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9102A -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 Google Patents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9102A
KR20200059102A KR1020180157076A KR20180157076A KR20200059102A KR 20200059102 A KR20200059102 A KR 20200059102A KR 1020180157076 A KR1020180157076 A KR 1020180157076A KR 20180157076 A KR20180157076 A KR 20180157076A KR 20200059102 A KR20200059102 A KR 202000591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charge amount
liquid
amount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7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9055B1 (ko
Inventor
이종칠
Original Assignee
(주)고려퍼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고려퍼프 filed Critical (주)고려퍼프
Publication of KR20200059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공성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 패드에 배출공을 다수로 형성시킨 배출양조절패드와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 흡수부재를 부착 구성하되 상기 흡수부재를 가압하면 액체 상태의 화장료가 갑작스럽게 배출되지 않으면서 중앙부와 사이드부의 위치에 따라서 배출되는 양이 서로 다르게 배출되도록 한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있어서,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하였다가 배출하는 폴리우레탄 발포폼으로 이루어진 흡수부재와; 상기 흡수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며 다공성 발포 폼으로 이루어지고 배출공을 다수로 형성시킨 배출양조절패드와; 상기 흡수부재와 배출양조절패드를 접착하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Liquid cosmetic impregnated member whose discharge amount is controlled}
본 발명은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공성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 패드에 배출공을 다수로 형성시킨 배출양조절패드와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 흡수부재를 부착 구성하되 상기 흡수부재를 가압하면 액체 상태의 화장료가 갑작스럽게 배출되지 않으면서 중앙부와 사이드부의 위치에 따라서 배출되는 양이 서로 다르게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다공성 폼으로 이루어진 패드의 중앙부에 배출량조절부를 형성시키되 상기 배출량조절부에 광고 및 디자인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계면활성제와 같은 유화제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제형의 화장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며 유상원료와 수상원료의 결합구조에 따라 유중수형과 수중유형의 화장료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는 수상원료 외측에 유상원료를 결합시킨 것으로서 유분감이 많아 피부 흡수가 느리고 사용감이 무겁지만 수중유형보다 지속성이 높은 장점이 있어 지속성이 필요한 화장품의 경우 땀이나 물에 대한 내수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중수형 화장료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의 사용감이 무겁고 끈적이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내용물의 점도를 낮추어 제조하였는데 상기 저점도 유중수형 제품은 유통 중 용기 내에서 장기간 보관 시 내상인 수상원료와 외상인 유상원료가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있어 사용자가 용기를 흔들어서 분리된 수상원료와 유상원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액체 상태의 화장료에 현재는 자외선 차단 기능을 포함한 화장품 중 점성의 내용물이 스폰지 등의 흡수체에 흡수되어 제작되는 종류가 있다. 여기서, 흡수체에 대한 내용물의 흡수 정도는 내용물의 점성과 흡수체의 재질과 흡수체의 기공 크기 및 경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는 최종 생산되는 화장품을 소비자가 사용시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의 양이 각각 변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어떤 제품은 흡수체의 투입되는 내용물의 양에 비해 턱없이 적게 사용하게 되고 어떤 제품은 투입되는 내용물의 양을 비교적 많이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양의 내용물이 흡수체에 함침되어 있는 경우 흡수체가 갖는 내용물 조절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반대로 투입되는 내용물의 양 대비 적게 배출하는 흡수제를 쓸 경우엔 소비자 사용량이 적게 되어 소비자 불만을 야기 시킨다. 또한 흡수체에 따라서는 내용물과 반응하여 스웰링(swelling)되어 부피가 팽창하게 되어 용기에 맞지 않아 문제를 일으킨다.
