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9994A - 웨이퍼 연마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이퍼 연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9994A
KR20180079994A KR1020170000828A KR20170000828A KR20180079994A KR 20180079994 A KR20180079994 A KR 20180079994A KR 1020170000828 A KR1020170000828 A KR 1020170000828A KR 20170000828 A KR20170000828 A KR 20170000828A KR 20180079994 A KR20180079994 A KR 20180079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rry
circulation line
line
polish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0788B1 (ko
Inventor
백승원
이재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788B1/ko
Priority to US15/442,189 priority patent/US10525568B2/en
Priority to DE102017203575.7A priority patent/DE102017203575B4/de
Priority to CN201710208706.0A priority patent/CN108262691B/zh
Priority to JP2017074969A priority patent/JP6484275B2/ja
Publication of KR20180079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7/00Devices for feeding, applying, grading or recovering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7/02Devices for feeding, applying, grading or recovering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for feeding of fluid, sprayed, pulverised, or liquefied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04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designed for work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7/00Lapping machines or devices; Accessories
    • B24B37/34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24B53/017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cleaning or otherwise conditioning lapping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43Cleaning before device manufacture, i.e. Begin-Of-Line process
    • H01L21/02052Wet cleaning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625With simultaneous mechanical treatment, e.g. mechanico-chemical polis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01L21/67028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 H01L21/6704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for cleaning followed by drying, rinsing, stripping, blasting or the like for wet cleaning or was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연마부; 상기 연마부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마부에 유입되는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slurry)를 분배하는 슬러리분배부; 상기 슬러리분배부와 연결되고, 슬러리를 저장하는 슬러리탱크; 상기 연마부 및 상기 슬러리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슬러리탱크로부터 상기 연마부로 슬러리를 이송하는 슬러리펌프; 일측이 상기 슬러리탱크와 연결되는 제1순환라인; 일측이 상기 제1순환라인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러리분배부와 연결되는 제2순환라인; 및 상기 제2순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순환라인을 유동하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이퍼 연마 시스템{Wafer polishing system}
실시예는, 웨이퍼 연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반도체의 고집적화로 단위 면적 당 정보의 처리 및 저장 용량이 증가하게 되었고, 이는 반도체 웨이퍼의 대(大) 직경화와 회로선 폭의 미세화 및 배선의 다층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반도체 웨이퍼 위에 다층의 배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웨이퍼의 고평탄도가 요구되며, 이러한 고평탄도를 위하여 웨이퍼 평탄화 공정이 필요하다.
웨이퍼의 평탄화 공정의 하나로, 웨이퍼 연마공정이 있다. 웨이퍼 연마공정은 웨이퍼의 상하면을 연마패드로 연마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웨이퍼 연마공정은 상정반과 하정반이 구비되는 연마부와 상기 연마부에 연마용 슬러리(slurry)를 공급하는 수단이 구비되는 연마 시스템을 사용하여 진행한다.
연마부에 슬러리를 공급하기 위해 연마부와 연결되는 배관이 연마 시스템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슬러리에 함유된 연마용 입자는 배관의 내부에 고착되어 배관을 막히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고착된 슬러리가 떨어져 나가 연마부에 유입되는 경우, 가공 대상체인 연마부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배관에 고착된 연마용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웨이퍼 연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연마부; 상기 연마부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마부에 유입되는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slurry)를 분배하는 슬러리분배부; 상기 슬러리분배부와 연결되고, 슬러리를 저장하는 슬러리탱크; 상기 연마부 및 상기 슬러리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슬러리탱크로부터 상기 연마부로 슬러리를 이송하는 슬러리펌프; 일측이 상기 슬러리탱크와 연결되는 제1순환라인; 일측이 상기 제1순환라인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러리분배부와 연결되는 제2순환라인; 및 상기 제2순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순환라인을 유동하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연마부와 상기 슬러리탱크를 연결하는 제3순환라인; 및 상기 제3순환라인에 배치되는 드레인(drain)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 드레인장치와 연결되는 제2드레인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순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슬러리탱크 하부에 배치되는 제1드레인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순환라인과 연결되는 제3드레인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3드레인라인은, 상기 제2순환라인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드레인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슬러리분배부와 