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431A -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 및 유모차 - Google Patents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 및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431A
KR20180051431A KR1020177030935A KR20177030935A KR20180051431A KR 20180051431 A KR20180051431 A KR 20180051431A KR 1020177030935 A KR1020177030935 A KR 1020177030935A KR 20177030935 A KR20177030935 A KR 20177030935A KR 20180051431 A KR20180051431 A KR 20180051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joint
frame
baby carriag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아사노
이사오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1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조인트(100)는 2개의 프레임 부재(12, 13)의 상대 회전을 필요에 따라 록(lock)하면서 연결한다. 서로 다른 프레임 부재에 부착된 조인트 본체(110) 및 홀더(120)와, 조인트 본체와 홀더 사이에서 조인트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2개의 록 부재(140, 150)를 구비한다. 홀더는, 조인트 본체의 긴구멍(115) 내에서, 조인트 본체에 대한 상대 회전에 따라 2개의 위치(P1, P2)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록 핀(122)을 갖는다. 제 1, 제 2 록 부재는, 각각, 위치(P1), 위치(P2)에 위치할 때의 록 핀을 구속한다. 제 1 록 부재를 구속되는 위치(M1)로부터 해방되는 위치(M2)로 이동시키면, 제 2 록 부재도 연동해서 구속되는 위치(N1)로부터 해방되는 위치(N2)로 이동한다.

Description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 및 유모차
본 발명은 손수레를 구성하는 2개의 프레임 부재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손수레용의 록(lock) 기능 부여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록 기능 부여 조인트를 갖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널리 보급되어 있는 유모차의 대부분은,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JPH06-144238A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복수의 차륜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에 시트를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이 접속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은, 2개의 프레임 부재를 록 기능 부여 조인트를 통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접속해서 얻어진다. 조인트의 록을 해제해서 2개의 프레임 부재를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유모차를 절첩할 수 있다. 절첩된 유모차는, 전체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어서, 운반하기에 적합하다.
JPH06-144238A에 개시된 유모차는 록 기능 부여 조인트에 마련되어진 나사를 푸는 것에 의해서, 2개의 프레임 부재의 록을 해제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JPH06-144238A에 개시된 유모차는, 2개의 프레임 부재의 록을 해제시키는 조작이 번잡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2개의 프레임 부재의 록을 해제시키는 조작이 용이한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 록 기능 부여 조인트를 갖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JPH06-144238A에 개시된 유모차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을 구성하는 2개의 프레임 부재를 조인트를 통해 상대 회전시키면, 2개의 프레임 부재 사이에 상방으로 개구된 극간(隙間)이 생긴다. 2개의 프레임 부재 사이에 상방으로 개구된 극간이 생기면, 의류 등이 끼어 들어가버릴 우려가 높다. 이 때문에, 2개의 프레임 부재 사이에 상방으로 개구되는 극간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면 더욱 편리하다.
본 발명은, 2개의 프레임 부재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와, 2개의 프레임 부재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되도록, 2개의 프레임 부재를 연결하는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로서,
하나의 프레임 부재에 부착된 조인트 본체와,
다른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조인트 본체와의 사이에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홀더와,
상기 조인트 본체와 상기 홀더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조인트 본체와 상기 홀더 양쪽을 관통하는 지점 핀과,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조인트 본체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록 부재 및 제 2 록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조인트 본체에 형성된 긴구멍 내에서, 상기 조인트 본체와 상기 홀더의 상대 회전에 따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당해 긴구멍에 삽입된 록 핀을 갖고,
상기 제 1 록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의 상기 록 핀과 계합(係合)하여 당해 록 핀이 상기 제 2 위치를 향하는 것을 방해하는 록 위치와, 상기 록 핀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 2 록 부재는,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의 상기 록 핀과 계합하여 당해 록 핀이 상기 제 1 위치를 향하는 것을 방해하는 록 위치와, 상기 록 핀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 1 록 부재에 조작 부재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록 부재를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록 부재도 연동해서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록 부재를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상기 제 1 록 부재가 상기 제 2 록 부재를 압압해서 당해 제 2 록 부재를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밀어 올려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제 1 록 부재는, 쿠션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2 록 부재를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밀어 올려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하나의 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슬라이딩체와, 상기 슬라이딩체와 상기 제 1 록 부재와를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딩체의 슬라이딩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제 1 록 부재를 회전시키는 장척 형상 부재를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본체와 상기 홀더 사이에 수용되며, 상기 조인트 본체와 상기 제 1 록 부재에 걸쳐 놓여진 제 1 가압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압부재는, 상기 제 1 록 부재를 상기 록 위치를 향해 가압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복수의 차륜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좌석 유닛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걸쳐 놓여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어느 하나의 특징을 가진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를 통해 연결된 링크 부재를 갖는 유모차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록 기능 부여 조인트를 통해 상기 링크 부재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상기 유모차 본체에 지지되어,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유모차 본체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요소와, 상기 검지 요소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차륜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제 1 록 부재 및 제 2 록 부재 양쪽을 록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록 핀이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중 어디에 있어도 제 1 록 부재 또는 제 2 록 부재에 의한 구속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2개의 프레임 부재의 록을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를 전개 상태에서 정면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를 좌석 유닛을 제거한 상태에서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 본체에 설치된 록 기능 부여 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3에 나타내는 록 기능 부여 조인트를 홀더를 제거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b는 도 3에 나타내는 록 기능 부여 조인트의 홀더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4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2개의 록 부재를 해제 위치까지 요동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유모차를 절첩해 갔을 때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유모차를 절첩한 상태에 있어서, 록 기능 부여 조인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를 절첩한 상태에서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구동 요소 및 차륜의 주변을 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구동 요소를 구성하는 직류 모터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상면도.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에 마련되어진 검지 요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검지 요소의 회로도.
