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435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435A
KR20180051435A KR1020177032896A KR20177032896A KR20180051435A KR 20180051435 A KR20180051435 A KR 20180051435A KR 1020177032896 A KR1020177032896 A KR 1020177032896A KR 20177032896 A KR20177032896 A KR 20177032896A KR 20180051435 A KR20180051435 A KR 20180051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riving
wheel
operating member
baby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아사노
이사오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1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4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유모차(1)는, 복수의 차륜(4)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10) 및 프레임 본체(10)에 접속된 핸들(20)을 가진 유모차 본체(2)와,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후륜(42)을 구동하는 구동원(5)과, 핸들(20)에 마련되며 당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을 검지하는 검지 요소(6)와, 검지 요소(6)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원(5)에 의한 차륜(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7)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7)는, 검지 요소(6)에 의해 검지되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구동시키는 차륜(4)의 회전의 방향을 조정한다.

Description

유모차
본 발명은 구동원에 의해 차륜을 구동시키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JP2011-68336A에는, 전동 모터 부착 유모차가 개시되어 있다. P2011-68336A에 기재된 유모차에서는, 레버가 압압되면, 차륜에 접속된 전동 모터가 구동된다. 특히, P2011-68336A에 기재된 유모차는, 전동 모터에 의해 자주(自走)한다. 즉, P2011-68336A에 기재된 유모차는, 조작자에 의해 밀어지지 않아도, 전동 모터의 구동력만으로 독립하여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JP2011-68336A에 기재된 유모차는,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독립하여 주행하기 때문에, 조작자가 의도한 대로 유모차를 조작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히, 커브나 모퉁이에서 유모차를 선회시키려고 했을 경우, 조작자는 선회 동작에 들어가기 위해서 전진시키는 스피드를 늦추는 한편, 전동 모터는 차륜을 그대로의 스피드로 계속 구동시킨다. 이 때문에, 조작자의 움직임과 유모차의 움직임 사이에 어긋남(엇갈림)이 생겨버려, 유모차를 의도한 대로 조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모차를 의도한 대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구동원에 의해 차륜을 구동시키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유모차는,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륜과,
상기 복수의 차륜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프레임 본체에 접속된 핸들을 가진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후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핸들에 마련되며, 당해 핸들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요소와,
상기 검지 요소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원에 의한 구동력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핸들은, 조작자의 손이 걸쳐지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유모차 본체를 연결하는 핸들 본체를 갖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지 요소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가 전방으로 밀린 정보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정보가 검지되면, 상기 구동원에게 상기 차륜을 전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하고, 상기 검지 요소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가 후방으로 당겨진 정보가 검지되면, 상기 구동원에게 상기 차륜을 후퇴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유모차는,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륜과,
상기 복수의 차륜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프레임 본체에 접속된 핸들을 가진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후륜을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핸들에 마련되며, 당해 핸들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요소와,
상기 검지 요소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원에 의한 상기 차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지 요소에 의해 검지되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구동시키는 차륜의 회전의 방향을 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조작자의 손이 걸쳐지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유모차 본체를 연결하는 핸들 본체를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또는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검지 요소는, 상기 핸들의 상기 핸들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변형 게이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변형 게이지는, 상기 조작 부재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늘어나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줄어들거나, 또는, 상기 조작 부재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줄어들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늘어나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또는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 연결 개소보다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이 되는 위치 또는 전방이면서 또한 상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또는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연결 개소보다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변형 게이지는, 상기 핸들 본체 중, 상기 조작 부재와의 접속 개소와 상기 연결 개소 사이가 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또는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연결 개소보다 전방이면서 또한 상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변형 게이지는, 상기 핸들 본체 중, 상기 조작 부재와의 접속 개소와 상기 연결 개소 사이가 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또는 제 2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 요소와,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상기 제 1 구동 요소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과는 다른 차륜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구동 요소와는 별개로 마련되어진 제 2 구동 요소를 가져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지 요소에 의해 검지되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구동원이 차륜을 구동시키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유모차를 의도한 대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를 전개 상태에서 정면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를 좌석 유닛을 제거한 상태에서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를 절첩 상태에서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구동 요소 및 차륜을 후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구동 요소를 구성하는 직류 모터의 접속 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상면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에 마련되어진 검지 요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검지 요소의 회로도.
