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618A - 방수형 전기 커넥터 및 방수형 전기 커넥터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방수형 전기 커넥터 및 방수형 전기 커넥터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618A
KR20120022618A KR1020110078904A KR20110078904A KR20120022618A KR 20120022618 A KR20120022618 A KR 20120022618A KR 1020110078904 A KR1020110078904 A KR 1020110078904A KR 20110078904 A KR20110078904 A KR 20110078904A KR 20120022618 A KR20120022618 A KR 20120022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melt
contact
outer circumferential
housing
mai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8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츠미 시가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2002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6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Abstract

핫멜트부재의 접착부분의 유분 등의 부착을 방지하고, 핫멜트부재의 벗겨짐을 방지하여 방수성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는 방수형 전기 커넥터 및 방수형 전기 커넥터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퀴브 커넥터는 메인 하우징 및 덮개 하우징에 대해 핫멜트부재가 접착되는 부분의 외주측을 둘러싸듯이 외주벽이 설치되고, 스퀴브 커넥터의 조립 시에 작업자가 접착부분을 손가락 등으로 닿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외주벽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외주벽의 관통공과 여기에 파고들어간 핫멜트부재와의 계합에 의해 핫멜트부재가 벗겨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Description

방수형 전기 커넥터 및 방수형 전기 커넥터의 조립방법{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Method of Assembling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에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수형 전기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일본특개2009-200010호 공보
종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와의 접속부분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 방수형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에어백장치는 점화장치에 전기신호를 공급하여 폭발을 일으켜 폭발로 발생한 가스를 에어백에 충진하는 것이다. 이 에어백에 전기신호를 공급하는 전선은 전기 커넥터를 통해 점화장치측의 상대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다. 최근 에어백장치는 차량실내의 스테어링부에 설치되는 것만 아니라 커튼 에어백이나 사이드 에어백으로서 도어의 내부에도 설치되고 있다. 실내에 비해 결로 등이 발생하기 쉬운 도어의 내부에서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에는 물이 직접 닿을 가능성에 대비하는 수밀성뿐 아니라 전기 커넥터의 내부에 결로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하는 기밀성도 겸하여 대비한 방수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출되는 전선(6)을 끼워 넣은 형태의 절연 하우징(2)의 외측을 금형 성형에 의해 핫멜트부재(8)로 덮은 방수형 전기 커넥터(1)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이러한 방수형 전기 커넥터(1)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2)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히 절연성 합성수지로 성형된 메인 하우징(3) 및 덮개 하우징(4)으로 이루어진다. 메인 하우징(3)은 콘택트를 수용하는 콘택트 수용부(5)와, 전선(6)이 돌출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콘택트와 전선과의 접속부를 수용하는 전선단 수용부(7)를 갖는다.
또한 메인 하우징(3)에는 콘택트 수용부(5)에 상대 커넥터에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 단부로부터 콘택트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덮개 하우징(4)은 이 개구부를 막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 하우징(4)은 메인 하우징(3)의 전선단 수용부(7)에서 콘택트의 전선접속부 및 전선(6)을 끼워 유지한다.
핫멜트부재(8)는 메인 하우징(3)과 덮개 하우징(4)과의 경계부분 및 전선(6)을 끼운 부분의 쌍방을 포함하도록 메인 하우징(3)의 일부와 덮개 하우징(4)의 전면을 덮고 있다.
또한 메인 하우징(3)의 선단 근방의 외주면에 씰부재(9)가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씰부재(9)는 형성 완료된 메인 하우징(3)의 외주면에 실리콘 고무를 인서트 몰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씰부재(9)는 2색 성형에 의해 메인 하우징(3)과 동시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수형 전기 커넥터(1)에 있어서는 핫멜트부재(8)가 메인 하우징(3) 및 덮개 하우징(4)로부터 벗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핫멜트부재(8)가 벗겨지면 방수형 전기 커넥터(1)는 방수성을 상실하게 된다.
