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5241A -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5241A
KR20180015241A KR1020187000281A KR20187000281A KR20180015241A KR 20180015241 A KR20180015241 A KR 20180015241A KR 1020187000281 A KR1020187000281 A KR 1020187000281A KR 20187000281 A KR20187000281 A KR 20187000281A KR 20180015241 A KR20180015241 A KR 20180015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ode
shooting
unit
p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743B1 (ko
Inventor
펭페이 장
용펭 시아
티에준 리우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80015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5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94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involving pointing a payload, e.g. camera, weapon, sensor, towards a fixed or moving targ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06K9/00335
    • G06K9/003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3245
    • B64C2201/027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당해 방법은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스타트하여, 촬영 조작에 응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인기에 대한 촬영 제어를 간소화하고, 촬영 모드에 대한 거침없는 전환을 통해, 다른 정경하에서의 실제요구를 만족한다.

Description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201510531707.X이고, 출원일이 2015년 8월 26일인 중국 특허출원을 기초로 제출되었으며, 상기 중국특허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특허출원의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무인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무인기는 이미 항공 촬영, 구조 등 각종의 정경에 널리 응용된다. 무인기를 적용하여 항공 촬영할 때, 관련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완전히 수동으로 무인기에 대해 비행 및 촬영 제어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사용자의 비행 제어 수준에 대한 요구가 높을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단지 무인기에 대한 비행 제어에만 집중해야 하기 때문에, 기타 사건을 동시에 독립적으로 완성할 수 없고, 응용 정경에 비교적 큰 제한이 존재한다.
본 개시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에서의 부족함을 해결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바,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스타트하여, 촬영 조작에 응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은: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한 것,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자세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행동 특징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행동 특징이 미리 설정된 특징에 부합될 때, 상기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하였다고 판정하며,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행동 특징을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진행하여, 상기 행동 특징을 취득하는 것;
또는,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통신 연결을 확립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가 채취한 상기 행동 특징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행동 특징은 상기 사용자의 손동작이 형성한 궤적 도형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진행하여, 사용자 자세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통신 연결을 확립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가 채취한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생리 특징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생리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사용자 자세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사용자 자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자세에 부합될 때,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자세는:
정지 또는 운동 자세;
수평 자세, 올리막 자세 또는 내리막 자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처한 환경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하고, 채취한 이미지에 포함된 환경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환경 특징이 미리 설정된 특징에 부합될 때,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으로 판정하며,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무인기가 처한 상기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는, 환경 광활 정도;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장애물의 분포 정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처한 상기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는, 환경 광활 정도;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상기 사용자 주위의 기타 사용자 수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는:
클로즈업 모드, 원경 모드,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거리 유지,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각도 유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서라운딩 촬영 모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수신한 사용자 배치 명령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정의하고 저장하는 단계;
또는, 기타 사용자가 정의한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취득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을 때, 촬영을 정지하거나 또는 동행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바, 확정 유닛 및 스타트 유닛을 포함하며:
확정 유닛은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고;
스타트 유닛은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스타트하여, 촬영 조작에 응용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은: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한 것,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자세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취득 유닛 및 제 1 판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취득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행동 특징을 취득하고;
제 1 판정 유닛은 상기 행동 특징이 미리 설정된 특징에 부합될 때, 상기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하였다고 판정하며,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취득 유닛은 채취 서브 유닛 또는 수신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채취 서브 유닛은 상기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진행하여, 상기 행동 특징을 취득하고;
상기 수신 서브 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가 채취한 상기 행동 특징을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행동 특징은 상기 사용자의 손동작이 형성한 궤적 도형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채취 유닛 또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채취 유닛은, 상기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진행하여, 사용자 자세를 확정하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가 채취한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생리 특징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생리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사용자 자세를 확정하며;
그 중, 상기 사용자 자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자세에 부합될 때, 상기 확정 유닛은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자세는:
정지 또는 운동 자세;
수평 자세, 올리막 자세 또는 내리막 자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추출 유닛 및 제 2 판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추출 유닛은,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처한 환경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하고, 채취한 이미지에 포함된 환경 특징을 추출하며;
제 2 판정 유닛은, 상기 환경 특징이 미리 설정된 특징에 부합될 때,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으로 판정하고,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무인기가 처한 상기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는, 환경 광활 정도;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장애물의 분포 정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처한 상기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는, 환경 광활 정도;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상기 사용자 주위의 기타 사용자 수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는:
클로즈업 모드, 원경 모드,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거리 유지,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각도 유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서라운딩 촬영 모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모드 정의 유닛 또는 모드 취득 유닛을 더 포함하고; 그 중,
상기 모드 정의 유닛은, 수신한 사용자 배치 명령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정의하고 저장하며;
상기 모드 취득 유닛은, 기타 사용자가 정의한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취득하고 저장한다.
선택적으로, 촬영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촬영 제어 유닛은,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을 때, 촬영을 정지하거나 또는 동행 촬영을 수행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르면, 한가지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고;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스타트하여, 촬영 조작에 응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한 기술 방안은 아래의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알 수 있다시피, 본 개시는 각종의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에게, 대응되는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을 정의하는 것을 통해, 어떤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될 때, 무인기가 사용 스타트가 필요한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정확하게 획득하여 알도록 하여, 사용자의 실제 촬영 요구를 만족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동시에, 각각의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 사이의 자동 전환을 통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무인기에 대해 비행 제어를 할 필요가 없기에, 항공 촬영과 기타 사건이 동기화로 완성되는 것을 실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하는데 유리하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문에서의 세부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인 바, 본 개시를 한정할 수 없음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 마땅하다.
