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815A -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815A
KR20180117815A KR1020170050815A KR20170050815A KR20180117815A KR 20180117815 A KR20180117815 A KR 20180117815A KR 1020170050815 A KR1020170050815 A KR 1020170050815A KR 20170050815 A KR20170050815 A KR 20170050815A KR 20180117815 A KR20180117815 A KR 20180117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ouch
control
control amount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1982B1 (ko
Inventor
김세엽
김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딥
Priority to KR102017005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982B1/ko
Priority to CN201880025642.3A priority patent/CN110537163A/zh
Priority to JP2019556657A priority patent/JP2020518897A/ja
Priority to US16/607,085 priority patent/US20200379598A1/en
Priority to PCT/KR2018/003266 priority patent/WO2018194275A1/ko
Publication of KR2018011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4Multi-touch detection in digitiser, i.e. details about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a plurality of touching locations, e.g. multiple fingers or pen and fing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7Pen manipulated men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의 장치는 디스플레이, 특정 위치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터치된 곳의 압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 감지부,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터치 감지부와 압력 감지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되, 포스 앤 스와이프 또는 스와이프 앤 포스 제스처에 따라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한다. 제어량은 음량, 현재 화면의 화면확대비율,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줌 레벨(zoom level), 화면밝기, 진동세기, 카메라 초점거리, 미디어 재생속도, 스크롤 속도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장치의 조작성이 좋아진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한 손가락으로 화면확대/축소, 카메라의 줌인/줌아웃, 음량 조절, 오디오 관련 기능 등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하는 조작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Apparatus capable of sensing touch and touch press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감지 수단 및 터치압력 감지수단을 구비한 장치에서 압력 터치 입력에 반응하여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기기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내비게이션 장치, 키오스크(KIOSK) 등과 같은 컴퓨팅 시스템의 조작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입력 장치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터치 스크린(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은 쉽고 간편한 조작성으로 인해 컴퓨팅 시스템에서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에서는 터치패널을 사용하여 모니터에 표시된 화면이나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터치감지 수단을 사용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간편해진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에서 화면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데 터치감지 수단을 사용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가 사용되고 있다. 즉, 화면을 확대하기 위한 줌인(Zoom-in) 제스처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손가락을 사용하여 화면 상의 두 접촉지점(P1, P2)에 접촉한 후에(줌인 제스처의 초기) 두 손가락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손가락을 벌린 다음에 손가락을 화면에서 떼는 동작으로 이루어지며, 장치는 줌인 제스처에 따라 화면을 확대하여 표시한다. 즉, 줌인 제스처의 초기부터 손가락이 벌어져서 멈출 때까지 손가락이 벌어지는 정도에 따라 화면의 확대율을 키우면서 화면을 표시한다.
그런데, 종래의 줌인 동작에서는 이와 같이 두 손가락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한손으로는 단말기를 잡고 다른 손의 두 손가람으로 줌인 동작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줌인 동작을 위하여 두 손을 모두 이용하여야 하므로 한 손에 물건을 들고 있거나 지하철의 손잡이를 잡고 있는 경우 등에는 줌인 제스처를 취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단순히 터치만을 감지하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에서는 사용자 조작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터치된 위치 뿐만 아니라 터치되는 압력도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장치에서 사용자 조작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68957호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압력의 세기에 따라 지리적 출발지와 지리적 목적지에 대한 줌 레벨은 증가시키고 다른 부분의 줌 레벨은 감소시키도록 함으로써 지도 이미지를 불러와서 렌더링하는 시간을 단축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압력을 이용하여 장치의 조작성을 높이려는 시도가 있지만, 아직도 터치 압력에 반응하여 장치를 제어하는 다양한 조작방법에 대한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목적은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의 조작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다른 목적은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에서 한 손으로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하는 조작을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다른 목적은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에서 한 손으로 음량, 현재 화면의 화면확대비율,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줌 레벨(zoom level), 화면밝기, 진동세기, 카메라 초점거리, 미디어 재생속도, 스크롤 속도 등의 제어량을 조절하는 조작을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다른 목적은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에서 별도의 음량조절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도 한 손으로 간편하게 음량조절 조작을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다른 목적은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에서 간편하게 오디오와 관련된 기능 조작을 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은, 제1 접촉지점에서 임계압력보다 큰 압력의 터치(이하 '압력 터치'라 함)를 감지하는 압력 터치 감지단계와, 압력 터치에 이어서 터치 지점이 이동되는 스와이프(swipe) 동작이 감지되면, 스와이프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스와이프되는 방향 또는 거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하는 제어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은, 제1 접촉지점에서 터치 스크린 접촉이 감지된 후에 제2 접촉지점까지 터치 지점이 이동되는 스와이프 동작을 감지하는 스와이프 감지단계와, 상기 스와이프 동작에 이어서 제2 접촉지점에서 압력 터치가 감지되면 최초의 압력 터치가 감지된 이후의 변화되는 압력 또는 터치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하는 제어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장치는, 디스플레이와, 터치 감지부와, 터치된 곳의 압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 감지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터치감지부 및 압력감지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한다.
