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0449B1 -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 Google Patents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0449B1
KR102590449B1 KR1020160016413A KR20160016413A KR102590449B1 KR 102590449 B1 KR102590449 B1 KR 102590449B1 KR 1020160016413 A KR1020160016413 A KR 1020160016413A KR 20160016413 A KR20160016413 A KR 20160016413A KR 102590449 B1 KR102590449 B1 KR 102590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layer
skin contact
area
cosmetic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4989A (ko
Inventor
최정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16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0449B1/ko
Priority to PCT/KR2017/001281 priority patent/WO2017138724A1/ko
Priority to US16/077,082 priority patent/US20190038000A1/en
Priority to CN201780010741.XA priority patent/CN108698366B/zh
Priority to EP17750416.4A priority patent/EP3415309B1/en
Priority to TW106104205A priority patent/TWI704883B/zh
Publication of KR20170094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989A/ko
Priority to HK18115180.8A priority patent/HK1256105A1/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0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0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Landscapes

  • Cosmet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에 관한 것으로, 화장료를 흡수하며 피부에 흡수된 화장료를 전달하는 피부접촉층과; 상기 피부접촉층에 마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으로부터의 물리적 가압에 따라 상기 피부접촉층을 피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층은 제1가압력을 가진 제1영역과 상기 제1가압력보다 낮은 제2가압력을 가진 제2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Cosmetic applicator having improved delivery property}
본 발명은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에 관한 것이다
화장도구는 화장료를 피부, 특히 얼굴 피부에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화장도구는 화장료를 적절하게 흡수한 후 피부에 적절한 양으로 전달하는 특성이 중요하다.
화장 후에 화장료가 화장도구에 남아있게 되면 위생상 및 외관상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저점도의 화장료를 피부에 전달하는 발포폼 재질의 화장도구에서 더욱 문제된다.
일본 특허 등록 제3,487,915호(2003년 10월 31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도구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하며 피부에 흡수된 화장료를 전달하는 피부접촉층과; 상기 피부접촉층에 마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으로부터의 물리적 가압에 따라 상기 피부접촉층을 피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층은 제1가압력을 가진 제1영역과 상기 제1가압력보다 낮은 제2가압력을 가진 제2영역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에 비해 상기 피부접촉층을 향해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에 비해 강도가 강할 수 있다.
상기 피부접촉층과 상기 탄성층은 일체일 수 있다.
상기 피부접촉층과 상기 탄성층은 별개 층일 수 있다.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열이력이 다를 수 있다.
상기 피부접촉층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주변에 비해 화장료 흡수력이 낮을 수 있다.
상기 피부접촉층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열에 의해 폐색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접촉층의 상기 제1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주변에 비해 얇을 수있다.
상기 탄성층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층과 함께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 및 고정되도록 하는 띠형상의 손잡이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영역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주변보다 낮은 밀도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손잡이부의 연장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영역에서의 돌출 높이는 상기 피부접촉층 두께의 10% 내지 100%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도구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하며 피부에 흡수된 화장료를 전달하는 피부접촉층과; 상기 피부접촉층에 마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으로부터의 물리적 가압에 따라 상기 피부접촉층을 피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층은 상기 피부접촉층을 변형시키는 정도가 다른 복수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도구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하며 피부에 흡수된 화장료를 전달하는 피부접촉층과; 상기 피부접촉층에 마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으로부터의 물리적 가압에 따라 상기 피부접촉층을 피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피부접촉층은 상기 탄성층의 가압 시 전달특성이 다른 복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제1영역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작동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제1영역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영역의 다른 배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7 내지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화장도구로서 퍼프를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장료를 흡수 및 전달하는 모든 화장도구에 적용된다. 또한 저점도 화장료를 예시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말상, 고상 및 혼합상의 화장료에 모두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른 단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에서 제1영역의 배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의 'X' 에 해당하는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화장도구(1)는 퍼프라고도 불리며 본체(10)와 손잡이띠(2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납작하고 둥근형상이며 탄성을 가지고 있다.
