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972A -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 및 그 구조를 갖는 장치 - Google Patents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 및 그 구조를 갖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972A
KR20040090972A KR10-2004-7010821A KR20047010821A KR20040090972A KR 20040090972 A KR20040090972 A KR 20040090972A KR 20047010821 A KR20047010821 A KR 20047010821A KR 20040090972 A KR20040090972 A KR 20040090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minated structure
dough
human body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0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카타사부로
모리타쥬이치
카지마사후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레이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레이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레이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40090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97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61F13/10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for the elbow, e.g. decubitus ulcer bandages
    • A61F13/102Openable re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536Plasters use for draining or irrigating w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6Open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35/00Medical equipment, e.g. bandage, prostheses, cathe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496Foamed or cellula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21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with component conforming to contour of nonplanar surface
    • Y10T428/24537Parallel ribs and/or groo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52Laterally noncoextensive components
    • Y10T428/2476Fabric, cloth or textil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24Noninterengaged fiber-containing paper-free web or sheet which is not of specified 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athtub Accessories (AREA)

Abstract

서포터 등의 적층구조를 갖는 장치에 있어서, 인체와의 접촉면에 생긴 땀을 빨아올려서 장치 외부로 방출 할 수 있도록 하여 인체와의 접촉면에서의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한다. 또 발 닦기 매트 등의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에 있어서 빨아올린 수분을 곧 바로 외부로 방출하여서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내부재(22)에 연립발포형의 우레탄 폼을 압축성형 가공한 것을 사용하고, 그 내측 및 외측을 덮는 라이너재(21)을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을 좁게 하였다. 이로 인하여 라이너재가 땀(52)를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빨아올리고, 상기 땀을 내부재 내부의 다수의 기포(33)을 늘어놓은 통로로부터 장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 및 그 구조를 갖는 장치{ORTHOTIC APPARATUS AND SHEET WITH LAMINATED STRUCTURE}
종래 서포터 등의 인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의 기재로는 주로 신축성이 있는 클로로프렌 고무가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 클로로프렌 고무제 기재에는 통기성이 없고, 수분 통과성도 나빠서 장치와 인체와의 접촉면에 땀이 차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다수의 관통홀을 설치한 독립 발포형의 네오프렌(neoprene) 고무를 기재로 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기재의 통기성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기재의 내측 및 외측을 흡수하여 빠르게 건조하는 성질을 지닌 생지로 덮어서 인체와의 접촉면에서의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개2000-37407호 공보, 특개2000-37408공보, 특개 2000-37409호 공보 참조).
또 통기성을 갖는 연립 발포형의 라텍스 스펀지를 기재로 하여 사용함으로써 인체와의 접촉면에서의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개평9-266927호 공보 참조).
또 종래의 발 닦기 매트 등의 시트는 패브릭 소재로 만들어져 있어서 다소의흡수성을 지닌다.
