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516A - 연삭식 수형 정곡기 - Google Patents

연삭식 수형 정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516A
KR20180033516A KR1020187003781A KR20187003781A KR20180033516A KR 20180033516 A KR20180033516 A KR 20180033516A KR 1020187003781 A KR1020187003781 A KR 1020187003781A KR 20187003781 A KR20187003781 A KR 20187003781A KR 20180033516 A KR20180033516 A KR 20180033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full
type
roll
transvers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244B1 (ko
Inventor
야스요시 세토
후미오 다지마
야스노리 고이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ublication of KR20180033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6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screws or worms

Abstract

연삭식 수형 정곡기는, 겨 철망통의 주위에, 복수의 지주와, 이들 지주의 각각에 배치한 정백실 저항체를 형성하고, 그 정백실 저항체가, 연삭식 정백 롤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장척 판상이고, 또한, 횡단면이 갈고리상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횡단면의 기단부가 상기 지주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횡단면의 선단부가 연삭 정백 롤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또한 횡단면의 굴곡부는 이동하는 곡립에 그 이동을 억제하여 저항을 부여하도록 작용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연삭식 수형 정곡기
본 발명은, 세워 설치한 주축에 연삭식 정백 롤을 축장 (軸裝) 한 연삭식 수형 (竪型) 정곡기에 관한 것이다.
연삭식 수형 정곡기는, 세워 설치한 제강 (除糠) 철망통 내의 주축에, 숫돌인 연삭식 정백 롤을 축장하고, 제강 철망통과 연삭식 정백 롤 사이를 정백실로 하여 그 일단을 곡립 공급부에, 타단을 곡립 배출부에 연결한 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정백 작용이 강력하고 정백실이 수형이므로 잔류 곡립의 처리가 용이하다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한편, 정백실이 수형이므로, 곡립이 자연 낙하하는 작용이 강하여, 충분한 연삭 작용을 받지 않은 채로 배출되거나, 정백 작용에 불균일 (편차) 이 발생하거나 한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의 정곡기에서는, 정백실 내에서의 미립 (米粒) 의 유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체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저항체는, 선단부가, 연삭식 정백 롤체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연삭식 정백 롤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곡립에 그 이동을 저지하는 저항을 부여하는 것으로, 선단부가 연삭식 정백 롤체의 외주면에 대하여 연삭식 정백 롤체의 반경 방향에서 원근 (遠近) 으로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저항체에 의해 곡립이 막히는 모양으로 정백실에 억류되고, 그 사이에 연삭식 정백 롤체의 연삭 작용을 받아 원하는 정백이 실시된다는 작용·효과가 있다.
그러나, 저항체의 조절 방법에 따라서는 곡립의 수용 작용이 불안정해져, 곡립의 배측의 줄무늬상의 홈에 있는 겨가, 아직까지 충분한 제거 성과가 얻어지기까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국제 공개공보 제2012/157402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곡립의 수용 작용을 안정시켜, 장립종 쌀의 미립의 배측에 있어서의 줄무늬상 홈에 있는 겨를 거의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연삭식 수형 정곡기는, 세워 설치한 제강 철망통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형성한 주축에, 연삭식 정백 롤을 축장하고, 상기 제강 철망통과 상기 연삭식 정백 롤 사이를 주요부로 하는 정백실의 일단을 곡립 공급부에, 타단을 곡립 배출부에 각각 연결한 것으로서, 상기 제강 철망통의 주위에는, 복수의 지주와, 이들 지주의 각각에 배치한 정백실 저항체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정백실 저항체는,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장척 (長尺) 판상이고, 또한, 횡단면이 갈고리상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횡단면의 기단부는 상기 지주에 회동 (回動) 가능하게 지지되고, 횡단면의 선단부는 상기 연삭 정백 롤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또한 