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118A - 승화형 열전사 시트,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 Google Patents

승화형 열전사 시트,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118A
KR20180124118A KR1020187030828A KR20187030828A KR20180124118A KR 20180124118 A KR20180124118 A KR 20180124118A KR 1020187030828 A KR1020187030828 A KR 1020187030828A KR 20187030828 A KR20187030828 A KR 20187030828A KR 20180124118 A KR20180124118 A KR 20180124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limable dye
layer
thermal transfer
transf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야 요다
에미 마츠바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4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5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transferable dye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4Multicolour thermography
    • B41M5/345Multicolour thermography by thermal transfer of dye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5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transferable dyes or pigments
    • B41M5/39Dye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e.g. azomet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92Additives, other than colour forming substances, dyes or pigments, e.g. sensitisers, transfer promoting agents
    • B41M5/395Macromolecular additives, e.g. bi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3/00Quinone i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02Dye diffusion thermal transfer printing (D2T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30Thermal donors, e.g. thermal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 B41M5/38214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28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or more ink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Transfer Or Thermal Recor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성하는 컬러 화상의 고농도화 요청에 부응하면서, 상기 컬러 화상 상에 보호층이 형성되는 경우라도, 보호층의 밀착성이 저하하는 일이 없고, 게다가 내광성도 우수한 승화형 열전사 시트, 및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기재와, 이 기재의 한쪽 면 위에 형성된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및 시안 색재층을 포함하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 상기 옐로우 색재층 및 마젠타 색재층 각각에,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고ε 승화성 염료를 소정량 함유시키고, 상기 시안 색재층에, 몰 흡광 계수가 2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420 이하인 고ε 승화성 염료를 소정량 함유시킨다.

Description

승화형 열전사 시트,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본 발명은, 승화형 열전사 시트, 및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에 관한 것이다.
열전사를 이용한 화상의 형성 방법으로서, 승화성 염료를 플라스틱 필름 등의 기재 상에 담지시킨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종이나 플라스틱 필름 등의 별도의 기재 상에 염료 수용층을 형성한 열전사 수상 시트를 서로 중첩하여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승화형 열전사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승화성 염료를 색재로 하고 있기 때문에 중간색의 재현성이나 계조성이 우수하여, 원고대로의 풀 컬러 화상을 열전사 수상 시트 상에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컴퓨터 등의 컬러 화상 형성에 응용되고 있다. 그 화상은 은염 사진에 필적하는 고품질의 것이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승화형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는, 기재 상에 옐로우 염료층, 마젠타 염료층 및 시안 염료층이 이 순서로 면순차로 형성되어 있는 3색 일체형의 것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평7-304272호 공보
최근, 이러한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카드 기재 상에 원하는 컬러 화상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경우, 카드 기재 상에 형성된 컬러 화상 상에, 이것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카드 기재 상에 형성하는 컬러 화상의 고품질화의 요구도 있으며, 이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컬러 화상의 농도를 보다 높일 필요성이 있다.
컬러 화상의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 상의 각 색염료층에서 카드 기판 상으로 이행하는 염료의 양을 많게 할 필요가 있지만, 그 한편으로 염료의 양을 많게 한 경우, 형성된 컬러 화상 상에 보호층을 형성했을 때에, 그 보호층의 밀착성이 저하하여, 도트형의 벗겨짐이 생기거나, 단부로부터의 벗겨짐이 생기거나 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피전사체가 카드 기재 등의 딱딱한 재질인 경우에 현저히 나타나지만, 종이 등 비교적 부드러운 재질인 경우에도 생길 우려가 있다.
본원 발명은 이러한 상황 하에서 이루어진 발명이며, 형성하는 컬러 화상의 고농도화의 요청에 부응하면서, 상기 컬러 화상 상에 보호층이 형성되는 경우라도 보호층의 밀착성이 저하하는 일이 없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 및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원 발명은, 기재와, 이 기재의 한쪽 면 위에 마련된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및 시안 색재층을 포함하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옐로우 색재층은, 적어도 바인더 수지(Y)와,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Y)를 포함하고, 상기 마젠타 색재층은, 적어도 바인더 수지(M)과,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M)을 포함하며, 상기 시안 색재층은, 적어도 바인더 수지(C)와, 몰 흡광 계수가 2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C)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Y)와 상기 승화성 염료(Y)의 질량 비율(상기 승화성 염료(Y)/상기 바인더 수지(Y))과, 상기 바인더 수지(M)과 상기 승화성 염료(M)의 질량 비율(상기 승화성 염료(M)/상기 바인더 수지(M))의 평균이 0.7 이상이며, 상기 바인더 수지(C)와 상기 승화성 염료(C)의 질량 비율(상기 승화성 염료(C)/상기 바인더 수지(C))이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발명에서는, 상기 승화성 염료(C)로서, 하기 일반식(14)로 표시되는 승화성 염료가 상기 바인더 수지(C)와의 질량 비율에 있어서 0.5 이상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Figure pct00001
(일반식(14) 중,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아릴기이거나 또는 X와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하는 원자 또는 원자단을 나타내고,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아릴기를 나타내며, R1과 R2는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함유하여도 좋은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하여도 좋고, R3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치환기를 갖더라도 좋은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콕시기, 아랄킬기, 아릴기, 아실기, 아실아미노기, 술포닐아미노기, 우레이드기, 카르바모일기, 술파모일기 또는 아미노기를 나타내며, R4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랄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옥시기를 나타내고, R5와 R6은 각각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으며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알콕시기, 아실아미노기, 술포닐아미노기, 또는 우레이드기를 나타내고, X는 수소 원자이거나, 또는 R1과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하는 원자 또는 원자단을 나타내며, n은 1 또는 2를 나타낸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본원 발명은,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으로서, 상기 승화형 열전사 시트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승화형 열전사 시트이고, 상기 피전사체가, JIS X 6305-1에 규정되어 있는 굽힘 강도 시험에 있어서의 휨량이 35 mm 이하인 카드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 및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에 의하면, 고농도로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화상 상에 보호층을 형성한 경우라도 보호층의 밀착성을 충분히 담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는, 기재(1) 상에 옐로우 색재층(2Y), 마젠타 색재층(2M) 및 시안 색재층(2C)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는,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옐로우 색재층(2Y), 마젠타 색재층(2M) 및 시안 색재층(2C)가 이 순서로 면순차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순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상기 3색 이외의 색재층, 예컨대 블랙 색재층(도시하지 않음)이 이들 3색에 더하여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는, 기재(1)와 상기 3색의 색재층(2Y, 2M, 2C)의 사이에 프라이머층(3)이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기재(1)의 색재층(2Y, 2M, 2C)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쪽의 면에 배면층(5)이 마련되어 있지만, 이들 층은 임의의 층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의 각 구성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재)
기재(1)는 어느 정도의 내열성과 강도를 갖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된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재(1)로서, 예컨대 0.5 ㎛ 이상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10 ㎛ 이하 정도 두께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1,4-폴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폴리페닐렌술피드 필름,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술폰 필름, 아라미드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셀로판,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나일론 필름, 폴리이미드 필름, 아이오노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이들 재료는 각각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다른 재료와 조합한 적층체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기재(1)는, 3색의 색재층(2Y, 2M, 2C)이 형성되는 쪽의 면에 접착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접착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기재(1)와 3색의 색재층(2Y, 2M, 2C), 또는 기재(1)와 3색의 색재층(2Y, 2M, 2C)의 사이에 마련되는 임의의 층, 예컨대 프라이머층(3)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 처리로서는, 예컨대 코로나 방전 처리, 화염 처리,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 방사선 처리, 조면화 처리, 화학 약품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저온 플라즈마 처리, 그라프트화 처리 등 공지된 수지 표면 개질 기술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처리를 2종 이상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1)에 접착 처리를 실시하는 대신에, 기재(1)와 3색의 색재층(2Y, 2M, 2C)의 사이에, 프라이머층(3)(언더코트층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을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접착 처리가 실시된 기재(1)와 3색의 색재층(2Y, 2M, 2C)의 사이에 프라이머층(3)을 마련하여도 좋다.
