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069A - 토너 카트리지의 불필요한 교환을 방지가능한 화상 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토너 카트리지의 불필요한 교환을 방지가능한 화상 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069A
KR20180105069A KR1020180025590A KR20180025590A KR20180105069A KR 20180105069 A KR20180105069 A KR 20180105069A KR 1020180025590 A KR1020180025590 A KR 1020180025590A KR 20180025590 A KR20180025590 A KR 20180025590A KR 20180105069 A KR20180105069 A KR 20180105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value indicating
predetermined threshold
notifica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3372B1 (ko
Inventor
켄스케 카와지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5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9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for auto-setting of process parameters, lifetime, us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1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dr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7Wireless connection means, e.g. RFI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 G03G2215/069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be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드럼 부품의 교환시에 토너 카트리지의 불필요한 교환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장치를 제공한다.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를 공급한다. 드럼 부품이 장착된 후 첫회 동작을 행할 때 드럼 부품은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윤활제로서 사용한다. 토너 카트리지와 드럼 부품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화상 형성장치는 토너 카트리지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 및 드럼 부품의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을 검출한다.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 드럼 부품의 교환이 통지된다. 토너 카트리지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에 따라 통지의 내용을 전환한다.

Description

토너 카트리지의 불필요한 교환을 방지가능한 화상 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UNNECESSARY REPLACEMENT OF TONER CARTRIDG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소모 부품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감광 드럼, 현상기, 및 토너 카트리지 등의 복수의 소모 부품을 구비하는 화상 형성장치로서의 MFP이 알려져 있다. MFP에서는, 각 소모 부품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고, 유저가 각 소모 부품을 개별적으로 교환가능하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13-97069호 공보 참조). 이러한 MFP에서는 각 소모 부품의 사용량에 근거하여 각 소모 부품의 잔여 수명이 통지된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10-52964호 공보 참조). 이에 따라, 유저는 각 소모 부품의 교환 시기를 용이하게 파악 가능해 진다.
그런데, MFP에서는, 감광 드럼이나 현상기(이하, "드럼 부품"이라고 한다)를 새로운 드럼 부품으로 교환한 후에 새로운 드럼 부품의 첫회 동작을 행할 경우, 상이 첫회 동작에 있어서의 윤활제로서 토너 카트리지로부터 공급되는 토너가 사용된다. MFP에서는, 첫회 동작시에 있어서의 윤활제가 부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드럼 부품을 교환할 때에 토너 카트리지도 동시에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드럼 부품을 교환하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토너 카트리지를 유저에게 교환하도록 강요하면, 충분한 양의 토너가 잔존하고 있는 토너 카트리지까지도 유저에게 교환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종래의 MFP는, 드럼 부품의 교환시에 교환할 필요가 없는 토너 카트리지의 교환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드럼 부품의 교환시에 토너 카트리지의 불필요한 교환을 방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면에 있어서는,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부재와, 장착된 후의 첫회 동작을 행할 때에 상기 토너부재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윤활제로서 사용하는 다른 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장치로서,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 및 상기 다른 부재의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과, 상기 다른 부재의 상기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 상기 다른 부재의 교환에 관한 통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통지 유닛은,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에 따라 상기 통지의 내용을 전환하는 화상 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면에 있어서는,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부재 및 장착된 후의 첫회 동작을 행할 때에 상기 토너부재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윤활제로서 사용하는 다른 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 및 상기 다른 부재의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부재의 상기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 상기 다른 부재의 교환에 관한 통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의 제공은,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에 따라 상기 통지의 내용을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면에 있어서는,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부재 및 장착된 후의 첫회 동작을 행할 때에 상기 토너부재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윤활제로서 사용하는 다른 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 및 상기 다른 부재의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부재의 상기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 상기 다른 부재의 교환에 관한 통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의 제공은,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에 따라 상기 통지의 내용을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억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럼 부품의 교환시에 토너부재(토너 카트리지)의 불필요한 교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로서의 MFP의 개략 블록도다.
도 2는, 도 1의 프린터 엔진의 개략적인 단면도다.
