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384B1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384B1
KR102283384B1 KR1020160114846A KR20160114846A KR102283384B1 KR 102283384 B1 KR102283384 B1 KR 102283384B1 KR 1020160114846 A KR1020160114846 A KR 1020160114846A KR 20160114846 A KR20160114846 A KR 20160114846A KR 102283384 B1 KR102283384 B1 KR 102283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element
wheel
baby carriage
driving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1623A (ko
Inventor
준이치 아사노
이사오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31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62B5/0043One motor drives on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유모차(1)는, 유모차 본체(2)와,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된 복수의 차륜(4)과, 복수의 차륜(4)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2개의 구동 요소(51, 52)와,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2개의 검지 요소(6a, 6b)와, 각각에 대응하는 검지 요소(6a, 6b)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 요소(51, 52)를 제어해서,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2개의 제어부(7a, 7b)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모차{STROLLER}
본 발명은, 구동 요소에 의해 차륜을 구동시키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JP2011-68336A에는, 전동 모터를 갖춘 유모차가 개시되어 있다. JP2011-68336A에 기재된 유모차에서는, 레버가 눌리면, 차륜에 접속된 전동 모터가 구동된다. 특히, JP2011-68336A에 기재된 유모차는, 전동 모터에 의해 자주(自走)한다. 즉, JP2011-68336A에 기재된 유모차는, 조작자에 의해서 밀리지 않아도, 전동 모터의 구동력만으로 독립적으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JP2011-68336A에 기재된 유모차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으로 독립적으로 주행하기 때문에, 조작자가 의도한 대로 유모차를 조작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히, 커브나 길모퉁이에서 유모차를 선회시키려고 할 경우, 조작자는 선회 동작으로 들어가기 위해서 전진시키는 스피드를 줄이는데 반해, 전동 모터는 차륜을 그대로의 스피드로 계속 구동시킨다. 이 때문에, 조작자의 움직임과 유모차의 움직임 사이에 부조화(어긋남)가 발생하게 되어, 유모차를 의도한 대로 조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이고, 유모차를 의도한 대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구동 요소에 의해 차륜을 구동시키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는,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지지된 복수의 차륜과,
상기 유모차 본체에 지지되고,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 요소와,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상기 제1 구동 요소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과는 다른 차륜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구동 요소와는 별개로 설치된 제2 구동 요소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제1 검지 요소와,
상기 제1 검지 요소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상기 유모차 본체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제2 검지 요소와,
상기 제1 검지 요소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구동 요소를 제어해서, 상기 차륜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검지 요소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2 구동 요소를 제어해서, 상기 차륜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제2 제어부를 갖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상기 복수의 차륜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에 접속된 핸들을 갖고,
상기 제1 검지 요소 및 상기 제2 검지 요소는, 상기 핸들에 설치되고, 당해 핸들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검지 요소가 검지한 하중이 커질수록 상기 차륜에의 구동력이 점차 증대되도록, 상기 제1 구동 요소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검지 요소가 검지한 하중이 커질수록 상기 차륜에의 구동력이 점차 증대되도록, 상기 제2 구동 요소를 제어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상기 제1 구동 요소 및 상기 제2 구동 요소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이 후륜(後輪)이고,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전륜(前輪)은, 캐스터를 개재해서 상기 유모차 본체에 지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요소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과, 상기 제2 구동 요소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달라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모차의 주행 조작에 맞춰서, 구동 요소로부터의 차륜에의 구동력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유모차를 의도한 대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를 정면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를 배면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구동 요소 및 차륜의 접속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에 설치된 검지 요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검지 요소의 회로도.
도 8은 검지 요소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 요소에 의한 구동력을 조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전방으로 밀어 보냈을 때의 검지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후방으로 당겼을 때 및 언덕길을 내려갈 때의 검지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를 선회시켰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를 선회시키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3은 도 5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핸들의 상면도.
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에 설치된 검지 요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13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전방으로 밀어 보냈을 때의 검지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도 13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후방으로 당겼을 때의 검지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도 13에 나타내는 유모차를 선회시켰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9는 도 13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하방으로 내리눌렀을 때의 검지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9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 및 도 2는, 각각,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를 정면측 및 배면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1)에서는, 유모차 본체(2)에, 유유아(乳幼兒)를 앉히는 시트 유닛(8)이 지지되어 있다. 시트 유닛(8)에 앉은 유유아를 햇빛이나 바람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시트 유닛(8)에는, 차양(9)이 설치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1)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를, 핸들(20)을 파지하면서 조작하는 조작자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더 상세하게는, 「전후 방향(d1)」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紙面)의 좌우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핸들을 미는 조작자가 향하는 측이고,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이 전측으로 된다. 한편, 「상하 방향(d3)」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d3)」이란 연직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좌우 방향(d2)」이란 폭방향이기도 하며, 「전후 방향(d1)」 및 「상하 방향(d3)」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유모차 본체(2)는, 프레임 본체(10)와, 프레임 본체(10)에 접속된 핸들(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0)에 있어서, 복수의 차륜(4)이 지지된 베이스 프레임(11)에, 시트 유닛(8)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12)이 접속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2)은, 베이스 프레임(11)에 대해서 기울여진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2)의 전방 부분과 베이스 프레임(11)의 전방 부분이 전방 연결 부재(13)를 개재해서 접속되고, 상부 프레임(12)의 중간 부분과 베이스 프레임(11)의 후방 부분이 중간 연결 부재(14)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전방 연결 부재(13) 및 중간 연결 부재(14)는, 상부 프레임(12)이 베이스 프레임(11)에 대해서 회동하는 것을 보조한다.