도 15는 검지 요소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 요소에 의한 구동력을 조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6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전방으로 밀어 전진시켰을 때의 검지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하방으로 밀어 내렸을 때의 검지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후방으로 당겼을 때의 검지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를 선회시켰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를 정면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1)에서는, 유모차 본체(2)에, 제 1 좌석 유닛(8a) 및 제 2 좌석 유닛(8b)이 지지되어 있다. 제 1 좌석 유닛(8a) 및 제 2 좌석 유닛(8b)은, 유아가 착석하는 장소이며,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좌석 유닛(8a, 8b)에 착석한 유아를 햇볕이나 바람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각 좌석 유닛(8a, 8b)에는, 덮개(9a, 9b)가 마련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1)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한 「전」,「후」,「상」,「하」,「전후 방향」,「상하 방향」및「좌우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를, 핸들(20)을 파지하면서 조작하는 조작자를 기준으로 한「전」,「후」,「상」,「하」,「전후 방향」,「상하 방향」및「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 방향(d1)」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표리 방향에 해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전」이란, 핸들을 미는 조작자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바깥측이 전(前)으로 된다. 한편, 「상하 방향(d3)」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동시에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d3)」이란 연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좌우 방향(d2)」이란 폭 방향이기도 하고,「전후 방향(d1)」및「상하 방향(d3)」의 어느 것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2에, 유모차(1)를 좌석 유닛(8a, 8b)을 제거한 상태에서 측방으로부터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 본체(2)는, 프레임 본체(10)와, 프레임 본체(10)에 접속된 핸들(2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0)에 있어서, 복수의 차륜(4)이 지지된 베이스 프레임(11)에, 2개의 좌석 유닛(8a, 8b)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12)이 접속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2)은, 베이스 프레임(11)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2)의 전방 부분과 베이스 프레임(11)의 전방 부분이 전방 링크 부재(13)를 통해 접속되고, 상부 프레임(12)의 중간 부분과 베이스 프레임(11)의 후방 부분이 중간 링크 부재(14)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전방 링크 부재(13) 및 중간 링크 부재(14)는, 링크로서 기능하여, 상부 프레임(12)이 베이스 프레임(11)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베이스 프레임(11)에는, 좌우 방향(d2)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이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후단은, 후방 베이스 프레임(11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일의 파이프를 구부려서 성형함으로써,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과 후방 베이스 프레임(11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과 후방 베이스 프레임(11c)은, 별개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각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에는, 전륜(41) 및 후륜(42)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전륜(41)은, 캐스터(3)를 통해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에 회전 가능하면서 또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캐스터(3)는, 회전 축선(Ar1)을 중심으로 해서 전륜(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또한, 회전 축선(Ar1)과 비평행,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선회 축선(As1)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 가능하다. 즉, 전륜(41)은, 자전 가능함과 동시에 그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되도록 캐스터(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편, 전륜(41)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각 후륜(42)은, 캐스터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후륜(42)은, 후술하는 구동원(5)의 구동축(51a)(도 10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선회 가능하게는 되어 있지 않다.
상부 프레임(12)에는, 좌우 방향(d2)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이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의 사이에는, 중간 프레임(12c)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의 측상부 프레임(12a)과 중간 프레임(12c) 사이에 제 1 좌석 유닛(8a)이 배치되고, 우측의 측상부 프레임(12b)과 중간 프레임(12c) 사이에 제 2 좌석 유닛(8b)이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 및 중간 프레임(12c)의 후단은, 후방 상부 프레임(12d)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후방 상부 프레임(12d)에는, 핸들(20)이 부착되어 있다. 핸들(20)은 조작자의 손에 의해서 조작되는 부분이다. 핸들(20)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 도시하는 예에서는,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과 후방 상부 프레임(12d)이, 단일의 파이프를 구부려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과 후방 상부 프레임(12d)은, 별개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의 전단은, 횡연결 바(12e) 및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중, 횡연결 바(12e)는, 좌우 방향(d2)에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횡연결 바(12e)의 중간 부분에 중간 프레임(12c)의 전단이 접속되어 있다.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은, 링크로서 기능하며, 횡연결 바(12e)보다 전방이 되는 영역으로 돌출된 만곡한 형상을 가진다.
특히,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은,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를 통해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한편, 횡연결 바(12e)는, 좌우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 사이에 걸쳐 놓여져 있다.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의 전방 부분과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전단에, 베이스측 링크 프레임(13b)이 걸쳐 놓여져 있다. 베이스측 링크 프레임(13b)은, 그 전단에 있어서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에 고정되며, 그 좌우의 후단은, 횡연결 링크 바(13c)를 통해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횡연결 링크 바(13c)는, 좌우 방향(d2)에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과 베이스측 링크 프레임(13b)과 횡연결 링크 바(13c)에 의하여, 링크로서 기능하는 전방 링크 부재(13)가 구성된다.
또, 좌우의 중간 링크 부재(14)는,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의 중간 부분과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후방 부분에 걸쳐 놓여져 있다. 각 중간 링크 부재(14)는, 링크로서 기능하며, 측상부 프레임(12a, 12b) 및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 양쪽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프레임 본체(10)에 설치된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를 홀더(120)를 제거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의 홀더(1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는, 상부 프레임(12)과 전방 링크 부재(13)를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이다. 조인트(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1)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2개의 프레임(12, 13)의 상대 회전을 규제한다. 즉, 조인트(100)는, 유모차(1)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2개의 프레임(12, 13)을 상대 회전 불능으로 록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부터, 도 8에 나타내는 절첩 상태로 유모차(1)를 절첩할 때에는, 조인트(100)는, 2개의 프레임(12, 13)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도록 전환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조인트(100)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상부 프레임(12)에 부착된 조인트 본체(110)가, 전방 링크 부재(13)에 부착된 홀더(120)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 본체(110)와 홀더(120) 양쪽을, 회전축(R1)에 따른 지점 핀(130)이 관통하고 있다.
조인트 본체(110)는, 케이싱(111)과 커버체(118)에 의해 구성되며, 케이싱(111)과 커버체(118) 사이에 수용 공간(101)을 형성하고 있다. 케이싱(111)과 커버체(118)는 서로 고정되며, 상부 프레임(12)에 부착되어 있다.
특히, 케이싱(111)에는, 회전축(R1)에 따른 축 방향을 가지는 원통부(112a)가 마련되며, 원통부(112a)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 측에 바닥부(112b)가 접속되어 있다. 원통부(112a)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에는, 개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113)의 정면 방향은, 회전축(R1)이 연장되는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개구(113)를 통해, 수용 공간(101)에 액세스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홀더(120)를 구성하는 홀더 본체(121) 및 이면측 본체(127)가, 조인트 본체(110)의 양측에서 당해 조인트 본체(110)를 끼워 넣도록 배치되어 있다. 홀더 본체(121)는 조인트 본체(110)의 개구(113)에 대면해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이면측 본체(127)는 케이싱(111)의 바닥부(112b)에 대면하고 있다. 이들 홀더 본체(121) 및 이면측 본체(127)는 아암 부분(129)을 통해 연결되며, 아암 부분(129)은,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에 부착되어 있다.
특히, 조인트 본체(110)의 케이싱(111) 및 커버체(118) 그리고 홀더(120)의 홀더 본체(121) 및 이면측 본체(127)에는, 관통 구멍(114, 119, 124, 128)이 각각 형성되며, 각 관통 구멍(114, 119, 124, 128)에는, 회전축(R1)에 따른 지점 핀(130)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조인트 본체(110) 및 홀더(120)의 관통 구멍(114, 119, 124, 128)에 지점 핀(130)이 삽입됨으로써,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해서 조인트 본체(110)와 홀더(120)가 상대 회전 가능해진다.
