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989A - 방수 격벽 부싱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Water-tight partition wall bushing for plug connectors} - Google Patents

방수 격벽 부싱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Water-tight partition wall bushing for plug connect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989A
KR20180121989A KR1020187029367A KR20187029367A KR20180121989A KR 20180121989 A KR20180121989 A KR 20180121989A KR 1020187029367 A KR1020187029367 A KR 1020187029367A KR 20187029367 A KR20187029367 A KR 20187029367A KR 20180121989 A KR20180121989 A KR 20180121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sealing element
connector component
lip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잔센
에렌프라이드 군터
랄프 헤네스
Original Assignee
스토크 콘택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토크 콘택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스토크 콘택트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121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격벽의 부싱(bushing)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은 정합부에 연결될 수 있고 격벽의 오목부(recess)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은 깃(collar)을 갖는 본체를 가지며, 깃은 격벽의 오목부(recess) 표면 너머로 돌출하고, 원주 방향의 밀봉 립(lip)의 형태인 제1밀봉 요소가 격벽과 대면하는 깃의 측면에 제공되며, 상기 밀봉 립(lip)은 플러그 커넥터 부품이 격벽의 오목부 내로 삽입될 때 격벽 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플러그 커넥터 부품은 또한 케이블 입구 밀봉의 형태로 제2밀봉 요소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방수 격벽 부싱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Water-tight partition wall bushing for plug connectors}
본 발명은 격벽의 부싱(bushing)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에 관한 것이다.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는 공지되어 있고 많은 제조업체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며, 플러그 커넥터는 전류 또는 예를 들면, 광 방사와 같은 기술 매체에 사용되는 회선을 연결하거나 연결 해제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관련하여 연결부는 플러그 부분의 확실한 잠금에 의해 맞춰지도록 배향되고, 예컨대 탄성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예를 들면, 내부 공간과 절연된 공간 주변 사이에 전선을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도 사용되고, 냉장고를 포함하는 하나의 적용 예에서 내부 격벽과 외부 격벽 사이의 중간 공간은 절연 물질로 절연되며, 이 절연 재료는 예컨대 폴리우레탄 폼(PU 폼) 일 수 있다. 이 PU 폼이 액체 상태에 있는 동안 격벽 사이의 중간 공간으로 분무 되고, 이후 완전히 반응하여 팽창하며, 이 과정에서 격벽 중 하나의 오목부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의 일부는 일측 즉 삽입 측의 반대편 후방의 PU 폼에 의해 적셔져서 캡슐화된다. 여기서 격벽의 오목부는 일정량의 오목부에 플러그 커넥터부가 삽입될 수 있는 방법으로 치수가 정해지고, 폴리 우레탄은 팽창되기 전에 상대적으로 액체이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 부분으로 들어가거나 또는 플러그 커넥터 부분을 지나서 격벽의 오목부를 통해 흐를 위험이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PU 폼이 추가되기 전에 실리콘, 접착 테이프 등으로 수동으로 한쪽 면에서 밀봉된다. 