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185A - 자가-치유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름 - Google Patents

자가-치유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185A
KR20180065185A KR1020160165688A KR20160165688A KR20180065185A KR 20180065185 A KR20180065185 A KR 20180065185A KR 1020160165688 A KR1020160165688 A KR 1020160165688A KR 20160165688 A KR20160165688 A KR 20160165688A KR 20180065185 A KR20180065185 A KR 20180065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group
polysilsesquioxane
formula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상
홍순만
구종민
백경열
이성수 알버트
조영열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5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5185A/ko
Priority to US15/833,400 priority patent/US10400070B2/en
Publication of KR20180065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77/2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nitr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4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only polysiloxane 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4Dynamic membranes
    • B01D69/141Heterogeneous membranes, e.g. containing dispersed material; Mixed matrix membranes
    • B01D69/148Organic/inorganic mixed matrix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0Polymers hav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0Polymers hav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702Polysilsesquioxanes or combination of silica with bridging organosilane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76Macromolecular material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B01D71/08 - B01D71/7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09D1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0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4Mechanical properties, e.g.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43Specific optical properties
    • B01D2325/44Specific light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specif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2Inorganic material
    • B01D71/024Oxides
    • B01D71/027Silic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8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83/04Polysiloxanes
    • C08J23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021/359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using FT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44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G01R33/46NMR spectroscop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치유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른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가교 반응이 진행된 이후에 10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수분 이내로 자가-치유(self-healing)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자가-치유 기능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소재인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하이브리드 필름은 자가-치유 특성을 나타내어, 외부 손상으로 인한 원상 복구 능력이 뛰어나므로 기체 분리막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제한 없이 응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자가-치유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름{Self-healing polysilsesquioxanes and hybrid fil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가-치유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름에 관한 것이다.
가교 고분자 물질은 기계적 물성, 열적 안정성, 내용제성 등이 우수하여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고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가교 고분자 물질은 지속적인 힘과 외부 작용에 의한 예기치 못한 기계적 손상에 민감하여 재사용에 있어서 수명이 제한적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물질로 자가 치유(self-healing) 고분자 재료를 개발 하는 것이 신기술로써 주목 받고 있다. 자가 치유 고분자는 크게 1) 외적 자가-치유 고분자(Extrinsic self-healing polymer)와 2) 내적 자가-치유 고분자(Intrinsic self-healing polymer)로 나뉠 수 있다. 외적 자가-치유 고분자는 healing 첨가제가 직접 주입되어 자가 치유를 이루고, 내적 자가-치유 고분자는 물질의 화학적 결합을 이용해서 자가 치유 할 수 있다.
특히, 내적 자가-치유 고분자 제조에 있어 온도를 이용하여 가교가 형성되고 풀림이 가능한 다이엘스-엘더 반응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다. 이미 많은 논문과 특허를 통해서 자가 치유 고분자 물질들이 제안되었고, 특히 유-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인 폴리실세스퀴옥산을 이용한 자가 치유 고분자 또한 많이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기존의 자가 치유 고분자 물질들은 다이엘스-엘더 반응에서 디엔(diene), 디에노필(dienophile) 각각의 두 가지 물질의 합성물로서 블렌딩 과정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혼화성에서의 한계와 나노스케일로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또한, 필름 표면의 불균일성, 낮은 투명성, 불완전한 가교, 및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갖는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32765호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가-치유(self-healing)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제조하고, 상기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기체 분리막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가-치유 기능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단,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R7R8이고,
상기 R7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며,
상기 R8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OR9, 디엔을 포함하는 유기관능기, 및 디에노필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R9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아크릴기, 에폭시기, 및 에폭시사이클로헥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x= 1-10,000, y= 1-10,000, z= 1-10,0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8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가교 반응이 진행된 이후에 10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수분 이내로 자가-치유(self-healing)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디엔과 디에노필이 공중합체 내에 함께 도입되어 단일 소재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자가-치유 기능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필름과 같은 하이브리드 소재에 적용시킬 경우, 내열성, 기계적 강도, 광투과도, 용해도 및 가공성의 물성이 현저히 향상되므로, 기체 분리막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또는 자동차의 코팅 소재로도 폭넓게 응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7의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1H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29Si NMR(Nuclear Magnetic Resonance)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7의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FT-IR(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8 내지 11의 하이브리드 필름을 TGA(Thermogravimetry Analyzer)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8 내지 11의 하이브리드 필름을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시예 8 내지 11의 하이브리드 필름에 대한 투명성을 UV-vis(Ultraviolet-visible spectroscopy)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8 내지 11의 하이브리드 필름에 열을 가하여 경화시킨 후의 필름을 FT-IR로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XRD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8 내지 11의 하이브리드 필름에 대한 열적 가역성 자가-치유(self-healing) 전과 후의 스크래치 테스트(scratch test)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0은 실시예 1 내지 4의 하이브리드 필름에 대한 열적 가역성 자가-치유 전과 후의 Nanoindentation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a)와 (b)는 스크래치 전의 물성을 나타내고, (c)와 (d)는 스크래치 후의 물성을 나타낸다.
