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9648A -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el 패널 - Google Patents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el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9648A
KR20180039648A KR1020187005150A KR20187005150A KR20180039648A KR 20180039648 A KR20180039648 A KR 20180039648A KR 1020187005150 A KR1020187005150 A KR 1020187005150A KR 20187005150 A KR20187005150 A KR 20187005150A KR 20180039648 A KR20180039648 A KR 20180039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ompensation
compensation layer
layer
polariz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037B1 (ko
Inventor
토시유키 이이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9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H01L51/529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8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우수한 반사 색상 및 시야각 특성을 실현하고, 또한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유기 EL 패널에 이용되고, 편광자와 광학 이방성층과 제1 광학 보상층과 제2 광학 보상층을 이 순서로 구비한다. 광학 이방성층은 nx≥ny>nz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내고, Re(550)이 0nm∼20nm, Rth(550)이 5nm∼100nm이다. 제1 광학 보상층은 nx>ny≥nz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내고, Re(450)<Re(550)의 관계를 만족한다. 제2 광학 보상층은 nz>nx≥ny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낸다. 제1 광학 보상층 및 제2 광학 보상층 과의 적층체의 Re(550)은 120nm∼160nm이고, Rth(550)은 -50nm∼80nm이다.

Description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EL 패널
본 발명은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EL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박형 디스플레이의 보급과 함께 유기 EL 패널을 탑재한 디스플레이(유기 EL 표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유기 EL 패널은 반사성이 높은 금속층을 갖기 때문에 외광 반사나 배경의 반사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원편광판을 시인 측에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인 원편광판으로서 위상차 필름(대표적으로는 λ/4판)을 그 지상축이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약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적층한 것이 알려져 있다. 원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편광자의 편측 또는 양측에 당해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내측(유기 EL 셀 측) 보호 필름이 광학 이방성을 가지면 원편광판의 반사 방지 특성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 한편, 이와 같은 악영향을 회피하기 위해 내측 보호 필름을 광학적으로 등방성으로 구성하고자 하면 기계적 특성(예컨대 강도, 평활성)이 불충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원편광판의 기계적 특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상과 같이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과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원편광판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제332556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주된 목적은 우수한 반사 색상 및 시야각 특성을 실현하고, 또한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유기 EL 패널에 이용되고, 편광자와 광학 이방성층과 제1 광학 보상층과 제2 광학 보상층을 이 순서로 구비한다. 해당 광학 이방성층은 nx≥ny>nz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내고, Re(550)이 0nm∼20nm, Rth(550)이 5nm∼100nm이며; 해당 제1 광학 보상층은 nx>ny≥nz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내고, Re(450)<Re(550)의 관계를 만족하며; 해당 제2 광학 보상층은 nz>nx≥ny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내고; 해당 제1 광학 보상층과 해당 제2 광학 보상층과의 적층체의 Re(550)은 120nm∼160nm, Rth(550)은 -50nm∼80nm이다. 여기서, Re(450) 및 Re(550)은 각각 23℃에서의 파장 450nm 및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를 나타내고, Rth(550)은 23℃에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를 나타낸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광학 이방성층의 인장 강도는 100N/mm2∼300N/mm2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제1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35°∼55°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광학 보상층은 경사 연신하여 얻어진 위상차 필름이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상기 제2 광학 보상층의 상기 제1 광학 보상층과 반대 측에 도전층 및 기재를 이 순서로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유기 EL 패널이 제공된다. 이 유기 EL 패널은 상기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에 있어서, 편광자의 내측 보호 필름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는 광학 이방성층을 설치하고, 또한 각각 소정의 굴절률 특성을 갖는 제1 광학 보상층 및 제2 광학 보상층의 적층체의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를 소정의 범위로 최적화함으로써 우수한 반사 색상 및 시야각 특성을 실현하며, 또한,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 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용어 및 기호의 정의)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및 기호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굴절률(nx, ny, nz)
"nx"는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즉,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는 면내에서 지상축과 직교하는 방향(즉,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다.
(2) 면내 위상차(Re)
"Re(λ)"는 23℃에서의 파장 λ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Re(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로 하였을 때, 식:Re=(nx-ny)×d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예컨대, "Re(550)"은 23℃에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이다.
(3) 두께 방향의 위상차(Rth)
"Rth(λ)"는 23℃에서의 파장 λnm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Rth(λ)는 층(필름)의 두께를 d(nm)로 하였을 때, 식:Rth=(nx-nz)×d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예컨대, "Rth(550)"은 23℃에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이다.
(4) Nz 계수
Nz 계수는 Nz=Rth/Re에 의해 구할 수 있다.
(5) 실질적으로 직교 또는 평행
"실질적으로 직교" 및 "대략 직교"라는 표현은 두 개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10°인 경우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90°±7°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0°±5°이다. "실질적으로 평행" 및 "대략 평행"이라는 표현은 두 개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0°±10°인 경우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0°±7°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순히 "직교" 또는 "평행"이라고 하는 경우는 실질적으로 직교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인 상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A.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100)은 편광자(10)와 광학 이방성층(20)과 제1 광학 보상층(30)과 제2 광학 보상층(40)을 이 순서로 구비한다. 도시예에서는 제1 광학 보상층(30)이 제2 광학 보상층(40)보다도 편광자(10) 측이되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제2 광학 보상층(40)이 편광자(10) 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학 이방성층(20)은 편광자(10)의 보호층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편광자(10)의 광학 이방성층(20)과 반대 측에 보호층(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2 광학 보상층(40)의 제1 광학 보상층(30)과 반대 측(즉, 제2 광학 보상층(40)의 외측)에 도전층 및 기재를 이 순서로 설치하여도 된다(어느 것도 도시하지 않음). 기재는 도전층에 밀착 적층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밀착 적층"이란 2개의 층이 접착층(예컨대, 접착제층, 점착제층)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또는 고착하여 적층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도전층 및 기재는 대표적으로는 기재와 도전층과의 적층체로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100)에 도입될 수 있다. 도전층 및 기재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100)은 이너 터치 패널형 입력 표시 장치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제1 광학 보상층(30)은 굴절률 특성이 nx>ny≥nz의 관계를 나타내고 지상축을 갖는다. 편광자(10)와 제1 광학 보상층(30)은 편광자(10)의 흡수축과 제1 광학 보상층(30)의 지상축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적층되어 있다. 편광자(10)의 흡수축과 제1 광학 보상층(30)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35°∼5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8°∼5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2°∼48°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5°이다. 상기 각도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우수한 반사 방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매엽(枚葉)상이어도 되고, 장척(長尺)상이어도 된다.
