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7452A -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7452A
KR20030037452A KR1020010068486A KR20010068486A KR20030037452A KR 20030037452 A KR20030037452 A KR 20030037452A KR 1020010068486 A KR1020010068486 A KR 1020010068486A KR 20010068486 A KR20010068486 A KR 20010068486A KR 20030037452 A KR20030037452 A KR 20030037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ear
ratchet
spool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호
Original Assignee
(주) 와이엠나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와이엠나노텍 filed Critical (주) 와이엠나노텍
Priority to KR1020010068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7452A/ko
Publication of KR20030037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4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06Ratchet-type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1Spool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하우징 양측에 결합가능한 핸들 어셈블리와 보호 커버를 마련하여 왼손잡이이거나 오른손잡이인 사용자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핸들 어셈블리의 중요 부품인 래칫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하우징에 대한 스풀의 낚시줄 감김방향과 풀림방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고 부드러운 회전감각을 부여하는 낚시용 릴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은, 양측에 나사 삽입공이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보호 커버와 핸들 어셈블리가 서로 대향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 어셈블리는 핸들부, 드래그 노브 및 핸들 커버를 구비한다. 핸들 커버와 하우징이 이루는 공간에는 래칫 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상기 래칫 어셈블리는 주 기어와 래칫, 중간 기어 및 제 1, 제 2 아이들 기어와 역회전 방지캠을 구비한다. 주기어와 중간 기어는 항시적으로 맞물리며, 중간 기어는 상기 제 1 아이들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상기 제 2 아이들 기어는 스풀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상기 역회전 방기캠은 중간부분에 설치된 피봇에 의해서 핸들커버 중간벽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Fishing reel having a handle assembly capable of being selectively mounted to both sides thereof}
본 발명은 낚시용 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양측에 대향하여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보호 커버와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왼손잡이이거나 오른손잡이인 사용자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핸들 어셈블리의 중요 부품인 래칫 어셈블리의 결합구조와 작동방식을 개선함으로써 하우징에 대한 스풀의 낚시줄 감김방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고 부드러운 회전감각을 부여하는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낚시용 릴중 베이트캐스트 릴(Baitcast Reel)과 트롤 릴(Trolling Reel)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인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좌우측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핸들 어셈블리와 보호 커버를 구비하고 래칫 어셈블리의 작동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왼손잡이이거나 오른손잡이인 사용자에 따라 하우징에 대한 스풀의 낚시줄 감김방향과 풀림방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2a, 2b 및 2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3b 및 3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사용되는 래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스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a, 5b 및 5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사용되는 래칫 어셈블리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낚시용 릴 100 : 하우징
101a, 101b, 102a, 102b : 나사삽입공 103 : 워엄축
105, 107 : 워엄기어 111 : 버튼축
112 : 버튼 113 : 안내가이드
114 : 핀 115 : 고정링
117 : 삽입홈 118 : 스프링
200 : 래칫 어셈블리 201 : 래칫 어셈블리기판
203 : 회전축 204 : 주 기어
205 : 래칫 206 : 중간 기어
207, 208 : 아이들 기어 209 : 스풀기어
210 : 역회전방지캠 217 : 슬리부
220 : 축연장부 221 : 걸림턱
222 : 캠단부 222' : 하부단부
223 : 역회전방지폴 227 : U자형 벨크랭크
228 : 벨크랭크 롤러 230 : 역회전 방지버튼
231 : 래칫 지지대 235 : 역회전 방지버튼캠
240 : 어깨부 250 : 고정축
260 : 스토퍼 270 : 연결핀
290 : 단턱 300 : 핸들 어셈블리
310 : 핸들부 311 : 권취노브
316 : 핸들보호커버 320 : 드래그 노브
321 : 노브본체 400 : 조정노브
500 : 제 1 보호커버 502 : 조정노브 삽입공
600 : 스풀 601 : 스풀회전축
603 : 스풀 기어 700 : 제 2 보호커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 허브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낚시줄이 감기는 드럼을 구비하는 스풀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호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는 핸들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측 모두에 한 쌍씩의 나사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워엄기어와 연결되는 워엄축을 갖고 있고, 상기 스풀은 핸들 어셈블리쪽의 스풀회전축방향에 스풀기어가 장치되어 있고, 상기 보호 커버는 조정노브를 갖고 있으며 하우징과의 체결을 위한 한 쌍의 체결공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래칫 어셈블리를 장착하고 통상의 권취노브와 드래그 노브를 갖고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에 장치되는 래칫 어셈블리는, 래칫 어셈블리기판과 상기 래칫 어셈블리 기판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는 주 기어 및 래칫과, 상기 주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기어와, 상기 중간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1 및 제 2 아이들기어와 상기 워엄기어는 주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 2 아이들기어는 상기 스풀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제 1 및 제 2 미들기어 중간에는 역회전방지캠의 일단이 삽입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미들기어는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래칫 어셈블리기판에 고정되지 않은 이동형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래칫은 회전축이 삽입되는 중앙부위에 오목부 및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맞으며 상기 오목부보다 폭이 작은 돌기부를 갖는 래칫 지지대가 회전축에 삽입되어 래칫 중앙으로 끼워지게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하우징의 양측에 일정공간을 형성하고, 이 일정공간으로 끼워지는 버튼축을 구비시키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버튼축으로 래칫에셈블리의 스풀회전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구조의 래칫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여기서는, 상기 버튼축은 하우징 일방에 핀으로 고정되는 버튼축 안내가이드로 안내리고 이 안내가이드에 버튼이 고정되게 한다.
