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897B1 - 기능성 부직포 - Google Patents

기능성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897B1
KR102142897B1 KR1020190017058A KR20190017058A KR102142897B1 KR 102142897 B1 KR102142897 B1 KR 102142897B1 KR 1020190017058 A KR1020190017058 A KR 1020190017058A KR 20190017058 A KR20190017058 A KR 20190017058A KR 102142897 B1 KR102142897 B1 KR 102142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nonwoven fabric
thermal insulation
nanofiber web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도혁
김영준
권병민
김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플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플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플랜
Priority to KR1020190017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8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7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using different kinds of webs, e.g. by layering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46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System; Titanates; Zirconates; Stannates; Plumb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7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silicon or compounds thereof with silicon dioxide, silicic acids or their sal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부직포와 그 제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부직포층;
상기 부직포층 상부에 형성되고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보온층; 상기 보온층 상부에 형성된 나노섬유웹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기능성 부직포를 제공하고,
그 제조장치로는, 권취된 부직포를 소정 속도로 풀어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부직포권취롤;
상기 부직포권취롤에서 풀려진 부직포의 진행라인 상에 배열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 상에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한 방사용액을 섬유상 방사 혹은 도트상으로 방사하여 보온층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보온층 방사기와;
상기 각 보온층 방사기의 후단에 각각 구비된 보온층 라미네이팅기;
상기 보온층 라미네이팅기 중 최후방에 설치된 보온층 라미네이팅기 후단에 구비되어 부직포층과 보온층으로 이뤄진 복수의 복합보온층 상부에 나노섬유 웹층을 형성하는 나노섬유 방사기 및;
상기 나노섬유 방사기 후단에 구비된 나노섬유웹용 라미네이팅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제조방법은, 부직포권취롤에서 풀려진 부직포층 상에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한 방사용액을 섬유상 방사 혹은 도트상으로 방사하여 보온층을 형성하는 보온층 형성단계;
형성된 보온층과 부직포층을 압착하여 라미네이팅하는 제1 라미네이팅단계;
상기 제1 라미네이팅단계를 통해 형성된 보온층과 부직포층으로 이뤄진 복합보온층에 대해 상기 보온층 형성단계와 제1 라미네이팅단계를 복수회 반복하여 복합보온층을 적층하는 복합보온층 적층단계;
상기 복합보온층 적층단계를 통해 형성된 복합보온층 최상부에 나노섬유를 방사하여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나노섬유웹 형성단계;
상기 나노섬유웹을 압착하여 라미네이팅하는 나노섬유웹 라미네이팅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부직포{Functional 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기능성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에 기능성 보온층과 나노섬유웹층을 부가하여 두께가 얇으면서도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투습성, 발수성, 방풍성이 구비되도록 하는 한편, 연속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기능성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는 기공이 많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어 보온재로 사용되고 있다. 기공은 공기층을 형성하여 열전달율을 낮추어 줌으로써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같이 열차단성능이 좋은 부직포는 신발 깔창, 아웃도어용 의류, 이불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다.
열전도율을 낮추기 위해 부직포를 두껍게 적층할 수 있으나, 제품 특성상 얇은 두께를 유지해야하는 아웃도어용 의류 등에는 적용에 제한이 따를 수밖에 없다.