이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층 및 광학 필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A-1. 편광자
편광자(10)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가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편광자를 형성하는 수지 필름은 단층의 수지 필름이어도 되고, 이층 이상의 적층체이어도 된다.
단층의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는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계 필름, 부분 포멀화 PVA계 필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가 실시된 것, PVA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 염화 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특성이 우수한 것에서, PVA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1축 연신하여 얻어진 편광자가 이용된다.
상기 요오드에 의한 염색은 예컨대, PVA계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실시된다. 상기 1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3∼7배이다. 연신은 염색 처리 후에 실시하여도 되고, 염색하면서 실시하여도 된다. 또한, 연신하고 나서 염색하여도 된다. 필요에 따라, PVA계 필름에 팽윤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된다. 예컨대, 염색 전에 PVA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함으로써 PVA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VA계 필름을 팽창시켜 염색 얼룩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진 편광자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적층된 PVA계 수지층(PVA계 수지 필름)과의 적층체, 또는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진 편광자를 들 수 있다. 수지 기재와 당해 수지 기재에 도포 형성된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편광자는, 예컨대, PVA계 수지 용액을 수지 기재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수지 기재상에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수지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얻는 것; 당해 적층체를 연신 및 염색하여 PVA계 수지층을 편광자로 하는 것;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신은 대표적으로는 적층체를 붕산 수용액 중에 침지시켜 연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연신은 필요에 따라 붕산 수용액 중에서의 연신 전에 적층체를 고온(예컨대, 95℃ 이상)으로 공중 연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얻어진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는 그대로 이용하여도 되고(즉, 수지 기재를 편광자의 보호층으로 하여도 되고),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로부터 수지 기재를 박리하고, 당해 박리면에 목적에 따른 임의의 적절한 보호층을 적층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편광자의 제조 방법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 특개 제2012-7358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공보는 그 전체의 기재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편광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12㎛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8㎛이다. 편광자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가열 시의 컬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고, 및 양호한 가열 시의 외관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편광자는, 바람직하게는, 파장 380nm∼780nm의 어느 파장에서 흡수 이색성을 나타낸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은 상기와 같이 43.0%∼46.0%이고, 바람직하게는 44.5%∼46.0%이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7.0%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9.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이다.
A-2. 광학 이방성층
광학 이방성층(20)은 nx≥ny>nz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광학 이방성층은 지상축을 갖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광학 이방성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 또는 평행이다.
광학 이방성층의 Re(550)은 0nm∼20nm이고, Rth(550)은 5nm∼100nm이다.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가 이러한 범위이면, 제1 광학 보상층 및 제2 광학 보상층의 적층체에 대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은 광학 특성의 최적화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지는 광학 보상층 부착 원편광판의 우수한 반사 방지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동시에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광학 보상층 부착 원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학 이방성층의 Re(550)은 바람직하게는 0nm∼15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nm∼10nm이다. 이 경우, 광학 이방성층의 Rth(550)은 바람직하게는 5nm∼6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20nm이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광학 보상층 및 제2 광학 보상층의 적층체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광학 특성의 최적화를 실시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매우 우수한 반사 색상 및 시야각 특성을 실현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광학 이방성층의 Re(550)은 바람직하게는 10nm∼2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nm∼20nm이다. 이 경우, 광학 이방성층의 Rth(550)은 바람직하게는 30nm∼7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nm∼50nm이다.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허용 가능한 반사 방지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매우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실현할 수 있다.
광학 이방성층의 인장 강도는 바람직하게는 100N/mm2∼300N/mm2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N/mm2∼200N/mm2이다. 인장 강도가 이러한 범위이면, 상기와 같은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에 있어서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적절한 기계적 강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인장 강도는 JIS K 7161에 준하여 측정될 수 있다.
광학 이방성층의 평활성은 예컨대, 산술 평균 조도(Ra)를 지표로서 나타낼 수 있다. 광학 이방성층의 산술 평균 조도(Ra)는 바람직하게는 0.001㎛∼0.1㎛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0.05㎛이다. 평활성이 이러한 범위이면, 광학 이방성층의 위상차 얼룩이 저감될 수 있다.
광학 이방성층은 상기와 같은 광학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만족하는 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구성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나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에테르설폰계, 폴리설폰계, 폴리스티렌계, 폴리노보넨계, 폴리올레핀계, (메트)아크릴계, 아세테이트계 등의 투명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우레탄계,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형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등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예컨대, 실록산계 폴리머 등의 유리질계 폴리머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 특개 제2001-343529호 공보(WO 01/37007)에 기재된 폴리머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이 필름의 재료로서는 예컨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측쇄에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닐기 및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이 사용 가능하고, 예컨대, 이소부텐과 N-메틸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지는 교대 공중합체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갖는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당해 폴리머 필름은 예컨대,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일 수 있다. 광학 이방성층은 상기 재료로 구성되는 필름을 그대로 이용하여도 되고, 당해 필름을 연신하여 형성하여도 된다.
광학 이방성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8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0㎛이다. 이와 같은 두께라면 소망하는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와 소망하는 기계적 강도를 실현할 수 있다.