상기 제3드레인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순환라인에 배치되는 유량조절밸브 및 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유량조절밸브 및 상기 유량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순환라인을 유동하는 슬러리의 유량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알람부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3드레인라인에 배치되는 제3자동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일측이 상기 제2순환라인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세정액공급부와 연결되며, 체크밸브, 제1수동밸브 및 제1자동밸브가 배치되는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순환라인과 상기 공급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순환라인에 배치되는 제2자동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슬러리펌프와 상기 제2자동밸브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1순환라인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슬러리탱크에 연결되는 제1바이패스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바이패스라인에 배치되는 제2수동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바이패스라인의 상기 제1순환라인으로부터의 분기점과 상기 제2자동밸브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1순환라인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슬러리탱크에 연결되는 제2바이패스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바이패스라인에 배치되는 제4자동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웨이퍼 연마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는, 연마부; 상기 연마부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마부에 유입되는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slurry)를 분배하는 슬러리분배부; 상기 슬러리분배부와 연결되고, 슬러리를 저장하는 슬러리탱크; 상기 연마부 및 상기 슬러리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슬러리탱크로부터 상기 연마부로 슬러리를 이송하는 슬러리펌프; 일측이 상기 슬러리탱크와 연결되는 제1순환라인; 일측이 상기 제1순환라인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러리분배부와 연결되는 제2순환라인; 상기 제2순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순환라인을 유동하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 상기 제2순환라인에 배치되는 유량조절밸브; 상기 제2순환라인에 배치되는 유량계; 상기 유량조절밸브 및 상기 유량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알람부; 및 상기 제2순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순환라인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드레인하는 드레인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세정액으로 제2순환라인을 세정함으로써, 제2순환라인 내부에 고착된 슬러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이러한 슬러리에 의해 발생하는 제2순환라인의 막힘, 웨이퍼의 연마불량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2순환라인 세정공정 완료 후, 상기 제2순환라인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제3드레인라인을 통해 효과적으로 외부로 드레인 함으로써, 슬러리를 다시 연마부로 유입하는 경우 제2순환라인 잔류 세정액에 의해 슬러리가 희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유량조절밸브를 사용하여 슬러리 또는 세정액의 유량을 설정범위내로 조절하여, 연마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절밸브가 유량을 제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슬러리 또는 세정액의 유량이 설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알람부가 작동하여 작업자가 신속하고 효과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연마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웨이퍼 연마공정 진행시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의 순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연마 시스템 세정시 세정액과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의 유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연마 시스템의 제어 및 알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라인"은 모두 배관을 의미하고, 상기 라인들을 통해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 또는 세정액이 유동할 수 있다. 또한, "자동밸브"는 원격에서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밸브이고, "수동밸브"는 작업자가 직접 밸브를 수동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밸브를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연마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의 연마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부(100), 슬러리분배부(200), 슬러리탱크(300), 슬러리펌프(400), 제1순환라인(510), 제2순환라인(520), 제3순환라인(530) 및 세정액공급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마부(100)에서는 웨이퍼를 연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정반과 하정반이 연마부(100) 내부에 구비되고, 이들 사이에 연마 대상체인 웨이퍼를 배치하고, 상정반 및/또는 하정반이 회전하여 웨이퍼를 연마할 수 있다.
슬러리분배부(200)는 상기 연마부(100)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마부(100)에 유입되는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slurry)를 분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마부(100)에서 웨이퍼 연마시 연마용 슬러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연마용 슬러리는 연마용 입자와 액체가 혼합된 액상으로 구비되고, 따라서, 순환라인을 통해 순환할 수 있다.
상기 연마용 슬러리는 슬러리분배부(200)에 유입되고, 슬러리분배부(200)를 통해 연마부(100) 내부로 고르게 유입될 수 있다. 슬러리분배부(200)는 예를 들어, 상측에서 연마부(100) 및 슬러리분배부(200)를 바라볼 경우, 복수의 분기관(manifold)이 연마부(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복수의 분기관을 통해 슬러리는 연마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상정반 및 하정반에 고르게 유입될 수 있다.
종래에는 슬러리를 연마부(100)에 유입하기 위해 기어장치를 포함하는 롤러펌프(roller pump)가 사용되었으나, 롤러펌프는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특히, 슬러리가 기어장치를 마모시켜 롤러펌프의 작동불량을 유발할 수 있었다.