그러나 상기 특개2000-37407호 공보들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독립 발포형의 네오프렌 고무로 이루어지는 기재에 다수의 관통홀을 설치하여 통기성을 확보하는 장치에서는 기재 내부의 수분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가 통기용의 관통홀뿐이어서 생지가 인체로부터 빨아올린 땀을 거의 장치 외부로 방출할 수 없었고, 따라서 인체와의 접촉면에서의 땀이 차는 것을 충분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특개평9-266927호 공보에 나타난 바와 같은 연립 발포형의 라텍스 스펀지를 기재로 하여 사용하는 장치에서는 기재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생지가 흡수성이 부족한 나일론제의 생지이기 때문에 인체와의 접촉면에서 생긴 땀을 거의 빨아올릴 수 없었고, 따라서 인체와의 접촉면에서 땀이 차는 것을 충분하게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발 닦기 매트 등에 사용되는 패브릭제의 시트에서는 다소의 흡수성은 있어도, 빨아들인 수분을 곧 바로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이 없어서 건조시키는 데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인체와의 접촉면에서 생긴 땀을 즉시 빨아올려서 장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여서 인체와의 접촉면에서의 땀이 차는 것을 충분하게 방지할 수 있는 적층구조를 갖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빨아올린 수분은 곧 바로 시트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여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는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 닦기 매트, 실금용 매트, 미끄럼방지판 등의 시트 및 인체에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적층구조를 갖는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장치를 사용자의 팔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a는 상기 장치의 내부재의 재료가 되는 우레탄 폼과, 우레탄 폼을 압축 성형 가공하여 제조한 내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장치의 내부재의 재료가 되는 우레탄 폼과, 우레탄 폼을 압축성형 가공하여 제조한 내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장치의 내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장치의 내부재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장치의 내부재와의 흡수성을 비교하기 위한 테스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테스트 내용과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종래의 장치의 내부재 상의 물방울을 손가락으로 문질렀을 경우의 내부재 내부의 수분과 면 생지 상의 수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b는 종래의 장치의 내부재 상에서의 물방울을 손가락으로 문질렀을 경우의 내부재의 내부 수분과 면 생지 상의 수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장치의 내부재 상에서의 수분을 손가락으로 문지른 경우의 내부재의 내부 수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b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장치의 내부재 상에서의 수분을 손가락으로 문지른 경우의 면 생지 상의 수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장치의 라이너재를 구성하는 섬유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장치의 라이너재를 구성하는 섬유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장치에 의하여 인체와의 접촉면에 생긴 땀을 빨아올려서 장치 외부로 방출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발 닦기 매트의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로서, 연립발포형의 수지 또는 연립 발포형의 수지를 압축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진 기재와 이 기재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생지를 구비하고, 생지는 그것을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이 일반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생지를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보다도 좁은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기재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생지를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이 일반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생지를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보다도 좁아서 상기 생지가 시트 표면의 수분을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빨아올린다. 또 연립 발포형의 수지 또는 연립 발포형의 수지를 압축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기재는 내부에 기포를 늘어놓은 통로를 다수 가지므로 생지가 빨아올린 수분을 이들 통로를 통하여 시트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특히 연립 발포형의 수지를 압축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재로 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일반의 연립 발포형의 수지의 기재로 하여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기재 내부의 수분 통과용의 통로가 좁기 때문에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이들 기재 자체에 수분을 빨아올리는 기능이 생긴다.
이로 인하여 시트 표면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빨아올릴 수 있고 게다가 빨아올린 수분을 곧 바로 시트 외부로 방출하여서 시트를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로서, 연립발포형의 수지 또는 연립 발포형의 수지를 압축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생지를 구비하고, 생지는 그것을 구성하는 섬유가 단면으로 볼 때 홈을 구성하는 것 같은 형상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기재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생지를 구성하는 섬유가 단면으로 볼 때 홈을 구성하는 것 같은 형상이어서, 생지가 상기 좁은 홈을 통하여 시트 표면의 수분을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빨아올릴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에 있어서 시트의 표면에 요철(凹凸)을 형성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시트 표면의 형상을 평평한 형상으로 한 경우에 비하여 시트 표면의 표면적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시트 