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720A - 체인 및 체인 전동 장치 - Google Patents

체인 및 체인 전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720A
KR20180091720A KR1020180011371A KR20180011371A KR20180091720A KR 20180091720 A KR20180091720 A KR 20180091720A KR 1020180011371 A KR1020180011371 A KR 1020180011371A KR 20180011371 A KR20180011371 A KR 20180011371A KR 20180091720 A KR20180091720 A KR 20180091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guide
contact convex
convex portion
ou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3716B1 (ko
Inventor
마사히코 콘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180091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3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3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12Chain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 F16G13/07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the links being of identical shape, e.g. crank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16H2007/02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with belts running in a mist of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72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185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the guid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elt, rope or chain having particular shapes, structur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가이드 립부에 대한 체인의 접동 저항을 저감함과 동시에, 가이드 립부와 외플레이트와의 사이의 유막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체인 및 체인 전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40, 60)에는, 체인폭 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외플레이트(60)가 포함되고, 외플레이트(60)는, 연결 핀(50)이 삽입되는 전후 한 쌍의 핀 홀(61)과, 체인 가이드(80)의 주행 안내면(81a) 측에 면하는 가이드측 단면(62)과, 외플레이트(6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촉 철부(63)를 갖고, 접촉 철부(63)는, 플레이트 높이 방향에서 핀 홀(61)과 가이드측 단면(62)과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체인(20)이다.

Description

체인 및 체인 전동 장치{CHAIN AND CHAIN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를 연결 핀에 의해서 굴곡 가능하게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체인 및 체인 전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의 엔진 룸 내의 타이밍 시스템 등에 짜넣어져서(incorporated), 복수의 스프로켓(sprocket)에 감겨지는 롤러 체인 등의 체인과, 체인 장력을 적정하게 보관 유지하는 체인 가이드를 구비하는 체인 전동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체인 가이드에는, 체인의 링크 플레이트를 접동 안내하는 주행 안내면과, 주행 안내면의 폭 방향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립부(guide lip portion)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 립부에 의해서, 주행 안내면 상을 체인이 주행할 때에, 체인이 체인폭 방향으로 일측으로 치우쳐졌을 경우에도, 체인 가이드로부터 체인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6-242357호 공보
그런데, 종래의 체인 전동 장치에서는, 체인 가이드의 주행 안내면 상을 체인이 주행할 때에, 체인이 체인폭 방향으로 일측으로 치우쳐졌을 경우, 가이드 길이 방향에 걸쳐,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에 대해서 외플레이트의 외측면이 접동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접동 저항이 크고, 자동차 엔진의 연비 성능이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가이드 길이 방향에 따른 체인 가이드의 만곡이 크고, 주행 안내면의 곡률 반경이 작은 경우, 체인을 걸었을 때에, 체인으로부터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으로의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가 한층 악화되게 된다.
더욱,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에 대해서 외플레이트의 외측면이 접촉한 상태로, 체인이 주행했을 경우, 가이드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에서,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과 외플레이트의 외측면과의 사이의 유막이 얇아지거나, 또는, 유막이 끊어지는 일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의 마모가 진행하고, 그 결과, 체인의 원활한 주행이 저해되거나, 가이드 립부에 파손이 생겨 체인의 탈락이 생길 우려도 있었다.
