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484A -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및 식품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및 식품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484A
KR20180096484A KR1020170159122A KR20170159122A KR20180096484A KR 20180096484 A KR20180096484 A KR 20180096484A KR 1020170159122 A KR1020170159122 A KR 1020170159122A KR 20170159122 A KR20170159122 A KR 20170159122A KR 20180096484 A KR20180096484 A KR 20180096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roller
rice
rolling
food
food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294B1 (ko
Inventor
다카시 호소가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ublication of KR20180096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판형으로 성형한 식재를 말아 봉상으로 성형하였을 때, 식재의 밀도가 전체에 걸쳐 거의 균일하고, 봉상 식재의 양단부의 권체력이 강화되어 식재가 넘쳐 나오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및 식품 성형 장치를 얻는다.
회전함으로써 식재를 압연하는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41)로서, 식재의 압연에 제공되는 둘레면의 회전축 방향의 양단부가 회전축 방향의 외방으로 향하여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부(416)로 되어 있다. 압연 롤러의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41)를 이용한 식품 성형 장치.

Description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및 식품 성형 장치{Roller for food forming and food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및 이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를 이용한 식품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판형 식재를 말아서 예를 들어 김말이 초밥과 같은 봉상(棒狀) 식품으로 성형하는 식품 성형 장치가 알려져 있다. 김말이 초밥을 성형하는 식품 성형 장치에서는, 쌀밥을 봉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이전 공정에서 쌀밥을 판형으로 성형하고 있다.
식재를 판형으로 성형하는 일반적인 식품 성형 장치에서는, 둘레면을 마주보게 하여 평행하게 배치한 한 쌍의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에 의해 식재를 압연하고 있다.
식품의 압연에 제공되는 압연 롤러의 둘레면의 외경이 일정한 경우, 압연된 판형 식재의 중앙부가 두껍고 좌우 양단부가 얇아지기 쉽다. 이 판형 식재를 말아서 예를 들어 김말이로 하면, 좌우 양단부의 쌀밥 밀도가 중앙부보다 작아져 양단으로부터 쌀밥이 넘쳐 나오기 쉽고 양단의 외관이 나빠진다.
그래서, 성형 롤러를 그 중앙부의 지름이 큰 북형으로 함과 아울러, 표면에 회전축 방향의 가로로 긴 홈 줄기를 둘레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홈 줄기의 사이에 돌출 줄기부를 마련한 쌀밥의 압축 이송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허 제2559286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성형 롤러를 이용하여 쌀밥 등의 식재를 판형으로 성형하면, 성형된 판형 식재는 폭방향에 있어서 두께가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폭방향 중앙부의 두께가 가장 얇아진다. 그 때문에, 상기 판형 식재를 말아서 봉상으로 성형하면, 중앙부의 밀도가 작아져 봉상 제품의 중앙부와 양단부에서 품질에 불균일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판형으로 성형한 식재를 말아서 봉상으로 성형하였을 때 식재의 밀도가 전체에 걸쳐 거의 균일하고, 봉상 식재의 양단부의 권체력이 강화되어 식재를 넘쳐 나오기 어렵게 할 수 있는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및 식품 성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함으로써 식재를 압연하는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로서,
식재의 압연에 제공되는 둘레면의 회전축 방향의 양단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의 외방으로 향하여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는, 압연 롤러의 적어도 하나로서 상기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판형으로 압연된 식재는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의 회전축 방향의 양단부의 테이퍼 형상에 의해 좌우 방향 양단 가장자리가 경사면으로 성형되어, 식재의 두께가 좌우 방향 양단으로 향하여 점차 두꺼워진다. 이 판형의 식재를 전후 방향으로 권체(券締, seaming, 말아 붙임)하면서 봉상으로 성형하면, 봉상 식재의 대부분은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의 둘레면에 의해 균일한 권체력으로 균일한 밀도로 성형된다. 