횡단면의 굴곡부는 이동하는 곡립에 그 이동을 억제하여 저항을 부여하도록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정백실 저항체가 장척 판상이고, 또한, 횡단면이 대략 L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주와 상기 복수의 정백실 저항체에 의해 상기 정백실 내를 원주 방향에서 복수로 구분하여, 각각이 독립된 도정 작용이 일어나도록 복수의 도정 섹션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연삭식 수형 정곡기는, 상기 정백실 타단의 곡립 배출부에, 제강 철망통의 일부를 개구한 배출구와, 그 배출구에 접속된 배출 홈통과, 상기 배출구를 덮는 덮개체를 형성하고, 그 덮개체에는, 그 덮개체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부여하는 저항 장치를 형성하지 않고, 곡립의 유출압만으로 상기 배출구가 개구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강 철망통의 주위에, 복수의 지주와, 이들 지주의 각각에 배치한 정백실 저항체를 형성하고, 그 정백실 저항체가, 연삭식 정백 롤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장척 판상이고, 또한, 횡단면이 갈고리상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횡단면의 기단부가 상기 지주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횡단면의 선단부가 연삭 정백 롤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또한 횡단면의 굴곡부는 이동하는 곡립에 그 이동을 억제하여 저항을 부여하도록 작용시키므로, 굴곡부에서는 매우 용이하게 곡립이 포착되게 되므로, 곡립의 수용 작용이 안정적이 되어, 곡립의 배측의 줄무늬상의 홈에 있는 겨가 충분히 제거되게 된다.
상기 정백실 저항체가 장척 판상이고, 또한, 횡단면이 대략 L 자형의 장척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종래의 횡단면이 직선상의 정백실 저항판과 비교하면, 쇄립의 발생 비율을 약 2 % 정도 낮게 억제하면서, 백도 (白度) 를 상승시킬 수 있고, 또한, 저백도라고 하더라도 곡립의 배측의 줄무늬상의 홈에 있는 겨를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지주와 상기 복수의 정백실 저항체에 의해 상기 정백실 내를 원주 방향에서 복수로 구분하여 복수의 도정 섹션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도정 섹션이 각각 독립된 도정 작용을 일으키도록 도정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연삭식 수형 정곡기는, 정백실 타단의 곡립 배출부에, 제강 철망통의 일부를 개구한 배출구와, 그 배출구에 접속한 배출 홈통과, 상기 배출구를 덮는 덮개체를 형성하고, 그 덮개체에는, 그 덮개체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부여하는 저항 장치를 형성하지 않고, 곡립의 유출압만으로 상기 배출구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 배출구 부근에 형성되어 있던 저항 장치를 불필요로 하여, 제조 비용을 삭감함과 함께, 무부하로 덮개체로부터 미립을 유출시킨 경우라도, 곡립의 배측의 줄무늬상의 홈에 있는 겨를 거의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도 1 은, 연삭식 수형 정곡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는,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주로 정백 롤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연삭 정곡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5 는, 탄성 지지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 4 의 A-A 단면도이다.
도 6 은, 종래기와 개량기에서, 백도와 쇄립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7 은, 전술한 백도와 배근 (背筋) 이 있는 비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8 은, 전술한 적산 전류와 백도의 변화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연삭식 수형 정곡기 (1) 의 전체 구성의 개략도이고, 도 2 는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 (1) 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주로 정백 롤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연삭 정곡부의 횡단면도이고, 도 5 는 탄성 지지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 4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연삭식 수형 정곡기 (1) 부는, 본체 베이스 (2) 의 거의 중앙에 주축 (3) 을 상부 베어링부 (4) 및 하부 베어링부 (5) 에 의해 세워 설치하고, 상부 베어링부 (4) 의 바로 위쪽에 연삭식 정백 롤 (6) (이하, 정백 롤 (6)) 을 복수 재치 (載置) 고정시켜 주요 정곡부가 형성된다. 주축 (3) 은, 본체 베이스 (2) 에 부설한 모터 베이스 (7) 에 고정 설치한 모터 (8) 에 의해, 모터 풀리 (9), 주축 풀리 (10), V 벨트 (11) 를 통해 구동되게 된다.