여기에서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고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개시를 부합하는 실시예를 보여주었는 바 명세서와 함께 본 개시를 해석하는데 사용된다.
도1은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는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하나의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은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무인기가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정경 모식도이다.
도4는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하나의 무인기의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는 정경 모식도이다.
도5는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또 다른 하나의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6은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무인기가 사용자 자세를 취득하는 정경 모식도이다.
도7은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하나의 무인기가 사용자 자세를 취득하는 정경 모식도이다.
도8은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또 다른 하나의 무인기가 사용자 자세를 취득하는 정경 모식도이다.
도9는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또 다른 하나의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10은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무인기의 환경상태 검측을 취득하는 정경 모식도이다.
도11-17은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8은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무인기의 촬영 제어에 사용되는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여기에서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며, 그 예시는 도면에 표시하였다. 하기의 설명에서 도면이 관련될 때,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다른 도면에서의 같은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는 본 개시와 서로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반면, 그들은 단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상세히 기술된 것과 같이, 본 개시의 일부 방면과 서로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도1은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무인기에 사용되며,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2에서,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는지를 확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은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한 것,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자세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 및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하였을 때, 상기 사용자의 행동 특징을 취득하고, 상기 행동 특징이 미리 설정된 특징에 부합되는 것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했다는 것을 판정할 수 있고,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확정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하는 것을 통해, 상기 행동 특징을 취득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가 채취한 상기 행동 특징을 수신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행동 특징은 상기 사용자의 손동작이 형성한 궤적 도형을 포함한다.
다른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자세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일 때, 상기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진행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확정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통신 연결을 확립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가 채취한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생리 특징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생리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서 사용자의 자세를 확정할 수 있으며; 그 중,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자세에 부합될 때,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확정할 수 있다.
상응하게, 상기 미리 설정된 자세는 정지 또는 운동 자세; 수평 자세, 올리막 자세 또는 내리막 자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일 때,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처한 환경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하고, 채취한 이미지에 포함된 환경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환경 특징이 미리 설정된 특징에 부합될 때,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으로 판정하고,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확정할 수 있다. 그 중, 무인기가 처한 상기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는 환경 광활 정도;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장애물 분포 정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처한 상기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는 아래의 환경 광활 정도;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상기 사용자 주위의 기타 사용자 수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응하게,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는 클로즈업(close-up) 모드, 원경 모드,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거리 유지,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각도 유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서라운딩 촬영 모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단계 104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스타트하여, 촬영 조작에 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배치 명령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정의하고 저장할 수 있고; 또는, 기타 사용자가 정의한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취득하고 저장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다시피, 본 개시는 각종의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에게, 대응되는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을 정의하는 것을 통해, 어떤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될 때, 무인기가 사용 스타트가이 필요한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정확하게 획득하여 알도록 하여, 사용자의 실제 촬영 요구를 만족하도록 확보할 수 있다. 동시에, 각각의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 사이의 자동 전환을 통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무인기에 대해 비행 제어를 할 필요가 없기에, 항공 촬영과 기타 사건이 동기화로 완성되는 것을 실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하는데 유리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개시의 기술 방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설명의 편리를 위해,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의 차이로, 각각의 실시예를 구분한다. 그 중, 윗 문장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은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한 것,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자세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예 1: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하였음
도2는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하나의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무인기에 사용되고,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02에서, 사용자의 행동 특징을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인기가 처한 다른 응용 정경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행동 특징을 취득하는 여러가지 방식이 존재할 수 있는 바,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여기에서는 단지 그 중 두가지 가능한 형식에 대해 설명한다.
한가지 상황 하에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기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 직접 채취를 할 수 있고, 채취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의 행동 특징을 확정한다.
다른 한가지 상황 하에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기에 통신 어셈블리(1)가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당해 통신 어셈블리(1)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고, 당해 스마트 기기가 채취한 사용자의 행동 특징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하자면, 스마트 기기는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마트 밴드일 수 있고, 당해 스마트 밴드에는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과 같은 칩(미도시)이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팔의 운동에 따라 동기화로 운동할 수 있어, 상술한 칩을 통해 당해 사용자의 행동 특징을 채취하고, 다음 스마트 밴드에 배치된 통신 어셈블리(2)와 무인기의 통신 어셈블리(1)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채취한 행동 특징을 무인기에 발송한다. 그 중, 통신 어셈블리(1)와 통신 어셈블리(2) 사이는 임의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등 근거리 통신 방식, 또는 2G, 3G, 4G 등 장거리 이동 통신 방식과 같은 방식이다.
단계 204에서, 행동 특징이 미리 설정된 특징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하고; 만약 부합되면, 단계 206으로 진입하고, 그렇지 아니면 단계 210으로 진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전에 배치한 모드 스타트 조건에 따라,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특징을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실제 요구에 따라 편집할 수 있어, 자신의 사용 습관과 선호도를 만족한다.
단계 206에서,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함을 확정한다.
단계 208에서,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스타트한다.
일 예시적 실시형태로서, 행동 특징은 사용자의 손동작이 형성한 궤적 도형일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특징이 "다섯 손가락을 벌려" 형성한 궤적 도형이라고 가정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섯 손가락을 벌리는" 손동작을 수행할 때, 카메라는 대응되는 궤적 도형을 채취 및 형성할 수 있고, 당해 궤적 도형과 매칭되는 미리 설정된 특징을 찾는 것을 통하여,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바로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하자면,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가 "클로즈업 모드"라고 가정하면, 당해 무인기는 카메라의 렌즈 스케일링(scaling)을 제어하여, 사용자의 얼굴이나 또는 기타 위치에 대해 클로즈업 촬영을 한다.
