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5657A -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5657A
KR20200075657A KR1020180164565A KR20180164565A KR20200075657A KR 20200075657 A KR20200075657 A KR 20200075657A KR 1020180164565 A KR1020180164565 A KR 1020180164565A KR 20180164565 A KR20180164565 A KR 20180164565A KR 20200075657 A KR20200075657 A KR 20200075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orous sheet
cosmetic
reg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환
김세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64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5657A/ko
Publication of KR2020007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6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장료를 함유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고 도포할 수 있는 다공성 시트를 포함하는 피부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시트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피부 접촉면은, 상대적으로 작은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구분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큰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MAKEUP TOO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 도구는 화장료를 피부에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화장료를 적절하게 흡수한 후 피부에 적절한 양으로 전달하고, 화장료를 피부에 잘 도포하는 특성이 중요하다.
화장 도구의 하나로서 주로 얼굴에 화장료를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퍼프는 다공성 시트 또는 다공성 폼으로 형성되는 피부 접촉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피부 접촉부는 일반적으로 일련의 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바, 피부에 접촉되는 접촉면을 형성하는 구멍의 사이즈는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된다.
퍼프와 같이 다공성의 피부 접촉부를 갖는 화장 도구의 화장료의 흡수량 및 전달량은 구멍의 크기에 영향을 받는다. 구멍 크기가 크면 흡수량 및 전달량이 많아져서 커버력은 높아지나, 흡수된 잔여 화장료가 보관 중 휘발 성분이 증발됨으로서 사용감 차이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구멍의 크기가 작으면 흡수량 및 전달량이 적다는 문제가 있으나, 화장료를 고르게 펴 바를 수 있고 밀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의 니즈는 점점 다양해지고 있어, 적당한 화장료의 흡수량과 전달량을 가지면서도 화장료를 고르게 펴 바를 수 있고 밀착력을 부여할 수 있는 화장 도구에 대한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으나, 종래의 화장 도구로는 이를 모두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42757호(2017.12.28.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적당한 화장료의 흡수량과 전달량을 가지면서도 화장료를 고르게 펴 바를 수 있고 밀착력을 부여할 수 있는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구멍이 상대적으로 작은 피부 접촉면을 갖는 화장 도구의 장점과 구멍이 상대적으로 큰 피부 접촉면을 갖는 화장 도구의 장점을 모두 갖는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장료를 함유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고 도포할 수 있는 다공성 시트를 포함하는 피부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시트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피부 접촉면은, 상대적으로 작은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구분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큰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20㎛ 내지 70㎛이고, 상기 제2 영역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80㎛ 내지 150㎛인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50㎛이고, 상기 제2 영역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100㎛인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영역의 면적과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1:3 내지 3:1인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화학적 조성은 서로 동일한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화학적 조성은 서로 다른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 구멍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향성을 갖고,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다공성 시트가 상기 피부 접촉부에 도포되기 전에 엠보싱 가공된 후 적어도 일부 영역이 그라인딩 처리되어 형성되는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시트는 서로 다른 평균 구멍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층 일부의 층이 상기 피부 접촉면에 노출되어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을 형성하는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시트는 섬유를 기초로 발포 성형된 것인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접촉부는, 상기 다공성 시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화장료 도포 시 상기 다공성 시트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접촉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띠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영역 또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2 영역은 다른 영역에 의해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인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은 다각형 또는 원형인 화장 도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장료를 함유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고 도포할 수 있으며, 두께 방향으로 구멍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향성을 갖는 다공성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시트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시트를 그라인딩 처리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인딩에 의해 상기 피부 접촉면은, 상대적으로 작은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구분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큰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으로 구획되는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시트는 상기 그라인딩되는 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구멍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성을 갖는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그라인딩에 의해 상기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인딩에 의해 상기 제2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의 화학적 조성은 다르게 형성되는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시트는, 원단이 발포 성형이 가능한 배합액으로 코팅된 후 응고 및 수세 단계를 거쳐 제조된 것인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갖는 틀로 상기 다공성 시트를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적당한 화장료의 흡수량과 전달량을 가지면서도 화장료를 고르게 펴 바를 수 있고 밀착력을 부여할 수 있는 화장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멍이 상대적으로 작은 피부 접촉면을 갖는 화장 도구의 장점과 구멍이 상대적으로 큰 피부 접촉면을 갖는 화장 도구의 장점을 모두 갖는 화장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 도구의 피부 접촉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피부 접촉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화장 도구의 피부 접촉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피부 접촉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1)는 화장료를 피부에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화장료를 함유하고 있거나 흡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화장료를 전달하고 도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도구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 도구(1)로서 퍼프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화장 도구(1)는, 화장료를 함유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고 도포할 수 있는 다공성 시트(110)를 포함하는 피부 접촉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접촉부(10)의 일측면은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는 도포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피부 접촉부(10)의 타측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띠(20)가 결합될 수 있다.
