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448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448A
KR20180053448A KR1020160150058A KR20160150058A KR20180053448A KR 20180053448 A KR20180053448 A KR 20180053448A KR 1020160150058 A KR1020160150058 A KR 1020160150058A KR 20160150058 A KR20160150058 A KR 20160150058A KR 20180053448 A KR20180053448 A KR 20180053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opening
insulating layer
display reg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3745B1 (ko
Inventor
박종력
서진욱
신성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0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745B1/ko
Priority to US15/630,108 priority patent/US10451940B2/en
Priority to CN201711084588.3A priority patent/CN108074956B/zh
Publication of KR2018005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448A/ko
Priority to US16/561,487 priority patent/US10795230B2/en
Priority to US17/063,052 priority patent/US1132070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5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27Through-hole 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 to the active element through an insulation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1L27/3246
    • H01L27/3248
    • H01L27/3258
    • H01L27/3262
    • H01L51/0097
    • H01L51/52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ceramics or electro-optical crystals, e.g. exhibiting Pockels effect or Kerr effect
    • G02F1/0305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2F1/0316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me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에서 제1 개구를 갖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에서 제2 개구를 갖는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를 덮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는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제공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제공되는 제2 전극을 갖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금속층이 제공되고, 상기 제1 개구의 측부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복수의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 표시 장치를 이용한 가요성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평판 표시 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소자(LCD: 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전기 영동 표시 장치(EPD; electrophoretic display) 등이 있다.
상기 가요성 표시 장치들은 휘어지고 접히는 특성을 가지는 바, 접거나 마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큰 화면을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휴대가 간편하다. 이러한 가요성 표시 장치는 모바일 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전자 책, 전자 신문 등과 같은 모바일 장비뿐만 아니라 TV, 모니터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층 상에 적층되는 봉지층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에서 제1 개구를 갖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에서 제2 개구를 갖는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를 덮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는 상기 제1 절연층과 상기 제2 절연층 사이에 제공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제공되는 제2 전극을 갖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금속층이 제공되고, 상기 제1 개구의 측부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복수의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의 상기 측부는 제1 기울기를 갖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1 기울기와 상이한 제2 기울기를 갖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2 기울기와 상이한 제3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기울기는 상기 제1 기울기 및 상기 제3 기울기 보다 큰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제1 경사부, 상기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3 경사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표시 영역은 일측에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벤딩부는 4.5mm 이하의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벤딩부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을 따라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봉지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 절연막, 유기 절연막, 및 제2 무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 상에는 상기 제1 무기 절연막 및 상기 제2 무기 절연막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속층은 은(A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은 애노드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캐쏘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표시 영역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게이트 전극, 액티브 패턴,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제1 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제1 전극의 노출된 영역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는 유기 발광층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에서 제1 개구를 갖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에서 제2 개구를 갖는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를 덮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는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제공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제공되는 제2 전극을 갖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금속층이 제공되고,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제1 개구의 일 측부을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개구의 측부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복수의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제1 개구의 표시 영역 쪽 측부를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봉지층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신뢰성 높은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표시 영역 화소 일부 및 비표시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제1 개구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로서, 절연층과 봉지층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5은 도 2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4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층과 봉지층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2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4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층과 봉지층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면'과 '하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기 위하여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상면'과 '하면'은 특정한 방향, 위치 또는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서로 호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이 '하면'이라고 해석될 수도 있고 '하면'이 '상면'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면'을 '제1'이라고 표현하고 '하면'을 '제2'라고 표현할 수도 있고, '하면'을 '제1'로 표현하고 '상면’을 '제2'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그러나, 하나의 실시예 내에서는 '상면'과 '하면'이 혼용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SUB), 상기 기판(SUB) 상에 제공된 화소들(PXL), 및 상기 화소들(PXL)에 연결된 배선부(LP)를 포함한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기판(SUB)은 대략적으로 사각형 형상, 그 중에서도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SUB)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단변들과 제2 방향(DR2)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장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판(SUB)의 변들은 하나의 단변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된 네 변을 제1 변(S1) 내지 제4 변(S4)으로 지칭한다.
그러나, 기판(SU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닫힌 형태의 다각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SUB)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갖는 경우, 상기 각 형상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이 직사각 형상을 가질 때, 서로 인접한 직선 변들이 만나는 부분이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직사각 형상의 꼭지점 부분은 서로 인접한 그 양단이 서로 인접한 두 직선 변들에 연결되고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 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곡률은 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곡률은 곡선이 시작되는 위치 및 곡선의 길이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들(PXL)이 제공되어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DA)은 기판(SUB)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DA)은 기판(SUB)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닫힌 형태의 다각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영역(DA)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갖는 경우, 상기 각 형상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화소들(PXL)은 기판(SUB)의 표시 영역(DA) 상에 제공된다. 각 화소(PXL)는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로서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화소들(PXL)은 백색광 및/또는 컬러광을 출사할 수 있다. 각 화소(PXL)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출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안, 마젠타, 옐로우 등의 색을 출사할 수 있다.