외부로 방출한 수분을 건조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인체에 장착하기 위한 적층구조를 갖는 장치로서, 연립 발포형 의 수지 또는 연립 발포형의 수지를 압축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생지를 구비하고, 상기 생지는 그것을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이 일반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생지를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보다도 좁은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기재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생지를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이 일반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생지를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보다도 좁아서 상기 생지가 인체와의 접촉면에 생긴 땀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빨아올린다. 또 연립발포형의 수지 또는 연립 발포형의 수지를 압축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기재는 내부에 기포를 늘어놓은 통로를 다수 갖기 때문에 생지가 빨아올린 땀을 이들 통로를 통하여 장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특히 연립 발포형의 수지를 압축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재로 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일반의 연립발포형의 수지를 기재로 하여서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기재 내부의 수분통과용의 통로가 좁아지므로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이들의 기재 자체에 땀을 빨아올리는 기능이 생긴다. 이로인하여 인체와의 접촉면에서의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인체에 장착하기 위한 적층구조를 갖는 장치로서, 연립 발포형의 수지 또는 연립발포형의 수지를 압축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와 이 기재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생지를 구비하고, 생지는 그것을 구성하는 섬유가 단면으로 볼 때 홈을 구성하는 것 같은 형상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는 기재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생지를 구성하는 섬유가 단면으로 볼 때 홈을 구성하는 것 같은 형상이므로, 생지가 이 좁은 구멍을 통하여 인체와의 접촉면에 생긴 땀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빨아올릴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에 있어서 장치가 인체와 접하는 쪽의 면과 반대측면에 요철을 형성한 것이다. 이로 인하여, 장치가 인체가 접하는 쪽의 면과 반대측면 형상을 평평한 형상으로 한 경우에 비하여, 이 면의 표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장치 외부로 방출한 땀을 건조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에 있어서 장치가 인체와 접하는 쪽의 면에 요철(凹凸)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예컨대 이 요철을 인체의 힘줄에 맞는 형상으로 하면 인체의 힘줄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팔꿈치 장치(서포터)에 적용한 실시형태와 발닦기 매트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팔꿈치 장치에 적용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팔꿈치 장치의 내측면(인체와 접하는 쪽의 면)을 나타낸다. 팔꿈치 장치(1)은 사용자의 팔꿈치를 보호하는 서포터부(2)와, 팔꿈치 장치(1)을 사용자의 팔에 장치하기 위한 부재인 스트랩(3, 4)로 이루어진다. 서포터부(2)는 중앙부에 팔꿈치 보호용의 제 1 바트레스부 (5)및 제 2 바트레스부(6)을 갖는다. 또 스트랩(3, 4)는 함께 내측면에 매직테이프(등록상표)부(7)을, 외측면(내측면과 반대측면)에 매직테이프(등록상표)부(8)을 갖는다. 서포트부(2)와 스트랩(3, 4)와는 봉합실(9)에 의해 봉합되어 있다.
도 2는 장착시의 팔꿈치 장치(1)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팔꿈치 장치(1)을 팔 (11)에 장착할 때에는 서포터부(2)의 제 2 바트레스부(6)을 팔꿈치(14)의 중심부에 꽉 누른 상태로 긴 쪽의 스트랩(3)을 상부 팔(13)에, 짧은 쪽의 스트랩(4)을 앞쪽 팔(12)에 감아붙인다. 그리고 두 개의 스트랩(3, 4)에 설치된 각각의 매직테이프(등록상표)부(7)과 매직테이프(등록상표)부(8)를 계합시킴으로써, 서포터부(2)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어서 상기의 서포터부(2) 및 스트랩(3, 4)의 내부구조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A-A선의 팔꿈치 장치(1)의 단면을 나타낸다. 상기의 서포터부(2) 및 스트랩(3, 4)는 연립 발포형의 수지인 우레탄 폼을 압축성형 가공하여서 작성한 내부재(22)(청구항에서의 기재)와, 상기 내부재(22)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라이너재(21)(청구항의 생지)로 구성된다. 또 서포터부(2)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 1 바트레스부(5) 및 제 2 바트레스부(6)에 상당하는 부분의 내부재(22)는 서포터부(2) 내의 다른 부분의 내부재(22)보다도 기포를 많이 포함하므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포터부(2)내의 다른 부분보다도 부풀어오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바트레스부(5)의 부풀어오름보다도 제 2 바트레스부(6)이 크게 부풀어 오른 이유는, 사용자의 팔꿈치(14)의 중심부를 보다 확실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팔꿈치(14)의 중심부가 접하는 제 2 바트레스부(6)의 내부재(22)에 포함되는 기포의 양을 팔꿈치(14)의 주변부가 접하는 제 1 바트레스부(5)의 내부재(22)에 포함되는 기포의 양보다도 많이 구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라이너재(21)은 주로 테크노화인(상표)이라고 하는 흡수 속 건조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이루어지는 생지이며, 그 성분은 폴리에스테르 85%, 폴리우레탄 15%이다.