제어량은 음량, 현재 화면의 화면확대비율,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줌 레벨(zoom level), 화면밝기, 진동세기, 카메라 초점거리, 미디어 재생속도, 스크롤 속도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와이프 앤 포스 또는 포스 앤 스와이프 제스처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장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조작성이 좋아진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한 손가락으로 화면확대/축소, 카메라의 줌인/줌아웃, 음량 조절, 미디어 재생속도, 진동세기, 카메라 초점거리, 스크롤 속도 등의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하는 조작을 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별도의 음량조절 버튼을 사용하지 않고도 음량조절이 가능하므로, 장치에서 음량조절 버튼을 제거할 수 있는 여지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포스 앤 스와이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와이프되는 최초 방향이 위쪽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포스 앤 스와이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와이프되는 최초 방향이 아래쪽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스와이프 방향의 상하 성분과 좌우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스와이프 방향의 상하 성분의 절대값과 좌우 성분의 절대값에 따라 스와이프 방향이 상하 방향인지 좌우 방향인지를 판단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포스 앤 스와이프 동작으로 음량을 조절할 때 현재 조절되는 음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한가지 예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와이프 앤 포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와이프되는 최초 방향이 위쪽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스와이프 앤 포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와이프되는 최초 방향이 아래쪽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 10은 압력의 변화에 따라 음량을 조절하는 한가지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압력의 변화 및 터치 시간의 경과에 기초하여 음량을 조절하는 한가지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장치에는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 장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키오스크(KIOS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한가지 실시형태의 장치(100)에 대한 블록도로서, 본 발명이 스마트폰에 적용된 한가지 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4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장치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장치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장치(100)와 다른 장치(100) 사이, 또는 장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장치(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장치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지만, 장치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장치(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장치(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30)는 장치 내 정보, 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근접센서(13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3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와 윈도우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로부터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컨트롤러는 감지된 터치 위치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에서 감지된 신호 또는 이를 디지털로 변환한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고, 제어부(180)가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악이나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장치(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장치(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40)는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장치(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장치(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키오스크(KIOSK)와 같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무선통신 대신에 유선통신이 사용되고 카메라와 마이크로폰 등이 생략되도록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성격에 따라 그 구성요소는 적절하게 추가 또는 생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시킨 경우를 보여주고 있지만, 본 발명의 일부 또는 전부의 실시형태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터치센서가 포함되지 않고 터치 감지 및 터치 압력 감지를 위하여 별도의 터치패널을 구비한 장치, 예를 들면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에서의 동작을 기술하고 있지만, 별도의 터치패널을 구비한 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장치(100)는 압력에 기초하여 터치 명령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는 기 설정된 압력 미만의 터치 제스처를 터치된 영역에 대한 선택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장치(100)는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의 터치 제스처를 추가적인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장치(100)는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를 구비한다. 압력 감지부는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고 별도의 구성 요소로 마련될 수도 있다. 압력 감지부에는 별도의 컨트롤러가 마련되어 감지된 압력값을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단순히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터치 제스처의 압력은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인식 층과 지문을 감지할 수 있는 지문 인식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압력을 달리하여 터치하는 경우, 터치되는 부분의 이미지 퀄러티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를 가볍게 터치하는 경우, 터치되는 부분은 흐릿하게 인식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를 힘을 가해 터치하는 경우, 터치되는 부분은 명확하고 진하게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지문 인식 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압력에 비례하는 이미지 퀄러티로 터치되는 부분을 인식할 수 있다. 장치(100)는 이미지 퀄러티에 따라 터치되는 부분의 강도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장치(100)는 터치 인식 층이 인식하는 터치 면적을 이용하여 터치 압력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상에서 사용자가 가볍게 누르는 경우, 터치되는 면적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세게 누르는 경우, 터치되는 면적은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장치(100)는 터치되는 면적과 압력의 관계를 이용하여 터치 압력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100)는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의 터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다.
장치(100)는 압전 소자(piezoeletric element)를 이용하여 터치 제스처의 압력을 검출할 수도 있다. 압전소자는 압전효과를 이용하여 압력을 감지하거나 변형/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특정 고체물질(solid material)에 기계적 응력(mechanical stress)(정확하게는, 기계적 힘 또는 압력)이 주어지고 변형이 발생되면, 상기 고체내부에서 분극(polarization)이 발생되면서 전하(electric charge)가 집적된다(accumulate). 집적된 전하는 물질의 양 전극들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 즉 전압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을 압전효과(piezoelectric effect)라 하며, 고체물질을 압전물질(piezoelectric material), 그리고 집적된 전하를 압전기(piezoelectricity)라고 한다. 장치(100)는 압전 효과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압전물질로 이루어지는 레이어를 포함하는 센싱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는 가해진 기계적 에너지(힘 또는 압력) 및 이에 의한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 에너지(일종의 전기적 신호인 전압)를 검출(detect)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검출된 전압에 기초하여 가해진 기계적 힘 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장치(100)는 압력 감지부에 3개 이상의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3개 이상의 압력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영역에 레이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베젤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51)를 터치하면 압력 센서는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센싱할 수 있다. 압력 센서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세기는 터치 지점과 거리에 반비례할 수 있다. 그리고, 압력 센서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세기는 터치 압력에 비례할 수 있다. 장치(100)는 각 압력 센서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세기를 이용하여 터치 지점 및 실제 터치 압력의 세기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장치(100)는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층을 포함하여 터치 지점을 검출할 수 있다. 장치(100)는 검출된 터치 지점 및 각 압력 센서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세기를 이용하여 터치 지점의 터치 압력의 세기를 산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압력 감지부를 구성하는 방식은 다양하며, 본 발명은 특정 압력 감지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지점의 압력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구할 수 있는 방식이면 어느 방식이든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압력 터치'는 임계압력보다 큰 압력의 터치를 의미하며, '스와이프 동작'은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널에 손가락이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지점이 이동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스와이프 동작'은 터치 압력이 소정 압력 이하인 상태에서 접촉지점이 이동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고, 터치 압력에 관계 없이 접촉지점이 이동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압력 터치 이후 접촉 지점의 이동 거리가 소정 거리 이상인 경우에만 스와이프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이어서'는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널 상에 접촉이 된 상태에서 다음 동작이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한 손가락으로 압력 터치를 한 후에 이어서 스와이프 동작을 한다"이라는 표현은 터치스크린 상에 한 손가락으로 임계압력보다 큰 압력의 터치를 한 후에 그 손가락을 떼지 않고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그 손가락으로 스와이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A에 기초하여 B를 조절한다'는 A값을 고려하여 B값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A값을 고려하여 B값을 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A값 또는 A값으로부터 도출되는 값(예: 미분치, 적분치 등)에 소정의 값을 곱하여 B값을 구하거나, A값 또는 A값으로부터 도출되는 값에 대응되는 B값을 표의 형태로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두고 이 표를 참조하여 B값을 구하거나, A값으로부터 B값을 계산하는 소정의 계산식을 사용하여 B값을 구하거나, 프로그램 코드 상에서 A값 또는 A값으로부터 도출되는 값을 소정의 조건들과 비교하여 그에 따라 B값을 할당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특정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임계압력은 적용되는 장치, 응용분야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계압력을 고정된 크기의 압력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 크기는 하드웨어 특성, 소프트웨어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임계압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와이프 되는 방향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의 방향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기울기 센서에서 파악되는 장치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 제1 실시예 >
제1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상에서 압력 터치를 한 후에 이어서 스와이프(swipe) 동작을 수행하면(이하, 이를 '포스 앤 스와이프'(force and swipe)라 함), 스와이프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스와이프되는 방향 또는 거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한다. 제어량은 음량, 현재 화면의 화면확대비율,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줌 레벨(zoom level), 화면밝기, 진동세기, 카메라 초점거리, 미디어 재생속도, 스크롤 속도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방법은, 제1 접촉지점에서 압력 터치를 감지하는 압력 터치 감지단계와, 압력 터치에 이어서 터치 지점이 이동되는 스와이프 동작이 감지되면 스와이프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스와이프되는 방향 또는 거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대응하여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하는 제어단계를 구비한다.