또한 상기 버튼축은 일방에서는 하우징의 고정핀에 연결되는 스프링으로 연결을 시킨다.
상기와 같은 버튼축에 의해 작동되는 래칫어셈블리는 제 1 실시 예와는 달리 역회전 방지 버튼을 채용하지 않고 L자형 캠을 사용하게 된다.
이하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단면도로서 하나는 핸들 어셈블리가 우측에 다른 하나는 핸들 어셈블리가 좌측에 장착된 것을 보여 주는 것으로 도 1a와 1b는 서로 대칭이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100)은 왼손잡이거나 오른손잡이인 사용자에 따라 핸들 어셈블리를 좌측 또는 우측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의 낚시줄을 빠른 시간 내에 감거나 풀기 위해 사용되는 낚시용 장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낚시용 릴(100)은,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잡게 되는 원통형의 하우징(100), 하우징(10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래칫 어셈블리(200)를 갖고 있는 핸들 어셈블리(300), 조정노브(400)가 있으며 핸들 어셈블리(300)에 대향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커버(500), 그리고 일축은 보호 커버(500)쪽으로 타축은 핸들 어셈블리(300)쪽으로 삽입되며 낚시줄을 감고 풀리게 하는 스풀(6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100)은 그 일측단에는 보호 커버(500) 또는 핸들 어셈블리(300)와 체결되는 한 쌍의 나사삽입공(101a, 101b)이 형성되고 타단에도 핸들 어셈블리(300) 또는 보호 커버(500)와 체결되는 한 쌍의 나사삽입공(102a, 102b)이 형성된다. 이때 한 쌍의 나사삽입공(101a, 101b)들과 한 쌍의 나사삽입공(102a, 102b)들은 도 2a 및 2b에서와 같이 나사삽입공(101a)과 나사삽입공(102a), 나사삽입공(102b)과 나사삽입공(101b)은 평면도상으로 배면(점선)까지보면 중심선에서 대칭으로 보이고, 이를 좌우측면으로 보면 도 2a 및 도 2b에서와 같이 기준선의 이동에 의해 한 곳에 형성된 것으로 나타난다. 이를 공개함으로써 하우징(100)의 양쪽 어디에도 보호 커버(500)나 핸들 어셈블리(300)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보호 커버(500) 또는 핸들 어셈블리(300)가 안치되는 안치부(106)가 원형으로 내부쪽으로 향해 양방향에 형성된다. 도 2a, 2b 및 2c에서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통상의 워엄축(103)에 의해 하우징(100)내에서 좌우운동하는 실균등감기(라인와인드)(104)가 장치된다. 이 워엄축(103)은 워엄축(103) 일단에 결착되는 워엄기어(105)에의해 구동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서는워엄기어(105)가 워엄축(103)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핸들 어셈블리(300)가 하우징의 어느 쪽에 장착되어도 실균등감기가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보호 커버(500) 또는 핸들 어셈블리(300)가 안치되는 안치부(106)가 원형으로 내부쪽으로 향해 양방향에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보호 커버(500)는 하우징(100)의 일측을 감싸서 보호하는 것으로, 하우징의 나사삽입공(101a, 101b 또는 102a, 102b)에 나사 삽입체결을 위해 관통되는 한 쌍의 체결공(501a, 50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정노브(400)가 삽입되는 원형의 조정노브 삽입공(502)이 외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호커버(500)의 