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788A -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788A
KR20180070788A KR1020160172939A KR20160172939A KR20180070788A KR 20180070788 A KR20180070788 A KR 20180070788A KR 1020160172939 A KR1020160172939 A KR 1020160172939A KR 20160172939 A KR20160172939 A KR 20160172939A KR 20180070788 A KR20180070788 A KR 20180070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wire
guide block
insertion hole
door t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1098B1 (ko
Inventor
이재승
이선구
오세훈
정훈섭
김승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1098B1/ko
Priority to US15/604,423 priority patent/US10065578B2/en
Priority to CN201710448430.3A priority patent/CN108202675B/zh
Publication of KR20180070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1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1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75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comprising removable or hing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와이어를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트림을 도어패널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 시키는 장치로서, 조립성과 탈거성이 향상된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를 개시한다.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는 폐루프 형태로 마련되는 와이어와, 차량의 도어트림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감거나 풀도록 마련되는 락킹유닛과, 상기 도어트림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차량의 도어패널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도록 마련되는 마운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유닛은,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버와,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패널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APPARATUS FOR COUPLING DOOR TRI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조립성 및 탈거성이 향상된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의 내장품인 도어트림은 쾌적한 실내공간과 부품의 보호 등의 역할을 하며, 도어 인너패널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종래에는 패스너를 이용하여 도어트림을 도어 인너패널에 결합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패스너를 도어트림에 장착하고, 이러한 패스너를 도어 인너패널에 마련되는 삽입홀에 삽입함으로써 도어트림을 도어 인너패널에 결합할 수 있었다. 패스너를 삽입홀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물리적 하중을 가해야 했으며, 이러한 물리적 하중에 의해 패스너가 삽입홀에 억지 끼움되는 구조였다.
상기한 종래의 구조에 따르면, 패스너를 삽입홀에 삽입하기 위해 요구되는 삽입력이 커서 조립성이 떨어졌다.
또한, 도어트림을 도어 인너패널로부터 탈거하기 위해서는 억지 끼움하였던 패스너를 물리적 하중을 가해 삽입홀로부터 빼내야 했으며, 이 때 요구되는 물리적 하중, 즉 탈거력은 삽입력보다도 훨씬 커 탈거성이 매우 떨어졌다. 뿐만 아니라, 도어트림을 탈거하는 과정에서 패스너 및 도어 인너패널의 변형이 발생하여 패스너를 교체하거나 인너패널을 재가공해야 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조립성과 탈거성이 향상된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도어트림 탈거 시 도어 인너패널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는 폐루프 형태로 마련되는 와이어와, 차량의 도어트림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감거나 풀도록 마련되는 락킹유닛과, 상기 도어트림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차량의 도어패널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도록 마련되는 마운팅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유닛은,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버와,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패널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삽입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버는 상기 와이어가 경유하도록 마련되는 와이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각각 별개의 폐루프를 형성하고, 각각 상기 와이어 가이드를 경유하도록 마련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가 감기면, 상기 가이드 레버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와이어가 감기면, 상기 가이드 레버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버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삽입홀을 향해 슬라이딩하여 상기 도어패널과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레버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삽입홀로부터 멀어지도록 슬라이딩하여 상기 도어패널과 결합해제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블록은 레일돌기와, 상기 레일돌기의 후면에 마련되는 레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이드 블록은 제1가이드 블록과, 상기 제1가이드 블록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가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 