한편, 부직포의 열차단 성능을 높이기 위해 에어로겔 등의 보온성 물질을 바인더용 폴리머와 함께 솔벤트 등의 용매에 혼합하여 부직포 표면을 코팅하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이 때 에어로겔 입자는 부직포의 기공을 막아주어 열차단 성능이 높아지는 측면은 있으나, 부착력이 약하여 에어로겔 입자가 부직포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점도가 높은 바인더용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으나, 그럴 경우 에어로겔 입자가 폴리머의 높은 점도로 인해 균일하게 용액에 섞이지 않는 측면이 있고, 폴리머의 높은 점도로 인해 에어로겔 입자가 부직포의 기공 속으로 잘 스며들지 않는 문제 또한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에어로겔 입자가 부직포의 기공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면 열차단 특성은 향상되지만, 습기 등을 배출하는 투습성이 나빠져 아웃도어용 의류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부직포의 보온성을 높임과 동시에 투습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보온성향상을 위한 기능성 물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기능성 부직포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022939호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보온성과 투습성이 동시에 향상된 기능성 부직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보온성 향상에 기여하는 기능성 물질이 부직포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능성 부직포 외부 표면의 촉감을 부드럽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기능성 부직포 외부 표면에 발수, 방풍 성능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부직포층;
상기 부직포층 상부에 형성되고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보온층;
상기 보온층 상부에 형성된 나노섬유웹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전체 두께가 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직포층과 보온층으로 이뤄진 복합보온층이 복수개 적층된 최상부에 상기 나노섬유웹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층을 형성하는 나노섬유는 굵기가 1000nm이하인 섬유를 웹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주체가 되는 고분자로서는 PU(polyurethane), PVDF(poly vinylidenefluoride), PLA(polylacticacid), PGA(poly glycolic acid), PLLA(poly-l-lactic acid), PCL(polyacproactone), PS(polystylene), PVA(polyvinylalchol), PAN(polyacylonitrile), PA(polyamide), PS(polysulfone), PVP(polyvinylpyrrolidone), PES(polyethersulfone), 젤라틴(gelatin), 콜라젠(collagen) 중에서 택일된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층에는 에어로겔, 실라카겔, 제올라이트, 티타늄 옥사이드, 금속 및 세라믹 물질 중에서 택일된 하나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층을 형성하는 나노섬유에는 접착성을 위한 핫멜트(Hot melt)용 고분자 수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온층은 나노섬유웹에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이 포함되어, 보온성과 투습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온층에 포함되는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은 에어로겔, 실라카겔, 제올라이트, 티타늄 옥사이드, 금속 및 세라믹 물질 중에서 택일된 하나 혹은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권취된 부직포를 소정 속도로 풀어서 이송시키는 하나 이상의 부직포권취롤;
상기 부직포권취롤에서 풀려진 부직포의 진행라인 상에 배열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 상에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한 방사용액을 섬유상 방사 혹은 도트상으로 방사하여 보온층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보온층 방사기와;
상기 각 보온층 방사기의 후단에 각각 구비되어 보온층을 압착하는 보온층 라미네이팅기;
상기 보온층 라미네이팅기 중 최후방에 설치된 보온층 라미네이팅기 후단에 구비되어 부직포층과 보온층으로 이뤄진 복수의 복합보온층 상부에 나노섬유 웹층을 형성하는 나노섬유 방사기 및;
상기 나노섬유 방사기 후단에 구비되어 나노섬유웹층을 압착하는 나노섬유웹층 라미네이팅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권취롤에서 풀려진 부직포층 상에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보온층을 형성하는 보온층 형성단계;
형성된 보온층을 압착하여 라미네이팅하는 보온층 라미네이팅단계;
상기 보온층 라미네이팅단계를 통해 형성된 보온층과 부직포층으로 이뤄진 복합보온층에 대해 상기 보온층 형성단계와 보온층 라미네이팅단계를 복수회 반복하여 복합보온층을 적층하는 복합보온층 적층단계;
상기 복합보온층 적층단계를 통해 형성된 복합보온층 최상부에 나노섬유를 방사하여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나노섬유웹 형성단계;
상기 나노섬유웹을 압착하여 라미네이팅하는 나노섬유웹 라미네이팅단계;를 포함하며,
최종적으로 최상층에 나노섬유웹층이 형성되고, 상기 나노섬유웹층 하부에는 보온층과 부직포층으로 이뤄진 복합보온층이 복수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온층 형성단계(S10)는 전기방사법 중 나노스프레이 코팅법으로 전기방사함으로써, 고분자 함량을 최소화하여 열전도도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나노섬유웹 형성단계(S40)는 전기방사법 중 나노섬유화법으로 전기방사함으로써, 촉감을 부드럽게 하고 기공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직포의 보온성과 투습성이 동시에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온성 향상에 기여하는 기능성 물질이 부직포로 부터 이탈되지 않아 보온성이 장시간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직포 외부 표면의 촉감이 부드러워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생산라인을 통하여 보온층과 부직포층으로 이뤄진 복합보온층이 층상구조로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생산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층에 보온층이 적층된 단면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층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부직포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부직포 제조장치의 보온층 방사기와 나노섬유 방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부직포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층(100)에 보온층(102)이 적층된 단면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층(102)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부직포(101)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부직포 제조장치의 보온층 방사기(210)와 나노섬유 방사기(212)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층(102)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부직포(101)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부직포(101)는 부직포층(100), 보온층(102), 나노섬유웹층(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직포(101)의 보온성을 높이는 한편, 투습성과 방수성, 방풍성 등을 부여하기 위해 부직포층(100)에 보온층(102)과 나노섬유웹층(130)을 적층하였다.