정백 롤 (6) 은, 주축 (3) 에 장착된 복수의 숫돌반 (12) 과, 이 숫돌반 (12) 상호간에 개재 삽입된 스페이서 (13) 를 적층한 것이다. 숫돌반 (12) 은, 둘레면에 연삭용 절삭날 (연삭 숫돌의 지립) 을 전체 둘레에 소결 등의 수단에 의해 고정시킨 것이다. 스페이서 (13) 에는, 적층된 복수의 숫돌반 (12) 사이로부터 절삭용 절삭날을 향하여 분풍하는 분풍구 (13a) (도 4 참조) 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분풍구 (13a) 를 형성함으로써, 기외로부터 취입된 공기를 제강용 분풍으로 이용하여, 도정시의 제강을 촉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정백 롤 (6) 의 상단부에는, 원료의 이송 롤 (14) 이 주축 (3) 에 축착 (軸着) 되어 있다. 이송 롤 (14) 의 외주면에는, 스크루 날개 (15) 가 형성되고, 그 스크루 날개 (15) 의 회전에 의해 원료를 이송할 수 있다.
정백 롤 (6) 의 주위에는, 소정의 간격을 개재하여 제강 철망통 (16) (도 1) 이 세워 설치된다. 그리고, 그 제강 철망통 (16) 과 상기 정백 롤 (6) 사이에 정백실 (17) 이 형성된다. 제강 철망통 (16) 은,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세로 분할 형상으로 4 분할되고, 정백 롤 (6) 의 주위에 세워 설치한 4 개의 지주 (18) 에 의해 각 양측 가장자리가 고정된다. 또한, 각 지주 (18) 사이에 호상 (弧狀) 의 제강실 커버 (19) 를 장착하여 제강실 (20) 을 형성한다. 도 1 에 있어서, 부호 21 은 지주 커버이다.
원료를 안내하기 위한 공급통 (22) 은, 지주 (18) 에 재치하여 장착된다. 이 공급통 (22) 은, 이송 롤 (14) 을 둘러싸는 것으로, 공급통 (22) 의 상방에는 호퍼통 (23) 을 형성하고, 호퍼통 (23) 의 상면벽에 투입구 (24) 를 개구한다. 호퍼통 (23) 내에는, 중공 원추상의 안내체 (25) 와, 그 상부에 조절 레버 (26) 에 의해 회동되는 2 장의 구멍이 뚫린 회동판으로 이루어지는 공급량 조절 장치 (27) 를 형성하였다.
정백실 (17) 의 하단에는, 제강 철망통 (16) 의 일부를 개구하여 배출구 (28) 를 형성하고, 배출구 (28) 에 접속하여 배출 홈통 (29) 을 형성한다. 배출 홈통 (29) 에는, 분동 레버 (30) 에 의해 조작되는 덮개체 (31) 가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분동 레버 (30) 에 의해 덮개체 (31) 를 탄성 지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분동 레버 (30) 의 대체품으로서 에어 실린더에 의해 덮개체 (31) 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 분동 레버 (30) 나 에어 실린더 등을 형성하지 않고, 무부하로 덮개체 (31) 로부터 쌀이 유출되는 구성도 고려할 수 있다.
