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8414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8414A
KR20240078414A KR1020240064473A KR20240064473A KR20240078414A KR 20240078414 A KR20240078414 A KR 20240078414A KR 1020240064473 A KR1020240064473 A KR 1020240064473A KR 20240064473 A KR20240064473 A KR 20240064473A KR 20240078414 A KR20240078414 A KR 20240078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area
disposed
display devic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6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준
이일상
김두환
성우용
김민상
전진환
송승용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7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84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4Insulating layers formed between TFT elements and OLED el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10K59/8052Cathodes

Abstract

표시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된 복수의 화소들; 상기 복수의 화소들 상에 제공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들을 커버하는 봉지층;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부는 평면 상에서 볼 때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device),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을 포함한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형 소자인 유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액상 타입의 유기 재료가 제조 과정에서 비표시 영역으로 퍼짐에 의해 비표시 영역의 변형 및 기타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표시 영역에서 유기 재료의 넘침 현상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크랙에 의한 불량을 최소화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비표시 영역에서 유기 재료의 경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된 복수의 화소들과; 상기 복수의 화소들 상에 제공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들을 커버하는 봉지층;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는 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부는 평면 상에서 볼 때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 각각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한 제2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 각각은 인접한 돌출부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 사이에 공동(空洞)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 각각은 상기 몸통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동(空洞)은 상기 몸통부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은 상기 기판의 영역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부는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부는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된 보호층 및 상기 보호층 상에 제공된 화소 정의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층 및 상기 화소 정의막은 상기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부는 상기 화소 정의막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부는 상기 보호층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댐부는 상기 비표시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유기 절연 패턴 및 제2 유기 절연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절연 패턴은 상기 보호층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유기 절연 패턴은 상기 화소 정의막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된 복수의 화소들; 상기 복수의 화소들 상에 제공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들을 커버하는 봉지층; 상기 비표시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댐부;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제공되고 상기 댐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보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부재는 평면 상에서 볼 때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가지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된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 기판; 상기 표시 영역에 제공된 복수의 화소들; 상기 복수의 화소들 상에 제공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들을 커버하는 봉지층; 상기 비표시 영역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며 평면 상에서 볼 때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댐부;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제공되어 상기 댐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평면 상에서 볼 때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가지부들을 포함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 재료의 넘침 현상을 방지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크랙에 의한 불량을 최소화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표시 영역에서 유기 재료의 경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 ~ 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P1에 대응하는 부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댐부와 보강 부재 사이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도 3의 댐부를 다른 형태로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댐부를 복수개로 배치한 평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댐부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보강 부재를 다른 형태로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3의 보강 부재를 복수개로 배치한 평면도들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에 대응하는 회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하나의 화소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Ⅱ ~ 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표시 장치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채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 ~ 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100)과, 상기 기판(100) 상에 제공된 복수의 화소들(PXL), 상기 복수의 화소들(PXL) 상에 제공된 봉지층(200), 상기 기판(100) 상에 제공된 댐부(300), 및 상기 댐부(300)를 둘러싸는 보강 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00)은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DA)은 상기 복수의 화소들(PXL)이 구비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상기 영상은 임의의 시각 정보, 예를 들어, 텍스트, 비디오, 사진,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화소들(PXL)이 제공되지 않은 영역으로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는 상기 화소들(PXL)을 구동하는 구동부(190)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대략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100)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단변들과 제2 방향(DR2)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장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기판(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은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닫힌 형태의 다각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가요성을 가지는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예를 들어, 유리, 고분자 금속 등의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특히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 절연성 기판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유기물을 포함하는 절연성 기판 재료로는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기판(100)을 이루는 재료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기판(100)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들(PXL)은 유기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정 소자, 전기 영동 소자, 전기 습윤 소자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들(PXL)은 상기 기판(100)의 표시 영역(DA) 상에 제공된다. 각 화소(PXL)는 영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로서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소(PXL)는 백색 광 및/또는 컬러 광을 출사하는 유기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화소(PXL)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출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안, 마젠타, 옐로우 등의 색을 출사할 수 있다. 상기 각 화소(PXL)는 배선부(미도시)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TFT)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에 연결된 유기 발광 소자(OLED)를 포함한다.