(옐로우 색재층)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재(1) 상에는 옐로우 색재층(2Y)가 마련되어 있고, 이 옐로우 색재층(2Y)에는 적어도,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Y)와, 바인더 수지(Y)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Y)」를 이 이외의 승화성 염료와 구별하기 위해서 「고ε 승화성 염료(Y)」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에 있어서는, 상기 소정의 고ε 승화성 염료(Y)를 소정량 함유하고 있음으로써, 피전사물에의 염료의 이행량을 저량으로 억제하면서 농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고농도화의 요청에 부응하면서, 화상 상에 형성되는 보호층의 밀착성을 충분히 담보할 수 있게 된다.
ㆍ고ε 승화성 염료(Y)
옐로우 색재층(2Y)에 함유되는, 소위 고ε 승화성 염료(Y)로서는,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스티릴계 승화성 염료,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퀴노프탈론계 승화성 염료,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피라졸론메틴계 승화성 염료 등에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특히 하기 일반식(2) 또는 하기 일반식(3)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일반식(1) 중,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알릴기,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A는 CH2, CH2CH2, CH2CH2O, CH2CH2OCH2, CH2CH2OCH2CH2를 나타내고, R3은 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일반식(2) 중, R1은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기의 알콕시기,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티오기, 또는 직쇄 또는 분기의 아릴티오기를 나타내고, R3은 직쇄 또는 분기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직쇄 또는 분기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옥시기,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시클로알킬기, 복소환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일반식(3) 중,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수소 원자,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 또는 알콕시기, 할로겐, 또는 아릴옥시기를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NR6R7기, 직쇄 또는 분기의 알콕시기, 직쇄 또는 분기의 알콕시카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또는 C(O)NR8R9기를 나타내고, R5는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R6, R7, R8,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를 나타낸다.)
또한, 승화성 염료의 몰 흡광 계수를 측정함에 있어서는, JIS K 0115에 규정되어 있는 흡광광도 분석 통칙에 준거하여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승화성 염료를 아세트산에틸에 의해서 5000배 이상 50000배 이하로 희석하여, 시판되는 가시광 분광광도계, 예컨대 UV-2600((주)시마즈세이사쿠쇼)에 의해 측정한다. 측정 대상이 되는 승화성 염료의 몰 흡광 계수의 값에 의해 희석 배율을 적절하게 조정한다. 또한, 승화성 염료가 아세트산에틸에 불용인 경우는, 아세트산에틸 대신에 디클로로메탄이나 트리클로로메탄 등에 용해시켜 측정한다.
상기 일반식(1)에 있어서, R1은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3∼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직쇄 또는 분기의 부틸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비치환의 페닐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3은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3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메틸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A는 CH2 또는 CH2CH2인 것이 바람직하고, CH2CH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스티릴계 승화성 염료에 속해 있고,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Y)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일반식(1-1)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5
또한, 상기 일반식(2)에 있어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이소프로필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2는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3은 C(=O)-NR4R5로 표시되는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중의 R4 및 R5는 탄소수 1∼6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3∼6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R3은 N,N-디부틸아미노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퀴노프탈론계 승화성 염료에 속해 있고,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Y)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일반식(2-1)∼일반식(2-2)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또한, 상기 일반식(3)에 있어서, R1과 R2는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3인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에틸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3은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R4는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콕시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3인 알콕시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에톡시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비치환의 페닐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피라졸론메틴계 승화성 염료에 속해 있고,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Y)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일반식(3-1)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8
ㆍ그 밖의 승화성 염료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옐로우 색재층(2Y)에는, 옐로우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고ε 승화성 염료(Y) 이외의 승화성 염료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공지된 옐로우 승화성 염료인 디아릴메탄계 염료; 트리아릴메탄계 염료; 티아졸계 염료; 메로시아닌계 염료 등의 메틴계 염료; 인도아닐린계 염료; 아세토페논아조메틴, 피라졸로아조메틴, 이미다졸아조메틴, 이미다조아조메틴, 피리돈아조메틴으로 대표되는 아조메틴계 염료; 크산텐계 염료; 옥사진계 염료; 디시아노스티렌, 트리시아노스티렌으로 대표되는 시아노스티렌계 염료; 티아진계 염료; 아진계 염료; 아크리딘계 염료; 벤젠아조계 염료; 피리돈아조, 티오펜아조, 이소티아졸아조, 피롤아조, 피랄아조, 이미다졸아조, 티아디아졸아조, 트리아졸아조 등의 아조계 염료; 스피로피란계 염료; 인돌리노스피로피란계 염료; 플루오란계 염료; 로다민락탐계 염료; 나프토퀴논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시판 제품으로서 입수할 수 있으므로, 하기 일반식(4)나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승화성 염료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ㆍ바인더 수지(Y)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옐로우 색재층(2Y)에는, 상술한 것과 같은 각종 승화성 염료를 담지하기 위한 바인더 수지(Y)가 포함되어 있다. 이 바인더 수지(Y)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어느 정도의 내열성을 가지고, 승화성 염료와 알맞은 친화성이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바인더 수지로서는, 예컨대, 니트로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에틸히드록시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아세트산셀룰로오스, 부티르산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비닐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내열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티탄 킬레이트제 및 에폭시 경화제 등에 의해서 상기한 수지를 경화하여도 좋다.
