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42757A - 분첩용 스펀지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첩용 스펀지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42757A
KR20170142757A KR1020160076803A KR20160076803A KR20170142757A KR 20170142757 A KR20170142757 A KR 20170142757A KR 1020160076803 A KR1020160076803 A KR 1020160076803A KR 20160076803 A KR20160076803 A KR 20160076803A KR 20170142757 A KR20170142757 A KR 20170142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ater
sponge sheet
coat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9681B1 (ko
Inventor
이원규
윤채경
박기택
오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성
Priority to KR102016007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681B1/ko
Priority to CN201710463832.0A priority patent/CN107524014A/zh
Publication of KR2017014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2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5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ing ingredients of the macro-molecula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1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 D06B1/14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treating material with a roll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2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squeezing 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86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echnique
    • D06N3/0088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technique by directly applying the res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materials
    • D06N2205/14Fibrous additives or fi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11/00Specially adapted uses
    • D06N2211/12Decorative or sun protection articles
    • D06N2211/24Personal c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탄성 및 섬유감촉을 가진 분첩용 스펀지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첩용 스펀지 시트는 표면에 수지와 극세사가 나타남으로 인해 분첩을 사용시 수지와 섬유의 감촉이 함께 나타난다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첩용 스펀지 시트의 제조방법은, 배합액을 이용하여 원단을 코팅하는 코팅단계와, 상기 배합액으로 코팅된 코팅원단을 응고조에서 응고하는 응고단계와, 상기 응고조를 거친 원단을 수세조에서 수세하는 수세단계와, 상기 수세조를 거친 원단을 건조시키는 열건조단계를 거쳐 권취하는 코팅원단 제조단계와, 상기 코팅원단 제조단계를 거친 코팅원단을 버핑 롤러를 이용하여 버핑한 후 권취하는 코팅원단 버핑단계와, 버핑된 코팅원단에서 상기 원단을 박리하여 분첩용 스펀지 시트와 분리하여 권취하는 박리단계를 포함함으로써, 1일 이내의 공정시간을 통해 연속식으로 분첩용 스펀지 시트의 생산이 가능하고, 슬라이싱 대신 버핑방식을 선택함으로써 두께가 얇아져도 가공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로 분첩용 스펀지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첩용 스펀지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SPONGE SHEET FOR COSMETIC PUFF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저탄성 및 섬유감촉 특성을 갖는 분첩용 스펀지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스펀지 시트는 폴리우레탄수지 및 극세사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극세사 섬유는 유기용제에는 불용 또는 난용이나 물에서는 용해 또는 이온화하여 가용상태가 될 수 있는 물질로 표면 처리된 것인, 분첩용 스펀지 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분첩용 스펀지 시트의 연속식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퍼프의 재질로서 사용되는 것은 주로 벨벳형태의 직물 퍼프, NBR 라텍스 스펀지 퍼프, 우레탄발포 스펀지 퍼프, 습식우레탄 스펀지 퍼프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습식우레탄 스펀지 퍼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습식우레탄 스펀지 퍼프가 가지는 유연한 촉감과 화장료의 적절한 발림성에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599236호는 연속식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으로서 이 특허의 제조방법에 의한 분첩용 스펀지의 경우 적절한 OPEN CELL의 구조와 크기를 가짐으로 화장료의 발림성과 유연함을 가졌으나 기본구조가 탄성우레탄수지이므로 섬유감의 감촉을 가지지 못한다.
