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517B1 -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517B1
KR101946517B1 KR1020170012478A KR20170012478A KR101946517B1 KR 101946517 B1 KR101946517 B1 KR 101946517B1 KR 1020170012478 A KR1020170012478 A KR 1020170012478A KR 20170012478 A KR20170012478 A KR 20170012478A KR 101946517 B1 KR101946517 B1 KR 10194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arrier
cosmetics
present
lamin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999A (ko
Inventor
고성봉
Original Assignee
(주)한라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라케미칼 filed Critical (주)한라케미칼
Priority to KR1020170012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51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7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7/00Sachet pad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64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6Open cell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0Fillers, e.g. particles, powders, beads, flakes, spheres,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at least two layers being foamed and next to each other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이 잘 충진되며, 화장료 조성물을 장기간 균질하게 담지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을 취할 때 적당량의 화장료 조성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화장료 조성물을 담은 후에도 뛰어난 내구성을 유지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체에 관한 것인 바, 본 발명은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발포되어 그물망 형태의 오픈셀 구조로 이루어진 적층물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COSMETIC COMPOSITION CONTAINER HAVING MUTI-LAYERED}
본 발명은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이 잘 충진되며, 화장료 조성물을 장기간 균질하게 담지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을 취할 때 적당량의 화장료 조성물이 배출됨과 동시에, 화장료 조성물을 담은 후에도 뛰어난 내구성을 유지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자신의 얼굴이 화사하면서 아름답게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화장품을 사용한다. 이러한 화장품은 그 기능에 따라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화장품, 모발용 화장품, 향수, 약용 화장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화장품은 그 상태에 따라 크림, 분말, 액체 등으로도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상태에 따라 적당한 용기에 보관된다.
특히, 메이크업 베이스로 사용되는 파운데이션과 같은 경우의 화장품은, 색조 분말원료에 고착제(binder), 유화제(emulsifier)와 같은 성분을 혼합하여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냉각시켜 그 내용물을 케이스에 담아 완제품으로 출시하게 된다.
이러한, 파운데이션은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얼굴 내지 노출된 피부)에 뭉침 없이 골고루 펴 발라져야 한다. 아울러 사용시 사용감을 감성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터치화장을 하게 되는데 이때 필요한 것이 화장용 퍼프(puff)이다.
상기와 같은 화장용 퍼프는 면, 스펀지, 발포고무,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아크릴 또는 아세테이트 등과 같은 탄력성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패드로 제조되며 화장품 용기와 함께 수납된다.
이와 함께, 패드에 직접 파운데이션을 함침 시키므로 파운데이션을 담을 별도의 용기가 필요 없는 흡식 패드와 햇빛의 자외선을 차단하는 선크림 등도 패드에 직접 저점도의 썬 크림을 함침 시키므로 썬 크림을 담을 별도의 용기가 필요 없는 흡식 패드도 있다.
종래의 흡식 패드는 그 내부가 다공성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선크림,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비비크림(이하 "액체형 화장품"이라 칭함)등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흡식 패드는 패드에 액체형 화장품을 함침시키기 위해서 액상의 화장품이 담겨진 용기에 패드를 침전시켜 그 내부에 액상의 화장품이 자연스럽게 함침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액상의 화장품을 패드에 자연스럽게 함침 시킬 경우 패드에 액상의 화장품이 흡수되기까지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패드를 액상 화장품이 담겨진 용기에 침전시키면 화장품과 접촉하는 패드의 표면에는 충분한 양의 화장품이 스며들지만 두께가 두꺼워 내부까지는 흡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충진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65982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서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액체 상태의 화장품을 살포함으로 패드에 화장품이 스며들게 하였으나 상부 쪽 패드의 표면에는 짧은 시간에 흡수 및 흡착이 이루어지지만 패드의 내부와 아래쪽에는 화장품의 흡수 및 흡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충진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4732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에 발포되어 이루어진 패드를 넣고 상기 패드를 노즐로 가압한 후 상기 패드를 가압한 상태에서 패드를 가압하고 있는 노즐을 서서히 상부로 이동
시키면서 액체 상태의 화장액을 노즐을 통해 공급하는 충진방법이다. 그러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47328호의 충진방법은 패드의 두께가 두꺼워 화장품이 내부까지는 흡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4732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65982호.