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979A - 통신 시스템,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979A
KR20180064979A KR1020170160037A KR20170160037A KR20180064979A KR 20180064979 A KR20180064979 A KR 20180064979A KR 1020170160037 A KR1020170160037 A KR 1020170160037A KR 20170160037 A KR20170160037 A KR 20170160037A KR 20180064979 A KR20180064979 A KR 20180064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portable terminal
image forming
remote maintenance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시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04N1/00973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from a remote device, e.g. receiving via the internet instructions input to a computer termi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06Q30/015Providing customer assistance, e.g. assisting a customer within a business location or via helpdesk
    • G06Q30/016After-sa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71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 H04N1/32776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using an interactive, user-operated device, e.g. a computer terminal, mobi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 H04N2201/326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of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와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원격 보수가 행해지는 통신 시스템에서, 화상 형성 장치는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유닛을 갖고, 휴대 단말을 사용한 원격 보수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원격 보수가 가능하다고 판정되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는 휴대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 무선 단말을 통해 음성 데이터의 입력/출력을 행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COMMUNICATION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트러블에 대한 대처법이 복잡해짐에 따라, 유저가 제조자의 콜 센터에 질문하고, 회답을 얻는 것이 빈번히 행하여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08974호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트러블에 대처하는 처리를 신속하게 행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장치와 콜 센터 사이의 원격 보수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이 원격 보수 시스템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에서 트러블이 발생했을 때에, 콜 센터의 요원이 화상 형성 장치가 있는 현장을 방문하지 않아도, 원격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트러블을 해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수 요원의 이동에 요하는 시간이 절약되고, 트러블을 해결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보수 시스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유저는, PC 등의 화상 형성 장치 이외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그 화상 형성 장치의 통신 유닛을 이용해서 콜 센터와 통신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통신 유닛을 이용해서 콜 센터와 통신할 경우, 유저는, 화상 형성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음성 디바이스를 사용해서 콜 센터와 음성 통화해야 하고, 이 경우 유저는 음성 디바이스의 근처에 서 있어야 한다. 한편, 원격 보수 시스템에 따른 보수 동안, 유저는, 화상 형성 장치의 배면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유저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인쇄 작업을 입력하는 PC의 설정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유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음성 디바이스로부터 떨어져 있기 때문에, 콜 센터의 오퍼레이터와 대화를 계속할 수 없게 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양태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상술한 문제를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원격 보수 동안, 유저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떨어진 후에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에도, 유저가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정보 처리 장치의 오퍼레이터와 계속해서 통화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원격 보수가 실행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원격 보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원격 보수 제어 유닛;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유닛; 상기 원격 보수가 상기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1 판정 유닛; 및 상기 제1 판정 유닛에 의해 상기 원격 보수가 가능하다고 판정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원격 보수 제어 유닛을 통해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오퍼레이터는 상기 원격 보수 시에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유저와 통화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원격 보수를 받을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원격 보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원격 보수 제어 유닛;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유닛; 상기 원격 보수가 상기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1 판정 유닛; 및 상기 제1 판정 유닛에 의해 상기 원격 보수가 가능하다고 판정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원격 보수 제어 유닛을 통해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오퍼레이터는 상기 원격 보수 시에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유저와 통화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원격 보수를 제어하는 원격 보수 제어 유닛 및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유닛을 가지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원격 보수를 받도록 동작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보수가 상기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보수가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원격 보수 제어 유닛을 통해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오퍼레이터는 상기 원격 보수 시에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유저와 통화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원격 보수를 제어하는 원격 보수 제어 유닛 및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유닛을 가지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원격 보수를 받도록 동작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가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보수가 상기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보수가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원격 보수 제어 유닛을 통해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오퍼레이터는 상기 원격 보수 시에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유저와 통화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며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의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보수를 실시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의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항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되는 양태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관련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격 보수를 실시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원격 보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유저 환경(100)은 화상 형성 장치(101), 유저(106) 및 그 유저가 조작하는 휴대 단말(108)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콜 센터 환경(104)은, 오퍼레이터(107), 그 오퍼레이터(107)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정보 처리 장치)(103)를 포함하고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1)는 원격 조작 및 음성이나 동화상 통신 같은 원격 보수 기능을 갖는다. 단말 장치(103)는, 원격 보수시, 화상 형성 장치(101)의 통신 상대로서 동작한다. 중계 서버(102)는 HTTP 서버로서의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중계 서버(102)는, 화상 형성 장치(101)와 단말 장치(103) 사이의 중계부로서 작용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와 단말 장치(103)는 HTTP 클라이언트로서의 통신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HTTP에 따른 데이터 통신에서는, HTTP 클라이언트는 HTTP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에 POST/GET을 행함으로써 서로 데이터 통신을 실시한다. 이에 의해, HTTP 클라이언트는 사적 주소 영역 또는 FW(Firewall)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서로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1) 및 단말 장치(103)의 양자 모두는 음성 디바이스를 갖기 때문에, 유저(106)와 단말 장치(103)의 오퍼레이터(107)는 원격 보수시에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8)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등의 스마트 디바이스이며, 음성 통화용의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내장하고 있다.