이 수작업 단계는 매우 힘들며 원하는 결과를 항상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즉, 이 수동 밀봉 절차에도 불구하고 PU 폼이 플러그 커넥터로 흘러들어가거나 격벽의 부싱(bushing)을 통해 플러그 커넥터를 지나쳐서 통과할 수 있고,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PU 폼은 일단 완전히 반응하면 플러그 커넥터를 통과하여 시각적 결함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더 이상 플러그 커넥터의 짝을 맞출 수 없게 되며, 격벽에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 부분 또는 플러그 커넥터 내부의 전기 접점에 결함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격벽의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며,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조립 노력을 덜 수반하면서 플러그 커넥터 부분 및 격벽을 통과하여 플러그 커넥터 부분을 지나가는 절연 물질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 부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되고, 플러그 커넥터 부품의 유리한 개선점은 종속 청구항 제2항 내지 제9항에 따르며, 상기한 목적은 청구항 제10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은 정합부에 연결될 수 있고 격벽의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 부품은 깃(collar)을 갖는 베이스를 구비하고, 깃(collar)은 격벽 오목부의 표면을 넘어 돌출하며, 격벽과 마주하는 깃의 측면에는 둘러싸는 밀봉 립(lip) 형태의 제1밀봉 요소가 있고, 상기 밀봉 립(lip)은 플러그 커넥터 부품이 격벽의 오목부에 삽입될 때 격벽 상에 놓이도록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은 또한 케이블 입구 밀봉의 형태로 제2밀봉 요소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는 격벽 부싱(bushing)에 고정될 수 있고, 이는 예를 들면 베이스에 제공되며 격벽 내 또는 뒤쪽에 걸리는 방식으로 구성된 래칭 탭(latching tab)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고정 방식은 플러그 커넥터 부분이 둘러싸는 밀봉 립 형태의 제1밀봉 요소가 격벽에 대해 가압되는 방식으로 격벽에 걸리도록 하며, 고정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때문에 밀봉 립은 변형되어 격벽에 대하여 깃을 밀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절연 재료, 예컨대 폴리 우레탄이 플러그 커넥터 부품을 지나서 격벽의 오목부 내로 침투할 수 없고, 또한, 플러그 커넥터 부품은 케이블 입구 밀봉 형태인 제2밀봉 요소를 구비하며, 이러한 밀봉 요소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에 대해 플러그 커넥터 부품에 삽입된 케이블을 밀봉하여 예를 들면 케이블을 지나서 플러그 커넥터 부분 내로 침투하거나 심지어 플러그 커넥터 부분을 통해 완전히 관통할 수 있는 폴리 우레탄과 같은 절연 재료는 없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1밀봉 요소와 제2밀봉 요소는 서로 일체로 결합 되고, 결과적으로 두 밀봉 요소는 하나의 작업 단계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커넥터 부품은 또한 절연-변위 접촉 (IDC) 부싱을 가지며,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 부품은 부싱 밀봉의 형태인 제3 밀봉 요소를 갖는다. 절연-변위 잡촉은 삽입된 케이블과 빠르고 쉽게 접촉할 수 있도록 플러그 커넥터에 사용되고, 절연-변위 접촉은 일반적으로 플러그 커넥터 부품에 부착되며 플러그 커넥터 부품을 통해 벽 부싱이 필요할 수 있으며, 제3밀봉 요소는 주변에 대해 베이스를 관통하는 그러한 벽 부싱을 밀봉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도 예를 들면 폴리 우레탄과 같은 절연 물질이 플러그 커넥터 부품으로 침투할 수 없다.
제3밀봉 요소가 제1및 제2밀봉 요소에 일체적으로 결합 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결과적으로 밀봉 요소는 단일 작업 단계에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1밀봉 요소는 발 영역(foot area)과 립 영역(lip area)을 갖는 둘러싸는 밀봉 립을 가지며, 상기 립 영역은 플러그 커넥터 부품의 중심으로부터 경사지는 기둥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발 영역(foot area)은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립 영역(lip area)의 벽은 상기 발 영역의 벽보다 얇고 상기 립 영역의 높이는 상기 발 영역의 벽보다 크고, 상기 립 영역은 발 영역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단부에서 둥근 상부를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 부품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한 립 영역의 경사뿐만 아니라 발 영역 및 립 영역의 기하학적 관계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이 상기 격벽의 오목부에 설치된 상태에 있을 때 깃에 대한 밀봉 립의 배치를 용이하게 하고, 상기 발 영역과 립 영역 사이에서 밀봉 립의 외주는 밀봉 