화소들(PXL)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개념이 유지되는 한도 내에서 액정 소자, 전기 영동 소자, 전기 습윤 소자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표시 영역(NDA)은 그 일부로부터 돌출된 부가 영역(AD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영역(ADA)은 비표시 영역(NDA)을 이루는 변들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가 영역(ADA)에는 기판(SUB)의 단변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변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부가 영역(ADA)은 장변들 중 하나의 변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또는 네 변들 중 두 변 이상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가 영역(ADA)에는 데이터 구동부가 제공되거나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성 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flexibility)을 가질 수 있으며, 가요성을 가지는 부분에서 접힐 수 있다. 즉, 표시 장치는 가요성을 가지며 일 방향으로 접힌 벤딩부(BA; bent area)와 벤딩부(B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며 접히지 않고 편평한 플랫 영역(FA; flat area)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 영역(FA)은 가요성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 예로서 벤딩부(BA)가 부가 영역(ADA)에 제공된 것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벤딩부(BA)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플랫 영역(FA1)과 제2 플랫 영역(FA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플랫 영역(FA1)은 표시 영역(D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벤딩부(BA)은 표시 영역(DA)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벤딩부(BA)에 있어서, 표시 장치가 접히는 선을 접이선이라고 할 때, 접이선은 벤딩부(BA) 내에 제공된다. 여기서, “접힌다”는 용어는 형태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원래의 형태로부터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특정 배선, 즉 접이선을 따라 접히거나(folded) 휘거나(curved) 두루마리 식으로 말리는(rolled)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플랫 영역(FA1, FA2)들의 일 면이 서로 평행하게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접힌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벤딩부(BA)을 사이에 두고 두 플랫 영역(FA1, FA2)의 면들이 소정 각도(예를 들어 예각, 직각 또는 둔각)를 이루며 접힐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부가 영역(ADA)은 이후 접이선을 따라 벤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가 영역(ADA)이 벤딩됨으로써 베젤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2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상기 표시 영역 화소 일부 및 비표시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표시 영역(DA)에 대해 설명하고, 이후 비표시 영역(NDA)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들(PXL)이 제공된다. 각 화소(PXL)는 배선부(LP) 중 대응하는 배선에 연결된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발광 소자,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는 발광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트랜지스터와, 구동 트랜지스터를 스위칭 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들(PXL)은 기판(SUB) 상에 제공된다.
기판(SUB)은 유리, 수지(resin) 등과 같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판(SUB)은 휘거나 접힘이 가능하도록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기판(SUB)의 비표시 영역(NDA)에 제공되는 벤딩부(BA)뿐만 아니라, 기판(SUB)의 다른 영역도 휘거나 접힐 수 있다. 예컨대, 화소(PXL)가 제공되는 표시 영역(DA)이 휘거나 접힐 수 있다. 아울러, 기판(SUB)은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SUB)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기판(SUB)을 구성하는 재료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섬유 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SUB) 상에는 버퍼층(BF)이 형성된다. 버퍼층(BF)은 스위칭 및 구동 트랜지스터들에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막는다. 버퍼층(BF)은 단일층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적어도 2중층 이상의 다중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버퍼층(BF)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BF)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F)이 다중층으로 제공될 경우, 각 층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층(BF)은 기판(SUB)의 재료 및 공정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버퍼층(BF) 상에는 액티브 패턴(ACT)이 제공된다. 액티브 패턴(ACT)은 반도체 소재로 형성된다. 액티브 패턴(ACT)은 각각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에 제공된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액티브 패턴(ACT)은 폴리 실리콘, 아몰퍼스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 등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패턴일 수 있다. 채널 영역는 불순물로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 패턴으로서, 진성 반도체일 수 있다.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은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패턴일 수 있다. 불순물로는 n형 불순물, p형 불순물, 기타 금속과 같은 불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액티브 패턴(ACT) 상에는 제1 패시베이션층(PSV1)이 제공된다. 제1 패시베이션층(PSV1)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으며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일 수도 있다. 무기 재료로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유기 재료는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일 수 있다.
제1 패시베이션층(PSV1) 상에는 게이트 전극(GE)과 커패시터 하부 전극(LE)이 제공된다. 게이트 전극(GE)은 액티브 패턴(ACT)의 채널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GE) 및 커패시터 하부 전극(LE)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GE)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와 같은 금속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GE)은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들 및 합금들 중 2 이상 물질이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게이트 배선들을 비롯한 다른 배선들이 게이트 전극(GE) 및 커패시터 하부 전극(LE)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배선들과 같은 다른 배선들은 각 화소(PXL) 내의 트랜지스터의 일부,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GE)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 및 커패시터 하부 전극(LE) 상에는 제2 패시베이션층(PSV2)이 제공된다. 제2 패시베이션층(PSV2)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무기 재료로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패시베이션층(PSV2) 상에는 커패시터 상부 전극(UE)이 제공된다. 커패시터 상부 전극(UE)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패시터 상부 전극(UE)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와 같은 금속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 상부 전극(UE)은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들 및 합금들 중 2 이상 물질이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패시터 하부 전극(LE)과 커패시터 상부 전극(UE)은 제2 패시베이션층(PSV2)을 사이에 두고 커패시터(Cst)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패시터(Cst)가 커패시터 하부 전극(LE)과 커패시터 상부 전극(UE)으로 구성된 것을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커패시터(Cst)를 구현할 수 있다.