거기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가이드 립부에 대한 체인의 접동 저항을 저감함과 동시에, 가이드 립부와 외플레이트와의 사이의 유막을 안정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체인 및 체인 전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체인은,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를 연결 핀에 의해서 굴곡 가능하게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체인이며, 상기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에는, 체인폭 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외플레이트가 포함되고, 상기 외플레이트는, 상기 연결 핀이 삽입되는 전후 한 쌍의 핀 홀과, 체인 가이드의 주행 안내면 측에 면하는 가이드측 단면과, 상기 외플레이트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촉 철부(凸部)를 갖고, 상기 접촉 철부는, 플레이트 높이 방향에서 상기 핀 홀과 상기 가이드측 단면과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체인 전동 장치는, 상기 체인과, 상기 체인을 접동 안내하는 체인 가이드를 구비하는 체인 전동 장치이며, 상기 체인 가이드는, 상기 체인을 접동 안내하는 주행 안내면과, 상기 주행 안내면의 가이드폭 방향의 적어도 일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립부를 갖고, 상기 접촉 철부는, 상기 체인이 체인폭 방향으로 일측으로 치우쳐졌을 때에, 상기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높이 위치에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하면, 외플레이트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촉 철부가, 플레이트 높이 방향에서 핀 홀과 가이드측 단면과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고 있으므로, 체인이 체인폭 방향으로 일측으로 치우쳐졌을 경우에,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에 접촉 철부가 접촉하여,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에 대한 외플레이트의 외측면의 접촉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이드 립부와 외플레이트와의 사이의 접동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에 접촉 철부가 접촉함으로써,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과 외플레이트의 외측면과의 사이에는 항상 틈이 형성되어,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과 외플레이트와의 사이의 유막이 얇아지거나 유막이 끊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립부의 마모나 파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과 외플레이트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항상 틈이 형성됨으로써, 해당 틈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가이드 립부와 외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급유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가이드 립부와 외플레이트와의 접동 접촉에 의해서 생기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체인 가이드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체인 가이드의 열 열화(熱劣化)의 촉진을 억제하고, 장기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서, 체인 가이드의 경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접동 저항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접촉 철부의 정점이 곡면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므로, 가이드 립부에 대한 접촉 철부의 접동 저항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접촉 철부가, 체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대상(帶狀, belt-like shape)으로 형성되어, 체인 길이 방향에서 접촉 철부의 적어도 일단이, 체인 길이 방향에서 접촉 철부의 선단 측에 향함에 따라서 외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가까워지도록, 곡면상으로 형성되고 있으므로, 체인 가이드에 대한 체인의 진입 시에, 가이드 립부에 대한 외플레이트의 과도한 간섭을 회피하여, 체인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체인을 완만하게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체인 가이드에 대한 체인의 충돌에 기인한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체인을 고속으로 주행시킬 때의 공기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접촉 철부가 점상의 돌기로서 형성되고 있으므로,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에 대해서 외플레이트를 점접촉에 가까운 상태로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이드 립부와 외플레이트와의 사이의 접동 저항을 더욱 저감 가능하고, 가이드 립부와 외플레이트와의 사이의 유막을 더욱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점상의 접촉 철부가 체인 길이 방향에 복수 나란하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가이드 립부에 대한 체인의 접촉 시에, 가이드 립부에 대한 외플레이트의 평행을 유지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체인의 곡선을 억제하여, 안정된 체인 주행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외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외플레이트의 외측면에서 접촉 철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요부가 형성되고 있으므로, 내측면 측으로부터 외측면 측을 향하여 외플레이트의 일부를 밀어 넣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외플레이트에 접촉 철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체인의 제조 부담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외플레이트에 시행하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플레이트 표면의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플레이트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외플레이트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부를 유저류부(oil storage portion)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플레이트와 내플레이트와의 사이의 접동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접촉 철부가, 플레이트 높이 방향으로 복수 나란하게 형성되고 있으므로,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에 대한 외플레이트의 접촉 상태를 안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안정된 체인 주행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접촉 철부간의 틈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가이드 립부와 외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급유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막 형성의 기능에 대해서도 손상되지 않는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체인 전동 장치의 사용 태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2] 체인 가이드의 안내 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체인의 일부를 단면을 나타내 보이는 설명도.
[도 4a]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외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b]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외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 제1 실시 형태에서 체인 가이드 상의 체인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a]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외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b]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외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 제2 실시 형태에서 체인 가이드 상의 체인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a]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외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b]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외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c]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외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9] 제3 실시 형태에서 체인 가이드 상의 체인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a]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외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0b]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외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외플레이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 외플레이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체인 전동 장치(10)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체인 전동 장치(10)는, 도 1에 나타내듯이, 자동차 엔진용의 타이밍 시스템에 짜넣어져서, 엔진 룸 내의 크랭크축 및 캠 축에 설치한 스프로켓(S1~S3)과, 스프로켓(S1~S3)에 돌려진 체인(20)과, 체인(20)의 이완 측(slack side)에 설치된 가동 가이드로서의 체인 가이드(80)와, 체인(20)의 당김 측(tense side)에 설치된 고정 가이드(G)와, 체인 가이드(80)를 체인(20) 측을 향하여 압압하는 텐셔너(T)를 구비하고 있다.
체인 가이드(80)는, 엔진 블록(도시하지 않음)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체인(20)을 접동 안내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내듯이, 주행하는 체인(20)을 접동 안내하는 안내 슈(81)와, 안내 슈(81)를 가이드 길이 방향(체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82)를 구비하고 있다. 안내 슈(81) 및 베이스 부재(82)는, 합성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되고 있다.
