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8482B1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8482B1
KR102118482B1 KR1020140049848A KR20140049848A KR102118482B1 KR 102118482 B1 KR102118482 B1 KR 102118482B1 KR 1020140049848 A KR1020140049848 A KR 1020140049848A KR 20140049848 A KR20140049848 A KR 20140049848A KR 102118482 B1 KR102118482 B1 KR 102118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tion
effective service
service range
mai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3491A (ko
Inventor
정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482B1/ko
Priority to CN201580021751.4A priority patent/CN106256133B/zh
Priority to EP15783612.3A priority patent/EP3136744B1/en
Priority to PCT/KR2015/004170 priority patent/WO2015163742A1/ko
Priority to US15/306,650 priority patent/US10193704B2/en
Publication of KR20150123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모션 및 실내 위치 인식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1 단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 단말의 모션을 인식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제2 단말로부터 모션 인식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 IN A HOME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모션 및 실내 위치 인식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홈 네트워크 기술은 댁내에서 컴퓨터, 주변 기기 및 가전제품 등과 같은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제어하는 기술이다. 내부에서는 물론 외부에서도 인터넷이나 전화선을 통해 가정 내의 구축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컴퓨터, 텔레비전, 동영상 플레이어 및 냉/난방기 등 모든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댁내에서는 모든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디바이스로 통합 제어하기 위한 프로토콜이 필요하다. 따라서, 유선 홈 네트워크 기술로는 이더넷(Ethernet), 홈 PNA(Home PNA(Phoneline Network Alliance), 아이이트리플(IEEE) 1394 등이 적용되고 있고, 무선 홈 네트워크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지그비(ZigBee), 무선 1394, 홈 RF(Radio Frequency), 초음파 통신 및 Z-파(Wave) 기술 등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기능이 주요한 기능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홈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사용자가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디바이스의 리모콘과 같은 제어기기를 선택하고, 선택한 제어기기를 통해 여러 번의 키 입력 조작을 수행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는 매우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디바이스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디바이스를 편리하게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모션 및 실내 위치 인식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1 단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 단말의 모션을 인식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제2 단말로부터 모션 인식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1 단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장치는, 제1 단말의 모션을 인식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제2 단말로부터 모션 인식 이벤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실내 위치 인식을 이용하므로,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범위 내에 위치하면 자동으로 제어 UI를 활성화 할 수 있어서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정 모션에 의하여 실내 위치 인식 과정이 트리거(trigger)되면 짧은 시간 동안만 실내 위치 인식을 하므로 전류 소모에 취약한 휴대단말이나 웨어러블(wearble) 디바이스가 실내 위치 인식을 수행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및 단수의 단말에서 모션 인식을 함으로써 사용자 의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메인 단말(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브 단말(1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메인 단말(100)에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요지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단말에 장착된 센서를 이용한 모션 인식을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모션을 취한 경우 실내 위치 인식 과정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위치가 제어할 디바이스의 서비스 범위에 위치한 경우, 단말에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를 활성화하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의 모션 인식은 하나의 단말에서 수행될 수 있고, 정확성 및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복수 개의 동기화된 단말을 통한 동기 모션 인식으로도 인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면을 이용하여 복수의 단말의 동기화된 모션 인식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하나의 단말에 의해 모션 인식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단말에서 동기화하는 동작 없이 특정 모션이 감지되면 실내 위치 인식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보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디바이스(150), 제2 디바이스(170) 및 제3 디바이스(190)는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이고, 서버(130)는 홈 네트워크에 포함된 모든 디바이스들(150, 170, 190) 및 메인 단말(100)을 관리하는 로컬 서버이다. 