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6275A -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 Google Patents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6275A
KR20130056275A KR1020137001116A KR20137001116A KR20130056275A KR 20130056275 A KR20130056275 A KR 20130056275A KR 1020137001116 A KR1020137001116 A KR 1020137001116A KR 20137001116 A KR20137001116 A KR 20137001116A KR 20130056275 A KR20130056275 A KR 20130056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able device
mobile device
processing unit
commands
control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5906B1 (ko
Inventor
샤디아 아비파커
루벤 엠 벨라르데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56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5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5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50Service provisioning or reconfigur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2Remote control based on movements, attitude of remote control dev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70Device selection
    • G08C2201/71Directional be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 내에 및/또는 함께 구현될 수도 있는 방법들 및 장치들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STURE BASED REMOTE CONTROL}
1. 분야
본원에서 개시되는 요지는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 에서 또는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2. 정보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디지털 정보의 장에서 가장 유행하는 기술들 중 하나가 빠르게 되고 있다. 이미 위성 및 셀룰러 전화 서비스들 및 다른 유사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이 전체 지구에 미칠 수도 있다. 게다가, 고정형 및 휴대형 양자의, 많은 디바이스들 간에 접속을 제공하기 위해서, 여러 유형들 및 사이즈들의 새로운 무선 시스템들 (예컨대, 네트워크들) 이 매일 추가되고 있다. 심지어 더 많은 통신 및 정보의 공유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이들 무선 시스템들 중 많은 시스템들이 다른 통신 시스템들 및 리소스들을 통해서 함께 커플링되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들 (예컨대, 셀룰러폰들, PDA들, 노트북 컴퓨터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들용 원격 컨트롤들 등) 을 위한 진보된 애플리케이션들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에 일부 유형의 통신 링크를 통해서 커맨드들을 제공하는데 사용되었다. 통상적으로, 버튼들 및/또는 인터페이스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에 커맨드들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들 (selections) 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런 커맨드들은 어떤 방식으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동작에 영향 (예컨대, 턴온 또는 턴오프,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음량의 증가 또는 감소, 방 조명, 온도 조절 장치 제어들 등에의 영향) 을 줄 수도 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버튼들을 눌러,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들을 제공하며, 터치 스크린과 상호작용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상에서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있는 동안, 사용자는 버튼들 및/또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제어할 특정의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한 후, 그 모바일 디바이스에 입력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에게 이런 행동은 주의를 산만하게 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도 있다.
어떤 양태들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원격 제어를 허용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및/또는 함께 사용하기 위한 기법들이 제공된다. 이런 원격 제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행하는 제스쳐들 및/또는 다른 사용자 입력들에 기초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까지의 가시선으로부터 벗어나는 상황들에서도 이런 원격 제어가 일어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런 원격 제어는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어가능한 디바이스 근처에 있거나 및/또는 멀리 이동되는 상황들에서 일어날 수도 있다.
비한정적인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 (orientation) 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향하는 방향과 연관될 수도 있는 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선택이 어떤 방식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며, 그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을 통해서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그러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 및/또는 복수의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로의 이런 커맨드(들) 의 송신을 직접적으로 및/또는 간접적으로 개시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프로그램 (program) 되거나 및/또는 아니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을 획득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로부터 신호들을 프로세싱하여,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을 특성화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그 특성화된 제스쳐(들) 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추정된 방향을 향하는 방향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에 응답하여 이런 커맨드들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비-제한적 및 비-포괄적 양태들이 다음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달리 지정하지 않는 한, 여러 도면들에 걸쳐 유사한 도면부호들은 유사한 부재들을 지칭한다.
도 1 은 일 구현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환경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2 는 일 구현예에 따른, 예를 들어 도 1 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떤 피쳐들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 은 일 구현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 프로세스의 어떤 피쳐들을 도시하는 기능 흐름도이다.
도 4 는 일 구현예에 따른, 예시적인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 학습 프로세스의 어떤 피쳐들을 도시하는 기능 흐름도이다.
도 5 는 일 구현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원격으로 선택/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배열의 어떤 예시적인 피쳐들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어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의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를 수행하도록 인에이블 (enable)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예컨대, 나침반,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및/또는 자력계와 같은 하나 이상의 관성 모션 센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런 센서들로부터의 측정치들은 디바이스의 배향 (예컨대, 롤 (roll), 피치 (pitch) 및 요 (yaw)) 를 결정하거나 및/또는 참고 자료 (reference datum) 에 상대적인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의 각도를 결정하기 위해 프로세싱될 수도 있다. 게다가,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쥐고 있는 동안, 특정의 손 제스쳐들 (예컨대, 상하좌우으로 손목 돌리기 등) 을 검출하거나 및/또는 특성화하기 위해 이런 센서들로부터의 측정치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 커맨드들을 개시하기 위하여, 이런 제스쳐들을 행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의 로케이션들이 알려져 있다. 사용자는 그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알려진 로케이션을 향하는 방향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지향시킴으로써, 커맨드들을 수신하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은 예를 몇 개 들자면, 예를 들어, GPS, 어드밴스트 순방향 삼각측량법 (advanced forward trilateration) 과 같은, 여러 로케이션 결정 기법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향 배향은 온-보드 센서들 (예컨대, 나침반) 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라인 또는 레이 (ray) 가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지의 로케이션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의 방향 배향에 따르는 방향으로 투사될 수도 있다. 그 투사된 라인 또는 레이가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통과하거나 또는 근처를 지나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입력들을 수신하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일단 그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가 입력들을 수신하도록 선택되면, 사용자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의 커맨드들의 송신을 개시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쥐고 있는 동안에 어떤 제스쳐들을 행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관성 센서들로부터의 신호들에 기초하여 이런 제스쳐들을 검출하거나 및/또는 특성화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대략적인 방향으로 지향시키고 디바이스를 쥐고 있는 동안에 특정의 제스쳐들을 행하는 것과 달리, 사용자는 버튼들 또는 터치 스크린 등과 상호작용하지 않고서, 제어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선택된 디바이스로의 커맨드들의 송신을 개시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여러 유형들의 데이터 링크들 (예컨대, WiFi, Bluetooth, 셀룰러 네트워크 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제어되는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도 있다. 하나의 특정의 구현예에서,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는 IP 어드레스와 연관될 수도 있으며 TCP/IP 세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커맨드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원격으로 제어되는 디바이스와 그 원격으로 제어되는 디바이스에 커맨드들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에 (예컨대, IR 링크에 있어 통상적으로 요망되는) 가시선 경로 (line of sight path) 가 요구되지 않는다.
