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058A -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058A
KR20160091058A KR1020150011225A KR20150011225A KR20160091058A KR 20160091058 A KR20160091058 A KR 20160091058A KR 1020150011225 A KR1020150011225 A KR 1020150011225A KR 20150011225 A KR20150011225 A KR 20150011225A KR 20160091058 A KR20160091058 A KR 20160091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mobile devic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onnec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호진
심승섭
조정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1058A/ko
Priority to US15/000,271 priority patent/US20160219329A1/en
Priority to EP16152339.4A priority patent/EP3048855B1/en
Publication of KR2016009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45Network directories; Name-to-address mapping
    • H04L61/1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기반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외부장치의 통신 프로토콜 별 ID 정보를 등록 가능하게 마련된 저장부와;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 중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의 요청이 수신되면, 통신부가 외부장치와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수행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게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본 요청은, 제1프로토콜에 따른 제1ID 및 제1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프로토콜에 따른 제2ID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ID 및 제2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외부장치에 대한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자체적으로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외부장치에서 영상이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해당 영상신호를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수의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내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타 장치에 통신 접속하는 구조를 개선한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자체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거나, 또는 패널을 구비한 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이 처리된 영상신호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영상처리장치는 영상데이터를 처리 가능한 장치라면 영상을 표시 가능한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 및 패널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를 특히 디스플레이장치라고 지칭하며 그 예시로는 TV가 있고, 후자의 경우의 예시로는 셋탑박스(set-top box)가 있다.
기술의 발전 및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일반 가정에서도 영상처리장치는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는 복수의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단지 영상처리장치 뿐만 아니라 가전을 비롯한 다양한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모바일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모바일 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들은 케이블을 통해 상호간 통신 접속이 가능하지만, 케이블로 인한 사용의 불편함을 고려하여 근래에는 장치들이 상호간에 무선 방식으로 통신 접속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무선통신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수행되며, 각 장치는 사전에 약속된 다양한 프로토콜 중에서 하나 이상을 지원한다. 두 장치 사이에 무선으로 통신 접속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해당하는 두 장치가 각기 동일한 무선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하며, 해당 무선 프로토콜에 따른 페어링(pairing)이 완료되어야 한다. 페어링의 완료를 위해서는, 제1장치로부터의 통신 수락 요청에 대해, 제2장치의 사용자가 수락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그런데, 두 장치가 공통적으로 지원하는 무선 프로토콜이 복수일 경우도 있는 바, 제1장치가 제2장치에 통신 접속하는 방식이 한 가지의 무선 프로토콜인 것으로 한정할 수는 없다. 제1장치 및 제2장치 사이에서 제1방식의 프로토콜에 따른 페어링이 완료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제1장치가 제2장치에 대해 제2방식의 프로토콜로 통신 접속을 시도하면 해당 프로토콜에 대한 페어링이 다시 완료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제2장치의 사용자는 제2방식의 프로토콜 기반으로 제1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통신 수락 요청을 수락하는 절차를 수행하여야 하는 바,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기반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외부장치의 상기 통신 프로토콜 별 ID 정보를 등록 가능하게 마련된 저장부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 중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수행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게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요청은, 상기 제1프로토콜에 따른 제1ID 및 상기 제1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프로토콜에 따른 제2ID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ID 및 상기 제2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외부장치로부터의 어느 한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 요청에 대한 승인과정을 수행하면, 이후 동일한 외부장치로부터 타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 요청이 수신되더라도 반복적인 승인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바,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ID 및 상기 제2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저장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사용자가 상기 통신접속의 요청의 승인을 선택하도록 마련된 UI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UI를 통해 사용자의 승인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으로부터 추출한 상기 제1ID 및 상기 제2ID를 상기 저장부에 등록하고,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이로써, 등록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통신접속 요청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승인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UI를 통해 사용자가 승인하지 않는다는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외부장치의 통신접속 요청을 UI를 통해 용이하게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은, 상기 외부장치 및 상기 통신부 사이에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 모든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상기 외부장치의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장치가 지원 가능한 모든 프로토콜 중에서 어느 한 프로토콜에 대한 통신접속 승인과정을 수행하면, 나머지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자동으로 통신접속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블루투스, NFC(near-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하여 반복적인 사용자 승인과정을 생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 중 제1프로토콜에 따른 제1ID 및 상기 제1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프로토콜에 따른 제2ID를 포함하는,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ID 및 상기 제2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등록된 ID라고 판단되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의 요청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외부장치로부터의 어느 한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 요청에 대한 승인과정을 수행하면, 이후 동일한 외부장치로부터 타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 요청이 수신되더라도 반복적인 승인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바,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ID 및 상기 제2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저장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상기 통신접속의 요청의 승인을 선택하도록 마련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I 표시 단계는, 상기 UI를 통해 사용자의 승인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으로부터 추출한 상기 제1ID 및 상기 제2ID를 등록하고,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등록되지 않은 외부장치의 통신접속 요청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승인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I 표시 단계는, 상기 UI를 통해 사용자가 승인하지 않는다는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외부장치의 통신접속 요청을 UI를 통해 용이하게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청은, 상기 외부장치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 사이에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 모든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상기 외부장치의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장치가 지원 가능한 모든 프로토콜 중에서 어느 한 프로토콜에 대한 통신접속 승인과정을 수행하면, 나머지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자동으로 통신접속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UPNP, 블루투스, NF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대하여 반복적인 사용자 승인과정을 생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1영상처리장치와; 상기 제1영상처리장치로부터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 중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게 동작하는 제2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요청은, 상기 제1프로토콜에 따른 제1ID 및 상기 제1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프로토콜에 따른 제2ID를 포함하고, 상기 제2영상처리장치는, 통신부와; 상기 제1영상처리장치의 상기 통신 프로토콜 별 ID 정보를 등록 가능하게 마련된 저장부와; 상기 제1ID 및 상기 제2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1영상처리장치에 대한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허용하게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제1영상처리장치로부터의 어느 한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 요청에 대한 승인과정을 수행하면, 제2영상처리장치는 이후 동일한 제1영상처리장치로부터 타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 요청이 수신되더라도 반복적인 승인과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바,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OSI 모델의 각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서, 모바일 장치 및 TV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의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시스템에서 모바일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도 1의 시스템에서 TV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도 1의 시스템에서, TV가 모바일장치의 통신접속 요청에 따라서 통신접속을 수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도 1의 시스템에서, 모바일장치의 ID가 TV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 TV가 표시하는 UI의 예시도,
도 8은 도 1의 시스템에서, TV의 통신접속 관리체계의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시스템에서 모바일장치가 TV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TV에게 UPNP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의 통신접속을 요청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TV의 통신접속 관리체계의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의 포맷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로토콜 및 디바이스 ID를 정의한 예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가 TV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TV에게 UPNP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의 통신접속을 순차적으로 요청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가 TV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TV에게 와이파이 다이렉트 및 UPNP 기반의 통신접속을 순차적으로 요청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TV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서, 모바일장치가 TV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TV에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통신접속 및 UPNP 기반 통신접속을 순차적으로 요청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TV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2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서, TV가 모바일장치의 통신 접속을 승인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라서, TV가 모바일장치의 통신 접속을 승인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라서, TV가 모바일장치의 통신 접속을 승인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사항들을 참조하는 바,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와 같은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함을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거나 부가되는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은 각기 영상을 표시 가능한 모바일장치(100)와 TV(200)를 포함한다. 본 시스템(1)은 복수의 영상처리장치 또는 전자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바, TV(200) 및 모바일장치(100)는 이러한 영상처리장치 또는 전자장치의 다양한 구현 예시들 중 일부일 뿐이다. 시스템(1)을 구성하는 장치는 셋탑박스, 광학미디어 재생장치, 태블릿, 모바일 폰, 가전 등 다양한 종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간략하고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시스템(1)이 두 가지의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시스템(1)은 셋 이상의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하 실시예를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TV(200) 및 모바일장치(100)는 각기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해당 영상을 사용자(U)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TV(200) 및 모바일장치(100)는 각기 단독으로 동작할 수 있지만, 상호간의 데이터/신호 통신에 의해 두 장치가 연계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U)가 모바일장치(100)에서 시청하고 있던 영상을 TV(200)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실현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면 모바일장치(100)가 자체적으로 표시하는 영상의 데이터를 TV(200)에 전송하며 TV(200)가 모바일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미러링(mirroring)이 있다. 이 때에, 모바일장치(100)는 영상의 데이터 뿐만 아니라 영상의 재생시점 정보와 같은 부가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TV(200)는 모바일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부가정보를 참조하여, 영상이 모바일장치(100)에서 재생 종료된 시점부터 이어서 해당 영상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모바일장치(100)는 영상데이터를 TV(200)에 직접 전송하지 않고, 영상데이터의 주소 등과 같이 해당 영상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만을 TV(200)에 전송하는 컨텐츠 쉐어링(content sharing)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TV(200)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미도시)와 같은 제3의 장치로부터 해당 영상데이터를 취득하여 처리한다.
