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860A -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860A
KR20220135860A KR1020210042096A KR20210042096A KR20220135860A KR 20220135860 A KR20220135860 A KR 20220135860A KR 1020210042096 A KR1020210042096 A KR 1020210042096A KR 20210042096 A KR20210042096 A KR 20210042096A KR 20220135860 A KR20220135860 A KR 20220135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wearable device
control
home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주
최정근
Original Assignee
(주)알트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트온 filed Critical (주)알트온
Priority to KR102021004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860A/ko
Publication of KR20220135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대 내 각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각 공간에 구비된 복수의 기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스위칭 장치와 거주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홈 내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스위칭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스위칭 장치와 연결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위칭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칭 장치에서 무선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evice in the home using switching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본 발명은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PC뿐만 아니라 휴대 전화, 디지털 TV, PDA, 게임기 등 다양한 홈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이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있으며,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이 가정 내로 파급되면서 특허등록 10-796893과 같은 홈네트워크 관련 기술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전술한 홈 네트워크 기술은 가정내의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망(topology)으로 연결해 이들이 서로의 디지털 데이터를 공유하고 광대역 통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환경을 말하며, 협의로는 가정내의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연결하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장비 그 자체를 의미하고, 광의로는 홈 네트워크는 그 장비뿐만 아니라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호간의 통합/제어/운영을 위한 미들웨어나, 서비스 등을 포괄한다.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댁 내에 설치된 홈 디바이스(device)들을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홈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발전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디바이스들을 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 HGW 혹은 H-GW)를 통해 통합하여 외부의 공용 데이터 네트워크, 일 예로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네트워크(즉, 인터넷)로 연결함으로써 인터넷과 연계된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홈 디바이스들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환경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을 활용한 레거시(Legacy) 가전 기기(예컨대, 홈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기술은 존재하나, 단말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단말을 제외한 다른 기기를 이용하여 홈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82079호(2015.07.15.공개.)
본 발명은 세대 내 거주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위치 장치를 이용하여 거주자별로 각 공간 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은 세대 내 각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각 공간에 구비된 복수의 기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스위칭 장치와 거주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홈 내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스위칭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스위칭 장치와 연결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위칭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칭 장치에서 무선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시키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복수의 스위칭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장치를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 내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위칭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된 스위칭 장치에 의해 제어 가능한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기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어 가능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용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용 화면 데이터 상에서의 선택을 통해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횟수 감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홈 내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 도어 제어용 앱을 통해 상기 세대의 공동 현관 출입문 또는 상기 세대의 현관문의 오픈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거주자의 귀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귀가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시스템은 세대 내 각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각 공간에 구비된 복수의 기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스위칭 장치와 거주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홈 내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되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스위칭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시키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스위칭 장치와 연결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한 후 이를 토대로 무선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위칭 장치에 전송하는 스위칭 제어용 앱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한 스위칭 장치는 상기 무선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 제어용 앱은 기 저장된 상기 세대 내 복수의 스위칭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스위칭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스위칭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장치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 제어용 앱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위칭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된 스위칭 장치에 의해 제어 가능한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기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어 가능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용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 후 제어용 화면 데이터 상에서의 선택을 통해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 제어용 