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2536A - 관 조인트 구조 - Google Patents

관 조인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2536A
KR20180022536A KR1020170026134A KR20170026134A KR20180022536A KR 20180022536 A KR20180022536 A KR 20180022536A KR 1020170026134 A KR1020170026134 A KR 1020170026134A KR 20170026134 A KR20170026134 A KR 20170026134A KR 20180022536 A KR20180022536 A KR 20180022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inner peripheral
holding ring
shap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603B1 (ko
Inventor
히로시 이노우에
키요카즈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이노우에 스다레 가부시키가이샤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우에 스다레 가부시키가이샤, 히가시오 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노우에 스다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2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F16L37/10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in which the coupling is coaxi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F16L37/11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the male part having lugs on its periphery penetrating into the corresponding slots provided in the fe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60Identification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과제)
내인발력이 크고, 게다가 시일성이 우수하며, 게다가 배관 접속 작업을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는 관 조인트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조인트 본체(10)와, 조인트 본체(10)에 부착되는 압압 유지 링(3)을 구비하고, 얇은 금속관(4)에는 소성 가공 철조(9)가 돌출설치되고, 조인트 본체(10)와 압압 유지 링(3)에 의해 철조(9)의 내·외측 구배면을 협지 링(1, 2)으로 협지 유지하고, 또한 압압 유지 링(3)은 조인트 본체(10)의 선단에 대하여, 액시얼 방향 접근, 레이디얼 방향의 소각도 회전으로 서로 정지하고, 또한 차입 부재(32)를 구비하여, 차입 부재(32)에 의해 압압 유지 링(3)의 회전을 저지한다.

Description

관 조인트 구조{PIPE JOINT CONSTRUCTION}
본 발명은 관 조인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관 조인트로서 조인트 본체의 테이퍼 암형 나사부에 리테이너의 수형 나사부를 틀어박음으로써, 리테이터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소원반의 외측 정상부가 파이프의 외주면에 파고들어가, 파이프가 축심 방향으로 인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3122385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관 조인트는 소원반을 파이프의 외주면 둘레에 나선형상으로 또한 점차 깊게 파고들어가게 하므로, 리테이너를 조인트 본체에 틀어박기 위해서 매우 큰 체결력을 필요로 하여, 작업 효율이 나쁘다는 결점이 있었다. 특히 높은 곳에서의 접속 작업이 곤란했다. 게다가 파이프의 외주면에 파고들어간 수 개의 소원반에 의해 인발을 저지하는 구조이므로, 접속 완료 후에 파이프에 강한 인발력이 걸리면, 파이프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긁히는 상처를 남기면서 빠지거나, 또는 소원반이 파손되어 파이프가 빠질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작은 힘으로 체결하여 접속 가능하며, 접속 작업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파이프에 강한 인발력이 걸려도 빠질 우려가 없어, 확실하고 또한 강고하게 접속할 수 있는 관 조인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관 조인트 구조는 조인트 본체와, 이 조인트 본체에 외측끼움형상(外嵌狀)으로 부착(取着) 되는 압압(押壓) 유지 링을 구비하고; 얇은 금속관에는 소성 가공 철조(凸條)가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또는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설치되고; 상기 조인트 본체의 선단 외주부와 상기 압압 유지 링의 내주부에는 상기 압압 유지 링의 액시얼 방향 접근에 의한 끼워맞춤 및 레이디얼 방향의 소각도 회전으로 서로 걸리는 걸림 수단을 구비하고; 이 걸림 수단에 의해 압압 유지 링의 내주부 외단 영역 및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주부 선단 영역이 상기 금속관의 철조에 대하여 액시얼 방향의 바깥쪽·안쪽(外方·內方)으로부터 협지 상태가 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 수단에 의한 상기 협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압압 유지 링에 액시얼 방향으로부터 차입(差入, 꽂아넣음)되어 상기 소각도 회전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차입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금속관의 철조의 외측 구배면(外句配面)에 대하여, 상기 압압 유지 링의 내주부 외단 영역이 테이퍼형상 내주면을 가지는 폐쇄원환형상의 협지 링을 통하여 대응하고 있다.
또 상기 금속관의 철조의 외측 구배면에 대하여, 상기 압압 유지 링의 내주부 외단 영역에 형성한 테이퍼형상 내주면이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구성이다.
또 상기 금속관의 철조의 내측 구배면에 대하여,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주부 선단 영역이 테이퍼형상 내주면을 가지는 폐쇄원환형상의 협지 링을 통하여 대응하고 있다.
또 상기 금속관의 철조의 내측 구배면에 대하여,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주부 선단 영역이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구성이다.
또 상기 금속관의 철조의 내측 구배면의 완경사부에 대하여, 상기 조인트 본체의 내주부 선단 영역의 내주각부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대응하고 있다.
또 조인트 본체에 있어서, 그 선단 외주부에 복수의 호형상 외돌조부와 원활호형상(圓滑弧狀) 바닥면부를 교대(交互)로 배열설치하고, 또한 각 호형상 외돌조부는 사이에 걸림(係止)홈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외돌조 단체로 구성되고; 또한 압압 유지 링에 있어서, 그 내주부에 상기 한 쌍의 외돌조 단체 사이의 상기 걸림홈부에 레이디얼 방향의 소각도 회전으로 걸어맞춤이 자유로운 호형상 내돌조부를 복수 설치하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이 내돌조부 사이에는 호형상 슬릿부를 액시얼 방향으로 관통설치하고; 상기 걸림 수단이 걸림홈부와 상기 호형상 내돌조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차입 부재가 C자형상 또는 폐쇄환형상의 기본환부와, 상기 기본환부로부터 액시얼 방향으로 돌출설치된 복수의 돌편을 일체로 가지고; 이 차입 부재의 돌편이 상기 걸림 수단의 걸림 상태하에서 상기 압압 유지 링의 상기 호형상 슬릿부와 상기 조인트 본체의 상기 원활호형상 바닥면부에 대하여 차입되어, 상기 압압 유지 링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고, 상기 걸림 수단에 의한 상기 협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했다.
또 복수의 상기 돌편 중 적어도 1개에는 빠짐 방지용 걸림 클로 또는 걸림 클로편부(爪片部)를 설치한 구성이다.
