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059A - 스피닝 릴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059A
KR20180120059A KR1020170133122A KR20170133122A KR20180120059A KR 20180120059 A KR20180120059 A KR 20180120059A KR 1020170133122 A KR1020170133122 A KR 1020170133122A KR 20170133122 A KR20170133122 A KR 20170133122A KR 20180120059 A KR20180120059 A KR 20180120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member
nut
pinion gear
spool shaf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0470B1 (ko
Inventor
사토시 이케부쿠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80120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01K89/01928Frame details with line or water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27Brake devices for reels with pick-up, i.e. for reels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8Pick-up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12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 A01K89/01916Drive mechanism details with level winding the drive mechanism reciprocating the gui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한 스풀축을 전후 방향으로 순조롭게 이동시키는 것에 있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100)은, 스풀(3)이 장착된 스풀축(2)과, 피니언 기어(5)와, 칼라(collar) 부재(15)와, 너트(11)와, 탄성 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5)는, 스풀축(2)의 축 둘레에 배치되고, 로터(4)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칼라 부재(15)는, 통상(筒狀)이며, 피니언 기어(5)의 일단 측에서 스풀축(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풀축(2)을 지지하고 있다. 너트(11)는, 통상이며, 칼라 부재(15)를 수용하도록 하여 배치되고, 피니언 기어(5)에 나합(螺合)한다. 탄성 부재(20)는, 칼라 부재(15)의 외주면(外周面)과 너트(11)의 내주면(內周面)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스피닝 릴{SPINNING 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스피닝 릴에 관한 것이다.
스피닝 릴은, 로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스풀에 낚싯줄이 감긴다. 스피닝 릴은, 스풀이 장착된 스풀축과, 로터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축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릴 본체에 설치되고, 피니언 기어의 내부를 관통하고 있다. 스풀축은, 핸들의 회전에 수반하여 릴 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스풀축이 핸들의 회전에 수반하여 릴 본체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 스풀축과 피니언 기어가 마찰하면, 피니언 기어의 회전 성능이 저하하여 버린다. 이 피니언 기어의 회전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는, 피니언 기어의 선단(先端) 측에 스풀축을 지지하는 칼라(collar)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칼라 부재는, 피니언 기어의 내주면(內周面)과 스풀축의 외주면(外周面)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間隙)이 생기도록 스풀축을 지지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축과 피니언 기어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스풀축과 피니언 기어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의 증가가 억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284465호
여기에서, 스풀축을 지지하는 칼라 부재는, 내주면을 높은 정도(精度)로 가공할 필요가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이와 같은 칼라 부재에 대하여 너트나 피니언 기어를 당접시키고, 칼라 부재의 축 방향 및 경(徑)방향의 이동을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 문헌 1과 같은 구성에서는, 피니언 기어가 회전하였을 때, 피니언 기어의 선단면과 칼라 부재가 마찰하여, 피니언 기어의 회전 성능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서는, 칼라 부재에 대한 너트의 경방향의 이동이 허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스풀축의 구부러짐이나 너트 등의 심(芯) 어긋남, 기우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스풀축의 구부러짐이나, 스풀축의 축 둘레에 배치된 부재에 심 어긋남이나 기우는 것이 생긴 경우, 이것들의 부재와 칼라 부재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이 증대하여, 피니언 기어의 회전 성능이 저하하거나, 스풀축의 전후 방향의 이동에 문제를 초래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한 스풀축을 전후 방향으로 순조롭게 이동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은, 로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스풀에 낚싯줄을 감기 가능하고, 스풀이 장착된 스풀축과, 피니언 기어와, 칼라 부재와, 너트와,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피니언 기어는, 스풀축의 축 둘레에 배치되고, 로터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칼라 부재는, 통상(筒狀)이며, 피니언 기어의 축 방향의 일단(一端) 측에서 스풀축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스풀축을 지지하고 있다. 