상기 댐부(300)는 상기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상기 기판(100)의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에 제공된다. 상기 댐부(300)는 상기 봉지층(200)에 포함된 유기 재료의 유동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유기 재료가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밖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보강 부재(400)는 상기 댐부(30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상기 기판(100)의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에 제공된다. 상기 보강 부재(400)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상기 기판(100)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충격에 의한 크랙이 상기 기판(100)의 상기 표시 영역(DA)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댐부(300) 및 상기 보강 부재(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 표시 영역(DA)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적층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상기 기판(100)이 제공된다. 상기 기판(100)은 유리, 수지(resin) 등과 같은 절연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은 휘거나 접힘이 가능하도록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단층 구조 및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100) 상에 버퍼층(110)이 제공된다. 상기 버퍼층(110)은 상기 기판(100)으로부터 불순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기판(100)의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0)은 단일층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적어도 2중층 이상의 다중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버퍼층(110)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버퍼층(110)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0)이 다중층으로 제공될 경우, 각 층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0)은 상기 기판(100)의 재료 및 공정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버퍼층(110) 상에 액티브 패턴(120)이 제공된다. 상기 액티브 패턴(120)은 반도체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액티브 패턴(120)은 각각 소스 영역(SP), 드레인 영역(DP), 및 상기 소스 영역(SP)과 상기 드레인 영역(DP) 사이에 제공된 채널 영역(C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패턴(120)은 폴리 실리콘, 아몰퍼스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 유기 반도체 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패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패턴(120)이 상기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 또는 결정질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영역(CP)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반도체 패턴으로서, 진성 반도체일 수 있다. 상기 소스 영역(SP) 및 상기 드레인 영역(DP)은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불순물로는 n형 불순물, p형 불순물, 기타 금속과 같은 불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티브 패턴(120) 상에 게이트 절연막(125)이 제공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5)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재료로는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5) 상에는 게이트 전극(130)이 제공된다. 상기 게이트 전극(130)은 상기 액티브 패턴(120)의 상기 채널 영역(CP)에 대응되는 영역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30)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와 같은 금속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 전극(130)은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금속들 및 상기 합금들 중 적어도 2 이상 물질이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130) 상에는 상기 게이트 전극(130)을 커버하는 층간 절연막(135)이 제공된다. 상기 층간 절연막(135)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진 무기 절연막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재료로는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5)과 상기 층간 절연막(135)을 관통하는 개구부들은 상기 액티브 패턴(120)의 상기 소스 영역(SP) 및 상기 드레인 영역(DP)을 노출시킨다.
상기 층간 절연막(135) 상에는 드레인 전극(140)과 소스 전극(150)이 제공된다. 상기 드레인 전극(140)과 상기 소스 전극(150)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125) 및 상기 층간 절연막(135)에 형성된 개구부에 의해 상기 드레인 영역(DP)과 상기 소스 영역(SP)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드레인 전극(140)과 상기 소스 전극(150)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레인 전극(140)과 상기 소스 전극(150)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와 같은 금속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 전극(140)과 상기 소스 전극(150)은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금속들 및 상기 합금들 중 적어도 둘 이상 물질이 적층된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티브 패턴(120), 상기 게이트 전극(130), 상기 드레인 전극(140), 및 상기 소스 전극(15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구성한다. 이러한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구조가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탑 게이트 구조로 제공된 것이나, 상기 게이트 전극(130)이 상기 액티브 패턴(120) 하부에 배치된 바텀 게이트 구조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드레인 전극(140)과 상기 소스 전극(150) 상에는 보호층(145)이 제공된다. 상기 보호층(145)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커버하며 적어도 하나의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층(145)은 하부 구조의 굴곡을 완화시켜 표면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층(145)은 상기 소스 전극(15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컨택홀을 포함한다. 상기 보호층(145)은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재료로는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45) 상에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가 제공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소스 전극(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160)과, 상기 제1 전극(160) 사에 제공된 발광층(170), 및 상기 발광층(170) 상에 제공된 제2 전극(18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160) 및 상기 제2 전극(180) 중 하나는 애노드(anode) 전극일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극(160)은 애노드 전극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180)은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160) 및 상기 제2 전극(180) 중 적어도 하나는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가 배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전극(160)은 투과형 전극이며, 상기 제2 전극(180)은 반사형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가 전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전극(160)은 반사형 전극이며, 상기 제2 전극(180)은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가 양면 발광형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 상기 제1 전극(160) 및 상기 제2 전극(180)은 모두 투과형 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전극(160)이 애노드 전극이며,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가 전면 유기 발광 소자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상기 제1 전극(160)은 상기 보호층(14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60)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반사막(미도시), 및 상기 반사막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막(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막 및 상기 투명 도전막(미도시) 중 하나는 상기 보호층(145)의 컨택홀에 의해 상기 소스 전극(1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반사막은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사막은 알루미늄(Al), 은(Ag), 크롬(Cr), 몰리브덴(Mo), 백금(Pt), 니켈(Ni)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도전막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투명 도전막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luminum zinc oxide), GZO(gallium doped zinc oxide), ZTO(zinc tin oxide), GTO(gallium tin oxide), 및 FTO(fluorine doped tin oxide) 중 적어도 하나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60) 등이 제공된 기판(100) 상에 각 화소(PXL)에 대응하도록 화소 영역을 구획하는 화소 정의막(155)이 제공된다. 상기 화소 정의막(155)은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재료로는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155)은 상기 제1 전극(160)의 상면을 노출하며 상기 화소(PXL)의 둘레를 따라 상기 기판(100)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화소 정의막(155)에 의해 둘러싸인 화소 영역에는 상기 발광층(170)이 제공된다. 