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686A -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및 유리 운송 프레임 - Google Patents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및 유리 운송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686A
KR20180099686A KR1020187017972A KR20187017972A KR20180099686A KR 20180099686 A KR20180099686 A KR 20180099686A KR 1020187017972 A KR1020187017972 A KR 1020187017972A KR 20187017972 A KR20187017972 A KR 20187017972A KR 20180099686 A KR20180099686 A KR 20180099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longitudinal
support frame
transverse
gla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루 한
원쥔 삐앤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80099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4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1/00External frames or supports adapted to be assembled around, or applied to,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block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유리판(200)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100) 및 유리 운송 프레임이 제공된다. 유리판(200)은 제1 종방향 측면(211), 횡방향을 따라 제1 종방향 측면(211)에 대향하는 제2 종방향 측면(212), 제1 횡방향 측면(221) 및 종방향을 따라 제1 횡방향 측면(221)에 대향하는 제2 횡방향 측면(222)을 갖고, 제1 종방향 측면(211)은 제2 종방향 측면(212)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지지 프레임(100)은 제1 오목부(110) 및 제2 오목부(120)를 갖고, 제1 오목부(110)는 유리판(200)이 횡방향을 따라 제1 배향으로 배치될 때 유리판(200)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2 오목부(120)는 유리판(200)이 제1 배향에 대향하는 제2 배향으로 배치될 때 유리판(200)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1 오목부(110) 및 제2 오목부(1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Description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및 유리 운송 프레임
본 출원은 그 전체 개시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합체되어 있는 2015년 12월 28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및 유리 운송 프레임(SUPPORT FRAME FOR CARRYING GLASS PLATE AND GLASS TRANSPORT FRAME)"인 중국 특허 출원 제CN201511000913.4호의 우선권의 이익을 청구한다.
분야
본 개시내용은 유리판의 지지 프레임 및 유리 운송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및 유리 운송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유리 및 건축용 유리 등과 같은 유리판은, 이들의 취성 및 쉽게 스크래치되는 특성에 기인하여, 사용자에게 운송될 때 유리 운송 프레임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공개 특허 제 CN201634106호는 본체 프레임, 하부 프레임에 고정된 랙 브라켓 및 측면 프레임에 고정된 회전봉을 포함하는 유리 운송 프레임, 및 유리의 하부면이 랙 브라켓 내의 홈 내에 고정되어 있고, 유리의 측면은 측방향으로부터 회전봉에 의해 가압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운송 프레임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를 개시하고 있다.
이들 유리 운송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갖고, 유리판이 운송 프레임 내로 조립될 때 특정 위치에 유리판을 배치하도록 요구되고, 따라서 패킹 효율이 낮다. 게다가, 이들 유리 운송 프레임은 일반적으로 부피가 크고, 비어있는 유리 운송 프레임을 유리 제조업자에 재차 운송하는데 많은 운송 자원을 차지하며, 이는 더 높은 운송 비용을 야기한다.
