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4017A - 사일런트 체인 - Google Patents

사일런트 체인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4017A
KR20090094017A KR1020097013749A KR20097013749A KR20090094017A KR 20090094017 A KR20090094017 A KR 20090094017A KR 1020097013749 A KR1020097013749 A KR 1020097013749A KR 20097013749 A KR20097013749 A KR 20097013749A KR 20090094017 A KR20090094017 A KR 20090094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guide
silent chain
plates
si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2415B1 (ko
Inventor
유키오 요시다
Original Assignee
보그워너 모스 텍 저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그워너 모스 텍 저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보그워너 모스 텍 저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4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4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4Toothed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마찰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사일런트 체인에 관한 것이다. 사일런트 체인(1)은, 한 쌍의 톱니부(22)와 한 쌍의 핀구멍(21)을 포함하는,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들(2)이 두께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축적되고, 가이드 플레이트들(4)이 링크 플레이트들(2)의 최외측상에 배열되며, 상기 링크 플레이트(2)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는 연결핀(3)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사일런트 체인(1)이 주행하는 동안, 체인 가이드(56)의 가이드부들(56B)과 텐션암(57)의 가이드부들(57B)과 미끄럼 접촉을 이룰 수 있는 반구형태의 돌출부들(45)이 가이드 플레이트들(4)의 외측면(4A)에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사일런트 체인(1)과 체인 가이드(56)와 텐션암(57)간에 점접촉이 이루어지며,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마찰 손실이 저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일런트 체인{SILENT CHAIN}
본 발명은 한 쌍의 톱니부(tooth part)와 한 쌍의 핀구멍을 포함하는,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가 두께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축적되고 연결핀들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사일런트 체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마찰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일런트 체인들은 자동차, 이륜차등에서 타이밍 체인으로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일런트 체인은, 톱니부 및 핀구멍 각각 한 쌍씩 포함하는,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가 각 핀구멍에 삽입되어 있는 연결핀들에 의해 선회(pivot)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가이드 플레이트들이 최외측상에 배열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체인을 안내하는 가이드 체인이 사일런트 체인의 팽팽한 측 범위(span)에 배치되고, 체인의 느슨함을 제거함으로써 적절한 장력을 유지하는 텐셔너가 느슨한 측 범위에 배치된다.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체인의 양측에 폭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부(또는 측벽부)가 체인 가이드와 텐션암의 체인 활주면(chain sliding surface)상에 마련되어 있다(일본 미심사 특허출원공보 H08-303541호 및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공보 제2006-112447호 참조).
사일런트 체인의 작동시, 사일런트 체인은 미끄러지면서 체인 가이드와 텐션암의 활주면들을 따라서 주행하고, 이때 사일런트 체인의 가이드 플레이트들의 외측면(outer side surface)은 체인 가이드와 텐션암의 가이드부들과 미끄럼 접촉(sliding contact)을 이룬다.
따라서, 종래의 사일런트 체인에서는,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에 가이드 플레이트들의 외측면이 체인 가이드와 텐션암의 가이드부들과 미끄럼 접촉을 이루기 때문에, 마찰 손실이 발생한다.
한편, 기후를 보존하려는 견지로서 최근 자동차 업계에서는 향상된 연료 소비를 위한 강한 요구가 있어 왔다. 그 결과로, 주행하는 동안 마찰 손실을 저감하기 위해 타이밍 체인에도 역시 개선사항들이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상황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만들어졌으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주행하는 동안 마찰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사일런트 체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일런트 체인이 이용되는 엔진의 캠샤프트 타이밍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일런트 체인의 부분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일런트 체인의 부분 정면도.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사일런트 체인을 구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4(b)는 그의 확대 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 플레이트들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예시하는 개략도.
도 6은, 도 1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하며, 도 2에 도시된 사일런트 체인과 체인 가이드 사이의 미끄럼 접촉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일런트 체인의 부분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사일런트 체인의 부분 정면도.
도 9(a)는 도 7에 도시된 사일런트 체인을 구성하는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9(b)는 그의 확대 측면도.
도 10은, 도 1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하며, 도 7에 도시된 사일런트 체인과 체인 가이드 사이의 미끄럼 접촉 상태를 예시하는 개략도.