또 복수의 상기 돌편 중 적어도 1개에는 빠짐 방지용 걸림 클로 또는 걸림 클로편부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빠짐 방지용 걸림 클로 또는 걸림 클로편부는 배관 접속 완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눈에 띄는 색채 또는 명도가 높은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관 조인트 구조에 의하면, 얇은 금속관에 형성된 소성 가공 철조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압압 유지 링의 내주부 외단 영역과 조인트 본체의 선단 영역에 의해 협지 상태로서, 또한 압압 유지 링에 대하여 액시얼 방향으로부터 차입 부재를 손으로 차입하면, 배관 접속 작업은 간단히 완료된다. 즉 접속 작업이 편하며, 다양한 장소, 배관의 접속을 행하기에 편리하다. 특히 작업자가 지붕 밑 등의 높은 곳에서 배관의 접속을 행하는 경우에도 부품을 높은 곳으로부터 낙하시킬 우려가 적고, 수고가 들지 않으므로, 작업을 신속하고 또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간소한 구조로 인발 저지력이 매우 큰 빠짐 방지 상태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어, 시공 후에 얇은 금속관이 불시에 빠져버리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하나의 형태를 나타내는 접속 완료 상태의 단면 측면도이다.
도 2는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속 작업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차입 부재를 압입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A)는 전체의 단면도, (B)은 주요부 확대 단면도, (C)는 다른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단면을 나타내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A)는 차입 부재를 압입하기 전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B)는 접속 완료 상태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A)는 차입 부재를 압입하기 전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며, (B)는 접속 완료 상태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얇은 금속관에 철조를 소성 가공으로 형성하는 작업 공구 및 그 작업 방법을 설명한 측면도이다.
도 8은 얇은 금속관에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철조를 형성하는 작업 공구 및 작업 방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얇은 금속관에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철조를 형성하는 작업 공구 및 작업 방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과 도 9에 대응하는 주요부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소성 가공 철조가 형성된 금속관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 (A)는 주요부의 단면도, (B)는 (A)의 Z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접속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4는 조인트 본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주요부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B)의 (a-0-a) 단면도이다.
도 15는 압압 유지 링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배면도, (C)는 (A)의 (b-O-b) 단면도이다.
도 16은 차입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A)의 b 화살표로부터 본 도면, (C)는 (A)의 c 화살표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17은 금속관에 철조를 소성 가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금속관과 조인트를 접속하는 작업 순서를 설명하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19는 소성 가공 철조의 구체적 형상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5에 나타낸 실시의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 4는 얇은 금속관으로서, 선단(4a)으로부터 소정 치수 위치에 소성 가공 철조(9)가 돌출설치(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 조인트 구조는 상기 얇은 금속관(4)이 삽입되는 조인트 본체(10)와, 이 조인트 본체(10)에 외측끼움형상으로 부착되는 압압 유지 링(3)을 구비하고 있다.
얇은 금속관(4)(이하 간단히 파이프(4)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은 예를 들면 JIS G3448에 규정되는 스테인레스강관으로서, 주로 급수·급탕 또는 배수 등의 배관에 사용된다.
얇은 금속관(4)의 외경 D와 두께 치수 t의 관계를 표 1에 나타낸다. 얇은 금속관(4)은 외경 D를 10mm~65mm로 설정하고, 두께 치수 t를 1.0mm~1.6m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1
얇은 금속관(4)의 소성 가공 철조(9)는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돌출설치되거나(도 11 참조), 또는 전체 둘레(360°)에 걸쳐 돌출설치된다. 이 철조(9)는 도 1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삼각산형상, 도 19(B)에 나타낸 정상부가 둥그스름한 삼각산형상, 또는 도 19(C)에 나타낸 둥근 구릉형 등이 있다.
그리고 조인트 본체(10)의 선단 외주부(10A)와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3A)에는 서로 걸림이 자유롭게 되는 걸림 수단(100)이 설치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압 유지 링(3)의 화살표 N으로 나타내는 액시얼 방향 접근에 의한 (상호의) 끼워맞춤 및 화살표 M으로 나타낸 레이디얼 방향으로의 소각도 회전으로, 조인트 본체(10)의 선단 외주부(10A)와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3A)가 걸림 수단(100)으로 서로 걸리고, 액시얼 방향으로 압압 유지 링(3)이 조인트 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걸림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32는 차입 부재이다. 상기 걸림 수단(100)에 의해,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 외단 영역(3B) 및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이 (도 1~도 5에서는) 간접적으로 파이프(4)의 철조(9)에 대하여 액시얼 방향의 바깥쪽·안쪽으로부터 협지 상태가 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 수단(100)에 의한 상기 협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압압 유지 링(3)에 대하여 (도 3(D)의 화살표(P)로 나타낸) 액시얼 방향으로부터 차입 부재(32)를 차입하여, 상기 소각도 회전(M)의 역방향의 회전을 저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이 차입 부재(32)는 압압 유지 링(3)의 느슨함 방지를 위한 부재이다.
그런데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 외단 영역(3B)이 금속관(4)의 철조(9)에 대하여 액시얼 방향의 바깥쪽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압압(대응)하는 점을 설명하면, 테이퍼형상 내주면(6)을 가지는 (연질 금속이나 경질 수지 등의) 폐쇄원환형상의 협지 링(1)을 통하여 철조(9)의 외측 구배면(9A)을 내주부 외단 영역(3B)이 대응(압압)하고 있다.
또한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이 철조(9)에 대하여 액시얼 방향의 안쪽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압압(대응)하는 점을 설명하면, 테이퍼형상 내주면(7)을 가지는 (경질 수지 등의) 폐쇄원환형상의 협지 링(2)을 통하여 철조(9)의 내측 구배면(9B)을 내주부 선단 영역(10B)이 대응(압압)하고 있다.
도 1~도 5의 실시의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철조(9)의 외측 구배면(9A)·내측 구배면(9B)에 접속 완료 상태에서는 2개의 협지 링(1, 2)의 테이퍼형상 내주면(6, 7)이 대응하여 끼움 유지한다.
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에는 단차형성부(85)로 대직경 구멍부(86)를 형성하여, 안쪽부로부터 순서대로 시일재 보호 링(14), (O링 등의) 시일재(12), 협지 링(2)을 끼움장착한다. 미접속 상태에서 미리 조인트 본체(10)의 대직경 구멍부(86)에 3부품을 끼움장착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접속 작업 이전에 작은 부품인 협지 링(1, 2)이 흩어지지 않아(탈락하지 않아)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협지 링(1, 2)의 재질에 대해서 서술하면, 구리 등의 연질 금속이나 PPS, PPSU, PSU 등의 내열성이 있는 경질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철조(9)는 360° 전체 둘레에 걸쳐 폐쇄환형상으로 금속관(4)에 형성되는 경우와, 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축심 L 방향으로부터 보아 (분할되어)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돌출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도 11에서는 4개로 분할된 형상으로 철조(9)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데, 이것을 2개나 3개로 감소시키거나, 반대로 5개~8개로 증가시키는 것도 자유롭다.(또한 제조 방법과 작업 공구에 대해서는 도 8~도 10에서 나중에 설명한다.)