종래 기술의 유리 운송 프레임의 문제의 견지에서,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유리 운송 프레임이 본 개시내용에서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르면,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이 제공되고, 유리판은 제1 종방향 측면, 횡방향을 따라 제1 종방향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종방향 측면, 제1 횡방향 측면 및 종방향을 따라 제1 횡방향 측면에 대향하는 제2 횡방향 측면을 갖고, 제1 종방향 측면은 제2 종방향 측면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고,
지지 프레임은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를 갖고, 제1 오목부는 유리판이 횡방향을 따라 제1 배향으로 배치될 때 유리판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2 오목부는 유리판이 제1 배향에 대향하는 제2 배향으로 배치될 때 유리판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본 사상은, 지지 프레임의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가 제1 배향으로 배치된 유리판 및 제2 배향으로 배치된 유리판을 지탱하도록 각각 구성되기 때문에, 유리판이 지지 프레임 내로 적재될 때 유리판의 배향을 의도적으로 구별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는 방향성 및 무거운 중량을 갖는 유리판을 위해 특히 유용하다. 예를 들어, 앞유리용 유리(windshield glass)의 상부측 및 하부측은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 유리판이 종래 기술의 유리 운송 프레임에 조립될 때, 유리판의 배향에 특별히 주의를 집중할 필요가 있다. 유리판은 유리판이 잘못된 배향으로 배치될 때 보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앞유리용 유리의 큰 중량에 기인하여, 보정 프로세스는 낭비된 인력 및 감소된 효율을 야기한다. 대조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지지 프레임의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는 제1 배향으로 배치된 유리판 및 제2 배향으로 배치된 유리판을 지탱하도록 각각 구성되고, 작업자가 유리판을 지지 프레임 내로 조립할 때, 유리판의 배향에 특별히 주의를 집중할 필요가 없고 또한 잘못된 배향의 문제점이 없으며, 따라서 지지 프레임은 작업자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지지 프레임은 간단한 구조 및 낮은 비용을 갖는다. 게다가,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르면, 지지 프레임의 하나의 오목부가 손상되어 있을 때, 다른 오목부가 여전히 사용가능하고, 따라서 지지 프레임은 긴 사용년수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은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종방향 단부 및 횡방향을 따라 제1 종방향 단부에 대향하고 제1 종방향 단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2 종방향 단부를 갖는다. 제1 오목부는 제1 종방향 홈 및 제2 종방향 홈을 포함하고, 제1 종방향 홈은 제1 종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1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2 종방향 홈은 제2 종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1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2 오목부는 제3 종방향 홈 및 제4 종방향 홈을 포함하고, 제3 종방향 홈은 제1 종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2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4 종방향 홈은 제2 종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2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한다. 이와 같이 배열된 지지 프레임의 폭은 상이한 폭 치수의 유리판을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종방향 단부 및 제2 종방향 단부는 동일할 수도 있고, 따라서 제1 종방향 단부 및 제2 종방향 단부가 배치될 때 배치에 특별히 주의를 집중할 필요가 없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은 횡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횡방향 단부 및 종방향을 따라 제1 횡방향 단부에 대향하고 제1 횡방향 단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2 횡방향 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오목부는 제1 횡방향 홈 및 제2 횡방향 홈을 포함하고, 제1 횡방향 홈은 제1 횡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1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1 횡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2 횡방향 홈은 제2 횡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1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2 횡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2 오목부는 제3 횡방향 홈 및 제4 횡방향 홈을 포함하고, 제3 횡방향 홈은 제1 횡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2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2 횡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4 횡방향 홈은 제2 횡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2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1 횡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한다. 이와 같이 배열된 지지 프레임의 길이는 상이한 길이 치수의 유리판을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횡방향 단부 및 제2 횡방향 단부는 동일할 수도 있고, 따라서 제1 횡방향 단부 및 제2 횡방향 단부가 배치될 때 배치에 특별히 주의를 집중할 필요가 없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은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의 4개의 코너에 각각 위치되어 있는 4개의 코너부를 갖는다. 