다른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로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밴드는 검측한 사용자의 행동을 대응되는 궤적 도형으로 직접 생성할 수 있고, 당해 궤적 도형을 무인기로 발송한다. 상응하게, 무인기는 스마트 밴드가 발송한 궤적 도형을 수신한 후, 당해 궤적 도형과 매칭되는 미리 설정된 특징을 찾는 것을 통해,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바로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하자면, 미리 설정된 특징이 "수평방향에서의 원형 궤적"이라고 가정할 때,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서라운딩(surrounding) 촬영 모드"이고, 도4에서의 사용자의 행동 특징이 당해 미리 설정된 특징을 만족할 때, 당해 무인기는 당해 사용자를 원심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를 반경으로 하여 서라운딩 비행을 하고, 카메라의 렌즈가 시종 당해 사용자를 향해 촬영하도록 한다.
단계 210에서, 촬영을 정지하거나 또는 동행하며 촬영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인기가 "촬영 정지"할 때, 무인기는 카메라를 끄고 사용자 측에 착륙하며 무인기가 멈출 수 있고, 또는 무인기가 카메라는 끄지만 비행을 유지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어 시종 사용자를 동행하여 비행(예를 들어 사용자의 위치를 식별하고, 시종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거리를 유지)한다.
무인기가 "동행 촬영"일 때, 무인기는 카메라의 on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비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에 대해 동행 비행한다.
실시예 2: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자세에 처해 있음을 검측하였음
도5는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또 다른 하나의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무인기에 사용되며,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502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인기가 처한 다른 응용 정경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취득하는 여러가지 방식이 존재할 수 있는 바,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으며; 그러면, 실시예와 유사하게,
한가지 상황하에서, 도6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기는 카메라를 통해 직접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할 수 있고, 채취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하는 것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를 확정한다.
다른 한가지 상황하에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기에 통신 어셈블리(1)가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당해 통신 어셈블리(1)는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통신 연결을 확립할 수 있고, 당해 스마트 기기가 채취한 사용자의 자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하자면, 스마트 기기는 도8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마트 자전거일 수 있는 바, 당해 스마트 자전거에는 가속도 센서, 중력 센서 등과 같은 칩(미도시)이 배치되어 있고, 상술한 칩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를 확정할 수 있고, 다음 스마트 자전거에 배치된 통신 어셈블리(3)와 무인기의 통신 어셈블리(1) 사이의 무선 통신 연결을 통해, 채취한 행동 특징을 무인기에 발송한다. 그 중, 통신 어셈블리(1)와 통신 어셈블리(3) 사이는 임의의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등 근거리 통신 방식, 또는 2G, 3G, 4G 등 장거리 이동 통신 방식과 같은 방식이다.
단계 504에서, 사용자의 자세가 미리 설정된 자세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하고; 부합되면, 단계 506으로 진입하고, 그렇지 아니면 단계 510으로 진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전에 배치한 모드 스타트 조건에 따라,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자세를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실제 요구에 따라 편집할 수 있어, 자신의 사용 습관과 선호도를 만족한다.
단계 506에서, 사용자가 처한 미리 설정된 자세를 확정한다.
단계 508에서,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스타트한다.
실시형태 1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로서, 미리 설정된 자세는 수평 자세, 올리막 자세 또는 내리막 자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수평 지면에 서 있다고 가정한다. 무인기는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 촬영을 한후, 여러가지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를 확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사용자와 지면 사이의 각도를 식별하고; 자이로스코프 등과 같은 것을 통해 무인기 자체와 수평면 사이의 각도를 확정하며, 사용자가 이미지 촬영할 때의 이미지 형성 각도에 따라, 사용자와 수평면 사이의 각도 등을 확정한다.
그러면, 도6에 대해 말하자면, 사용자의 자세가 "수평 자세"이며, 사용자의 자세와 매칭되는 미리 설정된 자세를 찾는 것을 통해,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바로 확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당해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서라운딩 촬영 모드"일 수 있다.
다시 예를 들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올리막 경사면에 위치하여 있다고 가정하면, 무인기는 이미지 촬영을 통해, 사용자의 자세가 "올리막 자세"라는 것을 확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자세와 매칭되는 미리 설정된 자세를 찾는 것을 통해,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바로 확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당해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는 "클로즈업 모드"일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른 하나의 예시적 실시형태로서, 미리 설정된 자세는 정지 또는 운동 자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자전거의 기능이 스타트된 후, 당해 스마트 자전거의 자세를 당해 사용자의 사용자 자세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말하자면, 스마트 자전거에 가속도 센서 등 칩을 설치할 수 있고, 당해 스마트 자전거가 정지 상태 또는 운동 상태에 처해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그러면, 스마트 자전거가 자신이 정지 상태 또는 운동 상태에 처해 있는지를 확정한 후, 통신 어셈블리(3)를 통해 당해 데이터를 사용자 자세로 하여 통신 어셈블리(1)에 발송할 수 있어, 무인기가 당해 사용자 자세를 획득하여 알도록 한다. 다음, 사용자 자세와 매칭되는 미리 설정된 자세를 찾는 것을 통해, 무인기가 마땅히 사용 스타트해야 할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확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정지 자세에 있을 때, 당해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서라운딩 촬영 모드"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운동 상태에 처해 있을 때, 당해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는 "원경 모드"일 수 있다.