그런데 조인트 본체(10)는 선단 개구형상의 대직경 구멍부(86)가 단차형성부(85)로 형성되고, 이 단차형성부(85)에 맞닿도록 평와셔형상의 시일재 보호 링(14)이 대직경 구멍부(86)의 안측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O링 등의 시일재(12)와 협지 링(2)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장착하고 있는 점은 도 5에서 서술했는데, 시일재 보호 링(14)은 피밀봉 유체(뜨거운 물·물 등)에 혼입하고 있는 오존(활성 산소), 염소, 수소 등이 상기 시일재(12)를 장기 사용 후에 부식이나 열화를 발생시키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링이며, 그 내주 가장자리·외주 가장자리는 긴밀하게 (삽입된) 금속관(4)의 외주면과 대직경 구멍부(86)의 내주면에 압접하여, 피밀봉 유체가 직접적으로 시일재(12)에 접촉하는 것을 막고 있다.
협지 링(2)은 (미접속 상태하에서) 조인트 본체(10)의 대직경 구멍부(86)에 미리 압입 상태에서 끼움장착되고, 또 이 협지 링(2)의 안측 단면과, 단차형성부(85)와, 대직경 구멍부(86)의 내주면으로 상기 서술한 보호 링(14) 및 시일재(12)를 유지하는 오목둘레홈부(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조인트 본체(10)에는 상기 대직경 구멍부(86)의 안쪽에 금속관(4)의 외경 D(도 4 참조)보다 약간 큰 중직경 구멍부(38)가 형성된다. 즉 단차형성부(85)로 대직경 구멍부(86)와 중직경 구멍부(38)가 구획 형성된다. 그리고 중직경 구멍부(38)의 안측에는 삽입된 금속관(4)의 선단(4a)이 맞닿아 위치 결정되는 둘레형상 충돌 단차부(15)가 형성되고, 그 안쪽에 소직경 구멍부(3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형상 충돌 단차부(15)와 압압 유지 링(3)의 부착에 따른 압압력 F를 받은 협지 링(1)에 의해, 금속관(4)은 액시얼 방향으로 덜컹거리지 않게 관 조인트에 연결(접속)된다.
이어서 도 6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관 조인트 구조도 조인트 본체(10)와 압압 유지 링(3)을 구비하고 있는데, 압압 유지 링(3)은 내주부 외단 영역(3B)에 선단 개구측으로 직경축소되는 테이퍼형상 내주면(3C)을 가지는 주머니 너트형상이다.
그리고 압압 유지 링(3)을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10)에 부착하면, 압압 유지 링(3)의 테이퍼형상 내주면(3C)이 직접적으로 철조(9)의 외측 구배면(9A)에 압접하고, 또한 테이퍼형상 내주면(7)을 가지는 폐쇄원환형상의 협지 링(2)의 이 내주면(7)이 철조(9)의 내측 구배면(9B)에 압접하여, 금속관(4)의 철조(9)를 액시얼 외방향·액시얼 내방향으로부터 끼움 유지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금속관(4)의 철조(9)의 외측 구배면(9A)에 대하여, 상기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 외단 영역(3B)에 형성한 테이퍼형상 내주면(3C)이 직접적으로 대응한다.
이어서 도 12~도 17에 나타내는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금속관(4)에 소성 가공으로 형성되는 철조(9)는 둥근 구릉형이며, 정상부도 큰 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9(C) 참조). 그리고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이 금속관(4)의 철조(9)의 내측 구배면(9B)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특히 도시 예에서는 금속관(4)의 낮은 둥근 산형(둥근 구릉형)의 철조(9)의 내측 구배면(9B)의 완경사부(40)에 대하여,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의 내주각부(41)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도 1~도 6에 나타낸 협지 링(2)을 개재시키지 않고, 메탈 터치로 직접적으로 조인트 본체(10)의 각부(41)가 철조(9)의 내측 구배면 완경사부(40)에 접촉한다.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에는 시일 홈(42)이 오목하게 설치되고, 시일 홈(42)에는 시일재(12) 및 보호 링(평와셔)(14)이 내장된다. 시일 홈(42)의 바깥쪽 측벽(42A)의 존재에 의해, 상기 내주각부(41)가 직접적으로 상기 완경사부(40)에 대응(접촉)할 수 있다. 또한 도 12와 도 13과 같이 상기 내주각부(41)가 샤프해도 되지만, 이 밖에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은 모따기부(43)를 취하여, 완경사부(40)로의 접촉 면압을 낮게 억제해도 바람직하다. 또한 중직경 구멍부(38)에 시일 홈(42)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고, 그 안 쪽부에는 둘레형상 충돌 단차부(15)가 설치되어, 삽입된 금속관(4)의 선단(4a)이 맞닿음 가능하게 하여, 그 이상으로 깊게(안쪽으로) 삽입되지 않고 충돌하여 저지된다.
이어서 상기 걸림 수단(100) 및 그것에 관련된 구성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 도 13, 도 14 및 도 2~도 5, 도 6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0)에는 그 선단 외주부(10A)에 복수의 호형상 외돌조부(19)와 원활호형상 바닥면부(20)를 교대로 배열설치하고 있다. 또한 각 호형상 외돌조부(19)는 한 쌍의 외돌조 단체(21, 22)로 구성되고, 한 쌍의 외돌조 단체(21, 22) 사이에는 걸림홈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3A)에 호형상 내돌조부(30)를 복수 설치한다. 이 내돌조부(30)는 조인트 본체(10)측의 상기 걸림홈부(23)에 대하여 레이디얼 방향(화살표 M 참조)의 「소각도」 회전으로 걸림이 자유롭다. 이 「소각도」는 90° 피치로 4개의 내돌조부(30)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약45°이다.
또한 내돌조부(30) 및 걸림홈부(23)를 각각 2개, 3개로 하거나, 6개 등으로 하는 것도 자유로우며, 그 경우의 상기 「소각도」는 약90°, 60°, 30°가 된다.
또 압압 유지 링(3)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는 내돌조부(30, 30) 사이에는 호형상 슬릿부(25)가 액시얼 방향으로 관통설치되어 있다.
