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177Y1 -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 Google Patents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177Y1
KR200475177Y1 KR2020140001988U KR20140001988U KR200475177Y1 KR 200475177 Y1 KR200475177 Y1 KR 200475177Y1 KR 2020140001988 U KR2020140001988 U KR 2020140001988U KR 20140001988 U KR20140001988 U KR 20140001988U KR 200475177 Y1 KR200475177 Y1 KR 2004751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toe
cut
layer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환
김혜원
Original Assignee
전영환
김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환, 김혜원 filed Critical 전영환
Priority to KR2020140001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1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1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1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 A61F13/068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feet for the to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에 있어서, 패드원단을 지관에 감아 보관하고, 상기 패드원단에서 일정간격으로 반복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발가락 사이 간격에 대응하게 이격 배치된 절개부; 및 상기 발가락이 상기 절개부를 통해 삽입될 때, 상기 절개부의 양측 끝단 사이의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어져서 상기 발가락의 저부를 지지하는 발가락받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CUTTING TYPE PAD FOR PROTECTION TOE}
본 고안은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관에 감아 보관 및 관리하고, 일정간격으로 반복 형성된 절취선을 절취되어 사용될 수 있는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가락 보호 용구는 발가락 사이사이에 개재되어서 발가락끼리 직접 접촉하지 않게 하면서, 항균 또는 방취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발가락 보호 용구는 위생적이고 부드러운 순면 재질 또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되어서 발가락에 끼워 사용되거나, 발가락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는 돌부를 가지고 있다.
예컨대,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특허문헌1의 환기성을 갖춘 신발패드는 신발몸체와 중창과 신발밑창으로 이루어진 신발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발을 보다 편안하게 하는 신발패드로서, 신발패드의 중앙부와 앞부분에 돌부와 다수개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돌기부는 발가락이 위치하는 사이 부분에 개재되어서 발가락들이 직접적으로 피부접촉을 하지 않게 하고, 이와 함께 발가락들을 보다 자연스럽게 벌어지게 하여 환기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1의 신발패드는 신발의 형상 및 사이즈에 대응하게 개별적으로 제작되어야 하고, 재사용시 항균, 방취 및 환기 성능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개별 제작된 형태로서 제작, 보관 및 사용이 불편한 단점을 갖는다.
아울러, 특허문헌2의 항균방취용 크로바형 발가락 패드는 항균, 방취 및 기능성 처리된 흡습성 면 또는 합성섬유의 부직포로 이루어져 있고, 원적외선 방사율일 뛰어난 천연 고분자 물질과 항균 탈취제가 코팅처리되어 있으며, 4방향이 대칭인 4잎 크로바형 패드 중앙에 십자형 절개부가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2의 발가락 패드는 발가락 하나에 한 개의 발가락 패드가 끼워져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복수개의 발가락 패드를 구비하고, 각각 개별적으로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보관 및 사용이 불편하다. 또한, 특허문헌2의 발가락 패드는 개별 제작 및 포장으로 인하여, 제조 단가가 상대적으로 높고, 사용자 측면에서도 개별 보관 및 관리를 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2의 발가락 패드는 4방향이 대칭인 4잎 크로바 형상을 위하여, 평면의 패드원단에서 상기 4잎 크로바 형상으로 패드를 절단 가공할 경우, 4잎 크로바 형상이 아닌 패드원단의 나머지 부위가 버려지기 때문에 패드원단을 과도하게 허비할 수 있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특허문헌2의 발가락 패드의 십자형 절개부는 단순히 발가락을 끼우는 용도로만 사용될 뿐, 발가락의 관절 저면과 신발 내측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발가락의 저부를 쿠션과 같이 지지할 수 없으므로, 착용감 및 편안한 밀착감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2의 발가락 패드는 절개부 이외에 패드 두께 방향으로 직접 천공된 구멍이 없으므로 통기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2의 발가락 패드는 십자형 절개부의 끝단이 패드원단에 연결되는 지점에 어떠한 크랙 방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십자형 절개부보다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발가락이 십자형 절개부에 들어갈 경우, 상기 십자형 절개부의 끝단과 패드원단이 연결되는 지점이 찢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특허문헌1)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2508호(2000.06.02)
(특허문헌2)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4946호(2003.02.07)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지관에 감아 다량으로 보관할 수 있으며, 일정간격으로 점상의 절취선을 반복형성하고 있고, 절취선을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서, 패드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고, 발가락의 저면을 편안하고 쿠션감있게 지지할 수 있는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패드원단을 지관에 감아 보관하는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원단에서 일정간격으로 반복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발가락 사이 간격에 대응하게 이격 배치된 절개부; 및 상기 발가락이 상기 절개부를 통해 삽입될 때, 상기 절개부의 양측 끝단 사이의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어져서 상기 발가락의 저부를 지지하는 발가락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패드부는 땀흡수가 