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8375A - 현상제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제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8375A
KR20180048375A KR1020170142373A KR20170142373A KR20180048375A KR 20180048375 A KR20180048375 A KR 20180048375A KR 1020170142373 A KR1020170142373 A KR 1020170142373A KR 20170142373 A KR20170142373 A KR 20170142373A KR 20180048375 A KR20180048375 A KR 20180048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er
opening
developing
chamber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490B1 (ko
Inventor
쇼타 나카무라
유우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4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89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agitation or stir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현상제 용기는, 현상제를 수납하는 프레임,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부재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실, 현상제 담지체를 수납하는 현상실, 상기 현상제 수납실로부터 상기 현상실에 반송되는 현상제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1 개구, 및 상기 현상실의 내부와 상기 프레임의 외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개구; 상기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담지체 사이에서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밀봉 부재; 및 공기가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현상제가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는 필터로서, 상기 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현상제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DEVELOP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현상제가 수용되는 현상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광 드럼에 현상제 상을 형성함과 함께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현상제를 사용해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시스템(전자 사진 프로세스)을 사용한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기록재에 화상이 형성되는 때에, 먼저 감광 드럼이 대전 롤러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어서, 대전된 감광 드럼이 노광 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노광됨으로써, 감광 드럼 위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또한,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에 의해 토너를 사용해서 토너상으로서 현상된다. 후속하여,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기록 용지나 플라스틱 시트 등의 기록재에 전사되고, 기록재에 전사된 토너상은 정착 장치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되는 것으로 기록재에 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록재에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토너상이 기록재에 전사된 후에 감광 드럼 상에 잔류한 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감광 드럼, 대전 롤러, 및 현상 장치 등의 처리 수단은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한다. 최근, 이들의 처리 수단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서, 감광 드럼과 대전 롤러와 현상 장치와 클리닝 블레이드가 일체로서 카트리지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처리 수단을 갖는 카트리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라고 불린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교환함으로써, 프로세스 수단을 교환하고, 처리 수단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다.
종래, 복수의 감광 드럼을 대략 수평하게 배치한 인라인 시스템 화상 형성 장치이며, 감광 드럼 상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를 개재해서 기록재에 전사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 복수의 감광 드럼과 현상 장치와 노광 장치가 중간 전사 벨트의 하방에 배치된 것이 있다. 감광 드럼과 현상 장치와 노광 장치가 중간 전사 벨트의 하방에 배치될 경우,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에서, 감광 드럼과 현상 장치와 노광 장치가 중간 전사 벨트에 대하여 정착 장치의 반대 측에 배치되게 된다. 그로 인해, 감광 드럼과 현상 장치와 노광 장치를 정착 장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과 현상 장치와 노광 장치가 정착 장치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광 드럼과 현상 장치와 노광 장치가 중간 전사 벨트의 하방에 배치될 경우, 일반적으로, 현상에 사용되는 토너를 담지하는 현상 롤러가 배치되는 현상실은 토너가 수납되는 토너 수납실보다도 상방에 배치된다. 또한, 현상실과 토너 수납실은 개구를 개재해서 서로 연통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 장치 내에서, 토너 수납실에 수납된 토너는, 그 개구를 통하여, 중력을 거슬러 토너 수납실의 상방에 배치된 현상실에 반송되어야 한다.
그래서, 종래, 현상 장치(현상제 용기)에는 시트 형상 교반 부재가 제공되어 있고, 이 교반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토너 수납실의 바닥에 고인 토너를 현상실 안으로 상승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시트 형상 교반 부재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토너 수납실의 바닥에 고인 토너를 상승시킨다. 또한, 교반 부재가 토너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교반 부재는 토너 수납실의 내벽면에 접촉하여 만곡된다. 후속하여, 토너 수납실의 내벽면과 교반 부재 사이의 접촉 상태가 해제됨으로써, 교반 부재가 그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고, 그 복원력에 의해 교반 부재 상의 토너가 중력을 거슬러 현상실 안으로 상승시킨다.
현상제 용기에는, 일반적으로, 현상제 용기의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현상 롤러와, 현상 롤러에 담지된 토너의 층 두께를 조정하는 현상 블레이드가 제공된다. 또한, 현상제 용기에는, 현상제 용기의 프레임과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토너가 누출되지 않도록, 프레임과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을 막는 시트 부재가 제공된다. 또한, 현상제 용기에는, 현상 롤러와 프레임 사이의 간극과, 현상 블레이드와 프레임 사이의 간극과, 시트 부재와 프레임 사이의 간극을 막기 위한 시일 부재가, 현상 롤러의 회전 중심 축선 방향으로의 단부 근방에 제공된다. 이에 의해, 현상제 용기 내의 토너가 현상제 용기의 외부에 누출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현상제 용기 내의 압력이 상승했을 경우에, 현상제 용기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해버려, 시트 부재와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이나, 현상제 용기의 프레임 등과 시일 부재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토너가 누출되어버릴 우려가 발생한다.
일본 특허 제5751779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현상실이 토너 수납실보다도 하방에 배치되는 구성에서, 현상실의 내벽에는 개구가 제공되어 있고, 그 개구는 통기성 필터에 의해 덮혀 있다. 이에 의해, 현상 장치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개구로부터 공기가 배출되고, 현상실 내의 압력이 저감함으로써, 현상 장치로부터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제4790676호에 개시되는 기술에서는, 현상 장치에는 현상실이 제공되어 있지 않고, 토너 수납실 내에서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스크류 상방에 현상 롤러가 배치된다. 또한, 토너 수납실의 내벽에 개구가 제공되어 있고, 그 개구는 통기성 필터에 의해 덮혀 있다. 그 개구를 향해서 기류가 발생함으로써, 현상 롤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기류에 의해 현상 장치 내를 부유하는 토너가 필터에 의해 포집된다.