특히, 베이스 프레임(11)에는, 좌우 방향(d2)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좌우의 측면 베이스 프레임(11a, 11b)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측면 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전단은, 전방 베이스 프레임(11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전방 베이스 프레임(11c)에 2개의 전륜(41)이 부착되고, 각 측면 베이스 프레임(11a, 11b)에 하나씩 후륜(42)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전륜(41)은, 캐스터(3)를 개재해서 전방 베이스 프레임(11c)에 회전 가능하며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캐스터(3)는, 회전축선(Ar1)을 중심으로 해서 전륜(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또한, 회전축선(Ar1)과 비평행,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선회축선(As1)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 가능하다. 즉, 전륜(41)은, 자전(自轉) 가능함과 함께 그 방향이 변경 가능해지도록 캐스터(3)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한편, 전륜(41)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각 후륜(42)은, 캐스터에 의해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후륜(42)은, 후술하는 구동축(51b, 52b)(도 4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회 가능하게 되어 있지는 않다.
상부 프레임(12)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좌우 방향(d2)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좌우의 측면 상부 프레임(12a, 12b)이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측면 상부 프레임(12a, 12b) 사이에 시트 유닛(8)이 배치되어 있다. 특히, 각 측면 상부 프레임(12a, 12b)은, 그 중간 부분에서 피벗 부착되어 있고, 각 피벗 부착된 지점을 기점으로 해서 절첩(折疊)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좌우의 측면 상부 프레임(12a, 12b)의 후단은, 후방 상부 프레임(12d)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후방 상부 프레임(12d)에는, 핸들(20)이 부착되어 있다. 핸들(20)은, 조작자의 손으로 조작되는 부분이다. 핸들(20)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해서 후술한다.
좌우의 측면 상부 프레임(12a, 12b)의 전단은, 전방 상부 프레임(12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전방 상부 프레임(12c)은, 전방으로 돌출된 만곡한 형상을 갖고, 전방 상부 프레임(12c)의 중간 부분에 전방 연결 부재(13)의 상방 부분이 피벗 부착되어 있다. 전방 연결 부재(13)의 하방 부분은, 전방 베이스 프레임(11c)의 중간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또, 좌우의 중간 연결 부재(14)는, 좌우의 측면 상부 프레임(12a, 12b)의 중간 부분과 좌우의 측면 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후방 부분에 가설되어 있다. 각 중간 연결 부재(14)는, 링크로서 기능하여, 측면 상부 프레임(12a, 12b) 및 측면 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양쪽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프레임 구조를 갖는 유모차(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 절첩할 수 있다.
우선, 측면 상부 프레임(12a, 12b)과 중간 연결 부재(14)의 로크를 해제하고, 핸들(20)을 자중(自重)을 이용해서 하방으로 낮춰 간다. 이 동작에 의해서, 전방 상부 프레임(12c)이 전방 연결 부재(13)에 대해서 도 1 중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함과 함께, 중간 연결 부재(14)가 베이스 프레임(11)에 대해서 도 1 중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 동작에 수반하여, 상부 프레임(12)이 베이스 프레임(11)에 겹쳐지도록 접근해 간다. 회동 동작이 완료된 후, 좌우의 측면 상부 프레임(12a, 12b)을 각각의 피벗 부착 지점을 기점으로 해서 절첩한다.
이상의 절첩 동작의 결과, 베이스 프레임(11)과 절첩된 상부 프레임(12)이, 유모차(1)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접근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편, 유모차(1)를 절첩 상태로부터,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전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 수순을 밟으면 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에서는, 조작자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차륜(4)에 구동 요소(51, 52)가 접속되어 있다. 단, 배경 기술의 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모차는 소위 자주식의 유모차로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의도한 대로 유모차를 조작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는, 조작자의 주행 조작에 의해서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보조 구동식의 수동 유모차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차륜(4)의 구동을 보조하는 기구를 블록도에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차륜(4) 중의 몇 개에, 구동 요소(51, 52)가 접속되어 있다. 구동 요소(51, 52)는, 차륜(4)을 구동시키는 구성 요소, 환언하면,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 요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구동 요소(51)가 좌측의 후륜(42)을 구동하고, 제2 구동 요소(52)가 우측의 후륜(42)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구동 요소(51, 5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구동 요소(51, 52)는, 대응하는 측의 후륜(42)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과, 구동축(51a, 52a)을 구동시키는 직류 모터(51b, 5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동축(51a, 52a)의 일단은, 대응하는 측의 후륜(42)에 접속되고, 당해 후륜(42)을 회전축선(Ar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해지도록 지지하고,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지는 않다. 구동축(51a, 52a)의 타단은, 측면 베이스 프레임(11a, 11b)에 지지된 직류 모터(51b, 52b)의 주축에, 도시하지 않은 동력 전달 요소(예를 들면 기어)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 구동축(51a, 52a)은, 직류 모터(51b, 52b)의 주축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며,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으로 되돌아가서, 각 구동 요소(51, 52)는, 대응하는 제어부(7a, 7b)에 접속되고, 당해 제어부(7a, 7b)에 의해 제어된다. 각 제어부(7a, 7b)에는, 또한 검지 요소(6a, 6b)가 접속되어 있고, 검지 요소(6a, 6b)로부터의 정보가 입력으로서 도입된다. 그리고, 제어부(7a, 7b)는, 검지 요소(6a, 6b)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각 구동 요소(51, 52)를 제어해서, 각 구동 요소(51, 52)로부터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한다. 또한, 각 제어부(7a, 7b)는, 전원(75)에 접속되어 있다. 2개의 제어부(7a, 7b)에 의해 제어 장치(7)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어 장치(7)는, 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CPU) 및 레지스터(REGISTER)를 구비한 마이크로컨트롤러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PLC)의 형태로서 실현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어부(7a)가, 제1 검지 요소(6a)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제1 구동 요소(51)를 제어해서 좌측의 후륜(42)을 구동하고, 제2 제어부(7b)가, 제2 검지 요소(6b)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제2 구동 요소(52)를 제어해서 우측의 후륜(42)을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제1 검지 요소(6a)와 제2 검지 요소(6b) 및 제1 구동 요소(51)와 제2 구동 요소(52)는, 각각 별개로 설치되어 있고, 제1 제어부(7a)와 제2 제어부(7b)는, 서로 정보의 주고 받기를 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1 제어부(7a) 및 제2 제어부(7b)는, 별개 독립적으로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 요소(51, 52)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박스(70)가, 측면 베이스 프레임(11a, 11b)에 가설되어 있고, 제어 장치(7)가, 수용 박스(70)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전원(75)이, 수용 박스(7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제어 장치(7) 및 2개의 구동 요소(51, 52)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검지 요소(6a, 6b)는,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것이다. 검지 요소(6a, 6b)가 검지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는, 조작자로부터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정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의 일례로서, 핸들(20)을 조작하는 손으로부터의 하중에 관한 정보나, 조작자가 유모차(1)를 주행시키는 속도 및 속도에 관련된 차륜(4)의 회전수에 관한 정보를 검지해도 된다.