도 11은 실시예 12 내지 14의 하이브리드 필름에 대한 경화 전(Before UV-Curing)과 1차 광경화 후(After UV-Curing)의 FT-I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a) 실시예 12, (b) 실시예 13, (c) 실시예 14를 나타낸다.
도 12는 실시예 12 내지 14의 하이브리드 필름에 대한 1차 광경화 후(After UV-Curing), DA 가교 후(After UV-Curing & DA) 및 rDA 후(After UV-Curing & rDA)의 FT-I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a) 실시예 12, (b) 실시예 13, (c) 실시예 14를 나타낸다.
도 13은 실시예 12 내지 14의 하이브리드 필름에 대한 1차 광경화 후 필름의 열적 가역성(self-healing) 전(a-c)과 후(d-f)의 스크래치 테스트(scratch test) 결과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14는 실시예 12 내지 14 하이브리드 필름에 대한 경화 전(As Cast), 1차 광경화 후(After UV-Curing) 및 2차 열적 가역성 자가-치유 후(After UV-Curing & DA)의 Nanoindentation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가-치유 기능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단,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R7R8이고,
상기 R7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며,
상기 R8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OR9, 디엔을 포함하는 유기관능기, 및 디에노필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R9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아크릴기, 에폭시기, 및 에폭시사이클로헥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x= 1-10,000, y= 1-10,000, z= 1-10,000의 정수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R1과 R2는 서로 동일하고 디엔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이고, 상기 R3와 R4는 서로 동일하고 디에노필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이며, 상기 R5와 R6는 -R7R8인 것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R7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고, 상기 R8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또는 -OR9인 것으로, 상기 R9는 아크릴기, 에폭시기, 또는 에폭시사이클로헥실인 것이다.
상기 디엔(diene) 또는 디에노필을(dienophile)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에 열이 가해지면 다이엘스-엘더 반응(Diels-Alder reaction)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다이엘스-엘더 반응은 하기 반응식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어나며, 이러한 반응으로 인하여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에 열적 가역성(thermal reversibility)을 갖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반응식 1]
Figure pat00003
즉,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디엔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와 디에노필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가 다이엘스-엘더 반응을 형성하여 일정한 온도 범위에서 가교 결합된 공중합체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내의 디엔 그룹에 디에노필 그룹이 다이엘스-엘더 반응으로 인하여 가교결합(crosslinking)을 형성하고, 가역 반응인 레트로 다이엘스-엘더 반응(Retro Diels-Alder reaction)으로 인하여 가교결합이 풀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엔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고, 상기 디에노필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화학식 3]
Figure pat00005
상기 화학식 2 내지 3에서 R1 내지 R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30의 측쇄 또는 분쇄형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거나, 탄소수 3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이고, 상기 치환은 아민기 또는 하이드록실기의 작용기로 치환된 것이다. 상기 화학식 2 내지 3의 R1 내지 R6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은 트리알콕시실란기로 치환되어 실세스퀴옥산 중합 단량체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2 내지 3에서 R1 내지 R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인 것으로, 이는 자가-치유 기능이 급격히 빨라져 수분 이내로 반응이 일어나게 하는데 효과적이며, 상기 작용기가 아닌 다른 종류의 경우에는 수 시간대로 자가-치유 기능이 현저히 느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수평균분자량(Mn)이 100 내지 100,000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가 필름화하기 어려운 물성을 나타내어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사다리형(LPSQ, ladder type polysilsesquioxane)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조는 구조적으로 안정하여 열 안정성이 높고, 유기 용매와의 높은 상용성을 나타내어 유-무기 복합재료로써 장점을 갖는다.
만일,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가 바구니형(POSS, polyhedral silsesquioxane)인 경우에는 저분자 형태로써, 결정성을 가지므로 필름화하기 어렵고 저하된 물성을 나타내어 산업적으로 응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폴리실시스퀴옥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1a-1g) 중에 하나의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06
[화학식 1b]
Figure pat00007
[화학식 1c]
Figure pat00008
[화학식 1d]
Figure pat00009
[화학식 1e]
Figure pat00010
[화학식 1f]
Figure pat00011
[화학식 1g]
Figure pat00012
이로써, 상술한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8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가교 반응이 진행된 이후에 10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수분 이내로 자가-치유(self-healing)가 이루어지며, 이는 후술하는 실시예 및 도 9와 10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일 구현예에 따르면, 하기 반응식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리알콕시실록산 단량체, 디엔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 물질 및 디에노필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를 20 내지 30 ℃의 온도에서 50 내지 150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에 정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at00013
또한,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트리알콕시실록산 단량체, 유기 용매, 물 및 촉매를 포함하는 함수 유기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함수 유기용액 중에서 유기 용매의 양 또는 함수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통해 사다리형이 아닌 다른 구조 형태의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로부터 선택적으로 합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필름이 개시된다. 상기 하이브리드 필름(두께 1 nm 내지 500 ㎛)은 500 내지 800 nm의 파장에서 80 내지 100% 광투과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하이브리드 소재로서 디스플레이 또는 자동차의 코팅소재로도 폭넓게 응용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또한,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중에서 광경화가 가능한 유기 관능기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필름은 일차적인 광경화 공정을 통해 고강도의 열경화성 하이브리드 필름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이 개시된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실시예 1: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의 합성(LPCSQ55))
a) 증류수 1.2 g에 촉매인 탄산칼륨 0.01 g을 미리 용해시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 g과 균일하게 20분 동안 교반하여 준비하였다.
b) 디엔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 물질로 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피롤(N-(3-Trimethoxysilylpropyl)pyrrole, Abcr, 95%) 0.04 mol과 디에노필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 물질로 2-(3-사이클로헥세닐)에틸트리메톡시실란(2-(3-Cyclohexenyl)ethyltrimethoxysilane, Abcr, 97%) 0.04 mol을 미리 준비하여 둔 상기 a)의 용액에 적가한 후 교반하였다. 적가가 완료 후부터 25 ℃의 온도에서 96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정제 방법으로는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톨루엔, 자일렌 등 물과 섞이지 않으며, 폴리실세스퀴옥산계 물질을 녹일 수 있는 용매들을 사용하여 분별 증류의 방법으로 정제함으로써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을 합성하였다.(단, Mw = 13,000 (polystyrene 기준), yield = 95%)
[화학식 1a]
Figure pat00014

