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0424A - 핸들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안전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핸들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안전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0424A
KR20020020424A KR1020000053564A KR20000053564A KR20020020424A KR 20020020424 A KR20020020424 A KR 20020020424A KR 1020000053564 A KR1020000053564 A KR 1020000053564A KR 20000053564 A KR20000053564 A KR 20000053564A KR 20020020424 A KR20020020424 A KR 200200204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spool
hub
handle
fish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3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호
Original Assignee
박창호
용마산업개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호, 용마산업개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창호
Priority to KR1020000053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0424A/ko
Publication of KR20020020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42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Brakes connected to the spool by one-way clut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Abstract

스풀을 메인 스풀과 핸들 스풀로 분리 구성하고 핸들 스풀에 내장된 일방향 베어링을 이용하여 핸들 스풀이 낚싯줄 감김방향으로만 메인 스풀과 동체로서 회전구동하게 함으로써, 낚시꾼이 낚시를 하는 도중에 메인 스풀이 낚싯줄 풀림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할 때 핸들 스풀의 회전을 방지하고 그로 인하여 핸들 스풀을 쥐고있던 낚시꾼이 손에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안전 낚시용 릴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은 메인 스풀, 메인 스풀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메인 스풀을 일측으로부터 감싸는 하우징, 그리고 메인 스풀과 함께 회전하거나 메인 스풀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핸들 스풀을 포함한다. 메인 스풀의 일측 단부에는 원통형의 제 2 슬리이브가 일체로 장착되고, 핸들 스풀의 제 2 허브 내에는 제 2 슬리이브가 끼워질 수 있는 슬리이브 리세스가 형성되며, 슬리이브 리세스의 방사상 외측에는 핸들 스풀을 메인 스풀의 낚싯줄 감김방향으로만 회전시키기 위한 일방향 베어링이 내장된다. 일방향 베어링은 베어링 커버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별도의 제공되는 키(key)를 베어링 커버의 키홈(key groove)에 끼워돌리면 베어링 커버를 열 수 있다. 따라서, 오른손잡이이거나 왼손잡이인 낚시꾼 모두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들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안전 낚시용 릴{Safety 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낚시용 릴에서와는 달리 스풀을 메인 스풀과 핸들 스풀로 분리 구성하고 핸드 스풀에 내장된 일방향 베어링을 이용하여 핸들 스풀이 낚싯줄 감김방향으로만 메인 스풀과 동체로서 회전구동하게 함으로써, 낚시꾼이 낚시를 하는 도중에 메인 스풀이 낚싯줄 풀림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할 때 핸들 스풀의 회전을 방지하고 그로 인하여 핸들 스풀을 쥐고있던 낚시꾼이 손에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안전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용 릴은 낚싯줄을 빠른 시간내에 감거나 풀기 위해 사용되는 낚시용 장비이다. 이러한 낚시용 릴로서는 플라이 릴과 장구형 릴 등 몇가지 종류가 있으나, 대개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과 스풀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낚시용 릴은, 낚시꾼이 낚시를 하는 도중에 낚시에 걸린 물고기와의 실랑이를 위해서 낚싯줄을 풀어주는 경우, 낚싯줄이 감겨져 있던 스풀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스풀의 외면 상에 구비된 손잡이 또한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어 손잡이를 잡고있던 낚시꾼의 손에 부상을 입힐 위험성이 있었다. 따라서, 낚시꾼은 낚싯줄을 풀어줄 때 늘 주의를 기울여야만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낚시용 릴에서와는 달리 스풀을 메인 스풀과 핸들 스풀로 분리 구성하고 핸드 스풀에 내장된 일방향 베어링을 이용하여 핸들 스풀이 낚싯줄 감김방향으로만 메인 스풀과 동체로서 회전구동하게 함으로써, 낚시꾼이 낚시를 하는 도중에 메인 스풀이 낚싯줄 풀림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할 때 낚시꾼이 손에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안전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핸들 스풀의 확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권취 드럼의 후면에서 제 2 슬리이브 내부에 설치되는 착탈핀의 설치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낚시용 릴 100 : 하우징
101 : 하우징 디스크 118 : 착탈핀 스프링
120,170 : 슬리이브 122,172 : 플랜지
126 : 착탈핀 130,302 : 허브
140 : 조정 노브 174 : 슬리이브 연장부
200 : 메인 스풀 210 : 권취 드럼
220 : 원웨이 클러치 300 : 핸들 스풀
301 : 핸들스풀 디스크 307 : 중앙 개구부
308 : 나사 삽입공 309 : 슬리이브 리세스
310 : 롤러 312 : 일방향 베어링
316 : 고정 나사 320 : 핸들 캡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중앙에 제 1 허브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낚시줄이 감기는 권취 드럼을 구비하고, 상기 권취 드럼의 원통형 내면에는 원웨이 클러치가 내장되며, 일측 단부에는 원통형의 제 2 슬리이브가 일체로 결합된 메인 스풀;
상기 원웨이 클러치의 내측에 끼워지며, 상기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상대적 회전을 할 수 있는 제 1 슬리이브;
상기 제 1 허브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슬리이브 내에 상기 제 1 슬리이브와 접하도록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 2 슬리이브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주축;
상기 주축과 상기 제 1 슬리이브 사이의 마찰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메인 스풀을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거나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메인 스풀을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회전 조절수단;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대향(對向)하여 상기 메인 스풀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 스풀이 낚싯줄 감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상기 메인 스풀과 동체로서 회전하는 핸들 스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을 제공한다.