뛰어난 망사 섬유 재질의 제 1 층; 상기 패드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층의 저부에 적층되고, 은사를 이용하여 그물망 형상을 갖도록 직조한 제 2 층; 및 상기 패드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층의 저부에 적층되고, 상기 제 1 층과 동일 섬유 재질의 제 3 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드부는, 상기 패드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위쪽에 배치되고 가압을 통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패드상부; 및 상기 패드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배치되고 가압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패드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삼각형 좌우측 경사변에 대응하게 라인 형태로 절개되어 있고, 상기 패드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걸쳐지도록 상기 패드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발가락받침부는 상기 패드상부에 대응한 두께를 갖는 끝단부; 및 상기 끝단부와 상기 접힘부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패드하부에 대응한 두께를 갖는 기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가락받침부는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의 양측 끝단에는 크랙 방지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패드원단을 지관에 감아 보관하는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원단에서 일정간격으로 반복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고, 패드상부와 패드하부가 동일한 두께를 갖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발가락 사이 간격에 대응하게 이격 배치된 절개부; 상기 발가락이 상기 절개부를 통해 삽입될 때, 상기 절개부의 양측 끝단 사이의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어져서 상기 발가락의 저부를 지지하는 발가락받침부; 및 상기 접힘부의 아래쪽에 해당하는 상기 패드하부의 정면과 배면에 적층되고 봉재 또는 접합에 의해 고정된 겹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에 의하면, 복수개의 패드가 절취 가능한 형태로 연속적으로 구비되고 지관에 감아 다량으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발가락을 보호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정간격으로 점상의 절취선을 반복형성하고 있고, 절취선을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서, 패드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사용자 입장에서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고, 발가락의 저면을 편안하고 쿠션감있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발가락을 끼우기 위한 부위가 접어져서 발가락의 관절 저면과 신발 내측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이후 발가락의 저부를 쿠션과 같이 지지할 수 있음에 따라, 착용감 및 편안한 밀착감이 매우 우수한 제품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땀흡수가 뛰어난 섬유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층 및 제 3 층의 사이에 은사를 이용하여 직조한 그물망 구조의 제 2 층이 구비된 다층 재질의 패드원단으로 제작되어 있어서 항균 및 방취 성능이 매우 뛰어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패드부는 발등에 접촉할 패드상부를 가압시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고 있고, 발가락의 저부에 접촉할 패드하부를 가압시키지 않고 그대로 두어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가지게 함으로써, 착용 후 발가락의 저부를 쿠션감있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동일 두께의 패드부를 사용할 때, 별도로 발가락 저부에 접촉되는 지점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겹침부를 더 구비하여서, 발가락의 관절 저면과 신발 내측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발가락의 저부를 쿠션과 같이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에서 낱개로 절취된 보호 패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호 패드에서 발가락받침부를 접은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호 패드를 발가락에 착용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보호 패드를 발가락에 착용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의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할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는 위생적이고 부드러운 순면 재질 또는 부직포 재질의 패드원단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땀흡수가 뛰어난 망사 섬유 재질의 제 1 층 및 제 3 층의 사이에 은사를 이용하여 그물망 형상을 갖도록 직조한 제 2 층이 개재된 다층 구조의 패드원단으로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에서 낱개로 절취된 보호 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호 패드에서 발가락받침부를 접은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보호 패드를 발가락에 착용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보호 패드를 발가락에 착용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연속 가공 방법에 의해서, 스트립 형상을 갖는 패드원단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패드원단이 지관(10)에 감아 보관될 수 있고, 이후 사용자의 절취를 통해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사용자의 발가락에 착용될 수 있는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실시예는 상기 패드원단의 재질을 갖는 패드부(100), 절개부(200), 발가락받침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패드부(100)는 패드원단에서 일정간격으로 반복 형성된 절취선(101)을 따라 절취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절취선(101)은 점 또는 선 형상의 부분 절단부위와, 부분 절단부위 이외의 부위를 연결한 취약부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개부(200)는 패드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발가락 사이 간격에 대응하게 이격 배치된 것으로서, 발가락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고려하여 패드부(100)에 형성된다.