여기서, 제1 디바이스(150), 제2 디바이스(170) 및 제3 디바이스(190)는 텔레비젼, 세탁기, 컴퓨터 및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 제품이 될 수 있고, 각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는 미리 정의된 유효 서비스 범위에서 메인 단말(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메인 단말(100) 및 서브 단말(110) 각각은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 센서에서 출원되는 센서 데이터로부터 모션을 인식한다. 그리고 서브 단말(110)은 사용자의 의도 파악 및 제스처 인식을 더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인식된 모션에 대한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모션 인식 이벤트를 상기 메인 단말(100)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인 단말(100)은 자신이 모션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서브 단말(110)로부터 미리 정해진 유효 시간 내에 발생된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모션 인식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고자 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인 단말(100)은 모션 인식을 수행한 후, 상기 서브 단말(110)로 유효 시간 내에 발생된 모션 인식에 대한 모션 인식 이벤트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유효 시간 및 상기 메인 단말(100)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단말(110)은 상기 유효 시간 내에 모션을 인식한 경우, 모션 인식 이벤트를 상기 서브 단말(110)로 전송한다. 상기 서브 단말(100)로 부터 모션 인식 이벤트를 수신한 메인 단말(100)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고자 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상기 유효 시간은 상기 메인 단말(100)에서 모션을 인식한 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시간 범위 및 이후 시간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의 범위에 포함되는 시간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단말(100)과 서브 단말(110)에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모션이 인식된 경우를 동기 모션이 인식되었다고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 단말(100)이 동기 모션을 인식한 경우, 서버(130)에 실내 위치 인식을 요청하는 실내 위치 인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유효 서비스 범위는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디바이스들(150, 170, 190) 각각을 제어할 수 있는 유효 서비스 범위로써, 디바이스들(150, 170, 190) 각각에서 초기 시스템 설정에 따라 미리 정의된다. 그리고 각 디바이스에 대해 미리 정의된 유효 서비스 범위는 메인 단말(100)에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단말(100)과 서브 단말(110)이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존재하는지를 인식하는 것으로 지오-펜싱(Geo-Fencing)의 개념을 이용한다. 또한 상기 실내 위치 인식은 메인 단말(110) 및 서버(130)에서 항상 수행(Always-Detection)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동기 모션이 인식되고 일정한 유효 시간 동안만 활성화 된다.
즉,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단말(100)이 동기 모션을 인식한 경우, 서버(130)에 실내 위치 인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 서버(130)는 연결된 디바이스들(150, 170, 190)에 실내 위치 인식을 명령한다. 그러면, 디바이스들(150, 170, 190) 각각은 비콘(Beacon) 메시지를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아이디(ID) 및 유효 서비스 범위를 포함한 정보를 서버(130)를 통해 메인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실내 위치 인식을 수행할 경우에는, 디바이스들(150, 170, 190) 및 메인 단말(100) 간의 통신으로 Zigbee, Z-파(Wave), 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및 초음파 통신등 실내 위치 인식이 가능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다. 그리고, 서브 단말(110)과 메인 단말(100) 간에는 동기가 이루어진 미리 정의된 모션을 인식하기 위한 무선 통신 기술이 사용된다.
그리고 메인 단말(100)은 디바이스들(150, 170, 190)로부터 서버(130)를 통해 수신된 디바이스의 ID 및 유효 서비스 범위가 포함된 정보를 근거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각 디바이스와 메인 단말(100)간의 거리를 계산하고, 메인 단말(100)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존재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디바이스들(150, 170, 190)에서 서비스가 제공 가능한 유효 서비스 범위는 변경될 수 있다. 각 디바이스들(150, 170, 190)에는 서비스가 제공 가능한 유효 서비스 범위가 미리 정의되어 있고, 상기 유효 서비스 범위에 대한 정보를 Beacon 메세지를 통하여 메인 단말(100)에 전송한다. 이때, 메인 단말(100)은 각 디바이스들(150, 170, 190)에서 서비스가 제공 가능한 유효 서비스 범위를 수정할 때 다음과 같은 변경 과정을 수행한다.