이에 액상의 내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하여 내용물을 함유하는 흡수체의 사용의 범위를 넓혀주고 내용물 반응 등에 의한 변형에도 조절 능력을 갖는 스크린망 구조물이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화장품 사용 시 사용자가 퍼프로 함침부재를 직접 가압하여 내용물을 퍼프에 묻혀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이므로 순간적인 함침부재를 가압함으로 리퀴드화장료가 용기 밖으로 튀어나오는 문제가 있으며 더불어 화장료가 대기중으로 과다하게 노출되었다가 다시 용기 안으로 들어감으로 대기와 접촉한 화장료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액상의 내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대하여 내용물을 함유하는 흡수체의 사용 범주를 넓혀주고 내용물 반응 등에 의한 변형에도 조절능력을 갖는 스크린망을 갖는 구조물이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리하여 종래에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73573호와 같이 스크린망이 함침부재가 수용 저장되는 용기의 상부에 설치하는 구조를 제안한바 있으나 상기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73573호의 스크린망은 용기의 외부에 설치됨으로 인해 함침부재와 과다하게 이격되어 있어 사용자가 함침부재에 함침되어 있는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 가압할 때 스크링망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이격거리가 과다하여 일정량 사용 후 함침부재의 하단부에 화장료가 충입되어 있을 때 스크린망에 의해 가압에 방해를 받아 퍼프로 함침부재를 가압하는 힘이 전달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함침부재를 용기에서 꺼내 반대로 뒤집어 다시 용기에 집어 넣고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화장료가 함침된 함침부재를 용기 밖으로 꺼내야 하는 문제와 함침부재를 용기 밖으로 꺼내기 위해 손으로 만져야 하는 문제 등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보안하고자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침부재와 별도로 독립된 상태의 스트린망을 적층시켜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P)로 함침부재(400)을 가압시 스크린망(600)도 같이 가압되는데 이때 스크린망(600)의 끝단부가 안쪽으로 밀려 들어오면서 스크린망(600)을 잡고 있는 용기본체(100)에 결합되어 있던 프레임(500)과의 사이에서 밖으로 빠져나오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함침부재(400)을 가압하고 있던 퍼프(P)를 사용자 쪽으로 쓸어 당김으로 스크린망(600)이 함께 당겨져 찢어지거나 변형되는 문제와 상기 스크린망(600)의 통공들이 표면장력에 의해 일시적으로 막혀 배출이 않되 다가 가압하는 힘이 강할 때 갑자기 화장료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튀어 배출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103646호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73573호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양조절패드와 흡수부재를 부착 구성하되 상기 흡수부재를 가압하면 액체 상태의 화장료가 갑작스럽게 배출되지 않으면서 일정한 용량만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따라서 화장료가 대기중으로 과다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장료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하며 또한 배출양조절패드에 있어서 직접 가압하는 중앙부는 가압이 되지 않은 사이드부보다 배출량이 적게 배출되도록 하여 퍼프의 옆 또는 사용자의 손에 화장료가 묻지 않도록 액상의 화장료 배출 속도를 조절하도록 한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다공성 폼으로 이루어진 패드의 중앙부에 배출량조절부를 형성시키되 상기 배출량조절부에 광고 및 디자인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하였다가 배출하는 폴리우레탄 발포폼으로 이루어진 흡수부재와; 상기 흡수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며 다공성 발포 폼으로 이루어지고 배출공을 다수로 형성시킨 배출양조절패드와; 상기 흡수부재와 배출양조절패드를 접착하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배출양조절패드는 다공성의 발포폼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화장료가 사이드 보다 적게 배출되는 배출량조절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배출량조절부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배출공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을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배출량조절부에 광고 및 디자인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배출공이 요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배출량조절부에 요홈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구조로는 다공성의 발포폼재로 이루어지고 평면 형태이면서 흡수체에 부착되는 테두리부와 화장료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배출양조절패드와; 상기 흡수체와 배출양조절패드를 접착하면서 흡수체와 배출양조절패드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 기능도 갖는 스페이스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테두리부의 두께가 망상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배출공이 중심쪽 방향으로 향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되거나 반대로 외측방향으로 향하여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배출양조절패드과 흡수체를 부착 구성하되 상기 배출양조절패드와 흡수부재를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접착시키고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 흡수부재를 가압하면 액체 상태의 화장료가 갑작스럽게 배출되지 않으면서 일정한 용량만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함과 따라서 화장료가 대기 중으로 과다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장료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하며 또한 배출양조절패드의 직접 가압하는 중앙부는 가압이 되지 않은 사이드부보다 배출량이 많아 퍼프의 옆 또는 사용자의 손에 화장료가 묻지 않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다공성 폼으로 이루어진 패드의 중앙부에 배출량조절부를 형성시키되 상기 배출량조절부에 광고 및 디자인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와 스크린망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사진.
도 2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 요점인 배출양조절패드의 다른 실시예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사진.
도 5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사진.