여기서, 4개의 코너부는 제1 홈, 제2 홈, 제3 홈 및 제4 홈을 각각 갖고, 유리판이 제1 배향으로 배치될 때, 제1 홈은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과 제1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제2 홈은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과 제2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제3 홈은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과 제1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제4 홈은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과 제2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제1 홈, 제2 홈, 제3 홈 및 제4 홈은 제1 오목부를 함께 형성하고, 4개의 코너부는 제5 홈, 제6 홈, 제7 홈 및 제8 홈을 각각 갖고, 유리판이 제2 배향으로 배치될 때, 제5 홈은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과 제2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제6 홈은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과 제1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제7 홈은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과 제2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제8 홈은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과 제1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제5 홈, 제6 홈, 제7 홈 및 제8 홈은 제2 오목부를 함께 형성한다. 이와 같이 배열된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및 폭은 상이한 길이 및 폭 치수의 유리판을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또한, 4개의 코너부는 동일할 수도 있고, 따라서 4개의 코너부가 배치될 때 배치에 특별히 주의를 집중할 필요가 없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의 정면 상에 위치된 범프 및 지지 프레임의 이면 상에 위치된 슬롯을 더 포함하고, 범프의 위치는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른 슬롯의 위치에 대응한다. 범프는 적층된 지지 프레임을 고정하기 위해 슬롯과 협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은 지지 프레임의 후면 상에 위치된 버퍼 블록을 더 포함하고, 버퍼 블록은 제1 오목부의 깊이 및 제2 오목부의 깊이의 모두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갖는다. 버퍼 블록은 유리판의 고정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고, 운송 중에 유리판이 상하로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은 관통 구멍을 더 포함하고, 관통 구멍은 유리판 상의 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상에 위치된다. 유리판은 때때로 건물 또는 차체에 유리판을 고정하기 위해 그 위에 고정된 핀을 구비하고, 관통 구멍은 핀을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은 개구를 더 포함하고, 개구는 지지 프레임의 에지 상에 위치되어 제1 오목부 및/또는 제2 오목부와 연통한다. 작업자가 유리판의 적재(loading) 및 하역(unloading)의 프로세스에서 개구를 통해 유리판의 하부 내로 손을 넣기에 편리하고, 따라서 작업자가 유리판을 위로 들어올리거나 유리판을 아래로 내리기에 편리하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의 재료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발포성 폴리에틸렌, 발포성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및 폴리에틸렌 혼합 폴리폼, 탄성중합성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허니컴 보드 재료 또는 펄프 보드 재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리판은 횡방향을 따른 대칭축을 갖고, 제1 횡방향 측면 및 제2 횡방향 측면은 대칭축에 대해 대칭이다.
일 실시예에서, 유리판은 차량 선루프용 유리(skylight glass)의 부품 또는 차량 앞유리용 유리의 부품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유리 운송 프레임이 제공된다. 유리 운송 프레임은 본 개시내용의 일 양태에 따른 지지 프레임에 따른 복수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여기서 복수의 지지 프레임은 서로 적층된다. 지지 프레임의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는 제1 배향으로 배치된 유리판 및 제2 배향으로 배치된 유리판을 지탱하도록 각각 구성되기 때문에, 유리판이 유리 운송 프레임 내로 적재될 때 유리판의 배향을 의도적으로 구별할 필요가 없다. 이는 방향성 및 무거운 중량을 갖는 유리판을 위해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유리 운송 프레임은 작업자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 운송 프레임은 간단한 구조 및 낮은 비용을 갖는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a는 도 1의 지지 프레임의 변형예의 정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도 1의 지지 프레임의 변형예의 후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100)은 유리판(200)을 지탱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횡방향 및 종방향을 참조하면, 유리판(200)은 제1 종방향 측면(211), 횡방향을 따라 제1 종방향 측면(211)에 대향하는 제2 종방향 측면(212), 제1 횡방향 측면(221) 및 종방향을 따라 제1 횡방향 측면(221)에 대향하는 제2 횡방향 측면(222)을 갖는다. 여기서, 제1 종방향 측면(211)은 제2 종방향 측면(212)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데, 즉 유리판(200)은 방향성을 갖는다. 이러한 유리판은 차량 선루프용 유리 및 차량 앞유리용 유리와 같은 차량용 유리에서 매우 통상적이다.
지지 프레임(100)은 제1 오목부(110) 및 제2 오목부(120)를 갖고, 제1 오목부(110)는 유리판(200)이 횡방향을 따라 제1 배향으로 배치될 때(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200)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2 오목부(120)는 유리판(200)이 제1 배향에 대향하는 제2 배향으로 배치될 때(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판(200)의 형상에 정합한다. 특히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배향을 따라 배치된 유리판(200)은 도 1의 평면에서 180도 회전되어 제2 배향으로 배치된 유리판(200)을 얻는다.
유리판(200)을 배치할 때, 작업자는 유리판(200)의 배향에 특별히 주의를 집중할 필요는 없다. 특히, 작업자가 유리판(200)을 제1 배향으로 위로 들어올릴 때, 유리판(200)은 제1 오목부(11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작업자가 유리판(200)을 제2 배향으로 위로 들어올릴 때, 유리판(200)은 제2 오목부(120) 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는 유리판(200)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고 유리판을 특정 배향으로 수용하기 위해서만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유리 운송 프레임의 단점을 극복한다. 지지 프레임(100)은 유리판(200)이 부피가 크고 중량이 더 무거울 때 특히 적합하다. 종래 기술에서 유리 운송 프레임에 대해, 유리 운송 프레임을 끼워맞추기 위해 특정 배향으로 유리판을 뒤집을 필요가 있는데, 이는 인력 및 시간의 낭비를 야기하고, 반면에 지지 프레임(100)에 있어서, 유리판의 배향에 특별히 주의를 집중할 필요가 없는데, 이는 조립 프로세스에 있어서 시간 및 노력을 절약한다. 게다가, 하나의 오목부가 손상되었을 때 지지 프레임(100)의 다른 오목부가 여전히 사용될 수 있고, 따라서 지지 프레임(100)의 사용년수가 길다.