도 10은 검지 요소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 요소에 의한 구동력을 조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전방으로 밀어 붙였을 때의 검지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하방으로 밀어 내렸을 때의 검지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핸들을 후방으로 당겼을 때 및 언덕길을 내려갈 때의 검지 요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를 선회시켰을 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5는 도 7에 나타내는 핸들의 핸들 본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도 7에 나타내는 핸들의 조작 부재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6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를 정면 방향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1)에서는, 유모차 본체(2)에, 제 1 좌석 유닛(8a) 및 제 2 좌석 유닛(8b)이 지지되어 있다. 제 1 좌석 유닛(8a) 및 제 2 좌석 유닛(8b)은, 유아가 착석하는 장소이며,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좌석 유닛(8a, 8b)에 착석한 유아를 햇볕이나 바람으로부터 보호하도록, 각 좌석 유닛(8a, 8b)에는, 덮개(9a, 9b)가 마련되어 있다.
또,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1)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전」,「후」,「상」,「하」,「전후 방향」,「상하 방향」및「좌우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1)를, 핸들(20)을 파지하면서 조작하는 조작자를 기준으로 한 「전」,「후」,「상」,「하」,「전후 방향」,「상하 방향」및「좌우 방향」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전후 방향(d1)」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표리 방향에 해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전」이란, 핸들을 미는 조작자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바깥측이 전(前)으로 된다. 한편,「상하 방향(d3)」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동시에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상하 방향(d3)」이란 연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좌우 방향(d2)」이란 폭 방향이기도 하고,「전후 방향(d1)」및「상하 방향(d3)」의 어느 것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
도 2에, 유모차(1)를 좌석 유닛(8a, 8b)을 제거한 상태에서 측방으로부터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 본체(2)는, 프레임 본체(10)와, 프레임 본체(10)에 접속된 핸들(20)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본체(10)에 있어서, 복수의 차륜(4)이 지지된 베이스 프레임(11)에, 2개의 좌석 유닛(8a, 8b)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12)이 접속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2)은, 베이스 프레임(11)에 대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12)의 전방 부분과 베이스 프레임(11)의 전방 부분이 전방 링크 부재(13)를 통해 접속되고, 상부 프레임(12)의 중간 부분과 베이스 프레임(11)의 후방 부분이 중간 링크 부재(14)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전방 링크 부재(13) 및 중간 링크 부재(14)는, 링크로서 기능하여, 상부 프레임(12)이 베이스 프레임(11)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베이스 프레임(11)에는, 좌우 방향(d2)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이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후단은, 후방 베이스 프레임(11c)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일의 파이프를 구부려서 성형함으로써,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과 후방 베이스 프레임(11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과 후방 베이스 프레임(11c)은, 별개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각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에는, 전륜(41) 및 후륜(42)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전륜(41)은, 캐스터(3)를 통해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에 회전 가능하면서 또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캐스터(3)는, 회전 축선(Ar1)을 중심으로 해서 전륜(4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또한, 회전 축선(Ar1)과 비평행, 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하는 방향에 평행한 선회 축선(As1)을 중심으로 해서 선회 가능하다. 즉, 전륜(41)은, 자전 가능함과 동시에 그 방향을 변경 가능하게 되도록 캐스터(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편, 전륜(41)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각 후륜(42)은, 캐스터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후륜(42)은, 후술하는 구동원(5)의 구동축(51b)(도 5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선회 가능하게는 되어 있지 않다.
상부 프레임(12)에는, 좌우 방향(d2)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이 마련되어 있다.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의 사이에는, 중간 프레임(12c)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의 측상부 프레임(12a)과 중간 프레임(12c) 사이에 제 1 좌석 유닛(8a)이 배치되고, 우측의 측상부 프레임(12b)과 중간 프레임(12c) 사이에 제 2 좌석 유닛(8b)이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 및 중간 프레임(12c)의 후단은, 후방 상부 프레임(12d)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후방 상부 프레임(12d)에는, 핸들(20)이 부착되어 있다. 핸들(20)은 조작자의 손에 의해서 조작되는 부분이다. 핸들(20)에 대해서는,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 도시하는 예에서는,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과 후방 상부 프레임(12d)이, 단일의 파이프를 구부려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과 후방 상부 프레임(12d)은, 별개의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의 전단은, 횡연결 바(12e) 및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중, 횡연결 바(12e)는, 좌우 방향(d2)에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횡연결 바(12e)의 중간 부분에 중간 프레임(12c)의 전단이 접속되어 있다.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은, 링크로서 기능하며, 횡연결 바(12e)보다 전방이 되는 영역으로 돌출된 만곡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의 전방 부분과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전단에, 베이스측 링크 프레임(13b)이 걸쳐 놓여져 있다. 베이스측 링크 프레임(13b)은, 그 전단에 있어서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에 고정되며, 그 좌우의 후단은, 횡연결 링크 바(13c)를 통해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횡연결 링크 바(13c)는, 좌우 방향(d2)에 따라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과 베이스측 링크 프레임(13b)과 횡연결 링크 바(13c)에 의하여, 링크로서 기능하는 전방 링크 부재(13)가 구성된다.
