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127A - 화장료 함침재 - Google Patents

화장료 함침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127A
KR20180091127A KR1020170007954A KR20170007954A KR20180091127A KR 20180091127 A KR20180091127 A KR 20180091127A KR 1020170007954 A KR1020170007954 A KR 1020170007954A KR 20170007954 A KR20170007954 A KR 20170007954A KR 20180091127 A KR20180091127 A KR 20180091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egnated
impregnation
cosmetic
cosmetic material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399B1 (ko
Inventor
박설웅
황은선
양정은
박상용
이현명
정지행
Original Assignee
(주)에스디생명공학
태이생명과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디생명공학, 태이생명과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에스디생명공학
Priority to KR1020170007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3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spreading already applied pai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Cosmetic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는 상면이 도포구에 접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1 함침재;상기 제1 함침재 하부에 배치된 접착층;상기 접착층 하부에 배치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2 함침재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상기 제2 함침재로 밀려나가지 못 하도록 상기 화장료의 유동을 막아, 오염된 제1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제2 함침재로 밀려내로오지 못 하게 함과 동시에 제2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장료 함침재{IMPREGNATING MATERIAL FOR COSMETIC COMPOSTION}
본 발명은 화장료가 함침된 화장료 함침재에 관한 것이다.
쿠션 팩트는 통상 화장료 함침재, 퍼프를 포함한다. 스폰지 등의 많은 포어(pore)를 가진 함침재에 화장료가 흡수된다. 메이크업시 퍼프를 이용하여 함침재에 압력을 가해 화장료가 토출되도록 한다. 토출된 화장료는 퍼프의 일면에 묻고, 퍼프에 묻은 화장료를 얼굴에 두드려 메이크업이 이루어지게 한다.
기존의 화장료 함침재는 단층의 스폰지 등으로 구성되어 여러 단점이 존재한다.
쿠션 팩트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에, 함침재에 많은 양의 화장료가 함침되어 있다. 이 경우 퍼프를 통해 함침재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함침재 하부에 있던 화장료까지 토출되어 오버플로우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이 경우, 오버플로우된 화장료는 용기 또는 퍼프의 상면까지 흘러 용기와 퍼프가 오염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쿠션 팩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함침재 상부에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부에 함침된 화장료가 하부로 밀려내려가게 된다. 그에 따라 실제로 함침재에 화장료가 남아있으나, 사용자는 화장료가 소진된 것으로 착각하고 새로운 제품으로 교환하거나, 함침재를 뒤집어 사용했다. 그러나, 뒤집어 사용하는 경우에도 함침된 화장료가 하부로 밀려나가는 동일한 문제가 반복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쿠션 팩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스펀지가 노출되어 오염물이 묻어 쉽게 오염되거나 건조한 날씨에는 빨리 말라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471339에 개시된 토출판과 망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토출판으로부터 토출되는 화장료가 균일하지 않아 메이크업시 퍼프를 여러 번 두드려야 하므로 화장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351769에 개시된 다층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담체의 경우에, 하부에 담지된 화장료가 상부까지 유동되고, 화장 후 다시 화장료가 하부까지 내려오게 되므로 화장료 오염을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71339 (2014년12월03일 등록) 한국등록특허 10-1351769에 (2014년01월08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료 함침재에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상부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하부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마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펀지의 항균 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는 상면이 도포구에 접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1 함침재; 상기 제1 함침재 하부에 배치된 접착층;상기 접착층 하부에 배치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2 함침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상기 제2 함침재로 밀려나가지 못 하도록 상기 화장료의 유동을 막으면서, 상기 제1 함침재와 상기 제2 함침재를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장료 함침재는 하부에 배치된 제2 함침재의 경도가 제1 함침재의 경도보다 높고, 함침된 화장료의 양이 더 많을 수 있다.