도 2는 포스 앤 스와이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와이프되는 최초 방향이 위쪽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3은 스와이프되는 최초 방향이 아래쪽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 2의 (a)에서 사용자는 접촉지점 P1에서 압력터치를 한 후에 (b)와 같이 위쪽으로 스와이프 동작을 수행한다. 이 동작은 접촉지점 P2를 지나서 (c)와 같이 접촉지점 P2'까지 이어지다가 (d)에 도시한 것처럼 방향을 바꾸어 접촉지점 P2"까지 이어진다. 사용자는 접촉지점을 이동시켜가면서 원하는 만큼의 제어가 될 때까지 스와이프 동작을 이어갈 수 있다.
도 3은 접촉지점 P1에서 압력터치를 한 후에 (b)와 같이 아래쪽으로 스와이프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이 동작은 접촉지점 P3를 지나서 (c)와 같이 접촉지점 P3'까지 이어지다가 (d)에 도시한 것처럼 방향을 바꾸어 접촉지점 P3"까지 이어진다. 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접촉지점을 이동시켜가면서 원하는 만큼의 제어가 될 때까지 스와이프 동작을 이어갈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3은 스와이프 동작의 최초 방향이 각각 위쪽과 아래쪽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지만,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스와이프 동작의 최초 방향이 왼쪽과 오른쪽인 경우도 구분하여 그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와이프 동작의 최초 방향은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상하 방향 성분의 크기와 좌우 방향 성분의 크기로부터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스와이프 동작이 최초에 접촉지점 P1에서 접촉지점 P2로 이루어졌다면,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상하 방향 성분 y의 크기와 좌우 방향 성분 x의 크기로부터 이 스와이프 동작이 상하 방향인지 좌우 방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 성분 y의 크기가 좌우 방향 성분 x의 크기보다 크다면 상하 방향 성분 y의 부호로부터 위쪽 방향인지 아래쪽 방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어부(180)가 임계압력 이상의 터치를 감지한 후에(단계 S710) 터치가 종료되면(단계 S720의 '예') 제어부(180)는 이를 압력터치 제스처로 인지하여 단계 S730에서 압력터치에 따른 소정의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압력터치 제스처에 따른 제어동작은 장치별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본 발명과는 관련이 없는 부분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임계압력 이상의 터치가 감지된 후에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접촉지점이 이동되는 스와이프 동작이 감지되면(단계 S740의 '예') 제어부(180)는 단계 S750에서 스와이프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스와이프 되는 방향 또는 압력터치 지점으로부터의 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동작은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이 동작은 단계 S760에서 터치가 종료될 때까지 즉, 터치했던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에서 뗄 때까지 계속하여 수행된다.
다음으로, 포스 앤 스와이프 동작에 따른 제어량 조절동작의 몇가지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량은 음량, 현재 화면의 화면확대비율,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줌 레벨(zoom level), 화면밝기, 진동세기, 카메라 초점거리, 미디어 재생속도, 스크롤 속도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조절되는 제어량은 압력 터치가 이루어진 접촉지점과 현재의 터치 지점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접촉지점 P2보다는 접촉지점 P2'이 압력 터치가 이루어진 접촉지점 P1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접촉지점 P2'에서의 제어량이 접촉지점 P2에서의 제어량보다 크게 제어되는 것이다.
도 2에서와 같이 스와이프 동작의 방향이 접촉지점 P1보다 위쪽 방향인 경우에는 현재의 터치 지점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어량을 증가시키고, 도 3에서와 같이 스와이프 동작의 방향이 접촉지점 P1보다 아래쪽 방향인 경우에는 현재의 터치 지점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어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한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동작 도중에 스와이프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전환되면 제어량의 증가 또는 감소 동작을 전환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와 (c)처럼 스와이프 동작이 아래쪽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접촉지점 P1으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어량을 현재 제어량보다 감소시켜나가다가, 도 3의 (d)와 같이 위쪽으로 스와이프 동작을 전환시킨 경우에는 다시 제어량을 증가시켜나가는 것이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조절되는 제어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서는 (a)에서 (b)와 같이 위쪽으로 스와이프 되면 제어량이 커지고 (d)와 같이 아래쪽으로 스와이프 되면 제어량이 작아지는 것이 시각적으로 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스와이프 동작에 이어서 스와이프 동작의 마지막 접촉지점에서 압력 터치가 감지되면 이때의 제어량을 디폴트 제어량으로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량은 음량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압력터치 이후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상하 방향 성분의 절대값이 좌우 방향 성분의 절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하 방향 및 거리에 기초하여 음량을 조절하며, 압력터치 이후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좌우 방향 성분의 절대값이 상하 방향 성분의 절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좌우 방향 및 거리에 기초하여 재생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a)에서와 같이 압력터치 이후에 접촉지점 P4로 접촉지점이 이동한 경우에는 최초 방향의 상하 방향 성분(y4)의 절대값이 좌우 방향 성분(x4)의 절대값보다 크므로 상하 방향 및 거리에 기초하여 음량을 조절하고, 도 5의 (b)에서와 같이 압력터치 이후에 접촉지점 P5로 접촉지점이 이동한 경우에는 좌우 방향 성분(x5)의 절대값이 상하 방향 성분(y5)의 절대값보다 크므로 좌우 방향 및 거리에 기초하여 재생속도를 조절한다. 좌우 방향 및 거리에 기초하여 재생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예를 들면 우측 방향이면 거리에 기초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재생속도를 빠르게 하고 좌측방향이면 거리에 기초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재생속도를 느리게 하도록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압력터치 이후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상하 방향 성분이 좌우 방향 성분보다 큰 경우에는 상하 방향 및 거리에 기초하여 음량을 조절하며, 압력터치 이후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좌우 방향 성분이 상하 방향 성분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최초 방향이 좌측 방향인 경우에는 이전곡을 재생하고 우측 방향인 경우에는 다음곡을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이 위쪽일 때만 음량을 조절하도록 하고, 다른 방향일 때는 다른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음량 조절 동작은 음향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에는 출력되고 있는 음향의 음량을 조절하고, 음향이 출력되고 있지 않는 동안에는 착신링 음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신링이 울리고 있는 동안에는 착신링의 음량을 조절하고, 이어폰을 통해 음악이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는 재생되는 음악의 음량을 조절하고, 통화중에는 통화수신음을 조절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음량 조절 동작은 음향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에는 출력되고 있는 음향의 음량을 조절하고, 음향이 출력되고 있지 않는 동안에는 디스플레이가 켜진 상태에서는 착신링 음량을 조절하고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에서는 음량조절 동작을 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음향이 