이것은 메인 하우징(3)의 선단부에 설치된 씰부재(9)에 유분(油分)이 포함되어 있고, 이 유분이 방수형 전기 커넥터(1)의 제조?조립공정에 있어서 작업자가 메인 하우징(3)이나 덮개 하우징(4)을 손으로 취급하는 때에, 메인 하우징(3)이나 덮개 하우징(4)에서 핫멜트부재(8)가 접착되는 부분(예를 들면 도 5(a) 중, 부호(A) 부분)에 부착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핫멜트부재의 접착부분의 유분 등의 부착을 방지하고, 핫멜트부재의 벗겨짐을 방지하여 방수성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는 방수형 전기 커넥터 및 방수형 전기 커넥터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행해진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의 감합요부에 갑합되는 감합철부와 당해 감합철부 내에 형성되어 콘택트를 수용하는 콘택트 수용부를 갖는 메인 하우징과, 콘택트 수용부에 콘택트를 수용하기 위해 메인 하우징에서 감합철부와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는 덮개 하우징과, 콘택트 수용부에 수용되는 접촉부 및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뻗고, 전선의 일단에 접속되는 전선접속부를 가진 콘택트와, 적어도 메인 하우징과 덮개 하우징과의 경계부분을 덮는 핫멜트부재를 구비하고, 메인 하우징에 당해 메인 하우징과 덮개 하우징과의 경계부분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외주벽이 형성되고, 핫멜트부재는 외주벽의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메인 하우징과 덮개 하우징과의 경계부분의 외주측에 외주벽을 형성함으로써 핫멜트부재가 접착되는 부분에 작업자의 손 등이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외주벽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부 또는 외주벽의 내외를 관통하는 구멍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부나 구멍 내에 핫멜트부재가 들어가기 때문에 핫멜트부재의 빠짐이 방지된다.
외주벽에 형성된 구멍이 핫멜트부재의 형성 시에 당해 핫멜트부재를 형성하는 재료를 주입하는 게이트구멍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요부나 구멍의 수나 위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외주벽은 메인 하우징과 덮개 하우징과의 경계부분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것이면, 예를 들면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복수 개소에 설치해도 좋다. 그러나 외주벽을 메인 하우징과 덮개 하우징과의 경계부분의 외주측의 가능한 한 전주를 둘러싸도록 하면, 이 외주벽을 핫멜트부재를 형성하는 때의 형태의 일부로 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하우징이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뻗고, 전선의 전선접속부를 서포트하는 서포트부를 갖는 경우, 외주벽은 서포트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메인 하우징의 거의 전주에 걸쳐 연속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주벽에 있어서 서포트부에 대향하는 위치이며 감합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제2의 요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핫멜트부재가 제2의 요부에 계합함으로써 핫멜트부재가 감합철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덮개 하우징은 외주측에 튀어나오는 돌출부를 갖는 것으로 하고, 핫멜트부재를 돌출부에 계합시킴으로써 핫멜트부재가 감합철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핫멜트부재의 벗겨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외주벽은 당해 외주벽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메인 하우징 및 덮개 하우징보다도 감합철부의 돌출방향과는 반대측에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메인 하우징이나 덮개 하우징에 작업자가 닿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서 7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수형 커넥터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콘택트 수용부에 콘택트를 수용하는 공정과, 콘택트를 수용한 콘택트 수용부의 개구부를 덮개 하우징으로 막는 공정과, 외주벽의 내측에 핫멜트재료를 충진함으로써 적어도 메인 하우징과 덮개 하우징과의 경계부분을 핫멜트부재로 덮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전기 커넥터의 조립방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외주벽은 핫멜트부재의 형성 후, 절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하우징 및 덮개 하우징에 대해 핫멜트부재가 접착되는 부분의 외주측을 둘러싸듯이 외주벽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방수형 전기 커넥터의 조립 시에 작업자가 접착부분을 손가락 등으로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씰부재에 포함되는 유분 등이 핫멜트부재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핫멜트부재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그 결과 핫멜트부재의 벗겨짐을 방지하여 방수형 전기 커넥터의 방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외주벽에 구멍이나 요부, 게이트 구멍을 설치하거나 덮개 하우징에 돌출부를 설치함으로써 핫멜트부재가 여기에 침투하여 외주벽에 계합되고, 핫멜트부재가 벗겨지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퀴브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스퀴브 커넥터를 헤드부측에서 본 사시도, (b)는 스퀴브 커넥터를 감합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스퀴브 커넥터에 핫멜트부재가 형성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a)는 메인 하우징의 헤드부측에서 본 사시도, (b)는 메인 하우징의 감합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스퀴브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종래의 스퀴브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며,(a)는 스퀴브 커넥터를 헤드부측에서 본 사시도, (b)는 스퀴브 커넥터를 감합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종래의 스퀴브 커넥터에 있어서 핫멜트부재가 형성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a)는 메인 하우징의 헤드부측에서 본 사시도,(b)는 메인 하우징의 감합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 커넥터의 일실시형태인 스퀴브(Squib) 커넥터(방수형 전기 커넥터;1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스퀴브 커넥터(10)는 차량 에어백의 점화장치에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은 상대 커넥터에 전선(100)을 접속하는 것이다.