이와 같은 두 장치들(100, 200) 사이의 연계동작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전제되어야 하는 바, 하나는 두 장치들(100, 200)이 공통된 통신 방식을 지원해야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공통된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두 장치들(100, 200) 사이에 상호간을 인지하는 절차인 페어링이 완료된 상태이어야 한다. 즉, 모바일장치(100)가 TV(2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모바일장치(100) 및 TV(200)가 적어도 하나의 공통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하며, 이러한 통신 프로토콜 상에서 모바일장치(100) 및 TV(200) 사이에 페어링이 되어 있어야 한다.
만일 모바일장치(100) 및 TV(200) 각각이 지원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 중에서 공통된 프로토콜이 없다면, 모바일장치(100) 및 TV(200)는 상호간에 통신을 할 수 없다. 또한, 설사 양자간에 공통된 프로토콜이 있다고 하더라도, 페어링이 되어 있지 않으면 모바일장치(100) 및 TV(200)는 상호간에 데이터/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
프로토콜이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도록 사전에 정해놓은 규약이다. 프로토콜의 구체적인 기능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대략적으로 주소지정, 순서지정, 단편화, 재조합, 흐름제어, 연결제어, 오류제어, 캡슐화, 동기화, 다중화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프로토콜의 각 기능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소지정은 일 장치가 타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에 상대방의 이름을 지정하는 기능이다. 순서지정은 한번에 전송이 곤란한 큰 데이터를 일정한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함에 있어서, 각 단위 데이터를 순서에 맞게 전달하기 위한 기능이다. 단편화는 용량이 큰 데이터를 전송 단위에 맞춰 쪼개는 기능이다. 재조합은 쪼개진 데이터들을 원래대로 합치는 기능이다. 흐름제어는 전달할 데이터의 양 또는 속도를 제어하는 기능이다. 연결제어는 데이터 전송 시 연결 설정을 위한 구문, 의미, 시간 등을 제어하는 기능이다. 오류제어는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복원하는 기능이다. 캡슐화는 데이터 전송 시에 여러 가지 정보를 데이터에 추가시키는 기능이다. 동기화는 두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의 특정 정보값을 공유하는 기능이다. 다중화는 하나의 케이블에 여러 장치들이 동시에 통신하기 위한 기능이다.
이와 같이 프로토콜은 장치들 간의 통신을 위한 여러 기능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두 장치 사이에 공통된 프로토콜이 없다면 장치 사이의 네트워킹은 불가능하다.
현재 규정된 통신 프로토콜은 OSI 모델(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의 각 계층 별로 다양하게 마련되어 적용되고 있다. OSI 모델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로서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컴퓨터와 터미널 등에서 수행되는 통신 제어 기능은 물리적인 통신 회선의 제어에서부터 업무 처리의 종류에 의존하는 기능까지 여러 종류가 있다. 이 때문에 프로토콜을 규정할 때 통신 제어 기능을 여러 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각 계층마다 독립적인 프로토콜을 설계하는 기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법을 이용하여 통신기능을 7계층으로 분류하여 각 계층마다의 기능적인 정의에 적합한 표준화된 서비스 정의와 프로토콜을 규정한 사양을 OSI 모델이라고 한다.
이하, OSI 모델에 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OSI 모델(300)의 각 계층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SI 모델(300)은 다양한 프로토콜들을 기능별로 나눈 것으로서,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만을 사용하며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제공한다. OSI 모델(300)은 총 7개의 계층(310, 320, 330, 340, 350, 360, 370)을 포함하며, 각 계층(310, 320, 330, 340, 350, 360, 370)은 데이터 통신의 부문 별 기능을 수행한다.
OSI 모델(300)은 물리 계층(Physical layer)(310),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320),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330), 전송 계층(Transport layer)(340), 세션 계층(Session layer)(350),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360),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370)을 포함한다. 이 중에서 물리 계층(310)이 가장 하위 계층이며, 응용 계층(370)이 가장 상위 계층이다.
물리 계층(310), 데이터 링크 계층(320), 네트워크 계층(330)은 사용자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에 관한 사항으로, 어떤 한 사용자가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실어서 보내고자 하는 최종 행선지까지 데이터의 훼손 없이 보내는 문제를 다룬다. 전송 계층(340)은 전체의 메시지들이 안전하고 오류없이 네트워크 상에서 움직이는 기능을 수행하며, 하위 3개 계층(310, 320, 330) 및 상위 3개 계층(350, 360, 370)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세션 계층(350), 표현 계층(360), 응용 계층(370)은 사용자 또는 사용자 절차에 관한 규정, 즉 세션, 응용 프로그램, 포맷 등에 관하 사항들을 규정하고 정립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물리 계층(310)은 실제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적, 물리적 세부 사항들을 정의하며, 기계적 구조와 전기적 특성을 규정한다. 물리 계층(310)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비트를 전송하는 계층이며, 데이터 링크 개체 사이의 비트 전송을 위한 물리적 연결을 설정, 유지, 해제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물리 계층(310)에서 수행되는 중요 사항으로는, 물리적인 정보 전달 매개체에 대환 연결의 성립 및 종료, 여러 사용자들 사이의 통신 자원의 효율적 분배에 대한 관여,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변환 및 변조 등이 있다.
데이터 링크 계층(320)은 포인트 투 포인트(Point to Point) 간에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기 위한 계층으로, CRC 기반의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를 수행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320)은 네트워크 위의 개체들 간 데이터의 전달과, 물리 계층(310)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의 검색 및 수정에 필요한 기능적, 절차적 수단을 제공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320)의 대표적인 예시는 이더넷(Ethernet)이다. 이더넷은 LAN을 위해 개발된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로서, 특히 데이터 링크 계층(320)에서 MAC(media access control) 패킷과 프로토콜의 형식을 정의한다.
이더넷에서 정의하는 MAC 어드레스는 대부분의 네트워크 어댑터에 부여된 준 고유 식별자이다. 예를 들면, 두 개의 서로 다른 장치에 있는 랜카드는 서로 다른 MAC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으며, 하나의 장치 내에 복수의 네트워크 어댑터 또한 서로 다른 MAC 어드레스를 가진다. MAC 어드레스는 총 48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처음 24비트는 OUI(Organizational Unique Identifier) 제조업체의 식별코드 및 NIC 제조업체의 정보, 나중 24비트는 랜 카드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MAC 식별자 형식은 이더넷,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무선 네트워크 등 다양한 프로토콜에 적용된다.
네트워크 계층(330)은 여러 개의 노드를 거칠 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인 패킷 포워딩을 담당하는 계층으로서, 라우팅, 흐름제어, 세그멘테이션, 오류제어, 인터네트워킹 등을 수행한다. 라우터가 네트워크 계층(330)에서 동작하며, 대표적으로 인터넷 프로토콜(IP)이 네트워크 계층(330)에 해당한다.
전송 계층(340)은 양 끝단의 사용자들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전송 계층(340)은 시퀀스 넘버 기반의 오류 제어 방식을 사용하며, 특정 연결의 유효성을 제어한다. 전송 계층(340)의 주요 기능으로는 오류 검출 및 복구, 흐름제어, 중복검사 등이 있으며, 전송 계층(340)의 대표적인 예로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UDP(User Datagram Protocol) 등이 있다.
세션 계층(350)은 양 끝단의 응용 프로세스가 통신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세션 계층(350)은 통신하는 사용자들을 동기화하고, 오류 복구 명령들을 일괄적으로 다룬다. 세션 계층(350)의 주요 예시로는 HTTP, FTP, SMTP, POP 등이 있다.
표현 계층(360)은 네트워크의 데이터를 번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표현 계층(360)의 기능으로는 데이터 변환, 문자 코드 번역, 암호화 및 복호화 등이 있다.
응용 계층(370)은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연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한다. 응용 계층(370)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제공한 정보나 명령을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OSI 모델(300)의 각 계층은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바,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한 여러 전자장치들은 제조 단계에서 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3은 모바일장치(100) 및 TV(20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적용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의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 뿐만 아니라, 유선의 경우에도 응용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장치(100)는 TV(200)에 대해 와이파이,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블루투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모바일장치(100) 및 TV(200)는 각기 해당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모듈(미도시)를 탑재한다. 물론, 모바일장치(100) 및 TV(200)는 이상의 프로토콜 중에서 일부만을 지원할 수도 있고, 다른 프로토콜을 추가로 지원할 수도 있다.
이하, 각 프로토콜에 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와이파이는 IEEE 802.11 기반의 무선LAN 연결과 PAN/LAN/WAN 구성 등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이다. 와이파이는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모드인 경우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10)에 의해 중계되는 모바일장치(100) 및 TV(200) 사이의 무선통신을 제공한다. 와이파이는 IEEE 802.11n 기반인 경우에 최대 300Mbps 급의 전송속도를 보장한다.
액세스 포인트(10)는 외부 WAN(Wide Area Network)에 접속된 라우터(미도시)에 접속되며, 폐쇄되지 않은 공간 내에 소정 범위의 핫스팟(hot-spot)을 형성한다. 모바일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10)에 의한 핫스팟 내에 위치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10)에 무선으로 접속하며, 액세스 포인트(10)를 경유하여 TV(200)에 통신 접속할 수 있다. 신호 증폭을 위한 리피터(repeater)와 같은 장비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핫스팟의 범위가 확장될 수도 있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핫스팟의 범위는 넓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동하면서 와이파이 기반으로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만일 모바일장치(100)가 핫스팟을 벗어나면, 이는 모바일장치(100)가 액세스 포인트(10)에 접속 가능한 범위 밖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모바일장치(100)는 TV(200)에 통신 접속할 수 없다. 즉, 와이파이 프로토콜의 인프라스트럭쳐 모드 하에서는 무선 통신을 위해 액세스 포인트(10)가 필수적이다.