너트는, 통상이며, 칼라 부재를 수용하도록 하여 배치되고, 피니언 기어에 나합(螺合)한다. 탄성 부재는, 칼라 부재의 외주면과 너트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피닝 릴에서는, 스풀축을 지지하는 칼라 부재와 너트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칼라 부재와 너트와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고, 칼라 부재를, 탄성 부재를 통하여 너트에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칼라 부재의 내주면을 높은 정도로 가공하여 스풀축을 정도 좋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여도, 칼라 부재와 너트와의 사이의 간극 및 탄성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스풀축의 구부러짐, 및 스풀축의 축 둘레에 배치된 너트 등의 심 어긋남이나 기우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칼라 부재의 축 방향의 이동에 관하여도, 탄성 부재를 통하여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칼라 부재와 피니언 기어나 스풀축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이 억제되고, 그 결과 피니언 기어의 회전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게다가 스풀축의 이동을 순조롭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칼라 부재의 일단 측에 배치되고, 칼라 부재를 스풀축으로부터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칼라 부재는, 피니언 기어의 일단 측의 단면에 접촉 가능한 소경부(小徑部), 및 빠짐 방지부에 접촉 가능하고 소경부의 외경(外徑)보다도 대경(大徑)의 대경부를 가지고, 탄성 부재는, 칼라 부재의 소경부의 외주면과 너트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는, 간단한 구조로 칼라 부재 및 탄성 부재를 스풀축으로부터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빠짐 방지 부재는, 스풀축과 칼라 부재와의 사이를 실(seal)하는 실 부재이다. 이 경우는, 빠짐 방지 부재가 실 부재로서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너트의 외주부에 배치되고, 너트를 회전 멈춤하는 리테이너를 더 구비하고 있다. 너트는, 칼라 부재를 수용하는 머리부, 및 피니언 기어에 나합하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있다. 리테이너는, 경방향 내측(內側)으로 연장되고 축 방향에 있어서 너트의 머리부에 대향하는 연출부(延出部)를 가지고, 빠짐 방지 부재는, 리테이너의 연출부와 너트의 머리부와의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는, 빠짐 방지 부재를 리테이너와 너트와의 사이에서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칼라 부재는, 피니언 기어의 축 방향의 일단에 접촉 가능한 대경부, 및 대경부의 외경보다도 소경의 소경부를 가지고 있다. 너트는, 칼라 부재의 대경부의 외경보다도 소경의 빠짐 방지부, 및 칼라 부재의 대경부의 외경보다도 대경의 단차부(段差部)를 가지고 있다. 너트의 빠짐 방지부는, 칼라 부재의 소경부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너트의 단차부는, 칼라 부재의 대경부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는, 칼라 부재의 대경부와 너트의 단차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는, 간단한 구조로 칼라 부재 및 탄성 부재를 스풀축으로부터 빠짐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칼라 부재는, 피니언 기어의 일단 측의 단면과 너트의 빠짐 방지부에 의하여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 경우는, 간단한 구조로 칼라 부재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부재는, 피니언 기어의 일단 측의 단면과 너트의 빠짐 방지부에 의하여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 경우는, 간단한 구조로 탄성 부재의 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칼라 부재는 함유(含油) 소결(燒結)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는, 칼라 부재의 미끄러짐이 더 좋아지기 때문에, 칼라 부재와, 칼라 부재에 접촉하는 부재와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을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부재는 O링이다. 이 경우는, 탄성 부재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닝 릴에 있어서, 피니언 기어의 회전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한 스풀축을 전후 방향으로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관련되는 도 2에 상당하는 도면.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채용된 스피닝 릴(100)의 종단면도이다. 스피닝 릴(100)은, 릴 본체(1)와, 스풀축(2)과, 스풀(3)과, 로터(4)와, 피니언 기어(5)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란, 낚시를 행할 때에, 낚싯줄이 내보내지는 방향을 전(前), 그 반대 방향을 후(後)라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축 방향의 좌측을 전, 우측을 후라고 규정한다. 또한, 좌우란, 스피닝 릴(100)을 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좌우를 말한다.
릴 본체(1)는, 내부 공간을 가지고 있고, 내부 공간에는, 로터 구동 기구(6)나 스풀(3)에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는 오실레이팅 기구(7) 등이 수용되어 있다. 릴 본체(1)의 우측부에는, 핸들(8)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축(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릴 본체(1)에 설치되어 있다. 스풀축(2)은, 피니언 기어(5)의 내부를 관통하고 있다.
