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9566A -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9566A
KR20010099566A KR1020000022975A KR20000022975A KR20010099566A KR 20010099566 A KR20010099566 A KR 20010099566A KR 1020000022975 A KR1020000022975 A KR 1020000022975A KR 20000022975 A KR20000022975 A KR 20000022975A KR 20010099566 A KR20010099566 A KR 20010099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gear
wall
handle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호
Original Assignee
박창호
용마산업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호, 용마산업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창호
Priority to KR1020000022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99566A/ko
Publication of KR20010099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5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4Alternate right or left side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85Ratchet-type dri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하우징 양측에 결합가능한 핸들 어셈블리와 보호 커버를 마련하여 왼손잡이이거나 오른손잡이인 사용자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핸들 어셈블리의 중요 부품인 래칫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하우징에 대한 스풀의 낚시줄 감김방향과 풀림방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고 부드러운 회전감각을 부여하는 낚시용 릴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은, 제 1 래칫과 스풀이 배치된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는 보호 커버와 핸들 어셈블리가 서로 대향하도록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 어셈블리는 핸들, 드래그 노브 및 핸들 커버를 구비한다. 핸들 커버와 하우징이 이루는 공간에는 래칫 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상기 래칫 어셈블리는 일체로 결합된 디스크 기어와 종동 기어, 중간 기어 및 브이(V)자 형상의 제 2 래칫를 구비한다. 디스크 기어와 중간 기어는 항시적으로 맞물리며, 중간 기어는 상기 제 2 래칫의 제 1 래칫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고, 상기 제 1 래칫 기어는 스풀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상기 제 2 래칫은 중간부분에 설치된 피봇에 의해서 핸들커버 중간벽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Description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Fishing reel having a handle assembly capable of being selectively mounted to both sides thereof}
본 발명은 낚시용 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 양측에 대향하여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보호 커버와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왼손잡이이거나 오른손잡이인 사용자에 따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핸들 어셈블리의 중요 부품인 래칫 어셈블리의 결합구조와 작동방식을 개선함으로써 하우징에 대한 스풀의 낚시줄 감김방향과 풀림방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고 부드러운 회전감각을 부여하는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낚시용 릴중 베이트캐스트 릴(Baitcast Reel)과 트롤 릴(Trolling Reel)은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인 사용자가 공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좌우측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핸들 어셈블리와 보호 커버를 구비하고 래칫 어셈블리의 작동방식을 개선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왼손잡이이거나 오른손잡이인 사용자에 따라 하우징에 대한 스풀의 낚시줄 감김방향과 풀림방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핸들을 나타낸 도면,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드래그 노브의 좌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선 Ⅲ-Ⅲ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드래그 노브의 우측면도,
도 4a 및 4b는 래칫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도,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스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호 커버 20,40 : 보호캡
23 : 키홈 50 : 하우징
60,80,170 : 래칫 61,81 : 래칫 축
64 : 래칫 연결로드 70 : 스풀
71 : 스풀 연결축 74 : 낚시줄 끼움홈
100 : 낚시용 릴 110 : 핸들
112 : 권취 노브 115,125,135,145 : 축 관통공
116 : 클릭핀 접촉홈 120 : 드래그 노브
126 : 클릭핀 130 : 핸들 커버
133 : 클러치 수용부 136 : 내측벽
137 : 핸들커버 내벽 140 : 원웨이 클러치
150 : 핸들 어셈블리 160 : 래칫 어셈블리
161 : 기어 축 162 : 디스크 기어
164 : 중간 기어 172,176 : 래칫 기어
174 : 걸림턱 175 : 래칫 단부
180a,180b : 워엄 기어 S : 공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벽 일측에는 한쌍의 나사 삽입공이 상기 벽의 양단에서 종방향으로 일정깊이만큼 들어가게 형성되고, 상기 벽의 타측에는 한쌍의 래칫 지지부가 상기 벽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방사상 내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래칫 지지부의 상단 사이에는 제 1 래칫이 배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원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방사상 외주면 상에 돌출하여 형성된 측벽, 상기 측벽 안쪽에서 상기 본체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형의 중간벽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의 일측에는 자유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제 1 체결 나사가 내장되고, 상기 제 1 체결 나사의 상기 자유단부는 상기 나사 삽입공들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보호 커버;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1 래칫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벽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낚시줄을 감아주고 풀어주기 위한 원통형 스풀; 그리고
상기 보호 커버에 대향하여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핸들, 드래그 노브 및 핸들 커버를 갖춘 핸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을 제공한다.