도 3은, 도 1의 MFP에 의해 실행되는 표시 제어 처리 흐름도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의 조작부에 표시되는 메시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 실행되는 도 3의 표시 제어 처리의 변형예의 흐름도다.
도 6은,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 실행되는 플래그 제어 처리의 흐름도다.
도 7은, 도 2의 토너 부품의 잔여 수명값에 따라 주어지는 통지 내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로서의 MFP(Multi-Function Peripheral)(100)의 개략 블록도다.
도 1을 참조하면, MFP(100)은, 콘트롤러 유닛(101), 조작부(116), 급지부(117), 및 프린터 엔진(118)을 구비한다. 콘트롤러 유닛(101)은 조작부(116) 및 프린터 엔진(118)과 접속되고, 급지부(117)는 프린터 엔진(118)과 접속되어 있다. 콘트롤러 유닛(101)은, CPU(102), ROM(103), RAM(104), NVMEM(105), USB 인터페이스(106), 이미지 버스 인터페이스(107), 조작부 인터페이스(108), LAN 인터페이스(109), 무선 LAN 인터페이스(110), 및 RTC(Real Time Clock)(111)을 구비한다. 더구나, 콘트롤러 유닛(101)은 RIP(113), 프린터 인터페이스(114), 및 화상처리부(115)를 구비한다. CPU(102), ROM(103), RAM(104), NVMEM(105), USB 인터페이스(106), 이미지 버스 인터페이스(107), 조작부 인터페이스(108), LAN 인터페이스(109), 무선 LAN 인터페이스(110), 및 RTC(111)은 시스템 버스(119)를 거쳐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미지 버스 인터페이스(107), RIP(113), 프린터 인터페이스(114), 및 화상처리부(115)는 화상 버스(112)를 거쳐 서로 접속되어 있다.
콘트롤러 유닛(101)은 MFP(100)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CPU(102)은 ROM(103) 등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각 제어를 행한다. ROM(103)은 고쳐쓰기 가능한 불휘발성메모리이며, CPU(102)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격납한다. RAM(104)은 CPU(102)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RAM(104)은 각 데이터의 일시 격납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NVMEM(Non-Volatile Memory)(105)은 설정 정보 등을 격납한다. USB 인터페이스(106)는 MFP(100)의 USB 단자(미도시)에 접속된 USB 메모리 등의 USB 디바이스와 데이터통신을 행한다.
이미지 버스 인터페이스(107)는 시스템 버스(119) 및 화상 버스(112)를 접속하고, 데이터구조를 변환하는 버스 브리지다. 조작부 인터페이스(108)는 조작부(116)와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조작부 인터페이스(108)는 유저의 조작부(116)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정보를 조작부(116)로부터 취득한다. 또한, 조작부 인터페이스(108)는 CPU(102)로부터 조작부(116)의 표시 제어신호를 행하기 위한 표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표시 제어신호를 조작부(116)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조작부(116)에는, MFP(100)의 각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화면, 각 메시지 등이 표시된다. LAN 인터페이스(109)는 미도시된 LAN케이블로 접속된 외부장치와 유선 LAN 통신을 행한다. 무선 LAN 인터페이스(110)는 무선 LAN 통신가능한 외부장치와 무선통신을 행한다. RTC(111)은 MFP(100)의 시계로서 기능하는 리얼 타임 클록이다. RTC(111)은 도시하지 않은 배터리를 구비하고, MFP(100)이 전원 오프 상태이어도 동작을 계속한다.
화상 버스(112)는 PCI 버스 또는 IEEE1394로 구성되고, 화상 데이터를 고속전송한다. RIP(Raster Image Processor)(113)은 PDL 코드 등의 벡터 데이터를 비트맵 이미지로 전개한다. 프린터 인터페이스(114)는 프린터 엔진(118)과 데이터통신을 행하고, 그 상태의 확인과 화상 데이터의 동기-비동기 또는 비동기-동기 변환을 행한다. 예를 들면, 프린터 인터페이스(114)는 프린터 엔진(118)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프린터 인터페이스(114)는, 후술하는 도 2의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의 각 잔여 수명값을 취득하고, 취득한 잔여 수명값을 CPU(102)에 출력한다. 화상처리부(115)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보정, 가공, 및 편집을 행한다. 또한, 화상처리부(115)는 출력할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해상도 변환 등을 행한다.