시트 형상 교반 부재가 토너를 현상실 내에 공급하는 현상제 용기에서는, 교반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교반 부재는 토너뿐만 아니라 공기도 현상실 내로 반송한다. 그로 인해, 교반 부재가 회전할 때에 현상제 용기 내의 압력이 오르고, 현상제 용기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시트 부재와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 현상제 용기의 프레임과 시일 부재 사이의 간극 등으로부터 토너가 누출되어버릴 우려가 발생한다.
또한, 최근,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속도(프린트 속도)가 고속화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토너가 현상실에 공급될 필요가 있다. 그를 위해서는, 시트 형상 교반 부재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야 하거나, 교반 부재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그와 같이 했을 경우, 교반 부재의 회전에 의해 현상실 내에 많은 공기가 운반되기 때문에, 현상실 내의 압력이 상승하고, 그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부재와 현상 롤러 사이의 간극 등으로부터 토너가 누출되어버릴 우려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반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토너 수납실로부터 현상실에 토너가 반송되는 현상제 용기에서, 현상실 내에서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용기는,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로서, 상기 반송 부재는 변형 가능하며 회전에 의해 변형이 해방됨에 따라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 상기 현상제를 수납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송 부재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실,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수납하는 현상실, 상기 현상제 수납실과 상기 현상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현상제 수납실로부터 상기 현상실로 반송되는 현상제를 통과시키는 제1 개구, 및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 축선의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상기 현상실의 내부와 상기 프레임의 외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담지체 사이로부터 상기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밀봉 부재; 및 공기가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현상제가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는 필터로서, 상기 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현상제 용기는,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 부재;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로서, 상기 반송 부재는 변형 가능하며 회전에 의해 변형이 해방됨에 따라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 상기 현상제를 수납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송 부재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실, 상기 현상제 담지체 및 상기 공급 부재를 수납하는 현상실, 상기 현상제 수납실과 상기 현상실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현상제 수납실로부터 상기 현상실로 반송되는 현상제를 통과시키는 제1 개구,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상기 현상실의 내부와 상기 프레임의 외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개구,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배치되는 제3 개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현상제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담지체 사이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밀봉 부재로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3 개구의 길이 방향으로 제3 개구의 양쪽 테두리부에 배치되는 단부 시일들,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단부 시일들 사이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하는 밀봉 시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공기가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현상제가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는 필터로서, 상기 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현상제 용기; 및 현상제 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를 갖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현상제 용기; 현상제 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 및 기록 매체에 현상제 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삽입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실시예에 따른 현상 유닛의 사시도 및 개략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토너 수납실 내의 토너가 현상실에 반송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실시예에 따른 탈기 개구와 필터의 배치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이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단, 실시예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상대 배치 등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이나 각종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취지가 아니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2와 도 3을 참고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도이다. 또한,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장착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복수의 화상 형성부로서,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부(SY 내지 SK)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부의 구성과 동작은, 형성하는 화상의 색이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화상 형성부를 특별히 구별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화상 형성부를 첨자 Y 내지 K를 생략해서 총괄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0)는 4개의 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1)(1Y 내지 1K)을 갖는다. 감광 드럼(1)은 도 2에서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대전 롤러(2)(2Y 내지 2K)와 스캐너 유닛(3)이 배치된다.
이 경우, 대전 롤러(2)(도 1을 참조)는 감광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수단이다. 대전 롤러(2)는 감광 드럼(1)을 향해서 도 1에서의 화살표 C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또한, 스캐너 유닛(3)은,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를 조사하고 감광 드럼(1) 위(상 담지체 상에 대응함)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수단이다. 또한, 감광 드럼(1)의 주위에는, 현상 장치로서의 현상 유닛(4)(4Y 내지 4K)과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6)(도 1을 참조)가 배치된다. 이 경우, 현상 유닛(4)은, 적어도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22)(도 1을 참조)를 갖는다.
또한, 4개의 감광 드럼(1)에 대향하도록, 감광 드럼(1) 상의 토너상(현상제 상에 대응함)을 기록재(12)(기록 매체에 대응함)에 전사하기 위한 중간 전사 벨트(5)(중간 전사체에 대응함)가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4)에는 비자성 1 성분 토너인 토너T(TY 내지 TK)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4)은 현상 롤러(22)를 감광 드럼(1)에 대하여 접촉시켜서 접촉 현상을 행한다.
또한, 감광체 유닛(13)은, 감광 드럼(1) 상에 잔류하고 있는 전사 잔류 토너(폐 토너)를 수용하는 제거 토너 수용부(도 1을 참조)와 감광 드럼(1)과 대전 롤러(2)와 클리닝 블레이드(6)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4)과 감광체 유닛(13)을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7)(7Y 내지 7K)를 구성하고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제공된 장착 가이드 또는 위치결정 부재 등의 장착 수단(도시하지 않음)을 개재해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적어도 현상제 상을 담지하는 감광 드럼(1)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감광 드럼(1)의 회전 축선 방향인 도 3의 화살표 G 방향으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에 대하여 장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색 용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단, 이 구성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상이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용 카트리지는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 다른 카트리지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색 용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는,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의 각 색의 토너 T(TY 내지 TK)를 수집하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5)는, 모든 감광 드럼(1)에 접촉하고 있고, 도 2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중간 전사 벨트(5)는, 복수의 지지 부재(구동 롤러(29), 2차 전사 대향 롤러(30), 및 종동 롤러(28))에 의해 걸쳐져 있다. 중간 전사 벨트(5)의 내주면 측에는, 각 감광 드럼(1)에 대향하도록, 4개의 1차 전사 롤러(8)(8Y 내지 8K)(1차 전사 부재에 대응함)이 서로 병렬로 배치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5)의 외주면 측에서 2차 전사 대향 롤러(30)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2차 전사 롤러(9)가 배치된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
화상 형성 시에는, 먼저 감광 드럼(1)의 표면이 대전 롤러(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어서, 스캐너 유닛(3)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에 의해, 감광 드럼(1)의 표면이 주사 노광됨으로써, 감광 드럼(1) 위에 화상 정보에 기초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유닛(4)에 의해 토너상으로서 현상된다. 감광 드럼(1) 상에 형성된 토너상은 1차 전사 롤러(8)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5) 위로 1차 전사된다.