인증 서버(109)는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1)와 단말 장치(103)가 중계 서버(102)에 접속할 때, 미리 인증 서버(109)에 의해 인증을 행함으로써 인증 토큰 정보를 취득해야 한다. URL 관리 서버(110)는 중계 서버(102)의 URL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1)와 단말 장치(103)가 중계 서버(102)에 접속하는 때에는, 그들은 미리 URL 관리 서버(110)로부터 중계 서버(102)의 URL을 취득한다. URL 관리 서버(110)를 사용하지 않고, 유저(106) 및 오퍼레이터(107)가 중계 서버의 URL을 미리 화상 형성 장치(101)와 단말 장치(103)에 설정해 두는 구성이어도 된다.
화상 형성 장치(101)와 단말 장치(103)는 각각 중계 서버(102)에 접속하지만, 중계 서버(102)는 양자 모두를 통신 상대로서 식별해야 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통신 상대를 식별하는 방법으로서, 접속 번호를 사용하는 방법을 채용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가 중계 서버(102)와 접속하면, 중계 서버(102)는 접속 번호를 발행한다. 단말 장치(103)가 중계 서버(102)에 접속하는 때에는, 이 접속 번호를 지정한다. 중계 서버(102)는, 접속 번호가 일치하는 두 개의 객체를 통신 상대로서 식별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접속 번호의 발행원으로서 주어지지만, 단말 장치(103)가 발행원이고, 화상 형성 장치(101)가 그 접속 번호로 지정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접속 번호는, 유저(106)와 오퍼레이터(107) 사이에서 전화나 전자 메일에 의해 별도로 전달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중계 서버(102)를 개재하여 HTTP을 사용해서 화상 형성 장치(101)와 단말 장치(103)가 통신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중계 서버(102)와의 통신에 HTTP 이외의 프로토콜을 사용하거나, 중계 서버(102)를 통하지 않는 직접 통신이 행해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하드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 CPU(202)는, ROM(203) 또는 하드 디스크(HDD)(205)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204)에 전개하고,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시스템 버스(206)에 접속되는 각종 디바이스에 대한 액세스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ROM(203)은 CPU(202)가 실행할 수 있는 제어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고 있다. RAM(204)은, 주로 CPU(202)의 주메모리, 워크 에리어 등으로서 기능하고, 증설 포트(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는 옵션 RAM에 의해 메모리 용량을 확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HDD(205)는, 프로그램, 각종 애플리케이션, 폰트 데이터, 유저 파일, 및 편집 파일을 기억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HDD(205)를 사용하지만, HDD(205) 이외에 SD 카드, 플래시 메모리 등을 외부 기억 장치로서 이용해도 된다. 스캐너 I/F(인터페이스)(201)는 스캐너(218)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입력을 제어한다. 프린터 I/F(207)는 프린터(219)에의 화상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한다. 조작 패널 I/F(208)은, 조작 패널(조작 유닛)(214)의 표시를 제어하며, 조작 패널(214)을 개재하여 유저로부터의 각종 설정 정보, 데이터 또는 지시의 입력을 제어한다. 화상 입력 I/F(209)는, 카메라 등의 화상 입력 장치(215)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의 입력을 제어한다. 아날로그 음성 입력/출력 I/F(210)는 아날로그 마이크로폰이나 스피커를 위한 단자를 구비하고, 아날로그 음성 입력/출력 장치(216)와의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한다. USB(Universal Serial Bus) I/F(211)은 USB 단자를 구비하고, USB를 지원하는 헤드셋 등의 USB 음성 입력/출력 장치(217)와의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한다. 유선 LAN I/F(212)은, 네트워크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고, 외부 장치와 통신(유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LAN I/F(213)은, 휴대 단말이나 PC 등의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아날로그 음성 입력/출력 장치(216) 및 USB 음성 입력/출력 장치(217)는 스피커 또는 마이크로폰 등의 음성 입력/출력 장치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각 기능 모듈은, CPU(202)가 ROM(203) 또는 HDD(205)로부터 RAM(204)에 전개된 제어 프로그램(모듈)을 실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01)에서 실현된다.