게다가, 제1 오목부(110) 및 제2 오목부(1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목부(110) 및 제2 오목부(120)의 중간부는 중첩된다. 유리판(200)의 중간부의 대부분은 유리판(200)이 제1 배향으로 또는 제2 배향으로 배치되는지에 무관하게 제1 오목부(110) 및 제2 오목부(120)의 중첩된 영역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오목부(110) 및 제2 오목부(120)는 중간부가 중첩되는 상태로 배열되는데, 이는 지지 프레임(100)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0)의 재료는 더 양호한 압축 강성, 더 높은 인성, 더 양호한 완충, 및 더 양호한 치수 안정성을 갖는 임의의 재료일 수도 있다. 재료는 예를 들어, 발포성 폴리스티렌, 발포성 폴리에틸렌, 발포성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및 폴리에틸렌 혼합 폴리폼, 탄성중합성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허니컴 보드 재료 또는 펄프 보드 재료를 포함한다. 표 1은 이들 재료를 위한 성능 참조표를 나타내고 있는데, 각각의 성능은 1 내지 5로 채점되고, 5는 최상을 표현한다. 전체 성능은 원하는 재료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 요구에 따라 고려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해 적용되는 재료의 성능 참조표
발포성
폴리스티렌
(EPS)
발포성
폴리에틸렌
(EPE)
발포성
폴리프로필렌
(EPP)
폴리스티렌 및 폴리에틸렌
혼합 폴리폼
(EPO)
탄성중합성 폴리우레탄
(EPU)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EVA)
허니컴 보드
재료
펄프 보드 재료
완충
성능
3 4 4 4 5 4 1 1
낙하
성능
3 4 5 4 5 4 1 2
압축
강성
4 2 3 4 1 3 5 3
인열
강도
2 3 4 4 3 5 1 2
인성 2 3 4 4 3 5 3 3
치수
안정성
3 4 5 4 4 5 2 2
성형
효율
5 3 5 5 5 4 1 5
복합
형상
5 3 5 5 4 4 1 5
재활용
가능성
2 3 3 2 3 3 4 3
비용 5 3 3 3 1 3 4 4
도 2a는 도 1의 지지 프레임의 변형예의 정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고, 도 2b는 변형예의 후면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변형예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지지 프레임(10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00)의 정면 상에 위치된 범프(161)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00)의 이면 상에 위치된 슬롯(162)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범프(161)의 위치는 도 1에 도시된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른 슬롯(162)의 위치에 대응한다. 복수의 지지 프레임(100)이 서로 겹쳐 적층될 때, 하부 지지 프레임(100)의 범프(161)는 상부 지지 프레임(100)의 슬롯(162) 내에 고정되고, 따라서 복수의 지지 프레임(100)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서로 고정된다.
지지 프레임(100)은 관통 구멍(17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유리판(200)(도 1 참조)은 일반적으로 건물 또는 차체에 유리판(200)을 고정하기 위한 핀을 구비하기 때문에, 관통 구멍(170)은 유리판(200)을 위한 수용 공간을 제공한다.
지지 프레임(100)은 지지 프레임(100)의 에지 상에 위치되어 제1 오목부(110) 및/또는 제2 오목부(120)와 연통하는 개구(18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작업자는 개구(180)를 통해 유리판(200)의 하부 내로 손을 뻗을 수 있고, 따라서 유리판을 적재 및 하역하기 위해 편리하다.