상기 봉상 식재의 좌우 방향 양단부는, 식재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권체력이 강화되어 식재가 넘쳐 떨어지는 일이 없고 양단의 외관을 깨끗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를 구비한 식품 성형 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식품 성형 장치의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식품 성형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압연 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압연 롤러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압연 롤러의 도 5에서의 A-A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압연 롤러에 의해 성형된 식품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압연 롤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압연 롤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 판형 식품을 봉상으로 성형한 예와,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 판형 식품을 봉상으로 성형한 예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와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 판형 식품을 봉상의 식품으로 성형하고 나아가 이를 절단한 예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와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 식품 성형 장치의 구성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1)는, 식재의 일례인 식초를 버무린 쌀밥(이하, 「쌀밥」이라고 함)을 수용하는 호퍼(2)와, 호퍼(2)에 투하되는 쌀밥을 교반하는 교반부(3)를 가진다. 또한, 식품 성형 장치(1)는, 교반된 쌀밥을 판형으로 압연하는 압연부(4)와, 압연된 쌀밥이 놓이는 반송부(5)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식품 성형 장치(1)의 호퍼(2)가 마련되어 있는 쪽을 상측, 반송부(5)가 마련되어 있는 쪽을 하측이라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에서 지면(紙面) 좌측을 식품 성형 장치(1)의 앞쪽, 우측을 뒤쪽이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부(3)는 제1 교반 날개(31)와 제2 교반 날개(3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교반 날개(31)와 제2 교반 날개(32)는, 회전 방향의 4개소에 등간격으로, 식품 성형 장치(1)의 폭방향, 즉 도 2의 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교반용 돌기를 가지고 있다. 제1 교반 날개(31)와 제2 교반 날개(32)는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각 회전축의 방향은 식품 성형 장치(1)의 폭방향이다.
제1 교반 날개(31)는, 호퍼(2)의 바닥부 부근에서 호퍼(2) 중의 쌀밥을 교반한다. 제2 교반 날개(32)는, 제1 교반 날개(31)의 경사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제2 교반 날개(32)는, 제1 교반 날개(31)에서 교반되어 중력에 의해 경사 하방으로 강하하는 쌀밥을 더욱 교반한다. 제2 교반 날개(32)에서 교반된 쌀밥은, 경사 가이드(34)에 의해 압연부(4)에 도입된다.
압연부(4)는, 전방 하측의 제1 압연 롤러(41), 후방 하측의 제2 압연 롤러(42), 전방 상측의 제3 압연 롤러(43), 후방 상측의 제4 압연 롤러(44)의 4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하측의 제1 압연 롤러(41)와 제2 압연 롤러(42)는 한 쌍이 되어 회전 구동되고, 상측의 제3 압연 롤러(43)와 제4 압연 롤러(44)도 한 쌍이 되어 회전 구동된다. 이 식품 성형 장치(1)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가 제1 압연 롤러(41)에 적용되어 있다.
상기에 설명한 구성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쌍을 이루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회전함으로써 쌀밥을 성형하면서 아래로 향하여 반송하는 상측의 압연 롤러(43, 44)로 이루어지는 제1 압연 롤러 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압연 롤러 쌍의 하방에 쌍을 이루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회전함으로써 제1 압연 롤러 쌍으로 반송되는 쌀밥을 더욱 성형하면서 아래로 향하여 반송하는 하측의 압연 롤러(41, 42)로 이루어지는 제2 압연 롤러 쌍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압연부(4)에는 쌀밥을 복수 단계에 걸쳐 압연하는 압연 롤러가 복수단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제1 압연 롤러(41), 제2 압연 롤러(42), 제3 압연 롤러(43), 제4 압연 롤러(44)는 쌀밥의 박리성이 양호한 수지로 형성된다. 제1 압연 롤러(41), 제2 압연 롤러(42), 제3 압연 롤러(43), 제4 압연 롤러(44)는 모두 동일 지름의 모재로 형성되어 외경은 거의 동일하다. 제2 압연 롤러(42), 제3 압연 롤러(43), 제4 압연 롤러(44)의 둘레면에는, 회전 중심축선과 평행하게 횡단면 반원형의 볼록 줄기와 오목 줄기가 둘레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압연 롤러(41)의 형상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측의 한 쌍의 제1 압연 롤러(41) 및 제2 압연 롤러(42)와 상측의 한 쌍의 제3 압연 롤러(43) 및 제4 압연 롤러(44)는,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다. 하측의 제1 압연 롤러(41) 및 제2 압연 롤러(42)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과 상측의 제3 압연 롤러(43) 및 제4 압연 롤러(44)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앞쪽 상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하측의 제1 압연 롤러(41)와 제2 압연 롤러(42)의 위치는, 상측의 제3 압연 롤러(43)와 제4 압연 롤러(44)에 대해 앞쪽으로 벗어나 있어 쌀밥을 압연하면서 경사방향 앞쪽 하방으로 내보낸다.