또한, 기어장치의 마모된 입자가 롤러펌프에 구비되는 슬러리 이송용 튜브를 손상시키거나, 상기 입자가 연마부(100)로 유입되어 연마되는 웨이퍼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를 발생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롤러펌프를 기어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슬러리분배부(200)로 교체함으로써, 롤러펌프에서 발생하는 상기한 이송용 튜브손상, 웨이퍼 스크래치의 발생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슬러리탱크(300)는 상기 슬러리분배부(200)와 연결되고, 슬러리를 저장할 수 있다. 다량의 슬러리가 저장되므로, 슬러리를 구성하는 입자가 가라앉아 액체와 분리되는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교반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슬러리탱크(30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슬러리를 보충하기 위한 보충라인(make-up line)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보충라인을 통해 부족한 슬러리가 슬러리탱크(300)로 보충될 수 있다.
슬러리펌프(400)는 상기 연마부(100) 및 상기 슬러리탱크(300)와 연결되고, 상기 슬러리탱크(300)로부터 상기 연마부(100)로 슬러리를 이송할 수 있다. 연마부(100), 슬러리탱크(300) 및 슬러리펌프(400)는 제1순환라인(510) 내지 제3순환라인(530)으로 서로 연결되므로, 슬러리펌프(400)가 슬러리를 펌핑하면 슬러리는 제1순환라인(510) 내지 제3순환라인(530)을 통해 연마부(100)와 슬러리탱크(300)를 순환할 수 있다.
제1순환라인(510)은 일측이 상기 슬러리탱크(30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2순환라인(520)에 연결되며, 상기 슬러리펌프(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순환라인(520)은 일측이 상기 제1순환라인(510)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러리분배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순환라인(520)에는 상기 제2순환라인(520)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액이 공급되는 공급라인(540)과, 상기 세정액을 드레인하기 위한 제3드레인라인(73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정액은 예를 들어 초순수(de-ionized water)일 수 있다.
제3순환라인(530)은 일측은 연마부(100)에 연결되고 타측은 슬러리탱크(300)에 연결되어, 상기 연마부(100)와 상기 슬러리탱크(300)를 연결할 수 있다.
세정액공급부(600)는 상기 제2순환라인(520)과 연결되고, 상기 제2순환라인(520)을 유동하는 세정액을 공급할 수 있다. 세정액은 상기 제2순환라인(520) 내부를 세정하기 위해 제2순환라인(52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2순환라인(520)의 세정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제2순환라인(520) 내부에 잔류하는 세정액은 제3드레인라인(730)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다.
드레인(drain)장치(700)는 상기 제3순환라인(530)에 배치되어, 연마부(100)로부터 유출되는 슬러리를 외부로 드레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연마부(100)로부터 유출되는 슬러리에는 예를 들어, 웨이퍼로부터 연마되어 떨어져 나오는 웨이퍼입자, 기타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웨이퍼 연마공정이 계속적으로 진행되면, 슬러리는 상기한 웨이퍼입자, 기타 이물질의 함유량이 증가하므로, 이러한 오염된 슬러리를 교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드레인장치(700)는 이러한 오염된 슬러리를 이에 연결된 제2드레인라인(720)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할 수 있다.
즉, 슬러리의 오염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슬러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드레인장치(700)를 통해 외부로 드레인하고, 부족한 슬러리는 슬러리탱크(300)를 통해 보충할 수 있다.