게다가, 인가 (authorization) 및/또는 인증 (authentication) 프로토콜이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의한 원격으로 제어되는 디바이스들에의 액세스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커맨드들을 수신하기 전에, 원격으로 제어되는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보안 메타데이터에 대해 쿼리하고 커맨드들의 소스의 인증시에 커맨드들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는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에 입력들을 공급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사용자는 키패드로부터 입력들을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 근처 또는 이웃에 유지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현재의 로케이션을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고정된 로케이션과 연관시킴으로써, 원격으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등록할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런 모바일 디바이스는 널리 알려진 기법들을 이용하여 그 자신의 로케이션을 결정할 수도 있다. 특정의 입력들을 제공하는 일부 디폴트 제스쳐들이 있을 수도 있지만, 사용자는 또한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를 쥐고 있는 동안에) 어떤 손 제스쳐들을 프로그램할 수도 있다. 이런 제스쳐들로부터 생성된 관성 센서 신호들은 미래에 손 제스쳐들을 검출하거나 및/또는 특성화하고 이에 따라서, 원격으로 제어되는 디바이스로의 커맨드들을 개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저장된 서명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를 감안하여,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 따르면, 방법들 및/또는 장치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어떤 방식으로 선택하고 제거할 수 있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및/또는 함께 사용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런 방법들 및/또는 장치들에 의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부터 떨어진 어떤 거리에 로케이트될 수도 있는 사용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어떤 방식으로 선택하고 제어할 수도 있다.
초기 비한정적인 예로서, 사용자는 그들의 근무처에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그들의 가정에 있는 기기와 같은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로케이션과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사이의 거리는 크게 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로케이션은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으로부터 수십 또는 수백 미터 및/또는 심지어 수 킬로미터일 수도 있다. 실제로, 사용자로부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까지의 가시선은 여러 자연 및/또는 인공 구조물들에 의해 방해될 수도 있다.
사용자로 하여금 가까운 및/또는 먼 거리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선택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을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향하는 방향과 연관시키는, 어떤 예시적인 방법들 및/또는 장치들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배향은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 (예컨대,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또는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 및/또는 가능하게는 나침반, 자력계, 바로미터 등), 및/또는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 (예컨대, 글로벌 네비게이션 위성 시스템 (GNSS) 수신기, 로케이션-기반의 서비스 (LBS) 등), 나침반 및/또는 자력계 등을 이용하여 유도된 어떤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특정의 상/하 (up/down), 최상부/최하부 (top/bottom) 등,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에 관련되는 위치들에 대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보거나 또는 아니면 사용할 때 최상부 및 최하부에 관련될 수도 있는 특정의 동작 배향을 가질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및/또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사용과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들, 거리들, 시간 기간들, 허용가능 커맨드들 등에 관한, 하나 이상의 제한들이 (예컨대, 사용자 입력(들) 등에 기초하여 미리 디폴트로) 식별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향하는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은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할 수도 있으며, 결정된 방향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으로부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향해 연장하는 투사된 라인 또는 레이를 나타낼 수도 있다. 어떤 구현예들에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추정들 및/또는 배향 결정들에서 에러들을 고려하기 위해, 결정된 방향은 공간의 방향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공간의 방향 영역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으로부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향해 어떤 방식으로 연장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 및/또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에 관하여 미리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를 프로그램하거나 및/또는 트레이닝하는 일부 예시적인 기법들은 아래에서 더욱더 자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면, 위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추정된 로케이션 및 배향과,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의 로케이션을 알고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가 (예컨대, 후속하여 제어 커맨드들을 전송하기 위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선택을 위해 표시하거나 및/또는 아니면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은 그 방향에 (예컨대, 공간의 투사된 라인 및/또는 방향 영역 상에, 내에 및/또는 아니면 충분히 근처에) 있는 것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선택은 예를 들어, 자동적이거나 및/또는 아니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상황들에서, 사용자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선택을 검증하거나, 변경하거나, 또는 아니면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그 방향에 2개 이상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이 있게 되면, 사용자는 이런 충돌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도록 프롬프트되거나 또는 아니면 허용될 수도 있다. 초기 예로서, 정보적 (informative) 및/또는 선택가능한 이미지들 또는 아이콘들 등이,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 의 선택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제시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제시하는 예들이 단일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선택을 일반적으로 도시하는 경향이 있지만, 실제로,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는 복수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경우들이 있을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선택 및/또는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후속 제어를 지원하기 위해, 여러 유형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센서들 및/또는 이동국과 연관된 사용자 입력이 채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선택과 연관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는 상호작용 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마이크로폰, 카메라, 버튼 또는 키패드,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 및/또는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예를 들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선택 및/또는 본원의 여러 프로세스들에 관련한 다른 정보가 시각 인터페이스 (예컨대, 디스플레이, 표시기 등), 오디오 인터페이스 (예컨대, 스피커, 버저 등), 및/또는 촉각 인터페이스 (예컨대, 진동 메카니즘 등) 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이런 인터페이스들, 센서들 및/또는 사용자 입력이, 또한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 및/또는 지원 통신 서비스들 및/또는 다른 유사한 리소스들에 관련한 액세스 제어에 요망될 수도 있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 인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위의 예를 계속 설명하면, 그러면, 현재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을 통해서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을 통해서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이 결정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은,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됨에 따라, 사람 (예컨대, 사용자, 및/또는 한 명 이상의 타인들) 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행위,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제스쳐를 식별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물리적인 행위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거나, 기록되거나 및/또는 캡쳐됨에 따라, 식별가능한 모션(들), 오디오 파형들, 시각 이미지들, 및/또는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을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위의 예를 계속 설명하면,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결정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그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의 커맨드(들) 의 송신을 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 및 커맨드(들) 을, 원하는 커맨드들을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 통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리소스들로,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들을 무선 신호들을 통해서 하나 이상의 통신 네트워크들과 연관되는 액세스 지점, 기지국, 및/또는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화된 리소스는 예를 들어, 추가적인 데이터 프로세싱을 제공하여 또는 추가적인 데이터 프로세싱을 제공하지 않고서, 원하는 커맨드들을 그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 포워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이동국은 그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가 수신하고 그에 따라서 프로세싱할 수도 있는 원하는 커맨드를 발생하거나 또는 아니면 식별가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이렉트 통신 링크 상에서 그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 할 수도 있다. 다른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네트워크 리소스는, 그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가 수신하고 그에 따라서 프로세싱할 수도 있는 원하는 커맨드를 발생하거나 또는 아니면 식별하는 추가적인 데이터 프로세싱 능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그 상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및/또는 제어 프로세스를 추가로 지원하기 위해서,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현재의 상태가 결정되거나 또는 모니터링되고, 사용자에게 피드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미리 선택하고 제어하도록 프로그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획득할 수도 있다.