조작 제어 모듈(300)은 조작 패널(214)을 제어한다. 조작 제어 모듈(300)은, 조작 패널 I/F(208)을 개재해서 조작 패널(214)에 조작 메뉴를 표시하며, 유저로부터의 지시의 입력을 기다린다. 또한, 조작 제어 모듈(300)은, 조작 패널(214)에 의해 접수된 지시 내용의 상세를 다른 기능 유닛에 통지하고, 그 지시 결과를 조작 패널(214)에 표시한다. 기억 모듈(301)은, 다른 기능 모듈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지정된 데이터를 RAM(204) 혹은 HDD(205)에 기억시키거나, 혹은 RAM(204) 또는 HDD(205)로부터 기억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원격 보수 제어 모듈(302)은 원격 보수 기능을 제어한다. 원격 보수 제어 모듈(302)은, 유선 통신 제어 모듈(303)을 개재하여 중계 서버(102)와 HTTP 통신을 행하여, 음성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또는 원격 제어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원격 보수 제어 모듈(302)은, 음성 입력/출력 제어 모듈(307)을 개재하여 아날로그 음성 입력/출력 디바이스(216) 또는 USB 음성 입력/출력 디바이스(217)에 대하여 음성 데이터를 입력/출력한다. 음성 입력/출력 제어 모듈(307)의 구성에 대해서 후술한다. 또한, 원격 보수 제어 모듈(302)은, 조작 제어 모듈(300)을 통해 조작 패널(214)에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원격 보수 제어 모듈(302)은, 단말 장치(103)에 의해 촬영한 비디오 또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중계 서버(102)를 통해 수신하면, 수신된 비디오 또는 정지 화상 데이터를 조작 패널(214)에 표시하도록 조작 제어 모듈(300)에 요구한다. 이에 의해, 조작 제어 모듈(300)은, 조작 패널 I/F(208)을 통해, 조작 패널(214)에 비디오 또는 정지 화상을 표시한다. 원격 보수 제어 모듈(302)은, 또한 원격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작 제어 모듈(300)과 통신함으로써 원격 조작을 실행한다. 원격 제어 데이터의 일례는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프로토콜에 의해 통신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원격 보수 제어 모듈(302)은, VNC 프로토콜에 따라, 조작 제어 모듈(300)에 대하여 조작 명령을 송신한다. 이에 의해, 조작 제어 모듈(300)은, 그 송신된 조작 명령에 따라, 조작 패널 I/F(208)을 통해 조작 패널(214)에 대하여 조작을 행한다. 원격 보수 제어 모듈(302)에 의한 이 처리에 의해, 중계 서버(102)에 연결되는 단말 장치(103)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원격 보수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원격 보수 제어 모듈(302)은, 무선 통신 제어 모듈(304)을 통한 무선 통신에 의해, 음성 데이터를 휴대 단말(108)과 화상 형성 장치(101) 사이에서 입력/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106)는 휴대 단말(108)을 사용해서 콜 센터의 오퍼레이터(107)와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제1 무선 통신 모드와 제2 무선 통신 모드를 갖는다. 제1 무선 통신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1)가 휴대 단말(108) 등의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할 때에, 화상 형성 장치(101) 및 휴대 단말(108)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무선 통신을 행한다. 제1 무선 통신 제어 모듈(305)이 이 제1 무선 통신 모드를 제어한다. 제2 무선 통신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1)가 휴대 단말(108) 등의 외부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할 때, Wi-Fi Direct를 사용해서 직접 무선 통신을 행한다. 제2 무선 통신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1)가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8)과 통신할 때, 이들 중 하나가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고, 다른 것이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한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1)와 휴대 단말(108)은 무선 접속해서 직접 통신을 행한다. 제2 무선 통신 제어 모듈(306)이 이 제2 무선 통신 모드를 제어한다.