커패시터 상부 전극(UE) 상에는 제3 패시베이션층(PSV3)이 제공된다. 제3 패시베이션층(PSV3)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무기 재료로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3 패시베이션층(PSV3) 상에는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이 제공된다.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은 제3 패시베이션층(PSV3), 제2 패시베이션층(PSV2) 및 제1 패시베이션층(PSV1)에 형성된 컨택 홀을 통해 액티브 패턴(ACT)의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에 각각 접촉한다.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와 같은 금속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은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들 및 합금들 중 2 이상 물질이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데이터 배선들(DL)이나 제1 전원 배선들이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재료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배선들(DL)이나 제1 전원 배선들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각 화소(PXL) 내의 트랜지스터의 일부, 예를 들어 소스 전극(SE) 및/또는 드레인 전극(DE)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과 드레인 전극(DE) 상에는 제4 패시베이션층(PSV4)이 제공될 수 있다. 제4 패시베이션층(PSV4)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무기 재료로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4 패시베이션층(PSV4)은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제4 패시베이션층(PSV4) 상에는 제1 절연층(INS1)이 제공될 수 있다. 제4 패시베이션층(PSV4)이 생략되는 경우, 제1 절연층(INS1)은 제3 패시베이션층(PSV3)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SUB)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PXL)가 제공된다. 각 화소는 제1 절연층(INS1)과 제2 절연층(INS2) 사이에 제공되는 제1 전극(EL1) 및 상기 제2 절연층(INS2) 상에 제공되는 제2 전극(EL2)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EL1) 및 제2 전극(EL2)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금속층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전극(EL1) 및 제2 전극(EL2)은 각각 애노드와 캐소드일 수 있다.
제1 전극(EL1)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이들의 합금 등의 금속막 및/또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전극(EL1)은 한 종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종 이상의 금속, 예를 들어, Ag와 Mg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전극(EL1)은 기판(SUB)의 하부 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투명 도전성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SUB)의 상부 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금속 반사막 및/또는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EL1) 등이 형성된 기판(SUB) 상에는 각 화소(PXL)에 대응하도록 화소(PXL) 영역을 구획하는 제2 절연층(INS2)이 제공된다. 제2 절연층(INS2)은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유기 재료로는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제1 전극(EL1)의 상면을 노출하며 화소(PXL)의 둘레를 따라 기판(SUB)으로부터 돌출된다.
기판(SUB) 상에는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이 제공된다.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은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두 개 층의 절연막만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절연층(INS1)과 제2 절연층(INS2)의 사이, 제1 절연층(INS1)의 하부, 또는 제2 절연층(INS2)의 상부에 절연막을 더 가질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제1 절연층(INS1)은 제1 개구(OPN1)를 갖고, 제2 절연층(INS2)은 제2 개구(OPN2)를 갖는다. 상기 제1 개구(OPN1) 및 제2 개구(OPN2)는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에는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제2 개구(OPN1, OPN2)의 존재로 인해,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에는 유기 절연막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유기 절연막은 외부의 산소나 수분이 표시 장치 내부로 침투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제2 개구(OPN1, OPN2)에 유기 절연막이 존재하지 않으며 제1, 제2 개구(OPN1, OPN2) 상에 봉지층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산소나 수분이 유기 절연막을 통해 표시 장치 내부로 침투할 수 없다. 제1 개구(OPN1) 및 제2 개구(OPN2)는 개구 내에 제1 절연층(INS1) 또는 제2 절연층(INS2)의 형성 과정에서 잔막이 남지 않도록 충분히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제1 개구(OPN1)의 일 측부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복수의 경사부(SLP)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SLP)는 제1 개구(OPN1)의 표시 영역 쪽 측부에 존재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경사부(SLP)는 제1 경사부(SLP1), 제2 경사부(SLP2), 및 제3 경사부(SLP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개구(OPN1)의 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의 경사부(SLP)를 포함함으로써, 제1 개구(OPN1)의 일 측부에 금속 입자가 퇴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1 전극(EL1) 또는 제2 전극(EL2) 형성 과정에서 식각액은 제1 전극(EL1) 또는 제2 전극(EL2)에 포함된 금속층을 식각한다. 이 때 식각된 금속은 식각액 속에 금속 이온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식각액 속의 금속 이온은 다른 금속과 만났을 때, 전자를 받아 석출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의 석출은 금속의 이온화 경향성에 따른다. 예를 들어, 제1 전극(EL1) 또는 제2 전극(EL2)에 포함된 제1 금속(M1)은 식각되어 제1 금속 이온(M1+)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식각액 속 제1 금속 이온(M1+)이 제2 금속(M2)과 만나게 되면,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제1 금속 이온(M1+)은 제1 금속(M1) 형태로 석출되고, 제2 금속(M2)은 제2 금속 이온(M2+) 형태로 이온화될 수 있다.