안쪽으로는 하우징(100)의 안치부(106)에 안치되는 돌기부(503)가 중앙 쪽으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 1 돌기부(503)내에는 중앙에는 스풀회전축의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은 조정노브(400)의 삽입돌기부(401)가 나삽되는 관통공(504)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돌기부(505)가 제 1 돌기부(503)와 일정간격이 있게 양 쪽으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돌기부(505) 내측으로는 스풀(600)축의 회전을 위한 제 1 베어징(506)이 갖춰지고 제 2 돌기부(505)의 외측인 조정노브(400)의 삽입돌기부(400)가 삽입되는 외측으로는 오링(507)이 끼워져서 조정노브(400)에 의한 미세조정을 돕는다. 또한 보호커버(500)의 조정노브삽입공(502) 일면에는 제 1 클릭핀(508)이 클릭핀 지지스프링(509)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체(51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보호 커버(500)의 조정노브삽입공(502)으로 삽입되는조정노브(400)는 나삽돌기부(401) 외부쪽의 돌기부에는 보호커버(500)의 제 1클릭핀(508)이 조정노브(400)의 회전에 따라 딸깍딸깍하는 경쾌한 음으로 제 1 클릭핀(508)이 맞춰지는 클릭핀 삽입홈(402)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조정노브(400)의 삽입돌기부(400)안에는 탄성부재(403)가 갖춰져서 조정노브(400)의 조정시 보호커버(500)의 오링(507)과 함께 스풀회전력 미세조정을 돕는다.
제 1 보호 커버(500)에 대향하여 하우징(100)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 어셈블리(300)는 주로 핸들부(310)와 드래그 노브(320)가 외측으로 결합되며, 래칫 어셈블리(200)가 내측으로 배치되는 제 2 보호커버(700)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어셈블리(300)는 제 1 보호커버(500)와 사용자에 따라 하우징(100)의 좌 또는 우측에 각각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어셈블리(300)의 핸들부(310)는 핸들부(310)의 양단 또는 일단에 결합된 권취노브(311)를 구비한다. 권취노브(311)는 핸들부(310)의 일단에 끼워져서 권취노브(311)내로 삽입되는 노브체결핀(312)에 의해 핸들부(310)에 고정되거나 나삽된다. 핸들부(310)의 중간에는 연결부(313)가 형성되고 연결부(313)중앙에는 축 관통공(314)이 형성되고 축 관통공(314) 방사상 주변부에는 다수의 제 2 클릭핀 접촉홈(315)가 형성된다. 핸들부의 외측에는 핸들보호커버(316)가 핸들부(310)에 나삽된다.
한편, 드래그노브(320)는 노브 본체(321)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연장부(322)를 구비하며, 전체적으로는 문어 모양을 이룬다. 노브 본체(321)의 중앙에는 축관통공(323)이 형성된다. 축관통공(323)의 방사상 일측에는 클릭핀 삽입홈(324)이 형성된다. 클릭핀 삽입홈(324)내에는 클릭핀 지지스프링(325)과 클릭핀(326)이 삽입된다. 이때, 클릭핀(326)의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고 클릭핀 지지스프링(325)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클릭핀(326)은 드래그 노브(320)를 핸들부(310)의 일측에 결합시킬 때 핸들부(310)의 클릭핀 접촉홈(315)에 접촉하게 된다.
한편, 핸들 어셈블리(300) 내측공간(도 1의 106.S)에는 래칫 어셈블리(200)가 장착된다.
도 3a 및 도 3b는 래칫 어셈블리(200)의 배치 및 작동 상태도이다.