A-3. 제1 광학 보상층
제1 광학 보상층(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굴절률 특성이 nx>ny≥nz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1 광학 보상층의 면내 위상차 Re(550)은 바람직하게는 80nm∼20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nm∼180nm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nm∼170nm이다. 제1 광학 보상층의 면내 위상차가 이러한 범위이면, 제1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 방향을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35°∼55°(특히, 약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설정함으로써 우수한 반사 방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제1 광학 보상층은 이른바 역분산의 파장 의존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그 면내 위상차는 Re(450)<Re(550)의 관계를 만족한다. 이러한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우수한 반사 색상을 달성할 수 있다. Re(450)/Re(550)은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1 미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이상 0.95 이하이다.
제1 광학 보상층의 Nz 계수는 바람직하게는 1∼3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1.3이다. 이러한 관계를 만족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반사 색상을 달성할 수 있다.
제1 광학 보상층은 그 흡수율이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다. 이러한 흡수율을 만족함으로써 표시 특성의 경시(經時)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수율은 JIS K 7209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제1 광학 보상층은 대표적으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로 형성된 위상차 필름이다. 이 위상차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이용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플루오렌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이소소르비드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지환식 디올, 지환식 디메탄올, 디, 트리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알킬렌글리콜 또는 스피로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플루오렌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이소소르비드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지환식 디메탄올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및/또는 디, 트리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렌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이소소르비드계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와, 디, 트리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필요에 따라 그 밖의 디히드록시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상세는 예컨대, 일본 특개 제2014-10291호 공보, 일본 특개 제2014-2626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으며, 당해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110℃ 이상 1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이상 165℃ 이하이다. 유리 전이 온도가 과도하게 낮으면 내열성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필름 성형 후에 치수 변화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얻어지는 유기 EL 패널의 화상 품질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유리 전이 온도가 과도하게 높으면 필름 성형 시의 성형 안정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필름의 투명성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는 JIS K 7121(1987)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분자량은 환원 점도로 나타낼 수 있다. 환원 점도는 용매로서 염화 메틸렌을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농도를 0.6g/dL로 정밀하게 조제하여, 온도 20.0℃±0.1℃에서 우벨로데 점도관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환원 점도의 하한은 통상적으로 0.30dL/g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dL/g 이상이다. 환원 점도의 상한은 통상적으로 1.20dL/g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80dL/g이다. 환원 점도가 상기 하한값보다 작으면 성형품의 기계적 강도가 작아진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환원 점도가 상기 상한값보다 크면 성형하는 때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생산성이나 성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위상차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수지 필름을 적어도 한 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수지 필름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용융 압출법(예컨대, T다이 성형법), 캐스트 도공법(예컨대, 유연법), 캘린더 성형법, 열 프레스법, 공압출법, 공용융법, 다층 압출, 인플레이션 성형법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T다이 성형법, 유연법 및 인플레이션 성형법을 이용할 수 있다.
수지 필름(미연신 필름)의 두께는 소망하는 광학 특성, 후술의 연신 조건 등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50㎛∼300㎛이다.
상기 연신은 임의의 적절한 연신 방법, 연신 조건(예컨대, 연신 온도, 연신 배율, 연신 방향)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유단 연신, 고정단 연신, 자유단 수축, 고정단 수축 등의 다양한 연신 방법을 단독으로 이용하는 것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연신 방향에 관해서도 수평 방향, 수직 방향, 두께 방향, 대각선 방향 등 다양한 방향이나 차원으로 실시할 수 있다. 연신 온도는 수지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Tg)에 대하여 Tg-30℃∼Tg+6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Tg-10℃∼Tg+50℃이다.
상기 연신 방법, 연신 조건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상기 소망하는 광학 특성(예컨대, 굴절률 특성, 면내 위상차, Nz 계수)을 갖는 위상차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상차 필름은 수지 필름을 1축 연신 또는 고정단 1축 연신함으로써 제작된다. 고정단 1축 연신의 구체예로서는 수지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폭 방향(횡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연신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1.1배∼3.5배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위상차 필름은 장척상의 수지 필름을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각도(θ)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경사 연신함으로써 제작된다. 경사 연신을 채용함으로써 필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각도(θ)의 배향각(각도(θ)의 방향으로 지상축)을 갖는 장척상의 연신 필름이 얻어지고, 예컨대, 편광자와의 적층에 있어서 롤-투-롤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공정을 간략화 할 수 있다. 편광자의 흡수축은 그 제조 방법에 기인하여 장척상 필름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발현하므로, 상기 각도(θ)는 편광자의 흡수축과 제1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경사 연신에 이용하는 연신기로서는 예컨대, 횡 및/또는 종 방향으로 좌우 상이한 속도의 이송력 또는 인장력 또는 인취력을 부가할 수 있는 텐터식 연신기를 들 수 있다. 텐터식 연신기에는 횡 1축 연신기, 동시 2축 연신기 등이 있으나, 장척상의 수지 필름을 연속적으로 경사 연신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연신기를 이용할 수 있다.
위상차 필름(연신 필름, 즉, 제1 광학 보상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65㎛이다. 이와 같은 두께라면 상기 소망하는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를 얻을 수 있다.
A-4. 제2 광학 보상층
제2 광학 보상층(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굴절률 특성이 nz>nx≥ny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2 광학 보상층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550)은 바람직하게는 -260nm∼-1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nm∼-15nm, 더욱 바람직하게는 -215nm∼-20nm이다. 이러한 광학 특성을 갖는 제2 광학 보상층을 설치함으로써,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반사 색상이 현저하게 개선되어, 결과적으로 매우 우수한 시야각 특성을 갖는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광학 보상층은 그 굴절률이 nx=ny의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nx=ny"는 nx와 ny가 엄밀하게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nx와 ny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Re(550)이 10nm 미만인 것을 말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광학 보상층은 그 굴절률이 nx>ny의 관계를 나타낸다. 따라서 제2 광학 보상층은 지상축을 갖는 경우가 있다. 제2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교 또는 평행하다. 또한, 제2 광학 보상층의 면내 위상차 Re(550)은 바람직하게는 10nm∼150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80nm이다.