(실시예 2: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의 합성(LPrPCSQ244))
a)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b)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propyltrimethoxysilane) 0.016 mol, N-(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피롤 0.032 mol, 및 2-(3-사이클로헥세닐)에틸트리메톡시실란 0.032 mol을 미리 준비하여 둔 상기 a) 용액에 적가한 후 교반하였다. 적가가 완료 후부터 25 ℃의 온도에서 96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한고, 반응이 완료된 후에는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톨루엔 및 자일렌 등의 물과 섞이지 않으며 폴리실세스퀴옥산계 물질을 녹일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하여 분별 증류의 방법으로 정제함으로써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을 합성하였다.(단, Mw = 23,000 (polystyrene 기준), yield = 95%)
[화학식 1b]
Figure pat00015

(실시예 3: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의 합성(LHPCSQ244))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대신에 헥실트리메톡시실란(hexyltrimethoxysilane)을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1c로 표시되는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을 합성하였다.(단, Mw = 11,000 (polystyrene 기준), yield = 95%)
[화학식 1c]
Figure pat00016

(실시예 4: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의 합성(LDPCSQ244))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대신에 도데실트리메톡시실란(dodecyltrimethoxysilane)을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1d로 표시되는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을 합성하였다.(단, Mw = 11,000 (polystyrene 기준), yield = 95%)
[화학식 1d]
Figure pat00017

