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7583A - 오픈 셀과 클로즈셀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 - Google Patents

오픈 셀과 클로즈셀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7583A
KR20230097583A KR1020210187231A KR20210187231A KR20230097583A KR 20230097583 A KR20230097583 A KR 20230097583A KR 1020210187231 A KR1020210187231 A KR 1020210187231A KR 20210187231 A KR20210187231 A KR 20210187231A KR 20230097583 A KR20230097583 A KR 20230097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cosmetics
liquid
cell part
spon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엘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엘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엘비
Priority to KR1020210187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7583A/ko
Publication of KR20230097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29C48/911Cooling
    • B29C48/9135Cooling of flat articles, e.g. using specially adapted suppo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 상태의 화장료를 찍어 피부에 바르고자 볼륨을 갖도록 하는 스폰지부재가 클로즈셀 파트 부분에서는 화장료가 손잡이 끈이 설치된 상부 쪽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오픈 셀 파트 부분에서는 흡입, 저장 흡입된 화장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한 오픈 셀과 클로즈셀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액상 화장료를 흡수하여 피부에 펴 바를 수 있도록 하는 피부접촉부재와; 상기 피부접촉부재에 적층되어 일정한 볼륨을 형성하도록 하는 스펀지부재와 상기 스펀지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외피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부재가 화장료가 손잡이 끈이 설치된 상부 쪽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클로즈셀 파트 부분과 흡입, 저장 흡입된 화장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한 오픈셀 파트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오픈 셀과 클로즈셀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Liquid cosmetic puff consisting of open cells and cross cells}
본 발명은 액상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상 상태의 화장료를 찍어 피부에 바르고자 볼륨을 갖도록 하는 스폰지부재가 클로즈셀 파트 부분에서는 화장료가 손잡이 끈이 설치된 상부 쪽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오픈 셀 파트 부분에서는 흡입, 저장 흡입된 화장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한 오픈 셀과 클로즈셀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퍼프는 화장을 할 때 얼굴에 분, 콤팩트 등의 화장품을 고르게 바르기 위한 화장 도구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퍼프(분첩)는 전체적인 형상을 원형 또는 사각, 타원형 등으로 형성하고 직물을 중합시키되 접촉부에 융과 같이 미세한 기모가 형성된 천이 위치하도록 한 퍼프와 또는 합성수지재로 그 내부와 표면에 많은 기공이 형성되어 쿠션을 갖고 분말 상의 화장품 표면에 문지르게 되면 내부와 표면의 기공 속으로 미세한 분말이 채워진 상태로 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화장을 원하는 부위에 톡톡 치면서 문지르면 기공 속에 있던 분말이 나오면 화장품이 피부에 도포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퍼프에 액상 화장품을 바르는 경우에는 물이나 화장품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퍼프를 통과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스펀지로 흡수되어 함침된다.
상기 액체 상태의 화장료를 과다하게 찍어 바르게 되면 흡수된 액상 상태의 화장품 중 일부만이 피부에 도포되고 상당량이 스펀지에 그대로 남게 되거나 그 양이 과다할 때는 손잡이 끈이 부착된 면으로 용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스펀지에 잔류된 화장품은 퍼프를 보관시 딱딱하게 굳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차후 사용시 부드러운 촉감이 떨어지게 되므로 한번 사용한 퍼프는 세척해서 사용해야 하나 세척시 세척수가 다시 스펀지에 남게 되어 건조되는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잔류하는 세척수 및 화장료에 의해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피부 트러불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출원인은 대한미국 특허등록 제1470548호를 등록 받은바 있다. 상기 선등록 퍼프(80)는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수성을 갖는 스펀지 형태의 퍼프부재(20)의 일면에 핫멜트 필름의 베리어막(30)을 적층 시키고 고온으로 가열 압착하여 상기 베리어막(30)과 퍼프부재(20)를 결합 형성된 퍼프 적층체(40)와, 비투과성을 갖는 시트 또는 필름 형태의 외피(60)를 폴리우레탄 폼(50)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 및 산포하여 접합한 적층체(70)를 형성시킨 후 상기 퍼프 적층체(40) 상부에 폼 적층체(70)를 적층 시킨 후 접합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한 대한미국 특허등록 제1470548호의 화장용 퍼프는 베리어막을 사용하여 흡입된 액상의 화장료가 외피를 통해 사용자의 손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제조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베리어막으로 사용되는 핫멜트 필름을 고온으로 가열 압착하여 접합하는 것으로 균일한 접합이 안돼 불량율이 높은 단점이 있다.
