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119B1 - 화장용 퍼프 - Google Patents

화장용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119B1
KR101830119B1 KR1020160041325A KR20160041325A KR101830119B1 KR 101830119 B1 KR101830119 B1 KR 101830119B1 KR 1020160041325 A KR1020160041325 A KR 1020160041325A KR 20160041325 A KR20160041325 A KR 20160041325A KR 101830119 B1 KR101830119 B1 KR 101830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cosmetic
skin
contact
pud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4129A (ko
Inventor
최재준
Original Assignee
최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준 filed Critical 최재준
Priority to KR1020160041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11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of hollow pieces, e.g. tubes; of pieces with channels or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 원형 또는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화장품을 하부면에 묻히거나 흡수시켜 사용자 안면이나 피부에 직접 접촉하며, 토닥거림이나 두드림으로써 화장품을 안면이나 피부에 고르게 도포시키도록 접촉흡수퍼프(102)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흡수퍼프(102)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흡수퍼프(102)가 사용자 안면이나 피부에 접촉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충격완충을 통해 화장품의 비산을 방지하여 고르게 안면이나 피부에 도포되도록 상기 접촉흡수퍼프(102) 상부면에 하부완충퍼프(104)가 대응결합되는 하부퍼프부재(100)와;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의 하부완충퍼프(104)측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퍼프부재(1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재차 완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완충퍼프(20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완충퍼프(202) 외측 일면에 열융착결합되어 마감하는 외피층(204)이 형성된 상부퍼프부재(200)와;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와 상부퍼프부재(200)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와 상부퍼프부재(200) 사이에 위치되어 둘레를 따라 외주연 둘레가 열접착되며,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와 상부퍼프부재(200)의 변형에 따라 중심측이 유동되어 펌핑작동되는 펌핑차단막(300)과;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의 하부완충퍼프(104)와 상부퍼프부재(200)의 상부완충퍼프(202)가 서로 마주보며 둘레를 따라 대응결합되어 중심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고, 상기 펌핑차단막(300)에 의해 상하부로 구획되며, 상기 펌핑차단막(300)의 유동에 따라 내부 면적이 유동적으로 변동하여 충진된 에어가 상기 상부, 하부완충퍼프(202,104)로 유출입되도록 형성되는 상부,하부에어셀(400,4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용 퍼프{Cosmetic puff}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을 흡수하여 피부에 접촉도포하는 접촉흡수퍼프와 화장시 접촉흡수과정에서 피부로 인가되는 외력을 완충하는 상부 및 하부완충퍼프 사이에 펌핑차단막을 위치시켜 결합함에 따라 상부 및 하부에어셀이 분리되어 구획형성됨에 따라 외력 작용시, 화장용 퍼프 내의 에어셀의 공간 변형에 따른 펌핑작용에 의한 면적변화로 인해 에어셀에 충진된 공기가 상부 및 하부 완충퍼프측으로 유출입되어 되어 피부접촉자극의 최소화, 외력에 대한 완충능력의 향상이 가능하고, 접촉흡수퍼프로부터 흡수되는 화장품의 양을 최소화하여 화장품 사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펌핑차단막에 의한 퍼프의 상하구분에 따른 화장품의 흡수경로를 차단함에 따라 퍼프의 완충능력의 저하 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지속적 사용감이 우수하며, 이에 따른 사용수명이 증대되고, 사용자의 손이 화장품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사용이 가능한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 퍼프는 라텍스나 우레탄, 후로킹(flocking), PVA(Poly Vinyl Alcohol), 고무 등의 소재로 된 스펀지 형태의 폼으로 제작되며, 얼굴 등의 신체 부위를 화장할 때에 여기에 파운데이션이나 스킨커버 또는 트윈케익, 파우더 등의 화장 용품(즉, 화장품)을 묻혀 안면에 토닥거림으로써 화장품을 안면에 골고루 도포하며 흡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퍼프는 화장품 종류 및 용기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고, 통상적으로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사각판 또는 원판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화장품 및 용기의 다양화로 인해 화장품 용기에 씌워져 결합되는 캡 형태의 퍼프 및 사용자가 직접 손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원형 내지는 사각의 판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화장용 퍼프는, 원형이나 사각의 판형태로 우레탄 스폰지를 재단하고, 상기 우레탄 스폰지 하부면에는 사용자 피부에 접촉시 촉촉함과 부드러운 느낌으로 화장이 고르게 펴져 도포될 수 있도록 폴리우레탄 소재의 루비셀이 대응결합되고, 상부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 등이 결합되 조네스 소재의 합성피혁이 대응결합된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종래의 화장용퍼프는 일반적인 접착방법을 통해 접착함에 따라 화장품을 루비셀로 이루어진 하부면을 통해 흡수한 후 사용자가 합성피혁으로 이루어진 상부면을 파지하거나 상부면에 형성되는 손잡이 등을 이용하여 하부면에 흡수된 화장품을 안면이나 피부에 두들기듯 도포하도록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통상적인 화장용 퍼프를 통해 화장을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안면이나 피부에 두들기듯이 도포하면 루비셀 소재의 하부면에 흡수된 화장품이 우레탄 스폰지 측으로 흡수되어 정작 화장하고자 하는 화장품이 루비셀 소재의 하부면에는 남아 있지 않아 사용자는 계속해서 화장품에 화장용 퍼프 하부면을 접촉하여 흡수하게 되고, 다시 우레탄 스폰지 측으로 화장품이 흡수되는 일련의 과정이 반복되어 화장품 소모량이 많아지게 된다.