스퀴브 커넥터(10)는 절연 하우징(11), 씰부재(17) 및 핫멜트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하우징(11)은 공히 절연성 합성수지로 성형된 메인 하우징(12) 및 덮개 하우징(1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퀴브 커넥터(10)의 절연 하우징(11) 내부에는 절연피복된 전선(100)의 일단에 접속된 콘택트(15)와, 노이즈 흡수를 위한 페라이트 코어(16)가 구비되어 있다.
콘택트(15)는 상대 커넥터의 수형 콘택트와 감합하는 암형 콘택트이며, 금속판을 타발가공, 휨가공, 및 도금가공함으로써 형성된 부재이다.
콘택트(15)는 L자형 개략 형상을 갖고 있으며 상대 커넥터의 수형 콘택트와 접촉하는 접촉부(51) 및 전선(100)의 일단에 접속되는 전선접속부(52)로 이루어진다.
전선접속부(52)는 전선(100)의 심선을 압착하는 심선압착부(52a), 및 전선(100)의 절연피복을 압착하는 절연피복 압착부(52b)를 갖고 있다.
페라이트 코어(16)는 원통상이며 콘택트(15)의 접촉부(51)의 외주측에 위치하고, 전자 노이즈의 외부로부터의 침입, 외부로의 누출을 방지한다.
절연 하우징(11)의 메인 하우징(12)은 헤드부(12A)와, 헤드부(12A)로부터 일방향으로 뻗고, 상대 커넥터의 감합요부에 감합되는 원주상의 감합철부(12B)를 갖는다.
헤드부(12A) 및 감합철부(12B)에는 감합철부(12B)의 축선방향으로 뻗는 콘택트 수용실(34)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수용실(34)은 헤드부(12A)측이 개구하고 있으며, 이 개구부(34a)로부터 콘택트 수용실(34) 내에 콘택트(15)의 접촉부(51) 및 페라이트 코어(16)가 삽입되어 형성되어 있다.
감합철부(12B)의 선단에는 콘택트 수용실(34)을 외부로 연통하는 접속공(35)이 형성되어 있다. 스퀴브 커넥터(10)가 상대 커넥터에 접속되는 때에는 상대 커넥터의 수형 콘택트가 이 접속공(35)을 통해 콘택트 수용실(34)에 삽입되어 콘택트(15)에 접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메인 하우징(12)의 갑합철부(12B)의 외주면에는 록부재(31)가 형성되어 있다. 록부재(31)는 감합철부(12B)가 상대 커넥터의 감합요부에 고정위치까지 삽입된 때에 빠짐방지하는 것으로, 메인 하우징(12)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부(12A)에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돌출한 전선단 수용부(서포트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선단 수용부(20)에는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도출되는 전선(100)의 일단에 접속된 전선접속부(52)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12A)에는 콘택트 수용실(34)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통상벽(29)의 꼭지부(29p)로부터 감합철부(12B)측에 소정 치수 이간한 위치에, 외주측에 돌출하는 플런지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런지부(24)는 전선단 수용부(2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헤드부(12A)의 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런지부(24)의 외주연부에는 감합철부(12B)와는 반대측을 향해 시작하는 외주벽(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외주벽(25)은 메인 하우징(12)에 대해 통상벽(29)의 꼭지부(29p)로부터도 감합철부(12B)의 돌출방향과 반대측으로 이간한 꼭지부(12p)를 구성하고, 나아가 덮개 하우징(14)의 꼭지면(14a)과 동등 레벨 또는 꼭지면(14a)으로부터도 감합철부(12B)와는 반대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주벽(25)에는 적어도 1개소에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2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핫멜트부재(60)를 형성하기 위해 용융상태의 재료를 형틀 내에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구멍(27)으로서 이용된다.