상측의 제3 압연 롤러(43)와 제4 압연 롤러(44)는, 하측의 제1 압연 롤러(41)와 제2 압연 롤러(42)의 사이로 쌀밥을 보낸다. 상측의 제3 압연 롤러(43)와 제4 압연 롤러(44)의 간격은, 하측의 제1 압연 롤러(41)와 제2 압연 롤러(42)의 간격보다 넓게 되어 있다. 압연부(4)에서 판형으로 압연되는 쌀밥의 두께는, 하측의 제1 압연 롤러(41)와 제2 압연 롤러(42)의 간격에 의해 정해진다.
하측의 한 쌍의 제1 압연 롤러(41)와 제2 압연 롤러(4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상측의 한 쌍의 제3 압연 롤러(43)와 제4 압연 롤러(44)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들 압연 롤러는 회전 구동됨으로써, 쌀밥을 판형으로 압연하면서 하방 경사방향 전방으로 반송한다. 쌀밥은 상측의 제3 압연 롤러(43)와 제4 압연 롤러(44)에서 압연되고, 또한 하측의 제1 압연 롤러(41)와 제2 압연 롤러(42)에서 판형으로 압연된다. 제1 압연 롤러(41)와 제2 압연 롤러(42)에 의해 압연된 쌀밥은, 경사면을 갖는 가이드 부재(46)에 대해 커터부(45)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판형의 쌀밥이 적절한 치수로 절단되어 반송부(5)에 도입된다.
반송부(5)는, 압연부(4)에 의해 압연된 쌀밥이 놓이는 베이스(9)를 구비한다. 또, 반송부(5)는 압연부(4)로부터 반송된 쌀밥을 말아서 봉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부로 치환되어도 된다.
베이스(9)는, 수평면 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베이스(9)의 이동 방향은, 식품 성형 장치(1)의 전후 방향이다. 베이스(9)가 후퇴한 상태로 쌀밥을 성형하기 위한 적절한 조작이 이루어지면, 베이스(9)가 전진하는 것에 동기하여 압연부(4)가 쌀밥을 압연한다. 쌀밥은, 소정의 두께의 판형으로 성형되면서 압연부(4)의 가이드 부재(46)로 가이드되어 베이스(9)로 향하여 공급된다. 베이스(9)에의 쌀밥 공급에 동기하여 베이스(9)가 전진하고, 판형의 쌀밥이 베이스(9)의 안착면에서 받아들여진다. 미리 베이스(9) 상에 김을 깔아 두고 상기 성형 동작을 행하게 하면, 김 위에 쌀밥을 판형으로 성형하여 놓을 수 있다.
● 제1 압연 롤러의 구성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연 롤러(41)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는 제2 압연 롤러(42)와 쌍을 이루고 있다. 식재인 쌀밥(R)은 호퍼(2)로부터 압연부(4)에 유입된다. 유입된 쌀밥(R)은 상측의 제3 압연 롤러(43)와 제4 압연 롤러(44)에 의해 압연된 후, 하측의 제1 압연 롤러(41)와 제2 압연 롤러(42)에 유입된다. 쌀밥(R)은, 회전하고 있는 제1 압연 롤러(41)와 제2 압연 롤러(42)에 의해 판형으로 성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압연 롤러(41) 및 제2 압연 롤러(42)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선은 앞쪽 상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제1 압연 롤러(41)는 제2 압연 롤러(42)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압연부(4)에서는, 제2 압연 롤러(42)가 쌀밥(R)의 압연과 함께 쌀밥(R)의 중량을 규제하는 기능을 가지며, 제1 압연 롤러(41)가 판형 쌀밥(R)의 표면을 성형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연 롤러(41)는 예를 들어 팔각기둥 등의 대략 기둥체이다. 제1 압연 롤러(41)의 형상은, 제2 압연 롤러(42)와 함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쌀밥을 압연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팔각기둥에 한정하지 않고, 대략 원기둥 형상 등으로도 된다. 제1 압연 롤러(41)는, 쌀밥을 압연하는 둘레면(411)과, 둘레면(411)의 축방향의 양단면(412)과, 양단면(412)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축(413)을 가진다. 둘레면(411)의 축방향 길이(L)는 성형되는 식품의 종별에 따라 적절히 정해지지만, 말이초밥 성형용 식품 성형 장치(1)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180mm 정도이다.