상기 서포터부(2) 및 스트랩(3, 4)는 각각 내부재(22)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라이너재(21)을 라미네이트한 상태에서, 라미네이트 후의 내부재(22)에 대하여 열 프레스 처리를 가하여 압축성형가공 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열 프레스 처리시에 서포터부(2)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 1 바트레스부(5) 및 제 2 바트레스부(6)에 가해지는 압력은 서포터부(2) 내의 다른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보다도 작고 또 제 2 바트레스부(6)에 가해지는 압력은 제 1 바트레스부(5)에 가해지는 압력보다도 작다. 이로 인하여 제 2 바트레스부(6)의 내부재(22)는 제 1 바트레스부(5)의 내부재(22)보다도 더 많은 기포를 포함하고, 또 제 1 바트레스부(5)의 내부재(22)는 그 주변부의 내부재(22)보다도 많은 기포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의 내부재 (22)에 관하여 상술한다. 도 4a, 도 4b는 각각 내부재(22)의 재료가 되는 우레탄 폼(31)과, 상기 우레탄 폼(31)을 압축성형 가공하여서 제조한 내부재(22)를 나타낸다. 또 도 5는 종래의 팔꿈치 장치의 내부재의 하나인 기포 네오프렌재를 나타낸다. 종래의 내부재의 하나인 기포 네오프렌재(41)은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독립 기포의 수지이므로 네오프렌 층(42) 내부의 기포(43)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기포 네오프렌재(41)로 이루어지는 내부재는 내부에 설치된 관통홀(44)를 이용하여 내부재로서의 통기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포 네오프렌재(41)에는 수분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가 상기의 관통홀(44)밖에는 없고, 게다가 상기 관통홀(44)의 수가 적어서 땀을 팔꿈치 장치(1)의 외부로 방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도 4a, 4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립 발포형의 수지인 우레탄 폼(31) 및 상기 우레탄 폼(31)에 압축성형가공 처리를 하여 작성한 내부재(22)는 내부에 기포(33)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수분통과용의 통로를 다수 가지고 있고, 이들 통로를 통하여 땀을 팔꿈치 장치(1)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도면 4a, 4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성형 가공처리를 한 내부재(22)는 원래의 우레탄 폼(31)에 비하여 기포(33)의 양이 적고 우레탄 수지 (32) 사이의 간극이 작다. 이로 인하여 내부재(22)의 수분통과용의 통로는 원래의우레탄 폼(31)의 수분통과용 통로 보다도 좁아진다. 따라서 내부재(22)는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원래의 우레탄 폼(31)보다도 수분을 빨아올리는 능력이 높아지므로 인체와 접하는 쪽의 라이너재(21)이 빨아올린 땀을 원활하게 팔꿈치 장치(1)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원래의 우레탄 폼(31)을 압축성형 가공하여 우레탄 폼(31)내의 우레탄 수지(32)의 밀도를 높임으로써, 우레탄 수지(32)로 이루어지는 내부재(22)에 일반의 팔꿈치 장치의 내부재로서 사용되는 네오프렌 고무와 동등한 수축성 및 탄력성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종래의 내부재의 하나인 기포 네오프렌재 (41)과 상기의 내부재(22)의 흡수성에 관하여 비교한다.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 생지(46)상에 기포 네오프렌재(41)과 내부재(22)를 올려두고 스포이드(47)로 소정량의 물방울을 떨어뜨려서 기포 네오프렌재 (41)과 내부재(22)의 흡수성을 시험해보면,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즉 종래의 독립 발포형 수지인 기포 네오프렌재(41)에 스포이드(47)에 의하여 1~5cc의 물방울(48)을 차례로 떨어뜨려도 기포 네오프렌재(41)에는 수분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가 적어서 기포 네오프렌재(41) 상의 수분(51)은 물방울 상태가 되어 기포 네오플렌재(41) 상에 머물러 기포 네오프렌재(41)의 내부로는 흡수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연립발포형 수지인 우레탄 폼(31)을 압축성형 가공하여 제조한 내부재(22)는 수분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를 다수 갖는다. 따라서 도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내부재(22)에 1~5cc의 물방울(48)을 순차 떨어뜨리면 내부재(22)상의 수분(51)은 내부재 22의 내부로 흡수된다. 그리고 3cc이상의 물을 떨어뜨린 상태로 10분 정도 지나면 물방울(48)을 떨어뜨린 면과 반대측 면(안쪽 면)에 수분(51)이 나타난다.