(실시예 5: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의 합성 (LPAPCSQ244))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대신에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을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1e로 표시되는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을 합성하였다.(단, Mw = 13,000 (polystyrene 기준), yield = 95%)
[화학식 1e]
Figure pat00018

(실시예 6: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의 합성 (LPGPCSQ244))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대신에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을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1f로 표시되는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을 합성하였다.(단, Mw = 12,000 (polystyrene 기준), yield = 95%)
[화학식 1f]
Figure pat00019

(실시예 7: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의 합성 (LPCEPCSQ244))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대신에 2-3-사이클로헥실에폭시에틸트리메톡시실란 (2-3-cyclohexylepoxyethyltrimethoxysilane)을 사용하여 하기 화학식 1g로 표시되는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을 합성하였다.(단, Mw = 10,000 (polystyrene 기준), yield = 95%)
[화학식 1g]
Figure pat00020

(실시예 8 내지 11: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름 제조)
실시예 1 내지 4의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50 wt%로 녹여 투명한 용액을 만든 후, 상기 용액을 유리 기판 위에 드롭 캐스팅(Drop-casting)하고 하루 동안 상온에서 건조시킨 다음, 추가로 2시간 동안 40 ℃의 온도에서 진공 건조를 실시하여 50 ㎛두께를 갖는 하이브리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내지 14: 경화시스템이 가능한 광경화/열적 자가치유 하이브리드 필름 제조)
(a) 2중 경화가 가능한 실시예 5 내지 7에 도입된 자가치유 가능한 실세스퀴옥산은 각각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50 wt%로 녹여 투명한 용액을 만든 후, 실시예 5(LPAPCSQ244)는 광개시제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Irgacure 184/Basf 사)를 고분자 대비 1wt%, 실시예 6(LPGPCSQ244) 및 실시예 7(LPCEPCSQ244)은 광개시제 (4-Methylphenyl) [4-(2-methylpropyl)phenyl] iodonium hexafluorophosphate(Irgacure 250/Basf 사)를 고분자 대비 3wt% 첨가하여 투명한 코팅액을 제조한다.
(b) 상기 용액을 유리 기판 위에 드롭 캐스팅(Drop-casting)하고 하루 동안 상온에서 건조시킨 다음, 추가로 2시간 동안 40 ℃의 온도에서 진공 건조를 실시하여 50 ㎛ 두께를 갖는 하이브리드 필름을 500 mJ/cm2 자외선 조사하여 2중 경화시스템이 가능한 광경화/열적 자가치유 하이브리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NMR, FT-IR 및 XRD 분석)
실시예 1 내지 7의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1H NMR, 29Si NMR 및 FT-IR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내지 3 및 8에 나타내었다.
도 1은 1H 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는 29Si NM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은 FT-IR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8은 XRD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a-g로 표시된 각 구조의 피크를 확인할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면 사다리형 구조를 갖는 alkyl-Si(OSi-)3의 피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7의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의 화학 작용기들을 나타내면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의 대표적인 2중 Si-O-Si 결합피크, n-pyrrole/ cyclohexenyl기를 나타나는 피크를 보여줬다. 도 8은 XRD 분석 결과로,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 고분자간 간격 또는 분자내 간격을 나타나며 LPrPCSQ244, LHPCSQ244 및 LDPCSQ244의 propyl, hexyl, dodecyl기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사다리형 실세스퀴옥산 고분자간 간격이 커짐을 증명한다.
(시험예 2: TGA 및 DSC 분석)
실시예 8 내지 11의 하이브리드 필름을 TGA 및 DSC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 및 5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4는 TGA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500 ℃ 이상에서 무게 손실이 하기 70 내지 80%대로 나타났으며, 800 ℃의 온도까지 약 40% 이상의 무게 손실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DSC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인 도 5에 따르면, Tg는 -50 내지 - 25 ℃의 온도로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하이브리드 필름의 투명성 분석)
실시예 8 내지 11의 하이브리드 필름의 투명성을 UV-vis 분광법(Ultraviolet-visible spectroscopy)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500 내지 800 nm에서 약 80 내지 100%의 광투과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스크래치 테스트를 통한 하이브리드 필름의 자가-치유 여부 분석)
실시예 8 내지 11의 하이브리드 필름에 대한 자가-치유 반응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하이브리드 필름을 90 ℃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다이엘스-엘더 반응을 통해 경화시킨 후, ~100 ㎛ 크기의 스크래치를 내주었다. 그리고, 자가-치유 여부를 광학현미경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9 및 10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경화된 하이브리드 필름을 FT-IR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 8 내지 11의 하이브리드 필름은 스크래치가 110 ℃의 온도에서 레트로 다이엘스-엘더 반응을 통해 5분 이내에 자가-치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2 내지 14의 하이브리드 필름을 30분 동안 100 ℃의 온도에서 경화시켜 DA(Diels-Alder reaction) 가교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그 이후에 의도적인 스크래치를 낸 후에 120 ℃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한 후, rDA(Retro Diels-Alder reaction)가 효과적으로 일어나 가교가 풀리는 현상을 FT-IR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3은 상기 자가-치유 열처리 조건으로 DA 가교 후에 낸 스크래치가 없어지는 것을 광학현미경으로 확인한 이미지 결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8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가교 반응이 진행된 이후에 10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수분 이내로 자가-치유(self-healing)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디엔과 디에노필이 공중합체 내에 함께 도입되어 단일 소재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자가-치유 기능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필름과 같은 하이브리드 소재에 적용시킬 경우, 내열성, 기계적 강도, 광투과도, 용해도 및 가공성의 물성이 현저히 향상되므로, 기체 분리막 이외에도 디스플레이 또는 자동차의 코팅 소재로도 폭넓게 응용이 가능하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가-치유 기능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화학식 1]
    Figure pat0002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서로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R7R8이고,
    상기 R7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며,
    상기 R8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OR9, 디엔을 포함하는 유기관능기, 및 디에노필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R9는 수소,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아크릴기, 에폭시기, 및 에폭시사이클로헥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x= 1-10,000, y= 1-10,000, z= 1-10,000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엔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고,
    상기 디에노필을 포함하는 유기 관능기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치유 기능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화학식 2]
    Figure pat00022