블록의 상기 레일돌기는 상기 제2가이드 블록의 상기 레일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버와 상기 가이드 블록을 수용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이 상기 가이드 레버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조립성과 탈거성이 향상된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도어트림 탈거 시 도어 인너패널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가 차량의 도어트림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서, 마운팅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운팅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마운팅유닛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서, 마운팅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서, 가이드 레버와 가이드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서, 마운팅유닛과 도어패널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서, 마운팅유닛과 도어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서, 마운팅유닛과 도어패널이 결합해제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서, 가이드블록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설명에서 차량은 인간, 물건 또는 동물 등과 같은 피운송체를 출발지에서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한다. 차량은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 바다나 강 위로 이동하는 선박 및 공기의 작용을 이용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비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로 또는 선로를 주행하는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륜의 회전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삼륜 또는 사륜 자동차, 건설기계, 이륜 자동차, 원동기 장치, 자전거 및 선로를 주행하는 열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는 폐루프 형태로 마련되는 와이어(10)와, 도어트림(20)에 설치되고 와이어(10)를 감거나 풀도록 마련되는 락킹유닛(100)과, 도어트림(20)에 설치되고 와이어(10)의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차량의 도어패널(30)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도록 마련되는 마운팅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10)는 각각 별개의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1와이어(11)와 제2와이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11)와 제2와이어(12)는 락킹유닛(100)과 마운팅유닛(20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락킹유닛(100)과 마운팅유닛(200)는 와이어(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락킹유닛(100)은 도어트림(2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락킹유닛(100)은 제1와이어(11) 또는 제2와이어(12)를 감거나 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락킹유닛(100)은 제1와이어(11)와 제2와이어(12)가 각각 형성하는 폐루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락킹유닛(100)이 제1와이어(11)를 감는 경우, 제1와이어(11)가 락킹유닛(100)에 마련되는 풀리(pulley)에 권취되고, 이에 따라 제1와이어(11)의 폐루프의 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반대로, 락킹유닛(100)이 제2와이어(12)를 감는 경우, 제2와이어(11)가 락킹유닛(100)에 마련되는 풀리(pulley)에 권취되고, 이에 따라 제2와이어(11)의 폐루프의 길이가 짧아진다. 이 때, 제1와이어(11)가 락킹유닛(100)의 풀리에 권취되면, 제2와이어(12)는 풀리로부터 풀리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와이어(12)가 락킹유닛(100)의 풀리에 권취되면, 제1와이어(11)는 풀리로부터 풀리게 된다. 즉, 제1와이어(11)와 제2와이어(12)의 길이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한 폐루프는 락킹유닛(100)를 기준으로 한 제1와이어(11)와 제2와이어(12)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마운팅유닛(200)은 도어트림(20)에 설치될 수 있다. 마운팅유닛(200)은 도어트림(2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마운팅유닛(200)의 개수가 많아지게 되면, 도어트림(20)과 도어패널(30)과의 결합력이 커질 수 있다.
마운팅유닛(200)은 와이어(10)의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차량의 도어패널(30)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와이어(11)가 락킹유닛(100)에 감기면, 마운팅유닛(200)은 도어패널(30)에 마련되는 볼트부(31)와 결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대로, 제2와이어(12)가 락킹유닛(100)에 감기면, 마운팅유닛(200)은 볼트부(31)와 결합해제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2와이어(12)가 락킹유닛(100)에 감기면, 마운팅유닛(200)이 도어패널(30)에 마련되는 볼트부(31)와 결합하고, 제1와이어(11)가 락킹유닛(100)에 감기면, 마운팅유닛(200)이 볼트부(31)와 결합해제 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락킹유닛(100)을 통해 제1와이어(11)와 제2와이어(12)를 감거나 풀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와이어(11)의 폐루프 길이와 제2와이어(12)의 폐루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와이어(11) 또는 제2와이어(12)의 폐루프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마운팅유닛(200)을 도어패널(30)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 시킬 수 있다.