정백실 (17) 에는, 복수의 지주 (18) 의 각각에 배치한 정백실 저항체 (32) 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정백실 저항체 (32) 는, 연삭식 정백 롤 (6) 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장척 판상이고, 또한, 횡단면이 갈고리상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4 및 도 5 에 보여지는 정백실 저항체 (32) 는, 횡단면이 대략 L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정백실 저항판 (32) 은 L 자형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고, 갈고리상으로 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횡단면에서 보아 「く」자형이나, 「J」자형이나, 「U」자형의 형상을 여러 가지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횡단면이 대략 L 자형으로 형성된 정백실 저항체 (32) 는, 그 선단부 (33) 가 연삭 정백 롤체 (6) 의 외주면에 근접한다. 이때의 선단부 (33) 는 숫돌반 (12) 의 중심 방향 (주축 (3) 방향) 을 향하고 있다 (도 4 및 도 5). 또, L 자의 굴곡부 (34) 는 정백 롤 (6) 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곡립을 억제하는 저항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선단부 (32) 의 타방측의 기단부 (35) 는, 지주 (18) 에 내장된 세로축 (36) 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정백실 저항판 (32) 에는, 탄성 지지 장치 (37) 가 구비되어 있다. 탄성 지지 장치 (37) 는, 에어 액추에이터로서, 도 4,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실린더 (38), 가동 로드 (39) 및 조압 장치 (40) 로 구성되어 있다. 에어 실린더 (38) 는 일단의 장착부 (41) 를 조압 장치 (40) 측의 결합 블록 (42) 에 축 (43)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고, 타단을 정백실 저항판 (32) 에 프리 조인트 구조 (44)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정백실 저항판 (32) 은 일단을 지주 (18) 에 내장한 세로축 (36) 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가동 로드 (39) 의 진퇴에 의해 세로축 (36) 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연삭 정백 롤체 (6) 의 외주면에 대한 선단부 (33) 의 근접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에어 실린더 (38) 에는, 컴프레서 (45) 로부터 레귤레이터 (46) 를 통하여 지관 (枝管) (No1) 이 접속되어 있고, 에어 실린더 (38) 내부에 에어압이 공급되고 있다. 이 에어압은 레귤레이터 (46) 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 (46) 에는 지관 (No1 ∼ No4) 이 접속되어 있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4 개의 탄성 지지 장치 (37) 에 있어서의 에어 실린더 (38) 의 각각으로 배관되어 있다. 따라서, 각 정백실 저항판 (32) 은, 에어압을 받아 상기 세로축 (36) 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곡립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연삭식 수형 정곡기 (1) 의 제강실 (20) 의 하방에는, 고리형의 집강실 (47) 을 형성하고 (도 1 참조), 정백 롤 (6) 과 일체로 회전되는 스크레이퍼 날개 (48) 를 형성한다. 집강실 (47) 의 바닥면에는 겨 배출구 (도시 생략) 를 형성하여, 겨를 배출한다. 또, 주축 (3) 의 하부에는 집강용 팬 (49) 이 장착되어 있고, 제강실 (20) 을 통해 기체 상부의 공급구 등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겨와 함께 기외로 배출한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체적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 외부의 슈트로부터 투입구 (24) (도 1 참조) 로 공급되는 원료 미립 (현미) 은, 조절 레버 (26) 에 의해 적당한 공급 유량으로 조절되고, 또한, 안내체 (25) 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균등하게 분산되면서 정백실 (17) 상부로 공급된다.
정백실 (17) 내에 있어서, 정백 롤 (6) 의 회전에 의해 (도 3 에 나타내는 화살표 R 방향), 미립은 비교적 저압력하에서 활발하게 유동 (공전·자전) 하면서, 정백 롤 (6) 의 둘레면에 접촉함으로써 표면층이 깎인다.
이때, 정백실 (17) 로 공급되는 원료 미립은, 정백실 (17) 내에 배치 형성한 복수 개의 정백실 저항체 (32) 가, 에어 실린더 (38) 의 가동 로드 (39) 의 신장에 의해 정백 롤 (6) 측으로 밀어져, 정백실 저항체 (32) 의 선단부 (33) 가 정백 롤 (6) 의 외주면에 근접하고, 이로써, 정백 롤 (6) 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곡립이 포착되어, 정백실 저항체 (32) 의 굴곡부 (34) 측으로 이동하여 곡립의 움직임을 억제한다. 즉, 곡립에는 정백실 (17) 내의 원주 방향에 있어서 이동을 억제하는 저항이 부여되게 된다 (도 5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백실 저항체 (32) 의 선단부 (33) 가 정백 롤 (6) 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굴곡부 (34) 에서 곡립이 포착되게 되므로, 곡립의 수용 작용이 안정되어, 곡립의 배측의 줄무늬상의 홈에 있는 겨가 충분히 제거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참조), 정백실 (17) 내에 원주 방향에서 4 개의 정백실 저항체 (32) 가 배치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정백실 저항체 (32) 마다 정백실 (17) (도정 섹션) 이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작용이 일어난다 (즉, 1 대의 정곡기 내에 4 개의 정백실 (복수의 정백실 저항체 (32, 32) 사이에서 구획된 도정 섹션) 이 있다는 것). 요컨대, 정백실 저항체 (32) 에 의해, 미립이 수용된 상태로, 정백 롤 (6) 이 회전 방향 (R) 으로 회전하여 미립의 표면층이 깎여 가므로, 도정 섹션마다 독립된 도정 작용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도정 섹션마다 독립된 도정 작용이므로, 미립의 배출구 (28) 부근의 분동 레버 (30) 를 불필요로 하여,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분동 레버 (30) 에 의한 부하가 없는, 거의 무부하 상태로 덮개체 (31) 로부터 미립을 유출시킨 경우라도, 곡립의 배측의 줄무늬상의 홈에 있는 겨가 충분히 제거되게 된다.