청구항 1에 명시된 발명은 사일런트 체인으로서, 한 쌍의 톱니부와 한 쌍의 핀구멍을 포함하는,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가 두께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축적되어 연결핀들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각각 결합되고, 가이드 플레이트들이 최외측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사일런트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체인 가이드 또는 텐션암의 가이드부들과 미끄럼 접촉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작은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청구항 1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의 외측면에 작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사일런트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가이드 플레이트들이 상기 체인 가이드 또는 상기 텐션암의 가이드부들과 미끄럼 접촉을 할 경우, 가이드 플레이트들은 그들의 외측면에서 가이드부들과 면접촉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작은 돌출부에서 가이드부들과 점접촉을 이룬다. 그리하여, 상기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마찰 손실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공보 제2000-320619호 및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공보 제2004-353865호는 돌출부를 가진 가이드 플레이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공보에 개시된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외측면이 아닌,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 사이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함으로써,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와 스프로켓의 치면(tooth surface) 사이가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상태에 놓이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위에 언급한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돌출부는 그의 목적, 구성 및 작동효과면에서 본 출원의 청구항 1에 명시된 발명과는 다르다.
청구항 2에 명시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선단부(toe part)가 없는 직사각형 가이드 플레이트이고, 상기 작은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외측면의 어깨부 또는 후방부에 마련되어 있다.
청구항 3에 명시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선단부를 가지는 낮은 강성의 가이드 플레이트이고, 상기 작은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외측면 선단의 끝단측에 마련되어 있다.
청구항 4에 명시된 발명은 사일런트 체인으로서, 한 쌍의 톱니부와 한 쌍의 핀구멍을 포함하는,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가 두께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축적되어 연결핀들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상기 사일런트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체인 가이드 또는 텐션암의 가이드부들과 미끄럼 접촉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작은 돌출부가,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의 외측면,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어깨부 또는 후방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청구항 4에 따르면, 상기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의 외측면의 어깨부 또는 후방부에 작은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사일런트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가 상기 체인 가이드 또는 상기 텐션암의 가이드부들과 미끄럼 접촉을 할 경우,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는 그의 외측면에서 가이드부들과 면접촉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작은 돌출부에서 가이드부들과 점접촉을 이룬다. 그리하여, 상기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마찰 손실이 저감될 수 있다.
청구항 5에 명시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은 돌출부들은 가이드 플레이트들 또는 링크 플레이트들의 대칭축의 양쪽에 하나씩 횡방향으로 대칭적인 위치에 마련된다.
청구항 6에 명시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은 돌출부는 가이드 플레이트들 또는 링크 플레이트들의 내부면을 프레스 성형(press forming)하여 형성된다.
청구항 7에 명시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은 돌출부는 일반적으로 반구형태 또는 원뿔대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사일런트 체인에 의하면, 가이드 플레이트 또는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작은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하는 동안 체인이 체인 가이드의 가이드부 또는 텐션암의 가이드부와 미끄럼 접촉을 할 경우, 가이드 플레이트나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에 형성된 상기 작은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점접촉을 이룸으로써, 상기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의 마찰 손실이 저감된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일런트 체인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일런트 체인이 이용되는 엔진의 캠샤프트 타이밍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일런트 체인의 부분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일런트 체인의 부분 정면도이고;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사일런트 체인을 구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확대 정면도이며; 도 4(b)는 그의 확대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 플레이트들의 돌출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예시하고; 도 6은, 도 1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하며, 도 2에 도시된 사일런트 체인과 체인 가이드 사이의 미끄럼 접촉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일런트 체인을 이용하는 엔진 캠샤프트 타이밍 시스템(50)은 크랭크샤프트(50)에 끼워 맞추어진 크랭크 스프로켓(51), 두개의 캠샤프트들(52, 53)에 각각 부착된 캠 스프로켓들(54, 55) 및 스프로켓들(51, 54, 55)을 감싸고 있는 사일런트 체인(1)을 포함한다. 도 1에 있는 시계방향의 화살표들은 스프로켓들(51,54,55) 각각의 회전 방향을 가리키는 것임을 주지해야 한다.