립이 격벽과 접촉하는 능력에 긍정적 효과를 갖는 함몰부를 형성하며, 상기 함몰부는 밀봉 립이 격벽과의 접촉시 외측으로 접히는 경향을 보강하고, 상기 발 영역은 또한 밀봉 립에 필요한 안정성을 부여하고 밀봉 립을 베이스의 깃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밀봉 요소가 삽입콘 및 원통형 단면을 갖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상기 원통형 단면은 최대로 삽입될 케이블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기하학적 관계는 삽입될 케이블에 대해 제2밀봉 요소의 적절한 밀봉 효과를 보장하고, 여기서 삽입콘은 케이블을 쉽게 삽입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밀봉 요소 내의 각 케이블 삽입구는 멤브레인에 의해 폐쇄되고, 이와 관련하여 멤브레인은 케이블이 삽입되는 동안 케이블에 의해 쉽게 천공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다른 한편, 플러그 커넥터 부품에 여러 개의 케이블 삽입구가 있는 경우 멤브레인은 케이블 삽입구를 밀봉하고, 구체적인 적용 예에서는 모든 케이블 삽입구가 케이블로 채워져 있지 않은 경우 멤브레인을 밀봉하며, 상기 멤브레인은 제2밀봉 요소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여 상기 멤브레인이 단일 작업 단계에서 제2밀봉 요소와 함께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3밀봉 요소가 플러그 커넥터 부품의 베이스를 통해 절연-변위 접촉 부싱을 막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3밀봉 요소의 벽 두께는 절연-변위 접촉이 베이스의 벽을 관통할 수 있고 그 너머 돌출될 수 있지만, 제3밀봉 요소의 두께를 넘어서 돌출할 수 없는 크기이고, 이러한 폐쇄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밀봉 기술을 구성한다.
또한, 제1, 제2 및 제3밀봉 요소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제조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고,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는 우수한 밀봉 특성을 나타내며 가공하기 쉽다.
일 실시 예에서 베이스는 폴리 아미드(polyamide)로 만들어지고, 폴리 아미드(polyamide)는 우수한 강도를 나타내며, 동시에 가공하기가 비교적 쉽고, 또한 전류에 대해 우수한 절연 특성을 나타내며,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쉽게 접착되고, 하나의 유리한 실시 예에서 폴리 아미드는 유리 섬유 강화된 것이며, 예를 들면, 25%, 35% 또는 50% 유리 섬유를 함유한 폴리 아미드 6 또는 폴리 아미드 66을 사용할 수 있다.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의 제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이 2 성분 사출 성형 공정의 수단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고, 예컨대 먼저 베이스가 예비 성형품으로서 제조되어 사출 성형 공구가 회전 공구로서 구성되어 상기 예비 형성품이 사출 성형 된 후, 공구 부품은 예를 들면, 180 °만큼 자체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제조된 제2성분의 후속 사출-성형을 위한 공동(cavity)을 변화시키고,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로 제조된 제2성분의 후속 사출-성형을 위한 공동(cavity)을 변화시키며, 이 방법 변형은 2 개의 사출 성형 골재를 갖는 2 성분 사출 성형기를 사용한다. 다른 방법으로, 사출 성형 공구를 각각 갖는 2 개의 사출 성형기가 서로 연결될 수 있어서 예비 성형품이 제1기계에서 사출 성형되고 이어서 제2기계의 공구에 배치되고 이어서 부드러운 구성 요소로 캡슐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특별한 특징들 및 실제적인 개선점 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바람직한 실시 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도면을 기초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 부품은 조립 작업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면서 플러그 커넥터 부분 및 격벽을 통과하여 플러그 커넥터 부분을 지나가는 절연 물질의 양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격벽의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을 3차원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을 또 다른 3차원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을 절단 3차원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을 또 다른 절단 3차원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의 기부를 3차원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의 기저부를 또 다른 3차원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의 제1, 제2 및 제3밀봉 요소를 3차원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을 3차원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은 단단한 열가소성 물질로 만들어진 베이스 (1400), 예를 들면 25%의 유리 섬유를 함유하는 PA 66(polyamide 66)을 구비하며, 상기 베이스 (1400)는 그 내부에 절연-변위 접촉(1440) 형태의 접촉 양상이 연결될 몇몇 케이블에 대해 보여 질 수 있는 하우징-형상의 돌출부(1450)를 갖는다. 