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되거나 및/또는 어떤 방식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추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네트워크 리소스 및/또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 및/또는 사용자 입력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미리 결정된 로케이션을 식별할 수도 있다. 다른 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서비스들이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통신함으로써,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ISP) 리소스 등과 같은 다른 지원 리소스들의 로케이션을 식별함으로써)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추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는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 (예컨대, GNSS 수신기) 에 의해, 및/또는 가능하게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리소스들의 추가적인 지원에 의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추정할 수도 있다.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과 연관되는 데이터는 모바일 디바이스 내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 및/또는 다른 인터페이스들로부터의 신호들을 프로세싱하여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을 특성화하고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과 연관됨에 따라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거나 및/또는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그 특성화된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 및 연관된 커맨드들과 연관되는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선택의 추후 식별 및/또는 그에 관한 커맨드들의 결정에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런 데이터는 제어되는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향하는 방향을 가진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런 데이터는 또한, 예를 들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사용자 인증 및/또는 다른 유사한 액세스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을 특성화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은, 제어되는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화된 리소스들,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데이터가 다운로드되거나 또는 아니면 제공될 수도 있는 디폴트 제스쳐들을 가질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유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에 연관된 동작 정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액세스 제어 정보 및/또는 다른 리소스들 또는 서비스들, 및/또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정보는 어떤 제어 파라미터들, 기법들, 제한들 등을 지정 (specify)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제어 정보는 프로토콜들, 증명서들, 코드들, 패스워드들, 제한들, 가입들 등을 식별하거나 및/또는 아니면 관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는 사용자 메뉴얼, 서비스 메뉴얼, 비디오/그래픽 및/또는 오디오 파일들, 모델 및/또는 일련 번호 정보, 네트워크 어드레스, 매체들 액세스 층 정보, 엔터티/소유자 연락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가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이미지 정보, 및/또는 다른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을 주목하면, 이 도면은 모바일 디바이스 (102), 네트워크 (104),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 (106), 및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서비스(들) (108) 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환경 (100) 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사용자에 의해 상당히 이동될 수도 있는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비한정적 예로서,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모바일 전화기, 스마트 폰,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착용식 컴퓨터, 개인 휴대정보 단말기 등과 같은, 컴퓨팅 및/또는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다른 디바이스들/메커니즘들에 부착되는 전자 회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사용자 또는 타인들에 의해 제어될 때 이동될 수도 있는 운송체 내에 설치되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102) 는 예를 들어, 무선 광역 네트워크 (WWAN),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 (WPAN), 및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여러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예컨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을 통해서) 인에이블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용어 "네트워크" 와 "시스템" 은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WWAN 은 코드분할 다중접속 (CDMA) 네트워크, 시분할 다중접속 (TDMA) 네트워크, 주파수 분할 다중접속 (FDMA) 네트워크,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접속 (OFDMA) 네트워크, 단일-캐리어 주파수분할 다중접속 (SC-FDMA) 네트워크, 및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일 수도 있다. CDMA 네트워크는 단지 몇 개의 무선 기술들을 예로 들면, cdma2000, 광대역-CDMA (W-CDMA), 시분할 동기적 코드분할 다중접속 (TD-SCDMA) 과 같은, 하나 이상의 무선 액세스 기술들 (RATs) 을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cdma2000 는 IS-95, IS-2000, 및 IS-856 표준들에 따라서 구현되는 기술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TDMA 네트워크는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AMPS (Digital Advanced Mobile Phone System), 또는 일부 다른 RAT 를 구현할 수도 있다. GSM 및 W-CDMA 는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로 명명되는 컨소시엄으로부터의 문서들에 설명되어 있다. cdma2000 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3GPP2) 로 명명되는 컨소시엄으로부터의 문서들에 설명되어 있다. 3GPP 및 3GPP2 문서들은 공개적으로 입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LAN 은 IEEE 802.11x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WPAN 은 Bluetooth 네트워크, IEEE 802.15x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은 예를 들어, 롱텀 에볼류션 (LTE), 어드밴스트 LTE, WiMAX, UMB (Ultra Mobile Broadband), 및/또는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소위 차세대 기술들 (예컨대, "4G")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104) 는 모바일 디바이스 (102) 와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 (106)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들 및/또는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을 나타낸다. 일 예로서, 네트워크 (104) 는 원격 통신들 및/또는 데이터 네트워크 및/서비스들, 셀룰러 및/또는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인트라넷, 인터넷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104) 는 액세스 지점 (110), 기지국 (112), 다이렉트 링크 (direct link; 114), 및/또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통신 리소스들 (116)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소스들 (116) 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팅 디바이스들, 통신 디바이스들/리소스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로케이션 서비스(들) (108) 은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 기반의 로케이션 서비스들, 이를테면 GNSS (예컨대, GPS 등) 또는 다른 유사한 위성 및/또는 지상 로케이팅 서비스 (terrestrial locating service), (예컨대, 셀룰러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등을 통한) 로케이션 기반의 서비스를 나타낸다.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 (106) 은 (예컨대, 와이어들, 도파관들, 케이블들, 광 섬유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무선 링크들을 이용하여 송신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 신호들을 통해서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통해서, 어떤 방식으로 제어되거나 및/또는 아니면 동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도 있는 임의의 전자 및/또는 전기기계 장치를 나타낸다.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 (106) 은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들, 컴퓨팅 디바이스들, 통신 디바이스들,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들, 제어 메카니즘들, 기계들, 기기들, 로봇들, 차량들 (vehicles), 비행 (flying) 디바이스들, 수상 디바이스들, 수중 디바이스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이 수신될 수도 있으며, 이에 응답하여 동작 및/또는 상태가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를 참조하면, 이 도면은 일 구현예에 따른, 예를 들어, 도 1 에서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102) 의 어떤 피쳐들을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하나 이상의 접속부들 (200) 을 통해서 메모리 (204) 에 커플링된, (예컨대, 본원에서 제공되는 기법들에 따른) 데이터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들 (202) 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유닛(들) (202) 은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싱 유닛(들) (202) 은 데이터 컴퓨팅 프로시저 또는 프로세스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회로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 비한정적 예로서,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주문형 집적회로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및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 (204) 는 임의의 데이터 스토리지 메커니즘을 나타낼 수도 있다. 