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103B1 - 종합 정곡기 구조 - Google Patents

종합 정곡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8103B1
KR102068103B1 KR1020190143314A KR20190143314A KR102068103B1 KR 102068103 B1 KR102068103 B1 KR 102068103B1 KR 1020190143314 A KR1020190143314 A KR 1020190143314A KR 20190143314 A KR20190143314 A KR 20190143314A KR 102068103 B1 KR102068103 B1 KR 102068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embryo
degreasing
disc memb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희
Original Assignee
김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희 filed Critical 김영희
Priority to KR1020190143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8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beater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합 정곡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옥수수를 포함하는 각종 곡물의 원형(原形)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탈피, 배아 제거, 탈지의 3단계로 이루어진 일련의 정곡 처리 작업을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자동 수행함과 아울러 장치 내에 진동수단을 구비하여 처리된 곡물이 진동에 의해 탈피, 배아 제거, 탈지(표면 처리) 구간으로 전진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고 장치의 설치 비용을 절감하며, 정곡 처리된 곡물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종합 정곡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종합 정곡기 구조 {Structure of overall grain milling machine with function of removing corn embryo}
본 발명은 종합 정곡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옥수수를 포함하는 각종 곡물의 원형(原形)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탈피, 배아 제거, 탈지의 3단계로 이루어진 일련의 정곡 처리 작업을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자동 수행함과 아울러 장치 내에 진동수단을 구비하여 처리된 곡물이 진동에 의해 탈피, 배아 제거, 탈지(표면 처리) 구간으로 전진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하고 장치의 설치 비용을 절감하며, 정곡 처리된 곡물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장기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종합 정곡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곡기는 쌀(미곡)을 비롯하여 보리, 옥수수, 밀과 같은 각종 잡곡의 외피와 겨를 제거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종래의 정곡기는 원통형 회전체의 구조 내부에 다수의 임펠러를 가진 원판부재를 설치하고 회전 구동하면서 곡물의 껍질을 탈피함과 아울러 임펠러를 따라 배출구 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정곡기는 껍질이 임펠러에 자주 걸리면서 이동이 원활하지 않고, 또한 옥수수와 같은 곡물을 처리 시 탈피와 탈배아 및 탈지 과정을 거치지 않고 가공 처리하기 때문에 옥수수 배아로부터 유출된 기름이 탈피 과정에서 발생된 곡물가루 또는 껍질분과 섞여 엉키면서 곡물 표면에 부착되어 곡물의 원형 그대로인 깨끗한 상태의 곡물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쉽게 부패할 우려가 있어 장기 보관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곡물의 껍질 제거와 배아 제거를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처리해야 하므로 장치 설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데다가 작업성도 저하되며, 더욱이 탈지 과정이 배제된 상태로 곡물이 가공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공개 제2018-33516호 연삭식 수형 정곡기 (2018.04.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옥수수와 같은 곡물의 원형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곡물의 정곡 처리를 위한 일련의 작업을 하나의 장치로써 연속하여 자동으로 수행하여 작업성을 높임과 아울러 탈피, 탈배아, 탈지의 3단계 과정을 통해 얻어지는 곡물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여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품질을 향상하도록 하는 종합 정곡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곡기 구조는, 옥수수를 포함하는 곡물을 정곡 처리하는 정곡기에 있어서, 외부 및 내부 하우징이 상호 이격 배치되고 양단 상하부에 호퍼 및 배출구가 구비된 하우징; 하우징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는 지주;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고 샤프트가 구비된 구동수단;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탈피부와 배아제거부 및 탈지부가 순차로 배치되는 처리수단; 및 곡물을 원형 그대로 유지하면서 탈피부에서부터 탈배아부를 거쳐 탈지부 측으로 전진 이동하도록 하우징 내의 처리수단을 진동 구동하는 진동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리수단은, 샤프트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설치되고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탈피 원판부재; 및 상기 탈피 원판부재의 회전에 의해 곡물의 표면을 연마하도록 탈피 원판부재의 면 부위에 다수 설치되는 연마부재;가 구비되고, 호퍼의 하부 측에 설치되는 탈피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마부재는, 탈피 원판부재의 회전 시 곡물에 접하여 연마하는 연마부; 및 탈피 원판부재에 다수 형성된 고정공에 수평방향으로 밀착 삽입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된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처리수단은, 샤프트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설치되고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배아제거 원판부재; 및 배아제거 원판부재의 회전에 의해 탈피 곡물의 배아 부분을 분리 제거하도록 배아제거 원판부재의 면 부위 및 둘레 부위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니들부재;가 