상기에 예시한 바인더 수지 중에서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기재(1)와 옐로우 색재층(2Y)의 사이에 임의로 형성되는 프라이머층(3)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ㆍ승화성 염료(Y)와 바인더 수지(Y)의 함유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옐로우 색재층(2Y)에 함유되는, 상술한 고ε 승화성 염료(Y) 및 바인더 수지(Y) 각각의 함유량에 관해서는, 상기 옐로우 색재층(2Y)뿐만 아니라, 마젠타 색재층(2M)에 함유되어 있는 고ε 승화성 염료와의 밸런스에 의해서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옐로우 색재층(2Y)와 마젠타 색재층(2M) 각각에 있어서의 고ε 승화성 염료와 바인더 수지의 질량 비율(고ε 승화성 염료/바인더 수지)의 평균이 0.7 이상, 바람직하게는 0.9 이상이 되도록 상기 옐로우 색재층(2Y)에 있어서의 고ε 승화성 염료(Y)와 바인더 수지(Y)의 질량 비율(고ε 승화성 염료(Y)/바인더 수지(Y))이 결정된다.
한편, 옐로우 색재층(2Y)에 함유되는 상기 고ε 승화성 염료(Y) 이외의 승화성 염료의 함유량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적절하게 설계 가능하다. 예컨대, 옐로우 색재층(2Y)에 함유되는 전체 승화성 염료의 질량에 대한 상기 고ε 승화성 염료(Y)의 질량 비율(고ε 승화성 염료(Y)/전체 승화성 염료)이 0.3 이상 1.0 이하가 되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1.0 이하가 되도록, 고ε 승화성 염료(Y) 이외의 승화성 염료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ㆍ그 밖의 성분
또한, 옐로우 색재층(2Y)는 무기 미립자, 유기 미립자 등의 첨가재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무기 미립자로서는 카본 블랙, 알루미늄, 이황화몰리브덴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미립자로서는 폴리에틸렌 왁스, 실리콘 수지 미립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옐로우 색재층(2Y)는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형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이형제, 예컨대, 폴리에틸렌 왁스, 아미드 왁스, 테플론(등록상표) 파우더 등의 고형 왁스, 불소계, 인산에스테르계의 계면활성제, 실리콘 변성 수지, 변성 실리콘 오일,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수지는 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 실리콘 변성 부티랄 수지, 실리콘 변성 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변성 실리콘 오일에는 반응성 실리콘 오일과 비반응성 실리콘 오일로 나뉜다. 반응성 실리콘 오일로서는, 아미노 변성, 에폭시 변성, 카르복실 변성, 카르비놀 변성, 메타크릴 변성, 머캅토 변성, 페놀 변성, 메틸페닐 실리콘 오일, 편말단 반응성, 이종 작용기 변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비반응성 실리콘 오일로서는, 폴리에테르 변성, 메틸스티릴 변성, 알킬 변성,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친수성 특수 변성, 고급 알콕시 변성, 고급 지방산 변성, 불소 변성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알킬셀룰로오스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ㆍ옐로우 색재층의 형성 방법
옐로우 색재층(2Y)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바인더 수지(Y), 상술한 고ε 승화성 염료(Y), 그 밖의 승화성 염료 및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첨가재나 이형제를, 적당한 용제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색재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을 그라비아 코터, 롤 코터, 와이어 바 등의 종래 공지된 도공 수단에 의해, 기재(1) 또는 후술하는 프라이머층(3) 상에 도포ㆍ건조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각종 도공액의 도공 방법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옐로우 색재층(2Y)의 두께는 0.2 ㎛ 이상 2.0 ㎛ 이하 정도가 일반적이다.
(마젠타 색재층)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재(1) 상에 마젠타 색재층(2M)이 마련되어 있고, 이 마젠타 색재층(2M)에 있어서도, 상술한 옐로우 색재층(2Y)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M)과, 바인더 수지(M)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마젠타 색재층의 설명에 있어서도, 상기 옐로우 색재층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M)」을 이 이외의 승화성 염료와 구별하기 위해서 「고ε 승화성 염료(M)」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마젠타 색재층(2M)에 있어서도, 소정의 고ε 승화성 염료(M)을 소정량 함유하고 있음으로써, 피전사물에의 염료의 이행량을 저량으로 억제하면서 농도를 높일 수 있게 되고, 따라서 고농도화의 요청에 부응하면서, 화상 상에 형성되는 보호층의 밀착성을 충분히 담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ㆍ고ε 승화성 염료
마젠타 색재층(2M)에 함유되는, 소위 고ε 승화성 염료(M)으로서는,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하기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이미다졸아조계 승화성 염료, 하기 일반식(7)로 표시되는 피라졸로트리아졸아조메틴계 승화성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1
(일반식(6) 중, R1, R2는 알케닐기, 아랄킬기, 또는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수소 원자, 메틸기, 메톡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R4는 수소 원자, 메틸기, 메톡시기, 포르밀아미노기, 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알킬술포닐아미노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기를 나타내고, R5는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시아노알킬기, 또는 직쇄 또는 분기의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2
(일반식(7) 중,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비닐기,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알콕시알킬기, 아랄킬기,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 카르복시알킬기, 또는 알콕시카르복시알킬기를 나타내고, R1과 R2는 서로 고리를 형성하여도 좋다. R3은 수산기,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알킬포르밀아미노기, 알킬술포닐아미노기, 포르밀아미노기, 알릴포르밀아미노기, 술포닐아미노기, 알릴술포닐아미노기, 카르바모일기, 술파모일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알콕시기, 또는 우레이드기를 나타내고, R4, R5는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알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아랄킬기, 알콕시알킬기, 아랄킬옥시알킬기, 티오알킬기, 알릴옥시알킬기, 아릴옥시알킬기, 카르보모일기, 술파모일기, 옥시카르보닐기, 아미노기, 포르밀아미노기, 술포닐아미노기,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 복소환기, 시클로알킬기, 알킬티오기, 알킬술피닐기, 또는 알킬술포닐기를 나타낸다.)