도 2로 되돌아가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검지 요소(6a, 6b)는, 핸들(20)에 설치되고, 당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 환언하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우선, 핸들(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후, 핸들(20)에 설치된 검지 요소(6a, 6b)에 대하여 설명해 간다.
도 5는, 핸들(20)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0)에는, 조작자의 손을 걸칠 수 있는 조작 부재(21)가 배치되고, 조작 부재(21)와 유모차 본체(2)를 핸들 본체(22)가 연결하고 있다. 핸들 본체(22)는, 상부 프레임(12)과의 연결 개소(c1)에 있어서, 당해 상부 프레임(12)에 체결되어 있다. 핸들 본체(22)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후방 상부 프레임(12d)에 체결된 핸들 베이스(22a)가 배치되어 있다. 핸들 베이스(22a)에, 좌우 방향(d2)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만곡 바(22b, 22c)가 지지되고, 한 쌍의 만곡 바(22b, 22c)는, 좌우 방향(d2)으로 벌어지도록 만곡한 경로를 따라 연장되고, 그 선단 사이에서 조작 부재(21)를 지지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조작 부재(21)는, 축 형상의 그립 바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의 만곡 바(22b)의 기단측의 영역에, 제1 검지 요소(6a)가 첩부(貼付)되고, 우측의 만곡 바(22c)의 기단측의 영역에, 제2 검지 요소(6b)가 첩부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검지 요소(6a)는 주로 왼쪽 손으로부터 조작 부재(21)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지하고, 제2 검지 요소(6b)는 주로 오른쪽 손으로부터 조작 부재(21)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지하게 된다.
도 6에, 좌측의 만곡 바(22b)에 설치된 제1 검지 요소(6a)를 확대해서 나타내고, 도 7에, 제1 검지 요소(6a)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또, 도 6 및 도 7에는, 좌측의 만곡 바(22b)에 설치된 제1 검지 요소(6a)가 나타나 있지만, 우측의 만곡 바(22c)에 설치된 제2 검지 요소(6b)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요소(6a, 6b)로서의 복수의 뒤틀림 게이지(61)가, 만곡 바(22b, 22c) 내의 이너 각재(角材)(22j)에 첩부되어 있다. 복수의 뒤틀림 게이지(61)는, 만곡 바(22b, 22c)의 변형을 계측하도록 브리지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형(角型)의 이너 각재(22j)의 우측의 면에 2개의 뒤틀림 게이지(61)가 배치되고, 이너 각재(22j)의 좌측의 면에 2개의 뒤틀림 게이지(61)가 배치되고, 이들 4개의 뒤틀림 게이지(61)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 도시하는 이너 각재(22j)는 중공으로 되어 있지만, 중실이어도 된다.
도 8에, 뒤틀림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에 따라서 구동 요소(51, 52)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결정하는 제어의 일례를 그래프로서 나타낸다. 도 8의 그래프에 있어서, 가로축은, 뒤틀림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을 나타내고, 대상으로 되는 어느 뒤틀림 게이지(61)가 늘어난 경우를 양의 값으로 하고, 대상으로 되는 어느 뒤틀림 게이지(61)가 줄어든 경우를 음의 값으로 하고 있다. 세로축은, 차륜(4)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나타내고, 차륜(4)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양의 값으로 하고, 차륜(4)을 후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음의 값으로 하고 있다.