메모리 (204) 는 예를 들어, 1차 메모리 (204-1) 및/또는 2차 메모리 (204-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1차 메모리 (204-1) 는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예에서는 프로세싱 유닛들과는 분리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1차 메모리의 전부 또는 일부가 프로세싱 유닛(들) (202),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102) 내 다른 유사한 회로 내에 제공되거나, 또는 아니면, 프로세싱 유닛(들) (202),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 (102) 내 다른 유사한 회로와 같은 장소에 배치되거나/커플링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2차 메모리 (204-2) 는 예를 들어, 1차 메모리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유형의 메모리 및/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시스템들 이를테면, 예를 들어, 디스크 드라이브, 광디스크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고체 상태 메모리 드라이브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어떤 구현예들에서, 2차 메모리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20) 를 동작적으로 수용하거나, 또는 아니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20) 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204) 및/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20) 는 (예컨대, 본원에서 제공되는 기법들에 따른) 데이터 프로세싱과 연관되는 데이터 (206) 및/또는 명령들 (208)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210) 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210) 은 접속부들 (200) 중 하나 이상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210) 은 마이크로폰 (210-1), 카메라 (210-2), 디스플레이 (210-3), 하나 이상의 버튼들/등 (210-4), 및/또는 하나 이상의 촉각 인터페이스들 (210-5) (예컨대, 진동 메카니즘 등)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들은 생체측정 판독기 또는 다른 유사한 인증 인터페이스, 스피커 또는 버저 또는 다른 유사한 가청 인터페이스, 및/또는 LED들, 라이트들 등과 같은 여러 시각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속부들 (200) 중 하나 이상에 커플링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들 (212)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 (215)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센서들 (214) 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센서들 (214) 은 접속부들 (200) 중 하나 이상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이 예에서 그리고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센서들 (214) 은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 (214-1), 나침반 (214-2), 자력계 (214-3)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2) 는 예를 들어, 다른 회로 (218)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다른 회로 (218) 등은 접속부들 (200) 중 하나 이상에 커플링되거나 또는 커플링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다른 회로 (218) 은 그의 범위 내에서 모바일 디바이스 (102) 의 다른 기능 및/또는 능력들에 따라 폭넓게 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른 회로 (218) 는 전원,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액세스하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을 주목하면, 이 도면은 일 구현예에 따른,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이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 (300) 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블록 (302)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향하는 방향과 연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304)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이 본원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블록 (306) 에서, 방향이 예컨대, 본원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블록 (308)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은 예컨대, 본원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추정되거나 또는 아니면 결정될 수도 있다.
블록 (310) 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선택이 예컨대, 본원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312) 에서, 하나 이상의 선택가능한 및/또는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식별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314) 에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획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316) 에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 및/또는 지원 리소스/서비스에의 사용자 액세스가 획득될 수도 있다.
블록 (318) 에서, 그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이 예컨대, 본원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을 통하여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320) 에서, 물리적인 행위 및/또는 제스쳐가 식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322) 에서, 보이스 및/또는 이미지 인식 데이터 프로세스들이 실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324) 에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 제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 상태, 및/또는 다른 정보에 대한 피드백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블록 (326) 에서, 선택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의 커맨드들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이 예컨대, 본원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328) 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들 및/또는 메시지들의 송신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네트워크 리소스들, 및/또는 다이렉트 통신 링크를 통해서 실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 를 주목하면, 이 도면은 일 구현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예컨대, 훈련시키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 (400) 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블록 (402) 에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이 예컨대, 본원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블록 (404) 에서,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 및/또는 물리적인 행위들이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을 이용하여, 예컨대, 본원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특성화될 수도 있다.
블록 (406)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그 특성화된 제스쳐들 및/또는 물리적인 행위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개시하도록 프로그램되거나 또는 아니면 인에이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408)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예컨대, 본원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제스쳐를 특성화하는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410) 에서, 그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동작 정보, 액세스 제어 정보, 및/또는 식별 정보가 예컨대, 본원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록 (412) 에서, 그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이미지 정보 및/또는 다른 식별 정보가 예컨대, 본원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블록 (414) 에서, 모바일 디바이스가 예컨대, 본원에서 설명하는 하나 이상의 기법들을 이용하여,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을 향하는 방향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프로그램되거나 또는 아니면 인에이블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 를 주목하면, 이 도면은 일 구현예에 따른,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서 설명하는 예시적인 기법들의 어떤 양태들을 그래픽으로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5 는 배열 (500) 을 나타내며, 여기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는 위치 P1 에 로케이트되며 모바일 디바이스는 위치 P2 에 로케이트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P2 에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P1 에 있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까지의 방향은 P2 로부터 P1을 향한 라인 (502), 및/또는 공간의 방향 영역 (504) 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공간의 방향 영역 (504) 이 원뿔 형태를 이용하여 도시되지만, 이것은 단지 일 예로서, 실제로는, 공간의 방향 영역 (504) 은 여러 형태들 및 부피들을 취할 수도 있으며, 인접하거나 하지 않거나 및/또는 균질하거나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라인 (502) 및/또는 공간의 방향 영역 (504) 이 맵 정보, 표면 정보 등에 기초하여, 어떤 방식으로 형상화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라인 (502) 및/또는 공간의 방향 영역 (504) 은 여러 에러들 및/또는 다른 유사한 정보를 고려하여, 어떤 방식으로 형상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 에서, 공간의 방향 영역 (504) 은 로케이션 추정, 배향 결정, 센서 능력들, 사용자 선호 (preference) 등에 관련한, 에러 정보 및/또는 임계 정보에 기초하여 형상화될 수도 있다. 게다가,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502) 의 전부 또는 일부 및/또는 공간의 방향 영역 (504) 은 하나 이상의 장애물들 (506) 을 통과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 (102) (여기서, 블록으로 표시됨) 의 예시적인 배향 (520) 는 또한 도 5 에 x-축, y-축, 및 z-축을 갖는 것으로 나타낸다. 물론, 다른 배향/좌표계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 는 또한 복수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이 예를 들어, 위치 P3 및 위치 P4 에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도시한다. 여기서, 위치 P3 에 로케이트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가 라인 (502) 을 따라 또는 인근 및/또는 공간의 방향 영역 (504) 의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므로, P3 에 있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는 현재 선택되거나 및/또는 제어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위치 P4 에 로케이트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는 공간의 방향 영역 (504)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선택될 수도 있거나 및/또는 라인 (502) 을 따라 또는 충분히 인근에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위치 P1 및 위치 P4 에 있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 사이에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향하는 방향이 덜 확실한 (less certain) 이런 프로세스가 개시된 이후에 이동국의 로케이션 및/또는 배향이 충분히 변경되었다고 결정시에, 상기 선택 및/또는 제어 프로세스들 중 어느 것을 인터럽트하거나 또는 아니면 영향을 미치는 것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유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터럽션 (interruption) 이 요망될 수도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임계 로케이션 및/또는 배향이 설정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그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선택 및/또는 제어 프로세스들 중 어느 것을 인터럽트하거나 또는 아니면 영향을 미치는 것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유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화 능력들을 가진 모바일 디바이스는 전화기 콜이 도달하였다고 표시하고, 이에 따라, 본원에서 제시하는 선택 및/또는 제어 프로세스들 중 하나 이상이 사용자가, 제스쳐-기반의 커맨드를 의도하지 않게 생성하거나 또는 영향을 미침이 없이, 인입하는 전화기 콜을 받아들이도록 인터럽트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이런 프로세스가 개시된 이후 임계 시간량의 경과 시, 상기 선택 및/또는 제어 프로세스들 중 어느 것을 인터럽트하거나 또는 아니면 영향을 미치는 것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유용할 수도 있다.