또한, 일반식(6)에 있어서, R1과 R2는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3∼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직쇄 또는 분기의 프로필기 또는 부틸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3은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R4는 C(=O)-NR6R7로 표시되는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알킬아미노카르보닐기 중 R6 및 R7은 탄소수 1∼6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3∼6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R4는 N,N-디부틸아미노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5는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릴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3∼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3∼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릴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직쇄 또는 분기의 부틸기, 또는 프로페닐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이미다졸아조계 승화성 염료에 속해 있고,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M)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일반식(6-1) 및 일반식(6-2)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또한, 상기 일반식(7)에 있어서, R1 및 R2는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3인 직쇄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에틸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3은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3인 직쇄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메틸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4는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3∼6인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급의 부틸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5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3인 직쇄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메타톨루일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상기 일반식(7)로 표시되는 피라졸로트리아졸아조메틴계 승화성 염료에 속해 있고,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M)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일반식(7-1)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5
ㆍ그 밖의 승화성 염료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마젠타 색재층(2M)에 있어서는, 상술한 옐로우 색재층(2Y)와 마찬가지로, 마젠타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고ε 승화성 염료(M) 이외의 승화성 염료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예컨대, 아조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니트로계 염료, 스티릴계 염료, 나프토퀴논계 염료, 퀴노프탈론계 염료, 아조메틴계 염료, 쿠마린계 염료, 축합 다환계 화합물 염료 등의, 각종 비이온성의 염료를 들 수 있고, 특히 하기 일반식(8)∼일반식(13)으로 표시되는 승화성 염료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Figure pct00018
Figure pct00019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ㆍ바인더 수지(M)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마젠타 색재층(2M)에는, 상술한 것과 같은 각종 승화성 염료를 담지하기 위한 바인더 수지(M)이 포함되어 있다. 이 바인더 수지(M)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옐로우 색재층(2Y)와 같은 바인더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ㆍ승화성 염료(M)과 바인더 수지(M)의 함유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마젠타 색재층(2M)에 함유되는, 상술한 고ε 승화성 염료(M) 및 바인더 수지(M) 각각의 함유량에 관해서는, 상기 마젠타 색재층(2M)뿐만 아니라, 상술한 옐로우 색재층(2Y)에 함유되어 있는 고ε 승화성 염료(Y)와의 밸런스에 의해서 결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옐로우 색재층(2Y)와 마찬가지로, 옐로우 색재층(2Y)와 마젠타 색재층(2M) 각각에 있어서의 고ε 승화성 염료와 바인더 수지의 질량 비율(고ε 승화성 염료/바인더 수지)의 평균이 0.7 이상, 바람직하게는 0.9 이상이 되도록 상기 마젠타 색재층(2M)에 있어서의 고ε 승화성 염료(M)과 바인더 수지(M)의 질량 비율(고ε 승화성 염료(M)/바인더 수지(M))이 결정된다.
한편, 마젠타 색재층(2M)에 함유되는 상기 고ε 승화성 염료(M) 이외의 승화성 염료의 함유량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계 가능하다. 예컨대, 마젠타 색재층(2M)에 함유되는 전체 승화성 염료의 질량에 대한 상기 고ε 승화성 염료(M)의 질량 비율(고ε 승화성 염료(M)/전체 승화성 염료)이 0.2 이상 1.0 이하가 되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1.0 이하가 되도록, 고ε 승화성 염료(M) 이외의 승화성 염료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ㆍ그 밖의 성분
또한, 마젠타 색재층(2M)은, 상술한 옐로우 색재층(2Y)와 마찬가지로, 무기 미립자, 유기 미립자 등의 첨가재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들의 구체예는 옐로우 색재층(2Y)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ㆍ마젠타 색재층의 형성 방법
마젠타 색재층(2M)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술한 옐로우 색재층(2Y)와 같은 형성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시안 색재층)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재(1) 상에 시안 색재층(2C)이 마련되어 있고, 이 시안 색재층(2C)에 있어서는, 상술한 옐로우 색재층(2Y)나 마젠타 색재층(2M)과는 달리, 적어도 몰 흡광 계수가 2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C)와, 바인더 수지(C)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시안 색재층의 설명에 있어서도, 상기 옐로우 색재층이나 마젠타 색재층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몰 흡광 계수가 2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C)」를 이 이외의 승화성 염료와 구별하기 위해서 「고ε 승화성 염료(C)」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몰 흡광 계수와 분자량을 갖는, 소위 고ε 승화성 염료(C)를 소정량 함유하고 있음으로써, 피전사물에의 염료의 이행량을 저량으로 억제하면서 농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고농도화의 요청에 부응하면서, 화상 상에 형성되는 보호층의 밀착성을 충분히 담보할 수 있다.