한국특허등록 제10-1449517호는 나노섬유를 포함한 기능성 분첩 및 그 제조방법으로서 나노섬유를 사용하여 보다 유연하고 사용시 감촉이 좋은 퍼프를 제조할 수 있다고 하나 제조방법상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두께에 한정이 있고, 나노섬유를 고착할 때 열압착 또는 열접합을 시킴으로 인해 유연성이 떨어지며 표면의 나노섬유가 모두 옆으로 누워 있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588487호는 극세사를 이용한 파우더 퍼프에 관한 것으로 극세사를 직물상에 식모하는 방법이다. 극세사를 사용함으로 인해 유연한 터치감과 화장료의 배출 및 전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하나 극세사를 식모할 경우 사용되는 접착제의 사용으로 인해 전체적인 퍼프의 감촉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599236호 (2016.02.25) 한국특허등록 제10-1449517호 (2014.10.02) 한국특허등록 제10-0588487호 (2006.06.02)
본 발명의 목적은 분첩용 스펀지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분첩용 스펀지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수지 및 극세사 섬유를 포함하는 분첩용 스펀지 시트로서, 상기 극세사 섬유가, 유기용제에서는 불용 또는 난용이나 물에서는 용해 또는 이온화하여 가용상태가 될 수 있는 물질로 표면 처리된 것인, 분첩용 스펀지 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극세사 섬유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극세사 섬유의 굵기는 0.05 내지 3.0d이고, 길이는 0.1 내지 1.5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극세사 섬유는 상기 유기용제에서는 불용 또는 난용이나 물에서는 용해 또는 이온화하여 가용상태가 될 수 있는 물질로서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 수용성 실리카, 친수성이 큰 계면활성제, 수용성 무기물, 수용성 유기물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진 것으로 표면처리가 된 것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용제형 폴리우레탄 수지용액(Solvent Type Polyurethane Resin) 10 내지 40중량부, 극세사 섬유 0.01 내지 10중량부 및 무기염 20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는 배합액을 제조하여 상기 배합액을 30 내지 50℃를 유지하면서 원단에 코팅하는 코팅단계; 상기 배합액으로 코팅된 코팅원단을 40℃ 내지 60℃ 온도의 물이 담긴 응고조에서 30분 내지 60분 동안 응고시키는 응고단계; 상기 응고단계를 거친 원단을 수세조에서 수세하는 수세단계; 상기 수세조를 거친 원단을 60℃ 내지 70℃ 온도에서 20분 내지 40분 동안 건조시키는 열건조단계를 거쳐 권취하는 코팅원단 제조단계; 상기 코팅원단 제조단계를 거친 코팅원단을 버핑 롤러를 이용하여 버핑한 후 권취하는 코팅원단 버핑단계; 및 버핑된 코팅원단에서 상기 원단을 박리하여 분첩용 스펀지 시트와 분리하여 권취하는 박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극세사 섬유가, 유기용제에서는 불용 또는 난용이나 물에서는 용해 또는 이온화하여 가용상태가 될 수 있는 물질로 표면 처리된 것인, 분첩용 스펀지 시트의 연속식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합액은 소포제, 계면활성제, 용제, 착색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염의 입경은 50 내지 150um일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소포제 0.01 내지 8중량부, 계면활성제 0.1 내지 13중량부 및 용제 2 내지 20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배합액의 점도는 10,000~100,000cps/40~5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첩용 스펀지 시트는 표면에 수지와 극세사가 모두 나타남으로 인해 분첩을 사용시 폴리우레탄 탄성체의 감촉에 섬유감촉이 함께 나타나는 효과를 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상기 저탄성 및 섬유감촉 특성을 갖는 분첩용 스펀지 시트를 연속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첩용 스펀지의 표면을 나타내는 주사전사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의 코팅원단 제조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의 코팅원단 버핑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의 박리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분첩용 스펀지 시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첩용 스펀지 시트는 폴리우레탄수지 및 극세사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극세사 섬유는, 상기 유기용제에서는 불용 또는 난용이나 물에서는 용해 또는 이온화하여 가용상태가 될 수 있는 물질로 표면 처리된 것이다.