상기 핸들 커버의 본체와 핸들커버 내벽 사이에 조성된 공간에는 래칫 어셈블리가 배치되며, 상기 래칫 어셈블리는 디스크 기어, 중간 기어 및 브이(V)자 형상의 제 2 래칫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크 기어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크 기어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종동 기어가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디스크 기어와 상기 종동 기어는 기어 축에 의해서 고정 지지된다.
상기 디스크 기어는 상기 중간 기어와 맞물리고, 상기 중간 기어는 상기 제 2 래칫의 제 1 래칫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며, 상기 제 2 래칫은 상기 제 2 래칫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피봇에 의해서 핸들커버 중간벽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 2 래칫은 상기 제 1 래칫 기어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래칫 기어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축 연장부 및 스풀 기어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 2 래칫 기어를 구비한다.
상기 축 연장부의 방사상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래칫의 자유단부인 래칫 단부는 후크형상으로 만곡되며 상기 종동 기어의 이(tooth) 사이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걸림턱에는 제 3 래칫의 자유단부가 접촉하고, 상기 제 3 래칫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래칫의 상기 래칫 연결로드의 노출 단부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 3 래칫은 상기 제 1 래칫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 3 래칫 축을 중심으로 선회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자유단부가 상기 걸림턱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 2 래칫의 선회운동을 유발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서는 하우징의 좌우측에 탈부착 가능한 핸들 어셈블리와 보호 커버를 마련함으로써, 왼손잡이이거나 오른손잡이인 사용자에 따라 핸들 어셈블리의 설치위치를 달리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핸들 어셈블리의 중요 부품인 래칫 어셈블리의 구조와 작동방식을 개선하여, 하우징에 대한 스풀의 낚시줄 감김방향과 풀림방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100)은 낚시줄을 빠른 시간내에 감거나 풀기 위해 사용되는 낚시용 장비로서, 주로 사용자가 손으로 감싸잡게 되는 원통형의 하우징(50), 하우징(50)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어셈블리(150), 핸들 어셈블리(150)에 대향하여 상기 하우징(50)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 커버(10)를 포함한다.
하우징(50)의 벽(51) 일측에는 한쌍의 나사 삽입공(52a,52b)이 형성된다. 이때, 나사 삽입공(52a,52b)은 하우징(50)의 벽(51) 양단에서 종방향으로 일정깊이만큼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하우징 벽(51)에서 나사 삽입공(52a,52b)의 형성 위치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한쌍의 래칫 지지부(53a,53b)가 형성된다. 래칫 지지부 (53a,53b)는 하우징 벽(5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하우징 벽(51)으로부터 하우징(50)의 방사상 내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다.
래칫 지지부(53a,53b)의 상단 사이에는 제 1 래칫(60)이 배치된다. 제 1 래칫(60)은 래칫 지지부(53a,53b)의 상단 사이에서 제 1 래칫(60)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고정 배치된 제 1 래칫 축(61)에 의해서 지지된다. 제 1 래칫(60)은 제 1 래칫 축(6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 즉 도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 1 래칫 축(61)에 의해서 지지된다. 제 1 래칫(60)의 상측에는 축 끼움홈(62)이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축 끼움홈(62)에는 래칫 연결로드(64)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보호 커버(10)는 하우징(50)의 일측을 감싸서 보호하며, 원형의 본체(11), 본체(11)의 방사상 외주면 상에 돌출하여 형성된 측벽(12), 측벽(12) 안쪽에서 본체(11)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형의 중간벽(13)을 구비한다. 측벽(12)의 일측에는 제 1 체결 나사(14)가 내장된다. 제 1 체결 나사(14)의 자유단부는 보호 커버(10)의 외부로 노출되며, 보호 커버(10)를 하우징(50)의 일측에 결합시킬 때 하우징 벽(51)에 형성된 나사 삽입공들(52a,52b)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보호 커버(10)에 대향하여 하우징(50)의 일측에 결합되는 핸들 어셈블리 (150)는 주로 핸들(110), 드래그 노브(120) 및 핸들 커버(130)를 포함한다. 핸들어셈블리(150)는 사용자가 오른손잡이이거나 왼손잡이인 경우에 따라 하우징(50)의 좌우측에 선택적으로 장착된다.