조작부(116)는 MFP(100)을 조작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키 및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조작부(116)는 후술하는 도 4a 내지 도 4d의 메시지 401 내지 404를 표시한다. 급지부(117)는 기록지를 격납하고, 인쇄를 행하기 위해 이 기록지를 프린터 엔진(118)에 공급한다. 프린터 엔진(118)은 프린터 인터페이스(114)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록지에 인쇄를 행한다.
도 2는, 도 1의 프린터 엔진(118)의 개략적인 단면도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린터 엔진(118)은, 드럼 부품(201), 토너 부품(202)(토너부재, 즉 토너 카트리지), 고체 레이저 장치(203), 회전 다면경(204), 전사 장치(207), 정착기(208), 및 클리너(209)를 구비한다. 드럼 부품(201)은 감광 드럼(205) 및 현상기(206)를 구비한다.
드럼 부품(201)은, 감광 드럼(205) 및 현상기(206)를 포함하는 일체형의 소모 부품이며,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유저에 의해 교환가능하다. MFP(100)은 감광 드럼(205)의 회전수에 근거하여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을 산출한다. 감광 드럼(205)이 소정의 수 회전할 때마다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이하, "잔여 수명값"이라고 한다)이 100%로부터 1% 단위로 감소한다. MFP(100)에서는, 새로운 드럼 부품(201)이 장착된 후에 첫회 동작을 행할 때에, 토너 부품(202)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새로운 드럼 부품(201)의 내부의 부품의 동작을 위한 윤활제로서 사용한다.
토너 부품(202)은, 토너를 드럼 부품(201)에 공급하는 소모 부품이며,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유저에 의해 교환가능하다. MFP(100)은 토너 부품(20) 내부의 토너의 잔량을 나타내는 값(이하,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라고 한다)을 산출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3단계, 즉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인 단계(제3단계), 잔여 수명값이 10%보다 크고 또한 20% 이하인 단계(제2단계), 및 잔여 수명값이 21% 내지 100%인 단계(제1단계)로 표현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각 단계의 값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3단계보다 많은 단계수를 사용하여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관리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유저가, 토너 부품의 교환이 필요한 단계(제3단계), 토너 부품의 교환 시가가 접근하고 있으므로 토너 부품의 교환의 준비가 필요한 단계(제2단계)와, 토너가 충분히 남아있는 단계(제1단계)를 적어도 구별할 수 있으면 된다.
고체 레이저 장치(203)는 도시하지 않은 발광소자를 구비하고, 회전 다면경(204)에 빛을 조사한다. 회전 다면경(204)은 고속으로 회전하여, 고체 레이저 장치(203)로부터 조사된 빛을 주사함으로써, 이 빛을 감광 드럼(205)의 표면에 조사한다. 감광 드럼(205)의 표면은 소정의 전위로 대전되고, 감광 드럼(205)의 표면에는 회전 다면경(204)에 의해 조사된 빛에 근거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기(206)는 토너 입자 및 캐리어 입자를 포함하는 2성분 현상제를 수용하고, 2성분 현상제를 사용하여 감광 드럼(205)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토너 입자 및 캐리어 입자는 토너 부품(202)으로부터 현상기(206)에 공급된다. 전사 장치(207)는 급지부(117)로부터 반송된 기록지에 감광 드럼(205) 위에 형성된 토너 상을 정전 전사한다. 토너 상이 정전 전사된 기록지는 정착기(208)로 반송되고, 정착기(208)가 토너 상을 기록지 위에 열정착한다. 클리너(209)는, 토너 상이 기록지에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205) 위에 잔류한 토너를 청소한다.