음성 입력/출력 제어 모듈(307)은, 음성 디바이스에 대해 음성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예는, ALSA(Advanced Linux Sound Architecture) 또는 OSS(Open Sound System)일 수 있다. 아날로그 음성 제어 모듈(308) 및 USB 음성 제어 모듈(309)은 음성 입력/출력 제어 모듈(307)의 일부로서 존재한다. 이들 제어 모듈에 의해,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입력/출력 I/F(210)에 의해 입력 및 출력할 수 있고, 또한 음성 데이터를 USB I/F(211)에 의해 입 및 출력할 수도 있다. 어느 것에 의해 I/F 입력 또는 출력이 행해질지는, 아날로그 음성 입력/출력 장치(216)와 USB 음성 입력/출력 장치(217) 중 어느 것이 먼저 대응하는 I/F에 장착되는지에 의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의 흐름도의 각 단계의 처리는, ROM(203) 또는 HDD(205)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CPU(202)가 RAM(204)에 전개해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먼저, 단계 S401에서, CPU(202)는, 조작 패널(214)을 통해, 유저(106)에 의해 원격 보수의 개시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지시가 입력되면, 처리는 단계 S402로 진행하고 원격 보수를 개시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처리는 단계 S401로 복귀한다. 단계 S402에서 원격 보수를 개시하면, 처리는 단계 S403로 진행하고, CPU(202)는, 아날로그 음성 입력/출력 장치(216) 및 USB 음성 입력/출력 장치(217) 중 어느 것이 장착되어 있는지, 즉 음성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403에서 음성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S404로 진행하고, CPU(202)는 장착된 아날로그 음성 입력/출력 장치(216) 혹은 USB 음성 입력/출력 장치(217)를 사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입력/출력하고, 처리는 단계 S405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S403에서 음성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S405로 진행한다.
단계 S405에서, CPU(202)는, 기억 모듈(301)에 의해 기억된 내용에 따라, "원격 보수시의 휴대 단말 사용" 설정이 "허가"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원격 보수시의 휴대 단말 사용"의 설정은 "허가" 또는 "비허가"일 수 있다. 이 설정은, 조작 패널(214)에 의해 미리 설정되고, 그 상세는 기억 모듈(301)에 의해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단계 S405에서 "허가"가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S406로 진행하지만, "허가"가 판정되지 않는 경우, 처리는 단계 S403로 진행한다. 단계 S406에서, CPU(202)는, 현재 동작하고 있는 무선 통신 모드가, 제1 무선 통신 모드인지, 또는 제2 무선 통신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다음에, 처리는 단계 S407로 진행하고, CPU(202)는, 단계 S406에서 확인한 무선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제어 모듈(제1 혹은 제2 무선 통신 제어부(305 혹은 306))에, 휴대 단말(108)로부터의 접속 대기 처리를 개시하도록 요구한다. 여기서, 휴대 단말(108)과의 통신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예로서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이나 HTTP일 수 있지만, 기타의 프로토콜일 수도 있다. 처리는 단계 S408로 진행하고, CPU(202)는 접속 대기하고 있는 어드레스의 정보를 조작 패널(214)에 표시한다. 이 어드레스 정보는 URL 형식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그것은 텍스트로서 표시될 수 있고 바코드 또는 QR 코드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이어서, 처리는 단계 S409로 진행하고, CPU(202)는 휴대 단말(108)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접속 요구를 받은 경우에는 처리는 단계 S410로 진행하고, CPU(202)는, 접속 요구를 받았을 때의 무선 통신 모드가 제1 무선 통신 모드(인프라스트럭쳐 모드) 또는 제2 무선 통신 모드(직접 무선 통신)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한편, 단계 S409에서 접속 요구를 받지 않은 경우, CPU(202)는 처리를 단계 S409로 복귀시킨다.
