대 단말 장치(6)로부터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해 수신한 위치 정보를 표시부(60)에 표시하여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각 통지 처리는, 표시부(60)로의 표시뿐만 아니라, 도시하지 않은 음성 출력부로부터 합성 음성을 출력하여 통지해도 좋다.
통신부(70C)에는, 위치 정보 요구 신호 송신부(74)와, 위치 정보 수신부(75)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위치 정보 요구 신호 송신부(74)는, 승강객 조합부(52a)에 의한 조합 결과, 예정 시각(출발 예정 시각)에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6)에 위치 정보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위치 정보 수신부(75)는, 휴대 단말 장치(6)로부터 송신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승객 관리 장치(1C)는, 예를 들어 카메라부, 코드 판독부(애플리케이션), 및 무선 통신부를 탑재하고 있는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 단말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복수의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에 의해 승객 관리 장치(1C)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승차객용 카메라(10), 하차객용 카메라(20), 시계부(30) 및 코드 판독부(32)와, 기억부(40C) 및 마이컴(50C)을 포함한 다른 구성 부분이 각각의 장치로 구성되어, 상호 통신에 의해 정보의 상호 전달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2는,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에 있어서 마이컴(50C)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처리 동작은, 예를 들어 출발 지점 등에서 승차 예정인 승객(여행객)을 버스에 승차시킬 때에 실행된다. 더욱이, 도 2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한 처리 동작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스텝(S1)에서는, 승차객용 카메라(10)를 기동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승객 수 카운터 K1을 0으로 설정하고(스텝(S2)), 그 후 촬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S3)). 스텝(S4)에서는,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5)으로 진행하고,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S111)으로 진행한다.
다음 스텝(S111)에서는, 코드 판독부(32)로 승차권의 코드 판독을 실행하고, 스텝(S112)에서는, 판독한 코드에 기억되어 있는 승객 정보(이름 및 좌석 위치를 포함)를 승객 정보 기억부(43)에 기억하고, 그 후 스텝(S113)으로 진행한다.
스텝(S113)에서는,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에 기억된 정보와, 승객 정보 기억부(43)에 기억된 승객 정보를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승차객 화상과, 이름 및 좌석 위치를 연관 코드(데이터) 등으로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6)으로 진행한다. 이 처리에 의해 촬상된 화상과, 이름 및 좌석 위치가 결부된다.
다음 스텝(S6)에서는, 승객 수 카운터 K1에 1을 가산하고, 다음 스텝(S7)에서는, 승객 수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14)으로 진행한다. 스텝(S114)에서는, 스텝(S113)에서 결부된 정보에 의거하여 버스의 공석 위치 및 공석 수를 검출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15)으로 진행한다. 스텝(S115)에서는, 상기 검출된 공석 위치 및/또는 공석 수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8)으로 진행한다.
다음 스텝(S8)에서는, 승차 예정인 전원의 승차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승객의 승차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S4)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S8)에 있어서, 전원의 승차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9)으로 진행하여, 승객 수 카운터 K1을 승객 수로 기억하고, 그 후 처리를 끝낸다.
도 13, 도14는,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에 있어서 마이컴(50C)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예를 들어 휴게 지점이나 관광 지점 등에서 승객이 버스에서 하차할 때에 실행되는 처리 동작을, 도 14는, 예를 들어 휴게 지점이나 관광 지점 등에서 하차한 승객이 버스에 재승차할 때에 실행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도 3a, 도 3b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한 처리 동작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나타낸 스텝(S11)에서는, 하차객용 카메라(20)를 기동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하차객 카운터 K2를 0으로 설정하고(스텝(S12)), 그 후 촬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S13)). 다음 스텝(S14)에서는,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15)으로 진행한다. 스텝(S15)에서는,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21)으로 진행한다.
스텝(S121)에서는, 촬상한 하차객 화상을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에 기억되어 있는 승차객 화상과 조합(얼굴 인증 처리)하고, 다음 스텝(S122)에서는, 하차객 화상에 일치하는 승차객 화상을 추출한다. 다음 스텝(S123)에서는, 추출한 승차객 화상에 결부된 승객 정보와 하차객 화상을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6)으로 진행한다.
다음 스텝(S16)에서는, 하차객 카운터 K2에 1을 가산함과 동시에, K1에서 K2를 감산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 스텝(S17)에서는, 하차객 수(K2의 값)와 차내에 남아 있는 승객 수(K1-K2의 값)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S124)으로 진행한다.
다음 스텝(S124)에서는, 스텝(S123)에서 결부된 정보에 의거하여 버스의 공석 위치 및 공석 수를 검출하는 처리를 실행한 후 스텝(S125)으로 진행한다. 스텝(S125)에서는, 상기 검출된 공석 위치 및/또는 공석 수를 표시부(60)에 표시하여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8)으로 진행한다.
다음 스텝(S18)에서는, 차내에 남아 있는 승객 수(K1-K2)가 0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차내에 남아 있는 승객 수(K1-K2)가 0이 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S14)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S18)에 있어서, 차내에 남아 있는 승객 수가 0이 되었다고 판단하면, 하차객 카운터 K2를 하차객 수로 기억하고(스텝(S19)), 그 후 처리를 끝낸다.