MFP(100)에서는,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이 수명에 도달하기 전, 구체적으로,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의 각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일 경우에,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을 새로운 부품으로 교환을 촉구하는 통지가 제공된다. MFP(100)가, 교환후의 첫회 동작을 행할 때 토너 부품(202)로부터 공급되는 토너를 윤활제로서 사용하는 드럼 부품(201)의 교환에 관한 통지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윤활제가 부족하지 않도록,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의 양쪽의 교환(동시 교환)을 촉구하는 통지가 제공된다. 그런데, 드럼 부품(201)을 교환하는 모든 경우에 있어서 드럼 부품(201)과 토너 부품(202)을 유저에게 동시 교환하도록 강요하게 되는 것을 가정하면, 충분한 양의 토너가 잔존하고 있는 토너 부품(202)까지도 유저에 의해 교환되어 버린다. 즉, 드럼 부품(201)의 교환시에 교환할 필요가 없는 토너 부품(202)의 교환이 행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실시형태에서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때 드럼 부품(201)의 교환에 관한 통지를 MFP(100)가 제공하는 경우에, MFP(100)가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에 따라 통지 내용을 전환한다. 드럼 부품의 소정의 임계값을 10%로 설정하는 것은 일례이며, 다른 적절한 값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임계값은 반드시 비율로 나타낸 값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드럼의 회전수, 인쇄 매수 등을 사용해서 잔여 수명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해도 된다.
도 3은, 도 1의 MFP(100)에 의해 실행되는 표시 제어 처리의 흐름도다. 이하, 드럼 부품(201)의 교환 시기가 접근해 왔을 경우의 조작부(116)에 표시할 통지의 내용을, 토너 부품(202)에 있어서의 토너 잔량(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에 따라 다르게 하는 표시 제어 처리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부품(201)을 새로운 드럼 부품(201)으로 교환하면, 윤활제로서 토너가 필요하게 된다. 여기에서, 토너 부품(202)의 토너 잔량이 적은(예를 들면, 10% 이하) 상태에서, 드럼 부품(201) 만을 교환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윤활제로서 사용하는 토너가 부족하거나, 드럼 부품의 첫회 동작을 위해 토너가 충분했다고 하더라도, 금방 토너 부품(202)이 수명에 도달해 버린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드럼 부품(201)의 수명의 만료가 가까이 왔을 때에,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도 확인한다. 그리고,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의 만료도 가까울 경우에는,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의 양쪽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는 것을 유저에게 촉구한다.
한편, 드럼 부품(201)의 수명의 만료가 가까이 왔을 때에, 토너 부품(202)이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는, 토너 부품(202)의 교환 시기가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도 3의 표시 제어 처리는, CPU(102)이 ROM(103) 등에 격납된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3의 표시 제어 처리는, 10% 이하인 것을 나타내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을 CPU(102)이 프린터 인터페이스(114)로부터 취득했을 경우에 실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CPU(102)은 프린터 인터페이스(114)로부터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을 취득하고, 취득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301).
스텝 S301에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인 것으로 판별된 경우, CPU(102)은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의 양쪽의 교환을 촉구하는 도 4a의 메시지 401을 조작부(116)에 표시한다(스텝 S302). 이때, 본실시형태에서는, 메시지 401 이외에, 토너 부품(202)의 교환의 필요를 시사하는 도 4d의 메시지 404를 표시해도 된다. 스텝 S302의 실행후에 CPU(102)은 본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01에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10%보다 큰 것으로 판별된 경우, CPU(102)은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20% 이하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303).