상기 제 2 슬리이브는 일체로 형성된 장착 플랜지와 슬리이브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이브 연장부는 상기 장착 플랜지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기 장착 플랜지의 일측 방향으로 계단형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슬리이브는 상기 장착 플랜지에 형성된 플랜지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권취드럼의 후단부에 삽입되는 체결 나사에 의해서 상기 권취 드럼의 후단부에 장착된다.
상기 핸들 스풀은 그 중앙에 배치된 제 2 허브와, 상기 제 2 허브의 방사상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핸들스풀 디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스풀 디스크의 외면 상에는 권취 노브 및 밸런스가 서로 대척(對蹠)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권취 노브 및 상기 밸런스의 방사상 내측 소정 위치에서 상기 핸들스풀 디스크의 전면에는 다수의 롤러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허브의 방사상 외면 상에는 제 2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중앙 전면에는 중앙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 개구부의 일측에는 나사 삽입공이 상기 중앙 개구부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중앙 개구부와 상기 나사 삽입공의 방사상 외측에는 상기 메인 스풀의 상기 제 2 슬리이브를 수용하기 위한 슬리이브 리세스가 형성된다. 상기 슬리이브 리세스의 방사상 외측에는 일방향 베어링이 배치되고, 상기 일방향 베어링은 상기 제 2 허브의 전면으로부터 삽입되는 베어링 커버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베어링 커버의 노출면에는 키홈(key groove)이형성되고, 상기 낚시용 릴의 사용자는 상기 키홈 내에 소정의 키(key)를 삽입하여 상기 베어링 커버를 필요에 따라서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에서는, 종래의 낚시용 릴에서와는 달리 스풀을 메인 스풀과 핸들 스풀의 이중 구조로 구성하고, 메인 스풀의 제 2 슬리이브와 연접하는 핸들 스풀의 제 2 허브 내측에 일방향 베어링을 내장하였다. 일방향 베어링의 작용에 의해서, 핸드 스풀은 낚싯줄 감김방향으로만 메인 스풀과 동체를 이루어 회전하므로, 낚시꾼이 낚시를 하는 도중에 메인 스풀이 낚싯줄 풀림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하는 경우에 핸들 스풀을 쥐고있던 낚시꾼의 손에 부상을 입힐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은 핸들 스풀에 내장된 일방향 베어링의 장착방향만을 간단하게 바꾸어 줌으로써, 오른손잡이이거나 왼손잡이인 사용자 모두가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의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면의 좌측을 전방으로, 그리고 도면의 우측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용 릴(10)은 메인 스풀(200), 메인 스풀(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메인 스풀(200)을 일측으로부터 감싸는 하우징(100), 그리고 메인 스풀(200)과 함께 회전하거나 메인 스풀(20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핸들 스풀(300)을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100)은 그 중앙에 배치된 제 1 허브(130)와, 제 1 허브(130)의 방사상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 디스크(101)를 구비한다. 제 1 허브(130)의 중앙부위에는 주축(110)이 일체로 끼워져 있다. 이를 위해서, 제 1 허브(130)에는 그 중앙을 관통하는 허브 관통공(130a)이 형성되는데, 이때 주축(110)의 전방 부분이 허브 관통공(130a)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제 1 허브(130)와의 인접위치에서 하우징 디스크(101)의 방사상 내면상에는 환형의 드래그 플레이트(131)가 일체로 부착된다. 드레그 플레이트(131)의 노출면에는, 환형으로 배열되는 제 2 함몰홈(132)이 형성된다. 하우징(100)과 메인 스풀(200)이 조립되는 경우, 제 2 함몰홈(132)에는 메인 스풀(200)의 제 2 클릭핀(212)이 계합된다.
제 1 허브(130)의 전면 중앙에는 제 1 오목부(recess; 139)가 형성되고, 제 1 오목부(139)의 외측에서 제 1 허브(130)의 전면에는 서로 대척의 위치에 두 개의 제 1 수납홈(136)이 형성되는데, 각각의 제 1 수납홈(136) 내에는 제 1 클릭핀 스프링(138) 및 상기 제 1 클릭핀 스프링(138)에 의해서 전방으로 편향 지지되는 제 1 클릭핀(click pin; 137)이 수납된다. 또한, 허브(130)에는 제 1 오목부(139)의 바닥을 관통하는 세 개의 플런저 관통공(plunger through hole; 133)이 형성된다. 각각의 플런저 관통공(133) 내에는 플런저(134)가 관통하도록 수납되며, 플런저(134)는 플런저 스프링(135)에 의해 전방으로 편향 지지된다.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110)의 후단부에는 머리부(head; 111)가 형성되고, 머리부(111)의 후측에는 머리부(111) 보다 직경이 작은 목부(neck; 112)가 일체로 연결되어, 목부(112)는 계합홈(engaging groove; 114)을 형성한다. 계합홈(114)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스풀 착탈용 키(key)인 착탈핀(126)이 배치된다. 주축(110)의 중앙의 소정의 위치에는 어깨부(shoulder; 113)가 일체로 형성되며, 목부(112)와 어깨부(113) 사이에서 주축(110)의 방사상 외면에는 제 2 베어링(116)이 배치된다. 제 2 베어링(116)은 메인 스풀(200)이 주축(110)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주축(110)의 어깨부(113)와 허브(130)의 후면 사이에는 제 1 슬리이브(sleeve; 120)가 배치된다. 제 1 슬리이브(120)는 원통형 관(cylindrical tube; 121)과, 원통형 관(121)의 후단에 일체로 되고 그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flange; 122)를 구비한다. 원통형 관(131)에는 주축(110)의 중앙 부분이 끼워지며, 원통형 관(131)은 어깨부(113)와 제 1 허브(130)에 의해 전후방 이동이 한정된다.