보온층(102)은 부직포층(100) 상부에 형성되고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이 포함된다. 보온층(102)에 포함되는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은 에어로겔, 실라카겔, 제올라이트, 티타늄 옥사이드, 금속 및 세라믹 물질 중에서 택일된 하나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다.
보온층(102)은 기능성물질을 포함한 방사용액을 부직포(101) 표면 상에 전기방사하여 형성된다. 이렇게 전기방사를 통해 형성된 보온층(10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성입자들 사이에 미세 기공이 형성된 나노섬유를 이루게 된다.
기능성 입자, 예를 들면 에어로겔 입자(140)는 부직포(101)의 기공을 막아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에어로겔 입자(140) 사이에 미세 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습기를 투과시켜 투습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기방사를 통해 보온층(102)이 부직포층(100)의 표면 상에 형성됨으로써, 기능성 입자를 부직포(101)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기능성 입자는 나노섬유 구조를 이루고 있어 부착력이 향상되므로, 부직포층(100)으로부터 잘 이탈되지 않아 보온성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부직포층(100)과 그 위에 적층된 보온층(102)을 복합보온층(120)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는 보온성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복합보온층(120)이 적층되도록 하였다.
복수개로 적층된 복합보온층(120)의 최상부에는 나노섬유웹층(130)이 형성된다.
나노섬유웹층(130)을 형성하는 나노섬유는 굵기가 1000nm이하인 섬유를 웹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주체가 되는 고분자로서는 PU(polyurethane), PVDF(poly vinylidenefluoride), PLA(polylacticacid), PGA(poly glycolic acid), PLLA(poly-l-lactic acid), PCL(polyacproactone), PS(polystylene), PVA(polyvinylalchol), PAN(polyacylonitrile), PA(polyamide), PS(polysulfone), PVP(polyvinylpyrrolidone), PES(polyethersulfone), 젤라틴(gelatin), 콜라젠(collagen) 중에서 택일된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를 방사가능한 정도의 점도로 용해하기 위한 용매로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acetamide),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메틸 에틸 케톤(methyl ethyl ketone), 아세톤(acetone), 디클로로벤젠dichlorobenzene), 에탄올(Ethanol), 메탄올(methannol),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alcohol), 트리플루오로에탄올(trifluoroethanol), 트리클로로에탄올(trichloroethanol), 테트라 하이드로푸란(tetra hydrofuran), n- 메틸-2-필로리돈(n-methyl-2-pyrrolidinone), 디메틸 슬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페놀(phenol), 노모크로로벤젠(nomochlorobenzne), 자일렌(xylene), 폼산(fomic acid),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아세트산(acetic acid), 황산(sulfuric acid), 물(water) 등을 단독 내지는 복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나노섬유웹의 방사과정에서 첨가제를 더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의 예로는 접착성을 위한 핫멜트(Hot melt)용 고분자 수지를 더 첨가할 수 있는데, 그 예로는 PP(polypropylene) hot melt, EVA(ethylene vinyl acetate) hot melt, 폴리아미드 hot melt, 폴리우레탄 hot melt 등을 단독 내지 복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착성을 위한 핫멜트용 고분자 수지는 나노섬유웹층(130)과 보온층(102)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한다.