체인 가이드(56)는 사일런트 체인(1)의 팽팽한 측 범위에 배치되어, 주행시의 체인(1)을 안내한다. 체인 가이드(56)는 그의 반대쪽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용 볼트들(56a, 56b)을 통해 엔진 구성요소에 고정된다. 한 쌍의 가이드부(또는 측벽부)(56B)는 체인 가이드(56)를 구비하며,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체인(1)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다.
텐션암(57)은 사일런트 체인(1)의 느슨한 측 범위에 배치되어 체인(1)의 장력을 유지시킨다. 텐션암(57)은 그의 선회하는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선회볼트(57a)를 통해 엔진 구성요소에 선회가능하도록 끼워 맞추어진다. 텐셔너(58)는 텐션암(57)의 자유단부에 마련되어 텐션암(57)에 가압력을 가한다. 텐셔너(58)의 피스톤 로드(58a)의 끝단은 텐션암(57)의 자유단부를 누른다. 한 쌍의 가이드부(또는 측벽부)(57B)는 텐션암(57)을 구비하며, 체인(1)이 주행하는 동안 체인의 좌우 양쪽에 배치된다.
도 2 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일런트 체인(1)은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들(2)을 두께방향(즉, 도 2에서는 종방향) 및 길이방향(즉, 도 2에서는 횡방향)으로 교차(interlace)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으며, 연결핀들(3)에 의해 링크 플레이트들(2)을 선회가능하게 각각 결합하고, 가이드 플레이트들(4)은 링크 플레이트들(2)의 최외측상에 배열되어 있다.
사일런트 체인(1)은 링크 플레이트들(2) 및 가이드 플레이트들(4)로 구성된 복수의 가이드 열(G)(링크 플레이트들은 가이드 플레이트들과 같은 길이방향으로 배열됨) 및 인접한 가이드 열들(G)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링크 플레이트들(2)로만 구성된 복수의 링크 열(L)을 포함하고 있다. 가이드 열들(G) 및 링크 열들(L)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교번하여 배열된다.
링크 플레이트(2)는 한 쌍의 핀구멍(21)과 한쌍의 톱니부(22)를 가진다. 연결 핀들(3)은 핀구멍들(21) 각각에 삽입된다. 각 톱니부(22)는, 스프로켓 톱니(미도시)와 맞물리는 내측 플랭크(flank)면(22a) 및 외측 플랭크면(22b)로 각각 구성된다.
가이드 플레이트(4)은 낮은 강성의 가이드 플레이트이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4)는 한 쌍의 핀구멍(41), 한 쌍의 선단부(42), 선단부들(42)의 사이에 형성된 이음부(crotch part)(43) 및 후방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핀(3)의 단부는 핀구멍들(41) 각각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음부(43)는 바람직하게는 각 핀구멍(41)의 상부 가장자리부를 지나 하향연장된다. 후방부(44)는 오목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반구형태의 돌출부들(45)(도 4(b) 참조)은 가이드 플레이트(4)의 외측면(4A)의 선단부들(42)의 끝단측에 마련된다. 돌출부(45)는 가이드 플레이트(4)의 대칭축의 양쪽에 하나씩 횡방향으로 대칭적인 위치에 마련된다. 돌출부들(45)은 사일런트 체인(1)이 주행하는 동안 체인 가이드(56)의 가이드부들(56B) 및 텐션암(57)의 가이드부들(57B)과 미끄럼 접촉을 이루도록 되어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들(4)은 상향지향된 선단부들(42)과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들(2)을 향하는 내측면들(4B)이 구비된 사일런트 체인(1)에 조립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4)의 반구형태 돌출부(45)는 원형단면을 가진 핀(6)을 사용하여 가이드 플레이트(4)의 내측면(4B)을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프레스 성형으로 인해 막힌 구멍(blind hole)(45a)이 가이드 플레이트(4)의 내부에 형성된다. 돌출부(45)는 반구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끝단으로 향할수록 반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뿔대 형태를 가질수도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이 실시예의 작동 효과가 이하 설명된다.
사일런트 체인(1)이 작동하는 동안, 사일런트 체인(1)은 미끄러지면서 체인 가이드(56)와 텐션암(57)상으로 주행한다.