손잡이띠(20)는 본체(10)를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으며 천 재질 및/또는 탄성이 있는 수지 재질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10)는 피부접촉층(110)과 탄성층(120)을 포함한다. 피부접촉층(110)과 탄성층(120)은 대략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테두리를 따라 예를 들어 열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피부접촉층(110)은 화장료를 흡수하고 피부로 화장료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접촉층(110)에는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부분(112)은 제1부분(111)보다 상대적으로 화장료의 흡수력이 떨어진다.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을 별도의 재질로 만들어 접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다르게는, 제1부분(111)을 형성할 조성물과 제2부분(112)을 형성할 조성물을 순차적으로 배치한 후 가열, 중합 및/또는 발포 등의 과정을 통해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이 교대로 배치된 원판을 만들고 원판을 커팅하여 피부접촉층(110)을 형성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 외에 피부접촉층(110) 중 제2부분(112)에 해당하는 영역을 열처리 또는 가압 처리하여 형성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열처리에 의해 제2부분(112)과 제 1부분(111)은 서로 다른 물성,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밀도, 서로 다른 평균 포어 수, 서로 다른 포어 사이즈, 서로 다른 경도 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2부분(112)의 조직이 치밀해져 제2부분(112)의 화장료 흡수력이 감소한다. 특히, 피부접촉층(110)이 발포폼으로 이루어진 경우, 열처리에 의해 기포가 폐색되어 화장료 흡수력이 감소한다. 열처리에 의해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의 열이력이 달라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부분(112)이 피부접촉층(110)의 두께(d1)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부분(112)은 피부접촉층(110)의 두께(d1)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두께(d1) 내에서의 형성 높이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피부접촉층(110)의 재질은 다공질일 수 있으며, 특히 발포폼일 수 있다. 발포폼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또는 네오프렌 재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피부접촉층(110) 자체가 동일재질 또는 이질재질로 이루어진 다층구조일 수 있다.
탄성층(120)은 피부접촉층(110)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제1영역에는 피부접촉층(110)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층(120)은 전체가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동일 재질 또는 이종재질의 돌출부(121)를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21)를 이종재질로 형성할 경우, 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돌출부(121)가 형성된 제1영역은 피부접촉층(110)의 제1부분(111)에 대응하며, 제2영역은 피부접촉층(110)의 제2부분(112)에 대응한다.
화장 과정에서 탄성층(120)은 피부접촉층(110)을 가압하여 화장료가 피부로 전달되도록 한다. 가압 시 돌출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제1영역은 제2영역보다 피부접촉층(110)에 강한 가압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피부접촉층(110)의 제1부분(111)에 함유되어 있던 화장료는 용이하게 피부로 전달되어 잔존하는 화장료가 감소한다. 한편, 상대적으로 약한 가압력을 받는 제2부분(112)에는 흡수된 화장료가 많지 않기 때문에 잔존하는 화장료도 많지 않다.
돌출부(121)의 두께(d2)는 피부접촉층(110)의 두께(d1)의 10% 내지 100%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70%, 20% 내지 60% 또는 30% 내지 60%일 수 있다. 돌출부(121)의 두께(d2)가 피부접촉층(110)의 두께(d1)의 10%미만이면 가압력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돌출부(121)의 두께(d2)가 피부접촉층(110)의 두께(d1)의 100%이상이면 사용 시 사용자가 돌출부(121)를 느낄 수 있어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화장도구(1)의 전체 형상 디자인에 영향을 준다.
탄성층(120)의 재질은 천연고무, 합성고무 및 합성수지 등일 수 있으며, 특히 발포폼일 수 있다. 발포폼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 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 고무 또는 네오프렌 재질,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탄성층(120) 자체가 동일재질 또는 이질재질로 이루어진 다층구조일 수 있다.
제1영역은 도 3과 같이 서로 평행하게 길게 연장되어 있다. 연장방향은 손잡이띠(20)의 길이방향과 수직방향일 수 있다. 피부접촉층(110)의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은 제1영역의 배치에 대응하도록 번갈아 가면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a)와 같이 화장료 케이스 등에 함유되어 있는 화장료에 화장도구(1)를 가압하여 피부접촉층(110)에 화장료를 흡수한다. 이 때 화장료는 저점도 화장료 형태일 수 있다.