즉, 락킹유닛(100)을 조작하는 것만으로 손쉽게 마운팅유닛(200)을 도어패널(30)과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마운팅유닛(200)과 도어패널(30)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패스너를 통한 도어트림과 도어패널과의 결합방법에 비해 삽입성과 탈거성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마운팅유닛(200)과 도어패널(30)의 결합 또는 결합해제 과정에서 도어패널(30)이 파손될 염려가 없어, 기존구조에 따른 문제점이었던 도어트림 탈거 시 도어패널 파손 발생 및 이로 인한 리워크(rework) 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서, 마운팅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운팅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마운팅유닛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마운팅유닛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팅유닛(200)은 가이드 레버(210)와, 가이드 블록(220)과, 케이스(230) 및 커버(2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버(210)는 삽입홀(211)과, 삽입홀(211)로부터 삽입홀(211)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212)은 복수의 가이드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이드홈(212)은 삽입홀(211)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복수의 가이드홈(212)은 스포크(spoke)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가이드홈(212)은 방사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가이드홈(212)은 삽입홀(211)의 원주방향을 따라 6개가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가이드홈(212)의 개수는 설계사항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가이드 레버(210)는 와이어(10)가 경유하도록 마련되는 와이어 가이드(213)와, 와이어(10)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와이어 서포트(214, 21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블록(220)은 가이드홈(2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220)은 복수의 가이드 블록(22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블록(220)은 복수의 가이드홈(212)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가이드홈(212)은 6개가 마련될 수 있으므로, 복수의 가이드 블록(220) 또한 6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홈(212) 및 가이드 블록(220)의 개수는 설계사항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가이드 블록(220)은 가이드홈(212)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따라 도어패널(30)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패널(30)에는 복수의 볼트부(31, 도 8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볼트부(31)는 삽입홀(211)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볼트부(31)의 외경은 삽입홀(211)의 내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 블록(220)은 삽입홀(211)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홈(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블록(220)이 삽입홀(211)을 향해 슬라이딩하면, 가이드 블록(220)은 도어패널(30)의 볼트부(31)와 결합할 수 있다. 반대로, 가이드 블록(220)이 삽입홀(211)로부터 멀어지도록 슬라이딩하면, 가이드 블록(220)은 도어패널(30)의 볼트부(31)와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케이스(230)는 가이드 레버(210)와 가이드 블록(220)을 수용하고, 가이드 블록(220)이 가이드 레버(2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230)는 가이드 블록(220)이 가이드 레버(2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이탈방지홈(2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홈(231)은 가이드 블록(220)이 삽입홀(211)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최대로 이동하였을 때의 형상과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블록(220)은 삽입홀(211)로부터의 거리가 최대일 때, 그 외측 테두리가 육각형 형상을 가지므로, 이탈방지홈(231)은 육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230)는 와이어(10)가 출입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홀(232, 233, 234, 2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커버(240)는 케이스(230)의 후면을 커버하여 케이스(230)와 함께 가이드 레버(210)와 가이드 블록(220)을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서, 마운팅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서, 가이드 레버와 가이드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가이드 블록의 동작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220)이 삽입홀(211)을 향해 슬라이딩하면, 가이드 블록(220)으로 인해 삽입홀(211)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반대로, 가이드 블록(220)이 삽입홀(211)로부터 멀어지도록 슬라이딩하면, 즉, 가이드 블록(220)이 삽입홀(21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하면, 가이드 블록(220)이 삽입홀(211)의 크기를 제한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삽입홀(211)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와이어(10)를 이용하여 가이드 레버(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레버(210)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 블록(220)을 삽입홀(211)을 향해 슬라이딩 시키거나 또는 삽입홀(211)로부터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시킬 수 있다.
가이드 레버(210)는 와이어(10)가 경유하도록 마련되는 와이어 가이드(213)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가이드(213)는 와이어(10)가 경유할 수 있도록 풀리(pulley)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10)는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와이어(10)는 각각 별개의 폐루프를 형성하는 제1와이어(11)와 제2와이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11)와 제2와이어(12)는 각각 와이어 가이드(213)를 경유할 수 있다. 이 때, 제1와이어(11)는 제1와이어 서포트(2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2와이어(12)는 제2와이어 서포트(2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11)는 제1와이어 서포트(214)에 의해 지지되고, 와이어 가이드(213)의 하단부를 경유할 수 있다. 또한, 제2와이어(12)는 제2와이어 서포트(215)에 의해 지지되고, 와이어 가이드(213)의 상단부를 경유할 수 있다.
