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939A - 수평 분할 공정을 통한 박형 탄소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수평 분할 공정을 통한 박형 탄소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939A
KR20180022939A KR1020187002912A KR20187002912A KR20180022939A KR 20180022939 A KR20180022939 A KR 20180022939A KR 1020187002912 A KR1020187002912 A KR 1020187002912A KR 20187002912 A KR20187002912 A KR 20187002912A KR 20180022939 A KR20180022939 A KR 20180022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fiber nonwoven
nonwoven fabric
layer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2545B1 (ko
Inventor
슈테판 뵈너
디르크 슈나이더
미햐엘 슈타인룃터
Original Assignee
에스지엘 카본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엘 카본 에스이 filed Critical 에스지엘 카본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8002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26D1/0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30Halving devices, e.g. for halving bu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09Inorganic fibres
    • D04H1/4242Carbon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4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 H01M4/8657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material, e.g. consisting of composites laye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샘플 두께로 롤 제품을 수평 분할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롤로부터 하나의 층 또는 연속적으로 복수의 층을 분할하기 위해 탄소섬유 부직포는 블레이드 구조물에 상대적으로 이동되며, 탄소섬유 부직포로부터 분할 후 상기 하나의 층 또는 상기 복수의 층은 연속해서 롤 형상으로 분리된다.

Description

수평 분할 공정을 통한 박형 탄소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샘플 두께로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롤 제품(roll goods)을 수평 분할하는 것을 통해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층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제조된 재료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수평은 수평선을 의미한다. 분할 공정은 쐐기형 공구를 이용하여 피가공재를 분할하기 위한 제조 공정이다.
롤 형상 또는 롤 제품은, 직물 평면 시트가 권취된 것, 또는 권취된 상태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직물 평면 시트는, 약 10㎝ 폭의 마분지 통(cardboard tube) 상에 권취되는 20 내지 70m의 길이 및 1.2 내지 1.5m의 폭을 갖는 펠트(felt)일 수 있다.
탄소섬유 부직포의 경우, 약 2㎜ 내지 20㎜의 두께가 가용하며, 오븐 절연(oven insulation)을 위해, 또는 특수한 배터리 시스템들에서 다공성 전극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이런 적용 제품들은 600 내지 3000℃의 다단계 온도 처리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처럼 높은 온도는, 높은 순도 또는 낮은 전기 저항과 같은 특정한 특성들을 설정하기 위해 요구된다. 제조 공정의 종료 시 실행되는 고온 처리는 배치 오븐들(batch oven) 내에서 불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지만, 이는 비용상의 이유로 최대한 피해야 한다. 그러므로 최종 온도 처리 단계는 일반적으로 연속해서 수행되며, 이런 경우 재료는 일반적으로 설비를 통과하도록 견인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고온 처리는 1800 내지 3000℃의 온도 범위에서의 재료의 처리를 의미한다.
발생하는 인장력으로 인해, 공정 기술에 관련된 연속적인 방법은 최소 재료 두께로 제한되며, 이는 상기 공정에서 예컨대 두께가 2㎜ 미만인 매우 얇은 재료들의 제조를 매우 어렵게 한다.
완성된 탄소섬유 부직포 롤들의 재단은 오직 평면 상태로만 실행된다. 재료들의 두께는 오직 원료의 두께에서 기인하며, 두께의 감소와 관련한 후속 재단은 불가능하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 매우 큰 단점은 연속적으로 가공될 수 있는 재료 두께와 관련한 제한이다. 현재, 매우 얇은 펠트의 제조는 단지 배치 공정들(batch process)에서만 가능하다. 이는 유연성의 제한으로 이어지는데, 그 이유는 두께와 관련하여 원료의 기하구조가 최종 기하구조를 사전 설정하기 때문이다. 재단은 산업 생산에서 반제품으로서 롤 제품을 이용할 때 단지 평면 상태로만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산업 규모로의 박형 탄소섬유 부직포의 연속적인 제조를 위한 간단하면서도 비용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층의 제조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출발 재료로서의 탄소섬유 부직포는 샘플 두께로의 수평 분할 공정으로 처리되고, 탄소섬유 부직포로부터 하나의 층 또는 연속적으로 복수의 층을 분할하기 위해 탄소섬유 부직포는 블레이드 구조물에 상대적으로 이동되며, 분할 후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은 탄소섬유 부직포로부터 연속적으로 분리되는 것인, 상기 방법을 통해 해결된다. 그에 따라, 산업 생산에서 박형 탄소섬유 부직포를 비용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수평 분할은 플라스틱 가공[가요성 발포체(flexible foam), DE 10 2010 004 205 A1호 참조, 또는 고무]에서, 가죽 제조[내피 가죽(split leather), DE 44 12 432 A1호 또는 DE 195 06 370 C2호 참조]에서, 그리고 부직포 직물 및 양모 펠트의 제조 및 가공(DE 3835007 A1호 참조)에서도 이용된다. 연질 펠트로서도 지칭되는 탄소섬유 부직포 및 유사한 재료들의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분할 공정이 이용되지 않는다.