상기 극세사 섬유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극세사 섬유의 굵기는 0.05 내지 3.0d, 예를 들어 0.1 내지 1.0d이고, 길이는 0.1 내지 1.5mm, 예를 들어 0.2 내지 0.8mm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극세사 섬유는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 예를 들어 0.05 내지 5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 내지 3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적을 경우, 표면에 섬유 감촉의 발현이 저하되면서 탄성의 변화가 감소할 수 있고, 함량이 과할 경우에는 표면의 유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극세사 섬유는 표면 처리된 것으로, 상기 표면 처리는 유기용제에서는 불용 또는 난용이나 물에서는 용해 또는 이온화하여 가용상태가 될 수 있는 물질로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에 사용되는 물질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 수용성 실리카, 친수성이 큰 계면활성제, 수용성 무기물, 수용성 유기물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처리는 극세사 섬유의 표면에 상기 물질로 코팅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스펀지 제조에는 상기 유기용제형 폴리우레탄 수지용액(Solvent Type Polyurethane Resin)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스터계, 폴리에테르계, 폴리카프로락톤계, 폴리카보네이트계 중 1개 이상을 폴리올로서 사용한 용액중합형 폴리우레탄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형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 총 함량에 대하여, 솔벤트가 50 내지 80%, 예를 들어 65 내지 75%로 포함될 수 있고, 고형분은 10 내지 50%, 예를 들어 25 내지 35%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형 폴리우레탄 수지용액의 함량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중량부, 예를 들어 20 내지 30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함량이 적을 경우 기공의 크기가 과하게 커지거나 불규칙적으로 형성되어 기능이 저하될 수 있고, 함량이 과할 경우 부드럽지 못하여 촉감이 저하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무기염(Inorganic Salt)은 예를 들어 황산나트륨, 염화칼슘, 염화나트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염의 함량은 20 내지 80중량부, 예를 들어 30 내지 70중량부일 수 있으며, 상기 함량이 적을 경우 배합액의 유동성이 과하고 제품의 촉감이 부드럽지 않을 수 있고, 함량이 과할 경우 배합액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짐으로 인해 연속식 코팅 공정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무기염의 크기는 점도 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예를 들어 50 내지 150um, 예를 들어 70 내지 130um의 크기를 가짐으로써 연속식 코팅에 적합한 점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일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배합액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예를 들어, 소포제, 계면활성제, 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소포제, 비실리콘계 소포제, 광물유 아크릴계 코폴리머 소포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8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함량이 적을 경우 기포의 발생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함량이 과할 경우 제품의 응고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친수성이 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3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함량이 적을 경우, 기공의 형성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질 수 있고, 함량이 과할 경우 기공의 지지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용제(Solvent)는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디메틸설폭사이드, N-메틸피로리돈 등과 같이 물과 친화성이 좋은 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추후 회수 사용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친수성이 있는 용제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제의 함량은 2 내지 2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함량이 적을 경우 유동성이 저하될 수 있고, 함량이 과할 경우 유동성이 지나치게 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저탄성 및 섬유감촉을 가진 연속식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저탄성 및 섬유감촉을 가진 연속식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의 코팅원단 제조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저탄성 및 섬유감촉을 가진 연속식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의 코팅원단 버핑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저탄성 