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174B1 - 퍼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퍼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174B1
KR101852174B1 KR1020170020050A KR20170020050A KR101852174B1 KR 101852174 B1 KR101852174 B1 KR 101852174B1 KR 1020170020050 A KR1020170020050 A KR 1020170020050A KR 20170020050 A KR20170020050 A KR 20170020050A KR 101852174 B1 KR101852174 B1 KR 101852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ver
press
puff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구헌
Original Assignee
(주)삼본퍼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본퍼프 filed Critical (주)삼본퍼프
Priority to KR1020170020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32B38/004Heat treatment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layers, e.g. by the use of heated platens or 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퍼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퍼프 제조 방법은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소재의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동일 평면상에 이웃하게 배치하는 배치 단계 및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퍼프 제조 방법 {METHOD FOR PRODUCING PUFF}
본 발명은 퍼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퍼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대표적인 도구로 퍼프가 있다.
퍼프의 소재는 주로 화장품의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가루형 화장품을 바를 때에는 퍼프의 표면에 가루가 잘 묻을 수 있는, 또한 얼굴의 한 부위에 그 가루가 뭉치지 않게 균일하게 펼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반면 액상 화장품을 바를 때에는 퍼프가 그 액을 적절히 흡수할 수 있되, 지나치게 많이 흡수함으로써 화장품이 과도하게 소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다.
또는 화장품의 용도에 따라 선택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마나 볼 등 비교적 넓은 부위에 빠르고 효과적으로 도포할 수 있는 소재, 눈이나 입 주변 등 민감한 부위에 부드럽게 도포할 수 있는 소재, 코나 광대 등 굴곡진 부위에 골고루 도포할 수 있는 소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은 편의상 하나의 퍼프만 소지하고 다니는 경우가 빈번하고, 화장품 용기 또한 하나의 퍼프만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매번 각각의 제형이나 용도를 구분하여 사용하기는 어려운 현실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양한 제형이나 용도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퍼프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퍼프 제조 방법은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소재의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동일 평면상에 이웃하게 배치하는 배치 단계 및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합한 영역에 상응하는 형상의 커버를 준비하는 과정 및 상기 커버를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에 각각 결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합한 영역에 상응하는 형상의 커버를 준비하는 과정, 상기 커버를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위에 적층하는 과정 및 상기 커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가열된 제1 프레스를 상기 커버 위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커버를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에 각각 열접착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 가열된 제2 프레스를 상기 커버 위로 압박함으로써 열접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프레스에 의해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제1 프레스에 의해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힘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프레스와 상기 제2 프레스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2 프레스 중 상기 커버에 닿게 되는 끝단은 상기 제1 프레스 중 상기 커버에 닿게 되는 끝단보다 상기 커버를 향해 더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방수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퍼프 제조 방법은 서로 다른 소재의 시트를 이웃하게 배치하여 형성함으로써 각 시트를 서로 다른 제형이나 용도에 대해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트 위에 방수성 소재의 커버를 적층하여 형성함으로써 액상 화장품에 대해 사용할 경우 그 화장품이 반대편으로 스며 나와 사용자의 손에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퍼프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또한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프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개요도로서, 이해의 편의상 도 3 내지 5는 그 단면으로 나타내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퍼프(P)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퍼프 제조 방법은 시트 준비 단계(S10), 시트 배치 단계(S20) 및 시트 고정 단계(S30)를 포함한다.
먼저 시트 준비 단계(S1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를 각각 준비한다.
여기서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는 화장품의 제형이나 용도에 따라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니트릴부타디엔고무(Nitrile Butadiene Rubber, NBR), 스티렌부타디엔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 천연고무(Natural Rubber, NR), 플로킹(Flocking), 루비셀(Bubycell), 면벨루어(Cotton velour),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는 서로 다른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제1 시트(110)는 가루형 화장품을 도포하기에 더 적합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제2 시트(120)는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에 더 적합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 모두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기에 적합한 소재로 이루어지되, 제1 시트(110)는 이마나 볼 등 비교적 넓은 부위에 도포하기에 더 유리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제2 시트(120)는 코나 광대 등 굴곡진 부위에 도포하기에 더 유리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가 서로 대칭적인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가 삼각형이나 사각형 또는 그밖에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시트 배치 단계(S20)에서는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를 동일 평면상에 이웃하게 배치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200)를 활용할 수 있다. 몰드(200)는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를 합한 영역에 상응하는 공간을 정의하는 틀로서, 그 공간 안에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를 맞추어 함께 넣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를 매 공정마다 일정한 형태로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후속 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그 형태가 부적절하게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트 고정 단계(S30)에서는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를 서로 고정한다. 이때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는 서로 직접적으로 접착됨으로써 고정될 수도 있고, 커버(300)를 통해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시트 고정 단계(S30)는 커버 준비 과정(S31), 커버 적층 과정(S32) 및 시트와 커버 접착 과정(S3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준비 과정(S31)에서는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를 합한 영역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300)를 준비한다. 만약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면 커버(300)는 이들을 합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300)는 방수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커버(300)는 인조 가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적층 과정(S32)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 위에 커버(300)를 적층한다. 이에 커버(300) 중 일부는 제1 시트(110) 위에 위치하게 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시트(120) 위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커버 준비 과정(S31)이 반드시 시트 배치 단계(S20)와 커버 적층 과정(S32) 사이에 수행되어야 할 필연성은 없다. 커버 준비 과정(S31)은 단지 커버 적층 과정(S32) 이전에 수행되어 있기만 하면 된다. 예컨대 시트 준비 단계(S10) 이후에 커버 준비 과정(S31)이 수행될 수도 있다.