또한, 도 4 의 실시형태에서는, 정백실 (17) 내에 원주 방향에서 4 개의 정백실 저항체 (32) 가 배치 형성되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주 방향으로 6 내지 10 개의 정백실 저항체 (32) 를 형성해도 된다. 이에 맞춰, 제강 철망통 (16) 도 4 분할에 한정하지 않고, 6 내지 10 분할 등, 적당한 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 어떠한 이유에 의해, 정백실 (17) 내에서 쇄립이 발생하는 높은 압력 상태일 때에는, 곡립의 압박력에 의해 정백실 저항체 (32) 를 통하여 가동 로드 (39) 가 에어압에 저항하여 압입된다. 그러면, 에어 실린더 (45) 의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지만, 이 압력 변화는 레귤레이터 (46) 가 조정하여, 곡립의 이동이 과잉으로 억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정 작용 동안, 집강용 팬 (49) 에 의해, 호퍼통 (23) 으로부터 흡입되는 외기가, 정백 롤 (6) 내를 지나 제강실 (21) 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빼내어지므로, 제강 작용을 높임과 함께 미립의 교반을 재촉하고, 또한, 미온 (米溫) 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한다.
[실시예 1]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종래의 정곡기 (이하, 「종래기」라고 한다) 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개량한 정곡기 (이하, 「개량기」라고 한다) 사이에서, 백도와 쇄립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백도는 케트사 제조의 백도계 형식 C-600 으로 측정하였다. 시험 조건을 표 1 에 나타내고, 결과를 도 6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도 6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개량기는, 종래기에 비해 쇄립의 발생 비율을 약 2 % 정도 낮게 억제하면서, 백도를 상승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종래기와 개량기 사이에서, 백도와 배근이 있는 비율을 비교하였다. 조건은 표 1 과 동일하고, 결과를 도 7 에 나타낸다.
도 7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개량기는, 종래기에 비해 저백도이고 곡립의 배측의 줄무늬상의 홈에 있는 겨가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종래기와 개량기 사이에서, 적산 전류와 백도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조건은 표 1 과 동일하고, 결과를 도 8 에 나타낸다.
도 8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개량기는, 종래기에 비해 약 26 % 정도 적은 전류로 목표 백도에 도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선단부가 정백 롤 외주면에 근접함과 함께, 횡단면이 갈고리상으로 굴곡되고, 또한 정백 롤의 축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정백실 저항판 (32) 을, 정백실 (17) 내에 복수 배치 형성하였으므로, 정백실 저항판 (32) 의 굴곡부에 의해 곡립이 포착되게 되어, 곡립의 수용 작용이 안정되어, 곡립의 배측의 줄무늬상의 홈에 있는 겨가 충분히 제거되게 된다.