제2드레인라인(720)은 상기 드레인장치(700)와 연결되고, 상기 드레인장치(700)로부터 유출되는 오염된 슬러리를 외부로 드레인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드레인라인(720)에는 밸브가 배치되어 제2드레인라인(720)을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제1드레인라인(7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드레인라인(710)은 상기 제1순환라인(510)과 연결되고, 상기 슬러리탱크(3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1드레인라인(710)을 통해 슬러리탱크(300)에 저장되는 슬러리를 외부로 드레인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드레인라인(710)에는 밸브가 배치되어 제1드레인라인(710)을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3드레인라인(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드레인라인(73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순환라인(520)의 세정공정 완료 후 상기 제2순환라인(520) 내부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외부로 드레인하기 위한 통로역할을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슬러리분배부(200)와 상기 제3드레인라인(7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순환라인(520)에 배치되는 유량조절밸브(521) 및 유량계(5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량계(523)는 웨이퍼 연마공정 진행시 제2순환라인(520)을 유동하여 슬러리분배부(200) 및 연마부(100)에 공급되는 슬러리의 유량을 측정하고, 유량조절밸브(521)는 유량계(523)에서 측정되는 슬러리의 유량을 기초로, 슬러리의 유량이 설정된 범위내에 있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유량조절은 제어부(810)(Controller)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3드레인라인(730)에 배치되는 제3자동밸브(7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자동밸브(733)를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상기 제3드레인라인(73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일측이 상기 제2순환라인(5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세정액공급부(600)와 연결되는 공급라인(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라인(540)에는 체크밸브(543), 제1수동밸브(541) 및 제1자동밸브(5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543)는 제2순환라인(520) 내부에 존재하는 슬러리가 세정액공급부(60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수동밸브(541) 및 제1자동밸브(542)는 개방 또는 폐쇄됨으로써 상기 공급라인(54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슬러리가 세정액공급부(600)로 역류하는 경우, 세정액공급부(600)를 구성하는 여러부품, 장치 등이 심각하게 오염, 훼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를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급라인(540)에는 체크밸브(543), 제1수동밸브(541) 및 제1자동밸브(542)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순환라인(510)과 상기 공급라인(5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순환라인(520)에 배치되는 제2자동밸브(5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자동밸브(522)는 개방 또는 폐쇄됨으로써 제2순환라인(52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제2자동밸브(522)가 폐쇄되는 경우 제2순환라인(520)에는 슬러리가 유동하지 않고, 따라서 제2순환라인(520)에 연결되는 슬러리분배부(200) 및 연마부(100)에는 슬러리가 공급되는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슬러리펌프(400)와 상기 제2자동밸브(522)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1순환라인(510)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슬러리탱크(300)에 연결되는 제1바이패스라인(5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바이패스라인(550)에는 제2수동밸브(55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바이패스라인(550)은 실시예의 연마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거나, 연마시스템 구성장치 중 일부가 고장이 나는 등으로 인해 연마부(100)에 슬러리 공급을 중단하는 경우, 슬러리펌프(400)로부터 펌핑된 슬러리를 바로 슬러리탱크(300)로 바이패스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슬러리를 슬러리탱크(300)로 바이패스하는 경우, 제2수동밸브(552)를 개방하고, 제2자동밸브(522)를 폐쇄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바이패스라인(550)의 상기 제1순환라인(510)으로부터의 분기점과 상기 제2자동밸브(522)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1순환라인(510)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슬러리탱크(300)에 연결되는 제2바이패스라인(5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순환라인(520) 세정공정 진행시에 슬러리가 제2순환라인(52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슬러리탱크(300)로 바이패스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때 상기 제2바이패스라인(560)을 이용하여 슬러리를 슬러리탱크(300)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다.
한편, 제2순환라인(520) 세정공정은 긴급상황이 아니므로, 슬러리의 바이패스시 제1바이패스라인(550)은 사용하지 않고 제2바이패스라인(560)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상기 제2바이패스라인(560)에는 제4자동밸브(56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4자동밸브(564)가 개방 또는 폐쇄됨에 따라 상기 제2바이패스라인(560)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웨이퍼 연마공정 진행시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의 순환을 나타낸 도면이다. 웨이퍼 연마공정 진행시 슬러리는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슬러리탱크(300)로부터 유출되는 슬러리는 제1순환라인(510)을 유동하면서 슬러리펌프(400)에 의해 펌핑되며, 이때 제1드레인라인(710)에 구비되는 밸브는 폐쇄될 수 있다.
슬러리펌프(400)로부터 유출되는 슬러리는 제1순환라인(510)을 유동하여 제2순환라인(520)으로 유입되며, 이때 제2수동밸브(552) 및 제4자동밸브(564)는 폐쇄될 수 있다.
제2순환라인(520)으로 유입된 슬러리는 제2순환라인(520)을 유동하여 슬러리분배부(2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제2수동밸브(552)는 개방되고, 제1수동밸브(541), 제1자동밸브(542) 및 제3자동밸브(733)는 폐쇄된 상태이며, 슬러리는 유량계(523) 및 유량조절밸브(521)를 통과하여 제2순환라인(520)을 따라 슬러리분배부(200)로 유입될 수 있다.
슬러리분배부(200)로 유입된 슬러리는 균일하게 분배되어 연마장치 내부로 유입되어 웨이퍼 연마공정에 사용되고, 연마장치로부터 유출되는 슬러리는 제3순환라인(530)을 통해 다시 슬러리탱크(3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슬러리는 제3순환라인(530)에 배치되는 드레인장치(700)를 통과하게 되는데, 슬러리가 순환라인들을 계속 순환하므로 제2드레인라인(720)에 설치된 밸브는 폐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연마 시스템 세정시 세정액과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의 유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은선(hidden line) 화살표는 세정액의 유동을 나타내고, 실선 화살표는 슬러리의 유동을 나타낸다.
