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782A -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782A
KR20180125782A KR1020170060521A KR20170060521A KR20180125782A KR 20180125782 A KR20180125782 A KR 20180125782A KR 1020170060521 A KR1020170060521 A KR 1020170060521A KR 20170060521 A KR20170060521 A KR 20170060521A KR 20180125782 A KR20180125782 A KR 20180125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cleaner unit
housing
ai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595B1 (ko
Inventor
정한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0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595B1/ko
Priority to US15/799,849 priority patent/US10563627B2/en
Priority to CN201711194230.6A priority patent/CN108869115B/zh
Publication of KR20180125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01Housings; Casings; Frame constructions; Lids; Manufacturing or assembl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3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engine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16Fixing, mounting, supporting or arranging filter elements; Filter element cart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75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lter element
    • F02M35/02491Flat filter elements, e.g. rectang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 F02M35/048Arranging or mounting on or with respect to engines or vehic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6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the intak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or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은 엔진룸 내에서 엔진을 감싸도록 측부, 상부 및 하부 차폐판으로 이루어지는 인캡슐레이션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에어 클리너 유닛에 있어서, 양단이 연결된 관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재 상에 호스 아웃렛이 형성되는 에어 하우징; 상기 에어 하우징 상의 상기 엔진룸의 전방을 향하는 일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외기를 유입시키는 에어 덕트; 및 상기 에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에어 덕트에 대응하여 필터 안착면을 형성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필터 케이스 상의 필터 안착면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AIR CLEANER UNI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장치가 구비된 차량에 적용되어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키며, 엔진 타입에 상관없이 공용화가 가능한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에어 클리너는 엔진에 흡입되는 외기 중의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에어 클리너는 케이스 내부에 필터 또는 엘리먼트(element)를 구비하여 외기가 필터나 엘리먼트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클리너는 내장된 엘리먼트의 종류에 따라 건식과 습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건식 에어 클리너는 종이나 섬유 재질의 엘리먼트를 사용하고, 습식 에어 클리너는 엘리먼트로서 오일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에어 클리너는 건식이지만, 설치 장소나 정비 여건 상 엘리먼트의 교환이 어려울 경우, 습식 에어 클리너가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 엘리먼트의 교환이 용이한 차량용 에어 클리너는 주로 건식 에어 클리너다.
이러한 에어 클리너는 엔진과 관련되어 엔진 룸에 배치되는데, 차량에 따라서는 엔진룸의 배치 설계상 공간이 협소하거나 에어 클리너의 형태에 변화를 주지 않는 이상 적절한 배치 공간이 생기지 않을 경우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는 통상적으로, 상부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에 볼트 및 클램프 등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필터 교환 시, 상기 상부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야 하므로, 상기 상부 케이스를 들어내기 위한 공간이 더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는 엔진룸의 배치 설계를 자류롭고, 효과적으로 하기에 방해 요소로 작용하며, 공간도 많이 차지하게 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측부, 상부 및 하부 차폐판으로 이루어진 인캡슐레이션 장치가 구비된 엔진룸 내에서 상기 상부 차폐판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차폐판을 지지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엔진 타입에 대응하여 에어 하우징 상의 호스 아웃렛만을 변경하여 적용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적인 사양관리가 가능한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엔진룸 내에서 엔진을 감싸도록 측부, 상부 및 하부 차폐판으로 이루어지는 인캡슐레이션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에어 클리너 유닛에 있어서, 양단이 연결된 관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재 상에 호스 아웃렛이 형성되는 에어 하우징; 상기 에어 하우징 상의 상기 엔진룸의 전방을 향하는 일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외기를 유입시키는 에어 덕트; 및 상기 에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에어 덕트에 대응하여 필터 안착면을 형성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필터 케이스 상의 필터 안착면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하우징은 상기 필터 케이스에 대응하는 일측에 상기 에어 필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구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설치구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에어 필터에 대응하는 내면 양측에 상기 에어 필터를 상기 에어 케이스 측으로 압입하도록 복수의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하우징은 라운드 형상의 4개의 모서리를 포함하며, 엔진룸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상부 차폐판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에어 하우징의 내부 통로를 향하는 양 측면이 삼각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일부에 대한 격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안착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안착면은 상기 에어 필터가 안착되어 외기가 상기 에어 필터를 통과하도록 상기 에어 필터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측부, 상부 및 하부 차폐판으로 이루어진 인캡슐레이션 장치가 구비된 엔진룸 내에서 상기 상부 차폐판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차폐판을 지지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엔진 타입에 대응하여 에어 하우징 상의 호스 아웃렛만을 별도로 설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적인 사양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이 적용되는 엔진룸의 인캡슐레이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이 구비된 엔진룸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의 부분 확대 투영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 예들 중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이 적용되는 엔진룸의 인캡슐레이션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이 구비된 엔진룸의 개략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이 적용되는 차량의 엔진룸(1)에는 인캡슐레이션 장치(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엔진룸(1)의 인캡슐레이션 장치(10)는 엔진(ENG)을 감싸도록 차체(20)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엔진룸(1)의 인캡슐레이션 장치(10)는 엔진(ENG)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상기 엔진(ENG)의 온도를 보존하고, 초기 시동 시에 연료의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엔진(ENG)의 차폐장치이다.