출력되고 있지 않는 동안에 포스 앤 스와이프 동작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가 켜진 상태에서는 스피커(이어폰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어폰)의 음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음향이 출력되고 있지 않는 동안에 포스 앤 스와이프 동작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상태에 관계없이 착신링 음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동작은 화면확대비율 조절 동작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조절되는 화면확대비율은 압력 터치가 이루어진 접촉지점과 현재의 터치 지점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접촉지점 P2보다는 접촉지점 P2'이 압력 터치가 이루어진 접촉지점 P1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접촉지점 P2'에서의 화면확대비율이 접촉지점 P2에서의 화면확대비율보다 크게 제어되는 것이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스와이프 동작의 방향을 고려하여 화면확대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한가지 예로, 도 2에서와 같이 스와이프 동작의 방향이 접촉지점 P1보다 위쪽 방향인 경우에는 현재의 터치 지점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화면확대비율을 증가시키고, 도 3에서와 같이 스와이프 동작의 방향이 접촉지점 P1보다 아래쪽 방향인 경우에는 현재의 터치 지점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화면확대비율을 감소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한쪽 방향으로의 스와이프 동작 도중에 스와이프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전환되면 화면확대비율의 증가 또는 감소 동작을 전환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b)와 (c)처럼 스와이프 동작이 아래쪽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접촉지점 P1으로부터의 거리에 기초하여 화면확대비율을 현재 화면확대비율보다 감소시켜나가다가, 도 3의 (d)와 같이 위쪽으로 스와이프 동작을 전환시킨 경우에는 다시 화면확대비율을 증가시켜나가는 것이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조절되는 화면확대비율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의 화면확대비율이 2배인 경우에는 'x2', 4배인 경우에는 'x4'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스와이프 동작에 이어서 스와이프 동작의 마지막 접촉지점에서 압력 터치가 감지되면 이때의 화면확대비율을 디폴트 화면확대비율으로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이 상태에서 앱을 종료하고 다음번에 앱을 시작하면 설정된 디폴트 화면확대비율로 화면이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어되는 화면확대비율은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화면확대레벨일 수 있다. 즉,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포스 앤 스와이프 동작으로 줌 레벨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스와이프 동작 전의 압력 터치의 횟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았으나,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압력 터치를 소정 횟수 또는 소정 횟수 이상 수행한 후에 스와이프 동작을 한 경우에만 유효한 포스 앤 스와이프 동작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접촉지점에 터치를 하고 임계압력 이상의 압력을 가한 후에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압력을 임계압력 이하로 낮춘 후에 다시 임력압력 이상의 압력을 가한 것을 압력 터치를 2회 수행한 것으로 인정한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압력터치를 1회 수행한 후 스와이프 동작을 수행한 경우에만 유효한 포스 앤 스와이프 동작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하거나 압력터치를 2회 수행한 후 스와이프 동작을 수행한 경우에만 유효한 포스 앤 스와이프 동작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압력터치의 횟수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 제2 실시예 >
제2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상에서 스와이프 동작을 한 후에 스와이프 동작의 마지막 접촉지점에서 접촉을 유지한 상태에서 임계압력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이하, 이를 '스와이프 앤 포스'(swipe and force)라 함), 압력이 변하는 동안에 압력의 크기와 터치 시간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한다.
제2 실시예의 방법은, 제1 접촉지점에서 터치 스크린 접촉이 감지된 후에 제2 접촉지점까지 터치 지점이 이동되는 스와이프 동작을 감지하는 스와이프 감지단계와, 상기 스와이프 동작에 이어서 제2 접촉지점에서 압력 터치가 감지되면 최초의 압력 터치가 감지된 이후의 변화되는 압력 또는 터치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한다.
도 8은 스와이프 앤 포스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스와이프되는 최초 방향이 위쪽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9는 스와이프되는 최초 방향이 아래쪽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의 (a)에서 사용자는 접촉지점 P1에서 접촉지점 P2까지 위쪽으로 스와이프 동작을 수행한다. 스와이프 동작을 한 후에 손가락을 떼지 않은 상태에서 (b)와 같이 접촉지점 P2에서 임계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누른다. 그리고 (c)와 같이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d)에 도시한 것처럼 압력을 감소시킨다. 사용자는 접촉지점 P2에서 원하는 만큼의 제어가 될 때까지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접촉지점 P3까지 아래쪽으로 스와이프 동작을 한 후에 압력 터치를 하고 압력을 변화시키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사용자는 (a)와 같이 접촉지점 P1에서 접촉지점 P3까지 스와이프 동작을 한 후에 손가락을 떼지 않은 상태에서 (b)와 같이 접촉지점 P3에서 임계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누른 후, (c)와 같이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d)와 같이 압력을 감소시킨다. 도 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접촉지점 P3에서 원하는 만큼의 제어가 될 때까지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과 도 9는 스와이프 동작의 최초 방향이 각각 위쪽과 아래쪽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지만,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스와이프 동작의 최초 방향이 왼쪽과 오른쪽인 경우도 구분하여 그에 따른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와이프 동작의 최초 방향은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상하 방향 성분의 크기와 좌우 방향 성분의 크기로부터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스와이프 동작이 최초에 접촉지점 P1에서 접촉지점 P2로 이루어졌다면,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상하 방향 성분 y의 크기와 좌우 방향 성분 x의 크기로부터 이 스와이프 동작이 상하 방향인지 좌우 방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좌우 방향 성분 x의 크기가 상하 방향 성분 y의 크기보다 크다면 좌우 방향 성분 x의 부호로부터 오른쪽 방향인지 왼쪽 방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도 12는 제3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어부(180)가 스와이프 동작을 감지한 후에(단계 S1210) 터치가 종료되면(단계 S1220의 '예') 제어부(180)는 이를 스와이프 제스처로 인지하여 단계 S1230에서 스와이프 제스처에 따른 소정의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스와이프 제스처에 따른 제어동작은 본 발명과는 관계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스와이프 동작이 감지된 후에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스와이프 동작의 최종 접촉지점에서 임계압력 이상의 압력이 감지되면(단계 S1240의 '예') 제어부(180)는 단계 S1250에서 접촉이 유지되는 동안 압력 또는 터치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동작은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하는 동작일 수 있다. 이 동작은 단계 S1260에서 터치가 종료될 때까지 즉, 터치했던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에서 뗄 때까지 계속하여 수행된다.