    [화학식 3]
    Figure pat00023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6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30의 측쇄 또는 분쇄형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이거나, 탄소수 3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이고,
    상기 치환은 아민기 또는 하이드록실기의 작용기로 치환되는 것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수평균분자량(Mn)이 100 내지 1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치유 기능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시스퀴옥산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중에 하나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치유 기능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화학식 1a]
    Figure pat00024

    [화학식 1b]
    Figure pat00025

    [화학식 1c]
    Figure pat00026

    [화학식 1d]
    Figure pat00027

    [화학식 1e]
    Figure pat00028

    [화학식 1f]
    Figure pat00029

    [화학식 1g]
    Figure pat00030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는 80 내지 100 ℃의 온도에서 가교 반응이 일어난 후에 100 내지 120 ℃의 온도에서 수분 이내로 자가-치유(self-heal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치유 기능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필름은 500 내지 800 nm의 파장에서 80 내지 100% 이상의 광투과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필름의 두께는 1 nm 내지 5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필름.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KR1020160165688A 2016-12-07 2016-12-07 자가-치유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름 KR20180065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688A KR20180065185A (ko) 2016-12-07 2016-12-07 자가-치유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름
US15/833,400 US10400070B2 (en) 2016-12-07 2017-12-06 Self-healing polysilsesquioxanes and hybrid fil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688A KR20180065185A (ko) 2016-12-07 2016-12-07 자가-치유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643A Division KR20180098198A (ko) 2018-08-23 2018-08-23 자가-치유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185A true KR20180065185A (ko) 2018-06-18