각기둥 형상의 둘레면(411)은, 둘레면(411)의 횡단면에 나타나는 각 변의 정점 수에 대응하여 능선(415)을 가진다. 제1 압연 롤러(41)가 원기둥 형상인 경우, 능선(415)은 없다. 둘레면(411)에는,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복수의 돌기부(414)가 마련되어 있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414)는 인접하는 다른 돌기부(414)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돌기부(414)는, 둘레면(411)의 둘레방향, 즉 제1 압연 롤러(4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또한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돌기부(414)는 둘레면(411)의 정면에서 보면 마름모꼴 형상이다. 또, 돌기부(414)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대략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대략 타원형상이나 대략 삼각형상 등이어도 된다. 돌기부(414)는, 이를 정면에서 보아 마름모꼴의 한 변의 길이가 20mm 정도인 크기가 바람직하다.
돌기부(414)는, 대각선 중 하나가 능선(415)과 겹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414)는 다른 하나의 대각선이 둘레면(411)의 둘레 방향을 따르고 있다. 즉, 돌기부(414)는 마름모꼴의 정점인 제1 첨단부(4141)가 제1 압연 롤러(41)의 회전 방향 앞쪽에 있다. 또한, 돌기부(414)는 마름모꼴의 정점인 제2 첨단부(4142)가 제1 압연 롤러(41)의 회전 방향 뒤쪽에 있다.
돌기부(414)의 형상이 대략 다각형상인 경우에는, 정점이 첨단부가 되어 회전 방향 앞쪽 또는 뒤쪽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돌기부(414)의 형상이 정점을 가지지 않는 형상(예를 들어, 타원형상 등)인 경우에는, 변곡점 등으로 대표되는 형상의 능선의 방향이 바뀌는 위치가 첨단부가 된다. 이 경우, 그 첨단부가 회전 방향 앞쪽 및 뒤쪽에 위치하고 있으면 된다.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414)는, 둘레면(411)에 대략 평행한 평면부(4143)와, 제1 압연 롤러(41)의 회전 방향 앞쪽에 마련되어 있으며 둘레면(411)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경사부(4144)를 구비한다. 즉, 경사부(4144)는 회전 방향 앞쪽인 제1 첨단부(4141) 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평면부(4143)는 제2 첨단부(4142) 측에 마련되어 있다.