슬러리분배부(200) 및 연마부(100)와 직접 연결되고 이들에 슬러리를 공급하는 제2순환라인(520) 내부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세정할 필요가 있다. 만약, 제2순환라인(520) 내부를 세정하지 않는다면 슬러리가 제2순환라인(520) 내부표면에 고착되어 제2순환라인(520)이 막히거나, 유량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고착된 슬러리가 일정한 크기로 자란 후, 제2순환라인(520) 내부 표면으로부터 떨어져나온 잔해(debris)가 연마부(100)로 유입되는 경우, 이러한 잔해는 연마부(100) 내부에서 연마되는 웨이퍼에 스크래치, 기타 손상을 발생시켜 웨이퍼 가공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순환라인(520)은 세정액으로 세정할 수 있다. 제2순환라인(520)의 세정은 다음의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슬러리를 슬러리탱크(300)로 바이패스하기 위해 제2자동밸브(522)를 폐쇄하고 제4자동밸브(564)를 개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러리는 제2자동밸브(522) 이후의 제2순환라인(520)에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제1자동밸브(542)와 제1수동밸브(541)를 개방하여 제2순환라인(520)에 세정액을 공급한다. 이때, 제3자동밸브(733)를 폐쇄하여 제3드레인라인(730)으로 세정액이 유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시간동안 제2순환라인(520) 내부를 세정한다.
이때, 세정액은 제2순환라인(520)을 거쳐 슬러리분배부(200) 및 연마부(100)로 유입될 수 있다. 연마부(100)로부터 유출되는 세정액은 드레인장치(700)와 제2드레인라인(720)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다. 물론 이경우, 제2드레인라인(720)에 배치되는 밸브는 개방된다.
세정액을 사용하여 제2순환라인(520)의 세정을 완료한 후, 제2순환라인(520) 내부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드레인할 필요가 있다.
제2순환라인(520) 내부에 세정액이 잔류하는 상태에서 다시 슬러리를 제2순환라인(520)을 통해 순환시켜 웨이퍼 연마공정을 진행하는 경우, 슬러리는 세정액에 의해 희석되어 연마능력이 저하될 수 있고, 이로인해 웨이퍼 연마공정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2순환라인(520)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드레인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될 수 있다.
제1수동밸브(541)와 제1자동밸브(542)를 폐쇄하여 세정액이 제2순환라인(52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제3자동밸브(733)를 개방하여 제2순환라인(520)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제3드레인라인(730)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순환라인(520)에 잔류하는 세정액 중 일부는 제3드레인라인(730)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액 중 나머지는 제2순환라인(520), 슬러리분배부(200), 연마부(100), 제3순환라인(530)의 일부, 드레인장치(700) 및 제2드레인라인(720)을 통해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다.
제2순환라인(520)에 잔류하는 세정액은 2방향의 통로 즉, 제2드레인라인(720)과 제3드레인라인(730)을 통해 매우 효과적으로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다.