화장료 흡수에 있어, 화장료는 흡수력이 낮은 제2부분(112)보다는 흡수력이 높은 제1부분(111)에 더 많이 흡수된다.
화장료 흡수 후에 도 4의 (b)와 같이 탄성층(120) 후방에서 물리적 압력을 가하여 화장료를 피부로 전달한다. 물리적 압력은 통상 사용자의 손가락 및/또는 손바닥 등에 의해 가해질 수 있다.
이때, 대부분의 화장료를 포함하고 있는 제1부분(111)은 돌출부(121)에 의해 제2부분(112)보다 큰 가압력을 받게 되며, 이에 의해 화장료의 피부로의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제1부분(111)의 두께(d3)가 감소하게 되며, 감소 정도는 제2부분(112)보다 크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부분(112)도 제2영역과 접촉하여 변형될 수 있다. 제1부분(111)의 두께 감소 정도((최초 두께-가압 후 두께)/최초두께)는 제2부분(112)의 두께 감소 정도의 1.5배 이상 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1.5배 내지 20배, 1.5 배 내지 10배, 1.5배 내지 5배, 3배 내지 20배, 3배 내지 10배 또는 3배 내지 5배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료를 포함하는 제1부분(111)에 선택적으로 높은 가압력이 가해져 화장료의 전달성이 향상된다. 즉, 제1부분(111)과 제2부분(112)의 화장료 전달특성이 달라지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1부분(111)에 잔존하는 화장료가 감소한다. 상대적으로 낮은 가압력이 가해지는 제2부분(112)에는 흡수된 화장료가 적기 때문에 잔존하는 화장료 양에 주는 영향이 미미하다. 이에 따라 화장도구(1), 특히 피부접촉층(110)이 잔존 화장료에 의해 오염되는 문제가 크게 감소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대응하는 제1영역의 배치는 도 5와 같이 격자형상일 수 있으며 도 6과 같이 복수의 동심원일 수 있다. 제1영역의 배치에 따라 피부접촉층(110)의 제1부분(111) 및 제2부분(112)의 배치도 변경된다.
한편, 제1영역과 제1부분(111)은 완전하게 대응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7실시예에 따른 화장도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나타낸 제2실시예에서는 제1부분(111)의 두께(d4)가 주변에 비해 작다. 제1부분(111)의 두께(d4)는 주변 두께의 50% 내지 90%일 수 있다. 제1부분(111)의 두께(d4)가 작아 가압력이 제1부분(111)에 더 효과적으로 가해져 전달성이 향상된다.
도 8에 나타낸 제3실시예에서는 피부접촉층(110)이 동일한 두께와 동일한 흡수력을 가지고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피부접촉층(110)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영역에 대응하는 A부분은 제2영역에 대응하는 B부분에 비해 전달특성이 향상되며, 전체적으로 피부접촉층(110)의 전달특성이 향상된다.
도 9에 나타낸 제4실시예에서는 피부접촉층(110)이 동일한 흡수력을 가지고 있으나 제1영역에 대응하는 A부분의 두께는 주변보다 작다. 제1영역에 대응하는 A부분은 제2영역에 대응하는 B부분에 비해 전달특성이 향상되며, 특히 A부분의 감소된 두께에 의해 전달특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10에 나타낸 제5실시예에서는 피부접촉층(110)과 탄성층(1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층(120)에 경도증가부(122)가 마련되어 있으며, 경도증가부(122)가 형성된 영역이 제1영역이 된다. 경도증가부(122)는 주변에 비해 경도가 증가된 부분으로, 제1실시예의 돌출부(121)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경도증가부(122)에 의해 제1영역은 제2영역에 비해 피부접촉층(110)에 더 큰 가압력을 줄 수 있다. 경도증가부(112)는 탄성층(120)을 열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제6실시예에서도 피부접촉층(110)과 탄성층(1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피부접촉층(110)은 동일한 두께와 동일한 흡수력을 가지고 있다. 제6실시예에 따르면 피부접촉층(110)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영역에 대응하는 A부분은 제2영역에 대응하는 B부분에 비해 전달특성이 향상되며, 전체적으로 피부접촉층(110)의 전달특성이 향상된다.