여기서, 사일런트 체인(1)과 체인 가이드(56)간의 접촉상태는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보여진 바과 같이, 체인 가이드(56)는 체인(1)의 링크 플레이트들(2)의 후방부가 미끄럼 운동하는 체인 활주면(56A)을 가진다. 가이드부(또는 측벽부) (56B) 한 쌍은 체인 활주면(56A)의 반대쪽 횡방향측 가장자리부들에 형성되며, 체인 활주면(56A)을 따라 연장되어 체인 활주면(56A)으로부터 들어올려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일런트 체인(1)이 체인 가이드(56)의 체인 활주면(56A)과 접촉할 경우, 체인(1)의 최외측에 배열된 가이드 플레이트(4)상의 돌출부들(45)은 체인 가이드(56)의 가이드부들(56B)의 맞은편에 배치되고, 가이드부들(56B)과 돌출부들(45) 각각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된다.
사일런트 체인(1)이 미끄러져 체인 가이드(56)의 체인 활주면(56A)상에서 주행하면, 체인의 최외측에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4)의 돌출부(45)는 가이드부(56B)와 점접촉을 이룬다. 그리하여, 가이드 플레이트의 외측면이 체인 가이드의 가이드부와 면접촉을 이루는 종래 사일런트 체인과 비교했을 때, 본 발명의 체인(1)은 주행하는 동안 마찰 손실이 저감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사일런트 체인(1)이 텐션암(57)의 체인 활주면 위로 미끄러지면, 체인의 최외측에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들(4)의 돌출부들(45)은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들(57B)과 점접촉을 이룬다. 그리하여,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마찰 손실을 더욱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위에 언급한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낮은 강성을 지니는 가이드 플레이트 및 선단부는 가이드 플레이트(4)의 한 예로서 보여졌으며, 본 발명은 또한 선단부가 없는 일반적인 직사각형 형태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플레이트들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들은 사일런트 체인의 스프로켓 맞물림측 맞은편에 있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좌우 양쪽 어깨부 또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후방부의 좌우 양단부에 배열된다. 대안으로, 하나의 돌출부만이 가이드 플레이트의 후방부의 중심에 형성되어도 된다.
<제 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사일런트 체인의 부분 평면도이고; 도 8은 사일런트 체인의 부분 정면도이며; 도 9(a)는 사일런트 체인을 구성하는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의 확대 정면도이고; 도 9(b)는 그의 확대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에 해당하며, 사일런트 체인과 체인 가이드 사이의 미끄럼 접촉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들에 사용된 부호들은 위에 상술된 제 1 실시예에서의 그것들과 동일하며, 유사하거나 상등하는 구성요소들을 가리키고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체인의 최외측에 가이드 플레이트가 전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태의 돌출부들(25)은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들(2)의 외측면(2A)인, 링크 플레이트들(2)의 후방부(24)의 좌우 양단부 또는 링크 플레이트들(2)의 좌우 양쪽 어깨부(24’)의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25)는 링크 플레이트들의 대칭축의 양쪽에 하나씩 횡방향으로 대칭적인 위치에 마련된다. 돌출부들(25)은 사일런트 체인(1)이 주행하는 동안 체인 가이드(56)의 가이드부들(56B) 및 텐션암(57)의 가이드부들(57B)과 미끄럼 접촉을 이루도록 되어있다. 게다가, 하나의 돌출부(25)만이 링크 플레이트(2)의 후방부(24)의 중심에 마련되어도 된다.
위에 상술된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돌출부(25)는 예를 들어 프레스 성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25)는 반구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끝단으로 향할수록 반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원뿔대 형태를 가질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사일런트 체인(1)이 작동하는 동안, 사일런트 체인(1)은 미끄러지면서 체인 가이드(56)와 텐션암(57)상으로 주행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일런트 체인(1)의 링크 플레이트들(2)의 각 후방부(24)가 체인 가이드(56)의 체인 활주면(56A)와 접촉할 경우, 체인의 최외측에 배열된 각 링크 플레이트(2)상의 돌출부들(25)은 체인 가이드(56)의 가이드부들(56B)의 맞은편에 각각 배치된다. 가이드부들(56B)과 돌출부들(45)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된다.