원래의 탄소섬유 부직포의 특정한 특성들(기계적, 열적 및 전기적 특성)은 가능한 한 저하되지 않도록 유지된다.
샘플 두께는 샘플의 두께이다. 샘플에 대한 동의어는 표본이다. 두께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표면들 사이의 치수에 대한 표준(DIN 6730)에 따른 용어이다. 탄소섬유 부직포는 평면 직물(flat fabric)이다. 그에 따라, 샘플 두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처리되는 평면 직물의 두 표면(수평 위치에서 상면 및 하면) 사이의 치수이다. 그러므로 수평 분할은 평면 직물의 표면들 사이의 자신의 전체 면적에서 평면 직물을 분할하는 것을 지칭하며, 그럼으로써 2개의 평면 직물이 수득되며, 이들 평면 직물들 각각은 면적에 있어서 원래 평면 직물과 크기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단일의 두꺼운 직물 반제품으로부터도, 놀라울 정도로 탄소섬유들로 이루어진 복수의 박형 가요성 연질 펠트가 재단될 수 있으며, 이는 공정 효율을 대폭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고온 처리된 박형 부직포들의 연속적인 제조 역시도 비로소 전반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용되는 탄소섬유 부직포들은 바늘 펀칭(needle punching)을 통해, 또는 수류 결합(water jet entanglement)을 통해 제조된다. 바늘 펀칭 동안, 소면(carding)된 섬유 웨브들(fibrous web)은 기계적으로 경화되며, 금속 바늘들은 갈고리들(barb)을 이용하여 재료를 통과하도록 실들(thread)을 당긴다. 수류 결합의 경우에는, 바늘이 아니라 강력한 워터 제트가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섬유 부직포의 두께는 3 ~ 50㎜이고, 분할된 층의 두께는 적어도 0.2㎜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박형 탄소섬유 부직포는 연속해서 제조될 수 있고 두꺼운 탄소섬유 부직포들은 반제품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박형 탄소섬유 부직포는 예컨대 0.2㎜ 내지 2㎜의 두께를 갖는 분할된 층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섬유 부직포는 비스코스(viscos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피치(pitch) 또는 리그닌(lignin)을 기반으로 한다. 또 다른 부직포 직물들도 역시 가능하며, 다양한 탄소원들(carbon source)로부터의 현재 가용한 모든 탄소 섬유로 이루어진 재료들도 포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섬유 원료와 관련하여 높은 유연성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 블레이드 구조물은 밀링커터 유형의 절단 공구이거나, 밴드 나이프이거나, 각각 일측이 날카롭게 연마된 2개의 인접하는 개별 밴드 나이프를 구비한 이중 밴드 나이프이거나, 또는 진동 구동부를 구비한 자(ruler) 유형의 강성 분할 나이프(rigid splitting knife)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드 구조물의 블레이드들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평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연속해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간격을 두고 연마되고 자동으로 재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연마 분진은 흡입 제거된다. 롤러들 하부에서의 추가 흡입 제거는, 분리되는 모든 물질을 포함하여 하부 층이 깨끗하게 분리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층 또는 복수의 층의 분할 및 분리는 균일하고 일정한 인장력으로 수행된다. 이 경우, 5㎜ 훨씬 미만인 두께의 박층들이라고 해도 제어되면서 확실하게 배출된다.