다음으로, 스와이프 앤 포스 동작에 따른 제어동작의 몇가지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량은 음량, 현재 화면의 화면확대비율,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줌 레벨(zoom level), 화면밝기, 진동세기, 카메라 초점거리, 미디어 재생속도, 스크롤 속도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조절되는 제어량은 압력 또는 터치 시간 중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제어량이 음량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예에서의 동작의 일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제어량이 음량이 경우에 관한 것이지만, 다른 종류의 제어량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여 압력의 변화에 따라 음량을 조절하는 한가지 예를 설명한다. 도 10에서 x축은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의 세기를 나타내며, y축은 음량의 크기를 나타낸다.
스와이프 동작 후에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이 임계압력(fth)을 넘기 전까지는 유효한 스와이프 앤 포스 동작이 아니므로 'a'로 표시한 선처럼 현재 설정되어 있는 음량(VCUR)이 유지된다.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이 임계압력(fth)을 넘으면 'b'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압력에 비례하여 음량이 커진다. 인가되는 압력이 f2까지 증가되어 음량이 V2까지 커진 후에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을 낮추면, 즉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르는 힘을 빼기 시작하면 'c'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음량이 작아진다. 인가되는 압력이 f1까지 감소되어 음량이 V1까지 작아진 후에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을 키우면, 즉 사용자가 손가락에 힘을 더 주기 시작하면 'd'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이 커짐에 따라 음량이 커진다. 사용자가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을 f3까지 증가시켜서 음량이 V3까지 커진 후에 손가락을 떼면 음량이 V3로 설정되게 된다. 도 10과 같은 동작이 음악이 재생되고 있는 동안 또는 착신벨이 울리고 있는 동안 또는 통화 도중에 이루어졌다면, 재생되는 음악 또는 착신벨 또는 통화음의 음량이 압력의 변화에 따라 도 10과 같은 궤적을 따라 조절된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압력의 변화 및 터치 시간의 경과에 기초하여 음량을 조절하는 한가지 예를 설명한다. 도 11에서 x축은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의 세기를 나타내며, y축은 음량의 크기를 나타낸다.
스와이프 동작 후에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이 임계압력(fth)을 넘기 전까지는 유효한 스와이프 앤 포스 동작이 아니므로 'e'로 표시한 선처럼 현재 설정되어 있는 음량(VCUR)이 유지된다.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이 임계압력(fth)을 넘으면 'f'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압력에 비례하여 음량이 커진다. 인가되는 압력이 최대 압력(fmax)까지 증가되어 음량이 V4까지 커진 후에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을 최대 압력으로 유지하고 있으면, 'g'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이 최대 압력으로 유지되고 있는 시간에 비례하여 음량이 계속 커진다. 음량이 최대 음량(Vmax)이 된 후에는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을 최대 압력으로 유지하고 있어도 더 이상 음량이 커지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을 낮추기 시작하면 'h'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압력이 낮아지는 것에 비례하여 음량이 줄어든다. 인가되는 압력이 최소 압력(fmin)까지 감소되어 음량이 V5까지 줄어든 후에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을 최소 압력으로 유지하고 있으면, 'i'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이 최소 압력으로 유지되고 있는 시간에 비례하여 음량이 계속 작아진다. 음량이 V6까지 작아진 후에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을 키우면, 즉 사용자가 손가락에 힘을 더 주기 시작하면 'j'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이 커짐에 따라 음량이 커진다. 사용자가 접촉지점 P2에 인가되는 압력을 최대 압력까지 증가시킨 후 최대 압력을 유지하여 'k'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음량이 V7까지 커진 후에 손가락을 떼면 음량이 V7으로 설정되게 된다. 도 11과 같은 동작이 음악이 재생되고 있는 동안 또는 착신벨이 울리고 있는 동안 또는 통화 도중에 이루어졌다면, 재생되는 음악 또는 착신벨 또는 통화음의 음량이 압력의 변화에 따라 도 11과 같은 궤적을 따라 조절된다.
한편, 도 11에서는 압력이 최대 압력을 유지하고 있는 시간에 비례하여 음량이 커지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최대 압력과 최소 압력 대신에 최대 압력보다 작은 제1 압력과 최소 압력보다 큰 제2 압력을 기준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2 접촉지점에서의 최초의 압력터치 이후에 압력이 제1 압력에 도달하기까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음량을 증가시키고 제1 압력에 도달한 이후에는 제1 압력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음량을 증가시키며, 제1 압력 이하에서 압력이 감소하면 제1 압력보다 낮은 제2 압력에 도달하기까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음량을 감소시키고 제2 압력에 도달한 이후에는 제2 압력 이하를 유지하고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음량을 감소시킨다.