또한, 홀더 본체(121)에 고정된 록 핀(122)이, 홀더 본체(121) 측으로부터 조인트 본체(110)의 바닥부(112b) 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 록 핀(122)은, 조인트 본체(110)와 홀더(120)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부품이다. 록 핀(122)은, 회전축(R1)에 따른 축 방향을 가지며, 케이싱(111)의 바닥부(112b)에 형성된 긴구멍(115)에 삽입되어 있다.
록 핀(122)은, 조인트 본체(110)와 홀더(120)의 상대 회전에 따라, 긴구멍(115) 내를 이동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록 핀(122)은, 긴구멍(115) 내에서, 도 4a 중 실선으로 나타낸 전개 사용 위치(P1)와 도 4a 중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절첩 사용 위치(P2)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긴구멍(115)은,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한 조인트 본체(110)와 홀더(120)의 상대 회전에 따라, 록 핀(122)이 이동하는 경로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도 4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긴구멍(115)은, 회전축(R1)을 중심으로 한 원호에 따른 형상을 가진다.
한편,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록 핀(122)을 전개 사용 위치(P1) 또는 절첩 사용 위치(P2)에서 구속하기 위해, 제 1 록 부재(140) 및 제 2 록 부재(150)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2개의 록 부재(140, 150)는, 조인트 본체(110)의 수용 공간(101) 내에서 조인트 본체(11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각 록 부재(140, 150)는, 조인트 본체(110)의 케이싱(111)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기초부(基部)(141, 151)와, 록 핀(122)에 계합(係合)하는 헤드부(143, 153)와, 기초부(141, 151)와 헤드부(143, 153)를 연결하는 아암부(142, 152)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록 부재(140, 150)의 기초부(141, 151)에는, 선회 구멍(141a, 151a)이 형성되어 있고, 각 선회 구멍(141a, 151a)에 선회 핀(135, 136)이 삽입되어 있다. 각 선회 핀(135, 136)은, 회전축(R1)에 평행한 축 방향을 가지며, 케이싱(111)의 바닥부(112b)에 고정되어 있다. 각 록 부재(140, 150)의 기초부(141, 151)가 선회 핀(135, 136)을 기점으로 하여 회동함으로써, 록 부재(140, 150)의 요동 동작이 가능해진다.
아암부(142, 152)는, 기초부(141, 151)에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헤드부(143, 153)에 연결된 타단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아암부(142, 152)는, 헤드부(143, 153)가 선회 핀(135, 136)에 대하여 요동하는 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각 록 부재(140, 150)의 헤드부(143, 153)는, 아암부(142, 152)로부터 팽대하도록 성형된다. 각 록 부재(140, 150)의 헤드부(143, 153)는, 록 핀(122)에 계합해서 당해 록 핀(122)을 구속하게 되어 있다. 특히, 제 1 록 부재(140)의 헤드부(143)가, 도 4a에 나타내는 록 위치(M1)에 있어서, 전개 사용 위치(P1)에 위치할 때의 록 핀(122)과 계합하고, 제 2 록 부재(150)의 헤드부(153)가, 도 4a에 나타내는 록 위치(N1)에 있어서, 절첩 사용 위치(P2)에 위치할 때의 록 핀(122)과 계합하게 되어 있다.
도 4a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 록 부재(140, 150)의 헤드부(143, 153)는, 록 핀(122)의 외주(外周)의 일부에 따른 형상을 가지는 계합면(143a, 153a)에서 록 핀(122)에 접촉한다. 각 록 부재(140, 150)의 계합면(143a, 153a)은, 헤드부(143, 153) 중, 다른 록 부재(140, 150)와는 이간한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2개의 록 부재(140, 150)의 요동 조작은, 조작 부재(160)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즉, 조작 부재(160)는 2개의 록 부재(140, 150)를 요동시키는 조작을 행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록 부재(140)의 기초부(141)로부터, 아암부(142)와는 다른 방향을 향해 보조 아암부(144)가 연장되어 있어서, 당해 보조 아암부(144)에 조작 부재(160)가 연결되어 있다.
조작 부재(160)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제 1 록 부재(140)의 보조 아암부(144)에 장척 형상 부재(161)의 일단이 연결되고, 장척 형상 부재(161)의 타단은, 상부 프레임(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된 슬라이딩체(162)(도 2 참조)에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딩체(162)는 조작자의 손에 의해서 조작되는 부품이다. 슬라이딩체(162)는, 예를 들면 통 모양의 형상을 갖고, 측상부 프레임(12a, 12b)에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장척 형상 부재(161)는, 슬라이딩체(162)의 슬라이딩 동작에 연동해서 제 1 록 부재(140)의 보조 아암부(144)를 잡아 당기게 되어 있다. 이 결과, 슬라이딩체(162)의 슬라이딩 동작에 연동해서 제 1 록 부재(140)를 요동시킬 수 있다. 장척 형상 부재(161)의 일례로서, 금속제의 로드나 와이어를 들 수 있다.
도 5에, 장척 형상 부재(161)를 조작하여, 해제 위치(M2, N2)까지 록 부재(140, 150)를 요동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장척 형상 부재(161)를 조작하여, 제 1 록 부재(140)를 도 4a에 나타내는 록 위치(M1)로부터 도 5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M2)까지 요동시키면, 제 2 록 부재(150)도 연동해서 록 위치(N1)로부터 해제 위치(N2)까지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록 부재(150)는, 요동하는 제 1 록 부재(140)로 밀어 올려져서, 도 4a에 나타내는 록 위치(N1)로부터 도 5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N2)까지 요동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록 부재(150)는, 요동하는 제 1 록 부재(140)로 쿠션재(170)를 사이에 두고서 밀어 올려지도록 되어 있다. 쿠션재(170)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제 1 록 부재(140)의 헤드부(143)와 제 2 록 부재(150)의 헤드부(153)가 접촉하는 것에 따른 물리적인 마모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쿠션재(170)는, 제 1 록 부재(140) 및 제 2 록 부재(150)보다 탄성 내지 쿠션성이 있는 재료이면 되고, 일례로서, 고무나 수지를 들 수 있다. 단, 쿠션재(170)는, 필요에 따라 마련되는 것이며, 반드시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특히, 도 5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M2, N2)에 있어서, 각 록 부재(140, 150)의 헤드부(143, 153)는, 긴구멍(115)으로부터 어긋난 위치까지 요동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각 록 부재(140, 150)가 도 5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M2, N2)에 위치할 경우, 록 핀(122)은, 조인트 본체(110)와 홀더(120)의 상대 회전에 따라, 긴구멍(115) 내에서 전개 사용 위치(P1)와 절첩 사용 위치(P2)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각 록 부재(140, 150)는, 도 5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M2, N2)에 있어서, 록 핀(122)이 전개 사용 위치(P1)와 절첩 사용 위치(P2)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에 대하여, 도 4a에 나타내는 록 위치(M1, N1)에 있어서, 각 록 부재(140, 150)의 헤드부(143, 153)는, 긴구멍(115)과 그 일부가 겹쳐 있다. 이 때문에, 각 록 부재(140, 150)가 도 4a에 나타내는 록 위치(M1, N1)에 위치할 경우, 록 핀(122)은, 전개 사용 위치(P1)와 절첩 사용 위치(P2) 사이를 자유롭게 왕래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제 1 록 부재(140)가, 도 4a에 나타내는 록 위치(M1)에 있어서, 전개 사용 위치(P1)에 위치하는 록 핀(122)이 절첩 사용 위치(P2)를 향하는 것을 방해하고, 제 2 록 부재(150)가, 도 4a에 나타내는 록 위치(N1)에 있어서, 절첩 사용 위치(P2)에 위치하는 록 핀(122)이 전개 사용 위치(P1)를 향하는 것을 방해한다.