ㆍ고ε 승화성 염료(C)
시안 색재층(2C)에 함유되는, 소위 고ε 승화성 염료(C)로서는, 몰 흡광 계수가 2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하기 일반식(14)로 표시되는 인도아닐린계 승화성 염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도아닐린계 승화성 염료를 이용함으로써, 고농도화, 보호층과의 밀착성에 더하여, 내광성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Figure pct00022
(일반식(14) 중, R1은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아릴기이거나 또는 X와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하는 원자 또는 원자단을 나타내고, R2는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아릴기를 나타내고, R1과 R2는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함유하여도 좋은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하여도 좋고, R3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콕시기, 아랄킬기, 아릴기, 아실기, 아실아미노기, 술포닐아미노기, 우레이드기, 카르바모일기, 술파모일기 또는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R4는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시클로알킬기, 직쇄 또는 분기의 아랄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또는 직쇄 또는 분기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옥시기를 나타내고, R5와 R6은 각각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으며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알콕시기, 아실아미노기, 술포닐아미노기, 또는 우레이드기를 나타내고, X는 수소 원자이거나, 또는 R1과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하는 원자 또는 원자단을 나타내고, n은 1 또는 2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일반식(14)에 있어서, R1 및 R2는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3인 직쇄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에틸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3은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3인 직쇄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메틸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4는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3인 직쇄의 알킬기 또는 페닐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메틸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5는 할로겐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가 1∼6인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R6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가 1∼3인 직쇄의 알킬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R6은 메틸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상기 일반식(14)로 표시되는 인도아닐린계 승화성 염료에 속해 있고, 몰 흡광 계수가 2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C)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일반식(14-1)∼일반식(14-5)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또한, 상기 인도아닐린계 승화성 염료 이외의, 소위 고ε 승화성 염료(C)로서는, 하기 일반식(15)이나 일반식(16)으로 표시되는 승화성 염료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ㆍ그 밖의 승화성 염료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시안 색재층(2C)에 있어서는, 상술한 옐로우 색재층(2Y)나 마젠타 색재층(2M)과 마찬가지로, 시안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고ε 승화성 염료(C) 이외의 승화성 염료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하기 일반식(17)로 표시되는 안트라퀴논계 승화성 염료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고ε 승화성 염료(C)에 더하여 안트라퀴논계 승화성 염료를 병용함으로써, 내광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pct00030
(일반식(17) 중, R1 및 R2는 직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복소환기, 알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랄킬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일반식(17)로 표시되는 안트라퀴논계 승화성 염료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일반식(17-1)∼일반식(17-3)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ㆍ바인더 수지(C)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시안 색재층(2C)에는, 상술한 것과 같은 각종 승화성 염료를 담지하기 위한 바인더 수지(C)가 포함되어 있다. 이 바인더 수지(C)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옐로우 색재층(2Y)나 마젠타 색재층(2M)과 같은 바인더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ㆍ승화성 염료(C)와 바인더 수지(C)의 함유량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의 시안 색재층(2C)에 함유되는, 상술한 고ε 승화성 염료(C) 및 바인더 수지(C) 각각의 함유량은, 고ε 승화성 염료(C)와 바인더 수지(C)의 질량 비율(고ε 승화성 염료(C)/바인더 수지(C))이 0.5 이상이 되도록 결정된다. 특히, 상기 일반식(14)로 표시되는 승화성 염료가, 바인더 수지(C)와의 질량 비율에 있어서 0.5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시안 색재층(2C)에 함유되는 상기 고ε 승화성 염료(C) 이외의 승화성 염료의 함유량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설계 가능하다. 예컨대, 마젠타 색재층(2M)에 함유되는 전체 승화성 염료의 질량에 대한 상기 고ε 승화성 염료(C)의 질량 비율(고ε 승화성 염료(C)/전체 승화성 염료)이 0.2 이상 1.0 이하가 되도록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1.0 이하가 되도록 고ε 승화성 염료(C) 이외의 승화성 염료를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ㆍ그 밖의 성분
또한, 시안 색재층(2C)은, 상술한 옐로우 색재층(2Y)나 마젠타 색재층(2M)과 마찬가지로, 무기 미립자, 유기 미립자 등의 첨가재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고, 또한, 이형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들의 구체예는 옐로우 색재층(2Y)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ㆍ시안 색재층의 형성 방법
시안 색재층(2C)의 형성 방법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고, 상술한 옐로우 색재층(2Y)나 마젠타 색재층(2M)과 같은 형성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10)에 있어서는, 기재(1)와 3색의 색재층(2Y, 2M, 2C)의 사이에 프라이머층(3)이 마련되어 있다. 프라이머층(3)은 임의의 층이지만, 이것을 형성함으로써 기재(1)와 3색의 색재층(2Y, 2M, 2C)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프라이머층(3)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이나 폴리비닐부티랄 등의 폴리비닐아세탈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프라이머층(3)은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따라 열전사 시의 열전사 수상 시트에의 3색의 색재층(2Y, 2M, 2C)의 이상 전사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화 시의 3색의 색재층(2Y, 2M, 2C)에서 프라이머층(3)으로의 염료의 이행을 방지하여, 열전사 수상 시트의 수용층 측으로의 염료 확산을 유효하게 행할 수 있어, 인화 농도를 높일 수 있다.
프라이머층(3)에 함유되는 무기 미립자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알루미나, 실리카, 카본 블랙, 이황화몰리브덴 등의 미립자를 들 수 있으며, 이들이 콜로이드형 무기 미립자 유래의 무기 미립자라도 좋다. 콜로이드형 무기 미립자로서는, 실리카졸, 콜로이달 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알루미나 수화물(콜로이달알루미나, 양이온성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그 수화물, 슈도보에마이트 등),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콜로이드형 무기 미립자는, 용제 또는 분산매에 졸형으로 분산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산성 타입으로 처리한 것이라도 좋고, 플러스(+)로 대전시킨 것이라도 좋고, 표면 처리한 것이라도 좋다.
프라이머층(3)에 함유되는 무기 미립자의 형상에 관해서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구상, 침상, 판상, 깃털 형상, 무정형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좋다. 무기 미립자의 입자경에 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일차 입자의 크기가 100 nm를 넘는 무기 미립자를 주로 함유하는 프라이머층(3)으로 한 경우에는, 프라이머층(3)의 투명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이 점을 고려하면, 프라이머층(3)은, 주로 일차 입자의 크기가 100 nm 이하인 무기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n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nm 이상 30 nm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일차 입자의 크기는, 주사형 전자현미경(SEM), 투과형 전자현미경(TEM) 등에 의해 눈으로 보아 계측하여도 좋고, 동적 광산란법이나 정적 광산란법 등을 이용하는 입도 분포계 등에 의해 기계 계측하여도 좋다. 여기서 「주로」란, 프라이머층(3)이 함유하고 있는 무기 미립자의 총 질량에 대하여 50 질량% 이상을 의미한다. 하한치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일차 입자의 크기로 0.1 ㎛ 정도이다.