도 1a 및 1b,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래칫 어셈블리(200)는 중앙부위에 스풀(600)회전축(601)이 관통하는 축 관통공(202)이 형성된 어셈블리기판(201)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는 회전축(203)과, 상기 회전축 상기 삽입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 기어(204)와 주 기어 위의 래칫(205)과, 주 기어(204)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중간기어(206), 중간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1 아이들 기어(207), 상기 제 1 아이들 기어(207)와 동축으로 연결되며 구축의 회전력을 스풀의 회전축에 결합된 스풀기어(209)쪽으로 전달하는 제 2 아이들 기어(208)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아이들 기어(207)와 제 2 아이들 기어(208)사이에는 역회전방기캠(210)이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래칫 어셈블리(2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주 기어(204)의 일측에는 주 기어(204)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래칫(205)가 주 기어(204)에 장착된다. 주 기어(204)와 래칫(205)는 회전 축(203)에 의해서 고정 지지된다. 이때, 래칫(205)의 노출면과 이에 대향하는 주 기어(204)의 노출면 상에는 디스크 플레이트(211)가 각각 배치된다.
회전축(203)의 일단부는 어셈블리기판(201)에 형성된 회전축(203) 관공통(211)에 삽입하여 고정된다. 이때, 하우징(50) 내로 노출된 회전축(203)의 일단부 방사상 외면에는 고정링(212)이 배치되고, 고정링(212)과 어셈블리기판(201)사이에는 와셔(213)가 배치된다.
일단부가 어셈블리기판(201)에 고정 지지되는 회전축(203)은 클러치 수용부(214)의 관통공(215), 드래그 노브(320)의 관통공(323) 및 핸들부(320)의 관통공(314)을 지나서 핸들부(310)의 외부로 연장된다. 이때, 클러치 수용부(214) 내에서 클러치 베어링(216) 안쪽의 회전축(203) 주위에는 링형상의 슬리이브(217)가 배치된다.
핸들부(310)의 외부로 연장된 회전축(203)의 타단부에는 핸들 보호커버(316)가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회전축(203)의 자유단부에는 수나사부(218)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핸들 보호커버(316)의 방사상 내면에는 암나사부(317)가 형성된다. 보호커버(316)와 핸들부(310)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318)가 배치되며, 회전축(203)사이에는 일정공간(S)이 형성되어 있어서 보호커버(316)과 회전축(203)의 회전을 자유롭게 한다.
한편, 주 기어(204)는 워엄기어(105) 및 중간기어(206)와 맞물린다. 제 1 워엄기어(105)는 하우징(100)을 가로질러서 수평으로 배치된 워엄축(103)의 일단에 고정 배치된다. 제 1 보호커버(500)쪽으로 노출된 워엄축(103)의 타단에는 제 1 워엄기어(105)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제 2 워엄기어(107)가 고정 배치된다. 워엄축(103)과 제 2 워엄기어(107)는 제 1워엄기어(105)가 주 기어(204)와 맞물려서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회전한다. 제 1 워엄 기어(105)와 제 2 워엄 기어(107), 그리고 워엄축(103)은 하우징(100)의 내축에 배치된 스풀(600)(추후 설명됨)에 낚시줄이 고르게 감기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 기어(204)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206)는 제 2 보호커버(700)에 대하여 평행하게 클러치 수용부(214)로부터 연장된 어셈블리기판(201)에 고정지지되어 회전 구동한다. 중간 기어(206)는 또한 역회전방지캠(210)의 제 1 아이들 기어(207)와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역회전방지캠(210)은 그 중간부분에 설치된 피봇(219)에 의해서 어셈블리기판(201)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역회전방지캠(210)은 제 1 아이들기어(207)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제 1 아이들기어(207)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축 연장부(220)를 구비하는데, 축연장부(220)의 방사상 하단에는 컬림턱(211)이 형성된다. 또한, 역회전방지캠(210)은 제 1 아이들기어(207)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스풀기어(209)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 2 아이들 기어(207)를 구비한다.
역회전방지캠(210)의 자유단부인 캠 단부(222)는 후크형상이며, 주 기어(204)와 동축으로 연결된 래칫(205)의 이(tooth) 사이에 필요에 따라 삽입되는 역회전 방지폴(pawl.223)이 피봇(224)에 의해 설치된다. 캠 단부(222) 근처위치에서 어셈블리기판(201)에는 캠 단부(22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225)이 배치된다.