및 섬유감촉을 가진 연속식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의 박리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저탄성 및 섬유감촉을 가진 연속식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은 기존의 배치 방식에서 벗어나, 연속식으로 분첩을 제조할 수 있는 인라인(In line) 방식의 제조방법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표면처리된 극세사 섬유의 배합비율, 무기염의 배합비율, 첨가제 및 용제, 배합액의 온도 조절을 통해 코팅시 배합액의 점도를 조절, 연속식 코팅이 가능한 조건을 확립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저탄성 및 섬유감촉을 가진 연속식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은 크게, 코팅원단을 제조하는 코팅원단 제조단계(도 3)와, 코팅원단을 버핑하는 코팅원단 버핑단계(도 4)와, 버핑된 코팅원단을 박리하여 권취하는 박리단계(도 5)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코팅원단 제조단계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풀림롤러(10)에 권취된 원단을 전처리조(20)에서 전처리하는 전처리 단계(S100)와, 히팅 롤러(30)를 이용하여 열처리를 하는 열처리 단계(S110)와, 본 발명에 따른 배합액을 이용하여 원단을 코팅하는 코팅단계(S120)와, 코팅원단을 응고조(50)에서 응고하는 응고단계(S130)와, 상기 응고조(50)를 거친 원단을 수세조(60)에서 수세하는 수세단계(S140)와, 물을 짜주기 위한 맹글단계(S150)와, 원단을 건조시키는 열건조단계(S1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단은 상기 배합액으로 코팅할 때 지지체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박리단계에서는 상기 원단에서 스펀지를 박리하여 제품을 생산하며, 이때 박리가 잘 이루어지도록 상기 원단은 전처리 단계(S100)를 거칠 수 있다. 상기 전처리 단계는 불소계 또는 실리콘계 화합물이 수용된 전처리조(20)에 원단이 일정시간 동안 침지 또는 그라뷰어 코팅되거나 발수처리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인라인으로 원단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전처리조(20)에 롤러를 설치하여 원단을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전처리된 원단을 사용하지 않으면 박리단계에서 제품을 박리시킬 때 박리 강도가 강하여 제품이 뜯겨지는 일이 발생하므로, 반드시 전처리 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전처리가 완료된 원단은 히팅 롤러(30)를 이용하여 열처리를 하는 열처리 단계(S110)를 거친다. 상기 열처리 단계는 200℃ 내지 220℃로 상기 히팅 롤러(30)를 가열하여 전처리된 상기 원단이 히팅 롤러(30)를 통해 이송되면서 열처리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도 3에서는 상하로 구성된 히팅 롤러(30) 사이에 원단이 지나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열처리의 효과를 적절하게 낼 수 있도록 상기 히팅 롤러(30)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이 수차례 실험한 결과, 전처리 후 원단에 열처리를 할 때는 대략 210℃의 온도가 바람직하였으며, 열처리 온도가 200℃ 미만일 경우에는 열처리 효과가 미미하였고, 열처리 온도가 2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처리가 너무 강하게 되어 원단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후, 배합액을 30 내지 50℃를 유지하면서 원단에 코팅하는 코팅단계(S120)를 거친다.
상기 배합액은 유기용제형 폴리우레탄 수지용액(Solvent Type Polyurethane Resin) 10 내지 40중량부, 극세사 섬유 0.01 내지 10중량부 및 무기염 20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합액은 호퍼(42)를 통해 토출되며, 상기 호퍼(42)와 코팅 롤러(40)는 적당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상기 호퍼(42)와 코팅 롤러(40) 사이를 지나는 원단에 적당한 두께로 코팅된다.
본 발명은 상기 배합액을 이루는 표면처리된 극세사 섬유, 무기염, 첨가제 및 용제의 배합비율을 상술한 비율로 하고, 배합액의 온도를 대략 40℃로 유지함으로써, 배합액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연속식 코팅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배합액의 조성비율을 통해 상기 배합액은 점도가 10,000~100,000cps/40~50℃로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배합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표면처리된 극세사 섬유 및 무기염을 제외한 원료가 배합되어 교반되는 교반단계와, 상기 교반단계에서 교반하면서 표면처리된 극세사 섬유 및 무기염을 투입하는 단계와, 조색을 위해 토너를 투입한 후 교반하는 단계와, 진공 탈포를 진행하는 단계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토너는 경우에 따라 투입하지 않거나 원하는 색상을 위해 그 양을 가감하여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에 섬유를 부착시키는 종래의 방법과 달리, 극세사 섬유를 처음부터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이므로 퍼프의 감촉 및 발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극세사 섬유가 분첩용 스펀지 시트의 전반에 걸쳐 분포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분첩용 스펀지 표면을 나타내는 주사전사현미경(SEM)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배합액으로 코팅된 원단은 응고조(50)에 투입된다. 상기 응고단계는 40℃ 내지 60℃ 온도의 물이 담긴 응고조(50)에서 30분 내지 60분 동안 응고시킬 수 있다.