제2순환라인(520)에 잔류하는 세정액 드레인 완료 후, 다시 제2자동밸브(522)를 개방하고, 제4자동밸브(564)를 폐쇄하며, 또한 제2드레인라인(720)에 배치된 밸브를 폐쇄하여, 슬러리는 다시 연마부(100)와 슬러리탱크(300) 사이를 순환하고, 연마공정이 다시 진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공급라인(540)을 통해 공급되는 세정액으로 제2순환라인(520)을 세정함으로써, 제2순환라인(520) 내부에 고착된 슬러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이러한 슬러리에 의해 발생하는 제2순환라인(520)의 막힘, 웨이퍼의 연마불량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2순환라인(520) 세정공정 완료 후, 상기 제2순환라인(520)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제3드레인라인(730)을 통해 효과적으로 외부로 드레인 함으로써, 슬러리를 다시 연마부(100)로 유입하는 경우 제2순환라인(520) 잔류 세정액에 의해 슬러리가 희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의 연마 시스템의 제어 및 알람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연마 시스템의 제어 및 알람은 제2순환라인(520)에 대해 수행할 수 있고, 제2순환라인(520)에 슬러리가 유동하는 연마공정 및 세정액이 유동하는 세정공정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하기에서는 예를 들어, 연마공정의 경우만을 설명한다. 하기 설명으로부터 세정공정에 연마 시스템의 제어 및 알람을 적용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에서, 상기 유량조절밸브(521) 및 상기 유량계(5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810)와 상기 제어부(8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알람부(820)(Alar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10)는 상기 유량계(523)로부터 슬러리의 유량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제어부(810)는 상기 슬러리의 유량이 설정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10)가 상기 유량조절밸브(521)에 작동신호를 보내게 되면, 작동신호를 전송받은 유량조절밸브(521)가 밸브개도(valve open rate) 등을 조절하여 슬러리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810)에는 제2순환라인(520)을 유동하는 슬러리 유량의 상한 및 하한을 포함하는 유량범위가 설정 및 입력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량범위는 슬러리가 유동하는 경우와 세정액이 유동하는 경우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521)가 슬러리 유량을 제어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 제2순환라인(520)을 유동하는 슬러리의 유량이 설정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람부(820)가 작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810)는 상기 제2순환라인(520)을 유동하는 슬러리의 유량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알람부(82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고, 작동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알람부(820)는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820)의 작동방식은, 경고음, 경고등, 알람부(820)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경고표시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유량조절밸브(521)를 사용하여 슬러리 또는 세정액의 유량을 설정범위내로 조절하여, 연마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유량조절밸브(521)가 유량을 제어할 수 없는 상황에서 슬러리 또는 세정액의 유량이 설정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알람부(820)가 작동하여 작업자가 신속하고 효과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연마부
200: 슬러리분배부
300: 슬러리탱크
400: 슬러리펌프
510: 제1순환라인
520: 제2순환라인
530: 제3순환라인
540: 공급라인
600: 세정액공급부
700: 드레인장치
810: 제어부
820: 알람부

Claims (17)

  1. 연마부;
    상기 연마부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마부에 유입되는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slurry)를 분배하는 슬러리분배부;
    상기 슬러리분배부와 연결되고, 슬러리를 저장하는 슬러리탱크;
    상기 연마부 및 상기 슬러리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슬러리탱크로부터 상기 연마부로 슬러리를 이송하는 슬러리펌프;
    일측이 상기 슬러리탱크와 연결되는 제1순환라인;
    일측이 상기 제1순환라인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러리분배부와 연결되는 제2순환라인; 및
    상기 제2순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순환라인을 유동하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
    를 포함하는 웨이퍼 연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와 상기 슬러리탱크를 연결하는 제3순환라인; 및
    상기 제3순환라인에 배치되는 드레인(drain)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장치와 연결되는 제2드레인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순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슬러리탱크 하부에 배치되는 제1드레인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순환라인과 연결되는 제3드레인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드레인라인은,
    상기 제2순환라인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드레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분배부와 상기 제3드레인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순환라인에 배치되는 유량조절밸브 및 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밸브 및 상기 유량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알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순환라인을 유동하는 슬러리의 유량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알람부에 작동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드레인라인에 배치되는 제3자동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2순환라인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세정액공급부와 연결되며, 체크밸브, 제1수동밸브 및 제1자동밸브가 배치되는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순환라인과 상기 공급라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순환라인에 배치되는 제2자동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펌프와 상기 제2자동밸브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1순환라인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슬러리탱크에 연결되는 제1바이패스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이패스라인에 배치되는 제2수동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이패스라인의 상기 제1순환라인으로부터의 분기점과 상기 제2자동밸브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은 상기 제1순환라인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슬러리탱크에 연결되는 제2바이패스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이패스라인에 배치되는 제4자동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마 시스템.
  17. 연마부;
    상기 연마부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연마부에 유입되는 웨이퍼 연마용 슬러리(slurry)를 분배하는 슬러리분배부;
    상기 슬러리분배부와 연결되고, 슬러리를 저장하는 슬러리탱크;
    상기 연마부 및 상기 슬러리탱크와 연결되고, 상기 슬러리탱크로부터 상기 연마부로 슬러리를 이송하는 슬러리펌프;
    일측이 상기 슬러리탱크와 연결되는 제1순환라인;
    일측이 상기 제1순환라인의 타측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슬러리분배부와 연결되는 제2순환라인;
    상기 제2순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순환라인을 유동하는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부;
    상기 제2순환라인에 배치되는 유량조절밸브;
    상기 제2순환라인에 배치되는 유량계;
    상기 유량조절밸브 및 상기 유량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알람부; 및
    상기 제2순환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순환라인에 잔류하는 세정액을 드레인하는 드레인라인
    을 포함하는 웨이퍼 연마 시스템.