또한, 화장료 함침재는 하부에 배치된 제2 함침재의 포어 크기가 제1 함침재의 포어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는 상면이 도포구에 접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1 함침재; 상기 제1 함침재 하부에 배치된 베리어층;상기 베리어층 하부에 배치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2 함침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리어층은 상기 제1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상기 제2 함침재로 밀려나가지 못 하도록 상기 화장료의 유동을 막으면서, 상기 제1 함침재 및 상기 제2 함침재와 분리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리어층은 실리콘, 스테인리스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함침재는 하부에 배치된 제2 함침재의 경도가 제1 함침재의 경도보다 높고, 함침된 화장료의 양이 더 많을 수 있다.
또한, 화장료 함침재는 하부에 배치된 제2 함침재의 포어 크기가 제1 함침재의 포어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는 상면이 도포구에 접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1 함침재; 상기 제1 함침재 하부에 배치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2 함침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함침재 상부는 화장료 흡수성이 5% 미만인 클로즈드 셀(cloesed- cell) 구조이며, 상기 제2 함침재 하부는 화장료가 함침될 수 있는 오픈 셀(open-cell)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함침재 하부의 두께는 상기 제2 함침재 상부 두께의 90 내지 99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는 상면이 도포구에 접하며, 화장료가 함침된 다수의 포어를 포함하는 제1 함침재; 상기 제1 함침재 하부에 배치되며, 화장료가 함침된 다수의 포어를 포함하는 제2 함침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함침재의 포어는 실리콘이 함침된 오픈셀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화장료 함침재는 하부에 배치된 제2 함침재의 경도가 제1 함침재의 경도보다 높고, 함침된 화장료의 양이 더 많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함침재와 상기 제2 함침재는 동일한 발포 과정을 통해 제조된 발포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는 상면이 도포구에 접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1 함침재; 상기 제1 함침재 하부에 배치된 화장료 조절부; 상기 화장료 조절부 하부에 배치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2 함침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절부는 상기 제2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를 상기 제1 함침재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 함침재 상면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열려, 상기 제2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배출되어 상기 제1 함침재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제1 함침재 상면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닫혀, 상기 제1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제2 함침재로 유입되지 못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절부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재
또한, 화장료 함침재는 하부에 배치된 제2 함침재의 경도가 제1 함침재의 경도보다 높고, 함침된 화장료의 양이 더 많을 수 있다.
또한, 제2 함침재의 포어 크기가 제1 함침재의 포어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화장료 함침재로, 상부 함침재와 하부 함침재 사이에 화장료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부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하부 함침재로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여 상부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된 상부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하부 함침재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장료 오염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마르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절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장료 함침재는 메이크업 프라이머, 메이크업 베이스, 자외선 차단제, 액상 파운데이션 등 유동성 화장료를 담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함침재(100) 상면은 도포구(예컨대, 퍼프)에 접한다. 제2 함침재(200)는 제1 함침재(100) 하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함침재를 등록특허 10-1471339에 개시된 화장품 용기에 이용하는 경우에, 상기 제1 함침재(100) 상면은 퍼프에 처음 접촉되며, 제2 함침재(200)는 제1 함침재(100) 하부에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는 제1 함침재(100), 제2 함침재(200), 접착층(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함침재(100)는 화장료가 함침된 복수의 포어를 가지며, 상면에 도포구에 접한다.
