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817B1 -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이동 수단에서의 승하차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이동 수단에서의 승하차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817B1
KR102422817B1 KR1020210131236A KR20210131236A KR102422817B1 KR 102422817 B1 KR102422817 B1 KR 102422817B1 KR 1020210131236 A KR1020210131236 A KR 1020210131236A KR 20210131236 A KR20210131236 A KR 20210131236A KR 102422817 B1 KR102422817 B1 KR 102422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nsor
control unit
boarding
mov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홍
이인호
김경수
Original Assignee
(주) 원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원앤아이 filed Critical (주) 원앤아이
Priority to KR1020210131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2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of moving bodies
    • G01J5/0025Living bod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수단에 부착되어 승차 또는 하차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승하차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의 외부 방향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 수단의 외부에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센서부에 들어오는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부에 들어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의 내부 방향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 수단의 내부에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는 제2 센서부에 들어오는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제3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부에 들어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4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이동 수단에서의 승하차 관리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EMENT FOR GETTING ON AND OFF IN A VEHICLE USING PLURALITY OF SENSORS}
본 발명은 승하차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 수단에 승차 및 하차하는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 또는 체온 정보 등을 포함하는 승차 정보 및 하차 정보를 획득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영유아가 이동 수단의 운행이 종료된 이후에도 이동 수단 내에 잔류하여 영유아의 안전 문제가 불거지는 가운데, 이를 인지하여 경고를 하거나 알려주는 시스템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의 전염병 사태의 확산으로 인하여 일상 생활 속에서도 지속적인 체온 측정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근래에는 영유아가 잔류하는 경우 이동 수단의 내부에서 문을 쉽게 열 수 있도록 하는 세이프티 도어 시스템이나 경보 벨 등을 도입하여 안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아직 발달 상태가 충분하지 않은 영유아에게는 사용하기에 어려운 실정이었다. 또한, 지속적인 체온 측정을 위하여 유치원이나 학교 등 특정 위치에 열 감지 화상 카메라를 설치하거나 직접 사용하여야 하는 온도계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동 수단에 탑승하고 난 이후에야 체온을 측정할 수 있어 여전히 전염의 위험이 있는 상황이다.
이에, 영유아의 이동 수단 내 잔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체온 측정 등 건강 관리를 일원화하는 복합적인 기술 도입에 대한 필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본 출원의 일 과제는, 이동 수단 탑승자의 이동 수단에 대한 승차 및 하차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승하차 관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의 다른 일 과제는, 이동 수단 탑승자의 건강 관리를 위하여 탑승자의 체온을 일원적으로 검사하여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수단에 부착되어 승차 또는 하차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승하차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의 외부 방향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 수단의 외부에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센서부에 들어오는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부에 들어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의 내부 방향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 수단의 내부에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는 제2 센서부에 들어오는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제3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부에 들어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4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 수단 탑승자의 개인 식별 방법을 통해 탑승자를 식별하고 승차 및 하차에 대한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 수단 탑승자의 체온을 열 감지 센서를 통해 측정함으로써 탑승자의 체온 정보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 수단 탑승자의 출결 여부를 전자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관리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이동 수단의 외부에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가 이동 수단의 내부에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또는 서버가 객체에 대한 승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또는 서버가 객체에 대한 하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또한, 구성요소(element) 또는 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수단에 부착되어 승차 또는 하차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승하차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의 외부 방향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 수단의 외부에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센서부에 들어오는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부에 들어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의 내부 방향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 수단의 내부에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는 제2 센서부에 들어오는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제3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부에 들어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4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중 