도 5b는 도 5a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사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이에 따른 본 발명의 함침부재(1)는 액체 형태의 화장료를 흡수하였다가 배출하는 폴리우레탄 발포폼으로 이루어진 흡수부재(10)와 상기 흡수부재(10)의 상부에 적층되며 평면 형태이면서 흡수부재(10)에 접착부재(40)에 의해 부착되는 배출양조절패드(2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흡수부재(10)와, 배출양조절패드(20)는 폴리에틸렌폼, 폴리프로필렌폼, 폴리에스터폼, 폴리에테르폼,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ural Rubber),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및 PVA(PolyVinyl Alcohol)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배출양조절패드(20)의 제조는 발포폼을 제조하여 얇은 두께를 갖도록 절단 가공한 후 레이져 가공을 통해 배출공(21)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배출양조절패드(20)는 그물망 형태의 3차원적인 오픈셀 즉, 다공성 조직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양조절패드(20)는 다공성의 발포폼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화장료가 사이드 보다 적게 배출되는 배출량조절부(22)를 형성시키고 상기 배출량조절부(22)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배출공(21)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접착부재(40)는 핫멜트, 수성접착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성재질로 이루어진 배출량조절부(22)를 광고 및 디자인 등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미감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배출량조절부(22)로도 화장료가 용출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공(21)이 요홈(25)으로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에서와 같이 배출공(21)을 요홈(25)으로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하면 배출 속도와 양을 느리고 적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며 가압력을 분산시켜 흡수부재(10)와 배출양조절패드(20)에 전달되는 가압력이 갑자기 한곳에 집중적으로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수부재(10)는 오픈셀 구조이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밀도로 이루어진 발포체를 사용하지만 흡수부재(10)의 중앙부는 셀 수가 낮아 밀도가 낮고(PPI가 낮음) 측면쪽으로는 셀 수가 높아 밀도가 조밀하게(PPI가 높음)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사용자가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피부에 찍어 바르고자 할 때 흡수체를 일시적으로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흡수부재(10)에 저장되어 있는 화장료가 중앙으로 몰려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배출량조절부(22)에 요홈(21a)을 더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량조절부(22)에 형성된 요홈(21a)은 화장료의 배출양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의 다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사진이고 도 5b는 도 5a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1a)는 다공성의 발포폼재로 이루어지고 평면 형태이면서 흡수부재(10)에 부착되는 테두리부(31)와 화장료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3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배출양조절패드(30)와 상기 흡수부재(10)와 배출양조절패드(30)를 접착하면서 흡수부재(10)와 배출양조절패드(30) 사이에 공간부(50)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 기능도 갖는 접착부재(40)로 이루어진 구조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익을 도모하기 위해 상기 테두리부(31)의 두께가 배출공(32)의 두께보다 두껍게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테두리부(31)의 두께가 배출공(32)의 두께보다 두껍게 하면 상기 배출양조절패드(30)와 흡수부재(10) 사이에 공간부(50)가 형성되고 화장료를 사용하기 위해 함침부재(1a)를 가압하면 액체 상태의 화장료가 갑작스럽게 배출되지 않고 순간적으로 공간부(50)에 채워지게 되며 이때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화장료가 배출양조절패드(3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배출양조절패드(30)을 통과하는 과정은 테두리부(31) 쪽으로는 투과하지 못하여 테두리부(31)의 안쪽으로 배출되며 배출양조절패드(30)의 배출공(32)에 표면장력이 발생되어 화장료가 순간적으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따라서 화장료가 대기 중으로 과다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화장료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한다.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가압되어 사용되는 배출양조절패드(30)의 중앙부는 사이드부 보다 배출량이 많아 퍼프의 옆 또는 사용자의 손에 화장료가 묻지 않도록 배출양조절패드(30) 중앙부와 사이드부의 위치에 따라서 배출되는 양이 서로 다르게 배출되도록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배출공(21)(32)이 중심쪽 방향으로 향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되거나 반대로 외측방향으로 향하여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부(31)가 부착되는 함침부재(1)에는 테두리부(31)를 부착하기 위해 가열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가열온도가 흡수부재(10)에 전달되어 흡수부재(10)가 변형을 일으켜 가열 가압에 의해 밀도가 조밀해지는 조밀부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조밀부착부(11)는 접착부재(40)의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호커버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흡수부재(10)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료가 중앙 쪽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 일면을 폐쇄하는 기능도 갖게 된다. 상기 접착부재(40)는 접착 기능과 간격유지 기능을 갖는 것으로 필름 형태 또는 액상으로 이루어진 것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핫멜트 또는 수용성 접착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공성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 패드에 배출공을 다수로 형성시킨 배출양조절패드와 발포 폼으로 이루어진 흡수부재를 부착 구성하되 상기 흡수부재를 가압하면 액체 상태의 화장료가 갑작스럽게 배출되지 않으면서 중앙부와 사이드부의 위치에 따라서 배출되는 양이 서로 다르게 배출되도록 함과 아울러 다공성 폼으로 이루어진 패드의 중앙부에 배출량조절부를 형성시키되 상기 배출량조절부에 광고 및 디자인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이점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 : 함침부재 10 : 흡수부재