케이스(230)는 와이어(10)가 출입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230)는 제1와이어(11)가 출입하도록 마련되는 제1상부홀(232)과 제2상부홀(23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230)는 제2와이어(12)가 출입하도록 마련되는 제1하부홀(234)과 제2하부홀(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11)는 제1상부홀(232)을 통과하여 제1와이어 서포트(214)에 지지되고, 와이어 가이드(213)의 하단부를 경유한 후 제2상부홀(233)을 통과할 수 있다.
제2와이어(12)는 제1하부홀(234)을 통과하여 제2와이어 서포트(215)에 지지되고, 와이어 가이드(213)의 상단부를 경유한 후 제2하부홀(235)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1와이어(11)가 락킹유닛(100)에 의해 감기면, 가이드 레버(210)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와이어(12)가 락킹유닛(100)에 의해 감기면, 가이드 레버(210)는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고, 제2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
가이드 레버(210)가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블록(210)은 삽입홀(211)로부터 멀어지도록 슬라이딩할 수 있다. 반대로, 가이드 레버(21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이드 블록(210)은 삽입홀(211)을 향해 슬라이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마운팅유닛(200)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11)와 제2와이어(1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가이드 블록(220)이 가이드홈(212)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이에 따라 삽입홀(211)의 크기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마운팅유닛(200)은 도어패널(30)과 결합하거나 결합해제 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220)은 가이드홈(212)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돌기(22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21)는 대략 원기둥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21)는 가이드홈(212)에 삽입되어 가이드홈(212)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가이드 돌기(221)가 가이드홈(212)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가이드 블록(220)은 가이드 돌기(221)와 함께 가이드홈(212)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서, 마운팅유닛과 도어패널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서, 마운팅유닛과 도어패널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서, 마운팅유닛과 도어패널이 결합해제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패널(30)은 도어패널(3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볼트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의 도어패널(3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어패널(30)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마운팅유닛(200)은 볼트부(31)와 결합하거나 결합해제 될 수 있다. 삽입홀(211)은 볼트부(31)가 통과하기에 충분한 크기이므로, 가이드 블록(220)이 삽입홀(211)의 크기를 줄이지 않은 상태에서는 볼트부(31)가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다. 하지만, 락킹유닛(100)을 통해 제1와이어(11) 또는 제2와이어(1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마운팅유닛(200)의 가이드 레버(210)가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 블록(220)이 삽입홀(21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가이드 레버(21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블록(220)이 가이드홈(212)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삽입홀(211)의 크기를 줄이게 되면, 볼트부(31)는 삽입홀(211)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즉, 마운팅유닛(100)과 볼트부(31)는 결합된다. 이 때, 삽입홀(211)의 크기를 줄이는 방향으로 가이드 레버(210)를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복수의 가이드 블록(220)이 볼트부(31)를 조이는 힘이 강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마운팅유닛(100)과 볼트부(31)의 결합력이 강해질 수 있다.
반대로, 가이드 레버(21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블록(220)이 가이드홈(212)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삽입홀(211)의 크기가 늘어나게 되면, 볼트부(31)는 다시 삽입홀(211)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즉, 마운팅유닛(100)과 볼트부(31)의 결합이 해제된다.