또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110)의 수용 공간(101) 내에 제 1 가압부재(180) 및 제 2 가압부재(185)가 수용되어 있다. 각 가압부재(180, 185)는, 조인트 본체(110)와 록 부재(140)의 아암부(142, 152)에 걸쳐 놓여져 있다. 특히, 제 1 가압부재(180)가 제 1 록 부재(140)를 록 위치(M1)를 향해 가압하게 되어 있고, 제 2 가압부재(185)가 제 2 록 부재(150)를 록 위치(N1)를 향해 가압하게 되어 있다. 또, 도 4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 가압부재(180, 185)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로서 구성되며, 대응하는 록 부재(140, 150)를 록 위치(N1)를 향해 밀어붙이고 있다.
다음으로,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를 사용하여 유모차(1)를 절첩하는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전개 상태의 유모차(1)에 대해 조작 부재(160)를 조작하여, 제 1 록 부재(140)를 도 4a에 나타내는 록 위치(M1)로부터 도 5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M2)까지 요동시킨다. 이 동작에 연동하여, 제 2 록 부재(150)도, 제 1 록 부재(140)로 밀어 올려져서, 도 4a에 나타내는 록 위치(N1)로부터 도 5에 나타내는 해제 위치(N2)까지 요동된다.
각 록 부재(140, 150)가 해제 위치(M2, N2)에 도달하면, 록 핀(122)이 긴구멍(115) 내에서 전개 사용 위치(P1)로부터 절첩 사용 위치(P2)를 향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 상태에서, 핸들(20)이 자체 중량을 이용해서 하방으로 내려 간다. 이 동작에 의해,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 베이스측 링크 프레임(13b) 및 중간 링크 부재(14)가 도 2 중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부 프레임(12)이 베이스 프레임(11)에 겹치도록 절첩되어 간다.
도 6에, 도 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프레임 본체(10)를 더욱 절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이 측상부 프레임(12a)에 대하여 회동해 감에 따라,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에 접속된 홀더(120)의 록 핀(122)이, 긴구멍(115) 내에서 전개 사용 위치(P1)로부터 절첩 사용 위치(P2)로 향해 간다. 록 핀(122)의 이동중에, 조작 부재(160)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서, 2개의 록 부재(140, 150)를 록 위치(M1, N1)로 향하게 한다. 해제 위치(M2)로 되돌아가는 과정에서, 제 1 록 부재(140) 또는 제 2 록 부재(150)가, 긴구멍(115) 내를 이동중인 록 핀(122)에 막히게 된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160)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도, 2개의 록 부재(140, 150)는, 록 위치(M1, N1)까지는 요동되지 않는다.
도 7에, 유모차(1)를 절첩한 상태에 있어서의 조인트(100)를 나타내고, 도 8에,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1)를 절첩 상태에서 측방으로부터 나타낸다. 유모차(1)를 절첩한 상태에 있어서, 홀더(120)의 록 핀(122)이 절첩 사용 위치(P2)에 도달한다. 이와 함께, 제 1 록 부재(140)가 록 핀(122)에 막히지 않게 되기 때문에, 제 1 록 부재(140) 및 제 2 록 부재(150)도 록 위치(M1, N1)까지 도달한다. 제 2 록 부재(150)가 록 위치(N1)에 도달하면, 절첩 사용 위치(P2)에 위치하는 록 핀(122)에 계합하여, 당해 록 핀(122)을 구속한다. 이에 따라, 조인트 본체(110)와 홀더(120)의 상대 회전과 함께 상부 프레임(12)과 전방 링크 부재(13)의 상대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이상의 절첩 동작의 결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과 상부 프레임(12)이, 유모차(1)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접근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편, 유모차(1)를 도 8에 나타내는 절첩 상태로부터,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전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의 순서를 거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에 의하면, 2개의 프레임 부재(12, 13)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S1)와, 2개의 프레임 부재(12, 13)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상태(S2)를 전환 가능하게 되도록, 2개의 프레임 부재(12, 13)를 연결하는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로서, 하나의 프레임 부재(12)에 부착되어, 수용 공간(101)을 형성하는 조인트 본체(110)와, 다른 프레임 부재(13)에 부착된 홀더(120)와, 조인트 본체(110)와 홀더(120)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조인트 본체(110)와 홀더(120) 양쪽을 관통하는 지점 핀(130)과, 수용 공간(101) 내에서 조인트 본체(110)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록 부재(140) 및 제 2 록 부재(150)를 구비하며, 홀더(120)는, 조인트 본체(110)에 형성된 긴구멍(115) 내에서, 조인트 본체(110)와 홀더(120)의 상대 회전에 따라 제 1 위치(전개 사용 위치)(P1)와 제 2 위치(절첩 사용 위치)(P2)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당해 긴구멍(115)에 삽입된 록 핀(122)을 갖고, 제 1 록 부재(140)는, 제 1 위치(P1)에 위치할 때의 록 핀(122)과 계합하여 당해 록 핀(122)이 제 2 위치(P2)를 향하는 것을 방해하는 록 위치(M1)와, 록 핀(122)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M2)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제 2 록 부재(150)는, 제 2 위치(P2)에 위치할 때의 록 핀(122)과 계합하여 당해 록 핀(122)이 제 1 위치(P1)를 향하는 것을 방해하는 록 위치(M1)와, 록 핀(122)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M2)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제 1 록 부재(140)에 조작 부재(160)가 연결되어 있어서, 조작 부재(160)에 의해 제 1 록 부재(140)를 록 위치(M1)로부터 해제 위치(M2)로 이동시키면, 제 2 록 부재(150)도 연동해서 록 위치(N1)로부터 해제 위치(N2)로 이동한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조작 부재(160)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제 1 록 부재(140) 및 제 2 록 부재(150) 양쪽을 록 위치(M1, N1)로부터 해제 위치(M2, N2)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록 핀(122)이 제 1 위치(P1) 및 제 2 위치(P2)의 어느 쪽에 있어도 제 1 록 부재(140) 또는 제 2 록 부재(150)에 의한 구속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2개의 프레임 부재(12, 13)의 록을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작 부재(160)에 의해 제 1 록 부재(140)를 록 위치(M1)로부터 해제 위치(M2)까지 이동시키면, 제 1 록 부재(140)가 제 2 록 부재(150)를 압압해서 당해 제 2 록 부재(150)를 록 위치(M1)로부터 해제 위치(M2)로 밀어 올린다. 이 경우, 제 1 록 부재(140)가 록 위치(M1)로부터 해제 위치(M2)로 이동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제 2 록 부재(150)를 록 위치(N1)로부터 해제 위치(N2)로 이동시키는 기구를, 간이한 태양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록 부재(140)는, 쿠션재(170)를 사이에 두고서 제 2 록 부재(150)를 록 위치(M1)로부터 해제 위치(M2)로 밀어 올린다. 