또, 좌우의 중간 링크 부재(14)는, 좌우의 측상부 프레임(12a, 12b)의 중간 부분과 좌우의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의 후방 부분에 걸쳐 놓여져 있다. 각 중간 링크 부재(14)는, 링크로서 기능하며, 측상부 프레임(12a, 12b) 및 측베이스 프레임(11a, 11b) 양쪽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유모차(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절첩 상태로 절첩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1)를 절첩 상태에서 측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측상부 프레임(12a, 12b)과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의 록을 해제하여, 핸들(20)이 자체 중량을 이용해서 하방으로 내려 간다. 이 동작에 의해, 상부측 링크 프레임(13a), 베이스측 링크 프레임(13b) 및 중간 링크 부재(14)가 도 3 중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부 프레임(12)이 베이스 프레임(11)에 겹치도록 절첩되어 간다.
이상의 절첩 동작의 결과,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과 상부 프레임(12)이, 유모차(1)의 측면 보기에 있어서 접근해서 대략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편, 유모차(1)를 도 3에 나타내는 절첩 상태로부터, 도 2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전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의 순서를 거치면 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에서는, 조작자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차륜(4)에 구동원(5)이 접속되어 있다. 단, 배경기술의 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유모차는 소위 자주(自走)식의 유모차로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의도한 대로 유모차를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는, 조작자의 주행 조작에 따라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보조 구동식의 손으로 미는 유모차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차륜(4)의 구동을 보조하는 기구를 블록도로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차륜(4) 중 일부에, 구동 요소(51, 52)가 접속되어 있다. 구동 요소(51, 52)는, 차륜(4)을 구동시키는 구성 요소, 환언하면,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 요소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구동 요소 즉 제 1 구동 요소(51) 및 제 2 구동 요소(52)가 마련되며, 제 1 구동 요소(51)가 좌측의 후륜(42)을 구동하고, 제 2 구동 요소(52)가 우측의 후륜(42)을 구동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구동 요소(51, 5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구동 요소(51, 52)는, 대응하는 측의 후륜(42)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과, 구동축(51a, 52a)를 구동시키는 직류 모터(51b, 52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구동축(51a, 52a)의 일단은, 대응하는 측의 후륜(42)에 접속되며, 당해 후륜(42)을 회전 축선(Ar2)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하고,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지는 않는다. 구동축(51a, 52a)의 타단은, 직류 모터(51b, 52b)의 주축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동력 전달 요소(예를 들면 기어)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 구동축(51a, 52a)은, 직류 모터(51b, 52b)의 주축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직류 모터(51b, 52b)는, 후방 베이스 프레임(11c)에 지지된 수용 박스(70) 내에 배치되며, 당해 수용 박스(70) 내에서 후방 베이스 프레임(11c)에 지지되어 있다. 도 6에, 직류 모터(51b, 52b)의 접속 관계를 회로도로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는, 전원(75)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음으로써, 접지면으로부터의 부하에 따라 구동력을 조정하는 것에 공헌하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로 되돌아가서, 각 구동 요소(51, 52)는, 제어 장치(7)에 접속되며, 당해 제어 장치(7)에 의해 제어된다. 이 제어 장치(7)에는, 검지 요소(6)가 더 접속되어 있어서, 검지 요소(6)로부터의 정보가 입력으로서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제어 장치(7)는, 검지 요소(6)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각 구동 요소(51, 52)를 제어하여, 각 구동 요소(51, 52)로부터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한다. 또한, 제어 장치(7)는 수용 박스(70)에 제거 가능하게 고정된 전원(75)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7)는, 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CPU) 및 레지스터(REGISTER)를 구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나,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PLC)의 형태로서 실현될 수 있다.
검지 요소(6)는,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것이다. 검지 요소(6)가 검지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는, 조작자로부터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정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의 일례로서, 핸들(20)을 조작하는 손으로부터의 하중에 관한 정보나, 조작자가 유모차(1)를 주행시키는 속도 및 속도에 관련되는 차륜(4)의 회전수에 관한 정보를 검지해도 된다.
도 2로 되돌아가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검지 요소(6)는, 핸들(20)에 마련되며, 당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 환언하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를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먼저, 핸들(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에 핸들(20)에 마련되어진 검지 요소(6)에 대해 설명해 간다.
도 7에, 핸들(20)을 확대해서 나타낸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20)에는, 조작자의 손이 걸쳐지는 조작 부재(21)가 배치되며, 조작 부재(21)와 유모차 본체(2)를 핸들 본체(22)가 연결하고 있다. 핸들 본체(22)는, 상부 프레임(12)과의 연결 개소(c1)에 있어서, 당해 상부 프레임(12)에 체결되어 있다.