상기 제1 함침재(100)와 제2 함침재(200)는 화장료가 함침된 복수의 포어(pore)를 가진 발포체일 수 있다. 상기 제2 함침재(200)는 제1 함침재(100) 하부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함침재(100)와 제2 함침재(200)는 재질, 포어 수, 밀도, 경도, 두께가 동일한 발포체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함침재(100)와 제2 함침재(200)를 이루는 발포폼은 동일한 발포 과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착층(310)은 제1 함침재(100) 하부에 배치되고, 제2 함침재(200)는 접착층(310)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접착층(310)은 제1 함침재(100)에 함침된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로 밀려나가지 못 하도록 화장료의 유동을 막으면서, 상기 제1 함침재(100)와 제2 함침재(200)를 접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310)의 일 실시예로 열 경화성 접착층(310), UV 경화성 접착층(310)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층(310)은 제1 함침재(100)에 함침된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퍼프를 제1 함침재(100)에 두드리는 과정에서 제1 함침재(100) 상부의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로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1 함침재(100)에 함침된 화장료의 대부분을 이용할 수 있고, 화장과정에서 오염된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까지 내려가지 않아 제2 함침재(200)에 함침된 화장료까지 오염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함침재(200)를 한국등록특허 10-1471339에 개시된 것과 같은 화장품 용기에 담는 경우에, 제2 함침재(200)의 상부 및 하부가 모두 밀폐되므로 함침된 화장료가 마르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함침재(100)에 함침된 화장료가 모두 소진된 경우, 제1 함침재(100)와 제2 함침재(200)의 위치가 바뀌도록 뒤집어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찬가지로 제2 함침재 상부(210)의 화장료가 제1 함침재(100)로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2 함침재(200)에 함침된 화장료의 대부분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함침재(200)에는 오염된 화장료의 유입이 방지되어, 처음 함침재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별도의 항균제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는 제1 함침재(100), 제2 함침재(200), 베리어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함침재(100)와 제2 함침재(200)는 화장료가 함침된 많은 포어(pore)를 가진 발포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함침재(100)와 제2 함침재(200)는 재질, 포어 수, 밀도, 경도, 두께가 동일한 발포체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함침재(100)와 제2 함침재(200)를 이루는 발포폼은 동일한 발포 과정에 의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제1 함침재(100)는 상면이 도포구에 접하며, 제1 함침재(100) 하부에 베리어층(320)이 배치된다. 제2 함침재(200)는 베리어층(320)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베리어층(320)은 제1 함침재(100)와 상기 제2 함침재(200) 사이에 배치되며, 제1 함침재(100)에 담지된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로 밀려나가지 못 하도록 화장료의 유동을 막으면서, 상기 제1 함침재(100) 및 제2 함침재(200)와 분리가능하다. 이러한 베리어층(320)은 실리콘, 스테인리스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리어층(320)은 접착층(310)과 상이하게 제1 함침재(100)와 제2 함침재(200)를 접착시키지 못 한다. 즉, 베리어층(320)은 제1 함침재(100) 및 제2 함침재(200)와 자유로이 분리가능하도록 화장품 용기 내에서 적층될 수 있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함침재(100)에 함침된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퍼프를 제1 함침재(100)에 두드리는 과정에서 제1 함침재(100) 상부의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로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1 함침재(100)에 함침된 화장료의 대부분을 이용할 수 있고, 화장 과정에서 오염된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까지 내려가지 않아 제2 함침재(200)에 함침된 화장료까지 오염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장품 용기에 담는 경우에제2 함침재(200)의 상부 및 하부가 모두 밀폐되므로 함침된 화장료가 마르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함침재(100)에 함침된 화장료가 모두 소진된 경우, 제1 함침재(100)와 베리어층(320)을 버리고, 제2 함침재(200)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함침재(200) 이용시, 새 함침재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별도의 항균제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는 화장료가 함침된 복수의 포어를 가진 제1 함침재(100)와 제2 함침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함침재(100)는 상면이 도포구에 접하며, 복수의 포어에 화장료가 함침된다. 