예를 들어, 풀컬러 화상의 형성 시에는, 제1 내지 제4 화상 형성부인 화상 형성부(SY 내지 SK)에 의해 상술한 프로세스가 순차적으로 행해짐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5) 위로 각 색의 토너상이 순차적으로 중첩된다. 그 후, 중간 전사 벨트(5)의 이동과 동기해서 기록재(12)가 2차 전사부에 반송된다. 그리고, 기록재(12)를 개재해서 중간 전사 벨트(5)에 접촉하고 있는 2차 전사 롤러(9)(2차 전사 부재에 대응함)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5) 상의 4색 토너상은 일괄해서 기록재(12) 위로 2차 전사된다.
그 후, 토너상이 전사된 기록재(12)는 정착 장치(10)에 반송된다. 정착 장치(10)에서 기록재(12)가 가열 및 가압되는 것으로 기록재(12)에 토너상이 정착한다. 1차 전사 공정 후에 감광 드럼(1) 상에 잔류한 1차 전사 잔류 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제거된다. 또한, 2차 전사 공정 후에 중간 전사 벨트(5) 상에 잔류한 2차 전사 잔류 토너는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장치(11)에 의해 제거된다. 제거된 전사 잔류 토너(폐 토너)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폐 토너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배출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원하는 단독 또는 몇 개(모두가 아님)의 화상 형성부만을 사용하여, 단색 또는 멀티 컬러의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4)은 중간 전사 벨트(5)에 대하여 정착 장치(10)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에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개략도이다. 현상 유닛(4)은 현상 유닛(4) 내의 각종 부재를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18)을 갖는다. 이 경우, 현상 프레임(18)에서의 토너를 수용하는 부분을 용기 본체(19)로 한다. 현상 유닛(4)에는, 감광 드럼(1)과 접촉함으로써 감광 드럼(1)에 토너를 반송하는 현상 롤러(22)가 제공된다. 현상 롤러(22)는, 토너를 담지하고 있고, 도 1의 화살표 D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현상 롤러(22)는, 길이 방향(회전 축선 방향)의 양 단부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현상 프레임(18)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현상 유닛(4)은, 용기 본체(19) 내의 공간인 토너 수납실(18a)(현상제 수납실에 대응함)과, 현상 롤러(22)가 배치되는 현상실(18b)과, 토너 수납실(18a)과 현상실(18b)을 서로 연결하는 제1 개구로서의 개구(18c)를 갖는다. 또한, 개구(18c)는, 토너 수납실(18a)과 현상실(18b)을 구획하는 구획부(도 1에 도시된 구획부(18m))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4)이 통상 사용되는 자세(사용시의 자세)에서, 현상실(18b)은 토너 수납실(18a)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현상실(18b)에는, 현상 롤러(22)에 접촉해서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하는 토너 공급 롤러(20)(공급 부재에 대응함)와, 현상 롤러(22) 상에 형성되는 토너층의 두께를 규제하는 현상 블레이드(21)(층 두께 규제 부재에 대응함)가 배치된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블레이드(21)는 현상 롤러(22)의 접촉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22)와 토너 공급 롤러(20)는, 서로의 접촉부에서, 현상 롤러(22)의 표면과 토너 공급 롤러(20)의 표면이 동일한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회전한다. 바꾸어 말하면, 현상 롤러(22)의 회전 축선 또는 토너 공급 롤러(20)의 회전 축선과 정렬된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현상 롤러(22)의 회전 방향과 토너 공급 롤러(20)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또한, 용기 본체(19)의 내부인 토너 수납실(18a)에 수납된 토너(T)를 교반하며 개구(18c)를 통해 토너 공급 롤러(20)에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교반 부재(23)가 토너 수납실(18a)에 제공된다. 교반 부재(23)는, 현상 롤러(22)의 회전 축선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23a)과, 가요성 시트인 반송 부재로서의 교반 시트(23b)를 갖는다. 즉, 교반 시트(23b)의 회전 축선의 방향은 현상 롤러(22)의 회전 축선의 방향과 평행하다. 교반 시트(23b)의 일단부가 회전축(23a)에 설치되고, 교반 시트(23b)의 타단부가 자유 단부로서 구성되며, 회전축(23a)이 회전해서 교반 시트(23b)를 회전시킴으로써, 교반 시트(23b)에 의해 토너가 교반된다. 교반 부재(23)는, 용기 본체(19)의 내벽면의 적어도 저부(18f)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해 미끄러지도록 회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4)이 통상 사용되는 자세에서, 회전축(23a)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교반 부재(23)가 토너를 교반할 경우, 용기 본체(19)의 내벽면에 교반 시트(23b)가 접촉하기 때문에, 교반 시트(23b)가 굴곡된 상태에서 교반 부재(23)는 회전한다. 이 경우, 용기 본체(19)의 내벽면은, 교반 시트(23b)가 굴곡된 상태로부터 해방되는 위치인 해방 위치(18e)를 갖고 있다. 교반 시트(23b)는 해방 위치(18e)를 통과할 때에 굴곡된 상태에서 해방되고, 굴곡된 상태로부터의 해방에 의해 발생된 복원력에 의해 교반 시트 상의 토너가 상승된다. 상승된 토너는, 개구(18c)를 통해 현상실(18b) 내의 토너 공급 롤러(20)에 반송된다. 감광체 유닛(13)은 감광체 유닛(13)을 구성하는 다양한 부품을 지지하는 클리닝 프레임을 갖는다. 감광 드럼(1)은 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클리닝 프레임에 설치된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6)는, 1차 전사 후에 감광 드럼(1)의 표면에 남은 전사 잔류 토너(폐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탄성 부재(6a)와, 탄성 부재(6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6b)로 구성된다. 클리닝 블레이드(6)에 의해 감광 드럼(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 토너는 클리닝 블레이드(6)와 클리닝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제거 토너 수용부에 수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현상 롤러(22)와 용기 본체(19)와 교반 시트(23b)를 갖는 구성을 현상제 용기(190)라 지칭한다.