걸림 수단(100)은 적어도 걸림홈부(23)와 호형상 내돌조부(30)를 구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걸림 수단(100)은 돌조부(19)와 원활호형상 바닥면부(20)와 걸림홈부(23)와, 호형상 내돌조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차입 부재(32)에 대해서 설명하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자형상의 기본환부(33)를 가지는 경우와,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환형상의 기본환부(33)를 가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기본환부(33)로부터 액시얼 방향으로 복수의 돌편(81, 82, 83, 84)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도 16에 있어서, 돌편(81, 82)과 기본환부(33)는 일체로 합성 수지로 형성되고, 2장의 180° 반대 위치에 설치된 돌편(81, 81)은 단순한 횡단면 원호형상이며, C자형상 기본환부(33)의 절결부(87)와 180° 반대 위치에 설치된 돌편(82)은 3개로 분할되어 있고, 중앙편(82A)과 좌우의 측편(82B, 82B)으로 이루어진다. 측편(82B)의 선단에는 걸림 클로(88)가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은 걸림 클로(88)는 둘레 방향으로 돌출형상이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낸 차입 부재(32)에 대해서 설명하면, 폐쇄원환형상의 기본환부(33)로부터 2장의 돌편(83, 83)과, 2장의 돌편(84, 84)이 둘레 방향으로 90° 피치로 배열설치되며, 횡단면 원호형상이다. 한 쌍의 돌편(84, 84)은 コ자형 분리선을 가지고, 걸림 클로편부(88B)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입 부재(32)의 돌편(81, 82, 83, 84)이 상기 서술한 걸림 수단(100)의 걸림 상태하에서 압압 유지 링(3)의 상기 호형상 슬릿부(25)와 조인트 본체(10)의 원활호형상 바닥면부(20)에 대하여 차입된다. 즉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M 방향으로 압압 유지 링(3)을 소각도 회전시키면, 걸림 수단(100)은 걸림 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기 호형상 슬릿부(25)와 원활호형상 바닥면부(20)가 둘레 방향으로 동일 위치로서 대향하고, 원호형상 슬릿(간극)이 액시얼 방향으로부터 보아 관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관통형상의 원호형상 슬릿(간극)에 대하여, 도 3(D)과 도 5(B)와 도 6(B)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편(81, 82;83, 84)이 차입된다.
게다가 돌편(81, 82, 83, 84)이 관통형상의 원호형상 슬릿(간극)에 대하여 차입 완료가 됨과 동시에, 걸림 클로편부(88B)는 도 5(B),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링(3)의 일부에 걸리고, 또는 걸림 클로(88)(도 16 참조)는 조인트 본체(10)의 외돌조 단체(21)의 소오목함몰부(89, 89)에 걸리고, 차입 부재(32)는 빠짐 방지된다.
이렇게 하여 차입 부재(32)의 화살표 P 방향으로의 차입에 의해, 압압 유지 링(3)의 (화살표 M과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여, 걸림 수단(100)에 의한 철조(9)로의 협지 상태를 유지한다.
얇은 금속관(4)에 (전체 둘레 360°에 걸친) 철조(9)를 형성하는 작업 공구로서는 도 7에 예시하는 철조 형성구(35)를 사용할 수 있다. 소돌조가 부착된 롤러(34)를 금속관(4)에 차입하여 오목둘레홈이 부착된 롤러(98)와 대향시켜 전체를 회전시키면 간단히 철조(9)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도 7에 나타낸 작업 공구(철조 형성구(35))는 철조(9)를 360°(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하기에 적합하지만, 이 대신에 도 8~도 10에 나타내는 간헐적 철조 형성 지그(55)를 사용하여,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간헐적으로 철조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즉 철조(9)는 4개의 둘레 방향 볼록부(75, 75, 75, 75)로 구성된다. 이 지그(55)는 본 발명자가 독자적으로 창출한 것이며, 이하 간단히 그 구조와 사용 방법(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56은 지그 본체(작업 공구 본체)이며, 축부(57)를 통하여 한 쌍의 파이프 파지 암(58, 58)이 요동이 자유롭게 피봇식 장착되고, 반원호형상의 오목부(58A, 58A)를 가지고, 폐쇄 상태로 360°의 파이프 유지 구멍(59)을 형성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는 볼트·너트 등의 체결구로 상기 서술한 360°의 파이프 유지 구멍(59)을 강고하게 형성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게다가 이 유지 구멍(59)에는 철조(9)를 형성하기 위한 (암형으로서의) 오목둘레홈(60)이 형성되어 있다. 피가공용의 얇은 금속관(4)의 선단 부위는 이 오목둘레홈(60)을 가지는 파이프 유지 구멍(59)에 차입되어 파지된다.
61은 지그 본체(56)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가이드 통체이며, 금속관(4)의 내경 치수보다 약간 작은 외경 치수의 소원통부(61A)와, 이보다 큰 외경 치수의 대원통부(61B)를 가지고 있다. 이 소원통부(61A)와 대원통부(61B)의 단차형성면부(61C)가 피가공 금속관(4)의 선단면이 맞닿아 위치 결정하기 위한 「닿는 면」이 된다.
또 대원통부(61B)는 도 8, 도 9의 좌측 방향으로 개구하는 원형 구멍부(62)와, 도 8, 도 9의 우측의 바닥벽부(63)에 뚫려 설치된 소직경 구멍부(64)를 동일 축심형상으로 가진다. 그리고 이 바닥벽부(63) 및 소원통부(61A)에 걸쳐, 파이프 파지 암(58)이 존재하는 측-선단측이라고 부름-으로 점차 직경확대되는 테이퍼 구멍(65)이 상기 원형 구멍부(62) 및 소직경 구멍부(64)와 동일 축심형상으로 관통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통체(61)의 축심을 따라 왕복동이 자유롭게 하여 이동축체(66)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동축체(66)는 선단 방향으로 점차 직경확대되는 역테이퍼형상 콘축부(67)와 볼트축부(68)를 가지는 확개 작동축(69)과, 원형 구멍부(62) 내를 왕복동이 자유롭게 삽입됨과 아울러 나사 구멍(70)을 가지는 구동축부(71)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축부(71)의 나사 구멍(70)에 볼트축부(68)가 나사장착(연결)되어, 볼트축부(68)와 구동축부(71)는 일체로 축심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한다. 이 구동축부(71)는 (도 8, 도 9의 좌측 방향 도면 밖의) 유압 실린더나 전기 구동 기구에 연동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8과 도 9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부채형의 호형상 볼록부 형성체(72, 72, 72, 72)가 콘축부(67)에 외측끼움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호형상 볼록부 형성체(72)는 테이퍼형상 내면(72A)이 콘축부(67)에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접촉하고, 외면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헐적으로 철조(9)를 금속관(4)에 대하여 형성하는 돌조부(72B)를 가진다.