도 8의 그래프에 있어서, 각 제어부(7a, 7b)는, 대응하는 검지 요소(6a, 6b)의 뒤틀림 게이지(61)가 검지한 하중의 크기가 커질수록 차륜(4)에의 구동력이 점차 증대되도록, 대응하는 구동 요소(51, 52)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구동력이 점차 증대함」이란, 구동력이 항상 증대되도록 계속 변화하는 것만이 아니라, 적어도 일부의 구간에 있어서 구동력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 한편, 「구동력이 점차 증대함」에는, 임의의 영역에 있어서 구동력이 감소되도록 변화하는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뒤틀림 게이지(61)가 검지한 하중을 나타내는 변형의 크기가 하한값 α1보다도 작을 경우, 제어부(7a, 7b)는,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을 차륜(4)에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외란(外亂)이나 의도하지 않은 조작이 유모차(1)에 가해져도, 유모차(1)가 의도치 않게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뒤틀림 게이지(61)가 검지한 하중을 나타내는 뒤틀림의 크기가 하한값 α1보다도 커지면, 제어부(7a, 7b)는,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을, 뒤틀림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의 크기에 비례해서 차륜(4)에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도 8의 그래프에서는, 대상으로 되는 뒤틀림 게이지(61)가 늘어난 경우에는, 차륜(4)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고, 대상으로 되는 뒤틀림 게이지(61)가 줄어든 경우에는, 차륜(4)을 후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을 나타내는 변형의 크기가 상한값 α2보다도 커지면, 제어부(7a, 7b)는,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을, 상한 구동력 F로서 차륜(4)에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핸들(20)을 조작했을 때의 뒤틀림 게이지(6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너 각재(22j)를 그 장변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2개의 부분으로 구획했을 때에, 전측으로 되는 부분을 앞쪽 영역(A1)으로 하고, 후측으로 되는 부분을 뒤쪽 영역(A2)으로 한다(도 6 참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잡고 유모차(1)를 전후 방향(d1)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밀어 보낸 경우, 각 검지 요소(6a, 6b)의 이너 각재(22j)의 앞쪽 영역(A1)이 줄어들고 뒤쪽 영역(A2)이 늘어난다. 앞쪽 영역(A1)이 줄어들고 뒤쪽 영역(A2)이 늘어난 정보는, 각 검지 요소(6a, 6b)의 4개의 뒤틀림 게이지(61)에서 계측된다. 전형적으로는, 각 검지 요소(6a, 6b)에서 계측되는 뒤틀림의 크기는 같은 정도로 된다. 각 검지 요소(6a, 6b)에서 계측된 정보는, 대응하는 제어부(7a, 7b)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각 제어부(7a, 7b)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어 보내졌다고 인식하여, 대응하는 검지 요소(6a, 6b)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대응하는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에 제공한다. 이것에 의해, 각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가 회전하여, 직류 모터(51b, 52b)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의 회전을 보조함에 따라, 조작자가 유모차(1)를 전방으로 미는 부담이 경감된다.
한편, 내리막길에서 유모차(1)를 밀어 보내는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잡고 유모차(1)를 전후 방향(d1)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끌어당긴다. 이 경우, 도 9의 경우와는 반대로, 이너 각재(22j)의 앞쪽 영역(A1)이 늘어나고 뒤쪽 영역(A2)이 줄어든다. 앞쪽 영역(A1)이 늘어나고 뒤쪽 영역(A2)이 줄어든 정보는, 각 검지 요소(6a, 6b)의 4개의 뒤틀림 게이지(61)에서 계측되어 대응하는 제어부(7a, 7b)에 보내진다. 전형적으로는, 각 검지 요소(6a, 6b)에서 계측되는 뒤틀림의 크기는 같은 정도로 된다. 정보를 수취한 각 제어부(7a, 7b)는,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졌다고 인식하여, 대응하는 검지 요소(6a, 6b)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대응하는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에 도 9의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제공한다. 이것에 의해, 각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가 회전하여, 직류 모터(51b, 52b)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을 후퇴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해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의 회전을 보조함에 따라, 조작자가 유모차(1)를 후방으로 당기는 부담이 경감된다.
다음으로, 유모차(1)를 선회시킬 때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손으로 조작 부재(21)를 전방으로 미는 힘에 차이를 발생시킴으로써, 유모차(1)를 선회시킬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왼쪽 손보다도 오른쪽 손으로부터 조작 부재(21)에 걸리는 힘을 크게 함으로써, 유모차(1)를 왼편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좌우의 손으로 조작 부재(21)에 다른 힘을 가해도, 도 9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너 각재(22j)의 앞쪽 영역(A1)이 줄어들고 뒤쪽 영역(A2)이 늘어난다. 앞쪽 영역(A1)이 줄어들고 뒤쪽 영역(A2)이 늘어난 정보는, 각 검지 요소(6a, 6b)의 4개의 뒤틀림 게이지(61)에서 계측되어 제어부(7a, 7b)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각 제어부(7a, 7b)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어 보내졌다고 인식하여, 대응하는 검지 요소(6a, 6b)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대응하는 구동 요소(51, 52)에 제공한다.