메인 단말(100)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정 메뉴에서 각 디바이스의 유효 서비스 범위를 표시하고, 상기 유효 서비스 범위를 수정할 수 있는 UI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메인 단말(100)은 디바이스(150)의 유효 서비스 범위가 5m로 설정되어 있으나, UI를 통해 사용자가 3m로 설정을 변경하였을 경우 유효 서비스 범위를 3m로 수정하여 어플리케이션의 DB에 저장한다. 이 경우, 디바이스(150)가 Beacon 메시지를 통하여 유효 서비스 범위가 5m임을 메인 단말(100)에 전송하면, 메인 단말(100)은 디바이스(150)로부터 Beacon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러나, 메인 단말(100)은 어플리케이션의 DB를 검색하여 유효 서비스 범위가 3m로 수정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Beacon 메시지에 포함된 유효 서비스 정보는 삭제하고, 어플리케이션의 DB에 갱신된 유효 서비스 범위를 기반으로 위치를 인식한다. 이 때, 유효 서비스 범위 갱신을 디바이스(150)에 직접하지 않고, 메인 단말(10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DB에 저장하는 이유는 사용자마다 각자가 원하는 유효 서비스 범위가 다를 수 있고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유효 서비스 범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메인 단말(100)은 실내 위치 인식 결과, 메인 단말(100)이 제3 디바이스(190)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내에 존재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제3 디바이스(190)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활성화 시킨다.
한편,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메인 단말(100)이 두 개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 내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UI를 활성화 시키기 이전에, 사용자에게 어떤 디바이스를 제어할 것인지 선택하도록 하는 추가적인 UI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어떤 디바이스를 제어할 것인지 선택 받으면,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UI를 활성화 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메인 단말(100)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단말(100)은 제어부(210) 및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10)는 위치 인식 모듈(211), 홈 네트워크 모듈(212), 제어 UI 관리 모듈(213), 메인 단말 네트워크 모듈(214), 동기 모션 인식 모듈(215) 및 센서 데이터 처리부(216)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216)는 메인 단말(100)에 장착된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 후, 감지된 모션에 대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션을 인식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216)는 상기 인식된 모션에 대한 모션 정보를 동기 모션 인식 모듈(215)에 전달한다.
상기 동기 모션 인식 모듈(215)은 센서 데이터 처리부(216)로부터 모션 정보를 전달받고, 네트워크 모듈(214)을 통해 서브 단말(110)로 미리 정해진 유효 시간 내에 발생된 모션 인식에 대한 모션 인식 이벤트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 모션 인식 모듈(215)는 상기 서브 단말(110)로부터 메인 단말(100)의 네트워크 모듈(214)을 통해 상기 유효 시간 내에 발생된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모션 인식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 홈 네트워크 모듈(212)에 동기 모션이 인식되었음을 알리는 동기 모션 인식 이벤트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동기 모션 인식 모듈(215)은 센서 데이터 처리부(216)로부터 전달받은 모션 정보와 서브 단말(110)로부터 전달받은 모션 인식 이벤트에 포함된 모션 정보가 미리 정의된 모션인지 확인할 수 있다. 즉, 메인 단말(100)과 서브 단말(110)은 각각의 센서 데이터 처리부를 통해 미리 정의된 모션을 인식한다. 그리고 메인 단말(100)의 동기 모션 인식 모듈(215)은 센서 데이터 처리부(216)로부터 전달받은 모션 정보와 서브 단말(110)로부터 메인 단말(100)의 네트워크 모듈(214)을 통해 전달받은 모션 정보가 유효 시간 내에 발생된 경우, 동기 모션이 발생되었다고 인식한다.