상기 발광층(170)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분자 물질로는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로는 PEDOT, PPV(Poly-Phenylenevinylene)계 및 폴리플루오렌(Polyfluorene)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170)은 단일층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다양한 기능층을 포함하는 다중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광층(170)이 다중층으로 제공되는 경우,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발광층(170)은 스크린 인쇄나 잉크젯 인쇄방법, 레이저열전사방법(LITI; Laser induced thermal imaging)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발광층(170)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발광층(170) 상에 상기 제2 전극(180)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전극(180)은 상기 화소(PXL) 마다 제공될 수도 있으나, 상기 표시 영역(DA)의 대부분을 커버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화소(PXL)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80)은 실시예에 따라 애노드 전극이나 캐소드 전극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극(160)이 애노드 전극인 경우, 상기 제2 전극(180)은 캐소드 전극으로, 상기 제1 전극(160)이 캐소드 전극인 경우 상기 제2 전극(180)은 애노드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80)은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백금(Pt), 팔라듐(Pd), 니켈(Ni), 네오디뮴(Nd), 크롬(Cr) 등의 금속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180)은 금속 박막을 포함하는 이중막 이상의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80)은 상기 기판(100)의 하부 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금속 반사막 및/또는 투명 도전성 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100)의 상부 방향으로 영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80) 상에는 상기 봉지층(200)이 제공된다. 상기 봉지층(200)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커버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산소가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봉지층(200)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200)은 상기 제2 전극(180) 상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내지 제3 봉지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봉지층은 유기 재료 및/또는 무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최 외곽에 위치한 상기 제3 봉지층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봉지층은 무기 재료, 제2 봉지층은 유기 재료 또는 무기 재료, 상기 제3 봉지층은 무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기 재료의 경우 상기 유기 재료에 비해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는 덜하나 탄성이나 가요성이 작아 크랙에 취약하다. 상기 제1 봉지층과 상기 제3 봉지층을 무기 재료로 형성하고, 상기 제2 봉지층을 유기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크랙의 전파가 방지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의 편의를 위해 상기 봉지층(200)이 상기 기판(100)의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서 상기 댐부(300)를 완전히 커버하도록 도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봉지층(200) 중에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봉지층은 상기 댐부(30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봉지층(200) 중에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봉지층은 상기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봉지층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봉지층을 완전히 커버하며 상기 댐부(30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재료로는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재료로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200)의 복층 여부 및 재료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봉지층(200)은 서로 교번하여 적층된 다수의 유기 재료층과 다수의 무기 재료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상기 비표시 영역(NDA)을 설명함에 있어,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미 설명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의 구동을 위한 상기 구동부(190)와, 상기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상기 댐부(300), 및 상기 댐부(300)를 둘러싸는 상기 보강 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00)의 상기 비표시 영역(NDA) 상에는 상기 버퍼층(110) 및 상기 보강 부재(400)가 제공된다. 상기 버퍼층(110)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서 개구부(OP)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0)은 상기 개구부(OP)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보강 부재(40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400)는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무기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부재(400)는 상기 버퍼층(110)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며 상기 버퍼층(110)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강 부재(400)는 상기 표시 영역(DA)의 상기 게이트 절연막(125)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125)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400)는 상기 표시 영역(DA)의 상기 층간 절연막(135)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며 상기 층간 절연막(135)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 부재(400)는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강 부재(400)는 상기 버퍼층(110)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된 제1 무기 절연층 및 상기 게이트 절연막(125)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된 제2 무기 절연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이중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400)는 상기 버퍼층(110)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된 상기 제1 무기 절연층, 상기 게이트 절연막(125)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된 상기 제2 무기 절연층, 및 상기 층간 절연막(135)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된 제3 무기 절연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다중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부재(400)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400)는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와 같은 금속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금속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400)는 단일막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금속들 및 상기 합금들 중 적어도 둘 이상 물질이 적층된 다중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400)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상기 기판(100)에 가해질 때, 상기 충격에 의한 크랙이 상기 표시 영역(DA)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보강 부재(400)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보강 부재(40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크랙에 의한 상기 보강 부재(400)의 손상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110) 상에 상기 게이트 절연막(125)이 제공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5)은 상기 비표시 영역(NDA)에서 상기 버퍼층(110)의 상기 개구부(OP)에 대응되는 개구부(OP)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5) 상에 상기 구동부(190)가 제공된다. 상기 구동부(190)는 예를 들어, 전원 배선, 그외에 정전기 방지 패턴 등 다양한 회로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90) 상에 도전층(195)이 제공된다. 상기 도전층(195)은 상기 구동부(19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표시 영역(DA)의 상기 제1 전극(160)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195) 상에 상기 댐부(300)가 제공된다. 상기 댐부(300)는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부(300)는 상기 표시 영역(DA)의 상기 화소 정의막(155)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며 상기 화소 정의막(155)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 공정에서 형성되는 단일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댐부(300)는 상기 표시 영역(DA)의 상기 보호층(145)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며 상기 보호층(145)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 공정에서 형성되는 단일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댐부(300)는 상기 보호층(145)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된 제1 유기 절연층 및 상기 화소 정의막(155)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된 제2 유기 절연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이중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에서는 상기 댐부(300)가 상기 화소 정의막(155)과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도록 도시하였다.
상기 댐부(300)는 상기 봉지층(200)에 포함된 상기 유기 재료가 제조 공정 시 상기 비표시 영역(NDA)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댐부(300)는 상기 봉지층(200)에 포함된 상기 유기 재료의 유동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유기 재료가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밖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P1에 대응하는 부분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댐부와 보강 부재 사이의 배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댐부(300) 및 보강 부재(400)는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NDA)에 제공된다.