전술과 같이, 왼쪽 손보다도 오른쪽 손으로부터 조작 부재(21)에 걸리는 힘이 크기 때문에, 좌측의 만곡 바(22b)에 설치된 제1 검지 요소(6a)보다도, 우측의 만곡 바(22c)에 설치된 제2 검지 요소(6b) 쪽이 큰 하중을 검지한다. 이것에 따라서, 제1 검지 요소(6a)에 연결된 제1 구동 요소(51)보다도 제2 검지 요소(6b)에 연결된 제2 구동 요소(52) 쪽이 큰 구동력을 차륜(4)에 제공한다. 이 결과, 제1 구동 요소(51)에 접속된 내륜으로 되는 좌측의 후륜(42)보다도, 제2 구동 요소(52)에 접속된 외륜으로 되는 우측의 후륜(42)을 회전시키기 쉬워져, 선회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손으로 조작 부재(21)에 반대 방향의 힘을 가함에 의해서도, 유모차(1)를 선회시킬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왼쪽 손으로 조작 부재(21)를 후방으로 끌어당김과 함께 오른쪽 손으로 조작 부재(21)를 전방으로 밀어낸다. 이것에 의해, 좌측의 만곡 바(22b) 내의 이너 각재(22j)의 앞쪽 영역(A1)이 늘어나고 뒤쪽 영역(A2)이 줄어드는 한편, 우측의 만곡 바(22c) 내의 이너 각재의 앞쪽 영역(A1)이 줄어들고 뒤쪽 영역(A2)이 늘어난다. 좌측의 만곡 바(22b) 내의 이너 각재(22j)가 변형된 정보는, 제1 검지 요소(6a)의 4개의 뒤틀림 게이지(61)에서 계측되어 제1 제어부(7a)에 보내지는 한편, 우측의 만곡 바(22c) 내의 이너 각재(22j)가 변형된 정보는, 제2 검지 요소(6b)의 4개의 뒤틀림 게이지(61)에서 계측되어 제2 제어부(7b)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제1 제어부(7a)는, 제1 검지 요소(6a)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제1 구동 요소(51)에 제공하고, 좌측의 후륜(42)을 후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편, 제2 제어부(7b)는, 제2 검지 요소(6b)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제2 구동 요소(52)에 제공하고, 우측의 후륜(4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결과, 좌우의 후륜(42)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유모차(1)를 선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는, 유모차 본체(2)와,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된 복수의 차륜(4)과,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되고, 복수의 차륜(4)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 요소(51)와, 복수의 차륜(4) 중 제1 구동 요소(51)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4)과는 다른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제1 구동 요소(51)와는 별개로 설치된 제2 구동 요소(52)와,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제1 검지 요소(6a)와, 제1 검지 요소(6a)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제2 검지 요소(6b)와, 제1 검지 요소(6a)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1 구동 요소(51)를 제어해서, 제1 검지 요소(6a)로부터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제1 제어부(7a), 및, 제2 검지 요소(6b)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2 구동 요소(52)를 제어해서, 제2 검지 요소(6b)로부터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제2 제어부(7b)를 갖는 제어 장치(7)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르면, 제1 검지 요소(6a)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1 구동 요소(51)를 제어하고, 제2 검지 요소(6b)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2 구동 요소(52)를 제어함으로써, 유모차(1)의 주행 조작에 따라서 각 구동 요소(51, 52)로부터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 결과, 유모차(1)를 부담을 경감한 태양에서 의도한 대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모차 본체(2)는, 복수의 차륜(4)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10)와, 프레임 본체(10)에 접속된 핸들(20)을 갖고, 제1 검지 요소(6a) 및 제2 검지 요소(6b)는, 핸들(20)에 설치되고, 당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한다.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로서,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이용자의 주행 조작에 관한 의도에 따라서 구동 요소(51, 52)로부터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제어부(7a)는, 제1 검지 요소(6a)가 검지한 하중이 커질수록 차륜(4)에의 구동력이 점차 증대되도록, 제1 구동 요소(51)를 제어하고, 제2 제어부(7b)는, 제2 검지 요소(6b)가 검지한 하중이 커질수록 차륜(4)에의 구동력이 점차 증대되도록, 제2 구동 요소(52)를 제어한다. 유모차(1)를 밀어 보내는 힘이 커질수록, 구동 요소(51, 52)로부터의 구동력을 보다 필요로 하므로,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하면, 유모차(1)의 주행 조작에 따라서 조작자의 부담을 더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차륜(4) 중, 제1 구동 요소(51) 및 제2 구동 요소(52)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이 후륜(42)이고, 복수의 차륜(4) 중의 전륜(41)은, 캐스터(3)를 개재해서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되어 있다. 전륜(41)이 캐스터(3)를 개재해서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유모차(1)의 선회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가 조작하는 핸들(20)이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나, 유모차(1)에 승차하는 유유아의 중심을 고려하면, 후륜(42)은 하중이 걸리기 쉬워 접지면에 안정되게 접지된다고 할 수 있다. 안정되게 접지된 후륜(42)에 구동 요소(51, 52)로부터의 구동력이 제공됨으로써,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 보조를 안정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구동 요소(51)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4)과, 제2 구동 요소(52)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4)은, 좌우 방향(d2)에 있어서의 위치가 다르다. 이 경우, 선회 조작 시에, 2개의 구동 요소(51, 52) 중의 한쪽에 접속된 차륜(4)이 내륜측으로 되고, 다른 쪽에 접속된 차륜(4)이 외륜측으로 된다. 그러므로, 내륜측의 차륜(4)보다도 외륜측의 차륜(4)에 상대적으로 큰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외륜으로 되는 차륜(4)을 상대적으로 회전시키기 쉽게 하여, 선회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다양한 변경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 변형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검지 요소(6)가 뒤틀림 게이지(61)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검지 요소(6)의 형태는,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검지 요소(6)는,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할 수 있는 한 임의이고, 다른 예로서, 핸들 본체(22)에 부착된 토크 센서나 압력 센서나 자왜(磁歪) 센서 등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로서는,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작동 유체의 압력의 변화로서 받아들여, 이 압력의 변화를 다이어프램을 통해 감압 소자로 계측한 후, 전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핸들 본체(22)가 한 쌍의 만곡 바(22b, 22c)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핸들 본체(22)의 구성은,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에, 핸들 본체(22)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20)에는, 조작자의 손을 걸칠 수 있는 조작 부재(21)가 배치되고, 조작 부재(21)와 유모차 본체(2)를 핸들 본체(22)가 연결하고 있다. 핸들 본체(22)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후방 상부 프레임(12d)으로부터 2개의 지주(支柱)(22d, 22e)가 연장 돌출되고, 2개의 지주(22d, 22e)의 연장 돌출된 선단과 조작 부재(21) 사이에, 그립측 연장 돌출부(22f)가 가설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2개의 지주(22d, 22e)는, 좌우 방향(d2)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되어 있고, 후방 상부 프레임(12d)과의 연결 개소(c1, c2)에 있어서, 당해 상부 프레임(12)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각 지주(22d, 22e)는, 후방을 향해서 수평면에 대해서 상측으로 경사져 있다.