사일런트 체인(1)이 미끄러져 체인 가이드(50)의 체인 활주면(56A) 위로주행하면, 체인의 최외측에 있는 링크 플레이트(2)의 돌출부(25)는 가이드부(56B)와 점접촉을 이룬다. 이로 인해,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마찰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사일런트 체인(1)이 텐션암(57)의 체인 활주면 위로 미끄러지면, 체인의 최외측에 있는 링크 플레이트(2)의 돌출부(25)는 또한 가이드부(57B)와 점접촉을 이룬다. 그리하여,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마찰 손실을 더욱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일런트 체인은 자동차 업계에 유익하며, 특별히 엔진 타이밍 체인, 전달용 체인등의 용도로 유익하다.

Claims (7)

  1. 한 쌍의 톱니부와 한 쌍의 핀구멍을 포함하는,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가 두께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축적되어 연결핀들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며, 가이드 플레이트들이 최외측상에 배열되어 있는 사일런트 체인에 있어서,
    상기 사일런트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체인 가이드 또는 텐션암의 가이드부들과 미끄럼 접촉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작은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런트 체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선단부(toe part)가 없는 직사각형 가이드 플레이트이고, 상기 작은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의 외측면의 어깨부 또는 후방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런트 체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선단부를 가지는 낮은 강성의 가이드 플레이트이고, 상기 작은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외측면 선단의 끝단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런트 체인.
  4. 한 쌍의 톱니부와 한 쌍의 핀구멍을 포함하는, 다수의 링크 플레이트가 두께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축적되어 연결핀들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사일런트 체인에 있어서,
    상기 사일런트 체인이 주행하는 동안 체인 가이드 또는 텐션암의 가이드부들과 미끄럼 접촉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작은 돌출부가, 최외측 링크 플레이트의 외측면, 상기 링크 플레이트의 어깨부 또는 후방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런트 체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돌출부들 중 하나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 또는 링크 플레이트들의 대칭축의 각 한쪽에 횡방향으로 대칭적인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런트 체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들 또는 링크 플레이트들의 내부면을 프레스 성형(press forming)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런트 체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돌출부는 일반적으로 반구형태 또는 원뿔대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일런트 체인.
KR1020097013749A 2006-12-20 2007-12-19 사일런트 체인 KR101352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42459 2006-12-20
JP2006342459A JP4874081B2 (ja) 2006-12-20 2006-12-20 サイレントチェーン
PCT/JP2007/075220 WO2008075791A1 (en) 2006-12-20 2007-12-19 Silent ch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4017A true KR20090094017A (ko) 2009-09-02
KR101352415B1 KR101352415B1 (ko) 2014-01-17

Family

ID=3953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749A KR101352415B1 (ko) 2006-12-20 2007-12-19 사일런트 체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37226B2 (ko)
EP (1) EP2100055B1 (ko)
JP (1) JP4874081B2 (ko)
KR (1) KR101352415B1 (ko)
CN (1) CN101563552B (ko)
AT (1) ATE549538T1 (ko)
WO (1) WO20080757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720A (ko) * 2017-02-06 2018-08-1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체인 및 체인 전동 장치
KR20180091719A (ko) * 2017-02-06 2018-08-1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체인 및 체인 전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2965B2 (ja) 2009-04-03 2014-06-18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チェーン
JP5675059B2 (ja) 2009-05-26 2015-02-25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サイレントチェーン
JP2012067799A (ja) * 2010-09-21 2012-04-05 Tsubakimoto Chain Co ガイドプレート
DE102012016153A1 (de) * 2012-08-14 2014-03-20 Iwis Motorsysteme Gmbh & Co. Kg Laschenkette rnit konvexem Laschenrücken
CN103697123B (zh) * 2012-09-27 2016-11-09 深圳市科恩斯汽车零配件有限公司 导板
JP5421448B1 (ja) * 2012-11-22 2014-02-19 大同工業株式会社 サイレントチェーン及びサイレントチェーン伝動装置
WO2016057284A1 (en) * 2014-10-07 2016-04-14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ink for inverted tooth chain with optimized shape for increased strength
JP6423689B2 (ja) * 2014-11-14 2018-11-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サイレントチェーン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431A (en) * 1912-03-28 1914-10-27 Link Belt Co Chain.