현상실(18b)에 제공되는 시일의 구성
이어서, 현상실(18b)의 구성에 대해서 도 1과 도 4a 내지 도 4d를 참고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4a 내지 도 4d는 실시예에 따른 현상 유닛(4)의 사시도 및 개략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a는 현상 유닛(4)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베어링 유닛(26)과 현상 롤러(22)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현상 유닛(4)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c는, 도 4b에 나타내는 현상 유닛(4)으로부터, 탄성 시트(24)와 현상 블레이드(21)와 단부 시일 부재(25)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현상 유닛(4)의 사시도이다. 도 4d는 도 4b에 나타내는 현상 유닛(4)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c와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실(18b)에는, 상부 테두리부(18h)와 하부 테두리부(18j)와 양쪽 테두리부(18k)에 의해 둘러싸이는 현상 개구(18d)(제3 개구에 대응함)가 제공된다. 현상 개구(18d)에는, 토너를 담지하는 현상 롤러(22)가 베어링 유닛(2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또한, 도 4a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제 개구(18d)의 하부 테두리부(18j)에서, 현상 프레임(18)에는, 현상 롤러(22)의 표면을 향해서 연장되고, 현상 롤러(22) 상의 토너층의 두께를 조정하는 현상 블레이드(21)가 제공된다.
이 경우,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롤러(22)의 회전 축선 방향의 현상제 개구(18d)의 길이는, 현상 롤러(22)의 회전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현상제 개구(18d)의 길이보다 길다. 즉, 현상 개구(18d)의 길이 방향은 현상 롤러(22)의 회전 축선 방향과 같다. 현상제 개구(18d)의 횡 방향은 현상 롤러(22)의 회전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같다. 또한, 상부 테두리부(18h)와 하부 테두리부(18j)는 현상 개구(18d)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테두리부이다. 양쪽 테두리부(18k)는 현상 개구(18d)의 길이 방향의 단부에 대응한다. 양쪽 테두리부(18k)는 현상제 개구(18d)의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이다.
한편, 현상제 개구(18d)의 상부 테두리부(18h)에서, 현상 프레임(18)에는 탄성 시트(밀봉 시트에 대응함)(24)가 제공된다. 탄성 시트(24)의 일단부는 현상 프레임(18)에 설치된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시트(24)의 일단부는 상부 테두리부(18h)에 설치된다. 즉, 상부 테두리부(18h)는 탄성 시트(24)가 고정되는 피고정부이다. 탄성 시트(24)의 타단부는 현상 롤러(22)에 접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22)와 상부 테두리부(18h)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현상 유닛(4) 내의 토너가 누출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현상 개구(18d)를 형성하는 양쪽 테두리부(18k)에는, 현상 프레임(18)과 현상 롤러(22)와 현상 블레이드(21)와 탄성 시트(24) 사이의 간극을 막도록 단부 시일 부재(25)가 각각 제공된다. 단부 시일 부재(25)는, 가요성이고, 현상 유닛(4)에 설치된 때에, 현상 롤러(22)의 외주면과 현상 블레이드(21)의 이면과 탄성 시트(24)의 이면에 압접한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22)의 회전 축선 방향의 양쪽 단부 근방에서, 현상 유닛(4) 내의 토너가 누출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즉,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개구(18d)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 측에 제공된 단부 시일 부재(25)의 내측 단부와, 다른 단부 측에 제공된 단부 시일 부재(25)의 내측 단부 사이에서, 탄성 시트(24)는 현상 롤러(22)에 접촉하고 있다. 탄성 시트(24)와 단부 시일 부재(25)는, 모두 현상 프레임(18)과 현상 롤러(22) 사이에서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밀봉 부재로서 기능한다.
토너를 현상실(18b)에 반송하는 구성
이어서, 토너 수납실(18a) 내(현상제 수납실의 내부에 대응함)의 토너를 현상실(18b)에 반송하는 구성에 대해서 도 5a 내지 도 5e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도 5a 내지 도 5e는, 토너 수납실(18a) 내의 토너가 현상실(18b)에 반송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교반 시트(23b)는, 토너 수납실(18a)의 내벽면에 접촉하고, 굴곡된 상태에서 토너 수납실(18a) 내를 회전한다.
또한, 토너 수납실(18a)에는, 교반 시트(23b)가 굴곡된 상태로부터 그 원래의 상태(굴곡되지 않은 상태)로 복원하는 해방 위치(18e)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 수납실(18a)의 내벽면에서, 해방 위치(18e)의 부분은, 해방 위치(18e)의 주위의 부분에 대하여 볼록 형상을 갖는다. 교반 시트(23b)는, 해방 위치(18e)를 통과할 때, 교반 시트(23b)가 굴곡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복귀될 때에 발생하는 복원력에 의해 교반 시트(23b) 위에 퇴적된 토너를 상승시킨다. 이에 의해, 교반 시트(23b) 상의 토너가, 개구(18c)를 통해 현상실(18b) 내의 토너 공급 롤러(20)에 반송된다. 즉, 교반 시트(23b)는 변형 가능하고, 그 변형이 해방됨으로써, 토너를 반송한다.