더욱이, 우레탄 스폰지는 화장시 사용자가 두들기듯이 안면이나 피부에 화장품을 도포하는 과정에서 피부로 가해지는 충격량을 완충하고, 보다 부드럽고 넓게 안면이나 피부에 화장품이 도포되도록 쿠션역할을 하는 것인데도 불구하고, 화장품이 화장용 퍼프의 하부면으로부터 계속적으로 화장품이 흡수되면 화장품의 경화로 인한 완충능력의 저하를 가져오게 되고, 이는 화장용 퍼프 사용시 사용자에게 다소 불쾌감을 주거나 위생상 청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화장품의 성질에 따라 액상이나 겔 형태의 화장품을 사용할 경우 우레탄 스폰지로 흡수되는 화장품의 양을 더욱 많아지고, 정작 적당한 양과 범위로 안면이나 피부에 화장을 하고자 할 때, 오히려 화장품이 우레탄 스폰지로부터 배출되어 안면이나 피부에 흘러내리는 현상 등이 발생되게 되고, 이로 인해 화장용 퍼프를 다시 재 구매하거나 다수의 화장용 퍼프를 구비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 문제가 발생된다.
나아가, 우레탄 스폰지에 흡수된 화장품이 잔존하게 됨에 따라 세균번식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위생상 청결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 안면이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화장용 퍼프의 특성상 계속적 사용이 불가능하여 사용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한편,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자용퍼프는 쿠션부재인 우레탄 스폰지가 내장되어 구성되는 바, 미세한 분말이나 액상, 겔 등으로 이루어진 화장품을 퍼프의 하부면에 바른 후, 안면에 퍼프를 토닥거림하여 도포할 경우, 화장품은 통기성의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와 망사 형태의 쿠션부재를 통하여 퍼프 상부면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로 인해 화장품을 자주 바르게 되고, 결국 화장품을 많이 사용하는 낭비의 문제점과 사용자의 손이 화장품에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0548호에 게재된 내용을 보면 화장용 퍼프에 접착제 성분의 핫멜트 필름을 누서성을 갖는 퍼프부재 일면에 적층시켜 가열압착하여 핫멜트 필름이 퍼프부재 일면에 함침되어 결합한 형태의 퍼프가 소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핫멜트필름(베리어막)은 퍼프부재에 130~150℃로 가열압착을 통해 함침한 것으로, 가열압착과정에서 퍼프부재의 공극으로 함침되는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의 문제가 발생된다. 즉, 퍼프부재의 공극으로 함침되어 퍼프부재의 공극을 차단함에 따라 흡수되는 화장품이 과도하게 흡수되지 않도록 한 기술로, 퍼프부재에 가열압착을 통해 함침시킴에 따라 퍼프부재 일부의 공극에는 함침되지 않는 부분도 발생되어 화장품의 흡수를 완벽히 차단하기란 어렵다. (종래 기술의 청구항에는 함침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사실상 가열 압착시에는 융착이 맞는 것으로 판단되며, 융착되며 대부분이 열에 의한 경화성을 가지면서 변형된다.)