이때, 제 1 슬리이브(120)의 방사상 외부와 메인 스풀(200)의 권취 드럼(210)의 원통형 내면 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 220)가 설치된다. 원웨이 클러치(220)는 클러치 고정너트(221)에 의해 권취 드럼(210)에 일체로 고정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메인 스풀(200)이 조립되었을 때, 원웨이 클러치(220)의 내측에는 하우징(100)의 제 1 슬리이브(120)가 수납되는 데, 이때 원웨이 클러치(220)는 제 1 슬리이브(120)의 원통형관(121)에 접하여 제 1 슬리이브(120)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주축(110)의 어깨부(113)와 원통형 관(131)의 후단부 사이에는 제 1 와셔(washer; 123)가 삽입되어 그 사이의 접촉력을 높이며, 플랜지(122)와 제 1 허브(130)의 후면 사이에는, 주축(110)을 둘러싸는 환형의 디스크 플레이트(disc plate; 124) 및 제 2 와셔(125)가 삽입되어 플런저(134)와 플랜지(122) 사이의 미끄럼을 방지한다.
주축(110)의 전단부 외면에는 제 1 수나사부(117)가 형성된다. 주축(110)은 허브(130)의 허브 관통공(130a)을 관통하여 연장하며, 제 1 수나사부(117)를 따라 체결되어 허브(130)의 후면에 고정되는 제 1 너트(151)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제 1 너트(151)가 체결된 전방으로 제 1 수나사부(117)에는 조정 노브(adjusting knob; 140)가 체결된다. 조정 노브(140)의 전면 중앙에는 제 2 오목부(148)가 형성되고, 제 2 오목부(148)의 중앙 저면에는 조정 노브(140)를 관통하는 노브 관통공(knob through hole; 149)이 형성되어 있다. 노브 관통공(149)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주축(110)의 제 1 수나사부(117)에 계합되며, 따라서 조정 노브(140)가 주축(110)의 제 1 수나사부(117)를 따라 전후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조정 노브(140)의 제 2 오목부(148) 내에는 주축(110)의 제 1 수나사부(117)의 선단에 나사 결합된 축 보호캡(160)이 배치되어, 조정 노브(140)의 축방향 이송을 한정한다. 조정 노브(140)의 후면에는 환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 1 함몰홈(142)이 형성되며, 제 1 함몰홈(142)에는 허브(130)의 제 1 클릭핀(137)이 계합된다.
제 1 허브(130)를 관통하도록 플런저 관통공(133) 내에 삽입된 플런저(134)와 조정 노브(140)의 내면 사이에는 제 3 와셔(143), 웨이브 와셔(wave washer; 145) 및 제 4 와셔(144)가 차례로 배치된다. 조정 노브(140)를 조이면, 웨이브 와셔(145)는 탄력적으로 축방향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조정 노브(140)과 플런저(134) 사이의 축 방향의 힘의 전달을 강화 한다.
한편, 권취 드럼(220)의 전면에는 제 2 수납홈(211)이 형성되고, 제 2 수납홈(211) 내에는 제 2 클릭핀 스프링(213)과, 제 2 클릭핀 스프링(213)에 의해 전방으로 편향 지지되는 제 2 클릭핀(212)이 수납된다. 권취드럼(210)의 선단에 형성된 제 3 오목부(163) 내에서 제 1 허브(130)의 후단부 방사상 외면과 권취드럼(210)의 방사상 내면 사이에는 제 1 베어링(115)이 배치된다. 제 1 베어링(115)은 하우징(100)과 메인 스풀(200)이 서로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 드럼(220)의 후방으로 노출된 주축(110)의 머리부(111)는 원통형의 제 2 슬리이브(170)에 의해서 둘러싸여진다. 제 2 슬리이브(170)는 일체로 형성된 장착 플랜지(172)와 슬리이브 연장부(174)를 구비한다. 슬리이브 연장부(174)는 장착 플랜지(172)에 대하여 수직하게 장착 플랜지(172)의 일측 방향으로 계단형상으로 연장된다. 슬리이브 연장부(174)의 끝단 방사상 외면 상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다. 제 2 슬리이브(170)는 장착 플랜지(172)에 형성된 플랜지 관통공(171)을 관통하여 권취드럼(210)의 후단부에 삽입되는 체결 나사(173)에 의해서 권취 드럼(210)의 후단부에 장착된다. 이때, 제 2 슬리이브(170)의 방사상 내면은 권취 드럼(210)의 후단부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도 4는 권취 드럼(210)의 후면에서 제 2 슬리이브(170) 내부에 설치되는 착탈핀(126)의 설치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착탈핀(126)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권취 드럼(210)의 후면 회부까지 연장되는 주축(110)의 계합홈(114)에 배치된다. 이때, 착탈핀(126)은 제 2 슬리이브(170)의 내부에 설치되며, 캠(cam) 형상의 코어부(core; 127), 코어부(127)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작동 레버(lever; 128), 그리고 작동 레버(128)의 중앙 일측에 형성된 후크부(hook; 129)를 구비한다. 후크부(129)는 계합되는 주축(110)의 목부(112)를 감싸도록 갈고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코어부(127)의 중앙에는 피벗홀(pivot hole; 127a)이 형성되어 있다. 피벗홀(127a)에는 피벗핀(pivot pin; 119)이 삽입되고, 착탈핀(126)은 피벗핀(119)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착탈핀(126)은 착탈핀 스프링(118)에 의해 편향 지지되는데, 착탈핀 스프링(118)은 제 2 슬리이브(170)의 원통형 측벽 내면과 캠 형상의 코어부(127)에 의해 그 사이에서 이탈이 방지된다. 착탈핀(126)의 작동 레버(128)의 일부분은 제 2 슬리이브(170)의 측벽을 일부 절개하여 만든 게이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제 2 슬리이브(170)의 외부로 노출된다. 작동 레버(128)의 작동시에 착탈핀(126)은 피벗핀(119)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후크부(129)가 주축(110)의 목부(112)에 계합 또는 해제된다.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핸들 스풀의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10)의 핸들 스풀(300)은 그 중앙에 배치된 제 2 허브(302)와, 제 2 허브(302)의 방사상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핸들스풀 디스크(301)를 구비한다. 핸들스풀 디스크(301)의 외면 상에는 권취 노브(303) 및 밸런스(304)가 서로 대척(對蹠)의 위치에 설치된다.