교반 시트(23b)가 굴곡되지 않은 상태(자연 상태)에서, 교반 시트(23b)의 선단으로부터 회전축(23a)의 중심(교반 시트(23b)의 회전 축선)까지의 길이(거리)를 길이 W0로 한다. 또한, 토너 수납실(18a)의 저부(18f)로부터 회전축(23a)까지의 길이를 길이 W1로 한다. 이 경우, 저부(18f)는, 토너 수납실(18a)의 저부 중, 현상 유닛(4)이 통상 사용되는 자세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또한, 회전축(23a)의 회전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단면(교반 시트(23b)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면으로 절단한 단면)에서, 개구(18c)의 테두리부에서 하방에 위치하는 테두리부로부터 회전축(23a)까지의 길이를 길이 W2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토너 수납실(18a)의 저부(18f)의 토너에 대해서도 현상실(18b)에 반송되도록,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W0 > 길이 W1가 충족된다. 또한, 안정적으로 현상실(18b)에 토너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길이 W0 > 길이 W2가 충족된다. 즉, 교반 시트(23b)가 굴곡되지 않은 상태의 교반 시트(23b)의 선단과 교반 시트(23b)의 회전 축선 사이의 거리는, 개구(18c)와 교반 시트(23b)의 회전 축선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크다. 또한, 교반 시트(23b)의 길이 W0을 길이 W2보다 길게 설정함으로써, 교반 시트(23b)가 회전할 때에 교반 시트(23b)가 토너 공급 개구(18c)에 충돌하고, 현상실(18b) 내의 압력 변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후술하는 탈기 개구를 사용하여, 이러한 경우에서의 압력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 시트(23b)의 회전 축선에 직교하는 단면 방향(교반 시트(23b)의 회전 축선의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에서, 탈기 개구(18g)는 현상실(18b)의 내부와 현상 프레임(18)의 외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어서, 도 5a 내지 도 5e를 참고하여, 교반 부재(23)가 1 회전함에 따라 교반 시트(23b)와 토너의 상태가 변화하는 상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는, 회전하는 교반 시트(23b)가, 토너 수납실(18a)에 적재된 토너를 누르기 시작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 후, 도 5b에서는, 교반 시트(23b)가 화살표 F 방향으로 더 회전함으로써, 교반 시트(23b)는 토너 수납실(18a) 내의 토너를 상승시키기 시작한다.
도 5c에서는, 회전하는 교반 시트(23b)의 선단이 해방 위치(18e)에 도달한다. 교반 시트(23b) 상에는 토너가 퇴적되어 있고, 교반 시트(23b)의 선단이 해방 위치(18e)를 통과할 때에, 교반 시트(23b)가 굴곡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상태로 복원한다. 이에 의해,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 시트(23b)가 복원할 때에 발생한 복원력에 의해, 교반 시트(23b) 상의 토너가 개구(18c) 및 현상 롤러(22)를 향해서 상승된다. 또한, 교반 시트(23b)가 개구(18c)의 테두리부에 충돌하는 것으로, 교반 시트(23b) 상의 토너가 현상실(18b)에 압입된다. 즉, 개구(18c)는, 토너 수납실(18a)과 현상실(18b)을 서로 연결하여, 토너 수납실(18a)로부터 현상실(18b)에 반송되는 토너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이다.
이때,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너 수납실(18a)로부터 개구(18c)를 통해 현상실(18b)에 반송된 토너는, 토너 공급 롤러(20)의 상방을 통과하고, 현상 개구(18d)를 향해서 화살표 H 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현상 개구(18d)를 향해서 반송된 토너는, 토너 공급 롤러(20)와 현상 롤러(22)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을 으로 진행하고, 그 토너의 일부는 현상 롤러(22)에 공급된다.
현상 롤러(22)에 공급되지 않은 토너는, 현상 롤러(22) 및 토너 공급 롤러(20)의 회전에 의해, 현상실(18b)을 형성하는 벽면, 현상 블레이드(21)(도 1을 참조), 현상 롤러(22), 및 토너 공급 롤러(20)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J)에 반송된다. 또한,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분한 양의 토너가 현상실(18b)에 공급되면, 영역(J)은 토너로 충전되고, 잉여 토너는 토너 공급 롤러(20)의 회전에 의해 개구(18c)를 통해 토너 수납실(18a)에 복귀된다(화살표 K 방향으로 반송된다).