도 14에 나타낸 스텝(S21)~(S27)의 처리 동작은, 도 3b에 나타낸 스텝(S21)~(S27)의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27)에 있어서,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31)으로 진행한다. 스텝(S131)에서는, 스텝(S25)의 처리로 일치한 하차객 화상에 결부된 승객 정보와,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승차객 화상)을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28)으로 진행한다.
스텝(S28)에서는, 승차객 카운터 K3에 1을 가산함과 동시에, 미귀환한 승객 수(K2-K3)와 차내에 있는 승객 수(K1-K2+K3)를 계산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 스텝(S29)에서는, 미귀환한 승객 수(K2-K3)와 차내에 있는 승객 수(K1-K2+K3)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32)으로 진행한다.
다음 스텝(S132)에서는, 스텝(S131) 등에서 결부된 정보에 의거하여 버스의 공석 위치 및 공석 수를 검출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33)으로 진행한다. 스텝(S133)에서는, 상기 검출된 공석 위치 및/또는 공석 수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34)으로 진행한다. 스텝(S134)에서는, 귀환 예정 시각(출발 예정 시각)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귀환 예정 시각이 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S24)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귀환 예정 시각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S30)으로 진행한다. 스텝(S30)에서는, 미귀환한 승객 수(K2-K3)가 0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30)에 있어서, 미귀환한 승객 수가 0이 아니라(미귀환한 승객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135)으로 진행한다. 스텝(S135)에서는, 상기 공석 위치로부터 미귀환한 승객 정보를 추출하여, 미귀환한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6)에 위치 정보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36)으로 진행한다. 미귀환한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6)는, 위치 정보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위치 정보를 승객 관리 장치(1C)로 송신하는 처리가 실행되게 되어 있다.
스텝(S136)에서는, 미귀환한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6)로부터 송신되어 온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다음 스텝(S137)에서는, 미귀환한 승객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지도 상의 위치)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24)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S30)에 있어서, 미귀환한 승객 수(K2-K3)가 0이 되었다고 판단하면 그 후 처리를 끝낸다.
상기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1)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승객 관리 장치(1C)에 의하면, 승객 정보 결부부(54a)에 의해, 승차한 승객의 화상 및 하차한 승객의 화상과, 승객의 이름, 좌석 위치 및 연락처 정보가 결부(연관)되기 때문에, 승객 수뿐만 아니라, 버스의 공석 위치 및 공석 수를 관리할 수 있다. 게다가 승객 수에 대해 공석 수가 맞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가 통지되기 때문에, 승객 수에 대해 공석 수가 맞지 않을 경우, 승무원은 승객 수의 확인을 신속하게 실행할 수 있고, 승객 수의 검출 누락 또는 이중 검출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승객 관리 장치(1C)에 의하면, 귀환 예정 시각에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6)에 위치 정보 요구 신호를 송신하고, 휴대 단말 장치(6)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해당 위치 정보를 통지한다. 따라서, 승무원 등은 예정 시각에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미귀환한 승객의 위치 정보를 경시적으로 수신함으로써,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귀환 상태(예를 들어, 버스를 향하고 있는 상태 등)도 파악할 수 있다.
도 15는, 실시예(5)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D)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단,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에서는, 코드 판독부(32)로 승차권의 코드를 판독하여, 코드에 기록되어 있는 승객 정보를 기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실시예(5)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D)는, 승차객용 카메라(10)로 촬상된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를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7)에 송신하고,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7)로부터 수신한 승객 정보를 승차객 화상이나 하차객 화상과 결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에서는, 귀환 예정 시각까지 미귀환한 승객에 대해 위치 정보를 요구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실시예(5)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D)에서는, 하차객의 휴대 단말 장치(6)로부터 위치 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여, 해당 위치 정보로부터 귀환 예정 시각까지 귀환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5)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D)는, 승차객용 카메라(10), 하차객용 카메라(20), 시계부(30), 기억부(40D), 마이컴(50D), 표시부(60), 통신부(70D), 및 조작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신부(70D)는, 승차객용 카메라(10)로 촬상된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를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7)에 송신하는 조합 지시 데이터 송신부(76)와,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7)로부터 송신된 조합 결과를 수신하는 조합 결과 수신부(77)를 장비하고 있다.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7)는, 승객의 이름, 좌석 위치, 휴대 단말 장치(6)의 연락처, 및 얼굴 화상을 포함한 승객 정보를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7a)를 장비하고, 서버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7)는, 승객 관리 장치(1D)로부터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한 화상과, 데이터베이스(7a)에 등록되어 있는 얼굴 화상을 조합(얼굴 인증 처리)하여, 그 조합 결과를 승객 관리 장치(1D)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게다가 통신부(70D)는, 승객이 소지하는 휴대 단말 장치(6)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부(79)와, 예정 시각까지 귀환하기 힘든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6)에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호출 신호 송신부(78)를 장비하고 있다.