상기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더 커지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를 가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중 상기 객체에 대하여 안면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신분 정보 획득된 이후, 상기 제4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객체에 대한 승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승차 정보는 상기 신분 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획득된 상기 객체의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중 상기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더 커지는 경우 상기 제3 센서를 가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중 상기 객체에 대하여 안면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신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신분 정보 획득 이후,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객체에 대한 하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하차 정보는 상기 신분 정보 및 상기 제4 센서로부터 획득된 상기 객체의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분 정보는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승차 정보 또는 상기 하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로 송신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상기 승차 정보는 획득되었으나 상기 하차 정보가 미획득된 경우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로 상기 하차 정보가 없음을 송신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분 정보는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수단의 운행이 종료된 이후 상기 제4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중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경계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로 알림을 송신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수단은 제1 목적지에서 제2 목적지를 왕복 운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목적지에서 상기 승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목적지에서 상기 하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등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목적지에서 상기 승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목적지에서 상기 하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하교 정보를 송신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분 정보는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등교 정보 및 상기 하교 정보를 상기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로 송신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수단에 부착되어 승차 또는 하차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승하차 관리 장치를 통해 상기 객체에 대한 승하차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의 외부 방향에 부착되는 제1 센서부가 상기 이동 수단의 외부에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센서부에 들어오는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부에 들어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의 내부 방향에 부착되는 제2 센서부가 상기 이동 수단의 내부에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부는 제2 센서부에 들어오는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제3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부에 들어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4 센서를 포함하고, 제어부가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중 상기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더 커지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를 가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중 상기 객체에 대하여 안면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신분 정보 획득된 이후, 상기 제4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객체에 대한 승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승차 정보는 상기 신분 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획득된 상기 객체의 온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중 상기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더 커지는 경우 상기 제3 센서를 가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중 상기 객체에 대하여 안면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신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신분 정보 획득 이후,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객체에 대한 하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하차 정보는 상기 신분 정보 및 상기 제4 센서로부터 획득된 상기 객체의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한 이동 수단에서의 승하차 감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이동 수단은 통학 차량, 통근 차량 및 통근 열차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정기적으로 특정 목적지를 향하여 운행하는 이동 수단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학 차량의 경우 유치원, 학교 및 학원 등 학생 또는 원생의 등교 및 하교를 위하여 정기적으로 운행하는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전자파, 음파 또는 초음파 등을 감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센서는 전자파에 포함되는 가시광선이나 적외선 등을 감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하의 관련된 부분에서 센서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승하차 관리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차 관리 장치(1)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승하차 관리 장치(1)는 제어부(10), 통신부(20) 및 센서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승하차 관리 장치(1)는 서버(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30)는 복수의 센서부(30)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센서부(30)는 이동 수단의 외부에 부착된 제1 센서부(32)와 이동 수단의 내부에 부착된 제2 센서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부(32)는 이동 수단의 외부에 부착되어 이동 수단의 외부 방향으로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제2 센서부(34)는 이동 수단의 내부에 부착되어 이동 수단의 내부 방향으로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부착된다는 것의 의미는 이동 수단과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객체는 