상기 댐부(300)는 상기 기판(100)의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에 배치된다. 상기 댐부(300)는 일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몸통부(310) 및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3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상기 몸통부(310)의 연장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통부(310)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예를 들어, 가로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댐부(300)의 상기 몸통부(310)는 상기 표시 영역(도 1의 DA)과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상기 보강 부재(400)를 향하도록 상기 몸통부(3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평면 상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통부(310)와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일체로 형성되며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절연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인접한 돌출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공동(330, 空洞)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댐부(300)는 평면 상에서 볼 때, 빗(Comb)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봉지층(도 2의 200 참조)에 포함된 유기 재료가 제조 공정 중에 상기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NDA)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유기 재료는 상기 댐부(300)의 상기 몸통부(310)에 부딪혀 그 유동 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재료가 상기 몸통부(310)를 타고 넘어 상기 비표시 영역(NDA)으로 계속해서 흐르는 경우, 상기 유기 재료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사이의 공동(330, 空洞)에 고이면서 그 유동 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유기 재료가 상기 기판(100)의 상기 비표시 영역(NDA)으로 완전히 흘러 넘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댐부(300)는 상기 유기 재료의 유동 속도를 낮추는 장애물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로 입사될 때,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의 빗 형상으로 인해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에서 빛 간섭이 발생한다. 이러한 빛 간섭을 통해, 상기 댐부(300)의 외부로 흘러 넘칠 수 있는 상기 유기 재료가 시인되어 상기 유기 재료의 경계를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에 의해 상기 비표시 영역(NDA)으로 흐르는 상기 유기 재료의 경계를 확인하여, 상기 유기 재료의 넘침에 따른 불량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400)는 상기 댐부(30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에 배치된다. 상기 보강 부재(400)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본체부(410) 및 상기 본체부(410)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가지부들(4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은 상기 본체부(410)의 연장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부(410)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은 상기 일 방향과 경사진 사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410)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댐부(300)의 상기 몸통부(31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400)의 상기 본체부(410)는 상기 기판(100)의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에서 최외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400)의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은 상기 댐부(300)를 향하도록 상기 본체부(4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410)와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은 일체로 형성되며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무기 절연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 각각은 인접한 가지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 사이에는 공동(430, 空洞)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은 평면 상에서 볼 때 빗살 무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부재(400)의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과 상기 댐부(300)의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기판(100)의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기판(100)의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에서 상기 본체부(410)의 가로 방향의 폭(d1)과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 각각의 가로 방향의 폭(d2)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상기 본체부(410)의 가로 방향의 폭(d1)을 제1 폭(d1)이라 하고,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 각각의 가로 방향의 폭(d2)을 제2 폭(d2)이라 한다.
상기 제2 폭(d2)은 상기 제1 폭(d1) 보다 클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폭(d2)과 상기 제1 폭(d1)의 비율은 3:1 내지 2:1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상기 기판(100)으로 가해지면, 상기 충격에 의한 크랙은 상기 보강 부재(400)를 거쳐 상기 기판(100)의 상기 표시 영역(DA)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2 폭(d2)이 상기 제1 폭(d1)과 동일하거나 작은 경우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상기 기판(100)에 가해지면, 상기 충격에 의한 크랙의 진행 경로(path)가 짧아져 상기 기판(100)의 상기 표시 영역(DA)으로 상기 크랙이 전달되어 상기 기판(100)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상기 기판(100)으로 가해질 때 상기 보강 부재(400)가 상기 본체부(410)만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상기 충격에 의한 크랙의 진행 경로(path)가 짧아져 상기 기판(100)의 상기 표시 영역(DA)으로 상기 크랙이 전달되어 상기 기판(100)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 부재(400)는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의 가로 방향의 폭(d2)이 상기 본체부(410)의 가로 방향의 폭(d1) 보다 크도록 설계된다.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상기 기판(100)으로 가해질 때, 상기 충격에 의한 크랙이 상기 보강 부재(400)의 상기 본체부(410)를 거쳐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 각각으로 진행되는데,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의 가로 방향의 폭(d2)이 넓어져 상기 크랙의 진행 경로(path)가 길어지게 된다. 상기 크랙의 진행 경로(path)가 길어지면, 상기 크랙의 일부가 상기 보강 부재(400)에서 상기 표시 영역(DA)으로 진행될 때 분산 및 차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상기 기판(100)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충격에 의한 크랙이 상기 표시 영역(DA)으로 진행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보강 부재(400)는 크랙이 상기 표시 영역(DA)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표시 장치의 기구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광이 상기 표시 장치로 입사될 때,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의 빗살 무늬 형상으로 인해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에서 빛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빛 간섭을 통해, 상기 댐부(300)를 타고 넘어 상기 댐부(300)의 외부로 흘러 넘칠 수 있는 상기 봉지층(도 2의 200)의 유기 재료가 시인되어 상기 유기 재료의 경계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기판(100)의 각 변에 대응하는 상기 댐부(300) 및 상기 보강 부재(400) 각각은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판(100)의 상기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상기 댐부(300)는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영역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0)의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에서 상기 댐부(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댐부(300)를 둘러싸는 상기 보강 부재(400)는 하나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영역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댐부(300)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도 4a 내지 도 4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부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4a 내지 도 4f는 도 3의 댐부를 다른 형태로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우선,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댐부(300)는 몸통부(310)와,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320)을 포함한다.