지지 프레임(100)은 지지 프레임(100)의 후면 상에 위치된 버퍼 블록(190)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버퍼 블록(190)은 제1 오목부(110)의 깊이 및 제2 오목부(120)의 깊이의 모두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갖는다. 버퍼 블록(190)은 고무와 같은 기존의 완충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버퍼 블록(190)은 운송 중에 유리판(200)이 승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범프(161) 및 버퍼 블록(190)은 지지 프레임(100)과 단일편 구성요소를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독립적으로 성형된 후에 지지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100)은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종방향 단부(131) 및 횡방향을 따라 제1 종방향 단부(131)에 대향하고 제1 종방향 단부(131)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2 종방향 단부(132)를 갖는다. 여기서, 제1 오목부(110)(도 1 참조)는 제1 종방향 홈(111) 및 제2 종방향 홈(112)을 포함하고, 제1 종방향 홈(111)은 제1 종방향 단부(131) 상에 위치되고 제1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211)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2 종방향 홈(112)은 제2 종방향 단부(132) 상에 위치되고 제1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212)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2 오목부(120)(도 1 참조)는 제3 종방향 홈(121) 및 제4 종방향 홈(122)을 포함하고, 제3 종방향 홈(121)은 제1 종방향 단부(131) 상에 위치되고 제2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212)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4 종방향 홈(122)은 제2 종방향 단부(132) 상에 위치되고 제2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211)의 형상에 정합한다. 이와 같이 배열된 지지 프레임(100)의 폭은 상이한 폭 치수의 유리판(200)(도 1 참조)을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대부분의 차량용 유리는 횡방향으로 대칭축을 갖고, 따라서 제1 종방향 단부(131) 및 제2 종방향 단부(132)는 동일할 수도 있어, 제1 종방향 단부(131) 및 제2 종방향 단부(132)가 배치될 때 배치에 특별히 주의를 집중할 필요가 없게 되고, 제1 종방향 단부(131) 및 제2 종방향 단부(132)는 하나의 몰드에 의해 얻어질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100)은 횡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횡방향 단부(141) 및 종방향을 따라 제1 횡방향 단부(141)에 대향하고 제1 횡방향 단부(141)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2 횡방향 단부(142)를 갖는다. 여기서, 제1 오목부(110)는 제1 횡방향 홈(411) 및 제2 횡방향 홈(412)을 포함하고, 제1 횡방향 홈(411)은 제1 횡방향 단부(141) 상에 위치되고 제1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1 횡방향 측면(221)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2 횡방향 홈(412)은 제2 횡방향 단부(142) 상에 위치되고 제1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2 횡방향 측면(222)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2 오목부(120)는 제3 횡방향 홈(421) 및 제4 횡방향 홈(422)을 포함하고, 제3 횡방향 홈(421)은 제1 횡방향 단부(141) 상에 위치되고 제2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2 횡방향 측면(222)의 형상에 정합하고, 제4 횡방향 홈(422)은 제2 횡방향 단부(142) 상에 위치되고 제2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유리판의 제1 횡방향 측면(221)의 형상에 정합한다. 이와 같이 배열된 지지 프레임(100)의 길이는 상이한 길이 치수의 유리판(200)을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대부분의 차량용 유리는 횡방향을 따라 대칭축을 갖고, 따라서 제1 횡방향 단부(141) 및 제2 횡방향 단부(142)는 동일할 수도 있다. 제1 횡방향 단부(141) 및 제2 횡방향 단부(142)가 배치될 때 배치에 특별히 주의를 집중할 필요가 없고, 제1 횡방향 단부(141) 및 제2 횡방향 단부(142)는 하나의 몰드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도 3의 지지 프레임과 비교하여 도 4의 지지 프레임의 부가의 장점은, 재료가 더 경제적이고, 이것이 일반적으로 유리판이 배치되거나 취출될 때 유리판의 횡방향을 따르고, 따라서 도 4의 지지 프레임이 배치 및 취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더 편리하다는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100)은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지지 프레임(100)의 4개의 코너에 각각 위치되어 있는 4개의 코너부(151, 152, 153, 154)를 갖는다. 유리판이 제1 배향으로 배치될 때, 코너부(151)는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211)과 제1 횡방향 측면(221)의 교차부와 정합하는 제1 홈(511)을 갖고, 코너부(152)는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211)과 제2 횡방향 측면(222)의 교차부와 정합하는 제2 홈(512)을 갖고, 코너부(153)는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212)과 제1 횡방향 측면(221)의 교차부와 정합하는 제3 홈(513)을 갖고, 코너부(154)는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212)과 제2 횡방향 측면(222)의 교차부와 정합하는 제4 홈(514)을 갖고, 제1 홈(511), 제2 홈(512), 제3 홈(513) 및 제4 홈(514)은 제1 오목부(110)를 함께 형성한다.