즉 암형으로서의 상기 오목둘레홈(60)에 대하여 금속관(4)의 내면측으로부터, 수형으로서의 호형상 볼록부 형성체(72)의 돌조부(72B)가 도 8과 도 10(A)의 상태로부터, 도면 밖의 구동 기구에 의해 화살표 Z 방향으로 도 9와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개 작동축(69)이 이동하면, 도 9의 화살표 Y 방향(레이디얼 외방향)으로 작동하여, 금속관(4)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헐적인 철조(9)-4개의 볼록부(75, 75, 75, 75)-가 소성 가공된다. 또한 철조(9)가 삼각산형상인 경우, 금속관(4)의 내면측에는 충분히 예리한 (정점을 가지는) 삼각산형의 오목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때문에 호형상 볼록부 형성체(72)의 돌조부(72B)도 예리한 정점을 가지는 삼각산형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19(B)나 (C)와 같이 철조(9)가 정상부 알형상이나 둥근 구릉형상인 경우에는 돌조부(72B)는 둥그스름한(곡선형상) 것으로 한다.
그런데 도 8~도 11에 대한 상기 설명에서는 소성 가공 철조(9)가 4개의 볼록부(75, 75, 75, 75)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이것을 2개나 3개로 줄이거나 또는 5개~9개로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와 같이 간헐적으로 복수 개의 볼록부(75, 75…)로 이루어지는 철조(9)를 형성한 경우의 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각 볼록부(75)는 축심 방향으로부터 보면, 그 볼록부(75)의 둘레 방향 단부(75A, 75A)에서는 삼차원형상(껍질 구조)으로 산의 크기가 감소하고 있고, 이 단부(75A, 75A)는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했을 때에 변형하기 어렵고, 강성이 크며, 그 때문에 도 1, 도 5(B), 도 6(B), 도 12의 접속 완료 상태로부터 금속관(4)에 인발력이 작용했을 때에, 철조(9)가 변형하는 것을 저지하는 역할을 하여, 내인발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17에 있어서 금속관(4)에 철조(9)를 소성 가공으로 형성하는 다른 방법과 지그에 대해서 설명한다. 축심 L보다 상반부는 소성 가공 직전을 나타내고, 축심 L보다 하반부는 소성 가공 완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왼쪽 도면 밖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동 펌프나 전동 펌프 등의 직선 왕복동 실린더의 로드 또는 전동 직선 왕복 액추에이터의 로드 등의 직선 왕복동부가 설치되고, 이 직선 왕복동부에 봉형상의 지그(45)가 연결된다.
피가공용 금속관(4)의 선단 부위가 작은 치수만 삽입 가능한 구멍부(46)가 설치된 바디(4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그(45)는 단차형성면부(48)를 가지고, 선단측에 금속관(4)의 내부에 긴밀하게 끼워맞춰지는 외경 치수의 짧은 기둥 머리부(49)를 가진다. 바디(47)의 구멍의 안쪽측의 단차형성부(47A)에 대하여, 금속관(4)의 선단(4a)이 맞닿아 작업이 행해진다. 그리고 50은 스페이서 통체이며, 51은 고무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링이며, 지그(45)의 세경축(52)에 스페이서 통체(50)와 탄성 링(51)을 외측에서 끼움과 아울러, 단차형성부(47A)와 단차형성면부(48) 사이에서, 액시얼 방향의 힘을 받아, 탄성 링(51)은 당초의 짧은 원통형으로부터 (축심 L보다 하방으로 내린 것 같은) 형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며, 외측끼움 상태의 금속관(4)을 국부적으로 팽출 변형시킨다.
그런데 도 17에 있어서 상기 팽출 변형(소성 가공)시키기 위해 필요한 소위 암형 금형(53)으로서 관 조인트 구조의 하나의 부품 자체를 이용한다. 즉 도 15에 예시한 압압 유지 링(3)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바디(47)의 선단부의 외면(54)에 도 14(A)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외돌조 단체(22)와 걸림홈부(23) 및 원활호형상 바닥면부(20)를 설치한다. 이렇게 하여 암형 금형(53)으로서 소정의 금속관(4)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압압 유지 링(3)을 바디(47)의 선단부 외면(54)에 걸림형상으로 부착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형 금형(53)만으로는 도 19(C) 또는 (B)와 같은 형상으로 철조(9)를 형성하는 것은 어려운데, 바디(47)의 최선단에는 도 15(C)에 나타낸 (테이퍼형상 내주면(3C)에 연속되는) 스트레이트 원주면(3D)에 약간 내측 삽입되는 소돌조부(76), 및 구멍부(46)의 개구단각부의 오목형상 모따기부(46A)를 상기 암형 금형(53)(유지 링(3))의 내주면(3C)에 플러스하여(함께 기능시켜), 도 19(C)와 같은 정상부가 알형상의 삼각산형이나, 도 19(B)와 같은 둥근 구릉형에 대응한 암형용 오목부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도 17의 왼쪽 도면 밖의 액추에이터 등에 의해, 화살표 K 방향으로 지그(45)가 동일 도면의 상반부로부터 하반부와 같이 이동함으로써, 탄성 링(51)의 외주면이 탄성적으로 팽출 변형하고, 화살표 P51과 같이 국부적으로 금속관(4)에 철조(9)를 (360°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할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낸 조인트 본체(10)의 선단 외주면(10A)의 형상을 그대로 바디(47)의 선단부 외면(54)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유지 링(3)은 상기 서술한 화살표 M과는 역방향으로 소각도 회전시켜, 금속관(4)과 함께 유지 링(3)을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지그(45) 등도 금속관(4)으로부터 떼어져 도 13의 상태가 되고,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의 (A)→(B)→(C)→(D)의 순서로-즉 화살표 N→M→P의 순서로-접속 작업을 행하면 된다.