탈기 개구(18g) 및 필터(27)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프레임(18)에 탈기 개구(18g)(제2 개구에 대응함)와 필터(27)가 제공됨으로써, 현상실(18b) 내의 압력의 상승 및 토너가 현상실(18b) 내로(현상실의 외부에 대응함) 누출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탈기 개구(18g)는 현상실(18b)의 내부와 외부를 서로 연결한다. 이제 탈기 개구(18g)와 필터(27)에 대해서 도 1, 도 6a, 도 6b, 및 도 7을 참고해서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개략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사시도이며, 도 6b는 필터(27)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사시도이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현상 프레임(18)과 상이한 위치에 탈기 개구(18g)가 제공되어 있는 경우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6a, 및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기 개구(18g)는, 현상실(18b)을 형성하는 벽면에, 현상 유닛(4)의 길이 방향(회전축(23a)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즉, 회전축(23a)의 회전 축선(교반 시트(23b)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의 탈기 개구(18g)의 길이는, 회전축(23a)의 회전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현상 유닛(4)의 횡 방향)에서의 탈기 개구(18g)의 길이보다 길다. 현상 프레임(18)에 탈기 개구(18g)가 형성됨으로써, 현상 유닛(4)의 외부와 현상실(18b)이 탈기 개구(18g)를 통해 서로 연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교반 시트(23b)의 회전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탈기 개구(18g)는 현상실(18b)의 내부와 현상 프레임(18)의 외부를 서로 연결하고 있다(도 1). 탈기 개구(18g)를 이러한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교반 시트(23b)에 의한 현상실(18b) 내의 압력 변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탈기 개구(18g)는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현상 유닛(4)의 길이 방향으로 넓은 영역에 걸쳐서 제공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 및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반 부재(23)의 회전 축선에 대한 직교 방향으로, 탈기 개구(18g)와 개구(18c)는 단일 단면과 교차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직교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탈기 개구(18g)의 적어도 일부와 개구(18c)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겹쳐져 있다. 바꿔 말하면, 회전축(23a)의 축 방향(길이 방향)에서, 탈기 개구(18g)의 범위와 개구(18c)의 범위는 적어도 서로 부분적으로 겹쳐 있다. 또한, 현상 프레임(18)에는, 적어도 하나의 탈기 개구(18g)가 형성될 수 있고, 탈기 개구(18g)의 면적이 넓을수록 현상실(18b)의 압력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프레임(18)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그리고 현상실(18b)의 압력을 충분히 저감시키기 위해서, 현상 프레임(18)에는 2군데의 위치에 탈기 개구(18g)가 제공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고정부(상부 테두리부(18h))에는 접속 벽(18n)이 접속되어 있다. 접속 벽(18n)은, 직교 방향(현상 롤러(22)의 회전 축선 또는 교반 시트(23b)의 회전 축선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탄성 시트(24)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접속 벽(18n)은, 탄성 시트(24)의 두께 방향으로, 피고정부인 상부 테두리부(18h)를 지지하고 있는 벽면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탈기 개구(18g)는 접속 벽(18n)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4a 내지 도 4d,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기 개구(18g)가 2군데에 제공된다. 이 경우, 현상 개구(18d)의 길이 방향으로, 탈기 개구(18g)는 현상 개구(18d)의 중심에는 제공되어 있지 않다. 즉, 길이 방향으로, 탈기 개구(18g)는 현상 개구(18d)의 중심 위치에 대하여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현상 개구(18d)의 길이 방향으로, 현상 개구(18d)의 중심 위치와, 탈기 개구(18g)의 접속 벽(18n)의 위치가 서로 겹쳐 있다.
현상 개구(18d)에 가장 가까운 벽면인 접속 벽(18n)에 탈기 개구(18g)를 제공함으로써, 현상 개구(18d)의 근방에서 압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 현상 프레임(18)(특히, 접속 벽(18n))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기 개구(18g)의 주위에는 볼록부(18p)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탈기 개구(18g)의 주위에서, 현상 프레임(18)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록부(18p)는 탈기 개구(18g)의 길이 방향과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볼록부(18p)는 탈기 개구(18g)의 양 측에 제공된다. 또한, 볼록부(18p)는, 개구(18c)의 길이방향 중심에서, 탈기 개구(18g)의 사이를 가로 지르도록,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23a)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탈기 개구(18g)의 일단부와 개구(18c)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선을 제1 선(L1)으로 한다. 또한, 탈기 개구(18g)의 다른 단부와 개구(18c)의 다른 단부를 연결하는 선을 제2 선(L2)으로 한다. 이 경우, 제1 선(L1)과 제2 선(L2) 사이의 영역은, 개구(18c)를 통과한 공기가 탈기 개구(18g)에 도달하는 경로 중 가장 짧은 경로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고려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공급 롤러(20)는, 그 적어도 일부가 제1 선(L1)과 제2 선(L2) 사이의 영역 밖에 위치하도록 배치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선(L1)과 제2 선(L2) 사이의 영역이, 공급 롤러(20)에 의해 좁혀지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탈기 개구(18g)가 복수 제공되는 구성에서는, 모든 탈기 개구(18g)가 상기와 같이 배치될 필요는 없다. 즉, 일부의 탈기 개구(18g)와 공급 롤러(20)가 상기의 배치 관계에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탈기 개구(18g)는 현상 프레임(18)의 천장면(접속 벽(18n))에 제공된다. 현상실(18b) 내의 영역(J)은 기본적으로 항상 토너로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탈기 개구(18g)는 현상실(18b)을 형성하는 벽면에서 영역(J)을 구성하지 않는 면에 제공된다. 이에 의해, 현상 유닛(4)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현상실(18b) 내의 토너가 탈기 개구(18g)를 막는 일 없이, 현상실(18b) 내의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탈기 개구(18g)가 제공되는 벽면은, 일 면이 현상실(18b)의 내벽을 형성하고, 일 면의 이면인 다른 면이 현상 프레임(18)의 외벽의 일부를 형성하는 벽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면 중 가장 넓은 벽면에 탈기 개구(18g)를 제공함으로써, 탈기 개구(18g)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탈기 개구(18g)는 현상 프레임(18)의 천장면에 제공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기 개구(18g)는 현상 프레임(18)의 측면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기 개구(18g)는, 현상실(18b)로 토너가 반송되는 방향(토너 공급 롤러(20)의 회전 방향(화살표 H 방향))에서, 현상 개구(18d) 보다 상류 측에 배치되고, 개구(18c)보다 하류 측에 배치된다. 또한, 토너 공급 롤러(20)에 의해 개구(18c) 측(개구 측에 대응함)으로부터 현상 개구(18d) 측에 토너가 공급되는 공급 경로에서, 탈기 개구(18g)는 개구(18c)와 현상 개구(18d)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그로 인해, 토너 수납실(18a)로부터 교반 시트(23b)에 의해 반송된 공기가, 토너가 누출되기 쉬운 현상 개구(18d)에 도달하기 전에 탈기 개구(18g)로부터 배출된다. 이에 의해, 현상실(18b)의 압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고, 현상 개구(18d)로부터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탈기 개구(18g)는, 현상 프레임(18)에서, 현상 유닛(4)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 단부 근방까지 제공된다. 이에 의해, 현상 개구(18d)의 양 단부(현상 유닛(4)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단부 시일 부재(25)에 대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현상 개구(18d)의 양 단부로부터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6a 및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27)는, 탈기 개구(18g)를 덮도록 제공되어 있고, 현상 유닛(4) 내로부터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한다. 즉,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27)가 고정되는 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필터(27)는 탈기 개구(18g)보다 크다. 또한, 필터(27)는 현상실(18b) 내의 공기를 통과시키는 재료로 형성된다.