이 경우, 제 1 록 부재(140)와 제 2 록 부재(150)가 접촉하는 것에 의한 물리적인 마모나 손상을 회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를 높은 신뢰성으로 실현하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작 부재(160)는, 하나의 프레임 부재(1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슬라이딩체(162)와, 슬라이딩체(162)와 제 1 록 부재(140)를 연결하며, 슬라이딩체(162)의 슬라이딩 동작에 연동해서 제 1 록 부재(140)를 요동시키는 장척 형상 부재(161)를 갖는다. 이 경우, 슬라이딩체(162)를 하나의 프레임 부재(12)에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것만으로, 2개의 록 부재(140)를 록 위치(M1, N1)와 해제 위치(M2, N2)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즉, 2개의 록 부재(140)의 전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용 공간(101) 내에 수용되어, 조인트 본체(110)와 제 1 록 부재(140)에 걸쳐 놓여진 제 1 가압부재(180)를 더 구비하며, 제 1 가압부재(180)는, 제 1 록 부재(140)를 록 위치(M1)를 향해 가압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가압부재(180)에 의해, 제 1 록 부재(140)를 록 위치(M1)를 향해 가압할 수 있으므로, 전개 사용 위치(P1)에 위치하는 록 핀(122)을 보다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용 공간(101) 내에 수용되어, 조인트 본체(110)와 제 2 록 부재(150)에 걸쳐 놓여진 제 2 가압부재(185)를 더 구비하며, 제 2 가압부재(185)는, 제 2 록 부재(150)를 록 위치(N1)를 향해 가압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 가압부재(185)에 의해, 제 2 록 부재(150)를 록 위치(N1)를 향해 가압할 수 있으므로, 절첩 사용 위치(P2)에 위치하는 록 핀(122)을 보다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다.
단, 제 1 가압부재(180) 및 제 2 가압부재(185)는, 필요에 따라 마련되는 것이며, 반드시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에서는, 조작자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차륜(4)에 구동원(5)이 접속되어 있다. 단, 종래의 유모차는 소위 자주(自走)식의 유모차로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의도한 대로 유모차를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는, 조작자의 주행 조작에 따라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보조 구동식의 손으로 미는 유모차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9에, 차륜(4)의 구동을 보조하는 기구를 블록도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차륜(4) 중 일부에, 구동 요소(51, 52)가 접속되어 있다. 구동 요소(51, 52)는, 차륜(4)을 구동시키는 구성요소, 환언하면,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구동 요소 즉 제 1 구동 요소(51) 및 제 2 구동 요소(52)가 마련되며, 제 1 구동 요소(51)가 좌측의 후륜(42)을 구동하고, 제 2 구동 요소(52)가 우측의 후륜(42)을 구동하게 되어 있다.
도 10에, 구동 요소(51, 5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구동 요소(51, 52)는, 대응하는 측의 후륜(42)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과, 구동축(51a, 52a)을 구동시키는 직류 모터(51b, 52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동축(51a, 52a)의 일단은, 대응하는 측의 후륜(42)에 접속되며, 당해 후륜(42)을 회전 축선(Ar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하고,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지는 않는다. 구동축(51a, 52a)의 타단은, 직류 모터(51b, 52b)의 주축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동력 전달 요소(예를 들면 기어)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 구동축(51a, 52a)은, 직류 모터(51b, 52b)의 주축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직류 모터(51b, 52b)는,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에 걸쳐 놓여진 수용 박스(70) 내에 배치되며, 당해 수용 박스(70) 내에서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에 지지되어 있다. 도 11에, 직류 모터(51b, 52b)의 접속 관계를 회로도로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는, 전원(75)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접지면으로부터의 부하에 따라 구동력을 조정하는 것에 공헌하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9로 되돌아가서, 각 구동 요소(51, 52)는, 제어 장치(7)에 접속되며, 당해 제어 장치(7)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 장치(7)에는, 검지 요소(6)가 더 접속되어 있어서, 검지 요소(6)로부터의 정보가 입력으로서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제어 장치(7)는, 검지 요소(6)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각 구동 요소(51, 52)를 제어하여, 각 구동 요소(51, 52)로부터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7)는 수용 박스(70)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 전원(75)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7)는, 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CPU) 및 레지스터(REGISTER)를 구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PLC)의 형태로서 실현될 수 있다.
검지 요소(6)는,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것이다. 검지 요소(6)가 검지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는, 조작자로부터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정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의 일례로서, 핸들(20)을 조작하는 손으로부터의 하중에 관한 정보나, 조작자가 유모차(1)를 주행시키는 속도 및 속도에 관련되는 차륜(4)의 회전수에 관한 정보를 검지해도 된다.
도 2로 되돌아가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요소(6)는, 핸들(20)에 마련되어져, 당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 환언하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핸들(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에 핸들(20)에 마련되어진 검지 요소(6)에 대해 설명해 간다.
도 12에, 핸들(20)을 확대해서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20)에는, 조작자의 손이 걸쳐지는 그립(21)이 배치되며, 그립(21)과 유모차 본체(2)를 핸들 본체(22)가 연결하고 있다. 핸들 본체(22)는, 상부 프레임(12)과의 연결 개소(c1)에 있어서, 당해 상부 프레임(12)에 체결되어 있다.
특히, 핸들 본체(22)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후방 상부 프레임(12d)으로부터 컬럼(22a)이 연장되고, 컬럼(22a)의 양측에 사이드바(22b, 22c)가 배치되어 있다. 그립(21)은, 좌우 방향(d2)으로 간격을 두고서 나란히 놓여진 2개의 그립 부분(21a, 21b)으로서 구성되며, 좌측의 그립 부분(21a)이, 좌측의 사이드바(22b)와 컬럼(22a) 사이에 걸쳐 놓여지며, 우측의 그립 부분(21b)이, 우측의 사이드바(22c)과 컬럼(22a) 사이에 걸쳐 놓여져 있다.