유리판이 제2 배향으로 배치될 때, 코너부(151)는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212)과 제2 횡방향 측면(222)의 교차부와 정합하는 제5 홈(521)을 갖고, 코너부(152)는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212)과 제1 횡방향 측면(221)의 교차부와 정합하는 제6 홈(522)을 갖고, 코너부(153)는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211)과 제2 횡방향 측면(222)의 교차부와 정합하는 제7 홈(523)을 갖고, 코너부(154)는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211)과 제1 횡방향 측면(221)의 교차부와 정합하는 제8 홈(524)을 갖고, 제5 홈(521), 제6 홈(522), 제7 홈(523) 및 제8 홈(524)은 제2 오목부(120)를 함께 형성한다.
이와 같이 배열된 지지 프레임(100)의 길이 및 폭은 상이한 길이 및 폭 치수의 유리판(200)을 수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대부분의 차량용 유리는 횡방향을 따른 대칭축을 갖고, 따라서 4개의 코너부는 동일할 수 있다. 4개의 코너부가 배치될 때 배향에 특별히 주의를 집중할 필요가 없고, 4개의 코너부는 하나의 몰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는 서로 조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100)은 하나의 종방향 단부(131) 및 2개의 코너부(151)를 포함할 수도 있고, 지지 프레임(100)은 횡방향 단부(141) 및 2개의 코너부(151)를 포함할 수도 있고, 도 3, 도 4 또는 도 5의 지지 프레임(100)은 도 2에 도시된 관통 구멍(170), 범프(161), 슬롯(162), 개구(180), 또는 버퍼 블록(190)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지지 프레임(100)의 제1 오목부(110) 및 제2 오목부(120)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부분은 조정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도 6은 도 1에 기초하여 조정된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는 것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오목부(110) 및 제2 오목부(120)의 중간부는 여전히 중첩되어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유리 운송 프레임이 또한 제공된다. 유리 운송 프레임은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프레임에 따른 복수의 지지 프레임(100)을 포함하고, 여기서 복수의 지지 프레임(100)은 서로 적층된다. 지지 프레임(100)의 제1 오목부(110) 및 제2 오목부(120)는 제1 배향으로 배치된 유리판(200) 및 제2 배향으로 배치된 유리판(200)을 지탱하도록 각각 구성되어 있다. 유리판(200)이 지지 프레임(100) 내에 적재될 때 유리판(200)의 배향을 의도적으로 구별할 필요가 없다. 이는 방향성 및 무거운 중량을 갖는 유리판을 위해 특히 유용하다. 유리 운송 프레임은 작업자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유리 운송 프레임은 간단한 구조 및 낮은 비용을 갖는다.