통상, 종래의 배치 방식의 경우에는 한 번에 두껍게 코팅하기 때문에 응고시간이 15 내지 30일로 길지만 본 발명의 연속식 코팅 방식의 경우에는 제품 두께만큼 코팅하기 때문에 응고시간을 30 내지 60분으로 줄일 수 있다. 따라서, 1회 공정시간이 1일 이내로 줄어들어 빠른 시일내에 고객의 수요에 맞춰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
이후, 60℃ 내지 80℃ 온도의 물이 담긴 수세조(60)에서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수세시킨다.
이와 같이, 응고단계와 수세단계를 연속하여 거치면서, 상기 배합액은 발포가 이루어져 다공성 재질의 스펀지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수세단계를 마친 코팅원단은 다수의 맹글 롤러(70)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을 짜주기 위한 맹글단계(S150)를 거치게 된다.
도 3에서는 상기 수세조(60)의 내부에 다수개의 롤러가 설치되고, 상기 수세조(60)에서 수세를 마친 코팅원단이 1차 맹글 롤러(72)을 통해 물을 짠 후, 상기 수세조(60)에 투입되었다가 2차 맹글 롤러(74)를 통해 물을 짜는 단계로 진행되어 맹글 롤러를 복수회 거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맹글단계는 더 많은 회차(4회 이상)로 물을 짜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맹글 롤러 대신 초음파를 이용하여 단계를 진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맹글단계를 거친 코팅원단은 열건조챔버(80)에서 60℃ 내지 70℃ 온도에서 20분 내지 40분 동안 건조시키는 열건조단계를 거치게 되면서 코팅원단의 제조가 완성된다.
상기 열건조단계에서 70℃이상의 온도에서 건조시 제품이 원단에 붙어서 뜯겨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상기 열건조챔버(80)에서의 온도는 7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60℃ 미만일 경우에는 열건조의 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으므로 상기 열건조챔버(80)의 온도는 60℃ 내지 70℃ 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열건조챔버(80)를 거진 코팅원단은 롤러에 권취되어 코팅원단의 제조가 완성된다. 도면부호 90은 롤러에 권취된 코팅원단을 나타낸다.
이후, 상기 코팅원단(90)은 표면을 살짝 긁어내어 다공이 외면에 노출되도록 버핑하는 코팅원단 버핑단계(S170)을 거친다. 코팅원단 버핑단계는 코팅원단 제조단계에서 권치된 코팅원단(90)을 버핑 롤러(110)를 이용하여 버핑한 후 다시 권취한다(도면부호 120).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버핑된 코팅원단은 수세조에서 수세하는 단계를 더 거칠 수 있다. 이 경우, 수세조에서는 60 내지 80℃ 에서 30 내지 60분동안 수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세를 거친 코팅원단은 맹글 단계를 4회 정도 거친 후 박리단계로 진행된다.
버핑이 완료된 코팅원단(120)은 원단(130)과 스펀지(140)로 분리하여 권취하도록 코팅원단에서 원단을 박리하는 박리단계(S180)를 거친다. 박리 후에는 완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건조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품에 수분을 머금고 있을 때 박리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건조 전에 박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기 때문이며, 박리 후 건조단계를 거친다.
이 경우, 건조단계는 110 내지 130℃에서 20 내지 40분 정도 건조시킨다.