안내 슈(81)는, 도 2에 나타내듯이, 체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체인(20)을 접동 안내하는 주행 안내면(81a)과, 주행 안내면(81a)의 가이드폭 방향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립부(81b)를 가지고 있다.
각 가이드 립부(81b)의 체인 주행 방향의 앞측 단부에는, 체인 주행 방향의 안길이 측(奧側)을 향함에 따라 폭 방향 내측에 다가가도록 경사한 내측면 슬로프가 설치되고 있다. 각 내측면 슬로프는, 폭 방향 내측에 철상(凸狀)의 R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체인(20)은, 소위 롤러 체인으로서 구성되어, 도 3에 나타내듯이, 전후 한 쌍의 부시(bushing)(30)의 양단을 좌우 한 쌍의 내플레이트(링크 플레이트)(40)의 부시 홀(bushing hole)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내링크와, 전후 한 쌍의 연결 핀(50)의 양단을 좌우 한 쌍의 외플레이트(링크 플레이트)(60)의 핀 홀(pin hole)(61)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외링크와, 부시(30)에 외감된 롤러(70)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내링크 및 외링크는, 부시(30) 내에 연결 핀(50)을 삽입함으로써, 체인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연결되고 있다. 연결 핀(50)의 양단은, 외플레이트(6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있다.
외플레이트(60)는, 도 4a, 도 4b에 나타내듯이, 연결 핀(50)이 삽입되는 전후 한 쌍의 핀 홀(61)과, 체인 가이드(80)의 주행 안내면(81a) 측에 면하는 가이드측 단면(하단면)(62)과, 외플레이트(6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촉 철부(凸部)(63)를 가지고 있다.
접촉 철부(63)는, 도 4a, 도 4b에 나타내듯이, 플레이트 높이 방향에서 핀 홀(61)(의 바깥 테두리)과 가이드측 단면(62)과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체인(20)이 체인폭 방향으로 일측으로 치우쳐졌을(片寄, displaced to one side) 경우에, 가이드 립부(81b)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높이 위치에 형성되고 있다.
접촉 철부(63)는, 도 4a, 도 4b에 나타내듯이, 외플레이트(60)의 체인 길이 방향의 일단 테두리로부터 타단 테두리에 걸쳐, 체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대상(帶狀)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 접촉 철부(63)의 단면 형상(체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에서 단면을 나타낸 경우의 단면 형상)은, 반원 또는 대략 반원상으로 형성되고, 접촉 철부(63)의 정점은, 곡면상(曲面狀)으로 형성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체인 전동 장치(10)에 대해서, 도 6a, 도 6b 및 도 7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외플레이트(60)의 일부 구성 이외에서는, 일부 구성 이외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차이점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6a, 도 6b에 나타내듯이, 외플레이트(60)의 내측면에는, 외플레이트(60)의 외측면에서 접촉 철부(63)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요부(64)가 형성되고 있다.
요부(64)는, 내측면 측으로부터 외측면 측을 향하여 외플레이트(60)의 일부를 밀어 넣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서, 접촉 철부(63)와 함께 형성된다. 또, 접촉 철부(63)나 요부(64)를 절삭 등의 다른 방법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듯이, 외플레이트(60)의 내측면에 형성된 요부(64)를 유저류부(oil storage portion)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플레이트(60)와 내플레이트(40)와의 사이의 접동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체인 전동 장치(10)에 대해서, 도 8a~8c 및 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외플레이트(60)의 일부 구성 이외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차이점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 8a~8c에 나타내듯이, 대상(帶狀)의 접촉 철부(63)의 체인 길이 방향에서 단부(63a)가, 체인 길이 방향에서 접촉 철부(63)의 선단측(외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플레이트(60)의 외측면에 가까워지도록, 곡면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또,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 8a~8c에 나타내듯이, 접촉 철부(63)가, 외플레이트(60)의 체인 길이 방향의 일단 테두리 및 타단 테두리에 이르지 않는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도 8a~8c에 나타내듯이, 접촉 철부(63)의 양단이, 핀 홀(61)의 중심을 통해 체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보다 체인 길이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접촉 철부(63)는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지는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 철부(63)의 단부(63a)를 곡면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도 9에 나타내듯이, 체인 가이드(80)에 대한 체인(20)의 진입 시에, 가이드 립부(81b)에 대한 접촉 철부(63)의 과도한 간섭을 회피하고, 체인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서 체인(20)를 완만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체인 길이 방향에서 접촉 철부(63)의 양단이, 곡면상으로 형성되고 있지만, 체인 길이 방향에서 접촉 철부(63)의 일단측만을 곡면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 접촉 철부(63)의 일단측만을 곡면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곡면상으로 형성한 접촉 철부(63)의 일단측을 체인 주행 방향의 전방 측을 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체인 전동 장치(10)에 대해서, 도 10a, 도 10b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외플레이트(60)의 일부 구성 이외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완전히 동일하기 때문에, 차이점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듯이, 접촉 철부(63)가, 체인 길이 방향에서 외플레이트(60)의 중앙 위치에서, 점상(点狀)의 돌기로서 형성되고 있다.