[화학식 1]
a M1c + + b M2 → a M1(↓) + b M2d +
(a, b, c, d 는 임의의 자연수)
상기와 같은 경우, 제2 금속(M2)의 이온화 경향성은 제1 금속(M1)의 이온화 경향성 보다 크다. 석출 후 식각액 속을 부유하는 제1 금속(M1)은 표시 장치 내 특정 영역에 퇴적되었을 때 문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금속(M1) 입자가 제1 개구(OPN1)의 일 측부에 퇴적될 경우, 퇴적된 제1 금속(M1) 입자는 제1 절연층(INS1) 상에 형성되는 봉지층(SL)을 손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개구(OPN1)의 일 측부에 퇴적된 제1 금속(M1) 입자는 표시 장치 제조 공정에서 표시 장치가 눌렸을 때, 상대적으로 신축성이 없는 봉지층(SL1, SL3)을 파손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제1 금속(M1) 입자는 제1 개구(OPN1)의 일 측부, 특히 벤딩 영역(BA)과 인접한 측부에 퇴적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은 제1 개구(OPN1)의 측부에서 가파르게 떨어지는 단차를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제1 절연층(INS1)의 말단 또는 제1 개구(OPN1)의 일 측부에 식각액의 와류가 발생할 수 있다. 식각액 속을 부유하는 제1 금속(M1) 입자는 상기 와류가 발생하는 영역에 모일 수 있으며, 이들 제1 금속(M1) 입자는 식각액 제거 후 와류 발생 영역에 퇴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개구(OPN1)의 측부에서 제1 금속(M1) 입자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개구(OPN1)의 측부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의 경사부(SLP)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개구(OPN1)의 측부에서 식각액의 와류 발생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식각액 속을 부유하는 제1 금속(M1) 입자는 제1 개구(OPN1)의 측부에 퇴적되지 않으며, 나아가 제1 개구(OPN1) 상에 형성되는 봉지층(SL)을 파손시키지도 않는다.
상기 제1 금속은 예컨대 은(Ag)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개구(OPN1)의 일 측부에 은(Ag) 입자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는 은(Ag)이 포함될 수 있다. 은(Ag)은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물질이므로, 표시 장치 내에서 전극 또는 전원 배선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극 또는 전원 배선에 포함된 은(Ag)은 식각 공정에서 식각액에 이온 상태(Ag+)로 녹아들 수 있다. 이러한 은 이온(Ag+)은 표시 장치 제조 공정 중 전자를 공급 받아 다시 은(Ag)으로 석출될 수 있다. 예컨대, 은 이온(Ag+)을 포함한 식각액이 알루미늄(Al)을 만날 경우, 전자가 알루미늄(Al)으로부터 은 이온(Ag+)으로 이동하여 은(Ag)이 석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 제조 공정에서 은 이온(Ag+)을 포함하는 식각액이 다른 금속과 만나지 않게 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많은 경우에 식각액 속에는 은 이온(Ag+)과 석출된 은(Ag)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댐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개구(OPN1) 및 제2 개구(OPN2)는 벤딩 영역(BA)과 댐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경사부(SLP)는 벤딩 영역(BA) 상에 적층된 제1 절연층(INS1)의 측부 또는 댐을 형성하는 제1 절연층(INS1)의 측부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절연층(INS1), 제1 개구(OPN1) 및 경사부(SLP)의 위치는 상기 기재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제1 개구(OPN1)는 댐이 제공되는 영역과 제1 전극(EL1)이 제공되는 영역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는, 표시 장치에 댐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제1 개구(OPN1)는 벤딩 영역(BA)과 제1 전극(EL1)이 제공되는 영역 사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개구(OPN1)가 제공되는 위치에 따라, 복수의 경사부(SLP)가 제공되는 위치 또한 바뀔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에 의해 둘러싸인 화소(PXL) 영역에는 유기 발광층(OL) 이 제공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L)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저분자 물질로는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분자 물질로는 PEDOT,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L)은 단일층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다양한 기능층을 포함하는 다중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L)이 다중층으로 제공되는 경우, 홀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층(OL)은 증착(evaporation),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방법, 레이저열전사방법(LITI; 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유기 발광층(OL)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유기 발광층(OL)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 개의 제1 전극(EL1)들에 걸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 전극(EL1)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유기 발광층(OL) 상에는 제2 전극(EL2)이 제공된다. 제2 전극(EL2)은 화소(PXL)마다 제공될 수도 있으나, 표시 영역(DA)의 대부분을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화소들(PXL)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제2 전극(EL2)은 실시예에 따라 애노드나 캐소드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1 전극(EL1)이 애노드인 경우 제2 전극(EL2)은 캐소드로, 제1 전극(EL1)이 캐소드인 경우 제2 전극(EL2)은 애노드로 사용될 수 있다.