일 예에서, 유리 운송 프레임은 복수의 지지 프레임(100)이 배치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더 포함한다. 컨테이너는 하부면, 상부면, 및 4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입방형 구조체일 수도 있다. 측면 중 하나는 하부면에 힌지결합되고, 힌지결합된 측면은 지지 프레임(100)이 적재 또는 하역될 때 개방되고, 컨테이너의 힌지결합된 측면 및 상부는 지지 프레임(100)이 운송될 때 폐쇄된다. 컨테이너는 포크리프트 작업의 편의를 위해, 포크리피트 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이 전술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도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주는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6)

  1.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이며, 상기 유리판은 제1 종방향 측면, 횡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종방향 측면에 대향하는 제2 종방향 측면, 제1 횡방향 측면 및 종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횡방향 측면에 대향하는 제2 횡방향 측면을 갖고, 상기 제1 종방향 측면은 상기 제2 종방향 측면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지지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를 갖고,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유리판이 횡방향을 따라 제1 배향으로 배치될 때 상기 유리판의 형상에 정합하고,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유리판이 상기 제1 배향에 대향하는 제2 배향으로 배치될 때 상기 유리판의 형상에 정합하고, 상기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2 오목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종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종방향 단부 및 횡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종방향 단부에 대향하고 상기 제1 종방향 단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2 종방향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오목부는 제1 종방향 홈 및 제2 종방향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종방향 홈은 상기 제1 종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1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하고, 상기 제2 종방향 홈은 상기 제2 종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1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하고,
    상기 제2 오목부는 제3 종방향 홈 및 제4 종방향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종방향 홈은 상기 제1 종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2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하고, 상기 제4 종방향 홈은 상기 제2 종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2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방향 단부 및 상기 제2 종방향 단부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횡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제1 횡방향 단부 및 종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횡방향 단부에 대향하고 상기 제1 횡방향 단부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2 횡방향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목부는 제1 횡방향 홈 및 제2 횡방향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횡방향 홈은 상기 제1 횡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1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리판의 제1 횡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하고, 상기 제2 횡방향 홈은 상기 제2 횡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1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리판의 제2 횡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하고,
    상기 제2 오목부는 제3 횡방향 홈 및 제4 횡방향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횡방향 홈은 상기 제1 횡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2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리판의 제2 횡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하고, 상기 제4 횡방향 홈은 상기 제2 횡방향 단부 상에 위치되고 제2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유리판의 제1 횡방향 측면의 형상에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횡방향 단부 및 상기 제2 횡방향 단부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4개의 코너에 각각 위치되어 있는 4개의 코너부를 갖고,
    상기 4개의 코너부는 제1 홈, 제2 홈, 제3 홈 및 제4 홈을 각각 갖고, 상기 유리판이 제1 배향으로 배치될 때, 상기 제1 홈은 상기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과 제1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상기 제2 홈은 상기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과 제2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상기 제3 홈은 상기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과 제1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상기 제4 홈은 상기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과 제2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상기 제1 홈, 상기 제2 홈, 상기 제3 홈 및 상기 제4 홈은 제1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4개의 코너부는 제5 홈, 제6 홈, 제7 홈 및 제8 홈을 각각 갖고, 상기 유리판이 제2 배향으로 배치될 때, 상기 제5 홈은 상기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과 제2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상기 제6 홈은 상기 유리판의 제2 종방향 측면과 제1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상기 제7 홈은 상기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과 제2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상기 제8 홈은 상기 유리판의 제1 종방향 측면과 제1 횡방향 측면의 교차부와 정합하고, 상기 제5 홈, 상기 제6 홈, 상기 제7 홈 및 상기 제8 홈은 제2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7. 제6항에 있어서, 4개의 코너부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정면 상에 위치된 범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이면 상에 위치된 슬롯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범프의 위치는 종방향 및 횡방향을 따른 상기 슬롯의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 상에 위치된 버퍼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 블록은 상기 제1 오목부의 깊이 및 상기 제2 오목부의 깊이의 모두보다 더 작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10. 제1항에 있어서, 관통 구멍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 구멍은 상기 유리판 상의 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11. 제1항에 있어서,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에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오목부 및/또는 상기 제2 오목부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재료는 발포성 폴리스티렌, 발포성 폴리에틸렌, 발포성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및 폴리에틸렌 혼합 폴리폼, 탄성중합성 폴리우레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허니컴 보드 재료 또는 펄프 보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은 횡방향을 따른 대칭축을 갖고, 상기 제1 횡방향 측면 및 상기 제2 횡방향 측면은 상기 대칭축에 대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판은 차량 선루프용 유리의 부품 또는 차량 앞유리용 유리의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프레임.
  15. 유리 운송 프레임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지지 프레임에 따른 복수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프레임은 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운송 프레임.
  16. 제15항에 있어서, 컨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 프레임은 상기 컨테이너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운송 프레임.