구비되고, 탈피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배아제거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니들부재는, 만곡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아제거 원판부재의 회전 시 니들부재의 선단부에 의해 곡물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탈피 곡물의 배아 부분만을 빼내어 분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처리수단은, 샤프트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설치되고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탈지 원판부재; 및 탈지 원판부재의 회전에 의해 배아 제거 곡물의 표면에 부착된 가루나 기름기를 제거하도록 탈지 원판부재의 면 부위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브러시부재;가 구비되고, 배아제거부의 후단 및 배출구의 사이에 설치되는 탈지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브러시부재는, 탈지 원판부재의 면 부위에 가느다란 와이어 형태로 다수 돌출 형성되어 탈지 원판부재의 회전 시 곡물의 표면을 털고 닦아내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처리수단을 구성하는 각 구역의 원판부재는 2개의 원판이 소정 간격을 두고 한조로 배치됨과 아울러 그 사이에 보강판재가 삽입 부착된다.
또한, 상기 진동수단은, 하우징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처리수단 내의 곡물이 전진 이동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 및 내부 하우징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지주의 내부 상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진동모터에 의해 전후 진동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종합 정곡기 구조에 따르면, 옥수수를 비롯한 각종 곡물을 정곡 처리함에 있어 곡물의 껍질 제거, 배아 제거 및 표면 처리를 위한 원판부재를 하나의 축에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원판부재의 형태를 각각 다르게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장치에 진동력을 인가하여 전단계에서 처리된 곡물을 진동에 의해 후단계로 전진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일련의 작업을 하나의 장치로써 자동으로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속도가 빠르고 동력 소모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처리수단의 배아제거 원판부재의 형태를 개선하여 더욱 용이하게 배아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처리수단의 후단부에 브러시부재가 장착되는 탈지 원판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배아 제거 처리된 곡물의 표면에 껍질분 등의 가루와 함께 묻은 기름을 말끔히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품질을 향상하고 곡물이 최대한 원형 그대로 유지되면서 처리됨에 따라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쉽게 부패되지 않으며, 이로부터 얻어지는 곡물을 식품 가공 공정에 바로 투입 시 곡물 자체에 함유된 영양성분은 물론이고 맛과 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곡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2는 도1의 탈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1의 배아제거부(탈배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4은 도1의 탈지부(표면처리부)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곡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탈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배아제거부(탈배아부)를 사시도이고, 도4은 도1의 탈지부(표면처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곡기 구조는 옥수수를 포함하는 곡물의 탈피에서부터 표면처리까지 일괄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 지주(2); 구동수단(3);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탈피부(100)와 배아제거부(200) 및 탈지부(300)로 이루어진 처리수단(4); 처리수단을 진동 구동하는 진동수단(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1)은 원통형이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부 일측에 곡물이 투입되도록 호퍼(11)가 구비됨과 아울러 하부 타측에 정곡 처리된 곡물이 배출되도록 배출구(12)가 구비되며, 배출구에는 별도의 수납망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은 외형을 이루는 외부 하우징(1A)과, 외부 하우징의 내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내부 하우징(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처리수단(4)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내부 하우징(1B)은 둘레부가 밀폐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부면이 망 형태로 형성되어 처리수단(4)에 의해 정곡 처리 후 발생되는 곡물 껍질분이나 이물질이 배출 이동되는 통로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하우징(1A)의 하부면에 곡물 껍질분이나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추가로 배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지주(2)는 하우징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도록 하우징(1)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지주(2)는 동일한 단면 크기를 가진 파이프 형태이거나 또는 하부를 향할수록 경사지게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지주(2)는 내부가 중공된 형상이되 상하로 구획되며, 상부 측에 진동수단(5)의 스프링부재가 삽입 설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구동수단(3)은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모터(31)와,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모터에 연결 설치되는 샤프트(32)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동수단은 처리수단(4)을 회전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샤프트(32)는 외부 둘레면에 키(key)가 돌출 형성되어 샤프트에 처리수단의 금속재 원판부재가 결합 시 상기 키(32a)가 금속재 원판부재의 중앙에 삽입되어 원판부재가 헛돌지 않도록 고정 가능하게 된다.