제2 광학 보상층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호메오트로픽 배향에 고정된 액정층이다. 호메오트로픽 배향시킬 수 있는 액정 재료(액정 화합물)는 액정 모노머이어도 액정 폴리머이어도 된다. 당해 액정 화합물 및 당해 액정층의 형성 방법의 구체예로서는 일본 특개 제2002-333642호 공보의 [0020]∼[0042]에 기재된 액정 화합물 및 형성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3㎛이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제2 광학 보상층은 일본 특개 제2012-32784호 공보에 기재된 푸마르산 디에스테르계 수지로 형성된 위상차 필름이어도 된다. 이 경우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8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이다.
A-5. 적층체
상기 제1 광학 보상층과 제2 광학 보상층의 적층체의 면내 위상차 Re(550)은 120nm∼160nm이고, 바람직하게는 130nm∼150nm이다. 당해 적층체의 두께 방향의 위상차 Rth(550)은 -40nm∼80nm이고, 바람직하게는 -20nm∼50nm이다. 적층체의 광학 특성을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광학 이방성층을 이용함에 따른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반사 특성에 대한 악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우수한 반사 색상 및 시야각 특성을 실현하고 또한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얻을 수 있다.
A-6. 보호층
보호층은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보호층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 코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 등의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추가로/또는 보호층에는 필요에 따라 편광 선글라스를 개재하여 시인하는 경우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처리(대표적으로는 (타)원편광 기능을 부여하는 것, 초고위상차를 부여하는 것)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편광 선글라스 등의 편광 렌즈를 개재하여 표시 화면을 시인한 경우에도 우수한 시인성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실외에서 이용할 수 있는 화상 표시 장치에도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보호층의 두께는 대표적으로는 5mm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0㎛이다. 또한,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경우, 보호층의 두께는 표면 처리층의 두께를 포함한 두께이다.
A-7. 도전층 또는 기재 부착 도전층
도전층은 임의의 적절한 성막 방법(예컨대,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CVD법, 이온 플레이팅법, 스프레이법 등)에 의해 임의의 적절한 기재상에 금속 산화물막을 성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성막 후 필요에 따라 가열 처리(예컨대, 100℃∼200℃)를 실시하여도 된다.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비정질막이 결정화될 수 있다. 금속 산화물로서는, 예컨대,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아연, 인듐-주석 복합 산화물, 주석-안티몬 복합 산화물, 아연-알루미늄 복합 산화물, 인듐-아연 복합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인듐 산화물에는 2가 금속 이온 또는 4가 금속 이온이 도핑되어 있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인듐계 복합 산화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듐-주석 복합 산화물(ITO)이다. 인듐계 복합 산화물은 가시광 영역(380nm∼780nm)에서 높은 투과율(예컨대, 80% 이상)을 가지며, 또한 단위 면적 당의 표면 저항값이 낮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도전층이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도전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0nm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nm 이하이다. 도전층의 두께의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0nm이다.
도전층의 표면 저항값은 바람직하게는 300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Ω/□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Ω/□ 이하이다.
도전층은 상기 기재로부터 제2 광학 보상층에 전사되어 도전층 단독으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구성층으로 되어도 되고, 기재와의 적층체(기재 부착 도전층)로서 제2 광학 보상층에 적층되어도 된다. 대표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도전층 및 기재는 기재 부착 도전층으로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에 도입될 수 있다.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성이 우수한 수지이다. 구체예로서는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이고, 따라서 도전층은 등방성 기재 부착 도전층으로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에 이용될 수 있다. 광학적으로 등방성의 기재(등방성 기재)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노보넨계 수지나 올레핀계 수지 등의 공역계를 갖지 않는 수지를 주골격으로 하는 재료, 락톤환이나, 글루타르이미드환 등의 환상 구조를 아크릴계 수지의 주쇄 중에 갖는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를 이용하면, 등방성 기재를 형성하였을 때에, 분자쇄의 배향에 따른 위상차의 발현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기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2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60㎛이다.
A-8. 기타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층의 적층에는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이 이용된다. 점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된다. 접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로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지만,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100)의 제2 광학 보상층(40) 측(도전층 및 기재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기재 측)에는 점착제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점착제층이 미리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다른 광학 부재(예컨대, 유기 EL 셀)에 용이하게 첩합할 수 있다. 또한, 이 점착제층의 표면에는 사용에 제공될 때까지 박리 필름이 첩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제조 방법
상기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장척상이고 길이 방향으로 흡수축을 갖는 편광자와 광학 이방성층을 구성하는 장척상의 수지 필름과 제1 광학 보상층을 구성하는 장척상의 위상차 필름을 각각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면서 각각의 길이 방향을 나란하게 하여 적층하여 적층 필름을 얻는 공정과, 이 적층 필름을 반송하면서 제2 광학 보상층을 제1 광학 보상층 표면에 도포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편광자, 광학 이방성층 및 제1 광학 보상층은 동시에 적층하여도 되고, 편광자와 광학 이방성층을 먼저 적층하여도 되며, 광학 이방성층과 제1 광학 보상층을 먼저 적층하여도 된다. 또한 제1 광학 보상층과 제2 광학 보상층의 적층체를 먼저 형성하고, 당해 적층체를 상기 적층에 제공하여도 된다. 여기서, 편광자(10)의 흡수축과 제1 광학 보상층(30)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35°∼5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8°∼52°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2°∼48°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45°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광학 보상층을 구성하는 장척상의 위상차 필름은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각도(θ)의 방향으로 지상축을 갖는다. 각도(θ)는 상기와 같은 편광자의 흡수축과 제1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상차 필름은 경사 연신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제조에 있어서 롤-투-롤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 공정을 현격히 단축할 수 있다.
C. 유기 EL 패널
본 발명의 유기 EL 패널은 유기 EL 셀과 해당 유기 EL 셀의 시인 측에 상기 A항에 기재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구비한다.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제2 광학 보상층이 유기 EL 셀 측이 되도록(편광자가 시인 측이 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특성의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두께
다이얼 게이지(PEACOCK사 제조, 제품명 "DG-205", 다이얼 게이지 스탠드(제품명 "pds-2"))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위상차
각 광학 보상층 및 광학 이방성층으로부터 50mm×50mm의 샘플을 절취하여 측정 샘플로 하고, Axometrics사 제조의 Axosc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파장은 450nm, 550nm, 측정 온도는 23℃이었다.