더욱이, 가열압착시, 핫멜트필름(베리어막)은 열원에 의해 녹아 함침(융착)되고, 이후 냉각되면 퍼프부재의 공극사이에서 경화됩니다. 따라서, 종래 화장용 퍼프는 핫멜트필름(베리어막)을 형성한 후, 경화되어 충격완충능력이 저하되고, 이는 곧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화장용 퍼프의 특성상 피부접촉자극의 원인이 된다.
즉, 종래의 화장용 퍼프는 핫멜트필름(베리어막)의 형성시 퍼프부재 일면 전체에 걸쳐 공극으로 함침되어 결합되어야만 화장품의 흡수를 차단할 수 있고, 화장용 퍼프부재 일면 전체에 걸쳐 함침되어 결합됨에 따라 외부충격에 대한 완충능력의 저하가 발생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0548호, 등록일자 2014년 12월 02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화장용 퍼프의 피부와 접촉되는 하부퍼프부재와 사용자 손이 접촉되는 상부퍼프부재 사이에 펌핑차단막을 형성하고, 펌핑차단막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퍼프부재와 상부퍼프부재 사이에 상부 및 하부에어셀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이 하부퍼프부재에만 흡수되고 상부퍼프부재는 충격완충능력을 유지한 상태로 화장품의 흡수가 차단되어 역할이 반분된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퍼프부재측에 형성된 하부에어셀에 충진된 공기가 펌핑차단막의 외력에 의한 변형으로 하부에어셀의 면적변화를 발생하여 공기가 하부퍼프부재 하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접촉자극을 최소화하고, 화장품 정량흡수를 유도하며, 다량의 화장품이 하부 에어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하부퍼프측으로의 흡수를 제한하여 화장품 사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상부퍼프부재측의 상부에어셀에 충진된 공기는 사용자의 손에 의한 화장과정에서의 충격을 완충하도록 됨으로써, 종래 화장용 퍼프의 화장품 흡수로 인한 경화를 방지하여 충격완충능력의 저하를 방지하고, 이를 통해 지속적 사용감이 우수하며, 사용수명이 증대되고, 화장품 흡수가 펌핑차단막에 의해 완벽히 차단되어 사용자 손을 오염시키지 않아 위생적 사용이 가능한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는 원형 또는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화장품을 하부면에 묻히거나 흡수시켜 사용자 안면이나 피부에 직접 접촉하며, 토닥거림이나 두드림으로써 화장품을 안면이나 피부에 고르게 도포시키도록 접촉흡수퍼프(102)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흡수퍼프(102)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흡수퍼프(102)가 사용자 안면이나 피부에 접촉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충격완충을 통해 화장품의 비산을 방지하여 고르게 안면이나 피부에 도포되도록 상기 접촉흡수퍼프(102) 상부면에 하부완충퍼프(104)가 대응결합되는 하부퍼프부재(100)와;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의 하부완충퍼프(104)측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퍼프부재(1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재차 완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완충퍼프(20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완충퍼프(202) 외측 일면에 열융착결합되어 마감하는 외피층(204)이 형성된 상부퍼프부재(200)와;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와 상부퍼프부재(200)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와 상부퍼프부재(200) 사이에 위치되어 둘레를 따라 외주연 둘레가 열접착되며,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와 상부퍼프부재(200)의 변형에 따라 중심측이 유동되어 펌핑작동되는 펌핑차단막(300)과;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의 하부완충퍼프(104)와 상부퍼프부재(200)의 상부완충퍼프(202)가 서로 마주보며 둘레를 따라 대응결합되어 중심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고, 