또한 상기 첨가제의 다른 예로는 항균제와 항취제 및 보온성물질을 선택적으로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와 용매 및 첨가제는 전기방사시 섬유상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농도가 적당하며, 용매에 대해 고분자 물질은 약 5 ~ 90 중량%의 범위가 적당하고, 첨가제는 상기 나노섬유웹을 위한 고분자와 용매 혼합물 100중량 기준 1-30중량부를 사용한다.
보온층(102) 상부에 적층된 나노섬유웹층(130)은 촉감이 부드러워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여준다.
한편, 나노섬유웹층(130)은 나노섬유의 특징인 발수성, 방풍성을 부가하여 제품의 부가가치를 한층 높여준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생산라인을 통해 보온층(102)과 부직포층(100)으로 이뤄진 복합보온층(120)이 층상구조로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생산되도록 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부직포(101) 제조장치는 부직포권취롤(200), 보온층 방사기(210), 보온층 라미네이팅기(211), 나노섬유 방사기(212), 나노섬유웹층 라미네이팅기(213)를 포함한다.
부직포권취롤(200)은 권취된 부직포(101)를 소정 속도로 풀어서 이송시키며, 하나 이상 배치된다.
보온층 방사기(210)는 부직포권취롤(200)에서 풀려진 부직포(101)의 진행라인 상에 배열 설치되어 상기 부직포(101) 상에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한 방사용액을 섬유상 방사 혹은 도트상으로 전기방사하여 보온층(102)을 형성하며, 하나 이상 배치된다.
보온층 방사기(21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사용액이 일측으로 공급되고 방사용액이 배출되는 다수개의 통공(214)이 천공된 방사용액 공급관(215), 상기 방사용액 공급관(215)의 통공(214)에 고정설치되는 노즐(216), 상기 방사용액 공급관(215)이 삽입되는 삽입홈(217)이 일측에 형성된 몸체(218), 상기 노즐(216)이 관통되는 관통공(219a)이 천공되어 몸체(218)의 삽입홈(217)을 폐쇄하여 방사용액 공급관(215) 및 노즐(216)을 위치 고정시키는 덮개(2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온층 방사기(210)는 상기 노즐(216)을 포함하는 노즐몸체가 1줄 이상 설치되어 각 노즐몸체가 구동수단에 의하여 서로 다른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하여 보온층(102)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온층 방사기(210)는 전기 용액 방사, 전기 용융 방사 등 공지의 방사방법 중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보온층 라미네이팅기(211)는 각 보온층 방사기(210)의 후단에 각각 구비되어 보온층(102)을 압착한다.
상기 보온층 라미네이팅기(211)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하부 롤러와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상부 롤러, 상기 상/하부롤러간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유압식 압력조절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기 및 오일에 의하여 롤러를 가열하여 0~10Nkg압력으로 부직포(101)의 이송속도와 연동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나노섬유 방사기(212)는 보온층 라미네이팅기(211) 중 최후방에 설치된 보온층 라미네이팅기(211) 후단에 구비되어 부직포층(100)과 보온층(102)으로 이뤄진 복수의 복합보온층(120) 상부에 나노섬유 웹층을 형성한다.
나노섬유 방사기(212)의 세부 구조는 보온층 방사기(210)와 동일하나, 방사용액을 달리하여 방사가 이뤄진다.
나노섬유웹층 라미네이팅기(213)는 나노섬유 방사기(212) 후단에 구비되어 나노섬유웹층(130)을 압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부직포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부직포 제조방법은 보온층 형성단계(S10), 보온층 라미네이팅단계(S20), 복합보온층 적층단계(S30), 나노섬유웹 형성단계(S40), 나노섬유웹 라미네이팅단계(S50)를 포함한다.
보온층 형성단계(S10)는 부직포권취롤(200)에서 풀려진 부직포층(100) 상에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한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보온층(102)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는 보온성을 높이기 위해 고분자의 함량을 최소화하고 보온성 물질인 에어로겔의 함량은 높이도록 하였다. 고분자의 함량이 증가하면 고분자를 통한 전도 열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보온층 형성단계(S10)는 전기방사법 중 나노섬유화법 또는 나노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나노섬유화법은 방사물질의 점도를 높게 하여 가는 화이버의 형태로 방사가 이뤄지는 방식이고, 나노스프레이 코팅법은 방사물질의 점도를 낮게 하여 입자 형태로 뿌려지는 방식이다. 고분자의 함량을 최소화하고 보온성 물질인 에어로겔의 함량은 높이기 위해 나노스프레이 코팅법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보온층 라미네이팅단계(S20)는 형성된 보온층(102)을 압착하여 라미네이팅하는 단계이다.