이로써, 분첩용 스펀지 시트가 완성되며, 이와 같이 완성된 분첩은 용도에 따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원하는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며, 완제품의 수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풀림 롤러
20: 전처리조
30: 히팅 롤러
40: 코팅 롤러
42: 호퍼
50: 응고조
60: 수세조
70: 맹글 롤러
80: 열건조 오븐
90: 코팅 원단
110: 버핑 롤러
120: 버핑이 완료된 코팅원단
130: 원단
140: 스펀지

Claims (9)

  1. 폴리우레탄수지 및 극세사 섬유를 포함하는 분첩용 스펀지 시트로서,
    상기 극세사 섬유가 유기용제에는 불용 또는 난용이나 물에서는 용해 또는 이온화하여 가용상태가 될 수 있는 물질로 표면 처리된 것인, 분첩용 스펀지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 섬유가 분첩용 스펀지 시트의 전반에 걸쳐 분포되는 것인, 분첩용 스펀지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 섬유가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분첩용 스펀지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 섬유의 굵기가 0.05 내지 3.0d이고, 길이가 0.1 내지 1.5mm인 것인, 분첩용 스펀지 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제에는 불용 또는 난용이나 물에서는 용해 또는 이온화하여 가용상태가 될 수 있는 물질이, 폴리비닐알콜(Poly vinyl alcohol, PVA), 수용성 실리카, 친수성이 큰 계면활성제, 수용성 무기물, 수용성 유기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분첩용 스펀지 시트.
  6. 조성물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용제형 폴리우레탄 수지용액(Solvent Type Polyurethane Resin) 10 내지 40중량부, 극세사 섬유 0.01 내지 10중량부 및 무기염 20 내지 80중량부를 포함하는 배합액을 제조하여 상기 배합액을 30 내지 50℃를 유지하면서 원단에 코팅하는 코팅단계;
    상기 배합액으로 코팅된 코팅원단을 40℃ 내지 60℃ 온도의 물이 담긴 응고조에서 30분 내지 60분 동안 응고시키는 응고단계;
    상기 응고단계를 거친 원단을 수세조에서 수세하는 수세단계;
    상기 수세조를 거친 원단을 60℃ 내지 70℃ 온도에서 20분 내지 40분 동안 건조시키는 열건조단계를 거쳐 권취하는 코팅원단 제조단계;
    상기 코팅원단 제조단계를 거친 코팅원단을 버핑 롤러를 이용하여 버핑한 후 권취하는 코팅원단 버핑단계; 및
    버핑된 코팅원단에서 상기 원단을 박리하여 분첩용 스펀지 시트와 분리하여 권취하는 박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극세사 섬유가, 유기용제에서는 불용 또는 난용이나 물에서는 용해 또는 이온화하여 가용상태가 될 수 있는 물질로 표면 처리된 것인, 분첩용 스펀지 시트의 연속식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염의 입경이 50 내지 150um인 것인, 분첩용 스펀지 시트의 연속식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액이 소포제 0.01 내지 8중량부, 계면활성제 0.1 내지 13중량부 및 용제 2 내지 20중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분첩용 스펀지 시트의 연속식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액의 점도가 10,000~100,000cps/40~50℃인 것인, 분첩용 스펀지 시트의 연속식 제조방법.