제1 압연 롤러(41)는, 돌기부(414)의 제1 첨단부(4141)가 그 회전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돌기부(414)의 제2 첨단부(4142)와 마주보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압연 롤러(41)의 회전시에 돌기부(414)와 쌀밥의 접촉 면적이 서서히 변화한다. 이 때문에, 쌀밥에 돌기부(414)가 접촉하면, 제1 압연 롤러(41)로부터의 압연력이 조금씩 가해진다. 제1 압연 롤러(41)가 쌀밥으로부터 떨어질 때에는, 제1 압연 롤러(41)로부터의 압연력으로부터 서서히 개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압연 롤러(41)에 의해 압연된 쌀밥은, 장인의 손에 의해 판형으로 펴진 것과 같이 쌀밥에 공기가 포함되어 부드러운 식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압연 롤러(41)는 돌기부(414)의 두께가 회전 방향 전후에서 다름으로써, 압연시의 쌀밥에의 불필요한 힘을 배제할 수 있다. 제1 압연 롤러(41)는 돌기부(414)의 두께가 회전 방향 전후에서 다름으로써, 돌기부(414)가 쌀밥에 파고들어가는 것에 의한 말려올라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회전 방향에서 인접하는 돌기부(414)끼리의 평면부(4143)의 회전 방향 전단(경사부(4144)의 회전 방향 후단)의 간격(I1)은 예를 들어 20mm이다. 또한, 돌기부(414)의 평면부(4143)의 회전 방향 후단과 회전 방향에서 인접하는 다른 돌기부(414)의 경사부(4144)의 회전 방향 전단의 간격(I2)은 예를 들어 10mm이다. 돌기부(414)의 평면부(4143)의 회전 방향 후단과 회전 방향에서 인접하는 다른 돌기부(414)의 경사부(4144)의 회전 방향 전단의 사잇각(θ)은 예를 들어 45°이다. 평면부(4143)의 둘레면(411)으로부터의 높이(H1)는 예를 들어 4mm이다. 또한, 경사부(4144)의 둘레면(411)으로부터의 높이(H2)는 예를 들어 1mm이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연 롤러(41)는, 식재인 쌀밥의 압연에 제공되는 둘레면(411)의 회전축 방향의 양단부에 테이퍼면(416)을 가지고 있다. 각 테이퍼면(416)은, 회전축 방향의 외방으로 향하여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다. 각 테이퍼면(416)의 부분에는, 제1 압연 롤러(41)의 회전축 방향에 따른 홈(417)이 제1 압연 롤러(41)의 회전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줄기 형성되어 있다. 홈(417) 대신에 복수의 돌출 줄기를 형성해도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압연 롤러(41)는, 테이퍼면(416)의 중심축선에 대한 각도(θ1)가 예를 들어 17°, 둘레면(411)의 지름(Φ1)이 예를 들어 50mm, 둘레면(411)의 축방향 양단의 양단면(412)의 지름(Φ2)이 예를 들어 35mm이다.
● 제1 압연 롤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한 효과
도 8에, 제1 압연 롤러(41)를 사용한 식품 성형 장치(1)에 의해 성형된 판형 쌀밥(50)의 예를 나타낸다. 판형 쌀밥(50)은, 식품 성형 장치(1)의 교반부(3)에 상하 2단에 걸쳐 쌍을 이루어 마련되어 있는 압연 롤러 중 최종단의 압연 롤러의 하나인 제1 압연 롤러(41)의 형태에 대응한 형태로 성형되어 있다. 즉, 판형 쌀밥(50)은, 제1 압연 롤러(41)의 둘레면(411)에 의해 거의 평탄하게 성형된 평탄부(51)와, 제1 압연 롤러(41)의 돌기부(414)에 대응하여 평탄부(51)에 성형된 오목부(52)를 가지고 있다.
또한, 판형 쌀밥(50)은, 제1 압연 롤러(41)의 회전축 방향 양단부의 테이퍼면(416)에 대응하여 좌우 양단 가장자리부에 경사면(53)을 가지고 있다. 제1 압연 롤러(41)는 판형 쌀밥(50)의 상면측을 성형하기 때문에, 경사면(53)은 판형 쌀밥(50)의 상면 측에, 또한 압연시의 쌀밥(50)의 진행 방향에서 보아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53)을 형성하는 쌀밥의 두께는 판형 쌀밥(50)의 좌우 방향 양단에서 가장 두껍고, 평탄부(51)에 이르기까지 연속적으로 두께가 얇아진다. 판형 쌀밥(50)의 하측 면은, 제2 압연 롤러(42)에 의해 거의 평면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판형 쌀밥(50)은 예를 들어 김말이를 제조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성형되면서 김 위에 놓인다. 김 위에 놓여 있는 판형 쌀밥(50)을 김과 함께 다음의 권체 공정에 부여하면, 쌀밥이 김에 둘러싸인 형태로 권체되어 봉상의 김말이가 가능하다. 판형 쌀밥(50)은 좌우 방향 양단에서 가장 두꺼워지기 때문에, 상기 권체 공정에서는 김말이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서 권체력이 가장 강하여 양단부에서 강고하게 권체된다. 따라서, 권체된 식재의 양단부에서의 형태 무너짐이 발생하기 어렵고 깨끗한 외관으로 마무리된다.