여기서, 절개부(200)는 패드부(100)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절개부(200)는 대략적으로 삼각형의 좌우측 경사변에 해당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절개부(200)의 양단부에는 삼각형의 하변에 해당하는 접힘부(250)가 위치될 수 있다.
발가락받침부(300)는 발가락이 절개부(200)를 통해 삽입될 때, 상기 절개부(200)의 양측 끝단 사이의 접힘부(250)를 기준으로 접어져서 상기 발가락의 저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발가락받침부(300)를 구획하기 위한 절개부(200)의 개수는 사용자의 발가락에 복수개로 끼울 수 있도록 2개 내지 5개 중 어느 하나로 정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패드부(100)는 땀흡수가 뛰어난 망사 섬유 재질의 제 1 층(110)과, 상기 패드부(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층(110)의 저부에 적층되고, 은사를 이용하여 그물망 형상을 갖도록 직조한 제 2 층(120)과, 상기 패드부(1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층(120)의 저부에 적층되고, 상기 제 1 층(110)과 동일 섬유 재질의 제 3 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패드부(100)는 다층 뿐만 아니라 항균, 방취 및 환기 성능이 뛰어난 섬유 또는 부직포 재질을 이용하여 단층으로도 제작될 수 있고, 발가락을 보호하거나, 발가락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한 재질, 예컨대 원적외선 방출이 가능한 세라믹파우더 또는 게르마늄파우더를 함유한 섬유 재질 등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패드부(100)는 많은 미세기공이 형성된 레이온소재로도 형성될 수 있어서 발수 및 통풍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패드부(100)의 제조에 사용하는 원사(실)에는 항균작용이 우수한 은 성분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패드부(100)는 단면구조상 흡습성과 속건성이 우수한 소재이면서 통기성이 우수하게 다공성 조직과 두께를 갖는 패드원단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패드부(100)는 또한 세라믹파우더와 은파우더 및 게르마늄파우더가 코팅되어 음이온과 원적외선이 발산됨은 물론, 항균 및 항취 기능도 얻을 수 있는 소재로도 제작될 수 있으므로, 또한, 패드부(100)에 다양한 형태의 항균 및 방취용 소재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패드부(100)의 두께가 일반 휴지 또는 크리넥스 등의 티슈와 대등한 두께를 가질 수 있도록, 패드부(100)는 무좀 방지용 발가락 보호 티슈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패드부(100)는 지관에 감겨진 제품으로부터 절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패드부(100)는 한 장씩 빼서 사용하는 각티슈 형태의 제품으로 포장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패드부(100)는 앞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의 절취선(101)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부위와 얇은 두께를 갖는 부위가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가압 롤러(미 도시)에 의해 간헐적으로 가압 처리되어 있음에 따라, 단면 형상만을 볼 때 웨이브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패드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부(100)의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위쪽에 배치되고 가압을 통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패드상부(140)와, 상기 패드부(100)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배치되고 가압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패드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절개부(200)는 삼각형 좌우측 경사변에 대응하게 라인 형태로 절개되어 있고, 상기 패드부(100)의 길이 방향 중심선(C)에 걸쳐지도록 상기 패드부(10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가락받침부(300)는 상기 패드상부(140)에 대응한 두께를 갖는 끝단부(30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발가락받침부(300)는 끝단부(301)와 상기 접힘부(250)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패드하부(250)에 대응한 두께를 갖는 기저부(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사용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부(100)는 지관(10)에서 풀려진 후, 사용자가 힘을 주어 각각 개별적으로 절취될 수 있다.