프라이머층(3)은, 위에서 예시한 수지나 무기 미립자를 적당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한 프라이머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종래 공지된 도공 수단을 이용하여, 기재(1)의 한쪽 면 위에 도포ㆍ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용 도공액의 도공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건조 후의 프라이머층의 두께가 0.02 ㎛ 이상 1.0 ㎛ 이하가 되는 도공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라이머층(3)과 함께 또는 이 대신에 각종 기능층을 설치하여도 좋다. 각종 기능층으로서는 예컨대 대전방지층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배면층)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재(1)의 3색의 색재층(2Y, 2M, 2C)이 마련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쪽의 면에, 배면층(5)이 형성되어 있다. 배면층(5)도 상기 프라이머층(3)과 마찬가지로 임의의 층이지만, 이것을 설치함으로써, 내열성 및 인화 시에 있어서의 서멀 헤드의 주행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배면층(5)은 종래 공지된 열가소성 수지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예컨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스티렌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크릴아미드 수지, 폴리비닐클로리드 수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등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이들의 실리콘 변성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수지에 경화제를 첨가하여도 좋다. 경화제로서 기능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로서는, 특별히 제한 없이 종래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 중에서도 방향족계 이소시아네이트의 어덕트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계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와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trans-시클로헥산-1,4-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리스(이소시아네이트페닐)티오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고, 특히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와 2,6-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는, 상기한 수산기 함유 열가소성 수지를 그 수산기를 이용하여 가교시켜, 배면층의 도포막 강도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면층(5)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에 더하여, 슬립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왁스, 고급 지방산아미드,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금속 비누, 실리콘 오일, 계면활성제 등의 이형제, 불소 수지 등의 유기 분말, 실리카, 클레이, 탈크, 탄산칼슘 등의 무기 입자 등의 각종 첨가재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산에스테르 또는 금속 비누의 적어도 1종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배면층(5)은, 예컨대 상기 열가소성 수지, 필요에 따라서 첨가되는 각종 첨가재를 적당한 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시킨 배면층용 도공액을 조제하고, 이것을 종래 공지된 도공 수단을 이용하여, 기재(1)의 색재층이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의 면 위에 도포ㆍ건조하여 형성할 수 있다. 배면층용 도공액의 도공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건조 후의 배면층의 두께가 3 ㎛ 이하가 되는 도공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 이상 2 ㎛ 이하가 되는 도공량이 보다 바람직하다.
(피전사체)
위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의 상대측이 되는 피전사체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수용층이 마련되어 있는 열전사 수상 시트나 중간 전사 매체, 나아가서는 소위 카드재 등, 다양한 피전사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는, JIS X 6305-1에 규정되어 있는 굽힘 강도 시험에 있어서의 휨량이 35 mm 이하인 카드재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카드재는 단단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열전사하기 어렵고, 열전사하더라도 원하는 색을 재현할 수 없는 경우가 있는 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는, 각 색의 색재층에 소위 고ε 승화성 염료가 소정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단단한 카드에도 원하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와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글 중의 「부」는 특별히 양해를 구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기재로서 두께 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이용하고, 이 위에, 하기 조성의 배면층용 도공액을 건조 후 1.0 ㎛가 되도록 도포하여, 배면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상기 기재의 배면층을 설치한 측과는 반대의 면에, 하기 조성의 프라이머층용 도공액을 건조 후 0.10 ㎛가 되도록 도포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프라이머층 상에 하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1),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M1),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1)을 건조 후 0.35 ㎛가 되도록 면순차로 도포하고, 건조(80℃, 2분간)함으로써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및 시안 색재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1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배면층용 도공액>
ㆍ폴리비닐아세탈 수지(수산기가 12 질량%) 36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1,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이소시아네이트(NCO=17.3 질량%) 25 부
(바노크(등록상표) D750, DIC(주))
ㆍ실리콘 수지 미립자(입자경; 4 ㎛ 다각형) 1 부
(토스펄 240, 모멘티브퍼포먼스마테리알즈재팬고도가이샤)
ㆍ스테아릴인산아연 10 부
(LBT1830 정제, 사카이카가쿠고교(주))
ㆍ스테아린산아연 10 부
(SZ-PF, 사카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에틸렌 왁스 3 부
(폴리왁스 3000, 도요아드레(주))
ㆍ에톡시화알코올 변성 왁스 7 부
(유니톡스 750, 도요아드레(주))
ㆍ메틸에틸케톤 200 부
ㆍ톨루엔 100 부
<프라이머층용 도공액>
ㆍPVP 수지(고형분 100%) 1.5 부
(K-90, 아이에스피재팬사)
ㆍ알루미나 졸(고형분 10%) 35.0 부
ㆍ물 30 부
ㆍIPA(이소프로필알코올) 33.5 부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1)>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2-1)에 표시되는 화합물 5.7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M1)>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7-1)에 표시되는 화합물 2.08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2)에 표시되는 화합물 2.72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3)에 표시되는 화합물 1.84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1)>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4-1)에 표시되는 화합물 2.56 부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5)에 표시되는 화합물 1.28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7-1)에 표시되는 화합물 2.56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실시예 2)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2)를 이용하고,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M2)를 이용하고,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2)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예 2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2)>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2-1)에 표시되는 화합물 5.7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2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M2)>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7-1)에 표시되는 화합물 2.08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2)에 표시되는 화합물 2.72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3)에 표시되는 화합물 1.84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2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2)>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4-1)에 표시되는 화합 2.56 부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5)에 표시되는 화합물 1.28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7-1)에 표시되는 화합물 2.56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2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실시예 3)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M3)을 이용하고,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3)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전부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실시예 2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M3)>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7-1)에 표시되는 화합물 1.15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2)에 표시되는 화합물 2.72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3)에 표시되는 화합물 1.84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3)>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4-1)에 표시되는 화합물 3.0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7-1)에 표시되는 화합 3.5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실시예 4)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4)을 이용하고,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M4)을 이용하고,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4)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예 4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4)>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2-1)에 표시되는 화합물 