단계 510에서, 촬영을 정지하거나 또는 동행하며 촬영한다.
실시예 3: 무인기 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을 검측하였음
도9는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또 다른 하나의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해 방법은 무인기에 사용되고, 아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902에서, 환경 특징을 추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인기가 처한 다른 응용 정경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취득하는 여러가지 방식이 존재할 수 있는 바,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한가지 상황하에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기는 카메라를 통해 직접 자신 또는 사용자가 처한 환경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할 수 있고, 채취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하는 것을 통해, 채취한 이미지 중에 포함된 환경 특징을 추출한다.
다른 한가지 상황하에서,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기에는 거리계 등과 같은 센서도 설치될 수 있는 바, 무인기 주위의 장애물에 대해 거리 측정을 할 수 있어, 당해 무인기에 제공되는 비행할 수 있는 공간 범위를 확정한다.
단계 904에서, 환경 특징이 미리 설정된 특징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하고; 부합되면, 단계 906으로 진입하고, 그렇지 아니면 단계 910으로 진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전에 배치한 모드 스타트 조건에 따라,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특징을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실제 요구에 따라 편집할 수 있어, 자신의 사용 습관과 선호도를 만족한다.
단계 906에서,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을 확정한다.
단계 908에서,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스타트한다.
본 실시예에서, 무인기가 처한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는 환경 광활 정도;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장애물 분포 정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및, 사용자가 처한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는 환경 광활 정도;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사용자 주위의 기타 사용자 수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무인기는 단지 자신이 처한 환경 특징 또는 사용자가 처한 환경 특징에 대해서만을 채취할 수 있고; 자신과 사용자가 각자 처한 환경 특징에 대해 동시에 채취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는지를 확정한다.
예를 들어 말하자면, 무인기가 자신과 사용자가 모두 높은 광활 정도의 환경 속(예를 들어 야외 잔디밭)에 처해 있다는 것을 검측하였다고 가정할 때, 스타트할 수 있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서라운딩 촬영 모드"이고; 무인기가 자신과 사용자가 모두 실내 환경에 처해 있다는 것을 검측하고, 사용자 주위에 존재하는 기타 사용자 수량이 미리 설정된 수량에 도달했다고 가정할 때, 현재 회의(송년회와 같은) 정경에 있다고 판정하고, 스타트할 수 있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는 "원경 촬영"이다.
단계 910에서, 촬영을 정지하거나 또는 동행하며 촬영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도2, 도5및 도9에서, 각각 다른 형식의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을 예로 들어, 본 개시의 기술 방안에 대해 소개를 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마땅히 이해해야 하는 바로는, 다른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 사이는 독립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고, 협력되어 작용할 수도 있는 바; 예를 들어 말하자면, 사용자의 자세와 무인기가 처한 환경 상태를 통해 검측을 진행하고, 사용자의 자세가 미리 설정된 자세이고, 무인기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을 때,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사용 스타트할 수 있는 것이다.
1.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
본 개시의 기술 방안에서,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는 클로즈업 모드, 원경 모드,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거리 유지,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각도 유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서라운딩 촬영 모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물론, 본 개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고, 기타 임의의 촬영 모드는 모두 본 개시의 기술 방안에 응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 방안에서, 제조업자가 정의한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 외, 여러가지 방식을 통해 무인기 중의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해 자체 정의를 할 수 있으며: 무인기는 수신한 사용자 배치 명령에 따라, 상응한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정의하고 저장한다. 당해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에 대한 자체 정의를 통해, 사용자의 개성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기타 사용자가 정의한 촬영 모드를 취득하여, 자신의 무인기 중의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로 할 수 있으며: 기타 사용자가 정의한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취득하고 저장한다. 당해 실시예에서, 기타 사용자가 정의한 촬영 모드를 취득하는 것을 통해, 촬영 모드가 각각의 사용자 사이에서의 자원을 공유하는데 도움이 되고, 사용자가 개성화 촬영을 추구하는 요구도 낮춘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무인기에 다운받을 수 있고; 또는, 사용자는 임의의 방식으로 촬영 모드를 획득한 후, USB, SD카드, 케이블과 같은 것을 통해 무인기에 도입할 수 있다.
전술한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의 실시예와 대응되게, 본 개시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의 실시예도 제공한다.
도11은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11을 참조하면, 당해 장치는 확정 유닛(1101)과 스타트 유닛(1102)을 포함한다.