기억부(40D)는,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와 하차객 화상 기억부(42) 이외에, 조합 결과 수신부(77)로 수신한 승객 정보(예를 들어 승객의 이름, 좌석 위치, 휴대 단말 장치의 연락처 정보 등)가 기억되는 승객 정보 기억부(43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마이컴(50D)에는, 승객 수 검출부(51a), 승객 수 통지부(51b), 승강객 조합부(52a), 및 조합 결과 통지부(52b)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게다가, 승객 정보 결부부(54a), 공석 정보 검출부(54b), 공석 정보 통지부(54c), 공석 수 판단부(54d), 판단 결과 통지부(54e), 및 위치 정보 통지부(55)로서의 기능과, 귀환 여부 판단부(56) 및 위치 정보 통지부(57)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마이컴(50D)에는, 이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승객 정보 결부부(54a)는, 승차객 화상 기억부(41) 및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된 정보와, 승객 정보 기억부(43A)에 기억된 승객 정보(승객의 이름, 공석 위치, 휴대 단말 장치의 연락처 정보를 포함)와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조합 결과 수신부(77)에서 수신한 조합 결과가, 데이터베이스(7a)에 등록되어 있는 승객의 얼굴 화상과 일치하는 경우에, 승차객용 카메라(10)로 촬상된 화상과, 조합 결과와 함께 수신한 상기 승객 정보를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귀환 여부 판단부(56)는, 하차객이 소지한 휴대 단말 장치(6)로부터 통신 네트워크(2)를 통해 송신되어 온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귀환 예정 시각까지 버스로 귀환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귀환 예정 시각까지 귀환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호출 신호 송신부(78)로부터 해당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6)에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지령을 실행한다. 또한, 위치 정보 통지부(57)는, 하차객의 휴대 단말 장치(6)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각 통지 처리는, 표시부(60)로의 표시뿐만 아니라, 도시하지 않은 음성 출력부로부터 합성 음성을 출력하여 통지해도 좋다.
승객 관리 장치(1D)는, 예를 들어 카메라부, 및 무선 통신부를 탑재하고 있는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 단말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복수의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에 의해 승객 관리 장치(1D)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승차객용 카메라(10), 하차객용 카메라(20), 및 시계부(30)와, 기억부(40D) 및 마이컴(50D)을 포함한 다른 구성 부분이 각각의 장치로 구성되어, 상호 통신에 의해 정보의 상호 전달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6은, 실시예(5)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D)에 있어서 마이컴(50D)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처리 동작은, 예를 들어 출발 지점 등에서 승차 예정인 승객을 버스에 승차시킬 때에 실행된다. 더욱이, 도 12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한 처리 동작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스텝(S1)에서는, 승차객용 카메라(10)를 기동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승객 수 카운터 K1을 0으로 설정하고(스텝(S2)), 그 후 촬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S3)). 스텝(S4)에서는,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141)으로 진행한다.
스텝(S141)에서는, 촬상한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를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7)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42)에 있어서,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7)로부터 조합 결과를 수신하고, 스텝(S143)으로 진행한다. 조합 결과에는, 일치 또는 불일치의 결과 정보, 또는 일치하는 경우에는, 일치한 상기 화상에 결부하여 등록되어 있는 이름, 좌석 위치, 휴대 단말 장치의 연락처 정보를 포함한 승객 정보가 포함된다.
다음 스텝(S143)에서는, 조합 결과가 일치하였는지의 여부, 즉 촬상한 화상이 데이터베이스(7a)에 등록되어 있는 승객의 화상과 일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43)에 있어서, 조합 결과가 일치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144)으로 진행하여, 해당자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 스텝(S145)에서는, 조합 결과에 포함되어 있는 승객 정보를 승객 정보 기억부(43A)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S146)에서는,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에 기억된 정보와, 승객 정보 기억부(43A)에 기억된 승객 정보를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S6)으로 진행한다. 스텝(S6)~(S9)의 처리 동작은, 도 12에 나타낸 스텝(S6)~(S9)의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스텝(S143)에 있어서, 조합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불일치)고 판단하면 스텝(S147)으로 진행하고, 승차해 온 승객이 승차 예정인 승객이 아니라는 것을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 스텝(S148)에서는, 승객 수 카운터 K1은 가산하지 않고, 스텝(S7) 이후의 처리로 진행한다.
도 17은, 실시예(5)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D)에 있어서 마이컴(50D)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처리 동작은, 예를 들어 휴게 지점이나 관광 지점 등에서 하차한 승객이 버스에 재승차할 때에 실행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도 14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한 처리 동작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휴게 지점이나 관광 지점 등에서 승객이 버스에서 하차할 때에 실행되는 처리 동작은, 도 13에 나타낸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의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에 나타낸 스텝(S21)~(S133)의 처리 동작은, 도 14에 나타낸 스텝(S21)~(S133)의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24)에 있어서, 승차해 오는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S151)으로 진행하고, 하차한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6)로부터 송신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51)에 있어서, 위치 정보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스텝(S30)으로 진행한다. 한편, 위치 정보를 수신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152)으로 진행하여, 수신한 위치 정보를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 스텝(S153)에서는, 위치 정보(버스의 위치와 승객의 현재 위치와의 거리)에 의거하여, 예정 시각까지 귀환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귀환 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스텝(S30)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153)에 있어서, 귀환 불가능하다고 판단하면 스텝(S154)으로 진행하여, 해당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6)에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30)으로 진행한다. 호출 신호는, 귀환을 재촉하기 위한 신호이며, 전화 호출 신호, 전자 메일 등의 메시지 통지 등이 포함된다.