스풀(3)은,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부재이다. 스풀(3)은, 스풀축(2)의 선단에 나합하는 손잡이 부재(10)에 의하여 스풀축(2)에 고정되어 있다. 스풀(3)은, 핸들(8)의 회전에 수반하여 스풀축(2)과 함께 릴 본체(1)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로터(4)는, 스풀(3)에 낚싯줄을 감기 위한 부재이다. 로터(4)는, 핸들(8)의 회전에 수반하여 스풀(3)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피니언 기어(5)는, 스풀축(2)의 축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5)에는, 로터(4)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5)의 전단(前端)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5a)(도 2 참조)에 나합하는 너트(11)에 의하여 피니언 기어(5)에 로터(4)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5)는, 베어링(12)과 베어링(13)에 의하여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5)의 전단 측에는, 스풀축(2)을 지지하는 통상의 칼라 부재(15)가 스풀축(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칼라 부재(15)는, 함유 소결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부재이며, 이것에 의하여 칼라 부재(15)의 접동성이 높아지고, 칼라 부재(15)와 스풀축(2)과의 마찰이 억제되어 있다.
칼라 부재(1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방향에 있어서, 스풀축(2)의 외주면과 피니언 기어(5)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 A가 생기도록, 스풀축(2)을 지지하고 있다. 이 간극 A를 설치하여, 피니언 기어(5)와 스풀축과의 접촉 면적을 줄이는 것으로, 피니언 기어(5)와 스풀축(2)과의 마찰이 억제되어 있다.
칼라 부재(15)는, 소경부(15a)와, 대경부(15b)를 가지고 있다. 소경부(15a)는, 후단면이 피니언 기어(5)의 전단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소경부(15a)는, 외경이 피니언 기어(5)의 외경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15b)는, 외경이 소경부(15a)의 외경보다도 대경이며, 소경부(15a)로부터 스풀축(2)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대경부(15b) 및 소경부(15a)의 내경은 서로 동일하다.
칼라 부재(15)의 외주부에는, 통상의 너트(11)가 칼라 부재(15)를 수용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너트(11)는, 내주부에 칼라 부재(15)가 수용되는 머리부(11a)와, 너트(11)의 후부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11b)를 가지고 있다. 암나사부(11b)는, 피니언 기어(5)의 전단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5a)와 나합하고 있다.
너트(11)는, 너트(11)의 외주부에 배치된 리테이너(16)에 의하여 회전 멈춤되어 있다. 리테이너(16)는, 복수의 나사 부재(17)에 의하여 로터(4)에 고정되어 있다. 리테이너(16)는,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출부(16a)를 가지고 있다. 연출부(16a)는, 리테이너(16)의 전방에 형성되고, 축 방향에 있어서 너트(11)의 머리부(11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축 방향에 있어서, 리테이너(16)의 연출부(16a)와 너트(11)의 머리부(11a)와의 사이에는, 실 부재(18)가 배치되어 있다. 실 부재(18)는, 리테이너(16)의 연출부(16a) 및 너트의 머리부(11a)에 협지(挾持)되어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다. 실 부재(18)는,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제의 립 실이며, 칼라 부재(15)의 전방에서 스풀축(2)에 접촉하여, 스풀축(2)과 칼라 부재(15)와의 사이를 실하고 있다.
실 부재(18)는, 후방에 칼라 부재(15)의 대경부(15b)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18a)를 가지고 있다. 접촉부(18a)로부터 피니언 기어(5)의 전단면까지의 축 방향 길이는, 칼라 부재(15)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고, 양자간에는 간극 B가 설치되어 있다. 칼라 부재는, 접촉부(18a)와 피니언 기어(5)의 전단면과의 사이에서, 이 간극 B의 분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칼라 부재(15)는, 실 부재(18)와 피니언 기어(5)에 의하여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스풀축(2)으로부터 빠짐 방지되어 있다.