상기한 과정은 도 9 및 도 10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220)이 삽입홀의 크기를 줄인 경우, 마운팅유닛(200)과 도어패널(30)은 결합하게 된다. 이와 달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220)이 삽입홀의 크기를 늘린 경우, 마운팅유닛(200)과 도어패널(30)의 결합은 해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에서, 가이드블록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블록(220)은 가이드 돌기(221)와 레일돌기(222) 및 레일돌기(222)의 후면에 마련되는 레일홈(223)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돌기(222)는 가이드 돌기(221)의 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레일홈(223)과 가이드 돌기(221)는 가이드 블록(220)의 일면에 마련될 수 있고, 레일돌기(222)는 상기 일면의 반대 면인 타면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블록(220)은 복수의 가이드 블록(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블록(220)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가이드 블록(220a)과, 제2가이드 블록(2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 블록(220a)의 레일돌기(222a)는 제2가이드 블록(220b)의 레일홈(223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가이드 블록(220) 각각은 인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블록(220)들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복수의 가이드 블록(220)은 가이드 레버(210)의 회전에 의해 각각 별개로 가이드홈(212)을 따라 슬라이딩하지 않고, 함께 슬라이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가이드 블록(220)은 가이드 레버(210)가 도어패널(30)과 결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어패널(30)의 볼트부(31)에 전(全) 방향으로 일정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블록(220)이 볼트부(31)를 조이는 힘이 삽입홀(211)의 중심에서 어긋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마운팅유닛(200)과 도어패널(30)이 결합하는 경우, 도어패널(30)의 볼트부(31)가 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와이어 11 : 제1와이어
12 : 제2와이어 20 : 도어트림
30 : 도어패널 31 : 볼트부
100 : 락킹유닛 200 : 마운팅유닛
210 : 가이드 레버 220 : 가이드 블록
230 : 케이스 240 : 커버

Claims (11)

  1. 폐루프 형태로 마련되는 와이어;
    차량의 도어트림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선택적으로 감거나 풀도록 마련되는 락킹유닛;
    상기 도어트림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차량의 도어패널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도록 마련되는 마운팅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유닛은,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가이드 레버와,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도어패널과 결합 또는 결합해제 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삽입홀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 각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가이드 블록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버는 상기 와이어가 경유하도록 마련되는 와이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각각 별개의 폐루프를 형성하고, 각각 상기 와이어 가이드를 경유하도록 마련되는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가 감기면, 상기 가이드 레버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와이어가 감기면, 상기 가이드 레버는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버가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삽입홀을 향해 슬라이딩하여 상기 도어패널과 결합하고,
    상기 가이드 레버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삽입홀로부터 멀어지도록 슬라이딩하여 상기 도어패널과 결합해제 되도록 마련되는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록은 레일돌기와, 상기 레일돌기의 후면에 마련되는 레일홈을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 블록은 제1가이드 블록과, 상기 제1가이드 블록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가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 블록의 상기 레일돌기는 상기 제2가이드 블록의 상기 레일홈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유닛은, 상기 가이드 레버와 상기 가이드 블록을 수용하고, 상기 가이드 블록이 상기 가이드 레버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KR1020160172939A 2016-12-16 2016-12-16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KR102531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939A KR102531098B1 (ko) 2016-12-16 2016-12-16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US15/604,423 US10065578B2 (en) 2016-12-16 2017-05-24 Door trim coupling device for a vehicle
CN201710448430.3A CN108202675B (zh) 2016-12-16 2017-06-14 用于车辆的车门饰板接合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939A KR102531098B1 (ko) 2016-12-16 2016-12-16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788A true KR20180070788A (ko) 2018-06-27
KR102531098B1 KR102531098B1 (ko) 2023-05-11

Family

ID=6255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939A KR102531098B1 (ko) 2016-12-16 2016-12-16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65578B2 (ko)
KR (1) KR102531098B1 (ko)
CN (1) CN1082026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9039B1 (en) 2016-02-04 2023-05-02 Maurice Paperi Matching pieces and kits for repairing broken structures and related methods
US11148578B2 (en) * 2018-03-25 2021-10-19 Maurice Paperi Universal mounting tabs and kits for automotive components
CN114043858A (zh) * 2021-12-15 2022-02-15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门护板安装结构、安装方法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4652A (ja) * 2001-02-27 2002-09-1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自動車のドアモジュール
CN101804614A (zh) * 2010-02-08 2010-08-18 浙江三鼎工具有限公司 大扭矩的螺丝刀棘轮装置
CN104555553A (zh) * 2014-12-24 2015-04-29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绕线锁止装置
KR101575508B1 (ko) * 2014-07-29 201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트림 체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9558B1 (en) 1997-08-22 2001-09-18 Boa Technology, Inc. Footwear lacing system
US20060156517A1 (en) 1997-08-22 2006-07-20 Hammerslag Gary R Reel based closure system
US7591050B2 (en) 1997-08-22 2009-09-22 Boa Technology, Inc. Footwear lacing system
US20080060167A1 (en) 1997-08-22 2008-03-13 Hammerslag Gary R Reel based closure system
CH692212A5 (fr) * 1998-05-08 2002-03-15 Dominique Leuba Dispositif d'assemblage d'une structure démontable faite d'éléments préfabriqués perforées.