이동 수단을 이용하는 이용자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부(32)와 제2 센서부(34)는 서로 동일한 기능을 보유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부(32)가 감지할 수 있는 정보와 제2 센서부(34)가 감지할 수 있는 정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부(32)와 제2 센서부(34)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센서는 센서부(30)에 유입되는 파동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부(32)와 제2 센서부(34)를 구성하는 복수의 센서 중 일부는 가시광선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센서 중 일부는 가시광선 파장대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는 해당 센서로부터 RGB 정보와 RGB 정보의 획득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어부(10)는 해당 RGB 정보와 RGB 정보의 획득 위치 정보를 기초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0)는 해당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 센서부(32)와 제2 센서부(34)를 구성하는 복수의 센서 중 일부는 적외선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센서 중 일부는 적외선 파장대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는 해당 센서로부터 적외선 파장 정보 및 적외선 파장 정보의 획득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어부(10)는 해당 적외선 파장 정보 및 적외선 파장 정보의 획득 위치 정보를 기초로 열 열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0)는 해당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열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센서부(32)에 포함된 센서 중 가시 광선을 감지하는 센서를 제1 센서,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를 제2 센서라고 표현하며, 제2 센서부(34)에 포함된 센서 중 가시 광선을 감지하는 센서를 제3 센서,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를 제4 센서라고 표현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센서부(32)와 제2 센서부(34)를 구성하는 복수의 센서 중 일부는 초음파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센서 중 일부는 초음파 감지 센서일 수 있다. 이때 승하차 관리 장치(1)는 센서부(30) 외에 초음파 발생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 센서부(32)와 제2 센서부(34)를 구성하는 복수의 센서 중 일부는 블루투스, zigbee 또는 z-wave 등 근거리 통신에 사용되는 전자파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즉, 복수의 센서 중 일부는 근거리 통신 수단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자파 및 전자파의 강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는 복수의 센서 중 일부로부터 전자파 정보 또는 전자파 강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어부(10)는 전자파 정보 및 전자파 강도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센서로부터 객체까지의 거리 정보 또는 개인 식별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위에서 제시된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센서부(32)와 제2 센서부(34)를 구성하는 복수의 센서 중 일부는 음파 및 자외선 정보 등을 이용하는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는 센서부(30)에서 감지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센서부(30)에서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정보는 제어부(10)가 센서부(30)로부터 획득한 센서부(30)가 감지한 정보를 기초로 획득한 영상 정보, 열 영상 정보, 개인 식별 정보 또는 거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획득한 영상 정보를 기초로 안면 인식을 포함하는 개체 식별 방법을 통하여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신분 정보는 객체의 이름, 나이 및 소속 정보 등 객체의 개인 정보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객체가 보유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정보 또는 객체의 가족 및 지인 등이 보유하고 있는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정보는 단말기로 연락이 가능한 전화 번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신분 정보는 제어부(1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어부(10)는 획득된 영상 정보를 기초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신분 정보와의 비교를 통하여 객체의 신분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획득한 열 영상 정보를 기초로 열 영상 내에서 객체를 판별할 수 있도록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 정보는 열 영상 이미지 내에서 객체가 차지하고 있는 면적 또는 객체가 차지하고 있는 면적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즉, 제어부(10)는 열 영상 정보 내의 객체가 존재하는 위치 및 그 범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가 획득한 열 영상 정보를 기초로 열 영상 내에서 객체를 판별할 수 있도록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획득되는 열 영상 내에서 색 값 또는 강도 값 등 열 영상 이미지의 픽셀에 획득되는 값이 연속되지 않는 경우, 연속되지 않는 픽셀의 경계 값을 경계 정보로 획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영상 내에서 주위의 온도는 25도로 열 영상 이미지 내의 픽셀에 획득되는 색이 파란색이고, 객체의 온도는 37도로 열 영상 이미지 내의 픽셀에 획득되는 색이 주황색인 경우, 주황색이 차지하는 면적 또는 주황색이 차지하는 면적의 외곽을 따라 경계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즉, 경계 정보가 획득되는 것은, 제어부(10)에 미리 저장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또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경계 정보 획득 모델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획득한 열 영상 정보를 기초로 객체의 온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 정보는, 열 영상 정보에 따라 객체의 체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체온은 섭씨, 화씨 및 절대 온도 등 통상적으로 체온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온도 표시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는 객체가 근거리 통신에 사용되는 기기를 소지하고, 센서부(30)가 전자파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객체에 대한 개인 식별 정보 및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 식별 정보는 앞서 제어부(10)가 영상 정보를 기초로 획득한 신분 정보와 동일하거나 신분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제어부(10)는 제어부(10)가 획득하는 거리 정보를 기초로 객체가 이동 수단으로 가까워지는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는 통신부(20)를 통하여 제어부(10)가 획득한 정보를 서버(40)로 송신하도록 통신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0)는 서버(40)와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통신부(20)는 서버(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서버(40)는 이동 통신사의 서버(40)일 수 있으며 또는 