상기 제2 함침재(200)는 제1 함침재(100)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 함침재 하면과 접하는 제2 함침재 상부(210)는 화장료 흡수성이 5% 미만인 클로즈드 셀(cloesed- cell) 구조이며, 제2 함침재 하부(220)는 화장료가 함침될 수 있는 오픈 셀(open-cell)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 함침재 상부(210)와 하부(220) 두께 비율은 1:90 내지 1:99로, 오픈 셀 구조의 제2 함침재 하부(220)의 두께가 클로즈드 셀 구조의 상부(210)보다 적어도 90배 이상 두꺼울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함침재(100)와 제2 함침재(200)는 동일한 발포과정에 의해 제조되며, 제2 함침재(200)는 상부(210)를 경화시켜 밀폐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함침재의 상부(210)를 경화시킨 후 제2 함침재의 하부(220)쪽에서 화장료를 주입할 수 있다.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함침재(100)에 함침된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퍼프를 제1 함침재(100)에 두드리는 과정에서 제1 함침재(100) 상부의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로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므로, 제1 함침재(100)에 함침된 화장료의 대부분을 이용할 수 있고, 화장과정에서 오염된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까지 내려가지 않아 제2 함침재(200)에 함침된 화장료까지 오염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2 함침재(200)를 화장품 용기에 담는 경우에, 제1 함침재(100) 하부에 제2 함침재(200)가 배치되므로, 제2 함침재의 상부(210) 및 하부(220)가 모두 밀폐되어 제2 함침재(200)에 함침된 화장료가 마르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함침재(100)에 함침된 화장료가 모두 소진된 경우, 제1 함침재(100)를 버리고, 제2 함침재(200)를 뒤집어, 클로즈드 셀 부분(210)을 아래로 배치한 뒤 제2 함침재(200)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함침재(100)에서 오염된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2 함침재(200)를 사용할 경우, 세로운 함침재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별도의 항균제를 포함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는 제1 함침재(100)와 제2 함침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함침재(100)와 제2 함침재(200)는 화장료가 함침된 다수의 포어를 가진 발포폼일 수 있다. 제2 함침재(200)는 제1 함침재(1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함침재(200)의 포어는 실리콘이 함침되며, 실리콘이 함침된 이후에도 오픈 셀(open cell)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함침재(100)와 제2 함침재(200)를 이루는 발포폼은 동일한 발포 과정에서 생성되어, 발포폼의 유형, 밀도, 경도, 포어(pore) 수, 포어(pore) 직경,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함침재(200)는 발포폼에 실리콘을 함침시킨 후, 실리콘이 함침된 발포체를 압착시켜 여분의 실리콘을 제거시켜, 함침 이후에도 오픈 셀 구조를 유지시키도록 제조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제조된 제2 함침재(200)는 발포폼의 포어를 실리콘이 감싸고 있어, 함침재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화장료가 한번에 많이 배출되지 않는다. 또한, 실리콘이 포어를 감싸고 있어, 포어의 단면적이 좁아지므로 제1 함침재(100)에 함침된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로 유동되는 비율이 적어진다. 또한, 실리콘이 포어를 감싸고 있어, 제2 함침재(200)의 내구성이 높아지며 항균작용이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는 제1 함침재(100), 제2 함침재(200), 화장료 조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함침재(100)는 상면이 도포구가 접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절부(330)는 제1 함침재(100)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화장료 조절부(330) 하부에 제2 함침재(2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절부(330)는 제2 함침재(200)와 동일한 형상의 동일한 넓이를 가져, 제2 함침재(200) 전체를 덮을 수 있다. 또는 상기 화장료 조절부(330)는제2 함침채와 동일한 형상이며, 직경이 5~10%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절부(330)는 제2 함침재(200)에 함침된 화장료가 제1 함침재(100)에 전달되도록 적어도 한 개의 절개부(331)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절개부(331)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오각형, 'X'형, 'Λ'형 등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31)는 제1 함침재(100) 상면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오픈되어, 제2 함침재(200)에 함침된 화장료가 배출되며, 제1 함침재(100)로 전달된다. 예를 들어, 퍼프를 통해 제1 함침재(100)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절개부(331)가 열려, 제2 함침재(200)에 함침된 화장료가 제1 함침재(100)로 유입된다. 반대로, 제1 함침재(10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절개부(331)는 닫혀 제1 함침재(100)에 함침된 화장료는 제2 함침재(200)로 유입되지 못 한다. 