한편, 역회전방지캠(210)의 하부 오목부(226)에는 V자형 벨크랭크(227)의 일단이 벨크랭크롤러(228) 끼워지게 설치되고 벨크랭크(227)의 타단은 역회전 방지캠(210)의 걸림턱(221)쪽으로 향하며, 역회전 방지캠(210)의 걸림턱(221)쪽으로 향하는 벨크랭크(227)타단은 스프링(229)에 의해 지지되고 역회전방지 버튼(230)상에 설치되는 이동형 역회전 방지 버튼캠(231)과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역회전방지 버튼캠(231)은 역회전 방지버튼(230)의 상승에 따라 V자형 벨크랭크(227)의 일단을 밀게 되고 타단이 역회전 방지 캠의 오목부(226)의 좌측은 도면상 좌측으로 밀게되고 따라서 캠 단부(222)상에 설치된 역회전 방지폴(223)의 끝단이 래칫(205)의 기어사이를 물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은 제 1 및 제 2 아이들 기어(207,208)가 이동형으로 래칫 어셈블리기판(201)에 고정되지 않고 중간의 캠에 의해 설치되고 제 2 아이들기어(208)상부는 고정핀으로 고정됨으로 이루어진다.
도 3C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래칫(205)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래칫(205)의 축 관통공을 축보다 크게 형성하고 그 내부에 래칫지지대(231)를 삽입시킬수 있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래칫(205)의 중앙부위에는 오목부(232)와 돌기부(233)형태로 형성시키는데 오목부(232)에는 래칫지지대(231)의 돌기부(234)가 삽입된다.
이때 오목부(232)의 폭보다 래칫지지대의 돌기부(234)를 작게 형성시켜 역회전방지폴(223)이 래칫의 홈부로 정확히 착탈되게 한다. 즉 래칫(205)을 밀고 있는 슬리브(217)에 의해 래칫(205)은 힘을 받고 있으므로 역회전방지폴(223)의 단부가 래칫(205)의 홈부에 정확히 착탈되지 않을수가 있는데, 상기와 같은 래칫지지대(231)로서 래칫(205)에 유격을 주게 되면 회전축(203)과 래칫(205)사이에는 유동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역회전방지폴(223)의 단부가 래칫(205)의 유동에 의해 래칫(205)홈에 정확히 착탈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1a 및 1b의 스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1b, 도 4를 참조하면 원통형 스풀(600)의 내부에는 스풀 관통공(601)이 형성되며, 스풀 관통공(602)내에는 스풀 회전축(601)의 일부분이 삽입된다.스쿨 회전축(601)은 스쿨 관통공(602)으로부터 연장되어 공간(S)을 통과하며, 스풀 회전축(601)의 자유단부는 제 2 보호커버(700)에 형성된 스풀 삽입공(701)에 끼워진다.
스풀 삽입공(701)은 스풀(600)의 회전축(601)이 꼭 맞지 않게 일정간격이 있어서 회전축(601)의 회전을 자유롭게 한다. 이때 스풀 회전축(601)의 중간에는 제2 아이들 기어(208)와 맞물리는 스풀기어(603)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600)의 방사상 외면에는 한 쌍의 낚시줄 끼움홈(604)이 형성된다. 낚시줄 끼움홈(604)은 왼손잡이이거나 오른손잡이인 사용자에 따라 낚시줄을 스풀(600)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풀(600)의 방사상 외면의 일정부위 홈으로 형성한다.
스풀(600)의 스풀기어(603)가 있는 스풀 회전축(601)쪽으로는 베어링(605)이 설치되고 제1 보호커버(500)쪽으로는 스풀 회전축 주위에 베어링(506)이 설치된다. 이 베어링(506)쪽의 스풀 회전축 주위에는 스풀(600)과 결합되는 통상의 탄성 브레이크(605)가 설치된다. 브레이크(605)내에는 탄성돌기(606)가 설치되어 회전시 탄성돌기(606)가 제1 보호커버(500)의 내면에 닫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릴(10)의 결합방식과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도1a에 도시되는 낚시용 릴(10)은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에 맞도록 래칫 어셈블리(200)가 장착된 핸들 어셈블리(300)가 하우징(100)의 도면상 우측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1b는 도1a와 반대인 경우다.
여기서, 낚시용 릴(10)은,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인 경우에는 래칫 어셈블리가 조립된 핸들 어셈블리(300)의 일측에 형성된 나사 삽입공(도시되지 않았음)을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 삽입공(101a,1010b) 또는 102a,102b)에 맞춘 후 나삽하고 핸들보호커버(310)를 맞춘다. 그 다음 하우징(100)내로 스풀을 넣고 스풀기어(603)쪽이 핸들 어셈블리(300)쪽으로 향하게 하여 스풀회전축(601)을 핸들 어셈블리(300)와 연결되는 제 2 호보커버(700)의 스풀삽입공(701)내로 삽입한다.