판형 쌀밥(50)은, 경사면(53)을 갖는 좌우 양단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대부분이 평탄부(51)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하여 권체된 봉상의 쌀밥은 거의 전체가 균일한 밀도로 권체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 판형 식품(쌀밥)을 봉상으로 성형한 예를 좌측에,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 판형 쌀밥을 봉상으로 성형한 예를 우측에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와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에 의해 성형된 판형 쌀밥을 봉상으로 성형하고 나아가 이를 절단한 예를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12에서는, 좌측이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를 사용한 경우를, 우측이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에 의한 경우도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에 의한 경우도 쌀밥으로 속재료를 싸서 넣고 쌀밥의 둘레를 김으로 만 김말이 초밥의 예이다.
도 11, 도 1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를 사용한 경우, 봉상으로 성형된 쌀밥의 길이 방향 양단부의 쌀밥 두께가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에 의한 경우보다 두껍다. 이에 따라 양단부의 권체력이 커지고, 속재료가 확실히 보유되며, 속재료와 함께 쌀밥도 넘쳐 나오기 어렵게 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단면은, 봉상으로 성형된 식품(쌀밥)의 길이 방향 양단부보다 내측에서의 횡단면이다. 이 단면에서는,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를 사용한 경우와 종래의 식품 성형 장치에 의한 경우에서 쌀밥의 두께에 차이는 없고, 모두 알맞게 권체되어 모두 깨끗한 절단면으로 되어 있다.
제1 압연 롤러(41)를 갖는 식품 성형 장치(1)에 의해 판형으로 성형된 쌀밥(50)에는, 제1 압연 롤러(41)의 돌기부(414)에 의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밥(50)의 표면을 장인의 손가락으로 누른 것과 같은 오목부(52)가 일정한 간격으로 생긴다. 판형의 쌀밥(50)에 오목부(52)가 생김으로써, 쌀밥(50)을 권체하였을 때, 쌀밥(50)의 쌀알 사이에 적당한 공기를 포함시킬 수 있어 쌀밥의 식감을 높일 수 있다.
식품 성형 장치(1)에서는, 제1 압연 롤러(41)를 상측에 배치하고, 일반적인 형상의 제2 압연 롤러(42)를 하측에 배치하여 복수 단계에 걸치는 압연의 최종단을 제1 압연 롤러(41)와 제2 압연 롤러(42)가 맡고 있다. 제2 압연 롤러(42)는, 제1 압연 롤러(41)와의 간격을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쌀밥의 중량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제1 압연 롤러(41)에 의해 판형으로 성형되는 쌀밥(50)에 오목부(52)가 형성됨으로써, 쌀밥(50)으로 속재료를 싸서 권체였을 때, 속재료가 쌀밥(50)에 잘 어우러져 속재료가 쌀밥(50)으로부터 빠지기 어렵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말이 초밥은 속재료가 구석구석까지 쌀밥(50)에 들어가기 때문에, 말이 초밥을 절단하였을 때의 절단면이 보기에 좋아진다.
제1 압연 롤러(41)는, 돌기부(414)의 회전 방향 전방의 제1 첨단부(4141) 측의 경사부(4144)에 의해 제1 압연 롤러(41)가 쌀밥을 압연하면서 회전할 때에 돌기부(414)의 엣지 부분에 쌀밥이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1 압연 롤러(41)에서는 경사부(4144)를 구비함으로써, 특히 쌀밥을 얇게 압연할 때에 판형의 쌀밥마다 제1 압연 롤러(41)에 부착되는 이른바 말려올라감을 막을 수 있다.