권취 노브(303) 및 밸런스(304)의 방사상 내측 소정 위치에서 핸들스풀 디스크(301)의 전면에는 다수의 롤러(310)가 배치된다. 롤러(310)는 핸들스풀 디스크(301)를 관통하여 롤러(310)의 중심을 지나는 체결 볼트(305) 및 체결 볼트(305)의 끝에 나사결합되는 제 2 너트(306)에 의해서 체결 볼트(305)의 중간위치에 지지된다. 이때, 롤러(310)와 핸들스풀 디스크(301)의 전면사이, 그리고 롤러(310)와 제 2 너트(306) 사이에는 제 5 와셔(315)가 각각 배치된다. 체결 볼트(305)는 핸들스풀 디스크(301)의 관통부위에서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되며, 롤러(310)는 제 5 와셔(315)에 의해서 핸들스풀 디스크(301)의 전면과 제 2 너트(306)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핸들 스풀(300)이 메인 스풀(200)에 결합될 때, 롤러(310)는 메인 스풀(200)의 권취드럼(210)의 후면 안쪽모서리에 접촉하면서 메인 스풀(200)에 대하여 핸들 스풀(30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 2 허브(302)의 중앙 전면에는 중앙 개구부(307)가 형성되고, 중앙 개구부(307)의 일측에는 나사 삽입공(308)이 중앙 개구부(307)와 연통되게 형성된다. 중앙 개구부(307)와 나사 삽입공(308)의 방사상 외측에는 슬리이브 리세스(309)가 형성된다. 슬리이브 리세스(309)의 방사상 외측에는 일방향 베어링(312)이 배치된다. 일방향 베어링(312)은 제 2 허브(302)의 전면으로부터 삽입되는 베어링 커버(311)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베어링 커버(311)의 노출면에는 키홈(key groove)(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키홈 내에 소정의 키(key)를 삽입하여 베어링 커버(311)를 필요에 따라서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다. 제 2 허브(302)의 방사상 외면 상에는 제 2 수나사부(313)가 형성된다.
나사 삽입공(308)에는 티(T)자형의 고정 나사(316)가 삽입되는데, 이때 고정 나사(316)의 헤드부분은 제 2 허브(302)의 후면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이 나사 삽입공(308) 내로 끼워진다. 고정 나사(316)의 헤드부분의 전면과 제 2 허브(302)의 후면 사이에는 제 3 너트(317)와 제 6 와셔(318)가 차례로 배치된다. 이때, 제 3 너트(317)는 슬리이브 연장부(174)의 끝단 방사상 외면상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끼워지며, 고정 나사(316)를 조이면 제 3 너트(317)가 조여지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고정나사(316)와 제 3 너트(317) 그리고 제 6 와셔(318)의 외부는 핸들 캡(320)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핸들 캡(320)의 방사상 내면 선단에는 암나사부(321)가 형성된다. 핸들 캡(320)을 허브(302)의 후방에 결합시킬 때, 핸들 캡(320)의 암나사부(321)는 제 2 허브(302)의 방사상 외면 상에 형성된 제 2 수나사부(313)와 나사결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10)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조립된 하우징(100)과 메인 스풀(200) 그리고핸들 스풀(300)을 일체로 결합시키려는 경우에는, 먼저 착탈핀(126)의 작동 레버(128)를 도 4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주축(110)을 메인 스풀(200)의 권취 드럼(210) 내로 삽입한다. 주축(110)의 머리부(111) 및 목부(112)가 메인 스풀(200)의 권취 드럼(210)을 완전히 통과하여 제 2 슬리이브(170) 내부의 공간에 위치할 때까지 삽입한 후에, 작동 레버(128)를 놓으면, 작동 레버(128)는 착탈핀 스프링(118)에 의해 다시 도 4에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후크부(129)가 주축(110)의 계합홈(114) 내로 삽입되어 목부(112)에 계합된다. 이때, 후크부(129)는 목부(112)의 원주 둘레를 감싸는 형태를 이루므로, 주축(110)의 머리부(111)와 후크부(129) 사이의 체결력은 대단히 견고하고, 따라서 착탈핀(126)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지 않는 한 하우징(100)과 메인 스풀(200)은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는 반대로, 서로 결합된 하우징(100)과 메인 스풀(200)을 서로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착탈핀(126)의 작동 레버(128)를 도 4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착탈핀(126)의 후크부(129)와 주축(110)의 목부(112) 사이의 계합이 해제되고, 이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주축(110)을 메인 스풀(200)의 권취 드럼(210) 내부로부터 빼내면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메인 스풀(200)의 결합이 끝나면, 메인 스풀(200)의 제 2 슬리이브(170)를 핸들 스풀(300)의 슬리이브 리세스(309) 내로 삽입하여 메인 스풀(200)과 핸들 스풀(300)을 결합시킨다. 그런 후에, 핸들 스풀(300)의 핸들 캡(320)을 돌려서 열고 고정 나사(316)를 돌려서 슬리이브연장부(174)의 일단 외면상에 끼워진 제 3 너트(317)를 조여준다. 