한편, 도 11에서는 유지 시간뿐만 아니라 압력의 변화에 비례해서도 음량이 변화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유지 시간만을 사용하여 음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2 접촉지점에서의 최초의 압력터치 이후에 압력이 제1 압력 이상을 유지하는 동안에 음량을 증가시키고 제2 압력 이하를 유지하는 동안에 음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제1 압력과 제2 압력을 동일하게 설정하거나 또는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상하 방향 성분의 절대값이 좌우 방향 성분의 절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하 방향과 압력 및/또는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음량을 조절하며,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좌우 방향 성분의 절대값이 상하 방향 성분의 절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좌우 방향과 압력 및/또는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재생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a)에서와 같이 접촉지점 P4로 접촉지점이 이동한 후에 압력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최초 방향의 상하 방향 성분(y4)의 절대값이 좌우 방향 성분(x4)의 절대값보다 크므로 상하 방향과 압력 및/또는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음량을 조절하고, 도 5의 (b)에서와 같이 접촉지점 P5로 접촉지점이 이동한 후에 압력터치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좌우 방향 성분(x5)의 절대값이 상하 방향 성분(y5)의 절대값보다 크므로 좌우 방향과 압력 및/또는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재생속도를 조절한다. 좌우 방향과 압력 및/또는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재생속도를 조절하는 것은, 예를 들면 우측 방향이면 압력 및/또는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재생속도를 빠르게 하고 좌측방향이면 압력 및/또는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현재 재생되고 있는 음악의 재생속도를 느리게 하도록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상하 방향 성분이 좌우 방향 성분보다 큰 경우에는 상하 방향 및 거리에 기초하여 음량을 조절하며,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좌우 방향 성분이 상하 방향 성분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최초 방향이 좌측 방향인 경우에는 이전곡을 재생하고 우측 방향인 경우에는 다음곡을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이 예를 들면 아래쪽일 때만 음량을 조절하도록 하고, 다른 방향일 때는 다른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형태에서, 음량 조절 동작은 음향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에는 출력되고 있는 음향의 음량을 조절하고, 음향이 출력되고 있지 않는 동안에는 착신링 음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신링이 울리고 있는 동안에는 착신링의 음량을 조절하고, 이어폰을 통해 음악이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는 재생되는 음악의 음량을 조절하고, 통화중에는 통화수신음을 조절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음량 조절 동작은 음향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에는 출력되고 있는 음향의 음량을 조절하고, 음향이 출력되고 있지 않는 동안에는 디스플레이가 켜진 상태에서는 착신링 음량을 조절하고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에서는 음량조절 동작을 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음향이 출력되고 있지 않는 동안에 포스 앤 스와이프 동작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가 켜진 상태에서는 스피커(이어폰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어폰)의 음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음향이 출력되고 있지 않는 동안에 포스 앤 스와이프 동작이 이루어지면 디스플레이 상태에 관계없이 착신링 음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절되는 제어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어동작은 화면확대비율 조절 동작일 수 있다. 즉, 제2 접촉지점까지의 스와이프 동작 이후에 제2 접촉지점에서 압력터치가 있으면 화면확대비율을 조절한다. 이 경우에 조절되는 화면확대비율은 압력 및/또는 터치 유지 시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어부(180)는 제2 접촉지점에서의 최초의 압력터치 이후에 압력이 증가하면 화면확대비율을 증가시키고 압력이 감소하면 화면확대비율을 감소시킨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어부(180)는 제2 접촉지점에서의 최초의 압력터치 이후에 압력이 제1 압력 이상을 유지하는 동안 화면확대비율을 증가시키고 제2 압력 이하를 유지하는 동안 화면확대비율을 감소시킨다. 또다른 실시형태에서, 제어부(180)는 제2 접촉지점에서의 최초의 압력터치 이후에 압력이 제1 압력에 도달하기까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화면확대비율을 증가시키고 제1 압력에 도달한 이후에는 제1 압력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화면확대비율을 증가시키며, 압력이 감소하면 제1 압력보다 낮은 제2 압력에 도달하기까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화면확대비율을 감소시키고 제2 압력에 도달한 이후에는 제2 압력 이하를 유지하고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화면확대비율을 감소시킨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스와이프 동작의 방향을 고려하여 화면확대비율을 제어할 수 있다. 한가지 예로, 스와이프 동작의 방향이 제1 접촉지점보다 위쪽 방향인 경우에는 제2 접촉지점에서의 최초의 압력터치 이후에 압력이 증가하면 화면확대비율을 증가시키고 압력이 감소하면 화면확대비율을 감소시키며, 반대로 스와이프 동작의 방향이 제1 접촉지점보다 아래쪽 방향인 경우에는 제2 접촉지점에서의 최초의 압력터치 이후에 압력이 증가하면 화면확대비율을 감소시키고 압력이 감소하면 화면확대비율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조절되는 화면확대비율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의 화면확대비율이 2배인 경우에는 'x2', 4배인 경우에는 'x4'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제어되는 화면확대비율은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화면확대레벨일 수 있다. 즉,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스와이프 앤 포스 동작으로 줌 레벨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스와이프 동작의 패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았으나,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스와이프 동작의 패턴이 미리 지정된 패턴에 일치할 때에만 유효한 스와이프 앤 포스 동작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와이프 동작을 'U'자 형태로 한 후에 압력터치를 한 경우에만 유효한 스와이프 앤 포스 동작이라고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와이프 패턴을 'V'자 패턴으로 한 후에 압력터치를 한 경우에는 음량 조절을 하고, 'Z'자 패턴으로 한 후에 압력터치를 한 경우에는 화면확대비율을 조절하도록 구성하는 것처럼, 압력터치 전의 스와이프 패턴에 따라 대응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장치,
110 무선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센싱부,
140 메모리,
150 출력부,
151 디스플레이부,
160 전원공급부,
180 제어부,
190 전원공급부.

Claims (33)

  1.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에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접촉지점에서 임계압력보다 큰 압력의 터치(이하 '압력 터치'라 함)를 감지하는 압력 터치 감지단계와,
    압력 터치에 이어서 터치 지점이 이동되는 스와이프(swipe) 동작이 감지되면, 스와이프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스와이프되는 방향 또는 거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하는 제어단계
    를 구비하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조절되는 제어량은 제1 접촉지점과 현재의 터치 지점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스와이프 동작의 방향이 제1 접촉지점보다 위쪽 방향인 경우에는 제1 접촉지점과 현재의 터치 지점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어량을 증가시키며, 스와이프 동작의 방향이 제1 접촉지점보다 아래쪽 방향인 경우에는 제1 접촉지점과 현재의 터치 지점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어량을 감소시키는,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스와이프 동작 도중에 스와이프 방향이 반대 방향으로 전환되면 제어량의 증가 또는 감소 동작을 전환시키는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스와이프 되는 방향은 기울기 센서에서 파악되는 장치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인,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조절되는 제어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제2 접촉지점까지의 스와이프 동작에 이어서 제2 접촉지점에서 압력 터치가 감지되면 제2 접촉지점에서의 제어량을 디폴트 제어량으로 설정하는, 제어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은 음량인,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압력터치 이후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상하 방향 성분의 절대값이 좌우 방향 성분의 절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하 방향 및 거리에 기초하여 음량을 조절하며, 압력터치 이후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좌우 방향 성분의 절대값이 상하 방향 성분의 절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좌우 방향 및 거리에 기초하여 재생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압력터치 이후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상하 방향 성분의 절대값이 좌우 방향 성분의 절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하 방향 및 거리에 기초하여 음량을 조절하며, 압력터치 이후 스와이프 되는 최초 방향의 좌우 방향 성분의 절대값이 상하 방향 성분의 절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최초 방향이 좌측 방향인 경우에는 이전곡을 재생하고 우측 방향인 경우에는 다음곡을 재생하는, 제어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은 음향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에는 출력되고 있는 음향의 음량이며, 음향이 출력되고 있지 않는 동안에는 착신링 음량인, 제어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은 음향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에는 출력되고 있는 음향의 음량이며, 음향이 출력되고 있지 않는 동안에는 디스플레이가 켜진 상태에서는 착신링 음량이며 디스플레이가 꺼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단계를 수행하지 않는, 제어방법.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은 현재 화면의 화면확대비율,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줌 레벨(zoom level), 화면밝기, 진동세기, 카메라 초점거리, 미디어 재생속도, 스크롤 속도 중의 어느 하나인, 제어 방법.