또한, 아타고사 제조의 아베 굴절률계를 이용하여 평균 굴절률을 측정하고 얻어진 위상차 값으로부터 굴절률 nx, ny, nz를 산출하였다.
(3)흡수율
JIS K 7209에 기재된 「플라스틱의 흡수율 및 비등 흡수율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시험편의 크기는 50mm 근방의 정사각형이고, 수온 25℃의 물에 24시간 시험편을 침수시킨 후, 침수 전후의 중량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구하였다. 단위는 %이다.
(4)인장 강도
광학 이방성층에 대하여 JIS K 7161에 기재된 "플라스틱의 인장 특성"에 준거하여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5)평활성
광학 이방성층에 대하여 광 간섭형 현미경 "WYKO NT-3300"(Veeco사 제조)을 이용하여 산술 평균 조도(Ra)를 측정하였다.
(6)반사 색상 및 시야각 특성
얻어진 유기 EL 패널에 검은 화상을 표시하고, Auoronic-MERCHERS사 제조의 시야각 측정 평가 장치 코노 스코프를 이용하여 반사 색상을 측정하였다. "시야각 특성"은 CIE 표색계의 xy색도도에서의 정면 방향의 반사 색상과 경사 방향의 반사 색상(극각(極角)45°에서의 최대값 또는 최소값)과의 2점 간의 거리 Δxy를 나타낸다. 이 Δxy가 0.15보다 작으면 시야각 특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7)기계적 특성
얻어진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에 대하여 상기 (4)와 동일하게 하여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의 제작)
교반 날개 및 100℃로 제어된 환류 냉각기를 구비한 종형 반응기 2기로 이루어진 배치(batch) 중합 장치를 이용하여 중합을 실시하였다. 9,9-[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BHEPF), 이소소르비드(ISB), 디에틸렌글리콜(DEG), 디페닐카보네이트(DPC) 및 아세트산마그네슘4수화물을 몰 비율로 BHEPF/ISB/DEG/DPC/아세트산마그네슘=0.348/0.490/0.162/1.005/1.00×10-5이 되도록 투입하였다. 반응기 내를 충분히 질소 치환한 후(산소 농도 0.0005∼0.001vol%), 열매(熱媒)로 가온을 실시하여 내부 온도가 100℃가 된 시점에서 교반을 개시하였다. 승온 개시 40분 후에 내부 온도를 220℃로 도달시키고, 이 온도를 유지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감압을 개시하여 220℃에 도달하고 나서 90분 동안 13.3kPa로 하였다. 중합 반응과 함께 부생하는 페놀 증기를 100℃의 환류 냉각기에 유도하고, 페놀 증기 중에 약간량 포함되는 모노머 성분을 반응기로 되돌리고, 응축하지 않는 페놀 증기는 45℃의 응축기로 유도하여 회수하였다.
제1 반응기에 질소를 도입하여 일단 대기압까지 복압(復壓)시킨 후, 제1 반응기 내의 올리고머화된 반응액을 제2 반응기로 옮겼다. 이어서, 제2 반응기 내의 승온 및 감압을 개시하여 50분 동안 내부 온도 240℃, 압력 0.2kPa로 하였다. 그 후, 소정의 교반 동력이 될 때까지 중합을 진행시켰다. 소정 동력에 도달한 시점에서 반응기에 질소를 도입하여 복압시키고, 반응액을 스트랜드의 형태로 추출하고 회전식 커터로 펠렛화를 실시하여, BHEPF/ISB/DEG=34.8/49.0/16.2[mol%]의 공중합 조성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얻었다. 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환원 점도는 0.430dL/g, 유리 전이 온도는 128℃이었다.
(제1 광학 보상층의 제작)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80℃에서 5시간 진공 건조를 시킨 후, 단축 압출기(이스즈 화공기사 제조, 스크류 직경 25mm, 실린더 설정 온도:220℃) T다이 (폭 900mm, 설정 온도:220℃), 칠롤(Chill roll)(설정 온도:125℃) 및 권취기를 구비한 필름 제막 장치를 이용하여 두께 130㎛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의 흡수율은 1.2%이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을 일본 특개 제2014-194483호 공보의 실시예 1에 준하는 방법으로 경사 연신하여 위상차 필름을 얻었다.
위상차 필름의 구체적인 제조 순서는 다음과 같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필름(두께 130㎛, 폭 765mm)을 연신 장치의 예열 존에서 142℃로 예열하였다. 예열 존에 있어서는, 좌우 클립의 클립 피치는 125mm이었다. 다음으로, 필름이 제1 경사 연신 존(C1)에 들어감과 동시에, 우측 클립의 클립 피치의 증대를 개시하고, 제1 경사 연신 존(C1)에 있어서 125mm에서 177.5mm까지 증대시켰다. 클립 피치 변화율은 1.42이었다. 제1 경사 연신 존(C1)에 있어서, 좌측 클립의 클립 피치에 대해서는 클립 피치의 감소를 개시하고 제1 경사 연신 존(C1)에 있어서 125mm에서 90mm까지 감소시켰다. 클립 피치 변화율은 0.72이었다. 또한, 필름이 제2 경사 연신 존(C2)에 들어감과 동시에 좌측 클립의 클립 피치의 증대를 개시하고, 제2 경사 연신 존(C2)에 있어서 90mm에서 177.5mm까지 증대시켰다. 한편, 우측 클립의 클립 피치는 제2 경사 연신 존(C2)에 있어서 177.5mm인 그대로 유지하였다. 또한, 상기 경사 연신과 동시에 폭 방향으로도 1.9배의 연신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 경사 연신은 135℃에서 실시하였다. 이어서, 수축 존에 있어서, MD 수축 처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클립 및 우측 클립의 클립 피치를 함께 177.5mm에서 165mm까지 감소시켰다. MD 수축 처리에서의 수축률은 7.0%이었다.