앱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횟수 감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칭 제어용 앱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 도어 제어용 앱을 통해 상기 세대의 공동 현관 출입문 또는 상기 세대의 현관문의 오픈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거주자의 귀가가 감지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사용자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대 내 거주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위치 장치를 이용하여 거주자별로 각 공간 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거주자별로 자신의 공간 내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내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전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내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내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내 기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내 기기 제어 시스템의 전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 내 기기 제어 시스템은 크게 세대 내 각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각 공간 내 기기를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칭 장치(100) 및 세대의 거주자 각각이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앞서서, 세대 내 각 공간은 기기의 제어가 필요한 영역으로서, 세대 내 룸(room), 거실, 다용도실, 파우더룸, 화장실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세대 내 각 공간에서 스위칭 장치(100)에 의해 온/오프되는 기기(10)는 스위칭 장치(1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전등, 전자기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스위칭 장치(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홈 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예컨대 적외선, 블루투스, 블루투스 Le,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HomeRF, UWB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거주자의 손목에 착용 가능한 스마트 워치, 손목형 밴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소정의 등록 절차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장치(1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연결된 스위칭 장치(100)에 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조작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상에 제공되는 기기(10)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 예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표시되는 기기 제어용 화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조작용 버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202) 터치, 음성 인식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위칭 장치(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간의 등록 절차의 일예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202) 상에 표시된 연결 가능한 스위칭 장치(100)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연결 가능한 스위칭 장치(100)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202) 상에 표시하고,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장치(100)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스위칭 장치(100)에 근거리 무선 연결 설정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출하며, 이에 대한 응답을 통해 선택된 스위칭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 장치(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간의 등록 절차에 대한 다른 예로는 각 스위칭 장치(100)에 서로 다르게 설정된 비밀키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상에 셋팅, 예컨대 입력함으로써, 입력한 비밀키를 갖는 스위칭 장치(100)에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 설정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출하며, 이에 대한 응답을 통해 스위칭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 예컨대 등록 절차, 기기 제어를 위한 무선 신호 송출 등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4)에 의해 스위칭 제어용 앱(206)이 메모리(208)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복수의 세대의 거주자가 출입 가능한 공동 현관문의 온/오프 제어 및 세대의 출입문의 온/오프 제어 기능을 갖는 도어 제어용 앱(210)이 메모리(208)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제어용 앱(206)은 도어 제어용 앱(210)과의 연동을 통해 활성화될 수 있는데, 즉 도어 제어용 앱(210)의 실행을 통해 세대의 현관문으로 거주가 세대에 들어오거나 공동 현관문으로 들어오는 것이 감지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4)에 의해 실행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제어용 앱(206)은 도어 제어용 앱(210)과의 연동을 통해 비활성화될 수 있는데, 즉 도어 제어용 앱(210)의 실행을 통해 세대의 현관문으로 거주자가 세대를 나가거나(외출하거나) 공동 현관문으로 나가는(외출하는) 것이 감지됨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204)에 의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활성화 및 비활성화 동작는 도어 제어용 앱(210)의 실행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예컨대 1∼2분 동안 동작하는 카운터(212)와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 제어용 앱(210)의 실행을 통해 거주자가 세대의 현관문 또는 공동 현관문으로 세대에 들어올 때 또는 거주자가 세대의 현관문 또는 공동 현관문을 통해 세대에서 나갈 경우, 이를 감지하여 카운터(212)가 동작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어 카운터(212)의 동작이 종료될 경우 스위칭 제어용 앱(206)은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00) 각각은 기기(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기기(10)에 대한 온/오프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02),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104),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무선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설정되어 있는 메모리(10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 동작은 기기(10)의 온 또는 오프 제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6)에는 스위칭 장치(100)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간의 등록 절차를 통해 등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02)는 등록 절차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연결 설정을 위한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한 무선 신호 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메모리(106)에 저장한 후 무선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 완료 메시지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스위칭 장치(100)간의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화면 데이터, 예컨대 연결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선택할 수 있도록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정보를 포함한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08) 상에 표시하며, 디스플레이(108) 상에서 어느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가 선택됨에 따라 선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근거리 무선 연결 설정을 위한 무선 신호를 송신한 후 이에 대한 응답이 수신됨에 따라 선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메모리(106)에 저장시킬 수 있다.