도 13에, 컬럼(22a)에 마련되어진 검지 요소(6)를 확대해서 나타내며, 도 14에, 검지 요소(6)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요소(6)로서의 복수의 변형 게이지(61)가, 컬럼(22a) 내의 이너(inner) 각재(22d)에 첩부되어 있다. 복수의 변형 게이지(61)는, 핸들 본체(22)의 변형을 계측하도록 브릿지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형(角型)의 이너 각재(22d)의 상측의 면에 2개의 변형 게이지(61)가 배치되고, 이너 각재(22d)의 하측의 면에 2개의 변형 게이지(61)가 배치되며, 이들 4개의 변형 게이지(61)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 도시하는 이너 각재(22d)는 중공(中空)으로 되어 있지만, 중실(中實)이어도 된다.
도 15에,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에 따라, 구동 요소(51, 52)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결정하는 제어의 일례를 그래프로서 나타낸다. 도 15의 그래프에 있어서, 가로축은,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을 나타내고, 이너 각재(22d)의 상측의 면에 첩부된 변형 게이지(61)가 늘어났을 경우 내지 이너 각재(22d)의 하측의 면에 첩부된 변형 게이지(61)가 줄어들었을 경우를 양의 값으로 하고, 이너 각재(22d)의 상측의 면에 첩부된 변형 게이지(61)가 줄어들었을 경우 내지 이너 각재(22d)의 하측의 면에 첩부된 변형 게이지(61)가 늘어났을 경우를 음의 값으로 하고 있다. 세로축은, 차륜(4)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나타내며, 차륜(4)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양의 값으로 하고, 차륜(4)을 후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음의 값으로 하고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의 크기가 하한값(α1)보다 작을 경우, 제어 장치(7)는,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을 차륜(4)에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외란이나 의도치 않는 조작이 유모차(1)에 가해져도, 유모차(1)가 의도치 않게 움직여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의 크기가 하한값(α1)보다 커지면, 제어 장치(7)는,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을,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의 크기에 비례해서 차륜(4)에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도 15의 그래프에서는, 대상이 되는 변형 게이지(61)가 늘어났을 경우에는, 차륜(4)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고, 대상이 되는 변형 게이지(61)가 줄어들었을 경우에는, 차륜(4)을 후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핸들(20)에 가해지는 변형의 크기가 상한값(α2)보다 커지면, 제어 장치(7)는,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을, 상한 구동력(F)으로서 차륜(4)에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1)의 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검지 요소(6)를 구성하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는, 그립(21)보다도 상하 방향(d3)에 있어서의 상방에 위치하고, 그립(21)은, 연결 개소(c1)보다도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이하의 도 16 내지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 게이지(61)가 작용한다. 도 16 내지 도 19는, 핸들(20)을 조작했을 때의 변형 게이지(6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너 각재(22d)를 그 길이 방향에 평행한 평면으로 2개의 부분으로 구획했을 때에, 상측이 되는 부분을 상부 영역(A1)으로 하고, 하측이 되는 부분을 하부 영역(A2)으로 한다(도 13 참조).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자가 그립(21)을 잡고서 유모차(1)를 전후 방향(d1)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밀어 전진시켰을 경우, 이너 각재(22d) 상부 영역(A1)이 늘어나고 하부 영역(A2)이 줄어든다. 상부 영역(A1)이 늘어나고 하부 영역(A2)이 줄어든 정보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된다.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된 정보는, 제어 장치(7)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제어 장치(7)는, 그립(21)이 전방으로 밀어 붙여졌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것으로 인식하고,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변형 게이지(61)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직류 모터(51b, 52b)가 회전하고, 직류 모터(51b, 52b)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의 회전을 보조함으로써, 조작자가 유모차(1)를 전방으로 미는 부담이 경감된다.
주행면에 단차가 있을 경우에는, 조작자는 그립(21)을 상하 방향(d3)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밀어 내려서, 전륜(41)을 뜨게 하려고 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자가 유모차(1)를 하방으로 밀어 내렸을 경우, 도 1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너 각재(22d) 상부 영역(A1)이 늘어나고 하부 영역(A2)이 줄어든다. 상부 영역(A1)이 늘어나고 하부 영역(A2)이 줄어든 정보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되어 제어 장치(7)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제어 장치(7)는, 그립(21)이 전방으로 밀어 붙여졌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것으로 인식하고,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변형 게이지(61)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직류 모터(51b, 52b)가 회전하고, 직류 모터(51b, 52b)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그립(21)이 하방으로 밀어 내려졌을 경우, 그립(21)이 전방으로 밀어 붙여졌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륜(4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단차를 타고 넘는 동작중이어도, 구동원(5)에 의한 구동력의 보조를 받을 수 있어, 유모차(1)를 과도한 부담없이 밀어 전진시킬 수 있다.
한편, 내리막길에서 유모차(1)를 밀어 전진시킬 경우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자가 그립(21)을 잡고서 유모차(1)를 전후 방향(d1)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끌어 당기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도 16 및 도 17의 경우와는 반대로, 이너 각재(22d)의 상부 영역(A1)이 줄어들고 하부 영역(A2)이 늘어난다. 상부 영역(A1)이 줄어들고 하부 영역(A2)이 늘어난 정보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되어 제어 장치(7)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제어 장치(7)는, 그립(21)이 후방으로 당겨진 것으로 인식하고,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변형 게이지(61)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도 16 및 도 17의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직류 모터(51b, 52b)가 회전하고, 직류 모터(51b, 52b)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을 후퇴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의 회전을 보조함으로써, 조작자가 유모차(1)를 후방으로 당기는 부담이 경감된다.
다음으로, 유모차(1)를 선회시킬 때에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그립 부분(21a, 21b)을 전방으로 미는 힘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유모차(1)를 선회시킬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좌측의 그립 부분(21a)보다 우측의 그립 부분(21b)에 걸리는 힘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유모차(1)를 좌회전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2개의 그립 부분(21a, 21b)에 서로 다른 힘을 걸어도, 도 1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너 각재(22d) 상부 영역(A1)이 늘어나고 하부 영역(A2)이 줄어든다. 상부 영역(A1)이 늘어나고 하부 영역(A2)이 줄어든 정보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되어 제어 장치(7)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제어 장치(7)는, 그립(21)이 전방으로 밀어 붙여졌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것으로 인식하고,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변형 게이지(61)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제공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직렬 회로에서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을 경우, 2개의 직류 모터(51b, 52b)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도 동일하기 때문에,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차륜(4)에 제공하는 구동력도 서로 같다고도 생각된다.