제1 압연 롤러(41)의 양단부의 테이퍼면(416)에 홈(417) 또는 돌출 줄기가 형성됨으로써, 테이퍼면(416)에서의 쌀밥의 반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 제1 압연 롤러의 변형예
도 9는 제1 압연 롤러(4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θ1이 18.5°, Φ1이 50mm, Φ2가 30mm이다. 그 밖에 둘레면(411), 복수의 돌기부(414), 축(413) 등의 구성 및 둘레면(411)의 축방향 길이(L)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한 제1 압연 롤러(4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압연 롤러(41)의 상기 θ1, Φ1, Φ2의 값은 상술한 2가지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L이 상기 2가지 예와 동일한 180mm인 경우, θ1이 13°, Φ1이 50mm, Φ2가 39.5mm이어도 소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1 압연 롤러(41)의 양단부의 테이퍼면(416)을 형성하는 범위를 어느 정도로 할지에 따라 봉상으로 성형되는 식재의 양단부의 권체 정도가 다르다. 상기와 같이 L이 180mm, θ1이 13°, Φ1이 50mm인 경우, 테이퍼면(416)의 범위가 8mm 이상이면 소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변형예와 같이, 제1 압연 롤러(41)는, 돌기부(414)의 평면부(4143)와 경사부(4144)의 경계에 능선을 가지지 않는 형상이어도 된다. 도 10에 도시된 제1 압연 롤러(41)의 변형예에서는, 돌기부(414)의 평면부(4143)의 면과 경사부(4144)의 면이 부드럽게 이어져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압연 롤러(41)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 그 밖의 변형예
식품 성형 장치의 압연부는, 식재를 복수 단계에 걸쳐 압연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1단계만으로 압연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최종 단계의 압연 롤러 중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이면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실시예에 관한 식품 성형 장치(1)에 있어서, 제2 압연 롤러(42)가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이어도 되고, 제1, 제2 압연 롤러(41, 42)가 모두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이어도 된다.
상기 최종 단계의 압연 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본 발명에 관한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로 하면,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의 양단부의 테이퍼면(416)의 주속(peripheral speed)이 둘레면(411)의 주속보다 느려져서, 테이퍼면(416)에 의한 식재의 이송량이 적어진다. 그러나, 압연의 전단계 혹은 교반부(3)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쌀밥이 테이퍼면(416)에 대응하는 부분에 충전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우 양단부의 두께가 큰 판형 쌀밥(50) 등의 식재를 얻을 수 있다.
1 식품 성형 장치
2 호퍼
3 교반부
4 압연부
5 반송부
9 베이스
12 돌출부
16 스토퍼
31 제1 교반 날개
32 제2 교반 날개
34 경사 가이드
41 제1 압연 롤러
42 제2 압연 롤러
43 제3 압연 롤러
44 제4 압연 롤러
45 커터부
46 가이드 부재
50 쌀밥
51 평탄부
52 오목부
53 경사면
411 둘레면
412 단면
414 돌기부
415 능선
416 테이퍼면
4141 제1 첨단부
4142 제2 첨단부
4143 평면부
4144 경사부

Claims (9)

  1. 회전함으로써 식재를 압연하는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로서,
    식재의 압연에 제공되는 둘레면의 회전축 방향의 양단부는, 상기 회전축 방향의 외방으로 향하여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2. 쌍을 이루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회전함으로써 식재를 압연하는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로서,
    쌍을 이루는 상기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의 적어도 한쪽은, 식재의 압연에 제공되는 둘레면의 회전축 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회전축 방향의 외방으로 향하여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인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형상의 부분에 상기 회전축 방향의 홈 또는 돌출 줄기를 갖고 있는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형상의 부분에 상기 회전축 방향의 홈 또는 돌출 줄기를 갖고 있는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둘레면에는, 복수의 돌기부가 상기 회전축 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는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둘레면에는, 복수의 돌기부가 상기 회전축 방향 및 회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는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회전 방향의 앞쪽에 제1 첨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8.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회전 방향의 뒤쪽에 제2 첨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9. 회전하여 식재를 압연하는 압연 롤러를 갖는 식품 성형 장치로서,
    상기 압연 롤러의 적어도 하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인 식품 성형 장치.