한편, 등록 절차를 통해 연결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무선 제어 신호가 수신됨에 따라 제어부(102)는 무선 제어 신호에 셋팅된 제어 동작에 따라 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00)는 근거리 무선 연결 설정을 위한 설정키(11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설정키(110)의 조작에 따라 스위칭 소자(100)의 제어부(102)는 연결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검색을 위한 신호를 무선 통신부(104)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며, 이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정보를 이용하여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08)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주자는 화면 데이터 상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함에 따라, 제어부(102)는 선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정보를 메모리(106)에 저장시킴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스위칭 장치(100)간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스위칭 제어용 앱(20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202)에 대한 터치 동작, 예컨대 한번 터치에 따라 등록 절차를 통해 연결된 스위칭 장치(100)와 연결된 기기(10)를 온 시키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 두 번 연속 터치에 따라 등록 절차를 통해 연결된 스위칭 장치(100)와 연결된 기기(10)를 오프 시키기 위한 무선 제어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스위칭 장치(100)를 제어하여 특정 공간 내 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메모리(208)에는 세대 내 각 공간의 스위칭 장치(100)에 대한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스위칭 제어용 앱(206)에 대한 실행에 따라 스위칭 장치(1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할 스위칭 장치(100)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상의 다양한 조작에 따라 선택한 스위칭 장치(100)에 무선 제어 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스위칭 장치(100)를 통해 기기(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 장치(100)의 메모리(106)에는 세대의 거주자에게 제공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2)는 사용자의 조작, 예컨대 설정치(110)의 조작에 따라 메모리(106)에 저장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08) 상에 어느 하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한 후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서 선택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고유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스위칭 장치(100)간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등록 기능을 제공하며, 등록 기능을 통해 웨어리블 디바이스(200)의 고유 식별 정보 입력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선택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메모리(106)에 저장시킬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선택 경우, 제어부(102)는 무선 통신부(104)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검색을 위한 무선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며, 이에 대한 응답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108) 상에 표시한 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메모리(106)에 저장시킴으로써, 등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홈 네트워크 내 기기 제어 시스템이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침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내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세대 내 임의의 공간 내 설치된 스위칭 장치(100)에 등록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00).
등록하는 단계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임의의 공간 내 설치된 스위칭 장치(100)의 고유 식별 정보 선택 또는 스위칭 장치(100)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고유 식별 정보의 선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등록 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스위칭 제어용 앱(206)은 선택된 스위칭 장치(100)로부터 스위칭 장치(100)에 연결된 기기(10)의 정보를 제공받아 메모리(208)에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208)에 저장된 기기(10)의 정보를 토대로 제어용 인터페이스, 즉 기기(10) 각각을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는 화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로부터 근거리 무선 연결 설정을 위한 무선 신호를 수신한 스위칭 장치(10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메모리(106)에 기 저장된 스위칭 장치(100)에 연결된 기기(10)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상에서 스위칭 장치(100)를 통해 임의의 공간 내 기기(10)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단계(S302)를 수행할 수 있다.
조작 단계(S302)는 스위칭 제어용 앱(206)의 실행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스위칭 제어용 앱(206)에서 제공되는 제어용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제어용 인터페이스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202)의 터치, 기기(10)의 온 또는 오프 제어를 위해 디스플레이(202) 상에 표시된 화면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조작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스위칭 제어용 앱(206)은 스위칭 장치(1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식별자로 갖는 무선 제어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여 스위칭 장치(100)에 전송한다(S304).
이에 따라, 스위칭 장치(100)의 제어부(102)는 무선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토대로 스위칭 장치(100)에 연결된 기기(10)를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S306).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홈 네트워크 내 기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메모리(208)에 저장된 도어 제어용 앱(210)을 통해 거주자의 세대의 귀가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400)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도어 제어용 앱(210)을 통해 공동 현관의 출입문이 오픈되거나 세대 현관의 출입문이 오픈되는 것을 모니터링하여 거주자가 귀가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귀가 상태가 감지됨에 따라,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소정 시간 동안 동작하여 종료하는 카운터(212)를 동작시키며(S402), 카운터(212)의 동작이 종료됨에 따라 스위칭 제어용 앱(206)을 실행시킨다(S404).