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우레탄 발포폼을 적층하여 층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시 화장료가 과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두께가 얇아 화장료의 흡수가 용이하여 화장료 충진 작업이 편리하고 화장료 충진율이 증대되며 일정기간 사용 후 적층된 담체의 자리바꿈을 하여 흡수된 화장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발포되어 그물망 형태의 오픈셀 구조로 이루어진 적층물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가 혼합되어 그물망 형태의 오픈셀 구조로 이루어진 적층물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적층물부재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의 면 또는 접촉면 모두에 공간을 형성하는 볼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적층물부재 중 상부에 적층된 적층물부재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지름을 갖는 모세통공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공간에 충진재를 더 설치하여 화장료를 흡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충진재는 볼화이버, 벤토나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다른 본 발명의 구조로는 화장료 담체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발포되어 그물망 형태의 오픈셀 구조이며 내측에 공간을 형성한 주머니 형태의 외측부재와; 상기 외측부재의 내측으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발포되어 그물망 형태의 오픈셀 구조인 내측적층물부재가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는 2개 이상의 우레탄 발포폼을 적층하여 층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시 화장료가 과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두께가 얇아 화장료의 흡수가 용이하여 화장료 충진 작업이 편리하고 화장료 충진율이 증대되며 일정기간 사용 후 적층된 담체의 자리바꿈을 하여 흡수된 화장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용 담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용 담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용 담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일반적인 담체를 오랜 기간 사용하였을 때의 표면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화장용 담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이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발포되어 그물망 형태의 오픈셀 구조로 이루어진 적층물부재(10)(20)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재질로 발포하되 그물망 형태의 오픈셀 구조로 발포된 적층물부재(10)(20)를 수직방향으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에테르계 발포폼은 수분에는 강하나 유분에는 약하기 때문에 부식이 발생되어 유지저항성이 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에스테르계 발포폼은 유분에는 강하나 수분에는 약하기 때문에 부식이 발생되어 수분저항성이 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오랜 시간 동안 담체를 사용하게 되면 부스러지는 문제점으로 인해 기능이 상실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보안하고자 에스테르계 발포폼과 에테르계 발포폼을 적층시켜 사용하다가 반대로 사용자가 위치를 바꾸어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첨부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료를 퍼프에 묻히기 위해 담체의 최상부의 표면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중앙부분이 빈번한 가압 사용으로 눌려져 변형이 일어나 배출 성능이 떨어짐과 변색이 일어나 미관상 좋지 않지만 이때 상부에 적층된 적층물부재 만 뒤집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항상 새로움과 깨끗함을 제공 받을 수 있다.
한편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물부재(10)(20)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의 면 또는 접촉면 모두에 공간(11)(2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간(11)(21)은 화장료 충진시 체적변화에 의해 가압되어 있던 공간(11)(21)으로 빠르게 흡수되어 담지능이 향상되고 흡수된 화장료를 저장하는 저장공간의 효과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담체(1)에 흡수되어 있던 화장료를 사용하고자 담체(1)를 퍼프로 가압하였을 때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공간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내부에 공간(11)(21)을 형성하고 있어 유연성 및 탄력성이 우수하며, 액상화장료를 충진하는 충진능이 우수하고, 액상 화장료를 장기간 균질하게 담는 담지능이 뛰어나고, 액상 화장료를 취할 때, 적당량의 액상 화장료가 배출되는 배출능이 높으며, 액상 화장료를 담지 후에도 우수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층물부재(10)(20) 중 상부에 적층된 적층물부재(10)(20)에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지름을 갖는 모세통공(30)을 더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세통공은 눌려지는 담체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완화 역할을 수행하고 화장료 배출시 하부에 위치한 화장료를 신속히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로 역할을 한다. 도면상에는 상부의 적층물부재(10)에 모세통공(30)을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적층물부재(20)에도 모세통공(30)을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11)(21)에 충진재(40)를 더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충진재(40)는 볼화이버, 벤토나이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재(40)로 사용되는 볼화이버, 벤토나이트 등은 흡수율이 좋고 또한 자신들이 흡수한 화장료를 배출도 할 수 있기 때문에 담체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완화 역할을 수행하고 화장료 담지능 및 배출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발포되어 그물망 형태의 오픈셀 구조이며 내측에 공간을 형성한 주머니 형태의 외측부재(60)와 상기 외측부재(60)의 내측으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발포되어 그물망 형태의 오픈셀 구조인 내측적층물부재(70)가 삽입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외측부재(60)의 변형 및 변색이 발생되면 상기한 외측부재(60)를 뒤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편리성이 있으며 상기 내측적층물부재(70)를 1개 또는 2개 이상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물부재(10)(20) 를 1~5mm 두께로 슬라이스화 하여 다수개를 적층한 구조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일정한 시간 사용 후 낱장으로 한 장씩 버릴 수 있어 깨끗함을 유지하여 다른 사람이 잠깐 사용할 때 또한 낱장으로 한장씩 버릴 수 있어 청결히 사용할 수 있으며 흡수되는 얇게 형성되어 슬라이스화된 적층물부재(10)(20)의 틈새 사이 사이에 점도를 갖는 화장료에 의해 고정되는 효과가 있어 흐트러지지 않고 적층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는 2개 이상의 우레탄 발포폼을 적층하여 층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시 화장료가 과다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두께가 얇아 화장료의 흡수가 용이하여 화장료 충진 작업이 편리하고 화장료 충진율이 증대되며 일정기간 사용 후 적층된 담체의 자리바꿈을 하여 흡수된 화장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10, 20 : 적층물부재 11, 21 : 공간
30 : 모세통공 40 : 충진재
60 : 외측부재 70 : 내측적층물부재