제2 전극(EL2)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등의 금속막 및/또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등의 투명 도전성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전극(EL2)은 금속 박막을 포함하는 이중막 이상의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ITO/Ag/ITO 의 삼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전극(EL2)은 기판(SUB)의 하부 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금속 반사막 및/또는 투명 도전성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SUB)의 상부 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EL2) 상에는 봉지층(SL)이 제공된다. 봉지층(SL)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봉지층(SL)은 제1 봉지층(SL1) 내지 제3 봉지층(SL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봉지층(SL1) 내지 제3 봉지층(SL3)은 유기 재료 및/또는 무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최외곽에 위치한 제3 봉지층(SL3)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비표시 영역(NDA)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비표시 영역(NDA)을 설명함에 있어,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미 설명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표시 영역(NDA)에는 배선부(LP)가 제공되며, 기판(SUB)이 접히는 벤딩부(BA)을 갖는다.
배선부(LP)는 데이터 배선들(DL)을 포함하며, 구동부와 화소들(PXL)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배선들(DL)은 화소들(PXL)과 구동부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화소들(PXL)로부터 대략적으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들(DL)은 부가 영역(ADA)의 제2 방향(DR2)의 단부인 패드 영역(PA)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단부에는 컨택 전극(CTE)들이 제공될 수 있다. 화소들(PXL)은 배선들에 연결된 컨택 전극(CTE)들을 통해 칩 온 필름 등으로 구현된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배선은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서브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 배선들(DL) 중 팬-아웃 배선(DLb), 링크 배선(DLc), 및 연결 배선(DLd)만 개시되었다.
기판(SUB)의 비표시 영역(NDA) 상에는 버퍼층(BF)이 제공된다.
버퍼층(BF) 상에는 제1 패시베이션층(PSV1) 내지 제4 패시베이션층(PSV4)이 순차적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벤딩부(BA)에 제공된 절연막들에는 제3 개구(OPN3)가 제공된다. 벤딩부(BA)은 기판(SUB)이 구부러지는 영역이다. 즉, 버퍼층(BF), 제1 패시베이션층(PSV1), 제2 패시베이션층(PSV2), 및 제3 패시베이션층(PSV3)에는 벤딩부(BA)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어 제3 개구(OPN3)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버퍼층(BF), 제1 패시베이션층(PSV1), 제2 패시베이션층(PSV2), 및 제3 패시베이션층(PSV3) 중 일부는 벤딩부(BA)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층(BF)은 벤딩부(BA)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지 않을 수 있으며, 나머지 절연막, 즉 제1 패시베이션층(PSV1), 제2 패시베이션층(PSV2), 및 제3 패시베이션층(PSV3)은 벤딩부(BA)에 대응하는 부분이 제거되어 제3 개구(OPN3)를 이룰 수 있다.
제3 개구(OPN3)가 벤딩부(BA)에 대응한다는 것은, 제3 개구(OPN3)가 벤딩부(BA)과 중첩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개구부(OPN)의 면적은 벤딩부(BA)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3 개구(OPN3)의 폭이 벤딩부(BA)의 폭보다 더 넓도록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제3 개구(OPN3)의 폭은 벤딩부(BA)의 폭과 같거나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서는 버퍼층(BF), 제1 패시베이션층(PSV1), 제2 패시베이션층(PSV2), 및 제3 패시베이션층(PSV3)의 내측면들이 모두 일치하여 직선 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버퍼층(BF)의 제3 개구(OPN3)보다 제3 패시베이션층(PSV3)의 제3 개구(OPN3)가 더 넓은 면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버퍼층(BF)의 제3 개구(OPN3)는 제1 패시베이션층(PSV1)의 제3 개구(OPN3), 제2 패시베이션층(PSV2)의 제3 개구(OPN3), 및 제3 패시베이션층(PSV3)의 제3 개구(OPN3)들 중 가장 좁은 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개구(OPN3)에는 벤딩부 절연막(INS_B)이 제공된다. 벤딩부 절연막(INS_B)은 제3 개구(OPN3)의 적어도 일부를 채우며, 본 발명의 도 3에서는 제3 개구(OPN3)를 모두 충진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벤딩부 절연막(INS_B)은 제3 개구(OPN3)를 충진함과 동시에 제3 개구(OPN3)에 인접한 영역, 예를 들어, 제1 및/또는 제2 플랫 영역들(FA1, FA2)에 대응하는 제3 패시베이션층(PSV3)의 상부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벤딩부 절연막(INS_B)은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유기 재료로는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서는 표시 장치가 구부러지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벤딩부(BA)에서 벤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편평한 상태에서 제조되며, 이후 벤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벤딩부(BA)은 무기 절연막이 제거된 부분 내에 있도록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벤딩부(BA)과 무기 절연막이 제거된 부분이 일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벤딩부(BA)는 대체적으로는 무기 절연막이 제거된 부분에 대응하나, 필요에 따라 무기 절연막이 제거된 부분가 같거나, 더 넓거나, 더 좁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벤딩부(BA)이 비표시 영역(NDA)에만 위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벤딩부(BA)는 비표시 영역(NDA)과 표시 영역(DA)에 걸쳐서 제공될 수도 있고, 표시 영역(DA) 내에 제공될 수도 있다. 기판(SUB) 상에는 제4 패시베이션층(PSV4)이 제공될 수 있다. 제4 패시베이션층(PSV4)은 무기 절연막일 수 있으며, 이 때, 제4 패시베이션층(PSV4)은 상술한 무기 절연막들(버퍼층(BF), 제1 패시베이션층(PSV1), 제2 패시베이션층(PSV2), 및/또는 제3 패시베이션층(PSV3)과 같이 벤딩부(BA)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제공되지 않는다. 또한 제4 패시베이션층(PSV4)은 하부 컨택 전극(CTEa)의 상면 일부를 노출한다.