필터(27)는 통기도가 높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27)의 통기도가 높을수록, 현상실(18b)의 압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높아진다. 따라서, 필터(27)의 통기도가 높을수록, 현상실(18b) 내의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27)는, 현상 프레임(18)의 벽면 외측으로부터 용접함으로써 현상 프레임(18)에 설치된다. 그러나, 필터(27)를 현상 프레임(18)에 대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용접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필터(27)을 양면 코팅된 접착 테이프나 접착제 등으로 현상 프레임(18)에 대하여 고정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필터(27)는 현상 유닛(4)의 내측으로부터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필터(27)는, 현상 유닛(4)에 대하여 인서트 성형됨으로써, 현상 프레임(18)과 일체가 되어서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필터(27)는, 현상실(18b) 내의 공기가 필터(27)를 통해서 배출되고, 동시에 현상실(18b) 내의 토너가 탈기 개구(18g)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현상 유닛(4)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현상 유닛(4)에 설치되는 필터(27)의 수는 적어도 하나이면 되고, 필터(27)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탈기 개구(18g)를 2매의 필터(27)가 각각 덮고 있다. 그러나, 탈기 개구(18g)의 수와 필터(27)의 수는 동일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복수의 탈기 개구(18g)를 1개의 필터(27)로 덮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기 개구(18g)와 필터(27)를 배치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실시예에 따른 탈기 개구(18g)와 필터(27)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교반 시트(23b)의 회전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탈기 개구(18g), 필터(27), 개구(18c), 및 현상제 개구(18d) 각각을 본 개략도이다. 화살표 P는 교반 시트(23b)의 회전 축선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a 내지 도 8c에서는, 탈기 개구(18g), 필터(27), 개구(18c), 및 현상제 개구(18d) 이외의 부분은 생략하고 있다. 교반 시트(23b)의 회전 축선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는, 탈기 개구(18g)는 도 1에 도시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탈기 개구(18g)는 도 7에 나타내는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교반 시트(23b)가 토너 수납실(18a) 내로 회전함으로써, 토너 수납실(18a)로부터 현상실(18b)에 토너가 반송되는 현상 유닛(4)에서, 현상실(18b)을 형성하는 벽부에는 탈기 개구(18g)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교반 시트(23b)에 의해 현상실(18b) 내에 공기가 운반된 경우에도, 현상실(18b) 내의 압력이 상승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현상실(18b)로부터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탈기 개구(18g)는, 토너를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를 통과시키는 필터(27)에 의해 덮여있다. 즉, 필터(27)는, 탈기 개구(18g)를 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고, 탈기 개구(18g)를 토너가 통과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에 의해, 현상실(18b) 내의 압력이 상승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동시에 탈기 개구(18g)를 통해 현상실(18b)로부터 토너가 누출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의 재료로는 포집 성능과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평균 구경 5㎛의 부직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유닛(4)은 중간 전사 벨트(5)에 대하여 정착 장치(10)의 반대 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현상 유닛(4)이 정착 장치(10)에 의해 발생하는 열의 영향을 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탈기 개구(18g)는 반드시 필터(27)에 의해 덮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탈기 개구(18g)로부터 공기가 배출되고 토너는 배출되지 않는 한, 탈기 개구(18g)를 덮는 부재는 필터(27)가 아니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현상실(18b)은 반드시 토너 수납실(18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현상실(18b)은 수평 방향으로 토너 수납실(18a)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반 부재가 회전함으로써 토너 수납실로부터 현상실에 토너가 반송되는 현상제 용기에서, 현상실 내에서 토너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는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현상제 용기이며,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로서, 상기 반송 부재는 변형 가능하며 회전에 의해 변형이 해방됨에 따라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
    상기 현상제를 수납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송 부재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실,
    상기 현상제 담지체를 수납하는 현상실,
    상기 현상제 수납실과 상기 현상실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현상제 수납실로부터 상기 현상실로 반송되는 현상제를 통과시키는 제1 개구, 및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 축선의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상기 현상실의 내부와 상기 프레임의 외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개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담지체 사이로부터 상기 현상제가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밀봉 부재; 및
    공기가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현상제가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며,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필터
    를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배치되는 제3 개구가 상기 현상실에 제공되는, 현상제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가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3 개구를 향해 공급되는 공급 경로에서, 상기 제2 개구가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3 개구 사이에 위치되는, 현상제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반송 부재의 선단과 상기 회전 축선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회전 축선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긴, 현상제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실 내에 수납되고,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 부재를 더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 상기 제1 개구의 일 단부와 상기 제2 개구의 일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1 선과, 상기 제1 개구의 다른 단부와 상기 제2 개구의 다른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선을 그렸을 때, 상기 공급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선과 상기 제2 선 사이의 영역 밖에 위치하는, 현상제 용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3 개구의 길이 방향의 양쪽 테두리부에 배치되는 단부 시일들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단부 시일들 사이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접촉하는 밀봉 시트를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밀봉 시트가 고정되는 피고정부와, 상기 피고정부에 연결되는 접속 벽으로서, 상기 접속 벽은 상기 직교 방향으로 상기 밀봉 시트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 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접속 벽에 제공되는, 현상제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개구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3 개구의 중심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현상제 용기.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개구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는, 현상제 용기.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용기가 통상 사용되는 자세에서, 상기 현상실은 상기 현상제 수납실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현상제 수납실에 수납된 현상제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현상제 수납실로부터 상기 현상실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용기.