이상과 같이하여 위상차 필름(두께 40㎛)을 얻었다.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Re(550)은 147nm, Rth(550)은 167nm이며(nx:1.5977, ny:1.59404, nz:1.5935), nx> ny=nz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얻어진 위상차 필름의 Re(450)/Re(550)은 0.89이었다.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방향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45°이었다.
(제2 광학 보상층의 제작)
하기의 화학식(I)(식 중의 숫자 65 및 35는 모노머 유닛의 몰%를 나타내고, 편의적으로 블록 폴리머 일체로 나타내고 있다:중량 평균 분자량 5000)로 표시되는 측쇄형 액정 폴리머 20중량부, 네마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BASF사 제조:상품명 Paliocolor LC242) 80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 즈사 제조:상품명 이루가큐어 907) 5중량부를 시클로펜타논 200중량부에 용해하여 액정 도공액을 조제하였다. 그리고, 기재 필름(노보넨계 수지 필름:일본 제온(주) 제조, 상품명 "제오넥스")에 당해 도공액을 바 코터에 의해 도공한 후, 80℃에서 4분간 가열 건조함으로써 액정을 배향시켰다. 이 액정층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액정 층을 경화시킴으로써, 기재상에 제2 광학 보상층이 되는 액정 고화층(두께:1.10㎛)을 형성하였다. 이 층의 Re(550)은 0nm, Rth(550)은 -135nm이고(nx:1.5723, ny:1.5723, nz:1.5757), nz>nx=ny의 굴절율 특성을 나타내었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적층체의 제작)
상기 위상차 필름(제1 광학 보상층)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개재하여 롤-투-롤 에 의해 상기 액정 고화층(제2 광학 보상층)을 첩합시킨 후, 상기 기재 필름을 제거하여 위상차 필름에 액정 고화층이 전사된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의 Re(550)은 147nm이고, Rth(550)은 32nm이었다.
(편광자의 제작)
두께 30㎛의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 필름(쿠라레이사 제조, 제품명 "PE3000")의 장척 롤을 롤 연신기에 의해 장척 방향으로 5.9배가 되도록 장척 방향으로 1축 연신하면서 동시에 팽윤, 염색, 가교, 세정 처리를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건조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두께 12㎛의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팽윤 처리는 20℃의 순수(純水)로 처리하면서 2.2배로 연신하였다. 이어서, 염색 처리는 얻어지는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이 45.0%가 되도록 요오드 농도가 조정된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의 중량비가 1:7인 30℃의 수용액 중에서 처리하면서 1.4배로 연신하였다. 또한, 가교 처리는 2단계의 가교 처리를 채용하고 1단계째의 가교 처리는 40℃의 붕산과 요오드화칼륨을 용해한 수용액에서 처리하면서 1.2배로 연신하였다. 1단계째의 가교 처리의 수용액의 붕산 함유량은 5.0중량%이고, 요오드화칼륨 함유량은 3.0중량%로 하였다. 2단계째의 가교 처리는 65℃의 붕산과 요오드화칼륨을 용해한 수용액에서 처리하면서 1.6배로 연신하였다. 2단계째의 가교 처리의 수용액의 붕산 함유량은 4.3중량%이고, 요오드화칼륨 함유량은 5.0중량%로 하였다. 또한, 세정 처리는 20℃의 요오드화칼륨 수용액으로 처리하였다. 세정 처리의 수용액의 요오드화칼륨 함유량은 2.6중량%로 하였다. 마지막으로, 건조 처리는 70℃에서 5분간 건조시켜 편광자를 얻었다.
(광학 이방성층의 제작)
시판의 장척 롤상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두께 25 ㎛)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이 필름의 Re(550)은 0nm이고, Rth(550)은 55nm이었다. 또한, 이 필름의 인장 강도는 120N/mm2이고, 산술 평균 조도(Ra)는 0.05㎛이었다.
(편광판의 제작)
상기 편광자의 양면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를 개재하고 상기 광학 이방성층 및 TAC 필름의 편면에 하드 코트 처리에 의해 형성된 하드 코트(HC)층을 갖는 HC-TAC 필름(두께:32㎛, 보호층에 대응함)을 각각 롤-투-롤에 의해 첩합하여 보호층/편광자/광학 이방성층의 구성을 갖는 장척상의 편광판을 얻었다.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편광판의 광학 이방성층면과 상기에서 얻어진 제1 광학 보상층/제2 광학 보상층의 적층체의 제1 광학 보상층면을 아크릴계 점착제를 개재하고 롤-투-롤에 의해 첩합하여 보호층/편광자/광학 이방성층/제1 광학 보상층/제2 광학 보상층의 구성을 갖는 장척상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기계적 특성(인장 강도)을 상기 (7)의 순서로 측정하였더니, 실용상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유기 EL 패널의 제작)
얻어진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제2 광학 보상층 측에 아크릴계 점착제로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치수 50mm×50mm로 절취하였다.
삼성 무선사 제조의 스마트폰(Galaxy-S5)을 분해하여 유기 EL 패널을 취출하였다. 이 유기 EL 패널에 첩부되어 있는 편광 필름을 벗겨내고, 대신에 상기에서 절취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첩합하여 유기 EL 패널을 얻었다.