KR1020187017972A 2015-12-28 2016-12-08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및 유리 운송 프레임 KR201800996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1000913.4A CN106915571A (zh) 2015-12-28 2015-12-28 用于承载玻璃板的托架以及玻璃运输架
CN201511000913.4 2015-12-28
PCT/CN2016/109062 WO2017114127A1 (en) 2015-12-28 2016-12-08 Support frame for carrying glass plate and glass transport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686A true KR20180099686A (ko) 2018-09-05

Family

ID=5922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972A KR20180099686A (ko) 2015-12-28 2016-12-08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및 유리 운송 프레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3397573B1 (ko)
JP (1) JP6966450B2 (ko)
KR (1) KR20180099686A (ko)
CN (1) CN106915571A (ko)
BR (1) BR112018008351A2 (ko)
ES (1) ES2911422T3 (ko)
HU (1) HUE057971T2 (ko)
MX (1) MX2018007969A (ko)
PL (1) PL3397573T3 (ko)
WO (1) WO201711412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48633B3 (fr) * 1983-07-05 1985-12-20 Saint Gobain Vitrage Elements intercalaires destines a la manutention et a la separation d'articles en feuilles
CN100999262A (zh) * 2007-01-09 2007-07-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包含产品保护结构的容器
CN201566966U (zh) * 2009-12-30 2010-09-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包装托盘
JP2011162236A (ja) * 2010-02-10 2011-08-25 Sekisui Plastics Co Ltd 1つの隅部に突起を有する板状体のための搬送容器
JP2012062081A (ja) * 2010-09-15 2012-03-29 Sekisui Plastics Co Ltd 板状体の搬送用容器
JP5929227B2 (ja) * 2012-01-23 2016-06-0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基板保持用枠体と基板保持用枠体の搬送方法
US20130270134A1 (en) * 2012-04-11 2013-10-17 Shihhsiang Chen Shared Packaging Box for LCD Panel and Assembly, and Using Method Thereof
CN102815465A (zh) * 2012-08-16 2012-12-1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玻璃包装装置
CN103771035B (zh) * 2014-01-21 2016-07-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用于固定玻璃基板的卡匣及存取玻璃基板的方法
CN205708012U (zh) * 2016-03-16 2016-11-23 法国圣戈班玻璃公司 一种玻璃板运输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397573T3 (pl) 2022-04-25
CN106915571A (zh) 2017-07-04
EP3397573A1 (en) 2018-11-07
BR112018008351A2 (pt) 2018-10-30
JP6966450B2 (ja) 2021-11-17
EP3397573A4 (en) 2019-05-15
MX2018007969A (es) 2018-11-09
WO2017114127A1 (en) 2017-07-06
JP2019503307A (ja) 2019-02-07
ES2911422T3 (es) 2022-05-19
HUE057971T2 (hu) 2022-06-28
EP3397573B1 (en)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7581B1 (en) Rectangular thin panel conveyance unit
EP2620390B1 (en) Module used for stacking thin plate panels
JP2012136241A (ja) 薄板パネルの積重ねに用いるモジュール、および薄板パネルの積重ね方法
JP6028937B2 (ja) 矩形状薄板パネルの搬送ユニット
CN201148247Y (zh) 缓冲垫体
CN1891578B (zh) 包装装置和定位物品的方法
KR20180099686A (ko) 유리판을 지탱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 및 유리 운송 프레임
CN101626966B (zh) 玻璃板捆包用集装架以及玻璃板捆包体
CN216660717U (zh) 玻璃板捆包体
JP5089458B2 (ja) 板状のワークの梱包資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梱包体
JP2007112445A (ja) 折り畳み可能なコンテナ
CN216995509U (zh) 一种包装箱
CN110525767A (zh) 栈板
CN220199855U (zh) 缓冲包装盒
CN107444738B (zh) 多功能便携角托单元、组件及打包结构
TW200922847A (en) Shipping box structure
CN210556190U (zh) 一种包装盒
JP4014378B2 (ja) 車両ガラス板用パレット
KR100765811B1 (ko) 보강수단이 구비된 수평적재되는 박막디스플레이 패널용포장대
JP2022062993A (ja) 梱包体
JP2009018838A (ja) パレット装置、パレット装置への物品の搭載方法
JP5093208B2 (ja) パレット及び梱包装置
JP2008207864A (ja) ガラス板用パレット
JPH06298247A (ja) 運送コンテナ
KR20030076916A (ko) 엘시디 패널 운반용 완충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