상기 펌핑차단막(300)에 의해 상하부로 구획되며, 상기 펌핑차단막(300)의 유동에 따라 내부 면적이 유동적으로 변동하여 충진된 에어가 상기 상부, 하부완충퍼프(202,104)로 유출입되도록 형성되는 상부,하부에어셀(400,4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펌핑차단막(300)은 OPP(Oriented poly propylene)비닐, PP(poly propylene)비닐, PE(polyethylene)비닐, HDPE(High density Polytehylene)비닐, LDPE(Low density Polytehylene)비닐, NY(Nylon)비닐, CPP(Cast polypropylene)비닐, PU(Polyurethane)비닐, PVC(Polyvinyl chloride)비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화장용 퍼프의 피부와 접촉되는 하부퍼프부재와 사용자 손이 접촉되는 상부퍼프부재 사이에 펌핑차단막을 형성하고, 펌핑차단막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퍼프부재와 상부퍼프부재 사이에 상부 및 하부에어셀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화장품이 하부퍼프부재에만 흡수되고 상부퍼프부재는 충격완충능력을 유지한 상태로 화장품의 흡수가 차단되어 역할이 반분된 것으로, 하부퍼프부재측에 형성된 하부에어셀에 충진된 공기가 펌핑차단막의 외력에 의한 변형으로 하부에어셀의 면적변화를 발생하여 공기가 하부퍼프부재 하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접촉자극을 최소화하고, 화장품 정량흡수를 유도하며, 다량의 화장품이 하부 에어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하부퍼프측으로의 흡수를 제한하여 화장품 사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상부퍼프부재측의 상부에어셀에 충진된 공기는 사용자의 손에 의한 화장과정에서의 충격을 완충하도록 됨으로써, 종래 화장용 퍼프의 화장품 흡수로 인한 경화를 방지하여 충격완충능력의 저하를 방지하고, 이를 통해 지속적 사용감이 우수하며, 사용수명이 증대되고, 화장품 흡수가 펌핑차단막에 의해 완벽히 차단되어 사용자 손을 오염시키지 않아 위생적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용상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장용 퍼프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용상태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는 펌핑차단막에 의해 상하로 양분되고, 양분된 상부 및 하부퍼프부재 내에 펌핑차단막에 의한 상부, 하부어어셀의 형성됨에 따라 하부퍼프부재는 화장품이 과도하게 흡수되지 않아 화장품 사용을 절약할 수 있고, 상부퍼프부재는 충격에 대한 완충능력을 향상시켜 사용자 피부로 인가되는 충격완화와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퍼프부재(100), 상부퍼프부재(200), 펌핑차단막(300), 상부, 하부에어셀(400,400')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퍼프부재(100)는 화장품에 직접 접촉되어 화장품을 흡수 또는 묻힌 후, 사용자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고, 접촉과정에서의 충격을 완충하는 것으로, 원형 또는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화장품을 하부면에 묻히거나 흡수시켜 사용자 안면이나 피부에 직접 접촉하며, 토닥거림이나 두드림으로써 화장품을 안면이나 피부에 고르게 도포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퍼프부재(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흡수퍼프(102), 하부완충퍼프(104)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흡수퍼프(102)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접촉흡수퍼프(102)는 루비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루비셀(Rubycell)은 폴리 우레탄이란 합성 수지로 루비셀 퍼프는 퍼프가 먹는(흡수하는) 파운데이션 양이 NBR(Nitile Butadien Rubber;합성고무의 일종) 퍼프에 비해서 적고, NBR 퍼프에 비해서 항균력이 우수하며 위생적이다. 또한, 루비셀은 발림성 및 피부에 접촉되는 밀착력, 화장품의 흡수하여 피부에 발림에 따른 커버력이 우수하다.