이때의 휴대 단말(108)의 조작에 관한 흐름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01)의 유저(106)는, 휴대 단말(108)의 Wi-Fi 설정 화면을 개방해서 Wi-Fi 액세스 포인트를 검색한다. 검색된 Wi-Fi 액세스 포인트가 유저 환경(100)의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되어 있는 Wi-Fi 액세스 포인트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제1 무선 통신 모드에서 접속하게 된다. 또한, 검색된 Wi-Fi 액세스 포인트가 화상 형성 장치(101)의 Wi-Fi 액세스 포인트인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1)는 제2 무선 통신 모드에서 접속하게 된다. 유저(106)는, 휴대 단말(108)에서, 검색된 Wi-Fi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접속을 위한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한다. 이에 의해, Wi-Fi 액세스 포인트는 패스워드를 검증하고, 그것이 올바르면 휴대 단말(108)과의 Wi-Fi 접속을 확립한다. 그리고 유저(106)는, 휴대 단말(108)로부터, 단계 S408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의 조작 패널(214)에 표시되어 있는 어드레스에 대하여 접속 조작을 한다. 예로서 SIP를 사용한 접속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106)는, 단계 S408에서 조작 패널(214)에 표시되어 있는 SIP의 URL 정보를, 휴대 단말(108)의 주소록에 등록한다. 그리고 유저(106)는, 휴대 단말(108)에 의해, SIP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등록한 SIP URL을 선택하고, 호출 조작을 실시한다. 이렇게 해서, 화상 형성 장치(101)는, 단계 S409에서, 휴대 단말(108)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검출하게 된다.
단계 S410에서, CPU(202)는, 제1 무선 통신 모드를 판정하면, 단계 S411로 처리를 진행시키고, 접속 허가의 입력을 재촉하는 화면을 조작 패널(214)에 표시하며, 처리는 단계 S412로 진행한다. 제1 무선 통신 모드에서는, 별도로 존재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복수의 외부 장치가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409에서 받은 접속 요구는, 접속이 요망되지 않은 외부 장치로부터의 것일 수 있다. 그로 인해, 제1 무선 통신 모드의 경우에는, 단계 S411에서 접속을 허가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화면을 조작 패널(214)에 표시하여 유저(106)가 판정하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단계 S410에서 CPU(202)가 제2 무선 통신 모드를 판정하면, 처리는 단계 S413으로 진행한다. 제2 무선 통신 모드는, 휴대 단말(108)과 화상 형성 장치(101)가 직접 접속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리고 단계 S409에서, 받은 접속이 휴대 단말(108)인 것을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의 허가 여부에 대한 유저의 판정은 불필요하다. 단계 S412에서, CPU(202)는, 조작 패널 I/F(208)을 통해 접속 허가가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접속 허가의 지시가 있으면 처리는 단계 S413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S409로 복귀한다.
단계 S413에서, CPU(202)는, 아날로그 음성 입력/출력 장치(216), 혹은 USB 음성 입력/출력 장치(217), 즉 음성 디바이스가 접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413에서 음성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S414로 진행하고, CPU(202)는 아날로그 음성 입력/출력 장치(216), 혹은 USB 음성 입력/출력 장치(217)에 대하여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정지시키고, 처리는 단계 S415로 진행한다. 이것은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음성 디바이스로부터 휴대 단말(108)로 전환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단계 S413에서 음성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S415로 진행한다.