인장력은 기계 몸체를 끌어당기는, 다시 말해 몸체에서 힘 발생기 쪽으로 작용하는 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의 경우, 기계식 권취기는 설비에서의 속도를 설정할 수 있으며, 펠트는 설비로부터 빼내진다. 이런 경우에, 인장력은 1킬로뉴턴 미만일 수 있다. 두 분할 펠트(도 1)는 바람직하게는 제어되어 동일한 힘으로 빼내지며, 이는 안정된 응력 상태 및 일정한 두께를 달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제조되는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층이다. 최초에 기재한 것처럼, 박형 탄소섬유 부직포들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원래 방식으로 제조되며, 다시 말해 상응하는 부직포 성형 기계는 원하는 두께의 부직포를 한결같이 생산한다. 이 경우, 원래 방식으로 제조되는 상기 층들의 표면은, 직물 제조 공정으로 인해, 완전하게 균일하지 않고 울퉁불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층의 표면은 예리한 밴드 나이프를 이용한 정확한 분할을 통해 훨씬 더 균일하고 더 평탄하다. 추가의 구별되는 특징은, 절단 공정을 통해 부직포 층의 표면 상에 말기 탄소섬유들(terminal carbon fiber)의 축적물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분할되고 원래 방식으로 제조된 박형 탄소섬유 부직포들은 단지 시각상으로도, 다시 말해 관찰을 통해서도 서로 구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제조되는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하나 또는 복수의 층의 이용은,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적용 분야들, 고온 배터리들, 산화환원 유동 배터리들을 위한 전극 재료로서, 또는 고온 절연 재료로서 실현된다. 그에 따라, 광범위한 사용 가능성이 제공된다. 바로 에너지 저장 기술은 높은 가격 압박을 받고 있기 때문에, 경제적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위해 매우 바람직하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제조되는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하나 또는 복수의 층의 이용은, 연료 전지들 내 가스 확산층들(GDL)을 위해 실현된다. 이용되는 GDL 재료에 대한 예시는 3D 부직포 또는 2D 종이(paper)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의 매우 얇은 재료들에서도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더 폭넓은 기술 스펙트럼이 제공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탄소섬유 부직포 몸체(1)가 회전식 밴드 나이프(4)에 의해 어떻게 2개의 반부로 분할되고 이송 롤러들(3)을 통해서는 어떻게 롤 제품으로 가공되는지 그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기 대칭형 분할 공정에 추가로, 비대칭형 분할 공정 역시도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연속적인 연마가 가능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가공도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일정하게 우수한 단면 이미지(section image)를 달성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비스코스를 기반으로 한 6㎜ 두께의 탄소섬유 펠트는 2개의 3㎜ 두께의 반부로 분할된다. 분할된 롤들의 두께는, 기계를 통과하도록 재료를 이송하는 이송 롤러들의 수직 위치들을 통해 결정된다. 대칭형 분할 결과의 경우, 상부 롤러 및 하부 롤러에 대해 동일한 설정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재료는 이송을 보장하기 위해 약간 압축되어야 하기 때문에, 간극은 초기 밀도(initial density)의 반보다 약간 더 작게 설정되어야 한다. 탄소섬유 펠트의 경우, 10%의 압축이 이용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값에서 어떠한 재료 손상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송 롤러들의 상부 오프셋 및 하부 오프셋은 2.7㎜이다.
설비의 이송 속도는 8m/min이고, 밴드 나이프의 회전 속도는 5m/s이다. 밴드 나이프는 깨끗한 단면 이미지를 보장하기 위해 연속적으로 연마된다.
그 결과, 분할 펠트의 롤 2개가 제조된다. 분할된 표면은 놀라울 정도로 양호하다(시각적으로 매끄럽고 균일하다). 두께 방향으로는 비전기저항(specific electrical resistance)이 측정될 수 있다.
전체 펠트 폭에 걸친 흡입 장치는 분할된 제품에서 최대로 가능한 분진 및 입자 자유도를 제공한다.
PAN 또는 비스코스 기반의 분할된 탄소섬유 펠트들의 측정된 특성 값(탄소 물질의 시험):
회분 함량(고형물) 측정.
DIN 51903(580℃ 온도)에 따른 회분 함량:
< 0.05%(PAN 기반);
< 0.1%(비스코스 기반).
전류 전압법(고형물)에 따른 비전기저항 측정.
DIN 51911(펠트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에 따른 ER(x/y):
< 5Ω㎜(PAN 기반);
< 12Ω㎜(비스코스 기반).
전류 전압법(고형물)에 따른 비전기저항 측정.