한편,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와이파이 기술에서 액세스 포인트(10)를 필요로 하지 않는, peer-to-peer(P2P) 방식의 프로토콜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으로, 모바일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10) 없이 다이렉트로 TV(200)에 통신 접속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대체로 장치 간 거리가 200m 범위 내에서 최대 250Mbps의 전송 속도를 보장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와이파이 기술 중에서 애드혹(ad-hoc) 관련 기술을 활용한다. 애드혹 네트워크는 고정된 유선망을 가지지 않고 이동 호스트(mobile host)로만 구성되는 통신망으로서, 유선망을 구성하기 어렵거나 또는 l망을 구성한 이후에 단시간 사용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해드혹 네트워크에서는 호스트의 이동에 제약이 없고 유선망 및 기지국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빠른 망 구성과 저렴한 비용의 장점이 있다.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이동 노드는 단지 호스트가 아니라 하나의 라우터로 동작하게 되며, 다른 노드에 대해 다중 경로를 가질 수 있고, 또한 동적으로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애드혹 기술의 단점인 전송속도 및 보안문제를 향상시켜 구현된 기술이다.
와이파이 다이렉트는 1:N 접속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1:1 접속에 관한 방식이다. 예를 들어 모바일장치(100)가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토콜에 따라서 TV(200)와 통신 접속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된다. 모바일장치(100)는 푸시(push) 방식으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TV(200)에 전달한다. TV(200)가 모바일장치(100)로부터의 연결 요청을 수락함으로써, 모바일장치(100) 및 TV(200) 사이에 통신 접속이 가능하도록 페어링이 완료된다.
블루투스는 IEEE 802.15.1 규격을 사용하는 기기 간의 다이렉트 통신 방식이다. 블루투스는 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인 2400~2483.5MHz를 사용한다. 이 중 위아래 주파수를 쓰는 다른 시스템들의 간섭을 막기 위해 2400MHz 이후 2MHz, 2483.5MHz 이전 3.5MHz까지의 범위를 제외한 2402~2480MHz, 총 79개 채널을 사용한다.
여러 시스템들과 같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시스템간 전파 간섭이 생길 우려가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 블루투스는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방식을 취한다. 주파수 호핑이란 많은 수의 채널을 특정 패턴에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패킷(데이터)을 조금씩 전송하는 기법이다. 블루투스는 할당된 79개 채널을 1초당 1600번 호핑한다. 이 호핑 패턴이 블루투스 기기 간에 동기화되어야 통신이 이루어진다. 블루투스는 기기 간 마스터(Master)와 슬레이브(slave) 구성으로 연결되는데, 마스터 기기가 생성하는 주파수 호핑에 슬레이브 기기를 동기화시키지 못하면 두 기기 간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다른 시스템의 전파 간섭을 피해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하나의 마스터 기기에는 최대 7대의 슬레이브 기기를 연결할 수 있으며, 마스터 기기와 슬레이브 기기 간 통신만 가능할 뿐 슬레이브 기기 간의 통신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마스터와 슬레이브의 역할은 고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서로 역할을 바꿀 수 있다.
UPNP는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 따라서, 기기 간을 P2P 방식으로 연결시키는 프로토콜이다. UPNP는 IP, TCP, UDP, HTTP, XML과 같은 기존의 프로토콜을 활용한다. UPNP는 와이어 프로토콜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기기 간에 교환되는 정보는 XML로 표현되고, HTTP 프로토콜을 통해서 통신한다.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타 프로토콜이 통신모듈의 고유 식별자로서 48비트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것에 비해, UPNP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라는 식별자를 사용한다. UUID는 16옥테트(octet), 즉 128비트의 식별자이며, 32 lowercase hexadecimal digits에 의해 표현된다. UUID는 32개의 문자/숫자 및 4개의 하이픈에 의해, 8-4-4-4-12의 총 36개의 자리수의 형식을 가진다.
NFC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하나로서 13.56Mh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프로토콜이다. 대략 NFC는 10cm 정도의 가까운 거리에서 기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술이며, ISO/IEC 14443을 확장한 것이다. NFC 통신은 상호 근접한 자기 필드 내에 있는 두 개의 루프 안테나 사이의 전자기 유도작용에 기반하여 동작한다.
NFC는 수동통신모드 및 능동통신모드의 두 가지 모드를 지원한다. 수동통신모드에서는 시동장치가 캐리어 필트를 제공하고, 타겟장치가 제공된 필드를 변조하면서 동작한다. 수동통신모드의 타겟장치는 동작 전원을 시동장치가 제공하는 전자기 필드에서 획득하며, 이로 인하여 타겟장치도 송수신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능동통신모드에서는 시동장치 및 타겟장치 모두 자체 전자기 필드를 생성하여 통신한다. 능동통신모드에서 하나의 장치는 상대방으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될 때까지 자신의 전자기 필드를 해제하고, 자신이 상대방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자신의 전자기 필드를 활성화시킨다.
이와 같이, 모바일장치(100) 및 TV(200)는 각기 복수의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들 프로토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호간에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는 모바일장치(100) 및 TV(200)를 사용함에 있어서, 모바일장치(100) 및 TV(200)는 항상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서 통신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 다른 프로토콜로 전환하여 통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 프로토콜은 규정하는 내용이 서로 상이하므로, 프로토콜의 전환으로 인해 모바일장치(100) 및 TV(2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후술한다.
이하, 모바일장치(100) 및 TV(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모바일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장치(100)는 TV(200)를 비롯한 여러 외부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통신하는 통신부(110)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20)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 동작이 수신되는 입력부(13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40)와, 모바일장치(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며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이 중에서, 통신부(110), 저장부(140), 처리부(150) 등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상에 장착됨으로써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서 구현된다.
통신부(110)는 모바일장치(100)가 TV(200)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근거리/광역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10)는 기 설정된 유선/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TV(200)에 접속한다. 통신부(110)는 각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모듈(111, 112, 113)의 집합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각 통신모듈(111, 112, 113)의 프로토콜은 하나의 형식 또는 종류로 한정되지 않는다.
각 통신모듈(111, 112, 113)은 각각 기 설정된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을 지원하게 마련되는 바, 예를 들면 제1통신모듈(111)은 와이파이 통신을 수행하고, 제2통신모듈(112)은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고, 제3통신모듈(113)은 UPN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이와 같이 각 프로토콜 기반 통신모듈(111, 112, 113)을 복수 개 포함함으로써, 모바일장치(100)가 복수의 프로토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TV(20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표시부(120)는 처리부(150)에 의해 처리된 영상스트림을 영상으로 표시한다. 표시부(12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퀀텀도트(quantum-dot)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정 방식인 경우에, 표시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처리부(150)에 전달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정보화하여 처리부(150)에 전달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입력부(130)는 영상처리장치(100) 외측에 설치된 키/버튼이거나, 또는 표시부(120)와 일체화된 터치스크린일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처리부(150)의 처리 및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140)는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다. 저장부(140)는 처리부(150)에 의해 억세스(access)됨으로써, 데이터의 독취(read), 기록(write), 수정(edit), 삭제(delete), 갱신(update) 등이 수행된다.
처리부(150)는 통신부(110)에 수신되는 데이터/신호에 대해 다양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통신부(110)의 복수의 통신모듈(111, 112, 113) 중에서 어느 하나에 영상신호가 수신되면, 처리부(150)는 영상신호에 대해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이러한 프로세스가 수행된 영상스트림을 표시부(120)에 출력함으로써 표시부(12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처리부(15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입력되는 스트림을 영상, 음성, 부가데이터의 각 하위 스트림으로 구분하는 디멀티플렉싱(de-multiplexing), 영상스트림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스트림을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스트림을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150)는 모바일장치(100) 및 TV(200)와의 페어링을 위해, 통신부(110)를 통해 통신접속 요청이 TV(200)에 전송되게 처리한다. 반대로, 처리부(150)는 TV(200)로부터 통신접속 요청이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면,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서 해당 요청을 처리한다. 모바일장치(100) 및 TV(200) 사이의 페어링은 두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요청을 다른 하나가 수락함으로써 수행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장치(100)로부터의 요청을 TV(200)가 수락하는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TV(200)로부터의 요청을 모바일장치(100)가 수락하는 형태의 실시예는 상기한 실시예를 응용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도 5는 TV(2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200)는 TV통신부(210)와, TV표시부(220)와, TV입력부(230)와, TV저장부(240)와, TV처리부(250)를 포함한다. TV(200)는 영상을 처리 및 표시하는 영상처리장치인 바, 각 구성 별 기본적인 동작에 관해서는 모바일장치(100)의 각 구성과 유사하다. 다만, TV(200)는 장치의 구현 특성상, 개별적인 구성의 기능 모바일장치(100)와 상이할 수 있으며, 이는 TV(200)의 일반적인 기술적 사항에 해당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TV통신부(210)는 각 통신 프로토콜 기반 통신을 수행하도록 각 프토토콜 별로 마련된 복수의 TV통신모듈(211, 212, 213)을 포함한다. 복수의 TV통신모듈(211, 212, 213)은 모바일장치(100)의 통신모듈(111, 112, 113, 도 4 참조)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경우에, TV(200) 및 모바일장치(10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다.