도 2는 도 1의 핸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0)은 로드 형상의 핸들 본체(111), 핸들 본체(111)의 양단에 결합된 한쌍의 권취 노브(112)를 구비한다. 권취 노브(112)는 핸들 본체(111)의 양단에 끼워져서 권취 노브(112) 내에 삽입된 노브 체결핀(113)에 의해서 핸들 본체(111)에 고정된다. 핸들 본체(111)의 중간에는 원형의 연결부(114)가 형성된다. 연결부(114)의 중앙에는 제 1 축 관통공(115)이 형성되고, 제 1 축 관통공(115)의 방사상 주변부에는 다수의 클릭핀 접촉홈(116)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도 1의 드래그 노브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 노브(120)는 원형의 노브 본체(121) 및 노브 본체(121)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연장부(122)를 구비하며, 전체적으로는 문어 모양을 이룬다. 노브 본체(121)의 중앙에는 제 2 축 관통공(125)이 형성된다. 제 2 축 관통공(125)의 방사상 일측에는 클릭핀 삽입홈(123)이 형성된다. 클릭핀 삽입홈(123) 내에는 클릭핀 지지스프링(124)과 클릭핀(126)이 삽입된다. 이때, 클릭핀(126)의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고 클릭핀 지지스프링(124)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클릭핀(126)은 드래그 노브(120)를 핸들(110)의 일측에 결합시킬 때 핸들(110)의 클릭핀 접촉홈(116)에 접촉하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보호 커버(10)의 결합위치에 대향하는 하우징(50)의 타측에는 핸들 커버(13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핸들 커버(130)는 하우징(50)의 일측을 감싸서 보호하며, 원형의 본체(131), 본체(131)의 방사상 외주면 상에 돌출하여 형성된 측벽(132), 측벽(132) 안쪽에서 본체(131)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된 클러치 수용부(133)를 구비한다.
핸들커버 측벽(132)의 일측에는 제 2 체결 나사(134)가 내장된다. 제 2 체결 나사(134)의 자유단부는 핸들 커버(130)의 외부로 노출되며, 핸들 커버(130)를 하우징(50)의 일측에 결합시킬 때 하우징 벽(51)에 형성된 나사 삽입공들(52a,52b)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원통형의 클러치 수용부(133) 내에는 제 3 축 관통공(135)이 형성되고, 제 3 관통공(135) 주위에는 링형상의 원웨이 클러치(140)가 배치된다. 원웨이 클러치(140)의 방사상 내면에는 다수의 클러치 베어링(142)이 배치된다. 클러치 수용부(133) 내에 배치된 원웨이 클러치(140)와 클러치 베어링(142)은 클러치 수용부(133)의 개방단부를 폐쇄시키는 클러치 캡(144)에 의해서 보호된다.
한편, 핸들 커버(130)는, 핸들커버 측벽(132) 안쪽의 소정 위치에 핸들커버 본체(131)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된 내측벽(136), 및 내측벽(136)의 연장단부에서 내측벽(136)에 대하여 수직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핸들커버 본체(131)와 평행하게 연장된 원형의 핸들커버 내벽(137)을 구비한다.
내측벽(136)은 핸들커버 본체(131)를 관통하여 내측벽(136) 일단에 삽입되는 체결볼트(138)에 의해서 핸들커버 본체(131)에 고정 연결된다. 핸들커버 내벽(137)은 핸들커버 본체(131)에 대하여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고, 핸들커버 내벽(137)의 중간위치에는 원통형의 스풀 지지부(139)가 형성된다. 즉, 스풀 지지부(139)는 핸들커버 내벽(137)으로부터 핸들커버 본체(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된다.
한편, 핸들커버 본체(131)와 핸들커버 내벽(137) 사이에는 공간(S)이 조성되고, 이 공간(S)에는 래칫 어셈블리(160)가 배치된다.
도 4a 및 4b는 래칫 어셈블리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래칫 어셈블리(160)는 주로 디스크 기어(162), 중간 기어(164) 및 브이(V)자 형상의 제 2 래칫(170)를 구비한다.
디스크 기어(162)의 일측에는 디스크 기어(162)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종동 기어(163)가 디스크 기어(162)에 일체로 장착된다. 디스크 기어(162)와 종동 기어(163)는 기어 축(161)에 의해서 고정 지지된다. 이때, 종동 기어(163)의 노출면과 이에 대향하는 디스크 기어(162)의 노출면 상에는 디스크 플레이트(165)가 각각 배치된다.
기어 축(161)의 일단부는 핸들커버 내벽(137)에 형성된 제 4 축 관통공(145)에 삽입하여 고정된다. 이때, 하우징(50) 내로 노출된 디스크 기어축(161)의 일단부 방사상 외면에는 고정링(146)이 배치되고, 고정링(146)과 핸들커버 내벽(137) 사이에는 와셔(147)가 배치된다.