피부 접촉부(10)는, 다공성 시트(110)의 일측에 결합되고, 화장료 도포 시 다공성 시트(1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20)는 사용자가 가하는 힘에 의한 반발력을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서와 같이 화장 도구(1)가 퍼프인 경우, 다공성 시트(110) 및 커버 필름(13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커버 필름(130)은 탄성부재(120)를 중심으로 다공성 시트(110)의 반대측에 제공되고, 탄성부재(120)를 덮어 보호할 수 있다.
띠(20)는 탄성부재(120) 또는 커버 필름(130)에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필름(130)에 부착되는 형태로 도시하였다.
다공성 시트(110)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피부 접촉면을 형성한다. 피부 접촉면은 상술한 도포면에 대응되는 바, 도 1 및 도 2의 하측면이자 도 3에 도시된 표면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피부 접촉면은, 상대적으로 작은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112), 및 제1 영역(112)과 구분지어지는 경계를 갖고 상대적으로 큰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크기는 구멍을 구 형상으로 간주했을 때의 구의 직경 또는 피부 접촉면을 바라보았을 때 보여지는 구멍의 원의 직경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은 도 3과 같이 피부 접촉면을 바라보았을 때 서로 구별될 수 있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제1 영역(112)을 형성하는 다공성 시트(110)의 일 부분에 포함된 전체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와 제2 영역(114)을 형성하는 다공성 시트(120)의 일 부분에 포함된 전체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 사이의 관계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은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도포면의 일부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은 서로 구분지어지도록 하는 경계를 갖는다. 여기서, 경계는 반드시 경계선의 형태로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112)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구멍들을 하나의 집합으로서 포함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2 영역(114)도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구멍들을 하나의 집합으로서 포함하는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으면 충분하며, 반드시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의 경계가 명확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가상의 선에 의해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을 구분해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의 경계는 외관 상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는 경계선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이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색깔을 갖는 경우 그 경계는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의 구분은 랜덤하게 분포되어 있는 구멍들을 임의로 묶어 비교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즉, 현재까지의 다공성 시트(110)의 제조 기술에 의하면, 화장료를 저장하였다가 배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구멍들의 크기를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구현할 수 없으며, 구멍들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임의로 구멍들을 그룹화한다면 일부 구역은 평균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일부 구역은 평균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의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은 이와 같이 임의로 구획된 구역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즉,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은 화장 도구(1) 또는 다공성 시트(110)의 제조 과정 중에 의도적으로 구획된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서로 인접한 제1 영역(112) 또는 서로 인접한 제2 영역(114)은 다른 영역에 의해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의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이 각각 상대 영역에 의해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다공성 시트(11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원형으로 형성된 제2 영역(114a)이 제1 영역(112a)에 의해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다공성 시트(110a)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영역(114a)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영역(112a)과 제2 영역(114a)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영역(112, 112a)과 제2 영역(114, 114a)이 불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써, 화장료 도포 시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구멍에 의한 효과가 교번하여 발생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제1 영역(112, 112a)과 제2 영역(114, 114a)에 따른 화장료 발림 효과를 잘 융합시킬 수 있다.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은 화장료의 흡수 및 배출, 그리고 화장료 도포 및 발림에 있어서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포함하고 있는 구멍들의 크기 차이에 의해 이러한 기능 차이가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112)에 포함되어 있는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제2 영역(114)에 포함되어 있는 구멍들의 평균 크기보다 작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구멍들을 포함하고 있는 제1 영역(112)은 화장료의 흡수량 및 전달량이 상대적으로 작지만, 화장료를 고르게 펴 바를 수 있고, 피부에 상대적으로 더 밀착되게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구멍들을 포함하고 있는 제2 영역(114)은 화장료의 흡수량 및 전달량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커버력이 우수한 화장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이처럼 서로 다른 평균 크기의 구멍을 갖는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을 이용하여 동시에 화장료를 도포할 수 있으므로, 작은 크기의 구멍을 갖는 퍼프와 큰 크기의 구멍을 갖는 퍼프의 장점을 모두 취할 수 있으며, 적당한 화장료의 흡수량과 전달량을 가지면서도 화장료를 고르게 펴 바를 수 있고 밀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112)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20㎛ 내지 70㎛이고, 제2 영역(114)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80㎛ 내지 150㎛일 수 있다. 그리고,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제1 영역(112)의 면적과 제2 영역(114)의 면적의 비율은 1:3 내지 3:1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다공성 시트(110) 전체가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한정하는 면적의 비율은 피부 접촉면으로서 기능하는 부분,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분의 비율이다.