이하, TV(200)가 모바일장치(100)와 기 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페어링을 수행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TV(200)가 모바일장치(100)의 통신접속 요청에 따라서 통신접속을 수락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 단계에서 TV(200)는 모바일장치(100)로부터 통신접속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본 메시지는 기본적으로 통신접속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정보와, 해당 프로토콜에서의 모바일장치(100)의 ID 정보를 포함한다.
S120 단계에서 TV(200)는 메시지에 포함된 모바일장치(100)의 ID가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에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본 DB는 TV(200)와 페어링이 가능하도록 인증된 장치의 ID가 등록되어 있는 바, DB에 등록된 ID의 장치는 TV(200)와 통신 접속이 가능한 상태이며, DB에 등록되지 않은 ID의 장치는 TV(200)와 통신 접속이 가능하지 않은 상태이다.
S12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100)의 ID가 DB에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TV(200)는 해당 모바일장치(100)가 이미 TV(200)에 대한 통신접속이 인증된 상태로 판단한다. 이에, S140 단계에서 TV(200)는 모바일장치(100)와 통신 접속을 인증한다.
반면, S12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100)의 ID가 DB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S150 단계에서 TV(200)는 해당 ID의 등록을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UI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UI를 통해 해당 ID의 등록을 승인하면, S160 단계에서 TV(200)는 해당 ID를 DB에 등록한다. 그리고, TV(200)는 S140 단계로 이행하여 모바일장치(100)와 통신 접속을 인증한다.
도 7은 모바일장치(100)의 ID가 TV(200)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 TV(200)가 표시하는 UI(410)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TV(200)는 통신접속 요청을 수신한 모바일장치(100)와의 통신접속을 승인할 것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하는 UI(410)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UI(410)는 모바일장치(100)의 ID가 통신접속을 인증한 ID를 포함하는 DB에서 검색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시된다(도 4의 S150 단계 참조). 사용자는 UI(410)를 통해 통신접속 요청을 승인함으로써 모바일장치(100) 및 TV(200) 사이에 통신접속이 수행되도록 하거나, 또는 UI(410)를 통해 통신접속 요청을 거부함으로써 모바일장치(100) 및 TV(200) 사이에 통신접속이 수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장치(100)의 ID 정보는 TV(200)가 해당 모바일장치(100)를 타 장치들과 구별하기 위해 마련되는 정보이다. 일반적으로는 모바일장치(100)의 프로토콜 별 통신모듈(111, 112, 113, 도 4 참조)의 식별번호를 사용하는 바, 예를 들면 와이파이나 이더넷의 경우에는 MAC 어드레스를 사용하며, UPNP의 경우에는 UUID를 사용한다.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경우에는 P2P Device Address를 사용한다.
여기서, 모바일장치(100)가 TV(200)에 UPNP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요청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모바일장치(100)는 요청 시에 UPNP 프로토콜에 따른 UUID 정보를 TV(200)에 전송한다. TV(200)는 수신되는 UUID를 DB에서 검색함으로써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 TV(200)는 UUID가 등록되어 있다면 UI(410)를 표시하지 않고 통신접속을 승인하며, UUID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UI(410)를 표시할 것이다.
그런데, 모바일장치(100)의 UUID가 DB에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후 모바일장치(100)가 UPNP와 상이한 프로토콜, 예를 들면 와이파이 다이렉트 또는 블루투스 기반의 통신접속을 요청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바일장치(100)의 UPNP에 따른 UUID는 TV(200)의 DB에 등록되어 있는 반면, 모바일장치(10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따른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나 블루투스에 따른 블루투스 MAC 어드레스는 DB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TV(200)는 금번 통신접속을 요청한 모바일장치(100)의 ID 정보가 DB에 검색되지 않으므로, 모바일장치(100)의 통신접속 승인을 사용자에게 요청하기 위해서 다시 UI(410)를 표시하게 된다. 이는, 동일한 모바일장치(100)에 대해 프로토콜 별로 사용자가 각기 승인을 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한다. 이는, TV(200)의 통신접속 관리체계가 프로토콜 별로 분할되어 있기 때문인 바, 이에 관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8은 TV(200)의 통신접속 관리체계의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TV통신부(210)의 제1TV통신모듈(211)이 UPNP 프로토콜 기반이고 제2TV통신모듈(212)이 와이파이 프로토콜 기반인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TV처리부(250)는 각 프로토콜 별로 관리자가 구분되어 있는 바, UPNP 프로토콜은 UPNP 디바이스 관리자(251)가 제어하며, 와이파이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디바이스 관리자(252)가 제어한다.
제1TV통신모듈(211)에 모바일장치(100)로부터의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UPNP 디바이스 관리자(251)는 해당 메시지로부터 UUID를 추출하고, 이 UUID가 TV저장부(240)에 저장된 UUID DB(241)에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UPNP 디바이스 관리자(251)는, UUID가 UUID DB(241)에 등록되어 있으면 모바일장치(100)의 통신접속을 그대로 승인하고, UUID가 UUID DB(241)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에 대해 UI(410, 도 7 참조)를 표시한다.
반면, 제2TV통신모듈(212)에 모바일장치(100)로부터의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와이파이 디바이스 관리자(252)는 해당 메시지로부터 MAC 어드레스를 추출하고, 이 MAC 어드레스가 TV저장부(240)에 저장된 MAC 어드레스 DB(242)에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한다. 와이파이 디바이스 관리자(252)는 MAC 어드레스가 MAC 어드레스 DB(242)에 등록되어 있으면 모바일장치(100)의 통신접속을 그대로 승인하고, MAC 어드레스가 MAC 어드레스 DB(242)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에 대해 UI(410, 도 7 참조)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TV(200)는 프로토콜 별로 관리자 및 DB가 분리되어 있다. 각 프로토콜은 상호간에 ISO 모델에서의 계층이 다를 수 있고, ID 정보의 형식이 다를 수 있으며, 또한 동일 계층에 동일 형식이라고 하더라도 ID 정보의 내용이 상이하다. 따라서, 일 프로토콜의 ID 정보는 타 프로토콜의 ID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TV(200)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개별적으로 등록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만일, 모바일장치(100)의 UUID가 UUID DB(241)에 등록되어 있고 모바일장치(100)의 MAC 어드레스가 MAC 어드레스 DB(242)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파이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가 모바일장치(100)로부터 TV(200)에 수신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이 경우에, TV(200)는 메시지에 포함된 MAC 어드레스를 가지고 MAC 어드레스 DB(242)에서의 검색만을 할 수 있으므로, 이미 UUID가 등록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모바일장치(100)가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TV(200)는 사용자 인증을 위한 UI(410, 도 7 참조)를 다시 표시하여야 한다.
이하, 모바일장치(100)가 TV(200)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1차적으로 UPNP 프로토콜을 통해, 2차적으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토콜을 통해 순차적으로 TV(200)에 통신접속을 요청하는 과정에 관해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모바일장치(100)가 TV(200)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TV(200)에게 UPNP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의 통신접속을 요청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다음에 수행되는 과정으로서, 도 9에 나타난 과정 이후에 도 10에 나타난 과정이 수행된다.
본 도면에서는 모바일장치(100) 및 TV(200)의 사용자(U)가 1명인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모바일장치(100) 및 TV(200)의 사용자가 각기 존재할 수도 있다. 사용자(U)로부터 모바일장치(100) 또는 TV(200)로 화살표가 진행하는 것은, 사용자(U)가 모바일장치(100) 또는 TV(200)에 대한 입력 동작을 의미한다. 반면, 모바일장치(100) 또는 TV(200)로부터 사용자(U)에게 화살표가 진행하는 것은, 모바일장치(100) 또는 TV(200)로부터 사용자(U)에게 무언가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사용자(U)에게 특정 동작의 입력을 요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는 모바일장치(100)를 조작하여 UPNP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TV(200)에 요청하도록 지시한다(S210).
모바일장치(100)는 사용자(U)의 지시에 따라서 UPNP 통신접속 요청의 메시지를 TV(200)에 전송한다(S220).
제1TV통신모듈(211)은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UUID를 UPNP 디바이스 관리자(251)에게 전달하여, 해당 통신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한다(S230).
UPNP 디바이스 관리자(251)는 UUID DB(241)에 억세스하여 모바일장치(100)의 UUID가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한다(S240). UPNP 디바이스 관리자(251)는 UUID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250), 사용자(U)에게 모바일장치(100)의 통신접속 허용 여부를 문의한다(S260). 본 문의는 UI(410, 도 7 참조)의 형태로 사용자(U)에게 제공된다.
사용자(U)는 TV(200)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모바일장치(100)의 통신접속 허용을 승인한다(S270).
UPNP 디바이스 관리자(251)는 사용자(U)의 승인에 따라서, 모바일장치(100)의 UUID를 UUID DB(241)에 등록한다(S280). UPNP 디바이스 관리자(251)는 제1TV통신모듈(211)에 모바일장치(100)의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한다(S290).