상기 하부완충퍼프(104)는 상기 접촉흡수퍼프(100)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흡수퍼프(100)가 사용자 안면이나 피부에 접촉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충격완충을 통해 접촉흡수퍼프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화장품의 비산을 방지하여 고르게 안면이나 피부에 도포되도록 상기 접촉흡수퍼프(102) 상부면에 대응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완충퍼프(104)는 우레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우레탄 스폰지는 탄성회복력이 우수하여 원상복귀능력이 뛰어나고, 이에 따른 접촉흡수퍼프(100)가 변형시 빠르게 원상복귀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장을 하는 과정에서 손으로 두들기는 충격량을 완충하여 피부에 부드럽게 화장이 되도록 완충쿠션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과도한 충격으로 인한 화장품의 비산 즉, 충격에 의해 분말로 형성된 화장품의 경우 공중으로 내지는 고르게 발림되지 않고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완충퍼프(104)의 탄성 회복력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접촉흡수퍼프(102)의 형태를 오랜동안 유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수명 및 화장시 보다 넓은 면적으로 퍼프가 피부에 접촉될 수 있어 화장이 용이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완충퍼프(104)는 우레탄 폼에 의해 다수의 공극이 분포되어 있어 통기성이 우수하고, 공기의 유출입이 자유로워 후술되는 하부에어셀(400')에 공기의 충전 및 배출이 용이하다. 즉, 하부에어셀(400')에 충격이 가하지게 되어 하부에어셀(400')의 면적이 변화되면서 작용되는 펌핑작용을 통해 내부에 충전된 공기가 하부완충퍼프(104)를 통해 접촉흡수퍼프(102)로 배출됨에 따라 피부자극에 대하여 최소한의 자극과 함께 화장품의 흡수를 제한하여 과도한 화장품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퍼프부재(200)는 사용자의 손이 파지하거나 손잡이 밴드가 부착되어 있을 경우 손잡이 밴드에 끼움되어 사용자 손의 외력이 최초 가해지는 부분으로 하부퍼프부재(100)의 충격완충능력을 배가시키거나 하부퍼프부재(100)의 충격완충능력이 저하되더라도 상부퍼프부재(200)의 충격완충능력이 그대로 유지함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용감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완충퍼프(202), 외피층(204)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완충퍼프(202)는 전술한 하부완충퍼프(104)와 상호작용하여 외부 충격을 완충하여 화장용 퍼프의 사용감이 우수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하부완충퍼프(104)의 형상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부완충퍼프(104)와 마주보며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의 둘레를 따라 열접착 또는 초음파접착을 통해 결합되되, 중앙으로 공간을 형성한 에어셀이 형성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셀은 후술되는 펌핑차단막(300)에 의해 상부 및 하부 에어셀(400,400')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완충퍼프(202)는 후술되는 상부 에어셀(400)에 의해 완충능력이 배가되고, 하부퍼프부재(100)의 완충능력이 떨어지더라도 후술되는 펌핑차단막(300)에 의해 분리되어 구획됨에 따라 완충능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부퍼프부재(200)는 상부 에어셀(400)에 공기가 충전되어 있고, 후술되는 펌핑차단막(300)과 외프층(204)에 의해 상부완충퍼프(202)를 감싼 형태를 취하고 있어 마치 내부에 공기가 차있는 고무공과 같이 형태로 외부 충격에 즉각적으로 대응되는 완충능력을 가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외피층(204)은 상기 상부완충퍼프(202)의 상측외면에 열융착되어 결합되고, 사용자가 외피층을 그대로 파지하여 사용하거나 손가락을 걸어 사용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밴드가 결합된 형태로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외피층(204)은 사용자 손에 의해 파지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화장품이 묻어 사용자 손을 오염하지 못하도록 합성피혁 등이 사용된다. 더욱이, 이러한 합성피혁을 사용함에 있어 상당한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하여 보다 세련된 장식적 미감을 상기 외피층을 통해 표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상표 등이 새겨져 광고 및 홍보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외피층(204)은 앞서 상술한 하부퍼프부재(100)의 접촉흡수퍼프(102), 하부완충퍼프(104), 상부퍼프부재(200)의 상부완충퍼프(202)와는 달리 공극이 없는 다소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합성피혁 등이 사용됨에 따라 앞서 언급한 상부 에어셀(400)에 충전된 공기의 배출부분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상부 에어셀(400)이 에어쿠션과 같은 역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이 가능하다.
상기 펌핑차단막(3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퍼프부재(100)와 상부퍼프부재(200) 사이에 위치되어 외연 둘레를 따라 결합되어 후술되는 상부 및 하부 에어셀(400,400')을 형성하여 하부퍼프부재(100)와 상부퍼프부재(200)가 각각 화장품 흡수제한 및 피부자극 최소화와 쿠션기능향상으로 분리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펌핑차단막(300)은 플랙시블하면서 유동적이고, 공기의 투과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기밀성을 유지한 분리격판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펌핑차단막(300)은 기밀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퍼프부재측에서는 스포이드와 같이 공기가 충전된 상태에서 스포이드의 고무헤드 부분을 가압하면 내부에 공기가 배출되는 것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화장품이 접촉흡수퍼프(102)를 통해 하부완충퍼프(104)측으로 유입을 방지하고, 후술되는 하부에어셀(400')에 충전된 공기가 하부완충퍼프(104)를 통해 접촉흡수퍼프(102) 외측으로 배출됨에 따라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면서 화장품의 발림성이 우수하도록 한다.