그 결과, 하우징(100)과 메인 스풀(200) 그리고 핸들 스풀(3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같이 하우징(100)과 메인 스풀(200) 그리고 핸들 스풀(30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 스풀(300)의 권취 노브(303)를 잡고 핸들 스풀(300)을 회전시켜 메인 스풀(200)의 권취 드럼(210)의 외주면 상에 낚시줄을 감거나 풀수 있게 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조정 노브(140)를 오른 나사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이면, 조정 노브(140)는 주축(110)의 제 1 수나사부(117)를 따라 도 1 에서 우측으로, 즉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4 와셔(144), 웨이브 와셔(145) 및 제 3 와셔(143)를 통해 플런저(134)를 후방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플런저(134)는 제 2 와셔(125) 및 디스크 플레이트(124)를 통해 제 1 슬리이브(120)를 후방으로 밀고, 제 1 슬리이브(120)는 제 1 와셔(123)을 압착하면서 주축(110)의 어깨부(113)에 압박을 가하게 된다. 이때, 주축(110)은 제 1 너트(151)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주축(110)의 어깨부(113)와 제 1 슬리이브(120) 사이에는 제 1 와셔(123)을 매개로 해서 강한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주축(110)과 제 1 슬리이브(120)는 상대 회전 운동하지 않고 동체로서 회전운동하게 된다. 즉, 제 1 슬리이브(120)는 원웨이 클러치(220)에 의해 일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만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100)에 고정된 주축(110)과 제 1 슬리이브(120)에 대해 메인 스풀(200)의 권취 드럼(210)은 상대적으로 일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메인 스풀(200)은 하우징(100)에 대해일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메인 스풀(200)에서 낚시줄이 풀리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핸들 스풀(300)은 메인 스풀(200)의 제 2 슬리이브(170)에 연접하는 일방향 베어링(312)의 작용에 의해서, 메인 스풀(200)에 대하여 상대 회전 운동하지 않고 동체로서 회전운동하게 된다.
한편, 핸들(100)의 조정 노브(140)을 왼나사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풀면, 조정 노브(140)는 주축(110)의 제 1 수나사부(117)를 따라 도 1 에서 좌측으로, 즉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런저(134)는 플런저 스프링(135)의 편향력에 의해 전방으로 복귀하게 되고, 그 결과 제 1 슬리이브(120)를 후방으로 압박하는 힘이 해제되어 제 1 슬리이브(120)와 주축(110)의 어깨부(113) 사이의 제 1 와셔(123)를 매개로 한 마찰력이 해제된다.
따라서, 주축(110)이 제 1 슬리이브(120) 내에서 미끄러지면서, 제 1 슬리이브(120)가 주축(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양 방향으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즉, 메인 스풀(200)은 하우징(100)에 대해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메인 스풀(200)에 낚싯줄을 자유 자재로 감거나 풀 수 있게 된다.
이때, 핸들 스풀(300)은 메인 스풀(200)의 제 2 슬리이브(170)에 연접하는 일방향 베어링(312)의 작용에 의해서, 메인 스풀(200)이 낚싯줄 감김방향으로 회전할때는 메인 스풀(200)과 동체로서 회전운동하고, 메인 스풀(200)이 낚싯줄 풀림방향으로 회전할때는 메인 스풀(200)과 함께 회전하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낚시꾼이 낚시를 하는 도중에 메인 스풀(200)의 권취 드럼(210)에 감겨져있던 낚싯줄을 풀어주기 위해서 하우징(100)의 조정 노브(140)를 돌려서 메인 스풀(200)을 자유로운 상태로 유지하고 그에따라 낚시바늘에 물린 물고기에 의해서 낚싯줄이 견인되어 메인 스풀(200)이 낚싯줄 풀림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하는 경우, 핸들 스풀(300)은 메인 스풀(200)과 함께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핸들 스풀(300)을 쥐고있던 낚시꾼의 손에 부상을 입힐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한편, 조정 노브(140)를 돌려 조을수록, 제 1 슬리이브(120)와 주축(110)의 어깨부(113) 사이의 제 1 와셔(123)를 매개로 한 마찰력은 강해지고, 따라서 메인 스풀(200)의 회전을 방지하는 조력 또는 조임력이 강해지며, 조정 노브(140)을 완전히 조은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스풀(200)에서 낚시줄이 풀리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조정 노브(140)를 풀수록, 제 1 슬리이브(120)와 주축(110)의 어깨부(113) 사이의 제 1 와셔(123)를 매개로 한 마찰력은 약해지고, 따라서 메인 스풀(200)의 회전을 방지하는 조력 또는 조임력이 약해진다.