스위칭 제어용 앱(206)은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202)의 터치를 감지하며(S406), 터치의 감지에 따라 특정 스위칭 장치(100), 즉 근거리 무선 연결 설정을 통해 등록된 스위칭 장치(1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식별자로 한 무선 제어 신호를 송출한다(S408).
이에 따라, 스위칭 장치(100)의 제어부(102)는 무선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토대로 스위칭 장치(100)에 연결된 기기(10)를 제어, 예컨대 온 또는 오프시킬 수 있다(S410).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100 : 스위칭 장치
102 : 제어부
104 : 무선 통신부
106 : 메모리
108 : 디스플레이
200 : 웨어러블 디바이스
202 : 디스플레이
204 : 프로세서
206 : 스위칭 제어용 앱
208 : 메모리
210 : 도어 제어용 앱
212 : 카운터

Claims (10)

  1. 세대 내 각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각 공간에 구비된 복수의 기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스위칭 장치와 거주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홈 내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스위칭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시키는 단계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스위칭 장치와 연결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위칭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위칭 장치에서 무선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시키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복수의 스위칭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택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장치를 연결시키는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내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위칭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된 스위칭 장치에 의해 제어 가능한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기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어 가능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용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용 화면 데이터 상에서의 선택을 통해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횟수 감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내 기기 제어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 도어 제어용 앱을 통해 상기 세대의 공동 현관 출입문 또는 상기 세대의 현관문의 오픈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거주자의 귀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귀가가 감지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6. 세대 내 각 공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각 공간에 구비된 복수의 기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복수의 스위칭 장치와 거주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홈 내 기기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저장되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복수의 스위칭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시키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에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스위칭 장치와 연결된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한 후 이를 토대로 무선 제어 신호를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위칭 장치에 전송하는 스위칭 제어용 앱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 제어 신호를 수신한 스위칭 장치는,
    상기 무선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기기를 제어하는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용 앱은,
    기 저장된 상기 세대 내 복수의 스위칭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스위칭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스위칭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칭 장치를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시키는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용 앱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위칭 장치로부터 상기 연결된 스위칭 장치에 의해 제어 가능한 기기의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기기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어 가능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용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 후 제어용 화면 데이터 상에서의 선택을 통해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스위칭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용 앱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터치 횟수 감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제어용 앱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내 도어 제어용 앱을 통해 상기 세대의 공동 현관 출입문 또는 상기 세대의 현관문의 오픈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거주자의 귀가가 감지됨에 따라 활성화되어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시스템.
KR1020210042096A 2021-03-31 2021-03-31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35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096A KR20220135860A (ko) 2021-03-31 2021-03-31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2096A KR20220135860A (ko) 2021-03-31 2021-03-31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860A true KR20220135860A (ko) 2022-10-07

Family

ID=8359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096A KR20220135860A (ko) 2021-03-31 2021-03-31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58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079A (ko)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홈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079A (ko)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홈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0852B2 (en) Remote control device, server,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200351177A1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US1060883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120532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US20200183543A1 (en) Control apparatus
CN106576221B (zh) 用于物联网的终端及其操作方法
KR101623162B1 (ko) 통합 리모콘이 구비된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US20160198211A1 (en) Ir pairing for rf4ce remote controls
KR101588595B1 (ko)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WO20090263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device selection by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043382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a message
CN114826805A (zh) 计算机可读存储介质、移动终端、智能家居控制方法
JP2016010047A (ja) 機器制御システム、宅内装置及び遠隔操作端末
KR102118482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다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135860A (ko) 스위칭 장치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홈 내 기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178252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100929773B1 (ko) 피제어 기기를 등록하는 방법, 시스템 및 기기 제어 서버
KR100483427B1 (ko)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6986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동되는 현관용 스위칭 장치
KR2007004281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네트워크게임 제공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330109B1 (ko) 모바일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출력방법
CN114253142A (zh) 模式的配置方法、控制方法及装置、系统、设备及介质
EP2950562A1 (en) Portable terminal
KR20010082444A (ko) 자동감지기가 내장된 무선 리모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