상기 몸통부(310)는 일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상기 몸통부(310)의 연장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통부(310)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예를 들어, 가로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310)와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일체로 형성되며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절연 물질일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상기 몸통부(3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물결 무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인접한 돌출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공동(330, 空洞)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동(330, 空洞)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의 형상에 대응되는 물결 무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봉지층(도 2의 200 참조)에 포함된 유기 재료가 제조 공정 중에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NDA)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유기 재료는 상기 몸통부(310)에 부딪혀 그 유동 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만일, 상기 유기 재료가 상기 몸통부(310)를 타고 넘는 경우, 상기 유기 재료는 상기 공동(330, 空洞)에 고이면서 그 유동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특히, 도 4a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320)와 상기 공동(330, 空洞)이 물결 무늬 형상을 갖게 됨에 따라, 상기 유기 재료와 상기 복수의 돌출부(320)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유기 재료의 유동 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도 3 및 도 4b를 참조하면, 댐부(300)는 일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몸통부(310) 및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돌출부들(3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상기 몸통부(310)의 연장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상기 몸통부(3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직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다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인접한 돌출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공동(330, 空洞)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동(330, 空洞)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공동(330, 空洞)은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질 수 있다.
한편, 봉지층(도 2의 200 참조)에 포함된 유기 재료가 제조 공정 중에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NDA)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유기 재료는 상기 몸통부(310)에 부딪혀 그 유동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유기 재료가 상기 몸통부(310)를 타고 넘는 경우 상기 유기 재료는 상기 공동(330, 空洞)에 고이면서 그 유동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특히, 도 4b에 있어서, 상기 공동(330, 空洞)이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다각형의 형상을 갖게 됨에 따라 상기 유기 재료의 유동 속도가 감소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c를 참조하면, 댐부(300)는 일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몸통부(310) 및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3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삼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인접한 돌출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공동(330, 空洞)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동(330, 空洞)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의 형상에 대응되는 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공동(330, 空洞)은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d를 참조하면, 댐부(300)는 일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몸통부(310)와,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3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직선의 변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다가 상기 폭이 줄어드는 다각형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평면 상에서 볼 때,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다가 상기 폭이 줄어드는 타원형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의 가운데에 위치한 가상의 선(BL)을 기준으로 좌우가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의 폭은 10㎛ ~ 65㎛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의 사이에 제공된 공동(330, 空洞)은 상기 몸통부(3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다가 상기 가상의 선(BL)을 지나면서 그 폭이 넓어지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상기 공동(330, 空洞)이 평면 상에서 볼 때 동일한 폭을 갖고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 봉지층(도 2의 200 참조)의 유기 재료가 비표시 영역(NDA)으로 흐를 때 상기 공동(330, 空洞)에서 모세관력에 의해 상기 유기 재료의 유동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유기 재료가 상기 댐부(300)의 외부로 넘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부(300)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을 다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설계하여 상기 유기 재료와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유기 재료의 유동 속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댐부(300)는 상기 유기 재료가 고이는 상기 공동(330, 空洞)을 상이한 폭을 갖게 하여 상기 유기 재료의 유동 속도를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봉지층(200)의 유기 재료가 상기 댐부(300)의 외부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e를 참조하면, 댐부(300)는 일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몸통부(310) 및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3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넓어지다가 다시 그 폭이 줄어드는 다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의 사이에 제공된 동공(330, 空洞)은 상기 몸통부(3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폭이 좁아지다가 다시 그 폭이 넓어지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f를 참조하면, 댐부(300)는 일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된 몸통부(310) 및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3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상기 몸통부(310)의 연장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통부(310)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예를 들어, 가로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기판(100)의 표시 영역( 도 2의 DA 참조)을 향하도록 상기 몸통부(310)의 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평면 상에서 볼 때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인접한 돌출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공동(330, 空洞)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댐부를 복수개로 배치한 평면도들이다.