11 : 조밀부착부 20 : 배출양조절패드
21 : 배출공 22 : 배출량조절부
25 : 요홈 30 : 배출양조절패드
31 : 테두리부 32 : 배출공
40 : 접착부재 50 : 공간부

Claims (8)

  1.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있어서,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있어서, 화장료를 흡수하였다가 배출하는 폴리우레탄 발포폼으로 이루어진 흡수부재와; 상기 흡수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며 다공성 발포 폼으로 이루어지고 배출공을 다수로 형성시킨 배출양조절패드와; 상기 흡수부재와 배출양조절패드를 접착하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양조절패드는 다공성의 발포폼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화장료가 사이드 보다 적게 배출되는 배출량조절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배출량조절부를 중심으로 동심원상에 배출공을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조절부에 광고 및 디자인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이 요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조절부에 요홈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6.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에 있어서,
    다공성의 발포폼재로 이루어지고 평면 형태이면서 흡수부재에 부착되는 테두리부와 화장료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배출양조절패드와; 상기 흡수체와 배출양조절패드를 접착하면서 흡수체와 배출양조절패드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간격유지 기능도 갖는 스페이스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두께가 망상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8. 제 1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이 중심쪽 방향으로 향하여 지름이 작게 형성되거나 반대로 외측방향으로 향하여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을 하는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KR1020180157076A 2018-11-20 2018-12-07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KR102169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43290 2018-11-20
KR1020180143290 2018-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102A true KR20200059102A (ko) 2020-05-28
KR102169055B1 KR102169055B1 (ko) 2020-10-23

Family

ID=7091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7076A KR102169055B1 (ko) 2018-11-20 2018-12-07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0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34114A (ja) * 2020-08-18 2022-03-03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用保護シート
EP4124258A1 (en) * 2021-07-26 2023-02-01 L'oreal Device for packaging a cosmetic composi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646A (ko) 2012-04-13 2015-09-11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0034A (ko) * 2015-03-09 2016-09-21 노예우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화장품 용기의 함침부재
JP2018102850A (ja) * 2016-12-28 2018-07-05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容器
KR20180091127A (ko) * 2017-01-17 2018-08-16 (주)에스디생명공학 화장료 함침재
KR20180098202A (ko) * 2018-08-23 2018-09-03 (주)아모레퍼시픽 레이저 가공에 의해 표면에 음각이 형성된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3646A (ko) 2012-04-13 2015-09-11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0034A (ko) * 2015-03-09 2016-09-21 노예우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화장품 용기의 함침부재
JP2018102850A (ja) * 2016-12-28 2018-07-05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容器
KR20180091127A (ko) * 2017-01-17 2018-08-16 (주)에스디생명공학 화장료 함침재
KR20180098202A (ko) * 2018-08-23 2018-09-03 (주)아모레퍼시픽 레이저 가공에 의해 표면에 음각이 형성된 함침부재를 갖는 화장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34114A (ja) * 2020-08-18 2022-03-03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用保護シート
EP4124258A1 (en) * 2021-07-26 2023-02-01 L'oreal Device for packaging a cosmetic composition
WO2023006589A1 (en) * 2021-07-26 2023-02-02 L'oreal Device for packaging a cosmetic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055B1 (ko)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8272A (ko) 스크린망을 포함하는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147462A1 (en) Impregnated cosmetic article with fibers and screen net
US20060147250A1 (en) Hand applicator of encapsulated liquids
CN109788834B (zh) 用于化妆品的包装和分配组件
EP2471407B1 (en) Makeup applicator
KR101825681B1 (ko) 화장용 퍼프
JP2018537260A (ja) メンブレインフィルムを用いた化粧用パフの製作方法、及びこ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化粧用パフ
KR20200059102A (ko) 배출양이 조절되는 리퀴드화장용 함침부재
KR101886141B1 (ko) 별도의 다른 화장료를 담지한 화장품
KR20160110034A (ko)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화장품 용기의 함침부재
CN107750135A (zh) 内容物传递力提高的涂抹工具
KR200475962Y1 (ko) 겔상 파운데이션 담지체를 갖는 화장품용기
US20020067949A1 (en) Dispenser for personal use products
JPH061059Y2 (ja) 化粧用パフ
KR102508249B1 (ko) 도포구의 위생성이 향상된 화장용구
KR101566473B1 (ko) 화장료 조성물 담체
JP3173322U (ja) 粉体化粧料用リフィル容器
CN111246769A (zh) 化妆料色相体现得到改善的载持体
CN110868887A (zh) 化妆品的替换用套装
KR20180037680A (ko) 배출홀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