이상과 같이 조정 노브(140)을 조으거나 풀기 위해 회전시키면, 제 1 클릭핀(137)이 환형으로 배열된 제 1 함몰홈(142)을 따라 이동하면서 딸각 딸각하는 경쾌한 소리를 내어, 릴 사용자의 기분을 경쾌하게 한다. 마찬가지로, 메인 스풀(200)을 회전 시킬 때에도, 제 2 클릭핀(212)이 제 2 함몰홈(132)를 따라 이동하면서 경쾌한 소리를 내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낚시용 릴(10)은 오른손잡이인 낚시꾼을 위한 것인데, 낚시꾼이 왼손잡이인 경우에는 핸들 스풀(300)의 일방향 베어링(312)의 장착방향을 반대로 바꾸고 메인 스풀(200)의 원웨이 클러치(220)의 장착방향을 바꾸어 사용하면 된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핸들 스풀(300)의 핸들 캡(320)을 돌려서 열고 고정 나사(316)를 돌려서 슬리이브 연장부(174)의 일단 외면상에 끼워진 제 3 너트(317)를 풀어준다. 다음에는, 핸들 스풀(300)의 슬리이브 리세스(309) 내에 삽입되어 있던 메인 스풀(200)의 슬리이브 연장부(174)를 슬리이브 리세스(309)로부터 빼내는 방식으로 핸들 스풀(300)을 메인 스풀(200)로부터 분해시킨다.
그런 후에, 일방향 베어링(312)을 폐쇄시키고 있는 베어링 커버(311)를 빼낸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10)의 부속품으로 제공되는 별도의 키(key)를 베어링 커버(311)의 노출면에 형성된 키홈 내로 삽입한후 돌려서 베어링 커버(311)를 핸들 스풀(300)의 제 2 허브(302)로부터 이탈 시킨다. 베어링 커버(311)가 이탈되면 일방향 베어링(312)을 빼낸후 장착방향을 바꿔서 다시 삽입한다. 일방향 베어링(312)의 삽입이 끝나면 위에서 언급한 방법과 반대로 베어링 커버(311)를 삽입하고, 계속해서 핸들 스풀(300)과 메인 스풀(200)을 결합시킨후 핸들 스풀(300)의 고정 나사(316)를 조여서 핸들 스풀(3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다음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착탈핀(126)의 작동 레버(128)를 도 4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착탈핀(126)의 후크부(129)와 주축(110)의 목부(112) 사이의 계합을 해제하고 이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주축(110)을 메인 스풀(200)의 권취 드럼(210) 내부로부터 빼내는 방식으로 메인 스풀(200)과 핸들 스풀(300)을 하우징(100)으로부터 동시에 분리시킨다.
그런 후에, 권취 드럼(210)의 전면쪽에 삽입된 클러치 커버(221)를 풀고 원웨이 클러치(220)를 빼낸 다음 장착방향을 바꿔서 삽입한다. 원웨이 클러치(220)의 삽입이 끝나면 다시 클러치 커버(221)를 끼우고 위에서 언급한 것과 반대로 하여 하우징(100)과 스풀(200,300)을 결합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10)에서는, 종래의 낚시용 릴에서와는 달리 스풀을 메인 스풀(200)과 핸들 스풀(300)의 이중 구조로 개선하고 핸들 스풀(300)이 낚싯줄 감김방향으로만 메인 스풀(200)과 동체를 이루어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낚시꾼이 낚시를 하는 도중에 메인 스풀(200)이 낚싯줄 풀림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하는 경우에 핸들 스풀(300)이 메인 스풀(200)과 함께 회전하지 않게 되고, 그로 인하여 핸들 스풀(300)을 쥐고있던 낚시꾼의 손에 부상을 입힐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낚시꾼은 편안한 낚시를 즐길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10)은 핸들 스풀(300)에 내장된 일방향 베어링(312)의 장착방향만을 간단하게 바꾸어 줌으로써, 오른손잡이이거나 왼손잡이인 사용자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중앙에 제 1 허브(130)를 구비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낚시줄이 감기는 권취 드럼(210)을 구비하고, 상기 권취 드럼(210)의 원통형 내면에는 원웨이 클러치(220)가 내장되며, 일측 단부에는 원통형의 제 2 슬리이브(170)가 일체로 결합된 메인 스풀(200);
    상기 원웨이 클러치(220)의 내측에 끼워지며, 상기 원웨이 클러치(220)에 의해 일방향으로만 상대적 회전을 할 수 있는 제 1 슬리이브(120);
    상기 제 1 허브(130)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슬리이브(120)내에 상기 제 1 슬리이브(120)와 접하도록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 2 슬리이브(170)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주축(110);
    상기 주축(110)과 상기 제 1 슬리이브(120) 사이의 마찰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0)에 대하여 상기 메인 스풀(200)을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거나 상기 하우징(100)에 대하여 상기 메인 스풀(200)을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회전 조절수단;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에 대향(對向)하여 상기 메인 스풀(20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 스풀(200)이 낚싯줄 감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만 상기 메인 스풀(200)과 동체로서 회전하는 핸들 스풀(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낚시용 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축(110)은 일단부에 머리부(111)와 목부(112)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111)와 상기 목부(112) 사이에는 계합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계합홈(114) 내에는 스풀 착탈용 키(key)인 착탈핀(126)이 배치되며, 상기 착탈핀(126)은 상기 제 2 슬리이브(170) 내에서 착탈핀 스프링(118)에 의해서 편향 지지되고, 상기 착탈핀(126)의 일부분은 상기 제 2 슬리이브(170)의 측벽 일부분을 절개하여 만든 게이트를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주축(110)은 상기 권취 드럼(210)을 완전히 관통하여 상기 머리부(111)와 상기 목부(112)가 상기 제 2 슬리이브(170) 내로 돌출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제 2 슬리이브(170)는 일체로 형성된 장착 플랜지(172)와 슬리이브 연장부(17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낚시용 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이브 연장부(174)는 상기 장착 플랜지(172)에 대하여 수직하게 상기 장착 플랜지(172)의 일측 방향으로 계단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슬리이브(170)는 상기 장착 플랜지(172)에 형성된 플랜지 관통공(171)을 관통하여 상기 권취드럼(210)의 후단부에 삽입되는 체결 나사(173)에 의해서 상기 권취 드럼(210)의 후단부에 장착되고, 이때 상기 제 2 슬리이브(170)의 방사상 내면은 상기 권취 드럼(210)의 상기 