우선, 도 3 및 도 5a를 참조하면,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NDA)에는 제1 내지 제3 댐부(300a, 300b, 300c)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댐부(300a)는 상기 기판(100)의 표시 영역(도 2의 DA 참조)의 가장자리와 제2 댐부(300b)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댐부(300b)는 상기 제1 댐부(300a)와 상기 제3 댐부(300c)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댐부(300c)는 보강 부재(400)와 상기 제2 댐부(300b)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댐부(300a, 300b, 300c)는 유기 재료를 포함하는 유기 절연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제1 댐부(300a) 및 상기 제2 댐부(300b)는 일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댐부(300c)는 몸통부(310) 및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320)을 포함한다. 상기 몸통부(310)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상기 몸통부(310)의 연장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통부(310)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타 방향(예를 들어, 가로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상기 몸통부(310)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직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 각각은 인접한 돌출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공동(330, 空洞)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댐부(300a, 300b, 300c) 중 최 외곽에 배치되는 상기 제3 댐부(300c)는 평면 상에서 볼 때 빗(Comb)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3 댐부(300c)는 봉지층(도 2의 200 참조)에 포함된 유기 재료가 상기 기판(100)의 상기 비표시 영역(NDA)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유기 재료의 유동 속도를 줄이는 장애물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댐부(300a, 300b, 300c) 중 최 외곽에 배치된 상기 제3 댐부(300c)가 상기 몸통부(310)와 상기 복수의 돌출부(320)를 포함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댐부(300a, 300b, 300c) 각각은 몸통부(310) 및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댐부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기판 상에는 보강 부재가 배치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강 부재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기판(100) 및 상기 기판(100) 상에 제공된 댐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100)은 표시 영역(DA)과 상기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100)은 대략적으로 사각형 형상, 그 중에서도 직사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100)은 제1 방향(DR1)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단변들(S1, S3)과 제2 방향(DR2)으로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장변들(S2, S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표시 영역(NDA)은 상기 한 쌍의 장변들(S2, S4)을 따라 제1 내지 제3 영역(FA, SA, T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댐부(300)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에서 상기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상기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된 몸통부(310)와, 상기 몸통부(310)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3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봉지층(도 2의 200 참조)에 포함된 유기 재료가 흘러 넘치는 정도에 따라 다양한 위치 및/또는 단위 면적당 밀도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 재료가 많이 흘러 넘치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제2 영역(SA)과 상기 유기 재료가 잘 흘러 넘치지 않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의 제1 및 제3 영역(FA, TA)이 있는 경우, 상기 제2 영역(SA)에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을 많이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3 영역(FA, TA)에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의 개수를 상기 제2 영역(SA) 대비 적은 개수로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320)은 구현하고자 하는 효과에 따라 영역별로 개수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보강 부재를 다른 형태로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우선, 도 3 및 도 7a를 참조하면, 보강 부재(400)는 일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는 제1 본체부(410a)와 제2 본체부(41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400)는 상기 제1 본체부(410a)와 상기 제2 본체부(410b)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가지부들(4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본체부(410a), 상기 제2 본체부(410b), 및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은 일체로 형성되며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무기 절연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재료로는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산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 각각은 그 일 측이 상기 제1 본체부(410a)에 접하고, 상기 일 측과 마주보는 타 측은 상기 제2 본체부(410b)에 접할 수 있다. 따라서,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은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410a, 410b)에 의해 둘러 싸여 있는 형태로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410a, 410b)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 각각은 인접한 가지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 사이에는 공동(430, 空洞)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강 부재(400)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사다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상기 기판(100)에 가해질 때 상기 충격에 의한 크랙이 상기 보강 부재(400)의 상기 제1 본체부(410a),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 및 상기 제2 본체부(420b)를 따라 진행되어 상기 크랙의 진행 경로(path)가 길어질 수 있다. 상기 크랙의 진행 경로(path)가 길어지면, 상기 크랙의 일부가 상기 보강 부재(400)에서 상기 기판(100)의 표시 영역(도 2의 DA 참조)으로 진행될 때 분산 및 차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충격이 상기 기판(100)에 가해지더라도, 상기 충격에 의한 크랙이 상기 표시 영역(DA)으로 진행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보강 부재(400)는 일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는 제1 본체부(410a) 및 제2 본체부(41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400)는 상기 제1 본체부(410a)와 상기 제2 본체부(410b)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제1 가지부들(420a) 및 복수의 제2 가지부들(420b)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가지부들(420a) 각각은 그 일 측이 상기 제1 본체부(410a)에 접하고, 상기 일 측과 마주보는 타 측은 상기 제2 본체부(410b)에 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가지부들(420b) 각각은 그 일 측이 상기 제2 본체부(410b)에 접하고, 상기 일 측과 마주보는 타 측은 상기 제1 본체부(410a)에 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1 가지부들(420a) 각각의 상기 일 측은 상기 복수의 제2 가지부들(420b) 각각의 상기 타 측에 접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가지부들(420a) 각각의 상기 타 측은 상기 복수의 제2 가지부들(420b) 각각의 상기 일 측에 접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가지부들(420a)과 상기 복수의 제2 가지부들(420b)은 서로 교차하여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410a, 4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가지부들(420a)과 상기 복수의 제2 가지부들(420b) 사이에는 공동(430, 空洞)이 제공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복수의 제1 가지부들(420a)과 상기 복수의 제2 가지부들(420b)은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410a, 410b)에 의해 둘러 싸여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410a, 410b) 사이 영역을 좌우로 교차하는 형태로 상기 제1 및 제2 본체부(410a, 410b)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3의 보강 부재를 복수개로 배치한 평면도들이다.