시트와 커버 접착 과정(S33)에서는 커버(300)를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에 각각 접착한다. 이로써 제1 커버(300)와 제2 커버(300)가 커버(300)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된 프레스를 활용하여 커버(300)를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에 각각 열접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프레스(410)가 커버(3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프레스(410)를 가열한 후 도 5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커버(300) 측으로부터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 측으로 커버(300) 위를 압박함으로써 그 열과 압력에 의해 커버(300)중 둘레에 해당하는 영역이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에 각각 열접착된다.
또한 제2 프레스(420)가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프레스(420)를 가열한 후 마찬가지로 커버(300) 측으로부터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 측으로 커버(300) 위를 압박함으로써 그 열과 압력에 의해 커버(300) 중 상기 경계선에 해당하는 영역이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에 열접착된다.
이때 제1 프레스(410)보다 제2 프레스(420)를 더 세게 압박할 수 있다. 즉 제1 프레스(410)에 의해 커버(300)에 가해지는 힘보다 제2 프레스(420)에 의해 커버(300)에 가해지는 힘이 더 클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커버(300) 중 상기 경계선에 해당하는 영역이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에 각각 열접착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 중 상기 경계선에 해당하는 영역도 서로 열접착될 수 있다. 즉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가 서로 직접적으로 열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 간의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그 사용감도 개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프레스(410)와 제2 프레스(420)가 일체로 형성되되, 제1 프레스(410) 중 커버(300)에 닿게 되는 끝단(411)보다 제2 프레스(420) 중 커버(300)에 닿게 되는 끝단(421)이 커버(300) 측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프레스(410)와 제2 프레스(420)가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더라도 커버(300) 및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는 제1 프레스(410)보다 제2 프레스(420)에 의해 더 많이 압축된다. 따라서 제1 프레스(410)에 의해 커버(300)에 가해지는 힘보다 제2 프레스(420)에 의해 커버(300)에 가해지는 힘이 더 커지게 된다.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P)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소재의 제1 시트(110)와 제2 시트(120)를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앞서 예로 든 경우와 같이 제1 시트(110)로는 가루형 화장품을 도포하고, 제2 시트(120)로는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는 등 하나의 퍼프(P)로 다양한 제형이나 용도에 대해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고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P)는 방수성 소재의 커버(300)를 구비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시트(120)로 액상 화장품을 도포하더라도 그 화장품이 반대편으로 스며 나와 사용자의 손에 묻게 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필요에 따라서는 커버(300) 위에 파지용 리본을 더 부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소재의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준비하는 준비 단계,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동일 평면상에 이웃하게 배치하는 배치 단계 및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합한 영역에 상응하는 형상의 커버를 준비하는 과정,
    상기 커버를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 위에 적층하는 과정 및
    상기 커버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가열된 제1 프레스 및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의 경계선을 따라 형성되어 가열된 제2 프레스를 상기 커버 위로 압박함으로써 상기 커버를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에 열접착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레스에 의해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제1 프레스에 의해 상기 커버에 가해지는 힘보다 더 큰 퍼프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스와 상기 제2 프레스는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제2 프레스 중 상기 커버에 닿게 되는 끝단은 상기 제1 프레스 중 상기 커버에 닿게 되는 끝단보다 상기 커버를 향해 더 돌출되는 퍼프 제조 방법.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방수성 소재로 형성되는 퍼프 제조 방법.
KR1020170020050A 2017-02-14 2017-02-14 퍼프 제조 방법 KR101852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050A KR101852174B1 (ko) 2017-02-14 2017-02-14 퍼프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050A KR101852174B1 (ko) 2017-02-14 2017-02-14 퍼프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174B1 true KR101852174B1 (ko) 2018-04-25

Family

ID=6208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050A KR101852174B1 (ko) 2017-02-14 2017-02-14 퍼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1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973B1 (ko) * 2018-12-12 2020-01-22 도승인 하이브리드 퍼프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333Y1 (ko) * 2001-10-10 2002-04-03 (주)삼본퍼프 화장용 양면 퍼프
KR101448715B1 (ko) * 2013-10-24 2014-10-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333Y1 (ko) * 2001-10-10 2002-04-03 (주)삼본퍼프 화장용 양면 퍼프
KR101448715B1 (ko) * 2013-10-24 2014-10-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973B1 (ko) * 2018-12-12 2020-01-22 도승인 하이브리드 퍼프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916B1 (ko) 탈부착형 네일 데코레이션 부재의 제조방법
KR101733418B1 (ko) 화장용 실리콘 퍼프의 제조방법
KR101406292B1 (ko)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825681B1 (ko) 화장용 퍼프
CN104905526B (zh) 液态硅胶保护套及其制作方法
KR101830119B1 (ko) 화장용 퍼프
KR101852174B1 (ko) 퍼프 제조 방법
CN111182814B (zh) 弹性微孔表面结构及其制造方法
JP5549500B2 (ja) 美顔パック用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54292B1 (ko) 화장용 퍼프
KR102430854B1 (ko) 돌출부를 포함하는 화장도구와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010745B1 (ko) 화장용 퍼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31173B1 (ko) 화장용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882789B (zh) 保持变形形状的化妆工具及其制造方法
CN108698366B (zh) 传递性上升的化妆工具
KR102192132B1 (ko) 일부 표면에 필름이 부착된 입체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602301B (zh) 吸收性与传递性得到调节的化妆工具
JP2005177163A (ja) 化粧用パフ
KR20190051280A (ko) 화장용 퍼프
JP2001128730A (ja) 化粧用塗布具
KR102455555B1 (ko) 더블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223894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스킨패드 제조방법 및 스킨패드
KR20180097266A (ko) 퍼프 제조 방법
KR20180128684A (ko) 퍼프 제조 장치, 이를 이용한 퍼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
KR102166316B1 (ko) 변형 가능한 화장용 퍼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