제1TV통신모듈(211)은 허용 통지에 따라서, 모바일장치(100)에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하고, 모바일장치(100)와 통신 접속한다(S300).
이에, 모바일장치(100)는 TV(200)와 UPNP 기반으로 통신접속되었음을 사용자(U)에게 알린다(S310).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는 모바일장치(100)를 조작하여 와이파이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TV(200)에 요청하도록 지시한다(S410).
모바일장치(100)는 사용자(U)의 지시에 따라서 와이파이 통신접속 요청의 메시지를 TV(200)에 전송한다(S420).
제2TV통신모듈(212)은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MAC 어드레스를 와이파이 디바이스 관리자(252)에게 전달하여, 해당 통신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한다(S430).
와이파이 디바이스 관리자(252)는 MAC 어드레스 DB(242)에 억세스하여 모바일장치(100)의 MAC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한다(S440). 앞선 도 9의 과정에서 모바일장치(100)의 UUID가 등록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 모바일장치(100)의 MAC 어드레스는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와이파이 프로토콜 기반에서는 모바일장치(100)가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검색된다.
와이파이 디바이스 관리자(252)는 MAC 어드레스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450), 사용자(U)에게 모바일장치(100)의 통신접속 허용 여부를 문의한다(S460). 본 문의는 UI(410, 도 7 참조)의 형태로 사용자(U)에게 제공된다. 사용자(U) 입장에서는 프로토콜이 바뀜에 따라서 동일한 사용자 확인을 두 번 실행하게 된다.
사용자(U)는 TV(200)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모바일장치(100)의 통신접속 허용을 승인한다(S470).
와이파이 디바이스 관리자(252)는 사용자(U)의 승인에 따라서, 모바일장치(100)의 MAC 어드레스를 MAC 어드레스 DB(242)에 등록한다(S480). 와이파이 디바이스 관리자(252)는 제2TV통신모듈(212)에 모바일장치(100)의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한다(S490).
제2TV통신모듈(212)은 허용 통지에 따라서, 모바일장치(100)에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하고, 모바일장치(100)와 통신 접속한다(S500).
이에, 모바일장치(100)는 TV(200)와 와이파이 기반으로 통신접속되었음을 사용자(U)에게 알린다(S51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장치(100)가 TV(200)와의 통신접속을 위한 장치 등록 과정을 각 통신 프로토콜 별로 실행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모바일장치(100)의 통신접속 요청을 인증하는 입력을 사용자가 매번 실행하여야 한다. 이는, 모바일장치(100) 및 TV(200)의 사용자에게 있어서 사용상의 과도한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TV(500)의 통신접속 관리체계의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장치(400)는 TV(500)와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다.
TV(500)는 TV통신부(510)와, TV처리부(550)와, TV저장부(540)를 포함하며, TV통신부(510)는 제1TV통신모듈(511) 및 제2TV통신모듈(51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모바일장치(400) 및 TV(500)는 기본적으로 하드웨어적 측면에서 앞선 제1실시예에서의 도 4 및 도 5 관련 내용을 응용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TV통신모듈(511)은 UPNP 프로토콜 기반이며, 제2TV통신모듈(512)은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토콜 기반이다. 물론, TV통신부(510)는 다른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발명의 사상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해 두 가지의 프토로콜에 관해서만 예로 들기로 한다.
TV처리부(550)는 각 프로토콜 별 통신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를 포함한다.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각 프로토콜 별 ID를 TV저장부(540)의 공통 디바이스 DB(541)에 통합하여 관리한다. 즉,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제1TV통신모듈(511)을 통해 수신되는 UPNP 기반 통신접속 요청 및 제2TV통신모듈(512)을 통해 수신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통신접속 요청을 모두 제어한다. 또한,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모바일장치(400)의 UUID 및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공통 디바이스 DB(541) 내에 등록하여 관리한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400) 및 TV(5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모바일장치(400)는 TV(500)에 어느 한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를 보낼 때, 해당 메시지에 TV(500)와의 통신이 가능하게 마련된 모든 프로토콜에서의 모바일장치(400)의 ID 정보를 포함시킨다. 여기서, 상기한 "어느 한 프로토콜"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중에서 한 가지가 결정될 수 있으며 또는 두 가지 이상이 결정될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파이 다이렉트가 해당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한 가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기타 다른 프로토콜이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장치(400) 및 TV(500)가 공통적으로 지원하는 프로토콜이 UPNP, 와이파이,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세 가지 프로토콜인 경우를 고려한다. 모바일장치(400)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를 TV(500)로 전송할 때에, 앞선 제1실시예에서는 해당 메시지에 와이파이 다이렉트에서의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만을 포함시켰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장치(400)는 해당 메시지에 UPNP에 따른 UUID, 와이파이에 따른 MAC 어드레스,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따른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모두 포함시킨다.
TV(500)는 모바일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복수의 프로토콜 별 ID 정보를 가지고 공통 디바이스 DB(541)를 검색한다. 각 프로토콜 별 ID 중에서 공통 디바이스 DB(541)에 검색되는 ID가 있으면, TV(500)는 모바일장치(400)로부터의 통신접속 요청에 대한 사용자 승인 과정 없이 통신접속을 수행한다.
반면, 각 프로토콜 별 ID 중에서 공통 디바이스 DB(541)에 검색되는 ID가 없으면, TV(500)는 이들 ID를 공통 디바이스 DB(541)에 등록하고, 모바일장치(400)로부터의 통신접속 요청에 대한 사용자 승인 과정을 수행한다. TV(500)는 사용자 승인에 따라서 모바일장치(400)와의 통신접속을 수행한다.
이에 의하여, 모바일장치(400) 및 TV(500) 사이에 프로토콜을 전환하여 통신접속이 수행될 때, 프로토콜 별 통신접속 요청에 대한 사용자의 인증 과정을 줄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모바일장치(400)의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600)의 포맷의 일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600)는 P2P 특성(attribute)의 타입을 정의하는 Attribute ID(610), 특성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의 길이를 정의하는 Length(620), 특성 정보에 관련된 데이터가 수록되는 Attributes body field(6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400)는 메시지(600)의 Attributes body field(630)에, 각 프로토콜 별 ID 정보를 포함하는 Device ID List(640)를 기록한다. Device ID List(640)는 모바일장치(400)가 복수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경우에, 각 프로토콜의 타입 및 ID를 포함한다. Device ID List(640)는 각 프로토콜 별로 Type, Length, Device ID의 필드를 포함하는 바, Type은 프로토콜의 타입을 정의하고, Length는 Device ID의 데이터 길이를 포함하며, Device ID는 Type에서 정의된 프로토콜에서 모바일장치(400)의 ID를 포함한다.
도 13은 프로토콜 및 디바이스 ID를 정의한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로토콜은 사전에 규약된 숫자로 표현되는 Type과, 해당 프로토콜의 Device ID의 포맷이 미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Device ID List(640, 도 12 참조)에서 Type에 0이라고 나타나 있다면 이는 이더넷 또는 와이파이 프로토콜을 의미하는 것이다. Type이 1로 나타나 있다면 블루투스, Type이 2로 나타나 있다면 UPNP, Type이 3으로 나타나 있다면 와이파이 다이렉트를 의미한다. 이는 사전에 규약된 것으로서, 설계방식에 따라서 그 내용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각 프로토콜 별로 디바이스 ID의 포맷이 정의된다. 예를 들면, Device ID List(640, 도 12 참조)에서 Type에 0이라고 나타나 있다면 해당 Type의 Device ID는 802 기반의 MAC 어드레스를 의미한다. Type이 1로 나타나 있다면 BT MAC 어드레스, Type이 2로 나타나 있다면 UUID, Type이 3으로 나타나 있다면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서, TV(500)는 모바일장치(400)의 각 프로토콜 별 ID 정보를 메시지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이하, 모바일장치(400)가 TV(500)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바일장치(400)가 TV(500)에 UPNP 기반 통신접속을 요청한 이후에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통신접속을 요청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모바일장치(400)가 TV(500)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TV(500)에게 UPNP 및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의 통신접속을 순차적으로 요청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다음에 수행되는 과정으로서, 도 14에 나타난 과정 이후에 도 15에 나타난 과정이 수행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는 모바일장치(400)를 조작하여 UPNP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TV(500)에 요청하도록 지시한다(S610).
모바일장치(400)는 사용자(U)의 지시에 따라서 UPNP 통신접속 요청의 메시지를 TV(500)에 전송한다(S620).
제1TV통신모듈(511)은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UUID를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에게 전달하여, 해당 통신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한다(S630).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공통 디바이스 DB(541)에 억세스하여 모바일장치(400)의 UUID가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한다(S640).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UUID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650), 사용자(U)에게 모바일장치(400)의 통신접속 허용 여부를 문의한다(S660). 본 문의는 UI(410, 도 7 참조)의 형태로 사용자(U)에게 제공된다.
사용자(U)는 TV(500)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모바일장치(400)의 통신접속 허용을 승인한다(S670).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사용자(U)의 승인에 따라서, 모바일장치(400)의 UUID를 공통 디바이스 DB(541)에 등록한다(S680).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제1TV통신모듈(511)에 모바일장치(400)의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한다(S690).
제1TV통신모듈(511)은 허용 통지에 따라서, 모바일장치(400)에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하고, 모바일장치(400)와 통신 접속한다(S700).