게이트구멍(27)은 어떤 위치에 형성해도 좋으나 전선단 수용부(20)로부터 이간한 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공(26)은 외주벽(25)에 복수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관통공(26)은 외주벽(25)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주벽(25)의 양단부(25a, 25a)는 전선단 수용부(20)가 뻗는 방향과 평행하게 뻗어 형성되어 있다. 양단부(25a, 25a)에 있어서 감합철부(12B)측이며 전선단 수용부(20)에 대향하는 측에는 요부(제2의 요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28)에는 핫멜트부재(60)가 맞물림으로써 핫멜트부재(60)의 벗겨짐을 방지한다.
절연 하우징(11)의 덮개 하우징(14)은 메인 하우징(12)의 헤드부(12A)에 있어서, 콘택트 수용실(34)에 콘택트(15)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34a)를 덮는 개구부 덮개부(43)를 갖는다. 개구부 덮개부(43)의 외주부(돌출부;43a)는 메인 하우징(12)의 헤드부(12A)에 있어서, 플런지부(24)로부터 원통상으로 뻗고, 콘택트 수용실(34)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통상벽(29)보다도 큰 외경을 갖고 있다. 통상벽(29)에 있어서 전선단 수용부(20)와 반대측에는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계지돌기(29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개구부 덮개부(43)에는 플런지부(24)측으로 뻗는 록부(44)가 형성되고, 록부(44)에는 계지돌기(29a)에 계지되는 록구멍(44a)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덮개 하우징(14)은 전선단 수용부(20)와 반대측에 있어서 메인 하우징(12)의 헤드부(12A)에 계지된다.
또한 덮개 하우징(14)은 메인 하우징(12)의 전선단 수용부(20)를 덮는 전선단 덮개부(40)를 갖는다. 전선단 덮개부(40)의 양단에는 록부재(41)가 형성되어 있다. 록부재(41)는 전선단 수용부(20)에 형성된 계지손톱(20a)에 계합함으로써 덮개 하우징(14)이 헤드부(12A)로부터 빠지는 것을 구속한다.
절연 하우징(11)은 메인 하우징(12)의 전선단 수용부(20)와 덮개 하우징(14)의 전선단 덮개부(40)로 콘택트(15)의 전선접속부(52) 및 전선(100)을 끼워서 유지한다.
핫멜트부재(60)는 금형 성형에 의해 절연 하우징(11)과 일체화 하도록 성형된다. 이 때 핫멜트부재(60)는 외주벽(25)에 형성된 관통공(26)을 게이트구멍(27)으로 하고, 이 게이트구멍(27)으로부터 용융상태의 재료를 금형 내에 주입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핫멜트부재(60)는 그 외주측은 외주벽(25)을 형틀로 하면서 그 내측에 외주벽(25)의 상단면과 동일 레벨까지 재료가 충진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경화 후의 핫멜트부재(60)는 관통공(26) 내에 충진된 부분이 외주벽(25)에 계합하게 된다. 게이트구멍(27) 이외에도 관통공(26)을 형성한 경우는 그 관통공(26)에도 핫멜트부재(60)가 파고들어 계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선단 수용부(20)로부터 이간한 측에서의 핫멜트부재(60)의 벗겨짐이 방지된다.
또한 핫멜트부재(60)는 전선단 수용부(20)측에 있어서는 외주벽(25)의 양단부(25a, 25a)에 형성된 요부(28)에 맞물림으로써 전선단 수용부(20)측에서의 핫멜트부재(60)의 벗겨짐이 방지된다.