우선, 도 3 및 도 8a를 참조하면, 기판(100)의 비표시 영역(NDA)에는 제1 내지 제3 보강 부재(400a, 400b, 400c)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부재(400a)는 상기 기판(100)의 댐부(300)와 제2 보강 부재(400b)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보강 부재(400b)는 상기 제1 보강 부재(400a)와 상기 제3 보강 부재(400c)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3 보강 부재(400c)는 상기 기판(100)의 가장자리와 상기 제2 보강 부재(400b)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 보강 부재(400a, 400b, 400c)는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무기 절연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강 부재(400a) 및 상기 제2 보강 부재(400b)는 일 방향(예를 들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보강 부재(400c)는 본체부(410) 및 상기 본체부(410)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가지부들(4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410)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은 상기 본체부(410)의 연장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부(410)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은 상기 일 방향과 경사진 사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 각각은 상기 본체부(410)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직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직사각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 각각은 인접한 가지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며 그 사이에 공동(430, 空洞)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보강 부재(400a, 400b, 400c) 중 최 외곽에 배치되는 상기 제3 보강 부재(400c)는 평면 상에서 볼 때 빗(Comb)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3 보강 부재(400c)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상기 기판(100)에 가해질 때 상기 충격에 의한 크랙을 분산 및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보강 부재(400a, 400b, 400c) 중 최 외곽에 배치된 상기 제3 보강 부재(400c)가 상기 본체부(410)와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420)을 포함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보강 부재(400a, 400b, 400c) 각각은 본체부(410) 및 상기 본체부(410)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가지부들(4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보강 부재(400a, 400b, 400c)는 상기 비표시 영역(NDA) 내에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 보강 부재(400a, 400b, 400c) 각각의 복수의 가지부들(410)은 인접한 보강 부재의 본체부에 닿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보강 부재(400a)의 본체부(410)의 일 면(예를 들어, 복수의 가지부들(420)이 돌출되지 않은 면)은 상기 제2 보강 부재(400b)의 복수의 가지부들(420)에 닿고, 상기 제2 보강 부재(400b)의 본체부(410)의 일 면(예를 들어, 복수의 가지부들(420)이 돌출되지 않은 면)은 상기 제3 보강 부재(400c)의 복수의 가지부들(420)에 닿을 수 있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하나의 화소에 대응하는 회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하나의 화소에 대응하는 평면도이며 도 11는 도 10의 Ⅱ ~ 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에 있어서, 화소에 포함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엔모스(NMOS)로 설정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피모스(PMOS)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기판(100), 배선부, 및 화소(PXL)를 포함한다. 상기 화소(PXL)는 영상을 표시하며 복수 개로 제공되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나,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화소(PXL)만 도시하였다. 여기서, 상기 화소(PXL)는 직사각형 모양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에는 상기 화소(PXL)가 제공된다.
상기 배선부는 상기 화소(PXL)에 신호를 제공하며 스캔 라인(SL), 데이터 라인(DL), 및 구동전압라인(ELVDD)을 포함한다.
상기 스캔 라인(SL)은 일 방향(예를 들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스캔 라인(SL)과 교차하는 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전압라인(ELVDD)은 상기 스캔 라인(SL)과 상기 데이터 라인(DL) 중 하나,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라인(DL)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캔 라인(SL)은 박막 트랜지스터에 주사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데이터 라인(DL)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구동전압라인(ELVDD)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구동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화소(PXL)는 상기 배선부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유기 발광 소자(OLED),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2)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2)를 스위칭하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FT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 화소(PXL)가 두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FT1, TFT2) 및 하나의 커패시터(Cst)를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FT1)는 제1 게이트 전극(130a)과, 제1 드레인 전극(140a), 및 제1 소스 전극(150a)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전극(130a)은 상기 스캔 라인(SL)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드레인 전극(140a)은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소스 전극(150a)은 상기 커패시터(Cst)의 일측 단자에 연결된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FT1)는 상기 스캔 라인(SL)에 인가되는 주사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커패시터(Cst)로 공급한다.
상기 커패시터(Cst)는 상기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을 충전한다.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2)는 제2 게이트 전극(130b)과, 제2 드레인 전극(140b), 및 제2 소스 전극(150b)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게이트 전극(130b)은 상기 커패시터(Cst)의 일측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드레인 전극(140b)은 상기 구동전압라인(ELVDD)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소스 전극(150b)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된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FT1)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2) 각각은 반도체 소재로 형성된 제1 액티브 패턴(120a)과 제2 액티브 패턴(120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액티브 패턴(120a)과 상기 제2 액티브 패턴(120b)은 각각 소스 영역(SP), 드레인 영역(DP), 및 채널 영역(CP)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액티브 패턴(120a)과 상기 제2 액티브 패턴(120b)은 폴리 실리콘, 아몰퍼스 실리콘, 산화물 반도체, 유기 반도체 물질 등으로 이루어진 반도체 패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액티브 패턴(120a)과 상기 제2 액티브 패턴(120b)이 상기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 또는 결정질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FT1)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2) 상에는 보호층(145)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층(145)은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FT1)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2)를 커버하며 적어도 하나의 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45)은 상기 제2 소스 전극(150b)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컨택홀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발광층(170)과, 상기 발광층(17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제1 전극(160) 및 제2 전극(18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160)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2)의 제2 소스 전극(150b)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전극(160)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정공 주입을 위한 전극으로 일함수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160) 등이 제공된 기판(100) 상에 각 화소(PXL)에 대응하도록 화소 영역을 구획하는 화소 정의막(155)이 제공된다. 상기 화소 정의막(155)은 유기 재료로 이루어진 유기 절연막일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155)은 폴리아크릴계 화합물, 폴리이미드계 화합물,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벤조시클로부텐 화합물 등과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층(170)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2)의 출력 신호에 따라 발광하여, 광을 출사하거나 출하하지 않음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층(17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상기 발광층(170)의 재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컬러 광 또는 백색 광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180)은 상기 제1 전극(160)에 비하여 일함수가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전극(180)은 몰리브덴(Mo), 텅스텐(W),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 상에는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를 외부의 수분이나 산소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봉지층(200)이 제공된다.