어떤 예시적인 구현예들에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이 변경되었다고 결정시에, 상기 선택 및/또는 제어 프로세스들 중 어느 것을 인터럽트하거나 또는 아니면 영향을 미치는 것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유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는 하나의 방으로부터 또다른 방으로 이동될 수도 있으며, 이런 리로케이션을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모바일 디바이스에 유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는 이런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 및/또는 네트워크 상의 일부 다른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 네트워크 리소스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가 이동되거나 또는 변경되었다고 어떤 방식으로 검출하고, 이에 응답하여 대응하는 정보를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런 정보는 예를 들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가 이동되었다는 것을 식별할 수도 있으며, 가능하게는, 새로운 로케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런 정보는 예를 들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가 현재 이용할 수 없다는 것 등을 식별할 수도 있다.
"일 예", "예", "어떤 예들", 또는 "예시적인 구현예" 에 대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참조는, 그 피쳐 및/또는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는 특정의 피쳐, 구조, 또는 특징이 청구 요지의 적어도 하나의 피쳐 및/또는 예에 포함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여러 장소에서 어구 "일 예에서", "일 예", "어떤 예들에서" 또는 "어떤 구현예들에서" 또는 다른 유사한 어구들의 출현들은 동일한 특징, 예, 및/또는 제한을 모두 반드시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특정의 피쳐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이 하나 이상의 예들 및/또는 피쳐들에서 결합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설명하는 방법론들은 특정의 피쳐들 및/또는 예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들에 따라서 여러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런 방법론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들로,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예를 들어, 프로세싱 유닛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들 (ASICs),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s),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 (DSPDs),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들 (PLDs),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 (FPGAs),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원에서 설명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디바이스들 유닛들, 및/또는 이들의 조합들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매우 많은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이 청구된 요지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개시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들은, 청구된 요지가 이들 구체적인 세부 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다른 경우, 당업자에게 알려져 있는 방법들 및 장치들은 청구된 요지를 모호하게 만들지 않기 위해서 자세하게 설명되지 않았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의 일부 부분들은 특정 장치 또는 특수 목적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플랫폼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2진 디지털 전자 신호들에 대한 동작들의 알고리즘들 또는 심볼 표현들에 관하여 제공되었다. 이 특정 명세서의 맥락에서, 용어 특정 장치 또는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은, 일단,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로부터의 명령들에 따라서 특정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때, 범용 컴퓨터를 포함한다. 알고리즘적 설명들 또는 심볼 표현들은 그들의 연구물을 다른 당업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신호 프로세싱 또는 관련 분야의 당업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기법들의 예들이다. 여기서,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원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동작들 또는 유사한 신호 프로세싱의 자기-일관성 있는 시퀀스인 것으로 간주된다. 이 맥락에서, 동작들 또는 프로세싱은 물리량들의 물리적인 조작을 수반한다. 일반적으로, 반드시는 아니지만, 이런 양들은 저장되거나, 전송되거나, 결합되거나, 비교되거나 또는 아니면 정보를 나타내는 전자 신호들로서 조작가능한 전기적 또는 자기적 신호들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종종, 주로 일반적인 사용의 이유들로, 이런 신호들을 비트들, 데이터, 값들, 엘리먼트들, 심볼들, 캐릭터 (character) 들, 용어들, 번호들, 숫자들, 정보, 또는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으로서 지칭하는 것이 편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또는 유사한 용어들의 모두가 적당한 물리량들과 연관되며 단지 편의상의 표식들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달리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 설명 전반에 걸쳐, "프로세싱하는", "컴퓨팅하는", "계산하는", "결정하는", "확립하는", "획득하는", 및/또는 그밖에 이와 유사한 것과 같은 용어들을 이용하는 것이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와 같은 특정 장치의 액션들 또는 프로세스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맥락에서,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특수 목적 컴퓨터 또는 유사한 특수 목적 전자 컴퓨팅 디바이스의 메모리들, 레지스터들, 또는 다른 정보 저장 디바이스들, 송신 장치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 내에서 물리적인 전자 또는 자기 양들로서 통상적으로 표현되는 신호들을 조작하거나 또는 변형할 수도 있다. 본 특정의 특허 출원의 맥락에서, 용어 "특정 장치" 는 일단,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로부터의 명령들에 따라서 특정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램될 때, 범용 컴퓨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들, "및", "또는", 및 "및/또는" 은 이런 용어들이 사용되는 맥락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할 것으로 또한 예견되는 다양한 의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또는" 은, A, B 또는 C 와 같은, 리스트와 연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본원에서 포괄적 의미로 사용되는 A, B, 및 C 뿐만 아니라, 본원에서 배타적 의미로 사용되는 A, B 또는 C 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게다가,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하나 이상의" 는 임의의 피쳐, 구조, 또는 특성을 단수로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거나, 또는 피쳐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의 복수의 또는 일부 다른 조합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이것은 단지 실례로서, 청구된 요지가 이 예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현재 예시적인 피쳐들인 것으로 간주되는 것을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들은 여러 다른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청구된 요지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균등물들로 대체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게다가, 특정의 상황을 청구된 요지의 교시들에 적응시키기 위해서 본원에서 설명하는 중심 컨셉으로부터 일탈함이 없이 많은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청구된 요지가 개시된 특정의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런 청구된 요지가 또한 첨부된 청구항들, 및 이의 균등물들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양태들을 포함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78)

  1.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을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향하는 방향과 연관시키는 단계;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선택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을 통해서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의 상기 커맨드들의 송신을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 나침반, 및/또는 자력계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배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은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및/또는 바로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 및 상기 배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추정된 로케이션은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은 공간의 방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로케이션이 상기 공간의 방향 영역 내에 있다고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호작용 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마이크로폰, 카메라, 버튼 또는 키패드,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의 적어도 하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선택과 연관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선택가능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거나 및/또는 제어할 수 있다는 것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시각 인터페이스,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또는 촉각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선택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과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됨에 따라,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행위, 및/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행위는 식별가능한 오디오 파형 및/또는 식별가능한 시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초래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행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이크로폰 및/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식별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들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송신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커맨드들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다이렉트 통신 링크를 통해서 송신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을 획득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을 특성화하기 위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로부터의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 단계;
    특성화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개시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프로그램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로케이션을 향한 방향을 가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수신하기 위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프로그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제스쳐를 특성화하는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동작 정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액세스 제어 정보; 및/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 및/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을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향하는 방향과 연관시키는 수단;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선택을 표시하는 수단;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관성 모션에 영향을 주는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결정하는 수단; 및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의 상기 커맨드들의 송신을 개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 및 상기 배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방향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은 공간의 방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로케이션이 상기 공간의 방향 영역 내에 있다고 표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 및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선택과 연관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선택가능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거나 및/또는 제어할 수 있다고 인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선택을 표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은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행위, 및/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행위는 식별가능한 오디오 파형 및/또는 식별가능한 시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초래하는, 장치.