일단부가 핸들커버 내벽(137)에 고정 지지되는 기어 축(161)은 클러치 수용부(133)의 제 3 축 관통공(135), 드래그 노브(120)의 제 2 축 관통공(125) 및 핸들(110)의 제 1 축 관통공(115)을 지나서 핸들(110)의 외부로 연장된다. 이때, 클러치 수용부(133) 내에서 클러치 베어링(142) 안쪽의 기어 축(161) 주위에는 링형상의 슬리이브(168)가 배치된다.
핸들(110)의 외부로 연장된 기어 축(161)의 타단부에는 보호 캡(20)이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기어 축(161)의 자유단부에는 수나사부(167)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보호 캡(20)의 방사상 내면에는 암나사부(21)가 형성된다. 보호 캡(20)과 핸들(110)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22)가 배치되며, 보호 캡(20)의 일측에는 키홈(23)이 형성된다.
한편, 디스크 기어(162)는 제 1 워엄 기어(180a) 및 중간 기어(164)와 맞물린다. 제 1 워엄 기어(180a)는 하우징(50)을 가로질러서 수평으로 배치된 워엄 기어축(181)의 일단에 고정 배치된다. 보호커버(10) 쪽으로 노출된 워엄 기어축(181)의 타단에는 제 1 워엄 기어(180a)와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제 2 워엄 기어(180b)가 고정 배치된다. 워엄 기어축(181)과 제 2 워엄 기어(180b)는 제 1 워엄 기어(180a)가 디스크 기어(162)와 맞물려서 회전함에 따라 동시에 회전한다. 제 1 워엄 기어(180a)와 제 2 워엄 기어(180b), 그리고 워엄 기어축(181)은 하우징(50)의 내측에 배치된 스풀(70)(추후 설명됨)에 낚시줄이 고르게 감기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크 기어(162)와 맞물리는 중간 기어(164)는 핸들커버 본체(131)에 대하여 평행하게 클러치 수용부(133)로부터 연장된 핸들커버 중간벽(190)에 고정지지되어 회전 구동한다. 중간 기어(164)는 또한 제 2 래칫(170)의 제 1 래칫 기어(172)와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제 2 래칫(170)은 제 2 래칫(170)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피봇(171)에 의해서 핸들커버 중간벽(190)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2 래칫(170)은 제 1 래칫 기어(172)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제 1 래칫 기어(172)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축 연장부(173)를 구비하는데, 축 연장부(173)의 방사상 하단에는 걸림턱(174)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래칫(170)은 제 1 래칫 기어(172)와 동축으로 배치되고 스풀 기어(72)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 2 래칫 기어(176)를 구비한다.
제 2 래칫(170)의 자유단부인 래칫 단부(175)는 후크형상으로 만곡되어 있으며, 디스크 기어(162)와 동축으로 연결된 종동 기어(163)의 이(tooth) 사이에 필요에 따라 삽입된다. 래칫 단부(175) 근처위치에서 핸들커버 중간벽(190)에는 래칫 단부(17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176)이 배치된다.
한편, 축 연장부(173)의 방사상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174)에는 제 3 래칫(80)의 자유단부(82)가 접촉한다. 제 3 래칫(80)은 공간(S)에서 핸들커버 내벽(137)과 핸들커버 중간벽(190) 사이에서 연장된 제 3 래칫 축(81)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고정 지지된다. 제 3 래칫(80)의 상부에는 제 1 래칫(60)의 축 끼움홈(62)에 삽입된 래칫 연결로드(64)의 일단부가 고정 연결된다. 따라서, 제 3 래칫(80)은 제 1 래칫(60)의 동작에 따라 제 3 래칫 축(81)을 중심으로 선회운동하고, 그 결과 제 3 래칫(80)의 자유단부(82)가 축 연장부(173)의 걸림턱(174)에 접촉하여 제 2 래칫(170)의 선회운동을 유발시킨다.
한편, 하우징(50) 내에는 낚시줄을 감아주기 위한 원형의 스풀(70)이 설치된다. 즉, 스풀(70)은 보호커버 중간벽(13)과 핸들커버 내벽(137)의 스풀 지지부(139) 사이에서 수평으로 배치된다. 이때, 스풀(70)의 양단부 방사상 외면과 보호커버 중간벽(13) 및 핸들커버 내벽(137)의 방사상 내면 사이에는 다수의 베어링(16)이 배치된다.