또한, 상기 하우징-형상의 돌출부(1450)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의 정합부를 위한 가이드 수단 및 래칭 수단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1400)의 하우징-형상의 돌출부(1450)는 깃(1410; collar) 상에 놓이고, 좁은 측면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이 격벽의 오목부에 부착될 수 있는 래칭 탭(1420)은 일단 오목부 내로 삽입되고, 또한, 밀봉 립의 형태로 깃(1410; collar) 상에 배치되고 하우징-형상의 돌출부(1450)를 둘러싸는 제1밀봉 요소(1100)가 보여 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을 아래 면이 경사진 또 다른 3차원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 도면은 마찬가지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의 정합부에 대한 가이드 수단 및 래칭 수단을 갖는 하우징-형상의 돌출부 (1450) 뿐만 아니라 베이스(1400)를 나타내며, 또한, 제1밀봉 요소(1100)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이 제1밀봉 요소(1100)는 수 개의 지점에서 상기 깃(1410)를 관통하여 제1밀봉 요소(1100)를 깃(14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깃( 1410)의 하측에 언더컷(1131)을 형성하고, 4개의 케이블 삽입구(1210)를 갖는 제2밀봉 요소(1200)가 또한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케이블 삽입구(1210) 각각은 제2밀봉 요소(1200)의 출구 평면에서 삽입 콘(1211)을 구비하며, 제3밀봉 요소(1300)는 상기 하우징-형상 돌출부(1450)의 하측을 폐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 1000)의 하부에 도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을 절단 3차원으로 도시한것으로서, 단면도는 제1밀봉 요소(1100)의 발 영역(1130) 및 립 영역(1140)을 명확하게 나타낸다. 상기 립 영역(1140)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의 중심으로부터 경사지는 기둥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대조적으로, 상기 발 영역(1130)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상기 립 영역(1140)의 벽은 발 영역(1130)의 벽보다 얇고, 립 영역(1140)의 높이는 발 영역(1130)의 벽보다 크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립 영역 (1140)의 기울기뿐만 아니라 발 영역(1130)과 립 영역(1140)의 기하학적 관계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이 격벽의 오목부 내에 설치된 상태에 있을 때 깃(1410) 상에 밀봉 립(1120)을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상기 발 영역(1130)은 밀봉 립 (1120)에 필요한 안정성을 부여하고 밀봉 립(1120)을 상기 베이스(1400)의 깃(14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립 영역(1140)은 발 영역(1130)으로부터 멀어지는 그 단부에 둥근 상부(1141)를 구비하고, 상기 둥근 상부(1141)는 특히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이 격벽의 오목부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경우, 격벽에 대한 밀봉 립(1120)의 밀봉 작용을 향상시킨다.
또한, 절단면은 상기 베이스(1400)를 통한 절연-변위 접촉 부싱(1430)을 나타내고, 상기 제3밀봉 요소(1300)는 주변에 대해 상기 베이스(1400)를 관통하는 이 벽 개구부를 폐쇄하므로, 예컨대 폴리 우레탄과 같은 절연 물질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으로 침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제3밀봉 요소(1300)의 벽 두께는 절연-변위 접촉이 상기 베이스(1400)의 벽을 관통할 수 있고 그것을 넘어서 돌출할 수 있지만, 제3밀봉 요소(1300)의 벽 두께를 넘어서 돌출할 수 없는 크기이다.