KR1020160076803A 2016-06-20 2016-06-20 분첩용 스펀지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9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803A KR101949681B1 (ko) 2016-06-20 2016-06-20 분첩용 스펀지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201710463832.0A CN107524014A (zh) 2016-06-20 2017-06-19 用于化妆品粉扑的海绵片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6803A KR101949681B1 (ko) 2016-06-20 2016-06-20 분첩용 스펀지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2757A true KR20170142757A (ko) 2017-12-28
KR101949681B1 KR101949681B1 (ko) 2019-02-19

Family

ID=60748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6803A KR101949681B1 (ko) 2016-06-20 2016-06-20 분첩용 스펀지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9681B1 (ko)
CN (1) CN1075240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323B1 (ko) * 2018-07-27 2019-02-26 대원화성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의 폴리우레탄 폼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5657A (ko) 2018-12-18 2020-06-26 (주)아모레퍼시픽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3475B (zh) * 2018-09-15 2022-06-28 湖南雅彩化妆用品有限公司 一种粉扑海绵制备工艺及粉扑海绵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564A (ko) * 1995-12-28 1997-07-26 백영배 은면형 초극세사 부직포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JP2002166352A (ja) * 2000-11-29 2002-06-11 Nitsusen:Kk 湿式研磨用研磨材
KR20040110657A (ko) * 2003-06-20 2004-12-31 주식회사 코오롱 제전성이 우수한 복합시트형 인공피혁
KR200406826Y1 (ko) * 2005-11-04 2006-01-24 최관호 후로킹 퍼프
KR100588487B1 (ko) 2002-02-01 2006-06-12 주식회사 대현공예 극세사를 이용한 파우더 퍼프
KR101449517B1 (ko) 2013-05-23 2014-10-13 주식회사 아모텍 나노섬유를 포함한 기능성 분첩 및 그 제조방법
KR101599236B1 (ko) 2014-12-11 2016-03-04 주식회사 덕성 연속식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564A (ko) * 1995-12-28 1997-07-26 백영배 은면형 초극세사 부직포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JP2002166352A (ja) * 2000-11-29 2002-06-11 Nitsusen:Kk 湿式研磨用研磨材
KR100588487B1 (ko) 2002-02-01 2006-06-12 주식회사 대현공예 극세사를 이용한 파우더 퍼프
KR20040110657A (ko) * 2003-06-20 2004-12-31 주식회사 코오롱 제전성이 우수한 복합시트형 인공피혁
KR200406826Y1 (ko) * 2005-11-04 2006-01-24 최관호 후로킹 퍼프
KR101449517B1 (ko) 2013-05-23 2014-10-13 주식회사 아모텍 나노섬유를 포함한 기능성 분첩 및 그 제조방법
KR101599236B1 (ko) 2014-12-11 2016-03-04 주식회사 덕성 연속식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
WO2016093635A1 (ko) * 2014-12-11 2016-06-16 주식회사 덕성 연속식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323B1 (ko) * 2018-07-27 2019-02-26 대원화성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의 폴리우레탄 폼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75657A (ko) 2018-12-18 2020-06-26 (주)아모레퍼시픽 화장 도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24014A (zh) 2017-12-29
KR101949681B1 (ko) 201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236B1 (ko) 연속식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
KR101949681B1 (ko) 분첩용 스펀지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086141A (zh) 生产人造革的方法和人造革
KR101755837B1 (ko) 통풍 시트용 인조가죽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TW200825244A (en) Flexible artificial leath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108978246B (zh) 一种模拟天然头层皮的超纤革的制备方法及应用
CN107090719B (zh) 一种高剥离两次涂布针织聚氨酯合成革及其制备方法
TW201522072A (zh) 仿毛絨合成皮及其製造方法
CN112211003B (zh) 一种基于泡沫整理技术的多功能超疏水表面制备方法
CN109468853A (zh) 一种双面发泡高抗折皱聚氨酯皮革的制备方法
JPH0635712B2 (ja) 透湿性、柔軟性および機械的強度に優れた人工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6087448A (zh) 一种软质绒面高弹性仿真皮沙发家具用聚氨酯合成革的制备方法
CN114211848B (zh) 一种防水透湿复合布的制备方法
JP3986223B2 (ja) ウレタン作業用手袋の製造方法
JPH0617378A (ja) 合成皮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9114234U (zh) 一种聚氨酯皮革
JP3147324B2 (ja) 半銀付調の外観を有するシート状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58074B1 (ko) 연속식 화장품 분첩용 우레탄 폼 시트의 제조방법
JP2002275304A (ja) ポリウレタンラテックススポンジの製造方法及び化粧用塗布具
JPH07242900A (ja) スプリットレザー
US3607491A (en) Flexible poromeric sheet material with a suede finish
JPH0835000A (ja) スプリットレザ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50112B2 (ja) バックスキン様布帛と伸縮性シート
JPH02169777A (ja) 合成皮革の製造方法
JPS5892527A (ja) 表面平滑性に優れたシ−ト物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