연산을 처리하여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개별 서버(40)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서버(40)는 제어부(10)가 센서부(30)를 통해 획득한 정보들을 제어부(10)가 통신부(20)를 통해 서버(40)로 송신하는 경우, 앞서 제어부(10)가 센서부(30)를 통해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획득한 정보들을 동일하게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버(40)는 제어부(10)와 동일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가 이동 수단의 외부에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부(30) 중 제1 센서부(32)는 이동 수단의 출입이 가능한 문의 근처에 부착되어 외부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센서부(32)가 이동 수단의 출입이 가능한 문 근처에 부착되는 것은 제1 센서부(32)로부터 획득하는 감지 정보들을 기초로 제어부(10)가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에 적합한 거리 범위 내에 제1 센서부(32)가 부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30)가 이동 수단의 내부에 부착되는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부(30) 중 제2 센서부(34)는 이동 수단의 출입이 가능한 문의 근처에 부착되어 이동 수단 내부의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센서부(34)가 이동 수단의 출입이 가능한 문 근처에 부착되는 것은 제2 센서부(34)로부터 획득하는 감지 정보들을 기초로 제어부(10)가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에 적합한 거리 범위 내에 제2 센서부(34)가 부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센서부(32)와 제2 센서부(34)는 이동 수단의 외부 및 내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단수 개만 부착되는 것이 아닌 복수 개의 제1 센서부(32) 및 제2 센서부(34)가 이동 수단의 외부 및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부(34)는 이동 수단의 출입이 가능한 문의 근처뿐만 아니라 이동 수단의 내부에 복수의 임의적인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 또는 서버(40)가 객체에 대한 승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0) 또는 서버(40)가 객체에 대한 승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제1 센서부(32)에서 감지되는 객체 경계의 크기가 증가하는 단계(S1000), 제1 센서부(32)의 제1 센서가 작동하는 단계(S1200), 제2 센서부(34)가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S1400) 및 승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32)에서 감지되는 객체 경계의 크기가 증가하는 단계(S1000)는 제1 센서부(32)에 포함된 제2 센서로부터 제어부(10) 또는 서버(40)가 획득하는 열 영상 정보 중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가 열 영상 이미지 내에서 커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가 커지는 것은 제1 시점에 획득된 열 영상 이미지 내의 객체에 대한 면적이 제1 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시점인 제2 시점에 획득된 열 영상 이미지 내의 객체에 대한 면적보다 작아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2 시점에 획득된 열 영상 이미지 내의 객체의 면적이 제1 시점에 획득된 열 영상 이미지 내의 객체의 면적보다 커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제1 센서부(32)에 포함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객체의 거리 변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시간과 객체의 거리 변화 정보를 통해 객체의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객체가 이동 수단으로 다가오는지 여부 및 이동 수단으로 다가오는 속도를 기초로 이동 수단에 승차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앞선 실시예에 의하여 획득된 속도 정보 및 객체의 경계 정보가 열 영상에서 차지하는 면적의 변화량을 기초로 객체의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객체의 크기 정보가 기설정된 크기 이하인지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 결과 객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객체의 크기가 기설정된 크기 이하인 경우, 이동 수단으로의 승차 판단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이동 수단으로 접근하는 객체가 개와 같은 동물인 경우,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객체의 크기 정보를 판단하여, 이동 수단에 승차를 진행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이후의 승차 판단 및 승차 관리 방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열 영상 이미지 내에서 객체의 경계 정보가 커지는 것은 이동 수단의 외부에 부착된 제1 센서부(32)로 객체가 다가오는 것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즉, 열 영상 이미지 내에서 객체의 경계 정보가 커지는 것은 객체의 거리 정보가 이동 수단에 부착된 제1 센서부(32)로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열 영상 정보 내에서 객체의 경계 정보가 작아지는 것은 객체의 거리 정보가 이동 수단에 부착된 제1 센서부(32)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센서부(32)의 제1 센서가 작동하는 단계(S1200)는 제2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열 영상 이미지 내의 객체의 경계 정보가 커지는 경우, 해당 객체가 이동 수단에 승차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하여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객체가 이동 수단으로 다가오는 경우,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제1 센서로부터 획득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획득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안면 인식 등 개체 식별 방법을 통하여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 또는 서버(40)에 획득된 객체의 크기 정보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식별되고, 객체가 이동 수단으로 다가오는 속도 정보가 기설정된 범위 내(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사람으로 식별하지 않음)로 감지되고, 제2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열 영상 정보 내의 객체의 경계 정보가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 커지면(경계 정보가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인 경우, 제1 센서를 통해 신분 정보를 확보하기 어려움), 제1 센서는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객체의 경계 정보가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 커지는 것은 제1 센서를 통해 제어부(10) 또는 서버(40)가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만큼 제1 센서부에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기초로 제어부가 개체 식별 방법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통해서, 실제 열 영상카메라에 감지되는 수많은 객체들 중 사람인지 명확히 식별된 객체에 대해서만 신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제2 센서부(34)가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S1400)는 제2 센서부(34)에 포함된 제4 센서가 객체에 대한 적외선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제어부(10) 