단, 유모차(1)를 좌회전으로 선회시키면, 내륜이 되는 좌측의 차륜(4)에 외륜이 되는 우측의 차륜(4)보다 접지면으로부터의 큰 저항이 걸려, 내륜이 되는 좌측의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1b)가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내륜이 되는 좌측의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1b)의 회전수가 저하되면, 당해 직류 모터(51b)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이 저하되어, 직렬 회로에 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기 쉬워진다. 결과적으로, 외륜이 되는 우측의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2b)에 흐르는 전류가 상대적으로 많아지고, 외륜이 되는 우측의 차륜(4)에 의해 큰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외륜이 되는 우측의 차륜(4)을 회전시키기 쉬워지며, 이 결과, 선회 동작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는, 복수의 차륜(4)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11)과, 좌석 유닛(8a, 8b)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12)과, 베이스 프레임(11)과 상부 프레임(12)에 걸쳐 놓여지며, 상부 프레임(12)에 상기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를 통해 연결된 링크 부재(13)를 갖는 유모차 본체(2)와,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되며, 복수의 차륜(4)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5)과,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요소(6)와, 검지 요소(6)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원(5)을 제어하고,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7)를 구비하고, 상부 프레임(12)은,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를 통해 링크 부재(13)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당해 베이스 프레임(11)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유모차(1)의 주행 조작에 맞춰서, 구동원(5)에 의한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유모차(1)를 의도한 대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차륜(4) 중, 구동원(5)으로부터 구동력이 제공되는 차륜이 후륜(42)이며, 복수의 차륜(4) 중 전륜(41)은, 캐스터(3)를 통해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되어 있다. 전륜(41)이 캐스터(3)를 통해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유모차(1)의 선회 조작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가 조작하는 핸들(20)이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나, 유모차(1)에 승차하는 유아의 중심을 고려하면, 후륜(42)은 하중이 걸리기 쉬워 접지면에 안정하게 접지한다고 할 수 있다. 안정하게 접지한 후륜(42)에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제공됨으로써, 구동원(5)에 의한 구동 보조를 안정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동원(5)은, 복수의 차륜(4)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 요소(51)와, 복수의 차륜(4) 중 제 1 구동 요소(51)로부터 구동력이 제공되는 차륜(4)과는 다른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제 1 구동 요소(51)와는 별개로 마련되어진 제 2 구동 요소(52)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서로 다른 차륜(4)에 서로 다른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유모차(1)의 주행 상태에 따른 적절한 구동력의 분배를 실현하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구동 요소(51)로부터 구동력이 제공되는 차륜(4)과, 제 2 구동 요소(52)로부터 구동력이 제공되는 차륜(4)은, 좌우 방향(d2)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으며, 제 1 구동 요소(51) 및 제 2 구동 요소(52)는, 직류 모터를 각각 포함하며, 제 1 구동 요소(51)의 직류 모터(51b)와 제 2 구동 요소(52)의 직류 모터(52b)는, 전원(75)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유모차(1)를 선회시킬 경우, 내륜이 되는 차륜(4)에 외륜이 되는 차륜(4)보다 접지면으로부터의 큰 저항이 걸린다. 이 때문에,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를 직렬로 접속했을 경우, 내륜이 되는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1b)가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내륜이 되는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1b)의 회전수가 저하되면, 직류 모터(51b)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이 저하되어, 직렬 회로에 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기 쉬워진다. 결과적으로, 외륜이 되는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2b)에 흐르는 전류가 상대적으로 많아져, 외륜이 되는 차륜(4)에 의해 큰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를 직렬로 접속했을 경우, 선회 동작중에 외륜이 되는 차륜(4)을 회전시키기 쉬워져, 선회 동작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모차 본체(2)는, 복수의 차륜(4)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10)와, 프레임 본체(10)에 접속된 핸들(20)을 갖고, 검지 요소(6)는, 핸들(20)에 마련되어져, 당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한다.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로서,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조작자의 주행 조작에 관한 의도에 따라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핸들(20)은, 조작자의 손이 걸쳐지는 조작 부재(21)와, 조작 부재(21)와 유모차 본체(2)를 연결하는 핸들 본체(22)을 갖고, 제어 장치(7)는, 검지 요소(6)에 의해,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린 정보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정보가 검지되면, 구동원(5)에 차륜(4)을 전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하고, 검지 요소(6)에 의해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진 정보가 검지되면, 구동원(5)에 차륜(4)을 후퇴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한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조작자에 의한 조작 부재(21)의 조작에 맞춰서, 구동원(5)에 의한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지면의 단차 등을 타고 넘기 위해 전륜(41)을 뜨게 하도록 조작 부재(21)를 하방으로 밀어 내렸을 경우여도, 구동원(5)이 차륜(4)을 전진시키도록 구동한다. 이 때문에, 단차를 타고 넘는 동작중이어도, 구동원(5)에 의한 구동력의 보조를 받으면서 유모차(1)를 과도한 부담 없이 밀어 전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검지 요소(6)는, 핸들(20)의 핸들 본체(22)에 부착된 복수의 변형 게이지(61)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변형 게이지(61)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늘어나고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줄어들거나, 또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줄어들고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늘어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검지 요소(6)가 변형 게이지(61)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조작하는 정보를, 복잡한 구조를 회피하면서 안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조작하는 정보를 더욱 안정하게 검지하는 관점으로부터, 조작 부재(21)는, 핸들 본체(22)와 프레임 본체(10)의 연결 개소(c1)보다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이 되는 위치 또는 전방이면서 또한 상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좋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작 부재(21)는, 연결 개소(c1)보다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변형 게이지(61)는, 핸들 본체(22) 중, 조작 부재(21)와의 접속 개소와 연결 개소(c1) 사이가 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자로부터 조작 부재(21)에 가해지는 하중에 연동하여, 핸들 본체(22) 중 변형 게이지(61)가 첩부된 부분이 감도 좋게 신축(伸縮)한다. 이 때문에, 변형 게이지(61)에 의해,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조작하는 정보를 더욱 정밀도 좋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인트 본체(110)의 개구(113)는, 회전축(R1)에 따른 방향을 향하고, 회전축(R1)은, 좌우 방향(d2)에 따르고 있다. 이 경우, 상부 프레임(12)과 링크 부재(13)를 조인트(100)를 통해 상대 회전시키면, 2개의 프레임 부재(12, 13) 사이에 좌우 방향(d2)으로 개구된 극간이 생긴다. 2개의 프레임 부재(12, 13) 사이에 좌우 방향(d2)으로 개구된 극간이 생길 경우, 상방으로 개구되는 극간과는 달리, 의류 등이 끼어 들어가버릴 우려가 낮다. 결과적으로, 유모차(1)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변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좌우로 나란하게 2개의 좌석 유닛(8a, 8b)이 마련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좌석 유닛(8a, 8b)의 수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일의 좌석 유닛이 마련되어 있어도 되며, 2개 이상의 좌석 유닛이 마련되고, 이 2개 이상의 좌석 유닛이 전후로 나란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가 전원(75)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된 예를 나타냈지만, 직류 모터(51b, 52b)에 관한 회로 설계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가 전원(75)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검지 요소(6)가 변형 게이지(61)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검지 요소(6)의 형태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지 요소(6)는,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할 수 있는 한 임의이며, 다른 예로서, 핸들 본체(22)에 부착된 토크 센서나 압력 센서나 자왜 센서 등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로서는,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작동 유체의 압력의 변화로서 파악하고, 이 압력의 변화를 다이어프램을 통해 감압 소자로 계측한 후, 전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단일의 지주로 이루어지는 컬럼(22a)이, 후방 상부 프레임(12d)과 그립(21)을 연결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컬럼(22a)의 형태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컬럼(22a)이 복수의 지주로 이루어지고, 후방 상부 프레임(12d)과 그립(21)을 연결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를 유모차(1)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당해 조인트(100)의 적용 대상은, 유모차(1)에 한정되지 않는다.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는, 조작자의 손에 의해 밀어 전진되어지는 차량이면 널리 적용 가능하다.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100)의 다른 적용 대상의 일례로서, 짐을 운반하는 운반 대차나, 동물(펫)을 수용해서 주행하는 펫용 카트를 들 수 있다.