Family

ID=6224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688A KR20180065185A (ko) 2016-12-07 2016-12-07 자가-치유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00070B2 (ko)
KR (1) KR201800651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5996B (zh) * 2022-04-24 2022-12-16 华南理工大学 一种弹性体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6116235B (zh) * 2023-02-02 2023-08-01 中复新水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愈合功能的反渗透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536A (ko) * 2007-06-29 2009-01-12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실세스퀴옥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성형 재료, 밀봉재및 광소자 밀봉체
KR20090072405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실세스퀴옥산계 유무기 혼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그의 제조에 이용되는 기공 형성제를 포함하는 유기실란화합물과 그를 포함하는 절연막의 제조방법
KR100932765B1 (ko) 2008-02-28 2009-12-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이미드-폴리벤조옥사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KR20150121666A (ko) * 2014-04-18 2015-10-29 (주)휴넷플러스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1786B2 (ja) * 1990-11-22 1999-12-20 三菱電機株式会社 シリコーン樹脂組成物
JPH0955425A (ja) * 1995-08-10 1997-02-25 Mitsubishi Electric Corp 多層Al配線構造を有す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783709B2 (en) * 2002-07-10 2004-08-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elf-healing organosiloxane materials containing reversible and energy-dispersive crosslinking domains
US7858699B2 (en) * 2007-12-18 2010-12-28 Chung Yuan Christian University Thermally reversible composite material
TWI523914B (zh) * 2013-01-09 2016-03-01 Daicel Corp Hardened resin composition and hardened product thereof
KR101722395B1 (ko) * 2014-09-23 2017-04-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폴리머캡토계 실세스퀴옥산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폴리실세스퀴옥산의 제조방법
KR101695793B1 (ko) * 2014-10-21 2017-01-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을 이용한 기체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731495B1 (ko) * 2015-01-08 2017-04-2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폴리오르가노―실세스퀴옥산 및 파장변환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파장변환 시트
JP6856317B2 (ja) * 2015-02-20 2021-04-07 株式会社日本触媒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封止材
WO2016132889A1 (ja) * 2015-02-20 2016-08-25 株式会社日本触媒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封止材
US9901880B2 (en) * 2015-10-29 2018-02-2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arbon molecular sieve membranes based on fluorine-containing polymer/polysilsesquioxane blending precursor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4536A (ko) * 2007-06-29 2009-01-12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실세스퀴옥산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성형 재료, 밀봉재및 광소자 밀봉체
KR20090072405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실세스퀴옥산계 유무기 혼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그의 제조에 이용되는 기공 형성제를 포함하는 유기실란화합물과 그를 포함하는 절연막의 제조방법
KR100932765B1 (ko) 2008-02-28 2009-12-2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이미드-폴리벤조옥사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기체 분리막
KR20150121666A (ko) * 2014-04-18 2015-10-29 (주)휴넷플러스 폴리실세스퀴옥산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00070B2 (en) 2019-09-03
US20180155501A1 (en)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9629B2 (ja) 架橋性ケイ素化合物、その製造方法、架橋性組成物、シロキサンポリマー、シリコーン膜、該架橋性ケイ素化合物の原料となるケイ素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95793B1 (ko) 사다리형 폴리실세스퀴옥산을 이용한 기체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JP5442557B2 (ja) 光活性基を側鎖として有するはしご構造のポリシルセスキオキサ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6727337B2 (en) Low loss optical material
JP5246679B2 (ja) 架橋性シロキサンポリマー、シロキサン系の架橋性組成物及びシリコーン膜
JP2003531925A (ja) 脱水素縮合によるシリコーンの重合及び/又は架橋用の熱活性化触媒としての硼素誘導体の使用
JP2011190413A (ja) シロキサンポリマー架橋硬化物
Hsu et al. Synthesis of new star-shaped polymers with styrene− fluorene conjugated moieties and their multicolor luminescent ordered microporous films
JP6150157B2 (ja) 非線形光学活性コポリマー
KR20170095898A (ko) 음의 광탄성 상수를 갖는 중합체 물질
TW201522391A (zh) 含反應性聚矽氧化合物之聚合性組成物
KR20180065185A (ko) 자가-치유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름
KR101537144B1 (ko) 고굴절 조성물
KR20190065993A (ko) 자가-치유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름
KR20180098198A (ko) 자가-치유가 가능한 폴리실세스퀴옥산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필름
CN111601843B (zh) 交联剂化合物、包含其的光敏组合物和使用其的光敏材料
KR101728823B1 (ko) 폴리이미드 제조방법
CN110997842B (zh) 涂料树脂组合物和包含该涂料树脂组合物的固化产物作为涂层的涂膜
US20100330353A1 (en) Method for producing organic-inorganic hybrid thin film and organic-inorganic hybrid thin film
JP6066353B2 (ja) 有機非線形光学化合物を含むポリマー組成物
JP2001040094A (ja) エポキシ基含有シリコーン樹脂
CN109400927B (zh) 高透明阻燃聚乙烯醇薄膜及其制备方法
JPH04264130A (ja) アルキル置換ジフェニルポリシラ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4396139B2 (ja) シルセスキオキサン骨格を有するポリマーおよびその薄膜の形成方法
KR20010004486A (ko) 스마트 윈도우용 고분자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