도 5는 도 1의 스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원통형 스풀(70)의 내부에는 스풀 관통공(72)이 형성되며, 스풀 관통공(72) 내에는 스풀 연결축(71)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스풀 연결축(71)은 스풀 관통공(72)으로부터 연장되어 공간(S)을 통과하며, 스풀 연결축(71)의 자유단부는 핸들커버 본체(131)에 형성된 스풀 삽입공(73)에 끼워진다. 스풀 삽입공(73) 주위에는 스풀 연결축(71)의 자유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제 2 보호 캡(40)이 장착된다. 이때, 스풀 연결축(71)의 중간에는 제 2 래칫(170)의 제 2 래칫 기어(176)와 맞물리는 스풀 기어(76)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풀(70)의 방사상 외면에는 한쌍의 낚시줄 끼움홈(74)이 형성된다. 낚시줄 끼움홈(74)은 왼손잡이이거나 오른손잡이인 사용자에 따라 낚시줄을 스풀(70)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스풀(70)의 방사상 외면의 일정부위를 절개하여 형성된다.
하기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릴(100)의 결합방식과 작동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낚시용 릴(100)은 사용자가 오른손 잡이인 경우에 맞도록 핸들 어셈블리(130)를 하우징(50)의 우측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준다. 즉, 낚시용 릴(100)은 사용자가 오른손 잡이인 경우에는, 핸들커버 측벽(132)의 일측에 내장된 제 2 체결 나사(134)의 자유단부를 하우징(50)의 벽(51)에 형성된 나사 삽입공(52b)에 끼우고 이와 동시에 기어 축(161)의 일단부를 핸들커버 내벽(137)에 형성된 제 4 축 관통공(145)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핸들 어셈블리(130)를 하우징(50)의 우측에 장착시킨다.
이때, 하우징(50) 내의 스풀(70)은 스풀 연결축(71)의 자유단부가 핸들커버 본체(131)에 형성된 스풀 삽입공(73)에 끼워지도록 배치되고, 스풀 삽입공(73) 주위에는 스풀 연결축(71)의 자유단부를 보호하기위한 제 2 보호 캡(40)이 장착된다.
보호 커버(10)는 보호 커버(10)의 측벽(12) 일측에 내장된 제 1 체결 나사(14)의 자유단부를 하우징(50)의 벽(51)에 형성된 나사 삽입공(52a)에 끼우는 방식으로 핸들 어셈블리(130)를 하우징(50)의 좌측에 장착시킨다.
이와는 달리, 낚시용 릴(100)의 사용자가 왼손 잡이인 경우에는, 핸들 어셈블리(130)와 보호 커버(10)의 위치가 서로 바뀌고 하우징(50) 내의 스풀(70)의 위치가 반대방향으로 전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결합방식에 있어서 낚시용 릴(100)의 사용자가 오른손 잡이인 경우와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에 따라서 핸들 어셈블리(130)의 설치위치를 달리하고자 할때는, 하우징(50)에 대한 핸들 어셈블리(130)와 보호 커버(10)의 결합위치를 바꾸고 스풀 연결축(71)의 자유단부가 핸들 어셈블리(130)를 향하도록 스풀(70)의 방향을 바꿔주는 것으로써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50)의 일측에 장착되는 핸들 어셈블리(130)의 작동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낚시용 릴(100)을 이용하여 낚시줄을 감거나 풀기 위해 핸들(110)을 회전시키면, 핸들 커버(130)와 핸들(110) 사이에 배치된 드래그 노브(120)의 클릭핀(126)이 핸들(110)에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의 클릭핀 접촉홈(116)에 접촉하면서 딸각 딸각하는 경쾌한 회전 마찰음을 발생시킨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10)이 회전하는 경우에는 기어 축(161)을 통해서 핸들(110)과 동축으로 연결된 디스크 기어(162)와 종동 기어(163)가 회전하고, 계속해서 디스크 기어(162)와 맞물리는 워엄 기어(180a) 및 중간 기어(164)가 회전한다.