일 예로, 팔찌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장착한 손으로 휴대폰을 집어 드는 경우, 사용자가 디바이스 제어를 원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상기 팔찌 형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서브 단말(110)이고 상기 휴대폰은 메인 단말(100)이다. 서브 단말(100)에서 미리 정의된 모션은 사용자가 휴대폰을 들고 화면을 바라보는 상태일 때 팔찌의 미리 정의된 3축의 자세 값의 범위에 있고 이 때 각 축마다 미리 정의된 임계 값 크기 이하의 움직임으로 일정시간 유지된 경우("Motion A"라 정의함)임을 가정한다. 그리고 메인 단말(110)에서 미리 정의된 모션은 사용자가 휴대폰의 화면을 바라보기 위하여 집어 드는 움직임("Motion B1"이라 정의함)이 일어나고 화면을 바라볼 때 발생하는 휴대폰의 3축의 자세 값의 범위에 있고 각 축마다 미리 정의된 임계 값 크기 이하의 움직임으로 일정 시간 유지된 경우("Motion B2"라 정의함)임을 가정한다.
상기 가정에서, 메인 단말(100)에서 센서 데이터 처리부(216)와 동기 모션 인식 모듈(215)이 동기 모션을 인식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Motion B1이 발생한 시간을 T(mb1)이라 하고 Motion B2가 발생한 시간을 T(mb2)라 하면, 메인 단말(100)의 센서 데이터 처리부(216)는 T(mb1)<T(mb2)이고 T(mb2)-T(mb1)이 미리 정의된 임계 시간 보다 작거나 같을 때 모션을 인식한다.
그리고 Motion B가 검출된 시간을 T(mb)라고 하고 서브 단말(110)의 Motion A가 검출된 시간을 T(ma)라 할 때, 메인 단말(100)의 동기 모션 인식 모듈(215)은 T(ma)와 T(mb)의 시간차가 미리 정의된 임계 시간보다 작거나 같을 때(즉, 유효 시간 내에 발생했을 때) 동기 모션을 인식하고, 홈 네트워크 모듈(212)로 동기 모션 이벤트를 전달한다.
상기 홈 네트워크 모듈(212)은 동기 모션 인식 모듈(215)로부터 동기 모션 인식 이벤트를 전달받으면, 서버(130)에 디바이스들(150, 170, 190)의 실내 위치 인식의 활성화를 위한 위치 인식 요청 메세지를 전달하고, 메인 단말(100)의 위치 인식 모듈(211)에 실내 위치 인식 실행을 명령한다.
위치 인식 모듈(211)은 디바이스들(150, 170, 190)로부터 서버(130)를 통해 디바이스의 ID 및 유효 서비스 범위가 포함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인식 모듈(211)은 상기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메인 단말(100)과 디바이들(150, 170, 190) 각각 간의 전파 세기 값 또는 RTT(Round Trip delay Time) 등을 이용하여 서로 간의 거리를 계산하여, 메인 단말(100)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존재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위치 인식 모듈(211)은 메인 단말(100)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디바이스의 제어 UI를 활성화 하도록 제어 UI 관리 모듈(213)에 명령한다. 상기 제어 UI 관리 모듈(213)은 해당 디바이스의 제어 UI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단말(100)이 두 개 이상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UI를 활성화 시키기 이전에, 제어 UI 관리 모듈(213)은 사용자에게 어떤 디바이스를 제어할 것인지 선택하도록 하는 추가적인 UI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 UI 관리 모듈(213)은 사용자로부터 어떤 디바이스를 제어할 것인지 선택 받으면,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UI를 활성화 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를 원하지 않았지만 동기 모션 인식 조건에 해당하는 동작을 취하는 경우에도 상기 동기 모션 인식 모듈(215)에서 동기 모션을 인식하고 위치 인식 모듈(211)에서 메인 단말(100)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제어 UI 관리 모듈(213)에 의해 제어 UI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를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제어 UI가 활성화되면 사용자의 단말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어 UI 관리 모듈(213)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어 UI 관리 모듈(213)은 메인 단말(100)의 화면이 켜져 있는 경우와 꺼져 있는 경우에 따라 제어 UI를 활성화 시킬 수 있으며, 각 경우에서 제어 UI를 활성화 시키는 방식은 설정 메뉴에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먼저, 제어 UI 관리 모듈(213)은 메인 단말(100)의 화면이 꺼져 있는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어 UI를 화면의 전체에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제어 UI를 화면의 일 부분에 활성화시킨다. 