하우징(100)의 타단에는 조정노브(400)가 장착된 제1 보호커버(500)의 나사체결공(501a,501b)이 하우징(100)의 나사삽입공(101a,101b 또는 102b,102b)에 맞게하고 나삽함으로서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는 달리 낚시용 릴(10)의 사용자가 왼손잡이인 경우 도 1b에서와 같이, 도 1a의 반대로 하우징을 중심으로 핸들 어셈블리(300)와 제 1 보호커버(500)를 맞추면 된다. 이때 스풀(600)의 위치가 반대 방향이 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오른손잡이용 낚시용 릴(10)조립과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에 따라서 핸들 어셈블리(300)의 설치위치를 달리하고자 할때는 하우징(100)에 대한 핸들 어셈블리(300)와 제 1 보호커버(500)의 결합위치를 바꾸고 스풀 회전축(601)의 스풀기어(603) 자유단부가 핸들 어셈블리(300)를 향하도록 스풀(600)의 방향을 바꿔주는 것으로써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100)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 어셈블리(300) 및 작동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낚시용 릴(10)을 이용하여 낚시줄을 감거나 풀기 위해 핸들부(310)의 권취노브(311)를 회전시키면, 핸들 어셈블리(300)와 핸들부(310) 사이에 배치된 드래그 노브(320)의 클릭핀(326)이 핸들부(310)에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의 클릭핀 접촉홈(315)에 접촉하면서 딸각 딸각하는 경쾌한 회전 마찰음을 발생시킨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부(31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회전축(203)을 통해서 핸들부(310)과 동축으로 연결된 주기어(204)와 래칫(205)이 회전하고 계속해서 주기어(204)와 맞물리는 워엄기어(105) 및 중간기어(206)가 회전한다.
워엄기어(105)가 회전하면 워엄 기어(105)의 회전축인 워엄축(103)이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일단이 스풀(600)의 낚시줄 끼움홈(604)에 고정된 낚시줄이 스풀(600)의 권취드럼(참조부호 생략)상에 고르게 감겨지거나 스풀(600)로부터 고르게 풀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중간기어(206)가 회전하면 중간 기어(206)와 맞물리는 제 1 아이들 기어(206)가 회전하게 되고, 계속해서 제 1 아이들기어(207)와 동축으로 배치된 제 2 아이들 기어(208)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제 2 아이들 기어(208)와 맞물리는 스풀 기어(603)가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스풀(600)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스풀(600)은 핸들부(310)가 1회전시 7회전이상 회전하므로, 핸들(310)에 대하여 7:1이상의 고속 회전비를 나타낸다. 참고로, 기존의 낚시용 릴에서는 스풀과 핸들의 회전비가 7:1이하이다.
한편, 스풀(600)의 권치 드럼 상에 권취된 낚시줄을 재빨리 풀어주기 위해서 낚시릴의 사용자가 힘을 가해서 역회전방지버튼(230:도1에 도시되지 않았음)을 도3a "에프(F)"방향으로 밀면 도3b와 같이 역회전방지버튼(230)의 상부는 역회전방지캠(235)을 수직한 방향으로 밀게되고 그 결과 역회전방지캠(235)은 V자형 벨크랭크(227)의 왼쪽이 캠(210)의 하부오목부(226) 왼쪽을 밀게되어 캠 걸림턱(221)에서 V자형 벨크랭크(227)의 오른쪽이 빠지며 캠단부(222)가 역회전방지폴(223)의 단부를 래칫(205)쪽으로 밀게된다. 따라서 래칫(205)의 홈부로 역회전 방지폴(223)의 단부가 끼워지고, 이때 캠(210)과 동축으로 연결되며 이동형으로 설치된 제 1 및 제 2 아이들기어(206,207)는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풀회전출(601)상의 스풀기어(603)와 분리된다. 결국 이런 경우 스풀기어(603)는 자유상태가 된다.
이렇게 됨으로써 스풀을 회전축(203)과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 따라서 스풀(600)의 권취드럼에 권취된 낚시줄은 신속하게 풀리게 된다.