처리수단(4)은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곡물의 껍질과 배아를 제거 후 표면을 처리하도록 내부 하우징(1B)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처리수단(4)은 탈피부(100)와 배아제거부(200) 및 탈지부(300)로 이루어진 3개의 구역으로 구분되며, 각 구역마다 2개의 원판이 한조로 된 금속재 원판부재(101,201,301)가 하나의 샤프트(32)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배치된다.
상기 한조의 금속재 원판부재(101,201,301)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된 2개의 원판이 서로 겹쳐지되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 사이에 PVC와 같은 플라스틱재 또는 금속재로 된 보강판재(102,202,302)가 삽입 설치되어 강도를 향상하고 중량을 경량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원판부재(101,201,301)의 중심부에는 샤프트(32)가 삽입 체결되도록 축결합공(101a,201a,301a)이 형성되고, 축결합공이 형성된 원판부재의 소정 부위에는 샤프트의 키(32a)가 끼워지도록 삽입홈(101c,201c,301c)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샤프트(32)의 회전과 함께 원판부재(101,201,301)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판부재(101,201,301)의 외측단부에는 일정 간격마다 체결공(101d,201d,301d)이 관통 형성되어 이 부위를 체결볼트(103a,203a,303a)와 너트(103b,203b,303b)로 체결함에 의해 상호 대향 배치되는 한조의 원판부재가 일체로 체결된다.
이때, 체결볼트(103a,203a,303a)와 너트(103b,203b,303b)는 체결 부위마다 위치를 번갈아 가면서 반대로 체결함으로써 원판부재의 전후 양측(도면에서는 좌우 양측)의 균형적인 체결이 이루어지록 한다.
참고로, 도면에서 삽입홈(101c,301c) 및 체결공(301d)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삽입홈(201c) 및 체결공(101d,201d)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처리수단(4)에 대하여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⑴ 탈피부
탈피부(100)는 호퍼를 통해 내부 하우징으로 유입된 옥수수와 같은 곡물의 껍질을 제거하도록 표면을 연마하는 것으로서, 내부 하우징(1B)의 내부 일단 즉, 호퍼(11)의 하부 측에 설치되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조의 탈피 원판부재(101)와, 탈피 원판부재에 고정된 다수의 연마부재(104)를 포함한다.
탈피 원판부재(101)는 샤프트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설치되고 샤프트(32)를 통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탈피 원판부재(101) 상에는 다수의 고정공(104e)이 관통 형성된다.
연마부재(104)는 탈피 원판부재의 면 부위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 고정되어 탈피 원판부재(101)의 회전에 의해 곡물의 외부 표면을 연마하면서 껍질 부분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연마부재는 탈피 원판부재의 회전 시 곡물에 접하는 연마부(104f)와, 상기 고정공에 수평방향으로 밀착 삽입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된 고정부(104g)로 이루어진다.
⑵ 배아제거부
배아제거부(200)는 탈피부에 의해 껍질이 제거된 곡물의 배아를 픽업하여 제거하는 것으로서, 내부 하우징(1B)의 내부 중단 즉, 탈피부(100)의 후단에 설치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조의 배아제거 원판부재(201)와, 배아제거 원판부재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니들부재(204)를 포함한다.