얻어진 유기 EL 패널의 반사 특성을 상기 (6)의 순서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면 방향 및 경사 방향의 어느 것에서도 뉴트럴한 반사 색상이 실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야각 특성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2
[실시예 2∼11 및 비교예 1∼6]
표 1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패널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유기 EL 패널을 실시예 1과 동일한 평가에 제공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11의 유기 EL 패널의 시야각 특성은 양호한 반면, 비교예 1∼4 및 6의 유기 EL 패널의 시야각 특성은 불충분하였다. 또한, 실시예 2∼11 및 비교예 1∼4 및 6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어느 것도 기계적 특성(인장 강도)이 실용상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5의 유기 EL 패널의 시야각 특성은 양호하였지만, 비교예 5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의 기계적 특성(인장 강도)은 실용상 불충분하였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은 유기 EL 패널에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10 : 편광자
20 : 광학 이방성층
30 : 제1 광학 보상층
40 : 제2 광학 보상층
100 :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Claims (6)

  1. 편광자와 광학 이방성층과 제1 광학 보상층과 제2 광학 보상층을 이 순서로 구비하고,
    상기 광학 이방성층이 nx≥ny>nz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내고, Re(550)이 0nm∼20nm, Rth(550)이 5nm∼100nm이며;
    상기 제1 광학 보상층이 nx>ny≥nz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내고, Re(450)<Re(550)의 관계를 만족하며;
    상기 제2 광학 보상층이 nz>nx≥ny의 굴절률 특성을 나타내고;
    상기 제1 광학 보상층과 상기 제2 광학 보상층과의 적층체의 Re(550)이 120nm∼160nm, Rth(550)이 -50nm∼80nm이며,
    유기 EL 패널에 이용할 수 있는,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여기서, Re(450) 및 Re(550)은 각각 23℃에서의 파장 450nm 및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면내 위상차를 나타내고, Rth(550)은 23℃에서의 파장 550nm의 광으로 측정한 두께 방향의 위상차를 나타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이방성층의 인장 강도는 100N/mm2∼300N/mm2인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제1 광학 보상층의 지상축이 이루는 각도가 35°∼55°인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보상층이 경사 연신하여 얻어진 위상차 필름인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학 보상층의 상기 제1 광학 보상층과 반대 측에 도전층 및 기재를 이 순서로 더 구비하는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을 구비하는 유기 EL 패널.
KR1020187005150A 2015-08-31 2016-08-10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el 패널 KR1025600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1244 2015-08-31
JP2015171244A JP6301885B2 (ja) 2015-08-31 2015-08-31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PCT/JP2016/073517 WO2017038415A1 (ja) 2015-08-31 2016-08-10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648A true KR20180039648A (ko) 2018-04-18
KR102560037B1 KR102560037B1 (ko) 2023-07-26

Family

ID=58188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150A KR102560037B1 (ko) 2015-08-31 2016-08-10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el 패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16708B2 (ko)
JP (1) JP6301885B2 (ko)
KR (1) KR102560037B1 (ko)
CN (2) CN113064229B (ko)
SG (2) SG11201800799RA (ko)
TW (2) TWI727867B (ko)
WO (1) WO20170384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15881B (zh) 2015-05-29 2019-08-27 富士胶片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
JP7072970B2 (ja) * 2017-12-19 2022-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板、光学補償層付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画像表示装置
JP7188437B2 (ja) * 2018-03-16 2022-12-1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異方性層、光学異方性積層体、偏光板、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2020020996A (ja) * 2018-08-02 2020-02-06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8212A (ja) * 1996-04-19 1997-11-04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位相差板
JP2009251442A (ja) * 2008-04-09 2009-10-29 Nitto Denko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4142462A (ja) * 2013-01-23 2014-08-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機能層付きタッチパネル用電極部、円偏光板付きタッチパネル電極部、タッチパネル、画像表示装置
KR20140137018A (ko) * 2012-06-21 2014-12-0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유기 el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89789A (en) * 1977-01-19 1978-08-07 Japan Atomic Energy Res Inst Highhspeed response method for logarithmic output measuring device
US4208267A (en) * 1977-07-08 1980-06-17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Forming optically anisotropic pitches
US4209500A (en) * 1977-10-03 1980-06-24 Union Carbide Corporation Low molecular weight mesophase pitch
US4655902A (en) * 1981-08-28 1987-04-07 Toa Nenryo Kogyo Kabushiki Kaisha Optically anisotropic carbonaceous pitch
JPS5837084A (ja) * 1981-08-28 1983-03-04 Toa Nenryo Kogyo Kk 低軟化点の光学的異方性炭素質ピッチの製造方法
EP0421944A3 (en) * 1989-08-31 1992-06-17 Tanaka Kikinzoku Kogyo K.K. Composite carbon fibr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JP3090706B2 (ja) * 1991-04-08 2000-09-25 株式会社クラレ 液晶高分子よりなるフィルムの製造方法
EP0637191B1 (en) * 1993-07-30 2003-10-2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Surr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761315A (en) * 1993-07-30 1998-06-0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Surr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EP0724378B1 (en) * 1995-01-25 2005-11-23 Victor Company Of Japan, Limited Surr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US5721308A (en) * 1995-06-20 1998-02-24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itch based carbon fi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TW424154B (en) 1998-10-30 2001-03-01 Teijin Ltd Phase film and optical device using same
JP2000352620A (ja) 1999-03-31 2000-12-19 Konica Corp 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4264345A (ja) * 2003-02-03 2004-09-24 Nitto Denko Corp 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0510789A (en) * 2003-08-07 2005-03-16 Nitto Denko Corp Optical compensation plate,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4350052B2 (ja) 2004-04-16 2009-10-21 シャープ株式会社 円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4774703B2 (ja) * 2004-09-15 2011-09-14 東ソー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用耐熱性光学補償フィルム
CN101128756B (zh) * 2005-02-22 2011-08-10 日本化药株式会社 使用纤维素衍生物的相位差膜
US20120003402A1 (en) 2005-02-22 2012-01-05 Polatechno Co., Ltd. Retardation Film Produced by Using Cellulose Derivative
JP2006251050A (ja) 2005-03-08 2006-09-2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素子
US7612845B2 (en) * 2005-07-13 2009-11-03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with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polarizing plate with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US20090103016A1 (en) * 2005-09-26 2009-04-23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ing plate with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polarizing plate with an optical compensation layer