먼저, 상기 차체(20)는 카울(cowl, 21),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fender apron upper member, 22), 펜더 에이프런 리인포스 멤버(fender apron reinforced member, 23),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24), 프론트 사이드 멤버(front side member, 25) 및 쇽 업소버 하우징(shock absorber housing, 26)을 포함한다.
상기 카울(21)은 자동차의 프론트 글라스(front glass)의 전방에 연결되는 패널이다.
또한, 상기 카울(21)은 대시 보드(dash board)로부터 연장되거나, 상기 대시 보드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22)는 펜더 에이프런(fender apron)의 상부 멤버이다.
즉,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22)는 흙받기인 펜더의 안쪽에서 휠(wheel)과 엔진룸(1)의 칸막이 역할을 하는 펜더 에이프런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펜더 에이프런 리인포스 멤버(23)는 상기 펜더 에이프런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상기 펜더 에이프런과 차체(20)의 다른 멤버를 연결한다.
이러한 펜더 에이프런 리인포스 멤버(23)는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21)와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24)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25)는 프론트 플로어(미도시) 및 상기 대시 보드의 하부에서 차체의 종방향을 그 길이방향으로 하여 구비되며, 프론트 바디의 골격을 형성하는 빔이다.
상기 쇽 업소버 하우징(26)은 쇽 업소버(미도시)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22)와 상기 프론트 사이드 멤버(25)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24)은 상기 차체(20) 전면의 여러 부품을 하나의 모듈로 구성한 멤버이다.
즉,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24)은 상기 프론트 바디의 최전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프론트 바디를 구성하는 차체(20)의 멤버들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인캡슐레이션 장치(10)는 측부 차폐판(11), 상부 차폐판(13) 및 하부 차폐판(15)을 포함한다.
상기 측부 차폐판(11)은 엔진룸(1)의 측방 및 후방을 차폐시키고, 상기 차체(2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측부 차폐판(11)은 전방, 상방 및 하방은 개구된다.
여기서, 상, 하, 전, 후로 나타내는 방향은 차량의 상, 하, 전, 후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상부 차폐판(13)은 상기 측부 차폐판(11)의 개구된 상방에서 상기 측부 차폐판(11)을 덮어씌우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상부 차폐판(13)은 엔진룸(1)의 상방을 차폐시킨다.
또한, 상부 차폐판(13)의 일단은 프론트 엔드 모듈(24)에 장착되고, 상기 측부 차폐판(11)의 일단은 프론트 사이드 멤버(25)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차폐판(15)은 상기 엔진룸(1)의 하방을 차폐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 차폐판(15)은 언더 가드(3)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하부 차폐판(15)은 상기 언더 가드(3)와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되는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언더 가드(3)는 엔진(ENG) 하부 및 바닥의 주행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패널이다.
상기 언더 가드(3)는 전방의 일단이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24)과 연결되고, 차량의 앞바퀴(미도시)를 지나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나아가, 상기 하부 차폐판(15)은 상기 언더 가드(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차폐판(15)은 엔진(ENG)의 하부뿐만 아니라, 차량 하부의 다양한 장치들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측부 차폐판(11), 상부 차폐판(13) 및 하부 차폐판(15)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30)은 상기 인캡슐레이션 장치(1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에어 클리너 유닛(30)은 상기 인캡슐레이션 장치(10)의 상부 차폐판(13)을 지지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클리너 유닛(30)은 상기 인캡슐레이션 장치(10)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받아들이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엔진룸(1)은 엔진(ENG)이 배치되는 공간이다.