이후, 도 3과 같이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각각의 발가락받침부(300)를 누르듯이 가압한다. 이런 경우, 접힘부(250)를 기준으로 발가락받침부(300)는 절개부(200)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듯이 접혀지고, 그 결과, 패드부(100)에는 발가락 끼움용 3개의 패드구멍(C)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의 엄지발가락과 소지발가락 사이의 3개의 발가락(예: 검지발가락,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을 패드부(100)의 패드구멍(C)에 끼우는 방식과 같이 패드부(100)를 착용하게 된다. 여기서, 패드구멍(C)은 상기 절개부(200) 및 접힘부(250)에 의해 한정되어 상기 패드부(100)에 형성되는 3개의 구멍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사용자가 양말 및 신발(S)을 착용할 경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패드상부(140)가 발가락 근처의 발등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패드하부(150)는 발가락의 관절 저면과 신발(S) 내측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쿠션과 같은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발가락받침부(300)는 기저부(302)에서 점차적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끝단부(301)를 이용하여 발가락의 저부를 지지함으로써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면서 발가락 저부를 쿠션감있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드부(100)의 각 절개부(200) 사이의 패드접촉영역(102,103,104,105)(도 2와 병행 참조)이 U자 형태로 변형되어서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의 골짜기 부위, 검지발가락과 중지발가락의 골짜기 부위, 중지발가락과 약지발가락의 골짜기 부위, 약지발가락과 소지발가락의 골짜기 부위에 각각 끼워지게되어, 발가락 피부끼리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발가락이 짓무르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또한, 패드부(100)는 양말 등을 벗을 때 사용자의 발에서 분리되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 사용되어 사용자의 발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패드부(100)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지관(10)에 감겨진 상태로 별도의 포장지에 담겨 판매되거나, 공장 제조 단계에서 절취되어 개별 포장지를 통해 낱개 포장되어 판매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는 통기공 및 크랙 방지 홈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할 수 있다. 그러하므로, 도 1 내지 도 6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먼저,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발가락받침부(300a)는 복수개의 통기공(303)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발가락받침부(300a)는 발가락 저부의 피부와 직접접촉되는 곳이나, 복수개의 통기공(303)을 통해서 공기가 더욱 원활하게 제공하게되고, 통기공(303)의 면적만큼 발가락 저부의 피부에 대한 발가락받침부(300a)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음에 따라, 땀을 발수시키는 성능을 극대화시키고, 사용자에게 더욱 상쾌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절개부(200a)의 양측 끝단에는 크랙 방지 홈(20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크랙 방지 홈(201)의 개구부는 절개부(200a)의 양측 끝단의 개구부와 공간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크랙 방지 홈(201)은 절개부(200a)의 끝단 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테두리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응력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발가락받침부(300a)가 접혀질 때 과도한 접힘 응력이 절개부(200a)의 양측 끝단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는 패드부의 두께가 일정하고, 패드부의 패드하부에 겹침부를 더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 제 2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하므로, 도 1 내지 도 7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는 패드원단을 지관에 감아 보관하고, 상기 패드원단에서 일정간격으로 반복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고, 패드상부(140)와 패드하부(150)가 동일한 두께를 갖는 패드부(100a)와, 상기 패드부(100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발가락 사이 간격에 대응하게 이격 배치된 절개부(200a)를 포함한다.