상기 제어 UI를 화면의 전체에 활성화시키는 방식은 메인 단말(100)에서 동기 모션이 인식되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해당 디바이스의 제어 UI를 자동으로 화면의 전체에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 UI를 화면의 일부분에 활성화시키는 방식은 메인 단말(100)에서 동기 모션이 인식되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사용자로부터 해당 디바이스의 제어 UI를 화면의 일 부분에 일정 시간 동안 활성화 시킬지를 확인(즉, 입력)받으며, 사용자로부터 확인이 완료되면 해당 디바이스의 제어 UI를 전체 화면에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 UI 관리 모듈(213)은 메인 단말(100)의 화면이 켜져 있는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어 UI를 화면의 전체에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메인 단말(100)의 화면에서 상단에 알림창을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어 UI를 화면의 전체에 활성시키는 방식은, 상기 메인 단말(100)의 화면이 꺼져 있는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메인 단말(100)에서 동기 모션이 인식되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해당 디바이스의 제어 UI를 자동으로 화면의 전체에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단말(100)의 화면에서 상단에 알림창을 활성화시키는 방식은 메인 단말(100)에서 동기 모션이 인식되고,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메인 단말(100)의 화면에서 상단에 알림창(일 예로, 알림 바)을 활성화 시키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활성화된 알림창을 통해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UI를 활성화 시킬 것을 선택받으면 제어 UI를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활성화된 알림창을 통해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UI를 활성화 시킬 것을 선택하기 위하여,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상기 알림창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서브 단말(110)의 구성을 보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브 단말(110)은 서브 단말 네트워크 모듈(311), 동기 모션 인식 모듈(312) 및 센서 데이터 처리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313)는 서브 단말(110)에 장착된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 후, 감지된 모션에 대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션을 인식한다. 상기 동기 모션 인식 모듈(312)은 메인 단말(100)로부터 유효 시간 내에 발생된 모션 인식에 대한 모션 인식 이벤트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313)에서 모션 인식이 상기 유효 시간 내에 발생되는 지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동기 모션 인식 모듈(312)은 상기 상기 센서 데이터 처리부(313)에서 모션 인식이 상기 유효 시간 내에 발생된 경우, 센서 데이터 처리부(313)에서 인식된 모션에 대한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모션 인식 이벤트를 서브 단말 네트워크 모듈(311)을 통해 메인 단말(100)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메인 단말(100)에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보이고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메인 단말(100)이 사용자의 모션 및 위치를 인식한 후,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 UI를 활성화 시키는 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단말(100)은 장착된 움직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한 후, 감지된 모션에 대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션을 인식한다(401). 그리고 메인 단말(100)은 상기 모션 인식을 수행하고, 서브 단말(110)로부터 미리 정해진 유효 시간 내에 발생된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모션 인식 이벤트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403).즉, 메인 단말(100)은 상기 모션 인식을 수행하고, 상기 서브 단말(110)로부터 미리 정해진 유효 시간 내에 발생된 모션 정보를 포함하는 모션 인식 이벤트를 수신하면, 동기 모션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한다(403).
예를 들면, 텔레비전 앞에서 악세사리 타입 단말(서브 단말)을 착용한 팔의 손으로 휴대폰(메인 단말)을 집어 들어 화면을 바라보는 모션을 취하면, 메인 단말은 사용자가 텔레비젼을 제어 하고자 한다고 판단하여 텔레비전 제어 UI를 휴대폰에 표시한다. 여기서, 서브 단말에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의된 모션을 인식하여 메인 단말에 모션 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모션 정보에는 모션이 감지된 시간 정보와 감지된 모션 종류 등이 명시될 수 있다. 메인 단말에서는 본인 기기에서 획득한 센서 데이터로 계산된 모션 정보와 서브 단말의 모션 정보를 비교하여 동기 모션을 인식을 한다.