도 17에 나타낸 철조 형성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고정밀도로 도 19(B) 또는 (C)의 형상의 철조(9)를 형성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10)에 금속관(4)을 삽입한 후, (i) 압압 유지 링(3)을 화살표 N 방향(액시얼 방향)으로 압입하고, 이어서 (ii) 소각도만큼 압압 유지 링(3)을 화살표 M 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 수단(100)에 의한 협지 상태로 전환하고, 이어서 (iii) 차입 부재(32)를 화살표 P 방향으로 차입하여, 접속 완료 상태로 간단하고 또한 신속하게 작업이 행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관(4)에 형성된 철조(9)의 존재에 의해, 또한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 외단 영역(3B) 및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이 상기 철조(9)에 대하여 액시얼 바깥쪽·안쪽으로부터 협지 상태로 유지하는 것에 의해, 강대한 내인발력을 발휘하는 것인데, 이 협지 상태에 있어서 액시얼 방향(축심 L을 따른 방향)으로 조인트 본체(10)와 금속관(4)이 상대적으로 거의 내지는 전혀 미동하지 않는 구성을 도 1~도 5 및 도 6의 실시형태에서는 나타냈다. 이상적으로는 큰 내인발력과 높은 밀봉성을 발휘하여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12~도 17에 나타낸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철조(9)가 정상부가 알형상이거나(도 19(B) 참조), 전체가 둥근 구릉형(도 19(C) 참조)으로 형성하고,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이 직접적으로 맞닿는 경우에는, 액시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미동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게다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재(12)는 독립된 시일 홈(42)에 끼움장착되어 상기 미동의 악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밀봉 성능도 확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인발력에 대해서는 유지 링(3)의 테이퍼형상 내주면(3C)이 철조(9)의 외측 구배면(9A)에 대하여 비교적 큰 접촉 면적으로 압접하므로, 금속관(4)에는 상처도 발생하지 않고, 충분히 큰 내인발력을 발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접속 완료 상태하에서 조인트 본체(10)와 금속관(4)은 액시얼 방향으로 미동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금속관(4)의 선단(4a)을 조인트 본체(10)의 구멍의 내부의 충돌 단차부(15)에 대응시켜, 액시얼 내방향으로의 금속관(4)의 이동을 저지하는 기능을 발휘시켜, 상기 미동을 감소 (내지 방지)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도 3(D), 도 5(B), 도 6(B)에 예시한 걸림 클로편부(88B), 또는 도 16에 예시한 걸림 클로(88)를 적색이나 황색 등의 눈에 띄는 색채 혹은 명도가 높은 색이 되도록 착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착색 방법으로서는 차입 부재(32)를 플라스틱의 2색 성형에 의해 행하는 방법, 또는 걸림 클로편부(88B), 걸림 클로(88)의 외면에 도장이나 착색편 접착 등으로 착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배관 접속 완료 상태인 것을 육안으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배관 접속 작업의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조인트 본체(10)와, 이 조인트 본체(10)에 외측끼움형상으로 부착되는 압압 유지 링(3)을 구비하고, 얇은 금속관(4)에는 소성 가공 철조(9)가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또는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설치되고, 상기 조인트 본체(10)의 선단 외주부(10A)와 상기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3A)에는 상기 압압 유지 링(3)의 액시얼 방향 접근에 의한 끼워맞춤 및 레이디얼 방향의 소각도 회전으로 서로 걸리는 걸림 수단(100)을 구비하고, 이 걸림 수단(100)에 의해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 외단 영역(3B) 및 상기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이 상기 금속관(4)의 철조(9)에 대하여 액시얼 방향의 바깥쪽·안쪽으로부터 협지 상태가 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 수단(100)에 의한 상기 협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압압 유지 링(3)에 액시얼 방향으로부터 차입되어 상기 소각도 회전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차입 부재(32)를 구비하는 구성이므로, 압압 유지 링(3)은 종래의 주머니 너트와 같이 몇바퀴나 회전시킬 필요가 없고, 예를 들면 15°~90°의 소각도만큼 회전시켜, 협지 상태가 되어, 접속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그 후에 차입 부재(32)를 압압 유지 링(3)에 대하여 액시얼 방향으로부터 차입하면, 압압 유지 링(3)이 느슨해지지 않고, 즉시 접속 완료 상태를 유지하여, 전체의 작업을 한층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차입 부재(32)를 차입할 수 없는 상태이면, (그 전공정의) 압압 유지 링(3)의 소각도의 회전이 불충분한 것을 작업자가 간단히 알 수 있으므로, 협지 상태 불충분 등의 작업 불량을 즉시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 차입 부재(32)가 충분히 깊게 액시얼 방향으로 차입되어 있는지 여부는 작업자는 간단히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관 접속 작업을 간단하게 또한 확실·신속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작업자가 협소 공간이나 지붕 밑 등에 있어서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배관 접속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구조를 컴팩트하게 또한 간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관 인발 저지력도 철조(9)를 양방향으로부터 협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매우 커져, 시공 후의 금속관의 불시의 인발 사고를 방지한다.
또 상기 금속관(4)의 철조(9)의 외측 구배면(9A)에 대하여, 상기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 외단 영역(3B)이 테이퍼형상 내주면(6)을 가지는 폐쇄원환형상의 협지 링(1)을 통하여 대응하므로, 철조(9)의 외측 구배면(9A)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긴밀하게 협지 링(1)이 압접 상태(협지 상태)가 되어, 내인발력을 안정적으로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금속관(4)에 큰 굽힘 모우먼트가 작용하는 것 같은 경우에도 협지 링(1)으로 완충 작용이 기능하여 유지 링(3) 등의 파손을 방지한다.