후단부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슬리이브 연장부(174)의 끝단 방사상 외면 상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낚시용 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스풀(300)은 그 중앙에 배치된 제 2 허브(302)와, 상기 제 2 허브(302)의 방사상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핸들스풀 디스크(301)를 구비하고, 상기 핸들스풀 디스크(301)의 외면 상에는 권취 노브(303) 및 밸런스(304)가 서로 대척(對蹠)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권취 노브(303) 및 상기 밸런스(304)의 방사상 내측 소정 위치에서 상기 핸들스풀 디스크(301)의 전면에는 다수의 롤러(31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낚시용 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310)는 상기 핸들스풀 디스크(301)를 관통하여 상기 롤러(310)의 중심을 지나는 체결 볼트(305) 및 상기 체결 볼트(305)의 끝에 나사결합되는 제 2 너트(306)에 의해서 상기 체결 볼트(305)의 중간위치에 지지되며, 이때 상기 롤러(310)와 상기 핸들스풀 디스크(301)의 전면사이, 그리고 상기 롤러(310)와 상기 제 2 너트(306) 사이에는 제 5 와셔(315)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체결 볼트(305)는 상기 핸들스풀 디스크(301)의 관통부위에서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롤러(310)는 상기 제 5 와셔(315)에 의해서 상기 핸들스풀 디스크(301)의 전면과 상기 제 2 너트(306)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핸들 스풀(300)이 메인 스풀(20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롤러(310)는 상기 메인 스풀(200)의 상기 권취드럼(210)의 후면 안쪽모서리에 접촉하면서 상기 메인 스풀(200)에 대하여 상기 핸들 스풀(300)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낚시용 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허브(302)의 방사상 외면 상에는 제 2 수나사부(313)가 형성되고 중앙 전면에는 중앙 개구부(307)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 개구부(307)의 일측에는 나사 삽입공(308)이 상기 중앙 개구부(307)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중앙 개구부(307)와 상기 나사 삽입공(308)의 방사상 외측에는 상기 메인 스풀(200)의 상기 제 2 슬리이브(170)를 수용하기 위한 슬리이브 리세스(309)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이브 리세스(309)의 방사상 외측에는 일방향 베어링(312)이 배치되고, 상기 일방향 베어링(312)은 상기 제 2 허브(302)의 전면으로부터 삽입되는 베어링 커버(311)에 의해서 폐쇄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베어링 커버(311)의 노출면에는 키홈(key groove)이 형성되고, 상기 낚시용 릴의 사용자는 상기 키홈 내에 소정의 키(key)를 삽입하여 상기 베어링 커버(311)를 필요에 따라서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는 안전 낚시용 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삽입공(308)에는 티(T)자형의 고정 나사(316)가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 나사(316)의 헤드부분은 상기 제 2 허브(302)의 후면 외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이 상기 나사 삽입공(308) 내로 끼워지며, 상기 고정 나사(316)의 헤드부분의 전면과 상기 제 2 허브(302)의 후면 사이에는 제 3 너트(317)와 제 6 와셔(318)가 차례로 배치되고, 이때 상기 제 3 너트(317)는 상기 슬리이브 연장부(174)의 끝단 방사상 외면상에 형성된 상기 수나사부에 끼워지며, 상기 고정 나사(316)를 조이면 상기 제 3 너트(317)가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낚시용 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316)와 상기 제 3 너트(317) 그리고 상기 제 6 와셔(318)의 외부는 핸들 캡(320)에 의해서 둘러싸이며, 상기 핸들 캡(320)의 방사상 내면 선단에는 암나사부(321)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 캡(320)을 상기 허브(302)의 후방에 결합시킬 때, 상기 핸들 캡(320)의 상기 암나사부(321)는 상기 제 2 허브(302)의 방사상 외면 상에 형성된 상기 제 2 수나사부(313)와 나사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낚시용 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허브(130)의 중앙에는 허브 관통공(130a)이 형성되고, 상기 주축(110)은 상기 허브 관통공(130a) 내에 꼭 맞게 끼워지고, 상기 제 1 허브(130)의 전방 부분에 인접한 상기 주축(110)의 일단부 외면 상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주축(110)과 상기 제 1 허브(130)는 상기 나사부에 체결 고정된 제 1 너트(150)에 의해 서로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낚시용 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절수단은 조정 노브(140)와 다수의 플런저(134)를 포함하며, 상기 주축(110)의 중간 부분에는 어깨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슬리이브(120)는 상기 어깨부(113)와 상기 제 1 허브(130)의 후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조정 노브(140)는 상기 제 1 너트(151)의 전방 부분의 상기나사부에 나사 계합되며, 각각의 상기 플런저(134)는 상기 제 1 허브(130)를 관통하며 플런저 스프링(135)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되고, 상기 조정 노브(140)를 상기 나사부를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정 노브(140)가 다수의 상기 플런저(134)를 밀고 다수의 상기 플런저(134)가 상기 제 1 슬리이브(120)를 밀어 상기 제 1 슬리이브(120)와 상기 어깨부(113) 사이의 마찰 저항이 증가하며, 상기 조정 노브(14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플런저 스프링(135)에 의해 상기 플런저(134)가 후퇴되어 상기 제 1 슬리이브(120)와 상기 어깨부(113) 사이의 마찰 저항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낚시용 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113)와 상기 제 1 슬리이브(120) 사이에는 제 1 와셔(123)가 삽입되어 상기 제 1 슬리이브(120)와 상기 어깨부(113)가 서로 밀착될 때 그 사이의 마찰력의 전달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낚시용 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리이브(120)는 원통형 관(121)과, 상기 원통형 관(121)의 일단에 일체로 되고 그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122)를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 관(121)에는 상기 주축(110)의 중앙 부분이 끼워지며, 상기 플랜지(122)와 상기 제 1 허브(130)의 후면 사이에는 환형의 디스크 플레이트(124) 및 제 2 와셔(125)가 삽입되고, 상기 조정 노브(140)의 조정에 의해 상기 플런저(134)가 전진할 때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124) 및 상기 제 2와셔(125)를 통해 상기 제 1 슬리이브(120)의 상기 플랜지(122)를 밀어 상기 플런저(124)와 상기 플랜지(122) 사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낚시용 릴.