스텝(S30)에서는, 미귀환한 승객 수(K2-K3)가 0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미귀환한 승객 수가 0이 아니라(미귀환한 승객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24)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미귀환한 승객 수가 0이라고 판단하면, 그 후 처리를 끝낸다.
상기 실시예(5)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D)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승객 관리 장치(1D)에 의하면, 승차해 온 승객의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가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7)에 송신되고,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7)로부터 조합 결과를 수신하여, 조합 결과가 일치하였을 경우에, 조합 결과와 함께 수신한 승객 정보를 기억하고, 해당 승객 정보와 승차객의 화상이 결부된다. 따라서, 출발 지점 등에 있어서, 버스에 승객이 탑승할 때에, 승무원이 승객의 이름과 승차권 등을 승객에게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승차해 온 승객의 화상으로부터 승객 정보를 자동적으로 결부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승무원의 수고를 덜 수 있고,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승객 관리 장치(1D)에 의하면, 하차한 승객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소정 간격으로 수신하여, 해당 위치 정보로부터 예정 시각까지 귀환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 귀환할 수 없는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6)에 호출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미귀환한 승객의 위치에 따라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고, 예정 시각까지 귀환할 수 있도록 적절한 타이밍에 호출을 실행할 수 있으며, 승객의 귀환이 대폭적으로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실시예(6)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E)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단,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에서는, 코드 판독부(32)로 승차권의 코드를 판독하여, 코드에 기록되어 있는 승객 정보를 기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실시예(6)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E)에서는, 승객 정보 기억부(43B)에 승차 예정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승차객용 카메라(10)로 촬상된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를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8)에 송신하고,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8)로부터 조합 결과를 수신하여, 해당 조합 결과가 일치하였을 경우에 포함되는 개인 정보(이름)와 동일한 이름이 승객 정보 기억부(43B)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승객 정보와 승차객 화상을 결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6)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E)에서는, 승객으로부터 보관한 수하물 정보를 등록하고, 예정 시각까지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수하물이 있을 경우, 해당 수하물의 확인이나 이동을 재촉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6)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E)는, 승차객용 카메라(10), 하차객용 카메라(20), 시계부(30), 기억부(40E), 마이컴(50E), 표시부(60), 통신부(70E), 및 조작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통신부(70E)는, 승차객용 카메라(10)로 촬상된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를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8)에 송신하는 조합 지시 데이터 송신부(76A)와,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8)에서 조합된 결과를 수신하는 조합 결과 수신부(77A)를 장비하고 있다.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8)는, 개인을 특정 가능한 개인 번호, 이름 및 얼굴 화상을 포함한 특정 개인 정보(예를 들어, 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한 개인 정보) 등을 등록하는 데이터베이스(8a)를 장비하고, 서버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40E)는,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와 하차객 화상 기억부(42) 이외에, 승차 예정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를 포함한 승객 정보가 사전에 기억되어 있는 승객 정보 기억부(43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합 결과 수신부(77A)로 수신한 개인 정보(예를 들어, 적어도 이름을 포함)와 승객 정보 기억부(43B)에 기억된 승객 정보(예를 들어, 이름)가 조합된다.
마이컴(50E)에는, 승객 수 검출부(51a), 승객 수 통지부(51b), 승강객 조합부(52a), 및 조합 결과 통지부(52b)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게다가, 승객 정보 결부부(54a), 공석 정보 검출부(54b), 공석 정보 통지부(54c), 공석 수 판단부(54d), 및 판단 결과 통지부(54e)로서의 기능과, 수하물 판단부(58a) 및 수하물 통지부(58b)로서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마이컴(50E)은, 이들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승객 정보 결부부(54a)는, 승차객 화상 기억부(41) 및 하차객 화상 기억부(42)에 기억된 정보와, 승객 정보 기억부(43B)에 기억된 정보(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를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조합 결과 수신부(77A)로 수신한 조합 결과가, 데이터베이스(8a)에 등록되어 있는 개인의 얼굴 화상과 일치함과 동시에, 조합 결과에 포함되는 개인 정보(이름)와 동일한 이름이 승객 정보 기억부(43B)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 해당 승객의 정보(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 등)와 승차객용 카메라(10)로 촬상된 화상을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조합 결과 수신부(77A)로 수신한 조합 결과가, 데이터베이스(8a)에 등록되어 있는 개인 정보(얼굴 화상)와 일치하는 경우에, 승차객용 카메라(10)로 촬상된 화상과, 조합 결과와 함께 수신한 개인 정보(이름 등)를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승차객의 화상과 이름을 자동적으로 결부할 수 있다.
수하물 판단부(58a)는, 승강객 조합부(52a)에 의한 조합 결과, 예정 시각에 귀환하지 않은 승객이 검출되었을 경우, 수하물 정보 등록부(44)에 등록된 수하물의 정보에 의거하여,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수하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수하물 통지부(58b)는, 수하물 판단부(58a)에 있어서,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수하물이 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해당 승객의 수하물을 확인하고, 또는 이동을 재촉하는 내용을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한다.