제 3 실시예는 발가락이 상기 절개부(200a)를 통해 삽입될 때, 상기 절개부(200)의 양측 끝단 사이의 접힘부(250)를 기준으로 접어져서 상기 발가락의 저부를 지지하는 발가락받침부(300a)를 포함한다.
특히, 제 3 실시예는 접힘부(250)의 아래쪽에 해당하는 상기 패드하부(150)의 정면과 배면에 적층되고 봉재 또는 접합에 의해 고정된 겹침부(400,500)를 포함한다.
겹침부(400,500)의 길이(예: 도 7에서 좌우 방향의 길이)는 패드부(100a)의 길이와 동일하고, 겹침부(400,500)의 폭(예: 도 7에서 상하 방향의 길이)은 패드하부(15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겹침부(400,500)는 패드하부(150)의 상하 방향 중간에 위치될 수 있고, 봉재, 접합, 융착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패드부(100a)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겹침부(400,500)는 앞서 설명한 패드원단과 동일한 재질 또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겹침부(400,500)를 통해 패드부(100a)의 두께를 국부적으로 증가시켜서, 결국 발가락의 관절 저면과 신발 내측 바닥면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발가락의 저부를 쿠션과 같이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는 역평행사변형의 테두리와 같은 라인 형태로 절개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의해 한정되는 발가락받침부를 더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 제 1 내지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할 수 있다. 그러하므로, 도 1 내지 도 8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패드부에는 4개의 절개부(200b)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200b)는 4개의 발가락, 즉 검지발가락, 중지발가락, 약지발가락, 소지발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패드부의 두께 방향으로 절개된다.
이때, 절개부(200b)는 역평행사변형의 테두리와 같은 라인 형태로 절개되어 있다.
따라서, 발가락받침부(300b)도 역평행사변형의 평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런 경우, 패드부의 각 절개부(200b) 사이의 패드접촉영역(106)의 상부 간격(106a)보다 하부 간격(106b)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서, 발가락의 피부에 닿는 부위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패드부와 발가락의 피부간 접촉을 상대적으로 줄여 피부 보호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예는 위의 실시예들에 비하여 소지발가락에도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소지발가락 아래쪽의 피부 접히는 부위를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발가락받침부(300b) 또는 절개부(200b)는 사용자의 발가락 형상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삼각형, 역평행사변형 뿐만 아니라, 오각형,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평행사변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100a : 패드부 101 : 절취선
110 : 제 1 층 120 : 제 2 층
130 : 제 3 층 140 : 패드상부
150 : 패드하부 200,200a,200b : 절개부
201 : 크랙 방지 홈 250 : 접힘부
300,300a,300b : 발가락받침부 303 : 통기공
400,500 : 겹침부

Claims (9)

  1. 패드원단을 지관에 감아 보관하는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원단에서 일정간격으로 반복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 절취되는 패드부;
    상기 패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발가락 사이 간격에 대응하게 이격 배치된 절개부; 및
    상기 발가락이 상기 절개부를 통해 삽입될 때, 상기 절개부의 양측 끝단 사이의 접힘부를 기준으로 접어져서 상기 발가락의 저부를 지지하는 발가락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부는,
    상기 패드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위쪽에 배치되고 가압을 통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패드상부; 및
    상기 패드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아래쪽에 배치되고 가압되지 않아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갖는 패드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가락받침부는,
    상기 패드상부에 대응한 두께를 갖는 끝단부; 및
    상기 끝단부와 상기 접힘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패드하부에 대응한 두께를 갖는 기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는 땀흡수가 뛰어난 망사 섬유 재질의 제 1 층;
    상기 패드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층의 저부에 적층되고, 은사를 이용하여 그물망 형상을 갖도록 직조한 제 2 층; 및