대한미국 특허등록 제1470548호 대한미국 특허등록 제1385652호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볼륨을 갖도록 하는 스폰지부재가 클로즈셀 파트 부분에서는 화장료가 손잡이 끈이 설치된 상부 쪽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오픈 셀 파트 부분에서는 흡입, 저장 흡입된 화장료의 용출이 용이하여 보다 많은 양의 액상 화장료를 피부에 한번에 펴 바를 수 있도록 한 액상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물성이 다른 스펀지부재를 하나의 원부자재로 사용함으로 탄성력과 인장력이 향상되고, 하나의 스펀지부재에 일면은 화장료가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일면은 화장료를 흡입,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퍼프를 간편하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액상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 화장료를 흡수하여 피부에 펴 바를 수 있도록 하는 피부접촉부재와; 상기 피부접촉부재에 적층되어 일정한 볼륨을 형성하도록 하는 스펀지부재와 상기 스펀지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외피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부재가 화장료가 손잡이 끈이 설치된 상부 쪽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클로즈셀 파트 부분과 흡입, 저장 흡입된 화장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한 오픈셀 파트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용 퍼프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클로즈셀 파트 부분과 오픈셀 파트 부분이 접착 또는 라미네이팅 중 어느 하나로 합지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용 퍼프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스폰지부재는 화장료가 손잡이 끈이 설치된 상부 쪽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클로즈셀 파트 부분과 흡입, 저장 흡입된 화장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한 오픈셀 파트 부분 상기 클로즈셀과 오픈셀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셀 파트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용 퍼프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액상 화장용 퍼프의 구현은 액상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T-다이 또는 압출기에서 이송수단으로 토출되는 용융된 수지를 시트 형태로 형성하여 발포단계를 수행시 이송수단의 표면을 저온으로 냉각하여 이송수단과 접하는 표면은 미 발포되도록 하여 상기 클로즈셀과 오픈셀이 하나의 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볼륨을 갖도록 하는 스폰지부재가 클로즈셀 파트 부분에서는 화장료가 손잡이 끈이 설치된 상부 쪽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오픈 셀 파트 부분에서는 흡입, 저장 흡입된 화장료의 용출이 용이하여 보다 많은 양의 액상 화장료를 피부에 한번에 펴 바를 수 있고 또한 물성이 다른 스펀지부재를 하나의 원부자재로 사용함으로 탄성력과 인장력이 향상되고, 퍼프를 간편하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액상 화장용 퍼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액상 화장용 퍼프의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단면 예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액상 화장용 퍼프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예시도로써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액상 화장용 퍼프는 액상 화장료를 흡수하여 피부에 펴 바를 수 있도록 하는 피부접촉부재(2)와; 상기 피부접촉부재(2)에 적층되어 일정한 볼륨을 형성하도록 하는 스펀지부재(3)와 상기 스펀지부재(3)를 보호하기 위한 외피(4)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1)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부재(3)가 화장료가 손잡이 끈이 설치된 상부 쪽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클로즈셀 파트 부분(3a)과 흡입, 저장 흡입된 화장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한 오픈셀 파트 부분(3b)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스폰지부재(3)의 제조방법으로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3c)를 이용하여 화장료가 손잡이 끈이 설치된 상부 쪽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클로즈셀 파트 부분(3a)과 흡입, 저장 흡입된 화장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한 오픈셀 파트 부분(3b)을 합지한 구조이다.