KR1020170000828A 2017-01-03 2017-01-03 웨이퍼 연마 시스템 KR101900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828A KR101900788B1 (ko) 2017-01-03 2017-01-03 웨이퍼 연마 시스템
US15/442,189 US10525568B2 (en) 2017-01-03 2017-02-24 Wafer polishing system
DE102017203575.7A DE102017203575B4 (de) 2017-01-03 2017-03-06 Waferpoliersystem
CN201710208706.0A CN108262691B (zh) 2017-01-03 2017-03-31 晶片抛光系统
JP2017074969A JP6484275B2 (ja) 2017-01-03 2017-04-05 ウエハー研磨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828A KR101900788B1 (ko) 2017-01-03 2017-01-03 웨이퍼 연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994A true KR20180079994A (ko) 2018-07-11
KR101900788B1 KR101900788B1 (ko) 2018-09-20

Family

ID=6270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828A KR101900788B1 (ko) 2017-01-03 2017-01-03 웨이퍼 연마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25568B2 (ko)
JP (1) JP6484275B2 (ko)
KR (1) KR101900788B1 (ko)
CN (1) CN108262691B (ko)
DE (1) DE10201720357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2348A (zh) * 2018-08-02 2018-12-11 蚌埠惊涛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超薄镀膜显示玻璃抛光粉集中配置和收集装置
CN109623629B (zh) * 2018-12-18 2019-09-27 浙江晶盛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硬质材料自动化抛光生产线
CN113510611A (zh) * 2021-06-16 2021-10-19 江苏澳洋顺昌集成电路股份有限公司 一种衬底研磨装置及其研磨方法
CN114083441B (zh) * 2022-01-17 2022-05-06 杭州中欣晶圆半导体股份有限公司 一种磨片机砂浆桶及操作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6588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화학적 기계적 연마설비의 샘플추출 장치 세정방법 및 장치
KR200286821Y1 (ko) * 2002-05-09 2002-08-27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웨이퍼의 평탄화를 위한 슬러리 공급 장치
KR20020094814A (ko) * 2001-06-13 2002-12-18 플러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러리 공급 시스템의 유량 제어 장치
KR20040025090A (ko) * 2002-09-18 2004-03-24 텍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씨엠피장치의 슬러리 및 케미컬 공급장치
KR20050084139A (ko) * 2005-06-03 2005-08-2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약액 공급 장치
JP2012250324A (ja) * 2011-06-03 2012-12-20 Sumco Corp スラリー循環装置、および、スラリー循環装置のフラッシン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0591A (en) * 1966-11-21 1970-03-17 Owens Illinois Inc Glass grinding method and apparatus
US5664990A (en) * 1996-07-29 1997-09-09 Integrated Process Equipment Corp. Slurry recycling in CMP apparatus
US5957759A (en) * 1997-04-17 1999-09-28 Advanced Micro Devices, Inc. Slurry distribution system that continuously circulates slurry through a distribution loop
US5945346A (en) * 1997-11-03 1999-08-31 Motorola, Inc. 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H11254298A (ja) 1998-03-06 1999-09-21 Speedfam Co Ltd スラリー循環供給式平面研磨装置
US6024829A (en) 1998-05-21 2000-02-15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reducing agglomerate particles in a polishing slurry
US6123602A (en) * 1998-07-30 2000-09-26 Lucent Technologies Inc. Portable slurry distribution system
JP3291488B2 (ja) * 1999-05-27 2002-06-10 三洋電機株式会社 流体の被除去物除去方法
DE10032819A1 (de) 2000-07-06 2001-01-04 Wacker Siltronic Halbleitermat Slurry-Management-Syste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lurrymischung
US6659848B1 (en) * 2002-07-29 2003-12-09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Slurry dispenser that outputs a filtered slurry to a chemical-mechanical polisher at a constant flow rate over the lifetime of the filter
JP4188651B2 (ja) * 2002-09-24 2008-11-26 森下仁丹株式会社 パイプ
ITVI20030113A1 (it) 2003-06-10 2004-12-11 Marmi Zenatelli Sas Procedimento per il trattamento di correzione della
CN1713967B (zh) 2003-06-20 2011-10-19 富士通半导体股份有限公司 药液供给装置
US20050218077A1 (en) * 2004-04-03 2005-10-06 Brunsell Dennis A Method for processing hydrolasing wastewater and for recycling water