또 상기 기포 네오프렌재(41)에 스포이드(47)로 5cc의 물방울(48)을 떨어뜨린 상태에서 기포 네오플렌재(41) 상의 물방울을 손가락으로 문지르면 도 8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포 네오프렌재(41) 상의 수분(51)은 기포 네오플렌재(41)의 표면상에 분산하여, 기포 네오프렌재(41)의 내부로는 거의 흡수되지 않고 관통홀 (44)를 통과한 얼마 안 되는 수분(51)만이, 도 8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 생지(46) 상에 나타난다.
이에 대하여 상기의 내부재(22)에 스포이드(47)로 5cc의 물방울(48)을 떨어뜨린 상태에서 내부재(22) 상에 잔존한 수분(51)을 손가락으로 문지르면 내부재(22) 상의 수분(51)은 도 9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내부재(22)의 내부로 흡수되고 연립한 기포(33)으로 이루어지는 통로를 지나서, 도 9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면 생지(46)의 표면상에 나타난다.
상기 도 7 내지 도 9의 테스트 결과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독립 발포형의 수지인 기포 네온프렌재(41)은 수분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를 거의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흡수성이 거의 없지만, 연립 발포형의 수지로 제조한 내부재(22)는 수분을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를 다수 가지고 있어서 소재 자체의 흡수성이 강하고 흡수 속도도 빠르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도 3에서 나타내는 내부재(21)이 갖는 흡수 속 건조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너재(21)은 테크노화인(상표)제의 섬유(6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테크노화인 섬유(61)은 단면으로 볼 때 W형의 홈을 구성하는 듯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로 인하여 라이너재(21)은 상기 W형의 홈을 통하여 수분을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또 상기 W형의 홈의 간극은 미세하므로 라이너재(21)의 내부에서의 수분 통로는 도 11에서 나타내는 종래의 레귤러·폴리에스테르 섬유(63)으로 이루어지는 생지(62)에서의 수분 통로보다 좁아진다. 따라서, 내측(인체와 접하는 쪽)의 라이너재(21)은 상기 라이너재(21)과 접하는 면에 생긴 땀을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신속하게 빨아올릴 수 있다. 또 외측의 라이너재(21)은 내부재(22)에 의하여 내측 라이너재(21)로부터 빨아올린 땀을 신속하게 통과시켜서 팔꿈치 장치(1)의 외부로 방출한다. 이로 인하여 팔꿈치장치(1)은 인체와의 접촉면에서 생긴 땀을 단시간에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인체와 접촉면에서의 땀이 차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고 또 인체와의 접촉면을 기화열로 냉각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여서 상기의 라이너재(21)과 내부재(22)로 이루어지는 팔꿈치 장치(1)이 땀(52)를 빨아올리는 구조에 관해서 정리한다. 상기 팔꿈치 장치(1)은 내부재(22)에 연립발포형의 수지를 압축성형 가공한 것을 사용하고 내부재(22)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생지인 라이너재(21)을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이 종래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생지를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보다도 좁아지도록 하였다. 이로 인하여 도 12중의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너재(21)이 인체와의 접촉면에서 생긴 땀(52)를 모세관 현상에 의해 빨아올려서 상기 땀(52)를 내부재(22)가내부에 있는 기포(33)을 늘어놓은 다수의 통로로부터 장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팔꿈치 장치(1)은 인체와의 접촉면에서의 땀이 차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고 또 인체와 접하는 부분을 기화열로 냉각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발 닦기 매트에 적용한 것이다. 도 13은 제 2의 실시형태에 의한 발 닦기 매트를 나타낸다. 상기 발 닦기 매트(71)은 제 1의 실시형태에 의한 팔꿈치장치(1)과 같은 적층구조를 갖는 두 장의 시트(72)를 겹친 것이다. 도 13에서는 이들의 각 시트(72)의 높이 방향의 폭(두께)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각 시트(72)의 높이방향의 폭은 실제로는 1cm정도이며, 또 도 1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의 폭은 실제로는 50~60cm정도이다. 또 도 13에서는 각 시트(72)사이에 빈틈을 설치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이들 시트(72)는 접합한 상태로 봉합되어 있다. 각 시트(72)는 연립발포형의 수지인 우레탄 폼을 압축성형 가공하여 작성한 내부재(22)와 상기 내부재(22)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라이너재 21로 구성된다.