이에, 모바일장치(400)는 TV(500)와 UPNP 기반으로 통신접속되었음을 사용자(U)에게 알린다(S710).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는 모바일장치(400)를 조작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TV(500)에 요청하도록 지시한다(S720).
모바일장치(400)는 사용자(U)의 지시에 따라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접속 요청의 메시지를 TV(500)에 전송한다(S730). 이 때, 모바일장치(400)는 해당 메시지에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따른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모바일장치(400)가 지원 가능한 모든 프로토콜의 ID 정보를 포함시킨다. 예를 들면, 모바일장치(4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따른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 및 UPNP에 따른 UUID를 해당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제2TV통신모듈(512)은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UUID 및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에게 전달하여, 통신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한다(S740).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공통 디바이스 DB(541)에 억세스하여 모바일장치(400)의 UUID 및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 중에서 등록된 것이 있는지 검색한다(S750).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장치(400)의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는 공통 디바이스 DB(541)에 등록되어 있지 않지만, 앞선 도 14의 S680 단계에 따르면 모바일장치(400)의 UUID는 등록된 상태이다.
이에,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모바일장치(400)가 등록된 상태라고 판단한다(S760). 따라서,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사용자(U)에게 모바일장치(400)의 통신접속 허용 여부를 문의하지 않고, 그대로 제2TV통신모듈(512)에 모바일장치(400)의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한다(S770). 이 때,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공통 디바이스 DB(541)에 모바일장치(400)의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등록한다(S780).
제2TV통신모듈(512)은 허용 통지에 따라서, 모바일장치(400)에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하고, 모바일장치(40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으로 통신 접속한다(S790).
이에, 모바일장치(400)는 TV(50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으로 통신접속되었음을 사용자(U)에게 알린다(S800).
이하, 모바일장치(400)가 TV(500)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모바일장치(400)가 TV(500)에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통신접속을 요청한 이후에 UPNP 기반 통신접속을 요청하는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모바일장치(400)가 TV(500)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TV(500)에게 와이파이 다이렉트 및 UPNP 기반의 통신접속을 순차적으로 요청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는 도 16의 다음에 수행되는 과정으로서, 도 16에 나타난 과정 이후에 도 17에 나타난 과정이 수행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는 모바일장치(400)를 조작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TV(500)에 요청하도록 지시한다(S810).
모바일장치(400)는 사용자(U)의 지시에 따라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접속 요청의 메시지를 TV(500)에 전송한다(S820). 이 때, 모바일장치(400)는 해당 메시지에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따른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 뿐만 아니라, 그 외에 모바일장치(400)가 지원 가능한 모든 프로토콜의 ID 정보를 포함시킨다. 예를 들면, 모바일장치(4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따른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 및 UPNP에 따른 UUID를 해당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제2TV통신모듈(512)은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UUID 및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를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에게 전달하여, 통신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한다(S830).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공통 디바이스 DB(541)에 억세스하여 모바일장치(400)의 UUID 및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 중에서 등록된 것이 있는지 검색한다(S840). 현 시점에서는 모바일장치(400)의 UUID 및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 중 어느 것도 공통 디바이스 DB(541)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모바일장치(400)가 등록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한다(S850).
이에,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사용자(U)에게 모바일장치(400)의 통신접속 허용 여부를 문의한다(S860). 본 문의는 UI(410, 도 7 참조)의 형태로 사용자(U)에게 제공된다.
사용자(U)는 TV(500)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모바일장치(400)의 통신접속 허용을 승인한다(S870).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사용자(U)의 승인에 따라서, 모바일장치(400)의 모든 ID 정보, 예를 들면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 및 UUID를 공통 디바이스 DB(541)에 등록한다(S880).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제2TV통신모듈(512)에 모바일장치(400)의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한다(S890).
제2TV통신모듈(512)은 허용 통지에 따라서, 모바일장치(400)에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하고, 모바일장치(40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으로 통신 접속한다(S900).
이에, 모바일장치(400)는 TV(50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으로 통신접속되었음을 사용자(U)에게 알린다(S910).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는 모바일장치(400)를 조작하여 UPNP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TV(500)에 요청하도록 지시한다(S920).
모바일장치(400)는 사용자(U)의 지시에 따라서 UPNP 통신접속 요청의 메시지를 TV(500)에 전송한다(S930).
제1TV통신모듈(511)은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UUID를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에게 전달하여, 해당 통신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한다(S940).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공통 디바이스 DB(541)에 억세스하여 모바일장치(400)의 UUID가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한다(S950). 앞선 도 16의 S880 단계에서 이미 UUID가 등록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모바일장치(400)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한다(S960). 따라서,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551)는 사용자(U)에게 모바일장치(400)의 통신접속 허용 여부를 문의하지 않고, 그대로 제1TV통신모듈(511)에 모바일장치(400)의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한다(S970).
제1TV통신모듈(511)은 허용 통지에 따라서, 모바일장치(400)에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하고, 모바일장치(400)와 통신 접속한다(S980).
이에, 모바일장치(400)는 TV(500)와 UPNP 기반으로 통신접속되었음을 사용자(U)에게 알린다(S99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장치(400) 및 TV(500) 사이에 통신이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의 프로토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의 요청 메시지에 해당 복수의 프로토콜에 따른 각 ID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시킨다. 이로써, 사용자가 각 프로토콜 별 통신접속 과정마다 개별적으로 통신접속 요청을 승인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400) 및 TV(500)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모바일장치(4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1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400)는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일 프로토콜에 따라서 TV(500)에 통신접속하도록 하는 지시를 수신한다.
S112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400)는 지원하는 모든 프로토콜에 따른 ID 정보를 포함하도록,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S113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400)는 TV(500)에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S114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400)는 TV(500)로부터 통신접속 승인 통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S1140 단계에서 TV(500)로부터 통신접속 승인 통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S115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400)는 해당 프로토콜에 따라서 통신접속을 수행한다. 그리고, S116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400)는 사용자에게 통신접속 결과를 통지한다.
반면, S1140 단계에서 TV(500)로부터 통신접속 승인 통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117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400)는 통신접속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19는 TV(5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210 단계에서 TV(500)는 모바일장치(400)로부터 일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S1220 단계에서 TV(500)는 해당 메시지로부터 하나 이상의 모바일장치(400)의 ID 정보를 추출한다.
S1230 단계에서 TV(500)는 추출된 ID를 가지고 ID 등록 DB를 검색한다.
S1240 단계에서 TV(500)는 추출된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ID 등록 DB에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추출된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S1250 단계에서 TV(500)는 모바일장치(400)의 통신접속 요청을 승인한다. 그리고, S1260 단계에서 TV(500)는 모바일장치(400)와 해당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접속을 수행한다.
반면, 추출된 ID 중 어느 것도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S1270 단계에서 TV(500)는 모바일장치(400)의 통신접속 요청에 대한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는 UI를 표시한다. S1280 단계에서 TV(500)는 UI를 통한 사용자 승인을 수신한다.
사용자 승인에 따라서, S1290 단계에서 TV(500)는 추출된 모든 ID를 ID 등록 DB에 등록하고, TV(500)는 S1250 단계로 이행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모바일장치가 와이파이 다이렉트와 같은 일 프로토콜의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에, 모바일장치가 지원 가능한 모든 프로토콜의 ID를 포함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모바일장치는 모바일장치가 지원 가능한 모든 프로토콜 중에서 전체가 아닌 일부 프로토콜들의 ID를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또는, 모바일장치는 TV가 인지할 수 있는 모바일장치의 고유 ID를 가지며, 상기한 메시지에 모바일장치의 고유 ID를 포함시키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서, 모바일장치(600)가 TV(700)에 등록되지 않은 상태에서, TV(700)에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 통신접속 및 UPNP 기반 통신접속을 순차적으로 요청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600) 및 TV(70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앞선 실시예의 내용을 응용할 수 있는 바, 이들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는 모바일장치(600)를 조작하여 와이파이 다이렉트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TV(700)에 요청하도록 지시한다(S1310).
모바일장치(600)는 사용자(U)의 지시에 따라서 와이파이 다이렉트 통신접속 요청의 메시지를 TV(700)에 전송한다(S1320). 이 때, 모바일장치(600)는 해당 메시지에 와이파이 다이렉트에 따른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 뿐만 아니라, 모바일장치(600)의 고유 ID 정보를 포함시킨다.
모바일장치(600)의 고유 ID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ID가 아닌 모바일장치(600) 자체에 부여된 장치 ID로서, 예를 들면 장치의 모델번호, 시리얼 넘버, CPU의 시리얼 넘버, 모바일장치(600)의 네트워크 계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TV통신모듈(712)은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 및 장치 ID를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751)에게 전달하여, 통신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한다(S1330).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751)는 공통 디바이스 DB(741)에 억세스하여 모바일장치(600)의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 및 장치 ID 중에서 등록된 것이 있는지 검색한다(S1340). 현 시점에서는 모바일장치(600)의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 및 장치 ID 중 어느 것도 공통 디바이스 DB(741)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751)는 모바일장치(600)가 등록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한다(S1350).
이에,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751)는 사용자(U)에게 모바일장치(600)의 통신접속 허용 여부를 문의한다(S1360).