도 12에 나타낸 제7실시예는 도 1에서 손잡이띠(20)를 따른 단면에 해당하는 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화장도구(1)를 이용한 화장 시에 사용자는 탄성층(120)과 손잡이띠(20)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게 된다. 손가락은 통상 2개 또는 3개가 들어갈 수 있으며, 화장도구(1)의 크기 등을 조절하여 삽입되는 손가락의 개수 및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제7실시예에서는 2개의 손가락이 화장도구(1)의 중심에 대칭으로 삽입된다.
화장료 전달 시에 손가락에 대응하는 영역이 집중적으로 물리적 가압을 받게 된다. 제7실시예에서는 손가락에 대응하지 않는 영역(D)에 돌출부(121)를 집중적으로 배치하였다. 즉, 손가락에 대응하는 영역(C)에서 돌출부(121)가 다른 영역(D)보다 낮은 밀도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돌출부(121)는 제1실시예와 같이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연장방향은 손가락 길이방향을 따라, 즉, 손잡이띠(20) 연장방향의 수직방향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밀도’는 제1영역의 단위 면적 당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단위 면적당 제1영역이 차지하는 면적도 포함할 수 있다.
제7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물리적 압력이 약하게 가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에 제1영역을 집중 배치하여 전달특성을 고르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서는 반대로 실제 물리적 압력이 강하게 가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부분에 제1영역을 집중 배치하여 전달성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화장도구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하며 피부에 흡수된 화장료를 전달하는 피부접촉층과;
    상기 피부접촉층에 마주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으로부터의 물리적 가압에 따라 상기 피부접촉층을 피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층은 제1가압력을 가진 제1영역과 상기 제1가압력보다 낮은 제2가압력을 가진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역에는 상기 피부접촉층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부접촉층은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보다 상대적으로 흡수력이 높은 제1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피부접촉층의 상기 제1부분은 마주보게 배치되는 화장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에 비해 상기 피부접촉층을 향해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2영역에 비해 강도가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접촉층과 상기 탄성층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접촉층과 상기 탄성층은 별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은 열이력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접촉층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주변에 비해 화장료 흡수력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접촉층의 상기 제2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열에 의해 폐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접촉층의 상기 제1영역에 대응하는 부분은 주변에 비해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층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탄성층과 함께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 및 고정되도록 하는 띠형상의 손잡이띠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영역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주변보다 낮은 밀도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손잡이부의 연장방향의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에서의 돌출 높이는 상기 피부접촉층 두께의 1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도구.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016413A 2016-02-12 2016-02-12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102590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413A KR102590449B1 (ko) 2016-02-12 2016-02-12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PCT/KR2017/001281 WO2017138724A1 (ko) 2016-02-12 2017-02-06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US16/077,082 US20190038000A1 (en) 2016-02-12 2017-02-06 Cosmetic tool with improved transferring performance
CN201780010741.XA CN108698366B (zh) 2016-02-12 2017-02-06 传递性上升的化妆工具
EP17750416.4A EP3415309B1 (en) 2016-02-12 2017-02-06 Cosmetic tool with improved transferring performance
TW106104205A TWI704883B (zh) 2016-02-12 2017-02-09 化妝品施用器
HK18115180.8A HK1256105A1 (zh) 2016-02-12 2018-11-27 傳遞性上升的化妝工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413A KR102590449B1 (ko) 2016-02-12 2016-02-12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989A KR20170094989A (ko) 2017-08-22