상기 커패시터(Cst)는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2)의 상기 제2 게이트 전극(130b)과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커패시터(Cst)는 상기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FT1)의 제1 소스 전극(150a)과 연결된 제1 커패시터 전극(CE1)과, 상기 제1 커패시터 전극(CE1) 상에 위치한 제2 커패시터 전극(CE2)를 포함한다. 상기 커패시터(Cst)는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FT2)의 상기 제2 게이트 전극(130b)에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충전하고 유지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입력 장치의 하나인 터치 스크린 패널과 채용되어 다양한 전자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표시 장치에 터치 스크린 패널이 채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봉지층(200) 상에 터치 스크린 패널(25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250)은 사용자의 손이나 별도의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표시 장치로의 터치 이벤트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250)은 감지 전극들을 포함하여 터치 및/또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250)은 정전 용량 방식이나 압저항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정전 용량 방식은 두 개의 감지 전극들 간의 상호 작용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센싱하는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과, 감지 전극 자신의 정전 용량 변화를 센싱하는 자기 정전 용량(self-capacitance) 방식을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패널(250)은 상기 봉지층(200) 상에 상기 감지 전극들을 직접 형성하는 방법과, 상기 감지 전극을 포함한 필름 형태의 박막을 상기 봉지층(200) 상에 라미네이션하는 방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250)은 상기 감지 전극들과, 상기 감지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전극들은 플렉서블 필름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막은 무기 절연 물질 및/또는 유기 절연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절연막이 유기 절연 물질일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250)의 굴곡성(flexibility)가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박형화를 위해 편광판이 제거된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편광판이 제거된 표시 장치에서 컬러 필터와 블랙 매트릭스가 상기 편광판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컬러 필터와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봉지층(20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컬러 필터와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마스크를 이용한 마스크 공정을 통해 상기 봉지층(200) 상에 직접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봉지층(200) 하부에 배치된 화소 정의막(155)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소 정의막(155)은 검은색 안료를 포함하는 열 경화성 수지 등으로 구성된 블랙 화소 정의막일 수 있다. 상기 화소 정의막(155)이 상기 검은색 안료를 포함하므로 상기 화소 정의막(155)과 동일한 재료로 동일 공정에 형성되는 댐부(도 3의 300 참조)도 상기 검은색 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표시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지거나 접히거나 말리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는 텔레비젼,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PD),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내비게이션, 스마트 워치와 같은 각종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기판 110: 버퍼층
120: 액티브 패턴 130: 게이트 전극
140: 드레인 전극 145: 보호층
150: 소스 전극 155: 화소 정의막
160: 제1 전극 170: 발광층
180: 제2 전극 190: 구동부
200: 봉지층 250: 터치 스크린 패널
300: 댐부 310: 몸통부
320: 돌출부 330/430: 공동(空洞)
400: 보강 부재 410: 본체부
420: 가지부

Claims (20)

  1.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들;
    상기 기판의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화소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동부;
    상기 복수의 화소들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구동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상부면에 집적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구동부를 커버하는 도전층;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도전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도전층에 중첩되는 댐부;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댐부로부터 이격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일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가지부들을 포함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 및
    상기 보호층 상에 제공된 화소 정의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소들 각각은 상기 보호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배치되는 발광층, 및 상기 발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 및 상기 제1 전극은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은 상기 보강 부재와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 및 상기 보강 부재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 전체가 상기 보강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 및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서로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복수의 가지부들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 및 상기 보강 부재는 서로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는 유기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부재는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및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되는 버퍼층; 및
    상기 버퍼층과 상기 보호층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층 및 상기 절연층 각각은 상기 무기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버퍼층 및 상기 절연층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 및 상기 화소 정의막은 상기 유기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댐부는 상기 보호층 및 상기 화소 정의막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한 레이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댐부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복수 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층의 끝은 단면 상에서 볼 때 상기 댐부와 상기 보강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 전체는 상기 도전층과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8.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영상이 표시되지 않고 상기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기 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들;
    상기 복수의 화소들 상에 배치되는 봉지층;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보강 부재로부터 이격되는 댐부;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일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가지부들을 포함하는 상기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댐부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로부터 상기 표시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들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240064473A 2024-05-17 표시 장치 KR20240078414A (ko)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358A Division KR102668184B1 (ko) 2016-07-25 2016-07-25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8414A true KR20240078414A (ko) 2024-06-03

Family

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5090B2 (en) Display device with structure for preventing organic material overflow
KR102650168B1 (ko) 표시 장치
US11575109B2 (en) Display device
US1146271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0707429B2 (en) Flexible display panel and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1816277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KR102597681B1 (ko) 표시 장치
EP3267489B1 (en) Display device having protective structure
CN107579094B (zh) 具有保护性结构的显示装置
KR20180082688A (ko) 표시 장치
EP3680888A1 (en) Display device having light transmissive regions
KR2016014938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37908A (ko) 표시 장치
CN112909042A (zh) 包括阻挡图案的显示装置
CN114203769A (zh) 显示设备及制造该显示设备的方法
KR102668184B1 (ko) 표시 장치
KR20240078414A (ko) 표시 장치
KR20220138498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220005675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마스크
KR20200104475A (ko) 표시 장치
US20230006013A1 (en) Display device
US20230371307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4325575A1 (en) Display device
US20220285463A1 (en) Display apparatus
KR100686333B1 (ko) 박막트랜지스터, 이를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