제3 패시베이션층(PSV3) 상에는 하부 컨택 전극(CTEa)가 제공되고, 하부 컨택 전극(CTEa) 상에는 상부 컨택 전극(CTEb)이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컨택 전극(CTEb)은 표시 영역(DA)의 연결 패턴(CNP)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컨택 전극(CTEa)과 상부 컨택 전극(CTEb)은 컨택 전극(CTE)을 구성하며, 배선들은 컨택 전극(CTE)을 통해 칩 온 필름이나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등으로 구현된 구동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제1 개구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로서, 절연층과 봉지층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제1 절연층 및 제2 절연층의 형상을 보다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하여, 도 4에는 많은 구성 요소들이 생략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4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 외에도 다른 구성 요소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기판(SUB)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절연층(INS1), 제2 절연층(INS2), 및 봉지층(SL)이 제공된다.
식각액의 와류를 억제하는 경사부(SLP)에 있어서, 제1 경사부(SLP1)는 제1 기울기를 가질 수 있고, 제2 경사부(SLP2)는 제1 기울기와 상이한 제2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3 경사부(SLP3)는 제2 기울기와 상이한 제3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기울기와 제3 기울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2 기울기는 제1 기울기 및 제3 기울기 보다 큰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기울기 및 제3 기울기는 상기 각도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제1 개구(OPN1) 일 측부에서 은 입자(Ag Particle)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경사부(SLP)의 개수 또는 기울기가 상기 예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경사부(SLP)는 3개 외에도, 2개, 4개 혹은 그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경사부(SLP)의 기울기는 모두 다르거나, 일부 동일할 수 있다. 아울러, 경사부(SLP)는 제1 개구(OPN1)의 양 측부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거나, 모두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달리 경사부(SLP)는 제1 개구(OPN1)의 비표시 영역 쪽 측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양 측부 모두에 제공될 수도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식각액의 와류 방지 및 은(Ag) 입자의 퇴적 방지 효과를 달성하는 한에서 경사부(SLP)의 개수, 기울기, 위치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경사부(SLP)는 식각 정도 조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각각의 경사부(SLP1, SLP2, SLP3)는 제1 절연층(INS1)의 식각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식각 정도를 달리하기 위하여, 하프톤 마스크를 사용하거나 복수 개의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식각 정도를 달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절연층(INS1) 상에는 제2 절연층(INS2)이 제공된다. 도 4에 따르면, 제2 절연층(INS2)은 제3 경사부(SLP3)의 일부만을 덮고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제2 절연층(INS2)은 경사부(SLP) 전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2 절연층(INS2) 상에는 봉지층(SL)이 제공된다. 봉지층(SL)은 제1 봉지층(SL1), 제2 봉지층(SL2), 및 제3 봉지층(SL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 중 제1 봉지층(SL1) 및 제3 봉지층(SL3)은 각각 제1 무기 절연막과 제2 무기 절연막일 수 있으며, 제2 봉지층(SL2)은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따라서, 봉지층(SL)은 제1 무기 절연막, 유기 절연막, 제2 무기 절연막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봉지층(SL)의 형태는 도 4 또는 상기 언급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는 필요에 따라 봉지층(SL)의 개수 또는 재료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봉지층(SL1)은 무기 재료, 제2 봉지층(SL2)은 유기 재료 또는 무기 재료, 및 제3 봉지층(SL3)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무기 재료의 경우 성가 유기 재료에 비해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는 덜하나 탄성이나 가요성이 작아 크랙에 취약하다. 제1 봉지층(SL1)과 제3 봉지층(SL3)을 무기 재료로 형성하고, 제2 봉지층(SL2)을 유기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크랙의 전파가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봉지층(SL2)이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3 봉지층(SL3)에 의해 완전히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재료로는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기 재료로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봉지층(SL2)이 유기 재료 대신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 다양한 실리콘계 절연 물질, 예를 들어, 헥사메틸디실록산(hexamethyldisiloxane; HMDSO),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 OMCTSO), 테트라메틸디실록산(tetramethyldisiloxane; TMDSO),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tetraethyleorthosilicate; TEO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봉지층(SL)은 수분이나 산소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유기 발광층을 커버함으로써 이들을 보호할 수 있다. 봉지층(SL)은 표시 영역(DA)을 덮으며, 표시 영역(DA)의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런데,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막들의 경우, 가요성 및 탄성 등의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으나,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막에 비해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막들을 통한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막기 위해,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막들의 단부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막들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상기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의 경계까지만 연장되며, 이들의 단부는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제1 봉지층(SL1) 및/또는 제3 봉지층(SL3)으로 덮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도 4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연층과 봉지층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따르면, 경사부(SLP)는 제1 경사부(SLP1) 및 제2 경사부(SLP2)를 포함하며, 제1 개구(OPN1)의 표시 영역(DA)쪽 측부에 제공된다. 아울러, 제2 절연층(INS2)은 제1 절연층(INS1) 상에 제공되며, 경사부(SLP)를 덮고 있다. 제2 절연층(INS2)이 제1 절연층(INS1)의 경사부(SLP)를 덮고 있기 때문에, 제1 개구(OPN1)의 측부에 퇴적된 은 입자는 봉지층(SL)과 직접 만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 식각액의 와류에 의해 제1 개구(OPN1) 측부에 은 입자가 퇴적되더라도, 은 입자는 봉지층(SL)을 파손하지 않는다.