또, 이상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개의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시켜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6)

  1. 2개의 프레임 부재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는 상태와, 2개의 프레임 부재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되도록, 2개의 프레임 부재를 연결하는 손수레용의 록(lock) 기능 부여 조인트로서,
    하나의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어,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조인트 본체와,
    다른 프레임 부재에 부착된 홀더(holder)와,
    상기 조인트 본체와 상기 홀더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조인트 본체와 상기 홀더 양쪽을 관통하는 지점 핀과,
    상기 수용 공간 내에서 상기 조인트 본체에 요동(搖動)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록 부재 및 제 2 록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조인트 본체에 형성된 긴구멍 내에서, 상기 조인트 본체와 상기 홀더의 상대 회전에 따라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당해 긴구멍에 삽입된 록 핀을 갖고,
    상기 제 1 록 부재는,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의 상기 록 핀과 계합(係合)하여 당해 록 핀이 상기 제 2 위치를 향하는 것을 방해하는 록 위치와, 상기 록 핀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 2 록 부재는,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의 상기 록 핀과 계합하여 당해 록 핀이 상기 제 1 위치를 향하는 것을 방해하는 록 위치와, 상기 록 핀이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 1 록 부재에 조작 부재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록 부재를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상기 제 2 록 부재도 연동해서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까지 이동하는,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록 부재를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상기 제 1 록 부재가 상기 제 2 록 부재를 압압해서 당해 제 2 록 부재를 상기 록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밀어 올리는,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하나의 프레임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슬라이딩체와, 상기 슬라이딩체와 상기 제 1 록 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슬라이딩체의 슬라이딩 동작에 연동해서 상기 제 1 록 부재를 요동시키는 장척 형상 부재를 갖는,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조인트 본체와 상기 제 1 록 부재에 걸쳐 놓여진 제 1 가압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가압부재는, 상기 제 1 록 부재를 상기 록 위치를 향해 가압하도록 되어 있는,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
  5. 복수의 차륜을 지지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좌석 유닛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걸쳐 놓여지며, 상기 상부 프레임에,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를 통해 연결된 링크 부재를 갖는 유모차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록 기능 부여 조인트를 통해 상기 링크 부재에 대하여 회동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는, 유모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에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유모차 본체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요소와,
    상기 검지 요소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차륜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하는, 유모차.
KR1020177030935A 2015-09-11 2015-09-11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 및 유모차 KR201800514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5828 WO2017042953A1 (ja) 2015-09-11 2015-09-11 手押車用のロック機能付きジョイント及び乳母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431A true KR20180051431A (ko) 2018-05-16

Family

ID=5823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935A KR20180051431A (ko) 2015-09-11 2015-09-11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 및 유모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42376B2 (ko)
KR (1) KR20180051431A (ko)
CN (1) CN107531263B (ko)
TW (1) TWI685439B (ko)
WO (1) WO20170429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2849B (en) 2018-02-20 2023-02-22 Wonderland Switzerland Ag Foldable bassinet
CN115158432A (zh) * 2022-07-29 2022-10-11 泰派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状态切换方法及使用该方法的运载工具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7799A (en) * 1991-10-04 1993-11-02 Cosco, Inc. Foldable stroller
JP4489477B2 (ja) * 2004-03-24 2010-06-23 コンビ株式会社 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ロック操作装置
CN102514607B (zh) * 2004-04-30 2015-09-30 贝贝漫步有限责任公司 折叠式婴儿车
CN2764693Y (zh) * 2005-01-10 2006-03-15 永康市王力五金制造有限公司 动力驱动步行车
JP4869083B2 (ja) * 2007-01-16 2012-02-01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5020655B2 (ja) * 2007-02-14 2012-09-05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JP2009173075A (ja) * 2008-01-22 2009-08-06 Takahashi Seiga Kk 乳母車
DE102008038466B4 (de) * 2008-08-20 2011-03-17 Cheng, Ying-Hsiung, Jen Te Hsiang Faltgelenk für Kinderwagen
US20100127480A1 (en) * 2008-11-26 2010-05-2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Stroller and Fold Linkage for Same
CN102100463B (zh) * 2009-12-18 2014-03-26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幼儿承载装置及具有安全锁的操作机构
JP2012025258A (ja) * 2010-07-22 2012-02-09 Nifco Inc リンク機構
JP6026118B2 (ja) * 2012-03-16 2016-11-16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CN103895681B (zh) * 2012-12-27 2017-06-06 考可拉夫特公司 具有可移除的儿童支撑件的婴儿车以及相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85439B (zh) 2020-02-21
CN107531263B (zh) 2020-04-07
CN107531263A (zh) 2018-01-02
JPWO2017042953A1 (ja) 2018-06-28
JP6542376B2 (ja) 2019-07-10
WO2017042953A1 (ja) 2017-03-16
TW201710136A (zh)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5850B (zh) 婴儿车
KR20180051431A (ko) 손수레용의 록 기능 부여 조인트 및 유모차
WO2017042959A1 (ja) 乳母車
KR102283384B1 (ko) 유모차
KR20180051435A (ko) 유모차
KR20170031625A (ko) 유모차
JP6559787B2 (ja) 乳母車
KR102259631B1 (ko) 유모차
JP6698299B2 (ja) 乳母車
JP6702674B2 (ja) 乳母車
KR20170031622A (ko) 유모차
JP2011068320A (ja) ショッピングカーのフレーム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