특히, 핸들 본체(22)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후방 상부 프레임(12d)으로부터 컬럼(22a)이 연장되고, 컬럼(22a)의 양측에 사이드바(22b, 22c)가 배치되어 있다. 그립(21)은, 좌우 방향(d2)으로 간격을 두고서 나란히 놓여진 2개의 그립(21a, 21b)으로서 구성되고, 좌측의 그립(21a)이, 좌측의 사이드바(22b)와 컬럼(22a) 사이에 걸쳐 놓여지며, 우측의 그립(21b)이, 우측의 사이드바(22c)와 컬럼(22a) 사이에 걸쳐 놓여져 있다.
도 8에, 컬럼(22a)에 마련되어진 검지 요소(6)를 확대해서 나타내며, 도 9에, 검지 요소(6)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요소(6)로서의 복수의 변형 게이지(61)가, 컬럼(22a) 내의 이너(inner) 각재(22d)에 첩부되어 있다. 복수의 변형 게이지(61)는, 핸들 본체(22)의 변형을 계측하도록 브릿지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형(角型)의 이너 각재(22d)의 상측의 면에 2개의 변형 게이지(61)가 배치되고, 이너 각재(22d)의 하측의 면에 2개의 변형 게이지(61)가 배치되며, 이들 4개의 변형 게이지(61)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또, 도시하는 이너 각재(22d)는 중공(中空)으로 되어 있지만, 중실(中實)이어도 된다.
도 15에,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에 따라, 구동 요소(51, 52)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결정하는 제어의 일례를 그래프로서 나타낸다. 도 15의 그래프에 있어서, 가로축은,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을 나타내고, 이너 각재(22d)의 상측의 면에 첩부된 변형 게이지(61)가 늘어났을 경우 내지 이너 각재(22d)의 하측의 면에 첩부된 변형 게이지(61)가 줄어들었을 경우를 양의 값으로 하고, 이너 각재(22d)의 상측의 면에 첩부된 변형 게이지(61)가 줄어들었을 경우 내지 이너 각재(22d)의 하측의 면에 첩부된 변형 게이지(61)가 늘어났을 경우를 음의 값으로 하고 있다. 세로축은, 차륜(4)을 구동시키는 구동력을 나타내며, 차륜(4)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양의 값으로 하고, 차륜(4)을 후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음의 값으로 하고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의 크기가 하한값(α1)보다 작을 경우, 제어 장치(7)는,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을 차륜(4)에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외란이나 의도치 않는 조작이 유모차(1)에 가해져도, 유모차(1)가 의도치 않게 움직여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의 크기가 하한값(α1)보다 커지면, 제어 장치(7)는,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을,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변형의 크기에 비례해서 차륜(4)에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도 15의 그래프에서는, 대상이 되는 변형 게이지(61)가 늘어났을 경우에는, 차륜(4)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고, 대상이 되는 변형 게이지(61)가 줄어들었을 경우에는, 차륜(4)을 후퇴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한편, 핸들(20)에 가해지는 변형의 크기가 상한값(α2)보다 커지면, 제어 장치(7)는, 구동 요소(51, 52)에 의한 구동력을, 상한 구동력(F)으로서 차륜(4)에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특히, 도 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검지 요소(6)를 구성하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는, 조작 부재(21)보다 상하 방향(d3)에 있어서의 상방에 위치하고, 조작 부재(21)는, 연결 개소(c1)보다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이하의 도 11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 게이지(61)가 작용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핸들(20)을 조작했을 때의 변형 게이지(6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너 각재(22d)를 그 길이 방향에 평행한 평면으로 2개의 부분으로 구획했을 때에, 상측이 되는 부분을 상부 영역(A1)으로 하고, 하측이 되는 부분을 하부 영역(A2)으로 한다(도 8 참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잡고서 유모차(1)를 전후 방향(d1)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밀어 전진시켰을 경우, 이너 각재(22d) 상부 영역(A1)이 늘어나고 하부 영역(A2)이 줄어든다. 상부 영역(A1)이 늘어나고 하부 영역(A2)이 줄어든 정보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된다.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된 정보는, 제어 장치(7)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제어 장치(7)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어 붙여졌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것으로 인식하고,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변형 게이지(61)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직류 모터(51b, 52b)가 회전하고, 직류 모터(51b, 52b)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의 회전을 보조함으로써, 조작자가 유모차(1)를 전방으로 미는 부담이 경감된다.