그 중, 확정 유닛(1101)은,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한 것으로 구성되고;
스타트 유닛(1102)은,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스타트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촬영 조작에 응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은,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한 것,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자세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자세는,
정지 또는 운동 자세;
수평 자세, 올리막 자세 또는 내리막 자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무인기가 처한 상기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는, 환경 광활 정도;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장애물의 분포 정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처한 상기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는 환경 광활 정도;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상기 사용자 주위의 기타 사용자 수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는,
클로즈업 모드, 원경 모드,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거리 유지,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각도 유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서라운딩 촬영 모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2는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하나의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당해 실시예는 전술한 도11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위에서, 당해 장치는 취득 유닛(1103)과 제 1 판정 유닛(11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취득 유닛(1103)은, 상기 사용자의 행동 특징을 취득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제 1 판정 유닛(1104)은, 상기 행동 특징이 미리 설정된 특징에 부합될 때, 상기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함으로 판정하고,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행동 특징은 상기 사용자의 손동작이 형성한 궤적 도형을 포함한다.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3은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하나의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당해 실시예는 전술한 도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위에서, 취득 유닛(1103)은 채취 서브 유닛(1103A) 또는 수신 서브 유닛(1103B)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중,
상기 채취 서브 유닛(1103A)은, 상기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를 채취하여, 상기 행동 특징을 취득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 서브 유닛(1103B)은,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가 채취한 상기 행동 특징을 수신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4는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하나의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당해 실시예는 전술한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에서, 당해 장치는 채취 유닛(1105) 또는 수신 유닛(1106)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그 중, 상기 채취 유닛(1105)은, 상기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를 채취하여, 사용자의 자세를 확정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신 유닛(1106)은,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가 채취한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생리 특징 파라미터를 수신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생리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사용자의 자세를 확정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그 중, 상기 사용자의 자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자세에 부합될 때, 상기 확정 유닛은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술한 도14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 중의 채취 유닛(1105) 또는 수신 유닛(1106)의 구조는 전술한 도12내지 13의 장치 실시예에도 포함될 수 있는 바, 이에 대해 본 개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5는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하나의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당해 실시예는 전술한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 위에서, 당해 장치는 추출 유닛(1107)과 제 2 판정 유닛(1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추출 유닛(1107)은,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처한 환경에 대해 이미지를 채취하고, 채취한 이미지에 포함된 환경 특징을 추출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제 2 판정 유닛(1108)은, 상기 환경 특징이 미리 설정된 특징에 부합될 때,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으로 판정하고,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술한 도15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 중의 추출 유닛(1107)과 제 2 판정 유닛(1108)의 구조는 전술한 도12 내지 14의 장치 실시예에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본 개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6은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하나의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당해 실시예는 전술한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위에서, 당해 장치는 모드 정의 유닛(1109) 또는 모드 취득 유닛(111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그 중,
상기 모드 정의 유닛(1109)은, 수신한 사용자 배치 명령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정의하고 저장하는 것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드 취득 유닛(1110)은, 기타 사용자가 정의한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취득하고 저장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술한 도16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 중의 모드 정의 유닛(1109) 또는 모드 취득 유닛(1110)의 구조는 전술한 도12내지 15의 장치 실시예에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본 개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7은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하나의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당해 실시예는 전술한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위에서, 당해 장치는 촬영 제어 유닛(111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그 중, 촬영 제어 유닛(1111)은,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지 않았을 때, 촬영을 정지하거나 또는 동행 촬영을 수행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설명해야 하는 바로는, 상술한 도17에 도시된 장치 실시예 중의 촬영 제어 유닛(1111)의 구조는 전술한 도12내지 16의 장치 실시예에도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본 개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 중의 장치에 관하여, 그 중 각각의 모듈이 조작을 수행하는 구체 방식은 이미 당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 더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장치 실시예에 대해 말하자면, 그는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와 대응되기에, 관련된 부분은 방법 실시예 부분의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위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그 중 상기 분리 부품으로서 설명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으로 표시되는 부품은 물리적 유닛이거나 또는 아닐 수도 있으며, 한곳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여러개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분 또는 전부 모듈을 선택하여 본 개시 방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들은 창조성적인 노동을 기여하지 않는 상황에서 바로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개시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를 더 제공하는데, 프로세서;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고;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스타트하여, 촬영 조작에 응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응하게, 본 개시는 단말기를 더 제공하는 바, 상기 단말기에는 메모리, 및 한개 또는 한개 이상의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고, 그 중 한개 또는 한개 이상의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배치를 통해 한개 또는 한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한개 또는 한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은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며;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스타트하여, 촬영 조작에 응용하는 조작을 진행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도18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1800)에 적용되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1800)는 이동 전화, 컴퓨터, 디지털 브로드캐스트 단말 기기, 메시지 송수신기, 게임 제어 플랫폼, 태블릿 기기, 의료 기기, 헬스 기기, PDA 등일 수 있다.
도18을 참고하면, 장치(1800)는 처리 어셈블리(1802), 메모리(1804), 전원 어셈블리(1806), 멀티 미디어 어셈블리(1808), 오디오 어셈블리(18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1812), 센서 어셈블리(1814)와 통신 어셈블리(1816)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 어셈블리(1802)는 통상적으로 제어 장치(1800)의 전체 조작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된 조작을 처리한다. 처리 어셈블리(1802)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18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하여 상기 방법 중의 전체 또는 일부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어셈블리(1802)는 처리 어셈블리(1802)와 다른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티브에 편리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어셈블리(1802)는 멀티 미디어 어셈블리(1808)와 처리 어셈블리(1802) 사이의 인터랙티브에 편리하도록 멀티 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804)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장치(1800)에서의 조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데이터의 예시로는 장치(1800)에서 조작되는 모든 앱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인 데이터, 전화 통신록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804)는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적 램(SRAM), 이이피롬(EEPROM), 이피롬(EPROM), 프롬(PROM), 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이다.