KR101553243B1 (ko) 2006-09-12 2015-09-15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지지대, 보호복 및 유사한 물품을 위한 잠금 시스템
CN201455330U (zh) * 2009-07-17 2010-05-12 中国航天科技集团公司长征机械厂 凸轮式定心夹紧卡盘
US20130111816A1 (en) * 2011-11-07 2013-05-09 Shiroki Corporation Window regulator for vehicle
CN105235606B (zh) * 2015-10-20 2017-11-0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a柱下饰板
CN105736540B (zh) * 2016-05-09 2018-03-23 广东工业大学 一种固定装置
CN205578445U (zh) * 2016-05-12 2016-09-14 福建宁德核电有限公司 一种轴向锁紧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4652A (ja) * 2001-02-27 2002-09-1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自動車のドアモジュール
CN101804614A (zh) * 2010-02-08 2010-08-18 浙江三鼎工具有限公司 大扭矩的螺丝刀棘轮装置
KR101575508B1 (ko) * 2014-07-29 2015-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트림 체결장치
CN104555553A (zh) * 2014-12-24 2015-04-29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绕线锁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1098B1 (ko) 2023-05-11
CN108202675A (zh) 2018-06-26
US20180170282A1 (en) 2018-06-21
CN108202675B (zh) 2022-04-29
US10065578B2 (en)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0788A (ko)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JP6412951B2 (ja) 自動車電池クランプ装置
US8973644B2 (en) Rollable screen assembly
JP6419571B2 (ja) 自動車のドアトリム締結装置
KR102406128B1 (ko) 차량용 체결 클립 및 그 장착 방법
US20160250889A1 (en) Hard wheel cover
US8555550B2 (en) Window regula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a window regulator
RU2011152862A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екции фюзеляжа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CN108883800B (zh) 自行车刹车锁定装置及具备该自行车刹车锁定装置的自行车刹车组装件
KR102531101B1 (ko) 차량의 도어트림 결합장치
DE212022000245U1 (de) Lastenträger, etwa ein Fahrradträger
CN105775103A (zh) 用于封闭结构上的开口的门和飞行器
EP3835142A1 (en) A wheel clamp for a vehicle
JP2003267160A (ja) ワイヤハーネスの車体取付構造
CN104554134A (zh) 一种安全带装置及安全带卷收器
US20200346576A1 (en) Pivotal Tie-Down
KR100835572B1 (ko) 스페어 타이어 고정용 벨트 타입 캐리어
KR102048781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자전거 브레이크 장치
KR101755191B1 (ko) 구조적인 안전성과 제작편의성을 갖는 자력을 이용한 화물차용 벨트 텐셔너
US8042429B2 (en) Control switch
KR100835571B1 (ko) 스페어 타이어 고정용 와이어 타입 캐리어
CN203476980U (zh) 一种快速拆卸安装装置
EP3985215B1 (en) Hood lock device
KR102121597B1 (ko) 비상용 급브레이크 장치
KR102047838B1 (ko) 잠금 기능을 갖는 자전거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