  12. 현상제 용기이며,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현상제 담지체;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현상제 담지체에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는 공급 부재;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로서, 상기 반송 부재는 변형 가능하며 회전에 의해 변형이 해방됨에 따라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부재;
    상기 현상제를 수납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반송 부재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실,
    상기 현상제 담지체 및 상기 공급 부재를 수납하는 현상실,
    상기 현상제 수납실과 상기 현상실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현상제 수납실로부터 상기 현상실로 반송되는 현상제를 통과시키는 제1 개구,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 상기 현상실의 내부와 상기 프레임의 외부를 서로 연결하는 제2 개구,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가 배치되는 제3 개구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현상제가 상기 프레임과 상기 현상제 담지체 사이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밀봉 부재로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3 개구의 길이 방향으로 제3 개구의 양쪽 테두리부에 배치되는 단부 시일들,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단부 시일들 사이에서 상기 현상제 담지체와 접촉하는 밀봉 시트를 포함하는, 밀봉 부재; 및
    공기가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현상제가 상기 제2 개구를 통과하는 것을 규제하는 필터로서, 상기 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필터
    를 포함하는, 현상제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가 상기 제1 개구로부터 상기 제3 개구를 향해 공급되는 공급 경로에서, 상기 제2 개구가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제3 개구 사이에 위치되는, 현상제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 방향으로,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기 반송 부재의 선단과 상기 회전 축선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개구와 상기 회전 축선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긴, 현상제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밀봉 시트가 고정되는 피고정부와, 상기 피고정부에 연결되는 접속 벽으로서, 상기 접속 벽은 상기 직교 방향으로 상기 밀봉 시트가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 벽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접속 벽에 제공되는, 현상제 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2 개구가 상기 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3 개구의 중심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는, 현상제 용기.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용기가 통상 사용되는 자세에서, 상기 현상실은 상기 현상제 수납실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현상제 수납실에 수납된 현상제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현상제 수납실로부터 상기 현상실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용기.
  18.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제1항 내지 제9항 또는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현상제 용기; 및
    현상제 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화상 형성 장치이며,
    제1항 내지 제9항 또는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현상제 용기;
    현상제 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 및
    상기 현상제 상을 기록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 담지체 상의 현상제 상이 1차 전사되는 중간 전사체;
    상기 상 담지체 상의 현상제 상을 상기 중간 전사체에 1차 전사하는 1차 전사 부재; 및
    상기 중간 전사체에 1차 전사된 현상제 상을 기록 매체에 2차 전사하는 2차 전사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용기는 상기 중간 전사체에 대하여 상기 정착 장치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70142373A 2016-10-31 2017-10-30 현상제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2248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12464 2016-10-31
JP2016212464 2016-10-31
JP2017169287A JP6685979B2 (ja) 2016-10-31 2017-09-04 現像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JP-P-2017-169287 2017-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8375A true KR20180048375A (ko) 2018-05-10
KR102248490B1 KR102248490B1 (ko) 2021-05-06

Family

ID=6215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373A KR102248490B1 (ko) 2016-10-31 2017-10-30 현상제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685979B2 (ko)
KR (1) KR102248490B1 (ko)
CN (1) CN108021000B (ko)
SG (1) SG10201708904P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3850B2 (ja) * 2018-08-29 202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2020112690A (ja) * 2019-01-11 2020-07-27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画像形成システム
JP7406891B2 (ja) * 2019-09-17 2023-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0939A (ja) * 2002-03-18 2003-09-25 Seiko Epson Corp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16184143A (ja) * 2015-03-27 2016-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94322C (zh) * 2004-03-02 2008-06-11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调色剂量的测定装置及测定方法、图像形成装置
JP4337095B2 (ja) * 2004-03-22 2009-09-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トナー及びそのトナーを用いた現像装置
JP4790676B2 (ja) * 2007-08-02 2011-10-12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327573B2 (ja) * 2007-10-31 2013-10-30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4810595B2 (ja) * 2009-07-08 2011-11-09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の評価方法
JP5556299B2 (ja) * 2010-03-26 2014-07-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10311263A1 (en) * 2010-06-17 2011-12-22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to prevent scattering of toner
JP6218493B2 (ja) * 2012-09-06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ニット、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0939A (ja) * 2002-03-18 2003-09-25 Seiko Epson Corp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2016184143A (ja) * 2015-03-27 2016-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21000A (zh) 2018-05-11
JP6685979B2 (ja) 2020-04-22
CN108021000B (zh) 2022-04-29
JP2018077458A (ja) 2018-05-17
KR102248490B1 (ko) 2021-05-06
SG10201708904PA (en)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6042B1 (en) Develop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674798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751779B2 (ja) 現像装置、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044618B1 (ko) 카트리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6951692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KR102248490B1 (ko) 현상제 용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JP2017021280A (ja) 現像装置、及び現像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8081301A (ja) 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029733A (ja) カバー部材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6536500B2 (ja) 画像形成装置
JP5044422B2 (ja) 画像形成装置
JP6482321B2 (ja) 搬送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833454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772030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9581838B (zh) 显影装置和成像装置
JP2019035943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33706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これに用い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6965059B2 (ja)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548407B2 (ja) 搬送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搬送装置の製造方法
JP2017058489A (ja) 画像形成装置
JP2021189315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030709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156775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511439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