또 상기 금속관(4)의 철조(9)의 외측 구배면(9A)에 대하여, 상기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 외단 영역(3B)에 형성한 테이퍼형상 내주면(3C)이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구성이므로, (도 6, 도 12와 같이) 부품 점수가 감소하고, 게다가 메탈 터치라고 해도 외측 구배면(9A)과 테이퍼형상 내주면(3C)의 접촉면 압력은 작아, 금속관(4)에 인발력이나 굽힘 모우먼트가 작용했다고 해도, 안정 자세를 유지하면서 충분히 큰 내인발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상기 금속관(4)의 철조(9)의 내측 구배면(9B)에 대하여, 상기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이 테이퍼형상 내주면(7)을 가지는 폐쇄원환형상의 협지 링(2)을 통하여 대응하는 구성이므로, 금속관(4)의 액시얼 내방향으로의 압입력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대항할 수 있고, 조인트 본체(10)의 안쪽으로 과대하게 금속관(4)이 이동하거나, 금속관(4)과 조인트 본체(10)의 양 축심이 경사지거나, 편심하는 것을 막고, 밀봉 성능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금속관(4)의 철조(9)의 내측 구배면(9B)에 대하여, 상기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이 직접적으로 대응하므로, (도 12,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시얼 방향 치수를 단축할 수 있고, 부품 점수도 감소시킨다. 게다가 금속관(4)이 조인트 본체(10)의 안쪽으로 압입되는 외력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한 조인트 본체(10)에는 단차부(15)가 형성되어, 금속관(4)의 선단(4a)이 맞닿음으로써 압입되는 상기 외력에 견딤과 아울러, 철조(9)의 액시얼 방향으로의 미동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금속관(4)의 철조(9)의 내측 구배면(9B)의 완경사부(40)에 대하여, 상기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의 내주각부(41)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대응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면, 조인트 본체(10)의 외단면의 형상을 심플하게 할 수 있어(도 13, 도 14 참조), 컴팩트화도 도모할 수 있다. 철조(9)의 강도의 면으로부터도 유리하며, 조금의 액시얼 방향의 금속관(4)의 미동이 발생했다고 해도 내인발력에 대해서는 문제없어 실용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또 조인트 본체(10)에 있어서, 그 선단 외주부(10A)에 복수의 호형상 외돌조부(19)와 원활호형상 바닥면부(20)를 교대로 배열설치하고, 또한 각 호형상 외돌조부(19)는 사이에 걸림홈부(23)를 형성하는 한 쌍의 외돌조 단체(21, 22)로 구성되며, 또한 압압 유지 링(3)에 있어서, 그 내주부(3A)에 상기 한 쌍의 외돌조 단체(21, 22) 사이의 상기 걸림홈부(23)에 레이디얼 방향의 소각도 회전으로 걸어맞춤이 자유로운 호형상 내돌조부(30)를 복수 설치하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이 내돌조부(30, 30) 사이에는 호형상 슬릿부(25)를 액시얼 방향으로 관통설치하고, 상기 걸림 수단(100)이 걸림홈부(23)와 상기 호형상 내돌조부(30)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므로, 조인트 본체(10)로부터 유지 링(3)이 액시얼 방향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강력하고 또한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어, 협지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한다. 또한 작업자는 가볍고 신속하게 전환(회전) 작동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그 후에 차입 부재(32)를 간단히 삽입(차입) 가능한 관통형상 원호형상 슬릿이 상호의 걸림에 따라 자동적으로 형성되어, 다음의 차입 부재(32)의 삽입(차입) 작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도 18에 나타낸 화살표 N→M→P의 공정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차입 부재(32)가 C자형상 또는 폐쇄환형상의 기본환부(33)와, 상기 기본환부(33)로부터 액시얼 방향으로 돌출설치된 복수의 돌편(81, 82, 83, 84)을 일체로 가지고, 이 차입 부재(32)의 돌편(81, 82, 83, 84)이 상기 걸림 수단(100)의 걸림 상태하에서 상기 압압 유지 링(3)의 상기 호형상 슬릿부(25)와 상기 조인트 본체(10)의 상기 원활호형상 바닥면부(20)에 대하여 차입되어, 상기 압압 유지 링(3)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고, 상기 걸림 수단(100)에 의한 상기 협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작업자는 용이하게 압압 유지 링(3)을 차입하여, 신속한 배관 접속 작업의 실현과, 불시의 분리에 의한 유체 누설 방지의 실현에 기여한다.
또 복수의 상기 돌편(81, 82, 83, 84) 중 적어도 1개에는 빠짐 방지용 걸림 클로(88) 또는 걸림 클로편부(88B)를 설치한 구성이므로, 불시의 차입 부재(32)의 이탈을 방지하여, 배관 접속 완료 상태를 유지한다.
또 복수의 상기 돌편(81, 82, 83, 84) 중 적어도 1개에는 빠짐 방지용 걸림 클로(88) 또는 걸림 클로편부(88B)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빠짐 방지용 걸림 클로(88) 또는 걸림 클로편부(88B)는 배관 접속 완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눈에 띄는 색채 또는 명도가 높은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구성이므로, 배관 접속 작업의 완료를 확실하게 체크할 수 있고, 배관 접속 불량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1, 2…협지 링
3…압압 유지 링
3A…내주부
3B…내주부 외단 영역
3C…테이퍼형상 내주면
4…얇은 금속관(파이프)
4a…선단
6, 7…테이퍼형상 내주면
9…(소성 가공) 철조
9A…외측 구배면
9B…내측 구배면
10…조인트 본체
10A…선단 외주부
10B…내주부 선단 영역
21, 22…외돌조 단체
23…걸림홈부
25…호형상 슬릿부
30…호형상 내돌조부
32…차입 부재
40…완경사부
41…내주각부
81, 82, 83, 84…돌편
88…걸림 클로
88B…걸림 클로편부

Claims (10)

  1. 조인트 본체(10)와, 이 조인트 본체(10)에 외측끼움형상으로 부착되는 압압 유지 링(3)을 구비하고,
    얇은 금속관(4)에는 소성 가공 철조(9)가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또는 전체 둘레에 걸쳐 돌출설치되고,
    상기 조인트 본체(10)의 선단 외주부(10A)와 상기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3A)에는 상기 압압 유지 링(3)의 액시얼 방향 접근에 의한 끼워맞춤 및 레이디얼 방향의 소각도 회전으로 서로 걸리는 걸림 수단(100)을 구비하고,
    이 걸림 수단(100)에 의해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 외단 영역(3B) 및 상기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이 상기 금속관(4)의 철조(9)에 대하여 액시얼 방향의 바깥쪽·안쪽으로부터 협지 상태가 됨과 아울러, 상기 걸림 수단(100)에 의한 상기 협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압압 유지 링(3)에 액시얼 방향으로부터 차입되어 상기 소각도 회전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차입 부재(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4)의 철조(9)의 외측 구배면(9A)에 대하여, 상기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 외단 영역(3B)이 테이퍼형상 내주면(6)을 가지는 폐쇄원환형상의 협지 링(1)을 통하여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4)의 철조(9)의 외측 구배면(9A)에 대하여, 상기 압압 유지 링(3)의 내주부 외단 영역(3B)에 형성한 테이퍼형상 내주면(3C)이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4)의 철조(9)의 내측 구배면(9B)에 대하여, 상기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이 테이퍼형상 내주면(7)을 가지는 폐쇄원환형상의 협지 링(2)을 통하여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4)의 철조(9)의 내측 구배면(9B)에 대하여, 상기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이 직접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관(4)의 철조(9)의 내측 구배면(9B)의 완경사부(40)에 대하여, 상기 조인트 본체(10)의 내주부 선단 영역(10B)의 내주각부(41)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대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0)에 있어서, 그 선단 외주부(10A)에 복수의 호형상 외돌조부(19)와 원활호형상 바닥면부(20)를 교대로 배열설치하고, 또한 각 호형상 외돌조부(19)는 사이에 걸림홈부(23)를 형성하는 한 쌍의 외돌조 단체(21)(22)로 구성되며,
    또한 압압 유지 링(3)에 있어서, 그 내주부(3A)에 상기 한 쌍의 외돌조 단체(21)(22) 사이의 상기 걸림홈부(23)에 레이디얼 방향의 소각도 회전으로 걸어맞춤이 자유로운 호형상 내돌조부(30)를 복수 설치하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이 내돌조부(30)(30) 사이에는 호형상 슬릿부(25)를 액시얼 방향으로 관통설치하고,
    상기 걸림 수단(100)이 걸림홈부(23)와 상기 호형상 내돌조부(3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입 부재(32)가 C자형상 또는 폐쇄환형상의 기본환부(33)와, 상기 기본환부(33)로부터 액시얼 방향으로 돌출설치된 복수의 돌편(81)(82)(83)(84)을 일체로 가지고,
    이 차입 부재(32)의 돌편(81)(82)(83)(84)이 상기 걸림 수단(100)의 걸림 상태하에서 상기 압압 유지 링(3)의 상기 호형상 슬릿부(25)와 상기 조인트 본체(10)의 상기 원활호형상 바닥면부(20)에 대하여 차입되어, 상기 압압 유지 링(3)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고, 상기 걸림 수단(100)에 의한 상기 협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돌편(81)(82)(83)(84) 중의 적어도 1개에는 빠짐 방지용 걸림 클로(88) 또는 걸림 클로편부(88B)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10. 제 8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돌편(81)(82)(83)(84) 중의 적어도 1개에는 빠짐 방지용 걸림 클로(88) 또는 걸림 클로편부(88B)를 설치하고, 또한 상기 빠짐 방지용 걸림 클로(88) 또는 걸림 클로편부(88B)는 배관 접속 완료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눈에 띄는 색채 또는 명도가 높은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구조.