DIN 51911(펠트 평면 내)에 따른 ER(z):
< 2Ω㎜(PAN 기반);
< 4Ω㎜(비스코스 기반).
비교 방법(고형물)에 따른 실온에서의 열 전도도.
DIN 51908(펠트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에 따른 TC (thermal conductivity):
0.1 ~ 0.4W/mK(PAN 기반);
0.02 ~ 0.1W/mK(비스코스 기반).
1: 탄소섬유 부직포 몸체
2: 분할된 층
3: 가이드 롤러
4: 이송 롤러

Claims (9)

  1.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층 제조 방법에 있어서, 출발 재료로서의 탄소섬유 부직포는 샘플 두께로의 수평 분할 공정으로 처리되고, 상기 탄소섬유 부직포로부터 하나의 층 또는 연속적으로 복수의 층을 분할하기 위해 상기 탄소섬유 부직포는 블레이드 구조물에 상대적으로 이동되며, 분할 후 상기 하나의 층 또는 상기 복수의 층은 상기 탄소섬유 부직포로부터 연속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층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분할될 탄소섬유 부직포의 두께는 3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층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분할된 층의 두께는 적어도 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층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 부직포는 비스코스, PAN, 피치 또는 리그닌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층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구조물은, 밀링커터 유형의 절단 공구이거나, 밴드 나이프이거나, 각각 일측이 날카롭게 연마된 2개의 인접하는 개별 밴드 나이프를 구비한 이중 밴드 나이프이거나, 또는 진동 구동부를 구비한 자 유형의 강성 분할 나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층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층의 분할 및 분리는 균일하게, 그리고 일정한 인장력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층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복수의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서 제조되는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층.
  8. 배터리 적용 분야들, 고온 배터리들, 산화환원 유동 배터리들을 위한 전극 재료로서, 또는 고온 절연 재료로서 제7항에 따른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층의 이용.
  9. 연료 전지 내 가스 확산층들을 위한 제7항에 따른 탄소섬유 부직포 소재의 층의 이용.
KR1020187002912A 2015-07-02 2016-06-29 수평 분할 공정을 통한 박형 탄소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1021325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12417.7A DE102015212417B4 (de) 2015-07-02 2015-07-02 Verwendung von dünnen Carbonfaservliesen hergestellt durch einen Horizontalspaltprozess
DE102015212417.7 2015-07-02
PCT/EP2016/065099 WO2017001453A1 (de) 2015-07-02 2016-06-29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ünnen carbonfaservliesen durch einen horizontalspaltproz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939A true KR20180022939A (ko) 2018-03-06
KR102132545B1 KR102132545B1 (ko) 2020-07-10

Family

ID=5649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912A KR102132545B1 (ko) 2015-07-02 2016-06-29 수평 분할 공정을 통한 박형 탄소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208745B2 (ko)
EP (1) EP3317455A1 (ko)
JP (1) JP6785806B2 (ko)
KR (1) KR102132545B1 (ko)
CN (1) CN107980020A (ko)
DE (1) DE102015212417B4 (ko)
HK (1) HK1254554A1 (ko)
WO (1) WO201700145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552B1 (ko) 2019-03-21 2020-07-14 주식회사 나노플랜 기능성 부직포가 적용된 신발
KR102142897B1 (ko) 2019-02-14 2020-08-10 주식회사 나노플랜 기능성 부직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3044A (zh) * 2018-06-25 2018-11-06 张家港市金星纺织有限公司 一种新型透液性纤维布
CN111514453B (zh) * 2020-04-30 2021-05-04 浙江荣企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双排纽扣型理疗电极片成型机
CN111571667A (zh) * 2020-05-29 2020-08-25 成都阿茂芙科技有限公司 一种pet塑料片材挤出生产线
JP7415255B2 (ja) * 2021-09-14 2024-01-1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電極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320A (en) * 1912-03-23 1915-11-23 Allis Chalmers Mfg Co Electrical protective device.