주행면에 단차가 있을 경우에는, 조작자는 조작 부재(21)를 상하 방향(d3)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밀어 내려서, 전륜(41)을 뜨게 하려고 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자가 유모차(1)를 하방으로 밀어 내렸을 경우, 도 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너 각재(22d) 상부 영역(A1)이 늘어나고 하부 영역(A2)이 줄어든다. 상부 영역(A1)이 늘어나고 하부 영역(A2)이 줄어든 정보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되어 제어 장치(7)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제어 장치(7)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어 붙여졌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것으로 인식하고,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변형 게이지(61)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직류 모터(51b, 52b)가 회전하고, 직류 모터(51b, 52b)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조작 부재(21)가 하방으로 밀어 내려졌을 경우,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어 붙여졌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후륜(42)을 전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결과적으로, 단차를 타고 넘는 동작중이어도, 구동원(5)에 의한 구동력의 보조를 받을 수 있어, 유모차(1)를 과도한 부담없이 전진시킬 수 있다.
한편, 내리막길에서 유모차(1)를 밀어 전진시킬 경우에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잡고서 유모차(1)를 전후 방향(d1)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끌어 당기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도 11 및 도 12의 경우와는 반대로, 이너 각재(22d) 상부 영역(A1)이 줄어들고 하부 영역(A2)이 늘어난다. 상부 영역(A1)이 줄어들고 하부 영역(A2)이 늘어난 정보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되어 제어 장치(7)에 보내진다. 정보를 수취한 제어 장치(7)는,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진 것으로 인식하고,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변형 게이지(61)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도 11 및 도 12의 경우와 반대 방향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직류 모터(51b, 52b)가 회전하고, 직류 모터(51b, 52b)에 접속된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을 후퇴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축(51a, 52a)이 후륜(42)의 회전을 보조함으로써, 조작자가 유모차(1)를 후방으로 당기는 부담이 경감된다.
다음으로, 유모차(1)를 선회시킬 때에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그립(21a, 21b)을 전방으로 미는 힘에 차이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유모차(1)를 선회시킬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좌측의 그립(21a)보다 우측의 그립(21b)에 걸리는 힘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유모차(1)를 좌회전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2개의 그립(21a, 21b)에 서로 다른 힘을 걸어도, 도 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너 각재(22d) 상부 영역(A1)이 늘어나고 하부 영역(A2)이 줄어든다. 상부 영역(A1)이 늘어나고 하부 영역(A2)이 줄어든 정보는, 4개의 변형 게이지(61)에서 계측되어 제어 장치(7)에 보내진다. 변형 게이지(61)가 검지한 정보를 수취한 제어 장치(7)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어 붙여졌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것으로 인식하고,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직렬로 접속된 회로에, 변형 게이지(61)가 계측한 값에 따른 전류를 제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직렬 회로에서는,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을 경우, 2개의 직류 모터(51b, 52b)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도 동일하기 때문에, 2개의 직류 모터(51b, 52b)가 차륜(4)에 제공하는 구동력도 서로 같다고도 생각된다.
단, 유모차(1)를 좌회전으로 선회시키면, 내륜이 되는 좌측의 차륜(4)에 외륜이 되는 우측의 차륜(4)보다 접지면으로부터의 큰 저항이 걸려, 내륜이 되는 좌측의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1b)가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내륜이 되는 좌측의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1b)의 회전수가 저하되면, 당해 직류 모터(51b)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이 저하되어, 직렬 회로에 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기 쉬워진다. 결과적으로, 외륜이 되는 우측의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2b)에 흐르는 전류가 상대적으로 많아져, 외륜이 되는 우측의 차륜(4)에 의해 큰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외륜이 되는 우측의 차륜(4)을 회전시키기 쉬워지며, 이 결과, 선회 동작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모차(1)는, 유모차 본체(2)와,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된 복수의 차륜(4)과,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되며, 복수의 차륜(4)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5)과,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요소(6)와, 검지 요소(6)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원(5)을 제어하고,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7)를 구비한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유모차(1)의 주행 조작에 맞춰서, 구동원(5)에 의한 차륜(4)에의 구동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의 움직임과 유모차의 움직임 사이의 어긋남(엇갈림)을 작게 하여, 유모차(1)를 의도한 대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차륜(4) 중, 구동원(5)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이 후륜(42)이며, 복수의 차륜(4) 중 전륜(41)은, 캐스터(3)를 통해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되어 있다. 전륜(41)이 캐스터(3)를 통해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유모차(1)의 선회 조작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가 조작하는 핸들(20)이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나, 유모차(1)에 승차하는 유아의 중심을 고려하면, 후륜(42)은 하중이 걸리기 쉬워 접지면에 안정하게 접지한다고 할 수 있다. 