스텝 S303에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20% 이하인 것으로 판별된경우, CPU(102)은 도 4b의 메시지 402 및 도 4c의 메시지 403을 조작부(116)에 소정의 간격으로 교대로 표시한다(스텝 S304). 메시지 402는 드럼 부품(201)의 교환 시기가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메시지 403은 토너 부품(202)의 교환 시기가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스텝 S304의 실행후에 CPU(102)은 본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303에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20%보다 큰 것으로 판별된 경우, CPU(102)은 메시지 402를 조작부(116)에 표시한 후(스텝 S305), 본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제어 처리에 따르면,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드럼 부품(201)의 교환에 관한 통지를 MFP(100)가 제공할 때, MFP(100)는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에 따라 통지 내용을 전환한다. 즉, 드럼 부품(201)의 교환에 관한 통지가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의 동시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 401 만에 의해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드럼 부품(201)의 교환시에 드럼 부품(201)과 토너 부품(202)의 양쪽을 교환하도록 유저가 과잉으로 촉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드럼 부품(201)의 교환시에 토너 부품(202)의 불필요한 교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3의 표시 제어 처리에서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이며, 또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10%보다 크고 20% 이하일 경우, 메시지 402 및 403이 조작부(116)에 소정의 간격으로 교대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10%보다 크고 또한 20% 이하일 경우,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곧 10% 이하가 되는 것이 상정된다. 부품을 효율적으로 교환한다는 관점에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로 된 후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을 동시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가 되기 전에,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의 교환을 촉구하는 것 대신에,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의 교환 시기가 접근하고 있다는 것과 같은 통지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고려하여, 본실시형태에서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이며,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10%보다 크고 20% 이하일 경우, 메시지 402 및 403이 조작부(116)에 소정의 간격으로 교대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을 곧바로 교환할 필요가 없더라도, 교환 시기가 접근하고 있다는 것을 유저에게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다.
더구나, 전술한 도 3의 표시 제어 처리에서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이고, 또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20%보다 클 경우, 메시지 402 만이 조작부(116)에 표시된다. 즉, 이 경우, 메시지 403이 조작부(116)에 표시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20%보다 큰 경우에는, 새로운 드럼 부품(201)의 첫회 동작의 윤활제로서 필요하게 충분한 양의 토너가 토너 부품(202)에 남아있다는 것이 상정된다. 이 경우, 토너 부품(202)을 곧바로 교환할 필요가 없어, 토너 부품(202)의 교환에 대한 통지, 예를 들면, 메시지 403을 조작부(116)에 표시할 필요가 없다. 이것을 고려하여, 본실시형태에서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이고, 또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20%보다 클 경우, 메시지 403이 조작부(116)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토너 부품(202)의 교환에 관한 불필요한 통지에 기인해서 유저가 혼란을 일으키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전술한 도 3의 표시 제어 처리에서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 및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의 모두가 10% 이하일 경우,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의 동시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 401이 조작부(116)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의 동시 교환이 필요한 타이밍에, 적절한 내용을 갖는 메시지에 의해 통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3의 표시 제어 처리에서는, 드럼 부품(201)은 감광 드럼(205) 및 현상기(206)를 포함하는 일체형의 부재다. 이에 따라, 교환후의 첫회 동작을 위한 윤활제로서 토너 부품(202)로부터 공급되는 토너를 사용하는 드럼 부품(201)의 교환에 관해, 적절한 내용을 갖는 메시지에 의해 통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이고, 또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20%보다 클 경우, 드럼 부품(201) 만의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조작부(116)에 표시해도 된다. 이에 따라,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 중에서 교환이 필요한 드럼 부품(201) 만의 교환을 유저에게 촉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실시형태에서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 및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의 모두가 10% 이하인 것이 검지된 후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이 20%보다 큰 것이 검지되기 전의 기간 동안, 메시지 401을 조작부(116)에 표시해도 된다.
여기에서, 메시지 401이 조작부(116)에 표시되었을 때에, 유저가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의 한쪽을 교환하는 것을 잊을 경우가 상정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토너 부품(202)을 교환하는 것을 잊은 경우, 도 3의 표시 제어 처리와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도시하지 않은 토너 교환 표시 제어 처리에 의해, 조작부(116)에는 도 4d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토너 부품(202)의 교환의 필요를 시사하는 메시지 404가 표시된다. 이 때문에,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을 동시 교환하려고 할 때, 유저가 토너 부품(202)을 교환하는 것을 잊어도, 유저는, 토너 부품(202)이 수명에 도달하는 전에, 토너 부품(202)의 교환도 필요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유저가 드럼 부품(201)을 교환하는 것을 잊은 경우, 스텝 S305가 실행됨으로써, 조작부(116)에는 도 4b의 메시지 402가 표시된다. 이 경우,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100%로부터 10% 이하로 줄어들어 메시지 401이 조작부(116)에 표시되기 전에 드럼 부품(201)이 수명에 도달해 버린다. 이 때문에,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을 동시에 교환하려고 할 때, 유저가 드럼 부품(201)을 교환하는 것을 잊으면, 유저는, 드럼 부품(201)이 수명에 도달하는 전에, 드럼 부품(201)의 교환도 필요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없다.