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134)와 상기 조정 노브(140)의 내면 사이에는 제 3 와셔(143), 웨이브 와셔(145) 및 제 4 와셔(144)가 차례로 삽입되어, 상기 조정 노브(140)를 조이면 상기 웨이브 와셔(145)는 탄력적으로 축방향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조정 노브(140)와 상기 플런저(134) 사이의 축 방향의 힘의 전달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낚시용 릴.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허브(130)의 전면 중앙에는 제 1 오목부(139)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오목부(139)의 외측의 상기 제 1 허브(130)의 후면에는 서로 대척의 위치에 두 개의 제 1 수납홈(136)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제 1 수납홈(136) 내에는 제 1 클릭핀 스프링(138)과, 상기 제 1 클릭핀 스프링(138)에 의해 전방으로 편향 지지되는 제 1 클릭핀(137)이 수납되며, 상기 조정 노브(140)의 후면에는 환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 1 함몰홈(14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함몰홈(142) 내에는 상기 제 1 클릭핀(137)이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낚시용 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허브(130)의 후면 외주부에는 환형의 드래그플레이트(131)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드레그 플레이트(131)의 노출면에는 환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 2 함몰홈(132)이 형성되며, 상기 권취 드럼(210)의 전면에는 제 2 수납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수납홈(211) 내에는 제 2 클릭핀 스프링(213)과 상기 제 2 클릭핀 스프링(213)에 의해 전방으로 편향 지지되는 제 2 클릭핀(212)이 수납되며, 상기 제 2 클릭핀(212)은 상기 제 2 함몰홈(132) 내에 계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낚시용 릴.
KR1020000053564A 2000-09-08 2000-09-08 핸들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안전 낚시용 릴 KR200200204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564A KR20020020424A (ko) 2000-09-08 2000-09-08 핸들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안전 낚시용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3564A KR20020020424A (ko) 2000-09-08 2000-09-08 핸들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안전 낚시용 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424A true KR20020020424A (ko) 2002-03-15

Family

ID=19688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564A KR20020020424A (ko) 2000-09-08 2000-09-08 핸들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안전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04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4721A1 (en) * 2006-07-04 2008-01-10 Juho Corporation Fly reel
KR102035723B1 (ko) * 2019-04-27 2019-10-28 공성학 플라이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4721A1 (en) * 2006-07-04 2008-01-10 Juho Corporation Fly reel
US7832673B2 (en) 2006-07-04 2010-11-16 Juho Corporation Fly reel
KR102035723B1 (ko) * 2019-04-27 2019-10-28 공성학 플라이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970B1 (ko) 양 베어링 릴의 클러치 조작 부재
US4509705A (en) Surfcasting spinning reel
KR20140112422A (ko) 양 베어링 릴
JPS5917931A (ja) 釣り用リ−ル
US5120001A (en) Fishing reel with drag mechanism
US6530535B2 (en) Fishing reel
KR101394981B1 (ko) 스피닝 릴의 드래그 장치
KR100264093B1 (ko) 낚시용릴
KR20140128223A (ko) 양 베어링 릴
US9210920B1 (en) Fishing reel with improved line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 and clicker mechanism
KR20020020424A (ko) 핸들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안전 낚시용 릴
US6293484B1 (en) Bait casting reel having spool detaching mechanism
US2989266A (en) Spin casting reel
US5918827A (en) Line spool retainer for a spin cast fishing reel
JP4913307B2 (ja) 釣り用リールのための遊星ギアアセンブリ
US3059872A (en) Convertible automatic fishing reel
JP2005328755A (ja)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制動操作構造
JP2000201600A (ja) 片軸受リ―ル
JP3940222B2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機構及び両軸受リール
EP0071686A2 (en) Rear mounted drag for spinning reels
JPH1066489A (ja) 魚釣用片軸受リール
JP2004049115A (ja) 両軸受リール
JP2004166643A (ja) 釣用リールのねじ操作構造
KR0139194Y1 (ko) 스피닝 릴의 스풀 제동력 절환장치
JP2003230340A (ja) 魚釣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