워엄 기어(180a)가 회전하면 워엄 기어(180a)의 회전축인 워엄 기어축(181)이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일단이 스풀(70)의 낚시줄 끼움홈(74)에 고정된 낚시줄이 스풀(70)의 권취드럼(참조부호 생략) 상에 고르게 감겨지거나 스풀(70)로부터 고르게 풀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중간 기어(164)가 회전하면 중간 기어(164)와 맞물리는 제 1 래칫 기어(172)가 회전하게 되고, 계속해서 제 1 래칫 기어(172)와 동축으로 배치된 제 2 래칫 기어(176)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제 2 래칫 기어(176)와 맞물리는 스풀 기어(76)가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스풀(70)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스풀(70)의 권취 드럼 상에 권취된 낚시줄을 재빨리 풀어주기 위해서 낚시릴의 사용자가 힘을 가해서 제 1 래칫(60)(도 1 참조)을 도 4b의“에프(F)” 방향으로 밀면, 제 1 래칫(60)의 상부는 래칫 지지부(53a,53b)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밀린다. 그 결과, 래칫 연결로드(64)를 통해서 제 1 래칫(60)에 연결된 제 3 래칫(80)의 상부가 제 2 래칫(170)의 축 연장부(173) 쪽으로 밀린다. 이때, 제 3 래칫(80)은 제 3 래칫 축(8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운동을 하게 되고, 그 결과 제 2 래칫(170)의 걸림턱(174)에 접촉하면서 제 2 래칫(170)의 축 연장부 (173)를 지지하고 있던 제 3 래칫(80)의 자유단부(8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축 연장부(17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중간 기어(164)와 제 1 래칫 기어(172)가 서로 이격되며, 계속해서 제 2 래칫(170)이 피봇(171)을 중심으로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 2 래칫(170)의 래칫 단부(175)가 종동 기어(163)의 이(tooth)사이 공간에 삽입되며, 그 결과, 종동 기어(163) 및 디스크 기어(162)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때, 축 연장부(17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방향으로 밀리게 됨에 따라, 축 연장부(173)와 동축으로 배치된 제 2 래칫 기어(176) 및 스풀 기어(76)가 서로 이격되어 스풀 기어(76)는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이에 의해 스풀(70)의 권취드럼에 권취된 낚시줄이 신속하게 풀어지게 된다.
이와는 달리, 낚시릴의 사용자가 제 1 래칫(60)에 가했던 힘을 해제시키면, 제 1 래칫(60)의 상부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그 결과, 제 3 래칫(80)의 상부는 제 2 래칫(170)의 축 연장부(17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제 3 래칫(80)은 제 3 래칫 축(8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운동을 하게 되고, 그 결과 제 3 래칫(80)의 자유단부(8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래칫(170)의 걸림턱(174)에 접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축 연장부(17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방향으로 밀리게 되고, 계속해서 제 2 래칫(170)이 피봇(171)을 중심으로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 2 래칫(170)의 래칫 단부(175)가 종동 기어(163)의 이(tooth)사이 공간으로부터 이탈되어 종동 기어(163) 및 디스크 기어(162)의 회전이 재개된다. 또한, 제 2 래칫 기어(176)가 스풀 기어(76)와 맞물리게 됨에 따라, 스풀 (70)은 핸들(11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게 된다.
낚시용 릴(100)의 사용자가 왼손잡이인 경우의 작동방식은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나타낸 오른손잡이인 경우의 작동방식과 동일하므로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100)에서는 하우징 (50)의 양측에 결합 가능한 핸들 어셈블리(150)와 보호 커버(10)를 마련함으로써, 왼손잡이이거나 오른손잡이인 사용자에 따라 그 설치위치를 달리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핸들 어셈블리(150)의 중요 부품인 래칫 어셈블리(160)의 구조와 작동방식을 개선하여 디스크 기어(162)와 스풀(70)의 연결을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스풀(70)에 대한 낚시줄의 감김과 풀림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벽(51) 일측에는 한쌍의 나사 삽입공(52a,52b)이 상기 벽(51)의 양단에서 종방향으로 일정깊이만큼 들어가게 형성되고, 상기 벽(51)의 타측에는 한쌍의 래칫 지지부(53a,53b)가 상기 벽(5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방사상 내측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래칫 지지부(53a,53b)의 상단 사이에는 제 1 래칫(60)이 배치된 하우징(50);
    상기 하우징(50)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원형의 본체(11), 상기 본체(11)의 방사상 외주면 상에 돌출하여 형성된 측벽(12), 상기 측벽(12) 안쪽에서 상기 본체(11)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된 원통형의 중간벽(13)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12)의 일측에는 자유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제 1 체결 나사(14)가 내장되고, 상기 제 1 체결 나사(14)의 상기 자유단부는 상기 나사 삽입공들(52a,52b)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보호 커버(10);
    상기 하우징(50) 내에서 상기 제 1 래칫(60)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벽(51)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낚시줄을 감아주고 풀어주기 위한 원통형 스풀(70); 그리고