제1 영역(112) 및 제2 영역(114)이 상기와 같은 구멍 크기 및 면적 비율을 가질 때, 화장료의 전달량, 커버력, 밀착감, 발림성, 쿨림감 등의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제1 영역(112)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50㎛이고, 제2 영역(114)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100㎛일 수 있다.
아래의 표는, 도 3의 형태를 갖는 퍼프에 대해, 평균 구멍의 크기,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의 면적 비율을 다르게 하였을 때의, 화장료 전달량, 커버력, 밀착감, 발림성, 쿨링감에 대한 사용자 테스트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조건 평균 구멍
크기(㎛)
3(100):
1(50)
1(100):
1(50)
1(100):
3(50)
100 80 50 4(100):
1(50)
1(100):
4(50)
결과 화장료
전달량(mg)
3.00 2.50 2.00 3.80 3.80 1.00 3.50 1.50
커버력 좋음 좋음 좋음 매우
좋음
매우
좋음
나쁨 좋음 나쁨
밀착감 매우좋음 매우
좋음
매우
좋음
보통 보통 좋음 보통 좋음
발림성 매우좋음 좋음 좋음 보통 보통 나쁨 보통 나쁨
쿨링감 매우
좋음
좋음 보통 좋음 매우
좋음
나쁨 좋음 나쁨
여기서, 화장료 전달량은, 화장료를 200㎛ 두께의 유리판에 도포한 후, 화장 도구(1)를 일정한 무게로 눌러서 다공성 시트(110)에 흡수시킨 후의 무게와, 이러한 화장 도구(1)를 인조 피혁에 일정한 무게로 눌러서 화장료를 배출 시킨 후의 무게의 차이이다.
또한, 커버력은 화장료를 피부에 바른 후 화장료가 피부에 표현된 정도를 의미하고, 밀착감은 화장료를 피부에 바른 후 화장료가 피부에 얇게 밀착된 정도를 의미하고, 발림성은 화장료를 피부에 펴 바를 때 화장료가 잘 펴 발려지는 정도이고, 쿨링감은 화장 도구(1)를 두드려 바를 때 시원함이 느껴지는 정도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성적 지표는, 9점 만점에서, 9~8점: 매우 좋음, 7~6점: 좋음, 5~4점: 보통, 3~1: 나쁨으로 측정하였으며, 사용자 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테스트 결과의 평균을 아래의 표에 나타내었다.
제1 영역(112)의 평균 구멍 크기가 100㎛이고, 제2 영역(114)의 평균 구멍 크기가 50㎛이고, 실시예 1은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의 면적 비율이 3:1, 실시예 2는 1:1, 실시예 3은 1:3인 경우이다.
이에 대해, 비교예 1은 평균 구멍 크기가 100㎛인 다공성 시트가 사용된 것이고, 비교예 2는 평균 구멍 크기가 80㎛인 다공성 시트가 사용된 것이며, 비교예 3은 평균 구멍 크기가 50㎛인 다공성 시트가 사용된 결과를 나타낸다. 한편, 비교예 4와 비교예 5는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평균 구멍 크기를 갖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면적 비율이 4:1인 경우와 1:4인 경우를 보여준다.