배아제거 원판부재(201)는 탈피 원판부재와 마찬가지로 샤프트(32)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설치되고 샤프트(32)를 통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구동된다.
니들부재(204)는 배아제거 원판부재의 면 부위 및 둘레 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이때 니들부재는 만곡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아제거 원판부재(201)의 회전 시 니들부재(204)의 휘어진 선단부에 의해 탈피 곡물의 연질부에 해당하는 배아 부분만을 빼내어 분리 제거하게 된다.
상기 니들부재(204)는 그 소재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원판부재와 마찬가지로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⑶ 탈지부
탈지부(300)는 배아제거부에 의해 배아가 분리 제거된 곡물의 표면에 부착된 기름과 껍질분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내부 하우징(1B)의 내부 타단 즉, 배아제거부의 후단이자 배출구(12) 측에 설치되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조의 탈지 원판부재(301)와, 탈지 원판부재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브러시부재(304)를 포함한다.
탈지 원판부재(301)는 탈피 원판부재 및 배아제거 원판부재와 마찬가지로 샤프트(32)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설치되고 샤프트를 통해 구동모터(3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것이다.
브러시부재(304)는 탈지 원판부재의 면 부위에 가느다란 와이어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탈지 원판부재(301)의 회전에 의해 곡물의 표면을 털고 닦아냄으로써 곡물 표면에 부착된 기름과 여기에 뒤엉켜 붙은 껍질분을 제거하여 마무리 정리한다. 이러한 브러시부재(304)는 탄성을 가진 금속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탈피 원판부재(101)와 배아제거 원판부재(201) 및 탈지 원판부재(301)는 하나의 샤프트(32)에 다수개가 일정 간격마다 장착되어 회전하면서 탈피, 배아제거 및 탈지를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도1에서는 금속재 원판부재(101,201,301)가 각 공정 구역마다 2조씩 도시되었으나, 실제 장치를 운영 시에는 더 많은 개수의 원판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진동수단(5)은 하우징을 진동하여 그 내부의 처리 대상물인 곡물을 원형 그대로 전진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도1에서와 같이, 하우징(1)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51)와, 하우징의 하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진동모터에 의해 전후 진동(도면상으로는 좌우 진동)되는 스프링부재(52)를 포함한다.
진동모터(51)는 공지의 것과 마찬가지로 회전축에 진동추가 축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진동추(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면서 하우징(1)이 전후 진동하게 된다. 이때 진동을 크게 하려면 진동추를 무겁게 하고 진동을 작게 하려면 진동추의 무게를 가볍게 설정하면 된다.
스프링부재(52)는 지주의 상부에서부터 중단부에 이르기까지 지주(2)의 내부 상측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어 하우징(1)을 탄성 지지하는 것으로서, 스프링부재(52)의 상,하단부는 각각 고정편(521)을 매개로 내부 하우징(1B)의 하부면 및 지주(2)의 내부 중단부에 볼트(522)에 의해 고정 결합된다.
이때, 내부 하우징(1B)과 스프링부재(52) 상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편(521)은 내부 하우징의 둘레에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약간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프링부재(52) 하부와 지주(2) 중단부 상면에 배치되는 고정편(521)은 판형이거나 또는 대략 ∪자 형태로 형성됨과 아울러 지주(2) 내벽면에 접하는 부위를 볼트(522)로 체결 고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프링부재(52)는 진동모터(51)에 의해 진동력을 제공받아 자체적으로 진동하면서 진동을 증폭함과 아울러 진동 작동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부재(52)의 전후 진동에 의해 곡물이 한 장소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처리수단(4) 내의 곡물은 구동모터(31)의 구동에 의한 고속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내부 하우징(1B)의 벽면 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진동모터(51)에 의해 발생된 진동에 의해 스프링부재(52)의 좌우(전후) 탄성 변형과 함께 내부 하우징(1B)의 전후 진동으로 인해 전진 이동하면서 순차적으로 탈피, 배아제거 및 탈지 공정을 거쳐 배출구(12)를 향하게 된다.