복합보온층 적층단계(S30)는 상기 보온층 라미네이팅단계(S20)를 통해 형성된 보온층(102)과 부직포층(100)으로 이뤄진 복합보온층(120)에 대해 상기 보온층 형성단계(S10)와 보온층 라미네이팅단계(S20)를 복수회 반복하여 복합보온층(120)을 적층하는 단계이다.
나노섬유웹 형성단계(S40)는 상기 복합보온층 적층단계(S30)를 통해 형성된 복합보온층(120) 최상부에 나노섬유를 방사하여 나노섬유웹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나노섬유웹 형성단계(S40)는 전기방사법 중 나노섬유화법 또는 나노스프레이 코팅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나노섬유화법은 방사물질의 점도를 높게 하여 가는 화이버의 형태로 방사가 이뤄지는 방식이고, 나노스프레이 코팅법은 방사물질의 점도를 낮게 하여 입자 형태로 뿌려지는 방식이다. 상기 나노섬유웹은 나노섬유화법으로 전기방사함으로써, 촉감을 부드럽게 하고 기공 조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노섬유웹 라미네이팅단계(S50)는 상기 나노섬유웹을 압착하여 라미네이팅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부직포(101)는 최상층에 나노섬유웹층(130)이 형성되고, 상기 나노섬유웹층(130) 하부에는 보온층(102)과 부직포층(100)으로 이뤄진 복합보온층(120)이 복수개 적층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기능성 부직포(101)는 부직포층(100) 상부에 적층된 보온층(102)이 열전달을 차단하면서도 습기는 배출되며, 최상부에 형성된 나노섬유웹층(130)이 나노섬유의 특성상 발수성 및 방풍성을 더함과 동시에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여 제품의 부가가치를 한층 높여준다.
부직포층 100
부직포101
보온층102
복합보온층120
나노섬유웹층130
에어로겔입자140
부직포권취롤200
가이드롤러201
보온층 방사기210
보온층 라미네이팅기211
나노섬유 방사기212
나노섬유웹층 라미네이팅기213
통공 214
공급관 215
노즐 216
삽입홈 217
몸체 218
덮개 219
관통공219a
보온층 형성단계(S10)
보온층 라미네이팅단계(S20)
복합보온층 적층단계(S30)
나노섬유웹 형성단계(S40)
나노섬유웹 라미네이팅단계(S50)

Claims (11)

  1. 부직포층(100);
    상기 부직포층(100) 상부에 형성되고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이 포함된 보온층(102);
    상기 보온층(102) 상부에 형성된 나노섬유웹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나노섬유웹층(130)을 형성하는 나노섬유에는 접착성을 위한 핫멜트(Hotmelt)용 고분자 수지가 더 포함되며,
    상기 보온층과 나노섬유웹층은 전기방사에 의해 미세 기공이 유지되어 보온성 및 투습성이 향상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층(100)과 보온층(102)으로 이뤄진 복합보온층(120)이 복수개 적층된 최상부에 상기 나노섬유웹층(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층(130)을 형성하는 나노섬유는 굵기가 1000nm이하인 섬유를 웹형으로 형성한 것으로, 주체가 되는 고분자로서는 PU(polyurethane), PVDF(poly vinylidenefluoride), PLA(polylacticacid), PGA(poly glycolic acid), PLLA(poly-l-lactic acid), PCL(polyacproactone), PS(polystylene), PVA(polyvinylalchol), PAN(polyacylonitrile), PA(polyamide), PS(polysulfone), PVP(polyvinylpyrrolidone), PES(polyethersulfone), 젤라틴(gelatin), 콜라젠(collagen) 중에서 택일된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층(130)에는 에어로겔, 실라카겔, 제올라이트, 티타늄 옥사이드, 금속 및 세라믹 물질 중에서 택일된 하나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층(102)은 나노섬유웹에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이 포함되어, 보온성과 투습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층(102)에 포함되는 보온성을 갖는 기능성 물질은 에어로겔, 실라카겔, 제올라이트, 티타늄 옥사이드, 금속 및 세라믹 물질 중에서 택일된 하나 혹은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부직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17058A 2019-02-14 2019-02-14 기능성 부직포 KR102142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58A KR102142897B1 (ko) 2019-02-14 2019-02-14 기능성 부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058A KR102142897B1 (ko) 2019-02-14 2019-02-14 기능성 부직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897B1 true KR102142897B1 (ko) 2020-08-10

Family