위의 표의 실험 결과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적당한 화장료 전달량과 함께, 커버력, 밀착감, 발림성, 쿨링감에 있어 다른 비교예들 보다 전체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다.
한편, 다공성 시트(110)는 두께 방향으로 구멍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향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112) 및 제 2영역(114)이 형성되어 있는 피부 접촉면 측으로부터 반대측으로 갈수록 구멍의 크기가 커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공성 시트(110)는 발포 성형이 가능한 배합액으로 코팅된 섬유 원단이 응고, 수세, 맹글, 건조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형성된 다공성 시트(110)의 표면층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큰 크기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시트(110)는 피부 접촉부(10)로서 결합되기 전, 예를 들어 탄성부재(120) 및 커버 필름(130)과 결합되기 전에, 접촉부(10)에 도포되기 전에 엠보싱 가공된 후 적어도 일부 영역이 그라인딩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장 도구(1)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은, 화장료를 함유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고 도포할 수 있으며 두께 방향으로 구멍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향성을 갖는 다공성 시트(110)를 준비하는 단계(S100)와, 다공성 시트(110)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단계(S200), 및 다공성 시트(110)를 그라인딩 처리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단계(S3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공성 시트(110)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다공성 시트(110)는 발포 성형이 가능한 배합액으로 코팅된 섬유 원단이 응고, 수세, 맹글, 건조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 시트(110)는 극세사 원단을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원단을 열처리 한 후, 폴리우레탄 수지용액 등을 포함하는 배합액으로 코팅한 후, 응고, 수세 단계를 거치면서 발포가 이루어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수분을 제거하는 맹글 단계 및 건조 단계 등을 더 거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공성 시트(110)는 발포 공정의 특성 상 표면 측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갈수록 큰 크기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시트(110)의 적어도 일부는 보는 방향에 따라 두께 방향으로 구멍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향성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공성 시트(110)가 그라인딩되는 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구멍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성을 갖도록 공정이 수행되는 것을 예로 도시하였다.
한편, 상술한 방법 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다공성 시트(110) 제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엠보싱을 형성하는 단계(S200)는 다공성 시트(110)를 가공하여 다공성 시트(110)의 표면에 볼록한 돌출부를 하나 이상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의 엠보싱은 도 3과 같은 형태의 다공성 시트(110)를 제조하기 위한 일 예로서, 띠 형상으로 돌출되는 형태의 볼록부를 갖는 틀로 압력을 가해 다공성 시트(110)를 눌러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압착에 의해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열이 가해져 열 압착이 수행될 수도 있다. 틀의 형태는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가져 다공성 시트(110)에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엠보싱이 형성된 다공성 시트(110)의 피부 접촉면을 형성할 일측면에는 그라인딩 공정이 수행된다(S300). S300 단계에서의 그라인딩은 엠보싱이 형성된 다공성 시트(110)의 일측 표면을 깍거나 갈아내는 공정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엠보싱의 돌출된 부분만이 그라인딩하거나, 돌출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전체적으로 그라인딩될 수 있다. 그라인딩에 의해 돌출된 부분이 더 많이 깍여 나가는 것은 자명하다. 이와 같은 그라인딩에 의해 다공성 시트(110)의 일측면은 피부 접촉면으로서 평평한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라인딩에 의해 다공성 시트(110)에 형성된 엠보싱의 돌출된 부분은 많은 부분이 깍여 나감으로써 내측의 큰 구멍들이 노출될 수 있고, 엠보싱의 오목한 부분은 적은 부분이 깍여나가거나 그대로 보존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구멍들이 노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공성 시트(110)의 표면은 상대적으로 작은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112)과, 제1 영역(112)과 구분지어지는 경계를 갖고 상대적으로 큰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114)을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좌측 끝부분의 구멍이 작은 제1 영역을 시작으로, 제2 영역, 제1 영역, 제2 영역, 제1 영역이 교번하여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공성 시트(110)는 구멍의 크기가 다른 부분이 있기는 하나, 전체적으로 동일한 소재로부터 형성된 것인 바, 화학적 조성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화장 시 느끼는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의 이질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다공성 시트(110)에 제1 영역과 제2 영역(114)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에는, 다공성 시트(110)는 서로 다른 평균 구멍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공성 시트(110)가 작은 크기의 구멍을 갖는 