Claims (7)

  1.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발포되어 그물망 형태의 오픈셀 구조로 이루어진 적층물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적층물부재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의 면 또는 접촉면 모두에 공간을 형성하는 볼록부를 구비한 것이고,
    상기 공간에 충진재를 더 설치하여 화장료를 흡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
  2.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재질로 발포되어 그물망 형태의 오픈셀 구조로 이루어진 적층물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적층물부재의 접촉면 중 어느 하나의 면 또는 접촉면 모두에 공간을 형성하는 볼록부를 구비한 것이고,
    상기 공간에 충진재를 더 설치하여 화장료를 흡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부재 중 상부에 적층된 적층물부재에는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지름을 갖는 모세통공이 더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는 볼화이버, 벤토나이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
  7. 삭제
KR1020170012478A 2017-01-26 2017-01-26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 KR10194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478A KR101946517B1 (ko) 2017-01-26 2017-01-26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478A KR101946517B1 (ko) 2017-01-26 2017-01-26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999A KR20180087999A (ko) 2018-08-03
KR101946517B1 true KR101946517B1 (ko) 2019-02-11

Family

ID=6325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478A KR101946517B1 (ko) 2017-01-26 2017-01-26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51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640A (ja) * 2004-07-22 2006-02-09 Dainippon Printing Co Ltd 薬剤含有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064207B2 (ja) * 2006-03-15 2012-10-31 株式会社 資生堂 美容用具
KR101476314B1 (ko) * 2013-08-16 2014-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함침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
KR200476594Y1 (ko) * 2013-11-29 2015-03-16 (주)아모레퍼시픽 중앙집중 토출형 담지 스펀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JP2016032486A (ja) * 2014-07-30 2016-03-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化粧パッ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051B1 (ko) 2012-05-09 2014-01-27 (주)아모레퍼시픽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533951B1 (ko) 2013-10-24 2015-07-06 (주)스피어테크 팩트형 화장품의 액체 화장액 충진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6640A (ja) * 2004-07-22 2006-02-09 Dainippon Printing Co Ltd 薬剤含有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064207B2 (ja) * 2006-03-15 2012-10-31 株式会社 資生堂 美容用具
KR101476314B1 (ko) * 2013-08-16 2014-12-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료 함침재를 포함한 화장품 용기
KR200476594Y1 (ko) * 2013-11-29 2015-03-16 (주)아모레퍼시픽 중앙집중 토출형 담지 스펀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JP2016032486A (ja) * 2014-07-30 2016-03-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化粧パ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999A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27602T3 (es) Artículo impregnado con fibras y red de protección
CN104039196B (zh) 一种具有发泡氨基甲酸乙酯层状结构的用于化妆品组合物的载体
US10537500B2 (en) Cosmetic including urethane foam impregnated with cosmetic composition
KR101619128B1 (ko) 화장품 용기
EP2837306A1 (en) Cosmetic product comprising screen mesh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544620B1 (ko) 화장용 퍼프
KR20140038880A (ko) 화장료 조성물이 함침된 우레탄 폼
KR20160110034A (ko) 액상 화장품이 함침되는 화장품 용기의 함침부재
EP3281618B1 (en)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mprising integrated sponge having layered structure
KR200469211Y1 (ko) 화장료 주입공간이 유지되는 화장료 수용체
KR101946517B1 (ko) 다층 구조를 갖는 화장료 담체
KR102324949B1 (ko) 심지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371201B1 (ko) 탄성력이 향상된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1917217B1 (ko) 화장용 퍼프
CN111713840A (zh) 具有化妆料储存空间的化妆料载体
KR102508240B1 (ko) 배출제어부재를 포함하는 화장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KR102349215B1 (ko)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지는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CN210407494U (zh) 一种出料均匀且不溢料的气垫粉底海绵
KR20200066158A (ko) 화장료 조성물 담체
CN111295110A (zh) 具有抽吸空间的承载体及包括其的化妆用具
CN109640735A (zh) 具有芯部的化妆料组合物载体及包括其的化妆用具
CN214594706U (zh) 一种用于化妆的粉扑
KR101566473B1 (ko) 화장료 조성물 담체
KR102371261B1 (ko) 전달특성이 향상된 화장도구
KR20180017643A (ko) 담지능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담지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41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719

Effective date: 201812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