승객 관리 장치(1E)는, 예를 들어 카메라부 및 무선 통신부 등을 탑재하고 있는 태블릿 단말 등의 휴대 단말 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휴대 단말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에 의해 승객 관리 장치(1E)를 구축할 수도 있다. 또한, 승차객용 카메라(10), 하차객용 카메라(20), 및 시계부(30)와, 기억부(40E) 및 마이컴(50E)을 포함한 다른 구성 부분이 각각의 장치로 구성되어, 상호 통신에 의해 정보의 상호 전달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9는, 실시예(6)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E)에 있어서 마이컴(50E)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처리 동작은, 예를 들어 출발 지점 등에서 승차 예정(예약)인 승객을 버스에 승차시킬 때에 실행된다. 더욱이, 도 12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한 처리 동작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스텝(S1)에서는, 승차객용 카메라(10)를 기동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이어서 승객 수 카운터 K1을 0으로 설정하고(스텝(S2)), 그 후 촬상 처리를 개시한다(스텝(S3)). 스텝(S4)에서는,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161)으로 진행한다.
스텝(S161)에서는, 촬상한 상기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S162)으로 진행한다. 스텝(S162)에서는, 촬상한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를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8)에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163)에 있어서,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8)로부터 조합 결과를 수신하고, 스텝(S164)으로 진행한다. 조합 결과에는, 촬상한 화상과 데이터베이스(8a)에 포함되어 있는 얼굴 화상과 일치 또는 불일치의 결과 정보가 포함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일치한 상기 화상(얼굴 화상)과 결부하여 등록되어 있는 개인의 정보(적어도 이름)도 수신하게 되어 있다.
다음 스텝(S164)에서는, 조합 결과가 개인 정보와 일치하였는지의 여부, 즉 촬상한 화상이 데이터베이스(8a)에 등록되어 있는 개인의 화상과 일치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64)에 있어서, 조합 결과가 개인 정보와 일치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텝(S165)으로 진행하여, 조합 결과와 함께 수신한 개인의 정보(적어도 이름을 포함)와 동일 정보(이름 등)가 승객 정보 기억부(43B)의 승객 정보 속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65)에 있어서, 상기 승객 정보 속에 상기 개인의 정보와 동일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예를 들어, 승차 예정객의 이름과 일치한다)고 판단하면 스텝(S166)으로 진행한다. 스텝(S166)에서는, 스텝(S161)에서 승차객 화상 기억부(41)에 기억된 승차객 화상과, 스텝(S165)에서 일치한다고 판단된 승객 정보를 결부하여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S6)으로 진행한다. 다음 스텝(S6)에서는, 승객 수 카운터 K1에 1을 가산하고, 스텝(S159)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164)에 있어서, 조합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불일치)고 판단하면 스텝(S6)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S165)에 있어서, 상기 승객 정보 속에 상기 개인의 정보와 동일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167)으로 진행한다. 스텝(S167)에서는, 승차해 온 승객이 승차 예정인 승객이 아니라는 것을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하고, 다음 스텝(S168)에서는, 승객 수 카운터 K1은 가산하지 않고, 스텝(S169)으로 진행한다.
스텝(S169)에서는, 해당 승객으로부터 보관한 수하물에 부여한 수하물 코드의 입력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수하물 코드의 입력이 있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170)으로 진행한다. 스텝(S170)에서는, 수하물 코드와 해당 승객의 화상을 결부하여 수하물 정보 등록부(44)에 기억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스텝(S7)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169)에 있어서 수하물 코드의 입력이 없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7)으로 진행한다. 스텝(S7)~(S9)의 처리 동작은, 도 12에 나타낸 스텝(S7)~(S9)의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은, 실시예(6)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E)에 있어서 마이컴(50E)이 실행하는 처리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처리 동작은, 예를 들어 휴게 지점이나 관광 지점 등에서 하차한 승객이 버스에 재승차할 때에 실행되는 처리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더욱이, 도 14에 나타낸 처리 동작과 동일한 처리 동작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휴게 지점이나 관광 지점 등에서 승객을 버스에서 하차시킬 때에 실행되는 처리 동작은, 도 13에 나타낸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의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에 나타낸 스텝(S21)~(S134)의 처리 동작은, 도 14에 나타낸 스텝(S21)~(S134)의 처리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134)에 있어서 귀환 예정 시각이 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S30)으로 진행하고, 스텝(S30)에서는, 미귀환한 승객 수(K2-K3)가 0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미귀환한 승객 수가 0이 아니라(미귀환한 승객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181)으로 진행한다.
스텝(S181)에서는, 미귀환한 승객 리스트를 추출하고, 다음 스텝(S182)에서는, 미귀환한 승객 정보와, 수하물 정보 등록부(44)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조합하여, 미귀환자의 수하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182)에 있어서, 미귀환자의 수하물이 없다고 판단하면 그 후 스텝(S24)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미귀환자의 수하물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183)으로 진행한다. 스텝(S183)에서는, 미귀환자의 수하물을 확인하고, 차외로 이동하도록 표시부(60)에 표시하는 통지 처리를 실행하고, 그 후 스텝(S24)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스텝(S30)에 있어서, 미귀환한 승객 수가 0이라고 판단하면, 그 후 처리를 끝낸다.