ID=7204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058A KR102142897B1 (ko) 2019-02-14 2019-02-14 기능성 부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503B1 (ko) 2022-08-26 2023-03-22 엔디티엔지니어링(주) 에어로젤 블랭킷 원단 자동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735A (ko) * 2012-08-06 2014-02-1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단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8921A (ko) * 2013-11-21 2015-05-29 (주)에프티이앤이 나노섬유 제조용 복합식 전기방사장치
KR20160009496A (ko) * 2014-07-15 2016-01-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단열 테이프, 이를 구비한 복합 시트 및 전자기기
KR20180022939A (ko) 2015-07-02 2018-03-06 에스지엘 카본 에스이 수평 분할 공정을 통한 박형 탄소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9735A (ko) * 2012-08-06 2014-02-1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단열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8921A (ko) * 2013-11-21 2015-05-29 (주)에프티이앤이 나노섬유 제조용 복합식 전기방사장치
KR20160009496A (ko) * 2014-07-15 2016-01-26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단열 테이프, 이를 구비한 복합 시트 및 전자기기
KR20180022939A (ko) 2015-07-02 2018-03-06 에스지엘 카본 에스이 수평 분할 공정을 통한 박형 탄소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503B1 (ko) 2022-08-26 2023-03-22 엔디티엔지니어링(주) 에어로젤 블랭킷 원단 자동 라미네이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2004B2 (en) Waterproof sound-permitting sheet,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waterproof sound-permitting sheet
US10562267B2 (en) Waterproof and moisture permeable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164947B1 (ko) 자가융착형 나노섬유 웹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 웹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CN101316646B (zh) 编织物增强的复合空心纤维膜
US9303342B2 (en) Composite fiber having elastom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a substrate having the composite fib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118977B1 (ko) 기능성 나노섬유원단 제조방법
KR102398706B1 (ko) 비닐 바닥 깔개용 캐리어 재료
KR101631252B1 (ko) 투습방수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13545B1 (ko)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스펀본드 니들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2142897B1 (ko) 기능성 부직포
KR101156908B1 (ko) 이성분의 소재를 이용한 복합 니들 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6149A (ko) 투습방수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Z307884B6 (cs) Způsob pro výrobu textilního kompozitu zejména pro outdoorové aplikace, který obsahuje alespoň jednu vrstvu polymerních nanovláken, a tímto způsobem připravený textilní kompozit
JP6754929B2 (ja) 複合基布の製造方法
EP2116645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woven fabrics
WO2019059573A2 (ko) 인발강력이 향상된 카펫 기포지용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1552B1 (ko) 기능성 부직포가 적용된 신발
KR20160070760A (ko) 캐리어 재료의 제공 방법
JP2007197891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
KR20180127653A (ko) 고분자량 및 저분자량 미세 섬유와 tpu 미세 섬유
KR102252097B1 (ko) 기능성 나노섬유원단과 그 제조 장치
TW201520396A (zh) 用於乙烯地板覆蓋之載體材料
JP5364701B2 (ja) 多孔質で制御された可塑化表面を有する工業用ファブリック
KR100702604B1 (ko) 나노-부직포 결합 복합 직물의 생산 방법 및 그 방법에의한 나노-부직포 결합 복합 직물
KR101097377B1 (ko)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