안정하게 접지한 후륜(42)에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력이 제공됨으로써, 구동원(5)에 의한 구동 보조를 안정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구동원(5)은, 복수의 차륜(4)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 요소(51)와, 복수의 차륜(4) 중 제 1 구동 요소(51)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4)과는 다른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제 1 구동 요소(51)와는 별개로 마련되어진 제 2 구동 요소(52)를 갖는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서로 다른 차륜(4)에 서로 다른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유모차(1)의 주행 상태에 따른 적절한 구동력의 분배를 실현하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1 구동 요소(51)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4)과, 제 2 구동 요소(52)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4)은, 좌우 방향(d2)에 있어서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되어 있으며, 제 1 구동 요소(51) 및 제 2 구동 요소(52)는, 직류 모터를 각각 포함하고, 제 1 구동 요소(51)의 직류 모터(51b)와 제 2 구동 요소(52)의 직류 모터(52b)는, 전원(75)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유모차(1)를 선회시킬 경우, 내륜이 되는 차륜(4)에 외륜이 되는 차륜(4)보다 접지면으로부터의 큰 저항이 걸린다. 이 때문에,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를 직렬로 접속했을 경우, 내륜이 되는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1b)가 회전하기 어려워진다. 내륜이 되는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1b)의 회전수가 저하되면, 직류 모터(51b)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이 저하되어, 직렬 회로에 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기 쉬워진다. 결과적으로, 외륜이 되는 차륜(4)에 접속된 직류 모터(52b)에 흐르는 전류가 상대적으로 많아져, 외륜이 되는 차륜(4)에 의해 큰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를 직렬로 접속했을 경우, 선회 동작중에 외륜이 되는 차륜(4)을 회전시키기 쉬워져, 선회 동작을 스무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모차 본체(2)는, 복수의 차륜(4)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10)와, 프레임 본체(10)에 접속된 핸들(20)을 갖고, 검지 요소(6)는, 핸들(20)에 마련되며, 당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한다.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로서,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조작자의 주행 조작에 관한 의도에 따라 구동원(5)으로부터 차륜(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핸들(20)은, 조작자의 손이 걸쳐지는 조작 부재(21)와, 조작 부재(21)와 유모차 본체(2)를 연결하는 핸들 본체(22)를 갖고, 제어 장치(7)는, 검지 요소(6)에 의해,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린 정보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정보가 검지되면, 구동원(5)에게 차륜(4)을 전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하고, 검지 요소(6)에 의해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진 정보가 검지되면, 구동원(5)에게 차륜(4)을 후퇴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한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조작자에 의한 조작 부재(21)의 조작에 맞춰서, 구동원(5)이 차륜(4)을 구동시키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접지면의 단차 등을 타고 넘기 위해 전륜(41)을 뜨게 하도록 조작 부재(21)를 하방으로 밀어 내렸을 경우여도, 구동원(5)이 차륜(4)을 전진시키도록 구동한다. 이 때문에, 단차를 타고 넘는 동작중이어도, 구동원(5)에 의한 구동력의 보조를 받으면서 유모차(1)를 과도한 부담없이 전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검지 요소(6)는, 핸들(20)의 핸들 본체(22)에 부착된 복수의 변형 게이지(61)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변형 게이지(61)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늘어나고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줄어들거나, 또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줄어들고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늘어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검지 요소(6)가 변형 게이지(61)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조작하는 정보를, 복잡한 구조를 회피하면서 안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조작하는 정보를 더욱 안정하게 검지하는 관점으로부터, 조작 부재(21)는, 핸들 본체(22)와 프레임 본체(10)의 연결 개소(c1)보다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이 되는 위치 또는 전방이면서 또한 상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좋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조작 부재(21)는, 연결 개소(c1)보다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변형 게이지(61)는, 핸들 본체(22) 중, 조작 부재(21)와의 접속 개소와 연결 개소(c1) 사이가 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자로부터 조작 부재(21)에 가해지는 하중에 연동하여, 핸들 본체(22) 중 변형 게이지(61)가 첩부된 부분이 감도 좋게 신축(伸縮)한다. 이 때문에, 변형 게이지(61)에 의해,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조작하는 정보를 더욱 정밀도 좋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륜(41) 및 후륜(42)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륜(4)과, 복수의 차륜(4)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10) 및 프레임 본체(10)에 접속된 핸들(20)을 가진 유모차 본체(2)와, 유모차 본체(2)에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후륜(42)을 구동하는 구동원(5)과, 핸들(20)에 마련되며, 당해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요소(6)와, 검지 요소(6)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구동원(5)에 의한 차륜(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7)를 구비하고, 제어 장치(7)는, 검지 요소(6)에 의해 검지되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구동시키는 차륜(4)의 회전의 방향을 조정하는, 유모차(1)가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에 따르면, 검지 요소(6)에 의해 검지되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구동원(5)이 차륜(4)을 구동시키는 방향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유모차(1)를 의도한 대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변형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좌우로 나란하게 2개의 좌석 유닛(8a, 8b)이 마련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좌석 