상기 피부접촉부재(2)는 피부와 직접 첩촉하는 부재로서 터치감과 흡수력이 우수하여야 하며 통상의 라텍스 재질인 엔비알(N.B.R;NITRILE BUTADIENE RUBBBER), 에스비알(S.B.R;STYRENE BUTADIENE RUBBBER), 엔알(N.R;NATURAL RUBBER), 루비셀(RUBYCELL;습식 URETHANL), 코트 벨로라(COTTON VELOUR), 및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논라텍스 재질 및 폴리우레탄 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스펀지부재(3)는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e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스펀지부재(3)는 상기한 재료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발포 형성되어 제조되며 두께는 4mm ~ 10mm 이내로 형성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펀지부재(3)의 두께가 4mm 이하일 경우 두께가 얇아짐으로 인해 충분한 화장료의 저장이 어려우며 또한 화장시 외부로 분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볼륨감이 없어 피부 터치시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에 따른 가압력(터치압력)을 그대로 피부로 전달하는 문제와 퍼핑(puffing)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있으며, 스펀지부재(3)의 두께가 10mm 이상으로 제조되면 화장품 용기 내에 장착이 어려워지는 문제와 피부접촉부재(2)와 외피의 접착에 어려움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피부접촉부재(2)와 스펀지부재(3)는 모두 발포폼 형태의 것을 사용하며 피부접촉부재(2)는 터치감, 발림성, 액체의 투과성이 우수하여야 하며 스펀지부재(3)는 가볍고 볼륨감이 있어야 하며 액체의 일부는 흡수 일부는 투과성이 없어야 한다.
상기 스펀지부재(3)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3c)를 이용하여 합지하는 방법과 또는 미도시된 라미네이팅 방법으로 합지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3c)의 기능이 접착 기능만 있는 것이 아닌 일정한 두께로 도포되어 액체의 이동을 차단하는 분리막 기능도 얻을 수 있는 것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을 사용한다.
상기 라미네이팅 방법은 오픈셀 파트 부분(3b)과 클로즈셀 파트 부분(3a)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을 모두 화염을 이용하여 가열하면 표면이 용융되면 접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라미네이팅 방법의 접합은 상부로 화장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화장료가 손잡이 끈이 설치된 상부 쪽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클로즈셀 파트 부분(3a)과 흡입, 저장 흡입된 화장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한 오픈셀 파트(3b) 부분을 합지시 두께는 각각 1/2의 두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적용예에 따라서는 클로즈셀 파트 부분의 두께가 오픈셀 파트 부분 보다 두께가 두꺼워야 한다.
그 이유는 상태적으로 오픈셀 파트 부분(3b)이 얇으면 흡입되는 화장료의 양이 적게 흡입되기 때문에 클로즈셀 파트 부분(3a)이 액체 화장료가 상부로 전달되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첨부도면 도 3은 스펀지부재(3)가 단일체이면서 3가지의 물성변화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화장료가 손잡이 끈이 설치된 상부 쪽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클로즈셀 파트 부분(3a)과 흡입, 저장 흡입된 화장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한 오픈셀 파트 부분(3b) 상기 클로즈셀과 오픈셀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셀 파트 부분(3d)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상기 클로즈셀, 오픈셀, 클로즈셀+오픈셀 혼합 부분이 형성되는 단일체인 스펀지부재(3)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를 용융 상태로 만들어 T-다이 또는 압출기를 통해 토출시킨다.