더욱이 메인 하우징(12)의 헤드부(12A)에 계지된 덮개 하우징(14)에 있어서, 개구부 덮개부(43)의 외주부(43a)는 메인 하우징(12)의 헤드부(12A)의 통상벽(29)보다도 외주측에 돌출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 덮개부(43)의 돌출한 부분에 핫멜트부재(60)가 계합함으로써 이에 의해서도 핫멜트부재(60)의 벗겨짐이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형성되는 핫멜트부재(60)는 메인 하우징(12)과 덮개 하우징(14)과의 경계부분 및 도출되는 전선(100)을 끼운 부분의 쌍방을 포함하는 메인 하우징(12)의 일부와 덮개 하우징(14)의 전면을 덮고 있다. 즉, 전선(100)의 절연피복은 핫멜트부재(60)로 절연 하우징(11)에 접착되어 있다.
이러한 핫멜트부재(60)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계 핫멜트나 폴리에스테르계 핫멜트가 이용된다. 또한 핫멜트부재(60)의 재료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금형 성형에 의해 절연 하우징(11)과 일체화하도록 성형 가능하며, 저압으로 단시간에 성형 가능하고, 절연 하우징(11)을 구성하는 수지재료와의 친화성이 높아 금형에 부착하지 않는 재료이면 좋다.
씰부재(17)는 감합철부(12B)의 선단 근방의 외주면에 일체로 배치되어 있다. 씰부재(7)는 외주면(33)의 일부를 둘러싸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최외주에는 립(lip)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립부(17a)는 감합철부(12B)의 외주면보다도 외주측에 돌출하고 있고, 씰부재(17)의 외경은 상대 커넥터의 감합요부의 내경보다도 크다. 즉 씰부재(17)는 감합철부(12b)가 감합요부에 삽입된 때에 감합요부의 내벽에 탄성적으로 밀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씰부재(17)는 성형 완료된 메인 하우징(12)의 감합철부(12B)의 외주면에 실리콘 고무를 예를 들면 인서트 몰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 고무는 인서트 몰드 공정에서 메인 하우징(12)에 접착하고, 메인 하우징(12)과 일체인 씰부재(17)가 된다. 그리고 씰부재(17)는 2색 성형에 의해 메인 하우징(12)과 동시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스퀴브 커넥터(10)의 제조는 우선 페라이트 코어(16)와, 전선(100)에 접속된 콘택트(15)를 메인 하우징(12)의 콘택트 수용실(34)에 삽입하여 수용한다.
이어서 메인 하우징(12)에 덮개 하우징(14)을 장착하여 콘택트 수용실(34)의 개구부(34a)를 막는다.
이렇게 한 후, 절연 하우징(11)을 금형 내에 세팅하고, 외주벽(25)에 형성된 게이트구멍(27)으로부터 외주벽(25)의 내측에 핫멜트부재(60)의 재료를 용융상태로 충진하여 이것을 고화시킴으로써 스퀴브 커넥터(10)가 얻어진다.
이상 설명한 스퀴브 커넥터(10)는 메인 하우징(12) 및 덮개 하우징(14)에 대해 핫멜트부재(60)가 접착되는 부분의 외주측을 둘러싸듯이 외주벽(25)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퀴브 커넥터(10)의 조립 시에 작업자가 접착부분을 손가락 등으로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씰부재(17)에 포함되는 유분이 핫멜트부재(60)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핫멜트부재(60)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하우징(12)의 헤드부(12A)에 외주벽(25)을 설치함으로써 핫멜트부재(60)의 외주부가 노출하지 않기 때문에, 핫멜트부재(60)에 외력이 가해져 이것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전선(100)측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외주벽(25)의 내주면과핫멜트부재(60)와의 마찰, 외주벽(25)의 관통공(26)과 여기에 파고든 핫멜트부재(60)와의 계합, 외주벽(25)의 요부(28)와 핫멜트부재(60)와의 계합, 외주벽(25)의 내주측에서의 덮개 하우징(14)의 개구부 덮개부(43)의 외주부(43a)와 핫멜트부재(60)와의 계합에 의해 핫멜트부재(60)가 벗겨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핫멜트부재(60)의 벗겨짐을 방지하고, 스퀴브 커넥터(10)의 방수성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방수형 전기 커넥터가 스퀴브 커넥터(10)인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방수형 전기 커넥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퀴브 커넥터(10)를 구성하는 메인 하우징(12), 덮개 하우징(14)의 각 부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플런지부(24), 외주벽(25), 핫멜트부재(60) 이외의 부분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 준용할 수 있다. 더욱이 메인 하우징(12)에 외주벽(25)을 설치하고 그 내측에 핫멜트부재(60)를 설치하는 부분 이외에 대해서는 어떠한 구조로 해도 좋다.