    상기 보호 커버(10)에 대향하여 상기 하우징(50)의 타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핸들(110), 드래그 노브(120) 및 핸들 커버(130)를 갖춘 핸들 어셈블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래칫(60)은 상기 래칫 지지부(53a,53b)의 상단 사이에서 상기 제 1 래칫(60)을 관통하여 수평으로 고정 배치된 제 1 래칫 축(61)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제 1 래칫(60)의 상측에는 축 끼움홈(62)이 수평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축 끼움홈(62)에는 래칫 연결로드(64)의 일부분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110)은 로드 형상의 핸들 본체(111), 상기 핸들 본체(111)의 양단에 결합된 한쌍의 권취 노브(112), 상기 핸들 본체(111)의 중간에 형성된 원형의 연결부(114)를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114)의 중앙에는 제 1 축 관통공(115)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 관통공(115)의 방사상 주변부에는 다수의 클릭핀 접촉홈(116)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노브(120)는 원형의 노브 본체(121) 및 상기 노브 본체(121)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연장된 다수의 연장부(122)를 구비하며, 상기 노브 본체(121)의 중앙에는 제 2 축 관통공(125)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 관통공(125)의 방사상 일측에는 클릭핀 삽입홈(123)이 형성되며, 상기 클릭핀 삽입홈(123) 내에는 클릭핀 지지스프링(124)과 클릭핀(126)이 삽입되고, 상기 드래그 노브(120)를 상기 핸들(110)의 일측에 결합시킬 때 상기 클릭핀(126)은 상기 클릭핀 접촉홈(116)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커버(130)는 원형의 본체(131), 상기 본체(131)의 방사상 외주면 상에 돌출하여 형성된 측벽(132), 상기 측벽(132) 안쪽에서 상기 본체(131)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된 클러치 수용부(133), 상기 측벽(132) 안쪽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본체(131)의 내면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된 내측벽(136), 및 상기 내측벽(136)의 연장단부에서 상기 내측벽(136)에 대하여 수직하게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본체(131)와 평행하게 연장된 원형의 핸들커버 내벽(137)을 구비하며, 상기 측벽(132)의 일측에는 자유단부가 상기 핸들 커버(130)의 외부로 노출된 제 2 체결 나사(134)가 내장되고, 상기 제 2 체결 나사(134)의 자유단부는 상기 핸들 커버(130)를 상기 하우징(50)의 일측에 결합시킬 때 상기 벽(51)에 형성된 상기 나사 삽입공들(52a,52b)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수용부(133) 내에는 제 3 축 관통공(135)이 형성되고, 상기 제 3 관통공(135) 주위에는 링형상의 원웨이 클러치(140)가 배치되며, 상기 원웨이 클러치(140)의 방사상 내면에는 다수의 클러치 베어링(142)이 배치되고, 상기 핸들커버 내벽(137)은 상기 본체(131)에 대하여 일정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핸들커버 내벽(137)의 중간위치에는 원통형의 스풀 지지부(139)가 상기 본체(13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핸들커버 내벽(137)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131)와 상기 핸들커버 내벽(137) 사이에는 공간(S)이 조성되고, 상기 공간(S)에는 래칫 어셈블리(16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낚시용 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10)의 상기 중간벽(13)과 상기 스풀 지지부(139) 사이에는 상기 스풀(70)이 배치되고, 상기 스풀(70)의 내부에는 스풀 관통공(72)이 형성되며, 상기 스풀 관통공(72) 내에는 스풀 연결축(71)의 일부분이 삽입되고, 상기 스풀 연결축(71)은 상기 스풀 관통공(7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간(S)을 통과하며, 상기 스풀 연결축(71)의 자유단부는 상기 본체(131)에 형성된 스풀 삽입공(73)에 끼워지고, 상기 스풀 연결축(71)의 중간에는 스풀 기어(76)가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스풀(70)의 방사상 외면에는 한쌍의 낚시줄 끼움홈(74)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절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 어셈블리(160)는 디스크 기어(162), 중간 기어(164) 및 브이(V)자 형상의 제 2 래칫(170)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크 기어(162)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크 기어(162)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종동 기어(163)가 상기 디스크 기어(162)에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디스크 기어(162)와 상기 종동 기어(163)는 기어 축(161)에 의해서 고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축(161)의 일단부는 상기 핸들커버 내벽(137)에 형성된 제 4 축 관통공(145)에 삽입하여 고정되고, 상기 기어 축(161)은 상기 클러치 수용부(133)의 상기 제 3 축 관통공(135), 상기 드래그 노브(120)의 상기 제 2 축 관통공(125) 및 상기 핸들(110)의 상기 제 1 축 관통공(115)을 지나서 상기 핸들(110)의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클러치 수용부(133) 내에서 상기 클러치 베어링(142) 안쪽의 상기 기어 축(161) 주위에는 링형상의 슬리이브(168)가 배치되며, 상기 핸들(110)의 외부로 연장된 상기 기어 축(161)의 타단부에는 보호 캡(20)이 장착되고, 상기 기어 축(161)의 자유단부에는 수나사부(167)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 캡(20)의 방사상 내면에는 상기 수나사부(167)에 대응하는 암나사부(21)가 형성되며, 상기 보호 캡(20)과 상기 