도 5와 같이 제2 절연층(INS2)이 경사부(SLP)를 덮는 경우, 제2 개구(OPN2)의 폭은 제1 개구(OPN1)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아울러, 기판(SUB)과 맞닿은 영역에서 제1 절연층(INS1)과 제2 절연층(INS2)간 거리(W2)는 제1 절연층(INS1)간 거리(W1) 보다 작다. 제1 절연층(INS1)간 거리(W1)와 제1 절연층(INS1)과 제2 절연층(INS2)간 거리(W2)의 차(W1-W2)는 제1 개구(OPN1) 측부에 퇴적된 은 입자가 봉지층(SL)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일 수 있다.
경사부(SLP)가 제1 개구(OPN1)의 비표시 영역(NDA)쪽 측부에 제공되는 경우, 비표시 영역(NDA)쪽에 존재하는 제2 절연층(INS2)이 경사부(SLP)를 덮을 수 있다. 아울러, 경사부(SLP)가 제1 개구(OPN1)의 양쪽 측부 모두에 제공되는 경우, 제2 개구(OPN2) 양쪽의 제2 절연층(INS2)은 각각 표시 영역(DA)쪽 경사부(SLP)와 비표시 영역(NDA)쪽 경사부(SLP)를 덮을 수 있다. 이 때, 경사부(SLP)를 덮는 각각의 제2 절연층(INS2)은 제2 절연층(INS2) 잔막에 의해 수분 또는 산소가 화소(PXL)로 침투하지 않을 정도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경사부(SLP)는 제1 경사부(SLP1), 제2 경사부(SLP2), 제3 경사부(SLP3), 제4 경사부(SLP4), 및 제5 경사부(SLP5)를 갖는다. 각각의 경사부(SLP1, SLP2, SLP3, SLP4, SLP5)는 기울기가 서로 상이하거나, 일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는 텔레비전,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내비게이션, 스마트 워치와 같은 각종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BA: 벤딩부
DA: 표시 영역
DL: 데이터 배선
INS1, INS2: 제1 내지 제2 절연층
NDA: 비표시 영역
OPN1, OPN2, OPN3: 제1 내지 제3 개구
PSV1, PSV2, PSV3, PSV4: 제1 패시베인셔층 내지 제4 패시베이션층
SUB: 기판
SL: 봉지층
SLP: 경사부

Claims (20)

  1.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에서 제1 개구를 갖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에서 제2 개구를 갖는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를 덮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는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제공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제공되는 제2 전극을 갖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금속층이 제공되고,
    상기 제1 개구의 측부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복수의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상기 측부는 제1 기울기를 갖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제1 기울기와 상이한 제2 기울기를 갖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2 기울기와 상이한 제3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울기는 상기 제1 기울기 및 상기 제3 기울기 보다 큰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제1 경사부, 상기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3 경사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일측에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벤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부는 4.5mm 이하의 곡률 반경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벤딩부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을 따라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 절연막, 유기 절연막, 및 제2 무기 절연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 상에는 상기 제1 무기 절연막 및 상기 제2 무기 절연막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은(A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애노드이고, 상기 제2 전극은 캐쏘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게이트 전극, 액티브 패턴,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 전극은 상기 제1 절연층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는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제1 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제1 전극의 노출된 영역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는 유기 발광층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2 절연층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소;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에서 제1 개구를 갖는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상기 비표시 영역의 경계에서 제2 개구를 갖는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1 개구 및 상기 제2 개구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를 덮는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는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제공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절연층 상에 제공되는 제2 전극을 갖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금속층이 제공되고,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제1 개구의 일 측부을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의 측부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복수의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제1 개구의 표시 영역 쪽 측부를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160150058A 2016-11-11 2016-11-11 표시 장치 KR102383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058A KR102383745B1 (ko) 2016-11-11 2016-11-11 표시 장치
US15/630,108 US10451940B2 (en) 2016-11-11 2017-06-22 Flexible display device which can be folded or rolled
CN201711084588.3A CN108074956B (zh) 2016-11-11 2017-11-07 显示装置
US16/561,487 US10795230B2 (en) 2016-11-11 2019-09-05 Flexible display device which can be folded or rolled
US17/063,052 US11320709B2 (en) 2016-11-11 2020-10-05 Flexible display device which can be folded or roll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058A KR102383745B1 (ko) 2016-11-11 2016-11-11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448A true KR20180053448A (ko) 2018-05-23
KR102383745B1 KR102383745B1 (ko) 2022-04-08

Family

ID=62106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058A KR102383745B1 (ko) 2016-11-11 2016-11-1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0451940B2 (ko)
KR (1) KR102383745B1 (ko)
CN (1) CN1080749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086B1 (ko) * 2016-09-30 2019-05-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모듈
JP6807223B2 (ja) * 2016-11-28 2021-01-0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325171B1 (ko) * 2017-03-20 2021-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7731754B (zh) * 2017-10-23 2019-09-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及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018754B1 (ko) * 2017-11-29 2019-09-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9273503B (zh) 2018-09-27 2021-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0120462B (zh) * 2019-05-07 2020-09-0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模组及电子装置