또한, 상기 엔진룸(1)의 상방은 보닛(bonnet)이라고도 불리는 후드(5)에 의해 폐쇄되고, 측방은 차체(20)에 의해 폐쇄되며, 하방은 언더 가드(3)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언더 가드(3), 후드(5), 및 차체(20)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엔진룸(1)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엔진룸(1)은 상기 인캡슐레이션 장치(10)에 의해 구획된다.
즉, 상기 엔진룸(1)에서 상기 인캡슐레이션 장치(10)가 상기 엔진(ENG)을 감싸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엔진룸(1)은 상기 인캡슐레이션 장치(10)의 외측 및 내측으로 구획된다.
또한, 상기 인캡슐레이션 장치(10)가 상기 엔진(ENG)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함에 따라 상기 인캡슐레이션 장치(10)의 내측은 공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고온인 고온 영역(hot area, H)이 되고, 상기 인캡슐레이션 장치(10)의 외측은 공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저온인 저온 영역(cold area, C)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에어 클리너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의 부분 확대 투영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30)은 에어 하우징(31), 에어 덕트(33), 필터 케이스(35) 및 에어 필터(37)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하우징(31)은 양단이 연결된 관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 하우징(31)은 관재 상에 호스 아웃렛(4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호스 아웃렛(40)은 에어 인테이크 호스(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에어 인테이크 호스는 상기 에어 하우징(31) 내부 공간에 유입된 외기가 상기 엔진(ENG)에 공급되도록 상기 엔진(ENG)의 흡기 통로(미도시)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에어 인테이크 호스는 에어 필터(37)로부터 여과된 공기를 상기 엔진(ENG)의 스로틀 바디(throttle body)로 보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상기 엔진(ENG)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도 한다.
이러한 에어 인테이크 호스와 연결되는 호스 아웃렛(40)은 엔진(ENG)의 타입에 따라 그 개수와 위치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호스 아웃렛(40)은 엔진(ENG)에 형성된 흡기 통로의 개수와 설치 위치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하우징(31)은 라운드 형상의 4개의 모서리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하우징(31)은 엔진룸(1)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상부 차폐판(13)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에어 하우징(31)은 상기 상부 차폐판(13)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차폐판(13)을 지지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에어 하우징(31)은 필터 케이스(35)에 대응하는 일측에 에어 필터(37)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41)가 형성된다.
이러한 에어 하우징(31)은 상기 설치구(41)에 장착되는 커버(4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커버(43)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수평면(43a)과 수직면(43b)으로 이루어져 상기 설치구(41)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43)는 상기 설치구(41)에 끼움 방식, 볼트 체결 방식 등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43)는 에어 필터(37)에 대응하는 내면 양측에 상기 에어 필터(37)를 상기 필터 케이스(35) 측으로 압입하도록 복수의 지지돌기(4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돌기(45)는 상기 에어 필터(37)와 접촉되는 면이 상기 에어 필터(37)가 설치된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에어 덕트(33)는 상기 에어 하우징(31) 상에 돌출 형성되어 외기를 유입시킨다.
이러한 에어 덕트(33)는 상기 에어 하우징(31) 상에서 엔진룸(1)의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상태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에어 덕트(33)는 외기가 유입되는 유입면적을 넓게 하기 위하여 차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 케이스(35)는 상기 에어 하우징(31)의 내부에서 상기 에어 덕트(33)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35)는 상기 에어 필터(37)가 설치되는 필터 안착면(35a)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필터 안착면(35a)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 안착면(35a)은 외기가 상기 에어 필터(37)를 통과하도록 상기 에어 필터(37)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개된다.