JPS6196235A (ja) * 1984-10-15 1986-05-14 Toyota Motor Corp チエ−ン
US5203745A (en) * 1992-05-08 1993-04-20 Wang Wen B Inner and outer chain plates for bicycle having multiple wheels
JPH08303541A (ja) 1995-04-28 1996-11-19 Hokushin Ind Inc 樹脂製チェーン当接体
JP3075989B2 (ja) * 1996-07-16 2000-08-14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サイレントチェーン
JPH10132038A (ja) * 1996-10-24 1998-05-22 Toyota Motor Corp チェーン伝動装置
US6190277B1 (en) * 1997-07-10 2001-02-20 Igus Spritzguss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Energy transmission chain
US6406394B1 (en) * 1999-04-28 2002-06-18 Borgwarner Inc. Power transmission chain having links with lateral spacing elements
JP3897329B2 (ja) * 2001-03-12 2007-03-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サイレントチェーン
JP3734760B2 (ja) * 2002-03-12 2006-01-11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サイレントチェーン
JP2003294089A (ja) * 2002-03-29 2003-10-15 Honda Motor Co Ltd ローラチェーン
JP2004028154A (ja) * 2002-06-24 2004-01-29 Borg Warner Morse Tec Japan Kk サイレントチェーン用リンクプレート、ガイドリンクおよび屈曲規制リンクならびにこれらを含むサイレントチェーン
JP4409899B2 (ja) * 2003-09-26 2010-02-03 ボルグワーナー・モールステ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サイレントチェーン
JP4360999B2 (ja) 2004-10-07 2009-11-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伝動チェーン
JP2006112447A (ja) 2004-10-12 2006-04-27 Borg Warner Morse Tec Japan Kk チェーンガイド
US20080132369A1 (en) * 2006-12-01 2008-06-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Longitudinal Spring Damper for Damping Chain Vibration
JP2008256186A (ja) * 2007-04-09 2008-10-23 Tsubakimoto Chain Co サイレントチェーン
JP2010196769A (ja) * 2009-02-25 2010-09-09 Tsubakimoto Chain Co サイレントチェー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720A (ko) * 2017-02-06 2018-08-1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체인 및 체인 전동 장치
KR20180091719A (ko) * 2017-02-06 2018-08-16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체인 및 체인 전동 장치
US10619722B2 (en) 2017-02-06 2020-04-14 Tsubakimoto Chain Co. Chain and chain transmiss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74081B2 (ja) 2012-02-08
US20100016110A1 (en) 2010-01-21
JP2008151316A (ja) 2008-07-03
EP2100055A1 (en) 2009-09-16
CN101563552A (zh) 2009-10-21
KR101352415B1 (ko) 2014-01-17
CN101563552B (zh) 2011-01-26
ATE549538T1 (de) 2012-03-15
US8137226B2 (en) 2012-03-20
EP2100055A4 (en) 2011-01-19
WO2008075791A1 (en) 2008-06-26
EP2100055B1 (en)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415B1 (ko) 사일런트 체인
EP1881230B1 (en) Low friction chain
KR101541703B1 (ko) 사일런트 체인
US20080096709A1 (en) Chain transmission device
EP1645778A2 (en) Transmission chain
US20090017951A1 (en) Transmission chain for use in engine
US20110183800A1 (en) Link plate
US8974335B2 (en) Silent chain
KR101698749B1 (ko) 가이드 플레이트 및 체인
US6533691B2 (en) Low noise silent chain
GB2326212A (en) A Both-side meshing type silent chain
US5683319A (en) Chain assemblies with minimal pin projection
JP2010096193A (ja) チェーン
US20070161445A1 (en) Silent chain
US20020025870A1 (en) Double-sided meshing type silent chain
KR101717450B1 (ko) 체인
US20100120568A1 (en) Silent chain with bushings
US20150152943A1 (en) Chain and chain guide plate
US20080032840A1 (en) Double-meshing type tooth chain
US20030104891A1 (en) Silent chain
CN113513564A (zh) 链条导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