전원 어셈블리(1806)는 장치(1800)의 각종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어셈블리(18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및 장치(1800)를 위해 전력을 생성, 관리 및 할당하기 위한 다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 미디어 어셈블리(1808)는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은 상기 장치(1800)와 사용자 사이에 존재하고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다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터치, 슬라이드 및 터치 패널 상의 제스처를 감지한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드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드 조작과 관련된 지속 시간과 압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 미디어 어셈블리(1808)는 전치 카메라 및/또는 후치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18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어 촬영 모드 또는 비디오 모드인 경우, 전치 카메라 및/또는 후치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 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전치 카메라 및/또는 후치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으며, 또는 초점거리와 광학 초점 변경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어셈블리(1810)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장치(18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인 경우, 카메라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1804)에 진일보하여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어셈블리(1816)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어셈블리(18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I/O인터페이스(1812)는 처리 어셈블리(18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들 버튼은 홈페이지 버튼, 볼륨 버튼, 부팅 버튼과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814)는 장치(1800)에 대해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진행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어셈블리(1814)는 장치(1800)의 켜짐과 닫힘 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적 포지셔닝을 검출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어셈블리는 장치(1800)의 디스플레이와 키패드이다. 센서 어셈블리(1814)는 장치(1800) 또는 장치(1800)의 하나의 어셈블리의 위치 변경, 사용자와 장치(1800)의 접촉의 존재 여부, 장치(1800)의 방위 또는 가속 및 감속, 장치(1800)의 온도 변화도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8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어떤 물리적 접촉이 없는 경우에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센서 어셈블리(1814)는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학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결상 응용에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814)는 가속 센서, 자이로 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1816)는 장치(1800)와 기타 다른 기기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에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장치(1800)는 통신 표준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접속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어셈블리(1816)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거쳐 외부 브로드캐스트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오는 브로드캐스트 신호 또는 브로드캐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18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인식(RFID) 기술, 국제적외선통신데이터협회(IrDA) 기술, 초광대역 통신(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과 기타 다른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1800)는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기기(DSPD),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다른 전자 소자에 의해 구현되어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예를 들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1804)를 더 제공한다. 상기 명령은 장치(1800)의 프로세서(1820)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방법을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ROM, 램(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픽 디스크 및 광 데이터 저장 기기 등일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명세서를 고려하고 및 여기에서 개시한 개시를 실천한 후, 본 개시에 따른 기타 실시 형태를 쉽게 생각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본 개시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괄하는 것을 취지로 한다.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개시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며, 본 개시에 개시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 기술 또는 관용 기술적 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일 뿐이며, 본 개시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은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나타낸다.
이해되어야 하는 바로는, 본 개시는 위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하게 수정되고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25)

  1.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는 단계;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스타트하여, 촬영 조작에 응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은,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한 것,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자세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행동 특징을 취득하는 단계;
    상기 행동 특징이 미리 설정된 특징에 부합될 때, 상기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하였다고 판정하며,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행동 특징을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진행하여, 상기 행동 특징을 취득하는 것;
    또는,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통신 연결을 확립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가 채취한 상기 행동 특징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특징은 상기 사용자의 손동작이 형성한 궤적 도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진행하여, 사용자 자세를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통신 연결을 확립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가 채취한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생리 특징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생리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사용자 자세를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사용자 자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자세에 부합될 때,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자세는:
    정지 또는 운동 자세;
    수평 자세, 올리막 자세 또는 내리막 자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처한 환경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하고, 채취한 이미지에 포함된 환경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환경 특징이 미리 설정된 특징에 부합될 때,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으로 판정하며,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무인기가 처한 상기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는, 환경 광활 정도;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장애물의 분포 정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처한 상기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는, 환경 광활 정도;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상기 사용자 주위의 기타 사용자 수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는:
    클로즈업 모드, 원경 모드,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거리 유지,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각도 유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서라운딩 촬영 모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한 사용자 배치 명령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정의하고 저장하는 단계;
    또는, 기타 사용자가 정의한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취득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때, 촬영을 정지하거나 또는 동행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13.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에 있어서,
    확정 유닛 및 스타트 유닛을 포함하며:
    확정 유닛은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스타트 유닛은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스타트하여, 촬영 조작에 응용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은: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한 것,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자세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을 검측한 것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취득 유닛 및 제 1 판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취득 유닛은 상기 사용자의 행동 특징을 취득하기 위한 것이고;
    제 1 판정 유닛은 상기 행동 특징이 미리 설정된 특징에 부합될 때, 상기 사용자가 보낸 미리 설정된 명령을 수신하였다고 판정하며,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유닛은 채취 서브 유닛 또는 수신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그 중,
    상기 채취 서브 유닛은 상기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진행하여, 상기 행동 특징을 취득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수신 서브 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가 채취한 상기 행동 특징을 수신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특징은 상기 사용자의 손동작이 형성한 궤적 도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채취 유닛 또는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채취 유닛은, 상기 사용자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진행하여, 사용자 자세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스마트 기기와 통신 연결을 확립하고, 상기 스마트 기기가 채취한 상기 사용자의 미리 설정된 생리 특징 파라미터를 수신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생리 특징 파라미터에 따라 사용자 자세를 확정하기 위한 것이며;
    그 중, 상기 사용자 자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자세에 부합될 때, 상기 확정 유닛은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자세는:
    정지 또는 운동 자세;
    수평 자세, 올리막 자세 또는 내리막 자세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추출 유닛 및 제 2 판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추출 유닛은,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처한 환경에 대해 이미지 채취를 하고, 채취한 이미지에 포함된 환경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것이며;
    제 2 판정 유닛은, 상기 환경 특징이 미리 설정된 특징에 부합될 때, 무인기 또는 상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에 처해 있음으로 판정하고,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무인기가 처한 상기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는, 환경 광활 정도;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장애물의 분포 정황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가 처한 상기 미리 설정된 환경 상태는, 환경 광활 정도; 실내 또는 실외 환경; 상기 사용자 주위의 기타 사용자 수량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는:
    클로즈업 모드, 원경 모드,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거리 유지, 사용자와 미리 설정된 각도 유지,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서라운딩 촬영 모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
  23. 제 13 항에 있어서,
    모드 정의 유닛 또는 모드 취득 유닛을 더 포함하고; 그 중,
    상기 모드 정의 유닛은, 수신한 사용자 배치 명령에 따라,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정의하고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모드 취득 유닛은, 기타 사용자가 정의한 상기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취득하고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
  24. 제 13 항에 있어서,
    촬영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촬영 제어 유닛은,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때, 촬영을 정지하거나 또는 동행 촬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기의 촬영 제어 장치.