핸들(110)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22)가 배치되고, 상기 보호 캡(20)의 일측에는 키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기어(162)는 상기 중간 기어(164)와 맞물리고, 상기 중간 기어(164)는 상기 본체(131)에 대하여 평행하게 상기 클러치 수용부(133)로부터 연장된 핸들커버 중간벽(190)에 고정지지되어 회전 구동하고, 상기 중간 기어(164)는 상기 제 2 래칫(170)의 제 1 래칫 기어(172)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며, 상기 제 2 래칫(170)은 상기 제 2 래칫(170)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피봇(171)에 의해서 상기 핸들커버 중간벽(190)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래칫(170)은 상기 제 1 래칫 기어(172)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 래칫 기어(172)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축 연장부(173) 및 상기 스풀 기어(72)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배치된 제 2 래칫 기어(176)를 구비하며, 상기 축 연장부(173)의 방사상 하단에는 걸림턱(174)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래칫(170)의 자유단부인 래칫 단부(175)는 후크형상으로 만곡되며 상기 디스크 기어(162)와 동축으로 연결된 상기 종동 기어(163)의 이(tooth) 사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래칫 단부(175) 근처위치에서 상기 핸들커버 중간벽(190)에는 상기 래칫 단부(175)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176)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74)에는 제 3 래칫(80)의 자유단부(82)가 접촉하고, 상기 제 3 래칫(80)은 상기 공간(S)에서 상기 핸들커버 내벽(137)과 상기 핸들커버 중간벽(190) 사이에서 연장된 제 3 래칫 축(81)에 의해서 선회가능하게 고정 지지되고, 상기 제 3 래칫(80)의 상부에는 상기 제 1 래칫(60)의 상기 래칫 연결로드(64)의 노출 단부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제 3 래칫(80)은 상기 제 1 래칫(6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 3 래칫 축(81)을 중심으로 선회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자유단부(82)가 상기 걸림턱(174)에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 2 래칫(170)의 선회운동을 유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20000022975A 2000-04-28 2000-04-28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KR20010099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975A KR20010099566A (ko) 2000-04-28 2000-04-28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975A KR20010099566A (ko) 2000-04-28 2000-04-28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566A true KR20010099566A (ko) 2001-11-09

Family

ID=19667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975A KR20010099566A (ko) 2000-04-28 2000-04-28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995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6174A (zh) * 2019-08-05 2019-11-22 水星海事技术(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舷外发动机手柄的可转换左右手模式的换挡机构及其操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6174A (zh) * 2019-08-05 2019-11-22 水星海事技术(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舷外发动机手柄的可转换左右手模式的换挡机构及其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18204B (en) Sealing structure for fishing reel
JPS5917931A (ja) 釣り用リ−ル
KR20020037263A (ko) 스피닝 릴의 로터
CA1161012A (en) Drag system for spinning style fishing reel
KR102188172B1 (ko) 낚시용 릴
KR20040023842A (ko) 베이트케스트 릴의 원심 브레이크 장치
KR20010099566A (ko)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JP2001112383A (ja) スピニングリール
US7147177B2 (en) Cable reel
JPH10327723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ッグ機構
JP2000201600A (ja) 片軸受リ―ル
JP2007000022A (ja) 魚釣用リール
KR19990084029A (ko)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스풀 자유회전 유도구조
US5746297A (en) Device for preventing reverse rotation of rotor in spinning reels
JP360057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4135542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2010242292A (ja) シャッター用ロック装置及びシャッター装置
JP4338287B2 (ja) ピンオンリール
KR20030037452A (ko) 좌우겸용 핸들 어셈블리를 구비한 낚시용 릴
KR960001229Y1 (ko) 호스 권취용 릴
KR100665055B1 (ko) 낚시용 릴의 역회전방지 장치
KR20020020424A (ko) 핸들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안전 낚시용 릴
KR200227018Y1 (ko) 낚시용 양 베어링형 릴의 스풀 자유회전 유도구조
JP2001299165A (ja)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
KR100639605B1 (ko) 낚시용 릴의 클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