또한, 도 3은 제2밀봉 요소(1200) 내의 케이블 삽입구(121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블 삽입구(1210)는 삽입콘(1211)과 원통부(1212)를 구비하고, 상기 원통부(1212)는 삽입될 케이블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이러한 기하학적 관계는 삽입될 케이블에 대해 제2밀봉 요소(1200)의 적절한 밀봉 효과를 보장하며, 여기서 상기 삽입콘(1211)은 케이블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밀봉 요소(1200) 내의 각각의 케이블 삽입구(1210)는 멤브레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멤브레인은 케이블이 삽입되는 동안 케이블에 의해 쉽게 천공 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이 몇 개의 케이블 삽입구(1210)를 가지면 멤브레인은 상기 케이블 삽입구(1210)를 밀봉하며, 구체적인 적용 예에서는 모든 케이블 삽입구(1210)가 케이블에 점유되지는 않고, 상기 멤브레인은 제2밀봉 요소(1200)와 동일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여 멤브레인은 단일 작업 단계에서 제2밀봉 요소(1200)와 함께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을 또 다른 절개된 3차원 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 도면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 이 절단면은 상기 제1밀봉 요소(1100)의 발 영역(1130) 및 립 영역(1140), 특히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의 중심으로부터 경사지는 기둥의 립 영역(1140)의 단면 형상을 명확하게 알 수 있고, 상기 발 영역(1130)과 립 영역(1140) 사이에서 상기 밀봉 립(1120)의 외주는 밀봉 립(1120)이 격벽과 접촉하는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함몰부(1150)를 형성한다.
도 5는 제1, 제2 및 제3밀봉 요소(1100, 1200, 1300)가 아직 존재하지 않는 3차원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의 베이스(1400)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은 2 성분 사출 성형 공정을 통해 생산되고, 우선 상기 베이스(1400)는 예비 형성품으로 제조되고, 제2단계에서 상기 베이스(1400)는 소프트 구성 요소로 캡슐화되며, 제1, 제 2 및 제3밀봉 요소(1100, 1200, 1300)는 상기 베이스(1400) 상에 사출 성형되고, 상기 제1, 제2 및 제3밀봉 요소(1100, 1200, 1300)는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며, 그 결과 상기 제1, 제2 및 제3밀봉 요소(1100, 1200, 1300) 중 단지 하나만이 주둥이(sprue)와 연결되어야 하고, 다른 두 개의 밀봉 요소는 각각 접합 된 밀봉 요소에 의해 용융물 흐름에 결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베이스(1400)는 제1유동 개구(1470) 뿐만 아니라 제2유동 개구(1480)를 가지며, 제1유동 개구(1470)는 제2유동 개구(1480)가 제2밀봉 요소(1200)와 제3밀봉 요소(1300) 사이를 통해 용융물이 흐를 수 있게 하면서 용융물이 제1밀봉 요소(1100)와 제2밀봉 요소(1200) 사이를 통해 흐를 수 있게 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1400)는 절연-변위 접촉에 이르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벽 개구부(1460)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의 베이스(1400)를 제1, 제 2 및 제3밀봉 요소(1100, 1200, 1300)가 없는 다른 3차원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 도면은 상기 제1유동 개구(1470) 및 제2유동 개구(1480)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또한, 상기 베이스(1400)의 깃(1410)은 벽이 두꺼우며 그 외형이 상기 제1밀봉 요소 (1100)의 내부 윤곽과 일치하는 더 두꺼운 벽이 있는 영역(1490)을 구비하고, 개구(1431)와 마찬가지로 이것은 상기 깃(1410) 상에 제1밀봉 요소(1100)의 안정성 및 신뢰성 있는 고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의 제1, 제2 및 제3밀봉 요소(1100, 1200, 1300)를 베이스(1400) 없는 3차원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발 영역(1130)과 립 영역(1140) 사이에서 밀봉 립(1120)의 외주는 밀봉 립(1120)이 격벽과 접촉하는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함몰부(1150)를 형성하고, 이 도면은 제2밀봉 요소(1200)가 제1밀봉 요소(1100) 및 제3밀봉 요소(1300)에 결합되는 위치를 명확하게 나타내며, 제1밀봉 요소가 깃 상에 고정되는 제1밀봉 요소(1100)의 언더컷(1131)이 명확하게 나타난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의 예를 구성하고 결과적으로 제한적인 성격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당업자가 고려한 다른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1000 : 플러그 커넥터 부품 1100 : 제1밀봉 요소
1110 : 래칭(latching) 1120 : 밀봉 립
1130 : 발 영역 1131 : 언더컷
1140 : 립 영역 1141 : 둥근 상부
1150 : 함몰부 1200 : 제2밀봉 요소
1210 : 케이블 삽입구 1211 : 삽입콘
1212 : 원통부 1300 : 제3밀봉 요소
1400 : 베이스 1410 : 깃(collar)
1420 : 래칭 탭 1430 : 절연-변위 접촉 부싱
1431 : 개구 1440 : 절연-변위 접촉
1450 : 하우징-형상의 돌출부 1460 : 벽 개구부