상기한 불편을 고려하여,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 및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 모두가 10% 이하인 것이 검지된 후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이 10%보다 큰 것이 검지되기 전의 기간 동안, 메시지 401을 조작부(116)에 표시한다.
도 5는, 도 3의 표시 제어 처리의 변형예의 흐름도다. 도 3의 예에서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이고, 또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일 경우에,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의 양쪽의 교환을 유저에게 촉구하는 메시지 401을 표시한다. 그러나, 유저가 드럼 부품(201)의 교환을 행하지 않고, 토너 부품(202) 만을 교환한다고 가정하면, 도 3의 표시 제어 처리에 따르면, 이하의 동작이 행해진다. 즉, 드럼 부품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이고, 또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20% 이상이 되므로, S305의 처리로 진행하여, 드럼 부품(201)의 교환 시기가 근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 402가 통지된다. 그렇지만, 상기한 예에서는, 실제로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은 10%보다 작고, 본래라면, 드럼 부품(201)의 교환을 촉구하는 메시지가 표시되어야 한다. 이것을 위해, 도 5의 표시 제어 처리의 변형예와 도 6의 플래그 제어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의 양쪽의 교환을 유저에게 촉구하는 메시지 401을 표시한 후, 드럼 부품(201)이 교환될 때까지는,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에 관계 없이, 메시지 401을 계속해서 표시시킨다. 이 메시지 401은, 드럼 부품(201)의 교환을 유저에게 촉구시키기 위한 메시지다. 이렇게 하여, 유저에게 드럼 부품(201)의 교환을 촉구시킬 수 있다.
도 5의 표시 제어 처리는, CPU(102)이 ROM(103) 등에 격납된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5의 표시 제어 처리는, 10% 이하인 것을 나타내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을 CPU(102)이 프린터 인터페이스(114)로부터 취득했을 경우에 실행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CPU(102)은 NVMEM(105)에 유지된 교환 표시 플래그가 온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501). 교환 표시 플래그는 오프 및 온 중 어느한개로 설정된다. 보통, 교환 표시 플래그는 오프로 설정되는 한편,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 및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의 모두가 10% 이하일 경우에, 교환 표시 플래그가 온으로 설정된다.
스텝 S501의 판별의 결과, 교환 표시 플래그가 온이 아닐 때, CPU(102)은 스텝 S301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301의 판별의 결과,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일 때, CPU(102)은 스텝 S302의 처리를 행한 후, 교환 표시 플래그를 온으로 설정하고(스텝 S502), 본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301의 판별의 결과,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10%보다 클 때, CPU(102)은 스텝 S303 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501의 판별의 결과, 교환 표시 플래그가 온일 때, CPU(102)은 메시지 401을 조작부(116)에 표시한 후(스텝 S503), 본처리를 종료한다.
도 6은, 도 1의 MFP(100)에 의해 실행되는 플래그 제어 처리의 흐름도다.
도 6의 플래그 제어 처리는, CPU(102)이 ROM(103) 등에 격납된 관련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6의 플래그 제어 처리는, 10%보다 큰 것을 나타내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을 CPU(102)이 프린터 인터페이스(114)로부터 취득했을 경우에 실행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CPU(102)은, 교환 표시 플래그가 온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 S601).