  14.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동작 전의 압력 터치가 소정 횟수 이상 감지된 경우에 상기 제어단계를 수행하는 것인, 제어방법.
  15.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압력은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것인, 제어방법.
  16.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에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접촉지점에서 터치 스크린 접촉이 감지된 후에 제2 접촉지점까지 터치 지점이 이동되는 스와이프 동작을 감지하는 스와이프 감지단계와,
    상기 스와이프 동작에 이어서 제2 접촉지점에서 임계압력보다 큰 압력의 터치(이하 '압력 터치'라 함)가 감지되면 최초의 압력 터치가 감지된 이후의 변화되는 압력 또는 터치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하는 제어단계
    를 구비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에서 제2 접촉지점에서의 최초의 압력터치 이후에 압력이 증가하면 제어량을 증가시키고 압력이 감소하면 제어량을 감소시키는,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에서 제2 접촉지점에서의 최초의 압력터치 이후에 압력이 제1 압력 이상을 유지하는 동안 제어량을 증가시키고 제2 압력 이하를 유지하는 동안 제어량을 감소시키는,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에서 제2 접촉지점에서의 최초의 압력터치 이후에 압력이 증가하여 제1 압력에 도달하기까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제어량을 증가시키고 제1 압력에 도달한 이후에는 제1 압력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제어량을 증가시키며, 제1 압력 이하로 압력이 감소하면 제1 압력보다 낮은 제2 압력에 도달하기까지는 압력에 기초하여 제어량을 감소시키고 제2 압력에 도달한 이후에는 제2 압력 이하를 유지하고 있는 시간에 기초하여 제어량을 감소시키는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동작의 방향이 제1 접촉지점보다 위쪽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단계에서 제2 접촉지점에서의 최초의 압력터치 이후에 압력이 증가하면 제어량을 증가시키고 압력이 감소하면 제어량을 감소시키며, 스와이프 동작의 방향이 제1 접촉지점보다 아래쪽 방향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단계에서 제2 접촉지점에서의 최초의 압력터치 이후에 압력이 증가하면 제어량을 감소시키고 압력이 감소하면 제어량을 증가시키는 제어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스와이프 되는 방향은 기울기 센서에서 파악되는 장치의 기울기를 고려하여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인, 제어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조절되는 제어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제어방법.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은 음량인, 제어 방법.
  24.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동작의 최초 방향의 상하 방향 성분의 절대값이 좌우 방향 성분의 절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어량은 음량이며, 상기 스와이프 동작의 최초 방향의 좌우 방향 성분의 절대값이 상하 방향 성분의 절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어량은 재생속도인, 제어방법.
  25.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동작의 최초 방향의 상하 방향 성분의 절대값이 좌우 방향 성분의 절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어량은 음량이며, 상기 스와이프 동작의 최초 방향의 좌우 방향 성분의 절대값이 상하 방향 성분의 절대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어단계는 스와이프 동작의 최초 방향이 좌측인 경우에는 이전곡을 선택하고 스와이프 동작의 최초 방향이 우측인 경우에는 다음곡을 선택하는 것인, 제어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이전곡 또는 다음곡 선택 동작에서 압력이 임계압력 이상에서 소정 압력 이하로 내려간 후에 다시 압력터치가 감지되면(이하, '재압력터치'라 함) 이전곡 선택 동작 또는 다음곡 선택 동작을 재압력터치의 횟수만큼 수행하는 제어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은 음향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에는 출력되고 있는 음향의 음량이며, 음향이 출력되고 있지 않는 동안에는 착신링 음량인, 제어방법.
  28.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은 현재 화면의 화면확대비율,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줌 레벨(zoom level), 화면밝기, 진동세기, 카메라 초점거리, 미디어 재생속도, 스크롤 속도 중의 어느 하나인, 제어 방법.
  29.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와이프 동작의 패턴이 미리 지정된 패턴에 일치할 때에 상기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제어방법.
  30.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압력은 사용자가 설정 가능한 것인, 제어방법.
  31. 디스플레이;
    특정 위치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터치된 곳의 압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 감지부;
    터치 감지부와 압력 감지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되, 제1 접촉지점에서 임계압력보다 큰 압력의 터치(이하 '압력 터치'라 함)가 감지되고 압력 터치에 이어서 터치 지점이 이동되는 스와이프(swipe) 동작이 감지되면, 스와이프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스와이프되는 방향 또는 거리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여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장치.
  32. 디스플레이;
    특정 위치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터치된 곳의 압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는 압력 감지부;
    터치 감지부와 압력 감지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되, 제1 접촉지점에서 터치 스크린 접촉이 감지된 후에 제2 접촉지점까지 터치 지점이 이동되는 스와이프 동작이 감지되고 이어서 제2 접촉지점에서 압력 터치가 감지되면 최초의 압력 터치가 감지된 이후의 변화되는 압력 또는 터치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장치의 제어량을 조절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장치.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은 음량, 현재 화면의 화면확대비율, 카메라 촬영모드에서 촬영되는 영상의 줌 레벨(zoom level), 화면밝기, 진동세기, 카메라 초점거리, 미디어 재생속도, 스크롤 속도 중의 어느 하나인, 장치.