단계 S415에서, CPU(202)는, 음성 데이터를 무선 통신에 의해 휴대 단말(108)에 대해 송신 및 수신하는 처리를 개시한다. CPU(202)가 휴대 단말(108)에 대해 음성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때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일례는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일 수 있다. 또한, 그것은 다른 프로토콜 이어도 된다. 다음에, 처리는 단계 S416로 진행하고, CPU(202)는 휴대 단말(108)로부터 통신의 단절 지시를 받은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러한 지시가 수신된 경우, 처리는 단계 S417로 진행하고, CPU(202)는 무선 통신에 의한 휴대 단말(108)과의 음성 데이터의 송신/수신을 정지시킨다. 한편, 단계 S416에서 단절 지시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S416로 복귀한다. 단계 S418에서, CPU(202)는, 아날로그 음성 입력/출력 장치(216) 혹은 USB 음성 입력/출력 장치(217), 즉 음성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음성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S419로 진행되고, CPU(202)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입력/출력 장치(216) 혹은 USB 음성 입력/출력 장치(217)를 사용하여 입력/출력한다. 한편, 단계 S418에서 음성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면, CPU(202)는 단계 S419의 처리를 스킵하고, 이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101)는, 휴대 단말(108)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받으면,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 대상을 휴대 단말(108)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1)의 유저(106)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장소로부터 떨어진 후에도, 오퍼레이터(107)와의 음성 통화를 계속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1)는, 휴대 단말(108)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은 때에, 불특정 다수의 외부 장치로부터 접속 요구를 받는 무선 통신 모드의 경우, 허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조작 패널(214)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입/출력이 의도되지 않는 외부 장치와의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1)는, 휴대 단말(108)로부터 통신의 단절 지시를 받은 경우에, 음성 데이터의 입력 출력 대상을 전환 전의 음성 디바이스로 복귀시킨다. 이에 의해, 유저(106)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음성 디바이스에 의한 음성 통화로 복귀하기를 원하는 경우, 유저(106)는 휴대 단말(108)로부터의 단절 처리를 행함으로써 원래의 음성 디바이스로 복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기술로서 Wi-Fi를 사용하는 구성이었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기술로서 페어링 조작이 필요한 Bluetooth(등록 상표)를 사용한 예에 의해 설명한다. 무선 통신기술로서는, 페어링 조작을 수반하는 것이라면, Bluetooth 이외의 것고 사용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1)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각 단계의 처리는, ROM(203) 또는 HDD(205)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을 CPU(202)가 RAM(204)에 전개해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도 5a의 단계 S501 내지 단계 S504의 처리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4a의 단계 S401 내지 단계 S404의 처리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505에서, CPU(202)는, 무선 통신에 의해 상대 단말과의 페어링이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페어링은, Bluetooth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서로 접속시키는 작업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1)가 마스터이고 휴대 단말(108)이 슬레이브인 구성이지만, 그 역 구성도 된다. 화상 형성 장치(101)가 마스터인 경우, 유저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조작 패널(214)에서 휴대 단말(108)을 선택함으로써 페어링을 행한다. 한편, 휴대 단말(108)이 마스터인 경우, 유저는 휴대 단말(108)의 UI 상에서 화상 형성 장치(101)를 선택함으로써 페어링을 행한다.
단계 S505에서, CPU(202)가 상대 단말과의 페어링이 실시되었다고 판정하면, 처리는 단계 S506로 진행하고, CPU(202)는 그 페어링이 휴대 단말(108)로부터 실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한편, 단계 S505에서 페어링이 실시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 S505로 복귀한다. 단계 S506에서, CPU(202)가 휴대 단말(108)로부터 페어링이 실시되었다고 판정하면, 처리는 단계 S507로 진행하지만, CPU(202)가 휴대 단말(108)로부터 페어링이 실시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처리는 단계 S509로 진행한다. 단계 S507 내지 단계 S511의 처리는 전술한 도 4a의 단계 S411 내지 단계 S415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512에서, CPU(202)는 페어링이 해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페어링의 해제는, 화상 형성 장치(101)로부터 실시될 수 있고, 또는 휴대 단말(108)로부터 실시될 수 있다. 단계 S512에서 페어링이 해제되었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S513로 진행하고, CPU(202)는, 도 4b의 단계 S417과 마찬가지로, 무선 통신에 의한 휴대 단말(108)과의 음성 데이터의 송신/수신을 정지시킨다. 한편, 단계 S512에서 페어링이 해제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처리를 단계 S512로 복귀한다. 단계 S514 내지 단계 S515의 처리는 도 4b의 단계 S418 내지 단계 S419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101)는, 페어링 조작을 수반하는 근접 무선 통신의 경우에도,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 대상을 휴대 단말(108)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1)의 유저(106)는, 화상 형성 장치(101)의 장소로부터 떨어진 후에도, 예를 들어 Bluetooth를 지원하는 헤드셋을 사용하여 오퍼레이터(107)의 음성 통화를 계속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1)는, 휴대 단말(108)로부터 페어링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는, 접속 허가를 확인하기 위한 화면을 조작 패널(214)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입력/출력이 의도되지 않는 외부 장치와의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라 칭할수도 있음)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를 판독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를 포함할 수 있고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판독 및 실행하기 위한 별도의 컴퓨터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화상 형성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와 상기 정보 처리 장치 사이에서 원격 보수가 실행되는 통신 시스템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상기 원격 보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원격 보수 제어 유닛;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유닛;