따라서, 제2 함침재(200)에서 메이크업에 필요한 화장료는 제1 함침재(100)쪽으로 전달되나, 제1 함침재(100)에서 오염된 화장료는 제2 함침재(200)로 유입되지 못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절개부(331)가 닫혀있어 제2 함침재(200)에 함침된 화장료가 마르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다만, 여기서 제2 함침재(200)로 화장료가 유입되지 못 한다는 의미는 물리적으로 100% 유입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절개부(331)가 열려, 제2 함침재(200)에서 제1 함침재(100) 쪽으로 전달되는 화장료의 양을 100이라 두었을 때, 절개부(331)가 닫혀 제1 함침재(100)에서 제2 함침재(200) 쪽으로 전달되는 화장료의 양은 10~15 미만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절부(330)는 탄성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어, 제1 함침재(10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단시간 내에 절개부(331)가 닫혀 화장료의 유동을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장료 조절부(330)는 탄성이 좋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471339와 같이 토출판이 형성된 경우에 퍼프 전체가 아닌 토출구와 접하는 퍼프에만 화장료가 묻어 균일한 화장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균일한 화장을 위해 퍼프를 여러번 두드려야 해 화장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절개부(331)를 통해 제2 함침재(200)에 함침된 함침재가 제1 함침재(100)까지 고르게 전달된다. 그에따라, 제1 함침재(100)로부터 배출된 화장료가 퍼프에 고르게 전달되어 빠른 화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부에 배치된 제1 함침재(100)에서 오염된 화장료는 제2 함침재(200)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항균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일본실용신안공개공보 소59-067115에는 탄성덮개의 상부로부터 퍼프를 가압하게 되면 스폰지에 머금고 있는 액상 화장료가 탄성덮개의 칼집부를 통해 토출되어 액상 화장료를 간편하게 취출 사용할 수 있는 액상 화장료용 카트리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공개공보에 개시된 액상화장료용 카트리지 역시 칼집부와 접하는 퍼프에만 화장료가 묻어 균일한 화장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피부에 닿아 오염된 화장료가 다시 스폰지로 밀려들어가 스폰지에 담지된 화장료가 오염되는 단점이 있다.
즉, 앞서 공개된 한국등록특허 10-1471339 또는 일본공개공보 소59-067115는 함침부에서 토출되는 화장료가 직접 퍼프에 접촉하게 되므로 균일한 화장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용 함침재는 제2 함침재(200)에서 토출된 화장료가 직접 퍼프에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에 제1 함침재(100)를 통과하게 되므로, 제2 함침재(200)에서 배출된 화장료가 제1 함침재(100)에 고르게 퍼져 균일한 화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오염된 제1 함침재(100)의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 화장료의 오염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제1 함침재(100) 및 제2 함침재(200)는 많은 포어(pore)를 가진 스폰지, 폴리에틸렌폼, 폴리프로필렌폼, 폴리아미드폼, 폴리에스터폼, 폴리에테르폼, 폴리에스테르폼, 폴리우레탄폼, 코튼(면), 부직포,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피막 타입,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 부틸 및 네오프렌, 건식 우레탄 및 습식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발포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는 하부에 배치된 제2 함침재(200)의 경도가 제1 함침재(100)의 경도보다 높고, 함침된 화장료의 양이 더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제2 함침재(200)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한번에 많은 양의 화장료가 배출되지 않으며, 제1 함침재(100)보다 오래 사용하는 제2 함침재(200)의 내구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함침재는 하부에 배치된 제2 함침재(200)의 포어 크기가 제1 함침재(100)의 포커 크기보다 작아, 제1 함침재(100)에 함침된 화장료가 제2 함침재(200)로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상면이 도포구에 접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1 함침재;
    상기 제1 함침재 하부에 배치된 접착층;
    상기 접착층 하부에 배치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2 함침재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1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상기 제2 함침재로 밀려나가지 못 하도록 상기 화장료의 유동을 막으면서, 상기 제1 함침재와 상기 제2 함침재를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재.
  2. 상면이 도포구에 접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1 함침재;
    상기 제1 함침재 하부에 배치된 베리어층;
    상기 베리어층 하부에 배치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2 함침재를 포함하되,
    상기 베리어층은 상기 제1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상기 제2 함침재로 밀려나가지 못 하도록 상기 화장료의 유동을 막으면서, 상기 제1 함침재 및 상기 제2 함침재와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재.
  3. 상면이 도포구에 접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1 함침재;
    상기 제1 함침재 하부에 배치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2 함침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함침재 상부는 화장료 흡수성이 5% 미만인 클로즈드 셀(cloesed- cell) 구조이며, 상기 제2 함침재 하부는 화장료가 함침될 수 있는 오픈 셀(open-cell)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재.