5.7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5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M4)>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7-1)에 표시되는 화합물 1.15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2)에 표시되는 화합물 2.72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3)에 표시되는 화합물 1.84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5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4)>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4-1)에 표시되는 화합물 3.0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7-1)에 표시되는 화합물 3.5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5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실시예 5)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5)을 이용하고,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5)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예 5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5)>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2-1)에 표시되는 화합물 3.36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5)에 표시되는 화합물 2.24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5)>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4-1)에 표시되는 화합물 2.31 부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6)에 표시되는 화합물 1.155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7-1)에 표시되는 화합물 2.31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실시예 6)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6)을 이용하고,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상기 조성의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3)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예 5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6)>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3-1)에 표시되는 화합물 5.7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실시예 7)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7)을 이용하고,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M7)을 이용하고,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7)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예 7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7)>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2-1)에 표시되는 화합물 2.5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5)에 표시되는 화합물 2.0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0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M7)>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7-1)에 표시되는 화합물 1.9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2)에 표시되는 화합물 1.9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3)에 표시되는 화합물 1.9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0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7)>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4-1)에 표시되는 화합물 1.1 부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6)에 표시되는 화합물 1.5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7-1)에 표시되는 화합물 1.5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0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비교예 1)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11)을 이용하고,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M11)을 이용하고,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11)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비교예 1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11)>
ㆍ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5)에 표시되는 화합물 7.0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2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M11)>
ㆍ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2)에 표시되는 화합물 3.0 부
ㆍ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3)에 표시되는 화합물 3.0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11)>
ㆍ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7-1)에 표시되는 화합물 6.5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4.5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비교예 2)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12)을 이용하고,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M12)을 이용하고,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으로서 하기 조성의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12)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 전부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비교예 2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옐로우 색재층용 도공액(Y12)>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2-1)에 표시되는 화합물 2.0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5)에 표시되는 화합물 5.0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마젠타 색재층용 도공액(M12)>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7-1)에 표시되는 화합물 1.0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2)에 표시되는 화합물 3.5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3)에 표시되는 화합물 2.5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시안 색재층용 도공액(C12)>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4-1)에 표시되는 화합물 1.0 부
ㆍ고ε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6)에 표시되는 화합물 2.0 부
ㆍ다른 승화성 염료로서 상기 일반식(17-1)에 표시되는 화합물 2.31 부
ㆍ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3.5 부
(에스레크(등록상표) KS-5, 세키스이카가쿠고교(주))
ㆍ폴리올레핀 왁스 0.2 부
ㆍ변성 실리콘 오일 0.15 부
(X-22-3939, 신에츠카가쿠고교(주))
ㆍ네오에탄올 4.2 부
ㆍ톨루엔 42.1 부
ㆍ메틸에틸케톤 42.1 부
(보호층 열전사 시트의 제작)
기재로서 두께 5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을 이용하고, 이 기재의 한쪽 면 위에 하기 조성의 보호층용 도공액을 와이어 코터 바로 건조 후의 두께가 1.0 ㎛가 되도록 도포ㆍ건조하여, 보호층을 형성했다. 이어서, 보호층 상에, 하기 조성의 접착층용 도공액을 와이어 코터 바로 건조 후의 두께가 1.0 ㎛가 되도록 도포ㆍ건조하여, 접착층을 형성했다. 또한, 기재의 다른 쪽 면 위에, 상기 조성의 배면층용 도공액을 와이어 코터 바로 건조 후의 두께가 1.0 ㎛가 되도록 도포ㆍ건조하여, 배면층을 형성했다. 이에 따라, 기재의 한쪽 면 위에, 전사층을 구성하는 보호층, 접착층이 이 순서로 형성되고, 기재의 다른 쪽 면 위에 배면층이 형성된 보호층 열전사 시트를 얻었다.
<보호층용 도공액>
ㆍ아크릴 수지 19.5 부
(다이야날(등록상표) BR-833, 미츠비시레이욘(주))
ㆍ폴리에스테르 수지 0.5 부
(바이론(등록상표) 200, 도요보(주))
ㆍ톨루엔 40 부
ㆍ메틸에틸케톤 40 부
<접착층용 도공액>
ㆍ폴리에스테르 수지 20 부
(바이론(등록상표) 200, 도요보(주))
ㆍ톨루엔 40 부
ㆍ메틸에틸케톤 40 부
(피전사체의 준비)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2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의 상대측이 되는 피전사체로서 폴리염화비닐제 카드(PVC 카드: 다이닛폰인사츠(주))를 준비했다.
(인화물의 제작)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 1∼2의 승화형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위에서 준비한 피전사체 상에, 이하의 인화 조건으로 OD치(광학 농도)가 1.6 및 1.8인 열전사 화상을 형성했다.
ㆍ인화 조건
서멀 헤드; KEE-57-12GAN2-STA(교세라(주))
발열체 평균 저항치; 3303(Ω)
주 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부 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인화 전압; 적시, 샘플에 맞춰 인화 전압을 변경
라인 주기; 1.5(msec./line)
인자 시작 온도; 35(℃)
펄스 Duty비; 85(%)
인화 패턴; 블랙 솔리드(0/255 계조)
이어서, 상기 보호층 열전사 시트를 이용하여, 이하의 전사 조건으로 각 열전사 화상 상에 보호층과 접착층으로 이루어지는 전사층을 전사하여, 각 인화물을 제작했다.
ㆍ전사층의 전사 조건
서멀 헤드; KEE-57-12GAN2-STA(교세라(주))
발열체 평균 저항치; 3303(Ω)
주 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부 주사 방향 인자 밀도; 300(dpi)
인화 전압; 18.0(V)
라인 주기; 1.5(msec./line)
인자시작 온도; 35(℃)
펄스 Duty비; 85(%)
인화 패턴; 55/255 계조 솔리드
(인화 적성 평가)
제작한 인화물에 관해서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인화 적성 평가를 행했다.
ㆍ평가 기준
A: 열전사 화상에 주름이 없다.
B: 열전사 화상에 주름이 있지만, 실사용상 문제 없는 레벨이었다.
NG: 승화형 열전사 시트가 파단되었다.
(보호층 밀착성 평가)
제작한 인화물을 에탄올에 24 시간 침지시킨 후, 테이프 접착 시험에 의해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보호층 밀착성 평가를 행했다. 또한, 테이프 접착 시험은, 점착 테이프(멘딩테이프 MD12C, 니치반(주))를 인화물 표면에 붙이고, 180°의 각도로 점착 테이프를 벗기고, 벗겨진 후의 인화물 표면을 관찰하는 시험이다.
ㆍ평가 기준
OK: 전사층이 깨끗하게 밀착되어 있고, 벗겨짐 등이 없다.
NG: 전사층의 큰 벗겨짐을 확인할 수 있다.
(내광성 평가)
위에서 제작한 OD치가 1.6인 인화물에 대하여, 크세논 퇴색시험기( fadeometer)(CI4000, 아틀라스사 제조)를 이용하여, 400 kJ(420 nm 적산치)로 24 시간 조사를 행했다. 또한, 필터로서 CIRA의 소다 석회를 이용했다. 광 조사 전후의 열전사 화상에 관해서, 분광측색계(i1 X-rite사)를 이용하여 OD치를 측정하고, 이하의 식에 의해 농도 잔존율을 산출하여,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내광성을 평가했다.
ㆍ농도 잔존율의 계산식
농도 잔존율=(조사 후의 OD치)/(조사 전의 OD치)×100
ㆍ평가 기준
A: 농도 잔존율 80% 이상
B: 농도 잔존율 70% 이상 80% 미만
C: 농도 잔존율 70% 미만
(결과)
상기 인화 적성 평가, 보호층 밀착성 평가 및 내광성 평가의 결과를 이하의 표 1에 정리한다.