유닛(8a, 8b)의 수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일의 좌석 유닛이 마련되어 있어도 되며, 2개 이상의 좌석 유닛이 마련되고, 이 2개 이상의 좌석 유닛이 전후로 나란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가 전원(75)에 대하여 직렬로 접속된 예를 나타냈지만, 직류 모터(51b, 52b)에 관한 회로 설계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2개의 구동 요소(51, 52)의 직류 모터(51b, 52b)가 전원(75)에 대하여 병렬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검지 요소(6)가 변형 게이지(61)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검지 요소(6)의 형태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지 요소(6)는, 유모차 본체(2)에 입력되는 주행 조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할 수 있는 한 임의이며, 다른 예로서, 핸들 본체(22)에 부착된 토크 센서나 압력 센서나 자왜 센서 등으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압력 센서로서는, 핸들(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작동 유체의 압력의 변화로서 파악하고, 이 압력의 변화를 다이어프램을 통해 감압 소자로 계측한 후, 전기 신호로서 출력하는 타입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단일의 지주로 이루어지는 컬럼(22a)이, 후방 상부 프레임(12d)과 조작 부재(21)를 연결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핸들 본체(22)의 형태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컬럼(22a)이 복수의 지주로 이루어지고, 후방 상부 프레임(12d)과 조작 부재(21)를 연결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핸들 본체(22)가, 컬럼(22a)과, 2개의 사이드바(22b, 22c)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핸들 본체(22)의 형태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에, 핸들 본체(22)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일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핸들 본체(22)가 2개의 그립(21a, 21b) 사이로부터 상부 프레임(12)에 걸쳐 놓여져 있다. 이러한 경우여도, 전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21)가 연결 개소(c1)보다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조작 부재(21)의 배치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상이 되는 변형 게이지(61)가,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늘어나고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줄어들거나, 또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줄어들고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늘어나게 되어 있는 한, 조작 부재(21)의 배치는 임의이다. 도 16에, 조작 부재(21)의 다른 배치예를 나타낸다. 도 1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조작 부재(21)는, 연결 개소(c1∼c3)보다 전방이면서 또한 상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도 16에 나타내는 핸들 본체(22)는, 상부 프레임(12)으로부터 2개의 그립(21a, 21b)의 어느 것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3개의 연결 바(22f∼22h)로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좌측 연결 바(22f)가 상부 프레임(12)으로부터 좌측에 위치하는 그립(21a)의 좌단에 걸쳐 놓아지고, 중앙측 연결 바(22g)가 상부 프레임(12)으로부터 2개의 그립(21a, 21b) 사이에 걸쳐 놓아지고, 우측 연결 바(22h)가 상부 프레임(12)으로부터 우측에 위치하는 그립(21b)의 우단에 걸쳐 놓아져 있다. 각 연결 바(22f∼22h)는, 상부 프레임(12)과의 연결 개소(c1∼c3)에 있어서, 당해 상부 프레임(12)에 피봇되어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브릿지회로를 구성하는 복수의 변형 게이지(61)가 중앙측 연결 바(22g)에 첩부되어 있다. 그리고, 변형 게이지(61)는, 조작 부재(21)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형태여도, 검지 요소(6)는, 핸들(20)의 핸들 본체(22)에 부착된 복수의 변형 게이지(61)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변형 게이지(61)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늘어나고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줄어들거나, 또는, 조작 부재(21)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줄어들고 조작 부재(21)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늘어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검지 요소(6)가 변형 게이지(61)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조작하는 정보를, 복잡한 구조를 회피하면서 안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내는 형태에 따르면, 조작 부재(21)는, 연결 개소(c1∼c3)보다 전방이면서 또한 상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변형 게이지(61)는, 핸들 본체(22) 중, 조작 부재(21)와의 접속 개소와 연결 개소(c1) 사이가 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자로부터 조작 부재(21)에 가해지는 하중에 연동하여, 핸들 본체(22) 중 변형 게이지(61)가 첩부된 부분이 감도 좋게 신축한다. 이 때문에, 변형 게이지(61)에 의해, 조작자가 조작 부재(21)를 조작하는 정보를 더욱 정밀도 좋게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상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에 대한 몇 개의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시켜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8)

  1.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륜과,
    상기 복수의 차륜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프레임 본체에 접속된 핸들을 가진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후륜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원과,
    상기 핸들에 마련되며, 당해 핸들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요소와,
    상기 검지 요소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원을 제어하여, 상기 구동원으로부터 상기 차륜에의 구동력을 조정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핸들은, 조작자의 손이 걸쳐지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유모차 본체를 연결하는 핸들 본체를 갖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지 요소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가 전방으로 밀린 정보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진 정보가 검지되면, 상기 구동원에게 상기 차륜을 전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하고, 상기 검지 요소에 의해 상기 조작 부재가 후방으로 당겨진 정보가 검지되면, 상기 구동원에게 상기 차륜을 후퇴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하는, 유모차.