또, 횡단면이 굴곡되어 있지 않은 종래의 직선상의 정백실 저항판과 비교하면, 쇄립의 발생 비율을 약 2 % 정도 낮게 억제하면서, 백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저백도라고 하더라도 곡립의 배측의 줄무늬상의 홈에 있는 겨를 제거하고, 또한, 약 26 % 정도 적은 전류로 목표 백도에 도달시킬 수 있게 되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수형 또는 횡형의 정곡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 연삭식 수형 정곡기
2 : 본체 베이스
3 : 주축
4 : 상부 베어링부
5 : 하부 베어링부
6 : 연삭식 정백 롤
7 : 모터 베이스
8 : 모터
9 : 주축 풀리
11 : V 벨트
12 : 숫돌반
13 : 스페이서
14 : 이송 롤
15 : 스크루 날개
16 : 제강 철망통
17 : 정백실
18 : 지주
19 : 제강실 커버
20 : 제강실
21 : 지주 커버
22 : 공급통
23 : 호퍼통
24 : 투입구
25 : 안내체
26 : 조절 레버
27 : 공급량 조절 장치
28 : 배출구
29 : 배출 홈통
30 : 분동 레버
31 : 덮개체
32 : 정백실 저항판
33 : 선단부
34 : 굴곡부
35 : 기단부
36 : 세로축
37 : 탄성 지지 장치
38 : 에어 실린더
39 : 가동 로드
40 : 조압 장치
41 : 장착부
42 : 결합 블록
43 : 축
44 : 프리 조인트 구조
45 : 에어 실린더
46 : 레귤레이터
47 : 집강실
48 : 스크레이퍼 날개
49 : 집강용 팬

Claims (4)

  1. 세워 설치한 제강 철망통 내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형성한 주축에, 연삭식 정백 롤을 축장하고, 상기 제강 철망통과 상기 연삭식 정백 롤 사이를 주요부로 하는 정백실의 일단을 곡립 공급부에, 타단을 곡립 배출부에 각각 연결한 연삭식 수형 정곡기에 있어서,
    상기 제강 철망통의 주위에는, 복수의 지주와, 이들 지주의 각각에 배치한 정백실 저항체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정백실 저항체는,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축방향으로 연장된 장척 판상이고, 또한, 횡단면이 갈고리상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횡단면의 기단부는 상기 지주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횡단면의 선단부는 상기 연삭 정백 롤의 외주면에 근접하여, 또한, 횡단면의 굴곡부는 이동하는 곡립에 그 이동을 억제하여 저항을 부여하도록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백실 저항체는, 장척 판상이고, 또한, 횡단면이 대략 L 자형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주와 상기 복수의 정백실 저항체에 의해 상기 정백실 내를 원주 방향에서 복수로 구분하고, 각각이 독립된 도정 작용이 일어나도록 복수의 도정 섹션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백실 타단의 곡립 배출부에는, 제강 철망통의 일부를 개구한 배출구와, 그 배출구에 접속한 배출 홈통과, 상기 배출구를 덮는 덮개체가 형성되고, 그 덮개체에는, 그 덮개체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부여하는 저항 장치를 형성하지 않고, 곡립의 유출압만으로 상기 배출구가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연삭식 수형 정곡기.
KR1020187003781A 2015-07-24 2016-07-22 연삭식 수형 정곡기 KR102480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46737A JP6548014B2 (ja) 2015-07-24 2015-07-24 研削式竪型精穀機
JPJP-P-2015-146737 2015-07-24
PCT/JP2016/071521 WO2017018337A1 (ja) 2015-07-24 2016-07-22 研削式竪型精穀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516A true KR20180033516A (ko) 2018-04-03
KR102480244B1 KR102480244B1 (ko) 2022-12-21

Family

ID=57884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781A KR102480244B1 (ko) 2015-07-24 2016-07-22 연삭식 수형 정곡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548014B2 (ko)
KR (1) KR102480244B1 (ko)
CN (1) CN107847940A (ko)
BR (1) BR112018001363B1 (ko)
TW (1) TWI681818B (ko)
WO (1) WO20170183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103B1 (ko) * 2019-11-11 2020-01-20 김영희 종합 정곡기 구조
KR102155251B1 (ko) * 2020-05-04 2020-09-11 주식회사 세농테크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25281A (zh) * 2017-02-20 2019-10-11 株式会社佐竹 卧型研磨式碾谷机