도 14에, 핸들(20)을 확대해서 나타낸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21)는, 좌우 방향(d2)으로 간격을 두고 나열된 2개의 그립(21a, 21b)으로서 구성되고, 그립측 연장 돌출부(22f)는, 2개의 지주(22d, 22e) 사이로 되는 영역으로부터 2개의 그립(21a, 21b) 중 어느 하나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3개의 연결 바(22g∼22i)로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좌측 연결 바(22g)가 2개의 지주(22d, 22e) 사이로 되는 영역으로부터 좌측에 위치하는 그립(21a)의 좌단에 가설되고, 중앙측 연결 바(22h)가 2개의 지주(22d, 22e) 사이로 되는 영역으로부터 2개의 그립(21a, 21b) 사이에 가설되고, 우측 연결 바(22i)가 2개의 지주(22d, 22e) 사이로 되는 영역으로부터 우측에 위치하는 그립(21b)의 우단에 가설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립측 연장 돌출부(22f)를 구성하는 3개의 연결 바(22g∼22i)는, 후방을 향해서 수평면에 대해서 하측으로 경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지주(22d, 22e)의 각각에, 검지 요소(6a, 6b)가 설치되어 있다. 도 15에, 지주(22d)에 제1 검지 요소(6a)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15에는, 좌측의 지주(22d)에 설치된 제1 검지 요소(6a)가 나타나 있지만, 우측의 지주(22e)에 설치된 제2 검지 요소(6b)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검지 요소(6a, 6b)는, 전술의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서 브리지 회로로서 접속된 복수의 뒤틀림 게이지(61)를 포함하고 있다. 각 검지 요소(6a, 6b)의 복수의 뒤틀림 게이지(61)는, 지주(22d, 22e) 내의 이너 각재(22k)에 첩부되어 있다.
또, 도 13 내지 도 15에 나타낸 변형예는, 검지 요소(6a, 6b), 제어부(7a, 7b), 및, 구동 요소(51, 52)의 구성은, 전술한 형태와 대략 마찬가지이지만, 제어부(7a, 7b)가, 조작 부재(21)가 하방으로 내리눌린 경우여도 전진 방향으로 후륜(42)을 구동시키는 점에서, 전술한 형태와 다르다.
특히, 도 13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 검지 요소(6a, 6b)를 구성하는 4개의 뒤틀림 게이지(61)는, 조작 부재(21)보다도 상하 방향(d3)에 있어서의 상방에 위치하고, 조작 부재(21)는, 연결 개소(c1, c2)보다도 후방이며 하방으로 되는 위치에 위치해 있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이하의 도 16 내지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틀림 게이지(61)가 작용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핸들(20)을 조작했을 때의 뒤틀림 게이지(6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너 각재(22k)를 그 장변 방향에 평행한 평면에서 2개의 부분으로 구획했을 때에, 상측으로 되는 부분을 위쪽 영역(A3)으로 하고, 하측으로 되는 부분을 아래쪽 영역(A4)으로 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잡고 유모차(1)를 전후 방향(d1)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밀어 보낸 경우, 각 지주(22e, 22f) 내의 이너 각재(22k)의 위쪽 영역(A3)이 늘어나고 아래쪽 영역(A4)이 줄어든다. 위쪽 영역(A3)이 늘어나고 아래쪽 영역(A4)이 줄어든 정보는, 각 검지 요소(6a, 6b)의 4개의 뒤틀림 게이지(61)에서 계측된다. 전형적으로는, 각 검지 요소(6a, 6b)에서 계측되는 뒤틀림의 크기는 같은 정도로 된다. 각 검지 요소(6a, 6b)에서 계측된 정보는, 대응하는 제어부(7a, 7b)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각 제어부(7a, 7b)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어 보내진 혹은 하방으로 내리눌린 것으로 인식하여, 대응하는 검지 요소(6a, 6b)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대응하는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에 제공한다. 이것에 의해, 각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가 회전하여, 직류 모터(51b, 52b)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내리막길에서 유모차(1)를 밀어 보내는 경우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잡고 유모차(1)를 전후 방향(d1)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당겼을 경우, 도 16의 경우와는 반대로, 이너 각재(22k)의 위쪽 영역(A3)이 줄어들고 아래쪽 영역(A4)이 늘어난다. 위쪽 영역(A3)이 줄어들고 아래쪽 영역(A4)이 늘어난 정보는, 각 검지 요소(6a, 6b)의 4개의 뒤틀림 게이지(61)에서 계측되어 대응하는 제어부(7a, 7b)에 보내진다. 전형적으로는, 각 검지 요소(6a, 6b)에서 계측되는 뒤틀림의 크기는 같은 정도로 된다. 정보를 수취한 각 제어부(7a, 7b)는,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졌다고 인식하여, 대응하는 검지 요소(6a, 6b)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대응하는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에 도 16의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제공한다. 이것에 의해, 각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가 회전하여, 직류 모터(51b, 52b)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을 후퇴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유모차(1)를 선회시킬 때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손으로 조작 부재(21)를 전방으로 미는 힘에 차이를 발생시킴으로써, 유모차(1)를 선회시킬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왼쪽 손보다도 오른쪽 손으로부터 조작 부재(21)에 걸리는 힘을 크게 함에 의해, 유모차(1)를 왼편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좌우의 손으로 조작 부재(21)에 다른 힘을 가해도, 도 16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너 각재(22k)의 위쪽 영역(A3)이 늘어나고 아래쪽 영역(A4)이 줄어든다. 위쪽 영역(A3)이 늘어나고 아래쪽 영역(A4)이 줄어든 정보는, 각 검지 요소(6a, 6b)의 4개의 뒤틀림 게이지(61)에서 계측되고 제어부(7a, 7b)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각 제어부(7a, 7b)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어 보내진 혹은 하방으로 내리눌린 것으로 인식하여, 대응하는 검지 요소(6a, 6b)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대응하는 구동 요소(51, 52)에 제공한다.