즉, 상기 필터 안착면(35a)은 중앙부가 전체가 관통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터 케이스(35)는 상기 에어 하우징(31)의 내부 통로를 향하는 양 측면이 삼각단면으로 이루어진 지지면(35b)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일부에 대한 격벽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필터 케이스(35)는 상기 필터 안착면(35a)의 양측에 지지면(35b)을 형성하여 상기 에어 덕트(33)로부터 유입되는 외기가 에어 필터(37)를 거치지 않고 상기 에어 하우징(31)의 내부 통로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에어 필터(37)는 상기 필터 케이스(35)의 필터 안착면(35a)에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에어 필터(37)는 경사진 필터 안착면(35a)을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필터 안착면(35a)을 완전히 밀폐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에어 필터(37)는 상기 커버(43)의 지지돌기(45)에 의해 필터 안착면(35a) 측으로 압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30)은 측부 차폐판(11), 상부 차폐판(13) 및 하부 차폐판(15)으로 이루어진 인캡슐레이션 장치(10)가 구비된 엔진룸(1)에 적용되고, 상기 상부 차폐판(13)의 하부에서 상기 상부 차폐판(13)을 지지하는 구조로 설치되어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30)은 엔진(ENG)의 종류에 대응하여 에어 하우징(31) 상의 호스 아웃렛(40)만을 변경하여 적용함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적인 사양관리가 가능한 이점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엔진룸 3: 언더 가드
5: 후드 10: 인캡슐레이션 장치
11: 측부 차폐판 13: 상부 차폐판
15: 하부 차폐판 20: 차체
21: 카울 22: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23: 펜더 에이프런 리인포스 멤버 24: 프론트 엔드 모듈
25: 프론트 사이드 멤버 26: 쇽 업소버 하우징
30: 에어 클리너 유닛 31: 에어 하우징
33: 에어 덕트 35: 필터 케이스
35a: 필터 안착면 35b: 지지면
37: 에어 필터 40: 호스 아웃렛
41: 설치구 43: 커버
43a: 수평면 43b: 수직면
45: 지지돌기

Claims (8)

  1. 엔진룸 내에서 엔진을 감싸도록 측부, 상부 및 하부 차폐판으로 이루어지는 인캡슐레이션 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에어 클리너 유닛에 있어서,
    양단이 연결된 관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관재 상에 호스 아웃렛이 형성되는 에어 하우징;
    상기 에어 하우징 상의 상기 엔진룸의 전방을 향하는 일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외기를 유입시키는 에어 덕트; 및
    상기 에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에어 덕트에 대응하여 필터 안착면을 형성하는 필터 케이스; 및
    상기 필터 케이스 상의 필터 안착면에 설치되는 에어 필터;
    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하우징은
    상기 필터 케이스에 대응하는 일측에 상기 에어 필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구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구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수평면과 수직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설치구에 장착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에어 필터에 대응하는 내면 양측에 상기 에어 필터를 상기 에어 케이스 측으로 압입하도록 복수의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하우징은
    라운드 형상의 4개의 모서리를 포함하며, 엔진룸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상부 차폐판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에어 하우징의 내부 통로를 향하는 양 측면이 삼각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통로의 일부에 대한 격벽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안착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안착면은
    상기 에어 필터가 안착되어 외기가 상기 에어 필터를 통과하도록 상기 에어 필터에 대응하는 부분이 절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KR1020170060521A 2017-05-16 2017-05-16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KR102249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521A KR102249595B1 (ko) 2017-05-16 2017-05-16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US15/799,849 US10563627B2 (en) 2017-05-16 2017-10-31 Air cleaner unit and engine having the same
CN201711194230.6A CN108869115B (zh) 2017-05-16 2017-11-24 空气净化器单元以及具有空气净化单元的发动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521A KR102249595B1 (ko) 2017-05-16 2017-05-16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782A true KR20180125782A (ko) 2018-11-26
KR102249595B1 KR102249595B1 (ko) 2021-05-10

Family

ID=6426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521A KR102249595B1 (ko) 2017-05-16 2017-05-16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63627B2 (ko)
KR (1) KR102249595B1 (ko)
CN (1) CN1088691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2744B2 (ja) * 2020-02-18 2023-08-08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エンジンルーム構造及びカプセルカバー組付け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4475B2 (en) * 2002-08-14 2006-10-03 Siemens Vdo Automotive Inc. Air cleaner, valve cover and intake manifold assembly