또한 배출구(12)를 통해 얻어지는 정곡 처리된 곡물은 표면 껍질과 배아가 제거됨은 물론이고 표면 연마 및 배아 제거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기로 인해 곡물 표면에 엉켜붙은 껍질분까지 깨끗하게 처리됨에 따라 곡물을 원형 그대로 최대한 유지하면서 장기간 동안 보관하더라도 쉽게 썩지 않게 된다.
1 : 하우징 1A,1B : 외부 및 내부 하우징
2 : 지주 3 : 구동수단
31 : 구동모터 32 : 샤프트
4 : 처리수단 100 : 탈피부
101 : 탈피 원판부재 104 : 연마부재
200 : 배아제거부 201 : 배아제거 원판부재
204 : 니들부재 300 : 탈지부
301 : 탈지 원판부재 304 : 브러시부재
5 : 진동수단 51 : 진동모터
52 : 스프링부재

Claims (9)

  1. 옥수수를 포함하는 곡물을 정곡 처리하는 정곡기에 있어서,
    외부 및 내부 하우징(1A.1B)이 상호 이격 배치되고 양단 상하부에 호퍼(11) 및 배출구(12)가 구비된 하우징(1);
    하우징의 하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는 지주(2);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고 샤프트(32)가 구비된 구동수단(3);
    내부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탈피부(100)와 배아제거부(200) 및 탈지부(300)가 순차로 배치되어 곡물이 원형을 유지한 상태로 탈피, 배아제거 및 탈지되도록 구성되는 처리수단(4); 및
    곡물이 원형을 유지한 상태로 진동에 의해 탈피부에서부터 배아제거부 및 탈지부 측으로 전진 이동하도록 하우징 내의 처리수단을 진동 구동하는 진동수단(5);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수단(4)은, 샤프트(32)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설치되고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탈피 원판부재(101); 및 상기 탈피 원판부재의 회전에 의해 곡물의 표면을 연마하도록 탈피 원판부재의 면 부위에 다수 설치되는 연마부재(104);가 구비되고, 호퍼의 하부 측에 설치되는 탈피부(100);를 포함함과 아울러,
    상기 처리수단(4)은, 샤프트(32)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설치되고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배아제거 원판부재(201); 및 배아제거 원판부재의 회전에 의해 탈피 곡물의 배아 부분을 분리 제거하도록 배아제거 원판부재의 면 부위 및 둘레 부위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니들부재(204);가 구비되고, 탈피부의 후단에 설치되는 배아제거부(2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니들부재(204)는, 만곡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아제거 원판부재(201)의 회전 시 니들부재의 선단부에 의해 탈피 곡물의 배아 부분만을 빼내어 분리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곡기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부재(104)는,
    탈피 원판부재(101)의 회전 시 곡물에 접하여 연마하는 연마부(104f); 및
    탈피 원판부재에 다수 형성된 고정공(104e)에 수평방향으로 밀착 삽입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된 고정부(104g);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곡기 구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4)은,
    샤프트(32)에 일정 간격마다 다수 설치되고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탈지 원판부재(301); 및
    탈지 원판부재의 회전에 의해 배아 제거 곡물의 표면에 부착된 가루나 기름기를 제거하도록 탈지 원판부재의 면 부위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브러시부재(304);가 구비되고, 배아제거부의 후단 및 배출구의 사이에 설치되는 탈지부(30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곡기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부재(304)는,
    탈지 원판부재(301)의 면 부위에 가느다란 와이어 형태로 다수 돌출 형성되어 탈지 원판부재의 회전 시 곡물의 표면을 털고 닦아내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곡기 구조.