제1 층이 표면 측에 배치되고, 큰 크기의 구멍을 갖는 제2 층이 그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층은 그라인딩되어 노출됨으로써 제1 영역(112)을 형성하고, 제2 층은 그라인딩되어 노출됨으로써 제2 영역(114)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시트(110)는 상술한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해 형성된 스펀지형 원단에 재차 배합액 도포 및 소정의 공정을 거치게 함으로써 제조되거나, 제1 층과 제2 층을 접착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층과 제2 층의 소재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층과 제2 층의 화학적 조성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영역(112)과 제2 영역(114)은 서로 다른 화학적 조성을 가짐으로써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두 가지 물질이 갖는 화장료 도포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화장료를 함유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고 도포할 수 있는 다공성 시트를 포함하는 피부 접촉부를 포함하고, 다공성 시트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고, 피부 접촉면은, 상대적으로 작은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 및 제1 영역과 구분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큰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장 도구이다.
항목 2는, 제1 영역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20㎛ 내지 70㎛이고, 제2 영역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80㎛ 내지 150㎛인 항목 1의 화장 도구이다.
항목 3은, 제1 영역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50㎛이고, 제2 영역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100㎛인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 도구이다.
항목 4는,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제1 영역의 면적과 제2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1:3 내지 3:1인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 도구이다.
항목 5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화학적 조성은 서로 동일한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 도구이다.
항목 6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화학적 조성은 서로 다른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 도구이다.
항목 7은, 다공성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 구멍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향성을 갖고,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은, 다공성 시트가 피부 접촉부에 도포되기 전에 엠보싱 가공된 후 적어도 일부 영역이 그라인딩 처리되어 형성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 도구이다.
항목 8은, 다공성 시트는 서로 다른 평균 구멍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층 일부의 층이 피부 접촉면에 노출되어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을 형성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 도구이다.
항목 9는, 다공성 시트는 섬유를 기초로 발포 성형된 것인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 도구이다.
항목 10은, 피부 접촉부는, 다공성 시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화장료 도포 시 다공성 시트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 도구이다.
항목 11는, 피부 접촉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띠를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 도구이다.
항목 12는, 서로 인접한 제1 영역 또는 서로 인접한 제2 영역은 다른 영역에 의해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 도구이다.
항목 13은,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인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 도구이다.
항목 14는,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은 다각형 또는 원형인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 도구이다.
항목 15는, 화장료를 함유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고 도포할 수 있으며, 두께 방향으로 구멍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향성을 갖는 다공성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다공성 시트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단계; 및 다공성 시트를 그라인딩 처리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라인딩에 의해 피부 접촉면은, 상대적으로 작은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과, 제1 영역과 구분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큰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으로 구획되는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항목 16은, 다공성 시트는 그라인딩되는 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구멍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성을 갖는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항목 17은, 다공성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는, 그라인딩에 의해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그라인딩에 의해 제2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목 1 내지 항목 2의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이다.