1470 : 제1유동 개구 1480 : 제2유동 개구
1490 : 더 두꺼운 벽이 있는 영역

Claims (10)

  1. 결합부에 연결될 수 있고 격벽의 오목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 부(1000)가 깃(1410;collar)을 갖는 베이스(1400)를 가지며, 상기 깃(1410;collar)이 격벽 오목부의 표면을 넘어서 돌출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에 있어서;
    격벽과 마주하는 상기 깃(1410)의 측면에는 둘러싸는 밀봉 립 형태의 제1밀봉 요소(1100)가 있으며; 상기 제1밀봉 요소(1100)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 1000)이 격벽의 오목부에 삽입될 때 격벽 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은 또한 케이블 입구 밀봉의 형태인 제2밀봉 요소(12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컨넥터 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봉 요소(1100)와 상기 제2밀봉 요소(1200)는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은 또한 절연-변위 접촉 부싱(1430)을 가지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은 부싱 밀봉부의 형태인 제3밀봉 요소(1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밀봉 요소(1300)는 상기 제1밀봉 요소(1100) 및 상기 제2밀봉 요소(1200)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봉 요소(1100)는 발 영역(1130) 및 립 영역(1140)을 갖는 둘러싸는 밀봉 립(1120)을 갖고, 상기 립 영역(1140)은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의 중심으로부터 경사지는 기둥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발 영역(1130)은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상기 립 영역(1140)의 벽은 상기 발 영역(1130)의 벽보다 얇으며, 상기 립 영역(1140)의 높이는 상기 발 영역(1130)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립 영역(1140)은 상기 발 영역(1130)으로부터 멀어지는 그 단부에 둥근 상부(rounded-off top)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밀봉 요소(1200)는 삽입콘(1211) 및 원통부(12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
  7.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밀봉 요소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의 상기 베이스(1400)를 통해 상기 절연-변위 접촉 부싱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봉 요소(1100), 상기 제2밀봉 요소(1200) 및 상기 제3밀봉 요소(1300)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elastomer)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400)는 폴리 아미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부품(1000)은 2 성분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187029367A 2016-03-15 2017-03-14 방수 격벽 부싱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Water-tight partition wall bushing for plug connectors} KR201801219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4230.0 2016-03-15
DE102016204230.0A DE102016204230A1 (de) 2016-03-15 2016-03-15 Schottdurchführung
PCT/EP2017/056026 WO2017157957A1 (de) 2016-03-15 2017-03-14 Wasserdicht schottwanddurchführung für steckverbi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989A true KR20180121989A (ko) 2018-11-09

Family

ID=5831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367A KR20180121989A (ko) 2016-03-15 2017-03-14 방수 격벽 부싱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Water-tight partition wall bushing for plug connectors}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530091B2 (ko)
EP (1) EP3430688B1 (ko)
KR (1) KR20180121989A (ko)
CN (1) CN108780967B (ko)
BR (1) BR112018068750A2 (ko)
DE (2) DE102016204230A1 (ko)
ES (1) ES2928986T3 (ko)
HU (1) HUE060596T2 (ko)
MX (1) MX2018010969A (ko)
PL (1) PL3430688T3 (ko)
WO (1) WO20171579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898Y2 (ja) 1981-10-09 1985-06-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気機器の防水取付構造
DE4002903A1 (de) 1990-02-01 1991-08-08 Gebhard Dietrich Topfdichtung fuer eine an einem kraftfahrzeug angebrachte steckdose
US5249982A (en) * 1992-12-29 1993-10-05 Molex Incorporated Panel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ealing system