또한, 칼라 부재(15)는, 실 부재(18)의 접촉부(18a)와 피니언 기어(5)의 전단면과의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칼라 부재(15)의 소경부(15a)에는 탄성 부재(20)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20)가 탄성 변형하여 칼라 부재(15)와 피니언 기어(5), 혹은 칼라 부재(15)와 실 부재(18)가 접촉하여도, 서로의 접촉 압력이 작다. 이 때문에, 이것들의 부재가 접촉하였을 때에 생기는 마찰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피니언 기어(5)의 회전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칼라 부재(15)의 소경부(15a)의 외주면과 너트(1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탄성 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예를 들어 고무제의 부재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O링이다. 칼라 부재(15)는, 이 탄성 부재(20)를 통하여, 너트(11)의 내주면과 칼라 부재(15)의 대경부(15b)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 C가 생기도록 너트(11)에 지지되어 있다. 덧붙여, 간극 C의 간극은, 간극 A와 동(同) 정도(程度), 혹은 간극 A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축 방향에 관하여, 탄성 부재(20)는, 너트(11)의 대경부(15b)와 피니언 기어(5)의 전단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탄성 부재(20)는, 대경부(15b)와 피니언 기어(5)의 전단면에 의하여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탄성 부재(20)가 스풀축(2)으로부터 빠짐 방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부재(20)를 배치하는 것으로, 탄성 부재(20)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여 너트(11)에 대하여 칼라 부재(15)가 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축(2)의 구부러짐, 및 스풀축(2)의 축 둘레에 배치된 칼라 부재(15)나 너트(11) 등의 심 어긋남이나 기우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칼라 부재(15)와 스풀축(2)과의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니언 기어(5)의 회전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고, 또한 스풀축을 전후 방향으로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덧붙여, 칼라 부재(15)가 경방향으로 크게 이동하려고 하였을 때는, 칼라 부재(15)의 대경부(15b)의 외주면이 너트(11)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칼라 부재(15)의 경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련되는 칼라 부재 둘레면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너트(111) 및 칼라 부재(115)의 구성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칼라 부재(115)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경방향에 있어서, 스풀축(2)의 외주면과 피니언 기어(5)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 A가 생기도록, 스풀축(2)을 지지하고 있다.
칼라 부재(115)는, 대경부(115b)와, 소경부(115a)를 가지고 있다. 대경부(115b)는, 후단면이 피니언 기어(5)의 전단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대경부(115b)는, 외경이 피니언 기어(5)의 외경보다도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경부(115a)는, 외경이 대경부(115b)의 외경보다도 소경이며, 대경부(115b)로부터 스풀축(2)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소경부(115a) 및 대경부(115b)의 내경은 서로 동일하다.
칼라 부재(115)의 외주부에는, 통상의 너트(111)가 칼라 부재(115)를 수용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너트(111)는, 빠짐 방지부(111a)와, 암나사부(111b)와, 단차부(111c)를 가지고 있다. 암나사부(111b)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피니언 기어(5)의 수나사(5a)와 나합하고 있다.
빠짐 방지부(111a)는, 너트(111)의 전방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111a)는, 칼라 부재(115)의 대경부(115b)의 외경보다도 소경이며, 칼라 부재(115)의 소경부(115a)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빠짐 방지부(111a)와 칼라 부재(115)의 소경부(115a)와의 사이에는, 경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간극 C가 설치되어 있다.
단차부(111c)는, 빠짐 방지부(111a)와 암나사부(111b)와의 사이의 너트(11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111c)는, 칼라 부재(115)의 대경부(115b)의 외경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111c)는, 칼라 부재(115)의 대경부(115b)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차부(111c)의 축 방향 길이는, 칼라 부재(115)의 대경부(115b)의 축 방향 길이보다도 길게 형성되어 있고, 양자간에는 간극 B가 설치되어 있다.
너트(111)와 칼라 부재(115)를 상기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칼라 부재(115)를 스풀축(2)으로부터 빠짐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너트의 빠짐 방지부(111a)는, 단차부(111c)와의 단차에 의하여 형성된 단차벽(111d)을 가지고 있다. 칼라 부재(115)의 대경부(115b)는, 이 단차벽(111d) 및 피니언 기어(5)의 선단에 접촉 가능하다. 즉, 칼라 부재(115)는, 단차벽(111d)과 피니언 기어(5)의 선단과의 사이에서, 간극 B의 분만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층 더 바꾸어 말하면, 칼라 부재(115)의 대경부(115b)는, 단차벽(111d)과, 피니언 기어(5)의 선단에 의하여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칼라 부재(115)가 스풀축(2)으로부터 빠짐 방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칼라 부재(115)의 외주면과 너트(11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탄성 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칼라 부재(115)의 대경부(115b)의 외주면과 너트(111)의 단차부(111c)와의 사이에 탄성 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탄성 부재(20)의 탄성 변형에 수반하여 너트(111)에 대하여 칼라 부재(115)가 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너트(111)에 빠짐 방지부(111a) 및 단차부(111c)를, 칼라 부재(115)에 대경부(115b) 및 소경부(115a)를 설치하고 있었지만, 반드시 이것들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빠짐 방지부(111a), 단차부(111c), 대경부(115b) 및 소경부(115a)를 설치하지 않고, 너트(111)의 내주면과 칼라 부재(115)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탄성 부재를 배치하여도 무방하다.