CN110943108B (zh) * 2019-11-06 2021-01-1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TWI731655B (zh) 2020-04-21 2021-06-2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電子紙封裝結構
KR20230155821A (ko) 2022-05-04 2023-11-13 (주) 바이오에스텍 과립형 구강 청결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7611B1 (en) * 1998-06-30 2001-10-23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ixel electrodes of liquid crystal display
US7619258B2 (en) * 2004-03-16 2009-11-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4710A (ja) * 1998-11-27 2000-06-16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4776949B2 (ja) 2004-03-16 2011-09-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TWI489519B (zh) * 2004-04-28 2015-06-21 Semiconductor Energy Lab 基板上配線,半導體裝置及其製造方法
US7476908B2 (en) 2004-05-21 2009-01-1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JP2006054111A (ja) 2004-08-12 2006-02-23 Sony Corp 表示装置
US8035103B2 (en) * 2005-08-11 2011-10-11 Sharp Kabushiki Kaisha Circuit boar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ircuit board
KR100647702B1 (ko) 2005-09-15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장치, 및 플렉시블 평판 표시장치
JP4719863B2 (ja) 2006-05-08 2011-07-06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新規な蛍光材料、発光材料及び蛍光材料を含んでなる蛍光顔料
KR100786294B1 (ko) 2006-06-08 2007-1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0405575C (zh) * 2006-06-20 2008-07-2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形成显示装置的接触孔的方法
US8421967B2 (en) 2006-12-14 2013-04-16 Sharp Kabushiki Kaish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021164A (ja) * 2007-07-13 2009-01-29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830331B1 (ko) 2007-07-23 2008-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4678421B2 (ja) 2008-05-16 2011-04-2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10272270A (ja) * 2009-05-20 2010-12-02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JP5424738B2 (ja) 2009-06-23 2014-02-26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923717B1 (ko) 2012-05-24 2018-11-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어레이 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6076626B2 (ja) * 2012-06-14 2017-02-0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6142151B2 (ja) * 2012-07-31 2017-06-07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110320B2 (en) * 2012-08-14 2015-08-18 Apple Inc. Display with bent inactive edge regions
US9293512B2 (en) * 2012-11-02 2016-03-22 Apple Inc.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AMOLED driving
KR20150014656A (ko) 2013-07-30 2015-02-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JP6133173B2 (ja) 2013-08-29 2017-05-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102188029B1 (ko) 2013-09-24 2020-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539996B1 (ko) * 2013-11-29 2015-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85961B1 (ko) * 2013-12-24 2020-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124906B1 (ko) * 2013-12-26 2020-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835827B (zh) * 2014-02-11 2018-06-05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
KR102214476B1 (ko) 2014-03-17 2021-0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17393B1 (ko) 2014-10-17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9773853B2 (en) 2015-01-09 2017-09-26 Apple Inc.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with bent substrate
KR102391361B1 (ko) 2015-01-14 2022-04-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96296B1 (ko) 2015-03-06 2022-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46857B1 (ko) * 2015-05-26 2022-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41559B1 (ko) * 2015-07-10 2022-09-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7611B1 (en) * 1998-06-30 2001-10-23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pixel electrodes of liquid crystal display
US7619258B2 (en) * 2004-03-16 2009-11-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95230B2 (en) 2020-10-06
US20200004091A1 (en) 2020-01-02
US11320709B2 (en) 2022-05-03
KR102383745B1 (ko) 2022-04-08
US20180136527A1 (en) 2018-05-17
CN108074956A (zh) 2018-05-25
US20210018803A1 (en) 2021-01-21
US10451940B2 (en) 2019-10-22
CN108074956B (zh) 202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3745B1 (ko) 표시 장치
KR102650168B1 (ko) 표시 장치
US11864407B2 (en) Display devic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organic material overflow
US10707429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0608073B2 (en) Display device
US20220367583A1 (en) Large area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EP3267489B1 (en) Display device having protective structure
KR102597681B1 (ko) 표시 장치
CN107579094B (zh) 具有保护性结构的显示装置
KR20180067754A (ko) 표시 장치
KR20180104252A (ko) 표시 장치
EP4009367A1 (en) Display device
KR2018004729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3322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80102239A (ko) 표시 장치
KR10253836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CN219421505U (zh) 显示设备
KR102668184B1 (ko) 표시 장치
KR20240033059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43572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200058821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