    상기 패드부의 두께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층의 저부에 적층되고, 상기 제 1 층과 동일 섬유 재질의 제 3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삼각형 좌우측 경사변에 대응하게 라인 형태로 절개되어 있고, 상기 패드부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걸쳐지도록 상기 패드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받침부는 복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의 양측 끝단에는 크랙 방지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가락받침부를 구획하기 위한 상기 절개부는 2개 ~ 5개 중 어느 하나의 개수로 상기 패드부에 형성되고, 삼각형, 역평행사변형 뿐만 아니라, 오각형, 사각형, 다이아몬드형, 평행사변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KR2020140001988U 2014-03-12 2014-03-12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KR2004751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88U KR200475177Y1 (ko) 2014-03-12 2014-03-12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988U KR200475177Y1 (ko) 2014-03-12 2014-03-12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177Y1 true KR200475177Y1 (ko) 2014-11-12

Family

ID=5228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988U KR200475177Y1 (ko) 2014-03-12 2014-03-12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1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859U (ko) * 2015-04-29 2016-11-09 송세운 발가락 패드
KR102199626B1 (ko) * 2019-10-11 2021-01-07 허신행 가변형 발가락 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817U (ja) * 1992-12-28 1994-07-19 榮弘 佐藤 水虫等の予防治療用のパッド
JPH10277085A (ja) * 1997-04-04 1998-10-20 Sakuramoto Plast Kogyo Kk 衛生シート
JP2002209932A (ja) * 2001-01-16 2002-07-30 Morimoto Shinichi 足の指間用シート
KR20140005655A (ko) * 2012-07-06 2014-01-15 유난숙 일회용 발가락 패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817U (ja) * 1992-12-28 1994-07-19 榮弘 佐藤 水虫等の予防治療用のパッド
JPH10277085A (ja) * 1997-04-04 1998-10-20 Sakuramoto Plast Kogyo Kk 衛生シート
JP2002209932A (ja) * 2001-01-16 2002-07-30 Morimoto Shinichi 足の指間用シート
KR20140005655A (ko) * 2012-07-06 2014-01-15 유난숙 일회용 발가락 패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859U (ko) * 2015-04-29 2016-11-09 송세운 발가락 패드
KR200483200Y1 (ko) * 2015-04-29 2017-04-14 송세운 발가락 패드
KR102199626B1 (ko) * 2019-10-11 2021-01-07 허신행 가변형 발가락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121604A (en) Foot deodorant pad
JP4611980B2 (ja) 摩擦減少装置
US20140090273A1 (en) Foot membrane
JP2018513744A (ja) 創傷パッド、および創傷パッドを含む自己接着性部材
US1926283A (en) Sanitary and protective insert for footwear
US4296499A (en) Blister preventing foot cover
US10182616B2 (en) Shoe liner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4151660A (en) Socks for use with footgear
US20160360825A1 (en) Insoles, shoes and production methods
EP2832245B1 (en) Socks
US3063555A (en) Surgical pad and packet
US3299894A (en) Podiatrical appliance
WO2009140119A2 (en) Shoe pad
KR200475177Y1 (ko) 절취식 발가락 보호 패드
KR102514790B1 (ko) 당뇨 양말에 구비되는 인솔 및 이의 제조 방법
US3943922A (en) Drying appliance for preventing athlete's foot
KR20140104207A (ko) 신발용 기능성 뒷굽 깔창
US2969062A (en) Adhesive protective pads
RU184814U1 (ru) Ар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вкладыш для обуви
US2098312A (en) Foot pad
KR101394386B1 (ko) 일회용 발가락 패드 및 그 제조방법
CN104083254A (zh) 一种一次性吸收物品面层材料
KR200384590Y1 (ko) 이중 패드로 구성된 발 질환 치료용구
KR20210133235A (ko) 통기성 반창고
US2244844A (en) Footwear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