  25. 전자 기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프로세서는:
    미리 정의된 모드 사용 스타트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확정하고;
    상기 미리 정의된 모드 스타트 조건에 대응되는 미리 설정된 촬영 모드를 스타트하여, 촬영 조작에 응용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87000281A 2015-08-26 2016-06-03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KR101982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531707.X 2015-08-26
CN201510531707.XA CN105138126B (zh) 2015-08-26 2015-08-26 无人机的拍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PCT/CN2016/084789 WO2017032126A1 (zh) 2015-08-26 2016-06-03 无人机的拍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5241A true KR20180015241A (ko) 2018-02-12
KR101982743B1 KR101982743B1 (ko) 2019-05-27

Family

ID=5472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281A KR101982743B1 (ko) 2015-08-26 2016-06-03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064181A1 (ko)
EP (1) EP3136710A1 (ko)
JP (1) JP6388706B2 (ko)
KR (1) KR101982743B1 (ko)
CN (1) CN105138126B (ko)
RU (1) RU2679199C1 (ko)
WO (1) WO2017032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8126B (zh) * 2015-08-26 2018-04-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无人机的拍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9939913B2 (en) 2016-01-04 2018-04-10 Sphero, Inc. Smart home control using modular sensing device
CN105620731B (zh) * 2016-01-06 2019-03-05 北京臻迪机器人有限公司 一种无人机控制方法及无人机控制系统
US9758246B1 (en) * 2016-01-06 2017-09-12 Gop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flight control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CN105512643A (zh) * 2016-01-06 2016-04-20 北京二郎神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采集方法和装置
CN105808062A (zh) * 2016-03-08 2016-07-27 上海小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控制智能装置的方法和终端
CN105892474A (zh) * 2016-03-31 2016-08-24 深圳奥比中光科技有限公司 无人机以及无人机控制方法
JP6308238B2 (ja) * 2016-04-07 2018-04-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飛行型カメラ装置、飛行型カメラシステム、端末装置、飛行型カメラ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095265A (zh) * 2016-05-31 2016-11-09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拍摄器焦距调整方法及智能穿戴设备
CN106054871A (zh) * 2016-05-31 2016-10-26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人机拍摄器方向调整方法及智能穿戴设备
WO2017214965A1 (zh) * 2016-06-17 2017-12-21 尚艳燕 一种平衡车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JP6500849B2 (ja) * 2016-06-23 2019-04-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765709B (zh) * 2016-08-22 2021-12-31 广州亿航智能技术有限公司 基于飞行器实现自拍的方法及装置
CN106603970B (zh) * 2016-11-11 2020-12-08 北京远度互联科技有限公司 视频拍摄方法、系统及无人机
CN107450573B (zh) * 2016-11-17 2020-09-04 广州亿航智能技术有限公司 飞行拍摄控制系统和方法、智能移动通信终端、飞行器
CN106529500A (zh) * 2016-11-28 2017-03-22 中控智慧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系统
CN106444843B (zh) * 2016-12-07 2019-02-15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无人机相对方位控制方法及装置
CN106657779B (zh) * 2016-12-13 2022-01-04 北京远度互联科技有限公司 环绕拍摄方法、装置及无人机
US10409276B2 (en) * 2016-12-21 2019-09-10 Hangzhou Zero Zero Technology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r-free user drone interaction
CN106843275B (zh) * 2017-04-01 2020-03-27 成都通甲优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无人机定点绕飞方法、装置以及系统
WO2018191840A1 (zh) * 2017-04-17 2018-10-25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无人机交互拍摄系统及方法
CN108496141B (zh) * 2017-06-30 2021-11-12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控制可移动设备跟随的方法、控制设备和跟随系统
US10880465B1 (en) 2017-09-21 2020-12-29 IkorongoTechnology, LLC Determining capture instructions for drone photography based on information received from a social network
CN110192168B (zh) * 2017-12-29 2022-06-10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机拍照方法、图像处理方法和装置
CN108683840A (zh) * 2018-03-28 2018-10-19 深圳臻迪信息技术有限公司 拍摄控制方法、拍摄方法以及无人设备端
CN108566513A (zh) * 2018-03-28 2018-09-21 深圳臻迪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无人机对运动目标的拍摄方法
CN110386087B (zh) * 2018-04-23 2022-04-12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车辆的拍摄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及车辆
CN108924473B (zh) * 2018-04-28 2023-07-25 广州亿航智能技术有限公司 基于无人机巡航模式的预订航拍方法及系统
CN108983809A (zh) * 2018-07-16 2018-12-11 福州日兆信息科技有限公司 基于无人机的精准识别定位环绕的方法及无人机
CN109284715B (zh) * 2018-09-21 2021-03-02 深圳市九洲电器有限公司 一种动态物体识别方法、装置及系统
CN109432724A (zh) * 2018-12-13 2019-03-08 福州大学 新型健身飞行器及其控制方法
WO2020186506A1 (zh) * 2019-03-21 2020-09-2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拍摄装置的控制方法和拍摄装置
CN111328387B (zh) * 2019-07-19 2024-02-20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云台控制方法、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650287A (zh) * 2019-09-05 2020-01-03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一种拍摄控制方法、装置、飞行器及飞行系统
CN110502035A (zh) * 2019-09-10 2019-11-26 深圳市道通智能航空技术有限公司 航拍相机的远程控制方法及无人机
CN111314616A (zh) * 2020-03-16 2020-06-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获取方法、电子设备、介质及可穿戴设备
SE2050738A1 (en) * 2020-06-22 2021-12-23 Sony Group Corp System and method for image content recording of a moving user