KR1020170026134A 2016-08-24 2017-02-28 관 조인트 구조 KR102018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3586 2016-08-24
JP2016163586A JP6099800B1 (ja) 2016-08-24 2016-08-24 管継手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536A true KR20180022536A (ko) 2018-03-06
KR102018603B1 KR102018603B1 (ko) 2019-09-05

Family

ID=5836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134A KR102018603B1 (ko) 2016-08-24 2017-02-28 관 조인트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99800B1 (ko)
KR (1) KR102018603B1 (ko)
CN (1) CN107781544B (ko)
SG (1) SG10201701173XA (ko)
TW (1) TWI6273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2424B1 (ja) * 2017-10-05 2018-08-29 井上スダレ株式会社 管継手構造
JP7168930B2 (ja) * 2018-09-28 2022-11-10 東尾メック株式会社 管継手とパイプの接続構造体
JP6516395B1 (ja) * 2018-10-31 2019-05-22 東尾メック株式会社 管継手
JP7385384B2 (ja) * 2019-07-05 2023-11-22 株式会社キッツ キャップとバルブ並びに固定治具
CN112856081B (zh) * 2020-12-31 2022-06-07 辽宁希泰科技有限公司 一种双层波纹管对接接头
JP2023024103A (ja) * 2021-08-06 2023-02-16 オーエヌ工業株式会社 配管のワンタッチ継手
TWI827256B (zh) * 2022-09-14 2023-12-21 王家智 具有推抵環之管接頭構造
CN117357783B (zh) * 2023-12-07 2024-02-23 苏州同心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血泵出口连接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385B2 (ja) 1997-02-19 2001-01-09 東尾メック株式会社 管継手
KR20040071251A (ko) * 2001-12-25 2004-08-11 미라이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통수관의 단부구조, 동 단부구조를 구비한 통수관,통수관과 접속체와의 접속구조, 및 통수관의 단부구조의형성방법
JP4992537B2 (ja) * 2007-04-27 2012-08-08 株式会社デンソー 配管部材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23496Y1 (ko) * 1965-11-11 1969-10-03
JPS5744279U (ko) * 1980-08-27 1982-03-11
JPS6177489U (ko) * 1984-10-26 1986-05-24
JPH0624632Y2 (ja) * 1988-02-25 1994-06-29 株式会社キッツ 薄肉鋼管と継手部との接続構造
JPH06177489A (ja) * 1992-12-09 1994-06-24 Ricoh Co Ltd 半導体レーザ装置
JP2002048275A (ja) * 2000-08-03 2002-02-15 Yuji Yamamoto 配管継手
JP4567214B2 (ja) * 2001-02-02 2010-10-20 株式会社ベンカン・ジャパン 管継手
JP2007113724A (ja) * 2005-10-21 2007-05-10 Benex Corp 管継手
JP2009085286A (ja) * 2007-09-28 2009-04-23 Inoue Sudare Kk ヘッダー
CN101619793A (zh) * 2009-07-22 2010-01-06 劳锦华 活动扣压式薄壁金属管管接件
CN203099174U (zh) * 2012-11-16 2013-07-31 谭富华 汽车水路冷却系统的快装接头
JP6229118B2 (ja) * 2013-05-31 2017-11-15 丸一株式会社 配管部材の接続構造
CN105443905B (zh) * 2016-01-13 2018-08-14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管路连接结构及连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2385B2 (ja) 1997-02-19 2001-01-09 東尾メック株式会社 管継手
KR20040071251A (ko) * 2001-12-25 2004-08-11 미라이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통수관의 단부구조, 동 단부구조를 구비한 통수관,통수관과 접속체와의 접속구조, 및 통수관의 단부구조의형성방법
JP4992537B2 (ja) * 2007-04-27 2012-08-08 株式会社デンソー 配管部材接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603B1 (ko) 2019-09-05
JP6099800B1 (ja) 2017-03-22
CN107781544A (zh) 2018-03-09
SG10201701173XA (en) 2018-03-28
JP2018031417A (ja) 2018-03-01
CN107781544B (zh) 2019-10-18
TW201807342A (zh) 2018-03-01
TWI627365B (zh)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2536A (ko) 관 조인트 구조
CA3032192C (en) Hybrid push-to-connect fitting device and assembly
US10458582B2 (en) Single action push to connect conduit fitting with colleting
US10704722B2 (en) Single action push to connect conduit fitting
EP1521026B1 (en) Pipe joint with a swivel nut
JP2008286259A (ja) 管継手
JP2009168075A (ja) 管継手構造及び管接続方法
KR101026653B1 (ko) 관이음매
GB2066913A (en) Compression joints
JP2017116086A (ja) 管継手構造
JP2015081624A (ja) 差込式管継手及びこれに用いる管抜き用治具
US20040061333A1 (en) Conduit coupling
JP2007170658A (ja) 管継手
JP2006029355A (ja) 管継手
JP2002357295A (ja) 管継手
JP6257738B1 (ja) バルジ加工装置
JP6421993B2 (ja) 管継手
JP7491596B2 (ja) 管継手
JP4895069B2 (ja) 管継手
JP2002364797A (ja) 管継手
JP3115847U (ja) 樹脂管接続継手
JP2011247392A (ja) 管継手
JP2018017333A5 (ko)
JP2009002456A (ja) 差込式管継手
JP2010094784A (ja) 軸受用油圧ナ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転がり軸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