사용자(U)는 TV(700)로부터의 문의에 대하여 모바일장치(600)의 통신접속 허용을 승인한다(S1370).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751)는 사용자(U)의 승인에 따라서, 모바일장치(600)의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 및 장치 ID를 공통 디바이스 DB(741)에 등록한다(S1380).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751)는 제2TV통신모듈(712)에 모바일장치(600)의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한다(S1390).
제2TV통신모듈(712)은 허용 통지에 따라서, 모바일장치(600)에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하고, 모바일장치(60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으로 통신 접속한다(S1400).
이에, 모바일장치(600)는 TV(700)와 와이파이 다이렉트 기반으로 통신접속되었음을 사용자(U)에게 알린다(S1410).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는 모바일장치(600)를 조작하여 UPNP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TV(700)에 요청하도록 지시한다(S1420).
모바일장치(600)는 사용자(U)의 지시에 따라서 UPNP 통신접속 요청의 메시지를 TV(700)에 전송한다(S1430). 이 때, 모바일장치(600)는 UUID 및 장치 ID를 해당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제1TV통신모듈(711)은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UUID를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751)에게 전달하여, 해당 통신접속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의 확인을 요청한다(S1440).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751)는 공통 디바이스 DB(741)에 억세스하여 모바일장치(600)의UUID 또는 장치 ID가 등록되어 있는지 검색한다(S1450). UUID는 등록되어 있지 않지만, 앞선 도 20의 S1380 단계에서 이미 장치 ID가 등록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751)는 모바일장치(600)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한다(S1460). 따라서,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751)는 사용자(U)에게 모바일장치(600)의 통신접속 허용 여부를 문의하지 않고, 그대로 제1TV통신모듈(711)에 모바일장치(600)의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한다(S1470).
제1TV통신모듈(711)은 허용 통지에 따라서, 모바일장치(600)에 통신접속의 허용을 통지하고, 모바일장치(600)와 통신 접속한다(S1480).
이에, 모바일장치(600)는 TV(700)와 UPNP 기반으로 통신접속되었음을 사용자(U)에게 알린다(S1490).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모든 프로토콜 별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가 프로토콜 별 ID 이외에 적어도 장치 ID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장치(600)는 와이파이 다이렉트의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 생성 시, 해당 메시지에 P2P 디바이스 어드레스 및 장치 ID를 포함시킨다. 또한, 모바일장치(600)는 UPNP의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 생성 시, 해당 메시지에 UUID 및 장치 ID를 포함시킨다. 이와 같이, 각 프로토콜 별 메시지에 적어도 공통된 장치 ID가 포함되므로, TV(700)는 최초 어느 한 프로토콜에 대한 사용자 승인 과정 이후에는, 타 프로토콜에 대한 사용자 승인 과정을 실행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모바일장치(600) 및 TV(700)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장치(600) 및 TV(700)의 제어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22는 모바일장치(6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51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600)는 사용자로부터 기 설정된 일 프로토콜에 따라서 TV(700)에 통신접속하도록 하는 지시를 수신한다.
S152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600)는 프로토콜 종류 여부에 무관하게 모바일장치(600)의 고유한 장치 ID 정보를 포함하도록,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 단계에서, 모바일장치(600)는 메시지에 해당 프로토콜에 따른 ID를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S153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600)는 TV(700)에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
S154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600)는 TV(700)로부터 통신접속 승인 통지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S1540 단계에서 TV(700)로부터 통신접속 승인 통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S155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600)는 해당 프로토콜에 따라서 통신접속을 수행한다. 그리고, S156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600)는 사용자에게 통신접속 결과를 통지한다.
반면, S1540 단계에서 TV(700)로부터 통신접속 승인 통지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1570 단계에서 모바일장치(600)는 통신접속 에러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23는 TV(700)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610 단계에서 TV(700)는 모바일장치(600)로부터 일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
S1620 단계에서 TV(700)는 해당 메시지로부터 장치 ID 정보를 추출한다. 이 단계에서, TV(700)는 해당 메시지로부터 해당 프로토콜에 따른 ID 정보를 추가로 추출할 수 있다.
S1630 단계에서 TV(700)는 추출된 장치 ID를 가지고 ID 등록 DB를 검색한다.
S1640 단계에서 TV(700)는 추출된 장치 ID가 ID 등록 DB에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이 단계에서 만일 장치 ID가 등록되지 않으면, TV(700)는 메시지로부터 프로토콜에 따른 ID를 가지고 추가적으로 검색할 수도 있다.
장치 ID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S1650 단계에서 TV(700)는 모바일장치(600)의 통신접속 요청을 승인한다. 그리고, S1660 단계에서 TV(700)는 모바일장치(600)와 해당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접속을 수행한다.
반면, 장치 ID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S1670 단계에서 TV(700)는 모바일장치(600)의 통신접속 요청에 대한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는 UI를 표시한다. S1680 단계에서 TV(700)는 UI를 통한 사용자 승인을 수신한다.
사용자 승인에 따라서, S1690 단계에서 TV(700)는 장치 ID를 ID 등록 DB에 등록하고, TV(700)는 S1650 단계로 이행한다. S1690 단계에서, TV(700)는 프로토콜에 따른 ID를 ID 등록 DB에 추가로 등록할 수 있다.
만일, 장치 ID가 등록되어 있지 않고 프로토콜에 따른 ID가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검색되면, TV(700)는 S1670 단계 및 S1680 단계를 건너뛰고, S1640 단계로부터 바로 S1690 단계로 이행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모바일장치가 TV에 대해, 일 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요청하는 메시지에 해당 프로토콜의 ID 정보 및 그 이외의 프로토콜의 ID 정보를 함께 포함시켜 전송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TV는 모바일장치의 각 프로토콜 별 ID 정보를 취득함에 있어서, 모바일장치로부터의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취득할 수도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라서, TV(820)가 모바일장치(830)의 통신 접속을 승인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810)는 모바일장치(830)를 포함한 여러 장치들의 프로토콜 별 ID 정보가 등록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및 저장한다(S1710). 이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모바일장치(830)가 서버(810)에 해당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모바일장치(830)의 사용자가 해당 정보를 컴퓨터(미도시) 등을 통해 서버(810)에 등록하는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모바일장치(830)의 ID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타 장치와의 관련되어 저장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모바일장치(830) 및 TV(820)는 상호 관련성이 있는 장치들로서 사전에 등록될 수 있다.
TV(820)는 서버(810)에 통신 접속하여 모바일장치(830)의 사전 등록된 프로토콜 별 ID정보를 취득한다. TV(820)는 서버(810)에 해당 정보를 요청할 때에, TV(820)의 고유 ID 정보를 서버(810)에 전송하며(S1720), 서버(810)로부터 TV(820)의 고유 ID 정보에 대응하는 모바일장치(830)의 프로토콜 별 ID 정보를 수신한다(S1730). TV(820)는 서버(810)로부터 수신되는 해당 정보를 등록한다(S1740).
이후, 모바일장치(830)는 TV(820)에 일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750). 해당 메시지는 해당 프로토콜의 ID 정보를 포함하며, 타 프로토콜의 ID 정보는 포함하지 않는다.
TV(820)는 모바일장치(830)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로부터 ID 정보를 추출하여, 서버(810)로부터 수신 및 저장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ID의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S1760). TV(820)는 추출된 ID 정보가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 접속을 수행하고(S1770), 추출된 ID 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승인 요청 UI를 표시한다(S1780).
한편,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모바일장치로부터 TV에 보내는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는, 타 프로토콜 별 ID 정보가 아닌, TV가 식별 가능한 다른 정보일 수도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라서, TV(920)가 모바일장치(910)의 통신 접속을 승인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장치(910)는 제1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TV(920)에 전송한다(S1810). 해당 메시지는 제1프로토콜에 따른 ID 정보를 포함한다.
TV(920)는 모바일장치(910)로부터의 메시지로부터 제1프로토콜에 따른 ID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ID의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S1820). TV(920)는 해당 ID가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사용자 승인을 요청하는 UI를 표시한다(S1830).
TV(920)는 UI를 통한 사용자 승인에 따라서, 모바일장치(910)와의 제1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수행한다(S1840). 그리고, TV(920)는 모바일장치(910)에 기 설정된 플래그 정보를 전송한다(S1850). 여기서, 플래그 정보는 TV(920)가 통신접속을 승인한 장치에게 전송하도록 마련된 정보로서 그 형식과 내용이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TV(920)의 고유 ID 및 통신접속의 승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래그 정보는 TV(920)가 자체 생성하거나 또는 기 저장한 정보로서, 차후 TV(920)에 의해 판별될 수 있도록 마련된 정보이다.
이후, 모바일장치(910)는 제2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TV(920)에 전송한다(S1860). 해당 메시지는 제2프로토콜에 따른 ID 정보를 포함한다. 이 때, 모바일장치(910)는 이전 S1850 단계에서 TV(920)로부터 수신한 플래그 정보를 메시지와 함께 전송한다(S1870). 본 플래그 정보는 어떠한 프로토콜인지에 상관없이, 모바일장치(910)가 TV(920)로부터 통신접속 요청을 승인받은 경우에 수신하는 정보이다.