  31. 제 21 항에 있어서,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획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2. 제 21 항에 있어서,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획득하는 수단; 및
    상기 상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3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들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및/또는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 다이렉트 통신 링크를 통해서 송신하는 수단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장치.
  34.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을 획득하는 수단;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을 특성화하기 위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로부터의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 수단;
    특성화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개시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프로그램하는 수단; 및
    상기 추정된 로케이션을 향한 방향을 가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수신하기 위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프로그램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제스쳐를 특성화하는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동작 정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액세스 제어 정보; 및/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 및/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38.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메모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향하는 방향과 연관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선택을 표시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을 통해서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한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 상기 커맨드들의 송신을 개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39. 제 38 항에 있어서,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 나침반, 및/또는 자력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 상기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 상기 나침반, 및/또는 상기 자력계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배향을 결정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은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및/또는 바로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 및 상기 배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방향을 결정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2. 제 41 항에 있어서,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추정된 로케이션은 상기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3.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은 공간의 방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로케이션이 상기 공간의 방향 영역 내에 있다고 결정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4.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적어도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하고;
    상호작용 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마이크로폰, 카메라, 버튼 또는 키패드,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의 적어도 하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선택과 연관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선택가능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6.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거나 및/또는 제어할 수 있다고 인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7.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선택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표시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각 인터페이스;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또는 촉각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8.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과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됨에 따라,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행위, 및/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행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식별가능한 오디오 파형 및/또는 시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초래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0. 제 49 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폰 및/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행위는 상기 마이크로폰 및/또는 상기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식별가능한, 모바일 디바이스.
  5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획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2.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획득하고; 그리고, 상기 상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3.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을 획득하고;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을 특성화하기 위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로부터의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특성화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식별하고; 그리고, 상기 추정된 로케이션을 향한 방향을 가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수신하기 위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4. 제 53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제스쳐를 특성화하는 신호들을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획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5. 제 53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동작 정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액세스 제어 정보;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 및/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추정된 로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6. 제 53 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 및/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7. 제 53 항에 있어서,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은 또한, 상기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추정된 로케이션을 결정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58.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을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로케이션을 향하는 방향과 연관시키고;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선택을 표시하고;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을 통해 획득되는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결정하고; 및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 상기 커맨드들의 송신을 개시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 나침반, 및/또는 자력계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배향을 결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은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및/또는 바로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61.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 및 상기 배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방향을 결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추정된 로케이션은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63.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은 공간의 방향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또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로케이션이 상기 공간의 방향 영역 내에 있다고 결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64.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또한,
    적어도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개시하고;
    상호작용 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마이크로폰, 카메라, 버튼 또는 키패드,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의 적어도 하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선택과 연관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65.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선택가능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개시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66.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선택하거나 및/또는 제어할 수 있다고 인증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67.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또한,
    시각 인터페이스, 오디오 인터페이스, 및/또는 촉각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서, 표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선택에 대한 표시를 개시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68.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과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됨에 따라,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행위, 및/또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제스쳐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행위는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을 실행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식별가능한 오디오 파형 및/또는 시각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초래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70.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인 행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마이크로폰 및/또는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되는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식별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71.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또한,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이전에 저장된 데이터,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72.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또한,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되는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피드백의 제공을 개시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73.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또한,
    상기 커맨드들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의 송신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다른 디바이스로 개시하거나, 및/또는 선택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다이렉트 통신 링크를 통해서 개시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74.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추정된 로케이션을 획득하고;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을 특성화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의 상기 하나 이상의 관성 센서들로부터의 신호들을 프로세싱하고;
    특성화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식별하고;
    상기 추정된 로케이션을 향한 방향을 가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배향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수신하기 위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하도록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75.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제스쳐들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제스쳐를 특성화하는 신호들을 획득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76.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또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동작 정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액세스 제어 정보;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 및/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추정된 로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77.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또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이미지 정보; 및/또는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와 연관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78.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구현가능 명령들은 또한,
    로케이션 서비스 수신기와 연관되는 하나 이상의 신호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상기 추정된 로케이션을 결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에 의해 실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물품.