또한, 접촉 철부(63)의 구체적 형상에 대해서는, 도 10a, 도 10b에 나타내듯이, 반구상 또는 대략 반구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접촉 철부(63)의 구체적 형상은 어떤 것이라도 좋다. 또, 가이드 립부(81b)에 대한 접촉 철부(63)의 접동 저항을 줄이는 관점으로부터, 접촉 철부(63)의 적어도 선단측이 구면상 또는 대략 구면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4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서, 도 11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접촉 철부(63)를, 체인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제1~3 실시 형태에서 대상(帶狀)의 접촉 철부(63)에 대해서도, 복수로 분할하고, 체인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해도 좋다.
또, 제1~4 실시 형태에 공통되는 변형예로서, 도 12에 나타내듯이, 접촉 철부(63)를 플레이트 높이 방향으로 복수 나란하게 형성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복수의 실시 형태의 각 구성을, 임의로 조합하여 체인 전동 장치를 구성해도 좋고, 예를 들면, 제2 실시 형태의 외플레이트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요부를 다른 실시 형태의 외플레이트에 적용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체인이, 소위 롤러 체인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체인의 구체적 태양에 대해서는,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를 연결 핀에 의해서 굴곡 가능하게 연결한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고, 예를 들면, 부시 체인이나 사일런트 체인이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체인이 자동차 엔진용의 타이밍 체인인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체인의 구체적 용도는 어떤 것이라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체인이, 체인 가이드의 주행 안내면에 대해서 외플레이트 및 내플레이트의 가이드측 단면(하단면)을 접동시킨 상태로 주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체인의 구체적 태양은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체인 주행 시에 주행 안내면에 대해서 외플레이트의 가이드측 단면만을 접촉시켜도 좋고, 또, 체인 주행 시에 주행 안내면에 대해서 내플레이트의 가이드측 단면만을 접촉시켜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체인 가이드가, 엔진 블록(설치 대상)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요동 가이드로서 구성되어 있지만, 엔진 블록에 고정되는 고정 가이드로서 체인 가이드를 구성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 철부가 외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접촉 철부의 구체적 태양에 대해서는 상기로 한정되지 않고, 접촉 철부를 외플레이트와는 별체로 형성하고, 외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접촉 철부를 접착 등의 수단에 의해서 고착해도 좋다. 또, 접촉 철부의 구체적 형상에 대해서는, 어떤 것이라도 좋지만, 가이드 립부에 접동 저항의 저감을 고려하면, 그 정점이 곡면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체인 가이드가, 안내 슈와 베이스 부재로 구성되어, 주행 안내면 및 가이드 립부의 양쪽 모두가 안내 슈에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체인 가이드의 구체적 태양에 대해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체인 가이드 전체가 일체로 성형되고 있어도 좋고, 또, 가이드 립부를 베이스 부재에 형성해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가이드 립부가, 주행 안내면의 가이드폭 방향의 양단에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가이드 립부는, 주행 안내면의 가이드폭 방향의 적어도 일단에 형성하면 좋다.