상기 실시예(6)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E)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4)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1C)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승객 관리 장치(1E)에 의하면, 승차해 온 승객의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가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8)에 송신되어,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8)로부터 조합 결과를 수신하고, 조합 결과가 일치하였을 경우에, 조합 결과에 포함되는 개인 정보(적어도 이름을 포함)와 승객 정보 기억부(43B)에 기억된 승객의 정보(이름)가 조합되어, 해당 조합에 의해 일치한 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와, 승차객용 카메라(10)로 촬상된 승차객 화상이 결부된다. 따라서, 출발 지점 등에 있어서 버스에 승객이 승차할 때에, 승무원 등이 승차하는 승객의 이름이나 승차권 등을 승객에게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촬상된 승차하는 승객의 화상으로부터 승객 정보(이름 및 좌석 위치 등)를 자동적으로 결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객 관리 장치(1E)에 의하면, 예정 시각에 귀환하지 않은 승객이 검출되었을 경우, 수하물 정보 등록부(44)에 등록된 수하물의 정보에 의거하여, 미귀환한 승객의 수하물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미귀환한 승객의 수하물이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해당 승객의 수하물을 확인 또는 이동하도록 통지하기 때문에, 미귀환한 승객의 수하물이 수상한 물건 등이었을 경우에, 신속하게 해당 수하물을 버스 밖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져, 다른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수상한 물건에 의한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이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실시예(1)~(6)에 따른 승객 관리 장치의 일부 구성 및 처리 동작을 결합할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승객 관리 장치, 및 승객 관리 방법에 관하여, 버스 등의 다인수의 수송이 가능한 수송 수단의 승객을 관리하는 용도에 있어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 1A, 1B, 1C, 1D, 1E: 승객 관리 장치
10, 11: 승차객용 카메라
20, 21: 하차객용 카메라
30: 시계부
40, 40A, 40B, 40C, 40D, 40E: 기억부
41, 41A, 41B: 승차객 화상 기억부
42, 42A, 42B: 하차객 화상 기억부
43, 43A, 43B: 승객 정보 기억부
50, 50A, 50B, 50C, 50D, 50E: 마이컴
51a: 승객 수 검출부
51b: 승객 수 통지부
52a: 승강객 조합부
52b: 조합 결과 통지부
60: 표시부
70, 70A, 70C, 70D: 통신부
80: 조작부

Claims (11)

  1. 다인수의 수송이 가능한 수송 수단의 승객을 관리하는 승객 관리 장치에 있어서,
    승차하는 승객을 촬상하는 1개 이상의 승차객 촬상 수단과,
    하차하는 승객을 촬상하는 1개 이상의 하차객 촬상 수단과,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승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하는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과,
    상기 하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하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하는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과,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 및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차해 있는 인원수를 검출하는 승객 수 검출 수단과,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 및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과 하차 후에 승차해 온 승객을 조합하는 승강객 조합 수단과,
    상기 승객 수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승객 수를 통지하는 승객 수 통지 수단과,
    상기 승강객 조합 수단으로 조합된 결과를 통지하는 조합 결과 통지 수단을 장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승객의 생체 인증 정보를 취득하는 생체 인증 정보 취득 수단을 장비하고,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이, 상기 화상과 함께, 승차하는 승객의 생체 인증 정보를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하는 것이고,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이, 상기 화상과 함께, 하차하는 승객의 생체 인증 정보를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에 의해 2방향 이상에서 촬상된 복수의 화상에 의거하여 승차객의 입체 화상을 생성하는 승차객 입체 화상 생성 수단과,
    상기 하차객 촬상 수단에 의해 2방향 이상에서 촬상된 복수의 화상에 의거하여 하차객의 입체 화상을 생성하는 하차객 입체 화상 생성 수단을 장비하고,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이, 상기 승차객 입체 화상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승차객의 입체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하는 것이고,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이, 상기 하차객 입체 화상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하차객의 입체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기억하는 것이며,
    상기 승강객 조합 수단이, 상기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의 입체 화상과 상기 하차 후에 승차해 온 승객의 입체 화상을 조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관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 및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와, 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를 포함한 승객 정보를 결부하는 승객 정보 결부 수단과,
    해당 승객 정보 결부 수단에 의해 결부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수송 수단의 공석 위치 및 공석 수를 검출하는 공석 정보 검출 수단과,
    해당 공석 정보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공석 위치 및/또는 공석 수를 통지하는 공석 정보 통지 수단과,
    상기 승객 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승객 수에 대해, 상기 공석 정보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공석 수가 맞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공석 수 판단 수단과,
    해당 공석 수 판단 수단에 의한 판단 결과를 통지하는 판단 결과 통지 수단을 장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관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상기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를, 승객의 이름, 좌석 위치 및 얼굴 화상을 포함한 승객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송신하는 조합 지시 데이터 송신 수단과,