상기 동기 모션 이벤트가 발생된 경우, 메인 단말(100)은 서버(130)로 디바이스들(150, 170, 190)의 실내 위치 인식을 요청하는 위치 인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405).
그리고 메인 단말(100)은 디바이스들(150, 170, 190)로부터 서버(130)를 통해해당 디바이스의 ID 및 유효 서비스 범위가 포함된 위치 인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407).
그리고 메인 단말(100)은 상기 수신된 위치 인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근거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각 디바이스와 메인 단말(100)간의 거리를 계산하고(409), 메인 단말(100)이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존재하고 있는지 확인한다(411).
그리고, 메인 단말(100)은 상기 확인된 유효 서비스 범위에 해당하는 디바이스의 제어 UI를 디스플레이부에 활성화 한다(413). 이때, 메인 단말(100)은 해당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UI를 어플리케이션의 DB에 미리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 위치 인식을 이용하므로,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범위 내에 위치하면 자동으로 제어 UI를 활성화 할 수 있어서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정 모션에 의하여 실내 위치 인식 과정이 트리거(trigger)되면 짧은 시간 동안만 실내 위치 인식을 하므로 전류 소모에 취약한 휴대단말이나 웨어러블(wearble) 디바이스가 실내 위치 인식을 수행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및 단수의 단말에서 모션 인식을 함으로써 사용자 의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1 단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의 모션을 인식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제2 단말로부터 모션 인식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는 과정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메인 단말이고, 제2 단말은 서브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은,
    서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위치 인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부터 각 디바이스의 아이디 및 유효 서비스 범위를 포함하는 위치 인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위치 인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각 디바이스의 아이디와 유효 서비스 범위를 근거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복수 개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들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의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 후,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서비스 범위는,
    각 단말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
  7.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1 단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1 단말의 모션을 인식한 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제2 단말로부터 모션 인식 이벤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제1 단말의 위치와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은 메인 단말이고, 제2 단말은 서브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위치 인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각 디바이스의 아이디 및 유효 서비스 범위를 포함하는 위치 인식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위치 인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각 디바이스의 아이디와 유효 서비스 범위를 근거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이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이 복수 개의 디바이스에 대한 유효 서비스 범위들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의 선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 후,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서비스 범위는,
    각 단말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제어 장치.
KR1020140049848A 2014-04-25 2014-04-25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118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848A KR102118482B1 (ko) 2014-04-25 2014-04-25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CN201580021751.4A CN106256133B (zh) 2014-04-25 2015-04-27 家庭网络系统中的设备控制方法和装置
EP15783612.3A EP3136744B1 (en) 2014-04-25 2015-04-27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home network system
PCT/KR2015/004170 WO2015163742A1 (ko) 2014-04-25 2015-04-27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US15/306,650 US10193704B2 (en) 2014-04-25 2015-04-27 Devic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in home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848A KR102118482B1 (ko) 2014-04-25 2014-04-25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491A KR20150123491A (ko) 2015-11-04
KR102118482B1 true KR102118482B1 (ko) 2020-06-03

Family

ID=5433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848A KR102118482B1 (ko) 2014-04-25 2014-04-25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93704B2 (ko)
EP (1) EP3136744B1 (ko)
KR (1) KR102118482B1 (ko)
CN (1) CN106256133B (ko)
WO (1) WO20151637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402B1 (ko) * 2016-01-29 2017-05-26 주식회사 인포소닉 음파 신호를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구동 시스템
KR102026531B1 (ko) * 2017-10-13 2019-09-27 주식회사 제이알인더스트리 Iot 기반의 작업안전 통합관리시스템
CN114900784A (zh) * 2021-01-26 2022-08-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快速弹出电子设备控制窗口的方法、系统及移动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4256B2 (en) 2002-06-27 2006-04-04 Openpeak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utomatically managing components within a controlled environment