1: 릴 본체
2: 스풀축
3: 스풀
4: 로터
5: 피니언 기어
11, 111: 너트
11a: 머리부
11b, 111b: 암나사부
15, 115: 칼라 부재
15a, 115a: 소경부
15b, 115b: 대경부
20: 탄성 부재
111a: 빠짐 방지부
111c: 단차부
100: 스피닝 릴

Claims (9)

  1. 로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스풀에 낚싯줄을 감기 가능한 스피닝 릴에 있어서,
    상기 스풀이 장착된 스풀축과,
    상기 스풀축의 축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로터가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피니언 기어와,
    상기 피니언 기어의 축 방향의 일단(一端) 측에서 상기 스풀축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풀축을 지지하는 통상(筒狀)의 칼라(collar) 부재와,
    상기 칼라 부재를 수용하도록 하여 배치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에 나합(螺合)하는 통상의 너트와,
    상기 칼라 부재의 외주면(外周面)과 상기 너트의 내주면(內周面)과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
    를 구비한,
    스피닝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부재의 상기 일단 측에 배치되고, 상기 칼라 부재를 상기 스풀축으로부터 빠짐 방지하는 빠짐 방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칼라 부재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상기 일단 측의 단면에 접촉 가능한 소경부(小徑部), 및 상기 빠짐 방지 부재에 접촉 가능하고 상기 소경부의 외경(外徑)보다도 대경(大徑)의 대경부를 가지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칼라 부재의 상기 소경부의 외주면과 상기 너트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스풀축과 상기 칼라 부재와의 사이를 실(seal)하는 실 부재인,
    스피닝 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외주부(外周部)에 배치되고, 상기 너트를 회전 멈춤하는 리테이너를 더 구비하고,
    상기 너트는, 상기 칼라 부재를 수용하는 머리부,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나합하는 암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리테이너는, 경(徑)방향 내측(內側)으로 연장되고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머리부에 대향하는 연출부(延出部)를 가지고,
    상기 빠짐 방지 부재는, 상기 리테이너의 연출부와 상기 너트와의 사이에서,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스피닝 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부재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축 방향의 일단에 접촉 가능한 대경부, 및 상기 대경부의 외경보다도 소경의 소경부를 가지고,
    상기 너트는, 상기 칼라 부재의 상기 대경부의 외경보다도 소경의 빠짐 방지부, 및 상기 칼라 부재의 상기 대경부의 외경보다도 대경의 단차부(段差部)를 가지고,
    상기 너트의 빠짐 방지부는, 상기 칼라 부재의 상기 소경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너트의 단차부는, 상기 칼라 부재의 상기 대경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칼라 부재의 상기 대경부와 상기 너트의 상기 단차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부재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상기 일단 측의 단면과 상기 너트의 빠짐 방지부에 의하여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스피닝 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피니언 기어의 상기 일단 측의 단면과 상기 너트의 빠짐 방지부에 의하여 축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는,
    스피닝 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 부재는 함유(含油) 소결(燒結)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스피닝 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O링인,
    스피닝 릴.
KR1020170133122A 2017-04-26 2017-10-13 스피닝 릴 KR102490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86998 2017-04-26
JP2017086998A JP6979785B2 (ja) 2017-04-26 2017-04-26 スピニングリ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059A true KR20180120059A (ko) 2018-11-05
KR102490470B1 KR102490470B1 (ko) 2023-01-19

Family

ID=62068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122A KR102490470B1 (ko) 2017-04-26 2017-10-13 스피닝 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72337B2 (ko)
JP (1) JP6979785B2 (ko)
KR (1) KR102490470B1 (ko)
CN (1) CN108782487B (ko)
DE (1) DE102018107906A1 (ko)
GB (1) GB2563120B (ko)
MY (1) MY190821A (ko)
TW (1) TWI7603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7807B2 (ja) * 2019-03-18 2023-02-22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釣用リール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1673U (ko) * 1979-03-15 1980-09-18
JP2002186387A (ja) * 2000-12-19 2002-07-0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3284465A (ja) 2002-03-29 2003-10-07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6333705A (ja) * 2005-05-31 2006-12-14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4147320A (ja) * 2013-01-31 2014-08-21 Globeride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2237B2 (ja) * 1994-11-11 2003-03-3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FR2759543B1 (fr) * 1997-02-17 1999-04-16 Mitchell Sports Moulinet etanche