TV(920)는 메시지로부터 플래그 정보를 추출하고, 이 플래그 정보에 따라서 모바일장치(910)가 이미 통신접속이 승인된 장치인 것으로 판단한다(S1880). 이러한 판단은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제2프로토콜에 따른 ID의 등록 여부의 판단보다 먼저 수행되며, 모바일장치(910)에 대해 통신접속이 승인된 것으로 판단하면 제2프로토콜에 따른 ID의 등록 여부는 판단하지 않는다. 만일, 메시지로부터 플래그 정보가 추출되지 않으면, TV(920)는 제2프로토콜에 따른 ID의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
TV(920)는 모바일장치(910)에 대해, 제2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수행한다(S1890). 이로써, TV(920)는 제2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승인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승인을 요청하는 UI를 표시하지 않고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모바일장치가 TV와 통신하는 경우의 예시만을 표현하였으나, 해당 모바일장치가 다른 장치와 통신하고 있는 상태의 경우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바일장치가 태블릿과 통신접속된 상태에서 다시 TV와 통신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모바일장치 및 태블릿을 모두 TV와 통신접속이 수행되도록 원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의 실시예에 관해 이하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모바일장치, 태블릿, TV는 통신을 위한 장치의 예시일 뿐인 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의 구현 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라서, TV(1130)가 모바일장치(1110)의 통신 접속을 승인하는 과정의 신호 흐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장치(1110)는 태블릿(1120)과 일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된 상태에서(S1910), 태블릿(1120)의 프로토콜 별 ID 정보를 취득하여 저장한다(S1920). 여기서, 모바일장치(1110)가 취득하는 태블릿(1120)의 프로토콜 별 ID 정보는 태블릿(1120)이 지원 가능한 모든 프로토콜 별 ID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바, 모바일장치(1110)가 지원하지 않는 프로토콜의 ID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장치(1110)는 일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의 요청 메시지를 TV(1130)에 전송한다(S1930). 이 때, 해당 메시지는 모바일장치(1110)의 각 프로토콜 별 ID 정보와, 태블릿(1120)의 각 프로토콜 별 ID 정보를 포함한다.
TV(1130)는 메시지로부터 모바일장치(1110)의 각 프로토콜 별 ID 정보 및 태블릿(1120)의 각 프로토콜 별 ID 정보를 추출하고, 각 ID의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S1940).
TV(1130)는 모바일장치(1110)의 ID가 등록된 것으로 판단하면, 모바일장치(1110)에 대해 해당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수행한다(S1950). 반면, 모바일장치(1110)의 ID가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TV(1130)는 모바일장치(1110)의 통신접속에 대한 사용자 승인 요청 UI를 표시한다.
한편, TV(1130)는 태블릿(1120)의 ID가 등록된 것으로 판단하면, 태블릿(1120)에 대해 해당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수행한다(S1960). 반면, 태블릿(1120)의 ID가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TV(1130)는 태블릿(1120)에 대한 사용자 승인 요청 UI를 표시하거나, 또는 자동으로 태블릿(1120)에 대한 통신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모바일장치(1110)가 TV(1130)에 대한 일 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을 요청하는 동작으로 인하여, 설사 태블릿(1120)이 TV(1130)에 통신접속 요청 메시지를 보내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모바일장치(1110) 및 태블릿(1120) 각각이 TV(1130)와 통신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모바일장치(1110) 및 태블릿(1120)을 함께 사용하는 사용자에 있어서, 향상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시스템
100, 400, 600 : 모바일장치
110 : 통신부
111, 112, 113 : 통신모듈
120 : 표시부
130 : 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처리부
200, 500, 700 : TV
210, 510 : TV통신부
211, 212, 213, 511, 512, 711, 712 : TV통신모듈
220 : TV표시부
230 : TV입력부
240, 540 : TV저장부
250, 550 : TV처리부
541, 741 : 공통 디바이스 DB
551, 751 : 공통 디바이스 관리자

Claims (13)

  1.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기반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외부장치의 상기 통신 프로토콜 별 ID 정보를 등록 가능하게 마련된 저장부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 중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외부장치와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수행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게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요청은, 상기 제1프로토콜에 따른 제1ID 및 상기 제1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프로토콜에 따른 제2ID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ID 및 상기 제2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외부장치에 대한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ID 및 상기 제2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저장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사용자가 상기 통신접속의 요청의 승인을 선택하도록 마련된 UI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UI를 통해 사용자의 승인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으로부터 추출한 상기 제1ID 및 상기 제2ID를 상기 저장부에 등록하고,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UI를 통해 사용자가 승인하지 않는다는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외부장치 및 상기 통신부 사이에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 모든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상기 외부장치의 ID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PNP(universal plug and play), 블루투스, NFC(near-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7.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 중 제1프로토콜에 따른 제1ID 및 상기 제1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프로토콜에 따른 제2ID를 포함하는,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ID 및 상기 제2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등록된 ID라고 판단되면, 상기 외부장치로부터의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 통신접속의 요청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ID 및 상기 제2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상기 통신접속의 요청의 승인을 선택하도록 마련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I 표시 단계는,
    상기 UI를 통해 사용자의 승인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요청으로부터 추출한 상기 제1ID 및 상기 제2ID를 등록하고,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UI 표시 단계는,
    상기 UI를 통해 사용자가 승인하지 않는다는 선택을 수신하면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외부장치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 사이에 통신 가능하게 마련된 모든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상기 외부장치의 ID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은, 와이파이, 와이파이 다이렉트, UPNP, 블루투스, NF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시스템에 있어서,
    제1영상처리장치와;
    상기 제1영상처리장치로부터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 중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의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게 동작하는 제2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요청은, 상기 제1프로토콜에 따른 제1ID 및 상기 제1프로토콜과 상이한 제2프로토콜에 따른 제2ID를 포함하고,
    상기 제2영상처리장치는,
    통신부와;
    상기 제1영상처리장치의 상기 통신 프로토콜 별 ID 정보를 등록 가능하게 마련된 저장부와;
    상기 제1ID 및 상기 제2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저장부에 등록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1영상처리장치에 대한 상기 제1프로토콜 기반의 통신접속을 허용하게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50011225A 2015-01-23 2015-01-23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91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225A KR20160091058A (ko) 2015-01-23 2015-01-23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5/000,271 US20160219329A1 (en) 2015-01-23 2016-01-19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6152339.4A EP3048855B1 (en) 2015-01-23 2016-01-22 Communication protocol selection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225A KR20160091058A (ko) 2015-01-23 2015-01-23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058A true KR20160091058A (ko) 2016-08-02

Family

ID=5529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225A KR20160091058A (ko) 2015-01-23 2015-01-23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219329A1 (ko)
EP (1) EP3048855B1 (ko)
KR (1) KR201600910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2536B2 (en) 2004-06-04 2021-04-06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media presentation at multiple recipients
KR102184488B1 (ko) * 2014-01-09 2020-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장치, 영상표시장치, 이동단말장치의 구동방법 및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EP3353980A1 (en) * 2015-09-24 2018-08-01 Sicpa Holding SA Remote security document analysis
DE102016212819A1 (de) * 2016-07-13 2018-01-18 Audi Ag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einer Zugangseinrichtung zu einer persönlichen Datenquelle
JP6531730B2 (ja) * 2016-07-21 2019-06-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機器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6561965B2 (ja) * 2016-10-28 2019-08-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機器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2018093433A (ja) * 2016-12-06 2018-06-1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93274B2 (en) 2018-03-30 2021-04-27 Apple Inc. Pairing devices by proxy
US10783929B2 (en) 2018-03-30 2020-09-22 Apple Inc. Managing playback groups
US11297369B2 (en) * 2018-03-30 2022-04-05 Apple Inc. Remotely controlling playback devices
CN111050306A (zh) * 2018-10-15 2020-04-21 北京轩辕联科技有限公司 用于蓝牙设备的扩展连接方法和扩展连接系统
KR20200116285A (ko) * 2019-04-01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88353A (ko) 2020-01-06 2021-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9629B2 (ja) * 2001-03-27 2008-0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通信機器、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092692B2 (ja) * 2003-06-06 2008-05-28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127581B2 (en) * 2009-11-10 2015-09-08 Jeju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Filter assembly and exhaust gas reducing device including same
JP5521774B2 (ja) * 2010-05-25 2014-06-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19329A1 (en) 2016-07-28
EP3048855A1 (en) 2016-07-27
EP3048855B1 (en)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1058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27805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200015300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reating A Wireless Docking Group
EP2541800B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between two devices via a relaying device using nfc
EP1569411B1 (en) Methods, apparatuses and program products for initializing a security association based on physical proximity in a wireless ad-hoc network
EP238720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Fi Service by Wi-Fi Device
US990082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139563B1 (en) Media content sharing method and apparatus
CN104956761A (zh) 使用nfc的wi-fi直连服务方法及其设备
US200902717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p wireless lan of device
CN112492580B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99304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222287A (zh) 用于直接链路连接的探测消息
JP2009218845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KR20110073239A (ko) WiFi Direct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탐색 방법 및 장치
CN102077507A (zh) 通过设备的物理坞接来自动传递信息
US200902740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by using button
EP25834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istering personal network
US9526000B1 (en) Secure wireless network setup using multicast packets
US20230283994A1 (en) Automatic Control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23213209A1 (zh) 密钥管理方法及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