또는 서버(40)가 획득된 객체에 대한 적외선 정보를 기초로 열 영상 이미지 내에서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 등이 획득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제4 센서에서 객체에 대한 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객체는 이동 수단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승차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분 정보 등이 획득된 이후의 소정의 시간은 4~6초 이내 범위에서 제2 센서부가 객체를 감지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이동 수단에 접근한 이후 승차를 진행하지 않는 경우, 제2 센서부는 이동 수단의 내부에서 객체를 감지할 수 없으므로,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4~6초 이내에 제2 센서부가 객체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승차 정보 판단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승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600)는 객체가 이동 수단 내부로 승차한 경우, 제어부(10) 또는 서버(40)가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 온도 정보 또는 승차 시간 정보 등 객체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승차 정보에는 이동 수단에 승차한 객체에 대하여, 제1 센서로부터 획득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획득된 신분 정보, 제2 센서 또는 제4 센서로부터 획득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획득된 객체의 온도 정보 및 객체가 이동 수단으로 승차한 시간에 대한 정보인 승차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 또는 서버(40)가 객체에 대한 하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0) 또는 서버(40)가 객체에 대한 하차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제2 센서부(34)에서 감지되는 객체 경계의 크기가 증가하는 단계(S2000), 제2 센서부(34)의 제3 센서가 작동하는 단계(S2200), 제1 센서부(32)가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S2400) 및 하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부(34)에서 감지되는 객체 경계의 크기가 증가하는 단계(S2000)는 제2 센서부(34)에 포함된 제4 센서로부터 제어부(10) 또는 서버(40)가 획득하는 열 영상 정보 중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가 열 영상 이미지 내에서 커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열 영상 정보 내에서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가 커지는 것은 이동 수단 내부 출입 가능한 문의 근거리에 위치한 제2 센서부(34)로 객체가 다가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제2 센서부(34)에 포함된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객체의 거리 변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시간과 객체의 거리 변화 정보를 통해 객체의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객체가 제2 센서부(34)로 다가오는지 여부 및 제2 센서부(34)로 다가오는 속도를 기초로 이동 수단에서 하차하고자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앞선 실시예에 의하여 획득된 속도 정보 또는 객체의 경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객체의 크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객체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가 사람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고, 객체의 크기가 사람에 비하여 작은 경우 이동 수단에서의 하차 판단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센서부(34)의 제3 센서가 작동하는 단계(S2200)는 제4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열 영상 이미지 내의 객체의 경계 정보가 커지는 경우, 해당 객체가 이동 수단에서 하차하는 것을 대비하기 위하여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객체가 이동 수단 내부의 출입 가능한 문으로 다가오는 경우,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제3 센서로부터 획득된 감지 정보를 기초로 획득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객체에 대한 안면 인식 등 개체 식별 방법을 통하여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 또는 서버(40)에 획득된 객체의 크기 정보가 사람으로 인식되고, 객체가 제2 센서부(34)로 다가오는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객체가 이동 수단에서 하차하려는 것이 판별되는 경우, 제3 센서는 제4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열 영상 정보 내의 객체의 경계 정보가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 커지는 것에 맞추어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객체의 경계 정보가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 커지는 것은 제3 센서를 통해 제어부(10) 또는 서버(40)가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만큼 제2 센서부(34)에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3 센서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기초로 제어부가 개체 식별 방법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제1 센서부(32)가 객체를 감지하는 단계(S2400)는 제1 센서부(32)에 포함된 제2 센서가 객체에 대한 적외선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제어부(10) 또는 서버(40)가 획득된 객체에 대한 적외선 정보를 기초로 열 영상 이미지 내에서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 등이 획득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제2 센서에서 객체에 대한 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객체는 이동 수단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하차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 등이 획득된 이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 제2 센서에서 객체에 대한 정보가 감지되고, 제2 센서를 기초로 획득되는 열 영상 이미지 내에서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가 작아지는 경우 객체는 이동 수단으로부터 완전히 하차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하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600)는 앞서 설명한 승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같이,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 온도 정보 또는 하차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종합적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차 정보에는 이동 수단에서 하차한 객체에 대하여, 제3 센서로부터 획득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획득된 신분 정보, 제2 센서 또는 제4 센서로부터 획득한 감지 결과를 기초로 획득된 객체의 온도 정보 및 객체가 이동 수단에서 하차한 시간에 대한 정보인 하차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0) 또는 서버(40)에 획득된 승차 정보 또는 하차 정보는 통신부(20) 또는 서버(40)를 통하여 객체의 신분 정보에 포함된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로 송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락 