KR1020170159122A 2017-02-21 2017-11-27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및 식품 성형 장치 KR1025052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29613A JP6978746B2 (ja) 2017-02-21 2017-02-21 食品成形用圧延ローラおよび食品成形装置
JPJP-P-2017-029613 2017-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484A true KR20180096484A (ko) 2018-08-29
KR102505294B1 KR102505294B1 (ko) 2023-03-02

Family

ID=6322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122A KR102505294B1 (ko) 2017-02-21 2017-11-27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및 식품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78746B2 (ko)
KR (1) KR102505294B1 (ko)
CN (1) CN1084509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3999A (zh) * 2019-09-19 2019-12-20 邳州美味宫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成型食品的滚动辊和食品成形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4B2 (ko) * 1977-10-13 1987-01-09 Kerunfuorushungusuanraage Yuuritsuhi Gmbh
JP2559286B2 (ja) 1990-08-03 1996-12-04 喜作 鈴木 海苔巻成形機における米飯の圧縮移送機構
JP2007104922A (ja) * 2005-10-11 2007-04-26 Fuji Seiki Co Ltd 巻寿司連続製造装置
KR20140029190A (ko) * 2012-08-28 2014-03-10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식품 성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6541A (en) * 1989-04-24 1990-10-30 Mistretta Joseph L Sheeting head stripper wire adjuster
SU1708226A1 (ru) * 1989-05-25 1992-01-30 Московский технолог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пищев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Устройство дл формовани в зкопластичных пищевых масс
US5234705A (en) * 1990-12-27 1993-08-10 Simon Mani Method of making pita bread with reinforced surfaces
JP3620844B1 (ja) * 2003-09-12 2005-02-16 不二精機株式会社 食材盛付装置
JP4875999B2 (ja) * 2007-02-28 2012-02-15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米飯成形装置
CN202958613U (zh) * 2012-11-07 2013-06-05 山东金谷食品有限公司 自动分丝器
US20140212553A1 (en) * 2013-01-29 2014-07-31 Marc Ouaknine Sushi making apparatus
CN203233954U (zh) * 2013-05-07 2013-10-16 无锡孚德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岛状饺子皮面带压制机构
JP3187111U (ja) * 2013-08-30 2013-11-07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アーツ 生地成形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44B2 (ko) * 1977-10-13 1987-01-09 Kerunfuorushungusuanraage Yuuritsuhi Gmbh
JP2559286B2 (ja) 1990-08-03 1996-12-04 喜作 鈴木 海苔巻成形機における米飯の圧縮移送機構
JP2007104922A (ja) * 2005-10-11 2007-04-26 Fuji Seiki Co Ltd 巻寿司連続製造装置
KR20140029190A (ko) * 2012-08-28 2014-03-10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식품 성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78746B2 (ja) 2021-12-08
JP2018134013A (ja) 2018-08-30
CN108450988B (zh) 2021-11-02
KR102505294B1 (ko) 2023-03-02
CN108450988A (zh)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24112A (en) Production of biscuits
US56142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lattice baked food products
EP01642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aminated products
KR20180096484A (ko)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및 식품 성형 장치
EP0841009B1 (en) A device for shaping portions of bread dough or the like
CN110583999A (zh) 一种用于成型食品的滚动辊和食品成形装置
KR101064824B1 (ko) 잘림 자국이 들어간, 생선살을 으깨어 만든 식품의 제조장치
US8048465B2 (en) Methods for producing elbow-shaped crackers
KR102093730B1 (ko) 또띠아용 반죽볼 성형기의 롤링 유니트
US46569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ly cutting shredded grain product
US6263788B1 (en) Food extrusion apparatus
KR20170037497A (ko) 식품 성형용 압연 롤러, 식품 성형 장치
JP2559286B2 (ja) 海苔巻成形機における米飯の圧縮移送機構
CN111602693A (zh) 饺子皮擀皮机和饺子皮用挤子
KR101921269B1 (ko) 목화솜 탕수육 제조장치
JP4786681B2 (ja) 食品成形装置及び方法
CN1073384C (zh) 白瓜子开口机器
JP7294726B1 (ja) 食品生地の丸め装置
CN220384139U (zh) 一种食品加工切割夹馅一体机
JPH07298827A (ja) 固形物入り食パンの製造方法
CN107593834A (zh) 炸制品用混合物的成型方法
EP4353360A1 (fr) Procede et dispositif pour moudre des grains
KR20150050294A (ko) 수제비와 칼국수 동시 성형 로울러 및 그 제조방법, 그 로울러를 이용한 수제비와 칼국수 동시 성형장치
JPH03262447A (ja) 飯均し装置とその方法
CN115697065A (zh) 用于面团产品的切割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