    상기 원격 보수가 상기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1 판정 유닛; 및
    상기 제1 판정 유닛에 의해 상기 원격 보수가 가능하다고 판정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원격 보수 제어 유닛을 통해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오퍼레이터는 상기 원격 보수 시에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유저와 통화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음성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접속 유닛; 및
    상기 음성 디바이스가 상기 접속 유닛을 통해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2 판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할 때 그리고 상기 음성 디바이스가 상기 접속 유닛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고 상기 제2 판정 유닛이 판정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접속 유닛을 통해 접속된 상기 음성 디바이스에 대한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정지시키는,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이, 복수의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것인지 또는 상기 휴대 단말과의 직접 통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3 판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무선 통신이 상기 제1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것이라고 상기 제3 판정 유닛이 판정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과의 접속을 위한 허가를 요구하기 위한 화면을 조작 유닛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유닛은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며, 상기 제2 무선 통신 유닛은 직접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페어링 조작에 따라 확립되었는지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한 페어링 조작에 따라 확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4 판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무선 통신이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한 페어링 조작에 따라 확립되었다고 상기 제4 판정 유닛이 판정하는 경우, 접속을 위한 허가를 요구하기 위한 화면을 조작 유닛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통신 시스템.
  6.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원격 보수를 받을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상기 원격 보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원격 보수 제어 유닛;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유닛;
    상기 원격 보수가 상기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1 판정 유닛; 및
    상기 제1 판정 유닛에 의해 상기 원격 보수가 가능하다고 판정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원격 보수 제어 유닛을 통해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오퍼레이터는 상기 원격 보수 시에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유저와 통화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음성 디바이스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접속 유닛; 및
    상기 음성 디바이스가 상기 접속 유닛을 통해 접속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2 판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할 때 그리고 상기 음성 디바이스가 상기 접속 유닛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고 상기 제2 판정 유닛이 판정하는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접속 유닛을 통해 접속된 상기 음성 디바이스에 대한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정지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이 복수의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제1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것인지 또는 상기 휴대 단말과의 직접 통신을 행하는 제2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3 판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무선 통신이 상기 제1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것이라고 상기 제3 판정 유닛이 판정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과의 접속을 위한 허가를 요구하기 위한 화면을 조작 유닛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통신 유닛은 인프라스트럭쳐 모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며, 상기 제2 무선 통신 유닛은 직접 무선 통신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페어링 조작에 따라 확립되었는지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한 페어링 조작에 따라 확립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제4 판정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무선 통신이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한 페어링 조작에 따라 확립되었다고 상기 제4 판정 유닛이 판정하는 경우, 접속을 위한 허가를 요구하기 위한 화면을 조작 유닛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원격 보수를 제어하는 원격 보수 제어 유닛 및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유닛을 가지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원격 보수를 받도록 동작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이며,
    상기 원격 보수가 상기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보수가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원격 보수 제어 유닛을 통해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오퍼레이터는 상기 원격 보수 시에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유저와 통화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12.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정보 처리 장치와의 원격 보수를 제어하는 원격 보수 제어 유닛 및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유닛을 가지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원격 보수를 받도록 동작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프로세서가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원격 보수가 상기 휴대 단말을 사용하여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보수가 가능한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통신 유닛에 의한 상기 휴대 단말과의 무선 통신을 확립하고, 상기 원격 보수 제어 유닛을 통해 음성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을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오퍼레이터는 상기 원격 보수 시에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유저와 통화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억 매체.