KR1020137001116A 2010-06-16 2011-06-16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KR101465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816,885 US8150384B2 (en) 2010-06-16 2010-06-16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sture based remote control
US12/816,885 2010-06-16
PCT/US2011/040766 WO2011159943A1 (en) 2010-06-16 2011-06-16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sture based remote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275A true KR20130056275A (ko) 2013-05-29
KR101465906B1 KR101465906B1 (ko) 2014-11-26

Family

ID=4448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116A KR101465906B1 (ko) 2010-06-16 2011-06-16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50384B2 (ko)
EP (2) EP2830298B1 (ko)
JP (1) JP5521117B2 (ko)
KR (1) KR101465906B1 (ko)
CN (1) CN102939576B (ko)
WO (1) WO2011159943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241A (ko) * 2015-08-26 2018-02-12 시아오미 아이엔씨.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US10089060B2 (en) 2014-12-15 201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controlling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KR20190043635A (ko) * 2014-08-07 2019-04-26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신원 인증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10602556B2 (en) 2016-02-04 2020-03-24 Apple Inc. Displaying information based on wireless rang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51133A1 (de) * 2008-10-10 2010-04-22 Logicdata Electronic & Software Entwicklungs Gmbh Anordnung mit einem elektronisch verstellbaren Möbelstück und Verfahren zur drahtlosen Bedienung derselben
TWI437230B (zh) * 2010-07-29 2014-05-11 Chi Mei Comm Systems Inc 可攜式電子裝置解鎖系統及方法
KR101827885B1 (ko) * 2010-08-06 201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을 이용한 사용자 행동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150153715A1 (en) * 2010-09-29 2015-06-04 Google Inc. Rapidly programmable locations in space
US9477302B2 (en) 2012-08-10 2016-10-25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graming devices within world space volumes
KR101066853B1 (ko) * 2011-02-10 2011-09-26 알서포트 주식회사 원격제어 중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전송 차단방법
US9094813B2 (en) * 2011-04-02 2015-07-28 Open Invention Network, Llc System and method for redirecting content based on gestures
WO2012158199A1 (en) * 2011-05-15 2012-11-22 Treadway Peter Wearable mobility device
US8982076B2 (en) * 2011-09-10 2015-03-17 Rsupport Co., Ltd. Method of blocking transmission of screen inform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le performing remote control using icon
US20130159939A1 (en) * 2011-10-12 2013-06-20 Qualcomm Incorporated Authenticated gesture recognition
US9332551B2 (en) * 2011-12-28 2016-05-03 Intel Corporation Opportunistic resource sharing between devices
FR2985584A1 (fr) * 2012-03-29 2013-07-12 France Telecom Procede de gestion, par un equipement central, du pointage d'au moins un dispositif pointe par un dispositif de pointage
US9445480B2 (en) * 2012-04-12 2016-09-13 Lg Electronics Inc. Lighting system, lighting apparatus, and lighting control method
WO2013165348A1 (en) * 2012-04-30 2013-1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Control signal based on a command tapped by a user
US20150106041A1 (en) * 2012-04-30 2015-04-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Notification based on an event identified from vibration data
CN103677259B (zh) * 2012-09-18 2018-05-2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引导控制器的方法、多媒体装置及其目标跟踪装置
CN103812998A (zh) * 2012-11-09 2014-05-21 浪潮乐金数字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通过感应器免提操作电话的方法和系统
US9685162B2 (en) 2012-11-29 2017-06-20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Electrically operated food processor
TWI590794B (zh) 2012-11-29 2017-07-11 佛維爾克控股公司 電動廚房用具
WO2014083022A1 (de) * 2012-11-29 2014-06-05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Küchenmaschine
FR3000242A1 (fr) * 2012-12-21 2014-06-27 France Telecom Procede de gestion d’un systeme d’information geographique adapte pour etre utilise avec au moins un dispositif de pointage, avec creation d’associations entre objets numeriques.
US20150073808A1 (en) * 2013-06-04 2015-03-12 Ims Solutions, Inc. Remote control and payment transactioning system using natural language, vehicle information, and spatio-temporal cues
KR102124178B1 (ko) * 2013-06-17 202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 및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통신 방법
RU2665886C2 (ru) * 2013-06-19 2018-09-04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беспроводно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передачей данных
US9360852B2 (en) 2013-06-19 2016-06-07 Billy R. Masten Wireless network machine control or a hydraulic system
CN103399633B (zh) * 2013-07-17 2016-09-2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无线遥控方法及移动终端
US10281953B2 (en) 2013-11-29 2019-05-07 Motiv Inc. Wearable device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CN114089813A (zh) 2013-11-29 2022-02-25 普罗克西有限公司 穿戴式计算装置
DE102014206548A1 (de) * 2014-04-04 2015-10-08 Robert Bosch Gmbh Mobiler Sensorknoten
KR102118482B1 (ko) * 2014-04-25 2020-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163367B2 (en) * 2014-07-17 2021-11-02 Signify Holding B.V. Method of obtaining gesture zone definition data for a control system based on user input
FR3024267B1 (fr) * 2014-07-25 2017-06-02 Redlime Procedes de determination et de commande d'un equipement a commander, dispositif, utilisation et systeme mettant en œuvre ces procedes
US10540348B2 (en) 2014-09-22 2020-01-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ntextual inference of non-verbal expressions
EP3035156A1 (en) * 2014-12-15 2016-06-22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20160187995A1 (en) * 2014-12-30 2016-06-30 Tyco Fire & Security Gmbh Contextual Based Gesture Recognition And Control
US10636261B2 (en) * 2015-01-12 2020-04-28 Trekace Technologies Ltd. Intuitive tactil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70104541A (ko) * 2015-01-12 2017-09-15 트레카스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네비게이션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
CN104699244B (zh) * 2015-02-26 2018-07-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设备的操控方法及装置
CN104867311A (zh) * 2015-05-14 2015-08-26 连宁 通过第三方终端配置无线遥控终端的方法和装置
US10310617B2 (en) * 2015-06-11 2019-06-04 Intel Corporation Drone 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FR3038115B1 (fr) * 2015-06-23 2017-07-28 Frederic Hamain Equipement de telecommande
WO2017102367A1 (en) 2015-12-14 2017-06-22 Philips Lighting Holding B.V. A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US9939913B2 (en) 2016-01-04 2018-04-10 Sphero, Inc. Smart home control using modular sensing device
EP3466210B1 (en) * 2016-05-30 2020-11-18 Signify Holding B.V. Lighting control
WO2017218363A1 (en) * 2016-06-17 2017-12-21 Pcms Holdings, Inc.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iot devices using sequential point and nudge gestures
US10372892B2 (en) * 2016-07-13 2019-08-06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 actuation of companion devices,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0251056B2 (en) 2016-07-13 2019-04-02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 actuation of companion devices,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1243567B2 (en) 2016-07-13 2022-02-08 Motorola Mobility Llc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and systems for reconfiguring presentation data and actuation elements
US10878771B2 (en) 2016-07-13 2020-12-29 Motorola Mobility Llc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 remediation to compensate performance degradation