또한, 상부퍼프부재측에서는 펌핑차단막(300)과 외피층(204)이 상부완충퍼프(202)의 공극과 상부에어셀(400)에 충전된 공기의 배출을 최소로 억제함에 따라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능력이 향상된 쿠션역할을 보다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어 하부퍼프부재와 상부퍼프부재가 개별적 상호작동을 통해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품 사용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 펌핑차단막(300)은 OPP(Oriented poly propylene)비닐, PP(poly propylene)비닐, PE(polyethylene)비닐, HDPE(High density Polytehylene)비닐, LDPE(Low density Polytehylene)비닐, NY(Nylon)비닐, CPP(Cast polypropylene)비닐, PU(Polyurethane)비닐, PVC(Polyvinyl chloride)비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펌핑차단막(300)은 비닐소재로 플랙시블하면서 유동적임과 함께 상부 에어셀과 하부에어셀의 공기의 침투를 완벽히 차단하여 하부퍼프부재(100)로 유입된 화장품이 상부퍼프부재(200)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하여 사용자 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부에어셀(400,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펌핑차단막(300)의 하부퍼프부재(100)와 상부퍼프부재(200)의 둘레를 따라 열접착되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분리격판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부, 하부에어셀(400,400')의 펌핑작용 및 쿠션작용을 동시 수행되게 한다. 즉, 사용자가 상부퍼프부재(200)의 외피층(204)을 가압하면 외력에 대하여 상부완충퍼프(202)가 하향변형되면서 상부에어셀(400)의 면적의 변화가 발생된다. 이후, 상부에어셀(400)의 공기가 충전된 면적이 변화되면 충전된 공기는 펌핑차단막(300)과 외피층(204)에 둘러싸여 배출될 공간이 없어 결국에는 펌핑차단막(300)은 플랙시블하면서 유동적 변형이 가능한 특성상 하부에어셀(400')로 플랙시블하게 변형된다.
다음으로, 펌핑차단막(300)이 변형됨에 따라 하부에어셀(400')의 공기가 충전된 면적이 변화되면서 하부에어셀(400')에 충전된 공기는 하부완충퍼프(104)의 공극 사이를 통과하여 접촉흡수퍼프(102)로 배출됨에 따라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접촉흡수퍼프(102)에 묻혀지는 화장품이 제한적으로 묻게되고, 배출되는 공기가 피부에 불어넣어지는 역할로 인해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면서 화장품을 보다 넓게 펼쳐 바를 수 있어 화장품의 발림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퍼프는 펌핑차단막의 형성에 따른 상부, 하부 에어셀의 구성으로 인해 상부퍼프부재와 하부퍼프부재가 동시상호작용하여 화장품의 과도한 흡수제한과 화장품의 발림성 향상 및 피부자극완화, 외부충격을 완충하여 보다 사용감이 우수한 화장용 퍼프의 제공이 가능한 것은 자명한 것이며, 하부퍼프부재(100)의 화장품이 상부퍼프부재(200)로의 유입이 원천차단되어 사용상 화장품에 대한 오염을 방지하여 보다 청결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 하부퍼프부재 102 : 접촉흡수퍼프
104 : 하부완충퍼프 200 : 상부퍼프부재
202 : 상부완충퍼프 204 : 외피층
300 : 펌핑차단막 400, 400' : 상부, 하부에어셀

Claims (2)

  1. 화장용 퍼프에 있어서,
    원형 또는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되고, 화장품을 하부면에 묻히거나 흡수시켜 사용자 안면이나 피부에 직접 접촉하며, 토닥거림이나 두드림으로써 화장품을 안면이나 피부에 고르게 도포시키도록 접촉흡수퍼프(102)가 형성되고, 상기 접촉흡수퍼프(102)와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흡수퍼프(102)가 사용자 안면이나 피부에 접촉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고, 충격완충을 통해 화장품의 비산을 방지하여 고르게 안면이나 피부에 도포되도록 상기 접촉흡수퍼프(102) 상부면에 하부완충퍼프(104)가 대응결합되는 하부퍼프부재(100)와;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의 하부완충퍼프(104)측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퍼프부재(1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재차 완충하도록 형성되는 상부완충퍼프(202)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완충퍼프(202) 외측 일면에 열융착결합되어 마감하는 외피층(204)이 형성된 상부퍼프부재(200)와;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와 상부퍼프부재(200)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와 상부퍼프부재(200) 사이에 위치되어 둘레를 따라 외주연 둘레가 열접착되며,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와 상부퍼프부재(200)의 변형에 따라 중앙측이 유동되어 펌핑작동되는 펌핑차단막(300)과;