스텝 S601의 판별의 결과, 교환 표시 플래그가 온이 아닐 때, CPU(102)은 본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601의 판별의 결과, 교환 표시 플래그가 온일 때, CPU(102)은 교환 표시 플래그를 오프로 설정한 후(스텝 S602). CPU(102)은 본처리를 종료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서는, 교환 표시 플래그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 및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의 모두가 10% 이하인 것이 검지된 후부터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이 10%보다 큰 것으로 검지되기 전의 기간 동안, 온으로 설정된다. MFP(100)에서는, 교환 표시 플래그가 온인 기간 동안, 메시지 401이 조작부(116)에 표시된다.
전술한 도 6의 플래그 제어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도 5의 표시 제어 처리에서는,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 및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의 모두가 10% 이하인 것이 검지된 후 드럼 부품(201)의 잔여 수명값이 10%보다 큰 것으로 검지되기 전의 기간 동안, 메시지 401이 조작부(116)에 표시된다. 즉,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의 양쪽의 교환을 촉구하는 통지가 제공된 후, 드럼 부품(201)이 교환되기 전에, 메시지 401이 조작부(116)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드럼 부품(201) 및 토너 부품(202)을 동시에 교환해야 하는 타이밍에 있어서, 유저가 드럼 부품(201)을 교환하는 것을 잊어도, 드럼 부품(201)이 그것의 수명에 도달하는 전에, 드럼 부품(201)의 교환도 필요한 것을 유저가 파악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본실시형태에서는, 교환 표시 플래그가 온인 기간 동안, 메시지 401 이외에,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에 따라 다른 적절한 메시지를 조작부(116)에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10%보다 크고 또한 20% 이하일 경우, 메시지 401 이외에, 메시지 403을 조작부(116)에 표시한다. 또한,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이 10% 이하일 경우, 메시지 401 이외에, 메시지 404를 조작부(116)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교환 표시 플래그가 온인 기간 동안, 토너 부품(202)의 잔여 수명값에 따라, 토너 부품(202)의 교환에 관한 적절한 통지를 제공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본 출원은 2017년 3월 14일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7-048821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내용을 참조를 위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Claims (8)

  1.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부재와, 장착된 후의 첫회 동작을 행할 때에 상기 토너부재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윤활제로서 사용하는 다른 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장치로서,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 및 상기 다른 부재의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취득 유닛과,
    상기 다른 부재의 상기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 상기 다른 부재의 교환에 관한 통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통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통지 유닛은,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에 따라 상기 통지의 내용을 전환하는 화상 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으로서, 제1 소정의 임계값과 상기 제1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제2 소정의 임계값이 미리 설정되고,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이 상기 제1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고 또한 상기 제2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통지 유닛은 상기 다른 부재 및 상기 토너부재의 각 교환 시기가 접근하고 있다는 취지의 통지를 제공하는 화상 형성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이 상기 제2 소정의 임계값보다 클 경우, 상기 통지 유닛은 상기 다른 부재의 교환 시기만 접근하고 있다는 취지의 통지를 제공하는 화상 형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부재의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값 이하이고, 또한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이 제1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경우, 상기 통지 유닛은 상기 다른 부재 및 상기 토너부재의 동시 교환을 촉구하는 통지를 제공하는 화상 형성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부재의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값 이하이고, 또한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이 상기 제1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것이 검지된 후, 상기 다른 부재의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 것으로 검지되기 전의 기간 동안, 상기 통지 유닛은 상기 다른 부재 및 상기 토너부재의 동시 교환을 촉구하는 통지를 제공하는 화상 형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부재는, 감광 드럼 및 현상기를 포함하는 일체형의 부재인 화상 형성장치.
  7.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부재 및 장착된 후의 첫회 동작을 행할 때에 상기 토너부재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윤활제로서 사용하는 다른 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 및 상기 다른 부재의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부재의 상기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 상기 다른 부재의 교환에 관한 통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의 제공은,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에 따라 상기 통지의 내용을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방법.