  4. 상면이 도포구에 접하며, 화장료가 함침된 다수의 포어를 포함하는 제1 함침재;
    상기 제1 함침재 하부에 배치되며, 화장료가 함침된 다수의 포어를 포함하는 제2 함침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함침재의 포어는 실리콘이 함침된 오픈셀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재.
  5. 상면이 도포구에 접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1 함침재;
    상기 제1 함침재 하부에 배치된 화장료 조절부;
    상기 화장료 조절부 하부에 배치되며, 화장료가 함침된 제2 함침재를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 조절부는 상기 제2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를 상기 제1 함침재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 함침재 상면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열려, 상기 제2 함침재에 함침된 화장료가 배출되어 상기 제1 함침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함침재.
KR1020170007954A 2017-01-17 2017-01-17 화장료 함침재 KR101922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954A KR101922399B1 (ko) 2017-01-17 2017-01-17 화장료 함침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954A KR101922399B1 (ko) 2017-01-17 2017-01-17 화장료 함침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127A true KR20180091127A (ko) 2018-08-16
KR101922399B1 KR101922399B1 (ko) 2018-12-03

Family

ID=6344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954A KR101922399B1 (ko) 2017-01-17 2017-01-17 화장료 함침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3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102A (ko) * 2018-11-20 2020-05-28 (주)고려퍼프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KR20220037650A (ko) * 2020-09-18 2022-03-25 애경산업(주) 압축부를 가지는 퍼프 구조체
WO2024090856A1 (ko) * 2022-10-28 2024-05-02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769B1 (ko) 2012-01-13 2014-01-28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의 층 구조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1471339B1 (ko) 2014-02-14 2014-12-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1197A (ja) * 2002-02-07 2003-08-19 Inoac Corp 多層通気性発泡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24403B2 (ja) 2008-12-05 2013-10-23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化粧料含浸用皮膚被覆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フェイスマスク
JP5475313B2 (ja) 2009-04-08 2014-04-16 花王株式会社 身体用ウエットシート化粧料
KR101410746B1 (ko) 2014-01-08 2014-06-24 김진우 액상 화장료 함침을 위한 다공성 패드 및 이를 이용한 액상 화장료 함침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769B1 (ko) 2012-01-13 2014-01-28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의 층 구조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1471339B1 (ko) 2014-02-14 2014-12-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102A (ko) * 2018-11-20 2020-05-28 (주)고려퍼프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KR20220037650A (ko) * 2020-09-18 2022-03-25 애경산업(주) 압축부를 가지는 퍼프 구조체
WO2024090856A1 (ko) * 2022-10-28 2024-05-02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료 함침용 스펀지 및 그를 포함하는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399B1 (ko) 201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399B1 (ko) 화장료 함침재
US10537500B2 (en) Cosmetic including urethane foam impregnated with cosmetic composition
ES2727602T3 (es) Artículo impregnado con fibras y red de protección
CN108366662B (zh) 利用薄膜的化妆用粉扑的制造方法及利用上述方法制造的化妆用粉扑
KR101538110B1 (ko) 유동성 화장료용 탄력 흡습부재
KR102544620B1 (ko) 화장용 퍼프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76611Y1 (ko) 혼합부재가 구비된 액상 내용물 용기
KR101830119B1 (ko) 화장용 퍼프
KR102552056B1 (ko)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20200059102A (ko)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KR200493653Y1 (ko) 화장용 스펀지 분첩
KR102371201B1 (ko) 탄성력이 향상된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TWI719135B (zh) 化妝品施用器
TWI746507B (zh) 化妝品施用器
KR20180018338A (ko)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1566473B1 (ko)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2508240B1 (ko) 배출제어부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TW202034816A (zh) 化妝品組成物載體
KR102430792B1 (ko) 화장도구
KR20190048620A (ko) 펌핑공간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20230097583A (ko) 오픈 셀과 클로즈셀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
KR101946517B1 (ko)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
KR101918472B1 (ko) 탄력배출부재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2499658B1 (ko) 하니컴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