또한 외주벽(25)에 관통공(26)을 형성하고 여기에 핫멜트부재(60)를 형성하는 재료를 침입시킴으로써 핫멜트부재(60)를 외주벽(25)에 계지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그 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관통공(26)이 아니라 요부나 홈을 외주벽(25)의 내벽면에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더욱이 외주벽(25)에 대해서는 핫멜트부재(60)의 성형 후 이것을 절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주된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예로 든 구성을 취사선택하거나 다른 구성으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10 스퀴브 커넥터(방수형 전기 커넥터)
11 절연 하우징
12 메인 하우징
12A 헤드부
12B 감합철부
14 덮개 하우징
15 콘택트
16 페라이트 코어
17 씰부재
20 전선단 수용부(서포트부)
24 플런지부
25 외주벽
25a 양단부
26 관통공(구멍)
27 게이트구멍
28 요부(제2의 요부)
29 통상벽
34 콘택트 수용실
35 접속공
51 접촉부
52 전선접속부
43a 외주부(돌출부)
60 핫멜트부재
100 전선

Claims (8)

  1. 상대 커넥터의 감합요부에 갑합되는 감합철부와 당해 감합철부 내에 형성되어 콘택트를 수용하는 콘택트 수용부를 갖는 메인 하우징;
    상기 콘택트 수용부에 상기 콘택트를 수용하기 위해 메인 하우징에서 감합철부와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막는 덮개 하우징;
    상기 콘택트 수용부에 수용되는 접촉부 및 상기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뻗고, 전선의 일단에 접속되는 전선접속부를 가진 상기 콘택트;
    적어도 상기 메인 하우징과 상기 덮개 하우징과의 경계부분을 덮는 핫멜트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하우징에 당해 메인 하우징과 상기 덮개 하우징과의 경계부분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외주벽이 형성되고,
    상기 핫멜트부재는 상기 외주벽의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부 또는 외주벽의 내외를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에 형성된 상기 구멍이 상기 핫멜트부재의 형성 시에 당해 핫멜트부재를 형성하는 재료를 주입하는 게이트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전기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은 상기 상대 커넥터에 감합되는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뻗고,
    상기 전선의 상기 전선접속부를 서포트하는 서포트부를 갖고,
    상기 외주벽은 상기 서포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에 대향하는 위치이며 감합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제2의 요부를 형성되고,
    상기 핫멜트부재가 상기 제2의 요부에 계합함으로써 상기 핫멜트부재가 상기 감합철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전기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하우징은 외주측에 튀어나오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핫멜트부재가 상기 돌출부에 계합함으로써 상기 핫멜트부재가 상기 감합철부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전기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은 당해 외주벽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상기 메인 하우징 및 상기 덮개 하우징보다도 상기 감합철부의 돌출방향과는 반대측에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전기 커넥터.
  8. 청구항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수형 전기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수용부에 콘택트를 수용하는 공정;
    상기 콘택트를 수용한 상기 콘택트 수용부의 상기 개구부를 상기 덮개 하우징으로 막는 공정;
    상기 외주벽의 내측에 핫멜트재료를 충진함으로써 적어도 상기 메인 하우징과 상기 덮개 하우징과의 경계부분을 상기 핫멜트부재로 덮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전기 커넥터의 조립방법.