DE2547958A1 (de) * 1975-10-27 1977-05-05 Hacoba Textilmaschin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duenner faservliese, insbesondere wirrfaservliese
JPH05318218A (ja) * 1992-05-22 1993-12-03 Fuji Heavy Ind Ltd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積層板の切削方法
JP2003213555A (ja) * 2002-01-09 2003-07-30 Toho Tenax Co Ltd ポリアクリロニトリル系酸化繊維不織布、炭素繊維不織布、及び炭素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JP2005240224A (ja) * 2004-02-26 2005-09-08 Toho Tenax Co Ltd 高密度耐炎繊維不織布及び炭素繊維不織布、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20093926A (ko) * 2009-10-06 2012-08-23 에스지엘 카본 에스이 연질 탄소 섬유 펠트 및 경질 탄소 섬유 펠트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72891U (de) * 1963-02-11 1963-05-30 Correcta Werke Gmbh Horinzontalschneidemaschine.
US3437539A (en) * 1965-10-18 1969-04-08 Johnson & Johnson Method of making a non-woven fabric by splitting
DE3737504A1 (de) * 1987-11-05 1989-05-24 Beloit Corp Rollenschneidemaschine
DE3835007A1 (de) * 1988-10-13 1990-04-19 Gruenzweig & Hartman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delfilz aus steinwolle
JPH0214056A (ja) * 1988-12-15 1990-01-18 Kuraray Co Ltd 繊維絡合不織布
WO1991005208A1 (en) * 1989-10-03 1991-04-18 Brian William Harris Cooking oven
US5678369A (en) * 1992-12-28 1997-10-21 Ig-Technical Research Inc. Refractory/heat insulating panels
IT1271147B (it) * 1994-03-18 1997-05-27 Sagitta Off Mec Macchina spaccapelle perfezionata
DE4412432A1 (de) * 1994-04-12 1995-10-19 Ludwig Kiener Spaltmaschine für weichelastisches Flachmaterial, insbesondere Leder, sowie Verwendung der Maschine und Verfahren zum Reliefspalten und zugehörige Reliefschablone
US6269724B1 (en) 1997-09-29 2001-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continuous web from a block of material
DE19915456A1 (de) * 1999-04-01 2000-10-05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rmeisolierende Wandung
WO2005072951A1 (de) 2004-01-31 2005-08-11 Deutsche Rockwool Mineralwoll Gmbh & Co. Oh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ämmstoffbahn aus mineralfasern sowie dämmstoffbahn
DE102004047193A1 (de) * 2004-01-31 2005-09-22 Deutsche Rockwool Mineralwoll Gmbh + Co Oh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ämmstoffbahn aus Mineralfasern sowie Dämmstoffbahn
US20050284065A1 (en) * 2004-06-02 2005-12-29 Shaffer Roy E Faced fibrous insulation
US20060008614A1 (en) * 2004-07-12 2006-01-12 Rockwell Anthony L Die cut mesh material from polymer fiber
US8402961B2 (en) * 2007-04-09 2013-03-26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Insulation configuration for thermal appliances
US20110159767A1 (en) * 2008-06-12 2011-06-30 Teijin Limited Nonwoven fabric, felt and production processes therefor
US8524622B2 (en) * 2009-04-10 2013-09-03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Skin material of vehicle interior equip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DE102010004205B4 (de) * 2010-01-08 2012-11-08 Fecken-Kirfel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palten von Schaumstoffkörpern
CN102713039B (zh) * 2010-01-21 2014-11-12 太克万株式会社 碳纤维制无纺布、碳纤维、以及它们的制造方法、电极、电池、以及过滤器
US20120031389A1 (en) * 2010-08-05 2012-02-09 Mcmaster William J Oven door
TW201211469A (en) * 2010-09-15 2012-03-16 Zhang Xun Ya Improved furnace structure
PL2465985T3 (pl) * 2010-12-17 2015-08-31 Mondi Consumer Packaging Tech Gmbh Sposób wytwarzania elastycznego materiału kompozytowego o powierzchni tekstylnej
MX363877B (es) * 2011-09-20 2019-04-05 Pregis Innovative Packaging Llc Aparato de asistencia de ruptura.