이들 각 시트(72)는 내부재(22)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라이너재(21)을 라미네이트한 상태에서, 라미네이트 후의 내부재(22)에 대하여 열 프레스 처리를 가하여 압축성형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도 1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의 시트(72)의 상면에는 복수의 요부(73)이 설치되어 있다. 상측의 시트(72)를 압축성형 가공할 때에 상기 시트(72)의 각 요부(73)에 가하여지는 압력은 시트(72) 상에서의 요부(73) 이외의 부분에 가하여지는 압력보다도 크다.
발 닦기 매트(71)을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발닦기 매트(71)의 표면을덮는 라이너재(21)이 발 닦기 매트(71)의 표면의 수분을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빨아올린다. 또 발 닦기 매트(71)의 하면에도 흡수성이 강한 라이너재(21)을 적층하였으므로, 상기 라이너재(21)이 바닥에 떨어진 물을 옆에서부터 흡수한다. 우레탄 폼을 압축성형 가공하여서 작성한 내부재(22)는, 내부에 기포를 늘어놓은 통로를 다수 갖으므로 생지가 빨아올린 수분을 이들 통로를 통하여 발 닦기 매트(71)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 발 닦기 매트(71)의 상면에 설치된 복수의 요부(73)은 상기 매트(71)의 표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며 이와 같이 매트(71)의 표면적을 늘림으로써, 매트(71)의 외부로 방출한 수분을 건조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상기 발 닦기 매트(71)을 사용할 때 감촉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가능하다. 예컨대 제 1의 실시형태에서는 테크노화인 섬유(61)로 이루어지는 생지를 라이너재 (21)로 이용하였지만 라이너재로 사용하는 생지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수분을 빨아올릴 수 있는 정도로 섬유간의 간극이 좁은 것이면 된다.
또 라이너재를 구성하는 섬유의 형상은 단면으로 볼 때 W형의 홈을 구성하는 것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단면으로 볼 때 V자형이나 U자 형의 홈을 구성하는 것 같은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서는 내부재(22)로서 우레탄 폼(31)을 압축성형 가공한 것을 사용하였는데 내부재로서 우레탄폼 등의 연립 발포형 수지를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팔꿈치 장치(1)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손목·발목 등의 장치나 트레이닝 스팻에 적용하여도 좋다.
또 상기 제 1의 실시형태에서는 팔꿈치 장치(1)의 외측면(인체와 접하는 쪽 면과 반대측 면)을 평면적인 형상으로 하였지만, 팔꿈치 장치(1)의 외측면을 요철이 있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로 인하여 팔꿈치 장치의 외측면에서의 표면적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외부로 방출한 땀을 건조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 할 수 있고, 또 인체와 접하는 부분을 냉각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제 2의 실시형태에서는 적층구조를 갖는 두 장의 시트(72)를 겹친 발 닦기 매트(71)을 나타냈는데, 발 닦기 매트를 구성하는 시트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수할 물의 양에 맞추어 한 장으로 하여도 좋고 세 장으로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제 2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를 발 닦기 매트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는데 본 발명의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를 실금용 매트 또는 미끄럼 방지판에 적용하여도 좋다.

Claims (7)

  1.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에 있어서,
    연립발포형의 수지 또는 연립발포형의 수지를 압축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생지를 구비하고,
    상기 생지는 그것을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이 일반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생지를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
  2.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에 있어서,
    연립발포형의 수지 또는 연립 발포형의 수지를 압축성형 가공하여 구성하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생지를 구비하고,
    상기 생지는 그것을 구성하는 섬유가 단면으로 볼 때 홈을 구성하는 것 같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표면에 요철(凹凸)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
  4. 인체에 장착하기 위한 적층구조를 갖는 장치에 있어서,
    연립발포형의 수지 또는 연립발포형의 수지를 압축성형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생지를 구비하고,
    상기 생지는 그것을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이 일반의 폴리에스테르제의 생지를 구성하는 섬유의 간극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장치.