10···체인 전동 장치
20···체인
30···부시
40···내플레이트(링크 플레이트)
50···연결 핀
60···외플레이트(링크 플레이트)
61···핀 홀
62···가이드측 단면
63···접촉 철부
64···요부
70···롤러
80···체인 가이드
81···안내 슈
81a···주행 안내면
81b···가이드 립부
82···베이스 부재
S1~S3···스프로켓
T···텐셔너
G···고정 가이드

Claims (8)

  1.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를 연결 핀에 의해서 굴곡 가능하게 연결해서 이루어지는 체인이며,
    상기 복수의 링크 플레이트에는, 체인폭 방향의 양 외측에 배치되는 외플레이트가 포함되고,
    상기 외플레이트는, 상기 연결 핀이 삽입되는 전후 한 쌍의 핀 홀과, 체인 가이드의 주행 안내면 측에 면하는 가이드측 단면과, 상기 외플레이트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접촉 철부(凸部)를 갖고,
    상기 접촉 철부는, 플레이트 높이 방향에서 상기 핀 홀과 상기 가이드측 단면과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철부의 정점은, 곡면상(曲面狀)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철부는, 체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대상(帶狀)으로 형성되고,
    체인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접촉 철부의 적어도 일단은, 체인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접촉 철부의 선단 측을 향함에 따라서 상기 외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가까워지도록, 곡면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철부는, 점상(点狀)의 돌기로서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철부는, 체인 길이 방향으로 복수 나란하게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상기 외플레이트의 외측면에서 상기 접촉 철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요부(凹部)가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철부는, 플레이트 높이 방향으로 복수 나란하게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체인과, 상기 체인을 접동 안내하는 체인 가이드를 구비하는 체인 전동 장치며,
    상기 체인 가이드는, 상기 체인을 접동 안내하는 주행 안내면과, 상기 주행 안내면의 가이드폭 방향의 적어도 일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립부를 갖고,
    상기 접촉 철부는, 상기 체인이 체인폭 방향으로 일측으로 치우쳐졌을(片寄, displaced to one side) 때에, 상기 가이드 립부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높이 위치에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전동 장치.
KR1020180011371A 2017-02-06 2018-01-30 체인 및 체인 전동 장치 KR1021137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19666A JP6802483B2 (ja) 2017-02-06 2017-02-06 チェーンおよびチェーン伝動装置
JPJP-P-2017-019666 2017-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720A true KR20180091720A (ko) 2018-08-16
KR102113716B1 KR102113716B1 (ko) 2020-05-21

Family

ID=6291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371A KR102113716B1 (ko) 2017-02-06 2018-01-30 체인 및 체인 전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71209B2 (ko)
JP (1) JP6802483B2 (ko)
KR (1) KR102113716B1 (ko)
CN (1) CN108397519B (ko)
DE (1) DE10201820128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2482B2 (ja) * 2017-02-06 2020-12-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およびチェーン伝動装置
JP7035880B2 (ja) * 2018-07-25 2022-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
JP7461114B2 (ja) * 2019-06-07 2024-04-0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ンクプレート
JP2021046889A (ja) * 2019-09-18 2021-03-25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チェーン伝動システ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6918A1 (en) * 1999-12-27 2001-07-05 Toyonaga Saitou Silent chain
JP2006242357A (ja) 2005-03-07 2006-09-14 Tsubakimoto Chain Co 伝動装置用摺接ガイド
KR20090094017A (ko) * 2006-12-20 2009-09-02 보그워너 모스 텍 저팬 가부시끼가이샤 사일런트 체인
KR101717450B1 (ko) * 2009-04-03 2017-03-17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체인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91580B (de) * 1963-09-26 1969-03-27 Morse Chain Co Kettenglied mit Verstaerkungen
US3792623A (en) * 1971-05-12 1974-02-19 T Kuratomi Roller chains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R2594196A1 (fr) * 1986-02-10 1987-08-14 Sedis Transmissions Mec Chaine, notamment pour cycle muni d'un derailleur
US5203745A (en) * 1992-05-08 1993-04-20 Wang Wen B Inner and outer chain plates for bicycle having multiple wheels
GB2277138A (en) * 1993-04-15 1994-10-19 Nah Bang Ind Co Ltd Bicycle chain