  2. 전륜 및 후륜을 포함하는 복수의 차륜과,
    상기 복수의 차륜을 지지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프레임 본체에 접속된 핸들을 가진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의 후륜을 구동하는 구동원과,
    상기 핸들에 마련되며, 당해 핸들에 가해지는 하중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검지 요소와,
    상기 검지 요소가 검지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원에 의한 상기 차륜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지 요소에 의해 검지되는 하중의 방향에 따라, 구동시키는 차륜의 회전의 방향을 조정하는, 유모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조작자의 손이 걸쳐지는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와 상기 유모차 본체를 연결하는 핸들 본체를 갖는, 유모차.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 요소는, 상기 핸들의 상기 핸들 본체에 부착된 복수의 변형 게이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변형 게이지는, 상기 조작 부재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늘어나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줄어들거나, 또는, 상기 조작 부재가 전방으로 밀리거나 또는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면 줄어들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가 후방으로 당겨지면 늘어나는, 유모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 본체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연결 개소(箇所)보다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이 되는 위치 또는 전방이면서 또한 상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유모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연결 개소보다 후방이면서 또한 하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변형 게이지는, 상기 핸들 본체 중, 상기 조작 부재와의 접속 개소와 상기 연결 개소 사이가 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연결 개소보다 전방이면서 또한 상방이 되는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변형 게이지는, 상기 핸들 본체 중, 상기 조작 부재와의 접속 개소와 상기 연결 개소 사이가 되는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 유모차.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적어도 하나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구동 요소와, 상기 복수의 차륜 중 상기 제 1 구동 요소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는 차륜과는 다른 차륜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 1 구동 요소와는 별개로 마련되어진 제 2 구동 요소를 갖는, 유모차.
KR1020177032896A 2015-09-11 2015-09-11 유모차 KR201800514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5830 WO2017042955A1 (ja) 2015-09-11 2015-09-11 乳母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435A true KR20180051435A (ko) 2018-05-16

Family

ID=5823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2896A KR20180051435A (ko) 2015-09-11 2015-09-11 유모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556854B2 (ko)
KR (1) KR20180051435A (ko)
CN (1) CN107635848B (ko)
HK (1) HK1243982A1 (ko)
TW (1) TW201710128A (ko)
WO (1) WO20170429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4068B (zh) * 2021-11-17 2023-09-0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电动车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7673B1 (en) * 2001-11-16 2003-03-04 Chin-Chiao Chen Stroller with a sensor and a counter
JP2007176195A (ja) * 2005-12-27 2007-07-12 Sunstar Engineering Inc 電動アシスト台車
US7971897B2 (en) * 2006-03-20 2011-07-05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stroller having discrete handlebar
JP3127472U (ja) * 2006-07-07 2006-12-07 志津加 中島 電動アシスト機構付きベビーカー
EP2114747B1 (en) * 2007-02-19 2015-01-28 Thorley Industries Stroller
JP6088128B2 (ja) * 2011-10-13 2017-03-01 Kyb株式会社 電動アシスト台車
EP2684769A1 (en) * 2012-07-13 2014-01-15 Thule Child Transport Systems Ltd Passenger carrier handlebar
JP6029911B2 (ja) * 2012-09-25 2016-11-24 株式会社ミツバ 電動車両
JP5638712B1 (ja) * 2014-01-17 2014-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ベビ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43982A1 (zh) 2018-07-27
WO2017042955A1 (ja) 2017-03-16
CN107635848A (zh) 2018-01-26
JP6556854B2 (ja) 2019-08-07
CN107635848B (zh) 2020-09-22
JPWO2017042955A1 (ja) 2018-06-28
TW201710128A (zh)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6059B2 (ja) 乳母車
TWI690444B (zh) 嬰兒車
KR102283384B1 (ko) 유모차
KR20180051435A (ko) 유모차
JP6542376B2 (ja) 手押車用のロック機能付きジョイント及び乳母車
JP6559787B2 (ja) 乳母車
KR20180051434A (ko) 유모차
KR20170031625A (ko) 유모차
JP6698299B2 (ja) 乳母車
JP6702674B2 (ja) 乳母車
KR20170031622A (ko) 유모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