US11269480B2 (en) * 2016-08-23 2022-03-08 Reavire, Inc. Controlling objects using virtual rays
US11050758B2 (en) 2016-08-23 2021-06-29 Reavire, Inc. Controlling access to a computer network using measured device location
US10084612B2 (en) 2016-10-05 2018-09-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te control with muscle sensor and alerting sensor
US10444320B2 (en) 2016-10-06 2019-10-15 Reavire, Inc. Locating devices based on antenna coordinates
US10176655B2 (en) 2016-10-26 2019-01-08 Reavire, Inc. Controlling lockable devices using electronic key
US10163336B1 (en) * 2017-07-28 2018-12-25 Dish Network L.L.C. Universal remote control of devices based on orientation of remote
US20190098220A1 (en) * 2017-09-26 2019-03-28 WiSpear Systems Ltd. Tracking A Moving Target Using Wireless Signals
WO2019126290A1 (en) * 2017-12-20 2019-06-27 Hubbell Incorporated Gesture control for in-wall device
CN110415386A (zh) 2018-04-27 2019-11-05 开利公司 基于姿势的进入控制系统的预编程场景数据的建模
US11054638B2 (en) 2018-06-13 2021-07-06 Reavire, Inc. Tracking pointing direction of device
US11093262B2 (en) 2019-07-29 2021-08-17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switching between normal and privacy modes of operation
US11113375B2 (en) 2019-09-09 2021-09-07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with proximity authentication and gaze actuation of companion electronic devices and corresponding methods
US11731278B1 (en) * 2020-04-20 2023-08-22 Google Llc Robot teleoperation using mobile device motion sensors and web standards
WO2022027435A1 (en) * 2020-08-06 2022-02-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ctivating cross-device interaction with pointing gesture recognition
CN114900784A (zh) * 2021-01-26 2022-08-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快速弹出电子设备控制窗口的方法、系统及移动设备
DE102021001953A1 (de) 2021-03-28 2022-09-29 Hochschule Mittweida (Fh) Mobiler Umgebungsscanner zur Gefahrenerkennung einer den Umgebungsscanner tragenden Person
US11528524B1 (en) * 2021-09-30 2022-12-13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Universal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63430B1 (en) * 1998-12-11 2003-05-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device with location dependent interface
WO2000017737A1 (en) 1998-09-17 2000-03-3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device with location dependent interface
US6603420B1 (en) * 1999-12-02 2003-08-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device with motion-based control of receiver volume, channel selection or other parameters
JP2001175412A (ja) * 1999-12-15 2001-06-29 Shigekazu Koshiba 多軸一体型加速度検出器による電子機器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SG114479A1 (en) * 2000-11-27 2005-09-28 Ibm Selecting a target device in a device network
US6750801B2 (en) * 2000-12-29 2004-06-15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Remote control device with directional mode indicator
US7024228B2 (en) * 2001-04-12 2006-04-04 Nokia Corporation Movement and attitude controlled mobile station control
US7233316B2 (en) 2003-05-01 2007-06-19 Thomson Licensing Multimedia user interface
JP4237562B2 (ja) 2003-07-07 2009-03-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機器制御システム、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123180B1 (en) * 2003-07-29 2006-10-17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single-axis gyroscopic remote control
CN1942924A (zh) * 2003-10-23 2007-04-04 希尔克瑞斯特实验室公司 使用加速度计的用户界面装置和方法
GB2411752B (en) * 2004-03-03 2006-02-01 Toshiba Res Europ Ltd Remote control location technique and associated apparatus
US7173604B2 (en) 2004-03-23 2007-02-06 Fujitsu Limited Gesture identification of controlled devices
US20050212753A1 (en) 2004-03-23 2005-09-29 Marvit David L Motion controlled remote controller
TWI316195B (en) 2005-12-01 2009-10-21 Ind Tech Res Inst Input means for interactive devices
JP2007251893A (ja) * 2006-03-20 2007-09-27 Seiko Epson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4516042B2 (ja) * 2006-03-27 2010-08-04 株式会社東芝 機器操作装置および機器操作方法
US20090262074A1 (en) 2007-01-05 2009-10-22 Invensense Inc. Controlling and accessing content using motion processing on mobile devices
JP4690376B2 (ja) * 2007-10-18 2011-06-01 株式会社ナナオ 遠隔操作装置、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電気機器
US20090153289A1 (en) * 2007-12-12 2009-06-18 Eric James Hope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ith bimodal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US9503562B2 (en) 2008-03-19 2016-11-22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personal communication or entertainment device
JP5117898B2 (ja) * 2008-03-19 2013-01-16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20100060569A1 (en) * 2008-09-09 2010-03-11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remote control having motion-based control functio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3635A (ko) * 2014-08-07 2019-04-26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신원 인증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10614201B2 (en) 2014-08-07 2020-04-07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identity authentication
US10795978B2 (en) 2014-08-07 2020-10-06 Alibaba Group Holding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identity authentication
US10089060B2 (en) 2014-12-15 201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controlling sound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evice
KR20180015241A (ko) * 2015-08-26 2018-02-12 시아오미 아이엔씨. 무인기의 촬영 제어 방법 및 장치, 전자 기기
US10602556B2 (en) 2016-02-04 2020-03-24 Apple Inc. Displaying information based on wireless ranging
US10912136B2 (en) 2016-02-04 2021-02-02 Apple Inc.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based on wireless ranging
US11425767B2 (en) 2016-02-04 2022-08-23 Apple Inc.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based on wireless ranging
US11601993B2 (en) 2016-02-04 2023-03-07 Apple Inc. Displaying information based on wireless ran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312311A1 (en) 2011-12-22
CN102939576B (zh) 2016-10-19
JP5521117B2 (ja) 2014-06-11
EP2583153B1 (en) 2014-12-10
EP2583153A1 (en) 2013-04-24
JP2013532338A (ja) 2013-08-15
WO2011159943A1 (en) 2011-12-22
EP2830298B1 (en) 2018-07-18
KR101465906B1 (ko) 2014-11-26
EP2830298A3 (en) 2015-03-11
CN102939576A (zh) 2013-02-20
US8150384B2 (en) 2012-04-03
EP2830298A2 (en) 2015-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5906B1 (ko) 제스쳐 기반의 원격 제어를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US11546410B2 (en) Device and method for adaptively changing task-performing subjects
US11540102B2 (en) Method for function control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1884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KR102185166B1 (ko) 생체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153006B1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085295B2 (en) Disambiguation of target devices using ambient signal data
KR2017000319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80132088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s Amended)
JP2015090589A (ja) 認証制御システム、認証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9475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nput using display
KR2017005976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71914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213205B (zh) 验证方法、装置及设备
KR20130006154A (ko) 화면 방향 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JP2014128006A (ja) 電子機器、機器制御方法、及び機器制御プログラム
KR20110087154A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6772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48675A (ko) 대기 모드 상태에서 게임을 바로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20160047267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0568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