  5. 인체에 장착하기 위한 적층구조를 갖는 장치에 있어서,
    연립발포형의 수지 또는 연립 발포형의 수지를 압축성형 가공하여서 이루어지는 기재와,
    상기 기재의 내측 및 외측을 덮는 생지를 구비하고,
    상기 생지는 그것을 구성하는 섬유가 단면으로 볼 때 홈을 구성하는 것 같은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인체와 접하는 쪽의 면과 반대측의 면에 요철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장치.
  7.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인체와 접하는 쪽의 면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적층구조를 갖는 장치.
KR10-2004-7010821A 2002-01-30 2002-10-21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 및 그 구조를 갖는 장치 KR200400909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21724 2002-01-30
JP2002021724A JP3877602B2 (ja) 2002-01-30 2002-01-30 積層構造を持つシート及び同構造を持つ装具
PCT/JP2002/010894 WO2003064149A1 (fr) 2002-01-30 2002-10-21 Dispositif orthopedique et feuille presentant une structure stratifie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972A true KR20040090972A (ko) 2004-10-27

Family

ID=27654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0821A KR20040090972A (ko) 2002-01-30 2002-10-21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 및 그 구조를 갖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42334A1 (ko)
JP (1) JP3877602B2 (ko)
KR (1) KR20040090972A (ko)
WO (1) WO2003064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41810A1 (it) * 2004-09-22 2004-12-22 Sports & Supports Ltd "articolo sanitario, anche ad uso sportivo, e relativo metodo di produzione"
US9351551B2 (en) * 2006-08-24 2016-05-31 Armpocket Enterprises Personal armband storage device
US8752740B2 (en) * 2006-08-24 2014-06-17 Mark E. Morgan Personal armband storage device
SE533843C2 (sv) 2009-06-15 2011-02-08 Moelnlycke Health Care Ab Sårdyna innefattande en kropp av komprimerat skummaterial med öppna celler
IT1397239B1 (it) 2009-12-01 2013-01-04 Zecca Sistema per accogliere un utente seduto o sdraiato.
DE202010015324U1 (de) * 2010-11-12 2012-02-16 Horizonte Textil Gmbh Sportbandagen
US20160199229A1 (en) * 2014-12-22 2016-07-14 Terence W. Kolb Impregnable and Expanding Wound Packing Article and Method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5739A (en) * 1955-06-23 1960-07-19 Du Pont Process of melt spinning
US3451885A (en) * 1962-07-09 1969-06-24 Union Carbide Corp Needled composite web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410748A (en) * 1964-03-04 1968-11-12 Reeves Bros Inc Method of bonding porous polyurethane to loosely woven fabric and resultant article
US3375821A (en) * 1965-07-14 1968-04-02 Cicero P. Meek Kneepad
US3498296A (en) * 1966-10-03 1970-03-03 Marion C Gallagher Diaper panty and the like
US3732866A (en) * 1971-02-18 1973-05-15 L Accavallo Catamenial device
US3839138A (en) * 1972-03-20 1974-10-01 R Kyle Dimensionally stable hydrophilic foam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4421809A (en) * 1982-09-20 1983-1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oor mat with flock fibers adhesively bonded onto a thin polymeric film
US4832010A (en) * 1985-06-11 1989-05-23 Max Lerman Orthopedic supports and material for making same
SE450813B (sv) * 1985-07-23 1987-08-03 Volcano Int Medical Ab Kneskydd med festbara stoddelar
JPH0130083Y2 (ko) * 1987-02-04 1989-09-13
US5006057A (en) * 1988-02-16 1991-04-09 Eastman Kodak Company Modified grooved polyester fibers and spinneret for production thereof
US5972505A (en) * 1989-04-04 1999-10-26 Eastman Chemical Company Fibers capable of spontaneously transporting fluids
US4985931A (en) * 1989-10-17 1991-01-22 Riddell, Inc. Shock absorbing pad structure for athletic equipment
JP2818223B2 (ja) * 1989-10-26 1998-10-30 アルケア株式会社 医療用伸縮布
US5314743A (en) * 1990-12-17 1994-05-24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web containing shaped fibers