    상기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조합된 상기 화상과 상기 승객 정보와의 조합 결과를 수신하는 조합 결과 수신 수단을 장비하고,
    상기 승객 정보 결부 수단이, 상기 조합 결과가 일치하였을 경우에, 상기 승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와,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상기 화상을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관리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를 포함한 승객 정보를 기억하는 승객 정보 기억 수단과,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상기 화상을 포함한 조합 지시 데이터를, 개인의 이름 및 얼굴 화상을 포함한 개인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송신하는 조합 지시 데이터 송신 수단과,
    상기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조합된 상기 화상과 상기 개인 정보와의 조합 결과를 수신하는 조합 결과 수신 수단을 장비하고,
    상기 승객 정보 결부 수단이, 상기 조합 결과가 일치한 결과였을 경우에, 상기 조합 결과에 포함되는 개인의 이름과 상기 승객 정보 기억 수단에 기억된 승객의 이름을 조합하여, 해당 조합에 의해 일치한 승객의 이름 및 좌석 위치와,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상기 화상을 결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관리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객 조합 수단에 의한 조합 결과에 의거하여, 예정 시각에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에 위치 정보 요구 신호를 송신하는 요구 신호 송신 수단과,
    상기 위치 정보 요구 신호를 수신한 상기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를 통지하는 위치 정보 통지 수단을 장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관리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위치 정보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한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예정 시각까지 상기 수송 수단에 귀환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귀환 판단 수단과,
    해당 귀환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예정 시각까지 귀환할 수 없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귀환할 수 없는 상기 승객의 휴대 단말 장치에 호출 신호를 송신하는 호출 신호 송신 수단을 장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관리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객으로부터 보관한 수하물의 정보를 등록하는 수하물 정보 등록 수단과,
    상기 승강객 조합 수단에 의한 조합 결과에 의거하여, 예정 시각에 귀환하지 않은 승객이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수하물 정보 등록 수단에 등록된 수하물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수하물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수하물 판단 수단과,
    해당 수하물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귀환하지 않은 승객의 수하물이 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 해당 승객의 수하물을 확인 또는 이동하도록 통지하는 수하물 통지 수단을 장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관리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결과였을 경우에, 해당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과 수상한 사람 화상 등록 정보와의 조합 결과를 통지하는 수상한 사람 조합 결과 통지 수단과,
    그 수상한 사람 조합 결과 통지 수단에 의해, 상기 조합할 수 없는 승객이 수상한 사람이라는 결과가 통지되었을 경우에, 외부에 통보하는 통보 수단을 장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관리 장치.
  11. 다인수의 수송이 가능한 수송 수단의 승객을 관리하는 승객 관리 방법에 있어서,
    1개 이상의 승차객 촬상 수단을 이용하여 승차하는 승객을 촬상하는 스텝과,
    1개 이상의 하차객 촬상 수단을 이용하여 하차하는 승객을 촬상하는 스텝과,
    상기 승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승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여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하차객 촬상 수단으로 촬상된 하차하는 승객의 얼굴을 포함한 화상을 촬상 시각과 결부하어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스텝과,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 및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차해 있는 승객 수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승차객 화상 기억 수단 및 상기 하차객 화상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의거하여, 승차 후에 하차한 승객과 하차 후에 승차해 온 승객을 조합하는 스텝과,
    상기 승객 수를 검출하는 스텝에서 검출된 승객 수를 통지하는 스텝과,
    상기 승강객을 조합하는 스텝에서 조합된 결과를 통지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객 관리 방법.
KR1020187030852A 2016-12-26 2017-12-22 승객 관리 장치 및 승객 관리 방법 KR102098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50346A JP6145210B1 (ja) 2016-12-26 2016-12-26 乗客管理装置、及び乗客管理方法
JPJP-P-2016-250346 2016-12-26
PCT/JP2017/046067 WO2018123843A1 (ja) 2016-12-26 2017-12-22 乗客管理装置、及び乗客管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044A true KR20180126044A (ko) 2018-11-26
KR102098516B1 KR102098516B1 (ko) 2020-04-07

Family

ID=5901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852A KR102098516B1 (ko) 2016-12-26 2017-12-22 승객 관리 장치 및 승객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114563A1 (ko)
JP (1) JP6145210B1 (ko)
KR (1) KR102098516B1 (ko)
CN (1) CN109564710A (ko)
WO (1) WO201812384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645B1 (ko) * 2018-12-28 2020-03-06 주식회사 위츠 탑승자 카운팅 시스템 및 방법
KR102529309B1 (ko) * 2022-11-30 2023-05-08 주식회사 알에스팀 자동 하차 태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6671B2 (en) 2017-07-11 2019-09-17 Waymo Llc Methods and systems for vehicle occupancy confirmation
CN109508586B (zh) * 2017-09-15 2021-10-29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客流统计方法、装置及设备
JP6906866B2 (ja) * 2017-11-28 2021-07-2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セキュリティ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車両、認証方法
US11393212B2 (en) * 2018-04-20 2022-07-19 Darvis, Inc. System for tracking and visualizing objects and a method therefor