전술과 같이, 왼쪽 손보다도 오른쪽 손으로부터 조작 부재(21)에 걸리는 힘이 크기 때문에, 좌측의 지주(22e)에 설치된 제1 검지 요소(6a)보다도, 우측의 지주(22f)에 설치된 제2 검지 요소(6b) 쪽이 큰 하중을 검지한다. 이것에 따라서, 제1 검지 요소(6a)와 협동하는 제1 구동 요소(51)보다도 제2 검지 요소(6b)와 협동하는 제2 구동 요소(52) 쪽이 큰 구동력을 차륜(4)에 제공한다. 이 결과, 제1 구동 요소(51)에 접속된 내륜으로 되는 좌측의 후륜(42)보다도, 제2 구동 요소(52)에 접속된 외륜으로 되는 우측의 후륜(42)을 보다 많이 회전시킬 수 있어, 선회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주행면에 있는 단차를 타고 넘을 때에도,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면에 단차가 있는 경우에는, 조작자는 조작 부재(21)를 상하 방향(d3)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내리눌러서, 전륜(41)을 들어올려서 주행시키려고 한다. 이 경우여도, 이너 각재(22k)의 위쪽 영역(A3)이 늘어나고 아래쪽 영역(A4)이 줄어든다. 위쪽 영역(A3)이 늘어나고 아래쪽 영역(A4)이 줄어든 정보는, 각 검지 요소(6a, 6b)의 4개의 뒤틀림 게이지(61)에서 계측된다. 전형적으로는, 각 검지 요소(6a, 6b)에서 계측되는 뒤틀림의 크기는 같은 정도로 된다. 각 검지 요소(6a, 6b)에서 계측된 정보는, 대응하는 제어부(7a, 7b)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각 제어부(7a, 7b)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어 보내진 또는 하방으로 내리눌린 것으로 인식하여, 대응하는 검지 요소(6a, 6b)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대응하는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에 제공한다. 이것에 의해, 각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가 회전하여, 직류 모터(51b, 52b)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본 변형예에 따르면, 단차를 타고 넘는 동작 중이어도,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의 보조를 받으면서 유모차(1)를 과도한 부담 없이 밀어 보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르면, 핸들(20)은, 조작자의 손을 걸칠 수 있는 조작 부재(21)와, 조작 부재(21)와 유모차 본체(2)를 연결하는 핸들 본체(22)를 갖고, 각 제어부(7a, 7b)는, 각각에 대응하는 검지 요소(6a, 6b)에 의해서,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린 정보 또는 하방으로 내리눌린 정보가 검지되면,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 요소(51, 52)에 차륜(4)을 전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시키고, 각각에 대응하는 검지 요소(6a, 6b)에 의해서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진 정보가 검지되면,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 요소(51, 52)에 차륜(4)을 후퇴시키는 구동력을 제공시킨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르면, 조작자에 의한 조작 부재(21)의 조작에 맞춰서,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지면의 단차 등을 타고 넘기 위해서 전륜(41)을 들어올리도록 조작 부재(21)를 하방으로 내리눌렀을 경우여도, 구동 요소(51, 52)가 차륜(4)을 전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 때문에, 단차를 타고 넘는 동작 중이어도,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의 보조를 받으면서 유모차(1)를 과도한 부담 없이 밀어 보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각 검지 요소(6a, 6b)는, 핸들(20)의 핸들 본체(22)에 부착된 복수의 뒤틀림 게이지(61)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뒤틀림 게이지(61)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또는 하방으로 내리눌리면 연장되고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줄어들도록, 혹은,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또는 하방으로 내리눌리면 줄어들고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늘어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에 따르면, 검지 요소(6)가 뒤틀림 게이지(61)에 의해서 실현되기 때문에,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조작하는 정보를, 복잡한 구조를 회피하면서 안정되게 검지할 수 있다.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조작하는 정보를 더 안정되게 검지하는 관점으로부터, 조작 부재(21)는, 핸들 본체(22)와 프레임 본체(10)의 연결 개소(c1, c2)보다도 후방이며 하방으로 되는 위치 또는 전방이며 상방으로 되는 위치에 위치해 있는 것이 좋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작 부재(21)는, 연결 개소(c1, c2)보다도 후방이며 하방으로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각 검지 요소(6a, 6b)의 뒤틀림 게이지(61)는, 핸들 본체(22) 중, 조작 부재(21)와의 접속 개소와 연결 개소(c1, c2) 사이로 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자로부터 조작 부재(21)에 가해지는 하중에 연동해서, 핸들 본체(22) 중의 뒤틀림 게이지(61)가 첩부된 부분이 감도 좋게 신축한다. 이 때문에, 뒤틀림 게이지(61)에 의해서,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조작하는 정보를 더 정밀도 좋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상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가지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하게 조합해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5)

  1.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지지된 복수의 차륜과,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 요소와,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상기 제1 구동 요소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과는 다른 차륜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 구동 요소와는 별개로 설치된 제2 구동 요소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제1 검지 요소와,
    상기 제1 검지 요소와는 별개로 설치되고, 상기 유모차 본체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제2 검지 요소와,