이와는 달리 이용자가 역회전방지버튼(230)에 가했던 힘을 해제시키면 도 3a와 같이 스프링(229)의 복원력에 의해 캠(210)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고 따라서 캠(210)과 동축인 제 1, 제 2 아이들 기어(207,208)가 원위치로 이동하고, 그 결과 회전축(203)의 회전력은 주기어(204)를 통해 중간기어(206) 및 제 1 및 제 2 아이들기어(207,208)에 전달되고 이 회전력은 스풀회전축(601)상의 스풀기어(603)에 전달되게 된다.
이때 캠(210)의 반시계 방향운동으로 역회전 방지폴(223)은 래칫(205)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축(203)의 회전이 핸들부(310)의 회전에 의해 원하는 속도록 행하여지게 된다.
낚시용 릴(10)의 사용자가 왼손잡이인 경우의 작동방식은 도 1a에서의 위치만 반대이므로 그 방식은 오른손잡이인 경우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릴을 설명한다.
제 5a, 5b 및 5c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릴에 있어서는, 하우징(100)의 실균등감기(104)를 작동시키는 우웜기어(105)의 동일면상 반대 쪽에는 버튼축(111)이 삽입되어 일정거리 움직일 수 있는 삽입홀(117)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반대부분면에도 상기 버튼축(111)이 삽입되어 일정거리 움직일 수 있는 삽입홀(117)이 형성되데, 서로 중심축을 중심으로하여 상하방향으로 삽입홀(117)이 형성되어서 한쪽홀(117)의 하부가 반대쪽홀(117)의 상부가 되게 한다.
상기 삽입홀(117)로 삽입되는 버튼축(111)은 하우징(100) 일측에 핀(114)으로 고정되는 안내가이드(113)에 의해 안내되고 안내가이드(113)에 부착되는 버튼(112)에 의해 상하작동을 하게 되며, 안내가이드(113) 일측에 링(120)을 부착하고 이 링(120)의 좌우에 고정링(115)를 버튼축(111)에 고정시켜 버튼축(111)이 좌우이동하는 것을 방지시킨다.
또한 상기 버튼축(111)은 그 일단이 하우징(100)의 일측에 고정되는고정핀(116)에 스프링(118)으로 연결되어 힘(F)에 의해 이동한 버튼축(111)은 스프링(118)의 복원력에 의해 힘(F)가 해제되면 원상태로 회복하게 된다.
상기한 버튼축(111)으로 작동시키는 제 2 실시 예에 따른 래칫어셈블리(200)의 V자형 벨크랭크(227)를 제 1 실시 예를 변형하여 L자형 벨크랭크(227)로 구성하고 크랭크(227)의 하부는 어깨부(240)를 두어 버튼축(111) 상에 기대게한다. 또한 제 1 실시 예에서의 역회전방지캠(210, 제 3a, 3b도 참조)의 하부단부(222')는 아디들기어(207)의 회전범위 내에 있게 단턱(290)으로 형성시키고, 이 단턱(290)과 맞물리고 L자형 벨크랭크(227) 내부로 일부가 수용되며 연결핀(270)으로 움직일 수 있게 일단이(261) 고정되고 타단(262)은 상기 단턱(290)에 맞물리며 고정축(250)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L자형 스토퍼(260)가 아이들기어 하부에 설치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르면 도5c의 버튼(112)을 누르면(F) 이에 결합된 버튼축(111)이 도5c의 오른쪽하방의 홀(117)로 이동하고, 즉 도6a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버튼축(111)이 F방향으로 이동하면 도6b에서와 같이 버튼축(111)은 L자형 벨크랭크(227)의 하부어깨부(240)을 도면상 오른쪽으로 밀게되고 L자형 벨크랭크(227) 내의 L자형 스토퍼(260)의 타단(262)은 이로인해 역회전 방지캠(210)의 어깨부(222')와 이탈되고 또한 L자형 벨크랭크(227)의 캠(210)쪽 단부는 캠(210)의 오목부(226)를 밀게되어 제 1 실시 예와 같은 원리로 작동하게 된다.
기타 제 2 실시 예에서의 다른 작동방법이나 분리 결합방법은 제 1 실시 예의 경우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10)은 하우징(100)의 양측에 서로 반대되게 결합 가능하도록 제 보호커버(500)와 래칫 어셈블리(200)가 장착된 핸들 어셈블리(300)를 마련함으로서 하우징(100)의 어느 방향으로나 제 1 보호커버(500)나 핸들어셈블리(300)를 장치할 수 있어서 사용자에 따라 편리하게 설치사용할 수 있다.