    상기 하부퍼프부재(100)의 하부완충퍼프(104)와 상부퍼프부재(200)의 상부완충퍼프(202)가 서로 마주보며 둘레를 따라 대응결합되어 중심 내부에 에어가 충진되고, 상기 펌핑차단막(300)에 의해 상하부로 구획되며, 상기 펌핑차단막(300)의 유동에 따라 내부 면적이 유동적으로 변동하여 충진된 에어가 상기 상부, 하부완충퍼프(202,104)로 유출입되도록 형성되는 상부,하부에어셀(400,40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차단막(300)은 OPP(Oriented poly propylene)비닐, PP(poly propylene)비닐, PE(polyethylene)비닐, HDPE(High density Polytehylene)비닐, LDPE(Low density Polytehylene)비닐, NY(Nylon)비닐, CPP(Cast polypropylene)비닐, PU(Polyurethane)비닐, PVC(Polyvinyl chloride)비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KR1020160041325A 2016-04-04 2016-04-04 화장용 퍼프 KR101830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325A KR101830119B1 (ko) 2016-04-04 2016-04-04 화장용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325A KR101830119B1 (ko) 2016-04-04 2016-04-04 화장용 퍼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129A KR20170114129A (ko) 2017-10-13
KR101830119B1 true KR101830119B1 (ko) 2018-02-20

Family

ID=6013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325A KR101830119B1 (ko) 2016-04-04 2016-04-04 화장용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01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874B1 (ko) * 2018-01-10 2019-05-15 (주)아모레퍼시픽 두께 조절이 가능한 퍼프
WO2019185161A1 (fr) * 2018-03-29 2019-10-03 L'oreal Article tel qu'une houppette
JP2019208745A (ja) * 2018-06-01 2019-12-12 ジェイエルコンビ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化粧用パフ
KR20200118573A (ko) * 2019-04-08 2020-10-16 주식회사 비라이프 클렌징 패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40584B1 (ko) * 2021-02-25 2021-12-21 주식회사 마스카컴퍼니 화장용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5676A (ja) * 2009-08-28 2011-03-10 Kenji Nakamura 化粧用塗布具
KR101476224B1 (ko) * 2014-10-06 2014-12-26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니트릴 고무를 이용한 크림 화장품용 비흡수성 퍼프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5676A (ja) * 2009-08-28 2011-03-10 Kenji Nakamura 化粧用塗布具
KR101476224B1 (ko) * 2014-10-06 2014-12-26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니트릴 고무를 이용한 크림 화장품용 비흡수성 퍼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129A (ko)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119B1 (ko) 화장용 퍼프
KR101848246B1 (ko) 에어셀이 구비된 화장용 퍼프
ES2727602T3 (es) Artículo impregnado con fibras y red de protección
KR101825681B1 (ko) 화장용 퍼프
KR101385652B1 (ko)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544620B1 (ko) 화장용 퍼프
KR102587332B1 (ko) 비투과층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도포구
US2897526A (en) Nozzle-applicator for shaving lather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JP2017518153A (ja) 非透過性シートを含む化粧料組成物塗布具
KR20160110034A (ko)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화장품 용기의 함침부재
US11470944B2 (en) Elastic microcell surfac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922399B1 (ko) 화장료 함침재
KR102176744B1 (ko) 일회용 교체퍼프를 갖는 실리콘 퍼프
KR102169055B1 (ko)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KR101637147B1 (ko) 2층 구조로 이루어진 화장용 퍼프
KR102531173B1 (ko) 화장용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51280A (ko) 화장용 퍼프
KR101564633B1 (ko) 캡을 이용한 헤어팩
KR101852174B1 (ko) 퍼프 제조 방법
KR20230097579A (ko) 액상 화장용 퍼프
CN208318592U (zh) 粉扑及粉扑盒
KR102399428B1 (ko) 압축부를 가지는 퍼프 구조체
KR20230097583A (ko) 오픈 셀과 클로즈셀로 이루어진 액상 화장용 퍼프
KR101917217B1 (ko) 화장용 퍼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