KR102590449B1 true KR102590449B1 (ko) 2023-10-17

Family

ID=59563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413A KR102590449B1 (ko) 2016-02-12 2016-02-12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038000A1 (ko)
EP (1) EP3415309B1 (ko)
KR (1) KR102590449B1 (ko)
CN (1) CN108698366B (ko)
HK (1) HK1256105A1 (ko)
TW (1) TWI704883B (ko)
WO (1) WO20171387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366B1 (ko) * 2015-11-24 2017-06-12 (주)아모레퍼시픽 레이저 가공에 의해 표면에 음각이 형성된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US11641928B2 (en) * 2018-12-28 2023-05-09 John. H. Shadduck Cosmetic blender and method of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444A (ja) * 1998-06-30 2000-01-18 Jekusu Kk パウダーパフ及びパウダーパフ体
JP2005177163A (ja) * 2003-12-19 2005-07-07 Shiseido Co Ltd 化粧用パ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4017A (ja) * 1996-12-02 1997-06-24 Nippon Pafu Seizo Kk 化粧用スポンジパフの製造方法
JP3054381B2 (ja) * 1997-05-19 2000-06-19 東京パフ株式会社 化粧用塗布具の製造方法及び化粧用塗布具
US20080159804A1 (en) * 2006-12-29 2008-07-03 Avon Products, Inc. Cosmetic or pharmaceutical product and applicator for cosmetic or pharmaceutical powders or beads and method of use
US8597667B2 (en) * 2008-05-09 2013-12-03 Elc Management Llc Targeted and individualized cosmetic delivery
KR101181168B1 (ko) * 2011-06-13 2012-09-18 주식회사 대현공예 퍼프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
FR2981835B1 (fr) * 2011-11-02 2014-04-11 Oreal Organe d'application d'un produit cosmetique et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comportant un tel organe
US9022679B2 (en) * 2012-06-22 2015-05-05 Casemed Engineering, Llc Touch-free applicator
KR101295166B1 (ko) * 2012-09-04 2013-08-09 (주)아모레퍼시픽 토출량 조절 흡습 퍼프 및 그 제조방법
JP2014050439A (ja) * 2012-09-05 2014-03-20 Nishikawa Rubber Co Ltd 化粧用塗布具
KR101406292B1 (ko) * 2013-07-01 2014-06-12 주식회사 삼화플라스틱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551231B1 (ko) * 2014-01-06 2015-09-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손잡이를 구비한 퍼프
KR101431423B1 (ko) * 2014-03-05 2014-08-18 김진우 퍼프 내장형 화장용 파우더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444A (ja) * 1998-06-30 2000-01-18 Jekusu Kk パウダーパフ及びパウダーパフ体
JP2005177163A (ja) * 2003-12-19 2005-07-07 Shiseido Co Ltd 化粧用パ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8366B (zh) 2020-08-11
WO2017138724A1 (ko) 2017-08-17
CN108698366A (zh) 2018-10-23
HK1256105A1 (zh) 2019-09-13
KR20170094989A (ko) 2017-08-22
TW201728282A (zh) 2017-08-16
US20190038000A1 (en) 2019-02-07
TWI704883B (zh) 2020-09-21
EP3415309A1 (en) 2018-12-19
EP3415309A4 (en) 2019-10-09
EP3415309B1 (en) 202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7129A (en) Sponge and fabrication method
EP2131711B1 (en) Hand-utility interface
US20080201966A1 (en) Razor Handle Provided with an Improved Grip
JP2005536259A (ja) グリップ改良型剃刀ハンドル
KR102590449B1 (ko) 전달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102552056B1 (ko)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20170114129A (ko) 화장용 퍼프
KR102430854B1 (ko)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CN108602301B (zh) 吸收性与传递性得到调节的化妆工具
KR102371220B1 (ko) 화장료 흡수용량이 향상된 화장도구
KR102453943B1 (ko) 변형형상이 유지되는 화장도구 및 그 제조방법
KR102371223B1 (ko) 열전달부가 형성된 화장도구
KR200493653Y1 (ko) 화장용 스펀지 분첩
KR20190051280A (ko) 화장용 퍼프
JP5845077B2 (ja) 感覚剤含有マッサージ剤用マッサージ具
KR102371261B1 (ko)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102430792B1 (ko) 화장도구
KR102499658B1 (ko) 하니컴체를 포함하는 화장도구
KR20190121970A (ko) 폴리우레탄 인조가죽 표면에 후로킹 가공된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97583A (ko) 오픈 셀과 클로즈셀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
KR200457691Y1 (ko) 미용장갑
KR20230097579A (ko) 액상 화장용 퍼프
KR20200075657A (ko)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
JP2022538323A (ja) 化粧用物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