Figure pct00034
상기한 결과로부터, 실시예 1∼6에 따른 승화형 열전사 시트는, 인화 적성이 우수하고, 또한 전사층과의 밀착성도 우수하며, 또한 내광성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7은,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시안 색재층에 포함되는 인도아닐린계의 고ε 승화성 염료(C)가 적기 때문에, 구체적으로는 바인더 수지와의 질량 비율에 있어서 0.5 미만이기 때문에, 약간 내광성이 뒤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10: 승화형 열전사 시트
1: 기재
2Y: 옐로우 색재층
2M: 마젠타 색재층
2C: 시안 색재층
3: 프라이머층
5: 배면층

Claims (3)

  1. 기재와, 이 기재의 한쪽 면 위에 마련된 옐로우 색재층, 마젠타 색재층 및 시안 색재층을 포함하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로서,
    상기 옐로우 색재층은, 적어도 바인더 수지(Y)와,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Y)를 포함하고,
    상기 마젠타 색재층은, 적어도 바인더 수지(M)과, 몰 흡광 계수가 5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M)을 포함하며,
    상기 시안 색재층은, 적어도 바인더 수지(C)와, 몰 흡광 계수가 20000 이상이며 분자량이 650 이하인 승화성 염료(C)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 수지(Y)와 상기 승화성 염료(Y)의 질량 비율(상기 승화성 염료(Y)/상기 바인더 수지(Y))과, 상기 바인더 수지(M)과 상기 승화성 염료(M)의 질량 비율(상기 승화성 염료(M)/상기 바인더 수지(M))의 평균이 0.7 이상이며,
    상기 바인더 수지(C)와 상기 승화성 염료(C)의 질량 비율(상기 승화성 염료(C)/상기 바인더 수지(C))이 0.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화성 염료(C)로서, 하기 일반식(14)로 표시되는 승화성 염료가, 상기 바인더 수지(C)와의 질량 비율에 있어서 0.5 이상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
    Figure pct00035

    (일반식(14) 중, R1은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아릴기이거나 또는 X와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하는 원자 또는 원자단을 나타내고, R2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랄킬기, 아릴기를 나타내며, R1과 R2는 산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함유하여도 좋은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하여도 좋고, R3은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시아노기, 치환기를 갖더라도 좋은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콕시기, 아랄킬기, 아릴기, 아실기, 아실아미노기, 술포닐아미노기, 우레이드기, 카르바모일기, 술파모일기 또는 아미노기를 나타내며, R4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랄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옥시기를 나타내고, R5와 R6은 각각 동일하더라도 다르더라도 좋으며 수소 원자, 할로겐 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기, 알콕시기, 아실아미노기, 술포닐아미노기, 또는 우레이드기를 나타내고, X는 수소 원자이거나, 또는 R1과 함께 5원환 또는 6원환을 형성하는 원자 또는 원자단을 나타내며, n은 1 또는 2를 나타낸다.)
  3.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으로서,
    상기 승화형 열전사 시트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승화형 열전사 시트이고,
    상기 피전사체가, JIS X 6305-1에 규정되어 있는 굽힘 강도 시험에 있어서의 휨량이 35 mm 이하인 카드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KR1020187030828A 2016-03-31 2017-03-31 승화형 열전사 시트,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KR201801241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1744 2016-03-31
JPJP-P-2016-071744 2016-03-31
PCT/JP2017/013758 WO2017171059A1 (ja) 2016-03-31 2017-03-31 昇華型熱転写シート、昇華型熱転写シートと被転写体との組合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118A true KR20180124118A (ko) 2018-11-20

Family

ID=5996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828A KR20180124118A (ko) 2016-03-31 2017-03-31 승화형 열전사 시트,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105933A1 (ko)
JP (1) JPWO2017171059A1 (ko)
KR (1) KR20180124118A (ko)
WO (1) WO20171710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6631A (ko) * 2020-09-25 2023-05-1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감열 전사 기록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6921B2 (ja) * 1993-12-28 2004-12-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2002067517A (ja) * 2000-08-28 2002-03-08 Dainippon Printing Co Ltd 熱転写フィルム及び熱転写方法
EP2075139B1 (en) * 2007-12-28 2010-09-15 FUJIFILM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image by heat-sensitive transfer system
JP2011167931A (ja) * 2010-02-18 2011-09-01 Fujifilm Corp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を有する感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方法
JP6238102B2 (ja) * 2013-01-18 2017-11-29 共同印刷株式会社 可逆性感熱記録材料及び可逆性感熱記録媒体
JP2015066920A (ja) * 2013-09-30 2015-04-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6387670B2 (ja) * 2014-05-02 2018-09-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中間転写媒体と熱転写シートとの組合せ、及び印画物の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05933A1 (en) 2019-04-11
WO2017171059A1 (ja) 2017-10-05
JPWO2017171059A1 (ja)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68802A (ko) 화상 형성 방법, 열전사 시트와 열전사 수상 시트와의 조합
US10336115B2 (en) Transfer sheet
WO2015147288A1 (ja) 熱転写受像シート用支持体および熱転写受像シート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US10737520B2 (en) Thermal transfer sheet
KR20180124119A (ko) 승화형 열전사 시트,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JP5870820B2 (ja) 熱転写シート
JP5655350B2 (ja) 熱転写シート
KR20180124118A (ko) 승화형 열전사 시트, 승화형 열전사 시트와 피전사체의 조합
JP2005313619A (ja) 熱転写シート
JP6721038B2 (ja) 昇華型熱転写シート、昇華型熱転写シートと被転写体との組合せ
JP2016193546A (ja) 昇華型熱転写シート
JP2012153093A (ja) 熱転写シート
JP6677918B2 (ja) 転写シート
JP7380283B2 (ja) 熱転写シート
JP6458607B2 (ja) 熱転写シート
JP5929005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の製造方法
WO2020203566A1 (ja) 熱転写シート
JP2018089874A (ja) 熱転写シートと被転写体の組合せ
JP2015044292A (ja) 印画物の製造方法
JP2018052077A (ja) 熱転写シートと被転写体の組合せ
JP6107329B2 (ja) 熱転写受像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147305A (ja)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JP2018052076A (ja) 熱転写シートと被転写体の組合せ
JP2019147306A (ja)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JP2019064153A (ja) 熱転写シート、及び印画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