KR1020170160037A 2016-12-06 2017-11-28 통신 시스템,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201800649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37091 2016-12-06
JP2016237091A JP2018093433A (ja) 2016-12-06 2016-12-06 通信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979A true KR20180064979A (ko) 2018-06-15

Family

ID=62244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037A KR20180064979A (ko) 2016-12-06 2017-11-28 통신 시스템,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41519B2 (ko)
JP (1) JP2018093433A (ko)
KR (1) KR20180064979A (ko)
CN (1) CN1081562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144A (ko) * 2018-06-28 2021-03-04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기판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장치 및 메인터넌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1191B2 (ja) * 2016-12-15 2021-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619775B2 (ja) * 2017-06-28 2019-12-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60819B2 (ja) 2017-10-05 2021-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635934A (zh) * 2018-06-22 2019-12-31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远程管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JP7180141B2 (ja) * 2018-06-22 2022-11-30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遠隔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821A (ja) 1991-07-30 1993-03-12 Canon Inc データ転送方法
US7149936B2 (en) * 2002-09-30 2006-12-1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Interactive multimedia for remote diagnostics and maintenance of a multifunctional peripheral
JP2005094659A (ja) * 2003-09-19 2005-04-07 Canon Inc 画像通信装置
JP2005208974A (ja) 2004-01-23 2005-08-0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のヘルプシステム
US7236835B2 (en) * 2005-05-24 2007-06-26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Remote maintenance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enter device
JP2009505593A (ja) * 2005-08-22 2009-02-05 ウルトラ プロイズボドニャ エレクトロンスキー ナプラブ デー.オー.オー. 監視、保守およびサービスデータ交換用の端末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20070280200A1 (en) * 2006-05-31 2007-12-06 Patel Mehul B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oip client using a wireless personal-area-network enabled device
US8626152B2 (en) * 2008-01-31 2014-01-07 Agero Connected Sevices, Inc. Flexible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elematics to a vehicle
US8655417B2 (en) * 2008-03-21 2014-02-18 Pi-Fen Lin Video/audio playing apparatus with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and wireless video/audio transmission module thereof
JP5498134B2 (ja) 2009-11-25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892090B2 (en) * 2011-03-30 2014-11-1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System for providing voice communication
US9060053B2 (en) * 2012-02-21 2015-06-1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itigating denial of service attacks on call centers
JP2013183352A (ja) * 2012-03-02 2013-09-12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5838988B2 (ja) * 2013-03-28 2016-0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装置
US20160118036A1 (en) * 2014-10-23 2016-04-28 Elwh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ing a user of a hands-free intercommunication system
CA3036616A1 (en) * 2014-06-20 2015-12-20 Guest Tek Interactive Entertainment Ltd. Device pairing and login for different network services offered at hospitality establishment
KR20160091058A (ko) * 2015-01-23 201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412433B2 (ja) * 2015-01-30 2018-10-24 株式会社沖データ メンテナンスサポート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管理装置
JP6589449B2 (ja) * 2015-08-07 2019-10-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55921B2 (ja) * 2015-09-11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14813B2 (ja) * 2015-11-27 2020-07-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12686B1 (en) * 2016-03-30 2017-07-18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Printer diagnostics using external microphone
JP6824067B2 (ja) * 2017-02-27 2021-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4144A (ko) * 2018-06-28 2021-03-04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홀딩스 기판 처리 장치의 메인터넌스 장치 및 메인터넌스 방법
US11941105B2 (en) 2018-06-28 2024-03-26 SCREEN Holdings Co., Ltd. Maintenance device and maintenance method for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60002A1 (en) 2018-06-07
JP2018093433A (ja) 2018-06-14
US10341519B2 (en) 2019-07-02
CN108156214A (zh)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4979A (ko) 통신 시스템, 화상 형성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9319229B2 (en) Transmission terminal and method of transmitting display data
US98197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uetooth device management
EP32005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JP6512982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0624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mart device
JP2006238329A (ja) 接続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接続制御方法
US10404867B2 (en)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392971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20170023700A (ko) 스마트 기기의 라우터 액세스 방법,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3206374A1 (en) Terminal presence and availability management
JP2017147555A (ja) 情報端末、プログラム、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
US20180367758A1 (e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6062293B2 (ja)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68007B2 (ja) ウェアラブル端末、そ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803779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JP2014059720A (ja) リモート支援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7033538A (ja) 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情報処理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98614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of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101257025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확인 시스템
JP2016178355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825215B2 (ja) 電子機器、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処理制御方法
JP2019201322A (ja) 遠隔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CN111107241A (zh) 通信装置、通信装置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WO20180380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