또한, 래칫 어셈블리(200)의 구조와 작동방식을 개선하여 핸들부로부터의 회전축이 스풀(600)까지 미치는 것을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하여 낚시줄의 풀림과 감김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들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중앙에 허브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하우징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낚시줄이 감기는 권취드럼을 구비하는 스풀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보호커버와, 상기하우징의 타측에 결합되는 핸들 어셈블리로 구성되는 낚시용릴에 있어서, 상기하우징은 양측모두에 한 쌍씩의 나사삽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한 쌍의 워엄기어와 연결되는 워엄축을 갖고 있고, 상기 스풀은 핸들 어셈블리쪽의 수풀회전축 방향에 스풀기어가 장치되어 있고, 상기 보호커버는 조정노브를 갖고 있으며 하우징과의 체결을 위한 한쌍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 어셈블리는 래칫 어셈블리를 장착하고 통상의 권치노브와 드래그 노브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어셈블리에 장치되는 래칫 어셈블리는, 래칫 어셈블리 기판과 상기 래칫 어셈블기판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는 회전축과 상기회전축에 삽입되는 주 기어 및 래칫과, 상기 주 기어와 맞물리는 중간기어와, 상기 중간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 1 및 제 2 아이들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워엄기어는 주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제 2 아이들기어는 상기 스풀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제 1 및 제 2 미들기어 중간에는 역회전방지 캠의 일단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미들기어는 동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래칫 어셈블리기판에 고정되지 않은 이동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은 회전축이 삽입되는 중앙부위에 오목부 및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에 맞으며 상기 오목부보다 폭이 작은 돌기부를 갖는 래칫 지지대가 회전축에 삽입되어 래칫중앙으로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의 1회전시 상기 스풀은 6회전 이상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의 양측에 일정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으로는 하우징을 가로지르는 버튼축이 끼워지고 상기 버튼축은 하우징의 일측에 고정핀에 의해 스프링으로 연결 되며, 상기 래칫어셈블리는 L자형 벨크랭크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축으로 작동될 수 있는 하부어깨부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어셈블리의 L자형 벨크랭크 내로 일단이 수용되며 타단은 크랭크의 하단과 맞물리고 회전 가능하게 아이들기어 하단에 설치되는스토퍼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20010068486A 2001-11-05 2001-11-05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KR20030037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486A KR20030037452A (ko) 2001-11-05 2001-11-05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486A KR20030037452A (ko) 2001-11-05 2001-11-05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452A true KR20030037452A (ko) 2003-05-14

Family

ID=2956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486A KR20030037452A (ko) 2001-11-05 2001-11-05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74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2487A (zh) * 2017-04-26 2018-11-13 株式会社岛野 旋压式绕线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82487A (zh) * 2017-04-26 2018-11-13 株式会社岛野 旋压式绕线轮
CN108782487B (zh) * 2017-04-26 2021-10-22 株式会社岛野 旋压式绕线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3764B1 (en) Switch style bicycle shift control device
KR101031525B1 (ko) 양 베어링 릴
KR100809444B1 (ko) 플라이 릴
JP6198538B2 (ja) 両軸受リール
JPH0328093A (ja) 自転車用変速操作レバー装置
JP2015053917A5 (ko)
TW201519760A (zh) 雙軸承捲線器
KR100264093B1 (ko) 낚시용릴
KR102188172B1 (ko) 낚시용 릴
KR20030037452A (ko)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US5305290A (en) Double-faced clock having a device for adjusting a time difference
KR100613148B1 (ko) 플라이 릴
US6446894B1 (en) Planetary gear assembly for fishing reel
US5476231A (en) Fly type fishing reel which reduces play between the spool shaft and spool
JPH10313750A (ja) ドラッグ機構及び魚釣用リール
CN115562432B (zh) 一种平板电脑保护套和平板电脑组件
KR20010099566A (ko)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KR20000012828A (ko) 가변적으로 설치가능한 래칫 어셈블리를 갖는 낚시용 릴
JPH0951745A (ja) 魚釣用片軸受リール
JP3073136B2 (ja) 魚釣用リール
US20080245177A1 (en) Bicycle transmission mechanism
KR930010891B1 (ko) 회전 전달장치
KR100665055B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방지 장치
JP2000162689A (ja) フィルタホルダ
JPH0956308A (ja) 両軸受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