이때 토출된 합성수지는 이송수단에 떨어지며 상기 이송수단으로 토출되는 용융된 수지를 시트 형태로 형성하여 발포단계를 수행시 이송수단의 표면을 저온으로 냉각시키면 이송수단과 접하는 수지의 표면은 미 발포되어 상단은 상온에서 발포시키면 상기 클로즈셀과 오픈셀이 하나의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클로즈셀 파트 부분과 오픈셀 파트 부분 및 클로즈셀 파트 부분과 오픈셀 파트 부분 사이에 클로즈셀과 오픈셀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셀 파트부분으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물성이 다른 스펀지부재(3)를 하나의 원부자재로 사용함으로 탄성력과 인장력이 향상되고, 하나의 스펀지부재(3)에 일면은 화장료가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일면은 화장료를 흡입,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퍼프를 간편하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2 : 피부접촉부재
3 : 스펀지부재
3a : 클로즈셀 파트 부분
3b : 오픈셀 파트 부분

Claims (5)

  1. 액상 화장료를 흡수하여 피부에 펴 바를 수 있도록 하는 피부접촉부재와; 상기 피부접촉부재에 적층되어 일정한 볼륨을 형성하도록 하는 스펀지부재와 상기 스펀지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외피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부재가 화장료가 손잡이 끈이 설치된 상부 쪽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클로즈셀 파트 부분과 흡입, 저장 흡입된 화장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한 오픈셀 파트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용 퍼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즈셀 파트 부분과 오픈셀 파트 부분이 접착제 또는 라미네이팅 중 어느 하나로 합지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용 퍼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부재는 화장료가 손잡이 끈이 설치된 상부 쪽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클로즈셀 파트 부분과 흡입, 저장 흡입된 화장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한 오픈셀 파트 부분 상기 클로즈셀과 오픈셀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셀 파트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용 퍼프.
  4. 액상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T-다이 또는 압출기에서 이송수단으로 토출되는 용융된 수지를 시트 형태로 형성하여 발포단계를 수행시 이송수단의 표면을 저온으로 냉각하여 이송수단과 접하는 표면은 미 발포되도록 하여 상기 클로즈셀과 오픈셀이 하나의 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폰지부재가 화장료가 손잡이 끈이 설치된 상부 쪽으로 스며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클로즈셀 파트 부분과 흡입, 저장 흡입된 화장료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한 오픈셀 파트 부분 상기 클로즈셀과 오픈셀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혼합셀 파트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상 화장용 퍼프의 제조방법.



KR1020210187231A 2021-12-24 2021-12-24 오픈 셀과 클로즈셀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 KR20230097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231A KR20230097583A (ko) 2021-12-24 2021-12-24 오픈 셀과 클로즈셀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231A KR20230097583A (ko) 2021-12-24 2021-12-24 오픈 셀과 클로즈셀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583A true KR20230097583A (ko) 2023-07-03

Family

ID=8715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231A KR20230097583A (ko) 2021-12-24 2021-12-24 오픈 셀과 클로즈셀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758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652B1 (ko) 2013-10-21 2014-05-07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470548B1 (ko) 2014-07-15 2014-12-10 (주)고려퍼프 리퀴드 화장용 퍼프 및 퍼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5652B1 (ko) 2013-10-21 2014-05-07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470548B1 (ko) 2014-07-15 2014-12-10 (주)고려퍼프 리퀴드 화장용 퍼프 및 퍼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681B1 (ko) 화장용 퍼프
KR101385652B1 (ko)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ES2727602T3 (es) Artículo impregnado con fibras y red de protección
US6006761A (en) Two-sided preparation and finishing applicator
KR102587332B1 (ko) 비투과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KR102544620B1 (ko) 화장용 퍼프
KR101848246B1 (ko) 에어셀이 구비된 화장용 퍼프
KR101830119B1 (ko) 화장용 퍼프
KR20230097583A (ko) 오픈 셀과 클로즈셀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
KR20230097579A (ko) 액상 화장용 퍼프
KR200488564Y1 (ko) 방수기능을 갖는 화장용 퍼프
JP3756925B1 (ja) 発熱組成物収容用袋およびそれを用いた温熱用具
KR102590449B1 (ko)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200493653Y1 (ko) 화장용 스펀지 분첩
CN108602301B (zh) 吸收性与传递性得到调节的化妆工具
KR102229405B1 (ko) 화장용 퍼프
KR102361121B1 (ko) 화장용 퍼프
KR101852174B1 (ko) 퍼프 제조 방법
KR200497630Y1 (ko) 아이스팩 내장형 쿨링퍼프
KR101978874B1 (ko) 두께 조절이 가능한 퍼프
KR102455555B1 (ko) 더블퍼프 및 그 제조방법
JPH08266329A (ja) 化粧用塗布具
JP3078159U (ja) 化粧用具
KR102525963B1 (ko) 퍼프
TW201729716A (zh) 化妝品施用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