  8. 제1항, 제3항,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원판부재(101,201,301)는 2개의 원판이 소정 간격을 두고 한조로 배치됨과 아울러 그 사이에 보강판재(102,202,302)가 삽입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곡기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5)은,
    하우징(1)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처리수단 내의 곡물이 전진 이동되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51); 및
    내부 하우징(1B)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지주(2)의 내부 상측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진동모터에 의해 전후 진동되는 스프링부재(5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곡기 구조.
KR1020190143314A 2019-11-11 2019-11-11 종합 정곡기 구조 KR102068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314A KR102068103B1 (ko) 2019-11-11 2019-11-11 종합 정곡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314A KR102068103B1 (ko) 2019-11-11 2019-11-11 종합 정곡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103B1 true KR102068103B1 (ko) 2020-01-20

Family

ID=6936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314A KR102068103B1 (ko) 2019-11-11 2019-11-11 종합 정곡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10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308Y1 (ko) * 1992-04-20 1994-09-17 박두원 건식 옥수수 탈피 및 탈배아기
KR20070006083A (ko) * 2005-07-07 2007-01-11 황성구 곡물 선별기
KR101048261B1 (ko) * 2002-11-04 2011-07-08 뷜러아게 곡물 탈곡 및 배아 제거 방법과 장치
KR101415875B1 (ko) * 2013-05-13 2014-07-09 주식회사 청하기계 옥수수 박피기
KR20180033516A (ko) * 2015-07-24 2018-04-03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연삭식 수형 정곡기
KR20180097479A (ko) * 2016-12-22 2018-08-31 최보규 도정 수율이 우수한 곡물 탈피방법 및 그 탈피장치
KR20190005422A (ko) *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브리슨 정미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308Y1 (ko) * 1992-04-20 1994-09-17 박두원 건식 옥수수 탈피 및 탈배아기
KR101048261B1 (ko) * 2002-11-04 2011-07-08 뷜러아게 곡물 탈곡 및 배아 제거 방법과 장치
KR20070006083A (ko) * 2005-07-07 2007-01-11 황성구 곡물 선별기
KR101415875B1 (ko) * 2013-05-13 2014-07-09 주식회사 청하기계 옥수수 박피기
KR20180033516A (ko) * 2015-07-24 2018-04-03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연삭식 수형 정곡기
KR20180097479A (ko) * 2016-12-22 2018-08-31 최보규 도정 수율이 우수한 곡물 탈피방법 및 그 탈피장치
KR20190005422A (ko) * 2017-07-06 2019-01-16 주식회사 브리슨 정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400A (ja) 竪型精穀機
CN107744846B (zh) 一种精细加工的稻谷脱壳设备
CN102018269A (zh) 一种薄皮类果实去皮机
CN207940320U (zh) 一种土豆去皮清洗装置
KR102068103B1 (ko) 종합 정곡기 구조
CN105850279A (zh) 紫云英种子的破壳机及其操作方法
CN102038275A (zh) 花生红衣快速脱皮机
KR20190116633A (ko) 낟알 탈피구조가 개선된 정미기
CN203467619U (zh) 一种青核桃脱皮机
KR200404908Y1 (ko) 감자 박피기
CN102365986A (zh) 虾类制品自动去壳机
CN104432419A (zh) 一种杜仲翅果的多级脱壳筛分系统
CN109291114A (zh) 一种带有双加工区域的工作桶
CN213307316U (zh) 一种碰撞、磨削式板栗脱壳机
KR101571625B1 (ko) 곡물 기피장치
RU267312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грецкого ореха от зеленой кожуры
US1367664A (en) Nut-blanching machine
JP6575760B2 (ja) 皮剥き機の刃物円盤
CN110583244A (zh) 鲜莲莲蓬剥粒机
CN105029508A (zh) 去皮鱿鱼加工装置
CN110385741A (zh) 土豆清洗去皮切片一体机
CN106078445B (zh) 钢板表面锈渍自动清理机
JP2004008079A (ja) 野菜・果物の皮剥き装置
CN203801684U (zh) 自动化脱皮机
KR20110126244A (ko) 구근류 탈피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