US8947347B2 (en) 2003-08-27 2015-02-03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Controlling actions in a video game unit
US7624192B2 (en) * 2003-12-30 2009-11-24 Microsoft Corporation Framework for user interaction with multiple network devices
KR100610199B1 (ko) * 2004-06-21 2006-08-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모션인식 아바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7327245B2 (en) 2004-11-22 2008-02-05 Microsoft Corporation Sensing and analysis of ambient contextual signals for discriminating between indoor and outdoor locations
KR101287497B1 (ko) * 2006-01-06 2013-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명령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JP5301429B2 (ja) * 2006-05-04 2013-09-25 ソニー コンピュータ 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アメリ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イ カンパニー ゲームコントローラ本体のユーザ操作を検出、追跡し、その動きを入力およびゲームコマンドに変換するための方式
JP5086729B2 (ja) * 2007-08-06 2012-11-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機器制御システム
KR101426082B1 (ko) * 2007-10-04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대상장치를 원격제어하는 방법및 그 시스템
KR20090044362A (ko) * 2007-10-31 2009-05-07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및그 시스템
JP4988016B2 (ja) * 2009-08-27 2012-08-01 韓國電子通信研究院 指の動き検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CA2735325C (en) * 2010-03-25 2015-01-20 User Interface In Sweden Ab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detection and feedback
US8150384B2 (en) * 2010-06-16 2012-04-0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gesture based remote control
KR101802522B1 (ko) * 2011-02-10 201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의 화면변경방법
US9201520B2 (en) * 2011-02-11 2015-12-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tion and context sharing for pen-based computing inputs
WO2013022222A2 (en) * 2011-08-05 2013-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CN103021045A (zh) * 2011-09-25 2013-04-03 边高伟 移动终端用户验证智能门禁系统
US20130201098A1 (en) 2012-02-02 2013-08-08 Google Inc. Adjustment of a parameter using computing device movement
US20140018094A1 (en) 2012-07-13 2014-01-16 Microsoft Corporation Spatial determination and aiming of a mobile device
US20150044648A1 (en) * 2013-08-07 2015-02-12 Nike, Inc. Activity recognition with activity reminders
US20150074613A1 (en) * 2013-09-10 2015-03-12 Nicholas Frederick Oswald Menus with Hand Based Ges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36744A4 (en) 2017-11-15
WO2015163742A1 (ko) 2015-10-29
EP3136744A1 (en) 2017-03-01
EP3136744B1 (en) 2019-12-18
KR20150123491A (ko) 2015-11-04
US20180145845A1 (en) 2018-05-24
CN106256133B (zh) 2019-11-29
US10193704B2 (en) 2019-01-29
CN106256133A (zh)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8199B2 (ja) スマートホーム機器の制御方法、装置、システムおよび機器
US10084649B2 (en) Terminal for internet of thing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US10019894B2 (en) Remote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trollable devices
US1060883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7532855A (ja) インテリジェント電気機器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装置
KR101588595B1 (ko)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JP2017529814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デバイス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EP252662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on detec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109094A (ja) 遠隔制御装置、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方法
CN104731066A (zh) 智能家居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488692B (zh) 设备控制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80039119A (ko) 지능형 단말기 원격 제어기 기반 IoT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118482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1127863B (zh) 设备的控制方法、遥控器及存储介质
US20150195650A1 (en) Method for audio receiver to select audio source from multiple transmitters
CN112416278B (zh) 一种屏幕共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6010047A (ja) 機器制御システム、宅内装置及び遠隔操作端末
CN110992544A (zh) 一种智能门锁的红外感应控制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178252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20150114826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30066722A (ko) 연동형 에이브이엔 단말기 및 구동방법
KR20120071491A (ko) 리모컨에서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에 대한 페어링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20135860A (ko)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13055258A (zh) 一种智能设备组网控制方法以及装置
CN107346103B (zh) 一种家电音量调整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