  8. 토너를 공급하는 토너부재 및 장착된 후의 첫회 동작을 행할 때에 상기 토너부재로부터 공급된 토너를 윤활제로서 사용하는 다른 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 및 상기 다른 부재의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부재의 상기 잔여 수명을 나타내는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일 경우에 상기 다른 부재의 교환에 관한 통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의 제공은, 상기 토너부재가 유지하는 토너 잔량을 나타내는 값에 따라 상기 통지의 내용을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기억매체.
KR1020180025590A 2017-03-14 2018-03-05 토너 카트리지의 불필요한 교환을 방지가능한 화상 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KR102213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48821 2017-03-14
JP2017048821A JP2018151564A (ja) 2017-03-14 2017-03-14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069A true KR20180105069A (ko) 2018-09-27
KR102213372B1 KR102213372B1 (ko) 2021-02-08

Family

ID=6351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590A KR102213372B1 (ko) 2017-03-14 2018-03-05 토너 카트리지의 불필요한 교환을 방지가능한 화상 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31060B2 (ko)
JP (1) JP2018151564A (ko)
KR (1) KR102213372B1 (ko)
CN (1) CN108572534A (ko)
RU (1) RU2689447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3106B2 (ja) * 2019-06-03 2023-10-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知情報の出力方法
JP7263984B2 (ja) * 2019-08-30 2023-04-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WO2021045757A1 (en) 2019-09-05 2021-03-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stricting replacement of components
JP7472508B2 (ja) 2020-01-29 2024-04-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210143439A (ko) * 2020-05-20 2021-11-29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잔량 비율의 차이에 기초한 인쇄 제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8539A (ja) * 2010-05-26 2012-01-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3041046A (ja) * 2011-08-12 2013-02-2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6046B2 (ja) * 1990-06-20 1998-06-1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印刷装置
JPH0916039A (ja) * 1995-06-30 1997-01-17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1052964A (ja) 1996-08-09 1998-02-2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消耗材管理方法
JP4271820B2 (ja) * 2000-02-21 2009-06-0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機器
JP2003098914A (ja) * 2001-09-21 2003-04-04 Murata Mach Ltd 画像記録装置
JP4569243B2 (ja) * 2004-09-24 2010-10-27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058726A (ja) * 2006-08-31 2008-03-13 Oki Data Corp 画像形成装置
JP5100468B2 (ja) * 2007-05-15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383304B2 (en) * 2010-02-24 2013-02-26 Ricoh Company, Ltd. Gallium phthalocyanine compound, and image bearing member, image forming metho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ing the gallium phthalocyanine compound
JP5304743B2 (ja) * 2010-07-28 2013-10-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交換用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管理装置及び同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交換用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管理方法並びに管理プログラム
JP5379207B2 (ja) 2011-10-28 2013-12-25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US9042746B2 (en) * 2012-10-17 2015-05-26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providing a page countdown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image forming device
JP6264130B2 (ja) 2014-03-24 2018-01-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37339B2 (ja) 2015-02-19 2018-12-12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6532275B2 (ja) 2015-04-22 2019-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08539A (ja) * 2010-05-26 2012-01-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13041046A (ja) * 2011-08-12 2013-02-2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67428A1 (en) 2018-09-20
JP2018151564A (ja) 2018-09-27
CN108572534A (zh) 2018-09-25
RU2689447C1 (ru) 2019-05-28
US10331060B2 (en) 2019-06-25
KR102213372B1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5069A (ko) 토너 카트리지의 불필요한 교환을 방지가능한 화상 형성장치, 그 제어방법, 및 기억매체
JP3912026B2 (ja) 画像形成装置
JP4791911B2 (ja) 画像形成装置
KR20180014665A (ko) 화상 형성장치, 정보 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JP4894884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10969723B2 (en) Method for detecting fault location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5622878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CN107092171B (zh) 具有处理盒的图像形成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JP201005483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5896768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8005960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1439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06477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11013612A (ja)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プレビュー画像表示方法
JP200922289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同装置におけるイメージングユニットのライフ判定方法
JP201516170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2019007991A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046716B2 (ja) 画像形成装置
US119069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forming toner image with desired amount of toner, control method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07667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heet conveyance method
JP201000266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532665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34464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6171779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333509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出し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