항목 18은, 제1 층과 제2 층의 화학적 조성은 다르게 형성되는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항목 19는, 다공성 시트는, 원단이 발포 성형이 가능한 배합액으로 코팅된 후 응고 및 수세 단계를 거쳐 제조된 것인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항목 20은, 엠보싱을 형성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갖는 틀로 다공성 시트를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화장 도구 10: 피부 접촉부
110: 다공성 시트 112: 제1 영역
114: 제2 영역 120: 탄성부재
130: 커버 필름 20: 띠

Claims (20)

  1. 화장료를 함유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고 도포할 수 있는 다공성 시트를 포함하는 피부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시트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고,
    상기 피부 접촉면은,
    상대적으로 작은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구분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큰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화장 도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20㎛ 내지 70㎛이고,
    상기 제2 영역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80㎛ 내지 150㎛인 화장 도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50㎛이고, 상기 제2 영역의 구멍들의 평균 크기는 100㎛인 화장 도구.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상기 제1 영역의 면적과 상기 제2 영역의 면적의 비율은 1:3 내지 3:1인 화장 도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화학적 조성은 서로 동일한 화장 도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화학적 조성은 서로 다른 화장 도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시트는 두께 방향으로 구멍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향성을 갖고,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다공성 시트가 상기 피부 접촉부에 도포되기 전에 엠보싱 가공된 후 적어도 일부 영역이 그라인딩 처리되어 형성되는 화장 도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시트는 서로 다른 평균 구멍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층으로 형성되고,
    복수 개의 층 일부의 층이 상기 피부 접촉면에 노출되어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을 형성하는 화장 도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시트는 섬유를 기초로 발포 성형된 것인 화장 도구.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부는,
    상기 다공성 시트의 일측에 결합되고, 화장료 도포 시 상기 다공성 시트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접촉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띠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
  12. 제1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영역 또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2 영역은 다른 영역에 의해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화장 도구.
  13. 제12 항에 있어서,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상인 화장 도구.
  14. 제12 항에 있어서,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은 다각형 또는 원형인 화장 도구.
  15. 화장료를 함유하거나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고, 화장료를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고 도포할 수 있으며, 두께 방향으로 구멍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지는 경향성을 갖는 다공성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다공성 시트에 엠보싱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공성 시트를 그라인딩 처리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는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인딩에 의해 상기 피부 접촉면은,
    상대적으로 작은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과 구분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큰 평균 크기를 갖는 구멍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영역으로 구획되는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시트는 상기 그라인딩되는 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구멍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성을 갖는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그라인딩에 의해 상기 제1 영역을 형성하는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그라인딩에 의해 상기 제2 영역을 형성하는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의 화학적 조성은 다르게 형성되는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시트는,
    원단이 발포 성형이 가능한 배합액으로 코팅된 후 응고 및 수세 단계를 거쳐 제조된 것인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을 형성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볼록부를 갖는 틀로 상기 다공성 시트를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 도구의 제조 방법.
KR1020180164565A 2018-12-18 2018-12-18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756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565A KR20200075657A (ko) 2018-12-18 2018-12-18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565A KR20200075657A (ko) 2018-12-18 2018-12-18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657A true KR20200075657A (ko) 2020-06-26

Family

ID=71136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565A KR20200075657A (ko) 2018-12-18 2018-12-18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56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757A (ko)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덕성 분첩용 스펀지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2757A (ko) 2016-06-20 2017-12-28 주식회사 덕성 분첩용 스펀지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1407B1 (en) Makeup applicator
EP1880840B1 (en) Absorbent article
KR100822685B1 (ko) 화장 제거용 어플리케이터
CN207532675U (zh) 不同材质结合体瑜伽垫以及瑜伽垫套件
KR20200075657A (ko)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
CN108698366B (zh) 传递性上升的化妆工具
KR102531173B1 (ko) 화장용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0475B1 (ko) 퍼프갑지 제조방법과 퍼프갑지를 이용한 화장용 퍼프 및 그 퍼프의 제조방법
KR102192132B1 (ko) 일부 표면에 필름이 부착된 입체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475177Y1 (ko)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KR20040090972A (ko)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 및 그 구조를 갖는 장치
KR101520372B1 (ko) 사다리꼴 형태의 미세 홀을 가진 루비셀 퍼프
JP2541893B2 (ja) 連続発泡型ゴムシ―トの製造方法
JPH08266329A (ja) 化粧用塗布具
KR102580446B1 (ko)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화장료 함침 부재 및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JP7345575B2 (ja) 化粧用物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1566473B1 (ko) 화장료 조성물 담체
CN108602300B (zh) 化妆料吸收容量上升的化妆工具
KR20190121970A (ko) 폴리우레탄 인조가죽 표면에 후로킹 가공된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JP3240453U (ja) 化粧用パフ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1039127A1 (ja) 化粧料含浸用担体
TW201014545A (en) Cosmetic mask using foam-coating foamed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S609663A (ja) 不織布研摩材
JPS5937121Y2 (ja) 化粧用塗布具
JPS625540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