KR100822248B1 (ko) * 2005-11-10 2008-04-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07132618A1 (ja) * 2006-05-11 2007-11-22 Nitto Denko Corporation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904124B1 (ko) * 2006-05-29 2009-06-24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패널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7334085A (ja) 2006-06-16 2007-12-27 Epson Imaging Devices Corp 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4917488B2 (ja) 2006-07-12 2012-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並びに画像表示装置
TW200811492A (en) 2006-07-12 2008-03-01 Nitto Denko Corp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and image display including the same
JP4998941B2 (ja) * 2006-11-20 2012-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974218B2 (ja) * 2006-11-29 2012-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4938632B2 (ja) * 2007-12-07 2012-05-23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KR20170056027A (ko) * 2009-01-19 2017-05-22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위상차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 화상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및 위상차 필름
JP5364943B2 (ja) * 2009-03-26 2013-12-11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0243903A (ja) 2009-04-08 2010-10-28 Nitto Denko Corp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5383299B2 (ja) * 2009-04-16 2014-01-0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900656B2 (en) * 2009-06-19 2014-12-02 Nitto Denko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JP5091304B2 (ja) 2010-12-24 2012-12-0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型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905272B2 (ja) * 2011-01-27 2016-04-20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異方性層の製造方法
JP2013109334A (ja) * 2011-10-25 2013-06-06 Fujifilm Corp 液晶表示装置
US9229139B2 (en) 2012-01-19 2016-01-05 Lc-Tec Displays Ab Enhanced vision system implemented with optical shutter alternately transmitting visible radiation and near infrared radiation
KR101631399B1 (ko) 2012-03-15 2016-06-16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적층체를 갖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소자
JP6321435B2 (ja) * 2012-06-21 2018-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有機elパネル
JP2014010300A (ja) * 2012-06-29 2014-01-20 Nitto Denko Corp 偏光板および有機elパネル
US9294023B2 (en) 2012-08-13 2016-03-22 Dynamic Controls Method or system for minimizing the impact of back EMF sampling for motor resistance profiling
US9394415B2 (en) 2012-11-06 2016-07-19 Konica Minolta, Inc. Long obliquely-stretched film, and circularly polarising plate and organic EL display using long obliquely-stretched film
US9939554B2 (en) 2013-01-24 2018-04-10 Akron Polymer Systems, Inc. Wide-view optical film having reversed wavelength dispersion
JP2014170221A (ja) 2013-02-07 2014-09-18 Nitto Denko Corp 円偏光板および屈曲可能な表示装置
JP2014157285A (ja) 2013-02-15 2014-08-28 Toyobo Co Ltd 画像表示装置
US9128322B2 (en) 2013-03-25 2015-09-08 Fujifilm Corporation Phase difference plate for circularly polarizing plate, circularly polarizing plat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
JP2014214177A (ja) * 2013-04-23 2014-11-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晶組成物、位相差板、円偏光板、画像表示装置、位相差板の製造方法
CN104345368B (zh) 2013-08-09 2018-10-16 住友化学株式会社 椭圆偏振板
TWI636285B (zh) 2013-08-09 2018-09-21 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Optical film
TWI653149B (zh) 2013-08-09 2019-03-11 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Optical film
TW201510586A (zh) 2013-08-09 2015-03-16 Sumitomo Chemical Co 光學薄膜
CN104345372B (zh) 2013-08-09 2018-04-10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膜
KR102457408B1 (ko) 2013-08-09 2022-10-24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필름
JP2015187717A (ja) 2014-03-10 2015-10-2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円偏光板の製造方法
JP6437854B2 (ja) * 2015-03-17 2018-12-12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581796B2 (ja) * 2015-03-31 2019-09-25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CN106358250A (zh) * 2015-07-22 2017-01-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硬切换的方法及装置
WO2017074163A1 (ko) * 2015-10-29 2017-05-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저분자 케라틴 펩타이드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이용
CN108027534B (zh) * 2016-06-24 2021-04-09 日东电工株式会社 长条光学膜叠层体、长条光学膜叠层体卷及ips液晶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8212A (ja) * 1996-04-19 1997-11-04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位相差板
JP2009251442A (ja) * 2008-04-09 2009-10-29 Nitto Denko Corp 積層光学フィルム、積層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20140137018A (ko) * 2012-06-21 2014-12-0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유기 el 패널
JP2014142462A (ja) * 2013-01-23 2014-08-07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機能層付きタッチパネル用電極部、円偏光板付きタッチパネル電極部、タッチパネル、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41899A (zh) 2020-11-16
CN113064229A (zh) 2021-07-02
WO2017038415A1 (ja) 2017-03-09
CN107924011B (zh) 2021-04-30
CN107924011A (zh) 2018-04-17
US20180329124A1 (en) 2018-11-15
JP2017049361A (ja) 2017-03-09
SG11201800799RA (en) 2018-02-27
SG10202005017TA (en) 2020-07-29
JP6301885B2 (ja) 2018-03-28
KR102560037B1 (ko) 2023-07-26
CN113064229B (zh) 2023-04-28
US10816708B2 (en) 2020-10-27
TW201727282A (zh) 2017-08-01
TWI727867B (zh) 2021-05-11
TWI702422B (zh) 202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4010B (zh) 带光学补偿层的偏振片及使用了其的有机el面板
TWI673524B (zh) 長條狀之光學積層體及圖像顯示裝置
CN107924012B (zh) 长条状的带光学补偿层的偏振片及使用了其的有机el面板
KR102560037B1 (ko)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el 패널
KR20180113522A (ko) 광학 적층체 및 해당 광학 적층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20200100068A (ko) 위상차판,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 화상 표시 장치
CN108780175B (zh) 带光学补偿层的偏振片以及使用了该偏振片的有机el面板
JP6709637B2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KR20180119588A (ko)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el 패널
JP6712335B2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JP2019070860A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KR20200100067A (ko) 위상차 필름,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터치 패널 부착 화상 표시 장치
JP2018109778A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TW202223456A (zh) 附光學補償層之偏光板及使用其之有機el面板
JP2019091069A (ja) 長尺状の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elパネル
CN116324604A (zh) 带相位差层的偏振片及图像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