DE102011083118A1 (de) 2011-09-21 2013-03-21 Future Carbon Gmbh Gasdiffusionsschicht mit verbesserter elektrischer Leitfähigkeit und Gasdurchlässigkeit
US9837667B2 (en) * 2012-12-05 2017-12-05 Toray Industries, Inc. Carbon-fiber nonwoven cloth and gas diffusion electrode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using same,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method for manufacturing carbon-fiber nonwoven cloth, and composite sheet
DE102013217882A1 (de) 2013-09-06 2015-03-12 Sgl Carbon Se Elektrodensubstrat aus Kohlenstofffasern
CA2927098C (en) * 2013-12-27 2020-07-14 Toray Industries, Inc. Carbon fiber nonwoven fabric, production method for carbon fiber nonwoven fabric, and nonwoven fabric of carbon fiber precurser fibers
JP2017514035A (ja) * 2014-04-28 2017-06-01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イオン補強材料を含む不織布繊維構造、及び方法
JP6551776B2 (ja) * 2015-03-25 2019-07-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不織布および炭素繊維不織布
CN109792061A (zh) * 2016-09-30 2019-05-2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碳系材料以及具有该碳系材料的电极和微生物燃料电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320A (en) * 1912-03-23 1915-11-23 Allis Chalmers Mfg Co Electrical protective device.
DE2547958A1 (de) * 1975-10-27 1977-05-05 Hacoba Textilmaschin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duenner faservliese, insbesondere wirrfaservliese
JPH05318218A (ja) * 1992-05-22 1993-12-03 Fuji Heavy Ind Ltd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積層板の切削方法
JP2003213555A (ja) * 2002-01-09 2003-07-30 Toho Tenax Co Ltd ポリアクリロニトリル系酸化繊維不織布、炭素繊維不織布、及び炭素繊維不織布の製造方法
JP2005240224A (ja) * 2004-02-26 2005-09-08 Toho Tenax Co Ltd 高密度耐炎繊維不織布及び炭素繊維不織布、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20120093926A (ko) * 2009-10-06 2012-08-23 에스지엘 카본 에스이 연질 탄소 섬유 펠트 및 경질 탄소 섬유 펠트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897B1 (ko) 2019-02-14 2020-08-10 주식회사 나노플랜 기능성 부직포
KR102131552B1 (ko) 2019-03-21 2020-07-14 주식회사 나노플랜 기능성 부직포가 적용된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545B1 (ko) 2020-07-10
HK1254554A1 (zh) 2019-07-19
CN107980020A (zh) 2018-05-01
EP3317455A1 (de) 2018-05-09
JP6785806B2 (ja) 2020-11-18
JP2018529030A (ja) 2018-10-04
WO2017001453A1 (de) 2017-01-05
US20180127906A1 (en) 2018-05-10
DE102015212417A1 (de) 2017-01-05
US11208745B2 (en) 2021-12-28
DE102015212417B4 (de)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545B1 (ko) 수평 분할 공정을 통한 박형 탄소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CN101219306B (zh) 机械加固与水射流加固结合的非织造过滤材料及制作方法
JP3152748U (ja) カーボン不織布
CN102152556A (zh) 一种聚酯针刺呢及其制造方法
CN102551577B (zh) 一种湿巾生产设备、工艺及湿巾
CN108998891A (zh) Ptfe针刺毡铺网控制装置
CN102260960A (zh) 聚丙烯腈基预氧化纤维毡的制备方法
CN110917727A (zh) 涤纶针刺毡表层混入pet/copet双组份低熔点纤维的滤料及其制备方法
CN102505344A (zh) 玄武岩针刺保温隔热材料及其制作工艺
KR20180012743A (ko) 아라미드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N204325692U (zh) 一种玻璃纤维缝编毡废边自动收取装置
CN103331058A (zh) 一种作为迎尘面的氟纤维高温过滤材料加工方法
CN107747164B (zh) 一种电缆光缆膨胀阻水带用超薄型无纺布及其生产方法
CN202390591U (zh) 针刺梳割法制造ptfe短纤维用成套设备
CN101972567A (zh) 一种复合滤料的生产方法
CN203034175U (zh) 一种梳棉机
CN112870851A (zh) 一种聚四氟乙烯超细纤维的加工装置及其使用方法
CN204918979U (zh) 一种经编双轴向边料自动收集装置
CN217579461U (zh) 一种用于水刺非织造布分切机的切刀组件
CN217437335U (zh) 一种无纺布生产用卷绕分切装置
CN115382301B (zh) 一种耐高温玻纤复合基布水刺滤料及其制备方法
CN210066310U (zh) 一种无纺布分切机
Hao et al. The effect of drawing process on the properties of split-film ptfe fiber
CN202594479U (zh) 高速分切机
CN219363989U (zh) 真空绝热板超短玻璃纤维毡的均匀成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