US5337886A (en) * 1993-06-04 1994-08-16 Rexnord Corporation Chain with self aligning flight support links
JP3075989B2 (ja) * 1996-07-16 2000-08-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サイレントチェーン
DE19817235A1 (de) * 1998-04-18 1999-10-21 Murrplastik Systemtechnik Gmbh Kettenglied für Energieführungsketten
US6406394B1 (en) 1999-04-28 2002-06-18 Borgwarner Inc. Power transmission chain having links with lateral spacing elements
US7048665B2 (en) * 1999-04-28 2006-05-23 Borgwarner Inc. Power transmission chain having links with lateral spacing elements
US20020123402A1 (en) * 2001-03-05 2002-09-05 Mott Philip J. Compression type inverted tooth chain
JP2003294089A (ja) * 2002-03-29 2003-10-15 Honda Motor Co Ltd ローラチェーン
JP2004028154A (ja) * 2002-06-24 2004-01-29 Borg Warner Morse Tec Japan Kk サイレントチェーン用リンクプレート、ガイドリンクおよび屈曲規制リンクならびにこれらを含むサイレントチェーン
JP2005240835A (ja) * 2004-02-24 2005-09-08 Borg Warner Morse Tec Japan Kk サイレントチェーン
DE102004011572A1 (de) * 2004-03-10 2005-09-29 Sram Deutschland Gmbh Fahrradkette mit ausgebauchten Außen- und außen angefasten Innenlaschen
JP2007092798A (ja) * 2005-09-27 2007-04-12 Tsubakimoto Chain Co サイレントチェーン
JP4815221B2 (ja) 2006-01-23 2011-1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ピンおよびサイレントチェーン
US20080132369A1 (en) 2006-12-01 2008-06-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Longitudinal Spring Damper for Damping Chain Vibration
JP2008256186A (ja) * 2007-04-09 2008-10-23 Tsubakimoto Chain Co サイレントチェーン
JP5117753B2 (ja) * 2007-04-11 2013-01-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摺動部品
JP2009144742A (ja) * 2007-12-11 2009-07-02 Tsubakimoto Chain Co サイレントチェーン
US7543437B1 (en) * 2008-03-30 2009-06-09 Tien Hsin Industries Co., Ltd Link plate assembly for a chain
US20110028256A1 (en) * 2008-04-16 2011-02-03 Renold Plc Chain
JP5675059B2 (ja) * 2009-05-26 2015-02-25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サイレントチェーン
JP5253428B2 (ja) * 2010-01-26 2013-07-3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リンクプレート
CN203115026U (zh) * 2012-12-28 2013-08-07 青岛征和工业有限公司 柴油发动机用新型正时套筒链传动系统
CN103410934B (zh) * 2013-07-17 2016-05-25 广州大学 一种刚性链条推拉执行机构
DE102016009814A1 (de) * 2015-09-09 2017-03-09 Sram Deutschland Gmbh Rollenketten-Innenlasche
US10480617B2 (en) * 2017-08-08 2019-11-19 Shimano Inc. Bicycle cha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06918A1 (en) * 1999-12-27 2001-07-05 Toyonaga Saitou Silent chain
JP2006242357A (ja) 2005-03-07 2006-09-14 Tsubakimoto Chain Co 伝動装置用摺接ガイド
KR20090094017A (ko) * 2006-12-20 2009-09-02 보그워너 모스 텍 저팬 가부시끼가이샤 사일런트 체인
KR101717450B1 (ko) * 2009-04-03 2017-03-17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97519A (zh) 2018-08-14
US20180223969A1 (en) 2018-08-09
KR102113716B1 (ko) 2020-05-21
DE102018201280A1 (de) 2018-08-09
CN108397519B (zh) 2020-04-24
JP2018128035A (ja) 2018-08-16
DE102018201280B4 (de) 2022-07-28
US10871209B2 (en) 2020-12-22
JP6802483B2 (ja)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1720A (ko) 체인 및 체인 전동 장치
KR20180091719A (ko) 체인 및 체인 전동 장치
US8771117B2 (en) Chain transmission apparatus
US8747263B2 (en) Transmission guide
JP4137147B2 (ja) 低フリクションチェーン
KR101436203B1 (ko) 동력 전달 체인
JPH1144349A (ja) 伝動チェーンの走行案内シュー
JP3250660B2 (ja) 伝動チェーン用プレート
GB2499507A (en) Chain having chain guide contacting links curved in the widthwise and longitudinal directions
US20110263369A1 (en) Chain
KR20090021069A (ko) 엔진용 체인 가이드
KR20180097133A (ko) 체인 가이드 및 체인 전동 장치
JP6200302B2 (ja) チェーン
JP2015218756A (ja) チェーンガイド
KR101667317B1 (ko) 체인 전동장치
JP2014109305A (ja) チェーン伝動装置
JP2010043653A (ja) チェーンおよびチェーン式動力伝達システム
US10502288B2 (en) Chain drive device and chain guide
JP7421098B2 (ja) チェーンガイド
JP2010281383A (ja) 曲面型チェーンガイド
JP2009299728A (ja) 伝動チェーン走行案内シュー
JP2013148209A (ja) チェーン伝動装置
JP2013245747A (ja) 動力伝達チェーンおよび動力伝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