가능한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객체의 승차 및 하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의 승차 정보는 획득되었으나 하차 정보는 미획득된 경우,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객체가 이동 수단 내에 잔류하고 있음에 대한 정보를 객체의 신분 정보에 포함된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로 통신부(20) 또는 서버(40)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가 승차한 이동 수단의 운행이 종료되었음에도 제2 센서부(34)에 포함된 제4 센서에 의하여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객체의 신분 정보에 포함된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로 통신부(20) 또는 서버(40)를 통해 객체가 이동 수단 내에 잔류하고 있음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하차 관리 장치(1)를 기초로 전자 출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수단이 제1 목적지에서 제2 목적지를 왕복 운행하는 이동 수단인 경우,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제1 목적지에서 객체의 승차 정보를 획득하고 제2 목적지에서 하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객체가 출석했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2 목적지에서 객체의 승차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목적지에서 하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객체가 일정을 종료했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목적지가 객체의 자택 근처이고, 제2 목적지가 학교인 경우, 제어부(10) 또는 서버(40)는 제1 목적지에서 객체의 승차 정보를 획득하고 제2 목적지에서 하차 정보를 획득하면 학교에 출석한 것으로 등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제2 목적지에서 승차 정보를 획득하고 제1 목적지에서 하차 정보를 획득하면 학교에서 일정을 종료한 것으로 하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 또는 서버(40)가 획득한 출석 정보 및 일정 종료 정보는 객체의 신분 정보에 포함된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로 승차 정보 및 하차 정보와 함께 송신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제어부 10 통신부 20
센서부 30 서버 40

Claims (8)

  1. 이동 수단에 부착되어 승차 또는 하차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승하차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의 외부 방향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 수단의 외부에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제1 센서부에 들어오는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제1 센서와 상기 제1 센서부에 들어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수단의 내부 방향에 부착되어 상기 이동 수단의 내부에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
    상기 제2 센서부는 제2 센서부에 들어오는 가시광선을 감지하는 제3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부에 들어오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제4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제1 센서부 및 상기 제2 센서부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기초로 획득된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를 획득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제4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상기 이동 수단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승차한 것으로서 승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3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를 획득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이후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객체가 상기 이동 수단로부터 하차한 것으로서 하차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중 상기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더 커지는 경우 상기 제1 센서를 가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중 상기 객체에 대하여 안면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신분 정보 획득된 이후, 상기 제4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객체에 대한 승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승차 정보는 상기 신분 정보 및 상기 제2 센서로부터 획득된 상기 객체의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4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중 상기 객체에 대한 경계 정보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후에 더 커지는 경우 상기 제3 센서를 가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중 상기 객체에 대하여 안면 인식을 수행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신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센서가 감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신분 정보 획득 이후,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객체에 대한 하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하차 정보는 상기 신분 정보 및 상기 제4 센서로부터 획득된 상기 객체의 온도 정보를 포함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 정보는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승차 정보 또는 상기 하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로 송신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의 상기 승차 정보는 획득되었으나 상기 하차 정보가 미획득된 경우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로 상기 하차 정보가 없음을 송신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 정보는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수단의 운행이 종료된 이후 상기 제4 센서로부터 감지된 정보 중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경계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로 알림을 송신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제1 목적지에서 제2 목적지를 왕복 운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목적지에서 상기 승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목적지에서 상기 하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등교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목적지에서 상기 승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목적지에서 상기 하차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하교 정보를 송신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 정보는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등교 정보 및 상기 하교 정보를 상기 연락 가능한 단말기 정보로 송신하는,
    승하차 관리 장치.