WO2022141187A1 (en) * 2020-12-30 2022-07-07 SZ DJI Technology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ing a body-attached remote contro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0195A (ja) * 2009-02-27 2010-09-09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カメラ
KR20130056275A (ko) * 2010-06-16 2013-05-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20130116013A (ko) * 2012-04-13 201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4086804A (ja) * 2012-10-22 2014-05-12 Nikon Corp 補助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4949B2 (ja) * 2002-09-05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移動撮影システム、移動撮影方法、及び撮影装置
US7343232B2 (en) * 2003-06-20 2008-03-11 Geneva Aerospace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related methods and components
EP1793580B1 (en) * 2005-12-05 2016-07-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amera for automatic image capture having plural capture modes with different capture triggers
JP2008118475A (ja) * 2006-11-06 2008-05-22 Canon Inc クレード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080220809A1 (en) * 2007-03-07 2008-09-1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system for a self timer function for a camera and ...
US20100301398A1 (en) * 2009-05-29 2010-12-02 Ion Torrent Systems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alytes
CN102331783B (zh) * 2011-06-17 2013-03-13 沈阳航空航天大学 一种用于室内飞艇的自动驾驶仪
FR2985581B1 (fr) * 2012-01-05 2014-11-28 Parrot Procede de pilotage d'un drone a voilure tournante pour operer une prise de vue par une camera embarquee avec minimisation des mouvements perturbateurs
TW201339903A (zh) * 2012-03-26 2013-10-01 Hon Hai Prec Ind Co Ltd 無人飛行載具控制系統及方法
RU125964U1 (ru) * 2012-05-25 2013-03-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омсомольский-на-Амуре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Беспилотный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JP2015002522A (ja) * 2013-06-18 2015-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監視カメラ及び監視カメラの制御方法
CN103426282A (zh) * 2013-07-31 2013-12-0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遥控方法及终端
US20150134143A1 (en) * 2013-10-04 2015-05-14 Jim Willenborg Novel tracking system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JP6273803B2 (ja) * 2013-11-29 2018-02-07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撮像システム、撮像システム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5136030A (ja) * 2014-01-17 2015-07-27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CN104828256B (zh) * 2015-04-21 2016-09-28 杨珊珊 一种智能多模式飞行拍摄设备及其飞行控制方法
CN104808799A (zh) * 2015-05-20 2015-07-29 成都通甲优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能够识别手势的无人机及其识别方法
CN204697171U (zh) * 2015-05-27 2015-10-07 杨珊珊 一种智能多模式飞行拍摄设备
CN104898524B (zh) * 2015-06-12 2018-01-09 江苏数字鹰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手势的无人机遥控系统
CN105138126B (zh) * 2015-08-26 2018-04-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无人机的拍摄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0195A (ja) * 2009-02-27 2010-09-09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カメラ
KR20130056275A (ko) * 2010-06-16 2013-05-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20130116013A (ko) * 2012-04-13 201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2014086804A (ja) * 2012-10-22 2014-05-12 Nikon Corp 補助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88706B2 (ja) 2018-09-12
RU2679199C1 (ru) 2019-02-06
WO2017032126A1 (zh) 2017-03-02
EP3136710A1 (en) 2017-03-01
US20170064181A1 (en) 2017-03-02
JP2017538300A (ja) 2017-12-21
CN105138126A (zh) 2015-12-09
KR101982743B1 (ko) 2019-05-27
CN105138126B (zh)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743B1 (ko)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US9788065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 video
KR101910346B1 (ko)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장치
US201700915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EP29779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verification using verification code
JP6212654B2 (ja) ユーザ情報取得方法及び装置
EP29608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locking file
RU2617325C2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данных о состоянии здоровья
EP390182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touch button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and terminal device
CN106791893A (zh) 视频直播方法及装置
CN108886574B (zh) 一种拍摄引导方法、设备及系统
US10122916B2 (en) Object monitoring method and device
CN105116917A (zh) 飞行设备降落方法及装置
CN111416940A (zh) 拍摄参数处理方法及电子设备
EP3312702B1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gesture
US20170075868A1 (en)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4503888A (zh) 告警提示的方法及装置
CN108108461B (zh) 确定封面图像的方法及装置
CN107566746B (zh) 一种拍照方法及用户终端
CN114009003A (zh) 图像采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6054918A (zh) 提供无人机信息的方法和装置
CN105335714A (zh) 照片处理方法、装置和设备
CN108986803B (zh) 场景控制方法及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CN106289161A (zh) 高度测量方法及装置
US109502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audio-visual inform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