KR1020110078904A 2010-08-09 2011-08-09 방수형 전기 커넥터 및 방수형 전기 커넥터의 조립방법 KR201200226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78451 2010-08-09
JP2010178451A JP5559635B2 (ja) 2010-08-09 2010-08-09 防水型電気コネクタ、防水型電気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618A true KR20120022618A (ko) 2012-03-12

Family

ID=4549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8904A KR20120022618A (ko) 2010-08-09 2011-08-09 방수형 전기 커넥터 및 방수형 전기 커넥터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29278B2 (ko)
JP (1) JP5559635B2 (ko)
KR (1) KR20120022618A (ko)
CN (1) CN102377069B (ko)
DE (1) DE1020110803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37625B2 (ja) * 2012-07-18 2017-11-29 東洋紡株式会社 シール層含有構造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コネクタ
JP6279846B2 (ja) * 2013-07-01 2018-0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JP6143183B2 (ja) * 2013-08-07 2017-06-0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ェライトコア内蔵防水コネクタ
JP6423182B2 (ja) * 2014-06-20 2018-11-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3396785B1 (de) * 2017-04-27 2020-12-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Steckeranordnung
CN108879156B (zh) * 2017-05-12 2024-02-0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气防护盖及插座
CN110854559A (zh) * 2018-08-20 2020-02-28 松下·万宝(广州)压缩机有限公司 一种接线柱密封盖、上盖组件及压缩机
EP3907831B1 (en) * 2020-05-06 2024-02-14 Tyco Electronics France SAS Seal for an angle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9843A (en) * 1991-06-19 1992-07-14 Emerson Electric Co. Connector block for a terminal assembly
US5580282A (en) * 1994-01-14 1996-12-03 Emerson Electric Co. Sealable shaped connector block for a terminal assembly
US6699078B2 (en) * 2001-12-21 2004-03-02 Emerson Electric Co. Connector block having at least one protrusion, for a terminal assembly
JP3948529B2 (ja) * 2003-05-21 2007-07-25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4713380B2 (ja) * 2006-03-24 2011-06-2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防水型スクイブコネクタ
JP5173485B2 (ja) 2008-02-25 2013-04-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防水型電気コネクタ
JP2009252712A (ja) * 2008-04-11 2009-10-29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及び防水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075730B2 (ja) * 2008-04-30 2012-11-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シール部材保護キャップおよびコネクタ
JP4949332B2 (ja) * 2008-07-15 2012-06-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77069A (zh) 2012-03-14
JP5559635B2 (ja) 2014-07-23
JP2012038607A (ja) 2012-02-23
DE102011080354A1 (de) 2012-02-09
US20120034800A1 (en) 2012-02-09
CN102377069B (zh) 2015-06-03
US8529278B2 (en)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2618A (ko) 방수형 전기 커넥터 및 방수형 전기 커넥터의 조립방법
KR101332041B1 (ko) 방수형 전기 커넥터
US5580264A (en) Waterproofed connector
US8569623B2 (en) Waterproof joint section forming method and wire harness provided with waterproof joint section formed by the method
CN102187750B (zh) 带有罐式外壳的电子设备及其制造方法
US7670164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JP5390838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フラットケーブルのコネクタ
EP3490077B1 (en) Sealed electrical wire har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10021076A1 (en) Molded connector
WO2006054574A1 (ja) 防水コネクタ
JP2009087855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スライドドアの給電装置
JP2003234144A (ja) コネクタ
JP2009032589A (ja) 電気器具、及び該電気器具の製造方法
US7967625B2 (en) Packing protection cap and connector
WO2016167109A1 (ja) 電子制御ユニットの防水構造
JPH0864297A (ja) 防水コネクタ
JP2011060426A (ja) コネクタ
JP2002008793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H0864301A (ja) 防水コネクタ
JP2011086457A (ja) 防水コネクタ
KR101589174B1 (ko) 방수기능을 가지는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6243913A (ja) 電線接続部の防水構造
JPH0896888A (ja) 防水コネクタプラグ及びソケット
JP2006179377A (ja) 電気信管点火装置用コネクタ
JPH11329564A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