US20060074529A1 (en) * 2004-09-30 2006-04-06 Garcia James P Apparatus for dispensing precise volumes of fluid
KR100947465B1 (ko) 2008-02-28 2010-03-17 케미시스 주식회사 폐슬러리 재생 방법 및 장치
US8696404B2 (en) * 2011-12-21 2014-04-15 WD Media, LLC Systems for recycling slurry materials during polishing processes
CN203003686U (zh) 2012-06-29 2013-06-19 旭硝子株式会社 研磨剂回收设备
JP6000119B2 (ja) 2012-12-27 2016-09-28 株式会社ディスコ 加工廃液処理装置
CN105121095B (zh) 2013-04-04 2018-04-27 株式会社可乐丽 浆料再生装置、浆料再生方法以及再生浆料
JP6295107B2 (ja) * 2014-03-07 2018-03-1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基板処理システムおよび基板処理方法
JP6206388B2 (ja) * 2014-12-15 2017-10-04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シリコンウェーハの研磨方法
CN204584948U (zh) 2015-04-23 2015-08-26 麦斯克电子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硅晶片表面研磨的研磨液供应装置
KR101720308B1 (ko) 2016-12-23 2017-03-2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나노 입자를 이용하는 고투명 다파장 센서 및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6588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화학적 기계적 연마설비의 샘플추출 장치 세정방법 및 장치
KR20020094814A (ko) * 2001-06-13 2002-12-18 플러스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슬러리 공급 시스템의 유량 제어 장치
KR200286821Y1 (ko) * 2002-05-09 2002-08-27 동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웨이퍼의 평탄화를 위한 슬러리 공급 장치
KR20040025090A (ko) * 2002-09-18 2004-03-24 텍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씨엠피장치의 슬러리 및 케미컬 공급장치
KR20050084139A (ko) * 2005-06-03 2005-08-2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약액 공급 장치
JP2012250324A (ja) * 2011-06-03 2012-12-20 Sumco Corp スラリー循環装置、および、スラリー循環装置のフラッシング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84275B2 (ja) 2019-03-13
CN108262691B (zh) 2021-07-09
JP2018108632A (ja) 2018-07-12
KR101900788B1 (ko) 2018-09-20
DE102017203575B4 (de) 2018-12-20
US20180185982A1 (en) 2018-07-05
US10525568B2 (en) 2020-01-07
CN108262691A (zh) 2018-07-10
DE102017203575A1 (de)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788B1 (ko) 웨이퍼 연마 시스템
JP6385714B2 (ja) 基板液処理装置、基板液処理装置の洗浄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775060B1 (ko) 반도체 제조장치 및 슬러리 품질 측정방법
JP4923062B2 (ja) パルス薬液分配システム
US8360825B2 (en) Slurry supply system
US10618140B2 (en) Substrate processing system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JP2015220318A5 (ko)
TWI459490B (zh)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a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a memory medium
TWI658173B (zh) 基板處理裝置
US9744642B2 (en) Slurry feed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slurry to chemical mechanical planarization station
TWI820065B (zh) 液供給裝置及液供給方法
US201302605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quid treatment of wafer-shaped articles
TWI732235B (zh) 光阻劑分配系統及光阻劑的回收方法
WO2019182036A1 (ja) 液処理装置及び液処理方法
US20220395874A1 (en) Substrate cleaning devic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break-in device, method for estimating number of fine particles adhering to substrate, method for determining degree of contamination of substrate cleaning memb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break-in processing
JP3677203B2 (ja) 砥液供給装置、研磨装置及び砥液供給装置の運転方法
CN112864050A (zh) 一种晶圆清洗装置、控制方法、控制器及系统
JPH0277752A (ja) 現像装置
KR102641130B1 (ko) 입도 분석기
JP3818735B2 (ja) ポリッシング装置
TWM509097U (zh) 重力吸型離線式自動過濾系統
US7223157B2 (en) Chemical-mechanical polish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ditioning polishing pad
JP3686239B2 (ja) 薬液循環式基板処理装置
JP6491419B2 (ja) ハウジングおよびこれを備えた砥液供給ユニット並びに基板処理装置
TWM509418U (zh) 抽吸型離線式自動過濾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