KR1020210131236A 2021-10-01 2021-10-01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이동 수단에서의 승하차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22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236A KR102422817B1 (ko) 2021-10-01 2021-10-01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이동 수단에서의 승하차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236A KR102422817B1 (ko) 2021-10-01 2021-10-01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이동 수단에서의 승하차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817B1 true KR102422817B1 (ko) 2022-07-19

Family

ID=8260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236A KR102422817B1 (ko) 2021-10-01 2021-10-01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이동 수단에서의 승하차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81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123A (ko) * 2008-11-24 2010-06-03 주식회사 업앤온 통학 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69511B1 (ko) * 2017-08-24 2018-06-20 주식회사 엘리소프트 버스 및 도로 환경 개선용 정보 수집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99971B1 (ko) * 2018-12-17 2019-07-16 디멕스(주)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감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승하차 감지방법
KR20190088649A (ko) * 2018-01-19 2019-07-2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 승객 카운팅 시스템
KR102098516B1 (ko) * 2016-12-26 2020-04-07 가부시키가이샤 스바루카베루 승객 관리 장치 및 승객 관리 방법
KR20200081648A (ko) * 2018-12-28 2020-07-08 안종윤 인원수 파악 버스 시스템
CN111738158A (zh) * 2020-06-23 2020-10-02 上海商汤临港智能科技有限公司 交通工具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8123A (ko) * 2008-11-24 2010-06-03 주식회사 업앤온 통학 버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98516B1 (ko) * 2016-12-26 2020-04-07 가부시키가이샤 스바루카베루 승객 관리 장치 및 승객 관리 방법
KR101869511B1 (ko) * 2017-08-24 2018-06-20 주식회사 엘리소프트 버스 및 도로 환경 개선용 정보 수집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8649A (ko) * 2018-01-19 2019-07-2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버스 승객 카운팅 시스템
KR101999971B1 (ko) * 2018-12-17 2019-07-16 디멕스(주) 어린이 통학버스용 승하차 감지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승하차 감지방법
KR20200081648A (ko) * 2018-12-28 2020-07-08 안종윤 인원수 파악 버스 시스템
CN111738158A (zh) * 2020-06-23 2020-10-02 上海商汤临港智能科技有限公司 交通工具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3162B2 (en) Autonomous vehicle logic to identify permissioned parking relative to multiple classes of restricted parking
JP2022538557A (ja) ユーザ認可に基づいて操作を可能に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972149B2 (en) Vision-based fare collection
KR101602250B1 (ko) 어린이 통학 및 통원용 차량에서의 승하차 확인 및 이력관리를 위한 방법
JP5191658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US11749043B2 (en) Passive multi-factor access control with biometric and wireless capability
CN107194832A (zh) 一种基于移动互联网和物联网的智能旅游景区系统
CN109716401A (zh) 自动驾驶的交通工具安全性
KR20170111837A (ko)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ES2893808T3 (es) Método de control de los derechos de acceso mediante un sistema de control de acceso
CN108352048A (zh) 用于提供旅行信息的方法和信息系统
JP201503798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422817B1 (ko) 복수의 센서를 이용한 이동 수단에서의 승하차 관리 장치 및 방법
TWI505235B (zh) 門禁控制方法
JP6969730B2 (ja) 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を用いてアクセス許可を確認する方法
JP5762988B2 (ja) フリーゲート改札システム及びその改札処理方法
US11027757B2 (en) Providing an alert to a passenger based on a location of the passenger while in transit on a multi-passenger mode of transport
KR20150087471A (ko) 대중 교통 승·하차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11420519B2 (en) Movable body and movable system
JP2017054349A (ja) 改札監視システム
JP6563283B2 (ja) 監視システム
KR20230090544A (ko) 이동수단 승하차 시 객체에 대한 신분 정보 획득 시스템 및 그의 획득 방법
JP6269082B2 (ja) 情報処理装置
JP6976810B2 (ja) 不正防止システム
JP680142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