JP3534574B2 (ja) * 1997-06-20 2004-06-0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EP0910946A3 (en) * 1997-10-27 2000-02-02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JP3839972B2 (ja) * 1998-09-17 2006-11-0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防水構造
JP3585782B2 (ja) * 1999-09-01 2004-11-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TW518203B (en) * 2001-01-10 2003-01-21 Shimano Kk Spool of spinning reel
TW534795B (en) * 2001-05-18 2003-06-01 Shimano Kk Spinning-reel spool
KR20030037452A (ko) * 2001-11-05 2003-05-14 (주) 와이엠나노텍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SG119211A1 (en) * 2003-02-05 2006-02-28 Shimano Kk Rotor for a spinning reel
JP4395341B2 (ja) * 2003-07-30 2010-01-06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リアドラグ操作構造
SG112961A1 (en) * 2003-12-09 2005-07-28 Shimano Kk Spinning-reel oscillating device
JP4851880B2 (ja) * 2005-09-07 2012-01-11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US7665683B2 (en) * 2007-12-18 2010-02-23 Shimano Inc. Fishing line guiding mechanism of spinning reel
JP5324819B2 (ja) * 2008-05-12 2013-10-23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レバードラグリールの逆転防止機構
US8469300B2 (en) * 2011-07-22 2013-06-25 Eastaboga Tacle Mfg. Co., Inc. Spinning reel
US9091350B2 (en) * 2012-02-10 2015-07-28 Shimano Inc. Spinning reel waterproofing member and spinning reel using the same
US9055735B2 (en) * 2012-06-07 2015-06-16 Shimano Inc. Spinning reel and spinning-reel reel unit
JP6140956B2 (ja) * 2012-09-18 2017-06-07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046496B2 (ja) * 2013-01-07 2016-12-1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EP2923568A1 (en) * 2014-03-19 2015-09-30 Globeride, Inc. Fishing spinning reel
JP6518520B2 (ja) * 2015-03-18 2019-05-22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
JP6688678B2 (ja) * 2016-05-18 2020-04-2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回転伝達機構
JP6329656B2 (ja) 2017-02-20 2018-05-23 株式会社無有 歯周ポケット清掃用ブラ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1673U (ko) * 1979-03-15 1980-09-18
JP2002186387A (ja) * 2000-12-19 2002-07-02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
JP2003284465A (ja) 2002-03-29 2003-10-07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6333705A (ja) * 2005-05-31 2006-12-14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14147320A (ja) * 2013-01-31 2014-08-21 Globeride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82487B (zh) 2021-10-22
DE102018107906A1 (de) 2018-10-31
JP6979785B2 (ja) 2021-12-15
TWI760388B (zh) 2022-04-11
US20180310541A1 (en) 2018-11-01
KR102490470B1 (ko) 2023-01-19
JP2018183091A (ja) 2018-11-22
US10172337B2 (en) 2019-01-08
GB201804576D0 (en) 2018-05-09
MY190821A (en) 2022-05-12
TW201838510A (zh) 2018-11-01
GB2563120A (en) 2018-12-05
CN108782487A (zh) 2018-11-13
GB2563120B (en)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0692A (en) Ball-threaded shaft anti-slipout type linear actuator
US11937592B2 (en) Waterproof structure and spinning reel
KR20190124629A (ko) 낚시용 릴의 토크 제한 장치, 및 스피닝 릴
US20180202504A1 (en) Electric brake device
KR20180120059A (ko) 스피닝 릴
JP5041330B2 (ja) ボールねじアクチュエータ機構
US9642347B2 (en) Line roller
KR102427052B1 (ko) 스피닝 릴의 왕복 이동 기구 및 그것을 구비한 스피닝 릴
US10390524B2 (en) Reciprocating mechanism of spinning reel and spinning reel comprising the same
JP2006238727A (ja) 魚釣用リ−ル
JP7244167B2 (ja) 釣り用リール
JP7200457B1 (ja) 釣り用リール及び釣り用リールの往復移動機構
JP2014234039A (ja) ラックガイド装置
JP4795320B2 (ja) 魚釣用リ−ル
JP7235688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CN109566554B (zh) 钓具用卷线器
KR20160128204A (ko) 낚시용 스피닝 릴
JP7227852B2 (ja) 釣り用リール
JP2003189768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24064452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及び釣竿
JP5621245B2 (ja) ボールスプライン
KR20240035694A (ko) 낚시용 전동 릴
JP5873032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