JP2020025903A (ja) * 2018-08-09 2020-02-20 株式会社サタケ 研削式竪型精穀機
CN108745450B (zh) * 2018-08-18 2020-04-21 芜湖市好亦快食品有限公司三山分公司 一种便于高效筛分且易清理的碾米装置
CN111359730B (zh) * 2020-03-20 2022-02-01 营口金岱国际科技有限公司 一种轻烧氧化镁粉研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292A (ja) * 1993-08-06 1995-02-21 Satake Eng Co Ltd 研削式精穀機の抵抗体調節機構
WO2012157402A1 (ja) 2011-05-13 2012-11-22 株式会社サタケ 研削式竪型精穀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3599B2 (ja) * 1998-05-15 2006-02-08 株式会社サタケ 製粉方法及び該製粉方法による製粉システム
JP4849520B2 (ja) * 2006-02-11 2012-01-11 独立行政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表面処理粒状物の製造装置、方法および表面処理粒状物
JP4730795B1 (ja) * 2010-07-23 2011-07-20 株式会社サタケ 精米機の目立装置
JP5656006B2 (ja) * 2010-09-17 2015-01-21 株式会社サタケ 研削式竪型精穀機
JP4930956B1 (ja) * 2011-08-30 2012-05-16 株式会社サタケ 精穀機における抵抗体調節方法及びその抵抗体調節治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7292A (ja) * 1993-08-06 1995-02-21 Satake Eng Co Ltd 研削式精穀機の抵抗体調節機構
WO2012157402A1 (ja) 2011-05-13 2012-11-22 株式会社サタケ 研削式竪型精穀機
JP2014039888A (ja) * 2011-05-13 2014-03-06 Satake Corp 精穀機の抵抗体調節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103B1 (ko) * 2019-11-11 2020-01-20 김영희 종합 정곡기 구조
KR102155251B1 (ko) * 2020-05-04 2020-09-11 주식회사 세농테크 세라믹 절삭이가 끼움 결합된 절삭식 정미기의 절삭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81818B (zh) 2020-01-11
BR112018001363A2 (pt) 2018-09-11
KR102480244B1 (ko) 2022-12-21
BR112018001363B1 (pt) 2021-11-09
WO2017018337A1 (ja) 2017-02-02
TW201703859A (zh) 2017-02-01
JP6548014B2 (ja) 2019-07-24
JP2017023962A (ja) 2017-02-02
CN107847940A (zh)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3516A (ko) 연삭식 수형 정곡기
KR101787107B1 (ko) 연삭식 수형 정곡기
CN105768175B (zh) 一种细支烟的加工工艺
JP5935797B2 (ja) 研削式竪型精穀機
JP7024739B2 (ja) 横型研削式精穀機
DE102006014419A1 (de) Vorrichtung an einer Spinnereivorbereitungsmaschine, insbesondere Karde, Krempel o. dgl., zur Einstellung des Kardierabstandes
CN104707680B (zh) 精磨装置
JP2003164802A (ja) コーティング材料の層を調製する方法と装置、およびコーティング装置
CN105533786A (zh) 一种可提高烟叶增温增湿均匀性和减少造碎的回潮机
CN104258921B (zh) 一种碾米机
CN107096589A (zh) 一种胚芽米碾米装置、碾米机及其加工方法
CN107662161A (zh) 一种具有防尘功能的板材抛光机
US4325297A (en) Apparatus for buff blanching peanuts
EP3383540B1 (de) Rotor, schleifmaschine, luftabsaugummantelung und schleifelement für eine schleifmaschine
KR20160012943A (ko) 횡축형 정미기
CN106925369B (zh) 大米抛光机
CN208697115U (zh) 一种胶囊抛光装置
CN204147904U (zh) 一种抛光机
TW202023686A (zh) 研磨式縱型碾穀機
CN207593506U (zh) 防堆积药物抛光机
US1965413A (en) Dough piece forming machine
CN205925796U (zh) 一种大米精深加工用砻谷装置
RU51899U1 (ru) Вальц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плющения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ых кормов для кормления животных в индивидуальных и фермерских хозяйствах
WO2018012467A1 (ja) 研削式竪型精穀機
CN109028957A (zh) 一种化妆品用香料熔炼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