CN110562260A (zh) * 2018-05-17 2019-12-13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对话系统和对话处理方法
JP6956687B2 (ja) * 2018-06-27 2021-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置き去り検知装置、置き去り検知方法および置き去り検知プログラム
JP7020560B2 (ja) * 2018-08-30 2022-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報知装置、報知制御装置、報知システム、報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14407B2 (ja) * 2018-08-30 2022-08-08 株式会社東芝 照合システム
CN109544738A (zh) * 2018-11-07 2019-03-29 武汉烽火众智数字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小区人数统计方法及装置
JP7112358B2 (ja) * 2019-03-07 2022-08-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75716B2 (ja) * 2019-03-22 2023-05-18 日本電気株式会社 乗客管理装置、乗客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87602A (ja) * 2019-05-16 2020-11-19 株式会社スター精機 機械作業メニュー画面の起動方法
WO2019238142A2 (zh) * 2019-08-05 2019-12-19 深圳市锐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监控系统及车辆监控方法
JP6739017B1 (ja) * 2019-10-28 2020-08-12 株式会社スバルカーベル 観光支援装置、該装置が搭載されたロボット、観光支援システム、及び観光支援方法
JP7399762B2 (ja) * 2020-03-18 2023-12-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用プログラム
JP2022047081A (ja) * 2020-09-11 2022-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KR20220080474A (ko) * 2020-12-07 202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2817B1 (ko) * 2021-10-01 2022-07-19 (주) 원앤아이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이동 수단에서의 승하차 관리 장치 및 방법
CN114973680A (zh) * 2022-07-01 2022-08-30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基于视频处理的公交客流获取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5782A (ja) * 1997-12-10 1999-07-02 Omron Corp 利用データ出力装置及び乗車料金出力システム
JP2004139459A (ja) 2002-10-18 2004-05-13 Mikio Hayashi 搭乗者管理システムおよび搭乗者管理装置
JP2004252909A (ja) 2003-02-24 2004-09-0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ツアー旅行者確認システム
KR20060135259A (ko) * 2005-06-24 2006-12-29 박인정 탑승객 관리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267989U (zh) * 2011-08-05 2012-06-06 天津开发区晟泰科技开发有限公司 客运管理系统
CN103213502A (zh) * 2013-03-25 2013-07-24 福州海景科技开发有限公司 基于生物识别技术的校车安全管理方法
JP5674857B2 (ja) * 2013-05-10 2015-02-25 技研トラステム株式会社 乗降者計数装置
CN103489143A (zh) * 2013-09-22 2014-01-01 广州市沃希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出行人数管理方法、系统及服务器
JP2015176478A (ja) * 2014-03-17 2015-10-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CN103886645B (zh) * 2014-04-17 2017-01-11 崔慧权 便携式列车查票装置及方法
CN104599490A (zh) * 2014-12-25 2015-05-06 广州万客达电子科技有限公司 多功能集成系统及其候车系统
CN204926094U (zh) * 2015-08-26 2015-12-30 广州市鑫澳康科技有限公司 基于生物特征信息进行身份认证的系统
WO2017117789A1 (zh) * 2016-01-07 2017-07-13 汤美 一种安全定位校车接送系统
CN105913367A (zh) * 2016-04-07 2016-08-31 北京晶众智慧交通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人脸识别和位置定位的公交客流量检测系统与方法
WO2017206152A1 (zh) * 2016-06-02 2017-12-07 深圳市锐明技术股份有限公司 车辆人员的统计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5782A (ja) * 1997-12-10 1999-07-02 Omron Corp 利用データ出力装置及び乗車料金出力システム
JP2004139459A (ja) 2002-10-18 2004-05-13 Mikio Hayashi 搭乗者管理システムおよび搭乗者管理装置
JP2004252909A (ja) 2003-02-24 2004-09-09 Dainippon Printing Co Ltd ツアー旅行者確認システム
KR20060135259A (ko) * 2005-06-24 2006-12-29 박인정 탑승객 관리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5645B1 (ko) * 2018-12-28 2020-03-06 주식회사 위츠 탑승자 카운팅 시스템 및 방법
KR102529309B1 (ko) * 2022-11-30 2023-05-08 주식회사 알에스팀 자동 하차 태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14563A1 (en) 2019-04-18
KR102098516B1 (ko) 2020-04-07
JP2018106315A (ja) 2018-07-05
WO2018123843A1 (ja) 2018-07-05
CN109564710A (zh) 2019-04-02
JP6145210B1 (ja)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516B1 (ko) 승객 관리 장치 및 승객 관리 방법
CN111937050B (zh) 乘客相关物品丢失减少
CN106600760B (zh) 一种宾客信息及入住人数自动识别的客房人员检测系统及方法
JP4559819B2 (ja) 不審者検出システム及び不審者検出プログラム
CN103917727B (zh) 利用虹膜图像的加强安全性的上锁装置
US201401255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vehicle occupants
RU2017131863A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роверки пассажиров
JP2003187352A (ja) 特定人物検出システム
CN108986245A (zh) 基于人脸识别的考勤方法及终端
US9659421B2 (en) Virtual security guard
KR101459024B1 (ko) 시설물 감시용 보안 시스템
WO2018227704A1 (zh) 一种行李的认领方法及系统、行李提取终端
CN114255537A (zh) 一种基于生物识别的智能安检闸机一体化系统及方法
CN110874908A (zh) 核对系统
JP7111531B2 (ja) 救済システム
CN109240789A (zh) 基于交通网络大数据的多功能公交系统及其应用方法
KR101634943B1 (ko) 탑승자 생체인식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인증을 이용한 장애인전용 주차 관리시스템
JP2007070899A (ja) 保管庫システムおよび保管方法
CN115171260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智能门禁系统
Kaushik et al. Anti-Theft vehicle security system
KR20160028542A (ko) 차량의 응급구조 및 범죄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JP6563283B2 (ja) 監視システム
KR101437406B1 (ko) 차량의 응급구조 및 범죄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099687A (ja) 利用者認証装置
TWI338866B (en) Face recognition system, security system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