JP2007023863A (ja) * 2005-07-14 2007-02-01 Toyota Motor Corp 吸気装置
EP1873391A2 (en) * 2006-06-29 2008-01-02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take device
KR101509703B1 (ko) * 2013-10-10 2015-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 클리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2490A (en) * 1989-09-29 1990-06-12 Navistar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Corp. Engine air induction system with air cleaner in hood
JP2526659Y2 (ja) * 1991-06-24 1997-02-1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吸気ダクトの吸気取入構造
US5740774A (en) * 1996-12-18 1998-04-21 Siemens Electric Limited Engine induction air system having improved air filter accessibility
JPH1178987A (ja) * 1997-09-05 1999-03-23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トラクタの原動部構造
US6355095B1 (en) * 2000-05-22 2002-03-12 Huang Kuo-Long DC/AC air cleaner for a vehicle
GB2381216B (en) * 2001-10-26 2005-05-11 Agco Sa Air conditioning filter
US6852151B2 (en) * 2002-06-03 2005-02-08 Siemens Vdo Automotive Inc. Air cleaner and resonator assembly
US6692347B1 (en) * 2002-09-27 2004-02-17 L&L Products, Inc. Filter housing assembly for transportation vehicles
JP4501945B2 (ja) * 2007-02-23 2010-07-14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冷却器用フィルタの取付構造
JP2008248848A (ja) * 2007-03-30 2008-10-16 Denso Corp 内燃機関のエアクリーナ
JP2009150240A (ja) * 2007-12-19 2009-07-09 Fuji Heavy Ind Ltd エアクリーナ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ンジン
GB0911935D0 (en) * 2009-07-09 2009-08-19 Valtra Oy Ab Utility vehicle ventilation system
DE102011015062B4 (de) * 2011-03-24 2015-10-01 Mann + Hummel Gmbh Filtergehäuse eines Luftfilters und Verschlusselement eines Filtergehäuses
CN102434331A (zh) * 2011-11-30 2012-05-02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汽油机空滤器外罩
US8596396B1 (en) * 2012-08-15 2013-12-03 Cnh America Llc Air intake configuration for an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
DE102013000274A1 (de) * 2013-01-09 2014-03-13 Daimler Ag Luftfiltergehäuse
US9341148B2 (en) * 2013-02-04 2016-05-17 Briggs & Stratton Corporation Evaporative emissions fuel system
CN204003178U (zh) * 2014-06-11 2014-12-10 北京汽车研究总院有限公司 一种安装于发动机顶端的空滤器及汽车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4475B2 (en) * 2002-08-14 2006-10-03 Siemens Vdo Automotive Inc. Air cleaner, valve cover and intake manifold assembly
JP2007023863A (ja) * 2005-07-14 2007-02-01 Toyota Motor Corp 吸気装置
EP1873391A2 (en) * 2006-06-29 2008-01-02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take device
KR101509703B1 (ko) * 2013-10-10 2015-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 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34999A1 (en) 2018-11-22
KR102249595B1 (ko) 2021-05-10
US10563627B2 (en) 2020-02-18
CN108869115A (zh) 2018-11-23
CN108869115B (zh)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5485B2 (ja) 自動車のエアクリーナ
US20150028629A1 (en) Structure for front part of vehicle
JP4968096B2 (ja) 車両用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01277867A (ja) 車両のフロントエンド構造
JP2005096684A (ja) 車体前部の導風構造
US20020130553A1 (en) Engine room harness routing structure
US20170152821A1 (en) Saddle type vehicle
KR20180125782A (ko)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JP5196113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4547610B2 (ja) 車両の前部構造
JP6504140B2 (ja) 車両用冷却装置
JP2018043715A (ja) 車両カウル部構造
JP6303554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4529177B2 (ja) エンジンの吸気系構造
KR20180069243A (ko) 차량의 카울 어셈블리
JP2008286140A (ja) エアクリーナの水吸込み防止構造
JP2007071068A (ja) エンジンのオイルクーラ取付構造
JP6522424B2 (ja) 作業車
JP5736813B2 (ja) 車体前部構造
JP2002079957A (ja) ボンネット及びこの構成板材
JPS6146057Y2 (ko)
KR101509754B1 (ko) 차량용 언더 커버 유닛
BR102016006591B1 (pt) Elemento de montagem para um motor de combustão interna, com uma tubulação de aspiração e com um elemento de condução e/ou proteção, e motor de combustão interna e/ou veículo a motor
JPH0537695Y2 (ko)
JP2568733B2 (ja) 自動車用エアボックス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