KR1020170050815A 2017-04-20 2017-04-20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971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815A KR101971982B1 (ko) 2017-04-20 2017-04-20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CN201880025642.3A CN110537163A (zh) 2017-04-20 2018-03-21 能实现触摸感测和触摸压力感测的装置及控制方法
JP2019556657A JP2020518897A (ja) 2017-04-20 2018-03-21 タッチ感知及びタッチ圧力感知が可能な装置及び制御方法
US16/607,085 US20200379598A1 (en) 2017-04-20 2018-03-21 Apparatus capable of sensing touch and sensing touch pressur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8/003266 WO2018194275A1 (ko) 2017-04-20 2018-03-21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815A KR101971982B1 (ko) 2017-04-20 2017-04-20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815A true KR20180117815A (ko) 2018-10-30
KR101971982B1 KR101971982B1 (ko) 2019-04-24

Family

ID=63855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815A KR101971982B1 (ko) 2017-04-20 2017-04-20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379598A1 (ko)
JP (1) JP2020518897A (ko)
KR (1) KR101971982B1 (ko)
CN (1) CN110537163A (ko)
WO (1) WO20181942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180A1 (en) * 2019-10-08 2021-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structure, key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22092760A1 (ko) * 2020-10-26 2022-05-05 주식회사 프로젝트한 영상의 재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06121A (zh) * 2017-08-17 2017-12-2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按键控制方法、存储介质及智能终端
TW202040331A (zh) * 2019-04-15 2020-11-0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具發光功能的觸控裝置及其發光控制方法
CN110784654B (zh) * 2019-11-26 2021-05-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拍照预览方法及电子设备
CN111147752B (zh) * 2019-12-31 2021-07-0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变焦倍数调节方法、电子设备及介质
CN114449154B (zh) * 2020-10-30 2024-04-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542500B (zh) * 2021-07-16 2022-05-10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一种压力控制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30259201A1 (en) * 2022-02-16 2023-08-17 Htc Corporation Method for zooming visual content, host,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5594A (ja) * 2011-07-22 2013-02-04 Kddi Corp 押圧によるスクロール制御が可能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画像スクロール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81459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40100791A (ko) * 2013-02-07 2014-08-18 (주)아토미디어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인터페이싱 방법
KR20150016683A (ko) * 2013-08-05 2015-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19248A (ko) * 2015-08-11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646A (ja) * 1990-05-24 1992-02-03 Canon Inc ボタン電話装置
JPH10275055A (ja) * 1997-03-31 1998-10-13 Nec Shizuoka Ltd タッチパネル付き情報端末装置
JPH11203044A (ja) * 1998-01-16 1999-07-30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
JP3980966B2 (ja) * 2002-08-21 2007-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レゼンテーション用表示装置
US8040319B2 (en) * 2007-04-13 2011-10-18 Apple Inc. Modifying a value based on a user's directional motions independent of cursor position
JP2008181367A (ja) * 2007-01-25 2008-08-07 Nec Corp ミュージックプレーヤ
JP2010036620A (ja) * 2008-07-31 2010-02-18 Fujitsu Ten Ltd 車載用電子機器
JP5332392B2 (ja) * 2008-08-12 2013-11-06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4600548B2 (ja) * 2008-08-27 2010-12-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60581A (ja) * 2009-01-06 2010-07-22 Olympus Imaging Corp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カメラ、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方法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用プログラム
JP5233708B2 (ja) * 2009-02-04 2013-07-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175874B2 (ja) * 2010-01-29 2013-04-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操作装置及び電気機器
JP5546637B2 (ja) * 2010-08-25 2014-07-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1048832A (ja) * 2010-08-27 2011-03-10 Kyocera Corp 入力装置
CN103282858B (zh) * 2010-11-01 2017-03-08 汤姆逊许可公司 用于检测姿势输入的方法和装置
JP5232889B2 (ja) * 2011-03-30 2013-07-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操作装置
JP5461471B2 (ja) * 2011-05-12 2014-04-02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9798408B2 (en) * 2011-05-27 2017-10-24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JP5633906B2 (ja) * 2011-09-08 2014-12-03 Kddi株式会社 画面への押圧でページ捲りが可能な電子書籍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77627B2 (ja) * 2012-09-07 2016-08-24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42164B2 (ja) * 2012-10-05 2016-12-14 日置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測定装置
US9761277B2 (en) * 2012-11-01 2017-09-12 Sony Corporation Playback state control by position change detection
DE112014001371T5 (de) * 2013-03-15 2015-12-03 Tk Holdings Inc. Mensch-Maschine-Schnittstellen für druckempfindliche Steuerung in einer abgelenkten Betriebsumgebung und Verfahren zur Anwendung derselben
JP2015207130A (ja) * 2014-04-19 2015-11-19 美緒 仲原 方向操作による装置の操作制限状態の解除の為の認証プログラムおよび認証方法
US10540074B2 (en) * 2014-05-28 2020-01-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terminal for playing media
JP6660084B2 (ja) * 2014-11-28 2020-03-04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16119022A (ja) * 2014-12-24 2016-06-3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イス装置
KR101577277B1 (ko) * 2015-02-04 2015-12-28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종류 판별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터치 입력 장치
JP2016162331A (ja) * 2015-03-04 2016-09-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101719999B1 (ko) * 2015-07-10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5242844A (zh) * 2015-08-26 2016-01-1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及摄像参数的设置方法
CN105867766A (zh) * 2016-03-28 2016-08-1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音量的调节方法和终端
EP3270262A1 (en) * 2016-07-12 2018-01-17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Touch-screen control device with haptic feedback
CN107239219A (zh) * 2017-05-04 2017-10-1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用户终端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5594A (ja) * 2011-07-22 2013-02-04 Kddi Corp 押圧によるスクロール制御が可能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画像スクロール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81459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광고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40100791A (ko) * 2013-02-07 2014-08-18 (주)아토미디어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인터페이싱 방법
KR20150016683A (ko) * 2013-08-05 2015-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70019248A (ko) * 2015-08-11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71180A1 (en) * 2019-10-08 2021-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structure, key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1405500B2 (en) 2019-10-08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structure, key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22092760A1 (ko) * 2020-10-26 2022-05-05 주식회사 프로젝트한 영상의 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537163A (zh) 2019-12-03
JP2020518897A (ja) 2020-06-25
WO2018194275A1 (ko) 2018-10-25
KR101971982B1 (ko) 2019-04-24
US20200379598A1 (en)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982B1 (ko)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KR101629645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9772762B2 (en) Variable scale scrolling and resizing of displayed images based upon gesture speed
JP597762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179381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EP2323026A2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for
KR20100123475A (ko) 휴대 단말기의 이미지 처리 방법
KR20160080036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026649A (ko) 전자 장치에서 제스처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
JPWO2012164895A1 (ja) 電子機器
KR2022016570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140702A (ko) 이동 단말기
KR102044824B1 (ko)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KR201401436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EP2306288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inpu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1354031B2 (en) Electronic apparatus,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scroll speed of a display screen
KR101911680B1 (ko)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화면 제어 방법
KR20170015089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3856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98053B1 (ko) 터치 입력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10074827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input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20190128139A (ko) 터치 감지 및 터치압력 감지가 가능한 장치 및 제어방법
EP234839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5867785A (zh) 一种投影方法、装置及移动设备
US20200033959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display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