    상기 제1 검지 요소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구동 요소를 제어해서, 상기 제1 구동 요소로부터 상기 차륜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검지 요소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2 구동 요소를 제어해서, 상기 제2 구동 요소로부터 상기 차륜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제2 제어부를 갖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유모차 본체는, 상기 복수의 차륜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에 접속된 핸들을 갖고,
    상기 핸들은, 조작자의 손을 걸칠 수 있는 조작 부재와,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되고 각각이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연결부를 갖고,
    상기 제1 검지 요소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의 한 쪽에 설치되어 변형을 계측하고, 상기 제2 검지 요소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의 다른 쪽에 설치되어 변형을 계측하고,
    각 연결부는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지 요소 및 상기 제2 검지 요소는 대응하는 연결부의 상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검지 요소 및 상기 제2 검지 요소는, 상기 핸들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유모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검지 요소가 검지한 하중이 커질수록 상기 차륜에의 구동력이 점차 증대되도록, 상기 제1 구동 요소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검지 요소가 검지한 하중이 커질수록 상기 차륜에의 구동력이 점차 증대되도록, 상기 제2 구동 요소를 제어하는, 유모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상기 제1 구동 요소 및 상기 제2 구동 요소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이 후륜(後輪)이고,
    상기 복수의 차륜 중의 전륜(前輪)은, 캐스터를 개재해서 상기 유모차 본체에 지지되어 있는, 유모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요소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과, 상기 제2 구동 요소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다른, 유모차.
KR1020160114846A 2015-09-11 2016-09-07 유모차 KR102283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9438 2015-09-11
JP2015179438A JP6605265B2 (ja) 2015-09-11 2015-09-11 乳母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623A KR20170031623A (ko) 2017-03-21
KR102283384B1 true KR102283384B1 (ko) 2021-07-30

Family

ID=58320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846A KR102283384B1 (ko) 2015-09-11 2016-09-07 유모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05265B2 (ko)
KR (1) KR102283384B1 (ko)
CN (1) CN106985889A (ko)
TW (1) TWI7240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55376A (zh) * 2020-09-27 2021-01-01 安徽工程大学 一种可摆动的婴儿床
FR3121419B1 (fr) * 2021-03-30 2024-03-15 Hublex Poignée de commande haptique pour chariot ou similaire, kit d’assistance au déplacement d’un chariot comprenant une telle poignée de commande, et chariot équipé d’un tel kit d’assist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375A (ja) * 2002-09-25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ワーアシスト付運搬車
JP2006322839A (ja) 2005-05-19 2006-11-30 Sanyo Electric Co Ltd 力検出装置
JP2015134538A (ja) 2014-01-17 2015-07-27 シャープ株式会社 ベビ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2832B2 (ja) * 1995-05-30 2000-08-28 株式会社ナブコ 電動車両
JP2001171524A (ja) * 1999-12-20 2001-06-26 Nabco Ltd 電動車両の操作装置
JP2002059845A (ja) * 2000-08-17 2002-02-26 Nippon Yusoki Co Ltd リフトトラック
JP2004120875A (ja) * 2002-09-25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動力車
CN2887706Y (zh) * 2005-07-03 2007-04-11 孙文彦 电动手推平板车
JP2007176195A (ja) * 2005-12-27 2007-07-12 Sunstar Engineering Inc 電動アシスト台車
GB2454679A (en) * 2007-11-13 2009-05-20 Carolyn Patricia Thompson Electric buggy for child occupant
JP5429794B2 (ja) * 2009-07-31 2014-02-26 株式会社アテックス アシストモータ付き走行車両
TWI424932B (zh) * 2011-12-22 2014-02-01 Univ Nat Kaohsiung Applied Sci 可自動行進之智慧型嬰兒車
CN202400129U (zh) * 2011-12-23 2012-08-29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车
JP2014136568A (ja) * 2013-01-18 2014-07-28 Stanley Electric Co Ltd ベビーカー用電動パワーアシス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375A (ja) * 2002-09-25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パワーアシスト付運搬車
JP2006322839A (ja) 2005-05-19 2006-11-30 Sanyo Electric Co Ltd 力検出装置
JP2015134538A (ja) 2014-01-17 2015-07-27 シャープ株式会社 ベビ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10130A (zh) 2017-03-16
JP2017052468A (ja) 2017-03-16
JP6605265B2 (ja) 2019-11-13
CN106985889A (zh) 2017-07-28
TWI724024B (zh) 2021-04-11
KR20170031623A (ko) 2017-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5850B (zh) 婴儿车
KR102283384B1 (ko) 유모차
TWI690444B (zh) 嬰兒車
JP5573993B1 (ja) 障害物回避先導ロボット
JP6556854B2 (ja) 乳母車
JP6559787B2 (ja) 乳母車
TWI691422B (zh) 嬰兒車
KR102259631B1 (ko) 유모차
JP6698299B2 (ja) 乳母車
JP6702674B2 (ja) 乳母車
KR20170031622A (ko) 유모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