US5139476A (en) * 1991-04-26 1992-08-18 Camp International, Inc. Orthotic knee wrap
US5139477A (en) * 1991-04-26 1992-08-18 Camp International, Inc. Knee sleeve
US5100924A (en) * 1991-08-28 1992-03-31 Nippon Unicar Company Limited Open cell foam compositions
US6004662A (en) * 1992-07-14 1999-12-21 Buckley; Theresa M. Flexible composite material with phase change thermal storage
US5451201A (en) * 1992-09-24 1995-09-19 Innovative Footwear Corporation Joint support apparatus
US5695452A (en) * 1993-02-16 1997-12-09 Grim; Tracy E. Formed resilient orthopaedic device
US5334135A (en) * 1993-02-16 1994-08-02 Grim Tracy E Formed resilient orthopaedic support
US5823981A (en) * 1994-06-06 1998-10-20 Royce Medical Company Resilient orthopaedic support with independently stretchable layers
JP2897953B2 (ja) * 1995-11-16 1999-05-31 株式会社協和
JPH09266927A (ja) * 1996-04-01 1997-10-14 Nippon Sigmax Kk 人体装着用圧迫固定具
US6048810A (en) * 1996-11-12 2000-04-11 Baychar; Waterproof/breathable moisture transfer liner for snowboard boots, alpine boots, hiking boots and the like
US7125816B1 (en) * 1996-11-12 2006-10-24 Solid Water Holdings Waterproof/breathable technical apparel
US5738937A (en) * 1996-11-12 1998-04-14 Baychar; Waterproof/breathable liner and in-line skate employing the liner
US6509285B1 (en) * 1997-09-15 2003-01-21 Patrick Yeh Fabric for moisture management
EP0970668A1 (en) * 1998-07-10 2000-01-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Laminated orthopedic brace
US5920915A (en) * 1998-09-22 1999-07-13 Brock Usa, Llc Protective padding for sports gear
US6861379B1 (en) * 1999-02-16 2005-03-01 Accu-Med Technologies, Inc. Breathable neoprene substitute
US6878433B2 (en) * 1999-12-21 2005-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lications for laminate web
JP3072164U (ja) * 2000-03-30 2000-10-06 東洋ケミテック株式会社 押圧固定保護具
US6772444B2 (en) * 2001-05-08 2004-08-10 The Minister Of National Defence Of Her Majesty's Canadian Government Comfort liners for chemical protective and other impermeable polymer gloves
US6770580B2 (en) * 2001-08-08 2004-08-03 Golite Fabric material constructed from open-sided fibers for use in garments and the like
US7011640B2 (en) * 2004-03-17 2006-03-14 Vacuity, Inc. Orthopedic brace having a vacuum chamber and associ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77602B2 (ja) 2007-02-07
JP2003220659A (ja) 2003-08-05
WO2003064149A1 (fr) 2003-08-07
US20050142334A1 (en)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42265B (en) Vapor-permeable waterproof sole for shoes
US7303808B2 (en) Bulky sheet material having three-dimensional protrusions
US6199304B1 (en) Sockliner
EP0556996B1 (en) Underpad for incontinent patients
US4486901A (en) Multi-layered, open-celled foam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athletic equipment
CA1068107A (en) Deodorizing insole
CA2331081A1 (en) Absorbent incontinence pads
EP2004111B1 (en) Underbody thermal blanket
TW201341022A (zh) 運動墊
US20110208145A1 (en) Fluid Management System
JPH03184575A (ja) 運動器具のための緩衝パッド構造体及びその作製方法
EP1209271A1 (en) Bulky sheet material having three-dimensional protrusions
KR20040090972A (ko) 적층구조를 갖는 시트 및 그 구조를 갖는 장치
JP2016202939A (ja) 脛当て
KR20010007551A (ko) 적층 패널
JPS59228003A (ja) 吸収物品
HU218619B (hu) Rostrétegekkel borított, rugalmas hálószerű alaplapot tartalmazó abszorbens cikk
EP0452576A1 (en) Shoe insole laminate
JP2897953B2 (ja)
JP6163625B2 (ja) 脛当て
JPS6012411Y2 (ja) 運動靴甲皮用基布
JP2022547905A (ja) 三次元フィーチャを有するバッキング層を含む医療用ドレッシング材
JPH11222951A (ja) 防音床材用緩衝材
JPH0546704Y2 (ko)
JP3093572U (ja) 膝当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