JP3823124B2 (ja) * 1996-05-16 2006-09-20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取付構造
US5807125A (en) * 1997-02-19 1998-09-15 Molex Incorporated System for mounting an electrical connector in a support structure
JP2001085101A (ja) * 1999-09-17 2001-03-30 Yazaki Corp コネクタの防水構造
US6860759B2 (en) * 2001-12-17 2005-03-0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nd method of mounting a connector housing on a panel
TW200409418A (en) * 2002-05-30 2004-06-01 Heyco Products Inc Connectors for under-cabinet lighting
JP2003346990A (ja) * 2002-05-30 2003-12-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パネル取付部品
KR100684550B1 (ko) * 2005-04-04 2007-02-2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고정장치
JP2006339114A (ja) * 2005-06-06 2006-12-14 Yazaki Corp コネクタ及び防水接続部材
US7338317B1 (en) * 2006-10-12 2008-03-0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Panel-mounted connector
DE102010017361A1 (de) * 2010-06-14 2011-12-1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bausteckverbinder
JP5806523B2 (ja) * 2011-06-24 2015-11-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グロメット付きコネクタ
US9130298B1 (en) * 2014-02-19 2015-09-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rommet assembly for vehicle body panel
JP6108236B2 (ja) * 2014-05-23 2017-04-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4538368U (zh) 2015-04-17 2015-08-05 四川永贵科技有限公司 弯式屏蔽mcu总线插头
US10090615B1 (en) * 2017-09-22 2018-10-0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Panel mount electrical connector with moisture resistant mating 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30688A1 (de) 2019-01-23
ES2928986T3 (es) 2022-11-23
US20190081434A1 (en) 2019-03-14
HUE060596T2 (hu) 2023-04-28
BR112018068750A2 (pt) 2019-01-22
CN108780967B (zh) 2020-07-17
US10530091B2 (en) 2020-01-07
DE202017007506U1 (de) 2022-03-09
MX2018010969A (es) 2019-03-28
DE102016204230A1 (de) 2017-09-21
WO2017157957A1 (de) 2017-09-21
EP3430688B1 (de) 2022-08-03
PL3430688T3 (pl) 2022-11-28
CN108780967A (zh) 2018-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2953B2 (en) Insulation cap and joined electrical wire using the same
US1052294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aled electrical connector
KR101573967B1 (ko) 밀봉형 전기 커넥터
US20140287631A1 (en)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775005B1 (ko) 핀 격리 피처를 갖는 밀폐형 단자
JP6536378B2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ワイヤハーネス
KR101983237B1 (ko) 전선연결용 커넥터
CN103782461B (zh) 用于电缆密封的阻塞装置
CN112997365B (zh) 电导体与电气设备连接件电接触的接触元件及其制造方法
US7238036B2 (en) Connector
JP4325949B2 (ja) 2本の電気ケーブルを相互接続する方法及び装置
US9515404B2 (en) Electrical contact plug and plug housing
US20120149241A1 (en) Connecting component for electrical conductors and method for sheathing such a connecting component
KR20120022618A (ko) 방수형 전기 커넥터 및 방수형 전기 커넥터의 조립방법
KR20180121989A (ko) 방수 격벽 부싱에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 부품{Water-tight partition wall bushing for plug connectors}
JP2001076809A (ja) コネクタ
US4491686A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9520019A (ja) モーターコネクター及びこれを有するモーター
EP4120492A1 (en) Bushing module and device having lead-out wires
GB2191899A (en) Moulded connector and cable entry seal
JP3951490B2 (ja) コネクタ
CN103168398A (zh) 电连接器组件
CN111435772A (zh) 连接器组件和包括连接器组件的家用电器
JP2001076808A (ja) コネクタ
EP0740375A2 (en) Bulb socke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